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011A - 상부적재식 세탁기 - Google Patents

상부적재식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011A
KR20010086011A KR1020017005804A KR20017005804A KR20010086011A KR 20010086011 A KR20010086011 A KR 20010086011A KR 1020017005804 A KR1020017005804 A KR 1020017005804A KR 20017005804 A KR20017005804 A KR 20017005804A KR 20010086011 A KR20010086011 A KR 20010086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edge
skin
section
cov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거네빌데이비드
헌터고든샤프
Original Assignee
윌리엄 린드세이 길랜더즈
피셔 앤 페이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린드세이 길랜더즈, 피셔 앤 페이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윌리엄 린드세이 길랜더즈
Publication of KR20010086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01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세탁기는 캐비넷(2) 및 수평축에 대한 회전시 캐비넷 내에 매달려있는 드럼(1)을 가지고 있다. 드럼(1)은 드럼 끝 서로를 단단히 연결하는 드럼 끝(11, 12)가이에서 뻗은 한 쌍의 베인(110, 111)을 구비한 한 쌍의 드럼 끝을 포함하고 있다. 드럼(1)은 주요 섹션(34) 및 해치 섹션(35)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관통 스킨(22)을 가지고 있다. 주요 섹션(34) 및 해치 섹션(35)은 완전한 드럼 스킨을 형성하기 위해 에지를 따라 연결되어 있다. 개방 작동에 있어서, 드럼(1)은 드럼 스킨(22)의 주요 섹션(34) 및 해치 섹션(35)의 에지를 연결하지 않음으로써 개방되고, 캐비넷(2) 및 드럼(1) 회전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해치 섹션(35)을 유지하고 있어서, 드럼 스킨(22)의 주요 섹션(34)은 드럼 내에 개구부를 제공하기 위해 해치 섹션(35)으로부터 떨어져 운동한다. 개구부는 캐비넷 내의 개구부와 결합하여 제공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잠김가능한 뚜껑(4)에 의해 닫힌다. 캐비넷(2)은 장방형의 래퍼의 하부 끝(33) 내에 끼워맞춤되는 물 수집 트레이(28)와 더불어 장방형으로 접힌 래퍼(32)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물 안내 플랩(18, 19)은 뚜껑(4)이 열려 있고 드럼(1)이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시야에서 사라지는 드럼(1)과 캐비넷(2) 사이의 공간을 개시한다. 이러한 플랩은 또한 개·폐작동시 세탁물 안내 및 긁어냄 작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상부적재식 세탁기{TOP LOADING WASHING MACHINE}
표준작동모드에 있어 수직축 세탁기보다 표준작동모드에서 적은 물이 사용되는 수평축 세탁기는 잘 알려져 있다. 위로부터 적재되는 세탁기의 현저한 인간공학적인 장점 또한 잘 알려져 있다. 캐비넷의 상부면내의 해치, 그리고 기계의 드럼을 통해 상응하는 해치접근을 이용하는 수평접근 세탁기에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타입의 기계는 드럼내에서 일반적으로 스프링에 의해 하중을 받는 해치 개방의 위험한 특성때문에, 두 해치가 겹쳐지는 위치에 대해 완전히 적재된 드럼을 회전시키는데 있어서 사용자에게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게다가, 드럼에 있어서 해치의 제공은 드럼의 강도에 있어서 현저한 감소 및 안전하게 성취될 수 있는 최고 회전속도에 있어서 현저한 감소를 야기한다. 낮은 회전속도는 적재된 세탁물에 더 많은 물기를 남겨두어 결과적으로 건조시간, 그리고 의류건조기를 사용할 때에 전력소모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측면을 통해 제공된 드럼 접근이 있는 수평 하중 폐쇄드럼을 포함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단면에 있어서 기계의 실질적인 부분을 도시하기 위한 도려냄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려냄부 사시도,
도 2는 기계를 형성하기 위해 동반되는 다양한 주요 부품을 도시하는 도 1의세탁기의 분해도,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I는 본 발명의 세탁기의 드럼의 개폐에 있어서의 일련의 작동을 묘사하고, 그러한 작동에 있어서 포함된 부품의 작용을 묘사하는 단순화된 형태의 일련의 측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해치 개구부 및 작동부의 하나의 에지와 결합한 래칭 시스템을 상세히 도시하는, 해치부분이 주요부품과 합쳐지는 드럼 스킨 영역의 부분적인 도려냄부를 갖는 확대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A 및 도 4B에 있어서의 해치 개구부 및 작동부 보다 해치 개구부의 다른 에지와 결합한 체결 메카니즘을 상세히 도시하는, 해치부분이 주요부품과 합쳐지는 드럼 스킨 부분의 측단면도,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도3A 내지 도 3G에서 도시하는 세탁물 안내 플랩에 대한 세탁물 안내 플랩의 변경적인 정렬을 도시하고, 그리고 그들의 작동을 설명하는 단순화된 형태의 측단면도.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방법으로 움직이고 또는 적어도 대중에게 유용한 선택을 제공할 세탁기의 작동의 결합된 방법 및/또는 세탁기용 드럼 및/또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1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캐비넷,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평축에 대해 회전가능한 상기 캐비넷에 장착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스킨, 한 쌍의 대향하는 끝, 드럼내에 개구부를 남겨두기 위한 상기 스킨의 잔존부분에 대한 원둘레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상기 스킨에 있어서의 커버섹션을 포함하고 있는 드럼, 그리고
상기 드럼에 이용가능한 접근이 있는 개구위치에 실시가능한 상기 캐비넷에 있어서의 접근수단을 포함하는 세탁기로 일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드럼 스킨이 기계 캐비넷에 대한 제 1 설정 위치에 있을 때 드럼을 회전시키는 방법, 맞물려 있는 동안 상기 캐비넷에 대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드럼 스킨의 커버섹션을 맞물리는 방법, 상기 드럼내에 개구부를 남겨두기 위해 맞물려 있는 상기 커버섹션을 구비하고 있는 제 1 설정위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방법, 그리고 적어도 상기 개구부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캐비넷의 개방을 허용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드럼 개구부 작동을 통해 수평축 세탁기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3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한 쌍의 드럼 끝,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상기 드럼 끝에 단단히 연결되도록 상기 드럼 끝 사이에 걸쳐있는 단단한 연결수단, 그리고
적어도 연속적인 후프의 영향을 받는 인장하에 있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드럼,
상기 레지(ledge)의 위 또는 아래에 유지된 상기 스킨의 각 길이방향의 끝의 에지를 구비하고 있는 원둘레 에지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드럼 끝의 안으로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는 세탁기용 드럼으로 일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4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기계의 캐비넷이 있는 상기와 같은 드럼 그리고 래치(latch)부재가 드럼 주요섹션의 후크 또는 루프와 맞물리는 위치에 있을 때 맞물리는 보충 맞물림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횡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래치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로 일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5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합하게 된 제어 시스템과 결합된 세탁기로 일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에 있어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구조에서의 많은 변화 그리고 크게 차이가 있는 실시예 및 적용이 제안될 것이다. 여기에 개시되고 설명된 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캐비넷(2) 내에서 면에서 면(동-서)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평인 축에 의해 지지되는 구멍이 뚫린 드럼(1)을 갖는, 수평축 타입의 세탁기를 도시하고 있다. 캐비넷(2)은 방수 밀폐부(3) 내의 드럼에 남아 있는 세제액 이나 린스액을 가두어 두는 스킨을 포함하고 있다. 캐비넷 구조(2)의 어떤 부분은 예를 들어 2중 박판 열성형에 의해 액체 가둠 표면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 기계는 상부 적재식 기계이고, 그리고 사용자가 드럼(1)에 접근하고 그리고 기계에 하중을 가하거나 제거하는 상부 개구부(7)를 둘러싸는 뒷면 에지(5)로부터 힌지결합된 뚜껑(4)을 포함하고 있다.
