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288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288A
KR20180023288A KR1020160108356A KR20160108356A KR20180023288A KR 20180023288 A KR20180023288 A KR 20180023288A KR 1020160108356 A KR1020160108356 A KR 1020160108356A KR 20160108356 A KR20160108356 A KR 20160108356A KR 20180023288 A KR20180023288 A KR 20180023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reinforcing
reinforcing coupling
coupling portion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진
한인희
이지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3288A/ko
Publication of KR20180023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06F13/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wherein the agitator has both rotary, e.g. oscillating rotary, motion and axial mo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며,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는 원형의 드럼바닥면, 상기 드럼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투입구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며,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바닥면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구비한 구동부, 상기 드럼바닥면의 회전중심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투입구를 향해 돌출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서 상기 드럼바디의 원주면을 향해 연장되는 암이 구비된 교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공급된 세탁수를 강제유동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세탁수의 유동과 이에 의한 마찰 및 세제의 유화작용 등으로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도록 된 가전제품으로서, 센서에 의해 세탁물의 양과 종류를 감지하여 세탁방법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또한 세탁수의 수위를 세탁물의 양과 종류에 따라 적절한 수위까지 급수한 후 마이콤의 제어를 받아 세탁을 수행하게 되며 세탁과정은 통상 세탁, 헹굼, 탈수, 급/배수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방식은 구동 모터의 회전동력을 동력전달용 벨트 및 풀리등을 개재하여 세탁축으로 전달하여 교반부를 회전시키거나 탈수축으로 전달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방식과, BLDC 모터 또는 DD모터의 속도제어에 의해 드럼을 세탁 및 탈수시 다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방식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BLDC 모터 또는 DD모터를 이용하면서도 동력전달 경로를 달리 제어하여 세탁시에는 교반부를 회전시켜 세탁을 행하고, 탈수시에는 교반부 및 드럼를 동시에 고속회전시켜 탈수를 행하는 구조가 등장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탁 및 헹굼과정에서는 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이 세탁축에 연결된 교반부로 전달이 되어, 이에 따라 드럼 바닥면에 설치된 교반부가 정방향 및 역방향의 교반회전을 하면서 세탁수에 유동이 발생하여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탈수시에는 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이 교반부 및 드럼이 동시에 고속회전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탈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교반부는 상기 드럼 내부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여 상기 의류에 충격을 가하거나, 상기 의류를 드럼의 외각으로 밀어내거나, 물에 강한 수류를 발생시켜 상기 의류에 가하는 물리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은 물과 접촉해야 하므로 녹이 슬지 않는 금속(예: 스테인리스 스틸)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술한 높이나 길이의 교반부를 드럼바닥면을 소성변형시키는 가공기법(Press 등)으로 형성시키면, 상기 교반부의 형상이 금속의 연신율(elonggation percentage)이나 연성(ductility, 인장력이 작용할 때 변형하여 늘어나는 재료의 특성) 등의 한계를 벗어나 있어 상기 드럼바닥면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교반부는 상기 드럼바닥면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드럼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물리력을 직접 받는 부분이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및 외부 충격에도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스테인레스와 같은 강체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드럼과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교반부 전체를 상기 드럼과 같은 재질로 구비하는 경우 상기 교반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잡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성형 및 제조가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고, 상기 드럼과 결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는 일정한 부피를 구비하며, 상기 드럼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드럼바닥면에서 일정 부피만큼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교반부 전체를 스테인레스와 같은 강철 또는 상기 드럼과 같은 재질로 구비한다면, 교반부의 무게 및 밀도를 포함한 물성치가 커지게 되므로 상기 드럼 전체의 무게 및 관성모멘트가 커지게 된다.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을 전환할 때 상기 모터에 더 많은 부하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을 교반부가 가벼운 재질로 구비될 때와 같은 속도로 회전하거나 회전전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모터를 더 성능이 좋은 것으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교반부 제작과 설치가 간편하도록 상기 드럼보다 강성이 작은 다른 재질로 구비하였다. 예를들어, 상기 교반부 플라스틱 재질 이나 알루미늄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상기 교반부 전체가 플라스틱등과 같이 상기 드럼보다 강성이 작은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 성형과 설치는 용이할 수 있으나 그 강도 및 강성이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내부에 물과 의류가 수용되어 회전하는 경우, 의류 및 물의 반발력, 의류와 물의 충격 및 피로도 누적에 의해 상기 교반부가 파손될 수 있고, 상기 교반부가 구부러지거나 변형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교반부가 상기 드럼과 다른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 색상 및 질감 등이 드럼과 다르므로 전체적인 심미감을 해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교반부와 드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교반부의 강성은 높이면서도 교반부 자체의 부피는 유지하되 질량은 가볍게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교반부의 제작과 가공 및 성형이 편리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급수관 및 배수관의 설치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교반부와 드럼의 표면 재질이 동일하여 전체적인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원형의 바닥면을 구비하며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바닥면에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바디와, 상기 교반부 바디에 수용되어 상기 교반부바디의 강성을 보강하며, 상기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부 바디를 상기 바닥면에 고정하는 보강결합부를 구비하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부바디는 상기 드럼과 같은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드럼과 다른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부바디는 상기 보강결합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강결합부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되
상기 바닥면의 중앙에 고정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부바디는 상기 바닥면의 중앙에 고정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복수의 암과, 상기 중심부의 하부면과, 상기 복수의 암의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보강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면은 상기 보강결합부와 결합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암의 말단이 상기 바닥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보강결합부가 상기 교반부 바디에 삽입되면 상기 보강결합부와 체결되는 결합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수용되며 상기 교반부바디는 상기 보강결합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면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보강결합부의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복수의 암의 하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이 안착되는 안착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안착대가 구비된 부분까지 상기 교반부바디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대는 상기 결합바디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홈은 상기 안착대에서 상기 복수의 암의 말단과, 상기 복수의 암의 양측면과, 상기 중심부 중 상기 복수의 암이 연장된 부분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의 외부에 구비되되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며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고정암을 구비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암과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암의 말단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고정암과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암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 2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암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보강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체결부를 안내하는 삽입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삽입돌기를 수용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복수의 암의 하부면이 개방된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보강결합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암은 위로 볼록한 곡선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부는 상기 교반부바디 및 상기 보강결합부의 회전중심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내부에 구비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를 상기 드럼의 내부와 연통시키며, 상기 챔버로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챔버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여과홀과, 상기 드럼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여과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드럼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은 