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16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167A
KR20220114167A KR1020210017345A KR20210017345A KR20220114167A KR 20220114167 A KR20220114167 A KR 20220114167A KR 1020210017345 A KR1020210017345 A KR 1020210017345A KR 20210017345 A KR20210017345 A KR 20210017345A KR 20220114167 A KR20220114167 A KR 20220114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an duct
hot air
flow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률
황언화
김민성
김정우
신진혁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7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4167A/ko
Priority to AU2022216171A priority patent/AU2022216171A1/en
Priority to PCT/KR2022/001911 priority patent/WO2022169346A1/en
Priority to TW111104564A priority patent/TW202237936A/zh
Priority to EP22155566.7A priority patent/EP4039867A1/en
Priority to CN202210118018.6A priority patent/CN114908536A/zh
Priority to US17/667,103 priority patent/US20220251773A1/en
Publication of KR20220114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Abstract

의류처리장치는 열풍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덕트부로 안내하여 드럼 내부로 유입하도록 하는 팬덕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팬덕트부는 상기 팬덕트부의 외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팬덕트부 내부를 유동하는 상기 열풍 중 일부를 상기 팬덕트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바이패스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드럼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켜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드럼 내부가 일정압력 이상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린트 및 수증기가 드럼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에 직접 연결되어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를 세탁하는 세탁기, 건조하는 건조기, 및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실행 가능한 장치의 총칭이다.
세탁기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세탁드럼, 상기 세탁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세탁 구동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건조기는 의류가 저장되는 건조드럼, 상기 건조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건조 구동부), 상기 건조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부 및 열풍이 유동하는 열풍유로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4-0145431호를 참조하면, 세탁 구동부는 터브에 고정될 수 있다. 의류의 세탁이나 탈수를 위해서는, 세탁 구동부가 세탁드럼의 회전수를 높게 제어하거나 세탁드럼의 회전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데, 세탁 구동부가 세턱드럼에 직접 연결되면 세탁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쉽게 제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반면,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9-0121656호를 참조하면, 건조 구동부는 모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풀리, 상기 풀리의 회전운동을 상기 건조드럼에 연결하는 벨트(동력전달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종래 건조 구동부는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를 통해 건조드럼과 연결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 종래 건조 구동부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에 고정되었으며, 벨트 등을 통해 건조드럼을 회전시키는 구조로 설계 및 제작되었다. 건조기는 건조드럼의 회전수를 높게 유지할 필요성이나 건조드럼의 회전방향을 변경할 필요성이 낮기 때문에,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를 통해 건조드럼을 회전시켜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건조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면, 건조드럼 내부에서 의류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건조기 역시 건조 시간의 단축 및 건조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건조기는 세탁기와 달리 터브가 구비되지 않아 구동부를 고정하는 구조적 설계가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가 건조드럼의 후면에 결합된다면 건조기는 건조드럼의 후면으로 열풍을 안내하는 구조적 설계가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건조드럼의 후면으로 열풍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과 열풍유로부를 연결하는 커넥터가 필요할 수 있다. 열풍의 누설방지 및 건조효율 상승을 위해 커넥터의 배치 및 형상은 중요한 설계인자 중 하나일 수 있다.
나아가, 건조과정 중 건조드럼의 내부의 압력이 증대되면 건조드럼의 내부와 열풍유로부 내부를 유동하며 건조를 진행하는 열풍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건조드럼의 내부가 일정압력 이상 형성되면 건조드럼 내부의 린트 및 수증기가 건조드럼의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건조드럼의 외부로 누설된 린트는 건조기 내부의 위생상태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드럼의 외부로 누설된 수증기는 응축되어 건조기 내부에 결로가 형성될 수 있다. 형성된 결로는 건조기 내부의 위생상태를 저하시킬뿐 아니라 건조기 내부의 위치되는 다른 구성의 작동 오류나 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과정 중 건조드럼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며 린트 및 수증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속기가 리어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모터부가 상기 감속기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리어플레이트의 덕트부를 통해 드럼 내부로 열풍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팬덕트부를 통해 덕트부와 열풍공급부를 연결시켜 효율적으로 덕트부에 열풍을 안내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팬덕트부에 구비되는 바이패스홀을 통해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고 린트 및 수증기가 드럼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이 조절되어 드럼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조행정별로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을 달리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고 린트 및 수증기가 드럼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례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와, 모터부의 동력을 전환하는 감속기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모터부는 감속기에 직접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고, 감속기에만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감속기 자체가 모터부의 진동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감속기는 리어플레이트에 결합되어 강한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리어플레이트는 덕트부가 구비되어 열풍공급부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을 효율적으로 드럼의 후면을 통해 드럼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팬덕트부는 덕트부의 일부 둘레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열풍공급부의 열풍을 효율적으로 덕트부에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팬덕트부는 바이패스홀의 구비되어 팬덕트부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홀은 개도조절부에 의해 개도율이 조절될 수 있다. 건조행정별로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은 조절되어 건조효율을 향상되며 린트 및 수증기가 드럼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열풍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열풍을 상기 드럼 내부로 안내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리어플레이트 및 상기 덕트부와 상기 열풍공급부를 연결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열풍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열풍을 상기 덕트부로 안내하는 팬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덕트부는 상기 팬덕트부의 외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팬덕트부 내부를 유동하는 상기 열풍 중 일부를 상기 팬덕트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바이패스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부는 환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드럼을 마주하는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일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고 전방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팬덕트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열풍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부로부터 상기 열풍을 공급받는 드럼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부는 상기 유동부 내부를 유동하는 상기 열풍이 상기 드럼유입부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부는 상기 유동부로부터 상기 열풍공급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후방으로 함몰되며 전방면이 개방되어 상기 팬덕트부가 배치되는 유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팬덕트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개도조절부 및 상기 구동부, 상기 열풍공급부 및 상기 개도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의류의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행정은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의류의 포량을 판단하는 포량판단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포량에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을 조절하도록 상기 개도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량판단과정에서 상기 구동부의 전류량을 통해 상기 포량을 판단하며, 상기 구동부의 전류량이 기준전류량 이상인 경우에 상기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을 조절하도록 상기 개도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에서 토출되는 상기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행정은 상기 드럼 내부로 상기 열풍이 공급되기 시작하며 상기 드럼 내부의 증발량이 일정량 미만이며 증가하는 예열과정, 상기 드럼 내부의 증발량이 일정량 이상 유지되는 주건조과정 및 상기 드럼 내부의 증발량이 일정량 미만이며 감소되는 감률건조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제1기준온도와 제2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상기 주건조과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건조과정에서 상기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이 증가하도록 상기 개도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감률건조과정으로 판단하며, 상기 감률건조과정에서 상기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이 감소하도록 상기 개도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 내부에는 상기 의류와 접촉되어 수분량을 측정하는 전극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제2기준온도를 초과하며 상기 전극센서의 측정값이 기준전극값 이상이면 상기 감률건조과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열풍공급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열풍을 상기 드럼 내부 및 상기 열풍공급부 내부로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이 증가하면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송풍팬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송풍팬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열풍이 유동하는 송풍팬하우징 및 상기 송풍팬하우징의 후방에서 상기 송풍팬과 결합되며 상기 송풍팬에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팬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동부는 상기 드럼의 후면을 수용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송풍팬구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상기 유동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의 중앙에서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는 장착수용부 및 상기 장착수용부를 둘러싸며 상기 유동부와 연결되는 장착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수용부는 상기 장착둘레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부가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열풍이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유동외주부를 포함하며, 상기 팬덕트부는 일단은 상기 열풍공급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유동부로 상기 열풍을 안내하는 팬덕트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팬덕트본체부는 상기 타단이 상기 유동외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유동부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덕트부는 상기 팬덕트본체부의 타단에서 상기 유동외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유동부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팬덕트차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덕트차폐부는 상기 유동부와 상기 유입부를 구획하여 상기 유동부 내부를 유동하는 상기 열풍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덕트부는 상기 팬덕트차폐부와 상기 팬덕트본체부의 타단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외주부의 외측에서 상기 유동외주부와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팬덕트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상기 팬덕트결합부의 양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며 상기 팬덕트결합부가 수용되어 결합되는 팬덕트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부와 상기 드럼의 후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부를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유동부 내부를 유동하는 상기 열풍이 상기 드럼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덕트결합부는 상기 실링부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팬덕트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결합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유동외주부와 사이에 상기 열풍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내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동내주부는 상기 팬덕트본체부의 타단을 마주하는 부분이 상기 타단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팬덕트본체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열풍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유동부의 함몰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유동내주부와 상기 유동외주부 사이에 연장되어 상기 열풍을 상기 드럼의 후면으로 안내하는 유동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홀은 상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개방홀 및 상기 개방홀과 이격되어 상기 개도조절부에 의해 개도율이 조절되는 조절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도조절부는 상기 조절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조절홀을 개방하거나 차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개도조절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팬덕트부는 상기 개도조절구동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조절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회전 동력의 rpm 및 토크를 변환시키는 감속기의 회전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감속기와 모터가 동시에 기울어지거나 동시에 진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감속기가 리어플레이트에 결합되어 강한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덕트부를 통해 드럼 내부로 열풍이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팬덕트부는 열풍공급부에서 유출되는 열풍을 효율적으로 덕트부에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이패스홀을 통해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린트 및 수증기가 드럼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조행정에 따라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이 조절되어 상황에 따른 효율적인 건조가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류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플레이트와 리어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리어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와 팬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 팬덕트부 및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어플레이트, 팬덕트부 및 구동부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에 연결된 팬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와 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홀 및 개도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바이패스홀 및 개도조절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행정별 증발량 및 드럼내부의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가 리어플레이트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브라켓이 리어플레이트에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가 감속기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에 결합된 감속기에서 분리된 모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0)은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플레이트(410), 양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141),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플레이트(145) 및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플레이트(147)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0)은 프론트플레이트(410), 측면플레이트(141), 상부플레이트(145) 및 하부플레이트(147)가 서로 연결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0)은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플레이트(42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후방에 리어플레이트(420)가 결합되어 내부가 차폐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420)는 캐비닛(1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도 15를 참조하면, 리어플레이트(420)는 후방에 후술할 리어커버(430)가 결합될 수 있고, 리어커버(430)가 캐비닛(100)의 후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리어커버(430) 및 리어플레이트(420)가 함께 캐비닛의 후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캐비닛(100)은 내부가 리어플레이트(420)로 인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음에 따라, 내부에 드럼(200), 열풍공급부(900) 및 집수부(170)등이 배치될 수 있고 캐비닛(100) 내부에 배치된 구성들은 외부로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 및 리어플레이트(420)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캐비닛(100)은 프론트플레이트(4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방패널(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패널(110)은 프론트플레이트(410)의 전면에 결합되어 프론트플레이트(410)와 프론트플레이트(410)에 결합된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즉, 전방패널(110)은 프론트플레이트(410)와 함께 캐비닛(100)의 전면을 이룰 수 있다. 전방패널(110)은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전방패널(110)과 프론트플레이트(410)가 별개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전방패널(110)에는 후술하는 드럼(200)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111) 및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전방패널(110)에는 컨트롤패널(117)이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8),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명령은 일련의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건조코스 또는 건조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117)에는 건조코스 또는 건조옵션을 수행하는 명령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가 설치될 수 있다.
입력부(118)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 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119)는 텍스트(text) 및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수분을 별도로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저수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부(7)는 전방패널(110)의 일측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수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탱크는 후술하는 배수펌프에서 전달받은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수탱크를 캐비닛(100)에서 인출하여 응축수를 제거한 뒤, 다시 캐비닛(10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하수구 등이 설치되지 않는 장소에도 얼마든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저수부(7)는 도어(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저수탱크를 전방패널(110)에서 인출할 때 허리를 상대적으로 적게 굽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순환되는 순환유로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패널(110)에는 필터부재가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필터장착홀(11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100) 내부에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과,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M)와, 드럼(200)에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20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럼(200) 내부에 물이 투입될 필요가 없고, 드럼(200) 내부에 응축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드럼(200)은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관통홀이 생략될 수 있다.
구동부(M)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도록 드럼(200)과 직접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M)는 DD(Direct Drive unit)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구동부(M)는 벨트와 풀리 등의 구성을 생략하여 드럼(200)을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드럼(200)의 회전 방향 또는 드럼(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DD타입 세탁기인 경우에는 구동부(M)는 드럼(200)을 수용하는 터브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드럼(200)은 구동부(M)와 결합되어 터브에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행정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드럼(200)을 수용하기 위해 캐비닛(100)에 고정되는 터브(tub)가 생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200) 또는 구동부(M)를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하거나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00)는 상술한 프론트플레이트(410) 및 리어플레이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드럼(2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드럼(200)의 전방과 후방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의 간격은 드럼(20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드럼(2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드럼(200)은 전면이 개방되는 드럼투입구(211)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투입구(211)는 프론트플레이트(410)를 관통하여 전방패널(110)에 구비되는 투입구(111)와 연통될 수 있다. 구동부(M)는 드럼투입구(211)가 드럼(200)의 전면에 구비됨에 따라 리어플레이트(420)에 설치되어 드럼(200)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200)의 후면과 마주하는 영역에 구동부(M)가 장착되어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구동부(M)는 리어플레이트(420)를 통해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드럼(20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드럼(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드럼(20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200)의 전면은 프론트플레이트(410)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드럼(200)의 후면은 리어플레이트(420)에 이격되되 리어플레이트(420)에 장착되는 구동부(M)에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리어플레이트(4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드럼(200)이 지지부(400)에 접촉되거나 마찰되는 영역이 최소화되고 불필요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물론, 드럼(200)은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에 모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200)을 기준으로 드럼(200)의 전면을 통해 드럼(200)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고 토출된 공기는 드럼(200)의 외부를 거쳐 다시 다시 드럼(200)의 후면을 통해 유입되는 순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열풍공급부(900)는 드럼 외부에 구비되어 드럼(200) 내부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동하도록 구비되고, 순환유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열풍공급부(900)는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에 배치될 수 있다.
열풍공급부(900)는 드럼(200) 내부에서 토출된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증발기(951)와, 증발기(951)를 경유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952)를 포함할 수 있다. 열풍공급부(900)는 응축기(952)를 경유한 공기를 드럼(200) 내부로 다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럼(200) 내부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열풍공급부(900)에 의해 온도 및 수증기포함량 등이 변화하며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지속적인 순환을 통해 드럼(200)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드럼(200) 내부에 위치된 공기는 순환유로를 순환하는 열풍일 수 있다. 즉, 열풍공급부(900)에 의해 성질이 변화하며 순환유로를 순환하는 공기는 열풍이라고 할 수 있다. 공기와 열풍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열풍공급부(900)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드럼(200)은 열풍공급부(9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드럼(200)의 드럼투입구(211)가 캐비닛(100)의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드럼(200) 내부에 위치한 의류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풍공급부(900)는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을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복수의 열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열풍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된 응축수를 이용하여 열교환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94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은 벨트 등에 결합되어 간접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구동부(M)에 직접 결합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종래 건조기의 드럼이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구비되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은 후방이 차폐되어 구동부(M)와 직접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드럼(20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바디(210)와, 드럼바디(210)의 후방에 결합되어 드럼(200)의 후면을 형성하는 드럼후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드럼후면(220)은 드럼(200)의 후면을 의미할 수 있다.
드럼후면(220)은 드럼바디(210)의 후방을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구동부(M)의 드럼회전축(65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드럼후면(220)은 구동부(M)와 연결되어 드럼회전축(650)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드럼바디(2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드럼바디(210) 중 전방에는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투입구(211)가 형성되고 후방은 드럼후면(220)으로 차폐될 수 있다.
