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3074A - 광정보 기록방법 및 장치 그리고 광정보 기록 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광정보 기록방법 및 장치 그리고 광정보 기록 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3074A
KR20010083074A KR1020007014852A KR20007014852A KR20010083074A KR 20010083074 A KR20010083074 A KR 20010083074A KR 1020007014852 A KR1020007014852 A KR 1020007014852A KR 20007014852 A KR20007014852 A KR 20007014852A KR 20010083074 A KR20010083074 A KR 20010083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ifference
intensity
information
reflect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6189B1 (ko
Inventor
네기시아키라
수나가와류이치
Original Assignee
가와다 미쓰구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다 미쓰구,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다 미쓰구
Publication of KR20010083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1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13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for discrete information, i.e. where each information unit is stored in a distinct discrete location, e.g. digital information formats within a data block or sec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Methods and circuits for servo offset compen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13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for discrete information, i.e. where each information unit is stored in a distinct discrete location, e.g. digital information formats within a data block or sector
    • G11B2007/0133Details of discrete information structures, e.g. shape or dimensions of pits, prep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광정보 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이 기울어져도 레이저광 사출방향을 일정하게 하여 정보기록을 실행할 수 있는 광정보 기록방법 및 그 장치 그리고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OPC 실행시에, 기록강도와 어심미터리와의 관계식(기준식), 차분 광강도값과 기록강도와의 관계식(제1 검출식), 차분 광강도값과 반사 광량비와의 차분과 기록강도와의 관계식(제2 검출식), 반사 광량비와 기록강도와의 관계식(제3 검출식), 최적의 어심미터리가 얻어지는 차분 광강도값 및 기록강도 그리고 반사 광량비 등을 구하여 보존하며, 실제의 정보기록시에 이들 관계식들을 사용하여 항상 최적의 어심미터리가 얻어지도록 기록강도를 보정함으로써 레이저광의 사출방향을 보정하지 않고 정보기록면의 경사에 따라 생기는 단위면적당 조사광량의 감소분에 대한 보정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광정보 기록방법 및 장치 그리고 광정보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ed medium where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control program is recorded}
이전부터 광정보 기록매체, 예를 들면, 추기형 광 디스크(CD-R) 등의 광 디스크에 대용량의 정보를 기록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2∼6배속 혹은 더욱 빠른 기록속도로 정보를 기록하는 기술이 일반에 보급되고 있다.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할 때에는, 기록대상의 정보를 디지털화한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회전하고 있는 광 디스크에 대하여 광 픽업에서 펄스모양의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피트를 형성하고 있다.
기록대상의 정보를 디지털화한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여 광 디스크 상에 피트를 형성할 때는,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의 하이 레벨 기간에 광 디스크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강도를 고강도로 제어하고 이 레이저광 에너지로 기록층의 상태를 변화시켜 피트를 형성하고 있다. 또, 로우 레벨의 기간에는 트랙킹의 실행을 위해 필요한 낮은 광 강도의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있다.
또한, 광 디스크는 디스크의 휨과 변형에 의해 디스크 상의 정보기록면에 경사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정보기록면의 경사는, 일정한 것이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며, 광 디스크의 내주에서 외주로 나아가면서 서서히 커진다. 여기에서, 광 디스크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평면에 대한 정보기록면의 경사 각도()를 일반적으로 틸트각도라고 칭하고 있다.
정보기록면에 경사가 생기지 않은 경우에는, 광 픽업에서 정보기록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피트를 형성한다.
그러나, 레이저광의 사출방향을 일정하게 할 경우, 정보기록면에 경사가 생기면 레이저광의 스포트가 휘어져 정보기록면의 단위 면적당 조사광량이 감소하므로 피트의 크기가 작아져 버려 정보 재생시에 지터(jitter)가 악화된다.
이 때문에, 광 디스크의 정보기록면의 경사(틸트각도)를 검출하여, 틸트각도에 의거하여 광 픽업을 기울려서, 레이저광의 사출방향이 광 디스크의 정보기록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제어하는 틸트 서보제어가 채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의 틸트 서보제어에 덧붙여, 레이저광 스포트의 포커스 제어 및 레이저광 스포트가 그루브에 추종하도록 트래킹 제어 등의 서보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최적의 피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광 픽업을 틸트각도(θ)에 따라 기울이는 기구는 복잡하여 장치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틸트 보정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기록을 적정(적정β)으로 하는 방법으로는, 「광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의 강도 캘리버레이션 방법」(일본국 특개평8-147701호)에 개시된 것처럼 외주에서도 기록 레이저광 강도 최적화(OPC:Optimum Power Control, 이하 OPC라 칭한다)를 실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OPC에 시간이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β는 어심미터리를 나타내며, 다음의 (A) 또는 (B)식에 의해 표시된다.
β= (A1+A2)/(A1-A2) … (A)
β= [(Ⅰ 14H+I 14L)-(I 3H+I 3L)]/[2(I 14H-I 14L)] … (B)
여기에서, A1은 CD-R의 길이가 11T 펄스의 톱 레벨, A2는 길이가 11T의 보텀 레벨의 값이다.
