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715A -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715A
KR20010103715A KR1020017007408A KR20017007408A KR20010103715A KR 20010103715 A KR20010103715 A KR 20010103715A KR 1020017007408 A KR1020017007408 A KR 1020017007408A KR 20017007408 A KR20017007408 A KR 20017007408A KR 20010103715 A KR20010103715 A KR 20010103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arm
rear holder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7374B1 (ko
Inventor
마치다유키후미
와타나베미치야스
다나카요시카즈
사와다료
Original Assignee
구로에 츠토무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6074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936964B2/ja
Application filed by 구로에 츠토무,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로에 츠토무
Publication of KR20010103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01R13/4368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하우징(3)에 후단면(24)측으로부터 삽입된 리어홀더(4)는 하우징(3)에 대해서 중간까지 삽입되고, 접속단자(2)의 하우징(3)으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임시 걸어맞춤 위치와 충분히 삽입해서 접속단자(2)를 거는 본걸어맞춤위치에서 걸어맞춤된다. 하우징(3)의 내부에는 접속단자(2)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수용구멍(28)을 2열로 형성한다. 리어홀더(4)는 대략 판체상으로 형성되고, 리어홀더(4)는 틈새 간격(29)으로 진행하는 홀더 본체(41)와, 단자 수용구멍(28)으로 진행하는 걸음 아암(45)을 설치하고, 이 걸음아암(45)의 폭은 단자수용구멍(28)보다도 약간 좁게한다. 하우징(3)의 외벽(21)에는 외부와 단자수용구멍(28)을 연통하는 창문부(37)를 설치하고, 이 창문부(37)를 이용해서 접속단자(2)와 걸음아암(45)의 걸음상태의 해제와 접속단자(2)의 도통검사를 실시한다.

Description

전기커넥터{ELECTRIC CONNECTOR}
종래, 예를들면 와이어 하니스의 전기커넥터에서는 하우징내에 수용한 접속단자를 가요성을 갖는 걸음아암에 의하여 걸음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 통상이다. 이 걸음아암은 하우징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많다. 그러나, 이 경우는 걸음아암을 복잡한 구조의 하우징내에 설치하기 때문에 금형이 극히 폭주하고 또한 고가로 된다. 더욱더,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구멍내에 걸음아암을 형성함으로, 단자 수용구멍의 폭에 대하여 걸음아암의 폭이 극히 작게되어야 하고, 충분한 걸음력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이 하우징 제작의 곤란성, 걸음아암의 크기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걸음아암을 별체의 리어홀더에 설치하여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하우징(a)의 구멍부(b)에 리어홀더(c)가 전후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고, 이 리어홀더(c)는 하우징(a)에 도시하지 않는 걸어맞춤수단에 의하여 2단계의 위치에 걸어맞춤 가능으로 되어 있다. 제1의 위치는 리어홀더(c)가 하우징(a)에 대하여 도중까지 삽입된 임시 걸어맞춤위치로되고, 제2의 위치는 리어홀더(c)가 하우징(a)에 대하여 완전히 밀어넣어진 본 걸어맞춤위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d)이 접속된 접속단자(e)는, 리어홀더(c)의 임시 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 리어홀더(c)의 각통부(f)내에 삽입되고, 접속단자(e)의 구멍부(g)에 걸음아암(h)의 돌기(i)가 걸어맞춤된다. 이 상태에서 리어홀더(c)가 본 걸어맞춤위치로 밀어넣어지면, 걸음아암(h)의 앞부분(j)이 하우징(a)의 가이드부(k)에 올라앉고 걸음아암(h)의 걸음력이 보강된다.
그러나, 리어홀더(c)는 각통부(f)를 갖으므로 금형구조의 간소화에 대해서는 충분히 해결되어 있지 않다. 즉 금형은 뽑아내기 구조를 갖고, 반드시 충분히 간소화되었다고는 할수 없다. 또 걸음아암(h)과 접속단자(e)의 걸음상태로 해제하는 경우에 지그를 리어홀더(c)의 후면측에서 각통부(f)내에 삽입하기 때문에, 지그에 따라서는 리어홀더(c)나 접속단자(e)를 상처 입힐 염려가 적지 않게 있다. 마찬가지로 걸음아암을 하우징에 일체로 갖는 전기커넥터에 있어서도 접속단자를 하우징으로부터 뽑아내는 경우에는 지그를 하우징의 후부로부터 전선에 따라 삽입하고, 혹은 하우징의 앞면측의 상대측 접속단자의 삽입구로부터 삽입하여 지그에 의하여 걸음아암과 접속단자의 걸음상태를 해제시키는 것과 같이 걸음아암을 휘게하여, 그후에 전선을 후방으로 당기고 접속단자를 하우징으로부터 뽑아내고 있다.
