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282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282A
KR20220114282A KR1020210017582A KR20210017582A KR20220114282A KR 20220114282 A KR20220114282 A KR 20220114282A KR 1020210017582 A KR1020210017582 A KR 1020210017582A KR 20210017582 A KR20210017582 A KR 20210017582A KR 20220114282 A KR20220114282 A KR 20220114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heat exchanger
unit
water
wate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한
변영민
이종민
노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7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4282A/ko
Publication of KR20220114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의 공기가 순환되거나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응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및 상기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 또는 상기 제2열교환기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이동덕트를 포함하는 순환유로부 및 상기 순환유로부에서 너비방향으로 이격되는 장치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는 상기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장치설치부에서 분리 및 이격되고, 상기 이동덕트의 너비는 상기 베이스의 너비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NDAU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직접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물리력을 가하여 의류에 부착된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로서 세탁기, 건조기, 리프레셔(스타일러) 등을 포함한다.
세탁기는 의류에 물과 세제를 공급하여 의류의 이물질을 분리 및 제거할 수 있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건조기는 배기식 건조기 또는 순환식 건조기로 구분되는데, 공통적으로 히터를 통해 고온의 열풍을 생산하고 상기 열풍을 의류에 노출시킴으로 의류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근자에는, 건조기는 의류 내부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는 구성을 생략하고 캐비닛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터브도 생략하여 건조행정을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건조기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에 열풍을 직접 공급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었다.
이러한 건조기는 상기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건조기는 상기 드럼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드럼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하되,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의류의 표면이 상기 열풍에 고르게 노출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상기 의류의 표면 전체가 고르게 상기 열풍과 접촉하여 건조가 완료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구동부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가 상기 드럼에 결합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결합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건조기는 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터브가 존재하지 않게 때문에, 세탁기와 같이 구동부를 터브에 고정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를 상기 캐비닛의 배면에 고정하는 건조기가 등장하였다.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5-081914A,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5-115455A,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7-063724A,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7-124674A 참조]
도 1은 상기 구동부가 상기 캐비닛 배면에 결합된 종래 건조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과,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는 상기 드럼(2)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패널(11)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3)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킬 수 있었다.
전술한 종래 건조기의 구동부(3)는 공통적으로 상기 배면패널(11)에 고정되는 스테이터(31)와, 상기 스테이터(31)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2)와, 상기 로터(32)와 결합되어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는 회전축(33)을 포함할 수 있었고, 상기 회전축(33)의 rpm을 감소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켜 상기 드럼(2)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감속기(37)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 건조기는 공통적으로 상기 구동부(3)를 상기 배면패널(11)에 고정하는 고정부(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4)는 상기 스테이터(31)를 상기 배면패널(11)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41)와, 상기 회전축(33)을 상기 배면패널(11)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4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 건조기들은 상기 드럼(2)에 결합된 회전축(33)과 상기 구동부(3)를 나란하게 배치하여 상기 드럼(2)을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캐비닛의 배면패널(11)은 얇은 강판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당히 작은 외력에도 쉽게 변형되거나 진동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배면패널(11)은 상기 구동부(3)의 하중 뿐 아니라, 상기 드럼(2)의 하중까지 상기 회전축(33)을 통해 전달받게 되므로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2) 내부에 의류가 편심되어 있거나, 회전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상기 드럼(2) 내부로 낙하하는 경우 상기 배면패널(11)로 반복적인 외력이 전달되어 상기 배면패널(11)이 진동할 수 있다.
상기 배면패널(11)에 진동이나 외력이 전달되어 일시적이라도 상기 배면패널(11)이 휘거나 변형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3)와 상기 드럼(2)을 연결하는 회전축(33)이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3)에 불필요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할 경우 상기 회전축(33)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패널(11)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배면패널(11)이 진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로터(32)와 상기 스테이터(31)의 간격이 일시적으로 가변되어 상기 로터(32)가 상기 스테이터(31)에 충돌하거나 불필요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 구동부(3)가 상기 감속기(37)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감속기(37)에 결합된 회전축(33)과, 상기 감속기(37)에서 상기 드럼(2)으로 연결되는 감속축(33a)이 서로 분리되어 존재한다. 이때, 상기 감속기(37)가 상기 스테이터(31)나 상기 회전축(33)을 통해 상기 배면패널(11)에 지지되므로, 상기 배면패널(11)이 조금이라도 변형되면 상기 감속축(33a)과 상기 회전축(33)이 틀어지거나 어긋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드럼(2)에 연결된 감속축(33a)은 상기 드럼(2)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구동부(3)에 결합된 회전축(33)보다 위치 변화량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면패널(11)이 일시적으로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33)과 상기 감속축(33a)이 기울어지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어 상기 회전축(33)과 상기 감속축(33a)이 어긋나게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3)가 작동할 때마다, 상기 회전축(33)과 상기 감속축(33a)이 어긋나게 되어 상기 감속기(37)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감속기(37)가 파손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 언급된 건조기는 특허문서로만 공개되어 있을 뿐, 실제 제품으로는 적용되어 출시되지 못하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건조기는 드럼 보다 하부에 위치한 베이스에 드럼의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나, 상기 유로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명시적인 암시나 구조를 제시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구동부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 상기 베이스의 구조가 어떻게 변경되어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암시를 전혀 제공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시중에 출시된 종래 건조기는 상기 구동부(3)를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에 고정하도록 구비된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9-0121656호 참조]
도 2는 구동부(3)를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이나 베이스에 고정하는 건조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건조기는 캐비닛(1)과 드럼(2)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2)의 공기를 외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5)와, 상기 순환유로(5)에 수용되어 공기를 응축하고 다시 가열하는 히트펌프(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6)에서 응축된 물은 펌프(8)를 이용하여 저수탱크(9)에 수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3)가 진동이 발생하거나, 상기 구동부(3)를 통해 일시적인 외력이 전달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12)은 변형되거나 기울어지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건조기는 상기 구동부(3)를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12)이나, 상기 드럼(2) 하부에서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등에 고정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건조기는 상기 구동부(3)가 상기 드럼(2)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구성을 추가로 이용하여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3)는 상기 캐비닛(1)의 바닥에 고정되는 모터부(34)와, 상기 모터부(34)에 회전하는 회전축(37)과, 상기 회전축(37)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35)와, 상기 드럼(2)의 외주면과 상기 풀리(35)의 외주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벨트(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모터부(34)가 상기 회전축(37)을 회전시키면 상기 풀리(35)가 상기 벨트(36)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벨트(36)는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풀리(35)의 직경이 상기 드럼(2)의 직경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상기 건조기는 감속기를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건조기는 상기 풀리(35)의 직경이 상기 드럼(2)의 직경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상기 모터부(34)가 빠르게 회전하면 상기 벨트(36)가 상기 드럼(2)이나 상기 풀리(35)에서 미끌어지는 슬립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건조기는 상기 모터부(34)의 회전가속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드럼(2)을 회전할 때 상기 벨트(36)가 슬립되지 않도록 상기 모터부(34)를 천천히 가속하거나 감속해야 하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 건조기는 상기 드럼(2)의 회전방향을 신속히 변환할 수 없어 상기 드럼(2)의 회전을 제어할 수 없거나, 상기 드럼(2)의 회전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건조기는 건조행정 과정에서 상기 드럼(2)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의도한 것처럼 제어할 수 없어 건조효율을 최대로 상승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종래 건조기의 베이스(5)에는 모터부(34)를 설치할 수 있는 모터설치부(531)와, 상기 드럼의 공기가 유동하는 순환유로부(520)와, 상기 순환유로부(520)의 외측에 압축기를 설치하는 압축기설치부(532)와, 상기 순환유로부(520)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집수부(534)를 포함하였다. 상기 순환유로부(520)에는 증발기가 고정되는 증발기고정부(524)와, 응축기가 고정되는 응축기고정부(523)가 구비될 수 있었다. 상기 증발기고정부(524)에서 응축된 물은 연통홀(551)을 통해서 상기 집수부(534)에 수집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압축기설치부(532)는 상기 순환유로부(520)에 최대한 근접하여 설치되어야 상기 냉매의 열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534)는 응축수를 전달받기 위해 순환유로부(520)에 최대한 근접하여 설치될 필요가 있었다.
이때, 상기 모터부(34)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당한 부피로 구비되며, 상기 드럼을 벨트로 회전시키기 위해 설치위치의 변경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설치부(531)는 순환유로부(520)의 일측에서 상기 베이스(5)에서 특정면적 이상을 차지할 수 밖에 없었고, 배치순서가 압축기설치부(532)와 집수부(534) 보다 먼저 결정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압축기설치부(532)와 집수부(534)는 상기 모터설치부(531)와 회피되어 설치될수 밖에 없었고, 상기 베이스(5)에서 상기 순환유로부(520)와 상기 모터설치부(531)를 제외한 영역에 설치될 수 밖에 없었다.
상기 압축기(61)도 일정부피 이상을 차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설치부(532)와 상기 집수부(534)가 상기 순환유로부(520)의 연장방향(예를들어,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때, 상기 집수부(534)는 상기 순환유로부(520)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집수부(534)는 압축기설치부(532)와 상기 순환유로부(520) 사이에 배치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건조기 중에서는 히트펌프가 구비되어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하는 것이 있다(공개번호 10-2019-0128468). 히트펌프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에는 일측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유로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순환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가 설치되었다. 압축기의 전방에는 벨트를 통해 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가 설치되었다. 모터가 회전하면, 모터의 회전력이 벨트에 의해 드럼에 전달되어 드럼이 회전하도록 구비되었다. 베이스의 타측에 설치되는 모터가 베이스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였으므로,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유로의 너비를 확장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유로의 너비가 한정적이였으므로, 유로를 따라 유동되어 드럼에 공급될 수 있는 시간당 열풍의 양이 한정적이었다. 따라서, 건조 시간을 단축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로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드럼에 전달하되,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과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이 동심축을 형성하게 하는 구동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상에서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유로를 확장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 시간당 순환 가능한 공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유로가 드럼의 회전중심에 가깝게 구비되어 드럼의 공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이동덕트의 너비는 베이스의 너비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이동덕트는 드럼의 회전중심과 높이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의 공기가 순환되거나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응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및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어 상기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 또는 상기 제2열교환기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이동덕트를 포함하는 순환유로부 및 상기 순환유로부에서 너비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가 설치되는 장치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는 상기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장치설치부에서 분리 및 이격되고, 상기 이동덕트의 너비는 상기 베이스의 너비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된다.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투입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과 상기 드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드럼의 전방면을 지지하며, 상기 드럼의 전방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순환유로부로 안내하는 프론트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덕트의 너비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너비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의 너비는 상기 드럼의 직경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열교환기의 전후방향 폭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의 전후방향 폭은 상기 제1열교환기의 전후방향 폭보다 작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의 후방에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열교환기와 상기 순환유로팬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팬의 직경은 상기 제2열교환기의 높이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순환유로부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순환유로부와 연통하여 상기 순환유로부에서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집수부 및 상기 제1열교환기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덕트의 바닥면에 함몰되게 구비되어 상기 응축된 물을 상기 집수부로 안내하는 수집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는 상기 집수부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덕트의 일면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집안내부와 상기 집수부를 연통하는 집수연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수연통홀은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되, 상기 드럼과 상기 모터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순환유로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리어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드럼과 상기 모터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모터부에서 제공된 회전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감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는 상기 감속기에 고정되되, 상기 리어플레이트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의 너비는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너비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의 공기가 순환되거나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응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및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어 상기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 또는 상기 제2열교환기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이동덕트를 포함하는 순환유로부 및 상기 순환유로부에서 너비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가 설치되는 장치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는 상기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장치설치부에서 분리 및 이격되고, 상기 이동덕트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과 높이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된다.
상기 제1열교환기 또는 상기 제2열교환기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과 높이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로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드럼에 전달하되,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과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이 동심축을 형성하게 하는 구동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상에서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유로를 너비를 확장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 시간당 순환 가능한 공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유로가 드럼의 회전중심에 가깝게 구비되어 드럼의 공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건조기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건조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감속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4의 점선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리어플레이트와 베이스가 결합되는 구조를 전방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리어플레이트 후방에 감속기 및 모터부가 결합되는 것을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감속기와 스테이터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감속기와 모터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에 결합되는 집수커버 및 덕트커버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를 상측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도 14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를 상측에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D-D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도 17의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도 14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커버를 상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커버를 하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를 상측에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F-F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우측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도 23의 E-E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전방에서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0),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150) 및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패널(140)은 좌측면을 형성하는 좌측패널(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10)에는 캐비닛(10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개구부(111) 및 상기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11)를 개폐하는 도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10)에는 조작패널(11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8),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은 일련의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건조 코스 또는 건조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는 상기 입력부(118)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어명령을 수행하도록 내부 구성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도 14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는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구성들과 연결되어 입력된 명령을 수행하도록 해당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8)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 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9)는 텍스트(text) 및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수분을 별도로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저수탱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120)는 상기 전면패널(110)의 일측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120)는 건조 행정 중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저수탱크(120)를 상기 캐비닛(100)에서 인출하여 상기 응축수를 제거한 뒤, 다시 캐비닛(10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하수구 등이 설치되지 않는 장소에도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수탱크(120)는 상기 도어(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저수탱크(120)를 상기 전면패널(110)에서 인출할 때 허리를 상대적으로 적게 굽힐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과,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드럼(200)에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교환부(900) 및 순환유로부(820)가 구비되는 베이스(800)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유로부(820)는 상기 드럼(200)과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순환유로부(820)로 공급돨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는 다시 드럼(2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드럼(200)과 직접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구동부는 DD(Direct Drive unit)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는 벨트와 풀리 등의 구성을 생략하여 상기 드럼(200)을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드럼(200)의 회전 방향 또는 상기 드럼(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는 고속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드럼(200) 내부의 의류를 상기 드럼(200) 내벽에 부착된 채로 회전할 수 있는 RPM 보다 훨씬 더 큰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200) 내부의 의류는 상기 드럼(200) 내벽에 지속적으로 붙어 회전하면 드럼내벽에 부착된 부분이 열풍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건조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드럼(200) 내부에서 의류가 상기 드럼(200) 내벽에 부착되지 않고 구르거나 교반되기 위해 상기 로터(520)를 저속 RPM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부가 발생시킬 수 있는 출력이나 토크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는 RPM을 저감시켜 모터부(500)의 최대 출력을 활용하면서도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감속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200)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63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세탁에 이용되는 드럼과 달리, 건조에만 이용되는 상기 드럼(200) 내부에는 물이 투입될 필요가 없고, 상기 드럼(200) 내부에 응축된 액체 상태의 물이 드럼(200) 외부로 배출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드럼(200)에는 원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관통홀이 생략될 수 있다. 즉, 건조에만 이용되는 드럼(200)은 세탁에 이용되는 드럼(200)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은 일체의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원주면을 포함하는 드럼바디(210)와 후방면을 형성하는 드럼배면(220)이 결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드럼바디(210)의 전방에는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의 후방에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연결될 수 있다. 드럼바디(210)와 드럼배면(220)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드럼바디(210)와 드럼배면(22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드럼바디(210)에는 회전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의류가 섞일 수 있도록, 내부의 의류를 상부로 견인하는 리프트(213)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200)이 회전할 때, 내부에 수용된 의류는 리프트(213)에 의해 상승 및 낙하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드럼(200)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는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면서 열풍에 골고루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 효율이 증가되고, 건조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드럼바디(210)의 원주면에는 강화비드(212)가 형성될 수 있다. 강화비드(212)는 드럼(200)의 원주면을 따라 내/외부에서 함몰 또는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강화비드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화비드는 일정한 패턴을 이루며 상기 원주면에의 내/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강화비드(212)에 의해 드럼바디(210)의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바디(210)에 다량의 의류가 수용되거나, 상기 구동부를 통해 갑작스런 회전력을 전달받더라도 상기 드럼바디(210)가 비틀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강화비드(212)가 구비될 경우 드럼바디(210)의 원주면이 평탄한 면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의류와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드럼(200)에 공급되는 열풍이 더욱 효과적으로 의류와 드럼(200)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강화비드에 의해 드럼의 내구성이 높아지고, 의류처리장치의 건조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통상적으로 DD타입 세탁기인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200)을 수용하는 터브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드럼(200)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터브에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행정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드럼(200)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100)에 고정되는 터브(tub)가 생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200) 또는 상기 구동부를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하거나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드럼(200)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드럼(200)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플레이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럼(200)의 전방과 후방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간격은 상기 드럼(20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드럼(2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상기 캐비닛(100)의 바닥면이나 베이스(80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캐비닛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과 드럼(20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에는 상기 투입구(211)와 연통하는 투입연통홀(4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에 투입연통홀(412)이 구비되므로, 드럼(200)의 전방면이 지지되면서도, 드럼(200)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상기 투입연통홀(412)의 하측에 구비되는 덕트연결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연결부(416)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의 하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덕트연결부(416)를 관통하는 덕트연통홀(417)을 포함할 수 있다. 덕트연통홀(417)은 중공의 형태로 구비되어 드럼의 투입구(21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드럼(200)의 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드럼(20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드럼(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순환유로부(82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덕트연통홀(417)에는 의류에서 발생하는 린트 또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필터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는 드럼(2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여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이 축적되어 공기의 순환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투입구(211)가 전방에 배치되므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 보다는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리어플레이트(420)에 장착되어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를 통해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드럼(200)의 전단 또는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드럼(200)의 전방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200)의 후방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이격되되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장착되는 상기 모터부(500)에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200)이 상기 지지부(400)에 접촉되거나 마찰되는 영역이 최소화되고 불필요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드럼(200)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모두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의 하부에는 상기 드럼(200)의 전방을 지지하는 지지휠(415)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휠(415)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휠(415)은 드럼(200)의 하부에 접촉된 채로 회전될 수 있다.