드럼(1)은 기계의 측벽에 끼워맞춤된 드럼지지대(6 ; 보이지않음)에 의해 순차로 각각 지지되는 양 끝에서 베어링(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서술한 실시예에서 베어링은 한 쌍의 드럼 끝(11, 12) 각각의 허브구역(10)으로부터 돌출한 샤프트수단(9)상에 외부적으로 축선방향으로 위치해 있다. 다른 축 형상은, 예를 들어 드럼 지지대로부터 돌출한 샤프트상에 위치되는 드럼의 허브구역의 외부표면에서 웰(well)내에 마찬가지로 내부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각 드럼 지지대는 드럼(1)의 각 드럼 끝을 수용하고 있는 강화 리브구역(13) 및 드럼수용 웰구역(14)을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있다. 드럼 지지대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를 열성형, 사출성형 또는 중공성형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드럼 지지대(6 ; 보이지않음)는 측벽내에 제공된 보충면 내에 내부잠김에 의해 캐비넷과 맞물려 있다. 다른 다소 바람직한 구조는, 개개의 재료 또는 기계적인 서스펜션 시스템으로 형성된 골조와 같은 구조일 수 있다.
드럼 지지대 각각은 웰구역(14)의 중심에 베어링 지지웰을 포함하고 있다. 가요성의, 하지만 매우 강한 베어링 장착대(17)는 베어링 지지웰 내에 위치하고 있고, 그리고 순차로 베어링(8)은 베어링 장착대(17) 내의 보스 내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드럼은 한 쌍의 횡으로 뻗은 베인(110, 111)에 의해 연결된 2 부분의 스킨 및 한 쌍의 드럼 끝(11, 12)을 포함하고 있다. 드럼 스킨의 주요부분(34)은 주요부분의 끝(38, 39 ; 원둘레 끝)에서 베인(110, 111)에 체결되어 있다. 스킨의 주요섹션의 각 횡 에지(16)는 각 드럼 끝 상의 환형의 에지(도시생략) 위에 존재한다. 드럼 스킨의 주요부분(34)의 끝(38, 39) 사이에, 그리고 그 때문에 드럼의 베인(110, 111) 사이에 걸쳐있는 드럼 스킨의 잔존부분(35)은 해치 섹션이다. 해치 섹션(35)은 드럼 내의 개구부를 드러내기 위해 뒤로 미끄러진다. 해치 섹션의 각 휭 에지(15)는, 적어도 베인(110, 111) 사이에 걸쳐 있는 드럼 끝의 섹터를 따라 각 드럼 끝(11, 12)의 내부면 상에 형성된 내부로 대면하고 있는 환형의 채널(도시생략) 내를 통과한다. 해치 섹션(35)이 닫혔을 때, 해치섹션은 실질적으로 연속인 후프를 형성하기 위해 각 결합 에지의 각각을 따라 주요부분(34)에 연결된다. 하나의 에지(36, 38)를 따른 연결은 능동 래치에 의해서이다. 다른 에지(37, 39)를 따른 연결은 수동연결이다.
세탁물 하중 안내 플랩(18, 19)은 드럼 개구부에 인접한 각 베인(110, 111)의 에지를 따라 제공되어 있고, 그리고 드럼이 개방되어 있을 때 플랩은 드럼과 캐비넷 사이의 공간으로 사용자로부터 감춰지며 그리고 세탁물 하중을 드럼내로 안내한다. 이러한 플랩은 또한 드럼이 개·폐될 때 스크래이퍼/가이드로서 작용을 한다.
다른 플랩(20)이 드럼의 해치 섹션(35)과 맞물리도록 제공되어 있어서 드럼은 드럼(1)의 잔존부분을 회전시킴으로써 개방될 수 있고, 해치가 고정된 위치로 남아있는 동안 해치(35)의 미끄러지는 개방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세탁기는 모든 작동단계(세탁, 헹굼 및 탈수건조)시 드럼의 회전을 이루기위한 전기모터(도 2에서 볼수 있는 로터(44) 및 스테이터(45))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구체화된 세탁기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모터는 드럼(1) 및 드럼 지지대(볼수없음)에 결합된 스테이터(45)의 하나의 끝(11)에 결합된 영구자석 로터(44)를 갖는 직접구동 인사이드-아웃(inside-out) 전자기적으로 정류된 무 부러쉬 직류모터이다. 모터의 적합한 형태는 유럽특허 제0361775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타입의 모터는 여기로부터 모터(그리고 드럼)의 위치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준다는 것은 명백해질 것이다. 다른 타입의 모터가 또한, 예를 들어 벨트를 통한 드럼의 회전을 구동시키고 그리고 드럼위치를 결정하고 모니터하기 위한 위치 검출기(회전 샤프트 엔코더와 같은)를 갖는 표준 직류 또는 교류 모터로 사용가능하다.
기계의 작동은, 마이크로 레벨에서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모터 부하로부터 매크로 레벨 및 지시로 설정된, 메모리 내에 존재하는 프로그램과 결합된 모니터와 워터 밸브, 펌프를 제어하는 중앙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된다. 물리적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격리되고 내(耐)환경 격실(21) 내에 바람직하게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내환경 격실은 전자기적 모듈(25)을 둘러싸고 있는 상부 제어 콘솔(23) 및 하부 스트레이(24)를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세탁기의 뒷면의 상부 끝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은 이것이 연결되는 많은 아이템과 밀접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 사용자의 설정은 상응하는 디스플레이와 함께 제어 콘솔(23)의 부분인 제어패드 상에 바람직하게 되어 있다.
워터 입구 밸브(26), 그리고 세제 분배구(27)는 바로 아래에 제공되어 있고,격실(21)의 외부면의 바닥부에 연결되어 있다. 워터 입구 밸브(26)는 세제 분배구(27)를 통해 작동 밀폐부(3)에 물을 도입한다. 복수의 밸브, 또는 분류밸브는 세제 분배구가 하나인 세제 타입보다 더 분배하는 것이 요구될 때 제공될 수 있다.
벽(22) 내의 관통부를 통해 드럼(1)에서 빠져나간 사용 유체는 작동 밀폐부(3)의 전후 벽부분으로 아래로 배출되어 트레이(28) 내에 모인다. 트레이(28)는 트레이(28) 내의 물이 배출되는 출구 섬프(29)를 포함하고 있다. 펌프(30)는 제어 프로세서의 방향에서 작동하도록 출구(29)에 연결되어 있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출구(29)의 바로 아래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을 구체화한 기계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세탁 유체는 하나 또는 양 드럼 끝(11, 12)에 배치된 입구(31)를 통해 드럼(1)으로 들어간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유체는 두 드럼 끝의 단지 하나에, 바람직하게는 결합된 모터를 가지고 있지 않는 드럼 끝(12)에 제공된다. 각 드럼 끝으로부터, 그리고 끼워 맞춤된 드럼 지지 베어링 위로 뻗어 있는 샤프트는 바람직하게 그곳을 통과하는 보어를 가지고 있다. 가압 세탁 유체는 이러한 보어를 통해 드럼에 제공된다.
(캐비넷)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캐비넷은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래퍼(wrapper ; 32)의 하부 끝의 내부에 끼워맞춤된 워터 수용 트레이(28)를 가지고 도시되어 있다. 트레이(28)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장방형의 래퍼의 하부 끝(33) 내에 체결되어 있지만, 하지만 그 사이의 연결부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래퍼의 내부표면(예를들어 전방 표면(41) 및 후방 표면(42)) 아래로 흐르는 유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물이 누수되지 않는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두 부분은, 예를 들어 그들의 인접 에지에서 용접된 플라스틱에 의해, 또는 조인트(43)에 제공될 수 있는 환형의 실 또는 래버린스(labyrinth) 실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트레이(28)는 바람직하게 적당한 표면에 놓여 있는 기계의 푸트(46)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설명한 특정 실시예는 특히, 예를 들어 콘크리트 바닥과 같이 매우 단단한 바닥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더욱이 불균형한 하중에 의한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 바닥에 체결될 수 있는 기계로 추천될 수 있다.
