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368A - 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368A
KR20010102368A KR1020017010762A KR20017010762A KR20010102368A KR 20010102368 A KR20010102368 A KR 20010102368A KR 1020017010762 A KR1020017010762 A KR 1020017010762A KR 20017010762 A KR20017010762 A KR 20017010762A KR 20010102368 A KR20010102368 A KR 20010102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time
light
light emission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986B1 (ko
Inventor
와카이히토시
마루야마준이치
Original Assignee
나가이 아츠오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이 아츠오,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가이 아츠오
Publication of KR20010102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1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elements
    • G09G3/14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1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자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세그먼트(21a∼21g)(발광부분)를 구비하고또한 그의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100)이며, 발광표시장치(100)의 사용시간에서의 발광시간이 긴 발광부분과 발광시간이 짧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 부분간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사용 시간에서 인식되지 않도록 당초부터 발광휘도를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표시장치{LUMINOUS DISPLAY UNIT}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기판(1)상에 인듐 주석 산화물(ITO) 등의 투명도전재료로 이루어진 양극(2),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유기층(적어도 유기발광층의 단층구조, 또는 양극측으로부터 정공(正孔) 주입층, 정공 유송층, 전자 유송층 및 전자 주입층 등을 유기발광층에 맞추어 적층 형성한 다층구조로 이루어짐)(3) 및 알루미늄(Al) 등의 금속도전 재료로 이루어진 음극(4)을 적어도 구비하는 OLED(5)는 예를 들어 일본 특공평6-32307호 공보에서 알려져 있고, 양극(2)과 음극(4) 형상에 의해 소망의 패턴으로 발광할 수 있으며, 또한 수 볼트∼ 수십볼트의 직류전원(Vcc)으로부터의 정전류 구동에서의 표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OLED(5)를 사용하는 발광표시장치(100)를, 차량용 표시장치의 디지털식 주행거리계로서 이용하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2)을 날일자(日) 형상으로 배치한 7개의 세그먼트(2a∼2g)로 분할 형성하여 아라비아 숫자의 「0」∼「9」를 의사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이것을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복수자리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 예를 들어 일본 특개평9-106887호 공보에서 알려져 있다.
도 6에서는 6자리 표시의 예를 도시하고 있고, 「000000」∼「999999」를 표시할 수 있다.
각 세그먼트(2a∼2g)에서의 발광강도는 발광시간에 따라서 저하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발광시간이 1만시간에서 발광휘도는 당초의 50%의 정도로 저하한다.
각 세그먼트(2a∼2g)가 균일적인 발광시간에서 발광하는 것이면 그 발광휘도의 저하는 균일적이므로, 발광표시장치의 사용시간의 장단에 관계없이 각 세그먼트(2a∼2g) 사이에서의 발광휘도의 차이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발광시간에 큰 차이가 있으면 발광휘도의 차이가 커지고, 발광표시장치의 사용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차이는 확대되고, 그것이 동시에 발광한 경우에는 발광휘도의 차이에 의해 위화감을 느끼게 하는 경우가 있어,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품성은 크게 손상된다.
디지털식 주행거리계의 경우, 각 자리에서 10종류의 숫자 「0」∼「9」를 표시할 때의 각 세그먼트(2a∼2g)의 발광빈도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발광빈도가 큰 세그먼트(2c)는 9회, 가장 발광빈도가 작은 세그먼트(2e)는 4회이고, 각 숫자의 「0」∼「9」의 발광시간을 균일적이라고 가정한 경우에는 세그먼트(2c)의 발광시간은 세그먼트(2e)의 발광시간의 2.25배가 된다.
따라서, 동일한 자리수이면서 세그먼트(2c)의 발광휘도는 세그먼트(2e)의 발광휘도 보다도 빠르게 저하되어 그 발광휘도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 정도로 열리면,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곧, 발광휘도의 차이가 발광휘도가 높은 쪽의 발광휘도의 30%에 상당하는 값 이상이 되면, 양자간의 발광휘도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자 등의 실험에 의해 확인하고 있다.