드럼(200)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경우 드럼(200)은 후방에 연결된 드럼회전축(63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면, 상기 의류에 의해 드럼회전축(6341)에 부과되는 하중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회전축(6341)은 하중에 의해 휘어질 위험이 있다.
지지휠(415)이 드럼(200)의 전방 하부를 지지할 경우 드럼회전축(6341)에 걸리는 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회전축(6341)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휠(415)은 드럼(20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드럼(2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휠(415)은 드럼(200)의 좌우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드럼(200)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드럼(200)의 작동 환경에 따라 더 많은 개수의 지지휠(4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00)에 구비되는 순환유로부(820)는 상기 드럼(200) 내부에 있는 공기를 순환시켜 다시 상기 드럼(200) 내부로 투입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821), 드럼(200)에 공기를 공급하는 배출덕트(823), 상기 유입덕트(821)와 배출덕트(823)를 연결하는 이동덕트(8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의 전방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이동덕트(822)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덕트(823)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823)는 순환유로부(820)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부(8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8231)는 상기 배출덕트(823)의 후방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8231)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드럼(2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상측에는 덕트커버부(830)가 결합되어, 순환유로부(820)의 개방된 상면을 일부 차폐할 수 있다. 덕트커버부(830)는 순환유로부(820)의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말해, 덕트커버부(830)는 공기가 순환되는 유로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800)에 구비되는 열교환부(900)는 상기 순환유로부(82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냉각하는 제1열교환기(910)와 상기 순환유로부(82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서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9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하고, 상기 제2열교환기(920)는 제습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된 공기는 다시 드럼(200)에 공급되어 드럼(200)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와 상기 제2열교환기(920)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될 수 있다.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될 경우 제1열교환기(910)는 증발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열교환기(920)는 응축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와 제2열교환기(920)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가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와 열교환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900)는 순환유로부(820)에 설치되어 순환유로부(820)의 내부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순환유로팬(9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900)는 순환유로팬(950)을 회전시키는 순환유로팬모터(9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팬(950)은 순환유로팬모터(951)에 의해 회전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다. 순환유로팬(950)이 작동하면, 제1열교환기(910)에서 제습되고, 제2열교환기(920)에서 가열된 공기가 드럼(200)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순환유로팬(950)은 유입덕트(821), 이동덕트(822), 배출덕트(823)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순환유로팬(950)은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순환유로팬(950)이 작동할 때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순환유로팬(950)이 순환유로부(8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유로팬(950)은 상기 송풍부(823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유로팬모터(951)는 상기 송풍부(823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팬모터(951)에 의해 상기 순환유로팬(950)이 회전하면, 상기 순환유로부(82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송풍부(8231)를 통해 상기 순환유로부(8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드럼(200) 내부에 위치한 의류를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200)의 투입구(211)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순환유로부(820) 및 상기 열교환부(900)는 상기 드럼(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드럼(200)의 후방에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를 드럼(200)으로 안내하는 리어플레이트(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배면(220)과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프론트플레이트(410)를 통하여 상기 드럼(200) 내부의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를 통해 상기 드럼(20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를 지나서 상기 드럼(200)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00)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리어플레이트(420)로 안내하는 커넥터(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배출되는 공기가 리어플레이트(420)의 전역으로 골고루 퍼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에 설치될수 있다. 즉, 커넥터(850)는 상기 송풍부(823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리어플레이트(420)에 안내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로 공급된 열풍은 상기 드럼배면(220)을 통해 드럼(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은 벨트 등에 결합되어 간접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드럼(200)의 후방에 위치되는 구동부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건조기의 드럼이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구비되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드럼의 후방은 차폐되어 상기 구동부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바디(210)와 상기 드럼바디(21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배면을 형성하는 드럼배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드럼바디(210)의 후방을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와 직접 결합되는 결합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드럼(200)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럼바디(210) 중 전방은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211)가 형성되고 후방은 상기 드럼배면(220)으로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에는 상기 구동부와 드럼배면(220)을 연결하는 부싱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드럼배면(220)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200)의 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드럼배면(220)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과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드럼배면(220) 보다 강성이나 내구성이 더 큰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드럼배면(220)의 회전중심과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드럼배면(220)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드럼바디(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둘레부(221)와 상기 둘레부(2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와 결합될 수 있는 장착판(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장착판(222)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은 상기 부싱부(300)를 통해 장착판(222)에 결합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럼배면(220)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둘레부(221)와 상기 장착판(222) 사이에 관통 형성되어, 드럼배면(220)의 전후방을 연통하는 흡입홀(2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은 상기 흡입홀(224)을 통해 상기 드럼바디(2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홀(224)은 상기 드럼배면(22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홀로 구비되거나 메쉬(MESH) 형태의 그물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500)와 상기 모터부(500)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드럼(200)에 전달하는 감속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는 모터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감속기(600)를 통해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의 배면에 고정되고, 모터부(500)는 감속기(60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420)는 상기 감속기(600) 또는 모터부(500)가 지지되는 지지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5는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내부 구성들의 서로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 드럼의 전방면을 지지하는 프론트플레이트(410),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플레이트(420),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어 드럼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거나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응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800),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어 드럼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10, 520, 540), 모터부의 회전을 감속하여 드럼에 전달하는 감속기(600),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어커버(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00)는 드럼(200)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에서 공기가 유입되거나 상기 드럼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순환유로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411), 상기 프론트패널(411)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상기 드럼(200)과 연통되는 투입연통홀(41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상기 프론트패널(411)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연통홀(412)의 반경방향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바디(210)의 일부를 수용하는 전방가스켓(413) 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가스켓(413)은 상기 드럼바디(2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투입구(21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가스켓(413)은 상기 드럼바디(210)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 사이로 상기 드럼(200) 내부의 열풍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가스켓(413)은 플라스틱 수지 계열 또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실링부재가 상기 전방가스켓(413) 에 추가로 결합되어 상기 드럼바디(210)에서 의류 또는 열풍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투입연통홀(412)의 내주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덕트연통홀(41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덕트연통홀(417)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드럼바디(210)와 순환유로부(820)를 연통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연결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연결부(416)는 덕트연통홀(417)을 통해 드럼바디(210)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바디(210)에서 배출된 공기는 덕트연통홀(417)을 통해 덕트연결부(416)로 유입되어, 순환유로부(820)로 안내될 수 있다. 드럼바디(210)에서 배출된 공기는 덕트연결부(416)에 의해 순환유로부(820)로 안내되므로, 드럼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덕트연결부(416)에는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된 공기에서 이물질 또는 린트를 여과하여, 순환유로부(82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상기 프론트패널(411)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럼(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휠(41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휠(415)이 상기 드럼(200)의 전방을 지지하여 드럼에 연결된 회전축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프론트패널(411)을 관통하게 구비되어 건조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120, 도 3참조)가 인출되거나 지지될 수 있는 저수탱크지지홀(414)이 구비될 수 있다. 저수탱크지지홀(414)이 상측에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저수탱크를 인출할 때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은 전방에는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211)가 구비되는 드럼바디(210)와, 후방면을 형성하는 드럼배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드럼바디(210)와 연결되는 둘레부(221), 상기 둘레부(221)의 내측에서 드럼배면(220)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흡입홀(224) 및 드럼배면(220)의 회전 중심에 구비되어 회전축과 결합되는 장착판(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홀(224)을 통해 드럼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둘레부(221)로부터 회전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보강리브(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25)는 상기 흡입홀(224)을 회피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25)는 흡입홀(224)로 인해 상기 드럼배면(220)의 강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보강리브(225)는 상기 장착판(222)의 외주면에서 상기 둘레부(221)의 내주면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럼배면(220)은 상기 보강리브(225)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드럼배면(22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원주리브(2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홀(224)은 상기 보강리브(225)와 상기 원주리브(227) 및 상기 둘레부(221) 사이 마다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25)와 상기 원주리브(227)는 상기 드럼배면(220)이 상기 모터부(500)에서 회전력을 전달받더라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입덕트(821)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의 덕트연통홀(417)에 연통되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 내부에 설치된 유로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822)는 상기 유입덕트(821)의 말단에서 상기 드럼(20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덕트(823)는 상기 이동덕트(822)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를 드럼(200)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8231)는 상기 배출덕트(823)의 하류측에 위치비될 수 있으며, 송풍부(8231)는 순환유로팬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순환팬유로팬이 작동하면 유입덕트(821)로 유입된 공기가 송풍부(8231)의 상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800)에는 드럼(200)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를 냉각하고 가열할 수 있는 열교환부(9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900)는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에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9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930)는 순환되는 공기와 직접 열교환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으모로, 순환유로부(820)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는 송풍부(8231)의 후방에 지지되어 순환유로팬을 회전시키는 순환유로팬모터(9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팬모터(951)는 송풍부(8231)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에 결합되어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상기 드럼(200)의 후방 또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로 안내하는 커넥터(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배출덕트(823)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920)를 통과하여 가열된 열풍을 상기 배출덕트(823) 보다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의 상측에 구비된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순환유로팬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을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골고루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송풍부(8231)에서 멀어질수록 유로의 면적이 증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상기 베이스(800)에 결합되거나 상기 베이스(800)에 지지되어 상기 드럼(2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리어패널(421), 상기 리어패널(421)에서 함몰되게 구비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덕트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거나 지지되는 장착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25)는 리어패널(421)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덕트부(423)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25)는 덕트부(423)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의 결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부(500)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동력을 발생시키고, 회전동력을 드럼에 전달하는 구성을 구동부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장착부(42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25)는 상기 구동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장착부(425)에 지지된 채로 상기 드럼(2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는 상기 드럼배면(22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는 상기 드럼배면(220)과 함께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덕트부(423)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장착부(425)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는 상기 덕트부(423)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장착부(425)에 설치되되, 후방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는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510)와, 상기 스테이터(51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로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520)는 상기 스테이터(510)를 수용하며 상기 스테이터(5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아우터 로터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터(520)에는 구동축이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터(510)와 상기 장착부(425)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2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로터(520)가 직접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로터(520)는 와셔부(540)를 통해 구동축과 결합될 수 있다. 와셔부(540)는 구동축과 로터(520)를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와셔부(540)에 의해 로터(520)와 구동축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로터(520)의 회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모터부(500)와 상기 드럼(200)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모터부(500)의 동력을 변환하여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모터부(500)와 상기 드럼(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부(5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를 변환하여 상기 드럼(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로터의 RPM을 작은 RPM으로 변환하되 토크 값을 증가시켜 상기 드럼(200)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로터(520)와 결합되어 상기 로터(520)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내부에 상기 구동축과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구동축의 rpm을 변형하되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결합체는 상기 드럼(200)에 결합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530)이 회전하면 상기 드럼회전축 상기 구동축 보다는 느린 rpm으로 회전하지만 더 큰 토크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감속기(600)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이 동축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따라 그 성능이 좌우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이 서로 틀어지게 되면 상기 감속기(600) 내부의 기어결합체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이 느슨해지거나 결합이 해제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의 동력이 상기 드럼회전축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거나, 상기 구동축이 헛도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이 일시적이라도 틀어지게 되면, 상기 감속기(600) 내부의 기어들이 서로 어긋나 충돌되어 불필요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이 일시적이라도 틀어지는 각도가 심해질 경우 상기 감속기(600)가 정위치를 완전히 벗어나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감속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들은 통상적으로 외력이 발생하여도 변형이 없이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체에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세탁기의 경우에는 상기 드럼을 수용하는 터브를 캐비닛에 1차적으로 고정시킨 다음, 상기 터브 내부에 사출성형 방식으로 내장되어 있는 강체로 제작된 베어링 하우징에 상기 모터부와 상기 감속기를 2차적으로 고정시키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터브에 상당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감속기와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이나 상기 고정강판과 함께 기울어지거나 진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감속기와 상기 구동부 자체는 항상 결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고, 상기 구동축과 회전축이 동축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기로 구비되기 때문에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는 터브의 구성이 생략된다. 또한, 캐비닛의 배면패널은 상대적으로 얇은 판으로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터(510)가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로터(520)가 회전할 때 반발력으로 인해 상기 배면패널은 쉽게 진동하거나 휘어질 수 있다. 상기 배면패널이 진동하거나 일시적이라도 휘어지게 되면 상기 드럼(200)과 결합되어 배치되는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의 회전중심이 서로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패널은 얇은 강판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를 모두 지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가 나란하게 상기 배면패널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의 전체 길이 및 자중으로 인해 회전모멘트가 발생하여 상기 감속기(600)가 하부로 처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럼에 결합된 드럼회전축 자체가 상기 감속기(600)와 틀어지게 되어 상기 구동축과 동축이 유지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상기 스테이터(510)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500)가 지지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0) 내부에 의류가 다량으로 수용되거나, 편심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드럼(200)이 회전할 때마다 상기 드럼회전축이 상기 의류의 배치를 따라 틀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테이터(510)가 상기 드럼(200)과 별도로 분리되어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드럼회전축은 상기 스테이터(510)와 다른 폭으로 진동하거나 다른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의 동축이 유지되지 못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드럼(200)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지지되어 설치된 위치가 일정수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200)과 결합된 드럼회전축의 위치도 일정수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200)에 진동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진동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 또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완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200)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모터부(500)까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상기 감속기(600) 및 상기 모터부(500)가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드럼회전축의 진동하는 진동폭 보다 상기 모터부(500) 및 상기 리어플레이트(420)가 진동하는 진동폭이 더 클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이 동축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모터부(500)를 상기 감속기(600)에 결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감속기(600) 자체가 구동부 전체의 기준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600)가 상기 구동부 전체의 진동 및 기울어지는 각도량의 기준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구성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감속기(600)에만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에 진동이 전달되거나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감속기(600)가 기울어지거나 진동할 때 상기 모터부(500)는 항상 상기 감속기(600)와 동시에 기울어지거나 동시에 진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는 하나의 진동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는 서로를 기준으로 상대 운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 중 상기 스테이터(510)가 직접 상기 감속기(6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축(530)이 상기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설치된 위치가 가변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동축(530)의 중심과 상기 감속기(600)의 중심은 서로 일치된 상태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구동축(530)은 상기 감속기(600)의 중심과 동축을 유지하는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제1축(M1)은 상기 드럼(200)의 회전중심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축(M1)은 X축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축(M2)과 제3축(M3)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축(M2) 및 제3축(M3)은 상기 XZ평면과 나란하게, 또는 Y축과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축(M1)과 제2축(M2)은 감속기(600)에서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축(M1)과 제3축(M3)은 상기 장착부(425)에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드럼(200)에 부하가 없거나 상기 모터부(500)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면과 나란한 제1축(M1)을 따라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200) 또는 모터부(500)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감속기(600)에 진동이 전달되어 감속기(600)가 기울어짐으로써, 일시적으로 상기 감속기(600)가 제2축(M2)을 따라 기울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감속기(600)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감속기(600)와 함께 진동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부(500)는 제2축(M2) 상에서 상기 감속기(60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도 상기 제2축(M2)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감속기(600)가 기울어진다고 하더라도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감속기(60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은 동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울어지거나 진동할 것이므로, 상기 리어플레이트(420)가 상기 감속기(600) 및 상기 모터부(500), 상기 드럼(200)을 포함하는 진동계의 중심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와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상기 감속기(600)에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 및 상기 드럼(200)이 제1축(M1)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가, 드럼(200)이나 모터부(500)의 진동에 의해 상기 감속기(600)는 제3축(M3)과 나란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3축(M3)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된 감속기(60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모터부(500)도 상기 감속기(600)와 동일하게 제3축(M3)과 나란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
결국, 상기 모터부(500)와 상기 드럼(200)은 상기 감속기(600)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500)와 상기 드럼(200)은 상기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서로 나란하게 기울어지거나 동시에 진동될 수 있다.