물 수용 트레이(28)의 상부 표면(47)은 유체가 수용 섬프 또는 드레인(29)을 구비하고 있는 하부점(48)에서 모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펌프 조립체(30)는 드레인(29) 바로 아래의 트레이(28)의 아랫면에 연결되어 있고, 그곳으로부터의 물을 수용하고 그리고 세탁기 제어기의 자극에 의해 드럼(31)에 대한 세탁 유체 입구로 또는 기계로부터 세탁 유체 출구로 선택적으로 펌핑한다.
장방형의 래퍼(32)는 단일 접촉패널로써 형성된 네 개의 벽을 갖는 쌍을 이루는 박판을 열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래퍼의 코너를 형성하는 접힘 조인트부를 수반하는, 네 개의 면을 갖는 래퍼를 형성하기 위해 벽 섹션 사이의 조인트에서 접혀진다. 접힌 패널의 내부면은 밀폐부(3)의 적어도 네 면벽의 유체 가둠 표면을 형성하는 한편, 접힌 패널의 외부면은 기계의 외부면을 형성한다. 쌍을 이루는 박판의 열성형공정에 있어서 이러한 벽은, 예를 들어 미적인 호소를 위해 선택된 외부, 그리고 습기방지 특성에 적합한 내부 박판과 같이 그들의 요구에 적합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박판은 구조(예를 들어 리브(50)를 형성하는 수직영역(49))를 강화하기 위해 여러 영역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다. 물 수용 트레이(28)는 쌍을 이루는 박판 열성형에 의해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뚜껑(4)은 뒷면 에지(5)에서 힌지결합되어 있고, 래퍼(32)의 개방 상부 끝(7)을 둘러싸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뚜껑은 바람직하게 드럼(1)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돌출한 내부면(51)을 포함하고 있다. 세탁물 안내 플랩의 하나는 폐쇄위치에서 뚜껑을 선택적으로 잠글 수 있도록 제공된 A자형 래치에대해 더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개·폐작동시 이러한 표면을 가로지른다. 잠금은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적인 선형 액츄에이터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드럼)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드럼(1)은 보다 상세하게, 관통된 금속 후프(22),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챔버를 형성하도록 후프(22)의 끝을 둘러싸는 한 쌍의 끝(11, 12), 및 드럼 끝(11, 12)사이에서 돌출한 한 쌍의 베인(110, 111)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드럼은 단지 하나의 끝(11)으로부터 구동되고 그리고 그 결과 베인(110, 111)의 하나의 목적은 비구동 드럼 끝(12)에 회전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베인은 또한 드럼 조립체(1)에 대한 길이방향의 강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불균형의 동적 하중에 의한 버클링에 대한 임의의 요구되는 저항을 성취하기 위한 내부 강화 및 충분한 깊이를 가지고 있더라도, 베인(110, 111)은 넓고 얇다. 바람직하게 베인(110, 111)은 세탁하중 텀블링을 돕기 위해 리딩 에지(각각 52, 53) 및 트레일링 에지(각각 54, 55)를 포함하는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베인(110, 111)은 회전방향에 있어서 반대로 배향되어 있어서, 각 방향의 회전하에서 하나의 베인(110, 111)은 전방으로 향하고 다른 하나(111 또는 110)는 후방으로 향한다. 이러한 베인 형상은 아래 설명하는 바와 같은 세탁 챔버 내의 친숙한 개구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점을 더 제공한다.
드럼(1)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하여, 관통 금속 후프(22)는 둘레방향으로 2 피스인, 주요 드럼 섹션(34) 및 후프 갖춤 해치 섹션(35)으로 분리되어 있다. 도 1에서 해치 섹션(35)은 기계가 개방된 연결되지 않고 취소모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해치 섹션(35)은 금속 후프(22)의 전 길이에 걸쳐 뻗어 있다. 해치 섹션(35)은 해치 섹션의 대향 에지(36, 37)를 따라 주요 드럼 섹션(34)의 두 개의 자유 에지(38, 39)에 연결되어 있다. 해치 섹션(35)은 인장 원주 힘(후프 응력)에 대해 주요 드럼 섹션(34)의 각 에지에 완전히 체결되는 방법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세탁기의 회전 사이클 하에서, 드럼(1)이 1000RPM까지 또는 그 이상으로 회전할 때에, 드럼 스킨(22)은 완전히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연속 후프는 드럼 스킨 내에서 발생한 후프 응력을 조절하기에 최적이다. 해치 섹션(35)의 에지(36, 37)와 주요 드럼 섹션(34)의 에지(38, 39) 사이의 연결이 충분히 강하다면, 드럼 스킨(22)의 모든 폭에 걸쳐 하중을 분배하고, 그래서 드럼 스킨(22)이 완전히 연속이라면 드럼 스킨(22) 상의 하중이 존재할 것이다. 드럼의 고속회전에 의해 야기된 후프 응력은 드럼 스킨을 관통하는 해치 개구부에의해 집중되지 않고 그리고 그들이 종래기술에서 경험한 하중이 실제로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해치 섹션(35)은 주요 드럼 섹션(34)의 각 자유 에지(38)와 서로 연결되는 능동적인 기계적 래칭 메카니즘에 의해 하나의 에지(36)를 따라 연결되어 있다. 메카니즘의 바람직한 형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하였다. 해치 섹션(35)의 다른 에지(37)는, 예를 들어 해치 섹션(35)이 개방되도록 하는 방법에 의존하는 대체로 다른 형태의 부재에 있어서 드럼 주요 섹션(34)의 상응하는 에지(39)에 연결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해치 섹션(35)은 미끄러져 개방되도록 의도되어 졌고 그리고 수동 연결은 이러한 에지를 따라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수동 연결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하였다.
(능동 래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래칭 메카니즘은 슬라이딩 바로부터 뻗어 있는 일련의 후크 래치(56)를 구비하고 있는 슬라이딩 바(40)를 포함하고 있다. 후크 래치(56)를 포함하는 전체 슬라이딩 바(40)는 드럼 주요 섹션(34)의 루프가공된 에지(38)의 루프(57) 내부에 유지되어 있다. 일련의 후크 래치(56)는 슬라이딩 바(40)의 횡 운동시 커버 섹션(35)의 상응하는 에지(36)로부터 뻗어 있는 일련의 보충 루프(58)를 통해 맞물릴 수 있도록 적합되어 있다. 커버 섹션(35)의 루프(58)는 주요 섹션(34)의 루프(57)에 삽입되어 있고, 그리고 도 4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결합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슬라이딩 바(40)의 각 후크(56)는 커버 섹션(35)의 루프(58)를 통해 뻗어 있어서, 각각은 주요 섹션(34)의 인접한 루프(57) 내의 양 끝(59, 60)에서 유지되어 있고 그리고 커버 섹션(35)의 상응하는 루프(58)는 주요 섹션(34)의 두 개의 인접한 루프(57) 사이의 틈에 걸쳐있는 후크(56)의 부분(61)을 둘러싸고 있다. 그래서, 후크(56)는 서로 연결된 루프(57, 58) 사이의 힌지 핀과 같은 역활을 하고 그리고 거의 완전히 응력하에서 작용된다. 각 후크의 "핀"부분(59-61)은 하나의 끝(60)에서 요크(63)에 의해 주요 슬라이딩 바(62)에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딩 바(40)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크(56)가 드럼 주요 섹션 에지(38)의 루프(57) 사이의 각 틈에 걸쳐 있는 "폐쇄된"위치와, 도 4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크(56)가 드럼 주요 섹션 에지(38)의 각 루프(57) 내에 완전히 유지되는 "개방된"위치 사이에서 미끄러질 수 있고, 그리고 그들 사이의 틈을 침해하지 않는다. "개방된"위치의 슬라이딩 바에 있어서, 커버 섹션(35)의 에지(36)의 루프(58)는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 각각을 위해, 드럼 주요 섹션(34)의 루프(57)사이의 틈 내로 들어가거나 빠져 나오는 것이 자유롭다. 슬라이딩 바(40)의 작동은 주요 섹션 에지(38)의 접혀진 섹션(66)을 통해 연장된 윈도우(65)를 통해 슬라이딩 바(40)로부터 돌출한 미끄럼가능하게 움직이는 버튼(64)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버튼(64)은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사이의 슬라이딩 바(40)를 이동시키기 위해 하나의 위치(67)로부터 다른 위치(68)로 미끄러질 수 있고 그리고 역으로도 적합하다. 버튼(64)의 작동은 바람직하게 자동적으로, 그리고 예를 들어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코그 치형부를 갖는 기계의 주요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 휠(도시생략)에 의해 성취될 수 있어서, 슬라이딩 바 버튼이 적절한위치에 있는 때에, 휠의 회전은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슬라이딩 바 버튼을 누르기 위해 치형부의 하나를 가압한다.
