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6222A - 분리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분리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6222A
KR20060076222A KR1020050129623A KR20050129623A KR20060076222A KR 20060076222 A KR20060076222 A KR 20060076222A KR 1020050129623 A KR1020050129623 A KR 1020050129623A KR 20050129623 A KR20050129623 A KR 20050129623A KR 20060076222 A KR20060076222 A KR 20060076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housing
cover
frame
auxiliar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086B1 (ko
Inventor
사토루 니시데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01Connector hood or shell
    • Y10S439/902Angularly disposed contact and conducto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 하우징(housing)의 불충분한 삽입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고 커버를 이용하여 보조 하우징을 이중으로 로킹할 수 있는 분리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분리 커넥터는, 커버(70)가 보조 하우징(40)의 삽입 방향으로 프레임(10)에 대하여 후방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설정된 후에 커버(70)의 전방 에지로부터 돌출하는 커버(70)의 로크 아암(72)이 보조 하우징(40)의 삽입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미끄러지고, 이로써 프레임(10)에 마련된 맞물림부(18)와 맞물려서 커버(70)를 적절한 장착 위치에 로킹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에, 임의의 보조 하우징(40)이 불충분하게 삽입된 경우에도, 커버(70)의 내면에 마련된 래치부(71)는 보조 하우징(40)의 안내면(42B)과 접촉하게 되어 보조 하우징(40)을 적절한 위치로 압박하여 보조 하우징(40)을 이중으로 로킹한다.

Description

분리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A DIVIDED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IT}
도 1은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가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2는 커버가 장착되기 전의 암형 커넥터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3은 커버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의 암형 커넥터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커버가 적절한 장착 위치에 있을 때의 암형 커넥터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커버가 장착되기 전의 암형 커넥터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6은 커버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의 암형 커넥터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7은 커버가 적절한 장착 위치에 있을 때의 암형 커넥터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8은 커버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의 암형 커넥터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9는 커버가 적절한 장착 위치에 있을 때의 암형 커넥터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10은 보조 하우징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11은 커버가 부분적으로 로킹되었을 때의 암형 커넥터의 부분 정단면도이 고,
도 12는 보조 하우징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보조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보조 하우징의 저면도이고,
도 15는 프레임의 저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ⅩⅥ-Ⅹ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프레임의 평면도이고,
도 18은 프레임과 보조 하우징이 로킹 상태(lock state)로 있는 것을 보여주는 프레임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 : 수납 챔버
13 : 유지부
18 : 맞물림부(로킹 메커니즘)
40 : 보조 하우징
42B : 안내면
55 : 암형 단자 피팅(단자 피팅)
70 : 커버
71 : 래치부
72 : 로크 아암(로킹 메커니즘)
F : 암형 커넥터
본 발명은 보조 하우징(housing)을 프레임에 수납하는 분리 커넥터와, 이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에 보조 하우징을 수납하는 분리 커넥터는 공지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이면에 장착된 와이어 커버를 이용하여 보조 하우징을 이중으로 로킹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1-196132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에는 복수의 수납 챔버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 챔버와 동수의 보조 하우징에는 보조 하우징 내에 장착된 와이어의 단부에 고정된 단자 피팅이 준비되어 있다. 각각의 보조 하우징은 뒤로부터 대응 수납 챔버 내로 삽입되고, 수납 챔버 내에 마련되는 유지 부재와 탄성적으로 맞물려서 적절한 위치로 삽입되는 때에 수납 챔버 내에 유지된다. 각각의 보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는 프레임의 이면 상에 커버를 장착함으로써 다발로 묶여 특정의 방향으로 안내된다. 각 보조 하우징의 이면과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가 커버의 내면에 마련되어 있다. 커버가 적절하게 장착되는 때에, 접촉부는 각 보조 하우징의 이면과 접촉하여 보조 하우징을 후퇴 방향에 대하여 이중으로 로킹한다. 또한, 임의의 보조 하우징이 불충분한 삽입 상태로 있으면, 접촉부는 하우징을 적절한 삽입 위치로 압박한 후에 이 보조 하우징을 이중으로 로킹한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분리 커넥터에 있어서는, 커버가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프레임의 이면에 장착되고, 커버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로킹 부재가 정합 로킹 돌기와 탄성적으로 맞물려서 커버를 로킹한다. 이러한 로킹 부재는 로킹 돌기 위로 이동한 후에 로킹 돌기와 맞물릴 때에 커버 장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피벗 경로를 그리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므로, 커버가 로킹된 후에 로킹 돌기에 대한 간격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커버가 장착 및 로킹되어 있는 경우에도, 커버 또는 접촉부가 적절한 위치 뒤의 위치에 남겨질 가능성이 있으며, 그에 따라 보조 하우징의 이면에 간격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이중 로킹의 신뢰성이 저조하게 된다. 또한, 보조 하우징이 불충분하게 삽입된 경우에도, 접촉부는 보조 하우징의 이면과 접촉할 수 없게 되고, 이로써 보조 하우징은 불충분하게 삽입된 상태로 남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조 하우징의 불충분한 삽입을 확실하게 검출하고 커버를 이용하여 보조 하우징을 이중으로 로킹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의 각 단부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을 갖는 하나 이상의 보조 하우징이 프레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각 수납 챔버 내로 삽입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커버가 프레임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장착될 수 있는 것인 분리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커버는 하나 이상의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프레임의 장착면을 따라 동작되거나 이동됨으로써 장착되고, 실질적으로 적절한 장착 위치에 도달한 때에 로킹 메커니즘에 의해 로킹되며, 상기 커버는 하나 이상의 래치부를 구비하고, 이 래치부는 보조 하우징이 프레임 내에 적절하게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버의 이동 중에 보조 하우징의 각 표면을 따라 이동하고, 보조 하우징이 프레임 내에 불충분하게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조 하우징과 간섭하는 중에 적어도 적절한 장착 위치에 도달한 때에 보조 하우징의 표면과 맞물린다.