도 2는 부싱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부싱부(300)는 드럼후면(220)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M)의 드럼회전축(650)은 부싱부(300)에 결합되며, 드럼후면(220)은 부싱부(300)를 통해 드럼회전축(650)과 결합될 수 있다. 드럼회전축(650)은 드럼후면(220)의 후방에 부싱부(300)를 통해 결합되거나 부싱부(300)를 통해 드럼후면(220)을 관통하여 전단이 드럼(200)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럼회전축(650)이 드럼(200) 내부를 관통하는 경우, 드럼회전축(650)의 전단은 드럼회전축(650)의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고정체결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드럼(200) 내부에는 드럼회전축(650)과 의류의 접촉을 방지하며, 열전달을 억제하기 위한 캡이 설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은 벨트 등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드럼후면(220)이 구동부(M)에 직접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M)가 회전 방향을 바꾸거나 회전가속도가 크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은 즉각적으로 이를 반영하여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플레이트(410)는 프론트플레이트(410)를 관통하여 드럼바디(210)의 전방 또는 드럼투입구(211)를 수용하는 투입연통홀(412)을 포함할 수 있다. 투입연통홀(412)의 외주면에는 드럼바디(210)를 수용하는 가스켓(413)이 구비될 수 있다.
가스켓(413)은 드럼바디(210)의 드럼투입구(21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드럼투입구(211)의 외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가스켓(413)은 드럼바디(210)와 프론트플레이트(410) 사이로 드럼(200) 내부의 열풍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스켓(413)은 플라스틱 수지 계열 또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실링부재가 가스켓(413)의 내주면에 추가로 결합되어 드럼바디(210)의 드럼투입구(211)에서 의류 또는 열풍이 프론트플레이트(410)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스켓(413) 또는 투입연통홀(412)의 내주면에는 드럼바디(210)와 연통하여 드럼바디(210)에 투입된 열풍이 배출될 수 있는 덕트연통홀(419)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내부에 덕트연통홀(419)과 열풍공급부(900)를 연결하는 프론트유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덕트연통홀(419)은 드럼바디(210)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열풍공급부(9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프론트유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200)에서 토출된 이물질 또는 린트 등이 열풍공급부(900)에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드럼바디(210)의 외주면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되어 드럼(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휠(415)이 설치될 수 있다. 전방휠(415)은 드럼바디(210)의 투입구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투입연통홀(412)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전방휠(415)은 드럼바디(21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드럼(200)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프론트탱크지지홀(414)을 포함할 수 있고 저수부(7)의 저수탱크가 프론트탱크지지홀(414)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프론트탱크지지홀(414)은 전방패널(110)에서 저수부(7)가 배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프론트플레이트(4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는 프론트탱크지지홀(414)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리어탱크지지홀(421)을 포함할 수 있다. 저수탱크는 프론트탱크지지홀(411)과 리어탱크지지홀(421)에 함께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리어탱크지지홀(421)은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열풍공급부(900)는 드럼(200)으로 열풍을 순환시키는 순환유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열풍공급부(900)는 드럼(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드럼(200) 외부에서 순환할 수 있는 열풍유로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열풍유로부(920)는 드럼(2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열풍유로부(920)는 덕트연통홀(419)과 연통하여 드럼(200)의 열풍이 공급되는 공급덕트(921)와, 공급덕트(921)에서 공급된 열풍이 이동하는 이동덕트(922)와, 이동덕트(922)를 통과한 열풍이 배출되는 배출덕트(92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덕트(921)는 프론트플레이트(410)의 덕트연통홀(419)에 연통되어 프론트플레이트(410) 내부에 설치된 프론트유로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동덕트(922)는 공급덕트(921)의 말단에서 드럼(20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배출덕트(923)는 이동덕트(922)의 말단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열풍공급부(900)는 열풍을 냉각하여 열풍에 포함된 수증기를 제거하고 수증기가 제거된 열풍을 다시 가열할 수 있는 히트펌프(95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펌프(950)는 이동덕트(922) 내부에 설치되어 열풍을 냉각시켜 열풍에 함유된 수증기를 응축시킬 수 있는 증발기(951)와, 증발기(951)보다 하류 또는 배출덕트(923)를 향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며 열풍을 다시 가열하는 응축기(952)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펌프(950)는 응축기(952)를 통과한 냉매를 냉각하여 증발기(951)로 다시 안내하는 팽창밸브와, 증발기(951)를 통과한 냉매를 가압 및 가열하여 응축기(952)에 공급하는 압축기(9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953)는 이동덕트(922)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열풍공급부(900)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 의 열교환기는 증발기(951)와 응축기(952)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열풍공급부(900)는 드럼(200)으로 열풍을 순환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송풍부(9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960)는 열풍유로부(92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송풍부(960)는 배출덕트(923)의 후방에 연결되며, 배출덕트(923)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열풍을 가속하여 드럼(200)의 후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송풍부(960)는 열풍과 접촉하여 열풍을 가속하는 송풍팬(961)과 배출덕트(923)와 연결되며 내부에 송풍팬(961)이 배치되는 송풍팬하우징(963)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하우징(963)은 일측이 개방되어 배출덕트(923)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이 개방되어 드럼(200) 후방으로 열풍을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처럼 송풍팬하우징(963)은 전방이 개방되어 배출덕트(923)와 연결될 수 있고, 상방이 개방되어 드럼(200) 후방으로 열풍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송풍부(960)는 송풍팬하우징(963)에 결합되는 송풍팬구동부(9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구동부(965)는 송풍팬하우징(963)의 후방에 결합되며 송풍팬(961)과 연결되어 송풍팬(961)이 회전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플레이트와 리어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는 구동부(M)가 리어플레이트(420)에 구비됨에 따라 공간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는 열풍공급부(900)와 다른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은 집수부(170)와 구동부(M)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은 집수부(170)와 구동부(M)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플레이트(147)에 배치될 수 있는 구성이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풍공급부(900)는 열풍유로부(920), 열풍유로부(920)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951)와 응축기(952) 및 열풍유로부(920) 외부에 배치되는 압축기(953) 및 열풍유로부(920)와 연결되는 송풍부(96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는 내부에 열풍이 유동하는 열풍유로부(920)와 송풍부(960)가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열풍유로부(920) 및 송풍부(960)와 이격되어 집수부(170)와 구동부(M)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는 구동부(M)가 리어플레이트(420)에 배치되어 구동부(M)가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공간활용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는 구동부(M)가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동부(M)가 배치되는 자리를 활용하여 기존 구성요소의 크기를 크게할 수 있으며, 기존 구성요소의 배치관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집수부(170)는 구동부(M)가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동부(M)가 배치되는 자리에 구비되거나 구동부(M)가 배치되는 자리까지 확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집수부(170)는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에 구동부(M)가 배치되는 경우보다 크게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부(170)는 측방향을 따라 증발기(951)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953)는 응축기(952)와 측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풍유로부(920)는 프론트플레이트(410)에서 리어플레이트(420)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캐비닛(100)의 측면플레이트(141) 중 어느 하나에 가깝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는 열풍유로부(920)가 제1측면플레이트(1411)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제한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열풍유로부(920)가 제2측면플레이트(1413)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열풍유로부(920)가 제1측면플레이트(1411)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집수부(170) 및 압축기(953)는 열풍유로부(9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열풍유로부(920)가 전후방으로 연장되고 제1측면플레이트(1411)에 가깝게 배치됨에 따라 제2측면플레이트(1413)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951) 및 응축기(952)는 열풍유로부(920)의 내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집수부(170)는 증발기(95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증발기(951)에서 응축수가 유입되는 거리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953)는 응축기(952)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952)로 공급되는 거리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도 4에는 드럼(200)의 전방에서 열풍이 토출됨에 따라 증발기(951)가 응축기(952)보다 전방에 배치되며, 집수부(170)가 압축기(953)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제한해석 되는 것은 아니며, 드럼(200)에서 열풍이 토출되는 방향에 따라 증발기(951)와 응축기(952)는 배치가 바뀔 수 있으며, 이와 대응하여 집수부(170)와 압축기(9530의 배치도 바뀔 수 있다.
한편,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420)는 덕트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부(423)는 열풍공급부(900)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드럼(200) 내부로 열풍을 안내할 수 있다.
덕트부(423)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어플레이트(420)가 드럼(2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덕트부(423)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에서 드럼(200)과 멀어지도록 함몰 될 수 있고,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은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일 수 있다.
덕트부(423)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덕트부(423)는 내부에 열풍이 유동할 수 있는 유동공간(V)이 형성될 수 있고, 전방면이 개방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덕트부(423)는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전방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만큼 유동공간(V)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공간(V)은 열풍공급부(900)로부터 유입된 열풍이 유동하며, 드럼(200)의 후방을 통해 드럼(200) 내부로 열풍을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공간(V)은 열풍공급부(900)로부터 지속적으로 열풍이 공급됨에 따라 유동공간(V) 전체로 열풍이 확산될 수 있다. 덕트부(423)는 유동공간(V)의 전체로 확산된 열풍이 개방된 전방면을 통해 드럼(200)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열풍이 유입되는 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다. 이로써, 덕트부(423)는 유동공간(V)을 통해 열풍이 드럼(200) 내부로 효율적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덕트부(423)는 열풍공급부(900)와 덕트부(423)를 연결하는 팬덕트부(85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팬덕트부(850)는 열풍공급부(900)와 덕트부(423)를 연통시켜 열풍공급부(900)의 열풍을 덕트부(423)로 제공할 수 있다. 팬덕트부(850)는 일부가 유동공간(V)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고, 덕트부(423)와 접하여 덕트부(423)로부터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팬덕트부(850)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나아가, 덕트부(423)는 내부에 열풍공급부(900)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열풍공급부(900)의 일부는 덕트부(423)가 리어플레이트(420)에 구비됨에 따라 후방측 단부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술한 송풍부(960)의 일부일 수 있다. 송풍부(960)는 일부가 유동공간(V)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고, 덕트부(423)와 접하여 덕트부(423)로부터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리어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리어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리어플레이트의 정면도이며, 도 5(c)는 리어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부(423)는 유동부(4231)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부(4231)는 열풍공급부(900)에서 유입된 열풍을 드럼(200)의 드럼후면(220)을 통해 드럼(20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유동부(4231)는 드럼후면(220)을 마주하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동부(4231)는 내부에 열풍이 유동할 수 있는 제1유동공간(V1)이 형성될 수 있고, 전방면이 개방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은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일 수 있고, 상술한 유동공간(V)은 제1유동공간(V1)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동부(4231)는 팬덕트부(850)에서 유입된 열풍이 제1유동공간(V1)에 유동하며, 마주하는 드럼후면(220)을 통해 제1유동공간(V1)에서 유동하는 열풍을 드럼(20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유동부(4231)는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환형이란 연장된 형태가 폐곡선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환형은 폐곡선에 의해 감싸지는 폐단면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부(4231)는 열풍이 유동하는 제1유동공간(V1)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유동외주부(4231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동외주부(4231a)는 유동부(4231)가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부(4231)의 외주면에 해당할 수 있다.
유동부(4231)는 열풍이 유동하는 제1유동공간(V1)을 내측에서 둘러싸는 유동내주부(4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동외주부(4231a)는 유동부(4231)가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부(4231)의 내주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유동부(4231)는 유동외주부(4231a)와 유동내주부(4231b)를 연결하는 유동함몰면(4232)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동함몰면(4232)은 드럼후면(220)을 마주하는 일면에 해당할 수 있다.
유동외주부(4231a)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유동부(4231)의 반경방을 기준으로 유동내주부(4231b)는 유동외주부(4231a)보다 내측에 위치되며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유동함몰면(4232)은 곡면이거나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도 있으며, 유동외주부(4231a)와 유동내주부(4231b)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도 5(c)에는 도 5(a) 및 도 5(b)의 리어플레이트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c)를 참조하여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후방에서 바라보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동외주부(4231a)는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유동내주부(4231b)는 유동외주부(4231a)의 내측에 위치되며,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유동함몰면(4232)은 유동외주부(4231a)와 유동내주부(4231b)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를 함께 참조하면, 유동외주부(4231a) 및 유동내주부(4231b)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과의 경계부위가 라운드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동외주부(4231a) 및 유동내주부(4231b)는 후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도 있고,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유동외주부(4231a)와 유동내주부(4231b)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유동외주부(4231a) 및 유동내주부(4231b)가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가까워지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유동함몰면(4232)은 유동외주부(4231a)와 유동내주부(4231b)와 연결되는 부분이 라운드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여 전방에서 바라보면, 유동외주부(4231a) 및 유동내주부(4231b)는 전반적으로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동외주부(4231a)의 직경을 D1으로하고 유동내주부(4231b)의 직경을 D2라고 하면, D1이 D2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유동함몰면(4232)은 외경이 D1이며, 내경이 D2인 환형의 면일 수 있다. 유동부(4231)는 전체적인 형상이 도넛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2를 함께 참조하면, 리어플레이트(420)는 후면에서 유동내주부(4231b)의 내측에 구동부(M)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유동내주부(4231b)는 구동부(M)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구동부(M)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와 팬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팬덕트부가 결합된 리어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6(b)는 팬덕트부가 결합된 리어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부(423)는 팬덕트부(850)가 배치될 수 있는 유입부(4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로부터 유동부(423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로부터 팬덕트부(850)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유동부(4231)와 연통될 수 있다.
유입부(4233)는 팬덕트부(850)가 배치될 수 있고, 팬덕트부(850)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유동부(4231)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가 팬덕트부(850)로부터 유입부(4233)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열풍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팬덕트부(850)의 설치공간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는 팬덕트부(850)가 유입부(4233)에 배치되며 유동부(4231)에 바로 열풍을 공급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해석 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열풍공급부(900)는 드럼(2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유동부(4231)는 드럼후면(220)을 마주할 수 있으며, 팬덕트부(850)는 열풍공급부(900)에서 유동부(4231)로 열풍을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덕트부(850)는 적어도 일부가 유동부(4231)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유입부(4233)는 팬덕트부(85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유동부(4231)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의 측방향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부(4233)는 팬덕트부(850)를 마주하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즉, 유입부(4233)는 팬덕트부(850)를 마주하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에서 팬덕트부(850)와 멀어지도록 함몰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은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일 수 있다.
유입부(4233)는 내부에 제2유동공간(V2)이 형성될 수 있고, 전방면이 개방될 수 있다. 즉, 제2유동공간(V2)은 상술한 팬덕트부(850)의 설치공간과 동일할 수 있으며, 제1유동공간(V1)과 연통되어 함께 상술한 유동공간(V)을 형성할 수 있다.
