KR20010105292A - 복수 개의 판들로 구성된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판들로 구성된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5292A
KR20010105292A KR1020017006324A KR20017006324A KR20010105292A KR 20010105292 A KR20010105292 A KR 20010105292A KR 1020017006324 A KR1020017006324 A KR 1020017006324A KR 20017006324 A KR20017006324 A KR 20017006324A KR 20010105292 A KR20010105292 A KR 20010105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aps
flap
hing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젤코요하네스
Original Assignee
추후기재
슈타이너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2399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10529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추후기재, 슈타이너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추후기재
Publication of KR2001010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65D7/2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with all parts hing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rosthe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1)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그 컨테이너(1)는 복수 개의 플랩(2부터 5)으로 구성되며, 그 플랩(2부터 5)들 중 몇 개는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을 갖춘 힌지 메카니즘(10)에 의하여 자체 전방 모서리(13) 구역 내에 조정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고, 플랩(2부터 5)의 전방 모서리(13)와 평행하게 연장되 적어도 하나의 힌지 핀(11)이 연결 링크(12)에 의하여 거기서부터 떨어진 거리에서 유지되고, 다른 플랩(7)의 홈 내에 삽입될 수 있고, 홈(17)의 두 개의 끝 구역들 중 하나가 유지 어깨부(19)에 의하여 그 폭을 가로 질러 닫혀있고 힌지 핀(1)의 두 개의 끝 구역들 중 하나에 대하여 하우징 실을 형성하고, 적어도 플랩(2부터 5)들 중 하나 위에 돌출된 주변 융기(16)내의 부분 구역에 홈(17)이 배치되고 적어도 힌지 핀(11)의 길이(26)에 해당하는 개방된 길이(25)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판들로 구성된 컨테이너{CONTAIN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LATES}
본 발명은 청구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전문에 기술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경사진 시점에서 바라본 간략화된 도면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한 컨테이너가 제시되어 있는데, 베이스와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들이 서로 평행한 위치로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의 사시도로서,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이 상시 활용할 수 있는 위치로 직립 상태에서 접혀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한 컨테이너로서, 상이한 수송 위치에 놓여 있는 상태이며, 이때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들은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 쪽을 향해 하방으로 안쪽으로 접혀져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컨테이너의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V-V를 따르는 정면도로부터 보여진 플랩의 정면 끝 파트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의 측면도로서,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에 대하여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상시 활용 가능한 위치에서 위로 접혀져 있다.
도 7은 정면 끝 구역에서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 확대 스케일로 그려졌으며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8은 측면에서 바라본 것으로, 컨테이너의 끝 벽을 형성하는 플랩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의 선 IX-IX를 따르는 측면도 내이 끝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을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끝 벽을 형성하는 플랩의 측면도로서,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을 중심으로 90도 상방으로 접혀있는 위치에 있으며, 길이 방향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이 제거된 상태이다.
도 11은 컨테이너의 끝 벽을 형성하는 플랩의 끝-구역을 확대 스케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을 정면 끝에서 바라본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XII를 따라,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을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화살표 XIII를 따라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안된 컨테이너의 힌지 베어링을 도시한 것으로,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과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 사이에, 도 3의 선 XIV-XIV를 따라 힌지 핀이 그 안에 삽입되어 있다.
도 15는 도 14의 화살표 XV-XV를 따라는 정면도로부터 힌지 베어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4의 선 XVI-XVI을 따르는 정면도에서 두 개의 플랩 사이의 힌지 베어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도 16의 그것과 유사한 정면도에서 보여진 것으로 힌지 베어링 용으로 사용된 설계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과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 사이에서 본 발명에서 제안된 컨테이너의 힌지 베어링으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4의 그것과 동일한 측면도에서 힌지 핀의 끝 구역이 유지용 어깨부(retaining shoulder) 내에 삽입되어 있다.
도 19는 플랩의 정면 끝 부분에 대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상기와 동일한 측면도에서 다른 플랩의 부분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에 수직하게 서 있는 두 개의 직립 플랩 사이의 코너 영역이 상시-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도 21의 선 XXII-XXII을 따라 도 21의 코너 구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도 21의 선 XXIII-XXIII을 따라 도 21에 도시된 코너 영역의 일부 구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일부 구역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플랩의 오버랩 구역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6은 두 개의 플랩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접혀 있는 오버랩 구역에 대한 정면도이다.
여타의 출원서들 중 본 발명에서 제시한 것과 같은 유형의 컨테이너에 관하여, 본 출원인의 앞선 선행자에 의해 출원된 것들로 WO 94/11259 A, WO 95/13970 A, 그리고 WO 97/41037 A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컨테이너는 여남은 개의 플랩(flap)들로 구성되며, 여러 개의 플랩 중 하나는 베이스(base)를 형성하고 다른 것들은 측벽(side wall)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플랩들은 서로 평행이 되는 위치로 접혀질 수 있게 되어 있어 청정(cleaning)의 목적 또는 아무 것도 없는 빈 상태(empty)에서 수송(transporting)할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빈 상태로 전달할 경우 플랩들은 베이스와 평행한 위치로 접혀지는 바, 베이스 너머 밖이나 베이스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상에 위치하게 된다.
물건(goods)을 수송하기 위해서, 측벽을 형성하고 있는 플랩들은 서로 단단히 고정될 수 있고 베이스에 수직인 위치로 상방을 향해 스윙(swing) 운동된다.
개별 플랩이 피벗(pivot)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는 힌지 핀(hinge pin)의형태로 제공되어 있는데, 연결용 링크와 기타 다른 플랩의 홈(groove) 내에 위치한 링크에 의해 개별 플랩의 전방 모서리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떨어진 상태에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들 중 몇 몇의 경우, 서로를 중심으로 개별 플랩을 힌지 핀의 길이 방향 축을 향하도록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플랩들이 서로 떨어져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독일 특허(번호 DE 42 01 145 A1)와 문서 번호 WO 96/11144 A1에서도 컨테이너에 관해 공시하고 있는데 위에 기술된 것들과 유사하게 설계된 것들이다. 이러한 컨테이너를 가지고, 상기에 언급된 문헌들 중 첫번째 것에서 제시하는 설계 방식은 힌지 핀을 위한 안내 슬리브 중 하나에 슬릿(slit)이 있고 반경 방향에서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여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을 중심으로 하는 위치로 도달하여 잠금이 되는 피벗 동작이 가능한 반면, 나머지 힌지 메카니즘의 설계 방식은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이 직립 위치(upright position)에 있을 때 힌지 핀이 수직 응력 으로부터 방면되도록, 즉,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에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되는 응력이 편향되도록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강도 및 충분히 변형(strain)을 견딜 수 있다고 검증이 되지 않은 요소들을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의 관점에서는, 위에 기술된 모든 컨테이너들이 자신들에게 부여된 모든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없다고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건을 수송할 때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컨테이너에 응력이 작용할 때, 자신에게 부여된 증가된 변형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저항력을 나타낼 수 있고, 다른 컨테이너의 최상단에 쌓여 있을 때 컨테이너의 중량을 견딜 수있는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명의 목적은 청구 제 1 항부터 제 4 항에 제시된 특징 부분에 정해진 사항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청구 제 1 항에 제시된 해법은 장점이 있는데 그 이유는 주변에 펼쳐져 있는 봉우리들(layout of peripheral ridges)이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의 강도를 증가시킨다는 사실과 베이스의 표면 위에 연결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들이 설치될 수 있어 베이스 상에서 수평으로 제한된 위치에서 베이스로부터 방면될 수 있는 반면, 직립 상태(the erected state)에서는, 힌지 핀들이 보호되어 외부를 향해 덮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힌지 장치의 이렇게 섬세하고 민감한 힌지 핀은, 예를 들면, 갈퀴 리프트의 뾰족한 끝(prongs of fork lift)이나 서로 너무 타이트하게 꾸려진 것, 또는 차량의 측벽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훨씬 더 잘 보호될 것이다.
청구 제 2 항에 제시된 실시예는 힌지 핀이 베어링 구역을 중심으로 최소 각도한의 수준에 의해 미리-팽팽해지며, 상기 베어링 구역은 홈(groove) 내에 설치되어 추가 공간을 제공하므로 충격과 진동에 의해 야기된 응력에 노출되더라도 힌지 핀은 여전히 적절하게 안내되어 홈 안에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동시에, 힌지 핀이 부러지거나 휘는 현상을 유발할 지도 모르는, 힌지 핀 상에 과다하게 작용하는 예기치 못한 변형(strain)을 안전하게 배제시킬 수 있다. 이것은 작용하게 될 수직 하중이 더 커지게 하여, 컨테이너가 다른 컨테이너의 맨 상단 상에 쌓여있는 것일 때,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 상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작용하여 컨테이너의내부에 영향을 끼칠 경우, 확실히 힌지 핀이 보다 효과적으로 홈 내에 유지되도록 해준다.
청구 제 3 항에 기술된 또 다른 실시예는 놀라울 정도로 유리한 설계 방식을 제공하고 있는데, 여기서 플랩은 서로에 대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직립 위치에서 서로 접히게 위치하며, 상이한 공간 방향에서 안내 및 보조의 목적으로 설계되어 연결 좌석의 배치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유지 요소들을 가지고 있으므로, 플랩이 서로 만나게 되는 코너 구역에서 구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청구 제 4 항에 기술된 해법은, 자기의 권리로서 한 해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직립 플랩들 중 하나가 다른 플랩에 대해 지탱되며 플랩에서 내부-잠금이 되도록 베어링으로 체결되게 주고 이때 플랩은 상이한 공간 방향에서 베이스를 형성하고 있는 플랩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높은 수직 하중이나 수평 하중 상태에서조차, 서로 기대고 있는 플랩들은 상이한 공간 방향에서 약해지는 일은 방지될 것이고, 손상도 받지 않거나, 그 안에 포함된 물건이나 컨베이어 수단에 의해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극단적인 응력에 노출될 때에도 컨테이너에 상기와 유사하게 손상 및 약화가 방지될 것이다.
기타 다른 이로운 실시예들에 관해서 청구 제 5 항부터 제 68 항에 정의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점들이 제공하는 것은 아래 실시예에서보다 상세히 제시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예에 관한 도면들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우선 첫째로, 동일한 기준 수치에 의해 동일한 요소들이 도시되었으며, 다양한 도면들 내에서 동일한 요소명에 의해 참고가 되고 있으므로, 본 명세서를 통해 공개된 공시 사항들은 동일한 요소들이 동일한 기준 수치와 동일한 요소명을 가진다고 간주하여 적용될 수 있다는 점, 즉, 기술되어 있는 특정 도면에 대한 상단, 바닥, 측면 등등과 같은 표시는 제시되어 있는 모든 새로운 위치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점에 대해서는 지적해야만 한다.
도 1부터 도 3에는 컨테이너(1)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는데, 어떤 의미에서는 나무 상자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과일이나 야채와 같이 신선한 음식물을 수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하겠으나, 우유병이나, 우유 판지 상자 또는 이와 유사한 꾸러미화된 음식물 항목에도 적절하다고 본다.
컨테이너(1)는 복수 개의 플랩(2부터 6)들로 구성되며, 특히 네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지는 바, 도시된 컨테이너는 삼각형 표면적과 반대로 직사각형의 표면적으로 갖으며 다섯 개의 플랩(2부터 5)들을 갖는다.
이 경우 플랩(6)이 베이스(base)를 형성하며, 플랩 2와 4는 측면의 끝 벽(side end wall)을 형성하는 반면, 플랩 3과 5는 길이 방향 측벽을 형성한다. 이러한 특수 용어를 사용한 이유는 베이스, 즉 플랩 6이 직사각형 표면이기 때문이다. 만일 베이스가 정사각형이었으면, 측벽을 형성하는 모든 네 개의 플랩(2부터 5)들은 다소간 동일한 길이가 될 것이다.
2부터 6의 개별 플랩들의 설계 방식은 어떤 종류이든지 무방하며 골격 구조(framework structure), 익형의 가로날개 뼈대 구조(spar structure) 또는 한 쪽 또는 양쪽 변 밖으로 돌출된 강화용 갈비뼈(rib) 구조를 갖는 판(plate)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여기에 제시되어 예시로서만 주어져 있는 특수한 실시예는 서로를 향하고 있는 플랩 2부터 6까지가 그 각각의 표면이 평평한 것이고 내부(8)의 통풍을 위하여 소수의 오리피스(7)가 제공되어 있다. 기타 다른 몇 개의 선택 사영들은 플랩 2부터 5에 절단되어 나간(cut-out) 단면(9)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handgrip)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될 수 있는 것이다.
서로 마주 보고 있는 플랩 2부터 6의 표면이 매끄럽고, 갈비뼈와 같은 립 골격이 제공되어 있지 않은 상기 실시예가 갖는 장점이라면 수송되어야 할 음식물이 돌출부에 의해 손상이 방지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고 사용 후에도 이로 인해 청소하기도 매우 용이해 질 것이다.
컨테이너(1)가 비어 있는 상태인 수송 상태 하의 체적과 컨테이너(1)가 물건이나 다른 기타 음식물 등으로 채워져 있는 상태의 상시-사용-가능 상태 하의 체적 사이의 가능한 가장 바람직한 비율(ratio)을 획득하기 위하여, 플랩 2부터 5가 플랩 6에 체결되어 힌지 메카니즘(10)에 의해 베이스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힌지 메카니즘(10)은 힌지 핀(11)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힌지 핀(11)은 연결 링크(12)에 의해 핀을 마주보고 있는 플랩 2부터 5의 전방 모서리(13)에 영구 부착되어,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떨어져 위치한다. 이 힌지 핀(12)은 베어링 하우징(14) 내에 피벗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필요 시 삭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어링 하우징(14)은 내부 표면(15)을 가로 질러 주변 모서리 구역 내에서 작동하는 주변 융기(peripheral ridge)(16)를 갖추고 설계되었으며, 여기에 홈(groove)(17)이 제공되어 있으며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위치하고 있어, 개별 플랩의 부분 길이를 가로 질러 힌지 핀(11)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홈(17)은 반대편에 놓여 있는 측벽이나 끝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어서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2부터 )들이 베이스와 거의 평행한 위치로 이동할 때 힌지 핀(11)이 삽입되어 움푹 패인 홈(17)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잠금 핀이나 잠금 표면의 탄성 벼형에 의해 삽입 및 제거 작업에 영향이 미칠 수 있으나, 이것은 필요 이상의 우려로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경우이다.