하나 이상의 보조 하우징이 프레임의 수납 챔버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면, 커버는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즉 프레임의 장착면을 따라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동작된다. 이 경우에, 커버는 동작 방향을 따라 소정 크기를 흔들릴 수 있지만,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는 흔들리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에 마련된 래치부는 보조 하우징과 맞물릴 수 있으며, 그 결과 보조 하우징을 높은 신뢰성으로 로킹할 수 있다. 임의의 보조 하우징이 불충분하게 삽입되어 있으면, 래치부는 바람직하게는 커버의 이동 중에 외측 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보조 하우징의 대응 단부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거나 접촉하게 될 수 있으며, 이로써 불충분한 삽입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납 챔버에는, 보조 하우징이 적절한 위치로 삽입되는 때에 보조 하우징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조 하우징과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프레임의 장착면을 따라 미끄러짐으로써 장착되고, 장착면은 바람직하게는 이면에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의 단부에 고정된 단자 피팅을 갖는 보조 하우징이 프레임에 형성된 수납 챔버 내로 뒤로부터 삽입될 수 있고, 수납 챔버에는 보조 하우징이 적절한 위치로 삽입된 때에 보조 하우징을 유지하도록 보조 하우징과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유지부가 마련되어 있고, 프레임의 이면을 덮도록 커버가 장착되어 있는 것인 분리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커버는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프레임의 이면을 따라 미끄러짐으로써 장착되고, 적절한 장착 위치에 도달한 때에 로킹 메커니즘에 의해 로킹되며, 상기 커버는 래치부를 구비하고, 이 래치부는 보조 하우징이 프레임 내에 적절하게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 중에 보조 하우징의 이면을 따라 이동하고, 보조 하우징이 프레임 내에 불충분하게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조 하우징과 간섭하는 중에 적어도 적절한 장착 위치에 도달한 때에 보조 하우징의 이면과 맞물린다.
보조 하우징이 프레임의 수납 챔버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커버는 프레임의 이면을 따라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미끄러지고, 적절한 장 착 위치에 로킹된다. 이 경우에, 커버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소정 크기로 흔들릴 수 있지만,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는 흔들리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에 마련된 래치부는 적절하게 삽입된 보조 하우징의 이면의 바로 뒤에서 보조 하우징과 맞물릴 수 있고, 그 결과 보조 하우징을 높은 신뢰성으로 이중 로킹할 수 있다. 임의의 보조 하우징이 불충하게 삽입된 상태로 있으면, 래치부는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 중에 후방으로 돌출하는 보조 하우징의 후단부와 접촉하게 되고, 이로써 불충분한 삽입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래치부의 접촉면과 보조 하우징의 표면의 접촉면은 모두 보조 하우징이 불충분하게 삽입된 상태로 있는 경우에 장착되는 커버의 운동 중에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이들 접촉면 중 하나 이상은 래치부의 이동 힘에 의하여 보조 하우징을 적절한 장착 위치를 향하여 또는 그 장착 위치로 압박할 수 있는 경사 안내면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래치부의 접촉면과 보조 하우징의 후단부의 접촉면은 모두 보조 하우징이 불충분하게 삽입된 상태로 있는 경우에 장착되는 커버의 슬라이딩 운동 중에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이들 접촉면 중 하나는 래치부의 이동 힘에 의하여 보조 하우징을 적절한 장착 위치로 압박할 수 있는 경사 안내면이다.
임의의 보조 하우징이 불충분하게 삽입된 상태로 있으면, 래치부는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 중에 후방으로 돌출하는 보조 하우징의 후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적어도 래치부의 접촉면 또는 보조 하우징의 후단부의 접촉면이 경사진 안내면이므 로, 보조 하우징은 적절한 위치로 삽입되고, 그 후 커버가 계속해서 미끄러지면 슬라이딩 힘의 소정 성분에 의해 이중으로 로킹된다.
커버가 장착되는 때에, 불충분하게 삽입된 보조 하우징은 자동으로 적절한 위치로 삽입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프레임의 장착면 상의 적절한 장착 위치로부터 동작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후퇴된 위치를 향하여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먼저 장착된 후,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적절한 장착 위치를 향하여 프레임의 장착면 상에서 이동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프레임의 이면 상의 적절한 장착 위치로부터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후퇴된 위치를 향하여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먼저 장착된 후,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적절한 장착 위치를 향하여 프레임의 이면 상에서 미끄러진다.
상기 커버는 프레임의 이면 상의 적절한 장착 위치로부터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후퇴된 상기 위치를 향하여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먼저 장착되고,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적절한 장착 위치를 향하여 프레임의 이면 상에서 미끄러진다.