또한, 상위 자리측에서는 숫자 「0」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 즉 숫자 「120」을 표시할 때, 상위 3자리에 숫자 「0」을 표시하는 「000120」이 아니고 블랭크 표시로서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은 「120」으로 하는 경우(소위 「리딩 제로 서프레스표시」의 경우), 하위자리에 비해 상위자리의 발광시간은 짧아지고, 상기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발광표시장치, 예를 들어 유기 전계발광소자(OLED)나 형광표시관(FLT)이나 발광 다이오드(LED) 등의 자발광소자를 사용하는 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발광상태를 설명하는 특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종래기술의 정면도 및
도 7은 종래기술의 발광상태를 설명하는 시계열도이다.
본 발명의 발광표시장치는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자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발광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그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분에서의 발광형태가 규칙적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형태로부터 구해진 상기 발광부분의 발광빈도로부터 상기 발광시간을 추정하고, 상기 발광표시장치의 사용시간에서 발광빈도가 큰 발광부분과 발광빈도가 작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인식되지 않도록 당초부터 발광휘도를 다르게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OLED(자발광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세그먼트(21a∼21g)(발광부분)를 구비하고 또한 그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100,110)에 있어서,세그먼트(21a∼21g)에서의 발광 형태가 규칙적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그 발광형태로부터 구해지는 세그먼트(21a∼21g)의 발광빈도로부터 세그먼트(21a∼21g)의 각각의 발광시간을 추정하고 발광표시장치(100,110)의 사용시간에서 발광빈도가 큰 발광부분과 발광빈도가 작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사용시간에서 인식되지 않도록 당초부터 발광휘도를 다르게 해 둠으로써, 발광표시장치(100,110)의 사용시간에서 세그먼트(21a∼21g)의 발광휘도에 큰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자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발광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그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에 있어, 상기 발광부분에서의 발광형태가 규칙적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형태로부터 구해지는 상기 발광부분의 발광빈도로부터 상기 발광시간을 추정하고, 상기 발광표시장치의 사용시간에서 발광빈도가 큰 발광부분과 발광빈도가 작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에 모아지도록 당초부터 발광휘도를 다르게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OLED(자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세그먼트(21a∼21g)(발광부분)를 구비하고 또한 그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100,110)에 있어서, 세그먼트(21a∼21g)에서의 발광형태가 규칙적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그 발광형태로부터 구해지는 세그먼트(21a∼21g)의 발광빈도로부터 세그먼트(21a∼21g)의 각각의 발광시간을 추정하고,발광표시장치(100,110)의 사용시간에서 발광빈도가 큰 발광부분과 발광빈도가 작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로 모아지도록 당초부터 발광휘도를 다르게 해 둠으로써, 발광표시장치(100,110)의 사용시간에서 세그먼트(21a∼21g)의 발광휘도에 큰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자발광소자를 사용하고, 복수의 발광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그의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분에서의 발광형태가 규칙적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형태로부터 구해지는 상기 발광부분의 발광빈도로부터 상기 발광시간을 추정하고, 상기 발광표시장치의 사용시간에서 발광빈도가 큰 발광부분과 발광빈도가 작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로 모아지도록 발광빈도가 큰 발광부분에 대해서 발광빈도가 작은 발광부분의 발광휘도를 당초부터 낮게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OLED(자발광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세그먼트(21a∼21g)(발광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그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100,110)에 있어서, 세그먼트(21a∼21g)에서의 발광형태가 규칙적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그 발광형태로부터 구해지는 세그먼트(21a∼21g)의 발광빈도로부터 세그먼트(21a∼21g)의 각각의 발광시간을 추정하고, 발광표시장치(100,110)의 사용시간에서의 발광빈도가 큰 발광부분과 발광빈도가 작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로 모아지도록 발광빈도가 큰 발광부분에 대하여 발광빈도가 작은 발광부분의 발광휘도를 당초부터 낮게 해 둠으로써 발광표시장치(100,110)의 사용시간에서 세그먼트(21a∼21g)의 발광휘도에 큰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자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발광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그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표시장치의 사용시간에서 발광시간이 긴 발광부분과 발광시간이 짧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있어서 인식되지 않도록 당초부터 발광휘도를 다르게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OLED(자발광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세그먼트(21a∼21g)(발광부분)를 구비하고 또한 그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100,110)에 있어서, 발광표시장치(100,110)의 사용시간에서의 발광시간이 긴 발광부분과 발광시간이 짧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인식되지 않도록 당초부터 발광 휘도를 다르게 해 둠으로써 발광표시장치(100,110)의 사용시간에서 세그먼트(21a∼21g)의 발광휘도에 