플랩(6)의 공동-작용 전방 모서리(13)의 길이 방향에서 각각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에 각각의 개별 플랩(2부터 5)을 위치시킴으로써 연결 링크(12) 너머 외부로 돌출된 힌지 핀(11)의 두 개의 끝 구역(18)들 중 하나는 유지 어깨부(retaining shoulder)(19)를 형성하는 일부 홈(7) 쪽으로 밀려질 수 있다
이러한 유지 어깨부(19)는 홈(17)의 일부가 덮개 요소(20)에 의해 덮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힌지 핀(11)의 끝 구역(18)이 유지 어깨부(19) 쪽으로 밀려질 때, 연결 링크(12)가 홈(17)에서 움푹 패여 오목한 곳(21)(recess)에 의해 형성된 측면 뺨 부위(side cheek)로 이동하며, 대개, 움푹 패여 오목한 곳(21)은 적어도 베이스 판(23)의 일부 내에 배치되며, 그 길이는 힌지 핀(11)의 길이 방향과 평행을 이루게 되고 동일한 방향에서 측정되었을 때 적어도 연결 링크(12)의 폭과 길이가 일치한다. 이러한 오목한 곳(21)은 힌지 핀(11)의 중앙 길이 방향 축(24)을 중심으로 적어도 90도의 각도를 이루며 피벗 범위를 가로 질러 연장되어 있다.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의 중앙 구역에서 개방되어 놓여 있는 홉(17)의 길이(25)는 힌지 핀(11)의 길이(26)와 같거나 조금 크다.
힌지 핀(11)과 연결 링크(12)와 관련되어 오목한 곳(21)의 구조 상의 결과로, 플랩(2부터 5), 즉, 끝면을 형성하는 플랩 2와 플랩 4, 그리고 길이 방향면을 구성하는 플랩 3과 플랩 5는 베이스에 반대인 위치로부터 밖으로 접혀질 수 있는데, - 이때 베이스는 수송을 위하여 안으로 이미 접혀 있게 되며 그 용도는 수송 및 청소의 목적 - 접힌 방향이 외부이기 때문에 그러한 플랩들은 베이스를 구성하는 플랩(6)의 주변 전방 끝 모서리 외부에 놓여 있게 된다.
상시-사용-가능한 위치란, 개별 플랩(2부터 5)들이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을 중심으로 밖으로 접힌 위치와 안으로 접힌 위치 사이에 있을 때를 가르키며, 베이스(6)에 90도의 각도를 이루고 접하고 있는 플랩(6)에 수직하게 서 있다.
베이스(6)를 중심으로 플랩(2부터 5)들의 위치를 플랩(2부터 5)들의 정면 길이 방향 끝 모서리가 서로 평행하게 작용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유지 어깨부(19)와 그 대부분의 부위가 피벗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반대 방향에 놓여 있는 멈추개(27) 사이의 움푹 패인 오목한 곳(21) 내에 연결 링크(12)가 안내된다.
홈(17)은 대략 U자 형 또는 C자 형 단면을 가지므로, 다리(leg)들 사이에서 대칭으로 작동하는 수직 축은 베이스의 표면에 대해 5도에서 25도, 더 바람직하게는 8도에서 20도 가량의 각도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홈은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의 중앙 구역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대적 변위는 플랩 6과 플랩 2부터 5, 그리고 플랩 3과 플랩 5 사이에서 이와 같은 각 범위를 거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들은 끝면 벽(end face walls)을 형성하는 플랩(2, 4)을 바라보고 있는 정면 모서리(30, 31)가 중첩되는 피벗 구역 내에서 안쪽 면(28)에 수직하게 돌출한 멈춤용 융기(stop ridges)(29)를 가로질러 안내되므로, 플랩(3, 5, 6)들 사이의 어떠한 상대적 위치 이동도 방지시켜준다. 이러한 멈춤용 융기(29)들이 베이스(6) 상의 자체-접혀진 위치에서 정면 모서리(32, 33)를 중첩시켜 가로의 벽(transverse wall)을 형성하는 플랩(2, 4)의 끝 정면(30)과 평행하게 작동하는 것이 명백히 가능할 것이다. 분명히, 길이 방향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3, 5) 상에 배치되는 대신, 가로의 끝 벽을 형성하는 플랩(2, 4) 상에 배치될 수도 있으므로 이들은 길이 방향 측벽(3, 5)이나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에 평행하게 작동하는 정면 끝 모서리도 유사하게 중첩시킬 수 있다.
반면 이와 같은 실시예의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3, 5) 상에 멈춤용 융기(29)가 배치된다면, 홈(17)과 힌지 핀(11)의 길이 방향 중앙 축(2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34의 양만큼 플랩(6)의 표면(15) 상에 배치되며, 플랩 2와 4가 해당된다. 힌지 핀(11)에 대하여 베어링 하우징(14)을 형성하는 주변 융기(16)가 적절히 상승된다는 사실의 관점에서 비추어 볼 때,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과 결부되어 U-자형 수용 채널이 형성되므로, 가로의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2, 4)들이 각 범위 내의 주변 융기(16)에 의하여 가로 방향으로 안내되며, 이때 상기 각 범위에서 홈(17)이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의 중앙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어서, 이와 같은 부분의 피벗된 운동 중에 유지 어깨부(19) 내에서 안내되는 힌지 핀(11)의 끝 구역(18)은 유지 어깨부(19) 밖으로 밀려질 수 없다.
따라서, 베어링 하우징(14) 상호 간 마주보고 있는 옆면들 사이에서 길이(35)가 동일하거나 내부 폭(36)보다 다소 작은데, 이때 베어링 하우징(14)은 길이 방향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3과 5) 상에 힌지 핀(11)을 받아들인다. 게다가, 가로의 끝 벽을 형성하는 플랩(2와 4)들의 힌지 핀(11)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베어링 하우징(14) 상호 간으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정면 모서리(39) 사이의 최대 거리(38)에 비하여, 길이 방향 측벽을 형성하는 각 플랩(3과 5)의 멈춤용 융기(29) 사이의 내부 폭(37)은 동일하거나 다소 크다.
유사하게, 멈춤용 융기(29)가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는 높이(40)는 길이 방향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3, 5)의 내부 표면(28)을 너머 더 위쪽에 이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의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2, 4)의 두께에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의 두께(41)를 더한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다소 작다.
도 1부터 3이 컨테이너(1)의 기본 구조와 일반적 작동 원리를 설명해 주고 있으나, 도 4부터 13과 도 14부터 18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한 설명이 제시될 것이며, 여기서 개별 플랩(2부터 6)의 설계 및 레이아웃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도 4부터 6은 컨테이너(1)의 길이 방향 측벽을 형성하는 두 개의 플랩(3, 5) 중 하나를 나타낸 것으로, 더 상세한 설명을 위해 사실상 플랩 3이 선택되었다. 도 4와 도 5는 플랩 3이나 플랩 5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플랩(3)은 강화 버팀대(reinforcing brace)(42)를 가지며, 이것은 속이 빈 요소(hollow member)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강화 버팀대(42)는 길이 방향 정면-끝 모서리(45)를 향하는 방향에서 정면 모서리(13)의 좁힌 정면 끝(43, 44)을 따라 인접하게 작동한다.
컨테이너(1)가 다른 컨테이너의 최상단 상에 쌓아 올려진 것일 때 힘의 전달을 향상시키기 위하려면, 강화 버팀대(42)의 수직으로 확장된 부분 영역을 곡면 처리된 요소(curved members)에 의하여 강화 버팀대의 수평 부분 영역에 체결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또한, 측벽의 인접 부분 영역을 강화하기 위하여, 강화 버팀대(42)가 다소 빗겨 나가게 배치(arranged offset)되거나, 적어도 모퉁이 지주(corner stay)의 두께에 의하여 플랩(3)의 높이(46) 중 일부 영역만을 가로 질러 중앙의 길이 방향 구역의 방향으로 회귀 배치 내에 강화 버팀대(42)가 배치될 경우 이점이 있다.
강화용 버팀대(42)는 속이 빈 플라스틱 단면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속이 빈 플라스틱 단면은 주입 공정(injection process)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주입 주형 성분(injection mould component)의 핵심부(core)는 차례로 발포되며, 중앙 구역에 플라스틱 재료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것은 여전히 액체 또는 플라스틱 상태로서, 다른 플랩(3과 5) 파트들과 함께 처리되는 단일 작업 공정(single work process)이다. 추가적인 봉-형상(bar-shaped)의 길이 방향 지주(47, 48)(longitudinal stay) 뿐 아니라 대각선 지지 요소(diagonal supporting elements)(50)가 체결될 수 있는 바, 공간 상에 매우 우수한 강성(rigidity)을 생산하게 될 것이며, 무엇보다, 이러한 플랩(3, 5)들이 매우 높은 수직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여기서 흥미로운 특징이라면, 중앙의 오목한 곳(centring recesses)(51)이 길이 방향 측면 모서리(45) 구역에 배치되어 꼭대기 위에 놓인 컨테이너(1)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에서 중앙 돌출부(52)와 일치하며 공동-작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정도의 응력이 이 구역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대각선 지지대(50)는 이 구역에서 대략 종결되어 강화 버팀대(42)와 힌지 메카니즘(10) 사이의 길이 방향 측벽(3, 5)과 개별 길이 방향 지주(47, 48), 그리고 수직 지주(49)를 가로 질러 강성까지 제공하게 되어 여기서 발생되는 다량의 변형을 대체하게 되며, 특히 굽힘(bowing)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힌지 메카니즘(10)으로 높은 강도와 저항력을 전해주기 위해서, 플랩(3, 5)의 정면 모서리(13) 길이를 따라 배분시키며 다수의 힌지 핀(11)을 제공하는 것도 이점이 있다.
따라서, 각각의 힌지 메카니즘(10)을 각각 쌍으로 서로에 인접하게 배치시키고 힌지 메카니즘(10)의 각 쌍 사이에 피벗 멈추개(53)를 제공하는 것은 이로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피벗 멈추개(53)의 목적은 길이 방향 측면 벽을 형성하는 플랩(3, 5)뿐 아니라 다른 플랩(2, 4)들이 직립 상태에 있을 때, 플랩(2부터 5)들이 그들의 직립 위치에 있도록 보장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피벗 멈추개(53)의 스탠드 표면(stand surface)(54)은 힌지 메카니즘(10)이 과도한 변형을 받는 것을 방지해준다. 본래 계획했던 것 보다 높은 하중이 힌지 메카니즘(10) 상에 작용하면, 스탠드 표면(54)은 플랩(6) 상의 스탠드 표면 반대에 놓여 있는 지지 표면(55) 상에서 지탱될 수있으며, 따라서 힌지 메카니즘(10) 상에 작용하는 하중과 그곳의 힌지 핀(11) 가능한 한 감소시키게 된다.
플랩 2부터 플랩 5 상에 작용하는 수직력의 기본 하중이 힌지 메카니즘(10)을 통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적어도 힌지 핀(11)의 끝 구역(18)과 베어링 하우징(14) 또는 홈(17) 사이에서 높은 표면 압력이 발생되고, 이것은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3과 5)에 반하여 높은 충격이 가해질 경우 개방된 상태의 힌지 핀(11)의 끝 구역(18)이 자체 개별 홈(17) 밖으로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해준다.
대략 직사각형-모양인 스탠드 표면(54)의 측면 모서리(56)가 밖으로 돌출되고 힌지 핀(11)의 길이 방향 중앙 축(24)에 의해 형성된 윤곽 표면(57)을 가지는 윤곽(contour)에 접선을 이룬다는 사실 때문에, 이와 같은 기계적 장벽을 극복하기 위하여 추가 힘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반면, 플랩(3, 5)과 모든 실용적 목적을 위하여 플랩(2, 4)이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에 대략 수직한 위치에 배치될 때, 위에서 언급했던 장벽이 다시 한번 측벽이 저절로 수송 위치로 붕괴되기 어렵게 하며 이때 수송 위치란,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에 대하여 이들이 가상적으로 수직 위치인 상태에서 직립으로 놓여 있을 때 이들이 안으로 또는 밖으로 접힌 위치로 플랩 2부터 5를 붙잡고 있는 상태, 특히 3부터 5를 붙들고 유지하는 상태를 의미하므로, 플랩(2와 4)에 의해 형성된 가로의 측벽은 단일 작동으로 정상 상태(erect)가 될 수 있다.