전술한 동축 및 일치의 의미는 물리적으로 완벽한 동축 및 일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공학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오차범위 또는 당업자가 동축 또는 일치라고 인정할 만한 수준의 범위는 허용하는 개념이다. 예를들어, 상기 구동축(530)과 상기 드럼회전축(6341)이 5도 이내로 틀어진 범위를 동축 또는 일치인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각도 값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설계상 허용되는 오차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530)이 상기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회전하지만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터(510)도 상기 감속기(6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테이터(510)와 상기 로터(520)의 간격은 항상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테이터(510)와 상기 로터(520)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로터(520)가 상기 스테이터(510)를 회전하면서 회전중심이 가변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이나 진동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상기 감속기(600) 내부에서 상기 드럼(200)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감속기(600)와 함께 진동하고 상기 감속기(600)와 함께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상기 감속기(600)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될 뿐 설치된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럼회전축(6341)과 상기 구동축(530)은 항상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드럼회전축(6341)의 중심과 상기 구동축(530)의 중심은 서로 일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배면(220)과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사이에는 실링부(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50)는 리어플레이트(420)의 덕트부(423)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상기 흡입홀(224)로 유입되도록 드럼배면(220)과 리어플레이트(420)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부(450)는 상기 덕트부(423)의 외측면과 내측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제1실링(451)이 구비될 수 있고, 반경방향 내측에는 제2실링(4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451)은 드럼배면(220)과 덕트부(423)의 사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열풍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2실링(452)은 드럼배면(220)과 덕트부(423)의 사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열풍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실링부(450)는 상기 흡입홀(224)의 반경방향 외측과 내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실링(451)은 흡입홀(224)의 반경방향 외측에, 제2실링(452)은 흡입홀(224)의 반경방향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50)가 열풍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드럼배면(220)과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모두에 접촉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200)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회전하므로 실링부(450)에는 드럼배면(220)에 의해 지속적인 마찰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450)는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 마찰열에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드럼배면(220)과 덕트부(423) 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는 모터부(500) 또는 감속기(60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얇은 철판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감속기(600) 및 드럼(200)에 의해 감속기(600)에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즉, 상기 감속기(600), 모터부(500) 등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강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리어플레이트(420)는 결합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브라켓(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는 추가적으로 브라켓(700)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감속기(600) 및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브라켓(700)에 의해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될 수 있다.
감속기(600)는 브라켓(700) 및 리어플레이트(420)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감속기(600), 리어플레이트(420), 브라켓(700)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는 브라켓(700)이 결합되어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강성이 확보된 리어플레이트(420)에는 감속기(600), 모터부(500)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700)에 감속기(600)가 먼저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700)이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는 리어플레이트(420)에는 직접 결합되지 않고 브라켓(700)을 통해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모터부(500) 또는 감속기(600)가 결합될 경우 모터부(500)와 감속기(60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결합되어 모터부(50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덕트부(423)는 열풍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부(423)의 후면을 단열할 필요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리어커버(43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덕트부(423)와 상기 모터부(500) 또는 감속기(60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어커버(430)는 상기 덕트부(423) 및 상기 구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모터부(500)가 외부의 간섭을 받아 파손되거나, 덕트부(423)를 통해 열손실이 발생되어 건조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감속기(600)는 외관을 형성하는 감속기하우징(610, 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 하우징은 드럼과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제1하우징(610)과 모터부와 마주하는 제2하우징(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기어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는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터부의 RPM을 작은 RPM으로 변환하되 토크 값을 증가시켜 상기 드럼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는 대부분 상기 제2하우징(620)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하우징(610)은 상기 감속기(600) 내부를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속기(600)의 전체적인 두께를 축소할 수 있다. 기어박스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하우징(610)은 상기 제2하우징(620)을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와 상기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에서 제2하우징(6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하우징축수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축수부(612)는 드럼회전축(6341)을 수용할 수 있으며, 드럼회전축(634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10)은 모터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스테이터결합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는 상기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의 둘레면에서 상기 제1하우징축수부(6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는 모터부가 체결될 수 있는 스테이터체결홀(6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체결홀(615)은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에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체결홀(615)에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와 모터부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10)은 모터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결합가이드(6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가이드(614)는 상기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의 둘레면에서 상기 제1하우징축수부(6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가이드(614)는 스테이터결합부(613)와 연결되게 상기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가이드(614)는 상기 스테이터(510)를 스테이터결합부(613)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스테이터(510)의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하우징(620)은 내부에 기어결합체를 수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감속기(600)에 결합되는 기어박스는 태양기어와, 상기 태양기어를 공전하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를 수용하여 상기 유성기어가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링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620)은 상기 제1하우징(610)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결합바디(621) 상기 제2하우징결합바디(621)에서 상기 제1하우징(6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어박스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차단바디(622), 상기 제2하우징차단바디(622)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1하우징(610)과 멀어지게 연장되어 구동축(530)을 지지하는 제2하우징축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10)의 중심과 상기 제2하우징(620)의 중심은 동축상에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동축(530)과 드럼회전축(6341)은 동축 상에 위치되는 것이 동력 전달에 유리하다. 따라서, 드럼회전축(634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하우징축수부(612)와 구동축(5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하우징축수부는 동축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축(530)은 상기 제2하우징(62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하우징(6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530)에는 상기 로터(5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와셔부(5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셔부(540)는 중심에 상기 구동축(530)이 수용되는 축지지홀(543)이 형성되는 수용바디(542) 상기 수용바디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로터가 결합되는 면을 형성하는 와셔결합바디(5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지지홀(543)은 상기 구동축(5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기가 결합될 수 있게 돌기와 대응되는 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셔부(540)는 상기 와셔결합바디(541)에서 상기 감속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와셔결합돌기(5411)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와셔부(540)는 상기 와셔결합바디(541)를 관통하는 와셔결합홀(5412)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셔결합돌기(5411)는 상기 로터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셔결합홀(5412)은 상기 로터를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로터와 상기 와셔부(540)를 결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와셔결합돌기(5411)와 상기 와셔결합홀(5412)은 상기 와셔결합바디(541)의 표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가며 위치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간략히 도시된 구동부를 확대하여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구동부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500)와 모터부(50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드럼에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63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회전자계를 발생시키는 스테이터(510)와 상기 스테이터(5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로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520)의 내주면에는 영구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510)에서 발생되는 회전자기에 의해 상기 로터(520)의 내주면에 위치한 영구자석은 특정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로터(520)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520)는 스테이터(510)의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로터(520)의 회전중심에는 로터(520)와 함께 회전하며 로터(520)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5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530)은 상기 로터(52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530)은 와셔부(540)를 통해 상기 로터(5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530)은 상기 로터(520)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와셔부(540)를 통해 연결될 경우 로터(520)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로, 상기 로터(520)의 회전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530)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부과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축(530)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구동축(530)은 드럼과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구동축(530)은 로터(520)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므로 감속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530)은 감속기에 연결되고, 감속기가 드럼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는 구동축(530)의 회전을 감속하여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 및 구동축(530)의 동력을 감속하는 기어박스(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620)은 기어박스(6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제1하우징(610)은 제2하우징(620)이 제공하는 수용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620)은 제1하우징(610)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결합바디(621), 상기 제2하우징결합바디(621)의 내주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기어박스(630)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차단바디(622), 상기 제2하우징차단바디(62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동축(530)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제2하우징축수부(6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630)는 상기 제2하우징차단바디(622)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링기어(633)를 포함할 수 있다. 링기어(633)의 내주면에는 상기 링기어(633)와 기어결합되는 유성기어(632)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링기어(633)의 내측에는 유성기어(632)와 기어결합되며, 구동축(530)과 함께 회전하는 태양기어(631)가 구비될 수 있다.