예컨대, 프레임 고정 부재에 고정된 상태로 커버를 부착 및 분리하는 경우와, 커버를 부착 및 분리하는 데 사용된 충분한 공간을 프레임의 측면에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의 이동 중에, 커버의 하나 이상 의 내면은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중에 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복귀 정지용 돌출부 위에서 이동한 후에, 커버가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수납 챔버의 일단부, 바람직하게는 각 수납 챔버의 실질적으로 양단부에서 실질적으로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돌출 부분이 마련되어 있어서, 보조 하우징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위치로 삽입될 때, 하나 이상의 로킹 에지가 상기 돌출 부분 상에 형성된 접촉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려서 보조 하우징을 삽입 정지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 커넥터의 조립 방법이 또한 제공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의 각 단부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을 갖는 하나 이상의 보조 하우징을 프레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각 수납 챔버 내로 삽입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또는 조립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커버를 하나 이상의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프레임의 장착면을 따라 동작 또는 이동시키고, 실질적으로 적절한 장착 위치 에 도달한 때에 로킹 메커니즘에 의해 커버를 로킹함으로써 프레임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하나 이상의 커버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래치부가, 보조 하우징이 프레임 내에 적절하게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버의 이동 중에 보조 하우징의 각 표면을 따라 이동하고, 보조 하우징 이 프레임 내에 불충분하게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조 하우징과 간섭하는 중에 적어도 적절한 장착 위치에 도달한 때에 보조 하우징의 표면과 맞물린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하우징은, 보조 하우징이 적절한 위치로 삽입되는 때에 보조 하우징과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수납 챔버의 하나 이상의 유지부에 의해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립 방법은, 장착되는 커버의 이동 중에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래치부의 접촉면과 보조 하우징 표면의 접촉면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보조 하우징이 불충분하게 삽입된 상태로 있는 경우에, 래치부의 이동 힘에 의하여 보조 하우징을 적절한 장착 위치를 향하여 또는 그 장착 위치로 압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프레임의 장착면 상의 적절한 장착 위치로부터 동작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후퇴된 위치를 향하여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먼저 장착된 후, 보조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적절한 장착 위치를 향하여 프레임의 장착면 상에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실시예의 하나의 특징을 다른 실시예에 조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8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서로 접속될 수 있는 암형 커넥터(F)와 수형 커넥터(M)가 제공된다. 암형 커넥터(F)는 바람직하게는 분리 커넥터 에 대응하고, 수형 커넥터(M)는 바람직하게는 결합 커넥터(mating connector)에 대응하며, 암형 커넥터(F)와 수형 커넥터(M)는 (바람직한 가동 부재로서의) 레버(60)의 보조 힘을 수용함으로써 접속되거나 접속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접속되는 커넥터(F, M)의 측면을 전후 방향(FBD)과 관련해서 전방측으로 지칭하고, 횡단 방향과 관련해서는 도 2의 횡단 방향을 참고로 하고, 폭 방향과 관련해서는 도 8의 수직 방향을 참고로 한다.
암형 커넥터(F)는 예컨대 합성수지제의 프레임(10)을 포함한다. 이 프레임(10)은 전체적으로 측방향으로 긴 블록의 형태이고, 하나 이상, 예컨대 4개의 수납 챔버(11)가 프레임(10)의 내측 중간 부분(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내측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공동(20, 30)이 그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프레임(10)의 실질적으로 양측에 복수의 큰 공동(20)과 복수의 중간 공동(30)이 혼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더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큰 공동(20)과 8개의 중간 공동(30)이 횡단 방향(TD)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점 대칭 또는 거울 대칭)으로 되도록 각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사이즈나 구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 피팅(도시 생략)이 상기 공동(20, 3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방 벽(22, 32)에 의해 전방 정지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으며, 및/또는 공동(20, 30)에 마련된 로킹부(21, 31)에 의해 탄성적으로 로킹 상태로 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수형 단자 피팅(도시 생략)의 수형 탭은 전방 개구(23, 33)를 통하여 각각의 암형 단자 피팅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이로써 암 형 커넥터(F)와 수형 커넥터(M) 사이의 전기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프레임(10)의 수납 챔버(11)는 전후 방향(FBD)으로 중공이고, 바람직하게는 횡단 방향(TD)을 따라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2개의 인접하는 수납 챔버(11) 사이에는 격벽(12)이 있다. 적어도 각 수납 챔버(11)의 일단부에, 바람직하게는 각 수납 챔버의 실질적으로 양 단부에 실질적으로 보조 하우징(40)의 삽입 방향(ID)을 따라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돌출부(19)가 마련되어 있다. 보조 하우징(40)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위치로 삽입되면, 로킹 에지(42)의 전방 단부면은 돌출부(19)의 후단부에 형성된 접촉부(1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려서 보조 하우징(40)을 전방 정지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각 수납 챔버(11)에 있는 돌출부(19)의 전단부에 또는 이 전단부에 인접하게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유지부(13)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각 유지부(13)의 선행 단부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에서 로킹 해제 부재(16)가 돌출한다. 하나 또는 양 유지부(12)가 (후술하는) 보조 하우징(40)의 하나 이상의 로킹 돌기(41)와 맞물리거나 맞물릴 수 있어서 보조 하우징(40)을 유지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예컨대 좌측으로부터 3개의 보조 하우징(40)의 각각에 있는 공동(50)의 측방향 (우측) 열의 폭 방향 양측에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하나 이상의 정지 벽(15)이 프레임(10)의 후방 에지의 1개 이상의 위치, 예컨대 6개의 위치에 또는 후방 에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스토퍼 벽(15)은 일부의 수납 챔버에만, 예컨대 4개의 수납 챔버(11) 중에서 좌측으로부터 3개의 수납 챔버(11)에만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보조 하우징(40)을 설명한다. 각각의 보조 하우징(40)은 삽입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 챔버(11)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 보조 하우징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측방향으로 긴 블록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보조 하우징(40)에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 바람직하게는 2개의 (상부 및 하부) 스테이지 각각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공동이 형성되어 있고, 암형 단자 피팅(55)을 탄성적으로 로킹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로킹부(51)가 인접 공동, 바람직하게는 상부 및 하부 공동에서 실질적으로 백-투-백(back-to-back)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리테이너(54)가 실질적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힌지 에지(56)를 매개로 보조 하우징(40)의 외면(상면 및/또는 저면)에 결합되어 있다. 양 리테이너(54)에는 각각의 암형 단자 피팅(55)과 실질적으로 대응하게 돌출하는 로킹 돌기(53)가 형성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로킹 돌기(53)는 리테이너(54)가 보조 하우징(40)에 대하여 폐쇄되어 있을 때 암형 단자 피팅(55)과 맞물리거나 맞물릴 수 있다.
