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5282A -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5282A
KR20010105282A KR1020010027255A KR20010027255A KR20010105282A KR 20010105282 A KR20010105282 A KR 20010105282A KR 1020010027255 A KR1020010027255 A KR 1020010027255A KR 20010027255 A KR20010027255 A KR 20010027255A KR 20010105282 A KR20010105282 A KR 20010105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image
generating
signal
c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이신야
야마자끼노부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105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28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8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04N3/23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active elements
    • H04N3/2335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active elements with calcul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04N17/045Self-contained tes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화상의 컨버전스 보정과 왜곡의 보정이 고정확도로 수행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먼저 조정 장치에 의하여 얻어진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 위치 에러 보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보정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저장된 보정 데이터는 필요할 때 제어회로를 통하여 보정 파형 출력부로 출력된다. 이 보정 파형 출력부는 거기로 입력된 보정 데이터에 의하여 보정 파형을 생성하고 그 보정 파형을 클럭신호 발생회로로 출력한다. 클럭신호 발생회로는 클럭을 발생하고 메모리 내에 저장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영상 데이터가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독출된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S WELL AS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와 화상처리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컨버전스 보정, 영상 왜곡 보정 및 영상의 비균일 휘도 혹은 색도의 보정 기능을 갖는 장치를 가지고 사용하기에 적절한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과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래스터 스캐닝 시스템의 음극선관 표시장치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음극선관 표시장치는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 화상을 중첩의 변위에 대하여 보정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변위에 대한 그런 보정을 "컨버전스 보정" 이라고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음극선관 표시장치에서, 컨버전스 보정 전류를 컨버전스 보정 코일로 공급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하여 컨버전스 보정을 고정확도로 실행한다. 도 1은 그런 컨버전스 보정에 영향을 주는 컨버전스 보정장치의 구성의일 예를 보여준다. 도 1에 대하여, 도시된 컨버전스 보정장치(1)는 조정장치(2), 저장장치(3), 제어장치(4), 보정 파형 출력장치(5), 출력 증폭기(6) 및 보정코일(7)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컨버전스 보정 장치(1)에 있어서, 컨버전스 조정 데이터가 우선 조정장치(2)에 의하여 생성된 후 저장장치(3)로 저장된다. 저장된 컨버전스 조정 데이터는 제어장치(4)에 의하여 독출되고, 제어장치(4)에 의하여 결정된 동기화 주파수 정보, 래스터 스캔 위치정보 및 다른 필수 정보와 함께 보정 파형 출력장치(5)로 출력된다. 보정 파형 출력장치(5)로 입력된 컨버전스 조정 데이터는 동기화 주파수 정보, 래스터 스캔 위치 정보 및 다른 정보에 의하여 최적의 컨버전스 보정을 행하도록 처리되고, 그런 후 컨버전스 보정 파형으로 변환되어 출력 증폭기(6)로 출력된다. 출력 증폭기(6)로 입력된 컨버전스 보정 파형은 전압과 진폭이 증폭되어, 음극선관에 부착된 보정코일(7)로 공급되어서 컨버전스 보정이 실행된다.
일반적으로, 크게 두 가지의 보정 파형 발생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함수 발생법 및 메모리 맵핑법이 그것이다. 함수발생법은 컨버전스 조정점 및 음극선관의 래스터 스캐닝과 동기하도록 컨버전스 보정 파형을 발생하는 동기화 주파수에서 컨버전스 보정 데이터와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컨버전스 보정 파형을 유한 함수로 근사한다. 함수발생법에 따라서 조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용량은 메모리 맵핑법보다는 작다. 그러므로, 함수 발생법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생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보정의 자유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메모리 맵핑법의 보정 파형 발생법에 따르면, 표시화면은 격자들로 분할되고, 각 격자점을 보정점으로 간주하며, 조정점에 필요한 컨버전스 보정량을 미리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런 후, 각 격자점에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대응하는 보정량이 독출되지만, 임의의 다른 점에서는, 격자점에서의 보정 데이터에 기초한 직선 혹은 2차 곡선을 사용하는 보간 처리에 의하여 보정 데이터를 얻으며, 그 보정 데이터는 컨버전스 보정 파형을 발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메모리 맵핑법은 보정에서 높은 자유도를 보여주며 함수 발생법보다 높은 정확도로 컨버전스 보정을 행한다. 그러므로, 특히, 예를 들어 컴퓨터용 표시장치등의 고화질이 요구되는 표시장치에서는 메모리 맵핑법을 종종 사용한다.