팬덕트부(850)는 적어도 일부가 유입부(4233)의 제2유동공간(V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팬덕트부(850)는 후술할 유입둘레부(4233a)에 지지될 수 있으며, 후술할 유입함몰면(4234)에 결합되어 지지력 및 결합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유입둘레부(4233a)와 유입함몰면(4234)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4233)는 팬덕트부(850)와 더불어 열풍공급부(900)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즉,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로부터 연장되어 팬덕트부(850)가 삽입 배치되고, 팬덕트부(850(로부터 열풍공급부(900)를 향하여 더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부(4233)는 열풍공급부(900)와 유동부(4231) 사이에 배치되는 팬덕트부(850)의 설치공간뿐만 아니라 열풍공급부(900)의 설치공간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풍공급부(900)는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에 구비될 수 있고, 제1측면플레이트(1411)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하부플레이트(147)를 향할수록 제1측면플레이트(1411)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로부터 제1측면플레이트(1411)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부(4233)는 팬덕트부(850) 및 열풍공급부(900)를 마주하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이 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즉, 유입부(4233)는 팬덕트부(850) 및 열풍공급부(900)를 마주하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에서 팬덕트부(850) 및 열풍공급부(900)와 멀어지도록 함몰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은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일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상술한 유입부(4233)의 제2유동공간(V2)은 상기 팬덕트부(850)로부터 추가적으로 연장되어 열풍공급부(900)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4243)는 리어플레이트(420)에 구비됨에 따라, 열풍공급부(900)의 후방측 단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열풍공급부(900)의 후방측 단부는 상술한 송풍부(960)일 수 있다. 송풍부(960)가 제2유동공간(V2)에 배치됨에 따라 제한된 캐비닛(100)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송풍부(960)의 전방에 위치된 열풍유로부(920)의 길이는 유입부(4233)의 제2유동공간(V2)을 활용하기 전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고, 열풍유로부(920) 내부에 배치된 증발기(951) 및 응축기(952)의 크기 또한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부(4234)는 제2유동공간(V2)에 송풍부(960)의 송풍팬구동부(965) 및 송풍팬하우징(963)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는 송풍팬구동부(965)는 일부가 제2유동공간(V2)에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송풍팬구동부(965)의 전체가 제2유동공간(V2)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고, 송풍팬구동부(965)와 송풍팬하우징(963) 전체가 제2유동공간(V2)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유동공간(V2)은 열풍유로부(920)의 후방측 단부가 더 삽입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보다 구체적으로, 유입부(4233)는 팬덕트부(850) 및 열풍공급부(900)에 지지력 및 결합력을 제공하는 유입둘레부(4233a)와 유입함몰면(423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유동공간(V2)은 제1유동공간(V1)으로부터 연장된 형상일 수 있고, 유입둘레부(4233a)는 유동외주부(4231a)에서 연장되어 제2유동공간(V2)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유동외주부(4231a) 및 유입둘레부(4233a)는 함께 덕트부(423)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유입둘레부(4233a)는 유동외주부(4231a)의 일측에서 열풍공급부(90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리어플레이트(420) 하측을 경유하여 유동외주부(4231a)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유동외주부(4231a)의 일측과 타측 사이가 개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유동공간(V1)과 제2유동공간(V2)이 연통될 수 있고, 하나의 유동공간(V)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유동외주부(4231a)는 완전한 원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 아닌 일부가 개방된 원의 형태, 즉 호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유입둘레부(4233a)는 유동외주부(4231a)의 일측에서부터 타측까지 유동외주부(4231a)와 연속된 둘레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유입함몰면(4234)은 유입둘레부(4233a)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유동외주부(4231a)는 호의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유입둘레부(4233a)는 유동외주부(4231a)의 양측을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유입함몰면(4232)은 유동부(4231)의 유동함몰면(4232)으로부터 연장되어 유입둘레부(4233a)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유입둘레부(4233a)는 유입함몰면(4232)의 둘레의 일부를 둘러싸고, 유입함몰면(4234)은 유입둘레부(4233a)를 제외한 영역에서 유동함몰면(4232)과 연결될 수 있다.
유입함몰면(4234)은 유입둘레부(4233a) 사이를 차폐하여 제2유동공간(V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유입함몰면(4234)은 유입부(4233)의 함몰면을 의미할 수 있다. 유동외주부(4231a)는 유입둘레부(4233a)와 연결되는 일측 및 타측 사이가 개방되어 유입함몰면(4234)과 유동함몰면(4232)이 연결될 수 있고, 유입함몰면(4234) 및 유동함몰면(4232)은 연속된 일면을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바와 같이,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유동부(4231)의 하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에서 캐비닛(100)의 측방향 일측에 편향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의 측방향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에서 하부플레이트(147)를 향해 연장되며, 나아가, 제1측면플레이트(1411)를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유동외주부(4231a)의 일측은 타측보다 제1측면플레이트(1411)보다 멀리 위치되며,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유동외주부(4231a)는 유입둘레부(4233a)와 함께 'q자 형상'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고, 유입함몰면(4234)은 유동함몰면(4232)과 함께 'q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부(850) 및 송풍팬구동부(965)는 유입함몰면(4234)과 결합될 수 있다. 결합방식은 나사결합, 리벳결합, 끼워맞춤 결합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팬덕트부(850) 및 송풍팬구동부(965)는 유입둘레부(4233a)와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즉, 유입부(4233)는 유입둘레부(4233a)와 유입함몰면(4234)를 통해 팬덕트부(850)와 송풍팬구동부(965)에 강한 결합력 및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입둘레부(4233a)는 유동외주부(4231a)와 연결되는 부분,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과 연결되는 부분 및 유입함몰면(4234)과 연결되는 부분이 라운드 지도록 구비될 수 있어 사용자가 접촉되더라도 부상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b)를 다시 참조하면, 유동부(4231) 및 유입부(4233)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유입함몰면(4234)은 유동함몰면(4232)과 연속된 덕트부(423)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고, 유동외주부(4231a)는 유입둘레부(4233a)와 동일한 깊이의 연속된 덕트부(423)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유동부(4231) 및 유입부(4233)는 일체로 제작됨에 따라 제작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리어플레이트(420)는 덕트부(423)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가압되어 덕트부(4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플레이트(420)는 덕트부(423)가 별도로 구비되어 부착되는 경우 덕트부(423)와 리어플레이트(420)가 결합되는 부분의 틈새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리어플레이트(420)의 제작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즉, 유입부(4233)와 유동부(4231)가 일체로 제작되고 리어플레이트(420)와 덕트부(423)가 일체로 제작됨에 따라, 리어플레이트(420)는 누설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후면(220)은 드럼(200)내부로 열풍이 유입되는 드럼차폐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후면(220)은 유동부(4231)를 마주하며, 유동부(4231)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드럼(200) 내부로 열풍을 안내할 수 있다.
드럼차폐부(221)는 유동부(4231)의 개방된 전방면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드럼차폐부(221)는 유동부(4231)의 개방된 전방면을 차폐할 수 있다. 즉, 드럼차폐부(221)는 제1유동공간(V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1유동공간(V1)을 차폐할 수 있다.
드럼차폐부(221)는 유동함몰면(4232)을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유동함몰면(4232)과 사이에 열풍이 유동할 수 있다. 드럼차폐부(221)는 유동부(423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유동부(4231)로부터 더 용이하게 열풍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드럼차폐부(221)는 도넛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럼차폐부(221)는 열풍이 드럼(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드럼유입부(221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유입부(2213)는 드럼차폐부(221)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홀로 구비되거나 메쉬(MESH) 형태의 그물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럼유입부(2213)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드럼차폐부(2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럼차폐부(221)는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강리브(2211) 및 원주리브(2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리브(2211)는 드럼차폐부(2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드럼유입부(2213)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원주리브(2215)는 보강리브(2211)의 내측과 드럼유입부(2213)의 내측에 구비되는 원주리브(2215)를 포함할 수 있다. 원주리브(2215)는 환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보강리브(2211)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강리브(2211) 및 원주리브(2215)는 드럼유입부(2213)가 드럼차폐부(221)에서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되거나 드럼차폐부(22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 팬덕트부 및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어플레이트, 팬덕트부 및 구동부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200) 외부로 열풍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450)는 유동부(4231)의 전방면이 개방되어 있음에 따라 제1유동공간(V1)을 유동하는 열풍이 유동외주부(4231a)와 드럼후면(220)과의 사이를 통해 드럼(20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450)는 제1유동공간(V1)을 유동하는 열풍은 유동내주부(4231b)와 드럼후면(220)과의 사이를 통해 드럼(20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450)는 유동부(4231)의 외측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1실링부(4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부(451)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과 드럼후면(220)의 드럼차폐부(221)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부(451)는 드럼차폐부(221)와 유동부(423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부(451)는 유동외주부(4231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유동외주부(4231a)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부(451)는 유동외주부(4231a)가 원형으로 구비되면, 내측 및 외측이 모두 원형으로 구비되는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유동외주부(4231a)의 직경이 D1이라면 제1실링부(451)의 외경은 D1보다 크게 구비 될 수 있고, 내경은 D1과 같거나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부(451)는 드럼차폐부(221)의 외곽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부(451)는 내주면이 드럼유입부(2213) 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실링부(451)의 두께는 드럼유입부(2213)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200)은 드럼유입부(2213)에 구비되는 다수의 관통홀을 통해 내부로 열풍이 유입되므로 제1실링부(451)가 드럼유입부(2213)의 외측에서 드럼유입부(2213)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드럼(200) 외부로의 누설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실링부(451)는 두께가 드럼유입부(2213)의 후방측 돌출깊이보다 크게 구비되어 드럼유입부(2213)를 통해 드럼(200) 내부로 유입되기 전 드럼(200) 외부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제1실링부(451)는 드럼차폐부(221)와 리어플레이트(420) 전면 모두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누설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450)는 유동부(4231)의 내측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2실링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과 드럼후면(220)의 드럼차폐부(22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드럼차폐부(221)와 유동부(423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유동내주부(4231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유동내주부(4231b)가 원형으로 구비되면, 내측 및 외측이 모두 원형으로 구비되는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유동내주부(4231b)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유동내주부(4231b)의 직경이 D2라면 제2실링부(452)의 외경은 D2와 같거나 작게 구비 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드럼차폐부(221)의 내곽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실링부(452)는 원주리브(2215)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드럼후면(220)에 연결되는 구동부(M)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내주면이 드럼유입부(2213) 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의 두께는 드럼유입부(2213)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200)은 드럼유입부(2213)에 구비되는 다수의 관통홀을 통해 내부로 열풍이 유입되므로 제2실링부(452)가 드럼유입부(2213)의 내측에서 구동부(M)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구동부(M)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실링부(451)는 두께가 드럼유입부(2213)의 후방측 돌출 깊이보다 크게 구비되어 드럼유입부(2213)를 통해 드럼(200) 내부로 유입되기 전 구동부(M)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M)는 회전에 의해 열이 발생되고 유동부(4231)의 열풍이 유입된다면 더 가열되어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 구동부(M)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M)측으로 열풍이 유입된다면 드럼(200)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드럼차폐부(221)와 리어플레이트(420) 전면 모두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누설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드럼(200)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회전하므로 실링부(450)에는 드럼후면(220)에 의해 지속적인 마찰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실링부(450)는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 마찰열에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드럼후면(220)과 유동부(4231) 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에 연결된 팬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팬덕트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b)는 팬덕트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9(c)는 팬덕트부를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d)는 팬덕트부가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열풍공급부(900)에서 덕트부(423)로 열풍을 공급하는 팬덕트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덕트부(850)는 팬덕트부(850)의 외관을 형성하는 팬덕트본체부(851)를 포함할 수 있다.
팬덕트본체부(851)는 일단이 열풍공급부(900)와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개방되어 열풍공급부(900)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덕트본체부(851)는 일단이 송풍부(960)의 송풍팬하우징(963) 에 결합되어 송풍팬하우징(963)으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컨대, 송풍팬하우징(963)은 열풍유로부(920)와 연결되어 열풍이 유입될 수 있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 유입된 열풍을 토출할 수 있다. 팬덕트본체부(851)는 일단이 송풍팬하우징(963)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팬덕트본체부(851)는 송풍팬하우징(963)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는 팬덕트유입부(8511)를 포함할 수 있다.
팬덕트유입부(8511)는 송풍팬하우징(963)의 개방된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c)에는 팬덕트유입부(8511)가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팬덕트유입부(8511)는 송풍팬하우징(963)으로부터 열풍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는 팬덕트유입홀(8511a)을 포함할 수 있고, 팬덕트유입홀(8511a)은 송풍팬하우징(963)의 외부로 열풍을 토출하기 위한 홀과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유입부(8511)는 송풍팬하우징(963)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덕트유입홀(8511a)은 송풍팬하우징(963)의 내부에서 열풍을 공급받을 수 있다.
팬덕트유입부(8511)는 송풍팬하우징(963)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강한 결합력을 제공받을 수 있고, 팬덕트유입부(8511)와 송풍팬하우징(963) 사이로 열풍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팬덕트본체부(851)는 송풍팬하우징(963)과 결합되기 위해 외주면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연결체결부(8511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체결부(8511b)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송풍팬하우징(963)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체결부(8511b)는 팬덕트유입부(8511)에 인접한 팬덕트본체부(851)의 외주면에 또는 팬덕트유입부(8511)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체결부(8511b)는 팬덕트본체부(851)의 외주면이나 팬덕트유입부(8511)에서 돌출될 수 있고 단부에 체결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체결부(8511b)는 팬덕트본체부(851)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 별도의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송풍팬하우징(963)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체결부(8511b)는 팬덕트부(850) 전체가 송풍팬하우징(963)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본체부(851)는 팬덕트부(850) 전체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키는 팬덕트지지리브(854)를 포함할 수 있다.
팬덕트지지리브(854)는 팬덕트본체부(851)의 전방에 후술할 바이패스홀(857)이 구비될 수 있음에 따라, 팬덕트본체부(851)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팬덕트지지리브(854)는 팬덕트본체부(851)의 후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지지리브(854)는 유입함몰면(4234)을 향해 돌출되고 팬덕트본체부(8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팬덕트지지리브(854)는 팬덕트본체부(85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너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팬덕트지지리브(854)는 팬덕트본체부(851) 후면에 전체적으로 배치되어 팬덕트부(850)의 구조적 강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부(850)가 유입함몰면(4234)에 결합되는 경우, 팬덕트지지리브(854)는 유입함몰면(4234)에 접촉되어 팬덕트부(850)의 지지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팬덕트본체부(851)는 복수 개의 팬덕트지지리브(854)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지지리브연결부(854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리브연결부(8541)는 복수 개의 팬덕트지지리브(854)를 서로 연결시켜, 복수 개의 팬덕트지지리브(854)가 일체로 진동을 흡수하거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b)에는 지지리브연결부(8541)는 복수 개의 팬덕트지지리브(854)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해석 되어서는 아니되고, 지지리브연결부(8541)의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팬덕트본체부(851)는 유입함몰면(4234)과 팬덕트본체부(851)의 결합을 위한 지지결합부(854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결합부(8543)는 팬덕트지지리브(854) 또는 지지리브연결부(8541)에 구비되며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별도의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유입함몰면(423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지지결합부(8543)는 팬덕트부(850)를 유입함몰면(4234)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9(b)에는 지지결합부(8543)가 팬덕트지지리브(854)와 지지리브연결부(8541)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해석 되어서는 아니되고, 지지결합부(8543)의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팬덕트지지리브(854)가 유입함몰면(4234)에 접촉되는 경우, 팬덕트지지리브(854) 및 지지리브연결부(8541)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은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고, 팬덕트본체부(851)는 팬덕트지지리브(854) 내부와 팬덕트지지리브(854) 외부를 연통시키는 지지리브연결홀(854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리브연결홀(8542)은 팬덕트지지리브(854) 또는 지지리브연결부(8541)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와 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a)는 덕트부에 결합된 팬덕트부를 상측에서 나타낸 것이고, 도 11(b)는 덕트부에 결합된 팬덕트부를 전방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팬덕트본체부(851)는 열풍공급부(900)로부터 공급받은 열풍을 유동부(4231)로 안내하는 팬덕트유출부(85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본체부(851)는 일단이 열풍공급부(900)와 연결되며, 타단이 유입부(4233) 또는 유동부(4231)와 연결될 수 있고, 팬덕트유출부(8515)는 팬덕트본체부(851)의 타단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덕트유출부(8515)는 유동부(4231)의 제1유동공간(V1) 또는 유입부(4233)의 제2유동공간(V2)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팬덕트유출부(8515)는 유동부(4231)의 유동함몰면(4232)과 유입부(4233)의 유입함몰면(4234)에 결합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는 후면이 일정면적 이상 유입함몰면(4234) 또는 유동함몰면(4232)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유동함몰면(4232) 또는 유입함몰면(4234)에 의해 강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동외주부(4231a)는 유입둘레부(4233a)가 연결되는 일측 및 타측 사이가 개방되어 제1유동공간(V1)과 제2유동공간(V2)은 연통될 수 있으며, 호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동외주부(4231a)의 일측은 제1유동연결부(4235)로 설명하고, 유동외주부(4231a)의 타측은 제2유동연결부(4236)로 설명한다.
즉, 제1유동연결부(4235)는 제2유동연결부(4236)보다 제1측면플레이트(1411)에서 멀리 위치되며,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는 유동부(4231)와 유입부(4233)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고, 제1유동공간(V1)과 제2유동공간(V2)의 경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유동함몰면(4232)와 유입함몰면(4234)의 경계에 접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는 유동부(4231)와 유입부(4233)의 경계에 배치되어 팬덕트부(850)의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을 유동부(4231)로 바로 안내할 수 있어 유동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는 열풍의 유동거리를 최소화함에 따라 열풍의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팬덕트유출부(8515)는 유동부(4231)와 유입부(4233)를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는 유동외주부(4231a)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유동부(4231)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는 유동외주부(4231a)와 함께 원의 형상을 이루어 유동부(4231)와 유입부(4233)를 구획할 수 있다.