보조 하우징(4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부분(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상측 절반)이 다른 부분(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하측 절반)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2개의 로킹 돌기(41)는, 보조 하우징(40)의 한 부분(바람직하게는 상측 스테이지 또는 상측 절반)의 폭 방향의 양 측면 각각의 전단부에서 사이에 간극을 두고 실질적으로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는 방식으로 마련되어 있다. 로킹 돌기(41)는 모두 유지부(13)에 의해 후크 고정되거나 후크 고정될 수 있고, 로킹 해제 부재(16)가 제1 및 제2(상측 및 하측) 로킹 돌기(41)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도시 생략한 로킹 해제 지그를 이용하여 로킹 해제 부재(16)를 조작함으로써, 유지부(13)가 보조 하우징(4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로킹 에지(42)가 보조 하우징(40)의 상측 스테이지의 양측면의 후단부에 또는 그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있다. 양 로킹 에지(42)는 보조 하우징(40)의 하부 스테이지의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양측면으로 실질적으로 폭 방향(WD)을 따라 실질적으로 팽출되어 있고, 그 상단부는 바람직하게는 보조 하우징(40)의 상측 스테이지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다. 각 로킹 에지(42)의 이면의 상측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수평면(42A)으로 형성되고, 보조 하우징(40)의 이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간격을 두고 있다. 각 로킹 에지(42)의 이면의 하측 부분은 완만한 경사면〔안내면(42B)〕을 매개로 보조 하우징(40)의 이면과 접속되어 있다. 전후 방향(FBD)을 따른 보조 하우징(40)의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수납 챔버(11)의 대응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실질적으로 적절한 위치에서, 보조 하우징(40)의 전방 단부면은 바람직하게는 수납 챔버(11)의 전방 단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고, 및/또는 보조 하우징(40)의 후방 단부면은 바람직하게는 수납 챔버(11)의 후방 단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다.
커버(70)가 프레임(10)의 소정 부분,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의 이면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70)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프레임(10)의 대응 표면(이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중공 구조를 가지며, 천장 표면(74)의 측방향 (좌측) 부분이 측방 하향으로(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0)에 장착된 후에, 커버(70)는 먼저 실질적으로 삽입 방향(ID)으로, 즉 프레임(10)에 대하여 후퇴 위치(RP;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위치) 뒤의 소정 위치(BP)〔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위치; 이하에서는 단순히 "후방 위치(backward position)"로 지칭함〕로부터 후퇴 위치(RP)로 전방을 향해 압박된 후,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를 따른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삽입 방향(ID)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또는 후퇴 위치(RP)로부터 적절한 장착 위치(MP;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위치)로 프레임(10)의 이면에서 측방향(우측)으로 미끄러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예컨대 8개)의 래치부(71)와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예컨대 4개)의 로크 아암(72)이 커버(70)의 폭 방향 내면(75)(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면)에 일체로 또는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로크 아암(72)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면(74) 및 측면(75)(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면)과 접속되는 중에 실질적으로 프레임(10)을 향하여 연장된다. 커버(70)의 전방 에지보다 프레임(10)을 향하여 더 연장된 후에, 로크 아암(72)은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커버(70)의 동작 방향(OD)(도 6의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전단부에서 실질적으로 90°로 굴곡되어, 로크 아암(72)은 실질적으로 전반적으로 L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굴곡부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로크 돌기(72A)가 굴곡부의 선행 단부 또는 이 단부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있다. 로크 아암(72)은, 커버(70)가 프레임(10)에 대하여 후퇴 위치(RP)에 있을 때 공동, 바람직하게는 큰 공동(20)과 중간 의 공동(30)이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10)의 부분의 폭 방향 측면(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면)을 유지하거나, 그 측면에 맞물릴 수 있어서, 프레임(10)은 폭 방향(WD)에 대하여 위치 결정될 수 있다. 로크 돌기(72A)는 커버(70)가 후퇴 위치(RP)에 있을 때 맞물림부의 측방향 (좌측) 측면에 위치되어 있다. 커버(70)가 적절한 장착 위치(MP)에 도달하면, 로크 돌기(72A)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부(18)와 탄성적으로 맞물려서, 특히 커버(70)가 후퇴 위치(RP)를 향하여 또는 후퇴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부(18)의 하측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서로를 향해 또는 내측으로, 즉 폭 방향(WD)을 따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반면에, 로크 돌기(72A)의 상측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멀어지게 또는 외측으로, 즉 폭 방향(WD)을 따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크 돌기(72A)와 맞물림부(18)가 적절한 장착 위치(MP)에서 서로 맞물려 있거나 맞물릴 수 있으므로, 이들 부재는 커버(70)의 폭 방향 양 측면이 실질적으로 폭 방향(WD)을 따라 서로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버(70)가 뒤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부(71)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장방형 단면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칼럼(column)의 형태이고, 실질적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및/또는 측방향 (좌우) 로크 아암(72)에 의해 정해지는 종방향 영역 내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각각의 래치부(71)는 커버(70)의 천장면(74) 및 양 