또한, I 14H는, DVD-R의 길이가 14T 펄스의 톱 레벨, I 14L은 길이가 14T 펄스의 보텀 레벨, I 3H는 길이가 3T 펄스의 톱 레벨, I 3L은 길이가 3T 펄스의 보텀레벨의 값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광정보 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에 경사 등이 생겨도 레이저광 조사방향을 일정하게 하여 정보기록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광정보 기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정보 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에 경사 등이 생겨 있어도 레이저광 사출방향을 일정하게 하여 정보기록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광정보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방법은, 피트 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불형성 기간을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고,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전술의 피트 형성기간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광정보 기록방법에 있어서,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기록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기록강도마다 어심미터리를 검출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와 상기 기록강도와의 제1 관계를 구하고,
다음으로 상기 기록강도를 소정의 기록강도로 고정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레이저광의 공간적 위치관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기록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공간적 위치관계마다 어심미터리 및 상이한 길이의 피트에 관한 반사 광량비를 검출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와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제2 관계를 구하며,
다시, 상기 제1 관계와 상기 제2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제3 관계를 구하는 동시에,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반사 광량비를 구하며,
실제의 정보기록에 있어서는, 상기 반사 광량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3 관계에 의거하여 이 검출한 반사 광량비에 대응하는 기록강도를 구하여, 이 검출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최적의 반사 광량비의 차분이 영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 이루어지는 기록이란, 소위 OPC에서의 시험입력으로 불리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 시험입력을 두 차례로 나누어 실행하며, 첫번째의 시험입력에서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입력을 실행함으로써, 어심미터리와 기록강도와의 제1 관계를 구하며, 두번째의 시험입력에서는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한 레이저광의 공간적 위치관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입력을 실행함으로써, 어심미터리와 반사 광량비와의 제2 관계를 구하며, 첫번째의 시험입력에서 구한 상기 제1 관계와 두번째의 시험입력에서 구한 상기 제2 관계로부터 기록강도와 반사 광량비와의 제3 관계를 구함으로써, 실제의 기록에서 반사 광량비에 의거하는 기록강도의 보정을 실행함으로써, 광정보 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에 생긴 경사 등에 대한 최적의 보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레이저 제어부를 제어하여 레이저 강도를 소정 스텝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실현이 가능하며, 또한 공간적 위치관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광정보 기록장치의 포커스, 트래킹, 틸트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서보계 오프세트를 소정 스탭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반사 광량비는, 예를 들면,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충분히 큰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에 대한 이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의 비로 검출되는 것으로, 이 반사 광량비에는 광정보 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에 생긴 경사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반사 광량비를 사용함으로써 광정보 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에 경사 등이 생겨도 기록강도의 제어만으로 최적의 보정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어심미터리라는 것은, 상술한 식(A) 또는 (B)로 산출되는 값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방법은, 피트 형성시기를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고,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 형성기간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광정보 기록방법에 있어서,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는 기록 레이저광 강도 최적화 처리에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1 기록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기록강도를 고정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레이저광의 공간적 위치관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2 기록을 실행하며,
상기 제1 기록에서, 상기 기록강도마다 상기 기록강도에 주로 의존하는 제1 정보 및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공간적 위치관계에 의존하는 제2 정보 및 어심미터리를 검출하여,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1 정보와의 제1 관계,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2 정보와의 제2 관계,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로부터 최적의 어심미터리가 얻어지는 최적의 기록강도를 구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관계 및 상기 제2 관계로부터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제1 정보 및 최적의 제2 정보를 기억하며,
상기 제2 기록에서, 상기 공간적 위치관계에 주로 의존하는 제3 정보 및 어심미터리를 검출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제3 정보의 관계를 기억하며,
상기 제1 기억에서 기억한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와 상기 제2 기록에서 기억한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제2 정보의 관계로부터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3 정보와의 제3 관계를 구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이 제3 관계로부터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제3 정보를 기억하며,
실제의 정보기억에서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를 검출하여, 이 검출한 제1 정보와 상기 최적의 제1 정보와의 제1 차분, 제2 정보와 최적의 제2 정보와의 제2 차분, 제3 정보와 최적의 제3 정보와의 제3 차분을 구하며,
상기 제3 차분이 0이고 제1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1 정보와 상기 제1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1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며,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고, 상기 제1 차분이 0인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3 정보와 상기 제3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3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며,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며 또한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니며, 상기 제2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2 정보와 상기 제2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2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도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킨 첫번째 시험입력과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한 레이저광의 공간적 위치관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킨 두번째 시험입력에 대하여 두차례의 시험입력을 실행한다.
단, 본 발명에서는, 광정보 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에 생긴 경사 등에 대응하는 기록강도의 적정화뿐만 아니라, 광정보 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에 생긴 경사 등에 의존하지 않는 재생신호의 최적화에도 대응하는 기록강도의 적정화가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첫번째의 시험입력에서 기록강도에 주로 의존하는 제1의 정보, 기록강도와 공간적 위치관계에 의존하는 제2 정보, 어심미터리를 검출하며, 두번째의 시험입력에서 공간적 위치관계에 주로 의존하는 제3의 정보 및 어심미터리를 검출하며, 첫번째의 시험입력에서는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로부터 최적의 기록강도를 구하는 동시에, 기록강도에 대한 제1 정보와의 제1 관계 및 기록강도에 대한 제2 정보와의 제2 관계로부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제1 정보 및 최적의 제2 정보를 기억하며, 두번째의 시험입력에서는, 첫번째의 시험입력에서 구한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와 두번째의 시험입력에서 구한 어심미터리에 대한 제2 정보의 관계로부터 기록강도에 대한 제3 정보와의 제3 관계를 구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이 제3 관계로부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제3 정보를 기억한다.
그리고, 실제의 정보기록에서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를 검출하여, 제3 정보와 최적의 제3 정보와의 제3 차분이 0이고 제1 정보와 최적의 제1 정보와의 제1의 차분이 영이 아닌 경우에는, 기록강도에 주로 의존하는 기록강도의 적정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검출한 제1 정보와 제1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제1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정보를 보정한다.
또한, 제3 차분가 0이 아니고 제1 차분이 0인 경우에는 광정보 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에 생긴 경사 등에 대응하는 기록강도의 적정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검출한 제3 정보와 제3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제3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한다.
또한, 제3 차분이 0이 아니며 또한 제1 차분이 0이 아니며 또한 제2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기록강도에 주로 의존하는 기록강도의 적정화와 광정보 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에 생긴 경사 등에 대응하는 기록강도의 적정화 등 둘 다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검출한 제2 정보와 상기 제2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2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한다.
