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5298A -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주파수 정정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주파수 정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5298A
KR20010095298A KR1020010017844A KR20010017844A KR20010095298A KR 20010095298 A KR20010095298 A KR 20010095298A KR 1020010017844 A KR1020010017844 A KR 1020010017844A KR 20010017844 A KR20010017844 A KR 20010017844A KR 20010095298 A KR20010095298 A KR 20010095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reference signal
signal
radi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228B1 (ko
Inventor
이나하시아쯔시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1009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02Automatic frequency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02Automatic frequency control
    • H03J7/04Automatic frequency control where the frequency control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or where the nature of the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 is not signific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 디지털 전송 경로 등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데이타의 전송 경로 주파수와 동기하여 무선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에서 무선 주파수의 주파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캐리어 주파수의 안정성을 방해하는 전송 경로 주파수차의 영향에 관련하여, 전송 경로 주파수(12b)의 차는 높은 안정성의 무선 기준 클럭(22a)과 비교되고, 차 주파수(17a)는 카운터(71)에 의해 검출되며, 로컬 발진기(61)의 무선국 전송 신호의 주파수 오프셋은 차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무선 캐리어 주파수(63a)의 안정성을 방해하는 전송 경로 주파수의 차의 영향이 보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주파수 정정 방법{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FREQUENCY CORRECTING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주파수 정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 디지털 전송 경로 등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데이타의 전송 경로 주파수와 동기하는 무선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용 무선 주파수 정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동일한 종류의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조적인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에서, 유선 전송 경로를 통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위칭 센터로부터 전송된 음향, 화상 또는 텍스트와 같은 디지털 데이타가 입력되고, 이 전송된 데이타는 프리셋 변조 방법에 의해 변조되고, 이 변조 신호는 무선 주파수로 변환되며, 이 신호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이동 장치에 무선 전송된다.
도 7에서, 디지털 전송 네트워크를 통하여 스위칭 센터로부터 전송된 전송 경로 데이타는 데이타 발생부(3)와 전송 경로 주파수 기준 클럭 발생부(1)에 입력된다. 전송 경로 데이타는 전술된 바와 같이, 음향, 화상 또는 텍스트 데이타이고, 소정 형식으로 디지탈화되고 포맷화된다.
전송 경로 주파수 기준 클럭 발생부(1)는 전송 타이밍 발생기(11)를 사용함으로써 입력된 전송 경로 데이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데이타(기준 클럭 신호)의전송 타이밍을 클럭 추출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된 전송 타이밍(11a)을 데이타 발생부(3)에 전송한다. 게다가, 전송 타이밍 발생기(11)는 또한 기준 클럭 신호를 필요할 때마다 승산 또는 제산과 같은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산/승산기(12)에 전송한다. 승산 또는 제산된 출력(12a)은 데이타 변환기(32)에 전송된다.
데이타 발생부는 데이타 발생기(31)와 데이타 변환기(32)로 구성되며, 이들 둘다 전송 경로 데이타를 디코딩하는데, 이는 데이타를 무선 변조 신호로 변조될 데이타 시스템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타 시스템은 데이타 발생기(31)로부터 디지털 데이타(31a)로서 출력되고, 전송 타이밍 신호(11a)의 타이밍에서 데이타 변환기(32)에 전송된다. 데이타 변환기(32)는 획득된 디지털 데이타를 직교 변조하고, 그 주파수를 무선 중간 주파수(IF 주파수)(32a)로 변환하여, 그 데이타를 D/A 변환기(5)에 전송한다. 이 D/A 변환기(5)는 입력된 데이타에 기초하여 IF 주파수로 변환된 무선 IF 변조 신호(5a)를 생성한다. 코드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밴드 제한 또는 파형 형성과 같은 기능이 D/A 변환기(5)에 실질적으로 추가되었지만, 도면에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 생성된 무선 IF 변조 신호(5a)는 주파수 변환부(6)에 입력된다.