피벗 멈추개(53)의 스탠드 표면(54)이 거기서 함께 작동하며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의 지지 표면(55) 위에 미소한 거리(58)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을 살펴볼 때, 아직 채워지지 않은 컨테이너(1)의 플랩(2부터 5)들을 직립 상태로 설정할 때 이들은 무시할 수 있는 정도로 피벗 운동을 방해한다. 플랩(2부터 5)들이 상방으로 스윙운동하거나 직립상태에 놓여 있을 때, 측면 모서리(56)는 스탠드 표면(54) 상으로 작동하는데, 그 이유는 돌출한 정면 모서리(56) 때문이고, 끝 구역(18, 60)의 축(59)을 가로 지르는 방향에서의 탄성 변형의 결과, 그러한 동일한 거리(61)에 의하여 이제 플랩 (2부터 5)들은 상승되고, 이때 그 거리에 의하여 측면 모서리(56)가 윤곽 표면(57) 너머로 돌출되므로, 플랩(2부터 5)들은 플랩(6)에 대략 수직인 위치를 향해 상방으로 스윙 운동할 수 있고, 이때 스탠드 표면(54)은 지지 표면(55)과 평행인 위치에 있으며 그 위의 높이에서 약간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결국, 플랩(2부터 5)들은 힌지 핀(11)의 길이 방향 축(24)을 중심으로 미소한 각 범위 만큼 피벗 운동될 수 있으나, 플랩(6) 상으로 또는 플랩(6)의 측면 바깥으로 플랩(6)에 평행한 평평한 위치로 붕괴될 수는 없다. 이것은 가로의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2, 4)들을 올곧게 세워 다른 플랩(3, 5)에다 잠궈놓기쉽게 해준다. 동시에 이러한 설계 방식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힌지 핀(11)의 끝 구역(18) 상의 과다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각 플랩(2부터 5)은 근사 두께(34)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내부 표면(28)의 평면에서 작동하는 힌지 핀(11)은 내부 표면(28)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크기는 개별 플랩(2부터 5)의 두께(4)의 절반보다 더 크다. 개별 플랩(2부터 5)의 이와 같은 두께(34)는 높이(62)로 이루어지며, 그 높이 이상에서 플랩(2부터 5)의 범위를 정해주는 외부의 주변 융기(63)가 내부 표면(28)의 반대에 놓인 플랩(2부터 5)의 외부 표면(64) 너머 뿐 아니라 개별 플랩(2부터 5)의 두께(65) 너머로 돌출되어 있다. 플랩(2부터 6)들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 4와 6에 도시된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살펴볼 수 있듯이, 길이 방향 지주(47, 48), 수직 지주(49), 그리고 앞서 언급된 대각선 지지대(50)가 플랩을 감싸고 있는 주변 융기(63)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1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주변 융기(63)가 플랩(2부터 6)의 외부 표면(64) 너머로 돌출되어 있는 반면, 길이 방향 측벽을 형성하고 있는 판(3과 5) 위의 좁은 끝 면(43, 44) 구역 내의 멈춤용 융기(29)가 높이(40) 만큼 돌출되어 나와 있다. 플랩(3, 5)의 중앙 구역을 바라보고 있는 면 상의 이와 같은 주변 융기(29)에 배치된 것은 지지 및 중앙 요소(66, 67, 68)들로서, 가로의 끝 벽을 형성하는 플랩(@와 4)과 결부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며, 이것은 플랩(2부터 4)의 좁은 끝면의 주변 구역들 내에서 지지 및 중앙 요소들과 상응하여 공동 작용하게 된다.
추가로, 플랩들이 직립 위치에서 다소간 플랩(6)에 수직을 이루고 있을 때 플랩(2, 4)을 다른 플랩(3, 5)에 적절히 연결시키기 위하여 연결 메카니즘(70)의 연결 요소(69)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 메카니즘(7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더 상세한 도면과 함께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5에 제시된 절단면으로부터 볼 수 있듯이, 힌지 핀(11)의 반대에 놓인 길이 방향 정면 끝 모서리(45)의 구역 내의 주변 융기(63)가 속이 텅빈 단면의 형태로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주변 융기(63) 구역 내의 공동(cavity)은 냉각 처리 중에, 종래의 기술로부터 다양한 형태로 이미 알려져 있는 기술을 사용하여 여전히 가소성을 부여받은(still plasticized) 또는 이미 경화 상태(rigid state)에 도달했던 스킨으로부터 나온 액체 플라스틱을 용융(blowing)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 공정의 일부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기술에 관해 확인하는 데 있어서, 특히 이러한 속이 빈 공동(hollow cavity)과 공기-주형법(air-moulding)으로도 알려져 있는 상기와 같은 공정을 위해 요구되는 공정 세부사항에 대해서, 독일 특허(39 40 186 A1)에 상세히 공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내용 또한 이것과 연계되어 있다.
도 4와 6으로부터 볼 수 있듯이, 복수 개의 힌지 핀(11)들이 플랩(3과 5)들의 정면 모서리(13) 길이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각 플랩에는 정면 모서리(13)로부터 떨어진 거리에서 자체 연결 링크(12)가 제공되어 있다. 정면 모서리(13)로부터 떨어진 거리에서 연결 링크(12)에 의해 유지되는 힌지 핀(11)은 편리하게 쌍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플랩(3과 5)들의 길이 방향 중심에 인접하게 배치된 힌지 핀 쌍(71과 72)들은 개별 힌지 핀(11) 사이에서 좁은 정면 끝(43, 44) 구역에 배치된 힌지 핀 쌍(74, 75)보다 더 작은 거리(73)를 갖는데, 이때 힌지 핀(11)은 서로 거리(76)를 두고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힌지 핀(71, 72 및 74, 75)들의 쌍 각각의 사이에 피벗 멈추개(53)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다시, 좁은 정면 끝(43, 44)을 향하는 방향에서의 피벗 멈추개(53) 길이(77)는 힌지 핀(71, 72) 의 쌍 사이의 길이로서 그 크기가 힌지 핀 쌍(71과 74 또는 72와 75) 사이의 길이 보다 작다. 가장 작은 공간 내에 배치된 힌지 핀(11)으로 인하여, 손잡이로서 제공되어 있는 플랩(3과 5)들 로부터 절단되어 나온 부분(9)(cut-out sections)의 구역 내에 강하고 하중에도 매우 잘 견디는 연결부(a strong and highly load-resistant connection)가 제공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직 하중은 다소간 상기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이미 앞에서 설명되었던 바와 같이, 지지 및 중앙 요소(66, 67, 68)에 의하여 좁은 정면 끝(43, 44)의 구역에서 수직 방향으로 추가 지지대가 제공되어 있다.
좁은 정면 끝(43, 44)의 구역 내에서 피벗 멈추개(53)의 길이가 더 길수록 플랩(2부터 5)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더 적합한데, 그 이유는 플랩은 모퉁이 구역의 안쪽을 향해 아래로 접히는 경향이 있는 바, 아마도 이것은 중심을 벗어나 치우쳐지면서 돌출된 중량이 나가는 성분들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며, 최소한 지지 및 중앙 요소(66부터 68)와 함께 돌출한 멈춤용 용기(29)의 레이아웃(layout) 때문은 아니라는 사실도 존재하고 있다.
사실상 도 6에도 제시되어 있지만, 도 7에 특별히 제시된 확대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연결용 핀 링크(12)로부터 떨어진 그들의 끝 위치에서 끝 구역(18, 60)으로 원뿔형 안내 표면(78)이 제공되어 있다. 다음에 제시된 도면과 결부되어 설명되겠지만, 이들의 목적은 개별 플랩(2부터 5)들의 힌지 핀(11)을 홈(17)과 유지 어깨부(19)에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7에서 더 명확히 제시된 바와 같이, 피벗 멈추개(53)의 길이(77)는 표시된 길이(80)를 갖는 베어링 하우징(14) 내의 움푹 패인 오목한 곳(79) 보다 더 작다. 길이(77)와 길이(80) 사이의 차이는 보통 연결 링크(12) 너머로 돌출된 끝 구역(18)의 핀 길이(81)에 부합되며 일단 힌지 핀(18)이 홈(17)에 삽입되고 나면, 베어링 하우징(14) 내의 유지 어깨부(19) 안쪽으로 있는 플랩(6)을 중심으로 플랩(2부터 5)들을 미끄럼 동작(sliding action)시킴으로써 전체 핀 길이(81)가 안내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응하는 큰 안내 및 지지 표면을 만들어내게 된다. 그러나, 피벗 멈추개(53)의 길이(77)보다 더 큰 길이만큼 길이(80)를 핀 길이(81)보다 더 길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실용적 목적을 위하여, 피벗 멈추개(53)의 높이(82)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어링 하우징(14)의 폭(83)과 동일한 크기이다. 둘 중 어떤 한 경우에라도, 힌지 핀(11)의 길이 방향 중앙 축(24)과 피벗 멈추개(53)의 스탠드 표면(5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하우징 (14) 내에서 힌지 핀(11)을 받아들이는 홈(17)의 길이 방향 중앙 축(24)과 플랩(6)의 중간 구역 또는 플랩(6)을 마주보고 있는 베어링 하우징(14)의 내부 측벽(86) 사이의 거리(85)에 비하여 더 크다.
베어링 하우징(14)의 지지 표면(55) 상에 완전히 평평히 놓여 있는 피벗 멈추개(53)에 의하여 플랩(2부터 5)들이 밖으로 접혀질 때, 힌지 핀(11)이 어떤 변형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며, 다른 한 면에서는 심지어 이 위치에서조차, 끝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2와 4)이 플랩(6) 상에 놓인 자체 수송 위치에서 제한을 받거나 고정될 수 있다는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한 위치를 배제시켜 피하는 것이 구체적으로 바람직할 경우, 길이 85보다 더 크게 길이 84를 설계하여 길이 방향 측벽이 밖으로 접혀져 있을 때, 끝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2와 4)이 제한될 수 있게 하여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 상에 정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확실히 가능한 일이다.
유사하게, 정면 모서리(13)와 그것을 바라보고 있는 힌지 핀(11)의 끝 구역(18)에 인접한 표면 부분 사이의 측정치(97)가 끝 구역(18)과 정면 모서리(13)를 마주보는 덮개 요소(20)의 표면 사이의 거리(88)보다 다소 커지게 연결 링크(12)가 치수화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정치(87)는 덮개 요소(20)와 접하고 있는 끝 구역(18)에서 덮개 요소(20)의 두께(89)에 해당한다.
결과적으로, 플랩(2부터 5)이 직립 상태, 즉 상시-사용-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 플랩(2부터 5)들을 통하여 적용되어 플랩(6) 상에 작용하는 응력(stress)의 경우, 최소 힘이 초기에 힌지 핀(11)과 끝 구역(18, 60)으로 작용할 것이고, 홈(17)에서 그 힘이 다시 풀리게 될 것이므로(release) 플랩(6)의 홈(17)으로부터 나와 밖으로 미끄러지거나 추가적으로 위치가 이동하지 않도록 플랩(2부터 5)을 점검하게 되며,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2부터 5)들이 베어링 하우징(14) 상에 직접 지지된다는 사실로 인하여 힌지 핀(11)과 끝 구역(18, 60)을 이동시킬 수도 있는 어떤 추가적 변형도 배제될 수 있다.
이러한 치수들은 구체적으로 정해질 수 도 있어서 두께(89)와 측정치(87) 사이의 차이는 플랩(2부터 5)과 플랩(6)의 스탠드 표면(54)과 지지 표면(55) 사이의 차이와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실용적 목적으로, 이와 같은 치수들도 변할 수 있는데, 힘이 플랩(2부터 5)에 작용하느냐 아니면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에 작용하느냐에 의존하여, 이들 초기에 정면 모서리(13)나 피벗 멈추개(53)를 통하여 그리고 나서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 안쪽으로 있는 다른 개별 성분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수송될 수도 있다.
도 8부터 11은 컨테이너(1)의 가로의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2, 4)들 중 하나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된 동일 기준 수치들은 뒤에서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플랩(3, 5)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부분에 해당한다.
이 플랩(2)은 강화용 버팀대(42)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속이 빈 성분으로 설계되어 종래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도 4부터 7과 관련하여 상세한 설명을 할 때 이미 장황하게 설명하였다.
연결 링크(12)에 의하여 정면 모서리(13)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위치한 힌지 핀(11)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힌지 메카니즘(10)은 플랩(2)의 바닥 정면 모서리(13) 상에 다시 제공되어 있다. 이 힌지 핀(11)들은 두 개의 끝 구역(18, 60)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 구역들은 연결 링크(12)의 측면 중 한 측면 상에 존재하는 플랩(2)의 길이 방향 연장부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플랩(2)의 경우, 좁은 정면 끝(92, 92)으로부터 출발하는 방향으로 각각 폭(90)에 대하여 개별 힌지 핀-쌍(93, 94)들이 제공된다. 플랩(2)의 중앙 구역에서 정면 모서리(13) 구역을 위하여 다른 힌지 핀(11)이 제공되어 있다. 두 개의 힌지 핀 쌍(93, 94)들의 힌지 핀(11) 사이의 거리는 플랩(2)의 중앙 구역에 제공된 힌지 핀과 이 힌지 핀(11)에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힌지-핀 쌍(93, 94)의 힌지 핀(11)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위에서 언급된 강화 버팀대(42)는 플랩(2)의 길이 방향 정면 모서리(45)를 따라 작동하며, 좁은 정면 끝(91, 92)에 평행한 플랩(2)의 한 쪽 측면에서 확장되어 플랩(2)의 중앙 쪽 방향으로 작동하는 정면 모서리(13)를 향하는 방향으로 플랩(2)의 한쪽 측면에 경사지게 돌출되어 플랩(2)의 주변 융기(63) 구역에서 종결되는데, 이러한 강화 버팀대(42)와 정면 모서리(13)를 마주보는 강화 버팀대(42)의 끝 구역은 힌지-핀 쌍(93, 94)들의 힌지 핀(11) 사이에서 거리(95)가 존재하는 구역에 배치된다.
플랩(3)과 유사하게, 플랩(2)은 길이 방향 지주(47, 48), 대각선 지지대(50), 그리고 수직 지주(49)를 가지며, 이때 수직 지주(49)는 플랩(2)을 가로질러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 안쪽으로 더 잘 분포된 하중을 만들어준다. 봉-형상의 다른 길이 방향 지주(47, 48)와 수직 지주(49) 뿐 아니라 대각선 지지대(50)와 연결됨으로써, 공간상에서 매우 우수한 강성이 생산될 수 있으며, 이것은 결국 플랩(2, 4)들이 높은 수직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해준다.
중앙의 움푹 패인 오목한 곳(51)은 길이 방향 정면 끝 모서리(45) 구역에 배치되는데, 이것은 맨상단에 놓여 있는 컨테이너(1)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 내의 중앙 돌출부와 부합하며 공동 작용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정도의 응력이 맨 꼭대기에 놓여 있는 컨테이너(1)를 통하여 이와 같은 구역 안쪽으로 전달될 수도 있으며,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대각선 지지대(50)가 이와 같은 중앙의 움푹 패인 오목한 곳(51)이 있는 구역에서 근사하게 종결되므로, 가로의 측벽과 길이 방향의 개별 지주(47, 48)와 수직 지주(49)를 통하여 다량의 합산 변형(massiveresultant strain)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게 되어 이들이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의 안쪽으로 편향될 수 있다(deflec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힌지 메카니즘(10)의 설계가 주는 유리한 점은,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복수 개의 힌지 핀(11)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 안쪽으로 힘의 편향(deflection of forces into the flap 6)이 매우 괄목할 만하게 개선될 수 있다.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 안쪽으로의 힘의 편향은 추가로 개선될 수 있으므로 정면 모서리(13)를 마주보고 있는 강화 버팀대(42)의 끝 구역은 힌지-핀 쌍(93, 94)들의 힌지 핀(11) 사이의 거리(95)가 있는 구역에서 종결되며, 이로 인해 강화 버팀대(42)를 통하여 적용된 힘은 균일하게 두 개의 힌지-핀 쌍(93, 94)들 중 두 개의 힌지 핀(11)으로 분포될 수 있으므로 개별 힌지 핀(11) 또는 그것의 끝 구역(18, 60) 상에 과다한 변형을 피할 수 있다.