큰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자발광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발광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그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표시장치의 사용시간에서 발광시간이 긴 발광부분과 발광시간이 짧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로 모아지도록 당초부터 발광휘도를 다르게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OLED(자발광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세그먼트(21a∼21g)(발광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그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100,110)에 있어서, 발광표시장치(100,110)의 사용시간에서 발광시간이 긴 발광부분과 발광시간이 짧은 발광부분은,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로 모아지도록 당초부터 발광휘도를 다르게 해 둠으로써 발광표시장치(100,110)의 사용시간에서 세그먼트(21a∼21g)의 발광휘도에 큰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자발광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발광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그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표시장치의 사용시간에서의 발광시간이 긴 발광부분과 발광시간이 짧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로 모아지도록 발광시간이 긴 발광부분에 대하여 발광시간이 짧은 발광부분의 발광휘도를 당초부터 낮게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OLED(자발광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세그먼트(21a∼21g)(발광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그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100,110)에 있어서, 발광표시장치(100,110)의 사용시간에서의 발광시간이 긴 발광부분과 발광시간이 짧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에 모아지도록 발광시간이 긴 발광부분에 대하여 발광시간이 짧은 발광부분의 발광휘도를 당초부터 낮게 해 둠으로써, 발광표시장치(100,110)의 사용시간에서 세그먼트(21a∼21g)의 발광휘도에 큰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자발광소자는 유기 전계발광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로서 OLED의 경우에는 발광시간(발광빈도)에 따른 발광휘도의 변화가 현저하고, 발광표시장치(100,110)의 사용시간에서 세그먼트(21a∼21g)의 발광휘도에 큰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광표시장치는 복수자리의 숫자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발광표시장치(100,110)로서 복수 자리의 숫자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장치인 경우에는 수십만 ㎞, 또는 수년간이라는 장기간의 사용이 예상되는 것으로부터 발광휘도의 변화가 현저하고, 발광표시장치(100,110)의 사용시간에서 세그먼트(21a∼21g)의 발광휘도에 큰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상술한 종래기술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100"은 본 발명에 관한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OLED5(도 5 참조)를 사용한 차량용 표시장치인 디지털식 주행거리계이다.
양극(2)(도 5 참조)은 6개의 그룹(21∼26)으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있고, 그룹(21)은 날일자(日) 형상으로 배치된 발광부분이 되는 7개의 세그먼트(21a∼21g)로 분할형성하여 아라비아 숫자 「0」∼「9」를 의사적으로 표시하고, 다른 그룹(22∼26)도 동일하며, 각 그룹(21∼26)을 가로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6자리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그룹(21)이 최하위 자리, 그룹(26)이 최상위 자리에 위치한다.
또한, "27"은 양극(2)의 일부로서 주행거리의 단위 「㎞」를 표시하는 단위기호부, "28a"는 양극(2)의 일부로서 디지털식 주행거리계가 누적 주행거리계의 모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기호「ODO」를 표시하는 오도 기호부, "28b"는 양극(2)의일부로서, 디지털식 주행거리계가 구간 주행거리계의 모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기호 「TRIP」를 표시하는 트립 기호부이고, 오도기호부(28a)와 트립기호부(28b)는 도시하지 않는 스위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환되어 한쪽만 표시되는 것이고, 동시에 그룹(21∼26)에서의 표시도 전환된다. 이 단위 기호부(27), 오도 기호부(28a), 트립 기호부(28b)도 발광부분이다.
도 2는 이러한 디지터식 주행거리계(발광표시장치)(100)의 회로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200"은 차륜의 회전수에 따라서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300"은 센서(200)로부터의 출력(펄스수)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400"은 카운터(300)의 카운트수에서 주행거리를 연산에 의해 구하고, 디지털식 주행거리계(100)에서 상기 연산에 의한 표시를 하게 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 연산제어부, "500"은 차량탑재 배터리 등으로 이루어진 전원회로, "610"은 전원회로(500)로부터 정전류를 얻기 위한 정전류회로부, "710"은 연산제어부(40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소정의 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세그먼트(21a∼21g)로 정전류 회로부(610)의 정전류 회로(610a∼610g)로부터의 전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710a∼710g)를 갖는 스위칭부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최하위 자리를 표시하는 그룹(21)에 대해서만 도시하여 다른 그룹(22∼26)을 생략하고 있지만, 다른 그룹(22∼26)에도 정전류 회로부(610)와 스위칭부(710)에 상당하는 것(정전류 회로부(620∼660), 스위칭부(720∼760), 어느 것도 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연산제어부(40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소정의 숫자를 표시하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그룹(21)에대해서 설명하지만,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다른 그룹(22∼26)의 대응부분도 동일하게 한다.