출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가능하고 상기 터브를 수용하는 드로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과 상기 드럼의 회전축은 서로 다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교반부의 일부를 드럼과 같은 재질로 구비하여도 드럼과 교반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교반부의 강성은 높이면서도 교반부 자체의 밀도는 낮출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교반부의 표면은 강성이 강한재질로 구비하고, 교반부의 내부는 교반부의 표면의 강성을 보강하고 교반부와 드럼의 결합력을 높이는 재질로 구비하여 교반부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교반부를 제작할 때 그 강성을 보강하되 제작과 가공 및 성형이 편리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교반부의 강성을 보강하면서도 교반부와 드럼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급수관 및 배수관의 설치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교반부와 드럼의 표면 재질이 동일하여 전체적인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급수관 및 배수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5 내지 도 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교반부의 여러 실시예와, 상기 교반부와 드럼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2),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3, 4)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3,4)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3)와, 원형의 바닥면을 구비하며 상기 터브(3)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4)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에는 출입구(11)가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2)는 출입구(11)를 통해 캐비닛(1)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너비방향(X축 방향)의 길이가 높이방향(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드로워(2)는 너비방향 길이가 높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다른 가전제품을 배치하거나, 별도의 의류처리장치를 배치할때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 드로워(2)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일 뿐 상기 드로워(2)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드로워(2)가 구비되지 않은 종래의 탑로더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2)는 상부면이 개방된 드로워 바디(21), 상기 드로워 바디의 개방면에 구비되는 드로워 커버(25)를 포함한다. 즉, 상기 드로워 바디(21)는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커버(25)는 드로워 바디(2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21)는 슬라이더(미도시)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캐비닛(1)으로 삽입될 수 있는데, 이는 드로워(2)를 인출하는 공지의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전방면에는 드로워 패널(23)이 구비되는데, 상기 드로워 패널(23)은 캐비닛의 출입구(11)를 개폐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드로워 패널(23)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2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231)에는 상기 수용부(3, 4)에 물을 급수하는 수단인 급수부(7) 및 물을 배수하는수단인 배수부(8), 의류를 회전시키는 수단인 구동부(5), 의류에 스팀이나 열풍을 공급하는 수단인 열풍공급부 및 수분공급부(미도시)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231)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미도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확인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부(3, 4)는 상기 드로워 바디(2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3),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4)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3)는 터브지지부(311)에 의해 드로워(2) 내부에 고정되는 터브 바디(31),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3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32)에는 터브 바디(31) 내부 공간을 터브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33)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33)는 도어(35)에 의해 개폐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드럼(4)은 구동부(5)에 의해 터브(3)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드럼(4)의 자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상기 구동부(5)는 상기 터브(3)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51),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2), 상기 터브(3)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바닥면(43)과 상기 로터(52)를 연결하는 회전축(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3)은 상기 드로워(2)가 인출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회전축(53)은 지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 커버(25)에는 상기 드로워 커버(2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로워 바디(2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커버관통홀(251) 및 제커버2관통홀(253)이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커버관통홀(251)은 세탁물이 투입되거나 인출되는 부분이며, 제2커버관통홀(253) 급수부(7)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3, 4)로 물이 공급되는 부분이다.
상기 도어(35)는 터브 커버(3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도어(35)는 드로워 커버(25)에 구비된 제1커버관통홀(251)를 통해 드로워(2)의 외부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로워(2)를 캐비닛(1)에서 인출시킨 뒤 도어(35)를 열어 터브(3)에 의류을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 커버(32)에는 터브 바디(31)로 물을 유입시키는 급수구(37)가 구비되는데, 상기 급수구(37)에는 후술할 급수관(71)의 일단이 고정된다.
상술한 의류수용부가 터브(3)와 드럼(4)으로 구비되는 것은 본 발명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려면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터브(3)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미도시)가 더 구비되면 된다.
즉, 상기 열풍공급부(미도시)는 터브(3)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비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제1터브에서 배출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한 열교환부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열풍공급부(미도시)는 터브 내부의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 터브 외부의 공기를 터브(3)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공급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를 세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급수부와 배수부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부(7)는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과 상기 급수구(37)를 연결하는 급수관(71),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급수관(71)을 개폐하는 밸브(7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71)은 제2커버관통홀(253)을 통해 상기 드로워 커버(25)를 관통하는데, 드로워(2)가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되더라도 상기 제2커버관통홀(253)에 결합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거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부(8)는 상기 터브(3)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배수부는 터브(3) 내부의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89), 상기 드로워(2) 배면에 구비되어 터브(3) 내부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펌프(8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 역시 신축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거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급수관(71) 및 배수관(89)은 신축관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2)가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되거나 투입되어도 상기 드로워(2)를 외부 급수원 및 하수구와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급수관(71) 및 배수관(89)이 신축관으로 구비되어도 신축되는 부분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어 어느 부분이 어느 정도 신축되는 지를 장담할 수 없고, 한부분만 지속적으로 이완, 축소되어 내구성이 점점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관 및 배수관에 물이 차있을 때 자중으로 인해 아래로 신축되는 등 의도하지 않은 형상으로 신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 및 배수관이 신축관으로 구비되지 않아도 상기 급수관(71) 및 배수관(89)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드로워(2)가 이동하더라도 상기 급수관(71) 및 배수관(89)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급수관(71) 및 배수관(89)이 신축관으로 구비되어도 안내하는 구조는 필요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가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되는 경우 급배수관을 안내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로워(2)가 캐비닛(1)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부(7)와 배수부(8)가 단순히 급수원(미도시)과 급수구(37)를 연결하는 호스 및 터브 내부의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호스로 구비된다면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될 때 급수부나 배수부가 꼬이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2) 내부에 구비되어 급수부(7) 및 배수부(8)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9)를 더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더(9)는 캐비닛(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바디(97), 상기 제1바디(97) 및 상기 드로워(3)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9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97)는 캐비닛(2)에 고정된 지지부(95), 상기 지지부(9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로형성부(97a), 상기 유로형성부(97a)에 결합하여 상기 제1바디(97)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97b)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97a)는 제1축(971)을 통해 상기 지지부(95)에 결합되므로, 상기 제1바디(97)는 제1축(971)을 기준으로 회전운동 가능하다.