주파수 변환부(6)는 PLL(Phase Locked Loop) 기술이 적용되는 로컬 발진기(61), 믹서(62), 및 필터(BPF)(63)로 구성된다. 로컬 발진기(61)에 의해 발생된 로컬 발진 신호에 기초하여 믹서(62)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필터(63)를 사용하여 신호로부터 불필요한 웨이브를 제거하고나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무선 회로에 출력한다. 입력된 신호 데이타에 따라 기준 주파수 발생기(21)로부터 자진 분주 단계에 따라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PLL 기술은 로컬 발진기(61)에 적용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 기술이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생략된다. 로컬 발진기(61)는 기준 주파수 발생부(2)로부터 출력된 기준 주파수 신호(23a)에 동기하여 로컬 발진 신호를 생성한다. 기준 주파수 발생부(2)는 기준 신호 발생기(21)와 필요에 따라 기준 신호를 제산 및 승산하기 위한 제산/승산기(23)를 포함한다.
도 7에서, 무선 변조 신호(63a)의 기본이 되는 무선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무선 IF 변조 신호)(5a)는 D/A 변환기(5)에 의해 직접적으로 생성된다. 신호(5a)는 믹서(62)에서 로컬 발진기(61)에 의해 발진된 로컬 발진 주파수와 혼합되어, 무선 발진 신호(63a)가 된다. 이때, 무선 변조 신호(63a)의 주파수 안정성은 기준 주파수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기준 신호와 전송 경로에서 전송된 데이타로부터 클럭 추출에 의해 구해진 클럭과 동기하는 기준 클럭 발생부(1)에 의해 발생된 기준 신호에 따라 좌우된다.
통상적으로, 자발 타이밍동안 데이타를 참조하기에 충분한 전송 경로와, 불법 방사를 강력하게 억제하기 위한 전파법에 근거하여 안정성을 갖는데 필요한 무선 주파수가 각기 입출력된다는 사실에 따라, 주파수의 안정성에 관련하여, 기준 주파수 발생기(21)의 정확도는 비교 대상의 전송 타이밍 발생기(11)의 정확도보다 더 높은 것이 자연스럽다.
이에 따라, 무선 변조 신호(63a)의 주파수 안정성은 기준 클럭 발생부(1)에의해 광범위하게 지배되어 주파수 안정성은 악화되었다. 이는 부품들의 주파수 안정성이 어떻게 향상될 수 있는지, 또는 무선 변조 신호(63a)의 주파수 안정성을 향상시킬때 주파수 차이가 어떻게 보상될 수 있는지는 매우 중요한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주파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와 그 무선 주파수 정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데이타와 동기하는 제1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 경로로부터 전송된 데이타 중에서 중간 주파수에서 변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 발생 수단;
상기 제1 기준 신호보다 안정된 제2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를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변환 수단; 및
상기 제1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기준 신호간의 주파수차를 검출하고, 상기 주파수차에 따라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수단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를 정정 제어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정정 수단을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무선 주파수 정정 수단은 상기 제2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주파수차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주파수차에 따라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수단에서 로컬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정정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직교 변조 방법으로 전송된 데이타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기준 신호와 동기하여 전송 경로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버퍼 수단;
상기 제1 기준 신호보다 안정된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신호 발생 수단;
상기 제2 기준 신호와 동기하여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여 상기 판독된 데이타 중에서 중간 주파수에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를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변환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직교 변조 방법으로 전송된 데이타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주파수 정정 방법은, 데이타와 동기하는 제1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중간 주파수에서 전송 경로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변조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1 기준 신호보다 안정된 제2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를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상기 제1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기준 신호간의 주파수차를 검출하고 상기 주파수차에 따라 무선 주파수 변환 수단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를 정정 제어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정정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용이다.