측면(75)과 접속되어 있고, 그 전단부(71A)는 커버(70)의 전방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약간 후퇴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래치 부(71)의 전단부(71A)는 커버(70)가 프레임(10)에 대하여 후퇴 위치(RP)에 설정되어 있는 상태로 프레임(10)의 실질적으로 폭 방향 양 측면에서 프레임(10)의 이면과 실질적으로 접촉 상태로 유지되며, 커버(70)가 후퇴 위치(RP)로부터 적절한 장착 위치(MP)를 향하여 또는 그 장착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이면에 인접하게 미끄러지거나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래치부(71)는 프레임(10)의 수납 챔버(11)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커버(70)가 후퇴 위치(RP)에 있으면, 래치부(7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 챔버(11)에 수납된 각 보조 하우징(40)의 수평면(42A)의 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 하우징(40)이 수납 챔버(11) 내에 불완전하게 수납되어 있으면, 즉 불충분하게 삽입되어 있으면, 수평면(42A)은 래치부(71)의 전단부(71A)에 의해 압박되어, 커버(70)를 후퇴 위치(RP)로 장착하는 공정에서 수납 챔버(11)의 개방 에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게 된다〔이하에서는 이러한 상태를 "주요 교정 상태(primary corrected state)"로 지칭한다〕. 이 때에, 전단부(71A)는 수납 챔버(11)의 개방 에지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이로써 전체 커버(70)가 프레임(10)에 지지된다. 커버(70)가 후퇴 위치(RP)에 있으면, 예컨대 우측으로부터 3개의 래치부(71)의 전단부(71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벽(15)의 우측 단부에서 위치 결정되고, 커버(70)의 좌측 단부의 내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이면의 좌측 단부의 중앙에 배치된 복귀 정지용 돌출부(76)의 좌측에 위치된다.
커버(70)가 후퇴 위치(RP)로부터 적절한 장착 위치(MP)에 도달하면, 래치부(71)는 수납 챔버(11)의 개방 에지에서 미끄러지고, 커버(70)는 래치부(71)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우측) 측면에서 래치부(71)에 인접한 스토퍼 벽(15)의 접촉에 의해 적절한 장착 위치(MP)로 구속되거나 그 장착 위치로 실질적으로 유지된다. 한편으로, 보조 하우징(40)이 수납 챔버(11) 내에 실질적으로 적절한 깊이로 이미 삽입되어 있으면, 래치부(71)의 전단부(71A)는 보조 하우징(40)의 이면에서 미끄러지고, 따라서 보조 하우징(40)은 커버(70)가 적절한 장착 위치(MP)에 도달한 때에 유지되고 바람직하게는 이중으로 로킹된다. 그러나, 보조 하우징(40)이 수납 챔버(11)에 대하여 전술한 주요 교정 상태로 남아 있으면, 커버(70)는 후퇴 위치(RP)로부터 적절한 장치 위치(MP)로 동작 방향(OD)으로 이동하는 중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안내면(42B)에서 이동하고,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압박력이 보조 하우징(40)에 부여될 수 있다. 한편으로, 커버(70)의 좌측 단부의 내면은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중에 복귀 정지용 돌출부(76) 위에서 이동하고, 이로써 커버(70)의 복귀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암형 커넥터(F)의 조립 시에,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보조 하우징(40)의 하나 이상의 리테이너(54)가 개방되고, 이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 피팅(55)이 하나 이상의 각 공동(50)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그 후, 암형 단자 피팅(55)이 로킹부(51)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로킹된다. 그 후 리테이너(54)가 폐쇄되면, 암형 단자 피팅(55)이 리테이너(54)와 로킹부(51)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이중으로) 로킹된다. 보조 하우징(40)은 삽입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프레임(10)의 뒤로부터 각 수납 챔버(1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그 전방 단부면이 바람직 하게는 프레임(10)의 전방 단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을 때까지 압박된다. 이 때에, 보조 하우징(40)의 하나 이상의 로킹부(41)는 하나 이상의 각 유지부(13)와 맞물려서 보조 하우징(40)을 실질적으로 적절한 위치로 유지한다. 전술한 작업 전에 또는 후에,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사이즈 및/또는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 예컨대 2가지 종류의 암형 단자 피팅(도시 생략)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삽입 방향(ID)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각각의 (큰) 공동(20) 및/또는 (중간) 공동(30)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그 후, 암형 단자 피팅은 전방 벽(22, 32)에 의해 전방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고, 로킹부(21, 31)에 의해 로킹되어 암형 단자 피팅이 후방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프레임(10)의 이면을 통하여 인출된 와이어가 다발로 묶이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70) 내에 수용된 후에 커버(70)가 프레임(10)의 이면에 장착된다. 이 때에, 커버(70)는 도 2에 도시된 후방 위치(BP)로부터 도 3에 도시된 후퇴 위치(RP)를 향하여 또는 후퇴 위치로 이동한다. 이러한 후퇴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로크 아암(72)은, 바람직하게는 큰 공동(20)과 중간 공동(30)이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10) 부분의 폭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 측면과 맞물림부(18)의 측방향 (좌측) 측면에 위치되어 있고, 및/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우측으로부터 예컨대 3개의 래치부(71)의 전단부(71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벽(15)의 우측에서 보조 하우징(40)의 이면 및 프레임(10)의 이면에 실질적으로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 후에, 버버(70)의 전방 에지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0)의 대응 (후방) 표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커버(70)가 동작 방향(OD)으로 또는 측방향(우측)으로 미끄러지면, 래치부(71)는 프레임(10)의 개방 에지에서 미끄러진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래치부(71)는 도 7의 우측에서 실질적으로 스토퍼 벽(15)과 접촉 상태로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버(70)는 적절한 장치 위치(MP)에 구속되거나 그 장착 위치에 유지되고, 로크 돌기(72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부(18)와 탄성적으로 맞물려서, 커버(70)가 후퇴 위치(RP)를 향하여 또는 후퇴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으로, 커버(70)의 하나의 (좌측) 단부의 