또 어느 전기커넥터도 와이어 하니스에 접속한 다수의 전선, 접속단자, 하우징 등으로부터 구성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하니스의 오배선을 방지하기 위한 도통검사가 필요로 한다. 이 도통검사의 경우에는 모든 접속단자를 하우징에 수용한후에 하우징의 상대측 접속단자의 삽입구로부터 도통검사구를 하우징내에 삽입하고, 접속단자에 끼워 맞춤함으로써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접속단자와 걸음아암의 걸음상태를 해제하는 경우에 지그를 하우징의 상태측 접속단자의 삽입구로부터 삽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삽입이 어렵고, 지그에 의하여 하우징이나 접속단자를 상처입힐 염려가 적지않게 있다. 또, 도통검사의 경우에는 도통검사구를 하우징의 앞부분으로부터 하우징내로 삽입하여 접속단자와 끼워맞추어야 하기때문에 도통검사구를 큰 힘으로 밀어 넣어야하고, 또 이미 상대측 접속단자가 끼워맞춤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상대측 접속단자를 일단 뽑아내서 검사를 행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걸음아암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걸음아암의 걸음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삽착한 접속단자와 걸음아암과의 걸음상태를 하우징에 설치한 창문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더욱더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삽착한 접속단자의 도통검사를 하우징에 설치한 창문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실시할수 있는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예를들면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에 사용 가능하고, 하우징에 수용한 접속단자를 하우징의 후부에 걸어맞춤한 리어홀더에 의하여 걸음하는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예의 부분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예의 분해단면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예의 조립 단면 사시도,
도 4는 접속단자를 제외하여 도시하는 분해 단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대응하는 분해 종단면도,
도 6은 리어홀더를 임시 걸어맞춤위치에 걸어맞춤한 종단면도,
도 7은 접속단자를 하우징에 삽입한 종단면도,
도 8은 리어홀더를 본 걸어맞춤위치에 밀어 넣은 종단면도,
도 9는 접속단자의 삽입을 도중에 정지한 작용설명도,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리어홀더를 밀어넣은 작용설명도,
도 11은 접속단자를 상하 거꾸로 삽입한 작용설명도,
도 12는 접속단자를 상하 거꾸로 삽입한 작용설명도,
도 13은 접속단자의 리어홀더의 걸음상태를 해제하는 작용설명도,
도 14는 도통검사의 공정도,
도 15는 도통검사의 공정도,
도 16은 도통검사를 종료한 후의 공정도,
도 17은 걸음아암이 걸음상태에 있지 않는 경우의 도통검사의 작용설명도,
도 18은 제2의 실시예의 조립단면사시도,
도 19는 접속단자를 제외하여 도시하는 분해단면사시도,
도 20은 리어홀더를 임시 걸어맞춤위치에 걸어맞춤한 분해 종단면도,
도 21은 접속단자를 하우징에 삽입한 종단면도,
도 22는 접속단자의 삽입을 도중에 정지한 작용설명도,
도 23은 접속단자를 상하 거꾸로 삽입한 작용설명도,
도 24는 접속단자와 리어홀더의 걸음상태를 해제하는 작용설명도,
도 25는 도통검사의 공정도,
도 26은 도통검사의 공정도,
도 27은 도통검사가 종료한 후의 공정도,
도 28은 걸음아암이 걸음상태에 있지않는 경우의 도통검사의 작용설명도.
본 발명에 관한 전기커넥터는 케이블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후부에 걸어맞추어서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유지하는 리어홀더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는 대략 판체상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간극에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수단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걸어맞춤하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각 단자 수용구멍에 각각 진입하여 상기 접속단자를 걸음하는 걸음아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커넥터는 케이블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후부에 걸어맞춤하여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유지하는 리어홀더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간극에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수단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걸어맞춤하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선단에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각 단자 수용구멍에 각각 진입하여 상기 접속단자를 걸음하는 걸음아암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상하벽에,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걸음아암의 걸음부의 근방에 있어서 외부와 상기 단자 수용구멍을 연통하는 창문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도시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조립 단면 사시도이고, 전선(1)을 후부에 접속한 숫놈형의 접속단(2)을 하우징(3)에 수용하고, 하우징(3)의 후부에 걸어맞춤한 리어홀더(4)에 의하여 접속단자(2)를 걸음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는 접속단자(2)를 제외하여 도시하는 분해 단면사시도, 도 5는 도 2에 대응하는 분해 종단면도이다.