태양기어(631)는 구동축(530)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태양기어(631)는 구동축(530)과 별도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태양기어(631)는 구동축(53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태양기어(631), 유성기어(632) 및 링기어(633)는 헬리컬 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기어가 헬리컬 기어로 구비될 경우 소음이 저감되고, 동력전달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태양기어(631), 유성기어(632) 및 링기어(633)는 평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기어박스(630)의 작동례로 로터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축(530)과 구동축(530)에 연결된 태양기어(631)가 회전하면, 태양기어(631)의 외주면에서 기어결합되는 유성기어(632)가 링기어(633)와 태양기어(631)의 사이에서 기어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632)는 자전중심에 삽입되는 유성기어축(6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축(6323)은 상기 유성기어(6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는 상기 유성기어축(6323)을 지지하는 제1케리어(6342)와 제2케리어(63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축(6323)은 전방에서는 제2케리어(6343)에 의해 지지되고, 후방에서는 제1케리어(6342)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상기 제2케리어(6343)의 회전중심에서 모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상기 제2케리어(6343)와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반면, 드럼회전축(6341)은 제2케리어(6343)에서 연장되어 제2케리어(634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드럼과 결합되어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부싱부와 같은 연결체를 매개하여 드럼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연결체 없이 직접 드럼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상기 제1하우징(6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10)은 제2하우징(620)의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와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에서 제2하우징(6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드럼회전축(6341)을 수용하는 제1하우징축수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축수부(612)의 내주면에는 제1베어링(660) 및 제2베어링(670)이 압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회전축(63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은 감속기체결부재(681)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감속기체결부재(681)는 상기 제1하우징(610)과 상기 제2하우징(620)을 동시에 관통하며 양 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체결부재(681)는 제1하우징(610), 제2하우징(620) 그리고 리어플레이트(420)를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1하우징(610) 과 제2하우징(620)을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감속기(600)를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두께가 얇은 철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감속기(600), 감속기(600)에 결합되는 모터부(500) 및 감속기(600)에 연결되는 드럼(200)을 모두 지지하기 위한 강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속기(600)를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할 때 리어플레이트(420)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브라켓(700)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700)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700)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감속기(600)가 결합될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하고,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와 상기 브라켓(700)과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와 상기 브라켓(700) 그리고 상기 감속기를 결합하기 위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600)를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1하우징(610)과 상기 제2하우징(620)을 결합하는 데 이용되었던 상기 감속기체결부재(681)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체결부재(681)는 상기 제2하우징(620) 상기 제1하우징,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및 브라켓(700)을 일거에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될 경우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전방에서는 브라켓(700)에 의해, 후방에서는 제1하우징(6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감속기(600)의 결합에 의하더라도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먼저 감속기체결부재(681)를 이용하여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만 결합한 뒤에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감속기(600)를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610)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모터부(500)가 결합될 수 있는 스테이터결합부(6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는 스테이터결합부(613)의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51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에 결합될 수도 있다. 스테이터(510)는 내주면에 구비되어 스테이터를 지지하는 고정리브(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512)는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에 결합되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512)와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는 스테이터 결합핀(617)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와 이격된 채로 상기 감속기(60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모터부(500)와 상기 감속기(600)는 하나의 진동체를 형성할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로터(520)에 결합된 구동축(530)과 감속기(600)와 연결되는 드럼회전축(6341)이 동축을 유지하기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드럼(200)의 진동에 의해 축의 방향이 틀어질 위험이 있다. 그러나, 모터부(500)는 드럼회전축(6341)을 지지하는 제1하우징(61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드럼회전축(6341)의 축 방향이 틀어지더라도 상기 제1하우징(610)에 의해 상기 구동축(530)의 축 방향 또한 유사하게 틀어질 것이다. 즉, 모터부(500)는 상기 감속기(600)와 일체로 이동되어 상기 드럼회전축(6341)과 상기 구동축(530)은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동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해 상기 모터부(500)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상기 드럼(200)에 전달되는 효율성 및 신뢰성이 상승하고, 드럼회전축(6341)과 구동축(530)의 축 틀어짐에 의해 발생하는 기어박스(630)의 마모, 동력 전달의 효율 감소, 내구성 및 신뢰성이 감소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리어플레이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열풍을 드럼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어 열풍이 드럼 전체에 골고루 공급되도록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배면과 마주하는 리어패널(421)과, 상기 리어패널(421)에서 후방으로 함몰되게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는 리어패널(421)에서 후방으로 가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는 드럼배면을 일부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는 순환유로부 후방에 위치되는 유입부(4233)와 드럼 후방에 위치되는 유동부(4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는 드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는 드럼을 일부 수용하여, 드럼 후방에 구비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는 드럼배면에 형성되는 흡입홀과 마주하도록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는 리어패널(421)에서 함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부(4231)는 전방은 개방되도록 구비되고, 드럼의 배면과 함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의 전방이 개방되게 구비될 경우 상기 유동부(4231)로 이동된 열풍은 별도의 구성을 통과하지 않고 직접 드럼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열풍이 별도의 구성을 통과하면서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열풍의 열손실을 저감시켜 건조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유동부(4231)의 반경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장착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25)는 감속기(600) 또는 모터부(500)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420)는 내측에 구비되는 장착부(425), 장착부(425)의 반경방향 외측에 환형으로 구비되는 유동부(42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부(4231)는 열풍이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유동외주부(423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동부(4231)는 열풍이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내측에서 둘러싸는 유동내주부(4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동외주부(4231a)는 유동부(4231)의 외측둘레를 형성하며 유동내주부(4231b)는 유동부(4231)의 내측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동부(4231)는 열풍이 이동하는 유로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유동함몰면(4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함몰면(4232)은 유동외주부(4231a)와 유동내주부(4231b)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동내주부(4231b), 유동외주부(4231a), 유동함몰면(4232)에 의해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열풍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동함몰면(4232)에 의해 열풍이 후방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드럼을 향해 열풍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유동함몰면(4232)은 유동부(4231)의 함몰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233)는 순환유로부(820)와 마주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는 송풍부(8231)와 마주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233)는 송풍부(8231)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리어패널(421)에서 후방으로 함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233)의 상측은 유동부(4231)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송풍부(8231)에 연결되는 커넥터(8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에서 배출된 열풍을 유동부(4231)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송풍부(4231)에서 배출된 열풍을 유동부(4231)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와 유동부(4231)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850)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송풍부(8231)와 멀어질수록 증가도되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유입부(4233)와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233)는 상기 커넥터(85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850)의 상단은 상기 유동부(4231)와 유입부(4233)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850)에서 배출된 열풍은 상기 유동부(4231)로 유입되되, 상기 유입부(4233)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유동부(4231)에 열풍을 골고루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에서 멀어질수록 너비가 증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의 상단은 상기 유동외주부(4231a)의 원주방향 연장선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850)에서 배출된 열풍은 유입부(4233)로 이동되지 않고 유동부(4231)에 전체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유동부(4231)의 일측에 열풍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드럼 내부에 열풍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의 건조 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류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증가하도록 구비되어 커넥터(850)를 따라 이동하는 열풍의 속도는 유동방향에 따라 감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커넥터(850)는 열풍의 속도를 조절하는 디퓨저(diffuse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커넥터(850)는 열풍의 속도를 감소시켜, 열풍이 드럼을 특정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커넥터(850)의 형상에 의해, 상기 커넥터(850)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며, 커넥터(85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유입부(4233) 또한 송풍부(8231)와 멀어질수록 너비가 증가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233)의 형상에 의해 덕트부(423)는 전체적인 형상이 전방에서 바라볼 때'9'와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건조행정 중에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드럼은 상기 유동부(4231)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열풍이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는 드럼과 유동부(4231)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50)는 상기 유동부(4231)의 둘레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실링부(450)는 유동부(4231)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1실링(4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451)은 드럼과 유동부(4231)의 외측둘레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실링(451)은 드럼배면(220)과 리어플레이트(420) 모두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누설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실링(451)은 상기 커넥터(850)의 전방면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실링(451)은 상기 커넥터(850)의 상단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유동부(4231)와 함께 열풍이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링(451)은 커넥터(850)와 접촉되게 구비되어 드럼과 커넥터(850) 사이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450)는 유동부(4231)의 내측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2실링(4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실링(452)은 드럼과 유동부(4231)의 내측둘레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실링(452)은 드럼배면(220)과 리어플레이트(420) 모두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452)은 유동부(4231)를 따라 이동하는 열풍이 장착부(425) 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드럼(200)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회전하므로 실링부(450)에는 드럼배면(220)에 의해 지속적인 마찰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실링부(450)는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 마찰열에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드럼배면(220)과 유동부(4231) 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와 감속기 및 모터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고하면,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에 지지되고, 모터부(500)는 감속기(6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감속기(600)와 모터부(500)를 모두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는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00)와 모터부의 동력을 감속하여 드럼에 전달하는 감속기(6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덕트부(423) 내부에 위치되도록 리어플레이트(4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유동부(4231)와 간섭이 방지되도록, 유동부(4231)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를 따라 이동하는 열풍의 열기에 의해 감속기(600) 내부의 기어장치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부(4231)와 상기 감속기(600)는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 전방에 위치되는 드럼과 연결될 수 있다.
스테이터(510)는 감속기(6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510)는 감속기(600)에 결합되어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감속기(600)는 드럼과 모터부 사이에 위치되어 드럼과 모터부를 리어플레이트(420)에서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600)가 상기 드럼과 모터부를 지지하는 중심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테이터(510)는 링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바디(511)와 상기 본체바디(511)의 내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감속기의 스테이터결합부(613)에 결합되는 고정리브(512)와, 상기 본체바디(511)의 둘레를 따라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코일이 감기도록 구비되는 티스(514)와, 상기 티스(514)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코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폴슈(515)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520)는 원통의 중공형상으로 구비되는 로터바디(5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터(520)는 로터바디(521)의 배면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는 설치바디(522)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520)는 로터바디(521)의 내주면을 따라 영구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520)는 구동축(530)과 결합되어 로터(520)의 회전동력을 구동축(530)을 통해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530)은 와셔부(540)를 통해 상기 로터(5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모터부(500)는 구동축(530)을 지지하는 와셔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셔부(540)는 로터와 결합되는 와셔결합바디(541)를 포함할 수 있다. 와셔결합바디(541)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와셔부(540)는 로터에 수용되는 수용바디(5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542)는 와셔결합바디(54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를 포함할 수 있다. 와셔부(540)는 수용바디(542) 중앙에 관통되어 구비되는 축지지홀(54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530)은 축지지홀(543)에 삽입되어 와셔부(5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와셔부(540)는 와셔결합바디(541)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와셔결합홀(54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바디(522)는 와셔결합홀(54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로터결합홀(52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와셔부(540)와 로터(520)는 와셔결합홀(5412)과 로터결합홀(526)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와셔부(540)와 로터(520)는 서로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와셔부(540)는 와셔결합바디(54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와셔결합돌기(54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바디(522)는 와셔결합돌기(5411)와 대응되게 구비되는 와셔돌기수용홀(525)을 포함할 수 있다. 와셔결합돌기(5411)는 와셔돌기수용홀(525)에 삽입되어 와셔부(540)와 로터(520)의 결합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로터(520)는 설치바디(522)의 중앙에 관통되어 구비되는 로터설치홀(524)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설치홀(524)은 수용바디(542)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셔부(540)는 로터(520)에 의해 구동축(5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구동축(530)과 로터(520)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부(500) 전체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와 스테이터의 결합구조를 후방에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테이터(510)는 상기 감속기(600)에 고정되며 링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바디(511)와 상기 본체바디(511)의 내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감속기의 스테이터체결홀(615)에 결합되는 고정리브(512)와, 상기 본체바디(511)의 둘레를 따라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코일이 감기도록 구비되는 티스(514)와, 상기 티스(514)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코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폴슈(515)와,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터미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510)는 본체바디(511)를 관통하여 본체바디(5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공간(5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512)는 상기 본체바디(511) 내부에서 수용공간(513)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고정리브(512)의 내측에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고정리브홀(5121)이 구비되어 핀과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리브홀(5121)과 감속기의 스테이터체결홀(615)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510)가 상기 감속기(600)에 직접 결합될 경우 상기 감속기(600)의 일부는 상기 스테이터(510)에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감속기(600)가 상기 스테이터(510)에 수용되면 상기 감속기와 상기 모터부를 모두 포함하는 구동부 전체의 두께가 축소되어 드럼의 용적을 더 확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본체바디(511)의 직경보다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우징(610)과 상기 제2하우징(620)은 가장 큰 직경이 상기 본체바디(511)의 직경보다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속기(6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바디(511)에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는 상기 감속기의 하우징에서 상기 고정리브(512)에 중첩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는 상기 고정리브(512)에 결합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620)의 일부는 상기 본체바디(51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와 모터부의 결합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테이터(510)는 상기 감속기(6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의 하우징에서 외부로 돌출된 스테이터결합부(613)에 결합되어 상기 감속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바디(51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본체바디(511)의 중심과 상기 구동축(530) 및 상기 감속기(600)의 중심이 항상 동축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터(520)는 상기 폴슈(515)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터(510)를 수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520)는 상기 구동축(530)이 상기 본체바디(511)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감속기(60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로터(520)와 상기 스테이터(510)의 간격(G1)이 항상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520)와 상기 스테이터(510)가 충돌하거나 상기 스테이터(510)에서 일시적으로 비틀어지며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소음 이나 불필요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속기(600)의 중심과 구동축(530)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1직경선(K1)과, 상기 본체바디(51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2직경선(K2)과 상기 로터(520)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3직경선(K3)이 모두 상기 감속기(600)의 회전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속기(600) 자체가 상기 구동축(530)의 회전중심이 되고, 상기 스테이터(510)가 상기 감속기(600)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축(530)이 상기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틀어지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감속기(600)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800)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800)는 베이스(8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800)의 타측에는 건조기의 작동에 필요한 구성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설치부(8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치설치부(810)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베이스(800) 상에 순환유로부(820)가 구비되었고, 베이스(800) 상에 드럼(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도 설치되었다. 구동부가 베이스(800)의 설치 공간 중 많은 부분을 차지했기 때문에, 순환유로부(820)를 제외한 베이스(800)의 공간에 형성되는 장치설치부(810)에는 공간이 협소하여 다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들이 설치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모터부(500)가 베이스(800)에서 이격되어 드럼(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모터부(500)가 설치되었던 베이스(800)의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상기 장치설치부(810)에는 열교환에 필요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93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800)는 상기 압축기(930)와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수집되는 집수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설치부(810) 상에는 압축기(930), 모터부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190)는 베이스에 설치되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박스(190)와 컨트롤박스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들을 연결하는 연결선 또한 베이스(80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다른례로, 상기 집수부(860)는 압축기(930)와 순환유로부(820)사이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압축기(930)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종래에는 모터부가 배치되던 공간에 집수부(860)가 위치될 수 있으므로 집수부(860)의 부피를 확장할 수 있다. 집수부(860)의 부피가 증가되면, 수집된 응축수를 비우는 빈도가 감소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00)의 측면에는 캐비닛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은 좌측패널(141)과 우측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190)는 상기 장치설치부(810) 상에 설치되되 상기 측면패널 중 어느 하나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190)는 의류처리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박스(190)를 점검 또는 수리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190)가 측면패널(141)에 인접하게 구비될 경우, 사용자는 측면패널(141)만 탈거하면 상기 컨트롤박스(190)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의 용이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측면패널(141)을 탈거할 경우 압축기(930), 컨트롤박스(190) 등 다양한 구성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측면패널(141)은 서비스패널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장치설치부(810)가 베이스(800)의 좌측에 위치되어 좌측패널(141)을 탈거하면 컨트롤박스(190)에 접근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순환유로부(820)가 좌측에 형성되고 장치설치부(810)가 우측에 형성된다면, 도시되지 않은 우측패널을 탈거하여 컨트롤박스 또는 압축기 등을 수리 및 점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순환유로부(820)의 상측에 위치되어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커버부(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부(830)는 순환유로부(820)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입덕트(821)와 상기 이동덕트(822)의 상면은 개방되어 개방된 상면을 통해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다. 덕트커버부(830)는 상기 이동덕트(822)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덕트커버부(830)는 상기 유입덕트(821)를 통해 드럼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유입덕트(821)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이동덕트(822)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덕트커버부(830)는 상기 유입덕트(8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덕트(823)까지 안내하는 유로의 일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823)는 상기 배출덕트(823)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부(8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8231)는 유입덕트(821)와 이동덕트(822)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덕트(823)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8231)는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팬(95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팬(950)은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켜 공기의 순환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의류의 건조 속도가 증가되어 소요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순환유로팬(950)이 회전하면, 상기 송풍부(8231)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방식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8231)에서 배출된 공기는 다시 드럼 내부로 유입되어 의류를 건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팬(950)은 다양한 형태의 팬이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시로코팬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 목적에 맞게 다양한 팬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부(830)는 유입덕트(821)의 상측에 결합되는 연통커버바디(8312)와 이동덕트(822)의 상측에 결합되는 차폐커버바디(8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는 상기 연통커버바디(8311)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는 연통커버바디(8312)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연통커버바디(8312)는 상기 드럼과 유입덕트(821)를 연통하는 유입연통홀(83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커버바디(8312)가 유입덕트(821)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유입연통홀(8314)은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덕트(821)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는 상기 이동덕트(822)의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므로, 유입덕트(82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이동덕트(822)를 통해 순환유로부(820)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배출덕트(823)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는 상면에 구비되어 물이 유동될 수 있는 세척유로부(8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유로부(833)는 물을 공급받아 상기 덕트커버부(830) 하측에 위치하는 제1열교환기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의 하류측에는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를 상하로 관통하는 커버관통홀(83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유로부(833)를 따라 이동하는 물은 커버관통홀(8313)을 통해 차폐커버바디(8311)의 하측으로 분사될 수 있다.