상기에 있어서 맞물림은 특히 드럼 주요 섹션(34)의 루프가공된 에지 내에 존재하는 래치 부재(40)에 의존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정렬은 쉽게 바뀔 수 있어서 래치 부재(40)는 해치 섹션(35)의 루프가공된 에지 내에 유지된다.
(수동 연결)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해치 섹션(35)의 트레일링 에지(37)는 바람직하게 드럼 주요 섹션(34)의 상응하는 에지(39)와 수동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도시된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두 에지중 하나(우리는 해치 섹션 에지(37)를 선택했다)는 일련의 이격된 후크(69)를 지지한다. 다른 에지(39)는 에지(39)의 전체 폭으로 뻗어 있는 연장된 로드(71)를 순차로 유지하는 일련의 루프(70)를 지지한다. 이것은 해치 섹션(35)이 주요 섹션(34)에 대해 밀접하게 미끄러 질 때, 해치 섹션(35)의 이격된 후크(69)가 들어가는 횡의 일련의 개구부(72)를 효과적으로 야기한다. 그래서 후크(69)는 로드(71)가 주요 섹션 에지(39)의 루프(70) 사이에 걸쳐 있는 로드(71) 위로 맞물린다. 이러한 정렬은 각각 도 5A 및 도 5B에서 맞물림 해제 및 맞물림 모드로 도시되고 있다. 이격된 후크(69)는 해치 섹션(35)의 트레일링 에지(37) 내에 직접 형성될 수 있지만, 하지만 후크는 후프 응력때문에 상당한 하중하의 상태로 되고, 그래서 결과적으로 해치 섹션(35)의 재료보다 강한 재료, 예를 들어 박판 금속은 드럼 스킨 보다 4-5배 더 두껍게 실질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들은 해치 섹션(35)의 폭으로 뻗어 있는 후크 유지부재(73)의 트레일링 에지로부터 뻗을 수 있고, 전체 폭에 걸쳐 해치 섹션(35)에 용접될 수 있거나, 또는 하중을 응력집중 없이 해치 섹션(35)에/으로부터 전달하기 위해 적어도 충분히 체결되어 있다.
다시 후크/로드의 정렬이 쉽게 바뀔 수 있음은 쉽게 알 수 있다. 게다가 연결의 다른 방법(능동 맞물림 방법 포함)이 사용될 수 있고, 현재 설명한 방법은 단지 간소함 및 강도 때문에 바람직한 방법이다.
(세탁물 안내 플랩)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세탁물 안내 플랩은 드럼(1)이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드럼 개구부의 후방에지에 인접하고 그리고 후방 에지를 형성하는 베인(110)의 에지(52)에 연결된 제 1 플랩(18)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제 1 플랩(18)은 베인(110)의 에지(52)로부터 뻗어 있고 그리고 전자적 밀폐 콘솔 모듈(21)의 하부 전방 에지(74)와 만난다. 플랩(18)은 베인(110)에 힌지결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외부로 가압하기 위해 튀어나와 있다. 스프링(도시생략)은 예를 들어 와이어 비틀림 스프링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힌지결합된 연결부는, 예를 들어 각각의 부분에 형성된 일련의 서로 연결된 루프를 관통하는 힌지 핀을 갖는 임의의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제 1 플랩(18)은 바람직하게 뒷면에 일련의 강화 리브(75)를 포함하고 있어서, 세탁기의 탈수 사이클동안 압력에 대해 견디는 세탁물의 압력을 견딜 수 있다. 플랩의 에지(76)는 기계가 개방된 상태의 콘솔 모듈(21)에 대해 존재하고, 바람직하게 후방으로 뻗은 푸트(77)를 포함하고 있다. 이 푸트(77)는 폐쇄시 캐비넷의뚜껑(4)의 내부 표면(57)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어서, 플랩(18)은 뚜껑으로부터 그리고 드럼 내에서 임의의 과도한 세탁 하중을 제거를 안내할 수 있다. 폐쇄가 이루어 졌을 때, 푸트(77)는 해치 맞물림 플랩(20)의 면(78) 아래로 지나갈 수 있고 그리고 제 1 플랩(18)을 드럼 스킨(22) 내로 끼워지도록 한다.
제 2 플랩(19)은 드럼(1) 내의 개구부의 전방 에지에 인접하고 그리고 전방 에지를 형성하는 베인(111)의 에지(53)와 힌지결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플랩(19)은 드럼이 개방될 때 캐비넷 개구부의 전방 에지(80)에 대해 존재하는 먼 끝(79)을 갖도록 베인(111)으로부터 뻗어 있다. 이것은 베인(111)에 힌지결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이것을 외부 위치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드럼의 폐쇄시 플랩(19)은 해치 섹션(35)의 상대이동에 의해 아래로 끼워진다. 드럼 개방시 플랩(19)의 리딩 에지(79)는 그 사이의 상대이동에 의해 해치(35)의 내부면(81) 위를 긁어내고, 그리고 표면으로부터 드럼 스킨(22)의 해치 섹션(35)에 부착될 수 있는 축축한 세탁물을 드럼의 몸체로 떨어뜨리기 위해 벗겨낸다.
(해치 맞물림 레버)
드럼을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해 드럼의 해치 섹션(35)은 플랩 또는 레버에 의해 맞물려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것은 본질적으로 제 3 플랩(20)이다. 이 제 3 플랩(20)은 캐비넷(2)의 내부로부터 힌지결합되어 있고, 그리고 예를 들어 전기적 선형 액츄에이터(도시생략)에 의해 능동적으로 제어된다. 플랩(20)은 드럼 스킨(22)의 해치 섹션(35)의 리딩(루프가공된)에지(36)의바로 앞으로 캐비넷 개구부의 전방 에지(78)에서 근접한 곳으로부터 뻗어 있는(플랩이 맞물린 위치에 있을 때) 리딩 면(80)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플랩(20)은 해치 섹션(35)의 루프가공된 부분(86)의 외부면을 따라 뒤로 뻗어 있는 후방으로 뻗은 부분(82)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능동 래치에 있어서 해치 섹션(35)이 주요 섹션(34)과 맞물림으로써 루프(58)를 넘어서는 위치에서, 폭을 따라 이격된 일련의 돌출부(83)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돌출부(83)는 루프가공된 섹션(86)에서 해치 섹션(35)의 상부 웨브(85) 내의 상응하도록 위치된 일련의 개구부(84) 내에 맞물려 있다. 돌출부(83) 및 개구부(84)는 플랩(20)이 해치 섹션(35)과 맞물릴 때, 해치 섹션(35)이 드럼(1)의 양 회전방향에서의 움직임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랩(20)은 선형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 1 맞물린 위치와, 해치 섹션(35) 및 드럼(1)의 잔존부(드럼의 회전시)의 통로의 완전히 근접한 제 2 맞물림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해치 섹션(35)과 맞물리거나 또는 맞물림 해제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기계의 작동)
사용에 있어서 세탁작용은 세탁되는 세탁물의 하중을 드럼(1)의 내부로 전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사용자가 (뚜껑(4)을 개방함으로써)기계의 내부로 접근하는 것이 허용되기 전에는 드럼(1)은 개방되어 있다. 사용자가 뚜껑(4)을 열 때, 드럼(1)과 시야(그리고 갑작스런 세탁물의 등장)로부터 보호하는 캐비넷(2) 사이에 공간(87)을 가짐과 동시에, 플랩(18, 19)에 의해 드럼(1) 내에 직접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형상(뚜껑(4)이 개방된)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기계 내에 그들의 세탁물을 넣고, 세제 분배구(27)에 세제를 넣고, 그리고 뚜껑(4)을 닫는다. 그 다음 사용자는 콘솔(23)의 상응하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적당한 세탁사이클 선택을 진행하고, 그리고 "시작"버튼을 누름으로써 기계에 시작작동을 지시한다.