명백히, 플랩(2와 4)을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플랩 3과 5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면서 언급되었지만, 거리(95, 96)가 포함된 구역 내에서 그들이 피벗 멈추개(53)를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도 4부터 7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설계는 피벗 멈추개(53)를 사용함으로써 보유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해준다.
좁은 정면 끝(91, 92) 구역에서, 플랩 2나 플랩 2와 4는 돌출한 지지 및 중앙 요소(98부터 102)를 가지며 이들은 강화 버팀대(42)의 방향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 버팀대(42)와 힌지 메카니즘(2, 4) 사이의 구역에 있는 플랩(2, 4)의 두께를 따라서 확장되어 있다. 상기 지지 및 중앙 요소(98부터 102)는 전달력과 특정 구역에서의 중앙 작동을 개선시키며, 이때 특정 구역이란, 플랩(3, 5)의 멈춤용 융기(29)의 지지 및 중앙 요소(66부터 68)들에서 플랩(3, 5)에 플랩(2, 4)이 연결된 구역을 의미한다.
도 1로부터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 정면 끝(91, 92) 구역 내의 플랩(2, 4)의 두께(103)는 두께 34보다 작다. 두께 103은 두께 34에 비하여 플랩(3, 5)들의 멈춤용 융기(29)의 두께 104만큼 작기 때문에, 플랩(3, 5)의 멈춤용 융기(29)가 플랩(2, 4)의 주변 구역 내에서 플랩(2, 4)의 좁은 정면 끝(91, 92) 구역 내에 서로 플랩(2부터 5)들을 잠그게 되는 위치에 놓일 때, 두께 34가 초과되는 일은 없다. 플랩(2, 4)의 좁은 정면 끝(91, 92)이 주는 이와 같은 장점의 결과로, 이러한 유형의 컨테이너(1)를 취급하기 용이하게 해주는 플랩(3, 5)의 돌출한 멈춤용 융기(29)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시-사용-가능한 위치에서 컨테이너(1)를 간섭하는 돌출부가 없다.
도 8,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융기(63)와 강화 버팀대(42) 사이의 플랩(2, 4)의 좁은 정면 끝(91, 92) 구역 내에서, 연결 요소(69)를 받아들이기 위한 한 쪽 측면 상에 연결 메카니즘(70)의 개별적 연결 구획실(compartment)이 제공되며, 이것에 관해서는 뒤에서 설명된다.
각 플랩 2부터 5까지는 각각 동일한 두께(34)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내부 표면(28)의 평면 내에 확장된 힌지 핀(11)의 축(59)인 내부 표면(28)으로부터 떨어져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 표면(28)의 크기는 개별 플랩(2부터 5)의 두께(34)의 절반보다 작다. 개별 플랩(2부터 5)의 두께(34)는 내부 표면(28)의 반대에 놓인 플랩(2부터 5)의 외부 표면(64) 뿐 아니라 개별 플랩(2, 4)의 두께(97)를 너머 돌출되어 있다. 도 4, 6, 8, 10, 11에 제시되어 이들 도면으로부터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랩(2부터 5)들의 강성을 더 높이기 위하여, 길이 방향 지주(47, 48), 수직 지주(49), 그리고 위에서 언급된 대각선 지지대(50)는 플랩(2부터 5)들을 감싸고 있는 주변 융기(63)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9에도 제시된 바와 같이, 주변 융기(63)는 힌지 핀(11)의 반대에 놓인 길이 방향 전방 끝 모서리(45)로부터 존재하는 구역 내에 속이 텅 빈 단면으로 설계되어 있다.
도 11에 더 명확히 제시된 바와 같이, 연결 링크(12)가 도면에 제시된 것과 같이 치수화되어 있으므로 정면 모서리(13)와 그것을 마주보고 있는 힌지 핀(11)의 끝 구역(18)의 인접한 표면 부위 사이의 측정치는 끝 구역(18)과 정면 모서리(13)를 마주보는 덮개 요소(20)의 표면 사이의 거리(88)보다 다소 크며, 이 거리(88)는 덮개 요소(20)에 접하고 있는 끝 구역(18)에서의 덮개 요소(20)의 두께(89)에 해당한다.
그 결과, 플랩(2부터 5)들이 직립 상태, 다시 말해 상시-사용-가능 위치에 있을 때 플랩(2부터 5)을 통하고 플랩(6) 상에 응력이 작용하며, 최소 힘이 초기에 힌지 핀(11)과 끝 구역(18, 60)에 작용할 것이며 홈(17)에서 방면될 것이므로 플랩(2부터 5)들은 추가적인 위치 이동이나 플랩(6)의 홈(17)으로부터 바깥으로의 미끄러짐이 중단될 것이고, 힌지 핀(11)과 끝 구역(18, 60)을 이동시킬 수도 있는 어떤 추가적 변형도 베어링 하우징(14) 상에서 플랩(2부터 5)들이 직접 지지된다는사실 때문에 배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치수가 정해질 수 있으므로 두께(89)와 측정치(87) 사이의 차이는 스탠드 표면(54)과 플랩(2부터 5) 및 플랩(6)의 지지 표면(55) 사이의 거리(58)와 동일하다.
그러나, 실용적 목적을 위하여, 이와 같은 치수들은 변할 수도 있으며 힘이 플랩(2부터 5)에 작용하느냐 아니면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에 작용하느냐에 따라, 이들은 선택적으로 초기에 정면 모서리(13)나 피벗 멈추개(53)를 통하여 수송된 후 다른 개별적 성분을 통하여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2와 13은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들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이 플랩(2, 4)과 플랩(3, 5)에 대하여 가변 높이를 갖는 주변 융기(16)를 갖는다는 점이다.
바람직하게, 베이스의 총괄 두께(105)와 플랩(6)의 정면 끝 구역 및 플랩(2, 4)를 받아들이기 위한 구역 내 베어링 하우징(14)을 갖춘 주변 융기(16)는 플랩(6)의 두께(106)와 힌지 핀(11)의 두께(107), 그리고 덮개 요소(20)의 두께(108)를 합한 것과 일치하는데, 힌지 메카니즘(10)의 힌지 핀(11) 두께(107)는 힌지 핀(11)을 받아들이는 홈(17)의 직경(109)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개별 플랩(1부터 5)의 두께(34)의 절반보다 크기가 작은 플랩(2부터 5)들의 내부 표면(28)의 평면 내에 존재하는 플랩(2부터 5) 상에 힌지 핀(11)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점이 많은 설계 방식은 플랩(2부터 5)들이 붕괴되었을 때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켜주므로 가능한 최소한의 높이에까지 이르도록 수송하기 위하면서 이러한컨테이너(1)의 수송을 매우 경제적으로 유리하게 해주면서 컨테이너(1)가 쌓여 있을 수 있다.
도 13의 선도에서 볼 수 있듯이, 플랩(3, 5)에 대하여 베어링 하우징(14)을 갖는 주변 융기(16)의 총괄 두께(110)는 플랩(2, 4) 구역 내에서 베어링 하우징(14)을 갖는 주변 융기(16)의 총괄 두께(105)에 비하여 플랩(2, 4)의 두께(34) 만큼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설계의 결과, 플랩(2, 5)들은 이미 아래 플랩(6)상으로 접혀진 플랩(2, 4)의 맨 상단 상에서 자유로이 아래로 접힐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컨테이너(1)에 대하여 쌓인 높이(stacking height)는 추가로 더 최적화될 수 있다.
도면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은 하단측부(111)로부터 밖으로 돌출한 언저리(rim)(112)를 갖으며, 이것은 마루 상에 컨테이너(1)를 아래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설계된 것이다. 언저리(112)의 외부 측정부(113)는 플랩(6)의 측면도에서 밖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언저리(112)의 다른 외부 측정부(114)도 플랩(6)의 정면도에서 밖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이들이 직립 위치에 잠겨있을 때 플랩(2, 4)들 사이에서 외부 측정부(113)는 다소간 내부 폭(115)에 상응하는 반면, 외부 측정부(114)는 자신의 직립 위치에 잠겨있을 때 다소간 플랩(3, 5) 사이의 내부 폭(116)에 상응한다. 언저리(112)에 이와 같은 치수를 부여함으로써, 컨테이너(1)를 자체 상시-사용-가능한 위치에 쌓아놓기 수월해지는데, 다시 말해, 플랩(2부터 5)이 수직으로 플랩(6)에 위치할 때, 쌓여진 상기 컨테이너(1)들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를 밀쳐내며 미끄러지는 것을 견고히 방지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언저리(112)가 밑에 놓여 있는 컨테이너(1)의 내부(8)에서 높이(117)만큼 위치하고 아래 컨테이너(1)의 플랩(2부터 5)과 딱 들어맞거나 이들에 의해 둘러싸여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도 13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듯이, 플랩(3, 5)에 대한 주변 융기(16)는 서있는 상태에서 치수(118)만큼 플랩(2, 4)에 대하여 주변 융기(16)의 정면 모서리(39)를 마주보고 있다. 이 치수(118)는 다소간 플랩(3, 5)의 멈춤용 유기(29)의 두께(104)와 일치하며, 컨테이너가 수송 위치로 붕괴될 때 컨테이너(1)에 평평한 정면 끝을 부여해준다.
도 12에서 설명된 것 처럼, 플랩(3, 5)을 위한 힌지 핀(11)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홈17)의 세로 중심 축(24)은 대략적으로 플랩의 두께와 상응한 높이 (119)로 플랩(2, 4)을 위해 홈(17)의 세로 중심 축(24)에 마주하는 거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높이(119)는 만약 플랩(2 내지 5)의 두께가 증가한다면, 높이(119)가 증가하고 및 반대로 만약 플랩(2 내지 5)의 두께가 감소한다면, 높이(119)가 감소되도록 플랩(2 내지 5)의 두께의 변화의 결과로 값이 변하고, 높이(119)가 플랩(2 내지 5)의 상기 다른 두께에 관계하여 크기에 있어서도 감소한다.
도 14 내지 18은 홈(17)내에 삽입된 끝 영역(18, 60)을 갖춘 힌지 핀(11)을 구성하는 발명에 의해 제안된 힌지 기구(10)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베어링 하우징(14)은 그의 두 개의 끝 가장자리(18, 60)를 갖춘 힌지 핀(11) 및 각 플랩(2 내지 5)에 각 힌지 핀(11)을 결합하는 연결 링크(12)를 나타내기 위해 설명되었다. 상기 힌지 핀(11)의 가장자리 영역(18)은 안내 표면(78)을 원뿔형으로 연장한 그의 제 1 끝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 표면(78)은 상기 힌지 핀(11)의 끝 영역(18)을 수용하는 수단으로써 제공된 홈(17)의 보유 어깨부 (19)를 상기에 인접하게 배열한다.
상기는 기본적으로 플랩(2 내지 5)이 베이스를 형성하고 및 조절 가능하게 그들의 직립 위치에 연결된 플랩(6)을 마주하는 플랩(2 내지 5)의 전방 가장자리 (13)위의 영역 내에 힌지 기구(10)를 구비하고 및 플랩(2 내지 5)의 전방 가장자리 (13)와 평행하게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힌지 핀(11)은 연결 링크(12)의 수단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고 및 다른 플랩(6)의 홈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홈(17)은 원뿔형 디자인을 이루는 홈 마루(120)를 구비하고, 상기 홈(17)은 두 개의 끝 가장자리(121, 122)를 가지며 및 상기 끝 영역(122)은 상기 보유 어깨부(19) 및 덮개 요소(20)의 수단에 의해 홈(17)의 직경(123)을 가로질러 폐쇄되고 및 상기 힌지 핀(11)의 끝 영역(18)을 위한 하우징 실 (124)을 형성한다.
도면을 통해 보인 바와 같이, 홈(17)의 직경(123)은 바람직하게 힌지 핀(11)의 직경(107)과 동일한 크기를 이루는 것으로, 따라서 상기 힌지 핀(11)은 홈(17)내에 장착되고 및 상기 보유 어깨부(19)는 어떠한 역할없는 덮개 요소 (20)의 수단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홈(17)은 플랩(6) 위로 돌출하는 주변 융기(16)내에 베어링 하우징(14)내 일부 이상의 영역에 배열되고 및 상기 힌지 핀(11)의 길이(26)에 상응한 개방 길이(25)를 구비한다. 연결 링크(12)가 상기 홈(17)의 세로 중심 축(24)에 관계하여 선회하는 영역내에 홈(17)의 측부 체크(22)의 영역내에 배열은보유 어깨부(19) 및 스톱(27)에 의해 홈(17)의 세로 중심 축(24)의 방향으로 범위가 정해진 반경 방향 방향으로 연장하는 움푹 패인 오목한 곳(21)이다. 상기 보유 어깨부(19)와 스톱(27)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세로 중심 축(24)의 방향에서 측정된 연결 링크(12)의 길이와 같지만 동일한 방향을 넘어서 돌출한 힌지 핀(11)의 끝 가장자리 영역(18)의 핀 길이를 더한 연결 링크(12)의 길이(126)보다는 길지 않다.
홈(17)과 힌지 핀(11)사이의 추축 및 그 다음 두 개의 플랩 2 내지 6 사이의 연결은 다음과 같이 설계되었다. 전체 힌지 핀(11)은 길이 26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 힌지 핀(11)이 홈(17)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홈(17)의 개방 길이 (25)보다 동등하거나 약간 적다. 상기는 연결 링크(12)가 힌지 기구(10)의 조립을 위한 위치가 컨테이너(1)의 사용하기 위해 준비된 위치와 동일하지 않도록 각진 위치에 있을 때 행해진다. 상기 힌지 핀(11)이 홈(17)내에 삽입될 때, 상기 힌지 핀(11)의 끝 영역(60)은 홈(17)의 내부 전방 가장자리(127)에 대항하여 놓이고 및 따라서 상기 보유 어깨부(19)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그의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힌지 핀(11)은 상기 홈(17)의 직경(123)이 상기 힌지 핀(11)의 직경과 동일한 사실로 인하여 홈(17)의 세로 연장 횡단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및 따라서 상기 힌지 핀(11) 및 홈(17)은 동일한 세로 중심 축(24)을 가진다.