게다가, 상기 무선 주파수 정정 수단은 상기 제2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제1 기준 신호의 주파수차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주파수차에 따라 무선 주파수 변환용 로컬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정정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는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직교 변조 방법으로 전송된 데이타를 변조한 신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무선 주파수 정정 방법은 중간 주파수에서 제1 기준 신호와 동기하는 전송 경로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변조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상기 제1 기준 신호보다 안정된 제2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도록 설계된 무선 통신 장치용으로, 이 장치는 상기 제1 기준 신호와 동기하여 상기 전송된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버퍼 수단; 상기 제2 기준 신호와 동기하여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여 상기 판독된 데이타 중에서 중간 주파수에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변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 발생 수단; 및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를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변환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는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직교 변조 방법으로 전송된 데이타를 변조한 신호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기술될 것이다. 유선 디지털 전송 경로 등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데이타의 전송 경로 주파수와 동기하는 무선 캐리어를 생성하기 위한 무선 시스템에서, 무선 캐리어 주파수의 안정성을 방해하는 전송 경로 주파수차의 영향은 상기 차와 높은 안정성의 무선 기준 클럭과 비교하고, 차동 주파수를 검출함으로써 차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무선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주파수 오프셋으로서 보상된다. 게다가, 다른 예로서, 전송 경로 주파수의 차의 영향은 전송 경로를 통하여 전송된 디지털 데이타를 버퍼에 의해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높은 안정성의 무선 기준 클럭의 타이밍에서 재전송되는 동안 데이타를 판독함으로써 무선 캐리어를 생성하는 방법에 의해 보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타 변환부(3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타 변환부(3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타 변환부(3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
도 7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송 경로 주파수 기준 클럭 발생부
2 : 기준 주파수 발생부
3 : 데이타 발생부
5 : D/A 변환기
6 : 주파수 변환부
7 : 주파수차 판정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블럭도이고 도 7에서의 부호와 일치하는 부들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송 경로 주파수 기준 클럭 발생부(1), 기준 주파수 발생부(2), 데이타 발생부(3), 주파수 변환부(6), 및 주파수차 판정부(7)로 구성되며, 도 7에 비해 주파수차 판정부(7)가 추가된 블럭도이다.
주파수차 판정부(7)에서, 전송 타이밍 발생기(11)에 의해 생성된 전송 경로 주파수 기준 클럭의 주파수와 기준 주파수 발생기(21)로부터의 주파수는 서로 비교되고 카운터(71)에서 카운트되며, 전송 타이밍 발생기(11)에서의 발진 주파수와 기준 주파수 발생기(21)에서의 발진 주파수간의 차가 검출된다. 다음으로, 전송 타이밍 발생기(11)로부터 생성된 주파수차 방향의 대향 방향으로 주파수 오프셋량을 보상하기 위한 주파수 지정 신호(예를 들면, +100Hz일 경우, 오프셋량은 -100Hz임)가 로컬 발진기(61)에 전송되어 무선 변조 신호(63a)의 주파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세한 설명은 도 1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디지털 전송 네트워크를 통해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위칭 센터로부터 전송된 전송 경로 데이타는 데이타 발생부(3)와 전송 경로 주파수 기준 클럭 발생부(1)에 입력된다. 여기서, 전송 경로 데이타로는 소정 포맷으로 디지털화되고 포맷된 음향 데이타, 화상 데이타, 텍스트 데이타 등이 있다.
전송 경로 주파수 기준 클럭 발생부(1)는 전송 타이밍 발생기(11)를 사용하여 입력된 전송 경로 데이타로부터 클럭을 추출하는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전송된 디지털 데이타의 전송 타이밍을 추출하고, 필요에 따라 승산 또는 제산과 같은 프로세스를 행하기 위한 제산/승산기(12)에 전송 경로 주파수 기준 클럭(1)을 전송하는 동안 데이타 발생부(3a)에 전송 타이밍(11a)을 전송한다. 제산/승산기(12)는 전송 타이밍(12a, 12b)을 출력하고, 이들 둘다 각기 데이타 변환기(32)와 카운터(71)에 입력된 신호를 제산 또는 승산한 값이다. 입력된 신호가 제산 또는 승산될 것인지는 설계시 결정된다. 전송 타이밍(12a)와 (12b)가 편의상 분리하여 표시되었지만, 동일 타이밍은 주파수들 간의 관계가 설계 조건에 부합할 때 사용될 수도 있다.
데이타 발생부(3)는 전송된 전송 경로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이를 무선 변조 신호로 변조될 데이타 시스템으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타 발생기(31)와 데이타 변환기(32)로 구성된다. 데이타 시스템은 데이타 발생기(31)에 의해 디지털 데이타(31a)로서 출력되고, 전송 타이밍(11a)의 타이밍시 데이타 변환기(32)에 전송된다. 데이타 변환기(32)는 데이타(32a)의 주파수가 무선 중간 주파수(IF 주파수)로 변환되는 동안 획득된 디지털 데이타를 직교 변환하고, 데이타를 D/A변환기(5)에 전송한다.
