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541A - 환기팬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환기팬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541A
KR20010096541A KR1020000079486A KR20000079486A KR20010096541A KR 20010096541 A KR20010096541 A KR 20010096541A KR 1020000079486 A KR1020000079486 A KR 1020000079486A KR 20000079486 A KR20000079486 A KR 20000079486A KR 20010096541 A KR20010096541 A KR 20010096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xhaust frame
exhaust
auxiliary
attachmen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1987B1 (ko
Inventor
스즈무라에이지
스즈키에이이치
Original Assignee
이케다 히로시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케다 히로시,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이케다 히로시
Publication of KR2001009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Ventilation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천정판에 환기팬을 부착하는 환기팬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천정판(4)에 설치되는 부착용 개구부(5)에 삽입된 제 1, 제 2 보조부착수단(30, 40)을 통하여 천정판에 부착 고정되는 배기틀(20)과 환기팬(1)을 구비하여 배기틀 내에 삽입함으로써 배기틀에 걸어 두는 본체틀(11)을 구비하고, 제 1 보조부착수단은 배기틀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23)에 연통하는 걸어맞춤용 긴구멍(34)을 구비하고, 제 2 보조부착수단은 그 상단부에 설치되어 제 1 보조부착수단과 배기틀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에 삽입되는 동시에 걸려지는 걸어맞춤부(41)와, 중간부에 설치되어 각 걸어맞춤용 긴 구멍을 삽입 통과하여 배기틀 내부로 돌출하는 걸어맞춤부(44)와 하단부에 설치되어 천정판 상에 얹히는 수용부(43)를 구비하여, 천정판에 대한 환기팬의 부착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며, 안정한 부착을 가능하게 한 환기팬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기팬 부착장치{A DEVICE FOR FIXING A VENTILATING FA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천정판에 환기팬을 부착하는 환기팬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환기팬 부착장치가 이용된다. 이것은 하면이 개구된 상자체로 이루어지고 있고, 그 상면부에 환기팬(1)이 부착되는 본체틀(a)과, 상기 본체틀(a)의 한측부에 설치되는 구멍부에 대향하여 배기구체(2)를 구비하고, 상단부가 본체틀(a) 상단에 걸리는 걸어맞춤부(3)를 갖고, 본체틀의 측면에 밀착하는 배기판(b)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틀(a)은 천정판(4)에 설치되는 부착용 개구부(5)에 삽입되고, 이 하단 개구부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체로 설치되는 플랜지부(6)가 천정판(4)의 부착용 개구부(5) 주변에 대향한다. 한편, 배기판(b)의 하단부를 따라서 절곡 플랜지부(7)가 설치되고, 천정판(4)과 본체틀 플랜지부(6)와의 사이에 끼워진다.
본체틀 플랜지부(6)와 배기판 구부림 플랜지부(7)에 서로 연통하는 부착용 구멍(8)이 설치되어 있고, 실내측에서 나무나사 등의 부착수단(9)이 삽입되고, 또한 천청판(4)의 나무틀(4a) 등에 끼워붙임으로써 본체틀(a)과 함께 배기판(b)이 천정판(4)에 설치된다.
또한, 본체틀(a)내에는 환기팬(1)에 대향하여 풍향 안내판(10)이 부착되고, 또한 하면 개구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필터 및 화장판이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하면 개구부를 폐쇄한다. 한편, 배기판(b)의 배기구체(2)에는 도시하지 않은 덕트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환기팬(1)을 구동시킴으로써 본체틀(a)내로 흡입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 안내한다.
이렇게 환기팬(1)의 작용 자체에는 어떠한 문제도 없지만, 환기팬 부착장치의 천정판(4)에 대한 부착작업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즉, 미리 배기판(b)의 걸어맞춤부(3)를 본체틀(a) 상단에 걸은 상태로 하여 이것을 천정판(4)의 부착용 개구부(5)에 삽입한다. 이 때 배기구체(2)가 개구부(5) 둘레가장자리에 맞닿지 않도록 본체틀(a)을 기울여 삽입하는 것은 물론이다.