내면은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중에 복귀 정지용 돌출부(76) 위를 이동하고, 그 후 커버(70)가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복원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맞물림부(18)가 하나 이상의 로크 돌기(72A)와 맞물려서, 커버(70)의 폭 방향 양 측면이 폭 방향(WD)을 따라 서로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와이어가 폭 방향(WD)으로 흔들리는 경우에 커버(70)의 측벽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힘이 작용하지만, 이러한 힘은 맞물림부(18)와 로크 돌기(72A)의 맞물림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커버(70)가 장착되기 전에 임의의 보조 하우징(40)이 불충분하게 삽입된 상태로 있으면, 래치부(71)의 전단부(71A)는, 커버(70)가 도 2에 도시된 후방 위치(BP)로부터 도 3에 도시된 후퇴 위치(RP)로 이동하여 보조 하우징(40)을 압박하는 중에 바람직하게는 로킹 에지(42)의 수평면(42A)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커버(70)가 후퇴 위치에서 유지되면, 수평면(42A)과 프레임(10)의 개방 에지는 주요 교정 상태를 설정하도록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는데, 그 이유는 래치부(71)의 전단부(71A)가 프레임(10)의 개방 에지와 실질적으로 접촉 상태로 있기 때문이다. 그 후에, 커버(70)가 적절한 장착 위치(MP)를 향하여 또는 그 장착 위치로 동작 방향(OD)으로 미끄러지거나 이동 또는 동작하는 경우에, 래치부(71)의 전단부(71A)는 안내면(42B)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이로써 보조 하우징(40)을 삽입 방향(ID) 또는 실질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압박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힘 성분이 작용한다. 이 상태에서 커버(70)가 더욱 미끄러지면, 보조 하우징(40)은 실질적으로 적절한 위치로 삽입되고, 바람직하게는 래치부(71)의 전단부(71A)에 의해 이중으로 로킹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실시예는 다음의 기능 및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보조 하우징(40)이 프레임(10)에 대하여 불충분하게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도, 보조 하우징의 상태는 커버(70)를 장착함으로써 적절한 위치로 교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커버(70)는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보조 하우징(40)의 삽입 방향(ID)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커버(70)와 프레임(10)이 횡단 방향(TD)을 따라 흔들려야 하는 경우에도, 이들 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으며, 따라서 래치부(71)는 어떠한 여유도 없이 보조 하우징(40)과 실질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보조 하우징(40)이 불충분하게 삽입된 상태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고, 보조 하우징(40)을 확실하게 (바람직하게는 이중으로) 로킹할 수 있다. 로크 아암(72)은 바람직하게는 커버(70)가 후퇴 위치(RP)를 향하여 또는 후퇴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정지시킬 뿐 아니라, 커버(70)의 측벽이 서로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실행하므로, 커버(7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하우징의 불충분한 삽입을 확실하게 검출하고 커버를 이용하여 보조 하우징을 이중으로 로킹할 수 있는 분리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분리 커넥터는, 커버(70)의 전방 에지 또는 에지부로부터 돌출하는 커버(70)의 하나 이상의 로크 아암(72)이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커버(70)가 보조 하우징(40)의 삽입 방향(ID)으로 프레임(10)에 대하여 후방 위치(BP)로부터 후퇴 위치(RP)로 설정된 후에 보조 하우징(40)의 삽입 방향(ID)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미끄러지고, 이로써 프레임(10)에 마련된 맞물림부(18)와 맞물려서 커버(70)를 적절한 장착 위치(MP)에 로킹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에, 임의의 보조 하우징(40)이 불충분하게 삽입된 경우에도, 커버(70)의 내면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래치부(71)는 바람직하게는 보조 하우징(40)의 안내면(42B)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보조 하우징(40)을 적절한 위치를 향하여 또는 적절한 위치로 압박하여 보조 하우징(40)을 (바람직하게는 이중으로) 로킹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 다음의 실시예가 포괄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하의 실시예 이외에,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커버가 암형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커버가 수형 커넥터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지 하나의 유형의 보조 하우징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복수 유형의 보조 하우징을 포함하는 분리 커넥터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커버가 장착될 때에 불충분하게 삽입된 보조 하우징을 자동으로 압박하는 기능을 갖는 분리 커넥터를 설명하고 있지만, 분리 커넥터는 커버 장착 방향이 보조 하우징 삽입 방향에 수직인 경우에는 보조 하우징을 자동으로 압박하는 기능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4)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불충분한 삽입을 교정하기 위한 안내면이 보조 하우징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들 안내면은 래치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5)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조 하우징을 이중으로 로킹하기 위한 래치부가 커버의 천장면으로부터 커버의 전방 에지로 연장되는 리브(rib)의 형태이지만, 단지 전단부에만 래치부를 제공하는 것도 기능적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래치부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리브의 형태인 경우에, 이들 래치부는 커버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6)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암형 커넥터(F)와 수형 커넥터(M)의 접속을 돕거나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가동 부재로서 레버(60)가 마련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선형 경로에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와 같은 다른 가동 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고, 가동 부재가 전혀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분리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보조 하우징의 불충분한 삽입을 확실하게 검출하고 커버를 이용하여 보조 하우징을 이중으로 확실하게 로킹할 수 있다.