D/A 변환기(5)는 입력된 데이타에 기초하여 IF 주파수로 변환된 무선 IF 변조 신호(5a)를 생성한다. 코드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파형 형성 또는 밴드 제한과 같은 기능들은 D/A 변환기(5)에 실제적으로 추가되었지만,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생성된 무선 IF 변조 신호(5a)는 주파수 변환부(6)에 입력된다. 주파수 변환부(6)는 적어도 PLL 기술이 적용되는 로컬 발진기(61), 믹서(62) 및 필터(63)로 구성된다. 또한, 로컬 발진기(61)에 의해 생성된 로컬 발진 신호에 기초하여 믹서(62)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고, 필터(63)를 사용함으로써 신호로부터 불필요한 파형을 제거하고나서, 무선 회로에 무선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입력된 디지털 데이타에 따라 기준 주파수 발생기(21)로부터 자진 제산 단계에 따라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PLL 기술은 로컬 발진기(61)에 적용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그 기술이 해당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생략한다.
도 2는 주파수 변환 과정동안 주파수의 배열에 관련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무선 IF 변조 신호(5a)는 도면에서 "IF"로서 표시된 주파수에 위치하지만, 이 신호는 믹서(62)에서 로컬 발진기(61)의 주파수 "LO"에서 주파수와 믹싱됨으로써 주파수 "RF"에서 무선 변조 신호(63a)로 변환된다. 믹싱시 발생된 불필요한 성분들 "IM" 또는 "LO"의 나머지 성분들은 필터(63)에 의해 제거된다(도면에서 {j)로서 지칭된 특성).
기준 주파수 발생부(2)는 주파수 변환부(6)에 안정된 기준 클럭을 공급한다.기준 주파수 발생부(2)는 기준 주파수 발생기(21)와, 필요에 따라 승산 또는 제산과 같은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산/승산기(22, 23)를 포함한다. 제산/승산기(22, 23)는 입력된 신호를 제산 또는 승산한 기준 타이밍(22a, 23a)을 로컬 발진기(61)와 주파수차 판정부(7)에 전송한다. 입력된 신호가 제산 또는 승산될지에 관한 것은 설계시 결정된다. 기준 타이밍(22a, 23a)을 편의상 분리하여 표시하였지만, 동일 타이밍은 주파수간의 관계가 설계 조건에 부합할 경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주파수차 판정부(7)는 카운터와 논리 동작을 행하는 논리부(72)로 구성되며, 전송 경로의 안정성에 따라 무선 주파수와 전송 타이밍(12b)을 안정화시키는 정확도를 갖는 기준 타이밍(22a)은 카운터(71)에 입력된다. 일례로서, 카운터(71)는 기준 타이밍(22a)의 자발 사이클 간격 동안 얼마나 전송 타이밍(12b)이 카운트되는지를 계산한다. 카운트된 수(71a)는 논리 동작을 행하는 논리부(72)에 입력된다. 논리부는 전송 타이밍(12b)인 전송 경로 클럭이 카운트된 수(71a)에 비해 앞서는지(그 주파수가 더 높음) 또는 뒷처지는지(그 주파수가 더 낮음)를 판정한다.