만약 상기 힌지 핀(11)이 홈(17)의 개방 길이(25)를 통하여 홈(17)내부로 삽입된다면, 상기 홈(17)내 상기 힌지 핀(11)은 상기 힌지 핀(11)이 상기 보유 어깨부(19)의 방향으로 세로 중심 축(24)을 따라 홈(17) 내에 대신 들어설 수 있도록 안내된다. 만약 힌지 핀(11)이 홈(17)의 끝 영역(122)의 방향으로 밀쳐진다면, 상기 힌지 핀(11)의 끝 영역(18)은 폐쇄 요소(20)에 의해 폐쇄된 상기 보유 어깨부(19)의 하우징 실(124)을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절차가 상기 힌지 핀(11)의 끝 가장자리(18)상의 안내 표면(78)의 디자인에 의해 상당하게 실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것으로, 도 18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힌지 핀(11)의 끝 영역 (18)은 상기 보유 어깨부(19)와 마주하는 연결 링크(12)의 전방면(129)이 상기 연결 링크(12)와 마주하는 상기 보유 어깨부(19)의 전방면 (130)에 대항하여 인접한 상태로 이동하고 및 그를 통하여 안내되기 때문에 비록 그들 사이의 일정 거리를 벗어나는 것이 가능할지라도 하우징 실(124)의 내부 전방 면을 대항하여 인접하게 이동한다.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 오목한 곳(21)은 상기 보유 어깨부(19)의 끝 면(130)과 상기 홈(17)의 측부 체크(22)의 스톱(27) 사이에 배열된다. 세로 중심 축(24)에 평행하게 측정된 연결 링크(12)의 길이(126)가 보유 어깨부(19)의 끝 면(130)과 홈(17)의 측부 체크(22)의 스톱(27)사이의 거리보다 동등하거나 약간 작기 때문에, 연결 링크(12)가 홈(17)내에 놓일 때 연결 링크(12)의 위치에 관계하여 선회하도록 또는 힌지 핀(11)이 홈(17)내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상기 오목한 곳(21)의 만곡 길이(131)가 연결 링크(12)가 선회하는 정도가 중요하고, 및 그 다음에 상기 연결 링크(12)가 상기 오목한 곳에 의해 제약되는 것을 염두에 두다 두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로, 상기 오목한 곳(21)의 만곡 길이(131)를 감소하고 또는 증가시키기 위해서 다른 형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차례로 조절될 플랩(2 내지 5)의 선회 범위 내에서 증가또는 감소를 허용한다.
도 15 내지 17을 통해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홈(17)의 개구부 끝에 마주하는 측부 체크(22)의 끝 영역은 세로 중심 축(24)의 방향으로 작동하는 경사진 표면(132)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경사진 표면(132)의 목적은 홈(17)내에 힌지 핀(11)을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든다. 도 1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핀(11)은 상기 힌지 핀(11)이 그의 자체가 일치한 홈(17)으로부터 느슨한 작동을 할 수 없음을 확보하는 홈(17)내부로 짤칵 잠기도록 상기 힌지 핀(11)의 직경 (107)보다 약간 작은 홈의 개방 폭(133)을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7은 상기 힌지 핀(11)을 수용하기 위한 홈(17)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는 도 16에서 설명된 것과 아주 일치하고 및 상기 경우에서 오목한 곳(134)은 덮개 요소(20)에 반대하여 놓인 상태로 배열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 핀(11)이 상기 오목한 곳(134)내 그의 전체 표면 영역에 적합하도록 상기 힌지 핀(11)의 외형과 일치한다. 상기 디자인의 결과로써, 상기 홈(17) 및 하우징 실 (124)의 높이는 세로 중심 축(24)의 범위로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세로 중심 축(24)은 상기 힌지 핀(11)이 홈(17)으로부터 제거되기 위해서 오목한 곳(134)의 깊이와 상응한 양(136)에 의해 상승될 수 있도록 개방된 폭(133)의 중심에 관계하여 감쇄된다.
설명된 상기 힌지 핀(11) 및 연결 링크(12)의 위치는 힌지 기구(10)의 사용을 위해 준비된 위치, 즉 플랩(2 내지 5)이 플랩 6에 관계하여 수직 직립으로 사용을 위해 준비된 위치 내에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위치에서, 컨테이너(1)가다른 상부 위의 하나에 적층될 때, 가장 큰 힘은 상기 힌지 기구(10) 및 상기 힌지 핀(11)에 발휘되고, 따라서 높은 표면 압력은 상기 홈 마루(120)와 상기 홈 마루(120)와 공동 작용하는 힌지 핀(11)의 외부 표면사이에 확립된다. 상기 표면 압력은 외측으로부터 플랩(2 내지 5)에 관한 충격으로 인하여 어떠한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힌지 핀(11)이 홈(17)으로부터 느슨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7에서 설명된 실시는 힌지 핀(11)이 상기 힌지 핀(11)에서 플랩(6)까지 힘의 이동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도록 오목한 곳(134)내 더 큰 베어링 표면을 구비하는 사실 때문에 장점을 가진다. 추가로, 바람직한 상황으로서, 예를 들면 플랩(5 내지 7)에 대한 외부 충격의 결과로, 응력을 받은 상기 힌지 핀(11)은 상기 실시예가 모두 그러한 홈(17)의 이동을 더욱 어렵게 만들도록 홈(17)으로부터 벗어나 이동할 수 있기 전 오목한 곳(134)의 치수(dimension)(136)를 우선적으로 극복해야 한다. 추가로, 홈(17)내 힌지 핀(11)에 제공된 확대된 베어링 표면 때문에, 상기 플랩 (6)내부로 힌지 핀(11)을 통하여 가능한 힘의 흡수 또는 힘의 치우침은 개선되고 및 증가되고 및 따라서 상기 실시는 상기 형태의 힌지 기구의 사용 수명을 증가한다.
연결 기구(70)는 도 19 내지 22를 참고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상기 설명은, 예를 들면, 상기 연결 요소(69)가 단일 부위 내 스톱 융기(29)상에 형성되는 플랩(5)에 관계하여, 및 상기 플랩(2)의 일부 영역에 관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플랩(2)은 연결 요소(69)가 맞추어지는 주변 융기(63)의 영역내에 연결 시트137)을 구비한다. 상기 실시는 여기에서 기술된 변화에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컨테이너(1)의 모든 코너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선택된 플랩(5 및 2)의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 주어진 각 플랩 2, 5)의 상세한 기술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상기 플랩(2, 5)의 디자인으로, 상기 형태 컨테이너(1)의 코너 영역은 두 플랩(2, 5)의 협소한 전방 끝(44, 92)들 사이에 겹친 영역(138)을 구비하고, 및 상기 연결 기구(70)는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에 수직으로 연장한 위치 내에 있을 때 플랩(2, 5)을 자유자재로 연결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플랩(2, 5)들 사이의 결합은 그의 일치로부터 느슨해짐이 방지된다.
상기에 기술된 것 처럼, 상기 플랩(5)의 스톱 융기(29)는 플랩(5)의 세로 중심에 마주하는 그의 측부 상에 지지하고 및 중심을 이룬 요소(66 내지 68)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 요소(69)는 지지 및 중심을 이룬 요소(66)와 상기 플랩(5)의 세로 전방 끝 가장자리(45)사이에 배열된다. 플랩(5)을 갖춘 겹침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플랩(2)의 주변 영역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보유 요소(139)를 갖춘 합동으로 배열된 연결 시트(137)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 요소(69)는 버섯 머리형 돌출부(140)와 같이 설계되었고 및 상기 연결 시트(137) 및 보유 요소(139)는 버섯 머리형 돌출부(140) 뒤에 위치한 돌출부 141을 구비한다. 상기는 상기 연결 요소(69)가 어떠한 가능한 디자인으로 또는 상기 연결 시트(137)가 상기 플랩(2)의 주변 영역내 합동 위치에 배열되는 동안 스톱 융기(29)의 높은 연장에 관계한 어떤 가능한 각 위치 내에 있도록 이루어져야함을암시한다. 또한 분명하게, 상기는 그들의 코너 영역내에 두 개의 플랩(2, 5)의 연결을 개선하기 위해서 스톱 융기(29)의 높은 연장을 가로질러 분포될 몇 개의 연결 요소(69) 또는 연결 기구(70)를 위해 가능하다.
상기 연결 시트(137)를 갖춘 상기 연결 요소(69)를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플랩(5) 또는 상기 플랩들(3, 5)은 상기 플랩 6과 관계하여 수직 위치로 가져오고 및 그 후 상기 플랩 2, 4는 그들의 사용을 위해 준비된 위치내부로 접힌다. 상기 연결 요소(69)가 상기 연결 시트(137)와 접촉 상태로 될 때, 그들은 상기 연결 시트(137)의 원뿔형 오목한 곳(143)내 원뿔형 안내 표면(142)과 체결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40)의 원뿔형 안내 표면(142)은 상기 연결 시트(137)의 원추형으로 연장한 오목한 곳(143)내에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되고 및 압력이 상기 보유 요소(139)가 돌출부(140)에 관계하여 개방되고, 그것에 의해 상기 연결 시트(137)의 개방된 폭(144)이 확대되도록 돌출부(140)에 적용된다.
상기의 장점은 상기 돌출부(140)의 전방 끝 폭(145)이 돌출부(140)의 전방 끝에 마주하는 보유 요소(139)의 개방된 폭(146)보다 작다는 것이다. 상기 바람직한 디자인으로, 상기 연결 시트(137)내부로 상기 돌출부(140)를 짤칵 끼워맞추기전, 그의 정확한 위치로 중심을 맞추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 플랩 2, 4와 상기 플랩 3, 5사이의 연결을 만드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는 상기 장치가 상기 연결 요소(69)및 연결 시트(137)의 모든 가능한 설계를 위해 유효하고 및 상기 연결 요소(69) 및 연결 시트(137)가 디자인에 있어서 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일 수 있는 원리로써 암시된다. 상기 보유 요소(139)의 탄성 디자인은 플라스틱 재료의 탄성의 결과로써 및 상기 보유 요소(139)를 따라 임의의 많은 오목한 곳을 배열하므로써 얻어진다.
상기 돌출부(140)가 상기 연결 시트(137)내부로 안내될 때, 상기 보유 요소 (139)는 상기 돌출부(140)의 안내 표면(142)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상기 돌출부 (140)에 비례하여 넓혀지고, 및 상기 측 벽(2, 5)이 폐쇄될 때, 그의 일치로 상기 플랩 2가 플랩 5로부터 느슨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돌출부(140) 후방에 설치된다.
탄력 있는 설계의 연결시트(137)의 유지요소(139)를 줌으로써, 연결장치(70)는 필요하다면 다시 배출되며, 이것은 상술된 바와 같이 반대 방향에서 적용되는 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것을 쉽게 하기 위해서, 원뿔형 안내 표면은 반대측 원뿔형 오목한 곳(143)에 놓이는 유지요소(139)의 측면에 충분히 제공된다.
도 19 및 도 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및 중심요소(66 내지 68, 98 내지 102)는 플랩(5)의 스톱 리지(stop ridge)(29)에서와 플랩(2)의 주변영역에서 배치된다. 지지 및 중심요소(66 내지 68, 98 내지 102)는 서로에 대하여 다양하게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방향에서 플랩(2, 5 및 3, 4)의 협동하는 영역에서 배치된다. 상기 효과를 내기 위해서, 지지 및 중심요소(66 내지 68, 98 내지 102)는 어떤 가능한 설계로 제공되지만, 일직선의 언저리(straight rim)가 지지 및 중심요소(66 내지 68, 98 내지 102)를 위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하게 S형이나 L형의 설계로 된다.
플랩(2, 4)의 주변영역에서, 지지 및 중심요소(98, 99)는 두 플랩(2, 5)이그들의 잠긴 상태에 있을 때 지지 및 중심요소(98, 99)는 사이에 위치한 플랩(5)의 스톱 리지(29)에 배치된 지지 및 중심요소(66, 67)를 위해 지지시트(148)를 형성한다. 다른 한편으로, 플랩(2, 4 및 3, 5)사이의 하중과 중심의 이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두 지지 및 중심요소(67, 68)는 플랩(2, 4)의 지지 및 중심요소(99, 100)를 위한 지지시트(149)를 형성한다. 게다가, 지지 및 중심요소(101, 102)는 플랩 (3, 5)의 스톱 리지(29)에 다른 지지 및 중심요소(151)를 위한 다른 지지시트(150)를 제공한다.
그들의 공간의 설계의 결과로서, 지지 및 중심요소(66 내지 68)는 플랩(5)의 높이 연장과 평행하게 이어지는 변이요소를 구비하며, 그것은 거리(153)까지 플랩 (5)의 내부표면(28)으로 부터 떨어져 배치된다. 튼튼한 잠금 맞춤과 플랩(3, 5)에 플랩(2, 4)의 부착을 보장하기 위해서, 거리(153)는 플랩(2, 4)의 주변 리지(63)의 두께(154)와 같은 크기이며, 그 결과로서 플랩(3, 5)의 변이영역(152)과 협동하는 플랩(2, 4)의 주변 리지(63)의 영역은 내부표면(28)과 변이영역(152)사이의 긍정적인 맞춤으로 놓여지거나 접하게 된다.
노치(notch)(155)는 지지 및 중심요소(66, 67, 151)의 부분영역(156)을 받도록 플랩(2, 4)의 주변 리지(63)에서 제공되며, 노치(155)의 깊이는 스톱 리지(29)에 수직으로 측정된 지지 및 중심요소(66, 67, 151)의 부분영역(156)의 높이에 대응한다.
지지 및 중심요소(98 내지 102)와 지지 및 중심요소(66 내지 68, 151)의 협동에 기인하고, 부분영역(156)이 노치(155)에서 위치하기 때문에, 더욱 안정된 조인트(joint)는 개개의 플랩(2, 4)과 플랩(3, 5)사이에 만들어지며, 이에 의하여 한편으로 중첩(overlapping) 플랩(2, 5 및 3, 4)에서 힘의 방향을 향상되고 이들 배치의 결과로서 전체 컨테이너(container)(1)의 안정성을 상당히 높인다.