배기판(b)의 절곡 플랜지부(7)와 본체틀(a)의 플랜지부(6)가 천정판(4)에 맞닿으면 작업자는 한손으로 본체틀(a)을 밀어올려 가유지하고, 한손으로 부착수단(9)을 부착용 구멍(8)에 삽입하고 동시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부착수단(9)을 천청판(4)에 대하여 체결 고정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손으로 공구를 사용하면서 한손으로 본체틀(a)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가유지하지 않으면 안되어 극히 작업하기 어렵다는 문제(결점)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천정판에 대한 환기팬의 부착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여, 안정된 부착을 가능하게 한 환기팬 부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환기팬 부착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환기팬 부착장치를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조립 도중의 배기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본체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본체틀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조립 도중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제 1, 제 2 보조부착수단의 사시도,
도 8a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제 1 보조부착수단의 정면도,
도 8b는 제 2 보조부착수단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기틀에 설치되는 제 1, 제 2 보조부착수단의 단면도,
도 10a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환기팬 부착장치의 일부 단면도,
도 10b는 조립 도중의 일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제 1, 제 2 보조부착수단의 사시도, 및
도 12는 종래의 환기팬 부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천정판 5: 부착용 개구부
20: 배기틀 23: (배기틀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
30: 제 1 보조부착수단 34: (제 1 보조부착수단의) 걸어맞춤용 긴구멍
40: 제 2 보조부착수단 41: 걸어맞춤부
본 발명의 환기팬 부착장치는 상기 목적을 만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청구항 1로서 천정판에 설치되는 부착용 개구부에 삽입되는 동시에 보조부착수단을 통하여 천정판에 부착 고정되는 배기틀과, 환기팬을 구비하여 상기 배기틀내로 삽입함으로써 배기틀에 걸리는 본체틀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부착수단은 상기 배기틀에 설치되는 걸어맞춤용 긴 구멍, 상기 배기틀에 걸려 배기틀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에 연통하는 걸어맞춤용 긴 구멍을 구비한 제 1 보조부착수단 및 상단부에 설치되어 제 1 보조부착수단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과 배기틀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에 삽입하는 동시에 걸리는 걸어맞춤부와, 중간부에 설치되어 각 걸어맞춤용 긴 구멍을 삽입 통과하여 배기틀 내부로 돌출하는 걸어맞춤부와,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천정판 위에 얹히는 수용부를 구비하여 배기틀을 천정판에 부착 고정되는 제 2 보조부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환기팬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틀의측면부에 배기틀로의 삽입시에 배기틀의 측면부 내면에 맞닿는 리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으로서 청구항 2에 기재된 환기팬 부착장치에 있어서, 본체틀 측면부에 설치되는 리브를 상단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로서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환기팬 부착장치에 있어서,본체틀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리브는 배기틀로의 삽입시에 제 1 보조부착수단의 배기틀 걸어맞춤부에 맞닿아 배기틀의 측면부를 강제적으로 넓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환기팬 부착장치에 있어서, 배기틀과 제 1 보조부착수단에 설치되는 걸어맞춤용 긴 구멍은 그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폭크기가 점차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환기팬 부착장치에 있어서, 배기틀과 제 1 보조부착수단에 설치되는 걸어맞춤용 긴 구멍은 좌우 한쌍으로 상하방향에 걸쳐 설치되는 동시에 그 상부만 하부보다도 폭크기가 넓게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용 긴 구멍의 상부에서 삽입되는 제 2 보조부착수단의 걸어맞춤부는 좌우에 한쌍 설치되는 동시에 그 삽입측 단부에 걸어맞춤용 긴 구멍의 상부 폭크기보다도 좁은 폭크기인 동시에 걸어맞춤용 긴 구멍의 상부의 상호 간격크기보다도 넓은 간격크기의 절곡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환기팬 부착장치에 있어서, 제 1 보조부착수단은 그 선단에 바깥쪽으로 절곡 형성되는 걸어맞춤 폴(pawl)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보조부착수단은 배기틀을 천정판 부착용 개구부로 삽입할 때에 상기 걸어맞춤 폴에 걸리는 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환기팬 부착장치에 있어서, 제 1 보조부착수단은 배기틀에 걸린 상태에서 배기틀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틀은 배기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폴부에 걸리는 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로서 청구항 8에 기재된 환기팬 부착장치에 있어서, 배기틀은 제 1 보조부착수단에 설치되는 폴부를 지지하고, 또한 본체틀의 삽입 시에 돌기부를 가이드하는 테이퍼형상의 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으로서 청구항 1, 청구항 5 및 청구항 6에 기재된 환기팬 부착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보조부착수단에 설치되는 걸어맞춤용 긴 구멍은 그 양측가장자리를 따라서 톱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작업자가 환기팬을 천정판에 부착함에 있어서 작업자는 양손을 이용하여 동일한 작업을 순차 실시하여 필연적으로 환기팬의 부착이 가능하고, 부착 작업성의 용이화를 도모하며 안정된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은 환기팬 부착장치의 단면도, 도 2는 환기팬 부착장치를 분해한 도면, 도 3은 부착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환기팬 부착장치는 본체틀(11)과 배기틀(20) 및 보조부착수단을 구성하는 제 1 보조부착수단(30)과 제 2 보조부착수단(40)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구성부품을 순차 설명한다.