뚜껑(4)이 닫히고, 세탁 사이클이 선택되고 그리고 기계에 시작이 지시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뚜껑(4)을 잠궈서 닫고 그리고 드럼 스킨(22)을 걸어잠그도록 진행한다. 드럼(1)의 폐쇄는 도 3E 내지 도 3I를 참조하여 아래에 자세히 설명한다. 기계는 세탁사이클을 진행한다. 이 시점에서 세탁, 헹굼 및 탈수 사이클이 순차로 행해진다. 이것은 물 전달 및 드럼 작용의 임의의 공지된 체제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의 설명은 하지 않았다.
세탁 사이클이 끝났을 때, 기계는 세탁작용을 완성했음을 표시한다. 이 시점에서 축축한 세탁물은 고속의 탈수작용 때문에 드럼 스킨(22)의 내부면에 바람직하게 부착되어 있다. 기계는 사용자가 세탁물을 제거하기 위한 접근이 요구될 것이므로 미리 드럼을 개방한다. 드럼 작동에 있어서, 기계는 드럼 스킨(22)의 해치 섹션(35)의 표면(81)으로부터 세탁물을 벗겨낸다. 일단 드럼이 완전히 개방되면, 플랩(18 및 19)은 시야로부터 드럼(1)과 캐비넷(2) 사이에 공간(87)을 감추는 위치에 있게 된다. 드럼 개방 작동은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아래에 자세히 설명한다. 그래서 뚜껑(4)은 잠겨있지 않아서 사용자는 세탁물을 제거하기 위해 기계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세탁 사이클시 세탁물을 접근시키기를 원하는 것도 물론 생각할 수있다. 그 경우에 있어서, 드럼이 정지하고 드럼 개방작동으로 대체될 때 까지 뚜껑(4)은 잠겨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세탁물은 드럼(1)으로부터 자유로이 배출되는 세탁유체의 재순환을 이용하여 세탁되고, 그리고 기계는 상부 적재 형태이므로, 접근이 제공되기 전에 유체 배출작용의 필요가 없다.
(드럼 개방)
도 3A 내지 도 3E는 드럼 개방을 포함하는 작동순서를 설명하고 있다. 드럼(1)은 해치 맞물림 플랩(20)의 일련의 돌출부(83)가 해치(35)의 루프가공된 에지(36)의 외부면(85) 내의 상응하는 개구부(84)와 맞물릴 수 있는, 도 3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개방위치로 우선 회전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화살표(88)로 지시하는 바와 같이 플랩(20)을 아래로 회전시키도록 전기적인 선형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킨다. 플랩(20)의 아래로의 회전은 돌출부(83)가 해치(35)의 루프가공된 에지(36) 내의 개구부(84) 내에서 맞물리는 것을 야기한다. 이 상태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전기적인 선형 액츄에이터는 드럼(1)이 개방되어 있는 동안 드럼 개·폐작동을 통해 플랩(20)을 맞물리는 위치로 유지한다. 플랩(20)은 단지 드럼이 완전히 닫히고 한번더 걸어맞춰 잠겨질 때 맞물림 해제된 위치로 되돌아 온다.
도 3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럼 스킨(22)의 해치 섹션(35)이 해치 맞물림 플랩(20)에 의해 맞물려짐과 동시에, 해치(35)의 루프가공된 에지(36)와 주요 부분(34)의 상응하는 에지(38)의 능동적인 래치 연결부는 해제된다. 이것은 "폐쇄된"위치로부터 "개방된"위치로 슬라이딩 바(40)의 돌출 버튼(64)을 자동으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앞서 도 4A 및 도 4B를 참조로 설명한 방법으로 행해진다.
능동 래치가 맞물림 해제됨과 동시에, 드럼은 도 3B에서 화살표(89)로 지시되는 바와 같은 방향으로 이제 서서히 회전된다. 드럼은 도 3C 내지 도 3E에서 개방회전의 다른 단계로 도시되고 있다. 도 3C는 화살표(89)의 방향으로의 회전위치에 있는 드럼이 시작된 도시한다. 도 3D는 화살표(89)의 방향으로의 회전위치에 있는 드럼이 더 전진한 것을 도시한다. 도 3E는 개방회전의 위치에 있는 드럼이 완료되고 정지된 것을 도시한다.
해치 섹션(35)의 에지(37)와 주요 섹션(34)의 에지(39)의 능동 연결부(도 5A 및 도 5B를 참조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는 해치 섹션(35)과 주요 드럼 섹션(34)의 상대회전에 의해 자동으로 맞물린다. 해치 섹션(35)의 통로는, 적어도 드럼(1)의 베인(110,111)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해치 섹션(35)의 에지(15)가 미끄러지는 드럼 끝(11, 12)에서 채널(90)에 의해 안내된다. 이러한 채널(90)은 주요 드럼 섹션(34)과 같은 만곡부 및 원형의 통로 바로 근처에 폐쇄된 해치 섹션을 연결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드럼이 폐쇄될 때 주요 섹션(34)의 상응하는 에지(38, 39)와 만나도록 해치 섹션(35)의 에지(36, 37)를 안내한다.
개방 회전에 있어서, 스프링의 가압하에서, 제 1 세탁물 안내 플랩(18)(드럼 내의 개구부의 후방 면으로 형성될 베인(110)에 연결된)은, 해치 섹션 면을 떠나기 전에 그리고 뚜껑(4)의 내부면(51)에 대한 해치 맞물림 플랩(20)의 램프면(78) 위를 지나가기 전에, 짧은 거리동안 해치 섹션(35)의 내부면(81) 위를 끌고간다. 이것은 콘솔 모듈(21)의 하부 전방 에지(74)와 만나는 표면의 지점까지 뚜껑(4)의 내부면(51)을 가로질러 끌고간다. 이것은 이러한 에지(74)와 만나고 그리고해치(35)가 완전히 개방되고 드럼(1)이 개방된 위치에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지점에서 실질적으로 정지한다.
한편 제 2 플랩(19)(드럼 개방의 전방 면을 형성하는 베인(111)의 에지(53)로부터 뻗은 플랩)은, 스프링의 가압 하에서, 드럼(1)이 개방위치로 회전할 때 드럼 스킨(22)의 해치 섹션(35)의 내부표면(81)을 따라 긁어낸다. 그렇게 행하는 동안, 플랩(19)의 리딩 에지(79)는 드럼 스킨으로부터 축축한 세탁물을 벗겨내어 드럼의 몸체 내로 떨어지게 한다. 드럼(1)이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 접근함에 따라, 제 2 플랩(19)은 캐비넷 개구부(도 3E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의 전방 에지(80)에 대해 놓여 있는 리딩 에지(79)를 갖기 위해, 해치 섹션(35)의 루프가공된 영역(86) 위를 지나가고 그리고 스프링에 의해 외부로 회전한다.
(드럼 폐쇄)
드럼 폐쇄는 기본적으로 드럼 개방 과정의 반대이다. 도 3E 내지 도 3J은 드럼 폐쇄를 포함하는 작동순서를 설명하고 있다. 뚜껑(4)이 우선 잠긴다. 그리고나서 드럼(1)은 화살표(90)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폐쇄되도록 회전한다. 드럼은 도 3F 내지 도 3H에 있어서 폐쇄회전의 다른 단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F는 화살표(90)의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위치에 있는 드럼이 시작된 것을 도시한다. 도 3G는 화살표(90)의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위치에 있는 드럼이 더 전진한 것을 도시한다. 도 3H는 폐쇄회전 위치에 있어서의 드럼이 완료되고 정지된 것을 도시한다.