음극선관 상에 표시된 영상의 위치 에러는 영상 신호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을 조정함에 의하여 보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수평주기에서 영상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의 조정에 의하여 수평 직선성 보정을 나타낸다. 특히, 도 2a는 위치 에러가 보정되지 않았을 때에 표시된 영상을 나타내며, 도 2b는 영상 신호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이 수평 직선 보정을 수행하도록 조정될 때에 표시된 영상을 나타낸다. 수평 편향 전류가 왜곡된 곳에서, 보정이 실행되지 않을 때, 수평 직선성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왜곡되나, 영상 신호가, 수평 편향 전류의 왜곡을 보정하도록 시간축 방향으로 조정될 때, 수평 직선성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예에서, 영상 신호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은 수평 주기로 조정된다. 그러나, 만일 출력 타이밍이 수직 주기로 조정된다면, 수직 주기에서의 화상 왜곡의 보정도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편향보정을 실행하는 표시장치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3에 대하여, 도시된 표시장치(10)는 메모리(11),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회로(12), 보정회로(13), 보정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럭(CLK) 발생회로(14), 영상회로(15), 편향회로(16), 수평 편향코일(17), 수평 편향전류를 검출하는 측정 레지스터(18), 수직 편향 코일(19) 및 음극선관(20)을 포함한다.
입력 영상 신호는 제 1 클럭신호(clk1)타이밍에서 메모리(11)로 기입된다. 그런 후, 메모리에 기입된 화상 데이터는 제 2 클럭신호(clk2)의 또 다른 타이밍에서 독출되어서 D/A변환회로(12)에 의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영상 회로(15)로 입력된다. 영상회로(15)로 입력된 화상 신호는 영상 회로(15)에 의하여 증폭되어 음극선관(120)의 음극으로 공급된다.
한편, 보정회로(13)는 동기화 신호와 동기하여 수평 편향 전류용 기준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기준신호는 영상 신호와 유사하게 제 1 클럭신호(clk1)에서 메모리(11)로 기입되며, 그런 후, 제 2 클럭신호(clk2)의 또 다른 타이밍에서 메모리(11)로부터 독출되고, D/A변환 회로(12)에 의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서 클럭 발생신호(14)로 입력된다.
한편, 편향 회로(16)로 입력된 동기화 신호는 수평 편향 코일(17)과 수직 편향 코일(19)을 구동하여서, 음극선관(20)상에 래스터를 형성한다. 측정 레지스터(18)는 수평 편향 전류를 측정하는 검출용 레지스터이며, 수평 편향 전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전압은 측정 레지스터(18)로부터 클럭발생회로(14)로 입력된다. 클럭발생회로(14)는 측정 레지스터(18)로부터 입력된 수평 편향 전류의 편향 전압을, 메모리(11)를 통하여 D/A변환회로(12)로부터 입력된 조정된 수평 편향 전류의 기준 파형과 비교하여, 두 입력 파형 사이의 차의 증폭된 파형을 전압 제어 발진기(VCO)로 공급한다. VCO는 두 입력 파형의 차에 따라서 조정된 제 2 클럭신호(clk2)를 발생하고 제 2 클럭신호(clk2)를 메모리(11)와 D/A변환회로(12)로 공급한다.
상술된 일련의 작동을 통하여, 제 2 클럭신호(clk2)는 수평 편향 전류의 기준 파형과 실제 편향 전류 사이의 차가 최소가 될 수 있도록 조정된다. 결국, 음극선관(20)의 음극에 입력된 영상 신호는 수평 편향 전류의 왜곡을 보정하도록 시간축 방향으로 조정되어서, 영상의 위치 에러를 보정한다.
상술된 시스템에서, 수평 편향 전류의 기준 파형과 실제 수평 편향 전류의 파형을 서로 비교하여, 그 파형들 사이의 차를 클럭신호를 조정하기 위하여 피드백시켜서 그 차를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영상 신호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은 또한 영상의 위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하여 조정된다.