접속단자(2)는 일매의 도전금속판으로 가공되어있고, 접속단자(2)의 각통상의 단자 본체부(11)의 앞부분에는 상대측의 도시하지 않는 암놈형의 접속단자와 접속가능한 평날한 모양의 단자접속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 본체부(11)의 후부에는 전선(1)의 심선을 압착하는 심선압착부(13)와, 전선(1)의 피복을 압착하는 피복압착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본체부(11)에는 접속단자(2)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스태비라이저(15)와 리어홀더(4)의 후술의 걸음아암의 걸음부가 걸어맞춤하는 걸음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은 전기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료로 성형되고, 복수의 접속단자(2)를 예를들면 상하 2열로 수용가능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3)은 상하의 양외벽(21), 좌우의 양외벽(22), 전단면(23) 및 후단면(24)을 갖고, 전단면(23) 측에는 상대측의 도시하지 않는 커넥터 하우징이 끼워 맞춤되는 통부(25)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3)의 내부는 상하를 사이에 두는 격벽(26)과 좌우를 사이에 두는 복수의 격벽(27)에 의하여 칸막이되고, 접속단자(2)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수용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의 외벽(21)의 내면측에는 리어홀더(4)를 받아들이는 상하의 간극(29)이 격벽(27)를 가로질러서 단자 수용구멍(28)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자수용구멍(29)의 앞부분에는 접속단자(2)의 단자접속부(12)를 삽통하는 개구(30)를 갖는 끝벽(31)이 형성되고, 끝벽(31)의 내면에는 단자접속부(12)를 개구(30)에 안내하는 안내면(31a)이 설치되어 있다. 또, 단자수용구멍(28)에는 접속단자(2)의 단자본체부(11)를 빽빽하게 수용하는 본체부 수용부(32)와, 접속단자(2)의 피복압착부(14)를 수용하는 압착부 수용부(33)와, 접속단자(2)의 스태비라이저(15)를 안내하는 스태비라이저 안내홈(34)과, 리어홀더(4)의 후술하는 걸음아암을 수용하는 아암수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상하의 외벽(21)에는 리어홀더(4)의 후술하는 걸음돌기를 걸어맞춤하는 자물쇠 고정구멍(36)과, 외부로부터 단자 수용구멍(28)에 연통하는 창문부(37)가 형성되고, 일부의 자물쇠 고정구멍(36)과 창문부(37)는 칸막이가 제거되어 연통되어 있다. 이들의 창문부(37)는 걸음아암과 접속단자(2)의 걸음을 해제하기 위한 지그,또는 도통검사구의 접촉자를 삽통시키도록 되어 있다. 청문부(37)의 전단면(23) 측에는 아암수용부(35)의 외벽을 구성함과 함께 걸음아암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벽(38)이 설치되고, 규제벽(38)에는 수직부(38a)와 수평부(38b)가 설치되어 있다. 규제벽(38)의 수직부(38a)와 수평부(38b)는 휘지않는 걸음 아암의 앞면과 외면에 각각 맞닿음하고, 수평부(38b)는 휜 걸음아암의 앞면에 맞닿음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리어홀더(4)는 2매 겹침구조의 금형을 구비한 사출성형기와 전기절연성의 합성수지재료에 의하여 대략 판체상으로 성형되고, 하우징(3)의 간극(29)에 흔들림없이 진입하는 홀더본체(41)를 갖고 있다. 홀더본체(41)의 외면에는 하우징(3)의 후단면(24)에 맞닿음할 수 있음과 함께, 자물쇠 고정구멍(36)에 걸어맞춤할수 있는 복수의 자물쇠 고정돌기(42)가 설치되어 있다. 자물쇠 고정돌기(42)의 좌우 양측에 있어서, 홀더본체(41)에는 전후 방향으로 향하는 간극(43,44)이 형성되고, 간극(43,44)에 끼워진 부분이 휨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홀더본체(41)의 전단에는 접속단자(2)를 걸음하기 위한 가요성을 갖는 복수의 걸음아암(45)이, 하우징(3)의 단자수용구멍(28)에 각각 진입할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걸음아암(45)은 하우징(3)의 단자수용구멍(28) 보다도 약간 좁은 폭으로 되고, 걸음아암(45)에는 접속단자(2)의 걸어구멍(16)에 걸어맞춤할수 있는 걸음부(45a)가 설치되어 있다. 홀더본체(41)의 후부의 외면에는 하우징(3)의 후단면(24)에 맞닿음하여 리어홀더(4)의 전방의 이동을 규제하는 플랜지(4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접속단자(2), 하우징(3) 및 리어홀더(4)의 각부의 형상이나 위치는도 6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6은 리어홀더(4)를 하우징(3)에 대하여 도중까지 삽입한 임시 걸어맞춤위치에 걸어맞춤상태를 나타내고, 이 상태에서 접속단자(2)를 하우징(3)에 삽입한다. 이때 리어홀더(4)의 자물쇠 고정돌기(42)는 하우징(3)의 후단면(24)에 맞닿음하고, 리어홀더(4)의 걸음아암(45)의 걸음부(45a)는 하우징(3)의 단자 수용구멍(28)의 전후 대략 중간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접속단자(2)를 단자수용구멍(28)에 삽입하면, 접속단자(2)의 단자본체부(11)는 걸음아암(45)의 걸음부(45a)를 외방으로 누르고, 걸음아암(45)을 외방으로 휘게하면서 전진한다. 그리고, 접속단자(2)의 걸음구멍(16)이 걸음아암 (45)의 걸음부(45a)를 통과하였을때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걸음아암(45)이 복원하여 걸음부(45a)가 걸음구멍(16)에 걸어맞춤한다.