상기 유로형성부(97a)에는 격벽(97c)에 의해 서로 분리된 급수연결관(973) 및 배수연결관(975)이 구비된다. 상기 급수연결관(973)은 상기 급수부(7)를 구성하는 유로이고, 상기 배수연결관(975)은 상기 배수부(8)를 구성하는 유로이다.
상기 제2바디(99)는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급수부(7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지지하는데, 상기 제2바디(99)의 일단은 제2축(991)을 통해 제1바디(9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2바디(99)의 타단은 제3축(993)을 통해 드로워 커버(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가이더(9)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될 경우, 본 발명에 구비되는 급수부(7)는 급수원(미도시)과 상기 급수연결관(973)을 연결하는 제1급수유로(71), 상기 급수연결관(973)과 터브(4)에 구비된 공급구(433)를 연결하는 제2급수유로(73, 7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유로(71)는 급수밸브(79)에 의해 개폐되며, 급수연결관 유입구(973a)를 통해 급수연결관(973)에 연통한다.
상기 제2급수유로는 급수연결관 배출구(973b)와 상기 체결관(75)을 연결하는 제1급수관(73), 상기 제1급수관(73)에 공급된 물을 상기 터브에 구비된 공급구(433)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77), 상기 제1급수관(73)과 상기 제2급수관(77)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드로워 커버(35)에 고정되는 체결관(7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 커버(35)에 고정되는 상기 체결관(75)은 제1급수관(73)을 드로워 커버(35)에 고정할 뿐만 아니라 제1급수관(73)과 제2급수관(77)을 서로 연통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제 1급수관(73)과 상기 제 2 급수관(77)은 상기 체결관(75)을 기준으로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관(75)을 기준으로 구비된 제2 급수관(77)이 상기 터브(4)의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 2 급수관(77)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의 방향이 일정하게 구비되어 세척수 공급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관(73)은 상기 제2바디(99)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바디(99)에는 상기 제1급수관(73)을 수용하는 급수관 수용부(99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수용부(995)는 제3축(993)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받침대(9951)와 상기 받침대의 양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된 수용리브(9952), 상기 수용리브(9952)의 자유단에서 상기 받침대(9951)와 나란하게 서로 가까워 지도록 돌출되는 돌출부(99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수용부(995)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9951)과 상기 수용리브(9952)는 상기 제1급수관(73)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9513)은 상기 제1 급수관(73)이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하거나 위치를 변경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99)는 상기 제2축(991)과 연결되되 상기 제1 바디(97)와 이격되어 구비되도록 경사부(99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9991)는 상기 제1 바디(97)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터브(4)의 진동시 상기 제1바디(97)와 상기 제 2바디(99)가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관(73,77)이 상기 제2 바디(99)에서 상기 제 2 관통홀(353)까지 연장되는 부분(L3)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99)는 상기 제1 바디(97)와 나란하게 구비된 제1직선부(999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9991)은 상기 제1직선부(9992)의 말단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수용부(995)는 상기 경사부(9991)의 말단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에 의해 드럼(5)이 회전하면, 터브(4)에 드럼이나 구동부의 진동이 발생할 수 있고, 터브에 발생한 진동이 제2급수관(77)에 전달되면 급수부(7)를 비롯한 가이더(9)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급수관(77)은 주름관으로 구비되어 터브의 진동이 체결관(75)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급수부(7)의 경우, 제어부(미도시)가 급수밸브(79)를 제어하여 제1급수유로(71)를 개방하면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은 제1급수유로(71)를 통해 급수연결관(973)으로 공급되고, 상기 급수연결관(973)으로 유입된 물은 제1급수관(73), 체결관(75), 제2급수관(77) 및 공급구(433)를 통해 터브(4)로 공급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드로워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배수부(8)는 드로워(3)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터브(4) 내부의 물을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82), 터브에 저장 가능한 물의 최고 수위(F, 도 2 참고)보다 높은 지점(S, 기준점)을 통과하도록 구비된 배수유로(89), 상기 배수펌프(82)와 배수유로(89)를 연결하는 연결유로(83, 85, 87)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배수부(8)의 경우, 상기 연결유로 전체 또는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는 상기 기준점(S)과 상기 배수펌프(82) 사이에 저장된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터브(4)로 이동함으로써 형성되는 터브(4) 내부의 수위(K, 기준수위)보다 높은 위치(H)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터브 내부의 수위(K)를 측정하는 기준위치와 연결유로의 높이(H)를 측정하는 기준위치는 동일하며, 도면은 상기 기준위치가 챔버연통관(811)인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작동 중이던 배수펌프(82)가 작동을 중단하면, 배수유로(89) 내부의 물 중 기준점(S)과 배수펌프(82) 사이에 있는 물은 자중에 의해 터브(4) 내부로 유입될 것이고, 터브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K)가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83, 85)보다 높으면 연결유로 내부에 물이 잔류하게 될 것이다.