상술된 컨버전스 보정에 있어서, 출력 증폭기(6)는 보정 전류를, 컨버전스 보정을 위한 함수 발생법 혹은 메모리 맵핑법에 의하여 생성된 컨버전스 보정 파형을 참조하여 컨버전스 보정코일(7)로 공급한다. 그러나, 그런 컨버전스 보정을 행하기 위하여, 높은 전류가 컨버전스 보정용 보정코일(7)로 인가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보정코일(7), 보정코일(7)을 구동하는 출력 증폭기(6) 및 부속 소자들을소형화하는 것이 어려우며, 따라서, 컨버전스 보정장치(1)의 소형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출력 증폭기(6)의 전력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고정확도로 컨버전스를 보정하기 위해서, 메모리 맵핑법과 같이 증가된 조정점 수를 가지며 높은 보정의 자유도를 갖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그러나, 사실, 컨버전스의 위상지연, 조정점들 사이의 간섭등은 출력 증폭기의 슬루 레이트(slew rate), 음극선관의 내부에서의 와전류 손실 및 그 외의 파라미터에 대한 한정에 의하여 발생된다. 그러므로, 컨버전스의 보정의 정확도의 증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영상 신호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을 조정함으로써 음극선관의 표시화면 상에 영상의 위치 보정을 보정하는 방법이 화상 왜곡의 보정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곳에서는, 밀도가 일정하지 않은 래스터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나며, 휘도 비균일을 만든다. 또한, 비록 화상 왜곡의 보정이 실행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위치 에러가 수평 편향 전류의 파형으로부터 검출되기 때문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 위치에러는 검출될 수 없으며, 컨버전스가 보정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버전스 보정회로의 편향회로에서 전력소비를 최소화하고 축소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와 화상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버전스와 영상 왜곡의 보정 및 휘도와 색도의 비균일의 보정이 고정확도로 실행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와 화상처리방법을 제공하는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영상 신호의 출력 타이밍이 서로 독립적으로 조정되어서, 3개의 영상의 위치 에러를 개별적으로 보정한다.
도 1은 종래의 컨버전스 보정 장치의 일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 2a 및 도 2b는 영상 신호 조정 방법에 의하여 수평 직선성 보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표시장치의 일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 4는 영상 신호 조정 방법에 의하여 직선성 보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영상 신호의 출력 조정에 의하여 화상 왜곡 및 컨버전스의 보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클럭신호 발생회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클럭신호 발생회로의 또 다른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표시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 10a 및 도 10b는 도 8의 클럭신호 발생회로를 사용하여 실행된 수평 일차 보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영상 회로의 주파수 특성에 의하여 비균일성하게 되는 휘도와 색도를 설명하는 파형 다이어그램.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록 매체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다수의 영상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컨버전스의 보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수단과, 생성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보정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발생수단과, 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저장수단에 저장된 영상 신호를 독출하는 독출수단을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는 적색의 영상 신호, 녹색의 또 다른 영상 신호 및 청색의 또 다른 영상 신호 중 적어도 2 개에 대응될 수도 있다.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변환에 의하여 얻어진 디지털 영상 신호를 최소 천이 차동신호(TMDS)법에 의하여 전송되고 복호된 디지털 영상 신호, 저전압 차동 신호(LVDS)법에 의하여 전송되고 복호된 디지털 영상 신호 혹은 기가-비트 영상 인터페이스(GVIF)에 의하여 전송되고 복호된 디지털 영상 신호일 수도 있다.
화상처리장치는 동기화 신호 데이터, 영상 크기 데이터 및 영상 위상 데이터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로부터 화상 왜곡의 보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보정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또한 구비하며, 발생수단은 보정 파라미터를 기초로하여 클럭신호를 또한 발생한다.
이 경우에, 화상처리장치는, 또한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를, 연산수단에 의하여 연산된 보정 파라미터를 기초로하여 휘도와 색도의 비균일성이 보정되는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다수의 영상 신호의 저장을 제어하는 저장제어단계와, 컨버전스의 보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생성단계에서의 처리에 의하여 생성된 보정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각각에 대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발생단계와, 영상 신호의 독출을 제어하는 독출제어 단계를 구비하며, 영상 신호의 저장이 발생단계에서의 처리에 의하여 발생된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저장제어단계에서의 처리에 의하여 제어되는 화상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프로그램은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다수의 영상 신호의 저장을 제어하는 저장제어단계와, 컨버전스의 보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생성단계에서의 처리에 의하여 생성된 보정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각각에 대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발생단계와, 영상 신호의 독출을 제어하는 독출제어단계를 구비하며, 영상 신호의 저장은, 발생단계에서의 처리에 의하여 발생된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저장제어단계에서의 처리에 의하여 제어된다.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기록 매체에서,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다수의 영상 신호는 저장되고 컨버전스의 보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보정 데이터가 생성된다. 그런 후, 클럭신호가, 보정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발생되고, 저장된 영상 신호가 발생된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독출된다.
