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050A - 필름형 투약 제형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필름형 투약 제형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050A
KR20010102050A KR1020017010143A KR20017010143A KR20010102050A KR 20010102050 A KR20010102050 A KR 20010102050A KR 1020017010143 A KR1020017010143 A KR 1020017010143A KR 20017010143 A KR20017010143 A KR 20017010143A KR 20010102050 A KR20010102050 A KR 20010102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drying
substrate
film
dosage fo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0068B1 (ko
Inventor
미하엘 호르스트만
볼프강 라욱스
호르스트 드제칸
카티아 진도르프
Original Assignee
베헤르, 베슬링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헤르, 베슬링,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filed Critical 베헤르, 베슬링
Publication of KR20010102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0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70Fixation, conservation, or encapsulation of flavouring agents
    • A23L27/79Fixation, conservation, or encapsulation of flavouring agents in the form of fil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smetic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rapper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위에 용매를 함유하는 확산성 물질을 코팅 및 건조하여 필름형 투약 제형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건조 공정이 30 내지 50℃ 사이에서 제1건조기, 35 내지 80℃ 사이에서 제2건조기 및 25 내지 50℃ 사이에서 제3건조기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름형 투약 제형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FILM-TYPE DOSAGE FORMS}
경구 부위에서와 입의 점액막 위에 사용하는 편평한 형태의 투여 제형이 종래 공지되어 있다. 그 예로, US 3 444 858(Russell, 1969)은 젤라틴형 기재를 기초로 하는 약제 스트립을 기술한다.
EP 0 216 762에서, 전분, 젤라틴,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트의 수용성 필름을 롤 코팅법을 사용하여 코팅된 것이 개시되었다. 상기 문헌은 그러한 투약 제형이 또한 화학 시약, 감미제 등을 위해 제조될 수 있음을 간단히 언급한다.
시트형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매우 적절한 원리의 제형화가 EP 0 460 588에 개시되었다. 여기서, 20 내지 60중량%의 필름 포머, 2 내지 40%의 젤라틴화제, 0.1 내지 35중량%의 유효 성분(여기서, 감미제) 및 최대 40중량%의 불활성 충전제의 조성물이 특히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DE 36 30 603은 1회 투여 단위로 박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담체 기재(제거 필름) 위에 편평한 형태의 투약 제형을 고안하는 것으로 특별한 이점을 보인다.
US 4 128 445 및 4 197 289(Sturzenegger, 1978)는 유효 성분을 로딩하는데관련하여 가능한 기술적 해결을 설명한다.
약제 함유 시트형 시스템에 대하여, 수분 팽윤성 층과 수분 불용성 배리어막의 이층 구조가 또한 유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US 5 047 244).
그러한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일부의 친수성 필름 포머, 특히, 풀루란과 다른 글루칸 또한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통상의 코팅 매체에서 불충분한 습윤을 나타낸다. 이는 때 이른 분리를 일으키거나 또는 기재 분리를 어렵게 하여 결과로 비균일한 막 두께를 생성할 수 있다. 개선책으로, US 4 562 020은 루프로서 상기 공정에서 기재 순환의 사용을 추천하고, 상기 기재는 비극성 열 안정성 중합체를 기초로 하고, 공정 시, 연속해서, 표면상에 코로나 처리하여 일정하게 충분히 안정한 수분 보유력을 갖는 새로운 극성 표면을 제공한다. 건조 온도는 40 내지 110℃ 사이이고, 실시예에서 기술된 온도는 60 내지 85℃이다.
순수한 필름 기재 위에 제조된 방향막은 그들 양쪽 면 위의 매끄러움에 의한 확인된 단점을 갖는다. 그러한 제품은 후 가공 및 필름 절단에 의해 형성된 스택에서 이용에만 오로지 제한된 적절함을 갖는다. 적절한 투약 디스펜서로 소비자들에게 빈번히 제공되는 그러한 필름 단편의 스택 또는 펀치된 필름 단편은 서로 달라붙는 경향이 있고, 이는 그 단편을 안전하게 제거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그러한 필름형 투여 제형은 그들의 단위 면적당 작은 중량(일반적으로 대략 10 내지 80g/㎡) 때문에, 정전기를 띠게 되고, 동시에, 그들의 표면은 후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로에게 활주하도록 고안되어 있기 때문에, 이는 사용에서와 공정 기술에서 배제되고 있다.
상기 공정에 의해 직면된 세 번째 문제는 최대 공정율을 제공하는 반면 열에 의해 향의 로스가 억제되는 것이다. 종래 기술은 이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 아직 해결되지 않은 이들 요구로부터, 정확하고 재생 가능한 코팅 질을 가능하게 하고, 스택에서 최종적으로 제조된 필름 또는 시트 단편의 상호 접착을 방지하고, 오염 및 과도한 열 로드 없이 높은 제조율로 얻어질 수 있는 시트형 유효 성분 담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목적이 유도된다.