연결유로 내부에 물이 잔류하면, 겨울과 같이 외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 물이 연결유로 내부에서 얼 수 있고,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본 발명에서 연결유로가 얼면 드로워(3)의 이동 시 연결유로가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 연결유로 전체가 상기 기준수위(K)보다 높은 위치(H)에 구비되거나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 영역이 상기 기준수위(K)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도록 한 특징은 상술한 문제를 방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 영역이 상기 기준수위(K)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다는 것은 상기 연결유로의 나머지 영역은 상기 기준수위(K)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됨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연결유로의 파손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기준수위(K)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연결유로의 길이는 기준수위(K)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연결유로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연결유로 내부에 잔류하는 물이 배수펌프로 집중되도록 하기 위해(연결유로의 파손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연결유로 전체 또는 상기 기준수위(K)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배수펌프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연결유로의 설치 위치는 기준점(S)의 높이 및 유로의 직경에 따른 기준점(S)과 배수펌프(82) 사이에 저장 가능한 물의 부피, 상기 터브(4)의 바닥면 면적에 따라 달라지는 터브로 역류한 물의 수위(K)를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배수펌프(82)의 작동시 배수유로(89)에 사이펀(Siphon)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배수유로에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면 터브(4) 내부는 물론 배수유로 및 연결유로에 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연결유로에 물이 잔류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배수유로(89)는 하수구에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연결유로에 워터트랩(water trap, 배수유로를 통해 외기가 터브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물)을 형성하는 물이 잔류하지 않으면 하수구의 악취가 터브(4)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수펌프(82)가 작동을 중단한 때 배수유로(89)에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수펌프(82)는 상기 드로워(3)의 후방면에 고정된 배수챔버(821), 상기 배수챔버(81)와 상기 터브(4)를 연통시키는 챔버연통관(811), 상기 배수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미도시), 상기 배수챔버(821)의 외부에 고정되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연통관(811)은 드로워의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41)에 연결되므로, 상기 임펠러의 회전 시 터브 내부의 물은 챔버연통관(811)을 통해 배수챔버(81)로 유입될 것이다.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배수챔버(821)에 연결되는 제1연결유로(83), 가이더(9)에 구비된 배수연결관(975)을 통해 상기 제1연결유로(83)와 상기 배수유로(89)를 연결하는 제2연결유로(85, 87)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유로(83)는 상기 드로워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구비(확대 도면의 점선부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연결유로에서 상기 배수챔버(8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제1연결유로(83)가 상기 제2연결유로에서 상기 배수챔버(8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면 제2연결유로(85, 87)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배수펌프(82)로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연결유로(83)가 경사지게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연결유로(83)와 제2연결유로가 연결되는 지점(연결점)은 상기 기준점(S)과 상기 배수펌프(82) 사이에 저장된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터브(4)로 이동함으로써 형성되는 터브(4) 내부의 수위(K)보다 높은 위치(H)에 설정되어야 한다.
한편,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점을 터브 내부의 수위(K)보다 높은 위치(H)에 고정하고, 상기 제1연결유로(83)가 배수펌프(82)를 향해 하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는 상기 연결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유로연결부(8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연결부(86)는 드로워(3)의 후방면에 연결점을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유로연결부(86)는 상기 연결유로를 드로워(3)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킴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로연결부(86)는 상기 연결유로가 상기 드로워(3)의 바닥면에 수직한 축(861, 연결부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유로를 상기 드로워의 후방에 고정할 수 있다.(R1)
나아가,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될 때 제1연결유로(83)와 제2연결유로의 연결점에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유로연결부(86)는 제1연결유로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86a), 제2연결유로에 구비되되 상기 제1체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체결부(86b)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연결유로가 다른 하나의 연결유로의 원주방향(R2)을 따라 회전될 수 있어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될 때 연결점에 발생되는 비틀림에 의해 연결유로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지지축(861)은 제1체결부(86a)와 제2체결부(86b)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연결유로(85, 87)는 상기 제1연결유로(83)와 상기 배수연결관(975)을 연결하는 제1배수관(85), 상기 배수연결관(975)과 배수유로(89)를 연결하는 제2배수관(8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관(85)은 배수연결관 유입구(975a)를 통해 배수연결관(975)에 연결되고, 상기 제2체결부(86b)를 통해 상기 제1연결유로(8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관(87)은 배수연결관 배출구(975b)를 통해 배수연결관(975)에 연결된다.
상술한 상기 제1연결유로(83)와 제1배수관(85)은 하나의 호스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유로와 상기 배수관은 연결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구분되어야 한다.
상기 제2배수관(87)이 배수유로(89)에 연결되는 지점과 제1바디(97)의 회전중심이 상이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제2배수관(87)은 탄성재질(고무 등)로 구비되거나 길이방향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드럼 및 교반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4)은 하부면이 개방(413)된 원통형상의 드럼바디(41), 상기 드럼바디(41)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개방면(413)을 폐쇄하는 드럼바닥면(43), 상기 드럼바디(41)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구(33)에 연통하는 드럼투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투입구는 드럼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면(411)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바디의 상부 개방면(411)에 밸런서(42)가 구비될 경우, 상기 드럼투입구는 상기 밸런서(42)에 구비된 관통홀(423)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밸런서(42)가 상부 개방면(411)에 고정되는 하우징(421),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관통홀(423, 하우징 관통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유체나 볼(ball)이 순환 가능한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425)로 구비될 경우, 상기 관통홀(423)이 드럼투입구가 될 수 있다.
상기 유로(425) 내부에는 볼과 유체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유체 및 볼이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밸런서(42)는 드럼(4)이 편심회전할 때 유로(425) 내부의 유체나 볼이 편심을 유발하는 힘(드럼 내부의 의류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드럼의 편심회전(드럼의 진동)을 저감할 것이다.
한편, 상기 드럼바디(41)에는 드럼바디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연통홀(415)이 구비된다. 따라서, 터브 바디(31)에 저장된 물은 상기 연통홀(415)을 통해 드럼바디(41)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드럼바디(41) 내부의 물은 상기 연통홀(415)을 통해 터브 바디(31)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5)는 상기 드럼바닥면(43)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53)과 상기 드럼바닥면(43)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축고정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고정부(54)는 상기 드럼(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류의 저장공간)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바디(540), 상기 바디에서 상기 드럼바닥면(43)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고정암(55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540)와 상기 고정암(5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드럼바닥면(4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3)은 상기 고정바디(54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암(550)는 상기 회전축(53)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이격된 제1고정암(551), 제2고정암(552) 및 제3고정암(5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고정암(551), 제2고정암(552) 및 제3고정암(553)가 이격된 각도는 서로 다를 수 있고, 서로 같을 수 있다.