그룹(21)에서 숫자 「0」∼「9」를 표시할 때의 각 세그먼트(21a∼21g)의 발광빈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도 7 참조), 가장 발광빈도가 큰 세그먼트(21c)는 9회, 가장 발광빈도가 작은 세그먼트(21e)는 4회이고, 각 숫자 「0」∼「9」의 발광시간을 균일적이라고 가정한 경우에는 세그먼트(2c)의 발광시간은 세그먼트(2e)의 발광시간의 2.25배가 된다. 이와 같이, 각 세그먼트(21a∼21g)(발광부분)에서의 발광형태가 숫자 「0」∼「9」로 차례로 변화되도록 규칙적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형태로부터 구하는 각 세그먼트(21a∼21g)의 발광빈도로부터 발광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실선 A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21c)의 발광시간이 반감기인 1만 시간이 되어도, 세그먼트(21e)의 발광시간은 약 4444시간으로, 발광휘도는 당초의 약 82%에 그치고 있다. 이 때문에, 그룹(21)에서, 세그먼트(21c)와 세그먼트(21e)가 동시에 발광하는 숫자의 「0」「6」「8」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양자의 발광휘도의 차가 30% 이상인 경우도 있는 것으로부터 용이하게 발광휘도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생기게 하는 등의 상품성을 크게 손상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식 주행거리계(발광표시장치(100))의 사용시간에 대하여 발광시간이 짧은 세그먼트(21e)의 초기휘도를 발광시간이 긴 세그먼트(21c)의 그것보다도 작게 설정해 둔다. 즉, 세그먼트(21e)의초기발광휘도를 통상의 80% 정도로 형성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세그먼트(21e)의 발광휘도의 특성은 도 3의 파선(B)으로 도시하게 된다.
이에 의해, 당초에는 세그먼트(21c)와 세그먼트(21e)의 발광휘도의 차이는 20% 정도이고, 또한 세그먼트(21c)의 발광시간이 반감기인 1만시간에 달하여 세그먼트(21e)의 발광시간이 약 4444시간이 되어도 세그먼트(21e)의 발광휘도는 약 70%인 것으로부터 여전히 발광휘도의 차이는 20%정도로 변함없고, 이 정도의 차이면 양자의 발광휘도의 차이를 인식하는 것은 곤란하여 거의 구별이 가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생기게 하지 않고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전류 회로부(610)의 각각의 정전류 회로(610a∼610g)에서 전류값을 조절하면 좋고, 발광휘도는 전류값에 비례하므로 세그먼트(21e)로 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회로(610e)로부터의 전류값을 낮게 억제함으로써 상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세그먼트(21c)와 세그먼트(21e)의 비교로 설명했지만, 디지털식 주행거리계(100)의 예상되는 사용시간으로부터 각 세그먼트(21a∼21g)의 발광시간을 상정하고, 이 사용시간내에서 발광휘도가 높은 것과 낮은 것의 차이가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로 모아지도록, 정전류회로부(610)의 저전류 회로(610a∼610g)를 조절하고, 세그먼트(21a)∼세그먼트(21g)의 각각의 전류값 즉 발광휘도의 특성을 설치하는 것은 상관없지만, 이 실시예와 같이 최대와 최소만을 비교하여 이 2개 사이에서의 특성을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발광휘도의 차를 인식시키지 않고 상품성을 유지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발광시간이 가장 짧은 세그먼트(21e)로 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 회로(610e)로부터의 전류값을 낮게 억제함으로써, 가장 발광시간이 긴 세그먼트(21c)와의 발광휘도의 차이를 억제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반대로 발광시간이 가장 긴 세그먼트(21c)로 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회로(610c)로부터의 전류값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가장 발광시간이 짧은 세그먼트(21e)와의 발광휘도의 차를 억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은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설정은 그룹(22∼26) 각각에서도 동일하게 실시함으로써 각 그룹(22∼26)에서의 발광휘도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상위 자리측에서는 숫자 「0」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 즉 숫자 「120」을 표시할 때, 상위 3자리에 숫자 「0」을 표시하는 「000120」이 아니라 블랭크 표시로서 어떤것도 표시하고 있지 않은 「120」으로 하는 경우, 최하위 자리인 그룹(21)으로부터 상위 자리측으로 위치함에 따라서 발광시간은 짧아지고, 최상위 자리인 그룹(26)의 발광시간은 가장 짧아지고, 동일한 자리에서의 발광휘도의 차이와 동일한 문제가 자리(그룹(21∼26))간에서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를 회피하는 구성으로서는 디지털식 주행거리계(100)에서 각 자리가 발광을 시작하는 타이밍을 상정하고, 발광휘도가 높은 것과 낮은 것의 차가,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에 모아지도록, 각 자리(그룹(22∼26))에 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 회로부(620∼660)(도시하지 않음)를 조절하면 좋다. 즉, 그룹(21)에 비해, 상위 자리측의 전류값이 차례로 작아지고, 또는 그룹(26)에 비해 하위 자리측의 전류값이 차례로 커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된다.
도 4는 OLED5(도 5 참조)를 사용하여 발광표시장치를 차량용 표시장치의 디지털식 주행속도계(110)로서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즉 양극(2)(도 5 참조)은 3개의 그룹(21∼23)으로 구분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룹(21)은 날일자(日) 형상으로 배치된 발광부분이 되는 7개의 세그먼트(21a∼21g)에 분할형성하여 숫자 「0」∼「9」를 표시하고, 다른 그룹(22,23)도 동일하며, 각 그룹(21∼23)을 가로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3자리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그룹(21)이 최하위 자리, 그룹(23)이 최상위 자리에 위치한다. 또한, "29"는 양극(2)의 일부로서 주행속도의 단위 「㎞/h」를 표시하는 단위기호부이고, 이것도 발광부분이다.