결국, 컨버전스 보정회로와 편향 회로의 소형화와 전력소비의 감소가 예측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컨버전스 보정이 고정확도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데,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표시장치는, 입력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하여 서로 개별적으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출력 영상의 출력 타이밍을 조정하여서 3색의 영상 위치 에러를 개별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영상 신호가 음극선관 상에 표시할 때 나타나는 컨버전스 및 화상 왜곡을 동시에 보정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수평 직선성 보정을 실행할 수 있으며 또한 컨버전스 보정을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의 영상 신호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을 서로 개별적으로 수평주기에서 조정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도 5a는 상술된 것과 같은 보정이 실행되지 않은 표시화면을 보여주는 반면, 도 5b는 상술된 것과 같은 보정이 실행된 또 다른 표시화면을 보여준다. 도 5b로부터 수평 직선성의 보정 및 수평 컨버전스의 보정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의 출력 타이밍을 서로 개별적으로 시간축 방향으로 조정하여, 3색의 영상의 위치 에러를 보정하도록 실행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된 예에서, 영상 신호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을 수평 주기 내에서 조정하고, 또한, 수직 주기에서 영상 신호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을 또한 유사하게 조정함으로써, 수직 주기에서 미스컨버전스(miss convergence) 및 화상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색에서의 비균일성 혹은 화면의 휘도의 보정은 영상 데이터의 연산 처리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보정을 실행하는 표시장치의 형태의 구성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에 대하여, 표시장치는 30의 도면부호로 설명되며 메모리회로(31), 다양한 타이밍 신호와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회로(32), D/A컨버전스회로(33), 3개의 상이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신호 발생회로(34), 보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35), 3개의 상이한 클럭 변조 파형을 발생하는 보정 파형 출력부(36), 영상회로(37), 화상 왜곡 보정 회로를 갖지 않은 편향회로(38), 편향코일(39), 음극선관(40) 및 조정장치(41)를 포함한다. 조정장치(41)는 표시장치(30)내에 통합될 수도 혹은 분리될 수 있는 장치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표시장치에서, 영상 데이터는 A/D 변환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얻어진 디지털 영상 신호, 혹은 TMDS 디지털 인터페이스와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함으로써 얻어진 또 다른 영상 신호이다. 제어 데이터는 동기화 신호,클럭신호 및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보정 데이터는 조정 장치(41)등에 의하여 얻어진 화상 왜곡 보정 데이터이다.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제 1 클럭신호(clk1)의 타이밍에서 메모리 회로(31)로 기입된다. 메모리 회로(31)에 기입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예를 들어, 적색의 영상 데이터가 클럭신호 발생회로(34)에 의하여 발생된 제 2 클럭신호(clk2)의 타이밍에서 독출된다. 동일하게, 녹색 영상 데이터가 클럭신호 발생회로(34)에 의하여 발생된 제 3 클럭신호(ckl3)의 타이밍에서 독출되고 청색 영상 데이터가 클럭신호 발생회로(34)에 의하여 발생된 제 4 클럭신호(clk4)의 타이밍에서 독출된다.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독출 화상 데이터는, D/A변환회로(33)에 의하여 각각의 타이밍에서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변환되고 출력된다.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영상 회로(37)에 의하여 증폭되어 음극선관(40)의 음극에 인가된다.
한편, 제어 회로(32)는, 입력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평 및 수직 동기화 신호를 발생하고 편향회로(38)로 그 신호를 출력한다. 편향 회로(38)는 편향 코일(39)을 구동하여 음극선관(40)상에 래스터를 형성한다. 그러나, 편향 회로(38) 및 편향 코일(39)은 컨버전스 보정 회로와 화상왜곡 보정회로를 갖지 않기 때문에, 음극선관(40)상에 표시된 영상은 미스컨버전스 및 화상왜곡이 된다.