본 발명은 화장용, 제약 또는 식품 공학 제품에 적용하는 시트형 투여 제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첨가된 유효 성분 및 다른 보조 성분과 친수성 중합체 용액의 코팅에 이어 즉시, 비교적 따뜻한 공기(30-50℃)를 기재 위로 통과시키고, 상기 온도를 약간 올리고(35-80℃), 최종적으로, 25-50℃에서 재조정기를 거치는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진다. 공정율은 50-75% 상대 습도, 바람직하게는 60-68% 상대 습도의 상대 기재 습도(상당 습도 또는 상당 공기 습도)가 모든 경우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적절하게 조절된다.
거친 표면 기재,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열가소성 물질 및 이들 중합체의 적층물, 특히 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 코팅된 종이를 사용하여, 후에 제조되는 단일 필름 단편이 스택에서 서로 붙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어떠한 편평한 형태의 제품, 예컨대, 식료품, 약품 또는 화장품(이는 용매, 특히 물에 의해 용해되고, 고체, 친수계 물질 및 선택적으로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물질로부터 코팅 과정에서 제조될 수 있다.)으로의 용도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들 친수계 물질은 전분과 그 유도체, 아가-아가, 젤라틴, 셀룰로오스와 셀룰로오스 유도체, 알긴산, 갈락토글루코만난, 카라긴, 각각의 적용 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다른 식물 고무, 풀루란과 다른 글루칸, 덱스트란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아크릴산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등의 중합체일 수 있다. 사용된 폴리비닐알코올은 적절하게는 부분 가수분해형으로, 여기서, 히드록실기 중 1 내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략 12%가 아세틸기로 치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풀루란, 카라긴 또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높은 부분을 함유하는 문제가 되는 물질에 특히 효과적이다.
작은 분자량의 친수성 첨가제가 또한, 구조 성형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은 대개 적용 특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제공된다. 가능한 첨가제는, 특히, 설탕, 설탕알코올, 설탕 치환물, 유기산, 폴리에틸렌글리콜이다.
그들의 낮은 용해성 때문에 기재 중에 분자 분산 혼합물 또는 용액을 형성하지 않는 고체 물질이 또한 함유될 수 있다. 적절한 물질으로는 그들이 최종 생성물에서 그 자체, 고체, 분산상을 형성하는 한 예컨대, 알칼리토금속의 카르보네이트, 포스페이트, 실리케이트 또는 설페이트, 아연산화물, 티탄산화물 또는 다른 색소, 활석, 락토오스,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전분 및 전분 유도체이다.
상기 리스트는 단지 예시적이고,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동일한 기능의 물질로 완성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은 예컨대, 의약 또는 화장용 유효 성분, 식품에 식이 첨가제, 염료 또는 진단제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그들의 휘발성 때문에 공정에 다른 어려움이 있는 감미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감미제는 주로 정유(식물의 방향 성분의 휘발성, 수분 불용성 증류물)와 물과의 제한된 혼화성을 갖는 다른 휘발성, 방향 물질이다. 따라서, 그 예로 장미향 방향족 성분으로서 페닐에탄올, 페퍼민트형 신선한 감미제 중에서 멘톨, 유칼립톨(시네올), 캄펜 및 피넨, n-부틸프탈리드 또는 시네올 등의 식욕 촉진 감미제(향신료), 유칼립투스 오일, 사임 유, 메틸살리실레이트, 테르펜틴 오일 및 카모밀 오일 등의 의약적 적용을 갖는 감미제를 포함한다.
식품 및 조작된 식품 첨가제에서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에센스 및 향에 의해 넓은 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들에 대한 예는 이른바 과일 에테르로 불리고, 또한, 에틸바닐린, 6-메틸코우마린, 시트로넬롤 또는 n-부틸아세테이트 등의 다른 방향족이다. 표면 유효 성분의 첨가제가 방향족 작은 방울 분포의 일정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별한 경우에서, 특별한 표면 또는 인장 성질을 얻기 위해, 동일하거나 다른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다른 층들을 적용하는 것이 유익함이 증명되었다.