즉, 팬덕트유출부(8515)의 길이는 제1유동연결부(4235)와 제2유동연결부(4236)사이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는 양측면이 상술한 유동외주부(4231a)의 제1유동연결부(4235) 및 제2유동연결부(4236)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덕트유출부(8515)는 일측면이 제2유동연결부(4236)에 접할 수 있고, 타측면이 제1유동연결부(4235)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덕트유출부(8515)를 통해 유동부(4231)로 유입된 열풍은 유입부(4233)로 유동하는 것이 최대한 방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850)는 팬덕트유출부(8515)와 함께 유동부(4231)와 유입부(4233)를 구획하는 팬덕트차폐부(8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팬덕트유출부(8515)에 대해 설명하면, 팬덕트유출부(8515)는 폭이 유동외주부(4231a)의 개방된 폭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는 폭이 유동외주부(4231a)의 개방된 폭보다 작게 구비되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송풍부(960)는 내부에 송풍팬(961)이 배치되고 열풍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팬덕트유출부(8515)보다 폭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유입부(4233)의 제2유동공간(V2)에는 송풍부(960)와 팬덕트유출부(8515)가 함께 배치됨에 따라, 팬덕트유출부(8515)의 폭은 유동외주부(4231a)의 제1유동연결부(4235)와 제2유동연결부(4236)사이의 폭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부(960)의 일면 중 일부가 개방되어 팬덕트유입부(8511)가 결합될 수 있고, 팬덕트유출부(8515)의 개방된 면적이 너무 크게 구비된다면 열풍의 유속이 급감하는 등 유동부(4231)로 공급되는 열풍의 효율이 감소 될 수 있다. 상술한 이유 외에도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팬덕트유출부(8515)가 유동부(4231) 및 유입부(4233)의 경계 중 일부를 차폐하고, 팬덕트차폐부(853)가 상기 경계 중 팬덕트유출부(8515)에 의해 차폐되지 못한 부분을 차폐할 수 있다. 즉, 팬덕트차폐부(853)는 팬덕트유출부(8515)에서 유동외주부(42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유동부(4231a)의 일부를 이룰 수있다.
구체적으로, 팬덕트유출부(8515)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이 유동외주부(4231a)와 이격될 수 있고, 팬덕트차폐부(853)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서 상술한 제1유동연결부(4235) 또는 제2유동연결부(4236)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팬덕트차폐부(853)는 팬덕트유출부(8515) 및 유동외주부(4231)와 함께 원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팬덕트차폐부(853)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양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팬덕트유출부(8515)의 일측면 및 타측면 중 어느 하나가 제1유동연결부(4235)나 제2유동연결부(4236) 접하게 구비될 수 있고, 팬덕트차폐부(853)는 나머지 하나에서 제1유동연결부(4235)나 제2유동연결부(4236)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의 일측면은 양측면 중 제1측면플레이트(1411)에 더 가깝게 구비되는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b)에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일측면이 제2유동연결부(4236)에 접하며, 팬덕트차폐부(853)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타측면에서 연장되어 제1유동연결부(4235)에 접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팬덕트유출부(8515)의 타측면이 제1유동연결부(4235)에 접하게 구비될 수 있고, 팬덕트차폐부(853)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제1유동연결부(4235)에 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차폐부(853)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서만 연장되어 제작이 더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팬덕트부(850)는 팬덕트유출부(8515)와 팬덕트유입부(8511)를 연결하는 팬덕트연장부(8513)를 포함할 수 있고, 팬덕트연장부(8513)는 팬덕트유출부(8515)가 제1유동연결부(4235) 또는 제2유동연결부(4236)에 접함에 따라 일부가 유입둘레부(4233a)에 접할 수 있다. 즉, 팬덕트부(850)는 팬덕트연장부(8513)가 유입둘레부(4233a)에 접함에 따라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850)는 열풍공급부(900)에서 공급받은 열풍을 유동부(4231a)로 토출하기 위해 팬덕트유출부(8515)에 구비되는 팬덕트유출홀(8515a)을 포함할 수 있다.
팬덕트유출홀(8515a)은 팬덕트유출부(8515)에서 제1유동공간(V1)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덕트유출홀(8515a)은 유동내주부(4231b)를 마주하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유출부(8515)가 단독 또는 팬덕트차폐부(853)와 함께 제1유동공간(V1)과 제2유동공간(V2)을 구획할 수 있고, 팬덕트유출홀(8515a)은 유동내주부(4231a)를 마주함에 따라 팬덕트유출홀(8515a)을 통과하는 열풍이 직접 드럼후면(220)의 드럼차폐부(221)를 향하지 않고 제1유동공간(V1)을 향할 수 있다.
팬덕트유출홀(8515a)은 팬덕트유출홀(8515a)을 통과하는 열풍이 유동부(4231) 전체로 확산되어 유동부(4231)를 마주하는 드럼차폐부(221)를 통해 균일하게 드럼(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팬덕트부(850)를 통해 유동부(4231)로 공급되는 열풍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팬덕트부(850)를 통해 유입되는 열풍은 덕트부(423)의 유동부(4231) 내에서 일방향(C1) 및 타방향(C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일방향(C1)이란 시계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타방향(C2)이란 반시계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850)는 리어플레이트(420)와 결합되는 팬덕트결합부(855)를 포함할 수 있다. 팬덕트부(850)는 팬덕트결합부(855)를 통해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될 수 있다.
팬덕트결합부(855)는 팬덕트차폐부(853)에 구비되는 제1팬덕트결합부(8553)와 팬덕트유출부(8515)에 구비되는 제2팬덕트결합부(855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팬덕트결합부(8553)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고, 유동외주부(4231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단부가 팬덕트유출부(8515)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팬덕트결합부(8553)는 일단부가 팬덕트유출부(8515)보다 타방향(C2)으로 더 연장되며 유동외주부(4231a)의 외측에서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팬덕트결합부(8555)는 팬덕트차폐부(853)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고, 유동외주부(4231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타단부가 팬덕트차폐부(853)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제2팬덕트결합부(8555)는 타단부가 팬덕트차폐부(853)보다 일방향(C1)으로 더 연장되며 유동외주부(4231a)의 외측에서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1팬덕트결합부(8553) 및 제2팬덕트결합부(8555)는 각각 별도의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됨으로써 강한 결합력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팬덕트결합부(8553)는 제2팬덕트결합부(8555)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팬덕트결합부(855)는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고,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이루는 호의 길이가 팬덕트차폐부(853)와 팬덕트유출부(8515)가 이루는 호의 길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리어플레이트(420)는 팬덕트결합부(855)와 결합되는 팬덕트수용부(4271)를 포함할 수 있다.
팬덕트수용부(4271)는 팬덕트결합부(855)의 양단부와 결합될 수 있고, 제1팬덕트결합부(8553)와 결합되는 제1팬덕트수용부(4271a)와 제2팬덕트결합부(8555)와 결합되는 제2팬덕트수용부(427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팬덕트수용부(4271a)는 제1팬덕트결합부(8553)의 팬덕트차폐부(853)보다 일방향(C1)으로 더 돌출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팬덕트수용부(4271b)는 제2팬덕트결합부(8555)의 팬덕트유출부(8515) 보다 타방향(C2)으로 더 돌출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결합부(855)는 양단부가 팬덕트수용부(4271)에 수용되어 강한 지지력을 받을 수 있고, 팬덕트부(850) 전체가 팬덕트수용부(4271)에 의해 더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850)는 제1실링부(451)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결합가이더(85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유출부(8515)가 유동부(4231)의 외측 둘레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제1실링부(451)는 환형으로 마련되어 팬덕트유출부(8515)를 포함하는 유동부(4231)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결합가이더(8551)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1결합가이더(8551a)와 팬덕트차폐부(853)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2결합가이더(8551b)를 포함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의 전방에 제1팬덕트결합부(8553)가 구비될 수 있고, 제1결합가이더(8551a)는 제1팬덕트결합부(8553)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가이더(8551a)는 제1팬덕트결합부(8553)의 전면에서 돌출되며, 제1실링부(451)의 둘레와 대응되게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로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가이더(8551a)가 복수의 리브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리브는 이격되어 사이에 제1실링부(451)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는 제1실링부(451)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접촉되어 제1실링부(45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브는 유동부(423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팬덕트결합부(8553)의 전체에 연장될 수 있고, 제1실링부(451)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제1실링부(451)를 더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팬덕트차폐부(853)의 전방에 제2팬덕트결합부(8555)가 구비될 수 있고, 제2결합가이더(8551b)는 제2팬덕트결합부(8555)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가이더(8551b)는 제2팬덕트결합부(8555)의 전면에서 돌출되며, 제1실링부(451)의 둘레와 대응되게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로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가이더(8551b)가 복수의 리브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리브는 이격되어 사이에 제1실링부(451)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는 제1실링부(451)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접촉되어 제1실링부(45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브는 유동부(423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팬덕트결합부(8553)의 전체에 연장될 수 있고, 제1실링부(451)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제1실링부(451)를 더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결합가이더(8551a)는 제2결합가이더(8551b)와 연결되어 함께 제1실링부(451)를 지지할 수 있다. 제1결합가이더(8551a) 및 제2결합가이더(8551b)는 연결되어 제1실링부(451)를 더 넓은 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결합부(855)는 팬덕트유출부(8515) 및 팬덕트차폐부(853)보다 유동부(4231)의 중심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팬덕트결합부(855)는 팬덕트유출부(8515)와 팬덕트차폐부(853)보다 유동부(4231)의 중심을 향해 더 돌출될 수 있다. 즉, 팬덕트결합부(855)는 팬덕트유출부(8515) 및 팬덕트차폐부(853) 보다 단면적이 증가되어 팬덕트결합부(855)의 전면에 결합가이더(8551)가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9(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850)는 복수의 분할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팬덕트부(850)는 복수의 분할체가 결합되어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덕트부(850)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나 형상이 복잡하고 내부에 열풍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제작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분할체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분할체의 결합방식은 나사결합, 리벳결합, 끼워맞춤 결합, 접착 및 용접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덕트부(850)는 제1팬덕트형성부(8501) 및 제2팬덕트형성부(85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팬덕트형성부(8501)는 팬덕트부(850)의 일부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제2팬덕트형성부(8502)는 팬덕트부(850)의 나머지 형상을 형성할 수 있어, 제1팬덕트형성부(8501)와 제2팬덕트형성부(8502)가 결합된다면 팬덕트부(850)의 형상이 완성 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팬덕트형성부(8501)는 리어플레이트(420)를 마주하며, 상술한 팬덕트유입부(8511)의 일부, 팬덕트본체부(851)의 일부, 팬덕트유출부(8513)의 일부 및 팬덕트차폐부(853)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팬덕트형성부(8502)는 드럼후면(220)을 마주하며, 상술한 팬덕트유입부(8511)의 일부, 팬덕트본체부(851)의 일부, 팬덕트유출부(8513)의 일부, 팬덕트차폐부(853)의 일부, 팬덕트결합부(855) 및 결합가이더(855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팬덕트형성부(8501) 및 제2팬덕트형성부(8502)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팬덕트부(850)의 중앙에서 상부플레이트(145)에서 하부플레이트(147)를 향하는 방향으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팬덕트형성부(8501)는 팬덕트부(850)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2팬덕트형성부(8502)는 팬덕트부(850)의 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팬덕트부(850)를 분할 형상은 팬덕트부(850)의 전체의 형상, 제작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1팬덕트형성부(8501)는 제2팬덕트형성부(8502)와 별도의 결합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팬덕트형성부(8501)는 제1팬덕트형성부(8501)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팬덕트결합부(8501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팬덕트형성부(8502)는 제2팬덕트형성부(8502)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팬덕트결합부(850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팬덕트결합부(8501a)와 제2팬덕트결합부(8502a)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팬덕트형성부(8501)와 제2팬덕트형성부(8503)는 함께 팬덕트본체부(851)를 형성할 수 있고, 제1팬덕트결합부(8501a) 및 제2팬덕트결합부(8502a)는 팬덕트본체부(851)의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팬덕트결합부(8502a)가 제1팬덕트결합부(8501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설명한다.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는 일종의 후크결합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제1팬덕트결합부(8501a)가 제2팬덕트결합부(8502a)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팬덕트결합부(8501a)는 제1팬덕트형성부(8501)의 양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고, 제2팬덕트결합부(8502a)를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팬덕트결합홀(8501c)이 구비될 수 있다.
제2팬덕트결합부(8502a)는 제2팬덕트형성부(8502)의 양측면에서 돌출되며 팬덕트결합홀(8501c)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팬덕트결합부(8502a)는 팬덕트결합홀(8501c)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팬덕트결합부(8501a) 및 제2팬덕트결합부(8502a)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1팬덕트형성부(8501)와 제2팬덕트형성부(8502)의 결합력 및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팬덕트형성부(8501)와 제2팬덕트형성부(8502)는 상호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제1팬덕트형성부(8501)는 제2팬덕트형성부(8502)와 함께 팬덕트부(850)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팬덕트유입부(8511), 팬덕트본체부(851) 및 팬덕트유출부(8515)는 모두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팬덕트부(850)는 결합 과정이나 제작과정에서 외력이 작용하면 파손되거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할 수 있따.
지지부는 제1팬덕트형성부(8501)와 제2팬덕트형성부(8502)가 팬덕트부(850)의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부는 제1팬덕트형성부(8501)에 구비되는 제1팬덕트지지부(8501b)와 제2팬덕트형성부(8502)에 구비되는 제2팬덕트지지부(85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팬덕트지지부(8501b)와 제2팬덕트지지부(8502b)는 각각 제1팬덕트형성부(8501)와 제2팬덕트형성부(8502)에서 돌출되어 단부가 접하도록 구비되어 제1팬덕트형성부(8501)와 제2팬덕트형성부(8502)에 지지력을 제공항 수 있다.
예컨대, 제1팬덕트지지부(8501b)와 제2팬덕트지지부(8502b)는 팬덕트유출부(8515)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팬덕트지지부(8501b)는 팬덕트유출부(8515)를 형성하는 제1팬덕트형성부(8501)의 일면에서 제2팬덕트지지부(8502)를 향해 돌출되며, 제2팬덕트지지부(8502b)는 팬덕트유출부(8515)를 형성하는 제2팬덕트형성부(8502)의 일면에서 제1팬덕트지지부(8502)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팬덕트지지부(8501b)와 제2팬덕트지지부(8502b)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내부에서 단부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1팬덕트지지부(8501b)와 제2팬덕트지지부(8502b)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함께 관통하여 제1팬덕트형성부(8501)와 제2팬덕트형성부(8502)를 고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별도의 체결부재는 제1팬덕트형성부(8501) 및 제2팬덕트형성부(8502)와 더불어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함으로써, 제1팬덕트형성부(8501) 및 제2팬덕트형성부(8502)간의 결합력은 물론 리어플레이트(420)와 팬덕트부(850)의 결합력 또한 증대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9(a)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850)는 드럼(200)과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0) 내부의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해 팬덕트부(850)는 드럼(200)과 접촉이 방지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본체부(851)는 일단을 형성하는 팬덕트유입부(8511)가 열풍공급부(900)의 송풍부(960)에 연결되고 타단을 형성하는 팬덕트유출부(8515)가 리어플레이트(420)의 덕트부(423)에 연결될 수 있다.