상기 본체틀(11)은 하면이 개구되어 있는 상자체이며, 그 상면부에 환기팬(1)이 설치되고, 또한 환기팬에 대향하는 본체틀(11) 내에 풍향안내판(10)이 부착된다. 하단 개구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필터 및 화장판이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개구부를 폐쇄하고, 또한 하단 개구부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체로 설치되는 플랜지부(6)가 천정판(4)의 부착용 개구부(5)의 둘레가장자리에 대향한다.
특히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틀(11)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부(11a)의 거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에 걸쳐 소정폭의 오목함몰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함몰부(12)의 한측 하단에 근접한 위치에 삼각형상으로 접어 구부린 돌기부(13)가 돌출한다. 여기에서는 본체틀(11)에 구멍부(14)가 설치되고, 이 구멍부로부터 별도 부재의 판조각(15)에 설치되는 돌기부(13)가 돌출하고 있다.
상기 배기틀(20)은 하단부와 함께 상단부가 개구하는 틀체이며, 상기 본체틀(11)의 내측에 끼워넣는 크기형상을 이룬다. 하단 개구부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플랜지부(21)가 설치되고, 조립된 상태에서 천정판(4)의 판면에 밀착하여, 이것에 본체틀(11)의 플랜지부(6)가 밀착하여 실내로부터 차폐한다. 또한 본체틀(11)과 배기틀(20)의 어떠한 플랜지부(6, 21)에 있어서도 종래와 같은 부착수단을 삽입 통과하기 위한 부착용 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배기틀(2)의 한측부에 배기구체(2)가 설치되어 있고, 조립된 상태에서 본체틀(11)의 측면부(11)에 설치되는 배기구멍(16)에 대향한다. 이 배기구체(2)가 설치되는 측면부(20a)와는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면부(20b)에 상기 제 1 보조부착수단(30)과 제 2 보조부착수단(40)이 겹쳐 부착된다.
또한 배기틀(20)의 측면부(20b)에서 상기 제 1, 제 2 보조부착수단(30, 40)의 설치부위 근방의 상단은 이들 수단이 설치되는 상단보다도 낮은 계단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부에 걸어맞춤용 오목부(22)가 설치된다. 이 걸어맞춤용 오목부(22)는 조립된 상태에서 본체틀(20)의 돌기부(13)를 걸어두는 위치에 있다.
이렇게 제 1, 제 2 보조부착수단(30, 40)이 설치되는 배기틀(20)의 측면부(20b)는 본체틀(11)의 오목함몰부(22)가 설치되는 측면부(20b)와 대향하여 조립된다.
제 1 보조부착수단(30)은 본체틀 오목함몰부(12)의 폭크기보다도 좁은 폭크기로 형성되고, 조립된 상태에서 오목함몰부내에 위치한다. 이 상단부는 단면 열쇠형상의 절곡부(31)로 되어 있고, 상기 배기틀(20)의 계단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단부에 걸린다. 하단부는 L자형상으로 접어 구부리는 폴부(32)로 되어 있고, 배기틀 측면부(20b)에 설치되는 장방형상의 구멍부(33)에 삽입된다.
제 1 보조부착수단(30)이 부착되는 배기틀 측면부(20b)에 상하방향에 걸쳐 또한 좌우로 늘어선 한쌍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23)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걸어맞춤용 긴 구멍과 대향하는 크기형상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34)이 제 1 보조부착수단(30)에 설치된다.