커버관통홀(8313)의 하부에는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하는 제1열교환기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관통홀(8313)을 통과한 물은 상기 제1열교환기를 향해 분사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를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세척유로부(833)의 상측에는 노즐커버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커버부는 세척유로부(833)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노즐커버부는 이동덕트(822)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커버관통홀(8313)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커버부는 세척유로부(833)의 상면을 차폐하여 세척유로부(833)를 따라 이동되는 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덕트(821)를 통과한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덕트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필터(미도시)는 상기 유입덕트(821)와 상기 제1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의 전면에 이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제1열교환기의 건조 효율 및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덕트필터(미도시)에 이물질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유입덕트(821) 및 이동덕트(822)를 통과하는 공기의 순환을 방해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세척유로부(833)는 상기 덕트필터(미도시)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수압에 의해 상기 덕트필터(미도시)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상기 덕트필터(미도시)가 생략되게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세척유로부(833)에 결합되어 세척유로부(833)에 세척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유로전환밸브(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급수원과 연결되어 세척유로부(833)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원은 집수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집수부(860)와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집수부(860)에 수집된 물을 세척유로부(833)에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집수부(860)에 수집된 물을 저수탱크(120, 도1 참고)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3은 상기 도 12의 베이스에서 덕트커버부와 집수커버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덕트커버부(830)의 하부에는 드럼(200) 내부의 공기와 순차적으로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기(910)와 제2열교환기(920)가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덕트(821)로 유입된 드럼(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서 열교환하며 수분이 제거되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제2열교환기(920)에서 열교환하며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된 공기는 상기 배출덕트(823)를 통과하여 다시 드럼(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제1열교환기(910)와 이동덕트(822)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는 워터커버(8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는 상기 이동덕트(822)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는 제1열교환기(9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1열교환기(9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는 상기 제1열교환기(910)를 상기 이동덕트(822)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서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습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가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배출되지 못하고 잔류할 경우 악취가 발생하거나 건조효율이 감소될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응축수를 제1열교환기(910) 또는 제2열교환기(920)와 이격된 채로 수집하고, 수집된 응축수를 배출할 필요가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는 상기 제1열교환기(910)를 이동덕트(822)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여 이동덕트(822)의 바닥면과 상기 워터커버(826)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따라 응축수가 상기 집수부(860)로 흘러갈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를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는 상기 제2열교환기(920)에서 가열되는데, 상기 제2열교환기(920)를 지나는 공기는 수분 함유량이 적고, 가열됨에 따라 포화수증기량이 증가하므로 응축수가 발생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워터커버(826)는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 인접한 하부면에 위치되고, 워터커버(826)는 제2열교환기(920)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상기 워터커버(826)의 상면의 일부만 도시되어 있으므로 상기 워터커버(826)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의 형상 및 상기 워터커버(826)에 대한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800)는 순환유로부(820)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순환유로부(820)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집수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부(860)는 응축수가 수집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집수바디(8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860)는 집수바디(862)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집수커버(8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860)의 주변에는 수분에 취약한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집수바디(862)에 수집된 응축수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 집수커버(863)는 집수바디(862)에 결합되어 응축수가 집수바디(862)의 상면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860)는 집수바디(862)의 내부에 수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가 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집수바디(862)의 내부가 충분히 밀폐되어야 한다. 상기 집수커버(863)는 상기 집수바디(862)의 내부를 밀폐시켜 펌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집수커버(863)는 집수바디(862)의 차폐면을 형성하는 집수커버바디(86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커버(863)는 상기 집수커버바디(8631)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바디(8635) 및 집수커버바디(8631)를 집수바디(862)에 결합시키도록 구비되는 체결후크(86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8635)는 집수커버바디(8631)의 둘레에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후크(8636)는 집수커버바디(8631)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후크(8636)는 상기 집수커버바디(8631)를 상기 집수바디(86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후크(8636)는 후술할 후크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862)의 내부에는 순환유로부(820)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수집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바디(862)의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응축수가 외부로 비산될 수 있다. 그런데, 집수바디(862)는 컨트롤박스(190), 압축기(930) 등과 인접하게 위치되므로, 응축수가 집수바디(862)의 외부로 비산될 경우 기계장치의 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집수커버(863)는 집수커버바디(8631)를 이용하여 집수바디(862)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여 응축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바디(8635) 및 체결후크(8636)는 상기 집수커버바디(9631)를 집수바디(86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응축수가 비산되어 장치의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커버(863)는 상기 집수커버바디(8631)를 관통하여 펌프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펌프설치부(86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집수커버(863)는 상기 집수커버바디(863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집수바디(86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는 드레인유로(86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깅 펌프설치부(8634)에는 집수바디(862)의 내부에 수집된 응축수를 집수바디(862)의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가 작동되면 상기 집수바디(862)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유로(8637)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유로(8637)에는 호스가 연결되어 배출되는 응축수를 상기 집수바디(862)의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호스의 일단은 드레인유로(8637)에 결합되고, 타단은 유로전환밸브(87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호스의 타단은 캐비닛 외부에 위치되어 응축수를 직접 캐비닛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호스의 타단은 캐비닛의 상부에 위치되는 저수탱크(120, 도 3 참고)에 연결되어 집수바디(862)에 수집된 응축수를 저수탱크(12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집수커버(863)는 드레인유로(8637)에서 이격되며 상기 집수바디(86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리턴유로(86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턴유로(8638)는 상기 집수바디(862)와 저수탱크를 연통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턴유로(8638)는 저수탱크의 물을 다시 집수바디(862)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리턴유로(8638)는 호스를 통해 캐비닛 상부에 형성되는 저수탱크(120, 도 3 참고)와 연결될 수 있다. 저수탱크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수탱크에 물이 가득찬 경우 리턴유로(8638)와 저수탱크를 연결하는 호스를 통해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다시 집수바디(862)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물을 배수하는 빈도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집수부(860)에 수집된 응축수가 이동되는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밸브(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호스를 통해 유로전환밸브(87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862)에 저장된 물은 상기 펌프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상기 이동된 물을 다양한 경로로 안내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870)는 세척유로부(833)와 연결되어 상기 물을 세척유로부(833)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로 안내된 물은 제1열교환기를 세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밸브(870)는 호스에 의해 상기 저수탱크(120)와 연결되어 집수바디(862)에서 이동된 응축수를 저수탱크(120)로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응축수가 저장된 저수탱크를 인출하여 직접 배수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상기 컨트롤박스(1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시점에 따라 달리 작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건조 사이클에서 제1열교환기(910)의 작동이 모두 끝난 경우, 상기 컨트롤박스(190)는 상기 유로전환밸브(870)가 응축수를 상기 세척유로부(833)로 안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열교환기(910)의 세척이 모두 종료된 시점에는, 상기 컨트롤박스(190)는 상기 유로전환밸브(870)가 응축수를 상기 저수탱크(120)로 안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펌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펌프가 물을 배수하는 공간 내부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커버(863)는 상기 지지바디(8635) 및 상기 체결후크(8636)를 이용하여 상기 집수바디(86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용이하게 밀폐할 수 있다. 이로써, 펌프(861)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집수커버(863)와 상기 집수바디(862)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실링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수커버(863)는 집수바디(862)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집수바디(862)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862) 내부에는 제1열교환기(91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에 포함된 린트 등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입자가 큰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상기 펌프의 작동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상기 집수바디(862)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 제거를 위해 상기 집수커버(863)를 탈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집수커버(863)는 상기 집수바디(862)에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후크(8636)를 이용하여 상기 집수커버(863)를 상기 집수바디(862)에서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 상기 지지바디(8635) 및 상기 체결후크(8636)는 상기 집수바디(862)의 개방된 상면을 견고하게 차폐하여 응축수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집수 집수바디(862)에 적층된 이물질 제거를 위해 집수커버(863)의 탈거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체결후크(8636)는 를 이용하여 집수커버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한편, 덕트커버부(830)는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커버장착후크(8391)를 포함하고, 순환유로부(820)는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커버장착후크(8391)와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덕트돌기(8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장착후크(8391)는 덕트돌기(824)에 결합되어 상기 덕트커버부(830)를 순환유로부(82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커버부(830)는 상기 유입덕트(821)와 이동덕트(822)의 둘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장착후크(8391)를 이용하여 상기 덕트돌기(824)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부(830)와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접촉면에는 실링이 추가되어 순환유로부(820)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a)은 상술한 집수커버 및 덕트커버부가 결합된 상태의 베이스를 상측에서 내려다 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b)는 상기 집수커버 및 덕트커버부가 탈거된 상태의 베이스를 상측에서 내려다 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건조기는 도면 상에서 집수부(860)가 위치되는 공간에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가 구비되어 있었다. 모터부는 풀리 또는 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조로 구비되었다. 그리고 물리적인 공간의 한계 상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집수바디는 압축기(930)와 순환유로부(820) 사이에 배치되었다. 따라서 수용 가능한 응축수의 양이 적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를 비워야 하는 빈도가 잦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술한 모터부의 배치 때문에 베이스 상에 컨트롤박스가 설치될 공간이 확보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컨트롤박스(190)는 베이스(800)에 지지되지 못하고 캐비닛의 상측에 배치되었으며, 컨트롤박스(190)의 제어가 필요한 구성과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컨트롤박스(190)와 모터부 등 다른 구성을 연결하는 제어선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의류처리장치의 노이즈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제어선이 드럼에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와 같이 모터부(500)가 베이스(800)에서 이격되어 드럼(200)의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기존 모터부(500)의 공간에 응축수를 저장하는 집수부(8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컨트롤박스(190) 또한 해당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190)는 베이스(800)에 장착됨으로써, 컨트롤박스(190)는 다른 구성들과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컨트롤박스(190)와 연결되는 제어선이 간섭되어 단선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800)는 후술할 컨트롤박스 설치부(813, 도 16참고)를 포함함으로써, 컨트롤박스(190)는 베이스(800)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베이스(800)에 상기와 같은 구성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었으므로 응축수를 저장하는 집수바디(862)의 용량을 확대시킬 수 있으며, 집수바디(862)에 더욱 많은 용량의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열교환기(910)의 세척시 더욱 많은 양의 물이 이용될 수 있으므로 세척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응축수의 양이 증가되므로 사용자가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해 저수탱크(120)를 비워야 하는 빈도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4(a)를 참고하면,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상측에는 덕트커버부(830)가 결합되고 덕트커버부(830)의 상면에는 세척유로부(833)가 형성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의 하류측에는 상기 세척유로부(833)를 유동하는 물이 제1열교환기로 분사될 수 있도록 커버관통홀(8313)이 형성될 수 있다.
현재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세척유로부(833)의 상면에는 상기 세척유로부(833)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여 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노즐커버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세척유로부(833)의 상류측 말단에는 유로전환밸브(87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상기 세척유로부(833)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로를 향해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외부급수원에서 물을 공급받아 상기 세척유로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건조행정에 서 발생한 응축수가 상기 제1열교환기(910)를 세척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862)의 상면에는 내부의 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집수커버(863)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로 물을 이동시키는 펌프(861)는 집수커버(863)를 관통하게 구비되어 집수바디(86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펌프(861)는 호스와 같은 연결관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밸브(87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상기 펌프(861)는 상기 집수바디(862)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상기 세척유로부(833)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제1열교환기(910)를 세척할 수 있다.
도 14(b)를 참고하면 상기 집수커버(863) 및 상기 덕트커버부(830)가 탈거된 상태의 베이스(800)를 확인할 수 있다. 집수바디(862)는 베이스의 상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집수커버(863)의 지지바디(8635)가 안착되는 커버지지면(862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집수바디(862)는 상기 베이스(800)의 상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집수커버(863)의 체결후크(8636)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후크홀(86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8635)는 상기 커버지지면(8625)에 안착되어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다. 또한 상기 체결후크(8636)는 상기 후크홀(8626)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후크(8636)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후크홀(8626) 내부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860)의 좌측에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컨트롤박스(19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860)의 후방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910) 및 제2열교환기(920)와 함께 열교환부(900)를 구성하며, 드럼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9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집수커버(863)는 집수바디(862)의 상면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집수바디(862) 내부에 수집된 응축수가 상기 컨트롤박스(190)나 압축기(930) 등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응축수에 의해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덕트커버부(830)가 탈거된 순환유로부(820) 내부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1열교환기(910)와 제2열교환기(920)가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의 하부에는 제1열교환기(910)를 지지하는 워터커버(826)가 구비될 수 있다. 워터커버(826)의 구체적인 설치구조 및 형상은 후술한다.
도 15는 도 14(a)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전방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우측(Y방향)에 위치되는 제1열교환기(910)의 하부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910)를 지지하는 워터커버(826)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는 이동덕트에 안착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910)를 상기 이동덕트(822)의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00)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응축된 물을 집수부(860)로 안내하는 수집안내부(8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서 드럼의 공기가 냉각될 때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순환유로부(820)의 바닥면에 함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상기 워터커버(826)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부(860)로 안내할 수 있다. 수집안내부(825)는 상기 이동덕트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응축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상기 응축수를 집수부(86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상기 수집안내부(825)와 집수부(860)를 연통하는 집수연통홀(8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를 통해 유동하는 응축수는 집수연통홀(827)을 통과하여 상기 집수바디(86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집수연통홀(827)은 집수부(860)와 마주하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일면을 관통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집안내부(825)와 상기 집수부(860)를 연통할 수 있다.
현재 도면에서는 상기 집수연통홀(827)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제로 상기 집수연통홀(827)은 도면에 도시된 단면보다 후방(-X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집수연통홀(827)은 상기 이동덕트(822)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집수연통홀(827)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집안내부(825)를 따라 유동하고 상기 집수연통홀(827)을 통과하여 상기 집수바디(86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상기 응축수가 유동하는 바닥면을 제공하는 안내바닥면(82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 상에서 응축수가 자연스럽게 집수연통홀(827)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의 좌우방향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는 제3경사각도(s3)라고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3경사각도(s3)는 상기 안내바닥면(8255)이 집수연통홀(827)에 가까워질수록 지면과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경사각도(s3)를 조절하여 응축수의 유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의 유동속도가 특정 값 이상으로 구비될 경우 응축수가 안내바닥면(8255)에 위치되는 린트나 이물질을 함께 쓸어내릴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3경사각도(s3)는 응축수가 린트 또는 이물질을 함께 쓸어내릴 수 있는 소정의 각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862)는 응축수가 수집되는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집수바닥면(8622)과, 측면을 형성하는 집수측면(86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닥면(8622)은 수집안내부(825)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집수바닥면(8622)에 수집될 있다.
상기 집수바디(862)는 응축수가 수집되는 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는 집수측면(86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측면(8623)은 상기 집수바닥면(8622)을 베이스(800)에서 함몰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닥면(8622) 또한 상기 펌프와 마주하는 부분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닥면(8622)은 펌프와 마주하는 유입면(86221)과 집수바닥면(86221)에서 집수측면(8623)을 향해 연장되는 안내면(8622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면(86221)은 편평하게 구비되고, 안내면(86222)은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면이 편평하다는 것은 상기 특정 면 상에 위치되는 액체가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집수바닥면(8622)의 중심부에는 지면과 나란한 유입면(86221)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면(86221)과 집수측면(8623)을 연결하는 안내면(86222)은 유입면(86221)에서 상기 집수측면(8623)으로 연장될수록 지면과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유입면(86221)과 상기 안내면(86222)은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유입면(86221)과 좌측으로 연장되는 안내면(86222)은 제1경사각도(s1)만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으며, 유입면(86221)과 우측으로 연장되는 안내면(86222)은 제2경사각도(s2)만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각도(s1)와 제2경사각도(s2)는 동일한 각도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집수바디(862) 내부에 수용된 물이 더욱 원활히 유동하는 특정 각도로 상기 제1경사각도(s1)와 상기 제2경사각도(s2)를 서로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경사각도(s3)는 상기 제1경사각도(s1) 및 제2경사각도(s2)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 상에서는 순환유로부(820) 상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응축수의 초기속도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경사각도(s3)가 특정 값 이상으로 구비될 경우 응축수의 이동 속도가 과도하게 증가되어 응축수가 집수연통홀(827)로 이동하지 않고 제2열교환기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응축수가 수집안내부(825)를 따라 이동하지 않고 외부로 넘칠 수 있다. 따라서, 제3경사각도(s3)는 제1경사각도(s1) 및 제2경사각도(s2)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3경사각도(s3)를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응축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수집안내부(825), 집수연통홀(827), 집수바디(862)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펌프(861)는 상기 집수바디(862)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집수커버(863)에 수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펌프설치부(8634)에 펌프(861)가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862)에 응축수가 저장되는 경우에 상기 응축수가 집수바디(862) 내부에 오랫동안 잔류하게 되면 부패될 가능성이 있고, 부패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거나 녹조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펌프(861)가 상기 집수바디(862)에 수집된 물을 최대한 배출하여 잔수를 최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861)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집수바닥면(8622)과 소정거리 이상 이격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펌프(861)를 집수바닥면(8622)과 이격시킬 경우 펌프(861)와 집수바닥면(8622) 사이에 수용되는 물은 잔류하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펌프(861)를 집수바닥면(8622)과 이격시키면서도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최소로 하기위해서는 상기 집수바닥면(8622)이 경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바닥면(8622)이 경사가 없는 평평한 바닥으로 구비될 경우 집수바닥면(8622)의 면적에 집수바닥면(8622)과 펌프(861)의 이격거리를 곱한 부피만큼 집수바디(862) 내부에 물이 잔류할 수 있다. 반면에, 집수바닥면(8622)이 유입면(86221)과 안내면(86222)으로 구비되어 경사지게 형성될 경우 유입면(86221)을 향해 물을 집중시킬 수 있으므로, 경사가 없는 경우에 비해 더욱 적은 양의 물이 잔류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면(86222)이 집수측면(8623)에서 상기 유입면(86221)으로 연장됨에 따라 지면과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집수바디(862) 내부에 잔류하는 물에 의해 악취, 녹조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를 살펴보면 상기 덕트커버부(830)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안내유로(83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내유로(8331)는 세척유로부(833)의 상류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유로(8331)에는 유로전환밸브(87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유로전환밸브(870)와 세척유로부(833)가 고무호스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것에 비해 공정을 단축할 수 있으며, 유로전환밸브(870)와 세척유로부(833)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베이스에 설치는 구성을 모두 제거한 상태의 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및 상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800)는 일측에 구비되어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부(820)와 타측에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장치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설치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00)는 순환유로부(820)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순환유로부(820)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수집되는 집수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860)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집수바디(8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862)는 상기 베이스(800)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이 저장되는 집수바디(862)의 저수면을 형성하는 집수바닥면(8622)은 상기 장치설치부(810)에서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862)의 측벽을 형성하는 집수측면(8623)은 집수바닥면(8622)을 베이스(800)에서 함몰되게 연결할 수 있다.