상기 물질은 용매(실질적으로 물, 또한, 예컨대, 에탄올, 아세톤 및 다른 양립할 수 있고,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 및 그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중에 고체 성분을 뿌리고, 혼합하고 또는 천천히 증해하여 조제된다. 천천히 교반하면서, 이 상에 추가되는 것은 처방에 따른 미리 무게를 잰 감미제 및 다른 액체, 지질 첨가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관점에서, 코팅 전에 고속 균질화기 위에서 상기 물질을 균질화하여 균일한 구성을 갖는 큰 이점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서, 상기 물질은 스프레드 코팅, 나이프 코팅 또는 압출 성형법을 사용하여 기재에 코팅되고, 적어도 세 개의 독립적인 온도 제어 영역으로 구성되는 건조 통로에서 건조된다.
기재는 주로 종래 기술에서 공지되고 널리 사용되는 물질,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등의 기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것으로는 다른 중합체, 종이, 파이버글라스 및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다른 구조 성형 물질과 이들 물질의 적층물이다. 표면 접착력을 조절하기 위해, 실리콘화, 플루오르화, 산 처리 또는 코로나 처리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으나, 이들은 개개 경우에서 상대적 적용 목적에 대한 그들의 생리적 내성의 확인을 요구한다.
코팅 물질에 향하는 표면이 매끄러운 표면을 갖지 않고, 굴곡되고 무딘 표면을 갖고, 어떠한 거친 표면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특별한 이점이 이루어진다. 골에서 정점까지의 높이가 0.1㎛ 내지 약 1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사이일 수 있다. 미세구조에서 둥글게 된 돌출부는 또한 미끄럼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상기 건조가 초기와 그 다음 단계에서 계속 올라가고, 마지막 단계에서 10℃ 감소되는 공정 온도로 일어나는 것에서 본 발명의 목적이 규칙적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정율이 50 내지 75%의 상대 습도,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68%의 상당 습도를 갖는 제품이 얻어지도록 조절되는 것이다.
이들 공정 조건 하에서, 얻어진 제품은 표면 안정성, 탄력성 및 파괴 저항성과 대부분 찢김 저항성을 갖는 것이었다. 생성 표면은 실제로 "냉간 유동(cold flow)"이 없었고, 따라서, 기본적인 치수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필름은 인지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 신장 없이 지지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또한 개별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당 공기 습도는 하기로 측정된다. 약 0.1㎡ 면적의 새롭게 제조된 제품 스트립을 즉시 그리고 신속하게 고무 장갑을 사용하여 포개고, 목이 넓은 유리 용기(그것의 덮개는 관통공을 가지고 있어 습도계의 측정 헤드가 그 안에 도입된다.) 안에 놓인다. 약 1분 후에, 상기 장치의 구조에 따라, 측정된 값이 읽혀질 수 있다.
세로 절단 후에 펀칭 장치 또는 단순한 가로 절단으로 다른 처리가 진행된다. 제조된 시트형 제품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사이의 두께를 갖고, 그들의 크기는 0.5 내지 12㎠가 적절하다. 계속해서, 패키징은 단일 또는 스택 예컨대, 밀봉된 파우치 또는 투약 디스펜서에서 일어난다.

Claims (7)

  1. 기재 위에 용매 함유 확산성 물질을 코팅 및 건조하여 시트형 투여 제형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30 내지 50℃ 사이에서 제1단계, 35 내지 80℃ 사이에서 제2단계 및 25 내지 50℃에서 제3단계로 건조가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투여 제형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율은 50 내지 70% 상대 습도,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68% 상대 습도의 상대 기재 습도가 유지되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투여 제형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제품은 감미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투여 제형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제품은 주성분으로서 풀루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투여 제형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물의 건조가 3단계 중 제1단계에서 30 내지 50℃, 제2단계에서 35 내지 80℃ 및 마지막 제3단계에서 25 내지 50℃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투여 제형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제품의 건조는 거친 표면을 갖는 재료 위에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투여 제형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코팅된 종이가 거친 표면을 갖는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투여 제형 제조방법.