송풍부(960)가 드럼(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덕트부(423)는 드럼(200)의 후방에 드럼(200)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음에 따라, 이를 연결하는 팬덕트본체부(851)는 팬덕트유입부(8511)에서 팬덕트유출부(8515)까지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을 참조하면, 팬덕트본체부(851)는 팬덕트유입부(8511)에서 팬덕트유출부(8515)까지 후방으로 경사지게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팬덕트부(850)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상측으로 연장된다면 수직 상방 연장된 경우 대비하여 드럼과의 간섭이 감소될 수 있어 드럼의 설계적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드럼(200)은 후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고, 크기가 더 크게 구비되어 의류의 수용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내주부(4231b)는 유동부(4231) 내부로 열풍을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부(850)를 통해 유입되는 열풍은 덕트부(423)의 유동부(4231) 내에서 일방향(C1) 및 타방향(C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일방향(C1)이란 시계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타방향(C2)이란 반시계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유동내주부(4231b)는 팬덕트유출부(8515)를 마주하는 부분이 팬덕트유출부(8515)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동내주부(4231b)는 일방향(C1) 또는 타방향(C2)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열풍의 집중을 방지하고, 드럼(200)내부로 열풍이 균형있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b) 및 도 11(b)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유동내주부(4231b)는 유동내주본체부(4231d) 및 유동내주안내부(4231e)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내주본체부(4231d)는 원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유동내주안내부(4231e)는 유동내주본체부(4231d)에서 팬덕트유출부(8515)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즉, 유동내주부(4231b)는 전체적인 형상이 물방울 형상 또는 유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유동내주안내부(4231e)는 팬덕트유출부(8515)를 향하며 호가 중첩되어 연장될 수 있고, 호의 길이는 팬덕트유출부(8515)를 향할수록 감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에서 토출되는 열풍은 유동내주안내부(4231e)에 의해 일방향(C1) 및 타방향(C2)으로 갈라져 제1유동공간(V1) 전체에 균형있게 열풍이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b)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부(4231)는 드럼후면(220)으로 더 효율적으로 열풍을 안내하기 위한 유동가이더(4231c)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가이더(4231c)는 유동함몰면(423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유동가이더(4231c)는 제1유동공간(V1)의 열풍이 유동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유동가이더(4231c)는 유동외주부(4231a)와 유동내주부(4231b) 사이를 잇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유동가이더(4231c)는 제1유동공간(V1)으로 유입된 열풍의 유동방향을 드럼후면(220)을 향하여 변화시키며 열풍의 유속을 감소시켜 드럼(200) 내부로 열풍이 효율적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유동가이더(4231c)는 유동함몰면(4232)에서 유동부(4231)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높이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유동가이더(4231c)는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동가이더(4231c)는 유동부(4231)의 원주방향을 따라 팬덕트유출부(8515)로부터 멀어질수록 전방을 향해 돌출된 높이가 증가되는 경사구간, 유동부(4231)의 원주방향을 따라 팬덕트유출부(8515)로부터 멀어질수록 전방을 향해 돌출된 높이가 일정한 일정구간 및 유동부(4231)의 원주방향을 따라 팬덕트유출부(8515)로부터 멀어질수록 전방을 향해 돌출된 높이가 감소하는 감소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동가이더(4231c)는 전체적으로 돌출높이가 변화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1유동공간(V1)을 유동하는 열풍이 유동가이더(4231c)에 의해 유속 및 유동방향이 변경이 발생되어 효율적으로 드럼후면(220)으로 안내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동가이더(4231c)는 팬덕트부(850)를 기준으로 일방향(C1)을 따라 유동함몰면(4232)에서 전방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유동가이더(4231c)는 드럼후면(220)과 접촉이 방지되도록 일정높이까지 돌출된 후 일방향(C1)을 따라 일정높이가 유지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유동가이더(4231c)는 일정높이가 유지되도록 연장되고 일방향(C1)을 따라 돌출높이가 다시 감소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b)를 다시 참조하면, 유동가이더(4231c)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가이더(4231c)가 2개인 유동부가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유동가이더(4231c)는 팬덕트부(850)와 가장 멀리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유동가이더(4231c)는 유동부(4231)의 중심을 기준으로 팬덕트부(850)의 반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유동가이더(4231c)는 팬덕트부(850)와 하나의 유동가이더(4231c)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일방향(C1) 또는 타방향(C2) 중 어느 하나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유동가이더(4231c)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유동공간(V1)의 부피, 드럼후면(220)의 크기 및 열풍의 속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홀 및 개도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바이패스홀 및 개도조절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3(a)는 바이패스홀이 개도조절부에 의해 차폐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13(b)는 바이패스홀이 개도조절부에 의해 개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12 및 도 1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팬덕트부(850)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의 일부를 팬덕트부(850) 외부로 토출시키는 바이패스홀(857)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드럼(200) 내부의 압력이 증대될 수 있다. 드럼(200) 내부의 압력이 증대되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드럼(200) 내부의 온도가 증가되는 것이 하나의 이유일 수 있고,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드럼(200) 내부의 수증기가 증가되는 것이 하나의 이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팬덕트부(850)에 마련되는 바이패스홀(857)을 통해 드럼(200) 내부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200) 내부를 기준으로 드럼(200) 내부에서 토출된 열풍은 열풍유로부(920)로 유입될 수 있고, 열풍유로부(920)에서 증발기(951) 및 응축기(952)에 의해 수증기가 제거되고 가열될 수 있으며, 송풍부(960)로 안내되어 송풍부(960)에 의해 가압 및 가속되어 팬덕트부(850)로 유입될 수 있으며, 팬덕트부(850)에서 토출되어 덕트부(423)를 통해 다시 드럼(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바이패스홀(857)은 송풍부(960)에서 가속 및 가압되어 팬덕트부(850) 내부로 유입된 열풍의 일부를 외부로 토출시켜 팬덕트부(850)와 연결되는 송풍부(960) 후단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부(960) 전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열풍의 순환이 촉진될 수 있고, 열풍유로부(920)를 통해 송풍부(960)의 전단과 연통되는 드럼(200) 내부는 열풍의 토출이 촉진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200) 내부의 압력은 감소될 수 있고 순환유로를 유동하는 열풍의 순환이 활발해 질 수 있다.
바이패스홀(857)은 의류에서 배출되는 수증기를 응축시키고 열풍을 가열하여 다시 드럼(200) 내부로 공급되는 순환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로써, 바이패스홀(857)은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홀(857)은 드럼(200)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증기가 드럼(200) 외부로 누설되어 결로가 형성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바이패스홀(857)에 의해 토출되는 열풍은 린트 및 수증기가 최소화 된 상태이므로 드럼(200) 외부로 토출되더라도 드럼(200) 외부의 위생상태를 저하하거나 결로가 생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팬덕트부(850)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은 증발기(951)에서 수증기가 응축되어 제거되며 응축기(952)에 의해 다시 가열된 상태일 수 있다. 팬덕트부(850)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은 최대한 수증기가 제거된 상태이므로, 드럼(200) 외부로 토출되더라도 결로가 형성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팬덕트부(850)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은 필터에 의해 린트가 제거될 수 있고, 증발기(951)에서 수증기의 응축과정에 의해 린트가 한번 더 제거될 수 있다. 팬덕트부(850)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은 린트가 최대한 제거된 상태이므로, 드럼(200) 외부로 토출되더라도 위생상태가 저하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바이패스홀(857)은 팬덕트부(850)의 일면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고, 팬덕트부(850) 내부와 캐비닛(100)의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홀(857)의 형상은 제작여건 및 사용여건에 따라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바이패스홀(857)의 면적은 드럼(200)의 크기, 팬덕트부(850)의 크기, 드럼(200)의 의류수용용량 등의 여러 인자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바이패스홀(857)의 면적은 실험값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바이패스홀(857)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개도조절부(859)를 포함할 수 있다.
개도조절부(859)는 바이패스홀(857)의 개도율을 필요에 따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후술할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건조과정 중 의류에서 증발되는 수증기의 양은 변화되며 드럼(200) 내부의 온도 등에 따라 드럼(200) 내부의 압력이 변화될 수 있다. 드럼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바이패스홀(857)의 크기가 작은 경우 드럼(200)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홀(857)은 크기가 너무 크게 구비된다면 건조시간이 증대되거나 열풍이 외부로 과다 유출되어 건조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개도조절부(859)는 바이패스홀(857)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3(b)를 함께 참조하면, 개도조절부(859)는 바이패스홀(857)을 완전히 차폐하여 개도율을 0%로 만들 수 있고, 바이패스홀(857)을 완전히 개방하여 개도율을 100%로 만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홀(857)은 상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개방홀(8571)과 개도조절부(859)에 의해 개도율이 조절되는 조절홀(8573)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홀(8571)은 팬덕트부(850)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의 일정량이 상시 드럼(2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건조가 진행되는 의류의 양이 적거나 건조행정과 관계없이 일정면적 이상 개방되는 것이 건조효율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즉, 개방홀(8571)은 최소한의 의류가 수용되었을 때 드럼(200)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 일정압력 미만으로 형성하는 개방면적을 가질 수 있다.
개방홀(8571)은 은 팬덕트부(850)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의 일정량을 상시 외부로 배출시켜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개방홀(8571)의 면적은 드럼(200)의 크기, 팬덕트부(850)의 크기, 드럼(200)의 의류수용용량 및 건조시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개방홀(8571)은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며 의류가 소량 건조되거나 필터가 막하지 않는 호적의 상태에서 건조시간의 변화가 크지 않는 면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개방홀(8571)은 면적이 상술한 내용에 기초한 실험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조절홀(8573)은 개방홀(8571)에 의해 토출되는 열풍의 양이 부족한 경우 개도조절부(859)에 의해 개도율이 증가되어 토출되는 열풍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조절홀(8573)의 면적은 개방홀(8571)의 면적, 드럼(200)의 크기, 팬덕트부(850)의 크기, 드럼(200)의 의류수용용량 및 건조시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바이패스홀(857)은 개방홀(8571)과 조절홀(8573)이 별도로 구비되어 바이패스홀(857)의 개방된 전체면적의 변화가 필요한 경우에만 조절홀(8573)의 개도율을 변화 시킬 수 있다. 즉, 바이패스홀(857)은 개도조절부(859)의 불필요한 개폐동작이 최소화되면서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드럼(200) 내부가 일정압력 이상 형성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조절홀(8573)은 개방홀(8571)과 이격될 수 있고, 팬덕트본체부(851)의 일면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조절홀(8573)과 개방홀(8571)의 이격거리는 팬덕트본체부(851)의 일면의 구조적 강성을 고려하고, 조절홀(8573)를 개폐하는 개도조절부(859)의 크기 및 배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팬덕트본체부(851)의 일면은 팬덕트본체부(851)의 둘레를 형성하는 면 중 개도조절부(859)의 설치를 고려하여 다른 구성들과의 접촉이 최대한 방지되는 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팬덕트본체부(851)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팬덕트본체부(851)는 리어플레이트(420)를 마주하는 후면, 후면에서 전방으로 이격되는 전면 및 전면과 후면 사이를 연결하는 양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팬덕트본체부(851)의 양측면 중 제1측면플레이트(1411)와 가깝게 배치되는 일측면을 제1팬덕트측면(8517)이라고 할 수 있고, 제2측면플레이트(1412)와 가깝게 배치되는 타측면을 제2팬턱트측면(8519)이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는 조절홀(8573) 및 개방홀(8571)은 팬덕트본체부(851)의 전면에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팬덕트본체부(851)의 전면과 드럼(2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개도조절부(859)는 형성된 공간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조절홀(8573)은 드럼(200)에서 최대한 멀리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조절홀(8573)이 드럼(200)에서 최대한 멀리 위치됨에 따라 조절홀(8573)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개도조절부(859) 또한 드럼(200)에서 최대한 멀리 배치될 수 있어, 드럼(200)으로부터 충분한 이격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는 팬덕트본체부(851)가 드럼(200)의 중앙에서 제1측면플레이트(1411)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고, 조절홀(8573)은 팬덕트본체부(851)의 전면 중 제1측면플레이트(1411)와 인접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3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홀(8573)은 팬덕트본체부(851)의 일면 중 경사가 완만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본체부(851)의 일면은 팬덕트본체부(851)의 전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팬덕트측면(8517)이 제2팬덕트측면(8519) 보다 팬덕트유입부(8511)에서 후방으로 기울어진 정도가 작게 연장될 수 있고, 제1팬덕트측면(8517)과 제2팬덕트측면(8519) 사이를 차폐하는 팬덕트본체부(851)의 전면은 제2팬덕트측면(8519)에서 제1팬덕트측면(8517)을 향할수록 경사가 완만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덕트본체부(851)의 전면은 제1팬덕트측면(8517)과 인접한 부분의 경사가 완만할 수 있고, 조절홀(8573)은 팬덕트본체부(851)의 전면 중 제1팬덕트측면(8517)과 인접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본체부(851)의 전면은 제1팬덕트측면(8517)과 인접한 부분의 경사가 완만하게 구비되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홀(8573)은 개도조절부(859)의 효율적인 배치를 위해 팬덕트본체부(851)의 전면 중 제1팬덕트측면(8517)과 인접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고, 팬덕트본체부(851)의 전면 중 제1팬덕트측면(8517)과 인접한 부분의 경사를 완만하게 설계 하였을 수도 있다.
조절홀(8573)은 팬덕트본체부(851)의 일면 중 경사가 완만한 부분에 구비되어 후술할 개도조절부(859)의 개폐부(8591)에 의해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으며, 개폐부(8591)는 조절홀(8573)에 대응되게 제작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팬덕트본체부(851)의 전면이 팬덕트유출부(8511)를 향할수록 더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고, 조절홀(8573)은 이와 대응하여 팬덕트유출부(8511)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홀(8573)은 개도조절부(859)의 효율적인 배치를 위해 팬덕트본체부(851)의 전면 중 제1측면플레이트(1411)와 인접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고, 팬덕트본체부(851)의 전면 중 제1팬덕트측면(8517)과 인접한 부분의 경사를 완만하게 설계 하였을 수도 있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도조절부(859)는 팬덕트본체부(851)의 외측에 구비되며, 드럼(200)과 최대한 이격되는 개도조절모터(8593)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도조절부(859)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개도조절부(859)는 조절홀(857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개폐부(8591)와 개폐부(859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개도조절구동부(8593)를 포함할 수 있다.
개도조절구동부(8593)는 개도조절모터(8593a)와 개도조절모터(8593a)에 연결되 개도조절회전축(8593b)을 포함할 수 있다. 개도조절모터(8593a)는 개도조절회전축(8593b)을 회전시킬 수 있고, 개도조절회전축(8593b)에 연결된 개폐부(8591)가 개도조절회전축(8593b)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개도조절모터(8593a)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개도조절모터(8593a)는 스태핑모터일 수 있다.
개도조절모터(8593)는 일정 부피를 가질 수 있으며, 회전하는 드럼(200)과 접촉된다면 파손될 수 있다. 개도조절모터(8593)는 팬덕트본체부(851)의 외측의 빈 공간에 배치되어 캐비닛(100) 내부의 사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드럼(200)과 최대한 이격되어 드럼(200)과의 접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도조절모터(8593a)의 위치에 따라 개도조절회전축(8593b) 및 조절지지부(856)는 전체적으로 드럼(200)과 충분히 이격되어 개도조절부(859)가 드럼(200)과의 접촉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을 참조하면, 개도조절모터(8593a)는 제1팬덕트측면(8517)과 제1팬덕트플레이트(1411) 사이에 배치되고, 개도도절회전축(8593b)은 개도조절모터(8593)에서 제1팬덕트플레이트(1411)와 멀어지게 연장되어 조절홀(8573)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개폐부(859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팬덕트부(850)는 개도조절구동부(8593)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조절지지부(856)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지지부(856)는 팬덕트본체부(851)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모터를 지지하는 제1조절지지부(856a)와 개도조절회전축(8593b)을 지지하는 제2조절지지부(85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조절지지부(856a)는 팬덕트본체부(851)의 전면 및 제1팬덕트측면(8517)에 접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팬덕트측면(8517)과 제1팬덕트플레이트(1411) 사이에 배치되는 개도조절모터(8593a)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조절지지부(856a)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개도조절모터(8593a)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조절지지부(856a)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팬덕트본체부(85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고 개도조절모터(8593a)는 제1조절지지부(856a) 사이에 배치되어 제1조절지지부(856a)와 결합될 수 있다.