상기 제 1고정암(551), 제2고정암(552) 및 제3고정암(553) 이격된 각도가 서로 같은 경우 그 이격된 각도는 120도일 수 있다.
상기 고정암(550)는 상기 드럼 바닥면(43)에 구비된 베이스(4300)에 결합될 수 있다.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럼(4)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척한다. 상기 드럼(4)은 회전속도를 상승 및 감소시키거나, 회전방향을 바꾸면서 상기 드럼(4)에 수용된 의류를 비벼빠는 효과 등을 포함하는 기계적인 마찰력을 도출하여 상기 의류를 세척한다. 이때, 상기 드럼(4)의 회전만을 이용하여 상기 의류를 세척하는 것은 기계적인 마찰력을 생산하는데 부족할 수 있다. 즉, 기계적인 마찰력을 극대화 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100)는 메인 의류처리장치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보조의류처리장치로 적용될 수 있고, 메인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되되 공간활용도 및 소량의류의 즉각적인 세탁을 고려하여 부피를 최소화한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의 부피를 최소화하려면 수용부(3, 4)의 부피가 최소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3,4)의 부피가 감소되면 상기 터브(3)에 저장가능한 물의 양이 줄게 되어 세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에도 기계적인 힘을 상기 드럼(3) 내부에 수용된 의류에 가하여 별도의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드럼(4)에 수용된 의류에 기계적인 힘을 더하여 세척성능을 향상시키는 교반부(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6)는 상기 드럼바닥면(43)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드럼바닥면(43)의 중심에서 드럼바디(41)의 원주면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암(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암(60)은 상기 드럼바닥면(43)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바닥면(43)은 상기 베이스(4300)를 통해 상기 교반부(6)를 고정할 수 있다. 도5는 상기 교반부(6) 중 상기 암(60)이 상기 베이스(4300)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나, 상기 베이스(4300)는 상기 교반부(6)의 하부면 전체와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교반부(6)의 중앙에 구비되는 중심부(61)는 드럼바닥면(43)에서 드럼투입구(423)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암(60)은 상기 교반부(6)의 중심부(61)에서 서로 120도씩 이격된 제1암(63), 제2암(65) 및 제3암(67)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암은 더 많이 구비될 수 있고 더 적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암이 총 3개의 암으로 구비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더라도 이는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상기 암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5를 참조하면, 상기 교반부(6)는 드럼바닥면(43)의 회전중심(드럼의 회전중심, 회전축에 대응하는 지점)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허브(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6)에 허브(61)가 구비된 경우 상기 중심부(61)는 허브(61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허브결합홀(6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610)에는 터브(3) 내부의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는 허브(610) 내부에 구비되는 챔버(611), 상기 챔버로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613),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챔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여과홀(61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여과홀(615)은 상기 챔버(611)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드럼바닥면(43)에는 상기 여과홀(615)에서 배출된 물을 터브 바디(31)로 배출 가능한 드럼 관통홀(437)이 더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드럼의 회전으로 터브(3) 내부의 물이 이동하면, 드럼(4) 내부의 물 중 일부는 유입구(613)를 통해 챔버(611)로 유입되고, 챔버 내부의 물은 여과홀(615) 및 드럼관통홀(437)을 통해 터브(3)로 배출될 것이며, 이 과정에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여과홀(615)에 의해 상기 챔버(611) 내부에 잔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챔버(611)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는 상기 챔버(611)에 착탈 가능한 챔버 커버(617)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챔버 커버(617)가 구비될 경우, 상기 유입구(617)는 상기 챔버 커버(617)의 하단과 상기 챔버(611)의 상단 사이의 공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허브(610)의 높이는 상기 드럼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한 높을수록 세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상기 허브(610)가 드럼의 회전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암들(63, 65, 67)이 허브(610)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상기 허브(610)에 의해 의류가 드럼의 가장자리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암들에 의해 의류가 드럼 내부에 골고루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허브(610)는 상기 드럼 높이(H1)의 절반보다 높은 높이(H2)를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2 참조)
전술한 것처럼, 드럼바닥면(43)은 상기 교반부(6)와 결합되거나 상기 교반부(6)를 지지할 수 있는 베이스(430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럼바닥면(43)의 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암들(63,65,67)을 지지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4300)는 상기 제1암(63)을 지지하는 제1암베이스(4301), 상기 제 2암(65)을 지지하는 제2암베이스(4302), 상기 제3암을 지지하는 제3암베이스(430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부(6)는 상기 드럼(4) 내부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드럼(4)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여 상기 의류에 충격을 가하거나, 상기 의류를 드럼바디(41)로 밀어내거나, 상기 터브(3)에 수용된 물에 강한 수류를 발생시켜 상기 의류에 가하는 물리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4)은 터브(3)에 저장된 물과 접촉해야 하므로 녹이 슬지 않는 금속(예: 스테인리스 스틸)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술한 높이나 길이의 교반부(6)를 드럼바닥면(43)을 소성변형시키는 가공기법(Press 가공 등)으로 형성시키면, 상기 교반부(6)의 형상이 금속의 연신율(elonggation percentage)이나 연성(ductility, 인장력이 작용할 때 변형하여 늘어나는 재료의 특성) 등의 한계를 벗어나 있어 상기 드럼바닥면(43)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교반부(6)는 상기 드럼바닥면(43)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드럼(4)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물리력을 직접 받는 부분이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및 외부 충격에도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스테인레스와 같은 강체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교반부(6)는 상기 드럼(4)과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교반부(6) 전체를 상기 드럼(4)과 같은 재질로 구비하는 경우 상기 교반부(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잡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성형 및 제조가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고, 상기 드럼(4)과 결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6)는 일정한 부피를 구비하며, 상기 드럼(4)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드럼바닥면(43)에서 일정 부피만큼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교반부(6) 전체를 스테인레스와 같은 강철 또는 상기 드럼(4)과 같은 재질로 구비한다면, 교반부(6)의 무게 및 밀도를 포함한 물성치가 커지게 되므로 상기 드럼(4) 전체의 무게 및 관성모멘트가 커지게 된다.