폐쇄회전에 있어서, 제 1 세탁물 안내 플랩(18)은, 스프링 가압 하에서, 뚜껑(4)의 내부 표면(51)을 따라 뒤로 밀려진다. 플랩(18)은 드럼개방의 레벨 이상에서 발생하는 세탁물과 뚜껑표면(51)사이를 지나가고 그리고 그 세탁물을 드럼 내로 모은다. 뚜껑(4)의 내부표면(51)을 가로지르도록 밀려진 제 1 플랩(18)은 해치 맞물림 플랩(20)의 램프 면(78)과 만나고 그것을 따라 지나간다. 그리고 나서 하부중심 지점에서, 해치 섹션(35)의 루프가공된 에지(36)의 리딩 끝(91)과 만나고, 그리고 해치 섹션(35)의 내부로 안내된다. 이것은 표면의 교대(abutment)가 항상 제 1 플랩(18)을 올바른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제 1 플랩(18)의 푸트(77)의 표면, 뚜껑(4)의 내부(51), 및 해치 맞물림 플랩(20)의 램프 면(78)의 설계를 신중하게 할 필요가 있다. 플랩의 변경적인 실시예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그 실시예는 그러한 신중한 표면설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대신 두 플랩의 결합으로 대체된 제 2 플랩(19)에 의존하고, 그 중 하나는 캐비넷으로부터 힌지결합된 능동 플랩이다. 능동 플랩의 추가적인 작동에 대한 필요성 때문에, 그 실시예는 현재의 것보다 다소 덜 바람직하다.
제 2 플랩(19)(드럼 개방의 전방 면을 형성하는 베인(111)의 에지(53)로부터 뻗은 플랩)은, 베인(111)과 해치 섹션(35)사이의 상대회전에 의해 해치 섹션(35)의 내부표면(81) 위로 그리고 그 표면(81)을 따라 뒤로 끌려진다. 플랩(19)은 스프링에 의해 그 표면에 대해 가압되어 존재한다.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이 폐쇄회전을 완료한 때에, 능동연결부에서 드럼 주요 섹션(34)의 에지(38)를 따른 루프(58)는 해치 섹션(35)의 에지(36)를 따라 루프(58)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간다. 동시에 수동연결부에서, 해치 섹션(35)의 이격된 후크(69)는 주요 섹션 에지(39)의 루프(70) 내에 유지된로드(71)와 맞물린다.
능동 연결부에서, 드럼 주요 섹션(34) 및 드럼 해치 섹션(35)의 루프(57, 58)가 완전히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능동 연결부는 "개방된"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슬라이드 바(40)의 돌출 버튼(64)을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이루어 진다.
드럼(1)이 완전히 닫히고 걸어맞춤되어 닫혀짐과 동시에, 해치 맞물림 플랩(20)은 전기적 액츄에이터에 의해 화살표(92)(도 3J참조)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3J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맞물림 해제된 위치로 들어가도록 작동된다.
(변경적인 플랩의 실시예)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경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플랩(19)은 베인(111)의 에지(53) 상의 작은 수동 플랩(93) 및 개구부의 전방 에지(80)에 인접한 기계의 캐비넷(2)으로부터 힌지결합된 능동적으로 제어된 큰 플랩(94)의 결합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완전히 개방되고 그리고 각각 폐쇄된 최종단계에 있는 드럼(1)을 도시하는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되었다.
드럼(1)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을 때, 베인(111)(개방회전시 축축한 세탁물을 긁어 내리는 역활을 하는)의 작은 플랩(93)은 해치 섹션(35)의 루프가공된 에지(36) 위로 뻗어 있고, 한편 큰 능동 플랩(94)은 해치 섹션(35)의 리딩 끝(91) 바로 위의 위치로 뻗어 있고, 작은 플랩(93)을 감싸고 있다.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드럼(1)이 폐쇄될 때, 제 1 플랩(18)은 능동 플랩(94)(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 해치 맞물림 부재(20)의 램프 면(78)과 같은 역활을 하는)의 리딩 면(95)에 의해 루프(58)의 중심 아래의 해치 섹션(35)의 리딩 에지(91)과 만나도록 안내된다. 그래서 플랩(18)은 폐쇄회전동안 해치 섹션(35)의 내부에 끼워진다.
능동 플랩은 해치 맞물림 부재(20)(본 실시예에서 더 단순한 형태를 갖는)와 결합된 위치 내로 또는 바깥으로 회전되고, 그리고 그러한 목적을 위해서 그들과 평행하게 회전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로 부터 본 발명이 수직축이 있는 상부 적재 세탁기와 유사한 인간공학적이고 편리한 장점을 갖는 수평축 세탁기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더욱이 기계의 설계 및 작동은 사용자에게 친숙하다. 게다가 사용자는 단지 세탁기의 뚜껑을 여는 것만이 요구되고 그리고 드럼의 내용물은 추가적인 도어의 개방 및 드럼에 요구되는 것이 없이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제공된다. 드럼의 개·폐는 사용자의 개입없이 이루어 지고, 그리고 플랩과 베인 시스템은 세탁물 부분이 뚜껑이나 또는 해치 메카니즘에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에게 상당히 유리하다는 상기의 특징 외에, 본 발명은 드럼을 통해 직접적으로 제공된 접근 개구부를 가지고 있더라도, 또한 고유의 강도 및 연속 후프의 보전을 유지하는 드럼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는 기계가 고속 탈수속도와 함께 큰(완전한 폭)접근 개구부를 갖도록 한다.