여기에서, 제1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의 선단부에서의 반사광 강도의 극대값과 후단부의 반사광 강도의 평균값과의 차이로 이루어지는 차분 광강도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2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차로 이루어지는 차분 검출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3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반사 광량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방법은, 피트 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고,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 형성기간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광정보 기록방법에서,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는 기록 레이저광 강도 최적화 처리에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에서,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의 선단부에서의 반사광 강도의 극대값과 후단부의 반사광 강도의 평균값과의 차이로 이루어지는 차분 광강도값 및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에 대한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의 비로 이루어지는 반사 광량비 및 어심미터리를 상기 기록강도에 대응하여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차이를 차분 검출값으로 산출하는 제2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에서 검출한 차분 광강도값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차분 광강도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3의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차분 검출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4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에서 검출한 어심미터리에 의거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와 상기 기록강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준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5 스텝과,
상기 제5 스텝에서 기억한 기준식에 의거하여, 최적의 어심미터리가 얻어지는 최적의 기록강도를 구하여 기억하는 제6 스텝과,
상기 제6 스텝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와 상기 제1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차분 광강도값을 최적의 차분 광강도값으로 기억하는 제7 스텝과,
상기 제6 스텝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와 상기 제2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차분 검출값을 최적의 기준화 차분 검출값으로 기억하는 제8 스텝과,
상기 기록강도를 상기 제6 스텝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로 고정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광 픽업의 포커스, 틸트, 트래킹 가운데 적어도 한개의 서보계 오프세트를 소정 스텝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9 스텝과,
상기 제9 스텝에서, 상기 오프세트마다 상기 반사 광량비 및 어심미터리를 검출하는 제10 스텝과,
상기 제10 스텝에서 검출한 상기 반사 광량비 및 어심미터리에 의거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반사 광량비의 관계식을 구하는 제11 스텝과,
상기 제11 스텝에서 구한 관계식과 상기 제5 스텝에서 구한 기준식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3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12 스텝과,
상기 제6 스텝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와 상기 제3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반사 광량비를 최적의 반사 광량비로서 기억하는 제13 스텝과,
실제의 정보기억에서는, 상기 차분 광강도값 및 상기 반사 광량비를 검출하는 동시에, 차분 검출값을 산출하는 제14 스텝과,
상기 제14 스텝에서 검출한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최적의 차분 광강도값과의 제1 차분을 산출하는 제15 스텝과,
상기 제14 스텝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과 상기 최적의 기준화 차분 검출값과의 제2 차분을 산출하는 제16 스텝과,
상기 제14 스텝에서 검출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최적의 반사 광량비와의 제3 차분을 산출하는 제17 스텝과,
상기 제3 차분이 영이고 상기 제1 차분이 영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14 스텝에서 검출한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제1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1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 18 스텝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고 상기 제1 차분이 0인 경우에는, 상기 제14 스텝에서 검출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제3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3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19 스텝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며 또한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니며 상기 제2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14 스텝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과 상기 제2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2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20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검출식 내지 제3 검출식은 각각 1차함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장치는, 피트 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며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 형성기간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광정보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동시에 이 광정보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수광신호를 출력하는 광 픽업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제어하는 레이저 제어수단과,
상기 광 픽업 포커스, 트래킹, 틸트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서보 제어수단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에 대한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의 비를 반사 광량비로 검출하는 반사 광량비 검출수단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 의거하여 이 수광신호의 어심미터리를 검출하는 어심미터리 검출수단과,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 상기 레이저 제어수단을 제어 및 상기 서보 제어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제1 기록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기록강도마다 어심미터리 검출수단에서부터 어심미터리를 검출하여 이 어심미터리와 상기 기록강도와의 제1 관계를 구하며, 다음으로 상기 기록강도를 소정의 기록강도로 고정하여 상기 광 픽업의 포커스, 틸트, 트래킹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오프세트를 소정 스텝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제2 기록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오프세트마다 어심미터리 검출수단에서부터 어심미터리 및 반사 광량비 검출수단에서부터 반사 광량비를 검출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와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제2 관계를 구하며, 다시 상기 제1 관계와 상기 제2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제3의 관계를 구하는 동시에,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반사 광량비를 구하는 제1 제어수단과,
실제의 정보기록에서, 상기 반사 광량비 검출수단에서부터 반사 광량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3 관계에 의거하여 이 검출한 반사 광량비에 대응하는 기록강도를 구하여, 이 검출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최적의 반사 광량비의 차분이 영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2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은, 광정보 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에 생긴 경사 등에 대한 최적의 보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장치는, 피트 형성시기를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시기를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고,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 형성기간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동시에 이 광정보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수광신호를 출력하는 광 픽업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제어하는 레이저 제어수단과,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레이저광의 공간적 위치관계를 제어하는 서보 제어수단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에 주로 의존하는 제1 정보 및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공간적 위치관계에 의존하는 제2 정보 및 상기 공간적 위치관계에 주로 의존하는 제3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검출수단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 의거하여 이 수광신호의 어심미터리를 검출하는 어심미터리 검출신호와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는 기록 레이저광 강도 최적화 처리에서, 상기 레이저 제어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테이타를 기록하는 제1 기록을 실행하는 제1 기록 제어수단과,
상기 레이저 제어수단 및 상기 서보 제어수단을 제어함으로서 상기 기록강도를 고정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레이저광의 공간적 위치관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2 기록을 실행하는 제2 기록 제어수단과,
상기 제1 기록에 있어, 상기 기록강도마다 상기 정보검출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어심미터리 검출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어심미터리를 취득하여,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1 정보와의 제1 관계,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2 정보와의 제2 관계,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를 기억하는 제1 기억수단과,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로부터 최적의 어심미터리가 얻어지는 최적의 기록강도를 구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관계 및 상기 제2 관계로부터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제1 정보 및 최적의 제2 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수단과,
상기 제2 기록에서, 상기 정보검출장치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제3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어심미터리 검출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어심미터리를 취득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제3 정보의 관계를 기억하는 제3 기억장치와,
상기 제1 기록에서 기억한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와 상기 제2 기록에서 기억한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제2 정보의 관계로부터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3 정보와의 제3 관계를 구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이 제3 관계로부터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제3 정보를 기억하는 제4 기억수단과,
실제의 정보기록에서, 상기 정보검출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를 검출하여, 이 검출한 제1 정보와 상기 제1 정보와의 제1 차분, 제2 정보와 최적의 제2 정보와의 제2 차분, 제3 정보와 최적의 제3 정보와의 제3 차분을 구하여, 상기 제3 차분이 0이고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1 정보와 상기 제1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1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며,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고 상기 제1 차분이 0인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3 정보와 상기 제3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3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며,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며 또한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니며 상기 제2 차분이 0이아닌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2 정보와 상기 제2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2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보정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장치는, 피트 형성시기를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탈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광 스포트를 조사하며,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 형성기간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동시에 이 광정보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수광신호를 출력하는 광 픽업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제어하는 레이저 제어수단과, 상기 광 픽업의 포커스, 트래킹, 틸트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서보 제어수단과, 상기 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선단부에서의 반사광 강도 극대값과 후단부의 반사광 강도 평균값과의 차이로 이루어지는 차분 광강도값을 검출하는 차분 광강도 검출수단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에 대한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의 비를 반사 광량비로 검출하는 반사 광량비 검출수단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 의거하여 이 수광신호의 어심미터리를 검출하는 어심미터리 검출수단과,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는 기록 레이저광 강도 최적화 처리에서 상기 레이저 제어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1 기록 제어수단과, 상기 제1 기록 제어수단에 의한 기록에서 상기 기록강도에 대응하여 상기 차분 광강도값 검출수단에서부터 상기 차분 광강도값을, 상기 반사 광량비 검출수단에서부터 상기 반사 광량비를, 어심미터리 검출수단에서부터 어심미터리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차이를 차분 검출값으로 산출하는 제1 취득수단과,