도 23 및 도 24는 플랩(2)의 지지 및 중심요소(98 내지 100)와 플랩(5)의 지지 및 중심요소(66 내지 68)의 중첩 영역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13으로 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지지 및 중심요소(98 내지 100)의 외부면(157)은 긍정적인 맞춤에서 상부 리지(29)의 지지 및 중심요소(66 내지 68)의 외부면(158)과 접한다. 이 형태의 배치에 의해 얻어지는 이점은 지지 및 중심요소 (98 내지 100)의 높이(159)가 지지 및 중심요소(66 내지 68)의 높이(160)와 같고, 그것은 이것의 외부면(157, 158)을 거쳐 가장 좋은 가능한 하중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또한, 이것은 컨테이너(1)의 바람직한 안정성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 설계의 다른 이점은 지지 및 중심요소(98 내지 100, 66 내지 68)가 그들이 플랩(2, 5)에 각각 반대로 놓여져서 접하는 방식 때문에 어느 정도까지 지지기능을 떠맡으며, 이에 의하여 또는 외부 힘의 영향에 의해 야기되는 플랩(5)의 스톱 리지(29)의 어떤 변형을 충분히 피한다는 사실에 있다.
도 24로 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외부면(157, 158)은 경사진 표면으로서 설계되므로 그들은 상기 상태에서 플랩(5)에 결합될 때 이에 서로 위치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 플랩(2)의 지지 및 중심요소(98 내지 100)는 이들이 반향하는 동안 플랩(5)의 스톱 리지(29)를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가늘어지고(taper), 플랩(5)의 스톱 리지(29)의 지지 및 중심요소(66 내지 68)는 플랩(2)을 향하는 방향으로 마찬가지로 점점 가늘어진다.
상기 유리한 실시예의 결과로서, 플랩(2)은 플랩(5)과 플랩의 스톱 리지(29)와 함께 플랩(2)을 데려오게 하기 위해서 플랩(5)을 향하여 약간 밀어질 때, 후자는 다른 플랩(5)애 대하여 긍정적으로 중심이 되고, 그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장치(70)의 연결시트(137)에서 연결요소(69)를 삽입하는 동작을 또한 쉽게 한다.
지지 및 중심요소(66 내지 68)는 L형의 설계이고 변이영역(152)과 부분영역 (156)이 직각에서 지지 및 중심요소(66 내지 68)와 접하다 는 것을 원칙적으로 강조한다. 이 공간의 설계는 도 19로 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지지 및 중심요소(66 내지 68)를 상당히 더 안정하게 만든다.
도 25 및 도 26은 플랩(3, 5)의 중첩 영역(161)을 도시한다.
플랩(3, 5) 높이의 합이 기초를 형성하는 플랩(6)의 전방 끝 측정된 폭보다 더 크다면, 운반위치에서 컨테이너(1)의 쌓여진(stacking)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도록 중첩 영역(161)에서 플랩(3, 5)의 두께(34)를 증가시키는 것 없이 플랩 (3, 5)이 서로 맞물리는 곳에서 중첩 영역(161)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플랩(3, 5)은 그들의 상단 끝 영역과 세로의 전방 끝 테두리(45)의 영역에서 강화 버팀대(brace)(42)를 다시 구비하며, 그것에 의해 강화 버팀대(42)로서 제공된 중앙의 오목한 끝은 강화 버팀대(42)의 세로의 연장을 따라서 내부표면(28)으로 부터 떨어진 측면에 일정한 영역에서 노치(162)를 구비하므로, 돌출부(projection)(163)는 강화 버팀대(42)의 세로의 연장을 따라서 형성된다. 게다가, 강화 버팀대(42)는 이것의 세로의 연장을 따라서 다른 오목한 곳(164)을 구비하며, 이들 오목한곳(164)의 깊이는 강화 버팀대(42)의 중앙의 오목한 끝의 벽두께(165)보다 더 크다.
플랩(3, 5)의 중첩 영역(161)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강화 립 (rib)(167)는 플랩(3, 5)의 세로의 연장을 가로 질러서 강화 스트럿(strut)(166)을 향하는 방향으로 강화 버팀대(42)로 부터 연장하는 내부표면(28)에 반대로 놓여지는 플랩(3)의 측면에서 플랩(3)에 필수적으로 형성되며, 강화 립(167)은 플랩(3)의 내부표면(28)을 향하는 방향으로 강화 버팀대(42)로 부터 시작하고 플랩(3)의 내부면(28)과 평행한 강화 스트럿(166)과 접하는 끝 구역에서 연장하여 점점 가늘어진다. 강화 버팀대(42)의 방향에서 강화 스트럿(166)은 플랩(3)을 통하여 이어지고 플랩(3)의 전체 세로의 연장을 통하여 연장하며 플랩(30의 스톱 리지(29)에 의해 접해진 오리피스(orifice)(168)에 인접해 있다. 오리피스(168)는 강화 버팀대(42)와 강화 스트럿(166)사이에 배치된 강화 립(167)에 의해 메워지며(bridge), 이에 의하여 오리피스(168)는 플랩(3, 5)의 안정성을 감소시키지 않음이 보장된다.
같은 구조의 두 플랩(3, 5)이 중첩 영역(161)에서 나머지의 상부에 하나가 접혀질 때, 강화 버팀대(42)의 돌출부(163)는 플랩(3, 5)의 내부표면(28)과 같은 높이로 결합을 형성함에 의해 오리피스(168)에서 맞물린다. 상기 유리한 실시예의 결과로서, 강화 버팀대(42)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1)가 운반을 대비하여 나머지의 상부에 하나를 겹쳐 쌓는다면 측면벽(3, 5)을 위한 적당한 지지효과를 제공한다.
컨테이너(1)와 플랩(3, 5)이 가로방향에서 충분히 안정함을 보장하기 위해서, 강화 버팀대(42)와 강화 스트럿(166)사이에 배치된 강화 립(167)은 플랩 (3,5)이 오목한 곳(164)의 치수가 폭의 견지에서 강화 립(167)의 두께에 다소 대응하도록 접혀질 때 강화 버팀대(42)에서 그들의 맞는 오목한 곳(164)에서 위치된다.
불필요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컨테이너(1)의 쌓인 높이의 증가를 피하기 위해서, 측면벽을 형성하는 플랩(3, 5)은 운반에 대비하여 기초를 형성하는 플랩(6)에 접혀질 때 서로 중첩되고 나머지의 상부에 하나가 놓여지는 플랩(3, 5)의 두께가 개개의 플랩(2 내지 5)중 하나의 두께보다 더 크지 않다. 게다가, 강화 버팀대 (42)의 외부 끝 면(170)은 플랩(3, 5)이 반대로 놓여지는 강화 버팀대(42)에서 상호 연장하는 홈(groove)에서 맞물린다.
원칙적으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영역에서, 홈(17)이 플랩(2 내지 5)중 하나로부터 돌출하는 주변 리지(16)에서 배치되고 힌지 핀 (hinge pin)(11)의 길이에 적어도 대응하는 개방(open)길이(25)를 구비하며 오목한 곳 (21)은 방사상의 방향에서 연장하고 연결링크(12)가 홈(17)의 세로중심축(24)에 대하여 피벗 (pivot)하도록 범위를 자유롭게 하는 홈(17)의 측면 뺨 (cheeks)(22)중 하나의 영역에서 제공되고, 유지 어깨부(shoulder)(19)와 스톱(27)에 의해 홈(17)의 세로중심축(24)의 방향에서 한계를 정해지며, 유지 홈(19)과 스톱(17)사이의 거리(125)는 힌지 핀(11)과 평행하게 이어지는 연결링크(120의 길이(126)와 적어도 같지만 연결링크(12)의 길이(126)의 합보다 더 크지 않고, 힌지 핀(11)의 끝 구역(18)의 핀 길이(81)는 같은 방향에서 이것 이상으로 돌출된다.
게다가, 플랩(2 내지 5)의 전방 테두리(13)의 영역에서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힌지 핀(11)사이에 배치된 피벗 스톱(53)은 플랩(2 내지 5)이 수직위치에서 놓여질 때 적어도 효과가 있고 수직위치에서 플랩(2 내지 5)이 놓이도록 필요한 전진 각을 이룬 거리에 의해 제한된 원으로 돌출하며, 그것은 힌지 핀(11)의 축(59)과 동축으로 이어지고 이것에 접하는 나머지 플랩(2 내지 5)의 전방테두리(13)로 부터 축(59)의 측정(87)에 대응하는 각도를 구비한다.
플랩(2 내지 5)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장치(70)는 플랩(3, 5)에서 영구히 고정되어 배치된 연결요소(69)의 형태로 제공되며, 그것은 다른 플랩(2, 4)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다른 플랩(2, 4)에 적합한 배치로 제공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유지요소(139)와 함께 연결시트(137)와 협동한다.
또한, 지지 및 중심요소(66 내지 68, 151 및 98 내지 102)는 서로에 대하여 여러 개의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랩(2 내지 5)의 평면에서 배치된다.
좋은 순서를 위하여, 컨테이너의 구조의 더 명확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것의 구성요소 부분은 비틀어진 스케일(scale) 및/또는 확대된 및/또는 감소된 스케일에 도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독립의 해법은 본 명세서에서 알 수 있다.
특히, 도 1 내지 도 26에서 도시된 개개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독립의 해결책으로서 간주된다, 작업과 해법은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명세서에서 알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컨테이너 41 두께
2 플랩 42 강화(용) 버팀대
3 플랩 43 좁은 정면 끝
4 플랩 44 좁은 정면 끝
5 플랩 45 길이방향 정면 끝 모서리
6 플랩 46 높이
7 오리피스 47 길이 방향 지주
8 내부 48 길이 방향 지주
9 절단되어 나온 단면(Cut-out section) 49 수직 지주
10 힌지 메카니즘 50 대각선 지지대
11 힌지 핀 51 중앙의 오목한 곳
12 연결 링크 52 중앙 돌출부
13 정면 모서리 53 피벗 멈추개
14 베어링 하우징 54 스탠드 표면
15 표면 55 지지 표면
16 주변 융기 56 측면 모서리
17 홈 57 윤곽 표면
18 끝 구역 58 거리
19 유지 어깨부 59 축
20 덮개 요소 60 끝 구역
21 움푹 패인 오목한 곳 61 거리
22 측면 뺨(Side cheek) 62 높이
23 베이스 판 63 주변 융기
24 길이 방향 중앙축 64 외부 표면
25 길이 65 두께
26 길이 66 지지 및 중앙 요소
27 멈추개 67 지지 및 중앙 요소
28 내부 표면 68 지지 및 중앙 요소
29 멈춤용 융기 69 연결 요소
30 정면 모서리 70 연결 메카니즘
31 정면 모서리 71 힌지-핀 쌍
32 정면 모서리 72 힌지-핀 쌍
33 정면 모서리 73 거리
34 정면 모서리 74 힌지-핀 쌍
35 길이 75 핀지-핀 쌍
36 내부 폭 76 거리
37 내부 폭 77 길이
38 거리 78 안내 표면
39 정면 모서리 79 움푹 패인 오목한 곳
40 높이 80 길이
81 핀 길이 121 끝 구역
82 높이 122 끝 구역
83 폭 123 직경
84 거리 124 하우징 실
85 거리 125 거리
86 내부 측벽 126 길이
87 측정(치/부) (measurement) 127 정면 모서리
88 거리 128 정면 모서리
89 두께 129 전방면
90 폭 130 전방면
91 좁은 정면 끝 131 곡률 길이
92 좁은 정면 끝 132 경사진 표면
93 힌지-핀 쌍 133 개방된 폭
94 힌지-핀 쌍 134 움푹 패인 오목한 곳
95 거리 135 높이
96 거리 136 치수
97 두께 137 연결 시트(seat)
98 지지 및 중앙 요소 138 중첩 구역
99 지지 및 중앙 요소 139 유지 요소
100 지지 및 중앙 요소 140 돌출부
101 지지 및 중앙 요소 141 돌출
102 지지 및 중앙 요소 142 안내 표면
103 두께 143 움푹 패인 오목한 곳
104 두께 144 개방된 폭
105 총괄 두께 145 폭
106 두께 146 개방된 폭
107 직경 147 움푹 패인 오목한 곳
108 두께 148 지지 시트
109 직경 149 지지 시트
110 총괄 두께 150 지지 시트
111 하단 측면(Underside) 151 지지 및 중앙 요소
112 언저리(Rim) 152 천이 구역
113 외부 측정부 153 거리
114 외부 측정부 154 두께
115 내부 폭 155 노치(Notch)
116 내부 폭 156 부분 구역
117 높이 157 외부면
118 치수 158 외부면
119 높이 159 높이
120 홈 마루(Groove floor) 160 높이
161 중첩 구역
162 노치
163 돌출부
164 움푹 패인 오목한 곳
165 벽 두께
166 강화 스트럿
167 강화 립(rib)
168 오리피스
169 두께
170 외부 끝면

Claims (68)

  1. 복수 개의 플랩들로 구성된 컨테이너로서, 상기 플랩들 중 몇 개는 정면 모서리 구역에서 힌지 메카니즘에 의하여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에 조정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힌지 핀이 연결 링크에 의하여 거기서 조금 떨어진 거리에서 유지되는 플랩의 정면 모서리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다른 플랩의 홈에 삽입가능하며, 두 개의 끝 구역들 중 하나가 그 폭을 가로 질러 유지 어깨부에 의하여 힌지 핀의 두 개의 끝 구역들 중 하나를 위하여 하우징 실(housing chamber)을 형성하는 바, 플랩(2부터 5)들 중 하나의 위쪽으로 돌출된 주변 융기(16)에서 부분 구역 내에 적어도 홈(17)이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힌지 핀(11)의 길이(26)에 해당하는 개방된 길이(25)를 가지며, 움푹 패인 오목한 곳(21)이 배치되어 홈(17)의 길이 방향 중앙 축(24)을 중심으로 피벗 운동하며 연결 링크(12)에 대한 구역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홈(17)의 측면 뺨(22)들 중 한 구역에서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어, 유지 어깨부(19)와 멈추개(27)에 의하여 홈(17)의 길이 방향 중앙 축(24)의 방향에서 그 범위가 정해지게 되어, 적어도 유지 어깨부(19)와 멈추개(27) 사이의 거리(125)가 힌지 핀(11)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연결 링크(12)의 길이(126)와 동일하되, 동일한 방향에서 그것을 돌출하고 나온 힌지 핀(11)의 끝 구역(18)의 핀 길이(81)와 연결 링크(12)의 길이(126)를 합한 값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특히, 복수 개의 플랩들로 구성된 컨테이너로서, 상기 플랩들 중 몇 개는 정면 모서리 구역에서 힌지 메카니즘에 의하여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에 조정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힌지 핀이 연결 링크에 의하여 거기서 조금 떨어진 거리에서 유지되는 플랩의 정면 모서리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다른 플랩의 홈에 삽입가능하며, 두 개의 끝 구역들 중 하나가 그 폭을 가로 질러 유지 어깨부에 의하여 힌지 핀의 두 개의 끝 구역들 중 하나를 위하여 하우징 실을 형성하는 바, 적어도 두 개의 힌지 핀(11) 사이에서, 플랩(2부터 5)의 정면 모서리(13) 구역에 배치된 피벗 멈추개(53)가 플랩(2부터 5)들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작동 가능하고, 플랩(2부터 5)들을 직립 상태에 놓기 위하여 요구되는 피벗 방향에서 앞선 각 거리(advance angular distance)에 의하여 주위에 경계선으로 그려진 호(arc)로 돌출되며, 힌지 핀(11)의 축(59)과 동축으로 연장되어 정면 모서리(13)를 바라보는 다른 플랩(2부터 5)의 정면 모서리(13)로부터 축(59)의 측정부(87)에 해당하는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특히, 컨테이너가 특별히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어 베이스와 적어도 두 개의 플랩들을 가지며 힌지 메카니즘에 의하여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으로 조정 가능하게 체결되어, 플랩들의 좁은 전방 끝 사이에 있는 중첩 구역 내에 배치된 연결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어서 연결 메카니즘이 스스로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베이스에 다소간 수직하게 연장된 위치에 플랩들이 놓여져 있을 때 방면 가능하게 플랩을 연결시키는 바, 연결 메카니즘(70)이 다른플랩(2, 4)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플랩(3, 5)에 영구히 배치된 연결 요소(69)로서 제공되어 다른 플랩(2, 4) 상에 합동하는 배치를 가지며 제공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유지 요소(139)를 갖는 연결 시트(137)와 공동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컨테이너가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고, 베이스와 적어도 두 개의 측벽을 갖으며 힌지 메카니즘에 의하여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에 조정 가능하게 체결되고 전방면, 측벽, 그리고 다른 측벽의 내부 표면 사이에 중첩 구역에 배치된 지지 및 중앙 요소를 가지며, 측벽들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양의 방향으로 방면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와 몇 개의 돌출부를 생산하도록 오목한 곳 하나를 다른 하나에 연결하는 움푹 패인 오목한 곳의 형태로 제공되어 있는 바, 지지 및 중앙 요소(66부터 68, 151 그리고 98 부터 102)가 서로에 대하여 몇 개의 상이한 공간 방향에서 작동하는 플랩(2부터 5)의 평면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를 형성하며 그것을 바라보는 플랩(6)을 마주하는 플랩(2부터 5)의 정면 모서리(13)와 여기에 인접하게 놓인 힌지 핀(11)의 끝 구역(18)의 표면 사이의 측정치(87)가 덮개 요소(20)의 두께(89)에 비하여 다소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덮개 요소(20)에 인접한 끝 구역(18)에 이르는 거리(88)가 덮개 요소(20)의 두께(89)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7. 제 1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두께(89)와 측정치(87) 사이의 차이는 피벗 멈추개(53)의 스탠드 표면(54)과 플랩(2부터 5) 또는 다른 플랩(6)의 지지 표면(55) 사이의 거리(58)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8. 제 1 항,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두께(89)와 측정치(87) 사이의 차이는 스탠드 표면(54)과 플랩(2부터 5) 또는 플랩(6)의 지지 표면(55)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9. 제 1 항,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힌지 핀(11)이 연결 링크(12) 뿐 아니라 길이 방향 중앙 축(24)을 따라 돌출한 끝 구역(18, 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0. 제 1 항,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힌지 핀(11)의 끝 구역(18)이 전방면에서 주변에 원뿔형 안내 표면(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1. 제 1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홈(17)이 오목한 설계 방식의 홈 마루(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2. 제 1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1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홈(17)이 두 개의 끝 구역(121, 122)을 포함하고 끝 구역(121, 122)들 중 하나가 유지 어깨부(19)와 덮개 요소(20)에 의하여 홈(17) 주위에 연장된 직경(123)을 가로 질러 닫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3. 제 1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2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덮개 요소(20)와 결부되어, 유지 어깨부(19)가 힌지 핀(11)의 끝 구역(18)에 대한 하우징 실(12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4. 제 1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3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홈(17)의 직경(123)이 힌지 핀(11)의 직경(107)과 동일한 크기이거나 그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5. 제 1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4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홈(17)이 베어링 하우징(14) 내의 주변 융기(16)의 부분 구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6. 제 1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5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홈의 개방된 길이(25)가 적어도 힌지 핀(11)의 길이(26)와 동일하거나, 힌지 핀(11)의 길이(26)보다 다소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7. 