주파수가 더 높은 경우, 로컬 발진기(61)에 의해 발진된 주파수를 더 낮추기 위한 오프셋 데이타가 전송된다. 오프셋 데이타는 전송 타이밍(12b)에 따라 무선 변조 신호(63a)의 주파수에 얼마나 많은 차가 나타나는지를 판정하고, 판정된 차의 대향 방향으로 로컬 발진부(61)가 그 차를 생성하게 하기 위한 PLL 합성기용 데이타이다. 예를 들면, 무선 변조 신호(63a)의 주파수가 하부쪽으로 전송되었다고 판정될 때, 로컬 발진기(61)에 의해 발진된 주파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오프셋 데이타가 전송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전송 타이밍(12b)의 주파수가 하부쪽에서 오프될 때(말하자면, 도 2에 나타난 무선 IF 신호의 주파수 "IF"가 방향 -x에서 오프될 때), 무선 변조 신호(63a)의 주파수 "RF"는 방향 +x에서 로컬 발진기(61)에 의해 발진된 주파수 "LO"를 시프트시킴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준 주파수 발생기(21)의 정확도는 주파수의 안정성면에서 전송 타이밍 발생기(11)의 정확도보다 훨씬 나은데, 이는 자발 타이밍동안 데이타가 참조될 수 있는 배선 전송 경로용으로 충분한 반면에, 불법 방사를 강력하게 억제하기 위한 전파법에 기초한 안정성이 배선 주파수용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변조 신호의 주파수의 필요한 안정성은 로컬 발진부에 의해 발생된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무선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타이밍(22a)과 전송 경로의 주파수차의 비교로부터 검출된 차동 주파수를 보상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 1에서의 데이타 변환기(32)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도 3의 (a)는 데이타 발생기(31)에서 디지털 데이타(31a)를 나타낸다. 여기서, 데이타는 연속적인 시리즈 데이타로서 표현된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 t1는 전송 타이밍(11a)의 사이클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데이타 변환기(32)의 동작이 나타난다. 데이타 변환기(32)에 입력된 데이타 시스템은 선택된 변조 방법에 기초하여 신호 시스템으로 변환된다. 도 3의 (b)는 시리얼 데이타가 QPSK 변조 방법에서 직교 변조 방법에 의한 직교 성분(Q)와 동위상 성분(I)로 분리되는예를 나타낸다. I와 Q는 서로 직교하는 벡터의 평면을 사용하여 후술될 것이다.
분리된 데이타 시스템은 선택된 변조 방법에 기초하여 파형 형성(필터링)되는 파형(도 3의 (c))으로 변형된다. 통상적으로, 데이타의 0과 1의 극성에 시스템화된 데이타 임펄스의 임펄스 응답을 인가함으로써 변형이 이루어진다. D/A 변환기(5)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파형을 생성하기 위하여, 전송 타이밍(11a)의 여러겹 타이밍에서 파형을 행성할 필요가 있다. 타이밍은 도면에서 기준 타이밍들(22a, 12a)로서 표시된다. 이에 따라, 파형은 QPSK 방법에 기초하여 I/Q면에 벡터량으로서 도시되고, 무선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무선 IF 변조 신호)(5a)의 기본이 되는 벡터 궤적(vector locus)이 도시된다.
①, ②, ③ ...은 기준 타이밍(22a, 12a)에 의한 타이밍으로 변환된 전압 궤적을 가리킨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하에서, 주파수 스펙트럼상의 파형은 도 3의 (e)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파수 0Hz에 기초하여 직류 스펙트럼이 되며, 이는 무선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무선 IF 변조 신호)(5a)가 될 수 없다. 따라서, 전압 궤적을 도시하기 위한 I/Q 면의 축은 응축 방향(condensive direction)(위상 또는 주파수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압 궤적이 도시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단지, 도 3의 (c)에서 파형은 I/Q축에 기초하여 전압 파형으로서 도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압 궤적들 ①, ②, ③ ...의 회전 속도는 증가한다(도 4a). 부연하자면, ①의 신호 포인트에서의 I/Q 축은 ①', ①"이고, ②의 신호 포인트에서의 I/Q축은 ②', ②"이며, ③의 신호 포인트에서의 I/Q축은 ③', ③"이다(이하 생략된다). 초당 "IF" 회 I/Q 축의 회전을 행함으로써, 주파수 스펙트럼은 도 4b에 나타난 무선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5a)(신호의 주파수는 "IF" Hz 만큼 시프트됨)가 된다.
D/A 변환기(5)의 출력 단자에서의 IF 주파수의 생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5b에 나타난 주파수 스펙트럼의 신호는 도 5a에 나타난 파형을 생성함으로써 구해진다. 도 4b에 나타난 신호의 파형은 변조 원리에 기초하여 일시적으로 변환된 도 5a에 나타난 전체 파형의 크기 및 사이클 t의 위상 성분이다. 도 5a에서, h1은 신호 타이밍 Δt(기준 타이밍 (22a) 또는 (12a)와 동등함)에서 D/A 변환기(5)에 의해 본래 출력된 개별 전압 파형을 가리키고, h2는 클럭 성분의 등급으로 인한 파형을 가리킨다. D/A 변환기(5)가 등급 기능을 포함한다는 가정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 방식에서, 데이타 변환기(32)는 무선 IF 변조 신호(5a)를 생성한다.