상기 제1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상기 차분 광강도값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과 상기 차분 광강도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1 처리수단과, 상기 제1 취득수단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과 상기 차분 검출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2 처리수단과, 상기 제1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어심미터리에 의거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와 상기 기록강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준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3 처리수단과, 상기 제3 처리수단에서 기억한 기준식에 의거하여 최적의 어심미터리가 얻어지는 최적의 기록강도를 구하여 기억하는 제4 처리수단과, 상기 제4 처리수단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과 상기 제1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차분 광강도값을 최적의 차분 광강도값으로 기억하는 제5 처리수단과, 상기 제4 처리수단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과 상기 제2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차분 검출값을 최적의 기준화 차분 검출값으로 기억하는 제6 처리수단과, 상기 레이저 제어수단 및 상기 서보 제어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강도를 상기 제4 기억수단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에 고정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광 픽업의 포커스, 틸트, 트래킹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서보계 오프세트를 소정 스텝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제어수단과, 상기 제2 기록 제어수단에 의한 기록에 있어, 상기 오프세트마다 상기 반사 광량비 검출수단에서부터 상기 반사 광량비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어심미터리 검출수단으로부터 어심미터리를 취득하는 제2 취득수단과, 상기 제2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상기 반사 광량비 및 어심미터리에 의거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반사 광량비의 관계식을 구하는 제7 처리수단과, 상기 제7 처리수단에서 구한 관계식과 상기 제3 처리수단에서 구한 기준식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과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3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8 처리수단과, 상기 제4 처리수단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과 상기 제3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반사 광량비를 최적의 반사 광량비로 기억하는 제9 처리수단과, 실제의 정보기록에 있어 상기 차분 광강도값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차분 광강도값을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반사 광량비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반사 광량비를 취득하며 다시 상기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차이를 차분 검출값으로 산출하는 제3 취득수단과, 상기 제3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최적의 차분 광강도값과의 제1 차분을 산출하는 제10 처리수단과, 상기 제3 취득수단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과 상기 최적의 기준화 차분 검출값과의 제2 차분을 산출하는 제11 처리수단과, 상기 제3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최적의 반사 광량비와의 제3 차분을 산출하는 제12 처리수단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고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3취득수단에서 취득한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제1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1 차분이 차분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1 보정수단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고 상기 제1 차분이 0인 경우에는 상기 제3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제3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3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2 보정수단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고 또한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니고 상기 제2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3 취득수단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과 상기 제2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2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3 보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피트 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고,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 형성기간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광정보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며,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기록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기록강도마다 어심미터리를 검출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와 상기 기록강도와의 제1 관계식을 구하며, 다음으로, 상기 기록강도를 소정 기록강도로 고정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레이저광의 공간적 위치관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기록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공간적 위치관계마다 어심미터리 및 상이한 길이의 피트에 관한 반사 광량비를 검출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와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제2 관계를 구하며, 다음으로, 상기 제1 관계와 상기 제2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제3 관계를 구하는 동시에,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반사 광량비를 구하며, 실제의 정보기록에서는 상기 반사 광량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3 관계에 의거하여 이 검출한 반사 광량비에 대응하는 기록강도를 구하여, 이 검출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최적의 반사 광량비의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피트 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고,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 형성기간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광정보 기록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며,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 실행되는 기록 레이저광 강도 최적화 처리에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1 기록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기록강도를 고정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레이저광의 공간적 위치관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2 기록를 실행하며, 상기 제1 기록에서, 상기 기록강도마다 상기 기록강도에 주로 의존하는 제1 정보 및 상기 기록강도과 상기 공간적 위치관계에 의존하는 제2 정보 및 어심미터리를 검출하여,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1 정보와의 제1 관계,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2 정보와의 제2 관계,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로부터 최적의 어심미터리가 얻어지는 최적의 기록강도를 구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관계 및 상기 제2 관계로부터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제1 정보 및 최적의 제2 정보를 기억하며, 상기 제2 기록에서는 상기 공간적 위치관계에 주로 의존하는 제3 정보 및 어심미터리를 검출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제3 정보의 관계를 기억하며, 상기 제1 기록에서 기억한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와 상기 제2 기록에서 기억한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제2 정보의 관계로부터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3 정보과의 제3 관계를 구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이 제3 관계로부터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제3 정보를 기억하며, 실제의 정보기록에서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를 검출하여, 이 검출한 제1 정보와 상기 최적의 제1 정보와의 제1 차분, 제2 정보와 최적의 제2 정보와의 제2 차분, 제3 정보와 최적의 제3 정보와의 제3 차분을 구하며, 상기 제3 차분이 0이고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1 정보와 상기 제1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1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며,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고 상기 제1 차분이 0인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3 정보와 상기 제3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3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며,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며 또한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니며, 상기 제2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2 정보와 상기 제2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2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피트 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여,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 형성기간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광정보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며,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는 기록 레이저광 강도 최적화 처리에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에서,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의 선단부에서의 반사광 강도의 극대값과 후단부의 반사광 강도의 평균값과의 차이로 이루어지는 차분 광강도값 및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에 대한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의 비로 이루어지는 반사 광량비 및 어심미터리를 상기 기록강도에 대응해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차이를 차분 검출값으로 산출하는 제2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에서 검출한 차분 광강도값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차분 광강도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3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차분 검출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4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에서 검출한 어심미터리에 의거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와 상기 기록강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준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5 스텝과, 상기 제5 스텝에서 기억한 기준식에 의거하여 최적의 어심미터리가 얻어지는 최적의 기록강도를구하여 기억하는 제6 스텝과, 상기 제6 스텝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와 상기 제1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차분 광강도값을 최적의 광강도값으로 기억하는 제7 스텝과, 상기 제6 스텝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와 상기 제2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차분 검출값을 최적의 기준화 차분 검출값으로 기억하는 제8 스텝과, 상기 기록강도를 상기 제6 스텝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로 고정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광 픽업의 포커스, 틸트, 트래킹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서보계 오프세트를 소정 스텝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9 스텝과, 상기 제9 스텝에서 상기 오프세트마다 상기 반사 광량비 및 어심미터리를 검출하는 제10 스텝과, 상기 제10 스텝에서 검출한 상기 반사 광량비 및 어심미터리에 의거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반사 광량비의 관계식을 구하는 제11 스텝과, 상기 제11 스텝에서 구한 관계식과 상기 제5 스텝에서 구한 기준식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과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3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12 스텝과, 상기 제6 스텝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와 상기 제3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반사 광량비를 최적의 반사 광량비로 기억하는 제13 스텝과, 실제의 정보기록에서는, 상기 차분 광강도값 및 상기 반사 광량비를 검출하는 동시에, 차분 검출값을 산출하는 제14 스텝과, 상기 제14 스텝에서 검출한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최적의 차분 광강도값과의 제1 차분을 산출하는 제15 스텝과, 상기 제14 스텝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과 상기 최적의 기준화 차분 검출값과의 제2 차분을 산출하는 제16 스텝과, 상기 제14 스텝에서 검출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최적의 반사 광량비와의 제3 차분을 검출하는 제17 스텝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고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14 스텝에서 검출한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제1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1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18 스텝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고 상기 제1 차분이 0인 경우에는 상기 제14 스텝에서 검출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제3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3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19 스텝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며 또한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니며 상기 제2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14 스텝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과 상기 제2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2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20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정보 기록방법 및 장치 그리고 광정보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광정보 기록장치를 나타내는 전기계 회로의 블록도이다.