제2조절지지부(856b)는 팬덕트본체부(851)의 전면에 구비되며, 제1조절지지부(856a) 사이를 통해 개도조절모터(8593a)에서 연장되는 개도조절회전축(8593b)이 결합될 수 있다. 제2조절지지부(856b)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개도조절회전축(8593b)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조절지지부(856)는 개도조절부(859) 전체에 지지력 및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행정별 증발량 및 드럼내부의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포량에 따라서 바이패스홀(857)의 개도율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는 구동부(M), 열풍공급부(900) 및 개도조절부(859)를 제어하는 제어부(C)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C)는 압축기(953) 및 송풍팬(961)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의류처리장치(10)의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C)는 의류의 포량에 따라서 바이패스홀(857)의 개도율을 조절하도록 개도조절부(859)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의 포량은 의류의 기준무게를 통하여 구분될 수 있다. 즉, 제어부(C)는 의류의 포량이 기준무게 미만인 경우 소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의류의 포량이 기준무게 이상인 경우 대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무게는 드럼(200)의 크기, 드럼(200)의 의류수용용량, 드럼(200) 내부에 발생되는 수증기의 양, 드럼(200) 내부의 압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기준무게는 실험값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제어부(C)가 의류의 포량을 소량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의류에서 증발되어 발생되는 수증기의 양은 제어부(C)가 의류의 포량이 대량으로 판단하는 경우보다 의류에서 증발되어 발생되는 수증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200)은 내부압력이 증대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즉, 드럼(200)은 개방홀(8571)에 의해 토출되는 열풍의 양만으로 건조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드럼(200)은 개방홀(8571)에 의해 토출되는 열풍의 양만으로 내부가 일정압력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드럼(200)은 개방홀(8571)에 의해 토출되는 열풍의 양만으로 건조시간이 증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C)가 의류의 포량을 대량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의류에서 증발되어 발생되는 수증기의 양은 제어부(C)가 의류의 포량이 소량으로 판단하는 경우보다 의류에서 증발되어 발생되는 수증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200)은 내부압력이 증대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즉, 드럼(200)은 개방홀(8571)에 의해 토출되는 열풍의 양만으로 건조효율이 증대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드럼(200)은 개방홀(8571)에 의해 토출되는 열풍의 양만으로 내부가 일정압력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나아가, 드럼(200)은 개방홀(8571)에 의해 토출되는 열풍의 양만으로 건조시간의 증대가 방지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즉, 제어부(C)는 의류의 양을 판단하여 조절홀(8573)의 개도율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C)는 의류의 양에 따라 바이패스홀(857)의 개방되는 전체면적을 조절하여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드럼(200) 내부가 일정압력 이상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행정은 포량판단과정(P0)을 포함할 수 있다. 포량판단과정(P0)은 제어부(C)가 드럼(200)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의 포량을 판단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포량판단과정(P0)은 드럼(200)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고 건조행정이 시작된 후 포량기준시간(t0) 이내에 진행될 수 있다. 건조행정은 사용자의 시작버튼을 누르는 방법 등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즉, 제어부(C)는 포량판단과정(P0)에서 포량을 감지하고 건조행정의 대략적인 시간, 진행방법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상술한 바이패스홀(857)의 개도율 조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C)는 포량판단과정(P0)에서 구동부(M)의 전류량을 통해 의류의 포량을 판단할 수 있다. 즉, 구동부(M)는 드럼(200)을 회전시키기 위해 전류가 흐르게 될 수 있다. 구동부(M)는 드럼(200)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의 포량이 많을수록 흐르는 전류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C)는 구동부(M)의 전류량을 통해 포량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구동부(M)의 전류량이 기준전류량 이상인 경우에 드럼(200)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의 양이 다량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구동부(M)의 전류량이 기준전류량 이상인 경우에 바이패스홀(857)의 개도율을 조절하도록 개도조절부(859)를 제어할 수 있다.
기준전류량은 상술한 기준무게에서 구동부(M)가 드럼을 회전시키는 전류량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기준전류량은 실험값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또한, 기준전류량은 드럼(200)의 크기, 드럼(200)의 의류수용용량, 드럼(200) 내부에 발생되는 수증기의 양, 드럼(200) 내부의 압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C)는 의류의 포량이 다량인 경우에 바이패스홀(857)의 개도율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행정별로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행정별로 바이패스홀(857)의 개도율을 다르게 하여 건조행정에 따라 드럼(200) 내부의 의류에서 증발되는 수증기양의 변화 및 드럼(200) 내부의 압력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4를 다시 참조하면, 건조행정은 예열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열과정(P1)은 열풍공급부(900)의 작동이 시작되는 과정일 수 있다.
히트펌프(950)를 순환하는 냉매는 압축기(953)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이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95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응축기(952)를 지나 열풍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응축기(952)를 통과한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해 감압될 수 있다. 또한,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는 증발기(951)로 유입될 수 있다. 증발기(951)는 드럼(200)에서 배출되어 다량의 수증기를 포함한 열풍에서 수증기를 응축시킬 수 있다. 증발기(951)를 통과한 냉매는 다시 압축기(953)로 유입되어 압축될 수 있다. 냉매는 일련의 순환과정을 통해 온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트펌프(950)는 증발기(951)를 통해 의류에서 배출된 수증기를 응축시키고 응축기(952)를 통해 드럼(200) 내부로 다시 가열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예열과정(P1)은 상술한 히트펌프(950)의 순환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냉매의 온도가 증가되며, 열풍의 공급에 따라 드럼(200) 내부의 온도가 증가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예열과정(P1)은 의류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어 수증기가 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예열과정(P1)은 드럼(200) 내부의 증발량(의류의 수분이 증발되어 형성되는 수증기량)이 일정량 미만인 과정일 수 있다. 나아가, 예열과정(P1)은 드럼(200) 내부의 증발량이 증가되는 과정일 수 있다. 드럼(200) 내부의 증발량은 의류에서 증발량과 동일한 의미로 쓰일 수 있다.
예열과정(P1)은 의류에서 수분이 증발되기 시작하며 드럼(200) 내부가 열풍에 의해 가열되는 과정으로 드럼(200)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이로써, 예열과정(P1)은 개방홀(8571)을 통해 유출되는 열풍으로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드럼(200) 내부의 압력이 일정이상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C)는 예열과정(P1)이 수행되면 조절홀(8573)이 차폐되도록 개도조절부(859)를 제어할 수 있다. 건조행정 시작시에 조절홀(8573)이 차폐되어 있다면, 제어부(C)는 개도조절부(859)를 제어하지 않아 조절홀(8573)의 차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C)는 조절홀(8573)의 개방을 방지하여 드럼(200) 내부의 압력이 낮은 상태에서 열풍이 더 유출됨에 따라 건조효율이 감소되거나 건조시간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조행정(P)은 예열과정(P1) 후에 진행되는 주건조과정(P2)을 포함할 수 있다. 주건조과정(P2)은 히트펌프(950)의 순환과정이 충분히 진행되어 냉매의 온도가 최대로 증가된 상태일 수 있다. 주건조과정(P2)은 열풍에 의해 드럼(200) 내부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된 과정일 수 있다. 또한, 주건조과정(P2)은 의류에서 수분이 증발되는 것이 활발히 발생될 수 있다. 즉, 주건조과정(P2)은 드럼(200) 내부의 증발량이 일정량 이상인 과정일 수 있다. 또한, 주건조과정(P2)은 드럼(200) 내부의 증발량이 일정량 이상을 유지하는 과정일 수 있다.
주건조과정(P2)은 의류에서 수분이 최대한으로 증발되며 드럼(200) 내부가 열풍에 의해 충분히 가열된 과정으로 드럼(200)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이로써, 주건조과정(P2)은 개방홀(8571)을 통해 열풍이 유출되더라도 드럼(200) 내부의 압력이 높아 열풍의 순환이 원활치 않을 수 있다. 또한, 주건조과정(P2)은 개방홀(8571)을 통해 열풍이 유출되더라도 드럼(200) 내부가 일정압력 이상 형성되어 드럼(200) 외부로 린트 및 수증기가 누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C)는 주건조과정(P2)이 수행되면 조절홀(8573)이 개방되도록 개도조절부(859)를 제어할 수 있다. 건조행정 시작시에 조절홀(8573)이 차폐되어 있고 예열과정(P1)에서 조절홀(8573)의 차폐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C)는 개도조절부(859)를 제어하여 조절홀(8573)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C)는 조절홀(8573)을 개방시켜 드럼(200) 내부의 압력이 높은 상태에서 열풍이 더 유출됨에 따라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드럼(200) 내부가 일정압력 이상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드럼(200) 외부로 린트 및 수증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조행정(P)은 주건조과정(P2) 후에 진행되는 감률건조과정(P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률건조과정(P3)은 의류에서 수분이 충분히 증발되어 의류에 남아 있는 수분이 적은 과정일 수 있다. 즉, 감률건조과정(P3)은 드럼(200) 내부의 증발량이 일정량 미만인 과정일 수 있다. 또한, 감률건조과정(P3)은 드럼(200) 내부의 증발량이 감소되는 과정일 수 있다.
감률건조과정(P3)은 의류에 남아있는 수분이 적어 열풍을 다량으로 공급하거나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면 의류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감률건조과정(P3)은 의류에 남아있는 수분이 적어 열풍을 다량으로 공급하거나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더라도 건조효율이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C)는 감률건조과정(P3)에서 압축기(953)의 출력을 감소시켜 냉매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감률건조과정(P3)에서 송풍팬(961)의 작동을 제어하여 드럼(200)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감률건조과정(P3)은 의류에서 수분이 충분히 제거된 상태로 드럼(200) 내부의 수증기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지속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즉, 감률건조과정(P3)은 드럼(200)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감률건조과정(P3)은 개방홀(8571)을 통해 유출되는 열풍 만으로 건조효율이 충분히 증대되며, 드럼(200)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C)는 감률건조과정(P3)이 수행되면 조절홀(8573)이 차폐되도록 개도조절부(859)를 제어할 수 있다. 주건조과정(P2) 중에 조절홀(8573)이 개방되어 있다면, 제어부(C)는 개도조절부(859)를 제어하여 조절홀(8573)을 차폐 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C)는 조절홀(8573)의 차폐하여 드럼(200) 내부의 압력이 낮은 상태에서 열풍이 더 유출됨에 따라 건조효율이 감소되거나 건조시간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C)가 건조행정을 판단하는 것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도센서(151)는 필터의 후단과 증발기의 전단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4를 다시 참조하면, 제어부(C)는 온도센서(151)의 측정값이 제1기준온도(T1)와 제2기준온도(T2) 사이인 경우 주건조과정(P2)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예열과정(P1)은 드럼(200) 내부의 증발량이 적으며 열풍이 드럼(200) 내부를 가열하는데 열에너지를 소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비열이 큰 수분의 증발에 열에너지가 사용되는 것이 아닌 드럼(20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데 열에너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는 증가되며 상대적으로 온도가 증가되는 기울기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주건조과정(P2)은 드럼(200)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의 열에너지가 대부분 의류의 수분의 증발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비열이 큰 수분의 증발에 열풍의 열에너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는 증가되며 상대적으로 온도가 증가되는 기울기는 감소될 수 있다.
제1기준온도(T1)는 드럼(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증가율이 감소되는 온도일 수 있다. 즉, 제1기준온도(T1)는 열풍의 대부분의 열에너지가 의류의 수분을 증발시키는데 이용되며 의류의 건조가 가장 활발히 일어나기 시작하는 온도일 수 있다.
주건조과정(P2)이 지속되면 의류의 수분이 대부분 증발되어 드럼(200) 내부에 비열이 큰 수분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는 증가되며 상대적으로 온도증가율이 다시 증가될 수 있다.
제2기준온도(T2)는 드럼(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증가율이 다시 증가되는 온도일 수 있다. 즉, 제2기준온도(T2)는 의류의 수분이 대부분 증발되어 열풍의 열에너지가 드럼(200)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시작하는 온도일 수 있다.
정리하면, 제어부(C)는 드럼(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제1기준온도(T1) 미만이면 예열과정(P1)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드럼(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제1기준온도(T1) 이상이며 제2기준온도(T2) 이하이면 주건조과정(P2)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C)는 드럼(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제2기준온도(T2)를 초과하면 감률건조과정(P3)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C)는 드럼(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제1기준온도(T1) 이상이면 바이패스홀(857)의 개도율이 증가되도록 개도조절부(859)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C)는 드럼(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제2기준온도(T2)를 초과하면 바이패스홀(857)의 개도율이 감소되도록 개도조절부(859)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예열과정(P1)과 감률건조과정(P3)에서 온도상승률(기울기)은 유사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예열과정(P1)과 감률건조과정(P3)에서 온도상승률(기울기)는 주건조과정(P2)에서 온도상슬률(기울기)보다 큰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상술한바와 같이 주건조과정(P2)은 비열이 큰 의류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어 온도상승률이 작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제1기준온도(T1) 및 제2기준온도(T2)는 실험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기준온도(T1) 및 제2기준온도(T2)는 드럼(200)의 크기, 히트펌프(950)의 성능 및 드럼(200)의 의류수용능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C)는 정확하고 효율적인 바이패스홀(857)의 개폐를 위하여 전극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드럼(200) 내부에는 의류와 접촉되어 수분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극센서(153)가 구비될 수 있다. 전극센서(153)는 드럼(200)에 구비되어 드럼(200)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의 수분량을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전극센서(153)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고 의류와의 접촉 시 상기 한 쌍의 전극에서 발생되는 통전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의류의 수분량을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극센서(153)의 측정값이 낮을수록 의류의 수분량이 높고, 전극센서의 측정값이 높을수록 의류의 수분량이 낮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C)는 전극센서(153)의 측정값을 온도센서(151)의 측정값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여 주건조과정(P2)과 감률건조과정(P3)의 구분을 더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C)는 온도센서(151)의 측정값이 제2기준온도(T2)를 초과하며 전극센서(153)의 측정값이 기준전극값 이상이면 감률건조과정(P3)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C)는 주건조과정(P2)과 감률건조과정(P3)의 판단을 더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C)는 조절홀(8573)의 개도율 조절을 더 정확히 할 수 있다. 이로써, 건조효율이 더 증대되며 드럼 외부로 린트 및 수증기의 유출을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기준전극값은 실험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기준전극값은 드럼(200)의 크기, 히트펌프(950)의 성능 및 드럼(200)의 의류수용능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C)는 온도센서(151)의 측정값이 제2기준온도(T2)를 초과하며 전극센서(153)의 측정값이 기준전극값 이상이면 바이패스홀(857)의 개도율이 감소되도록 개도조절부(859)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건조행정의 구분은 시간을 통하여 구분될 수 있다. 즉, 제어부(C)는 건조행정 시작 후 제1기준시간(t1) 이내이면 예열과정(P1)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건조행정 시작 후 제1기준시간(t1)과 제2기준시간(t2) 사이이면 주건조과정(P2)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C)는 제2기준시간(t2) 이후이면 감률건조과정(P3)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기준시간(t1) 및 제2기준시간(t2)은 실험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기준시간(t1) 및 제2기준시간(t2)은 드럼(200)의 크기, 히트펌프(950)의 성능 및 드럼(200)의 의류수용능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건조행정의 구분은 행정효율로 할 수도 있다. 행정효율이란 드럼(200)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론적 최대증발량에 대한 실제증발량에 해당한다. 행정효율은 현재의 드럼(2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열풍) 온도에 대한 최대절대습도와 드럼(2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열풍)의 습도량간의 차이로부터 상기 이론적 최대증발량이 산출될 수 있고, 드럼(2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열풍)의 실제 절대습도와 드럼(2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열풍)의 습도량간의 차이로부터 상기 실제증발량이 산출될 수 있다. 즉, 예열과정(P1)은 행정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일 수 있다. 또한, 주건조과정(P2)은 예열과정(P1)에서 급증한 행정효율을 유지하며 의류의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행정일 수 있다. 주건조과정(P2)은 행정효율이 더 이상 증가하지 못하거나 증가량이 무의미한 최대영역일 수 있다. 감률건조과정(P3)은 의류의 수분량 자체의 감소에 의해 행정효율이 감소되며, 감소되는 건조행정일 수 있다.