제 2 보조부착수단(40)은 그 상단에 제 1 보조부착수단(30)과 배기틀(20)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23, 34)에 삽입되어 걸리는 한쌍의 끝이 날카로운 걸어맞춤부(41)가 설치된다. 이 걸어맞춤부(41) 사이는 걸어맞춤용 긴 구멍(34) 사이에 맞닿는 접촉부(42)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 보조부착수단(40)의 하단부는 비스듬히 앞쪽으로 절곡되는 수용부(43)로 되어 있고, 이 수용부와 상기 걸어맞춤부(41)와의 사이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 1 보조부착수단(30)과 배기틀(20)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23, 34)에 삽입 통과되는 걸어맞춤부(44)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보조부착수단(40)은 조립된 상태에서 걸어맞춤부(44)가 각 걸어맞춤용 긴 구멍(23, 34)에 삽입 통과하여, 그 선단이 배기틀(20) 내측으로 돌출한다. 이 돌출측 단부에 도 3에만 나타내는 랜싱(lancing)가공에 의한 스토퍼부(45)가 설치되어 있고, 걸어맞춤부(44)가 걸어맞춤용 긴 구멍(23, 34)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보조부착수단(30)의 위치는 본체틀(11)의 오목함몰부(12)와 대향하고 있고, 이 제 1 보조부착수단에 걸어맞춤용 긴 구멍(34)이 설치되어 제 2 보조부착수단(40)의 걸어맞춤부(44)가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걸어맞춤부(44)는 오목함몰부(12)내에 있고, 조립시 및 조립된 상태에서 본체틀(11)에 대하여 접촉하지 않는다.
다음에 이렇게 구성되는 환기팬 부착장치의 천정판(4)에 대한 부착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처음에 배기틀(20)을 준비하고, 이 좌우 측면부에 제 1 보조부착수단(30)을 부착한다. 즉 부착수단(30)의 상단 절곡부(31)를 배기틀(20) 상단에 걸고, 이 하단 폴부(32)를 배기틀 구멍부(33)에 삽입하면 좋다. 이 상태에서 제 1 보조부착수단(30)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34)이 배기틀(20)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23)에 정확하게 대향한다.
다음에 제 2 보조부착수단(40)의 걸어맞춤부(44)를 각 걸어맞춤용 긴 구멍(23, 34)에 삽입 통과시켜 선단을 배기틀(20) 내측으로 돌출시킨다. 또한 이 때 스토퍼부(45)를 걸어맞춤부(44)면에서 세우지 않고 두어 삽입 통과한 뒤 세움으로써 걸어맞춤부(44)가 원활히 걸어맞춤용 긴 구멍(23, 34)으로 삽입 통과한다.
상기 배기틀(20)에 제 1 보조부착수단(30)과 제 2 보조부착수단(40)을 부착한 뒤, 이 배기틀(20)을 천정판(4)의 부착용 개구부(5)에 대향시켜 배기틀 상단부로부터 부착용 개구부에 삽입한다.
단, 제 2 보조부착수단(40)의 걸어맞춤부(44)는 최대한 배기틀(20) 내로 돌출하도록 끌어당겨 둔다. 따라서 제 2 보조부착수단(40)은 그 상단에서 수용부(43) 상단부까지가 제 1 보조부착수단(30)을 통하여 배기틀(20)에 거의 밀착상태가 되고 수용부(43)만이 비스듬히 돌출한다.
배기틀(20)을 그대로 수직으로 밀어올리면, 천정판(4)의 부착용 개구부(5) 둘레가장자리에 배기구체(2)가 접촉하여 통과의 장해가 되지만, 어느 정도 배기틀을 소정방향으로 기울이면서 밀어올리면 지장없이 배기구체(2)가 개구부(5)를 통과하는 것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배기틀(20)의 하단 플랜지부(21)가 천정판(4)에 맞닿으면 배기틀(20)의 내부에 손을 삽입하여 제 2 보조부착수단(40)의 스토퍼부(45)를 세우고 나서, 걸어맞춤부(44)를 선단을 외측으로 밀어낸다. 스토퍼부(45)가 배기틀(20)의 내측면에 맞닿아 그 이상 걸어맞춤부(44)가 튀어나오는 것을 규제한다. 결국, 제 2 보조부착수단(40)은 비스듬한 자세가 된다.