그러므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 위치 에러는 미리 조정장치(41)에 의하여 검출되고, 위치 에러의 보정을 위한 보정 데이터는 저장부(35)로 저장된다. 저장부(35)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는 제어회로(32)의 제어하에서 독출되며 보정 파형 출력부(36)로 입력된다. 그 후, 신호 주파수, 래스터 크기, 영상 위상등이 변환될때에도 최적의 화상 왜곡 보정이 항상 실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 파라미터는 동기화 신호 데이터, 영상 신호 데이터, 영상 위상 데이터, 보정 데이터 및 다른 필요한 데이터로부터 연산 처리되고, 보정 파형 출력부(36)로 유사하게 출력된다.
보정 파형 출력부(36)는, 입력된 보정 데이터, 보정 파라미터,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로부터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 위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하여 3개의 상이한 보정 파형을 생성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생성된 3개의 상이한 보정 파형은 클럭신호 발생회로(34)로 입력되고, 보정 파형에 따라 조정된, 제 2 클럭신호(clk2), 제 3 클럭신호(clk3), 제 4 클럭신호(clk4)가 생성된다. 3개의 상이한 클럭신호(clk2, clk3및 clk4)가 시간축 방향으로 보정되어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 위치 에러를 보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음극선관(40)상에 표시된 영상의 화상왜곡 혹은 미스컨버전스는 상술된 일련의 동작에 의하여 보정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시장치(30)의 클럭신호 발생회로(34)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특히, 도 7은 하나의 클럭신호(예를 들어, 제 2 클럭신호 clk2)를 발생하는 클럭신호 발생회로(34)의 부분만을 보여준다. 또한 상이한 클럭신호의 발생을 위한 부분은 유사한 구성을 지니고 있다. 도 7에 대하여, 도시된 클럭신호 발생회로(34)의 부분은 전압제어 발진기(52)와 차동기(51)를 포함한다.
도 7에서, 차동기(51)가 클럭신호 발생회로(34)의 내부에 제공되어 있지만, 클럭신호 발생회로(34)내의 차동기(51)가 제거되는 구성,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표시장치(30)의 보정 파형 출력부(36)가 보정 파형의 생성에 디지털 차동 연산 동작을 실행하도록 설계되고, 차동 연산 동작에 의해 구해진 보정 파형이 클럭신호발생회로(34)에 입력되는 구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서, 보정 파형은 보정 파형 출력부(36)(도 6)에 의하여 발생된 화상 왜곡 보정 파형이다. 제어전압은 클럭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회로(32)(도 6)에 의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이다. 제어회로(32)에 의하여 생성된 제어 전압이 전압제어 발진기(52)로 입력될 때, 전압 제어 발진기(52)는 영상 신호 출력을 위하여 클럭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예를 들어, 보정 파형 출력부(36)에 의하여 생성된 적색의 위치 에러 보정 파형은, 차동기(51)를 통하여 제어전압에 부가된다. 결과적으로, 전압 제어 발진기(52)로부터 출력된 클럭신호는 보정 파형의 차동 파형에 응답하여 조정된다.
도 8은 클럭신호 발생회로(34)의 또 다른 구성을 보여준다. 도 8에 있어서, 도시된 클럭신호 발생회로(34)는 차동기(61), 전류원(62), 전압제어 발진기(63), 위상 비교기(64), 여파용 필터(65) 및 분주기(66)를 포함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클럭신호 발생회로(34)는, 도 7에 도시된 클럭신호 발생회로(34)와 유사하게, 상기된 도 8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3개의 그런 클럭신호 발생회로(34)를 포함해야 하나, 도 8에서는 단지 하나의 클럭신호 발생회로(34)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클럭신호 발생회로(34)와 유사하게, 도 8에 도시된 클럭신호 발생회로(34)는, 클럭신호 발생회로(34)의 차동기가 제거되도록 하는 다른 구성을 지니고 있을 수도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표시장치(30)의 보정 파형 출력부(36)가 보정 파형의 생성에 디지털 차동 연산 동작을 실행하도록 설계되고, 차동 연산 동작에 의해 구해진 보정 파형이 클럭신호 발생회로(34)에 입력되는 구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클럭신호 발생회로(34)는, 영상 신호 출력을 위한 클럭신호가 수평 동기 신호와 동기화 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7에 도시된 클럭신호 발생회로(34)와는 상이하다. 클럭신호 발생회로(34)는 도 8에 도시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드백은 클럭 발생을 위하여 공급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클럭신호를 조정하면서 클럭신호를 안정하게 유지한다. 결국, 교란 노이즈 등에 대하여 안정하게 된 클럭신호가 생성되고, 클럭신호 발생회로(34)의 온도 확산 및 왜곡과 같은 특성에 대하여 엄격한 조건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 8에서 도시된 클럭신호 발생회로(34)에서, 예를 들어, 보정 파형 출력부(36)에 의하여 생성된 적색의 위치 에러 보정 파형은 차동기(61)를 통하여 전압제어 발진기(63)의 주파수 제어 기준 전류원에 부가된다. 결국, 전압 제어 발진기(63)로부터 출력된 클럭은 도 7에 도시된 클럭신호 발생회로(34)내에서와 같이 유사하게 보정 파형의 차동 파형에 응답하여 조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표시장치(30)의 또 다른 구성을 보여준다. 도 9에 대하여, 표시장치(30)는 음극선관(40)상에 표시된 화상의 색도 혹은 휘도의 비균일성을 보정한다. 표시장치(30)의 구성은, 연산 동작 회로(71)가 부가적으로 제공된 것을 제외하면, 도 9에 도시된 표시장치(30)의 구성과 동일하다.