Claims (24)

  1. 캐비넷,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평인 축에 대해 상기 캐비넷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스킨, 한 쌍의 대향 끝, 상기 드럼 내에 개구부를 남겨두기 위해 상기 스킨의 잔존부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상기 스킨 내의 커버 섹션을 포함하는 드럼, 그리고
    상기 드럼에 유효한 접근이 있는 개방 위치에 작동가능한 상기 캐비넷 내의 접근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에 대한 상기 커버 섹션의 위치를 지지하기 위한 유지수단을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이 맞물려 있는 드럼의 회전이 상기 드럼 커버 섹션과 상기 드럼의 잔존부 사이로 상대적인 미끄러짐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드럼회전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드럼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구동수단 제어수단은 상기 유지수단이 상기 커버 섹션과 맞물릴 수 있는 제 1 위치와, 상기 커버 섹션이 뒤로 미끄러지는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 적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캐비넷에 힌지결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드럼의 틈을 유지하는 제 1 위치와 암의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커버 섹션의 적어도 한 부분과 맞물릴 수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작동가능한 커버섹션 맞물림 암, 그리고 상기 제 1 과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암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개방회전의해 상기 커버섹션으로부터 분리된 에지에 인접한 상기 드럼의 상기 잔존부에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세탁물 안내 플랩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플랩은 에지로부터 뻗어 있고 그리고 드럼의 개·폐시 상기 접근수단의 내부표면을 따라 미끄러지기 위해 바깥방향으로 가압되고 있고, 그리고 플랩 안내수단은 상기 드럼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드럼 내부에 존재하도록 상기 플랩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안내 수단은 상기 세탁물 안내 플랩의 리딩 에지가 상기 드럼의 상기 폐쇄시 미끄러지는 상기 커버 맞물림 암의 경사진 표면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경사진 표면은 상기 유지된 커버 섹션에 인접하기 위해 상기 접근 수단의 인접한 상기 내부표면으로부터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스킨의 상기 커버섹션 및 상기 드럼 스킨의 잔존부 섹션은 상기 커버섹션이 상기 드럼 스킨을 실질적으로 완료하기 위해 폐쇄방향으로 미끄러질 때 수동적으로 맞물리도록 적합되어진 각각의 길이방향의 에지중 하나에 존재하는 보충 캐치수단 및 연속 후프가 인장하에 있을 때 상기 드럼스킨을 체결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다른 길이방향의 에지에 존재하는 보충 래치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스킨은 상기 드럼 스킨의 에지 위 또는 아래에 맞물리는 각 상기 드럼 끝의 원주방향 레지에 의해 유지되고, 그리고 상기 드럼 끝에 단단히 연결된 단단한 드럼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연결수단은 상기 드럼 내의 상기 드럼 끝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상기 드럼 스킨에 근접한 두 개 이상의 원주방향으로 넓은 베인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그것의 단지 하나의 끝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회전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개·폐시 상기 커버 섹션이 지나가는 상기 드럼 스킨의 잔존부의 에지에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커버 섹션 스크래핑 플랩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크래핑 플랩은 외부로 가압되고 있어서, 상기 드럼의 개·폐시 상기 커버섹션의 내부를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한 쌍의 드럼 끝,
    상기 드럼 끝 서로를 단단히 연결하기 위해 상기 드럼 끝 사이에 걸쳐 있는 단단한 연결수단, 그리고
    적어도 연속 후프에 영향을 주는 인장하에 있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드럼 스킨,
    상기 레지의 위 또는 아래에 유지된 상기 스킨의 각 길이방향 끝의 에지를 구비하고 있는 원주방향 레지를 포함하는 상기 드럼 끝의 내부에 대향된 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드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스킨은 상기 연속 후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인접 에지에서 원주방향으로 연결된 주요섹션 및 커버섹션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섹션은 하나의 에지에 수동 연결부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다른 에지에 능동 맞물림 래치 연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드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연결부는 하나의 상기 드럼 섹션이 상기 커버 섹션을 폐쇄시키는 방법으로 다른 상기 드럼 섹션 위로 미끄러 질 때, 후크작용에 의해 맞물리는 보충 맞물림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드럼.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연결부는 상기 커버 섹션 또는 상기 주요 섹션의 에지 그리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래치결합된 연결부로 미끄러질 때 상기 래치 부재의 핀 수단이 맞물릴 수 있는, 다른 상기 에지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맞물림 후크 또는 루프와 결합된 횡으로 미끄러지는 래치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드럼.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끝은 채널을 형성하는 제 1 상기 레지 및 상기 레지에 인접한 제 2 반대의 상기 레지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드럼의 각 길이방향의 끝의 에지는 각 상기 끝의 원주방향 채널 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드럼.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적으로 맞물린 래치 연결부 에지에 인접한 상기 드럼 스킨의 상기 주요 섹션과 힌지결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커버 섹션 에지가 상기 주요 섹션 에지로부터 연결되지 않고 이동할 때 상기 드럼 스킨의 일반적으로 원통형 덮개 외부로 뻗도록 외부로 가압되는 세탁물 안내 플랩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드럼.
  17. 제 12 항 내지 16 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연결부 에지에 인접한 상기 드럼 스킨의 상기 암 섹션과 힌지결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드럼 스킨의 상기 커버 섹션의 내부 표면에 대해 먼 에지에서 견디도록 외부로 가압되는 커버 섹션 스크래핑 플랩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드럼.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드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드럼 스킨이 기계 캐비넷에 대해 제 1 설정위치에 있을 때 드럼을 회전시키는 방법, 맞물려 있는 동안 상기 드럼 스킨의 커버 섹션이 상기 캐비넷에 대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맞물리는 방법, 상기 드럼 내에 개구부를 남겨두기 위해 맞물린 상기 커버 섹션을 구비한 제 2 설정위치에 대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방법, 그리고 적어도 상기 캐비넷의 개구부가 상기 개구부에 접근을 제공하도록 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개방작동을 통한 수평축 세탁기 작동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섹션의 상기 에지는 내부맞물림 래치 부재를 통해 상기 드럼 스킨의 상기 잔존부의 상기 에지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맞물리는 상기 커버 섹션의 상기 단계는 상기 잔존하는 드럼 섹션 에지로부터 상기 커버 섹션 에지를 풀어주기 위해서 상기 래치 부재가 미끄러지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축 세탁기 작동방법.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제어시스템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실질적으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그리고 첨부도면으로 예시된 바와 같은 세탁기.
  23. 세탁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그리고 첨부도면으로 예시된 바와 같은 드럼.
  24. 실질적으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그리고 첨부도면으로 예시된 바와 같은 세탁기의 드럼의 개방 및/또는 폐쇄 방법.
KR1020017005804A 1998-11-09 1999-11-09 상부적재식 세탁기 KR200100860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Z33270898 1998-11-09
NZ332708 1998-11-09
NZ33608899 1999-06-02
NZ336088 1999-06-02
PCT/NZ1999/000184 WO2000028127A1 (en) 1998-11-09 1999-11-09 Top loading washing machin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461A Division KR20040104674A (ko) 1998-11-09 1999-11-09 상부 세탁물 적재식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011A true KR20010086011A (ko) 2001-09-07

Family

ID=266519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804A KR20010086011A (ko) 1998-11-09 1999-11-09 상부적재식 세탁기
KR10-2004-7017461A KR20040104674A (ko) 1998-11-09 1999-11-09 상부 세탁물 적재식 세탁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461A KR20040104674A (ko) 1998-11-09 1999-11-09 상부 세탁물 적재식 세탁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6343492B1 (ko)
JP (2) JP2002529173A (ko)
KR (2) KR20010086011A (ko)
CN (2) CN1327073C (ko)
AU (1) AU766902B2 (ko)
BR (1) BR9915181A (ko)
CA (2) CA2350741C (ko)
MX (1) MXPA01004594A (ko)
MY (3) MY127588A (ko)
NZ (2) NZ525840A (ko)
TR (2) TR200101283T2 (ko)
WO (1) WO20000281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365B1 (ko) * 2003-12-1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드럼의 제조 방법
KR20150058762A (ko) * 2013-11-21 2015-05-29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저수조 없는 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53411B2 (en) 1999-10-19 2002-10-17 Lg Electronics Inc. Structure of driving unit i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7073356B2 (en) * 2001-09-28 2006-07-11 Sanyo Electric Co., Ltd.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040105862A (ko) 2002-04-10 2004-12-16 피셔 앤 페이켈 어플라이언스 리미티드 세탁기
NZ518290A (en) * 2002-04-10 2005-02-25 Fisher & Paykel Appliances Ltd A laundry appliance
US6968632B2 (en) 2002-04-10 2005-11-29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Laundry appliance
US7249742B2 (en) 2002-04-10 2007-07-31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Self-levelling foot arrangement for an appliance
DE60331142D1 (de) * 2002-05-17 2010-03-18 Arcelik S A Trommel
KR100451747B1 (ko) * 2002-09-25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리프트
KR100464054B1 (ko) 2002-12-27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캐비넷/터브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EP2325368B1 (en) * 2002-12-27 2016-12-07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005000583A (ja) * 2003-01-20 2005-01-06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CN100451220C (zh) * 2003-02-14 2009-01-1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的门
JP2004344463A (ja) * 2003-05-23 2004-12-09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JP3963864B2 (ja) * 2003-05-27 2007-08-22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JP4148466B2 (ja) * 2003-06-13 2008-09-10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回転体制御機構、回転体制御ユニット及び回転体の制御方法
US7627960B2 (en) * 2003-06-30 2009-12-08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dryer drum projections
DE10344918B4 (de) * 2003-09-17 2009-12-17 Prettl Appliance Systems Gmbh Blendenanordnung für eine Haushaltsmaschine
KR101073900B1 (ko) * 2003-11-26 2011-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리어 서포터와 백커버 간의 조립구조
US20050132755A1 (en) * 2003-12-18 2005-06-23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reducing retained moisture content of articles and method of fabricating
DE102004049549A1 (de) * 2004-03-24 2005-10-13 Diehl Ako Stiftung & Co. Kg Motor als Direktantrieb und Verfahren zur Montage des Motors
US8961461B2 (en) 2004-05-27 2015-02-24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state alarm system for a medical pump
KR100634802B1 (ko) * 2004-07-20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DE102006002713A1 (de) * 2005-03-18 2006-10-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Frontbaugruppe für eine Wäschetrockenmaschine
KR100651853B1 (ko) 2005-09-30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서트사출형 베어링하우징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캐비넷/터브 일체형 드럼세탁기
US7841220B2 (en) * 2005-09-30 2010-11-30 Lg Electronics Inc. Drum-type washing machine
EP1994214B1 (en) * 2006-03-16 2014-07-23 LG Electronics, Inc. Top-loading drum type washing machine
US7536882B2 (en) 2006-03-29 2009-05-26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663641B1 (ko) * 2006-04-06 2007-01-05 주식회사 아모텍 일체형 스테이터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레이디얼코어타입 더블 로터 방식의 비엘디씨 모터 및 그의제조방법
KR100793796B1 (ko) * 2006-04-27 2008-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 로딩 드럼 세탁기 및 제어방법
US20070256322A1 (en) * 2006-04-27 2007-11-08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Dryer having heater-installed suction duct
ES2311360B1 (es) * 2006-07-07 2009-12-02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Aparato electrodomestico.