제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광정보 기록장치의 기록강도편차 검출부를 나타내는 전기계 회로의 블록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반사 광량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차분 광강도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레이저 스포트 지름과 피트 길이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레이저 스포트 지름과 피트 길이와의 관계를 아이패턴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기록강도의 보정에 관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기록강도의 보정에 관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기록강도의 보정에 관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기록강도의 보정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기록강도의 보정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기록강도의 보정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기록강도의 보정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기록강도의 보정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광정보 기록장치를 나타내는 주요 전기계 회로의 블록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추기형의 광정보 기록매체로서, 주지의 DVD-R을 대상으로 한 장치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추기형 광 디스크로서 주지의 CD-R을 사용한 장치구성도 대략 동일하다.
제1도에서 10은 추기형 광 디스크, 20은 광정보 기록장치이다. 광정보 기록장치(20)는, 디스크 회전모터(21), 모터구동 제어회로(22), 광 픽업(23), 레이저 제어부(24), 서보 제어부(25), 기록강도편차 검출부(26), 어심미터리 검출부(27), 및 시스템 콘트롤러(28) 등을 구비하고 있다.
광 디스크(10)에는, 그 기록영역(기록트랙)에 미리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다. 이 그루브의 기복 혹은 홈쪽에 형성된 랜드피트(land pit)로부터 디스크 회전 제어신호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디스크 회전모터(21)는, 모터구동 제어회로(22)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압에 의해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구동된다. 모터구동 제어회로(22)는 시스템 콘트롤러(28)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신호에 의거하여 디스크 회전모터(21)로 구동전압을 공급한다. 광 픽업(23)은, 레이저 다이오드(LD)(231), 주지의 4분할 광 디텍터(PD)(232), 및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대물렌즈 액튜에이터 등을 구비하고 있다. 다시, 광 픽업(23)은, 예를 들면, 주지의 리니어 모터 방식에 의한 픽업보내기 기구에 의해 광 디스크(10)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있다.
레이저 제어부(24)는 기록대상이 되는 정보에 대응한 디지털 신호를 입력하며, 시스템 콘트롤러(28)로부터 지정된 스트래티지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이 디지털 신호로부터 광 펄스(light pulse)를 생성한다. 다시, 이 광 펄스에 동기하여 시스템 콘트롤러(28)로부터 지정된 레이저광 강도에 대응하는 크기의 구동전류를 레이저 다이오드(231)로 공급한다. 이로써, 레이저 다이오드(231)는, 시스템 콘트롤러(28)가 지정한 강도의 레이저광을 사출한다. 서보 제어부(25)는, 포커스 제어부(251), 트래킹 제어부(252), 및 틸트 제어부(253) 등으로 이루어지며, 시스템 콘트롤러(28)로부터의 명령에 의거하여 광 픽업(23)의 대물렌즈 액츄에이터 및 픽업 보내기 기구의 동작제어를 실행한다. 기록강도편차 검출부(26)는 제2도에 나타내듯이 3T 검출회로(261), 14T 검출회로(262), 반사광량 검출회로(263)(264), 제산회로(265), 피크 검출회로(266), 샘플홀드회로(267) 및 제산회로(268)로 구성되어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DVD-R은, 매체의 기록층에 길이가 3T∼11T 및 14T의 피트를 형성함으로써 정보기록을 실행하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기록편차 검출부(26)에서는, 광 디스크(10)에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스포트 지름보다도 작은 길이의 피트인 길이가 3T의 피트(이하, 간단히 3T 피트라 칭한다) 및 스포트 지름이상의 길이의 피트인 길이가 14T의 피트(이하, 간단히 14T라 칭한다)를 사용하여 반사 광량비(X2) 및 차분 광강도값(X1)을 검출한다.
여기에서, 반사 광량비(X2)는, 기록시, 14T로부터의 전반사 광량(S14T)에 대한 3T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S3T)의 비이다.
또한, 차분 광강도값(X1)은, 기록시, 14T 피트에 대응하는 RF 신호의 피트 선단부에서의 피크 값(Vpk)과 선단부를 제외한 뒷부분의 평균값(Vsp)과의 차분 광강도값이다.
제2도에서 3T 검출회로(261)는, 광 픽업(23)에서 출력되는 RF 신호를 입력하고, 정보기록 중의 3T 피트로부터의 반사광 전류만을 출력한다. 3T 피트로부터의 반사광 전류는, 반사광량 검출회로(263)의 저항기(263a)를 통해 컨덴서(263b)에 충전된다. 이로써, 컨덴서(263b)의 충전전압은 3T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에 대응한 값이 되며, 반사광량 검출회로(263)으로부터는 3T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S3T)에 대응한 값에 대응하는 전압이 출력된다.
또한, 14T 검출회로(261)는, 광 픽업(23)으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를 입력하고 정보기록 중의 14T 피트로부터의 반사광 전류만을 출력한다. 14T 피트로부터의 반사광 전류는, 반사광량 검출회로(264)의 저항기(264a)를 통해 컨덴서(264b)에 충전된다. 이로써, 컨덴서(264b)의 충전전압은, 14T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에 대응한 값이 되며, 반사광량 검출회로(264)로부터는 14T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S14T)에 대응한 값에 대응하는 전압이 출력된다.
그리고, 반사광량 검출회로(26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및 반사광량 검출회로(264)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제산회로(265)에서 제산되어 반사 광량비로 시스템 콘트롤러(28)에 출력된다.
또한, 피크 검출회로(265)는, 14T 검출회로(261)의 출력에 의거하여 14T 피트로부터의 반사광 전류의 피트 선단부에서의 피크 값(Vpk)을 검출하며, 또한 샘플홀드회로(266)는, 14T 검출회로(261)의 출력에 의거하여 14T 피트의 뒷부분의 반사광 전류의 평균값(Vsp)을 검출한다.
그리고, 감산회로(267)에 의해 피크 검출회로(265)에서 검출된 14T 피트로부터의 반사광 전류의 피트 선단부에서의 피크 값(Vpk)과 샘플홀드회로(266)에서 검출된 14T 피트의 뒷부분의 반사광 전류의 평균값(Vsp)와의 차이가 산출되며, 차분 광강도값(X1)으로 시스템 콘트롤러(28)에 출력된다.