화상 왜곡 보정은 영상 신호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 조정에 의하여 실행되고, 래스터의 왜곡보정은 편향회로(38)에 의하여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밀도에서의 어느 정도의 비균일성이 래스터에 존재하고, 결국, 화면의 휘도의 비균일성이 나타난다. 도 10a는, 편향 회로에 의한 수평 직선성의 보정이 실행되지 않을 때, 래스터의 밀도에서의 비균일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편향회로에 의하여 수평 직선성의 보정이 실행되지 않을 때, 일반적으로 화면의 좌측부에서의 래스터는 확장되고 화면의 우측부에서의 래스터는 수축된다. 이러한 경우에, 래스터가 확장되는 화면의 좌측부는 휘도가 낮으며, 래스터가 수축되는 화면의 우측부의 휘도는 높게된다. 래스터의 밀도의 비균일성에 의한 휘도 변화는 영상 신호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이 수평 직선성 보정을 실행할 경우에도 균일하게 보정될 수 없다.
또한, 만일 온(ON) 및 오프(OFF)의 반복을 나타내는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영상 회로(37)의 주파수 특성이 변조 클럭 주파수에 충분하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음극선관(40)에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파형의 진폭을 변조 클럭의 주기에 의하여 변화시킨다. 결국, 휘도는 도 11에 도시된 제 1주기 내지 제 3주기 따라서 변화되며, 색도의 비균일성은 제 4주기에 따라서 나타난다.
그러므로, 도 9에 도시된 표시장치(30)에서, 영상 신호 데이터값의 연산 처리는 보정에 영향을 미치도록 연산회로(71)에 의하여 실행되어서 영상 표시부 내의 휘도 및 색도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하게 될 수도 있다.
도 9에 대하여, 영상 데이터는 연산작동회로(71)에 먼저 입력된다. 연산 작동 회로(71)는 영상 크기 데이터, 영상 위상 데이터, 신호 주파수 데이터 제어회로(32)에 의하여 산출되고 입력되는 3개의 상이한 클럭신호를 위한 조정 데이터와 같은 보정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화상 데이터 연산 동작을 실행하여서, 신호 주파수, 래스터 크기, 영상 위상 혹은 클럭 조정량이 변화될지라도 휘도 및색도의 비균일성이 최적으로 항상 보정될 수도 있다. 연산된 영상 데이터는 제 1 클럭신호(clk1)의 타이밍에서 메모리 회로(31)로 기입된다.
보정 파형 출력부(36)에 의하여 생성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 위치 에러 보정 파형에 대응하여, 제 2 클럭신호(clk2), 제 3 클럭신호(clk3) 및 제 4 클럭신호(clk4)는 클럭신호 발생회로(34)에 의하여 발생된다.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영상 데이터는 클럭신호(clk2, clk3및 clk4)의 타이밍에서 개별적으로 각각 독출되며, D/A변환회로(33)에 의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영상 출력 타이밍은 이 방법에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의 위치 에러 보정 파형에 응답하여 조정될 수 있으며, 음극선관(40)상에 표시된 화상의 미스컨버전스 혹은 화상 왜곡이 보정될 수 있고 이 외에도 휘도 및 색도의 비균일성이 최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컨버전스 보정 혹은 화상 왜곡 보정이 상술된 방법으로 실행될 때, 고전력 손실과 화상왜곡보정을 나타내는 컨버전스 코일을 사용하는 컨버전스 보정이 편향회로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으며, 회로 크기의 축소, 표시장치의 전력절약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컨버전스 보정법과 비교할 때, 음극선관의 내부에서의 와전류 손실 혹은 보정코일을 구동하기 위한 출력 중폭기의 슬루 레이트 특성에 대한 한정의 문제점이 제거되며, 보정에서의 높은 자유도가 기대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시스템은 고정확도로 컨버전스를 보정할 수 있다.