이러한 구조를 고려할 때, 기준 타이밍(22a) 또는 (12a)은 생성된 무선 IF 변조 신호(5a)의 주파수차를 결정하기 위한 주 요소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a에서, 기준 타이밍(22a) 또는 (12a)의 타이밍차 ±x는 Δt(Δt ±x)의 타이밍에 부가되어, 도 5b의 주파수 스펙트럼상의 -x 또는 +x와 동등한 차를 생성한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는
도 2에 나타난 무선 IF 변조 신호(5a)(IF로서 표시된 주파수)에서 생성된 주파수차 -x는 +x 방향으로 로컬 발진기(61)에서 발진 신호의 오프셋만큼 보상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본 실시예에서, 무선 변조 신호(63a)의 주파수 안정성을 지배하는 기준 클럭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차는 기준 신호 발생기(21)에서의 신호와 비교되어 이들 간의 차가 추출되고나서, 그 차는 로컬 발진부(61)에 의해 발진된 주파수를 이용함으로써 보상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무선 변조 신호(63a)의 주파수 안정성은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1에서와 일치하는 부들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고, 도 1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는 전송 타이밍 발생기(11)의 타이밍에서 데이타 버퍼(33)에 무선 변조 신호(63a)를 변조하기 위한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함으로써 무선 변조 신호(63a)의 주파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기준 주파수 발생부(21)에 의해 발생된 타이밍에서 저장된 데이타를 추출하며, 무선 IF 변조 신호(5a)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전송 타이밍(11)에서 생성된 전송 타이밍(11a)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타 발생기(31)의 디지털 데이타(31a)는 데이타 버퍼(33)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데이타 버퍼(33)는 RAM, ROM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보유하기 위한 모든 수단들이 해당된다. 데이타 버퍼(33)에 취해진 디지털 데이타(31a)는 기준 타이밍(22a)의 판독 타이밍에서 데이타 변환기(32)에 전송된다.
이 때, 데이타 버퍼(33)에의 입력은 기입 타이밍인 전송 타이밍과 판독 타이밍인 기준 타이밍(22a)에서 분류되고 처리된다. 기입 타이밍과 판독 타이밍이 동시에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타 버퍼(33)가 2개의 버퍼, 예컨대 제1 데이타 버퍼와 제2 데이타 버퍼로 변형되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종종 취해지고, 판독 및 기입은 상이한 버퍼에서 처리된다. 그러나, 이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된다.
게다가, 변조 방법에 적합한 타이밍으로 변환을 행하는 제산/승산기(34)에 의한 자발 타이밍으로 변환된 타이밍은 판독 타이밍인 기준 타이밍(22a)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데이타 변환기(32)는 생성된 데이타(32a)의 주파수가 무선 중간 주파수(IF 주파수)로 변환되는 동안 판독 타이밍인 기준 타이밍(22a)과 동기하는 기준 타이밍(22a)에서 획득된 디지털 데이타를 직교 변환하여, 그 데이타를 D/A 변환기(5)에 전송한다. 변조 방법에 적합한 타이밍으로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제산/승산기(35)에 의해 자발 타이밍으로 변환된 타이밍은 데이타 버퍼(33)의 판독 타이밍과 유사한 방법으로 직교 변환 타이밍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무선 변조 신호(63a)의 주파수 안정성은 무선 변조 신호(63a)의 주파수 안정성을 지배하는 기준 클럭 발진부(1)에 의해 발생된 차가 포함되지 않도록 버퍼(33)에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기준 신호 발생부(21)의 신호 타이밍에서 데이타를 재생성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데이타 변환기(32)보다 더 높은 안정성으로 기준 타이밍(22a)을 미리 사용함으로써 도 5b에 나타난 주파수차(-x와 +x)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데이타 버퍼(33)의 주파수차를 포함하는 데이타 자체를 일시적으로 취함으로써, 차의 영향이 배제되고, 재타이밍은 높은 안정성으로 기준 타이밍에서 수행되는 것이 구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 효과를 제공한다. 즉, 첫번째 효과는 발생된 무선 IF 변조 신호에서 발생되는 주파수차를 검출하고 그 차를 무선 변조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 과정(로컬 발진부에 의해 발진된 주파수를 대향 방향쪽으로 보상하기 위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처리 과정)에서 그 차를 보상함으로써 무선 변조의 주파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게다가, 두번째 효과는 버퍼에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함으로써 발생된 주파수차가 없게 하여 발생된 주파수차를 볼 수 없게 하는 설계를 채택하고, 높은 안정성 클럭을 사용하여 생성 및 변조 동작을 행함으로써 무선 변조 신호의 주파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Claims (10)

  1.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타와 동기하는 제1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 경로로부터 전송된 데이타 중에서 중간 주파수에서 변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 발생 수단;
    상기 제1 기준 신호보다 더 안정된 제2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를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변환 수단; 및
    상기 제1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기준 신호간의 주파수차를 검출하고, 상기 주파수차에 따라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수단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를 정정 제어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정정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정정 수단은 상기 제2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주파수차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주파수차에 따라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수단에서 로컬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정정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제1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직교 변조 방법으로 전송된 데이타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신호와 동기하여 전송 경로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버퍼 수단;