또한, 이 작업은 작업자가 한손으로 배기틀(20)을 유지하고, 한손으로 스토퍼부(45)의 일으킴과 걸어맞춤부(44) 선단의 바깥쪽으로의 밀기를 실시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와 같이 공구를 이용하는 작업과 비교하여 극히 간단하며, 작업성을 손상하는 일이 없다.
이상의 작업을 마쳤다면, 작업자는 배기틀(20) 및 제 2 보조부착수단(40)에서 손을 떼도 좋다. 배기틀(20) 자체의 중량으로 일단을 낙하하지만, 제 2 보조부착수단(40)이 비스듬한 자세로 되고 수용부(43)가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이 수용부단이 천정판(4) 위에 얹히고, 또한 상단 걸어맞춤부(41)가 각 걸어맞춤용 긴 구멍(23, 34)에 삽입된다.
즉, 제 2 보조부착수단(40)이 직접적으로 배기틀(20)의 낙하를 규제하기 때문에 낙하량은 극히 작다. 배기틀(20)의 플랜지부(21)와 제 2 보조부착수단(40)의 수용부(43)의 사이에 천정판(4)을 끼운 상태에서 배기틀(20)의 부착이 이루어진다.
단, 제 2 보조부착수단(40)의 수용부(43)가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부착용 개구부(5) 둘레 가장자리에 걸리고, 거의 강제적으로 배기틀(20)을 삽입한다. 그 때문에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틀(20)의 양측면부(20b)가 탄성 변형하여 상부에서 내측으로 쓰러지는 경향이 있다.
다음에, 배기틀(20)에 대해서 환기팬(1) 등을 부착한 본체틀(11)을 아래쪽에서 삽입한다. 배기틀 양측면부(20b)가 내측으로 쓰러져 있기 때문에 본체틀(11)도 강제적으로 삽입함으로써 배기틀 양측면부(20b)를 바깥쪽으로 밀어 넓힌다. 본체틀(11)을 부착한 상태에서 제 2 보조부착수단(40)의 하단 수용부(43)와 상단 걸어맞춤부(41)가 배기틀(20)을 보다 견고하게 부착하게 된다.
본체틀(11)의 플랜지부(6)가 배기틀(30)의 플랜지부(21)를 완전히 덮고, 또한 천정판(4)에 맞닿는 위치에서 이 돌기부(13)가 배기틀(20)의 걸어맞춤용 오목부(22)에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체틀(11)에서 손을 떼어도 낙하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환기팬 부착장치의 천정판(4)에 대한 부착작업이 모두 종료한다. 결국, 환기팬 부착장치를 부착하는 데에 나무틀을 짤 필요가 없고, 또한 나무나사 등의 부착수단이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 없이 간단히 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견고한 부착이 된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체틀(11A)에 설치되는 오목함몰부(12)의 양측이 얇은 판형상의 리브(16)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앞서 천정판(4)에 부착한 배기틀(20)에 대해서 보다 견고하게 본체틀(11A)을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틀(20)에 맞닿는 본체틀(11A)부분이 리브(16)이기 때문에 본체틀의 형상에 제약이 없어져서 성능을 유지하는 케이싱형상으로 할 수 있고, 싼 값으로 경량화를 도모하게 된다.
도 5는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체틀(11B)에 리브(16A)를 설치한 것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지만, 여기에서의 리브는 상단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비스듬히 잘려져, 하부측이 넓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앞서 천정판(4)에 설치한 배기틀(20)에 대하여 본체틀(11B)을 삽입할 때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틀(20)의 양측면부(20b)가 내측으로 쓰러진 상태로 되어 있어도 리브(16A)의 형상한정에 따라 원활하게 배기틀에 삽입할 수 있다.
도 6은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체틀(11B)의 측면부에 상단이 비스듬히 잘려진 리브(16A)를 설치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지만, 이 리브의 위치를 배기틀(20)을 통하여 제 1 보조부착수단(30)의 부착위치로 설정한다. 단, 걸어맞춤용 긴 구멍(23)에서 제 2 보조부착수단(40)의 걸어맞춤부(44)가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이 위치는 피한다.
상기 본체틀(11B)에 있어서 리브(16A)의 위치설정에 따라 이미 천정판(4)에 부착되는 배기틀(20)에 대하여 본체틀(11B)을 삽입할 때에 리브(16A)가 배기틀(20)을 확실하게 밀어 넓혀 보다 견고히 부착할 수 있다.