어심미터리 검출부(27)는, 광 픽업(23)에서 출력되는 RF 신호로부터 어심미터리를 검출하며, 이 검출결과는 시스템 콘트롤러(28)에 출력된다.
시스템 콘트롤러(28)는, 주지의 CPU 등으로 구성되며, 기록강도편차 검출부(26) 및 어심미터리 검출부(27)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레이저 제어부(24), 서보 제어부(25) 등에 제어명령을 출력하여 정보기록을 실행한다.
이 때, 후술하는 연산처리를 실행하며, 실시간으로 기록시의 레이저광 강도를 보정하면서 정보기록을 실행한다. 이하, 기록시의 레이저광 강도(기록 레이저광 강도)를 간단히 기록강도이라 칭한다.
여기에서, 반사 광량비(X2) 및 차분 광강도값(X1)의 명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사 광량비(X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시의 14T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S14T)에 대한 3T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S3T)의 비이다.
3T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S3T)은, 제3(a)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3T 기록펄스를 사용하여 3T 기록을 실행한 경우의 광 디스크(10)로부터의 반사광에 대응하는 제3(b)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RF 신호의 면적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또한, 14T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S14T)은, 제3(C)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14T 기록펄스(펄스 트레인법을 사용한 기록 펄스)를 사용하여 14T 기록을 실행한 경우의 광 디스크(10)로부터의 반사광에 대응하는 제 3(d)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RF 신호의 면적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즉, 제2도에 나타낸 반사광량 검출회로(263)로부터는 3T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S3T)에 대응한 값에 대응하는 전압이 출력되며, 제2도에 나타낸 반사광량 검출회로(264)로부터는 14T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S14T)에 대응한 값에 대응하는 전압이 출력되므로, 제산회로(265)에서 반사광량 검출회로(263)의출력을 반사광량 검출회로(264)에서 제산함으로써 기록시에서의 14T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S14T)에 대한 3T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S3T)의 비로 이루어지는 반사 광량비(X2)를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3T 피트는, 레이저광의 스포트 지름보다 짧은 피트이며, 14T 피트는, 레이저광의 스포트 지름보다 충분히 긴 피트이므로, 이 반사 광량비(X2)는, 광 디스크(10)의 레이저 빔에 대한 틸트 등의 표면상태에 대응하여 변화하고, 그 결과, 광 디스크(10)의 표면상태에 주로 의존하는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차분 광강도값(X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시의 14T 피트에 대응하는 RF 신호의 피트 선단부에서의 피크 값(Vpk)과 선단부를 제외한 뒷부분의 평균값(Vsp)과의 차분 광강도값이다.
제3(c)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펄스 트레인법을 사용한 14T 기록펄스를 사용하여 14T 피트를 형성할 경우, 광 디스크(10)로부터는 제3(d)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RF 신호가 얻어진다. 여기에서, 이 RF 신호의 피트 선단부에서의 피크 값이 Vpk로 되며, 선단부를 제외한 뒷부분의 샘플링 기간(Tsp)의 평균값을 구하면, Vsp로되어, 이 피크 값(Vpk)의 평균값(Vsp)과의 차분(Vdf)으로부터 차분 광강도값(X1)을 구한다.
즉, 제2도에 나타낸 피크 값 검출회로(266)로부터는 14T 피트로부터의 반사광 전류의 피트 선단부에서의 피크 값(Vpk)가 출력되며, 샘플홀드회로(266)로부터는 14T 피트의 뒷부분의 반사광 전류의 평균값(Vsp)가 출력되므로, 제산회로(268)에서 피크 값 검출회로(266)와 샘플홀드회로(266)의 차분을 구함으로써, 차분 광강도값(X1)을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레이저광의 스포트 지름보다 충분히 긴 피트이므로, 이 RF 신호는, 광 디스크(10)의 레이저 빔에 대한 틸트 등 표면상태의 영향을 받지 않고 기록강도에만 의존하는 신호로 되므로, 그 결과, 차분 광강도값(X1)은, 광 디스크(10)에 조사한 레이저광의 기록강도에 주로 의존하는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차분 광강도값(X1)은, 레이저광의 스포트 지름보다 충분히 긴 피트로부터의 RF 신호를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으며, 반사 광량비(X2)는, 레이저광의 스포트 지름보다 짧은 피트로부터의 RF 신호 및 레이저광의 스포트 지름보다 충분히 긴 피트로부터의 RF 신호를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2도의 기록강도편차 검출부에서는, 레이저광의 스포트 지름보다 충분히 긴 피트로서 DVD-R에서의 최장 피트인 14T 피트를 사용하며, 레이저광의 스포트 지름보다 짧은 피트로서 DVD-R에서의 최단 피트인 3T 피트를 사용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레이저광의 스포트 지름에 대한 피트 길이의 관계는, 이하와 같이 하여 검출할 수 있다.
즉, DVD-R의 경우의 3T∼11T 및 14T 피트의 P3T∼P11T 및 P14T로부터의 RF 신호를 조사하면, 제5도에 나타내듯이, 피트 길이(L)가 스포트 지름(2R)보다 짧은 영역(A)에 있을 경우에는, RF 신호의 레벨은 피트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증가하지만, 피트 길이(L)가 스포트 지름(2R)보다 길어지는 영역(B)이 되면, RF 신호의 레벨은 포화되어 일정값으로 된다.
또한, DVD-R의 경우의 3T∼11T 및 14T의 피트의 P3T∼P11T 및 P14T로부터의 RF 신호의 아이패턴을 조사하면, 제6에 나타내듯이, 그 진폭은, 피트 길이가 스포트 지름보다 짧은 경우에는, 피트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증가하지만, 피트 길이가 스포트 지름보다 길어지면, 그 진폭은 포화되어 일정값으로 된다.
또한, DVD-R(4.7G 바이트 디스크)의 경우, 선속이 3.49㎳일 때, 1T의 길이는 약 0.3㎛가 되며, 제5도 및 제6도에서는 7T 피트에서 RF 신호의 레벨 혹은 진폭이 최대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 7T 피트의 길이가 스포트 지름과 동일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스포트 지름은, 약 0.9㎛가 된다.
따라서, 이 제5도 혹은 제6도에 나타내는 RF 신호의 레벨 혹은 진폭이 포화되는 피트 길이로부터 레이저광의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 길이의 피트 및 같은 스포트 지름보다 충분히 긴 피트 길이의 피트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스템 콘트롤러(28)의 정보기록처리에 있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처리에 관하여 제7도 내지 제10도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시스템 콘트롤러(28)는, 정보의 기록 개시시에 OPC를 실행한다. 이 OPC 실행시에 기록강도를 최적값으로 보정하기 위한 관계식 등을 구하여 실제의 정보기록시에는 이 관계식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기록강도의 보정을 실행하면서, 정보의 기록을 실행한다.