    상기 제1 기준 신호보다 더 안정된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신호 발생 수단;
    상기 제2 기준 신호와 동기하여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여 상기 판독된 데이타 중에서 중간 주파수에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 발생 수단; 및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를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변환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직교 변조 방법으로 전송된 데이타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데이타와 동기하는 제1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중간 주파수에서 전송 경로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변조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1 기준 신호보다 더 안정된제2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를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상기 제1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기준 신호간의 주파수차를 검출하고 상기 주파수차에 따라 무선 주파수 변환 수단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를 정정 제어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정정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용 무선 주파수 정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정정 수단은 상기 제2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 신호의 주파수차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주파수차에 따라 무선 주파수 변환용 로컬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정정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정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는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직교 변조 방법으로 전송된 데이타를 변조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정정 방법.
  9. 중간 주파수에서 제1 기준 신호와 동기하는 전송 경로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변조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상기 제1 기준 신호보다 더 안정된 제2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도록 설계된 무선 통신 장치용 무선 주파수 정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기준 신호와 동기하여 상기 전송된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버퍼 수단;
    상기 제2 기준 신호와 동기하여 상기 버퍼 수단으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여 상기 판독된 데이타 중에서 중간 주파수에서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변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 발생 수단; 및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를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변환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정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주파수 변조 신호는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직교 변조 방법으로 전송된 데이타를 변조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정정 방법.
KR10-2001-0017844A 2000-04-05 2001-04-04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주파수 보정 방법 KR100386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02945 2000-04-05
JP2000102945A JP3461484B2 (ja) 2000-04-05 2000-04-05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無線周波数補正方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298A true KR20010095298A (ko) 2001-11-03
KR100386228B1 KR100386228B1 (ko) 2003-06-02

Family

ID=1861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844A KR100386228B1 (ko) 2000-04-05 2001-04-04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주파수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90116B2 (ko)
EP (1) EP1148643B1 (ko)
JP (1) JP3461484B2 (ko)
KR (1) KR100386228B1 (ko)
DE (1) DE6013580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2910B2 (en) * 2003-02-03 2007-07-10 M/A-Com, Inc. Self-calibrating radio
US7272365B2 (en) * 2003-12-18 2007-09-18 Andrew Corporation Frequency offset correction in transmitters having non-ideal synthesizer channel spacing
JP4948077B2 (ja) * 2005-10-14 2012-06-0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送受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US8611259B2 (en) * 2006-09-08 2013-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711078B2 (en) * 2007-06-01 2010-05-04 Smsc Holdings Sarl Frequency synchronization
JP5417346B2 (ja) 2008-02-28 2014-02-12 ペレグリン セミコンダクター コーポレーション 集積回路素子内でキャパシタをデジタル処理で同調するときに用いられる方法及び装置
EP2490389B1 (en) * 2011-02-18 2015-10-21 Alcatel Lucent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a frequency offset