집수바닥면(8622)은 상기 펌프(861)와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되며, 지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유입면(86221) 및 유입면(86221)에서 집수측면(8623)을 향해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안내면(86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면(86222)에 의해 상기 집수바디(862)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는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86222)을 이용하여 회전유동이 발생하므로, 응축수에 혼합되어 있던 린트 등의 이물질은 원심력에 의해 유입면(86221)까지 이동하지 못하고 집수측면(8623)에 가깝게 퇴적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들은 유입면(86221)에 도달할 경우 펌프(861)에 유입되어 펌프(861)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면(86222)은 상술한 응축수의 유동을 발생시켜 이물질이 펌프(861)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집수부(860)에서 상기 순환유로부(820)와 멀어지는 방향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00)는 상기 컨트롤박스(19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컨트롤박스 설치부(8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는 장치설치부(810)에서 하측으로 함몰되게 구비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190)는 컨트롤박스 설치부(813)에 구비되는 홈에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베이스(8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190)와 접촉되는 베이스 상의 일면을 모두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는 컨트롤박스(190)와 마주하는 상기 장치설치부(810)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800)에 설치된 상기 컨트롤박스(190)를 상측에서 상기 베이스(800)로 투영시킬 때, 상기 베이스(800)에 나타나는 상기 컨트롤박스(190)의 투영면을 컨트롤박스 설치부(813)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860)는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와 순환유로부(8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는 상기 집수부(860)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860)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집수부(860)가 상기 순환유로부(820)와 컨트롤박스 설치부(813) 사이에 배치될 경우, 상기 순환유로부(82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상기 베이스(800)의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190)는 과도한 습기에 노출될 경우 오류가 발생되거나, 정상적인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박스 설치부(813)를 습증기가 이동되록 구비되는 순환유로부(820)와 이격되개 배치하여 컨트롤박스(190)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순환유로부(820)와 컨트롤박스 설치부(813) 사이에 상기 집수부(860)를 배치하여, 상기 컨트롤박스(19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는 상기 수집안내부(825)와 적어도 일부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는 상기 집수연통홀(827)과 적어도 일부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가 상기 수집안내부(825) 또는 집수연통홀(827)과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경우 상기 집수연통홀(827)에 연결되어 물을 수집하는 집수부(86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860)에 인접하게 설치될 경우, 펌프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190)는 제어선을 통해 펌프와 연결되어 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박스(190)와 상기 펌프(861)를 연결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즉, 컨트롤박스(19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돌기는 컨트롤박스 설치부(813)에 구비되는 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컨트롤박스(190)를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집수측면(8623)의 둘레에는 집수커버가 결합될 수 있도록 커버지지면(8625)과 후크홀(8626)이 형성될 수 있다. 집수커버와 집수바디의 결합구조는 도 13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압축기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축기 설치부(8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설치부(810)는 압축기 설치부(8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상기 집수커버(863)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상기 집수커버(863)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압축기 설치부(811)는 장치설치부에서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압축기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상기 집수부(860)와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종래의 건조기는 베이스(800)에 모터부가 설치되었기 때문에 베이스(800) 상의 공간이 협소하였다. 따라서, 집수부(860)는 압축기 설치부(811)와 순환유로부(820) 사이에 구비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압축기 설치부(811)와 순환유로부(820)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집수바디가 수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충분하지 않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모터부(500)가 상기 드럼의 후방에 설치되기 때문에 모터부가 차지하던 베이스(800) 상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860)가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와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집수바디(862)의 부피가 확대되어 더욱 많은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응축수를 비우는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상기 제2열교환기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2열교환기로 공급되어 순환유로부(820)를 가열할 수 있다. 압축기 설치부(811)가 제2열교환기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되면 양 구성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어, 압축기에서 제2열교환기를 이동되는 냉매에서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860)는 상기 제1열교환기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응축수는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부(860)가 상기 제1열교환기(910)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되면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이동하는 유동하는 유로를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잔류하는 물에 의해 악취, 녹조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상기 집수부(86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압축기는 작동 중에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를 후방에 배치할 경우 사용자에게 압축기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압축기 설치부(811)를 후방에 배치하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집수부(860) 가 전방에 위치되는 경우 집수부(860)와 제1열교환기 사이의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를 세척할 때 집수바디(862)에 수집된 응축수를 사용할 수 있는데, 제1열교환기와 집수부(860)의 거리가 가까워질 경우 양 구성을 연결하는 호스의 길이를 단축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822)는 제2열교환기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바닥면(8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닥면(8221)은 상기 제2열교환기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00)는 상기 제1열교환기와 마주하는 상기 순환유로부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응축수를 상기 집수부(860)로 안내하는 수집안내부(8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상기 수집안내부(825)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상부에 설치되는 제1열교환기(91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하부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집수부(860)를 향해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는 상기 제1열교환기(910)가 설치되는 지점의 하측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910)와 상기 제2열교환기(920)의 사이에 위치되는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상기 이동바닥면(822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응축수가 유입덕트(821)를 향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함몰단차(82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단차(8251)는 유입덕트(821)와 이동덕트(822)의 바닥면을 단차지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함몰단차(8251)는 상기 수집안내부(825)의 전방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단차(8251)는 유입덕트(821)를 따라 연장되는 바닥면의 높이가 급격히 낮아지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함몰단차(825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응축수가 제2열교환기(920)를 향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연장단차(8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단차(8252)는 상기 제1열교환기(910)와 제2열교환기(92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단차(8252)는 이동덕트(822)의 바닥면 높이가 단차지게 증가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단차(8252)는 내부를 유동하는 응축수가 자연스럽게 집수부(860)를 향해 한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연통홀(827)은 상기 순환유로부(820)와 상기 집수부(860)를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집수연통홀(827)은 수집안내부(825)를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를 집수바디(862)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집수연통홀(827)은 순환유로부(820)와 집수바디(862)를 공간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수연통홀(827)은 제2열교환기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집수연통홀(866)이 제2열교환기의 전방에 위치될 경우 수집안내부(825)를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는 제2열교환기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는 제2열교환기와 이격된 채로 집수부(860)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수가 제2열교환기(920)에 의해 다시 가열되어 기화됨으로써 제2열교환기(920)의 열교환 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건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연장단차(8252)는 상기 수집안내부(825)를 따라 이동하는 물이 집수연통홀(827)을 향해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단차(8252)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연장단차(8252)는 상기 집수연통홀(827)에 가깝게 구비될수록 상기 함몰단차(8251)와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단차(8252)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내용이나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응축수가 이동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안내바닥면(82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함몰단차(8251)와 연장단차(825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상기 유입덕트(821)의 바닥면 보다 지면에서 이격되는 거리가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바닥면(8255) 상에서 이동하는 응축수는 유입덕트(821)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응축수가 제2열교환기(920)쪽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격벽(82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격벽(8256)은 안내바닥면(8255)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을 유동하는 응축수가 순환유로부(820)를 순환하는 공기의 풍량에 의해 제2열교환기(920) 쪽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열교환기는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응축수가 제2열교환기 쪽으로 넘치게 되면 응축수 또한 제2열교환기에 의해 가열되어 기화될 수 있다. 하지만, 제2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는 가열되어 드럼에 공급되며, 의류를 건조하는 데에 이용되어야 하므로 응축수가 기화하여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가 상승할 경우 건조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드럼에 공급될 공기를 가열해야 하는 제2열교환기가 응축수와 열교환하게 되므로 열교환 효율 또한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안내격벽(8256)은 상기 연장단차(8252)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격벽(8256)은 연장단차(8252)가 수행하는 응축수의 넘침 방지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안내격벽(8256)은 연장단차(8252)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안내바닥면(8255)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응축수의 넘침 방지를 보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장단차(8252)에 가깝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안내격벽(8256) 및 연장단차(8252)에 의해 응축수가 수집안내부(825)의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의 열교환 효율 또는 의류 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안내격벽(8256)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격벽(8256)은 상기 연장단차(8252)와 함께 수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면에는 후술할 상기 워터커버(826)의 커버격벽(8657, 도20 참조) 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버격벽(8657)은 상기 안내격벽(8256)과 상기 연장단차(8252) 사이의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워터커버(826)를 수집안내부(825)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부(86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집수바디(862)와 상기 수집안내부(825) 사이에는 이동덕트(822)의 측벽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덕트(822)의 측벽 하부에는 상기 수집안내부(825)와 상기 집수바디(862)를 연통하는 집수연통홀(827)이 상기 이동덕트(822)의 측벽을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응축수가 자중에 의해 상기 집수연통홀(827)을 향해 유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s3, s4, 도 15 및 도 18참조)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함몰단차(8251)에서부터 연장단차(8252)방향으로 갈수록 지면에서 이격되는 높이가 낮아지도록 전후방향 구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으로는 집수부(860)에 근접할수록 지면에서 이격되는 높이가 감소되도록 좌우방향 구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상기 집수연통홀(827)의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가장 낮고 집수연통홀(827)에서 멀어질수록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높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안내바닥면(8255)이 구배를 갖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도면에 나타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자연스럽게 집수연통홀(827)쪽으로 이동될 것으로 상기 안내바닥면(8255)에 물이 잔류하여 발생되는 악취, 건조효율 감소와 같은 다양한 문제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수바디(862)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과 집수연통홀(827)을 연결하는 연결유로(86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8621)는 집수바닥면(8622)에서 상측으로 단차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8621)는 집수연통홀(827)을 통과한 응축수가 집수바디(862)의 둘레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8621)는 상기 집수바닥면(8622)의 둘레방향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유로(8621)는 상기 집수바닥면(8622)과 집수연통홀(827)을 단차지게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유로(8621)는 집수연통홀(827)과 집수바닥면(8622)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로(8621)는 펌프가 작동할 때, 집수바디(862)에 저장된 응축수가 수집안내부(82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유로(8621)는 펌프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단차지게 구비되어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상기 집수연통홀(827)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 설치부(811)가 상기 집수연통홀(827)의 후방에 설치되므로 상기 수집안내부(825)와 상기 집수부(860)의 거리를 좁힐 수 있다. 따라서, 수집안내부(825)와 집수부(860) 사이에 응축수가 잔류하여 악취, 녹조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860)가 유입덕트(821)와 압축기 설치부(811)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응축수가 발생되는 이동덕트(822)와 집수부(860) 사이의 이격거리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응축수가 발생되는 지점과 응축수를 저장하는 집수부(860)를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응축수가 잔류함으로써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상기 이동덕트(822)에서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집수부(860)에서 상기 이동덕트(82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822)는 의류처리장치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집수부(860)가 이동덕트(822)에서 너비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가 상기 집수부(860)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경우 상기 베이스(800) 상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출덕트(823)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823)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가 상기 배출덕트(823)와 좌우방향으로 중첩될 경우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 또한 상기 베이스(800)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의 전방에 형성되는 공간에 집수부(86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집수바디(862)가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이 확대되므로, 더욱 많은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프론트플레이트(410, 도3 참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수부(860)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베이스(800)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상기 베이스(800)의 후방측에 위치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집수부(860)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압축기 설치부(811) 사이에 위치될 경우 집수바디(862)의 응축수 수용 용량이 확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캐비닛(100)은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41, 도10 참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상기 측면패널(140)과 상기 순환유로부(8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패널(140)과 상기 집수부(860)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부(500)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트롤박스(19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상기 베이스(800) 상에 모터부(500)가 설치되었으므로 컨트롤박스(190)가 설치될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서, 상기 컨트롤박스(190)는 캐비닛(100)의 상측에 위치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모터부가 베이스(800)에서 이격되어 드럼(200)의 후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베이스에 컨트롤박스(190)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박스(190)와 압축기(930), 모터부(500) 등을 연결하는 전선을 베이스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중에 전선등이 다른 구성에 의해 간섭되어 단선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되, 상기 드럼과 상기 모터부(50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리어플레이트(420, 도 8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상기 집수부(86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부(500)와 연결되며, 상기 모터부(500)에서 발생한 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감속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감속기(600)에 고정되되,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됨으로써, 상술한 내용과 같이 상기 집수부(860)가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와 전후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집수바디(862)에 수용될 수 있는 응축수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가 상기 집수부(86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집수바디(862)에 수용될 수 있는 응축수의 양이 증가될 수 있는 효과도 발생한다.