즉, 시스템 콘트롤러(28)는, OPC 실행시에, 제7도에 나타내듯이, 광 픽업 (23)을 광 디스크(10)의 시험입력영역으로 이동하여(SK 1), 기록강도(X)을 소정 스텝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시험 데이타의 기록을 실행한다(SK 2).
또한, 이 시험 데이타의 기록 중에서 기록강도편차 검출부(26)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기록강도(X)마다에 차분 광강도값(X1) 및 반사 광량비(X2)를 취득한다 (SK3, SK4).
다음으로, 시스템 콘트롤러(28)는,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면서 어심미터리 검출부(27)의 출력을 입력하여 각 기록강도(X)마다 어심미터리(y)를 취득한다(SK5). 이 어심미터리(y)은, 상술한 식(A 또는 B)으로 산출되는 β에 대응하는 값이다.
이후, 상기 SK3의 결과를 사용하여, 차분 광강도값(X1)과 기록강도(X)의 관계식을 다음의 (1)식과 같이 구하여, 제1 검출식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기억한다(SK6).
Χ=a1·Χ1+b1…(1)
여기에서, a1, b1은 정수이다.
다음으로, 상기 SK3 및 SK4의 결과를 사용하여, 차분 광강도값(X1)과 반사 광량비(X2)와의 차이를 차분 검출값(D)으로 하여, 이 차분 검출값(D)과 기록강도(X)과의 관계식을 다음의 (2)식과 같이 구하여, 제2 검출식으로 메모리에 기억한다(SK7).
Χ=a2·D+b2…(2)
여기에서, a2, b2는 정수이다.
다시, 상기 SK5의 결과를 사용하여, 기록강도(X)와 어심미터리(y)의 관계식을 다음의 (3)식과 같이 구하여, 기준식으로 메모리에 기억한다(SK8).
y=c1·Ⅹ+d1…(3)
여기에서, c1, d1은 정수이다.
다음으로, 시스템 콘트롤러(28)는, 규격에 맞는 최적의 어심미터리(y)가 얻어지는 기록강도(X)을 상기 기준식을 사용하여 산출하고, 이 값을 최적의 기록강도(X㎳)로 메모리에 기억한다(SK9).
이후, 시스템 콘트롤러(28)는,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X㎳)가 얻어지는 차분 광강도값(X1)을 상기 제1 검출식을 사용하여 산출하며, 이 값을 최적의 차분 광강도값(X1㎳)로 메모리에 기억한다(SK10).
다시, 시스템 콘트롤러(28)는,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Χ㎳)가 얻어지는 차분 검출값(X2㎳)을 상기 제2 검출식을 사용하여 검출하며, 이 값을 최적의 기준화 차분 검출값(D㎳)으로 메모리에 기억한다(SK11).
이상의 처리에 의해 제1 검출식(X=a1·X1+b1), 제2 검출식(X=a2·D2), 기준식(y=c1·X+d1), 최적의 차분 광강도값(X1㎳), 최적의 기준화 차분 검출값(D㎳), 최적의 기록강도(X㎳)가 시스템 콘트롤러(28)에 기억된다.
다음으로, 시스템 콘트롤러(28)는, OPC 실행시에 제8도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하여, 제3 검출식, 최적의 반사 광량비(X2㎳)를 구하여 메모리에 보존한다.
즉, 시스템 콘트롤러(28)는, OPC 실행시에,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X㎳)을 사용하여, 서보 제어부(25)에서 제어되는 포커스, 틸트, 트래킹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보계 오프세트를 소정 스텝으로 변화시켜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고 (SL1), 이것을 재생하여 어심미터리 검출부(27)의 출력에 의거하여 각 오프세트값마다 어심미터리(y)을 취득한다(SL2).
다시, 기록강도편차 검출부(26)의 출력에 의거하여 각 오프세트값마다 반사 광량비(X2)를 취득한다(SL3).
이후, 시스템 콘트롤러(28)는 상기 SL2 및 SL3의 결과를 사용해 반사 광량비(X2)와 어심미터리(y)와의 관계식을 다음의 (4)식과 같이 구한다(SL4).
y=c2·X2+d2…(4)
여기에서, c2, d2는 정수이다.
그리고, 상기 (4)식과 상기 기준식(3)으로부터 반사 광량비(X2)와 기록강도(X)의 관계식을 다음의 (5)식과 같이 구하여, 이것을 제3 검출식으로 메모리에 기억한다(SL5).
X=a3·X2+b3…(5)
여기에서, a3, b3은 정수이다.
다음으로, 시스템 콘트롤러(28)는,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X㎳)가 얻어지는 반사 광량비(X2)를 구하여 이 값을 최적의 반사 광량비(X2㎳)로 메모리에 기억한다(SL6).
시스템 콘트롤러(28)는, OPC 실행시에 상기 처리를 실행한 후에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내듯이, 기록강도의 보정처리를 실시간으로 실행하면서, 실제의 정보기록을 실행한다.
즉, 실제의 정보기록시에는, 시스템 콘트롤러(28)는, 기록강도편차 검출부 (26)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기록 중 차분 광강도값(X1)을 취득하며(SM1), 이 차분 광강도값(X1)과 기억하고 있는 최적의 차분 광강도값(X1㎳)을 비교하여, 이들의 차이를 제1 차분으로 산출한다(SM2).
다음으로, 시스템 콘트롤러(28)는, 기록강도편차 검출부(26)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기록 중 반사 광량비(X1)를 취득하며(SM3), 이 반사 광량비(X1)와 기억하고 있는 최적의 반사 광량비(X1㎳)를 비교하여, 이들의 차이를 제3 차분으로 산출한다(SM4).
다시, SM1 및 SM3의 결과에 의거하여 기록 중 차분 광강도값(X1)과 기록 중 반사광량값(X2)과의 차이를 기록 중 차분 검출값(D)으로 산출한다(SM5).
다음으로, 시스템 콘트롤러(28)는, 기억하고 있던 최적의 기준화 차분 검출값(D㎳)과, 상기 SM5의 처리에서 구한 차분 검출값(D)과의 차이를 제2 차분으로 산출한다(SM6).
이어서, 상기 SM4의 처리에서 구한 제3 차분이 0인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SM7), 0일 경우에는 다시 제1 차분이 0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M8).
이 판정의 결과, 제1 차분이 0일 때에는 상기 SM1의 처리로 이행하며, 0이아닐 경우에는 상기 SM1의 처리에서 취득한 기록 중 차분 광강도값(X1)을 제1 검출식에 대입하여 현시점의 기록강도(Xr)을 산출한다(SM9).