주행속도계(110)의 경우, 주행거리계(100)와 달리, 각 자리에서 표시되는 숫자에 규칙성은 없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전단(前段)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각 자리단위로 각 세그먼트의 발광휘도를 조절하기 위해 공급하는 전류값을 설정하는 것은 별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주행환경에서는 100㎞/h 이상으로 주행하는 기회는 그 이하의 주행에 비해 훨씬 적은 것을 경험법칙으로 알고 있다. 즉, 주행속도계(110)의 경우, 상위 자리의 수치가 「0」인 경우에는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3자리째인 그룹(23)의 발광시간은 1자리째인 그룹(21) 및 2자리째인 그룹(22)의 발광시간에 비하여 작고, 이에 의해 그룹(21,22)과 그룹(23)에서는 발광휘도에 차이가 발생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h 미만으로 주행하는 기회는 약간이므로, 그룹(21)과 그룹(22)은 거의 동시에 표시를 실시하고 있고,그룹(21)과 그룹(22)의 발광시간에 큰 차이는 없고, 발광휘도의 차이는 인식할 수 있는 정도까지 확대되지 않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그룹(21,22)과 그룹(23) 사이의 발광휘도의 차이를 억제하는 것이 상품성의 유지에 있어서는 유효하고,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디지털식 주행속도계(110)에서의 최상위 자리가 발광을 시작하는 타이밍을 상정하고, 발광휘도가 높은 것과 낮은 것의 차이가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에 모아지도록 각 자리(그룹(21∼23))에 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 회로부(도시하지 않음)를 조절하면 좋다. 즉, 그룹(21,22)에 비해 그룹(23)의 전류값이 작고 또는 그룹(23)에 비해 그룹(21,22)의 전류값이 커지도록 설정한다. 이 때의 각 전류값은 경험법칙 등에 기초하여 결정하게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휘도의 차이가 발광휘도가 높은 쪽의 발광휘도의 30%에 상당하는 값 이상이 되면, 양자간의 발광휘도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다는 점으로부터 당초의 발광휘도의 차가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로 모아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 단위기호부(27), 오도기호부(28a), 트립 기호부(28b)(도 1 참조)나 단위기호부(29)(도 4 참조)의 표장부분은 숫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분에 비해 표시시간이 길기 때문에 발광휘도의 저하가 빨리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두 부분 사이에서의 발광휘도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두 부분에 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 회로부(도시하지 않음)를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하면 좋다. 즉, 표장 부분에 비해 숫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분의 전류값이 작고, 또는 숫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분에 비해 표장부분의 전류값이 커지도록 설정한다. 이 때의 각 전류값은 경험법칙 등에 기초하여 결정하게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휘도의 차이가 발광휘도가 높은 쪽의 발광휘도의 30%에 상당하는 값 이상이 되면, 양자간의 발광휘도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당초의 발광휘도의 차이가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로 모아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주행거리계(100)와 주행속도계(110)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복수의 발광부분을 구비함에 따라서 그것들의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디지털식 시계나 디지털식 엔진 회전계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OLED를 사용한 발광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자발광 소자를 사용한 발광표시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형광표시관(FLT)이나 발광 다이오드(LED)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유기 전계발광소자는 발광시간(발광빈도)에 따른 발광휘도의 변화가 현저하고, 이러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를 자발광 소자로 하는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자리의 숫자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장치에서는 수십만㎞, 또는 수년간이라는 장기간의 사용이 예상되는 점으로부터 발광휘도의 변화가 현저하고, 이러한 차량용 표시장치를 목적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자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발광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그것들의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에서도 발광휘도의 차이를 인식시키지 않고 장시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품성을 길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8)