한편,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 는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와 적어도 일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는 상기 압축기 설치부(81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와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경우, 베이스(800) 상의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930)는 상기 컨트롤박스(190)와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박스(190)와 압축기(930)를 연결하는 제어선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고, 노이즈가 감소되어 제어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 설치부(813)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와 상기 측면패널(141, 도10 참고)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는 상기 집수부(860)와 상기 측면패널(14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박스(190, 도10 참고)는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에서 상기 측면패널(141)과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190)는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패널(141)과 접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가 상기 순환유로부(820)와 상기 측면패널(141) 사이에 위치될 경우, 상기 베이스 상의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되어 공관 활용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가 상기 집수바디(862)와 상기 측면패널 사이에 위치될 경우, 상기 집수부(860)와 상기 측면패널(141) 사이에 형성되는 매우 협소한 공간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 활용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190)는 얇은 두께를 갖는 PCB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컨트롤박스(190)가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에서 상기 측면패널(141)과 나란하게 설치될 경우 상기 집수바디(862)와 상기 측면패널(141)에 위치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190)가 상기 측면패널(141)에 접촉될 경우 상기 컨트롤박스(190)는 측면패널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에 의해 상기 컨트롤박스(190)가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수집안내부(825)에는 수집안내부(825)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며, 제1열교환기(910)를 상기 안내바닥면(8255)에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워터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 또한 상기 안내바닥면(8255)에서 이격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수집안내부(825)의 전방 좌우측에는 상기 워터커버가 지지될 수 있는 유입지지면(82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지지면(8253)은 이동덕트(822)의 측벽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커버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의 후방에는 워터커버를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이동지지면(82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지지면은 상기 후방격벽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워터커버(826)의 두께를 고려해서 제2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이동덕트(822)의 바닥면에서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는 상기 유입지지면(8253)과 이동지지면(8254)에 의해 전후방에서 지지될 수 있으며, 제1열교환기(910)를 상기 안내바닥면(8255)에서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유입지지면(8253) 및 이동지지면(8254)에 결합되는 워터커버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종래의 건조기는 구동부가 차지하는 공간에 의해 이동덕트의 너비는 베이스의 너비의 절반보다 작게 구비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구동부를 드럼의 후방에 위치시키고, 구동부가 차지하던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이동하는 이동덕트의 너비를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덕트의 너비(W1)는 상기 베이스의 너비(W2)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이동덕트의 너비(W1)는 베이스(80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이동덕트(822)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동덕트의 너비(W1)는 측벽 사이의 이격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동덕트의 너비(W1)는 이동덕트(822)의 양측에 구비되는 측벽의 두께를 포함하는 너비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이동덕트의 너비(W1)는 이동덕트(822)의 우측벽의 외측면과 좌측벽의 외측면 사이의 최대 이격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의 너비(W2)는 베이스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동덕트의 너비(W1)가 확장되기 때문에, 단위 시간동안 이동덕트(82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빠른 속도로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이동덕트의 너비(W1)가 확장됨에 따라, 이동덕트에 설치되는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의 너비 또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제1열교환기에서 더욱 빠르게 제습되고, 제2열교환기에서 더욱 빠르게 가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동덕트의 너비(W1)가 베이스 너비의 절반(W2/2)보다 크게 구비됨으로써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의 너비도 증가될 수 있으며, 더욱 많은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드럼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시간이 단축되고, 건조 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이동덕트의 너비(W1)는 프론트플레이트의 너비(W3, 도3 참고)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덕트의 너비(W1)는 드럼의 직경(W4, 도3 참고)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가 상기 베이스에서 이격되어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이동덕트의 너비(W1)는 프론트플레이트의 너비(W3)의 절반 또는 드럼의 직경(W4)의 절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동덕트의 너비(W1)가 증가되므로 순환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고 의류를 건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건조기에 있어서 이동덕트는 구동부가 차지하는 공간 때문에, 이동덕트의 너비를 확장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동덕트는 드럼의 회전중심과 높이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상기 모터부가 베이스에서 이격되어 후방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이동덕트(822)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M1, 도3 참조)과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822)가 드럼의 회전중심과 높이방향으로 중첩되므로써, 상기 이동덕트(822)의 너비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시간동안 이동덕트(82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빠른 속도로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이동덕트(822)와 드럼의 회전중심이 높이방향으로 중첩되므로 상기 순환유로부(8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드럼의 회전중심에 가깝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드럼의 회전중심에 가깝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드럼의 회전중심에서 멀게 배출되는 것에 비하여,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되는 열풍이 드럼(200)에 더욱 골고루 공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열교환기(910, 도 13 참조) 또는 제2열교환기(920, 도 14 참조)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과 높이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덕트(822)가 드럼의 회전중심(M1)과 높이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되면, 이동덕트(822)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열교환기(910) 또는 제2열교환기(920)도 드럼의 회전중심(M1)과 높이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910) 또는 제2열교환기(920)의 너비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단위시간당 제습 또는 가열할 수 있는 공기의 양이 증가될 수 다. 따라서, 건조시간이 단축되고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D-D의 단면을 우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덕트(822)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응축수를 집수부(860)로 안내하는 안내바닥면(82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전방면을 형성하는 함몰단차(82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덕트(821)의 바닥면과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함몰단차(825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822)의 바닥면 중 하측으로 함몰되게 구비되어 응축수가 이동하는 부분은 안내바닥면(8255)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상기 함몰단차(825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제2열교환기(920)와 마주하는 이동덕트(822)의 바닥면과 단차지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이동바닥면(8221)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후방면을 형성하는 연장단차(8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연장단차(8252)에 의해 이동바닥면(8221)과 단차지게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상기 유입덕트(821)의 바닥면 및 이동바닥면(8221)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바닥면(8255), 상기 유입덕트(821)의 바닥면 및 이동바닥면(8221) 중 안내바닥면(8255)이 지면에 가장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단차(8252)는 상기 함몰단차(8251)와 함께 상기 수집안내부(825)에서 응축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부(860)로 안내하는 수집안내부(825)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상기 이동덕트(822)의 측벽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상기 순환유로부(820)와 집수부(860)를 연통하는 집수연통홀(8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연통홀(827)은 함몰단차(8251)와 연장단차(825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단차(8251)와 연장단차(8252)의 사이에는 안내바닥면(8255)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바닥면(8255)을 유동하는 응축수가 제2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지점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격벽(825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격벽(8256)은 상기 연장단차(8252)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수집안내부(825)를 통해 유동하는 응축수는 상기 안내격벽(8256)에 의해 일차적으로 제2열교환기쪽으로 넘치는 것이 방지되며, 연장단차(8252)에 의해 넘치는 것이 또 한번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잇듯이 함몰단차(8251)에서 연장단차(8252)쪽으로 연장될수록 지면과 이격되는 거리가 감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집수연통홀(827)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응축수가 자중에 의해 상기 집수연통홀(827)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이 지면과 형성하는 전후방향 경사를 제4경사각도(s4)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연장단차(8252)의 상단에는 상기 제2열교환기(920)와 마주하는 이동덕트(822)의 바닥면에서 단차지게 연결되는 이동지지면(82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지지면(8254)은 상기 수집안내부(825)의 상측에 결합되는 워터커버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7의 C-C의 단면을 전방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의 일측에는 순환유로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순환유로부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수집되는 집수부(8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860)와 순환유로부(820)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집수연통홀(827)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862)는 집수바닥면(8622)과 집수연통홀(827)을 연결하는 연결유로(86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822)의 바닥면에는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부(860)로 안내하는 수집안내부(8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안내바닥면(8255)은 응축수가 자중에 의해 집수연통홀(827)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를 갖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상기 집수연통홀(827)에 가까워질수록 지면과의 이격거리가 줄어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상기 집수연통홀(827)에서 멀어질 경우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도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집수연통홀(827)에 가까워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배에 의해 상기 안내바닥면(8255) 상의 응축수는 자연스럽게 상기 집수연통홀(827)으로 이동하고, 집수연통홀(827)을 통과한 응축수는 상기 집수바디(86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이 지면과 이루는 경사 중, 수집안내부(825)에서 집수바디(862)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루는 경사는 제5경사각도(s5)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안내바닥면(8255)이 지면과 너비방향으로 이루는 경사는 제5경사각도(s5)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8에서 정의된 상기 안내바닥면(8255)의 전후방향 경사인 제4경사각도(s4)와 상기 제5경사각도(s5)는 안내바닥면(8255) 상에서 이동하는 응축수가 안내바닥면(8255) 특정 위치에 정체되지 않고 집수연통홀(827)을 향해 유동할 수 있는 각도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5경사각도(s5)는 제4경사각도(s4)와 동일한 크기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제4경사각도(s4)보다 크거나 작은 각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상기 집수연통홀(827)을 통해 상기 연결유로(8621)와 나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8621)는 상기 집수바디(862)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집수바닥면(8622)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단차지게 구비되어 상기 안내바닥면(825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8621)는 상기 안내바닥면(8255)과 같이 지면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로(8621)와 지면의 경사각도는 제5경사각도(s5)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안내바닥면(8255)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집수연통홀(827)을 통해 상기 연결유로(8621)까지 하나의 면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집수바닥면(8622)은 상기 하나의 면에서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닥면(8622)은 상기 안내바닥면(8255)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로(8621)는 집수측면(8623)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연결유로(8621)는 집수측면(8623)과 집수연통홀(82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유로(8621)는 집수연통홀(827)을 통해 유입된 응축수가 집수측면(8623)을 따라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8621)는 상기 집수연통홀(827)을 통과한 응축수가 곧바로 집수바닥면(8622)으로 낙하되지 않고, 연결유로(8621)의 상면를 통과하며 집수바디의 둘레를 따라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8621)의 상부를 지나면서 상기 집수바디(862)의 둘레방향 속도가 가속될 경우 상기 응축수는 상기 집수바디(862)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가 회전하며 유동할 경우 상기 응축수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린트가 자연스럽게 측면에 퇴적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이 펌프가 설치되는 중심부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회전유동에 의해 측면에 퇴적됨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펌프의 작동에 오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펌프가 작동할 경우 상기 집수바디(862)에 저장된 응축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집수연통홀(827)로 이동될 수 있는데, 상기 연결유로(8621)는 집수바닥면(8622)과 단차지게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가 집수연통홀(827)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유로(8621)는 집수연통홀(827)을 통해 집수바디(862)로 유입되는 응축수가 집수측면(8623)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면서, 집수바디(862)에 저장된 응축수가 집수연통홀(827)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4(a)의 B-B를 따라 절단단 면을 우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도 18의 베이스에 제1열교환기, 제2열교환기, 워터커버, 덕트커버부, 압축기 등의 구성이 설치된 것이므로, 도 20을 볼 때, 도 14, 도 15 및 도 18을 참고할 수 있다. 이하, 도 20에서 추가된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제1열교환기를 순환유로부의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워터커버가 제2열교환기의 하측에 위치되어 제2열교환기도 지지하도록 구비되었다. 따라서,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제2열교환기로 이동하거나, 제2열교환기와 접촉되는 경우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응축수가 다시 기화하여 다시 드럼 내부로 유입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의류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수분 함량이 낮게 유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열교환부의 열 교환 효율을 감소시키고 의류처리장치 전체의 건조 효율을 낮추는 문제가 있었다.
도 20을 참고하면, 제1열교환기(910)의 하부에 워터커버(826)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는 상기 워터커버(826)에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는 수집안내부(825)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집안내부(825)를 통해 이동하는 응축수가 상기 제1열교환기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커버(826)는 제2열교환기와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는 제1열교환기(910)는 지지하되, 제2열교환기(920)와는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응축수가 제2열교환기(920) 근처에서 다시 기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응축수는 효과적으로 집수부(860)에 수집될 수 있으며, 제2열교환기(920)는 응축수와 열교환하는 것이 방지되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열교환기(920)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됨에 따라 의류처리장치 전체의 건조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는 상기 수집안내부(825)에 형성되는 유입지지면(8253) 또는 이동지지면(8254)에 지지되어 상기 안내바닥면(8255)에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의 차폐바디(8263)는 상기 연장단차(8252)의 상측에 형성되는 이동지지면(825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는 상기 제1열교환기(910)의 하측에 접촉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상기 수집안내부(825)로 안내하는 투수바디(8261) 및 투수바디(826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집안내부(825)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차폐바디(82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수바디(8261)는 상기 투수바디(8261)에서 상기 제1열교환기(9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리브(82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리브(8264)는 상기 유입덕트(82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910)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수집안내부(825)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리브(8264)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차단리브(8264)는 서로 이격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격벽(8256)과 상기 연장단차(8252) 사이에는 상기 차폐바디(826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커버격벽(8267)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격벽(8267)은 상기 이동덕트(822)를 통과하는 순환 공기의 풍량에 의해 상기 수집안내부(825) 상에서 이동하는 응축수가 상기 수집안내부(825)를 이탈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920) 측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격벽(8267)은 전방에 위치되는 안내격벽(8256), 후방에 위치되는 연장단차(8252)와 함께 상기 응축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덕트의 너비(W1, 도 17 참조)가 베이스의 너비(W2, 도 17 참조)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게 확장될 수 있으므로, 내부에 설치되는 제1열교환기(910)와 제2열교환기(920)의 너비도 확장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의 너비가 확장됨에 따라, 순환유로부(8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더욱 넓은 면적에서 제습되거나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열교환기(910)와 제2열교환기(920)의 전후방향 폭이 소폭 축소되더라도 종래의 열교환기에 비교했을 때, 동일하거나 더욱 많은 양의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920)의 전후방향 폭이 감소됨에 따라,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 사이의 이격거리(L3)는 상기 제2열교환기의 전후방향 폭(L2)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의 너비(W1)가 확장됨에 따라, 상기 제2열교환기(920)의 너비가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제2열교환기(920)의 너비가 확장됨에 따라, 제2열교환기(920)의 전후방향 폭이 축소되어 제1열교환기(910)와 제2열교환기(920) 사이의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와 제2열교환기(920) 사이의 이격 공간이 늘어나므로,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제2열교환기(92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열교환기(920)에 응축수가 접촉될 경우, 제2열교환기(920)는 응축수와 열교환 하게되어 열교환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열교환기(910)와 제2열교환기(920) 사이의 공간이 확장됨에 따라, 제2열교환기(920)의 열교환 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열교환기(920)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비된다. 공기를 가열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므로 제2열교환기(920)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것은 건조기 전체의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부분에 해당된다.