Claims (11)

  1.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의 각 단부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55)을 갖는 하나 이상의 보조 하우징(40)이 프레임(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각 수납 챔버(11) 내로 삽입 방향(ID)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커버(70)가 프레임(10)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장착될 수 있는 것인 분리 커넥터(F)로서,
    상기 커버(70)는 하나 이상의 보조 하우징(40)의 삽입 방향(ID)과 교차하는 방향(OD)으로 프레임(10)의 장착면을 따라 동작됨으로써 장착되고, 실질적으로 적절한 장착 위치(MP)에 도달한 때에 로킹 메커니즘(18; 72)에 의해 로킹되며, 상기 커버(70)는 하나 이상의 래치부(71)를 구비하고, 이 래치부는 보조 하우징(40)이 프레임(10) 내에 적절하게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버(70)의 이동 중에 보조 하우징(40)의 각 표면을 따라 이동하고, 보조 하우징(40)이 프레임(10) 내에 불충분하게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조 하우징(40)과 간섭하는 중에 적어도 적절한 장착 위치(MP)에 도달한 때에 보조 하우징(40)의 표면과 맞물리는 것인 분리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챔버(11)에는, 보조 하우징(40)이 적절한 위치로 삽입되는 때에 보조 하우징(40)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조 하우징(40)과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지부(13)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분리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70)는 프레임(10)의 장착면을 따라 미끄러짐으로써 장착되는 것인 분리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래치부(71)의 접촉면(42B)과 보조 하우징(40)의 표면의 접촉면은 모두 보조 하우징(40)이 불충분하게 삽입된 상태로 있는 경우에 장착되는 커버(70)의 운동 중에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이들 접촉면 중 하나 이상은 래치부(71)의 이동 힘에 의하여 보조 하우징(40)을 적절한 장착 위치(MP)를 향하여 또는 그 장착 위치로 압박할 수 있는 경사 안내면(42B)인 것인 분리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70)는 프레임(10)의 장착면 상의 적절한 장착 위치(MP)로부터 동작 방향(OD)에 대하여 후방으로 후퇴된 위치(BP)를 향하여 보조 하우징(40)의 삽입 방향(ID)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먼저 장착된 후, 보조 하우징(40)의 삽입 방향(ID)과 교차하는 방향(OD)으로 적절한 장착 위치(MP)를 향하여 프레임(10)의 장착면 상에서 이동하는 것인 분리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커버(70)의 이동 중에, 커버(70)의 하나 이상의 내면은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중에 프레임(10)의 하나 이상의 복귀 정지용 돌출부(76) 위에서 이동한 후에, 커버(70)가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는 것인 분리 커넥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각 수납 챔버(11)의 일단부에서 실질적으로 보조 하우징(40)의 삽입 방향(ID)을 따라 하나 이상의 돌출 부분(19)이 마련되어 있어서, 보조 하우징(40)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위치로 삽입될 때, 하나 이상의 로킹 에지(42)가 상기 돌출 부분(19) 상에 형성된 접촉부(1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려서 보조 하우징(40)을 삽입 정지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인 분리 커넥터.