AU2008202152A1 (en) * 2007-05-18 2008-12-04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Laundry Machine, Control and Method
US20110100068A1 (en) * 2007-11-12 2011-05-05 Tulga Simsek Washer-extractor machine
US8065816B2 (en) * 2007-12-03 2011-11-2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ryer drum vane
ES2332346B1 (es) * 2008-03-03 2011-02-02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Tambor de lavadora.
US8286288B2 (en) 2008-07-01 2012-10-1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indicating operational information for a bulk dispensing system
US8397544B2 (en) 2008-07-01 2013-03-19 Whirlpool Corporation Household cleaning appliance with a single water flow path for both non-bulk and bulk dispensing
US10138587B2 (en) 2008-07-01 2018-11-27 Whirlpool Corporation Household cleaning appliance with a dispensing system operable between a single use dispensing system and a bulk dispensing system
US20100000264A1 (en) 2008-07-01 2010-01-0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onverting a household cleaning appliance with a non-bulk dispensing system to a household cleaning appliance with a bulk dispensing system
US8052805B2 (en) * 2008-07-01 2011-11-0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automatically flushing a bulk dispensing system in a cleaning appliance
US8196441B2 (en) 2008-07-01 2012-06-12 Whirlpool Corporation Household cleaning appliance with a dispensing system operable between a single use dispensing system and a bulk dispensing system
GB0920565D0 (en) * 2009-11-24 2010-01-06 Xeros Ltd Improved cleaning apparatus
EP2812475B1 (en) * 2012-02-09 2021-04-07 Electrolux Laundry Systems France SNC A drum assembly for a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9828714B2 (en) * 2013-08-20 2017-11-28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static tub
CN103485124A (zh) * 2013-09-11 2014-01-01 李懿 一种滚筒洗衣机
KR101672200B1 (ko) * 2013-09-17 2016-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1500186B1 (ko) * 2013-11-06 2015-03-0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US9626549B1 (en) * 2015-11-16 2017-04-18 MorphoTrak, LLC Derived virtual quality parameters for fingerprint matching
US10066334B2 (en) * 2016-07-08 2018-09-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 with a door lock assembly
US10443178B2 (en) 2017-09-01 2019-10-15 Whirlpool Corporation Rear panel and basement damping treatments for a laundry appliance
CN110042623B (zh) * 2018-01-15 2021-06-1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滚筒洗衣机
US10815597B2 (en) * 2018-05-31 2020-10-27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liquid distribution assembly
CN111041782B (zh) * 2018-10-12 2022-11-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
EP3798349A1 (en) 2019-09-27 2021-03-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orizontal axis laundry treatment machine having corner entr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174A (en) * 1913-05-28 1914-07-28 Troy Laundry Machinery Co Ltd Knockdown renewable washing-cylinder.
US1472434A (en) * 1922-11-15 1923-10-30 Blackstone Mfg Company Cylinder for washing machines
US2291463A (en) * 1941-02-10 1942-07-28 American Laundry Mach Co Movable tub sheet for dry cleaning washers
US2579761A (en) * 1948-01-10 1951-12-25 St Joe Machines Inc Washing machine attachment
DE1188547B (de) * 1963-12-14 1965-03-11 Poensgen G M B H Geb Doppeltrommelwaschmaschinen mit Schiebetueren
US3553982A (en) * 1968-11-07 1971-01-12 Ludell Mfg Co Washing machine
FR2291308A1 (fr) * 1974-11-15 1976-06-11 Mayc Sa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tambours des machines a laver le linge
FR2318261A1 (fr) * 1975-07-17 1977-02-11 Amiens Const Elect Mec Dispositif de securite de fermeture de porte de tambour de machine a laver
FR2478151A1 (fr) * 1980-03-11 1981-09-18 Thomson Brandt Machine a laver le linge, a tambour horizontal du type a porte coulissante
JPH01274294A (ja) * 1988-04-26 1989-11-02 L I C:Kk ホッパーの摺接案内構造
NZ226374A (en) 1988-09-28 1994-10-26 Fisher & Paykel Injection moulding of electric motor rotor or stator
IT1246485B (it) * 1990-10-30 1994-11-19 Eurodomestici Ind Riunite Dispositivo per l'arresto di un cestello nella posizione di carico- scarico in una lavabiancheria del tipo a carica dall'alto
US5398528A (en) * 1994-05-02 1995-03-21 Whirlpool Corporation Pulley system for automatic washer
US5546772A (en) * 1994-05-02 1996-08-20 Whirlpool Corporation Tub door system for a top loading horizontal axis automatic wash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365B1 (ko) * 2003-12-1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드럼의 제조 방법
KR20150058762A (ko) * 2013-11-21 2015-05-29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저수조 없는 세탁기
US10000874B2 (en) 2013-11-21 2018-06-19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Tubless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7588A (en) 2006-12-29
US20020014095A1 (en) 2002-02-07
JP2002529173A (ja) 2002-09-10
MY122404A (en) 2006-04-29
CA2452703A1 (en) 2000-05-18
CN1223720C (zh) 2005-10-19
AU1085200A (en) 2000-05-29
KR20040104674A (ko) 2004-12-10
MXPA01004594A (es) 2002-09-18
CN1510196A (zh) 2004-07-07
US6481035B2 (en) 2002-11-19
CA2350741A1 (en) 2000-05-18
TR200101283T2 (tr) 2001-10-22
CN1332816A (zh) 2002-01-23
CA2452703C (en) 2006-08-29
JP2006297151A (ja) 2006-11-02
NZ525840A (en) 2005-07-29
US6343492B1 (en) 2002-02-05
CA2350741C (en) 2007-01-30
US20020040506A1 (en) 2002-04-11
TR200200363T2 (tr) 2002-05-21
AU766902B2 (en) 2003-10-23
NZ511499A (en) 2003-08-29
BR9915181A (pt) 2001-08-14
US6578391B2 (en) 2003-06-17
CN1327073C (zh) 2007-07-18
WO2000028127A1 (en) 2000-05-18
MY127599A (en) 200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6011A (ko) 상부적재식 세탁기
ZA200103682B (en) Top loading washing machine.
EP3133202B1 (en) Auxiliary washing machine
AU2001279956B2 (en) Laundry appliance
JP2006230956A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9563672A (zh) 滚筒式洗衣机
JP2009225871A (ja) 洗濯機
AU2003235074B2 (en) Top Loading Washing Machine
EP1129249A1 (en) Top loading washing machine
JP4893229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80023288A (ko) 의류처리장치
JP2019084311A (ja) 洗濯機
KR100517713B1 (ko) 상부 적재식 세탁 기기
JP3226722B2 (ja) 洗濯機
KR19980082406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WO2002022934A2 (en) Laundry appliance
KR20070065140A (ko) 드럼세탁기의 세탁물 낙하방지구조
JP2015062625A (ja) 洗濯機
JPH02241483A (ja) 異物除去フィルタを備えた洗た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