행정효율은 실험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행정효율은 드럼(200)의 크기, 히트펌프(950)의 성능 및 드럼(200)의 의류수용능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주건조과정(P2)은 건조행중 중 조절홀(8573)이 100% 개방될 수 있다. 주건조과정(P2)은 바이패스홀(857)의 개방된 면적이 최대일 수 있다. 송풍팬(961)의 회전속도(회전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드럼(200) 내부의 압력이 높은 상태에서 다량의 열풍이 바이패스홀(85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주건조과정(P2)은 불필요한 열풍의 낭비가 발생될 수 있다.
제어부(C)는 조절홀(8573)의 개도율이 증가되면 송풍팬(961)의 회전속도(회전수)가 감소되도록 송풍팬(961)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C)는 송풍팬(961)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리어플레이트(420)를 덮는 리어커버(43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덕트부(423)와 구동부(M)를 덮도록 구비되어 덕트부(423)와 구동부(M)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구동부(M)가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결합되고 구동부(M)는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어커버(430)는 덕트부(423)가 열풍의 유동에 의해 가열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리어플레이트(420)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화상 및 부상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덕트부(423)와 적어도 일부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리어커버(430)는 리어플레이트(420) 중 일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덕트부(423)는 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리어플레이트(420) 중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접촉될 확률이 가장 높은 부분일 수 있다. 또한, 덕트부(423)는 열풍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리어플레이트(420) 중 가장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커버(430)는 덕트부(423)와 적어도 일부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덕트부(423)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최소한의 부피로 구비되어 경제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M)는 덕트부(423)의 중앙에서 덕트부(423)의 후면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덕트부(423)와 적어도 일부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덕트부(423)를 덮도록 구비된다면 구동부(M)도 함께 덮을 수 있다. 이로써, 리어커버(430)는 부피를 최소화하며 구동부(M) 및 덕트부(423)를 덮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며 구동부(M)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리어플레이트(420)는 구동부(M)가 결합되어 안착되는 장착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425)는 유동부(423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장착부(425)는 유동부(4231)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장착부(425)는 장착부(425)의 중앙에 구비되는 장착수용부(42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425)는 장착수용부(4251)를 둘러싸며 유동부(4231)와 연결되는 장착둘레부(4253)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수용부(4251)는 장착둘레부(4253)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M)는 장착수용부(4251)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수용부(4251)는 중앙이 관통되는 장착홀(4255)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M)는 장착홀(4255)을 통해 드럼후면(2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장착수용부(4251)는 장착홀(4255)이 구비되며 구동부(M)가 결합되는 장착면(4251a)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면(4251a)은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장착홀(4255)은 장착면(4251a)의 중앙에 원형으로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M)는 장착수용부(4251)에 수용되어 장착수용부(4251)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장착수용부(4251)는 장착면(4251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장착둘레부(4253)와 연결되는 장착연결부(4257)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연결부(4257)는 구동부(M)의 외주면을 마주할 수 있고, 구동부(M)와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장착연결부(4257)는 장착면(4251a)에서 후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장착연결부(4257)는 구동부(M)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구동부(M)와 접촉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장착장착수용부(4251)는 장착면(4251a)에서 환형으로 후방으로 돌출되는 장착지지부(4251d, 4251e)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지지부(4251d, 4251e)는 장착면(4251a)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장착지지부(4251d, 4251e)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면(4251a)의 구조적 강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장착지지부(4251d, 4251e)는 스테이터(510)의 터미널이 위치될 수 있도록 일정구간이 돌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장착수용부(4251)는 장착연결부(4257)에 전선지지홈(4251c)이 구비될 수 있다. 전선지지홈(4251c)은 터미널(516)과 연결되는 전선을 지지하여 다른 구성과 전선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착둘레부(4253)는 유동내주부(4231b)와 연결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에서 유동부(4231)가 함몰되기 시작하는 부분은 장착둘레부(4253)의 외측 둘레일 수 있다. 장착수용부(4251)는 유동부(423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장착둘레부(4253)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장착둘레본체부(4253a)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둘레부(4253)는 팬덕트부(850)를 향하여 돌출되는 장착둘레안내부(4253b)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둘레안내부(4253b)는 장착둘레본체부(4253a)의 특정 둘레의 두 군데에서 일직선으로 팬덕트부(85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각각 연장된 직선은 팬덕트부(850)와 접촉되어 뾰죡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장착둘레안내부(4253b)는 상술한 유동내주안내부(4231e)와 동일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드럼후면(220)은 일부가 장착부(425)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드럼후면(220)은 드럼차폐부(221)의 내측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는 드럼수용부(223)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수용부(223)은 장착수용부(4251)가 수용될 수 있으며 구동부(M)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구동부(M)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500)는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510)와, 스테이터(51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로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520)는 스테이터(510)를 수용하며 스테이터(5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아우터 로터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로터(520)에는 회전축이 결합되어 스테이터(510)와 장착부(425)를 관통하여 드럼(2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로터(520)가 직접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로터(520)는 스테이터(510)에 의해 고속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어, 드럼(200) 내부의 의류를 드럼(200) 내벽에 부착된 채로 회전할 수 있는 RPM 보다 훨씬 더 큰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드럼(200) 내부의 의류는 드럼(200) 내벽에 지속적으로 붙어 회전하면 드럼내벽에 부착된 부분이 열풍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건조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드럼(200) 내부에서 의류가 드럼(200) 내벽에 부착되지 않고 구르거나 교반되기 위해 로터(520)를 저속 RPM으로 회전시키면, 구동부(M)가 발생시킬 수 있는 출력이나 토크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M)는 RPM을 저감시켜 모터부(500)의 최대 출력을 활용하면서도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감속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속기(600)는 모터부(500)와 드럼(200)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감속기(600)는 모터부(500)의 동력을 변환하여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감속기(600)는 모터부(500)와 드럼(200) 사이에 배치되어 모터부(5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를 변환하여 드럼(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감속기(600)는 로터의 RPM을 작은 RPM으로 변환하되 토크 값을 증가시켜 드럼(200)에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감속기(600)는 로터(520)에서 연장되어 로터(520)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530)과 결합될 수 있다. 감속기(600)는 내부에 구동축(530)과 맞물려 회전하여 구동축(530)의 RPM을 변형하되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어박스를 포함하고, 기어박스는 드럼(200)에 결합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65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530)이 회전하면 드럼회전축(650)은 구동축(530)보다 느린 RPM으로 회전하지만 더 큰 토크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감속기(600)는 구동축(530)과 드럼회전축(650)이 동축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따라 그 성능이 좌우된다. 즉, 구동축(530)과 드럼회전축(650)이 서로 틀어지게 되면 감속기(600) 내부의 기어박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구동축(530)과 드럼회전축(6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이 느슨해지거나 결합이 해제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구동축(530)의 동력이 드럼회전축(650)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거나, 구동축(530)이 헛도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530)과 드럼회전축(650)이 일시적이라도 틀어지게 되면, 감속기(600) 내부의 기어박스들이 서로 어긋나 충돌되어 불필요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530)과 드럼회전축(650)이 일시적이라도 틀어지는 각도가 심해질 경우 감속기(600) 내부의 기어박스가 정위치를 완전히 벗어나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다.
결과적으로, 구동축(530)과 드럼회전축(650)이 일시적이라도 서로 동축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나란하게 배치되지 못하면, 감속기(600)의 성능을 담보할 수 없고 드럼(200)을 의도한 것처럼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속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들은 통상적으로 외력이 발생하여도 변형이 없이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체에 감속기와 모터부를 고정시킨다.
예를들어, 세탁기의 경우에는 드럼을 수용하는 터브를 캐비닛에 1차적으로 고정시킨 다음, 터브 내부에 사출성형 방식으로 내장되어 있는 강체로 제작된 베어링 하우징에 모터부와 감속기를 2차적으로 고정시키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터브 외부에 터브에 결합된 고정강판을 배치하고, 고정강판에 모터부와 감속기를 고정시키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로써, 터브에 상당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감속기와 구동부는 베어링 하우징이나 고정강판과 함께 기울어지거나 진동할 수 있다. 그 결과, 감속기와 구동부 자체는 항상 결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고, 구동축과 회전축이 동축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기로 구비되기 때문에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는 터브의 구성이 생략된다. 또한, 캐비닛의 후면패널은 상대적으로 얇은 판으로 구비되어 스테이터(510)가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로터(520)가 회전하거나 구동축(530)이 회전할 때 반발력으로 인해 후면패널은 쉽게 진동하거나 휘어질 수 있다.
후면패널이 진동하거나 일시적이라도 휘어지게 되면 드럼(200)과 결합되어 배치되는 드럼회전축(650)과 구동축(530)이 휘어지게 되어 드럼회전축(650)과 구동축(530)이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후면패널은 얇은 강판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감속기(600)와 모터부(500)를 모두 지지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감속기(600)와 모터부(500)가 나란하게 후면패널에 결합되는 경우, 감속기(600)와 모터부(500)의 전체 길이 및 자중으로 인해 회전모멘트가 발생하여 감속기(600)가 하부로 처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드럼에 결합된 드럼회전축(650) 자체가 감속기(600)와 틀어지게 되어 구동축(530)과 동축이 유지되지 못할 수 있다.
심지어, 후면패널은 모터부(500) 자체도 지지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후면패널은 모터부(500)의 자중으로 인해 모터부(500)가 설치된 일면이 하부로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애초부터, 후면패널은 모터부(500) 자체가 결합되는데 적합한 구성이 아닐 수 있다.
한편, 리어플레이트(420)에 스테이터(510)가 결합되어 모터부(500)가 지지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드럼(200) 내부에 의류가 다량으로 수용되거나, 편심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드럼(200)이 회전할 때마다 드럼회전축(650)이 의류의 배치를 따라 틀어질 수 있다. 이때, 스테이터(510)가 드럼(200)과 별도로 분리되어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드럼회전축(650)은 스테이터(510)와 다른 폭으로 진동하거나 다른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드럼회전축(650)과 구동축(530)의 동축이 유지되지 못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드럼(200)은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에 지지되거나 설치된 위치가 일정수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200)과 결합된 드럼회전축(650)의 위치도 일정수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200)에 진동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진동은 프론트플레이트(410) 또는 리어플레이트(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에 완충될 수 있다.
그러나, 드럼(200)에서 발생한 진동이 모터부(500)까지 전달되는 경우, 리어플레이트(420)에 감속기(600) 및 모터부(500)가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드럼회전축(650)의 진동하는 진동폭 보다 모터부(500) 및 리어플레이트(420)가 진동하는 진동폭이 더 클 수 있다. 이때에도 구동축(530)과 드럼회전축(650)이 동축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모터부(500)를 감속기(600)에 결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 감속기(600) 자체가 구동부(M) 전체의 기준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감속기(600)가 구동부(M) 전체의 진동 및 기울어지는 각도량의 기준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모터부(500)가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구성에 고정되지 않고 감속기(600)에만 고정되기 때문에, 구동부(M)에 진동이 전달되거나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감속기(600)가 기울어지거나 진동할 때 모터부(500)는 항상 감속기(600)와 동시에 기울어지거나 동시에 진동될 수 있다.
그 결과, 감속기(600)와 구동부(M)는 하나의 진동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감속기(600)와 구동부(M)는 서로를 기준으로 상대 운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구동부(M) 중 스테이터(510)가 직접 감속기(6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구동축(530)이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설치된 위치가 가변되지 않을 수 있다. 구동축(530)의 중심과 감속기(600)의 중심은 서로 일치된 상태에 배치될 수 있고, 구동축(530)은 감속기(600)의 중심과 동축을 유지하는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동축 및 일치의 의미는 물리적으로 완벽한 동축 및 일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공학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오차범위 또는 당업자가 동축 또는 일치라고 인정할 만한 수준의 범위는 허용하는 개념이다. 예를들어, 구동축(530)과 드럼회전축(650)이 5도 이내로 틀어진 범위를 동축 또는 일치인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구동축(530)이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회전하지만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스테이터(510)도 감속기(6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테이터(510)와 로터(520)의 간격은 항상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스테이터(510)와 로터(520)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고, 로터(520)가 스테이터(510)를 회전하면서 회전중심이 가변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이나 진동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드럼회전축(650)은 감속기(600) 내부에서 드럼(200)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감속기(600)와 함께 진동하고 감속기(600)와 함께 기울어질 수 있다. 즉, 드럼회전축(650)은 감속기(600)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될 뿐 설치된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드럼회전축(650)과 구동축(530)은 항상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말해, 드럼회전축(650)의 중심과 구동축(530)의 중심은 서로 일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속기(600)와 모터부(500)는 드럼(200)에 부하가 없거나 모터부(500)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면과 나란한 제1축(S1)을 따라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동축(530)과 드럼회전축(650)도 제1축(S1)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드럼(200)이 진동이 발생하거나, 모터부(500)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감속기(600)에 진동이 전달되어 감속기(600)가 진동하거나 기울어짐으로써, 일시적으로 감속기(600)가 제2축(S2)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모터부(500)는 감속기(600)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감속기(600)와 함께 진동하거나 기울어져 제2축(S2)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축(530)과 드럼회전축(650)도 제2축(S2)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감속기(600)가 기울어진다고 하더라도 모터부(500)는 감속기(60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고, 구동축(530)과 드럼회전축(650)은 동축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축(530)과 드럼회전축(650)은 항상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감속기(600)가 지렛대 또는 시소의 작용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감속기(600)가 모터부(500)를 포함한 진동계의 제1작용점(E1)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감속기(600)는 드럼회전축(650)을 통해 드럼(200)과 결합되어 있고, 드럼(200)은 리어플레이트(420)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드럼(200)의 하중은 감속기(600)에 전달될 수 있다. 감속기(600)는 모터부(500) 뿐만 아니라 드럼(200)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하나의 진동계를 형성할 수 있고, 감속기(600)가 진동계의 기준 또는 작용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감속기(600)는 그 자체가 진동계의 중심 또는 작용점 역할을 수행한다고 하더라도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되거나 지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울어지거나 진동할 것이므로, 리어플레이트(420)가 감속기(600), 모터부(500) 및 드럼(200)을 포함하는 진동계의 중심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모터부(500)는 리어플레이트(420)와 접촉될 수 있어도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감속기(600)에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플레이트(420)의 장착부(425)가 감속기(600) 및 모터부(500), 드럼(200)가 형성하는 지렛대 또는 시소의 제2작용점(E2)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감속기(600)와 모터부(500) 및 드럼(200)이 제1축(S1)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가 감속기(600)가 제3축(S3)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축(S3)은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된 감속기(60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감속기(600)와 모터부(5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모터부(500)도 제3축(S3)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국, 모터부(500)와 드럼(200)은 감속기(600)에 결합되어, 모터부(500)와 드럼(200)은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서로 나란하게 기울어지거나 동시에 진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속기는 리어플레이트에 결합되고, 모터부는 감속기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 감속기 및 모터부의 결합은 드럼에 직접 구동력을 전달하고,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 감속기 및 모터부의 결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가 리어플레이트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6(a)는 감속기의 일측을 나타낸 것이고, 도 16(b)는 감속기의 타측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감속기(600)는 장착면(4251a)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1하우징(6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610)은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하우징(610)은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하우징축수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축수부(612)는 장착홀(4255)에 삽입되어 드럼수용부(223)을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제1하우징축수부(612)는 드럼회전축(650)이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드럼회전축(650)은 드럼수용부(223)을 통해 드럼(200)에 결합될 수 있고 드럼회전축(650)은 드럼(20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감속기(600)는 제1하우징(610)에 결합되며 내부에 태양기어(631), 유성기어(632) 및 링기어(633) 등이 배치되는 제2하우징(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620)은 제1하우징(610)에 결합되어 감속기(600) 내부를 차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하우징(61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하우징차단바디(6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하우징(620)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하우징차단바디(6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감속기(600)는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와 제2하우징차단바디(622)에 의해 내부가 차폐되어 태양기어(631), 유성기어(632) 및 링기어(633) 등의 내부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하우징(620)은 제2하우징차단바디(62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제1하우징(610)을 마주하는 제2하우징결합바디(6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결합바디(621)는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와 대응되도록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하우징(610)은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는 제1하우징체결홀(6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결합바디(621)는 제1하우징체결홀(6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하우징체결홀(621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하우징(610) 및 제2하우징(620)은 별도의 감속기체결부재(681)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감속기체결부재(681)는 제1하우징체결홀(6111) 및 제2하우징체결홀(6211)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하우징(610)은 제1장착지지부(4251d)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면(4251a)은 제1장착지지부(4251d)의 내측에 위치되며 장착면(4251a)을 관통하는 제1리어체결홀(4251f)이 구비될 수 있다. 제1리어체결홀(4251f)은 제1하우징체결홀(6111) 및 제2하우징체결홀(6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속기체결부재(681)는 제1하우징체결홀(6111)과 제2하우징체결홀(6211)에 더해 제1리어체결홀(4251f)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감속기체결부재(681)는 제1하우징(610)을 제2하우징(620)을 고정시키며 감속기(600)를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하우징(61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6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하우징(620)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616)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하우징수용홀(6213)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장착면(4251a)은 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616)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리어수용홀(4251h)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결합돌기(616)는 제2하우징수용홀(6213)에 삽입되어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의 결합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616)는 제1리어수용홀(4251h)에 삽입되어 제1하우징(610)과 리어플레이트(420)의 결합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감속기와 리어플레이트의 결합을 지지하며 구조적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메인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브라켓이 리어플레이트에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8(a)는 메인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18(b)는 메인브라켓을 전면도이고, 도 18(c)는 메인브라켓의 배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메인브라켓(71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는 메인바디(7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브라켓(710)은 메인바디(711)의 중앙이 관통되어 구비되는 중앙수용홀(7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축수부(612) 및 드럼회전축(650)은 중앙수용홀(713)을 관통하여 드럼수용부(223)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브라켓(710)은 제1장착지지부(4251d)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메인바디(71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설치리브(7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설치리브(715)는 제1장착지지부(4251d)의 전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설치리브(715)와 제1장착지지부(4251d)는 내측에 감속기(600)가 결합되어 위치되므로 다른 구성에 비해 강한 진동 및 충격을 받을 수 있다.