상기 드럼(4)을 회전시키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고, 상기 드럼(4)의 회전방향을 전환할 때 상기 구동부(5)에 더 많은 부하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4)을 교반부(6)가 가벼운 재질로 구비될 때와 같은 속도로 회전하거나 회전전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5)를 더 성능이 좋은 것으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교반부(6) 제작과 설치가 간편하도록 상기 드럼(4) 보다 강성이 작은 다른 재질로 구비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교반부(6)는 플라스틱 재질 이나 알루미늄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교반부(6) 전체가 플라스틱등과 같이 상기 드럼(4)보다 강성이 작은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 성형과 설치는 용이할 수 있으나 그 강도 및 강성이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4) 내부에 물과 의류가 수용되어 회전하는 경우, 의류 및 물의 반발력, 의류와 물의 충격 및 피로도 누적에 의해 상기 교반부(6)가 파손될 수 있고, 상기 교반부(6)가 구부러지거나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6)가 상기 드럼(4)과 다른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 색상 및 질감 등이 드럼(4)과 다르므로 전체적인 심미감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부(6)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가공과 성형이 쉽고, 상기 교반부(6)와 드럼 바닥면(43)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6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상기 교반부(6)와 드럼바닥면(43)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6은 상기 교반부(6)를 상기 바닥면(43)에 용이하게 결합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교반부(6)는 상기 드럼의 바닥면(43)에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바디(62)와, 상기 교반부바디(62)에 수용되어 상기 교반부바디(62)의 강성을 보강하며, 상기 드럼바닥면(43)(이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부바디(62)를 상기 바닥면(43)에 고정하는 보강결합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교반부(6)가 상기 의류와 세척수에 접촉하는 부분과 상기 드럼 바닥면(43)에 접촉하는 부분이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결합부(64)는 상기 교반부바디(62)와 상기 바닥면(43)을 결합시키는 매개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교반부바디(62)는 상기 드럼(4)과 같은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보강결합부(64)는 드럼(4)과 다른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부바디(62)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강결합부(64)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과 같이 가볍고 가공이나 성형이 쉬운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7은 상기 교반부바디(62)와 상기 보강결합부(64)의 일실시예를 하부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6과 도7을 참조하면, 상기 교반부바디(62)는 상기 보강결합부(64)를 수용하는 하우징(62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20)은 상기 보강결합부(64)가 그대로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62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부바디(62)는 상기 보강결합부(64)를 수용하는 개구부(622)를 가진 하우징(620)으로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20)은 상기 보강결합부(6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결합부(64)는 상기 하우징(620)에 수용되되 상기 바닥면(43)의 중앙에 고정되는 보강결합부 중심부(640)와, 상기 중심부(64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보강결합부 암(643,645,64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결합부(64)는 교반부(6)의 뼈대를 이루며, 상기 교반부바디(62)는 상기 교반부(6)의 표면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교반부바디(62)의 하우징(620)은 상기 보강결합부 중심부(640)가 수용되는 교반부바디 중심부(621)와 상기 보강결합부 암(643,645,647)이 수용되는 교반부바디 암(623,625,627)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
즉, 상기 교반부바디 중심부(621)와 상기 교반부바디 암(623,625,627)은 하나의 연통된 하우징(62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교반부바디(62)와 보강결합부(64)는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교반부바디 중심부(621)와 상기 보강결합부 중심부(640)는 교반부의 중심부(61)를 이루며, 상기 교반부바디 암과 상기 보강결합부 암은 상기 제1,제2,제3암(63,65,67)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도7a를 참조하면, 상기 교반부바디(62)는 상기 보강결합부(64)와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결합돌기(6201)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6201)는 상기 하우징(620)의 상기 개구부(622)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결합부(64)는 상기 교반부바디(62)의 하우징(620)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고, 그 일부만 수용될 수 있다.
도7b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결합부(64)가 완전히 상기 교반부바디(62)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보강결합부(64)는 하부면(641)만 교반부(6)의 표면에서 외부에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교반부바디(62)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교반부바디(62)의 결합돌기(6201)은 상기 보강결합부(64)의 하부면(641)에 접촉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교반부바디(62)와 상기 보강결합부(64)는 상기 결합돌기(620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결합돌기(6201)는 일정 두께를 구비하므로 상기 보강결합부(64)는 하부면에 상기 결합돌기의 두께만큼 절개되어 상기 결합돌기(6201)가 안착할 수 있는 수용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으로 인해 상기 보강결합부(64)의 하부면은 나란한 평면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면(43)과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도8은 상기 보강결합부(64)가 상기 하우징(620)에 일부만 수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결합부(64)는 보강결합부 중심부(640)와 보강결합부 암(643,645,647)의 하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620)의 개구부(622)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대(6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대(644)까지 상기 보강결합부(64)는 상기 교반부바디(62)에 수용되고, 상기 안착대(644)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안착대(644)가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보강결합부(64)가 상기 교반부바디(62)에 완전이 수용되어 상기 교반부바디(62)의 개구부(622)와 상기 바닥면(43)이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때, 조립공차, 가공과 성형과정의 오차등의 이유로 상기 개구부(622)와 상기 바닥면(43)이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안착대(644)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안착대(644)가 상기 바닥면(43)과 접촉하게 되고, 후술할 체결부재로 상기 보강결합부(64)와 상기 바닥면(43)이 단단하게 결합되게 되면 상기 안착대(644)가 일부 소성 또는 탄성 변형하게 된다.이로써, 상기 보강결합부(64)와 상기 바닥면(43)의 접촉력 또는 접지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안착대(644)는 상기 결합돌기(6201)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홀(64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6201)은 상기 안착홀(646)에 삽입되어 상기 보강결합부(64)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교반부바디(62)와 상기 보강결합부(64)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교반부(6)가 회전하거나, 진동하더라도 상기 교반부바디(62)가 상기 보강결합부(64)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6201)은 상기 안착홀(646)에 삽입된 이후에 상기 보강결합부(64)의 하부면(641)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6201)는 상기 보강결합부(64)의 많은 부분과 결합할수록 상기 교반부바디(62)와 상기 보강결합부(64)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돌기(6201)는 상기 보강결합부 암(643,645,647)의 말단과 양측면에 구비된 안착홀(646)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강결합부 중심부(640)에서 상기 보강결합부 암(643,645,647)이 연장되지 않은 부분에 구비된 안착홀(646)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안착홀(646)은 상기 안착대(644)에서 상기 결합돌기(6201)와 대응되는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홀(646)은 상기 안착대(644)에서 상기 보강결합부 암(643,645,647)의 말단과 양측면, 상기 보강결합부 중심부(640) 중 상기 암이 연장된 