도 7는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제 1 보조부착수단(30A) 및 도시하지 않은 배기틀(20)에 설치되는 걸어맞춤용 긴 구멍(34A)에 특징이 있다. 즉 걸어맞춤용 긴 구멍(34A)은 제 1 보조부착수단(30A)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에 걸쳐 폭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제 2 보조부착수단(30A, 40)을 배기틀(20)에 부착한 상태에서 천정판(4)의 부착용 개구부(5)에 삽입한 뒤, 제 2 보조부착수단(40)의 수용부(43)를 천정판(4)의 상면에 맞닿도록 끌어내릴 때에 이 부착수단 상단의 걸어맞춤부(41)가 걸어맞춤용 긴 구멍(34A)의 양측 가장자리에 눌린 상태에서 걸린다.
걸어맞춤부(41)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34A)에 대한 삽입작용이 보다 커지고 제 2 보조부착수단(40)이 위쪽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여 보다 안정된 고정을 이룬다.
도 8a, 도 8b는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8a에 도시한 제 1 보조부착수단(30B) 및 도시하지 않은 배기틀(20)에 설치되는 걸어맞춤용 긴 구멍(34B)과 이 걸어맞춤용 긴 구멍에 삽입되는 도 8b에 도시하는 제 2 보조부착수단(40A)의 걸어맞춤부(44A)에 특징이 있다.
즉, 한쌍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34B)의 상부만, 그 아래쪽 부위와 비교하여 서로 내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폭크기가 크게 형성된다. 이 걸어맞춤용 긴 구멍(34B) 상부의 폭크기를 “A”로 하고, 긴 구멍의 상호 간격크기를 “B”로 한다.
이것에 대하여 제 2 보조부착수단(40A)의 걸어맞춤부(44A)상단을 여기에서는 내측에 대향하도록 절곡 형성하고 있고, 이 절곡부(46)의 폭크기를 “A'”로 하고, 절곡부(46) 끝가장자리 상호 간격크기를 “B'”로 하고, 서로 크기관계를 A>A',B>B'로 설정한다.
이상의 조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보조부착수단(40A)의 걸어맞춤부(44A)를 걸어맞춤용 긴 구멍(34B)에 삽입할 때에 걸어맞춤부(44A) 상단의 절곡부(46) 상호를 어느 정도 좌우로 밀어 넓혀, “B'”에서 “B”이상의 크기로 된다. 일단, 걸어맞춤부(44A)를 걸어맞춤용 긴 구멍(34B)에 삽입한 뒤는 절곡부(46) 상호 간격크기가 원래의 “B'”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제 2 보조부착수단(40A)을 걸어맞춤용 긴 구멍(34B)을 따라서 이동할 때에 절곡부(46) 사이가 긴 구멍 상단 사이의 크기(B)보다도 넓은 부분을 이동하게 되고, 이 부착수단(40A)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34B)에서의 빠짐 방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져 시공성이 좋다.
도 9는 제 7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제 1 보조부착수단(30C)에 있어서 걸어맞춤용 긴 구멍 사이에서 또한 상부에 랜싱가공에 의한 걸어맞춤 폴(35)이 설치되고, 제 2 보조부착수단(40B)의 상단 걸어맞춤부(41) 상호사이의 접촉부(42A)가 내측으로 접어 구부려져 있다.
상기 배기틀(20)에 제 1 보조부착수단(30C)을 부착한 뒤 제 2 보조부착수단(40B)을 부착하는 데에 도면과 같이 제 1 보조부착수단(40B)의 걸어맞춤 폴(35)에 제 2 보조부착수단(40B)의 접촉부(42A)를 건다.
제 2 보조부착수단(40B)을 제 1 보조부착수단(30C)에 대하여 가고정함으로써 배기틀(20)을 도시하지 않은 천정판(4)의 부착용 개구부(5)에 삽입할 때에 제 2 보조부착수단(40B)을 손으로 지지할 필요가 없고, 단순히 배기틀(20)만을 삽입하면좋기 때문에 시공성이 좋다.