다음에, 모든 접속단자(2)를 삽입한 후에 리어홀더(4)를 전방으로 밀어넣으면, 리어홀더(4)의 자물쇠 고정돌기(42)는 간극(43,44)에 끼워진 부분을 내방으로 휘게하면서 하우징(3)의 간극(29)으로 진입한다. 이로써, 리어홀더(4)가 접속단자(2)와 함께 본 걸어맞춤위치로 전진하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접속단자(2)의 단자 본체부(11)가 하우징(3)의 본체부 수용부(32)로 진입하여 끝벽(31)에 맞닿음한다. 또 걸음아암(45)이 아암수용부(35)에 진입하고, 걸음아암(45)의 전면이 규제벽(38)의 수직부(38a)에 맞닿음한다. 동시에 자물쇠 고정돌기(42)가 자물쇠 고정구멍(36)에 걸어맞춤함과 함께 플랜지(46)가 후단면(24)에 맞닿음한다. 이때, 규제벽(38)의 수평부(38b)는 걸음아암(45)의 외면을 누르고, 걸음아암(45)의접속단자(2)에 대한 걸음력을 양호하게 유지한다.
한편, 리어홀더(4)가 하우징(3)에 대하여 임시 걸어맞춤위치에 있을때에, 접속단자(2)를 도중까지는 삽입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9의 상단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접속단자(2)의 단자본체부(11)는 걸음아암(45)을 외방으로 휘게한 상태로 남는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리어홀더(4)를 본 걸어맞춤위치를 향하여 밀어넣으면, 도 10의 상단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걸음아암(45)의 전면이 하우징(3)의 규제벽(38)의 수평부(38b)에 맞닿음하고, 리어홀더(4)의 전진이 불가능하게 되고, 작업자에 대하여 접속단자(2)의 삽입이 불완전한 것을 인식시킨다. 더욱이 도 9, 도 10의 하단은 접속단자(2)를 하우징(3)에 정상으로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른 한편, 접속단자(2)를 상하 꺼꾸로하여 삽입한 경우에는 도 11의 상단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접속단자(2)의 단자본체부(11)와 단자 수용구멍(28)의 압착부수용부(33)의 전벽에 맞닿음하고, 접속단자(2)를 소정 위치까지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가령 접속단자(2)를 밀어넣은 경우에는 도 11의 하단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접속단자(2)가 걸음아암(45)과, 걸어맞춤하는 일 없이 전진하고, 접속단자(2)의 단자접속부(12)의 선단이 하우징(3)의 끝벽(31)에 맞닿음한다. 혹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단자 접속부(12)의 선단이 끝벽(31)에 맞닿음함과 함께 접속단자(2)의 피복압착부(14)가 리어홀더(4)의 홀더본체(41)의 내면에 맞닿음한다. 이로써, 접속단자(2)가 역삽입인 것을 작업자에 인식시킬수가 있다.
그리고, 정상으로 삽입한 접속단자(2)를 하우징(3)으로 부터 빼내는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 걸어맞춤위치에 있는 리어홀더(4)를 임시 걸어맞춤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지그(51)를 하우징(3)의 창문부(37)로부터 걸음아암(45)의 앞부분 하면에 꽂아넣고, 걸음아암(45)을 외방으로 휘게하여 접속단자(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전선(1)을 화살표 A 방향으로 뽑아낸다.
또, 전선(1)의 오배선을 방지하기 위한 도통검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리어홀더(4)의 임시 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 접속단자(2)를 하우징(3)에 삽입하고, 접촉자(52)를 갖는 도통검사구(53)를 하우징(3)의 외벽(21)의 상하에 각각 배치한다. 더욱이 이 도통검사구(53)에 있어서, 접속단자(2)가 하우징(3)내에서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열 나열하고 있는 경우에는 접촉자(52)도 동일하게 전기적으로 독립하여 배열되어 있다. 또, 상하의 도통검사구(53)는 도시하지 않는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는 부재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개폐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도통검사구(53)를 닫고 하우징(3)에 조립하면, 접촉자(52)가 하우징(3)의 창문부(37)를 통과하여 접속단자(2)의 단자본체부(11)에 각각 접촉한다. 이로써, 도통검사가 가능하게 됨으로, 도통검사구(53)에 접속하고 있는 필요한 검출회로를 통하여 와이어 하니스의 회로의 검사를 행한다.
그리고, 도통검사가 종료한 후에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압입지그(54)에 의하여 리어홀더(4)를 소정의 힘, 예를들면 실시예에서는 1kgf로 밀어넣는다. 이 경우에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접속단자(2)와 걸음아암(45)이 정상으로 걸어맞춤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걸음아암(45)이 외방으로 휜 상태로 남지만, 도통검사는 정상적인 결과로 된다. 그러나, 리어홀더(4)를 밀어넣있을 경우에걸음아암(45)의 선단이 규제벽(38)의 수평부(38b)에 맞닿음하고, 리어홀더(4)를 본 걸어맞춤위치까지 밀어넣는 것이 불가능 하게 되고, 접속단자(2)의 삽입상태의 불완전성을 작업자에 인식시킨다.