부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보강결합부(64)와 상기 교반부바디(6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교반부바디(62)는 내부가 채워져 있는 강체로 구비되고, 일부에 하우징(62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부 바디(62)가 상기 교반부(6)의 표면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상기 교반부바디(62)가 일정한 부피를 가진 강체로 구비되고 그 내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하우징(620')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620')에 상기 보강결합부(64')가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부바디(62)는 상기 드럼의 바닥면(43)의 중앙에 고정되는 중심부(621)와, 상기 중심부(621)에서 방사상으로 구비된 구비된 교반부 바디암(623,625,62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바디암(623,625,627)은 상기 보강결합부(64')와 결합하여 상기 제1암,제2암, 제3암을(63,65,6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심부(621)의 하부면과 교반부 바디암(623,625,627)의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보강결합부(64')가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62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620')은 상기 교반부바디 암(623,625,627)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교반부바디의 중심부(621)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결합부(64')는 상기 하우징(620')이 어디에 구비되어 있든지 상기 하우징(62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교반부바디(62)는 상기 교반부(6)의 표면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교반부(6)의 대부분의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부바디(62)는 내부가 꽉 차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도9와 같이 상기 교반부바디(62)는 상기 베이스(4300)와 결합될 수 있는 부분에 하우징(620')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620')에 보강결합부(64')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보강결합부(64')는 마찬가지로 상기 교반부바디(62)와 상기 베이스(4300)의 결합을 매개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4300)가 3개로 구비되면, 상기 하우징(620')도 3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강결합부(64')도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하였듯, 상기 교반부바디(62)의 하우징(620')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보강결합부(64')의 하부면(641)과 상기 베이스(4300)의 상부면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교반부바디(62)의 강성을 최대한 강화하면서, 상기 교반부바디(62)가 상기 바닥면(43)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모든 교반부(6)의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서 상기 암(60)은 위로 볼록한 곡선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암(60)이 상기 바닥면(43)과 접하는 부분은 위로 볼록한 곡선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 참조)
이는 상기 교반부바디(62) 및 보강결합부(64)를 성형할 때 상기 바닥면과 접하는 부분이 직선형태이거나 예각을 취하면 가공 및 성형에 있어서 취약하고, 전체적인 부피가 작아지므로 의류와 세척수를 교반하는 효과가 절감되기 때문이다.
도10은 상기 교반부(6)가 상기 바닥면(43)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바닥면(43)에는 전술한 베이스(4300)가 구비된다. 도10은 상기 베이스(4300)가 암(60)의 말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도시한 것이지만, 상기 베이스(4300)는 상기 보강결합부(64)와 결합할 수 있다면 어디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4와 도10을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4300)는 상기 암(60)의 말단이 상기 바닥면(43)과 접촉하는 부분에 구비되므로, 상기 보강결합부(64)가 어떠한 실시예로 구비되어도 상기 베이스(4300)은 상기 암(60)의 말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도10은 상기 보강결합부(64)가 교반부(6)의 형상으로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상기 보강결합부(64)가 도9의 실시예로 구비된 경우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결합부(64)의 하부면(641)은 상기 드럼바닥면(43)과 접촉하되, 상기 베이스(43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결합부(64)의 하부면(641)은 상기 드럼바닥면(43)과 전부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베이스(4300)에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결합부(64)가 상기 드럼바닥면(43)과 용접되지 않더라도 별도의 체결부재로 상기 드럼바닥면(43)과 안정적으로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4와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4300)에는 상기 고정암(550)가 체결부재(S)에 의해 결합되므로 상기 보강결합부(64)는 하나의 체결부재(S)에 의해 상기 베이스(4300) 및 상기 고정암(550)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5)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상기 교반부(6)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S)는 상기 고정암(550)와 상기 베이스(4300)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결합부 암(643,645,647) 말단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S1)와, 상기 고정암(550)와 상기 베이스(4300)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결합부 암(643,645,647)의 말단을 제외한 일측에 체결되는 제 2체결부재(S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암(550)는 베이스 (4300)를 관통하여 상기 보강결합부(64)에 고정되는 체결부재(S)를 통해 드럼바닥면(4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S)가 드럼(4)의 내부에 노출된 상태에 있으면 상기 드럼(4) 내부의 의류가 체결부재(S)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S)는 상기 교반부바디(62)와 상기 보강결합부(64)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드럼 내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7,도8,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결합부(64)는 상기 하부면(641)에 상기 제1체결부재(S1)와 상기 제2체결부재(S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수용부(64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수용부(648)는 상기 제1체결부재(S1)와 결합하는 제1삽입수용부(648a)와 상기 제2체결부재(S2)가 결합할 수 있는 제2삽입수용부(64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수용부(648a)와 상기 제2삽입수용부(648b)는 내부에 나사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체결부재(S1)와 상기 제2체결부재(S2)는 상기 나사홈(미도시)과 대응되는 볼트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암(550)는 상기 베이스(4300)를 관통하여 상기 보강결합부(64)에 삽입되어 상기 체1체결부재(S1)를 안내하는 삽입돌기(5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수용부(648a)는 상기 삽입돌기(555)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삽입수용부(648)은 내주면에 상기 삽입돌기(555)를 수용하는 원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555)는 상기 축고정부(54), 상기 바닥면(43) 및 상기 보강결합부(64)의 결합위치를 안내하여 상기 교반부(6)와 상기 바닥면(43)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S2)는 상기 제1체결부재(S1)가 상기 제1삽입수용부(648a)에 삽입되어 체결된 이후에, 상기 제2삽입수용부(648b)에 체결되어 상기 교반부(6)를 상기 바닥면(43)에 더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삽입수용부(648b)는 상기 제1삽입수용부(648a)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제2체결부재(S2)가 상기 제1체결부재(S1)보다 더 굵게 구비되는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결부재(S1)와 상기 제2체결부재(S2)는 체결되는 위치만 상이할 뿐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제2체결부재(S2)는 상기 제1체결부재(S1)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체결부재(S2)는 상기 삽입돌기(555)와 상기 제1체결부재(S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수용부(648)는 상기 보강결합부(64)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고, 내부의 하우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결합부(64)는 상부에 상기 교반부바디(62)와 결합되므로 어느경우든지 상기 체결부재(S)가 상기 교반부(6), 상기 베이스(4300), 상기 구동부(7)를 결합하면서 상기 드럼(4) 내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결합부(64)는 모든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면(641)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보강결합부(64) 내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리브(649)가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649)는 상기 보강결합부(64) 내부에 다양한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보강결합부(64)도 내부가 상기 삽입수용부(648)와 상기 보강리브(649)를 제외한 공간은 빈공간으로 구비하여도 상기 보강리브(649)로 인해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리브(644)는 상기 보강결합부(64)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2 드로워 21 드로워 바디