  8.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의 각 단부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55)을 갖는 하나 이상의 보조 하우징(40)을 프레임(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각 수납 챔버(11) 내로 삽입 방향(ID)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커버(70)를 하나 이상의 보조 하우징(40)의 삽입 방향(ID)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프레임(10)의 장착면을 따라 동작시키고, 실질적으로 적절한 장착 위치(MP)에 도달한 때에 로킹 메커니즘(18; 72)에 의해 커버(70)를 로킹함으로써 프레임(10)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하나 이상의 커버(70)를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리 커넥터(F)의 조립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래치부(71)가, 보조 하우징(40)이 프레임(10) 내에 적절하게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버(70)의 이동 중에 보조 하우징(40)의 각 표면을 따라 이 동하고, 보조 하우징(40)이 프레임(10) 내에 불충분하게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조 하우징(40)과 간섭하는 중에 적어도 적절한 장착 위치(MP)에 도달한 때에 보조 하우징(40)의 표면과 맞물리는 것인 분리 커넥터 조립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40)은, 보조 하우징(40)이 적절한 위치로 삽입되는 때에 보조 하우징(40)과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수납 챔버(11)의 하나 이상의 유지부(13)에 의해 유지되는 것인 분리 커넥터 조립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장착되는 커버(70)의 이동 중에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래치부(71)의 접촉면(42B)과 보조 하우징(40)의 표면의 접촉면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보조 하우징(40)이 불충분하게 삽입된 상태로 있는 경우에, 래치부(71)의 이동 힘에 의하여 보조 하우징(40)을 적절한 장착 위치(MP)를 향하여 또는 그 장착 위치로 압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리 커넥터 조립 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70)는 프레임(10)의 장착면 상의 적절한 장착 위치(MP)로부터 동작 방향(OD)에 대하여 후방으로 후퇴된 위치(BP)를 향하여 보조 하우징(40)의 삽입 방향(ID)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먼저 장착된 후, 보조 하우징(40)의 삽입 방향(ID)과 교차하는 방향(OD)으로 적절한 장착 위치(MP)를 향하여 프레임(10)의 장착면 상에서 이동하는 것인 분리 커넥터 조립 방법.
KR1020050129623A 2004-12-28 2005-12-26 분리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KR100709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78838 2004-12-28
JP2004378838A JP4306608B2 (ja) 2004-12-28 2004-12-28 分割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222A true KR20060076222A (ko) 2006-07-04
KR100709086B1 KR100709086B1 (ko) 2007-04-19

Family

ID=3594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623A KR100709086B1 (ko) 2004-12-28 2005-12-26 분리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72468B2 (ko)
EP (1) EP1677392B1 (ko)
JP (1) JP4306608B2 (ko)
KR (1) KR100709086B1 (ko)
CN (1) CN100541928C (ko)
DE (1) DE60200501937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8465B2 (ja) * 2008-03-28 2010-05-2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211983B2 (ja) * 2008-09-24 2013-06-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09002548B4 (de) * 2009-04-21 2011-04-14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verbinder
JP5454446B2 (ja) 2010-10-08 2014-03-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72137B2 (ja) * 2011-05-10 2015-02-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US11247116B2 (en) 2013-03-25 2022-02-15 Nicola Crichigno Oral appliance system
JP6222176B2 (ja) * 2015-07-08 2017-11-01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6275104B2 (ja) * 2015-12-11 2018-02-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JP6680278B2 (ja) * 2017-08-29 2020-04-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装置及び雄側コネクタ
JP7004169B2 (ja) * 2018-06-19 2022-01-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接続装置
JP7428973B2 (ja) * 2020-09-28 2024-02-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700210A (nl) * 1987-01-28 1988-08-16 Du Pont Nederland Vermogensconnector.
JP2586225B2 (ja) * 1991-02-28 1997-02-26 住友電装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
US5295859A (en) * 1991-10-23 1994-03-22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 connector
JP2539421Y2 (ja) * 1991-12-27 1997-06-25 住友電装株式会社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に用いる組み合わせコネクタ
GB2292642B (en) * 1994-08-22 1998-06-03 Sumitomo Wiring Systems Connector
GB2293053B (en) * 1994-09-06 1998-10-21 Sumitomo Wiring Systems Divisional connector
US5695358A (en) * 1995-06-27 1997-12-09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ain relief for a bundle of wires
ATE367664T1 (de) * 1998-05-27 2007-08-15 Tyco Electronics Corp Elektrischer verbinder mit zweiteiligem gehäuse und klemme
US6095852A (en) * 1998-12-17 2000-08-01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bracket wire shield with connector retention arms
JP2001196132A (ja) * 2000-01-06 2001-07-19 Calsonic Kansei Corp 分割集合型コネクタ
WO2003045616A1 (en) * 2001-11-24 2003-06-05 Delphi Technologies, Inc. Improvements in wire harn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85771A (ja) 2006-07-13
KR100709086B1 (ko) 2007-04-19
US7172468B2 (en) 2007-02-06
EP1677392A1 (en) 2006-07-05
EP1677392B1 (en) 2010-02-17
CN100541928C (zh) 2009-09-16
US20060141850A1 (en) 2006-06-29
CN1808783A (zh) 2006-07-26
JP4306608B2 (ja) 2009-08-05
DE602005019376D1 (de)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086B1 (ko) 분리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US7097503B2 (en) Connector and a method of disassembling it
US7134901B2 (en) Connector with a moving plate
US6241542B1 (en) Connector with shorting terminal
US730029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of the movable member type
US7500887B2 (en)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it
US7347744B2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method
US7114998B2 (en) Divide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6942504B2 (en) Connector
EP1085617B1 (en) A connector
US6805564B2 (en) Split-typ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1162704B1 (en) A connector and a method for detaching housings thereof
JPH11354184A (ja) コネクタ
US7097476B2 (en) Connector with movable member for assisting connection with a mating connector
US7753613B2 (en) Connector
US7125292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inclination of the front part
JP6730975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該電気コネクタ内の接続端子の係止方法
US7063577B2 (en) Split-typ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it
JP2020155222A (ja) コネクタ
JP7480905B2 (ja) コネクタ
US6488547B2 (en) Connector with longitudinally spaced locks for retaining terminal fittings
JPH0850948A (ja)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4035657B2 (ja) コネクタ
JP2000067981A (ja) コネクタ
JPH1055844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