메인브라켓(710)은 제1설치리브(715)와 제1장착지지부(4251d)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소정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설치리브(715)와 제1장착지지부(4251d)가 상호간 지지할 수 있어, 진동 및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메인브라켓(710)은 제1설치리브(715) 내측에 위치되며 메인바디(711)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1브라켓설치홀(71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라켓설치홀(7141)은 제1리어체결홀(4251f)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속기체결부재(681)를 통해 메인브라켓(710)은 리어플레이트(420)와 감속기(600)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메인브라켓(710)은 결합돌기(616)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브라켓수용홀(7143)를 포함할수 있다. 결합돌기(616)는 제1브라켓수용홀(7143) 및 제1리어수용홀(4251h)을 관통하여 감속기(600), 리어플레이트(420) 및 메인브라켓(71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브라켓(710)은 제2장착지지부(4251e)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메인바디(71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설치리브(7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설치리브(717)는 제2장착지지부(4251e)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메인브라켓(710)은 제2설치리브(717)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는 제2브라켓설치홀(71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장착지지부(4251e)는 제2브라켓설치홀(7171)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리어체결홀(4251g)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브라켓(710)은 별도의 브라켓체결부재(4251b)를 통해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체결부재(4251b)는 제2브라켓설치홀(7171) 및 제2리어체결홀(4251g)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메인브라켓(710)과 리어플레이트(4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가 감속기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에 결합된 감속기에서 분리된 모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500)는 감속기(600)에 결합되며 리어플레이트(420)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제1하우징(610)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스테이터결합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결합부(613)는 스테이터체결홀(615)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하우징(620)은 스테이터결합부(613)가 스테이터(51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서 함몰되어 구비되는 제2하우징절개부(6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절개부(625)는 스테이터결합부(613)를 따라 안내될 수 있으며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의 결합 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테이터(510)는 감속기(600)에 고정되며 환형으로 구비되는 본체바디(511)와 본체바디(511)의 내주면에서 연장되어 스테이터결합부(613)에 결합되는 고정리브(512)와, 본체바디(511)의 둘레를 따라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코일이 감기도록 구비되는 티스(514)와, 티스(514)의 자유단에 구비 되어 코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폴슈(515)와,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터미널(516)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바디(511)는 내부에 수용공간(513)을 구비할 수 있으며, 고정리브(512)는 본체바디(511) 내부에서 수용공간(513)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고정리브(512)의 내측에는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와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고정리브홀(512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510)가 감속기(600)에 직접 결합되기 때문에 감속기(600)는 스테이터(510)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감속기(600)가 스테이터(510)에 수용되면 구동부(M) 전체의 두께가 축소되어 드럼(200)의 용적을 더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감속기(600)가 스테이터(510)에 수용되면, 감속기(600)의 드럼회전축(650)과 구동축(530)이 더욱 정밀하게 동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속기(600)는 본체바디(511)의 직경보다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은 가장 큰 직경이 본체바디(511)의 직경보다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감속기(600)는 적어도 일부가 본체바디(511)에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스테이터결합부(613)은 감속기하우징에서 고정리브(512)에 중첩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스테이터결합부(613)는 고정리브(512)에 결합되고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의 일부는 본체바디(51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리브(512)는 스테이터결합부(613)에 직접 결합되는 제1고정리브(512a)와, 스테이터결합부(613)와는 직접 결합되지는 않지만 스테이터결합부(613)나 제1하우징(610)을 지지할 수 있는 제2고정리브(512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510)는 스테이터결합부(613)에 결합되어 감속기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바디(51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본체바디(511)의 중심과 감속기(600)의 중심 및 구동축(530)이 동축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로터(520)는 폴슈(515)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스테이터(510)를 수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로터(520)는 구동축(530)이 본체바디(511)에 수용되어 있는 감속기(60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로터(520)와 스테이터(510)의 간격(G1)이 항상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로터(520)와 스테이터(510)가 충돌하거나 스테이터(510)에서 일시적으로 비틀어지며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소음 이나 불필요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감속기(600)의 중심과 구동축(530)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1직경선(K1)과, 본체바디(51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2직경선(K2)과 로터(520)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3직경선(K3)이 모두 구동축(530)의 회전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감속기(600) 자체가 구동축(530)의 회전중심이 되고, 스테이터(510)가 감속기(600)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축(530)이 감속기(600)를 기준을 틀어지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그 결과, 감속기(600)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모터부(500)는 구동축(530)을 지지하기 위해 와셔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셔부(54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는 와셔결합바디(541)를 포함할 수 있다. 와셔부(540)는 와셔결합바디(54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수용바디(542)를 포함할 수 있다. 와셔부(540)는 수용바디(542) 중앙에 관통되어 구비되는 구동축지지홀(54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530)은 구동축지지홀(543)에 삽입되어 와셔부(5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로터(520)는 원통의 중공형상으로 구비되는 로터바디(5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터(520)는 로터바디(521)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는 설치바디(522)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520)는 로터바디(521)의 내주면을 따라 영구자석(523)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와셔부(540)는 와셔결합바디(541)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와셔결합홀(54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바디(522)는 와셔결합홀(54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로터결합홀(52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와셔부(540)와 로터(520)는 와셔결합부재(544)가 와셔결합홀(5412)과 로터결합홀(526)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와셔결합부재(544)는 와셔부(540)와 로터(5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와셔부(540)는 와셔결합바디(54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와셔결합돌기(54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바디(522)는 와셔결합돌기(5411)와 대응되게 구비되는 와셔돌기수용홀(525)을 포함할 수 있다. 와셔결합돌기(5411)는 와셔돌기수용홀(525)에 삽입되어 와셔부(540)와 로터(520)의 결합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로터(520)는 설치바디(522)의 중앙에 관통되어 구비되는 로터설치홀(524)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설치홀(524)은 수용바디(542)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셔부(540)는 로터(520)에 의해 구동축(530)과 함께 회전하며 구동축(53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캐비닛 151: 온도센서
153: 전극센서 200: 드럼
220: 드럼후면 221: 드럼차폐부
2213: 드럼유입부 410: 프론트플레이트
420: 리어플레이트 421: 리어탱크지지홀
423: 덕트부 4231: 유동부
4231a: 유동외주부 4231b: 유동내주부
4231c: 유동부가이더 4233: 유입부
4234: 유입함몰면 425: 장착부
4251: 장착수용부 4253: 장착둘레부
4255: 장착홀 4257: 장착연결부
430: 리어커버 451: 제1실링부
452: 제2실링부 M: 구동부
500: 모터부 600: 감속기
850: 팬덕트부 851: 팬덕트본체부
853: 팬덕트차폐부 855: 팬덕트결합부
8551: 결합가이더 856: 조절지지부
857: 바이패스홀 8571: 개방홀
8573: 조절홀 859: 개도조절부
8591: 개폐부 8593: 개도조절구동부
900: 열풍공급부 920: 열풍유로부
950: 히트펌프 961: 송풍팬
963: 송풍팬하우징 965: 송풍팬구동부
857: 바이패스홀 8571: 개방홀
8573: 조절홀 859: 개도조절부
8591: 개폐부 8593: 개도조절구동부
P: 건조행정 P0: 포량판단과정
P1: 예열과정 P2: 주건조과정
P3: 감률건조과정 T1: 제1기준온도
T2: 제2기준온도 t0: 포량기준시간
t1: 제1기준시간 t2: 제2기준시간
C: 제어부

Claims (21)

  1.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열풍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열풍을 상기 드럼 내부로 안내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리어플레이트; 및
    상기 덕트부와 상기 열풍공급부를 연결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열풍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열풍을 상기 덕트부로 안내하는 팬덕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팬덕트부는,
    상기 팬덕트부의 외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팬덕트부 내부를 유동하는 상기 열풍 중 일부를 상기 팬덕트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바이패스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환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드럼을 마주하는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일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고 전방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팬덕트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열풍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부로부터 상기 열풍을 공급받는 드럼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부는 상기 유동부 내부를 유동하는 상기 열풍이 상기 드럼유입부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유동부로부터 상기 열풍공급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후방으로 함몰되고 전방면이 개방되어 상기 팬덕트부가 배치되는 유입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팬덕트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개도조절부; 및
    상기 구동부, 상기 열풍공급부 및 상기 개도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의류의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행정은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의류의 포량을 판단하는 포량판단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포량에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을 조절하도록 상기 개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량판단과정에서 상기 구동부의 전류량을 통해 상기 포량을 판단하며, 상기 구동부의 전류량이 기준전류량 이상인 경우에 상기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을 조절하도록 상기 개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에서 토출되는 상기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행정은,
    상기 드럼 내부로 상기 열풍이 공급되기 시작하며 상기 드럼 내부의 증발량이 일정량 미만이고 증가하는 예열과정;
    상기 드럼 내부의 증발량이 일정량 이상 유지되는 주건조과정; 및
    상기 드럼 내부의 증발량이 일정량 미만이며 감소되는 감률건조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제1기준온도와 제2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상기 주건조과정으로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건조과정에서 상기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이 증가하도록 상기 개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제2기준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감률건조과정으로 판단하며, 상기 감률건조과정에서 상기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이 감소하도록 상기 개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부에는 상기 의류와 접촉되어 수분량을 측정하는 전극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제2기준온도를 초과하며 상기 전극센서의 측정값이 기준전극값 이상이면 상기 감률건조과정으로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열풍공급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열풍을 상기 드럼 내부 및 상기 열풍공급부 내부로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이패스홀의 개도율이 증가하면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열풍공급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열풍이 상기 드럼 내부 및 상기 열풍공급부 내부를 순환하도록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열풍이 유동하는 송풍팬하우징; 및
    상기 송풍팬하우징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송풍팬에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팬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부는 상기 드럼의 후면을 수용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송풍팬구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상기 유동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의 중앙에서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는 장착수용부; 및
    상기 장착수용부를 둘러싸며 상기 유동부와 연결되는 장착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수용부는 상기 장착둘레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열풍이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유동외주부;를 포함하며,
    상기 팬덕트부는,
    일단은 상기 열풍공급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유동부로 상기 열풍을 안내하는 팬덕트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팬덕트본체부는 상기 타단이 상기 유동외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유동부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팬덕트부는,
    상기 팬덕트본체부의 타단에서 상기 유동외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유동부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팬덕트차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덕트차폐부는 상기 팬덕트본체부의 타단과 함께 상기 유동부와 상기 유입부를 구획하여 상기 유동부 내부를 유동하는 상기 열풍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팬덕트부는,
    상기 팬덕트차폐부와 상기 팬덕트본체부의 타단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외주부의 외측에서 상기 유동외주부와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팬덕트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상기 팬덕트결합부의 양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며 상기 팬덕트결합부가 수용되어 결합되는 팬덕트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와 상기 드럼의 후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부를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유동부 내부를 유동하는 상기 열풍이 상기 드럼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덕트결합부는,
    상기 실링부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팬덕트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결합가이더;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유동외주부와 사이에 상기 열풍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내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동내주부는 상기 팬덕트본체부의 타단을 마주하는 부분이 상기 타단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팬덕트본체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열풍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안내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유동부의 함몰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유동내주부와 상기 유동외주부 사이에 연장되어 상기 열풍을 상기 드럼의 후면으로 안내하는 유동가이더;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홀은,
    상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개방홀; 및
    상기 개방홀과 이격되어 상기 개도조절부에 의해 개도율이 조절되는 조절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개도조절부는,
    상기 조절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조절홀을 개방하거나 차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개도조절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팬덕트부는,
    상기 개도조절구동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조절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17345A 2021-02-08 2021-02-08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345A KR20220114167A (ko) 2021-02-08 2021-02-08 의류처리장치
AU2022216171A AU2022216171A1 (en) 2021-02-08 2022-02-08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22/001911 WO2022169346A1 (en) 2021-02-08 2022-02-08 Laundry treating apparatus
TW111104564A TW202237936A (zh) 2021-02-08 2022-02-08 衣物處理裝置
EP22155566.7A EP4039867A1 (en) 2021-02-08 2022-02-08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2210118018.6A CN114908536A (zh) 2021-02-08 2022-02-08 衣物处理装置
US17/667,103 US20220251773A1 (en) 2021-02-08 2022-02-08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345A KR20220114167A (ko) 2021-02-08 2021-02-0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167A true KR20220114167A (ko) 2022-08-17

Family

ID=80445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345A KR20220114167A (ko) 2021-02-08 2021-02-0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51773A1 (ko)
EP (1) EP4039867A1 (ko)
KR (1) KR20220114167A (ko)
CN (1) CN114908536A (ko)
AU (1) AU2022216171A1 (ko)
TW (1) TW202237936A (ko)
WO (1) WO202216934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19911C (zh) * 2004-11-30 2009-07-2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滚筒洗衣机
EP2631353B1 (en) * 2012-02-27 2015-01-2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Rotary-drum laundry dryer
EP2843116A1 (en) * 2013-08-27 2015-03-04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Rotary-drum laundry dryer
EP2990521B1 (en) * 2014-08-29 2017-03-08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dryer
KR101706962B1 (ko) * 2015-03-02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619008B1 (ko) * 2018-02-12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102102654B1 (ko) * 2018-04-18 2020-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KR20190128468A (ko) * 2018-05-08 2019-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N112088231A (zh) * 2018-05-08 2020-12-15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US20210207307A1 (en) * 2018-05-21 2021-07-08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00065931A (ko) * 2018-11-30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20200075667A (ko) * 2018-12-18 2020-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51773A1 (en) 2022-08-11
TW202237936A (zh) 2022-10-01
CN114908536A (zh) 2022-08-16
EP4039867A1 (en) 2022-08-10
WO2022169346A1 (en) 2022-08-11
AU2022216171A1 (en)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794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114167A (ko) 의류처리장치
EP3964633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0418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66A (ko) 의류처리장치
CN114908532B (zh) 衣物处理装置
EP403987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03135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2151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3135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5540A (ko) 의류처리장치
EP403987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11428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7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7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7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7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6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2105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1105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2023011101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24653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