23 드로워 패널 231 컨트롤패널 25 드로워 커버
271 슬라이더바디 273 슬라이더하우징
3 터브 31 터브바디 33 투입구
4 드럼 41 드럼바디 411 개방면
413 하부면 415 연통홀 42 밸런서
421 하우징 423 관통홀 425 유로
43 바닥면 4300 베이스 4301 제1암베이스
4302 제2암베이스 4303 제3암베이스 437 드럼관통홀
5 구동부 51 스테이터 52 로터
53 회전축 54 축고정부 540 고정바디
550 고정암 551 제1고정암
552 제2고정암 553 제3고정암
555 삽입돌기 6 교반부
63 제1암
65 제2암 67 제3암 61 허브 611 챔버
617 챔버커버 613 유입구 615 여과홀
62 교반부바디 620 하우징 622 개구부
6201 결합돌기
623,625,627 교반부 바디암
64 보강결합부 640 중심부 641 하부면
642 수용홈 644 안착대 646 안착홈 648 삽입수용부
649 보강리브
(643,645,647) 보강결합부 암
69 허브결합홀
7 급수부 8 배수부 82 배수펌프
9 가이더 S 체결부재 S1 제1체결부재 S2 제2체결부재

Claims (21)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원형의 바닥면을 구비하며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바닥면에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바디와, 상기 교반부 바디에 수용되어 상기 교반부바디의 강성을 보강하며 상기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부 바디를 상기 바닥면에 고정하는 보강결합부를 구비하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바디는 상기 드럼과 같은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드럼과 다른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바디는
    상기 보강결합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강결합부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되
    상기 바닥면의 중앙에 고정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암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강결합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바디는
    상기 바닥면의 중앙에 고정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복수개의 암과,
    상기 중심부의 하부면과, 상기 복수의 암의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보강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보강결합부와 결합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암의 말단이 상기 바닥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보강결합부가 상기 교반부 바디에 삽입되면 상기 보강결합부와 체결되는 결합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수용되며
    상기 보강결합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면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보강결합부의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절곡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암의 하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이 안착되는 안착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안착대가 구비된 부분까지 상기 교반부바디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는 상기 결합바디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홀은
    상기 안착대에서 상기 암의 말단과, 상기 암의 양측면과, 상기 중심부 중 상기 암이 연장된 부분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부에 구비되되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며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고정암을 구비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암과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암의 말단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와,
    상기 고정암과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암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암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보강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체결부재를 안내하는 삽입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삽입돌기를 수용하는 삽입수용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결합부는 내부에 상기 보강결합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위로 볼록한 곡선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교반부바디 및 상기 보강결합부의 회전중심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내부에 구비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를 상기 드럼의 내부와 연통시키며, 상기 챔버로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챔버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여과홀과, 상기 드럼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여과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드럼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출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가능하고 상기 터브를 수용하는 드로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과 상기 드럼의 회전축은 서로 다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08356A 2016-08-25 2016-08-25 의류처리장치 KR20180023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56A KR20180023288A (ko) 2016-08-25 2016-08-25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56A KR20180023288A (ko) 2016-08-25 2016-08-2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288A true KR20180023288A (ko) 2018-03-07

Family

ID=6168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356A KR20180023288A (ko) 2016-08-25 2016-08-2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32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34681A (zh) * 2018-07-06 2022-03-0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34681A (zh) * 2018-07-06 2022-03-0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US11761135B2 (en) 2018-07-06 2023-09-1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4134681B (zh) * 2018-07-06 2023-12-22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US11879199B2 (en) 2018-07-06 2024-01-2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891743B2 (en) 2018-07-06 2024-02-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913157B2 (en) 2018-07-06 2024-02-2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7424B1 (en) Drain pump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975298A1 (en) Washer
KR101835334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EP2063014B1 (en) Washing machine
KR20130016932A (ko) 세탁기
EP2252734B1 (en) Laundry treating device
US20060081018A1 (en) Washing machine
US11001953B2 (en) Washing machine
CN101876137A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AU2008330399A1 (en) Laundry treating device
KR20180104781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8835A (ko) 의류처리장치
AU2016385317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180023288A (ko) 의류처리장치
KR102560061B1 (ko) 의류처리장치
US11713530B2 (en) Extended tub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11913161B2 (en) Washing machine
KR102592654B1 (ko) 세탁기
KR100598000B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백
KR200358900Y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백
KR200358901Y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프론트
KR200358902Y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프론트
KR2022011428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16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3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