도 18은 제2의 실시예의 조립단면사시도이고, 전선(5)을 후부에 접속한 암놈형의 접속단자(6)를 하우징(7)에 수용하고, 하우징(7)의 후부에 걸어맞춤한 리어홀더(8)에 의하여 걸음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9는 접속단자(6)를 제외하여 도시한 분해단면 사시도, 도 20은 접속단자(6)를 아울러 나타내는 분해 종단면도이다. 접속단자(6)의 각통상의 단자본체부(61)의 후부에는 심선압착부(62)와 피복압착부(63)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본체부(61)의 내부에는 상대측의 도시하지 않는 숫놈형의 접속단자의 단자접속부에 압접가능한 고정접촉자(64)와 가동접편(65)이 설치되고, 단자본체부(61)의 외면에는 스태비라이저(66)가 형성되고, 이 스태비라이저(66)는 리어홀더(8)에 의하여 걸음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7)에는 상하의 외벽(71), 좌우의 외벽(72), 전단면(73) 및 후단면(74)이 설치되고, 하우징(7)의 내부는 격벽(75)과 격벽(76)에 의하여 칸막이되고, 복수의 단자수용구멍(77)이 형성되고, 상하의 외벽(71)의 내면측에는 간극(78)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수용구멍(77)의 앞부분에는 개구(80)를 갖는 끝벽(81)이 설치되고, 끝벽(81)의 외면에는 안내면(81a)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수용구멍(77)에는 접속단자(6)의 단자본체부(61) 및 후술의 걸음아암의 일부를 빽빽하게 수용하는 본체부 수용부(82)와, 접속단자(6)의 피복압착부(63)를 수용하는 압착부 수용부(83)와, 걸음아암의 다른부를 수용하는 아암수용부(84)와 리어홀더(8)의 후술의 자물쇠 고정돌기를 걸어맞춤하는 자물쇠 고정홈(85)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의 외벽(71)에는 외부로부터 단자수용구멍(77)에 연통하는 창문부(86)가 형성되고, 창문부(86)의 전단면(73) 측에는 규제벽(87)이 설치되어 있다. 규제벽(87)은 수직부(87a)와 수평부(76b)를 갖고, 아암수용부(84)의 외벽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리어홀더(8)는 대략 판체상으로되고, 홀더본체(91)의 외면에는 자물쇠 돌기(92)와 간극(93,94)이 형성되고, 홀더본체(91)의 전단에는 가요성을 갖는 복수의 걸음아암(95)이 설치되어 있다. 걸음아암(95)은 하우징(7)의 단자수용구멍(77) 보다도 약간 좁은 폭으로 되어 있고, 걸음아암(95)에는 접속단자(6)의 단자본체부(61)의 후부를 걸음하는 제1의 걸음부(95a)와, 접속단자(6)의 스태비라이저(66)의 후부를 걸음하는 제2의 걸음부(95b)와, 스태비라이저(66)의 측부 및 앞부분을 각각 누르는 제1, 제2의 누름부(95c, 95d)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본체(91)의 후부에는 플랜지(9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의 실시예에서도 접속단자(6), 하우징(7) 및 리어홀더(8)의 각부는 도 21 내지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리어홀더(8)의 임시 걸어맞춤 위치에 있어서 접속단자(6)를 하우징(7)에 삽입하면, 접속단자(6)의 단자 본체부(61)는 걸음아암(95)을 외방으로 휘게하면서 전진하고,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접속단자(6)의 단자 본체부(61)가 걸음아암(95)의 제1의 걸음부(95a)를 통과하였을때에 걸음아암(95)이 복원하여 그 제1의 걸음부(95a)가 단자본체부(61)의 후부를 걸음한다. 동시에 제2의 걸음부(95b)가 스태비라이저(66)의 후부를 걸음하고, 제1, 제2의 누름부(95c, 95d)가 스태비라이저(66)의 측부와 앞부분을 각각 누른다.
그리고, 리어홀더(8)를 전방의 본 걸어맞춤위치에 밀어넣으면, 도 22의 하단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접속단자(6)의 단자본체부(61)가 하우징(7)의 본체부 수용부(82)로 진입하여 단변(81)에 맞닿음함과 함께, 걸음아암(95)의 제1, 제2의 누름편(95c, 95d)이 본체부 수용부(82)로 진입하고, 제2의 걸음부(95b)가 아암수용부(84)에 진입하여 규제벽(97)의 수직부(87a)에 맞닿음한다. 동시에 리어홀더(8)의 자물쇠 고정돌기(92)가 하우징(7)의 자물쇠 고정홈(95)에 걸어맞춤함과 동시에 리어홀더(8)의 플랜지(96)가 하우징(7)의 후단면(74)에 맞닿음한다. 이때, 하우징의 규제벽(81)의 수평부(87b)는 리어홀더(8)의 걸음아암(95)의 제2의 걸음부(95b)의 외면을 누르고, 접속단자(6)에 대한 걸음력을 양호하게 유지한다.