도 10a, 도 10b는 제 8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처음에 도 10a부터 설명하면, 본체틀(11)의 측면부(11A)로 돌출하는 돌기부(13)가 배기틀(20)에 부착되는 제 1 보조부착수단(30)의 하단 폴부(33)에 직접 얹히는 위치와 크기의 설정을 이룬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기틀(20) 상단의 걸어맞춤용 오목부(22)의 가공수고가 불필요하게 되고, 또한 본체틀(11)의 중량이 돌기부(13)와 폴부(32)를 통하여 제 1 보조부착수단(30)에 걸리게 되고, 본체틀(11)과 함께 이 부착수단(30)은 배기틀(20)에 대하여 보다 견고하게 부착되게 된다.
도 10b는 그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고, 본체틀(11)의 측면부(11A)로 돌출하는 돌기부(13)가 배기틀(20)에 부착되는 제 1 보조부착수단(30)의 하단 폴부(32)에 얹히는 위치와 크기의 설정을 이루고 있고 배기틀의 상기 걸어맞춤부가 삽입되는 구멍부(33) 아래 가장자리에 대향하여 테이퍼형상의 리브(25)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체틀(11)을 배기틀(2)내에 삽입하는 데에 배기틀에 설치한 리브(25)가 본체틀(11)의 돌기부(13)에 대한 가이드가 된다. 더욱 설명하면 배기틀(20)에 본체틀(11)을 삽입할 때, 돌기부(13)가 테이퍼형상의 리브(25)에 맞닿아 서서히 본체틀(11) 내부로 밀어넣어진 뒤 돌기부가 폴부(32)를 타고 넘는다. 그리고, 돌기부(13)는 다시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폴부(32) 위에 얹혀 본체틀(11)이 지지된다. 이 때문에 시공성이 더욱 향상한다.
도 11은 제 9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제 1 보조부착수단(30D)과도시하지 않은 배기틀(20)에 설치되는 걸어맞춤용 긴 구멍(34C)의 형상에 특징이 있다. 즉, 각 걸어맞춤용 긴 구멍(34C)의 양측 가장자리는 전체 길이에 걸쳐 톱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걸어맞춤용 긴 구멍(34C)에 걸어맞춰지는 제 2 보조부착수단(40)의 수용부(44)를 천정판(4) 상면에 맞닿도록 끌어내린 때, 이 부착수단(40) 상단의 걸어맞춤부(41)가 걸어맞춤용 긴 구멍(34C)의 톱날형상의 양측 가장자리에 확실히 삽입되고 부착수단의 위쪽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어 보다 안정된 고정을 이룬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천정판에 대한 환기팬의 부착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고 시공성이 우수하며, 안정된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천정판에 설치되는 부착용 개구부에 삽입되는 동시에 보조부착수단을 통하여 천정판에 부착 고정되는 배기틀과,
    환기팬을 구비하여 상기 배기틀내에 삽입함으로써 배기틀에 걸리는 본체틀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부착수단은
    상기 배기틀에 설치되는 걸어맞춤용 긴 구멍,
    상기 배기틀에 걸려 배기틀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에 연통하는 걸어맞춤용 긴 구멍을 구비한 제 1 보조부착수단, 및
    상단부에 설치되어 제 1 보조부착수단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과 배기틀의 걸어맞춤용 긴 구멍에 삽입하는 동시에 걸리는 걸어맞춤부와, 중간부에 설치되어 각 걸어맞춤용 긴 구멍을 삽입 통과하여 배기틀 내부로 돌출하는 걸어맞춤부와,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천정판 위에 얹히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배기틀을 천정판에 부착 고정하는 제 2 보조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팬 부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틀의 측면부에 상기 배기틀로의 삽입시에 배기틀의 측면부 내면에 맞닿는 리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팬 부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틀 측면부에 설치되는 리브는 상단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팬 부착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틀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리브는 배기틀로의 삽입시에 제 1 보조부착수단의 배기틀 걸어맞춤부에 맞닿아 배기틀의 측면부를 강제적으로 넓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팬 부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틀과 제 1 보조부착수단에 설치되는 걸어맞춤용 긴 구멍은 그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폭크기가 점차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팬 부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틀과 제 1 보조부착수단에 설치되는 걸어맞춤용 긴 구멍은 좌우 한쌍으로 상하방향에 걸쳐 설치되는 동시에 그 상부만 하부보다도 폭크기가 넓게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용 긴 구멍의 상부에서 삽입되는 제 2 보조부착수단의 걸어맞춤부는 좌우에 한쌍 설치되는 동시에 그 삽입측 단부에 걸어맞춤용 긴 구멍의 상부폭크기보다도 좁은 폭크기인 동시에 걸어맞춤용 긴 구멍의 상부 간격보다도 넓은 간격크기의 절곡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팬 부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부착수단은 그 선단에 바깥쪽으로 절곡 형성되는 걸어맞춤 폴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보조부착수단은 배기틀을 천정판 부착용 개구부로 삽입할 때에, 상기 걸어맞춤 폴에 걸리는 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팬 부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부착수단은 배기틀에 걸린 상태에서 배기틀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틀은 배기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폴부에 걸리는 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팬 부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틀은 상기 제 1 보조부착수단에 설치되는 폴부를 지지하고, 또한 본체틀의 삽입 시에 상기 돌기부를 가이드하는 테이퍼형상의 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팬 부착장치.