제 1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6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유지 어깨부(19)와 멈추개(27) 사이의 거리(125)가 연결 링크(12)의 길이 방향 중앙 축(24)의 길이 방향에서 측정된 길이(126)와 적어도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8. 제 1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7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에서 원주의 오목한 곳(21)이 멈추개(27)를 바라보는 유지 어깨부(19)의 전방면(130)과 홈(17)의 측면 뺨(22)의 멈추개(27) 사이에 배치되고 곡률 길이(13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9. 제 1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8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곡률 길이(131)의 치수와 일치하는 연결 링크(12)에 대하여 피벗 범위를 벗어나기 위하여 움푹 패인 오목한 곳(121)이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0. 제 1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9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홈(17)의 개방된 끝을 바라보는 측면 뺨(22)의 끝 구역이 중앙의 길이 방향 축(24)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진 표면(13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1. 제 1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20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홈(17)의 개방된 폭이 힌지 핀(11)의 직경(107)과 동일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2. 제 1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21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홈(17)의 개방된 폭(133)이 힌지 핀(11)의 직경(107)에 비하여 다소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3. 제 1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22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홈 마루(120)가 힌지 핀(11)의 외부 유곽과 일치하는 움푹 패인 오목한 곳(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4. 제 2 항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한 플랩(2부터 5)의 스탠드 표면(54)의 측면 모서리(156)가 힌지 핀(11)의 길이 방향 중앙 축(24)에 의해 형성된 윤곽 표면(57)을 포함하는 외부 윤곽을 너머 돌출하여 상기 외부 윤곽과 접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5. 제 2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피벗 멈추개(53)의 스탠드 표면(54)이 베이스를 형성하며 이들과 공동 작용하는 플랩의 지지 표면(55) 위에서 미소한 거리(58)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6. 제 2 항, 제 24 항 및 제 25 항에 있어서, 플랩(2, 5)이 플랩(6)에 수직한 위치에 있을 때, 피벗 멈추개(53)의 스탠드 표면(54)이 지지 표면(55)과 평행하고 플랩(2부터 5)의 높이(46)만큼 거기서 부터 다소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7. 제 2 항 및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정면 모서리(13)로부터 떨어진 거리에서 연결 링크(12)에 의하여 유지되는 힌지 핀(11)이 쌍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8. 제 2 항 및 제 24 항 내지 제 27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개별 힌지 핀(11)이 서로 떨어진 거리(76)에 배치된 좁은 정면 끝(43, 44) 구역 내에 힌지-핀 쌍(74, 75)이 배치된 것에 비하여 힌지 핀(11) 사이에서 플랩(3, 5)의 길이 방향 중앙에 인접하게 놓인 힌지-핀 쌍(71, 72)이 더 작은 거리(7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9. 제 2 항 및 제 24 항 내지 제 28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개별피벗 멈추개(53)가 힌지-핀 쌍(71, 72 및 74, 75)들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30. 제 2 항 및 제 24 항 내지 제 29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좁은 정면 끝(43, 44)을 향하는 방향에서 힌지-핀 쌍(71, 72) 사이에 있는 피벗 멈추개(53)의 길이(77)는 힌지-핀 쌍(71, 74 및 72, 75) 사이의 길이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31. 제 2 항 및 제 24 항 내지 제 30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피벗 멈추개(53)의 길이(77)가 베어링 하우징(14) 내의 움푹 패인 오목한 곳(79)의 길이(8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32. 제 2 항 및 제 24 항 내지 제 31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길이(77)과 길이(80) 사이의 차이가 연결 링크(12)를 너머 돌출된 끝 구역(18)의 핀 길이(81)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33. 제 2 항 및 제 24 항 내지 제 32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피벗 멈추개(53)의 높이(82)가 베어링 하우징(14)의 폭(83)과 동일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34. 제 2 항 및 제 24 항 내지 제 33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힌지 핀(11)의 길이 방향 중앙 축(24)과 피벗 멈추개(53)의 스탠드 표면(54) 사이의 거리(84)가 홈(17)의 길이 방향 중앙 축(24)과 플랩(6)을 또는 플랩(6)의 중앙 구역을 바라보는 베어링 하우징(14)의 내부 측벽(86) 사이의 거리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35. 제 3 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69)가 버섯모양의 머리 돌출부(140)(mushroom-head projection)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36. 제 3 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유지 요소(139)가 버섯모양의 머리부분으로 된 돌출부(140) 뒤쪽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37. 제 3 항 및 제 35 항, 그리고 제 36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연결 시트(137)가 원형 또는 정방형 또는 다각형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38. 제 3 항 및 제 35 항 내지 제 37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연결 시트(137)가 직사각형 슬롯(oblong slo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39. 제 3 항 및 제 35 항 내지 제 38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연결 시트(137)가 플랩(2부터 5)의 주변 구역 내에서 어떤 각도를 이루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0. 제 3 항 및 제 35 항 내지 제 39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돌출부(140)의 전방-끝 폭(145)이 이러한 돌출부(140)의 전방 끝을 바라보는 유지 요소(139)의 개방된 폭(146)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1. 제 3 항 및 제 35 항 내지 제 40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움푹 패인 오목한 곳(147)의 선택적인 개수가 거기에 탄성적 설계 방식을 첨가하기 위하여 유지 요소(139)를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2. 제 4 항에 있어서, 지지 및 중앙 요소(66부터 68, 151, 98 부터 102)가 S-형상이거나 L-형상의 설계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3. 제 4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강화 버팀대(42)를 향하는 방향으로 주변 융기(63)로부터 확장되어 강화 버팀대(42)와 힌지 장치(11) 사이의 구역에서 플랩(2, 4)으로 구성되는 두께(97)를 가로 지르는 좁은 끝 면(91, 92)들이 있는 구역에서 플랩(2, 4)이 돌출한 지지 및 중앙 요소(108 부터 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4. 제 4 항, 제 42 항 및 제 43 항에 있어서, 지지 및 중앙 요소(66부터 68, 98부터 102)가 서로를 중심으로 몇 개의 서로 다른 공간상의 방향에서 함께 공동 작용하는 플랩(2, 5 및 3, 4)들의 구역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5. 제 4 항 및 제 42 항 내지 제 44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노치(155)가 플랩(2, 4)의 주변 융기(63) 내에 제공되어 있고, 지지 및 중앙 요소(66, 67, 151)의 부분 구역(156)들을 받아들이기 위해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6. 제 4 항 및 제 42 항 내지 제 45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노치(155)의 깊이가 지지 및 중앙 요소(66, 67, 151)의 부분 구역(156)에 있는 멈추개 융기(29)에 수직하게 측정된 높이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7. 제 4 항 및 제 42 항 내지 제 46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지지 및 중앙 요소(98부터 100)의 외부 면(157)들이 양의 방향에서 들어맞게 되어 있는 멈추개 융기(29)의 지지 및 중앙 요소(66부터 68)의 외부 면(158)과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8. 제 4 항 및 제 42 항 내지 제 47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지지 및 중앙 요소(98부터 100)의 높이(159)가 지지 및 중앙 요소(66부터 68)의 높이(160)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9. 제 4 항 및 제 42 항 내지 제 48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외부 면(157, 158)들이 서로 일치하는 경사진 표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0. 제 4 항 및 제 42 항 내지 제 49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플랩(2)의 지지 및 중앙 요소(98부터 102)들이 플랩(5)의 멈춤용 융기(29)의 방향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1. 제 4 항 및 제 42 항 내지 제 50 항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플랩(5)의 멈춤용 융기(29)의 지지 및 중앙 요소(66부터 68, 151)들이 플랩(2)을 향한 방향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2.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측면의 끝 벽을 형성하는 플랩(2, 4)의 길이(35)가 길이 방향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3, 5)의 힌지 핀(11)을 받아들이기 위한 베어링 하우징(14)의 서로를 바라보는 측면 표면들 사이에서 내부 폭(36)과 그 크기가 동일하거나 그보다 다소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3.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 측벽을 형성하는 각각의 플랩(3, 5)의 멈춤용 융기(29)들 사이의 내부 폭(37)이 서로 떨어져서 마주보는 베어링 하우징(14)의 전방 끝면들 사이의 최대 거리(38)와 동일하거나 다소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4.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2부터 5)들이 봉-형상의 길이 방향 지주(47, 48), 수직 지주(49), 그리고 대각선 지지 요소(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5.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중앙의 움푹 패인 오목한 곳(51)이,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에서 부합하는 중앙의 돌출부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길이 방향 측면 모서리(45) 구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6.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내부 표면(28)의 평면 내에 확장된 힌지 핀(11)의 축(59)이, 내부 표면(28)으로부터 개별 플랩(2부터 5)의 두께(34)의 절반보다 큰 거리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7.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힌지 핀(11)의 반대에 놓인 길이 방향 끝 모서리(45) 구역 내의 주변 융기(63)가 강화 버팀대(42)를 형성하며 속이 텅빈 단면으로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8.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플랩(6)의 전방 끝 구역 내의 베어링 하우징(14)을 갖춘 주변 융기(16)의 베이스의 총괄 두께(105)가 플랩(6)의 두께(106)와 힌지 핀(11)의 두께(107), 그리고 덮개 요소(20)의 두께(108)를 합한 값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9.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플랩(3, 5)에 대하여 베어링 하우징(14)을 갖춘 주변 융기(16)의 총괄 두께(110)가 플랩(2, 4) 구역 내의 베어링 하우징(14)을 갖는 주변 융기(16)의 두께(105)에 비하여, 플랩(2, 4)의 두께(34)만큼 더 큰 것이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60.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이 하단 측면(11) 위에 돌출된 언저리(112)(ri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61.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플랩(6)의 측면도에서 언저리(112)의 치수(113)와 플랩(6)의 정면도에서 언저리(112)의 두께(114)가 직립 위치에 있는 플랩(2, 4) 사이의 내부 폭(115) 뿐 아니라 직립 플랩(3, 5) 사이의 내부 폭(116)과 거의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62.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플랩(3, 5)에 대한 주변 융기(16)가 플랩(2, 4)에 대한 주변 융기(16)의 정면 모서리(39)의 반대 방향에 치수(118)만큼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63.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치수(118)가 플랩(3, 5)의 멈춤용 융기(29)의 두께(104)와 거의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64.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3, 5)의 높이(46)가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의 폭의 절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65.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측벽을 형성하는 플랩(3, 5)이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랩(6) 상에서 수송 위치에 있으며 직립 상태일 때 서로 중첩되고 중첩된 플랩(3, 5)의 두께(169)가 개별 플랩(2부터 5)들중 한 플랩의 두께(34)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66.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강화 버팀대(42)의 외부 측면이 반대 방향에 놓인 플랩(3, 5)의 강화 버팀대(4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홈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67.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플랩(3, 5)들이 중첩된 구역(16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68.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복수 항에 있어서, 플랩(3, 5)의 중첩된 구역(161) 내에 강화 립(167)(reinforcing rib)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KR1020017006324A 1998-11-18 1999-11-05 복수 개의 판들로 구성된 컨테이너 KR200101052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925/98 1998-11-18
AT0192598A AT411991B (de) 1998-11-18 1998-11-18 Behälter aus mehreren platten
PCT/AT1999/000267 WO2000029294A2 (de) 1998-11-18 1999-11-05 Behälter aus mehreren plat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292A true KR20010105292A (ko) 2001-11-28

Family

ID=352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324A KR20010105292A (ko) 1998-11-18 1999-11-05 복수 개의 판들로 구성된 컨테이너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708836B2 (ko)
EP (1) EP1131249B2 (ko)
JP (1) JP4094817B2 (ko)
KR (1) KR20010105292A (ko)
CN (1) CN1332689A (ko)
AR (1) AR021265A1 (ko)
AT (1) AT411991B (ko)
AU (1) AU759083B2 (ko)
BR (1) BR9915470A (ko)
CA (1) CA2350835A1 (ko)
CZ (1) CZ295888B6 (ko)
DE (1) DE59909662D1 (ko)
ES (1) ES2222760T5 (ko)
HU (1) HU224807B1 (ko)
IL (1) IL143235A (ko)
NO (1) NO20012287L (ko)
PL (1) PL197551B1 (ko)
TR (1) TR200101411T2 (ko)
WO (1) WO2000029294A2 (ko)
ZA (1) ZA20010486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8461A1 (zh) * 2017-04-10 2018-10-18 上海鸿研物流技术有限公司 折叠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11991B (de) 1998-11-18 2004-08-26 Steco Logistic Gmbh Behälter aus mehreren platten
US6409041B1 (en) * 2000-09-21 2002-06-25 Rehrig Pacific Company Container
NL1017844C2 (nl) * 2001-04-13 2002-10-15 Fountain Tech Bv Kunststof container en werkwijze voor gebruik daarvan.