여기서, 리어홀더(8)가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을때에 접속단자(6)의 삽입을 도중에서 정지한 경우에는 도 22의 상단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접속단자(6)의 스태비라이저(66)는 걸음아암(95)을 외방으로 휘게한다.
따라서, 리어홀더(8)를 본 걸어맞춤위치로 향하여 밀어넣더라도 걸음아암(95)의 제2의 누름부(95d)가 규제벽(87)의 수직부(87a)에 맞닿음하고, 리어홀더(8)의 전진이 불가능으로되고, 리어홀더(8)가 임시 걸어맞춤위치에 있을때에 접속단자(6)의 삽입이 완전하지 않는 것을 작업자에게 인식시킨다.
그리고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접속단자(6)를 상하 거꾸로하여 삽입한 경우에는 접속단자(6)의 단자본체부(61)가 리어홀더(8)의 걸음아암(95)의 후부에 맞닿음함과 함께 접속단자(6)의 스태비라이저(66)가 하우징(7)의 격벽(75)에 맞닿음한다. 또 접속단자(6)의 심선압착부(62)가 리어홀더(8)의 홀더본체(91)에 맞닿음하고, 접속단자(6)의 삽입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하우징(7)에 정상으로 삽입한 접속단자(6)를 하우징(7)로부터 빼낼때에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우선 리어홀더(8)를 임시 걸어맞춤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지그(51')를 하우징(7)의 창문부(86)로부터 제2의 걸음부(95b)의 하면에 꽂아넣고, 걸음아암(95)을 외방으로 휘게하여 접속단자(6)와 걸음아암(95)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전선(5)을 화살표 A 방향으로 빼낸다.
또, 전선(5)의 오배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통검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리어홀더(8)의 임시 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 접속단자(6)를 하우징(7)에 삽입하고, 접촉자(52')를 갖는 도통검사구(53')를 하우징(7)의 외벽(71)의 상하에 각각 배치한다. 다음에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도통검사구(53')를 하우징(7)에 조립하면 도통검사구(53')의 접촉자(52')가 하우징(7)의 창문부(86)를 지나 접속단자(6)의 스태비라이저(66)에 각각 접촉하고, 도통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통검사를 종료한 후에,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압입지그(54')에 의하여 리어홀더(8)를 예를들면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힘으로 밀어넣는다. 이 제1 실시예에서도,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접속단자(6)와 걸음아암(95)이 정상으로 걸어맞춤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걸음아암(95)은 외방으로 휜 상태로 남지만, 도통검사는 정상적인 결과로 된다. 그러나, 리어홀더(8)를 밀어넣었을 경우에 걸음아암(95)의 제2의 누름부(95d)가 규제벽(87)의 수직부(87a)에 맞닿음하고, 리어홀더(8)를 본 걸어맞춤위치까지 밀어넣는 것이 불가능하게되고, 접속단자(6)의 삽입상태의 불완전성을 작업자에 인식시킨다.
이와같이 상술의 제1, 제2의 실시예에서는 리어홀더(4,8)를 대략 판체상으로 하였으므로, 2매 겹치는 구조의 간소한 금형에 의한 성형이 가능하게 되고, 걸음아암(45, 95)의 폭을 하우징(3,7)의 단자수용구멍(28,77)의 폭 가까이로 하는 것, 복수의 걸음부(95a, 95b)를 설치하는 것, 제1, 제2의 누름부(95c, 95d)를 설치하는 것 등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걸음아암(45, 95)을 규제벽(38, 87)에 의하여 누를수 있기때문에 걸음아암(45,95)이 걸음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하우징(3,7)은 걸음아암을 갖지않으므로 하우징(3,7)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구조가 간소화하고, 하우징(3,7)의 제조코스트를 삭감할수 있다. 또 하우징(3,7)의 끝벽(31,81)에 안내면(31a, 81a)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접속단자(2)의 삽입작업이나, 상대측 커넥터와의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더 접속단자(2,6)를 하우징(3,7)의 축선에 평행하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접속단자(2,6)의 삽입작업이 용이하게 되는데 더하여 접속단자(2,6)의 중도 삽입이나 상하 거꾸로 삽입을 방지할수 있으므로 신뢰성을 향상 시킬수가 있다.
그리고 접속단자(2,6)와 리어홀더(4,8)의 걸음상태를 하우징(3,7)의 상하의 외벽(21, 71)에 설치한 창문부(37, 86)를 통하여 해제할수 있으므로, 그 작업이 용이하게 됨에 더하여 하우징(3,7)이나, 접속단자(2,6)를 지그(51,51')에 의하여 상처입히는 일없이 접속단자(2,6)를 하우징(3,7)으로부터 빼낼수가 있다. 또, 하우징(3,7)에 삽입한 접속단자(2,6)의 상태를 창문부(37, 85)로부터 시인할수 있으므로, 접속단자(2,6)의 삽입의 실수(과오)를 방지할수 있다.