상술된 일련의 프로세스는 하드웨어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으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도 실행될 수 있다. 일련의 프로세스가 소프트웨어에서 실행될 때,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로부터 전용하드웨어가 내장된 컴퓨터 혹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일반용 개인 컴퓨터로 설치되어져야 한다.
기록 매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121)(플로피 디스크 포함), 광디스크(122)(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및 DVD(Digital Versatile Disk), 혹은 자기 광 디스크(123)(MD(Mini-Disk)포함)와 같은 패키지 매체 혹은 반도체 메모리(124)로서 형성되며, 컴퓨터로부터 분리하여 프로그램을 공급하도록 분산되어 있다. 그 밖에, 기록 매체는 ROM(12)혹은 저장부(108)를 포함하는 하드디스크로서 형성되어 그 안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가지며 미리 컴퓨터 내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명세서에서, 매체로서 제공된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단계는 상술된 바와 같은 순서로 시간열로 처리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시간열로서 처리되지 않고, 병렬적으로 혹은 개별적으로도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시스템" 은 다수의 장치로 구성된 전체의 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그런 설명은 오직 설명을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청구 범위의 정신 혹은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형 및 다양성을 가지고 행해질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버전스 보정회로의 편향회로에서 전력소비를 최소화하고 축소할 수 있으며, 컨버전스와 영상 왜곡보정 및 휘도와 색도의 비균일성의 보정이 고정확도로 실행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와 화상처리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7)

  1.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다수의 영상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컨버전스 보정에 사용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수단과,
    상기 생성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보정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상기 각각의 영상 신호를 위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발생수단과,
    상기 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영상 신호를 독출하는 독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는 적색의 영상 신호, 녹색의 다른 영상 신호 및 청색의 또 다른 영상 신호 중 2 개 이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는 최소 천이 차동신호법에 의하여 전송되고 복호된 디지털 영상 신호, 저전압 차동신호에 의하여 전송되고 복호된 디지털 영상 신호 혹은 기가-비트 영상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전송되고 복호된 디지털 영상 신호와 같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변환에 의하여 얻어진 디지털 영상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동기화 신호 데이터, 영상 크기 데이터 및 영상 위상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로부터 화상왜곡의 보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보정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발생수단은 상기 보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를, 상기 연산수단에 의하여 연산된 보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휘도 및 색도의 비균일성이 보정되는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6.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다수의 영상 신호의 저장을 제어하는 저장제어단계와,
    컨버전스 보정에 사용되는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상기 생성단계에서의 처리에 의하여 생성된 보정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각각에 대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발생단계와,
    상기 발생단계에서의 처리에 의하여 발생된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제어단계에서의 처리에 의해 저장이 제어되는 영상 신호의 독출을 제어하는 독출제어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7.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다수의 영상 신호의 저장을 제어하는 저장제어단계와,
    컨버전스의 보정에 사용되는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상기 생성단계에서의 처리에 의하여 생성된 보정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각각에 대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발생단계와,
    상기 발생단계에서의 처리에 의하여 발생된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제어단계에서의 처리에 의해 저장이 제어되는 영상 신호의 독출을 제어하는 독출제어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10027255A 2000-05-19 2001-05-18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KR200101052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7769A JP2001333434A (ja) 2000-05-19 2000-05-19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0-147769 2000-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282A true KR20010105282A (ko) 2001-11-28

Family

ID=1865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255A KR20010105282A (ko) 2000-05-19 2001-05-18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53932B2 (ko)
JP (1) JP2001333434A (ko)
KR (1) KR20010105282A (ko)
CN (1) CN1184822C (ko)
TW (1) TW5601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5357B2 (ja) * 2001-05-16 2005-07-27 ソニー株式会社 レジストレーション調整装置及びレジストレーション調整方法
US6873318B1 (en) * 2001-05-23 2005-03-29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ressing beat patterns in an integrated video display system