AT411589B (de) 2002-06-13 2004-03-25 Zelko Johannes Zusammenklappbarer kistenförmiger behälter
ES1055985Y (es) * 2003-10-31 2004-06-01 Sp Berner Plastic Group Sl Caja plegable.
US8777542B2 (en) * 2004-03-29 2014-07-15 Yousef Daneshvar Daneshvar carrier means and methods
US20060054528A1 (en) * 2004-08-30 2006-03-16 Sanzana Cecil M Foldable plastic box, assemblable, having 5 cavities, with or without folding upper covers, to contain agricultural products
DE202004018927U1 (de) * 2004-12-07 2005-02-24 Ifco Systems Gmbh Transportkasten mit klappbaren Seitenteilen aus Kunststoff
US20070084864A1 (en) * 2005-10-14 2007-04-19 The Parallax Group International, Llc Collapsible container
DE102006031120B3 (de) * 2006-07-05 2008-03-06 Siemens Ag Sendungsbehälter
DE102009036993B4 (de) * 2009-08-12 2014-11-06 Georg Utz Holding Ag Transportbehälter
US20110221318A1 (en) * 2010-03-10 2011-09-15 Protrend Co., Ltd. Collapsible drawer
US9469429B2 (en) * 2010-09-20 2016-10-18 Ifco Systems Gmbh Crate
CN103180214B (zh) * 2010-09-20 2016-02-17 埃弗科系统有限公司 具有连续硬化构件的条板箱
PT2431287E (pt) 2010-09-20 2013-10-22 Ifco Systems Gmbh Caixa
JP6095769B2 (ja) * 2012-04-20 2017-03-15 イートン コーポレーションEaton Corporation 耐久性が改善されたロッカーアセンブリ
US20150021320A1 (en) * 2013-07-17 2015-01-22 Jin Huang Foldable File Tray
MX2015011164A (es) * 2014-08-27 2016-03-16 Rehrig Pacific Co Estantes de leche apilables y plegables.
US11352168B2 (en) * 2015-06-22 2022-06-07 U.S. Merchants Financial Group, Inc. Collapsible crate
WO2017086503A1 (ko) * 2015-11-17 2017-05-26 인팩글로벌(주) 접이식 상자
CN105836254B (zh) 2016-05-24 2018-12-07 上海鸿研物流技术有限公司 折叠箱
DE202016106088U1 (de) * 2016-10-28 2017-02-06 Georg Utz Holding Ag Klapp-Behälter
CN108860921B (zh) * 2018-08-08 2020-11-20 上海鸿研物流技术有限公司 可折叠容器
CN109835570B (zh) * 2019-02-27 2024-02-27 上海鸿研物流技术有限公司 可折叠容器
US11731803B2 (en) 2021-07-02 2023-08-22 The Merchant Of Tennis, Inc. Collapsible crate with stowable hinged lid
US11713159B1 (en) * 2022-06-28 2023-08-01 Jianxing Zhan Foldable storage box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96563B (de) * 1967-09-16 1969-05-29 Ver Deutsche Metallwerke Ag Kunststoffkasten mit umlegbaren Seitenwaenden
ZA746647B (en) * 1974-10-18 1976-05-26 Plastipak Pty Ltd Collapsible container
DE3514896A1 (de) * 1985-04-25 1986-11-06 William Prym-Werke GmbH & Co KG, 5190 Stolberg Druckknopfverbindung
HU204222B (en) 1989-07-11 1991-12-30 Ferenc Koenig Space-limiting structure particularly container of polygon cross section
US4960223A (en) * 1989-07-18 1990-10-02 Chiang Pei Lieh Box crate container
CH684208A5 (fr) * 1990-06-25 1994-07-29 Gueissaz & Cie Sa Andre Dispositif d'assemblage de deux plaques planes en matière plastique par clipsage.
NO172283C (no) 1991-02-08 1993-06-30 Norsk Hydro As Sammenleggbar transportkasse
CH682208A5 (en) 1991-08-07 1993-08-13 Beat Bisig CD storage stand giving good view of contents - uses perpendicular slits in mantle surface of pipe for receiving respective CD cassettes
DE9218977U1 (de) 1992-01-17 1996-08-08 Schoeller-Plast S.A., Romont Behälter aus Kunststoff, insbesondere Gemüsebehälter, mit klappbaren Seitenwänden
AT401765B (de) * 1992-11-18 1996-11-25 Furtner Josef Behälter mit verschwenkbaren seitenwänden
DE4243427C1 (de) 1992-12-15 1994-03-10 Ethicon Gmbh System zum Applizieren von Knoten in chirurgischem Nahtmaterial
DE4242679A1 (de) * 1992-12-17 1994-06-23 Otto Geb Kg Zusammenklappbarer Transportbehälter als Mehrwegverpackung
AT400703B (de) 1993-11-19 1996-03-25 Floegl Ingomar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DE4416925C1 (de) 1994-05-13 1995-06-01 Hella Kg Hueck & Co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r Lampe an einem Reflektor eines Fahrzeug-Scheinwerfers
DK0784570T3 (da) 1994-10-07 1999-05-10 Schoeller Int Eng Sammenklappelig plastbeholder
AT665U1 (de) * 1995-04-20 1996-03-25 Josef Haidlmair Maschinen Werk Transport- und/oder lagerbehälter aus kunststoff
CA2153141C (en) * 1995-06-30 1998-10-06 Roch Nolet Five-piece container having foldable side pieces
GB2303616B (en) * 1995-07-26 1999-09-15 Mckechnie Uk Ltd Collapsible container
GB9522232D0 (en) 1995-10-31 1996-01-03 Woodall Plastic Products Ltd Collapsible crate
DE19601677A1 (de) 1996-01-18 1997-07-24 Otto Geb Kg Klappbehälter
DE19601679C2 (de) 1996-01-18 2003-12-24 Perstorp Plastic Systems Ab Pe Klappbehälter
ES2128138T3 (es) * 1996-01-18 1999-05-01 Perstorp Plastic Syst Ab Contenedor plegable.
SE508751C2 (sv) 1996-04-22 1998-11-02 Perstorp Ab Fällbart emballage
WO1997041037A1 (de) * 1996-04-30 1997-11-06 Steiner Technology Gmbh Gelenkanordnung für die verschwenkbaren wandteile eines transportbehälters
US5722550A (en) * 1996-06-06 1998-03-03 Buckhorn Material Handling Group, Inc. Container having reusable base and disposable over sleeve
CA2228541C (en) * 1997-02-07 2006-04-18 Hans Umiker Folding container with detachable lockable side walls
DE29710794U1 (de) * 1997-06-20 1997-11-13 Innovations-, Technologie- und Designzentrum für das Deutsche Flechthandwerk e.V., 96215 Lichtenfels Behälter für Backwaren
US6015056A (en) * 1997-12-19 2000-01-18 Rehrig Pacific Company Collapsible container
US6286701B1 (en) * 1998-02-06 2001-09-11 Schoeller Plast Sa Container, in particular for transporting fruits and vegetables
DE69926290T2 (de) 1998-03-18 2006-04-13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 Tragbares Kommunikationsgerät mit Anordnung zum Knochenleitungshören
AT411991B (de) 1998-11-18 2004-08-26 Steco Logistic Gmbh Behälter aus mehreren platten
US6891496B2 (en) 2002-05-03 2005-05-10 Atheros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hysical layer radar pulse detection and estim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8461A1 (zh) * 2017-04-10 2018-10-18 上海鸿研物流技术有限公司 折叠箱
US11548682B2 (en) 2017-04-10 2023-01-10 Shanghai Hongyan Returnable Transit Packagings Co., Ltd. Folding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08836B2 (en) 2004-03-23
WO2000029294A2 (de) 2000-05-25
ZA200104866B (en) 2002-06-14
HU224807B1 (en) 2006-02-28
PL197551B1 (pl) 2008-04-30
AU759083B2 (en) 2003-04-03
ATA192598A (de) 2004-01-15
EP1131249A1 (de) 2001-09-12
AT411991B (de) 2004-08-26
IL143235A0 (en) 2002-04-21
IL143235A (en) 2005-09-25
CN1332689A (zh) 2002-01-23
EP1131249B1 (de) 2004-06-02
TR200101411T2 (tr) 2002-04-22
AR021265A1 (es) 2002-07-03
EP1131249B2 (de) 2008-12-03
US20020108951A1 (en) 2002-08-15
ES2222760T3 (es) 2005-02-01
BR9915470A (pt) 2001-12-11
CA2350835A1 (en) 2000-05-25
DE59909662D1 (de) 2004-07-08
NO20012287D0 (no) 2001-05-09
HUP0200290A2 (en) 2002-05-29
JP4094817B2 (ja) 2008-06-04
ES2222760T5 (es) 2009-05-01
PL348371A1 (en) 2002-05-20
AU1136300A (en) 2000-06-05
WO2000029294A3 (de) 2001-01-04
JP2002529335A (ja) 2002-09-10
NO20012287L (no) 2001-07-17
CZ20011712A3 (cs) 2002-06-12
CZ295888B6 (cs)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5292A (ko) 복수 개의 판들로 구성된 컨테이너
CA1246470A (en) Collapsible storage bin
US4674647A (en) Collapsible storage bin
US5788103A (en) Container base
US10472126B2 (en) Collapsible metal box
NO326395B1 (no) Sammenleggbar beholder forsynt med en stablekant
US6367630B1 (en) High stacking-strength container
CZ295683B6 (cs) Kontejner, zejména pro přepravu ovoce a zeleniny
GB2452645A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bail arm support facilitating stacking
KR20160078339A (ko) 조립식 구조체용 클립
CN111655589B (zh) 支撑模块
RU2129510C1 (ru) Емкость, в частности из пластмассы,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или хранения
CN105836254B (zh) 折叠箱
EP4067250B1 (en) Packaging system
US6394296B1 (en) Folding bulk container
ITMI990289U1 (it) Contenitore in materiale plastico a pareti abbattibili ed impilabile in particolare per prodotti ortofrutticoli
AU2016355962A1 (en) Container made of plastic
US3428206A (en) Bottle crate of synthetic material
CA1197796A (en) Collapsible, walled pallet
WO2003033380A2 (en) Collapsible container apparatus for use in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fluid material
JP2001171677A (ja) 運搬用容器
JPS5837788Y2 (ja) パレツト容器
WO1998004467A1 (en) Crates with integrated piling means
NZ743535B2 (en) Container made of plastic
AU4088100A (en) Folding bulk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