  10. 제 1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보조부착수단에 설치되는 걸어맞춤용 긴 구멍은 그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톱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팬 부착장치.
KR10-2000-0079486A 2000-03-30 2000-12-21 환기팬 부착장치 KR100371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3661A JP4246877B2 (ja) 2000-03-30 2000-03-30 換気扇取付け装置
JP2000-093661 2000-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541A true KR20010096541A (ko) 2001-11-07
KR100371987B1 KR100371987B1 (ko) 2003-02-14

Family

ID=1860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486A KR100371987B1 (ko) 2000-03-30 2000-12-21 환기팬 부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46877B2 (ko)
KR (1) KR100371987B1 (ko)
CN (1) CN1121581C (ko)
TW (1) TW4647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8914C (zh) * 2003-04-30 2007-11-1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窗式空调机的室外侧部件组装结构
JP2005147415A (ja) * 2003-11-11 2005-06-09 Sanyo Electric Co Ltd ダクト用換気扇
KR101482129B1 (ko) * 2008-11-21 2015-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2183072A (zh) * 2011-03-18 2011-09-14 罗一平 一种埋入式一体化电动通风设备
CN103032949B (zh) * 2011-09-29 2016-09-14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顶棚内设换气扇
CN104165153B (zh) * 2014-07-11 2017-01-25 建纶电器工业(中山)有限公司 一种浴室扇托架的安装结构
CN111279083A (zh) * 2017-11-07 2020-06-12 三菱电机株式会社 管道用换气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80660A (ja) 2001-10-10
KR100371987B1 (ko) 2003-02-14
JP4246877B2 (ja) 2009-04-02
CN1121581C (zh) 2003-09-17
TW464750B (en) 2001-11-21
CN1315637A (zh) 2001-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6545B2 (en) Wall mount assembly
KR100371987B1 (ko) 환기팬 부착장치
JP2007078064A (ja) 配線配管ダクト付属品及び配線配管ダクト装置
US5755069A (en) Louver assembly and method for installing a louver assembly
JP2006207734A (ja) 配管カバー部材
JP4451956B2 (ja) 室内ユニット
JP4313156B2 (ja) テーブル等における配線ダクト装置
JP2006147678A (ja) 装置の筐体構造およびサブカバー開閉構造
US6655821B1 (en) Quick engaging device for connecting lamp shade to connection port of ceiling fan
JP4807233B2 (ja) 竪樋装置
CN211716803U (zh) 一种电控盒及空调器
JP2006010157A (ja) ルーバー取付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換気装置
JPH0930381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における配管クランプ具
JP2022092699A (ja) レンジフード
JP2568744B2 (ja) ダクト用換気扇
JP4803580B2 (ja) 配線器具
KR200221144Y1 (ko) 형광등기구
JPS6333062Y2 (ko)
KR100977573B1 (ko) 공기조화기 캐비닛의 도어고정구조
JPH0763388A (ja) 天井用換気扇
JP4411548B2 (ja) サポート及び配線装置
JP2005110427A (ja) グロメットおよびその取付構造
KR200338492Y1 (ko) 스냅패스너를 이용한 피시비가이드 고정구조
JP2572714Y2 (ja) ブラインド内蔵障子のブラインドボックス取付構造
JP2003230217A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車体組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