KR1020017010143A 1999-02-12 2000-01-31 필름형 투약 제형 제조방법 KR100620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5801.6 1999-02-12
DE19905801A DE19905801B4 (de) 1999-02-12 1999-02-12 Verfahren zur Herstellung folienförmiger Darreichungsform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050A true KR20010102050A (ko) 2001-11-15
KR100620068B1 KR100620068B1 (ko) 2006-09-05

Family

ID=789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143A KR100620068B1 (ko) 1999-02-12 2000-01-31 필름형 투약 제형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EP (1) EP1150663A2 (ko)
JP (1) JP2002536402A (ko)
KR (1) KR100620068B1 (ko)
CN (1) CN1147293C (ko)
AR (1) AR022580A1 (ko)
AU (1) AU777898B2 (ko)
BR (1) BR0009962B1 (ko)
CA (1) CA2362756C (ko)
CZ (1) CZ301872B6 (ko)
DE (1) DE19905801B4 (ko)
HK (1) HK1039069A1 (ko)
HU (1) HUP0202877A2 (ko)
IL (2) IL144767A0 (ko)
MX (1) MXPA01007867A (ko)
NO (1) NO20013892L (ko)
NZ (1) NZ513465A (ko)
PL (1) PL202678B1 (ko)
RU (1) RU2226389C2 (ko)
TR (1) TR200102056T2 (ko)
TW (1) TWI254725B (ko)
WO (1) WO2000047190A2 (ko)
ZA (1) ZA2001065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4509A1 (de) * 2001-03-23 2002-10-02 Haarmann & Reime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inkapselungen
US20050031674A1 (en) 2001-12-11 2005-02-10 Ceapro, Inc Cereal beta glucan compositions,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WO2012095746A2 (en) 2011-01-11 2012-07-19 Capsugel Belgium Nv New hard capsules
WO2018189587A1 (en) 2017-04-14 2018-10-18 Capsugel Belgium Nv Process for making pullulan
WO2018189584A1 (en) 2017-04-14 2018-10-18 Capsugel Belgium Nv Pullulan capsul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5039A (ja) * 1983-09-07 1985-03-29 Mitsubishi Acetate Co Ltd 水溶性多糖類フイルム
DE3333240A1 (de) * 1983-09-12 1985-03-28 Schering AG, 1000 Berlin und 4709 Bergkamen Mittel zur transdermalen applikation von arzneimittelwirkstoffen
JPH0744940B2 (ja) * 1986-12-24 1995-05-17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貼付用基材
DE3827561C1 (ko) * 1988-08-13 1989-12-28 Lts Lohmann Therapie-Systeme Gmbh & Co Kg, 5450 Neuwied, De
US5656297A (en) * 1992-03-12 1997-08-12 Alkermes Controlled Therapeutics, Incorporated Modulated release from biocompatible polymers
DE19652257A1 (de) * 1996-12-16 1998-06-18 Lohmann Therapie Syst Lts Einzeln dosierte, bei Kontakt mit Flüssigkeit schnell zerfallende, wirkstoff- und insbesondere aromastoffhaltige, folienförmige Darreichnungs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0012900A3 (cs) 2002-01-16
HUP0202877A2 (hu) 2003-03-28
DE19905801A1 (de) 2000-08-17
PL349857A1 (en) 2002-09-23
AU3151400A (en) 2000-08-29
NO20013892D0 (no) 2001-08-09
IL144767A0 (en) 2002-06-30
NZ513465A (en) 2003-05-30
IL144767A (en) 2006-08-20
RU2226389C2 (ru) 2004-04-10
CA2362756C (en) 2009-11-24
BR0009962A (pt) 2002-04-16
AU777898B2 (en) 2004-11-04
WO2000047190A2 (de) 2000-08-17
AR022580A1 (es) 2002-09-04
CZ301872B6 (cs) 2010-07-14
TR200102056T2 (tr) 2001-11-21
TWI254725B (en) 2006-05-11
CN1147293C (zh) 2004-04-28
WO2000047190A3 (de) 2000-12-14
CN1336820A (zh) 2002-02-20
MXPA01007867A (es) 2002-07-02
DE19905801B4 (de) 2008-03-13
NO20013892L (no) 2001-08-09
PL202678B1 (pl) 2009-07-31
BR0009962B1 (pt) 2014-07-29
JP2002536402A (ja) 2002-10-29
HK1039069A1 (zh) 2002-04-12
EP1150663A2 (de) 2001-11-07
KR100620068B1 (ko) 2006-09-05
CA2362756A1 (en) 2000-08-17
ZA200106580B (en) 200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0329B2 (en) Method for producing film-type dosage
JP4577913B2 (ja) 個々に投薬でき、液体に接触すると急速に分解する活性物質含有および特に芳香物含有膜状投与形態
EP0460588B1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schnellzerfallende folienförmige Darreichungsformen
Anker et al. Relationship between the microstructure and the mechanical and barrier properties of whey protein films
WO2007067494A1 (en) Topical film compositions for delivery of actives
CN101516331A (zh) 含有抗泡沫调味剂的可食用水溶性膜
EP1968558B1 (en) Ph modulated films for delivery of actives
Suksaeree et al. Improving the hydrophilic properties of deproteinized natural rubber latex films for lidocaine transdermal patches by starch blending
KR100620068B1 (ko) 필름형 투약 제형 제조방법
KR20030003969A (ko) 치아 미백 용 패취의 제조방법
US20040126497A1 (en) Method for producing film-type dosage
Věříš Characterization of PLGA-based film forming systems
JPS5878663A (ja) 速乾性皮膜形成基剤
AU2009323051A1 (en) Bioadhesive p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