그런데 상기 제2열교환기(920)가 공기를 제외한 다른 구성에 접촉되는 면적이 늘어날수록, 공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되어야 할 열량이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열교환기(920)는 다른 구성에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920)는 이동덕트(822)에 설치될 때, 하면이 이동덕트(822)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열교환기(920)의 하면의 면적을 축소시킬 경우 열전도에 의해 제2열교환기(920)의 열량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열교환기의 전후방향 폭(L2)은 상기 제1열교환기의 전후방향 폭(L1)보다 작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제2열교환기(920)의 하면으로부터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열교환기의 전후방향 폭(L2)이 축소될 경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 사이의 이격거리(L3)가 증가되어 응축수가 제2열교환기(920)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팬의 직경(H3)은 제2열교환기의 높이(H2)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822)의 너비가 증가되어 순환유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팬(950)은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어 공기가 순환하는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커버를 상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커버를 하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상기 워터커버(826)는 제1열교환기(910)를 지지하며 제1열교환기(910)에서 응축된 물이 워터커버를 통과하여 수집안내부(825)로 안내되도록 구비되는 투수바디(8261)와 상기 투수바디(8261)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집안내부(825)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차폐바디(8263) 및 상기 투수바디(8261)와 상기 차폐바디(8263)를 연결하는 연결바디(8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수바디(8261)의 상면에는 제1열교환기(910)가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수바디(8261)를 관통하게 구비되는 투수홀(82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수홀(8265)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하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수홀(8265)은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투수바디(8261)를 통과하여 상기 수집안내부(825)로 안내될 수 있도록 연통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투수바디(8261)의 측면에는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투수바디(8261)를 상기 안내바닥면(8255)에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리브(826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8266)는 상기 투수바디의 좌우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16과 도 17을 함께 참고하면, 상기 지지리브(8266)는 수집안내부(825)의 측면에 구비되는 유입지지면(825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8263)의 후방측은 상기 수집안내부(825)의 이동지지면(825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는 상기 유입지지면(8253)에 지지리브(8266)가 지지되고 상기 이동지지면(8254)에 차폐바디(8263)가 지지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의 하중을 견디며 상기 제1열교환기를 상기 수집안내부(825)에서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22를 참고하면, 상기 워터커버(826)는 투수바디(8261)의 하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차단리브(8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리브(8264)는 안내바닥면(8255)과 투수바디(8261)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행정의 진행 중에, 드럼의 전방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에서 제습되고, 제2열교환기에서 가열되여 다시 드럼의 후방으로 공급된다. 열교환 효율 및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가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가 설치되는 공간만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이동덕트의 바닥면에는 응축수를 집수바디로 안내하기 위해 수집안내부(825)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의 전방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 아래에 위치되는 수집안내부(825)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배출된 공기가 수집안내부(825)로 유입될 경우 해당 공기는 제1열교환기(910)와 충분히 열교환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제습 정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경우 열 교환효율의 감소에 의해 건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열교환기(910)가 지지되는 투수바디(8261)와 안내바닥면(8255)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수바디(826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차단리브(8264)는 상술한 투수바디(8261)와 안내바닥면(8255)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으로 공기가 과도하게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리브(8264)는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리브(8264)는 안내바닥면(8255)에서 이동하는 응축수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안내바닥면(8255)과 소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차단리브(8264)는 투수바디(8261)와 안내바닥면(825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일정 부분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순환되는 공기가 수집안내부(825)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8263)는 하면에서 돌출되어 연장되는 커버격벽(826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격벽은 상기 수집안내부(825)의 연장단차(8252)의 형상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단차(8252)가 함몰단차(8251)와 나란하게 구비될 경우 상기 커버격벽(8267)은 상기 연장단차(8252)와 나란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연장단차(8252)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함몰단차(8251)와 가까워지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커버격벽(8267) 또한 상기 연장단차와 동일하게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투수바디(8261)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가 상기 수집안내부(825)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에 커버격벽(8267)은 상기 연장단차(825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격벽(8267)은 상기 연장단차(8252)와 상기 안내격벽(825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격벽(8267)은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경우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풍량에 의해 상기 수집안내부(825) 내부에 있는 응축수가 제2열교환기(920) 쪽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 내부에 위치되는 응축수는 상기 이동덕트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내격벽(8256), 커버격벽(8267), 연장단차(8252)에 의해 상기 응축수가 상기 수집안내부(825) 밖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920)가 있는 곳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리브(8264)는 형성 위치에 따라 상기 투수바디(826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리브(8264)는 상기 수집안내부(825) 상에서 응축수가 유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워터커버(826)와 안내바닥면(8255)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집수연통홀(827)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차단리브(8264)가 상기 투수바디(8261)에서 연장되는 길이가 모두 동일할 경우 상기 집수연통홀(827)에 인접할수록 상기 안내바닥면(8255)과 차단리브(8264)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이격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열교환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리브(8264)는 상기 집수연통홀(827)에 가깝게 구비될수록 상기 투수바디(8261)에서 연장되는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도면 상에서는 우측(y축 "??*)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연장길이가 증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차단리브(8264)가 구비되는 경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차단리브(8264)의 연장길이는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전방에 위치되는 것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차단리브(8264)는 상기 차단리브(8264)의 단부와 마주하는 안내바닥면(8255)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리브(8264)가 안내바닥면(8255)의 경사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드럼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가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고 수집안내부(825)로 유입되어 열교환 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베이스 상에서 압축기가 집수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상측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F-F 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을 우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도 23의 E-E 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을 전방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도 14를 참고하여 이해할 수 있으며, 도 24는 도 15를, 도 25는 도 20을 참고하여 이해할 수 있다. 변경된 구성을 제외하면, 압축기가 후방에 위치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하, 압축기 설치부와 집수부의 배치관계가 변경되는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23을 참고하면, 베이스(800)의 일측에는 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부(820)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순환유로부(820)와 이격되어 압축기(930)가 장착되는 압축기 설치부(811)와 집수부(8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상기 집수부(860)와 적어도 일부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860)의는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860)가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집수부(860)가 수용할 수 있는 응축수의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응축수를 배수하는 빈도를 감소시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930)는 과열되었을 시에 압축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압축기(930)를 적절히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제2열교환기(920)는 드럼의 공기를 가열시키는 구성이므로 상기 압축기(930)가 상기 제2열교환기(920)에 인접하게 배치되면 압축기(930)의 냉각에 불리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가 집수부(860)의 전방에 배치될 경우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가 집수부(86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압축기(930)와 제2열교환기(920)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930)의 냉각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압축기(930)의 냉각 효율이 증가되면, 상기 압축기(930)의 압축 효율이 증가되고, 제2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또한 증가되어 의류처리장치의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드럼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821)와, 드럼을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덕트(823) 그리고 상기 유입덕트(821)와 배출덕트(823)를 연결하는 이동덕트(8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822)의 내부에는 제1열교환기(910)와 제2열교환기(9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와 제2열교환기(920)는 드럼의 공기와 순차적으로 열교환하여 드럼의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할 수있다.
상기 집수부(860)는 상기 제2열교환기(920)와 적어도 일부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열교환기(910)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수 있다.
상기 집수부(860)가 제2열교환기(920)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가 상기 제1열교환기(910)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면, 상술한 것처럼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와 상기 제2열교환기(920)의 이격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가 상기 제1열교환기(910)와 중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집수부(860)가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설치될 경우 상기 집수부(860)는 상기 베이스(800)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860)가 상기 베이스(800)의 후방측에 위치될 경우 상기 집수부(860)에 저장된 응축수를 사용자가 제거할 수 있도록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도 3 참조)와 집수부(860)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상기 저수탱크와 상기 집수부(860)를 연결하는 유로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부로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의 소비전력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탁기 같은 의류처리장치는 보통 물을 직접 배수할 수 있는 공간(예를들면 보일러실, 화장실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세탁에 사용된 물을 별도로 배수시키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상기 세탁기와 같이 물을 직접 배수할 수 있는 공간에 설치될 경우, 상기 펌프(861)를 이용하여 집수부(860)에서 바로 캐비닛(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집수부(860)에서 캐비닛 외부로 물을 직접 배수하는 경우에도, 집수부(860)가 캐비닛의 후방면에 인접하게 위치된다면, 펌프(861)가 소비하는 전력이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수부(860)는 배출덕트(823)와 적어도 일부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 설치부(811)는 유입덕트(821)와 적어도 일부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823)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유입덕트(821)는 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집수부(860)가 배출덕트(823)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고, 압축기 설치부(811)가 유입덕트(821)가 유입덕트(821)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면,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와 집수부(860)는 압축기 설치부(811)는 베이스(80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집수부(860)는 베이스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의 냉각 효율이 증가하여 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펌프(861)의 소비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860)는 상기 컨트롤박스 설치부(813)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집수부(860)가 컨트롤박스 설치부(813)와 중첩되게 배치될 경우, 펌프와 연결되는 제어선의 길이가 단축되어 제어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압축기 설치부(811)에 설치되는 압축기(930)에서 많은 열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박스는 과도한 열을 받을 경우 노이즈가 발생하여 신뢰성이 하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 설치부(811)는 컨트롤박스 설치부(81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930)와 컨트롤박스(190)를 이격시켜 컨트롤박스의 신뢰성이 하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860)는 압축기 설치부(811)와 리어플레이트(420, 도 5 참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860)가 압축기 설치부(811)와 리어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될 경우, 압축기 설치부(811), 집수부(860) 그리고 리어플레이트(420)가 전후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 설치부(811)는 베이스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고, 집수부(860)는 베이스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압축기의 냉각 효율이 증가될 수 있고, 펌프가 소비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4를 참고하면, 베이스(800)는 제1열교환기(910)에서 응축된 물을 집수부(860)로 안내하는 수집안내부(8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수집안내부(825)와 집수부(860)를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집수연통홀(8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압축기 설치부(811)와 좌우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연통홀(827)은 압축기 설치부(81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수집안내부(825)는 이동덕트(822)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제1열교환기(910)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안내하는 안내바닥면(82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상기 유입덕트(821)의 바닥면과 상기 이동바닥면(8221)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수집안내부(825)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함몰단차(8251)와 후방면을 형성하는 연장단차(8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단차(8251)는 상기 유입덕트(821)와 안내바닥면(8255)을 단차지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장단차(8252)는 이동덕트(822)의 바닥면과 상기 안내바닥면(8255)을과 단차지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집수연통홀(827)은 제2열교환기(92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집수연통홀(827)이 제2열교환기(920)의 하부에 위치되면, 집수연통홀(827)이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수집안내부(825)의 전후방향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수가 집수부(860)에 도달하는데 까지 이동하는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많은 양의 응축수를 수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응축수를 배수하는 빈도가 감소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안내부(825)는 집수연통홀(827)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바닥면(8225)은 집수연통홀(827)에 가깝게 구비될수록 지면과 이격거리가 감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에 의해 상기 수집안내부(825)를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집수연통홀(827)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는 집수연통홀(827)을 따라 이동할 때 제2열교환기의 하부를 통과할 수 있다.
도 25를 참고하면, 상기 집수연통홀(827)은 상기 제2열교환기(920)의 하부에서 상기 수집안내부(825)와 집수부(860)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집수연통홀(827)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바닥면(8255)은 상기 집수연통홀(827)에 가깝게 구비될수록 지면과 이격되는 거리가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집안내부(825)의 개방된 상면에는 워터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워터커버는 수집안내부(825)를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가 제1열교환기 또는 제2열교환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안내부(825)의 후방 단부를 형성하는 연장단차(8252)는 상기 제2열교환기(9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단차(8252)가 제2열교환기 하부에 위치되므로, 함몰단차에서 연장단차(8252)까지 연장되는 수집안내부(825)의 공간이 확장되어 더욱 많은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다.
집수바디(862)는 응축수가 수집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집수바닥면(8622)과 측면을 형성하는 집수측면(86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측면(8623)은 상기 집수바닥면(8622)을 베이스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단차지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862)의 개방된 상측에는 집수커버(863)가 결합되어 집수바디(862)에 수집된 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집수커버(863)를 관통하게 설치되어 상기 집수바디(862)의 내부에 수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펌프(8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집수부(860)가 압축기의 후방에 위치될 경우 수집안내부(825)도 확장되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더욱 많은 양의 응축수를 내부에 수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응축수를 배수하는 빈도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0: 캐비닛 110: 전면패널
111: 개구부 117: 조작패널 118: 입력부
119: 표시부 120: 저수탱크 130: 도어
140: 측면패널 141: 좌측패널 142: 우측패널
190: 컨트롤박스 200: 드럼 210: 드럼바디
211: 투입구 220: 드럼배면 221: 둘레부
222: 장착판 224: 흡입홀 225: 보강리브
227: 원주리브 300: 부싱부 310: 부싱판
400: 지지부 410: 프론트플레이트 411: 프론트패널
412: 투입연통홀 413: 전방가스켓 414: 저수탱크지지홀
415: 지지휠 416: 덕트연결부 417: 덕트연통홀
420: 리어플레이트 421: 리어패널 423: 덕트부
4231: 유동부 4233: 유입부 425: 장착부
430: 리어커버 450: 실링부 451: 제1실링
452: 제2실링 500: 모터부 510: 스테이터
520: 로터 530: 구동축 540: 와셔부
600: 감속기 610: 제1하우징 620: 제2하우징
630: 기어박스 660: 제1베어링 670: 제2베어링
680: 체결부 700: 브라켓 800: 베이스
810: 장치설치부 811: 압축기 설치부 812: 스팀발생기 설치부
813: 컨트롤박스 설치부 820: 순환유로부 821: 유입덕트
822: 이동덕트 823: 배출덕트 8231: 송풍부
824: 덕트돌기 825: 수집안내부 8251: 함몰단차
8252: 연장단차 8253: 유입지지면 8254: 이동지지면
8255: 안내바닥면 8256: 안내격벽 826: 워터커버
8261: 투수바디 8262: 연결바디 8263: 차폐바디
8264: 차단리브 8265: 투수홀 8266: 지지리브
8267: 커버격벅 827: 집수연통홀 830: 덕트커버부
831: 덕트커버바디 8311: 차폐커버바디 8312: 연통커버바디
8313: 커버관통홀 8314: 유입연통홀 832: 덕트커버연장부
833: 세척유로부 850: 커넥터 860: 집수부
861: 펌프 862: 집수바디 8621: 연결유로
8622: 집수바닥면 86221: 유입면 86222: 안내면
8623: 집수측면 8626: 후크홀 8627: 커버지지면
863: 집수커버 8631: 집수커버바디 8634: 펌프설치부
8635: 지지바디 8636: 체결후크 8637: 드레인유로
8638: 리턴유로 8639: 집수커버가이드 870: 유로전환밸브
900: 열교환부 910: 제1열교환기 920: 제2열교환기
930: 압축기 950: 순환유로팬 951: 순환유로팬모터
s1: 제1경사각도 s2: 제2경사각도 s3: 제3경사각도
s4: 제4경사각도 s5: 제5경사각도

Claims (15)

  1.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의 공기가 순환되거나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응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및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어 상기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 또는 상기 제2열교환기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이동덕트를 포함하는 순환유로부; 및
    상기 순환유로부에서 너비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가 설치되는 장치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는 상기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장치설치부에서 분리 및 이격되고,
    상기 이동덕트의 너비는 상기 베이스의 너비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투입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과 상기 드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드럼의 전방면을 지지하며, 상기 드럼의 전방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순환유로부로 안내하는 프론트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덕트의 너비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너비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덕트의 너비는 상기 드럼의 직경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열교환기의 전후방향 폭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교환기의 전후방향 폭은 상기 제1열교환기의 전후방향 폭보다 작거나 같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의 후방에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열교환기와 상기 순환유로팬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팬의 직경은 상기 제2열교환기의 높이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순환유로부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순환유로부와 연통하여 상기 순환유로부에서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집수부; 및
    상기 제1열교환기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덕트의 바닥면에 함몰되게 구비되어 상기 응축된 물을 상기 집수부로 안내하는 수집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안내부는 상기 집수부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덕트의 일면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집안내부와 상기 집수부를 연통하는 집수연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수연통홀은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되, 상기 드럼과 상기 모터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순환유로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리어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드럼과 상기 모터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모터부에서 제공된 회전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감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감속기에 고정되되, 상기 리어플레이트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덕트의 너비는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너비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의 공기가 순환되거나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응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및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어 상기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 또는 상기 제2열교환기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이동덕트를 포함하는 순환유로부; 및
    상기 순환유로부에서 너비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가 설치되는 장치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는 상기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장치설치부에서 분리 및 이격되고,
    상기 이동덕트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과 높이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 또는 상기 제2열교환기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과 높이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17582A 2021-02-08 2021-02-08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582A KR20220114282A (ko) 2021-02-08 2021-02-08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582A KR20220114282A (ko) 2021-02-08 2021-02-0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282A true KR20220114282A (ko) 2022-08-17

Family

ID=8311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582A KR20220114282A (ko) 2021-02-08 2021-02-0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42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426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7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7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7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5540A (ko) 의류처리장치
CN114908539B (zh) 衣物处理装置
CN114908537B (zh)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KR20230124653A (ko) 의류처리장치
EP4227458A1 (en)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US20220251766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25176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25176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11427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1101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31407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