더욱더, 도통검사구(53,53')의 접촉자(52,52')를 하우징(3,7)의 외벽(21,71)에 설치한 창문부(37,86)를 통하여 접속단자(2,6)에 각각 접촉시킴으로 종래와 같은 도통검사구의 접촉자(52, 52')를 하우징(3,7)의 개구(30,80)로부터 접속단자(2,6)에 끼워맞춤할 필요가 없어지고 큰 힘으로 밀어넣지 않아도 좋다.
더욱이 제1, 제2의 실시예에서는 접속단자(2,6)를 2단으로 나열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1단의 경우에 적용할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접속단자(2,6)를 3단 이상으로 나열하는 경우에는 상하를 사이에 두는 격벽(26,75)에 창문부(37, 86)에 연통하는 창문부를 형성하면 상하의 접속단자(2,6)를 빼낸후에 지그(51,51')를 그들의 창문부에 지나게하고 접속단자(2,6)와 걸음아암(45,95)의 걸음을 해제 할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3,7)의 창문부(37, 86)의 위치 및 크기는 지그(51,51') 또는 도통검사구(53,53')를 삽통시킬수 있도록 하였지만, 지그(51,51')를 삽통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도통검사구(53,53')만을 삽통시키는 작은 구멍으로 할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리어홀더는 대략 판체상이므로 2매 겹치는 구조의 간소한 금형에 의하여 성형할수 있고, 걸음아암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가 있다. 또, 걸음아암의 폭을 단자 수용구멍의 폭 가까이로하면 걸음아암의 폭을 종래의 것보다도 크게하는 것이 가능하게되고, 걸음아암의 걸음력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커넥터는 하우징의 외벽에 창문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지그를 창문부를 통하여 접속단자와 리어홀더의 걸음상태를 해제할수 있다. 따라서 지그를 하우징의 상대측 접속단자의 개구로부터 삽입하거나, 하우징의 후부로부터 삽입하거나 할 필요가 없어지고, 하우징이나 접속단자를 상처입히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또, 하우징의 외벽에 형성한 창문부를 통하여 도통검사구의 접촉자를 접속단자에 접촉시킴으로 종래와 같이 도통검사구의 접촉자를 하우징의 상대측 접속단자의 개구로부터 하우징내에 삽입하여 접속단자에 끼워 맞춤할 필요가 없어지고, 도통검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2)

  1. 케이블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후부에 걸어맞추어서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유지하는 리어홀더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는 대략 판체상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간극에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수단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걸어맞춤하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각 단자 수용구멍에 각각 진입하여 상기 접속단자를 걸음하는 걸음아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음아암은 상기 단자수용구멍보다 약간 좁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리어홀더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중간까지 삽입한 제1의 걸어맞춤위치와, 충분히 밀어넣은 제2의 걸어맞춤위치로서 각각 걸어맞춤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가 상기 제1의 걸어맞춤위치에 있을때에 상기 접촉단자를 상기 하우징에 삽입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하벽에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걸음아암의 걸음부의 근방에 있어서, 외부와 상기 단자수용구멍을 연통하는 창문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걸음아암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벽은 휘지않는 상기 걸음아암의 외면에 맞닿음하여 그 외방으로의 휨을 규제하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벽은 휜 상기 걸음아암의 전면에 맞닿음하여 그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를 상하 거꾸로 삽입한 경우에 상기 접속단자의 상하 비대칭의 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맞닿음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0. 케이블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후부에 걸어맞춤하여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유지하는 리어홀더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간극에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수단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걸어맞춤하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선단에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각 단자 수용구멍에 각각 진입하여 상기 접속단자를 걸음하는 걸음아암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상하벽에,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걸음아암의 걸음부의 근방에 있어서 외부와 상기 단자 수용구멍을 연통하는 창문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부를 통하여 상기 걸음아암과 상기 접촉단자의 걸음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부를 통하여 상기 접속단자의 도통검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KR1020017007408A 1998-12-18 1999-12-16 전기커넥터 KR100597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074898 1998-12-18
JP98-360748 1998-12-18
JP98-360749 1998-12-18
JP36074998A JP3936964B2 (ja) 1998-12-18 1998-12-18 電気コネクタの端子導通検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715A true KR20010103715A (ko) 2001-11-23
KR100597374B1 KR100597374B1 (ko) 2006-07-06

Family

ID=2658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408A KR100597374B1 (ko) 1998-12-18 1999-12-16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558206B1 (ko)
EP (1) EP1148591B1 (ko)
KR (1) KR100597374B1 (ko)
DE (1) DE69932636T2 (ko)
WO (1) WO20000382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24136A1 (en) * 2000-02-10 2001-08-1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al connection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or terminals
DE10125001A1 (de) * 2001-05-22 2002-11-28 Delphi Tech Inc Steckverbinderteil
DE60223135T2 (de) * 2002-06-06 2008-08-0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Ein Steckverbinder, ein Entriegelungsorgan und ein Verfahren
JP3912204B2 (ja) * 2002-06-28 2007-05-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856768B2 (ja) * 2003-06-11 2006-12-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872100B2 (en) * 2003-06-13 2005-03-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erminal locking mechanism for hybrid electrical connector
JP3960430B2 (ja) * 2003-10-16 2007-08-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EP1986284B1 (en) * 2007-04-23 2014-08-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JP4943938B2 (ja) * 2007-05-11 2012-05-30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挿入装置
FR2917247B1 (fr) * 2007-06-06 2022-10-21 Amphenol Air Lb Connecteur de coupure modulaire a securite de contact amelioree.