JP3843769B2 (ja) * 2001-06-25 2006-1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投射型テレビジョン画像表示装置
US20030156229A1 (en) * 2002-02-20 2003-08-21 Konin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raster in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s
JP3844076B2 (ja) * 2003-03-07 2006-11-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0626461B1 (ko) * 2004-02-12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컨버전스 시스템
JP4770619B2 (ja) * 2005-09-29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画像補正装置、画像表示装置、表示画像補正方法
US8850714B2 (en) * 2011-09-30 2014-10-07 Nec Display Solutions, Ltd. Chromaticity correction device, chromaticity correc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1764A (en) * 1990-10-22 1991-08-20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Horizontal misconvergence correction system for color video display
JPH07264608A (ja) * 1994-03-25 1995-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バージェンス調整回路
JPH08256346A (ja) * 1995-03-17 1996-10-01 Toshiba Corp ディ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装置
KR19990037380A (ko) * 1997-10-27 1999-05-25 제이 에이. 밀러 다중 주사 모니터를 위한 적응 컨버젼스 조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74366T2 (de) * 1987-02-26 1993-02-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utomatisches konvergenzabgleichsystem fuer farbfernseh-wiedergabegeraete.
JP2787886B2 (ja) * 1993-03-16 1998-08-20 日本電気株式会社 投写型ディスプレイのコンバーゼンス誤差検出装置
EP0616473B1 (en) * 1993-03-17 1999-12-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correction apparatus
JP3688399B2 (ja) * 1996-07-26 2005-08-24 株式会社東芝 歪補正回路
US6707509B2 (en) * 1997-01-04 2004-03-16 Thomson Licensing S.A. Method for adjusting convergence in a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
JP3658001B2 (ja) * 1997-10-09 2005-06-08 エヌイーシー三菱電機ビジュア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5898465A (en) * 1998-01-29 1999-04-27 Sony Corporation Automatic convergence adjustment system with the capacity to modify test patterns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JP3395832B2 (ja) * 1998-08-28 2003-04-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補正システム、画像表示補正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JP2001257088A (ja) * 2000-03-10 2001-09-21 Stanley Electric Co Ltd 放電灯起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1764A (en) * 1990-10-22 1991-08-20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Horizontal misconvergence correction system for color video display
JPH07264608A (ja) * 1994-03-25 1995-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バージェンス調整回路
JPH08256346A (ja) * 1995-03-17 1996-10-01 Toshiba Corp ディ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装置
KR19990037380A (ko) * 1997-10-27 1999-05-25 제이 에이. 밀러 다중 주사 모니터를 위한 적응 컨버젼스 조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53932B2 (en) 2004-06-22
JP2001333434A (ja) 2001-11-30
US20020036723A1 (en) 2002-03-28
TW560181B (en) 2003-11-01
CN1334673A (zh) 2002-02-06
CN1184822C (zh)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2984A (en) Digital 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for color television receiver with cursor on screen
JP4932517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周波数調整方法
KR20010105282A (ko)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US67538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orrection of display characteristics
JPH11161220A (ja) デジタル表示装置
US6411267B1 (en) Monitor adjustment by data manipulation
JP2005027195A (ja) 映像信号変換装置、表示装置及び映像信号変換方法
US6556191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number of horizontal valid pixels detect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2002004766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ynamic convergence and system thereof
JP3634575B2 (ja) デジタル画像補正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H0514912A (ja) デイ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装置
US20040212742A1 (en) Video signal processor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JP2874672B2 (ja) 表示装置における自動位相調整システム
JPS6112191A (ja) デジタルコンバ−ジエンス装置
US20110148911A1 (en) Image processing circuit
JPH11252577A (ja) 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JPH11122562A (ja) 画像補正装置
JPH11275386A (ja) 自動輝度調整装置
JP2000047644A (ja) 液晶表示装置
JPH11136695A (ja) ダイナミックランディング補正装置
JP2001188503A (ja) 画像表示装置、水平有効画素数検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H10340074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3449828B2 (ja) ディ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装置
JPH057367A (ja) デイジタル画像補正装置
JPH1013853A (ja) Rgb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