  1.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자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발광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그것들의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분에서의 발광형태가 규칙적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형태로부터 구해지는 상기 발광부분의 발광빈도로부터 상기 발광시간을 추정하고, 상기 발광표시장치의 사용시간에서 발광빈도가 큰 발광부분과 발광빈도가 작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인식되지 않도록 당초부터 발광휘도를 다르게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2.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자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발광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그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분에서의 발광형태가 규칙적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형태로부터 구해지는 상기 발광부분의 발광빈도로부터 상기 발광시간을 추정하고, 상기 발광표시장치의 사용시간에서 발광빈도가 큰 발광부분과 발광빈도가 작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로 모아지도록 당초부터 발광휘도를 다르게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3.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자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발광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그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분에서의 발광형태가 규칙적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형태로부터 구해지는 상기 발광부분의 발광빈도로부터 상기 발광시간을 추정하고, 상기 발광표시장치의 사용시간에서 발광빈도가 큰 발광부분과 발광빈도가 작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로 모아지도록 발광빈도가 큰 발광부분에 대해서 발광빈도가 작은 발광부분의 발광휘도를 당초부터 낮게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4.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자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발광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그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표시장치의 사용시간에서 발광시간이 긴 발광부분과 발광시간이 짧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인식되지 않도록 당초부터 발광휘도를 다르게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5.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자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발광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그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표시장치의 사용시간에서의 발광시간이 긴 발광부분과 발광시간이 짧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로 모아지도록 당초부터 발광휘도를 다르게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6. 발광시간에 따라서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자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복수의 발광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그 발광부분의 발광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표시장치의 사용시간에서의 발광시간이 긴 발광부분과 발광시간이 짧은 발광부분은 두 발광부분간에서 발생하는 발광휘도의 차이가 상기 사용시간에서 발광휘도가 높은 것의 발광휘도의 30% 이내로 모아지도록 발광시간이 긴 발광부분에 대해서 발광시간이 짧은 발광부분의 발광휘도를 당초부터 낮게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발광 소자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표시장치는 복수자리의 숫자를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KR1020017010762A 1999-12-24 2000-12-08 발광표시장치 KR100694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65771 1999-12-24
JP36577199A JP3265575B2 (ja) 1999-12-24 1999-12-24 発光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368A true KR20010102368A (ko) 2001-11-15
KR100694986B1 KR100694986B1 (ko) 2007-03-14

Family

ID=1848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762A KR100694986B1 (ko) 1999-12-24 2000-12-08 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70337B1 (ko)
EP (1) EP1164560B1 (ko)
JP (1) JP3265575B2 (ko)
KR (1) KR100694986B1 (ko)
CN (1) CN1272756C (ko)
DE (1) DE60039592D1 (ko)
WO (1) WO20010487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2979B2 (en) 2002-12-27 2012-08-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0003B2 (ja) * 2001-08-20 2012-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有機el表示デバイス
KR100799886B1 (ko) 2002-03-04 2008-01-3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및 그 응용