KR101079159B1 (ko) * 2009-07-13 2011-11-02 (주)블루젬디앤씨 개선된 구조의 플러그 조립체
JP5552951B2 (ja) * 2010-08-06 2014-07-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2547504A (zh) * 2010-12-20 2012-07-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耳机
JP5656121B2 (ja) * 2011-06-02 2015-01-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57207B2 (ja) * 2011-09-22 2015-07-2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3069537A (ja) * 2011-09-22 2013-04-1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DE102012209298B4 (de) * 2012-06-01 2017-10-05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Steckverbinderanordnung sowie Verfahren zum Montieren des Steckverbinders
US9515410B2 (en) * 2013-05-08 2016-12-0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with a slider releasably locked to a housing by a resilient stopper having two points of support for resilient deflection
JP2019050169A (ja) * 2017-09-12 2019-03-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39146B2 (ja) * 2018-09-03 2021-03-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9968A (ja) 1984-03-09 1985-09-27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0189968U (ja) * 1984-05-29 1985-12-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4802869A (en) * 1987-08-17 1989-02-07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Probeable electrical connector
JPH0192773A (ja) 1987-10-05 1989-04-12 Ricoh Co Ltd 複写装置のレンズ駆動制御装置
JPH0192773U (ko) * 1987-12-14 1989-06-19
US5439397A (en) * 1990-10-01 1995-08-08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JP2670601B2 (ja) 1993-09-16 1997-10-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への端子及びスペーサの取付方法及びその為のスペーサ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3299643B2 (ja) * 1994-09-21 2002-07-08 菱星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接続端子係止構造
US5622521A (en) * 1994-09-29 1997-04-2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that facilitates fully inserting a terminal
DE69622063T2 (de) * 1995-02-06 2002-11-28 Yazaki Corp Verbinder versehen mit einem Bauelement zur Feststellung der Einfügung für Abschlussklemmen aus Metall
JPH0922765A (ja) * 1995-07-06 1997-01-21 Yazaki Corp コネクタ導通検査器及びコネクタ導通検査時の端子係止方法
JP4140667B2 (ja) * 1996-08-01 2008-08-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11238542A (ja) * 1998-02-20 1999-08-31 Yazaki Corp コネクタ
JP3542710B2 (ja) * 1998-02-20 2004-07-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266095B2 (ja) * 1998-03-27 2002-03-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58206B1 (en) 2003-05-06
DE69932636D1 (de) 2006-09-14
WO2000038279A1 (fr) 2000-06-29
US6699079B2 (en) 2004-03-02
KR100597374B1 (ko) 2006-07-06
EP1148591B1 (en) 2006-08-02
EP1148591A1 (en) 2001-10-24
US20030054691A1 (en) 2003-03-20
DE69932636T2 (de) 2007-10-18
EP1148591A4 (en) 200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374B1 (ko) 전기커넥터
KR100740853B1 (ko) 커넥터와 커넥터 조립 방법
US9124018B2 (en)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659797B2 (en) Connector with resiliently deflectable lock arm
US7014511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382174B1 (ko) 단자보유시스템을갖는전기커넥터조립체
US10971851B2 (en) Miniaturized connector with a terminal holding member
US7090543B2 (en) Wire harness connector
KR20060076222A (ko) 분리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EP0963009B1 (en)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r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and a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KR100406599B1 (ko) 이중고정부재를가지는전기커넥터
EP0986146A1 (en) Connector and method of attaching a terminal fitting therein to a cable
CN111224251A (zh) 连接器
JP2001043925A (ja) 端子係止具付き雄コネクタ、雌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KR20020024805A (ko) 커넥터
JPH0955238A (ja) 端子装置
JP3936964B2 (ja) 電気コネクタの端子導通検査装置
JP2010055940A (ja) ワイヤハーネスのコネクタホルダ並びに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2000182743A5 (ko)
WO2020246428A1 (ja) 電気コネクタ及び該電気コネクタ内の接続端子の係止方法
JPH09213401A (ja) コネクタ
JP2000235881A5 (ko)
JP2017033663A (ja) コネクタ
JPH0950849A (ja) 端子係止具付きコネクタおよびその成形装置並びに製造方法
JP2000235881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