CN109923781B (zh) * 2016-11-02 2023-05-30 派赛公司 使用复制电路的失配检测
US10056874B1 (en) 2017-02-28 2018-08-21 Psemi Corporation Power amplifier self-heating compensation circuit
US10305433B2 (en) 2017-02-28 2019-05-28 Psemi Corporation Power amplifier self-heating compensation circuit
CN112714311B (zh) * 2020-12-30 2021-10-26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Tdi相机的行频校准方法及校正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89071A (en) * 1971-02-09 1975-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al channel selscting devices
US4031317A (en) 1976-02-12 1977-06-21 Ncr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s system with improved digital phase-locked loop retiming circuit
US4163943A (en) * 1976-06-14 1979-08-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receiver employing premixing and digital display
US4077008A (en) * 1976-10-18 1978-02-28 Rca Corporation Phase locked loop tuning system with station scanning provisions
JPS62274912A (ja) * 1986-05-23 1987-11-28 Hitachi Ltd 周波数自動設定方式
JPH07105756B2 (ja) 1988-06-29 1995-11-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移動通信方法
JPH02283149A (ja) 1989-04-24 1990-11-20 Hitachi Cable Ltd ディジタル音声・映像信号伝送方式
JPH0377420A (ja) * 1989-08-21 1991-04-03 Japan Radio Co Ltd 自動周波数制御装置
JP2968308B2 (ja) 1990-05-17 1999-10-25 富士通株式会社 標準インターフェース用回線アダプタ
JP2539939B2 (ja) 1990-05-24 1996-10-02 タカタ 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収納用カバ―
JPH04260254A (ja) 1991-02-15 1992-09-16 Fujitsu Ltd Hdlc非同期モードのディジタルデータ転送方式
US5390348A (en) * 1992-02-12 1995-02-14 Creative Digital Inc. System for tracking and correcting drift and dispersion in satellite transmission signals
JPH05268282A (ja) 1992-03-17 1993-10-15 Fujitsu Ltd 無線通信方式
JP3228365B2 (ja) 1993-03-02 2001-11-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ディジタル無線通信装置
KR960003191A (ko) * 1994-06-02 1996-01-26 이헌조 자동 주파수 제어 장치
JPH088983A (ja) 1994-06-15 1996-01-12 Fujitsu Ltd 装置間ディジタル信号伝送方法並びにディジタル信号送受信装置,ディジタル信号送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信号受信装置
JP2937866B2 (ja) 1996-06-25 1999-08-23 福島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
JP3179344B2 (ja) * 1996-06-28 2001-06-25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における自動周波数補正方法及び通信制御方法
JP3751099B2 (ja) * 1996-12-27 2006-03-01 ローム株式会社 電源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48643A2 (en) 2001-10-24
KR100386228B1 (ko) 2003-06-02
DE60135803D1 (de) 2008-10-30
US20010029171A1 (en) 2001-10-11
US6790116B2 (en) 2004-09-14
EP1148643A3 (en) 2003-11-05
EP1148643B1 (en) 2008-09-17
JP3461484B2 (ja) 2003-10-27
JP2001292188A (ja) 200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155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modulating a signal conveyed by multiple carrier
US6483880B2 (en) Radio equipment and peripheral apparatus
EP0675606B1 (en) Receiver for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KR100386228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주파수 보정 방법
WO20000211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linearly modulated signal using polar modulation
US20070195916A1 (en) Synchronous follow-up apparatus and synchronous follow-up method
EP1278307A2 (en) Circuit and method for correcting clock duty cycle
US585263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odulation of FSK carrier in a very narrow band
US4380082A (en) Digital signal receiver with FM interference elimination capability
EP1887685A2 (en)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synchronized radio frequency signals
JPH04346532A (ja) フレーム同期方法および装置
JPH03101534A (ja) 直接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式の受信装置
JP6821231B1 (ja) 無線送信方法
JPH08316877A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
JPH04297150A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におけるディジタル変調方式
JPH10150385A (ja) フレーム同期方法及び受信機
JPH1079687A (ja) 遅延ロックループ
JPH05268282A (ja) 無線通信方式
JP2002026864A (ja) Ofdm復調時の同期信号生成装置
JPH11122216A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受信装置及びその同期確立方法
KR100287768B1 (ko) 위성통신시스템용 채널모뎀의 진폭에러보상장치
JP3820453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10224415A (ja) 変調器及び変調方法、復調器及び復調方法
JP3398537B2 (ja) クロック再生装置
JPH0446422A (ja) スペクトラム拡散配電線搬送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