CN100442327C (zh) * 2005-11-03 2008-12-10 普格科技股份有限公司 于一数字中隐含至少一标记的方法及其装置
JP6244537B2 (ja) * 2012-10-04 2017-12-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ed表示器とこのled表示器を備える加熱調理器
CN103761942B (zh) * 2014-02-14 2015-09-30 福州福大海矽微电子有限公司 具阵列式显示复用算法的数码管显示及按键控制芯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5960A (en) * 1978-02-08 1979-08-20 Futaba Denshi Kogyo Kk Fluorescent display unit
JPS5934944Y2 (ja) * 1978-10-09 1984-09-27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けい光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S57162692U (ko) * 1981-04-03 1982-10-13
JPS6059455U (ja) * 1983-09-30 1985-04-25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用蛍光表示管
JPS60140295A (ja) * 1983-12-27 1985-07-25 三洋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
JPS61133551A (ja) * 1984-12-03 1986-06-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螢光ランプ
JPS6380596A (ja) 1986-09-24 1988-04-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取付方法
JP2513832Y2 (ja) * 1986-11-14 1996-10-09 株式会社カンセイ 表示器駆動回路
JPH0632307A (ja) 1992-07-08 1994-02-08 Tokyo Autom Mach Works Ltd 包装機の胴巻き装置
JPH09106887A (ja) 1995-08-09 1997-04-22 Citizen Watch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H10293553A (ja) * 1997-04-18 1998-11-04 Tatsuno Co Ltd 蛍光表示管の駆動装置
JPH10319910A (ja) * 1997-05-15 1998-12-04 Tdk Corp 有機elディスプレイの駆動装置
JPH1187053A (ja) * 1997-09-04 1999-03-30 Tdk Corp 有機elディスプレイの駆動装置
JPH11288243A (ja) 1998-04-01 1999-10-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305722A (ja) * 1998-04-17 1999-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2979B2 (en) 2002-12-27 2012-08-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KR101245125B1 (ko) * 2002-12-27 2013-03-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US8947325B2 (en) 2002-12-27 2015-02-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9111842B2 (en) 2002-12-27 2015-08-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84010A (ja) 2001-07-06
CN1272756C (zh) 2006-08-30
JP3265575B2 (ja) 2002-03-11
KR100694986B1 (ko) 2007-03-14
WO2001048730A1 (fr) 2001-07-05
EP1164560A1 (en) 2001-12-19
EP1164560B1 (en) 2008-07-23
EP1164560A4 (en) 2004-12-01
DE60039592D1 (de) 2008-09-04
CN1340182A (zh) 2002-03-13
US6570337B1 (en)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4151B2 (en) Drive device and drive method of light emitting elements
US200601392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ght-emitting display panel
US7012584B2 (en) Organic EL panel drive circuit
KR101374444B1 (ko) 수동 매트릭스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수동매트릭스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구동기 및 수동 매트릭스전계발광 디스플레이용 구동기
KR100694986B1 (ko) 발광표시장치
CN109920374A (zh) 像素驱动电路及其控制方法、显示面板及电子设备
KR20040086184A (ko) 발광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JP3552150B2 (ja) カラー表示装置
JP4904756B2 (ja) 有機el駆動回路、有機el表示器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1282160A (ja) 電流駆動型発光表示装置
JP2001202049A (ja) 電流駆動型発光表示装置
JP2001284044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の駆動回路
US6975066B2 (en) Organic EL element
US6316879B1 (en) Driver circuit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JP2003168557A (ja) 有機elパネル
JP5633722B2 (ja) 有機elパネル
JP2005216691A (ja) 有機elパネルの駆動方法
JP2000340360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JP7099370B2 (ja) 車両用速度表示装置
JP2000136946A (ja) 車載用表示装置
JP2004294163A (ja) 車両計器用文字板、文字板製造方法、及び、文字板製造装置
JPS6217722Y2 (ko)
JP2001022298A (ja)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0430227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3941089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の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