그리고, 제1 차분이 0이 되도록 레이저 제어부(24)에 제어명령을 출력하여 이 산출된 기록강도(Xr)을 보정한다(SM10). 이후, 상기 SM1의 처리로 이행한다.
상기 SM7의 판정결과, 제3 차분이 0이 아닐 때에는, 제1 차분이 0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M11).
이 판정의 결과, 제1 차분이 0일 때에는, 상기 SM3의 처리에서 취득한 기록 중 반사 광량비(X2)를 제3 검출식에 대입하여 현시점의 기록강도(Xr)을 산출한다(SM12).
그리고, 제3 차분이 0이 되도록 레이저 제어부(24)에 제어명령을 출력하여 이 산출된 기록강도(Xr)을 보정한다(SM13).
상기 SM11의 판정결과, 제1 차분이 0이 아닐 경우에는 제2 차분이 0인가 아닌가를 판정하여(SM14), 0일 때에는 상기 SM1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제2 차분이 0일 때에는, 상기 SM5의 처리에서 구한 기록 중 차분 검출값(D)을 제2 검출식에 대입하여 현시점의 기록강도(Xr)을 구한다(SM15).
그리고, 제2 차분이 0이 되도록 레이저 제어부(24)에 제어명령을 출력하여 이 산출된 기록강도(Xr)를 보정한다(SM16).
상기 처리를 제11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1도는, 상술한 기준식과 제1 검출식, 제2 검출식, 제3 검출식의 관계를나타낸 것이다.
제11도에서, 세로축은 어심미터리(y) 또는 기록강도(X)를 나타내며, 가로축은 기록강도(X) 혹은 차분 광강도 검출값(X1) 혹은 차분 검출값(D) 혹은 반사 광량비(X2)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기준식에서 어심미터리(y)가 최적의 값을 나타내는 기록강도(X)가 최적의 기록강도(X㎳)이다.
또한, 제1 검출식에서 기록강도(X)가 최적의 기록강도(X㎳)로 되는 차분 광강도 검출값(X1)이 최적의 차분 광강도 검출값(X1㎳)이며, 제2 검출식에서 기록강도(X)가 최적의 기록강도(X㎳)로 되는 차분 검출값(D)이 최적의 기준화 차분 검출값(D㎳)이며, 제2 검출식에서 기록강도(X)가 최적의 기록강도(X㎳)로 되는 반사 광량비(X2)가 최적의 반사 광량비(2㎳)이다.
상기 SM7, SM8의 판정에서, 제3 차분이 0이며 또한 제1 차분이 0이외의 값일 경우에는, 광 디스크(10)의 레이저빔에 대한 틸트 등의 표면상태에 대응한 보정은 필요하지 않아 기록강도에만 대응한 보정만을 실행하면 되므로, 제12도에 나타내듯이, 제1 검출식에 의거하여 현시점에서의 기록강도(Xr)을 구하여, 제1 차분을 0으로 하는 데 필요한 현시점에서의 기록강도(Xr)와 최적의 차분 광강도 검출값(X1㎳)에 대응하는 기록강도와의 차이만 보정하는 제어명령을 레이저 제어부(24)에 출력하여 레이저 출력 강도(기록강도)를 최적화한다.
또한, SM7, SM11의 판정에서, 제3 차분이 0이외의 값이며 또한 제1 차분이 0일 때, 광 디스크(10)의 레이저빔에 대한 틸트 등의 표면상태에 대응한 보정을실행하면 되므로, 제13도에 나타내듯이, 제13 검출식에 의거하여 현시점에서의 기록강도(Xr)을 구하여, 제3 차분을 0으로 하는 데 필요한 현시점에서의 기록강도 (Xr)와 최적의 반사 광량비(X2㎳)에 대응하는 기록강도와의 차이만 보정하는 제어명령을 레이저 제어부(24)에 출력하여 레이저 출력강도(기록강도)을 최적화한다.
또한, SM7, SM11, SM14의 판정에서, 제3 차분 및 제1 차분 그리고 제2 차분이 모두 0이외의 값일 경우에는, 기록강도에 대응한 보정 및 광 디스크(10)의 레이저빔에 대한 틸트 등의 표면상태에 대응한 보정 등 둘다가 필요해지므로, 이 경우에는 제14도에 나타내듯이 제2 검출식에 의거하여 현시점에서의 기록강도(Xr)을 구하여, 제2 차분을 0으로 하는 데 필요한 현시점에서의 기록강도(Xr)와 최적의 반사 광량비(X2㎳)에 대응하는 기록강도와의 차이만 보정하는 제어명령을 레이저 제어부(24)에 출력하여 레이저 출력강도(기록강도)을 최적화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광 디스크(10)에 경사가 생겨 있다고 해도 최적의 어심미터리 및 형성 중의 피트로부터 최적의 반사광이 얻어지도록 기록 레이저광 강도를 변화하면서 피트를 형성하므로, 광 디스크(10)에 경사가 생겨 있어도 기록 레이저광의 사출방향을 보정하는 일 없이 광 디스크(10)의 정보기록면 경사에 따라 생기는 단위면적당 조사광량의 감소분을 보정할 수 있다.
이로써, 필요 충분한 형상의 피트를 적절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정보재생특성에 뛰어난 정보기록을 실행할 수 있다.
더우기, 종래처럼 틸트 각도에 의거하여 광 픽업(32)을 기울려서 기록 레이저광의 사출방향이 광 디스크(10)의 정보기록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하는 복잡한 구성을 갖출 필요가 없으므로, 종래보다도 장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광 디스크(10)의 경사뿐만 아니라 매체종류의 차이와 광 디스크 상의 부분적인 반사율 차이 등에도 대응할 수 있어, 최적의 기록강도(기록 레이저광 강도)로 정보기록(피트의 형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내지 제3 검출식 그리고 기준식을 직선식(1차함수)으로 한 것이므로, 처리속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불과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은 광정보 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에 경사 등이 생겨 있어도 레이저광 사출방향을 일정하게 하여 정보기록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광정보 기록방법 및 장치 및 광정보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정보 기록방법에 따르면, 광정보 기록매체의 경사에 따라 레이저광 강도를 변화시키면서 피트를 형성하므로, 광정보 기록매체에 경사가 생겨 있어도 레이저광의 사출방향을 보정할 필요없이 정보기록면의 경사에 따라 생기는 단위면적당 조사광량의 감소분을 보정할 수 있다. 이로써, 필요 충분한 형상의 피트를 적절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정보재생특성에 뛰어난 정보기록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효과 외에, 실제의 정보기록시에 실행하는 레이저광 강도의 보정처리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방법에 따르면, 상기 효과 외에 기록 레이저광 스포트 지름이 다소 변화하여도 정확한 보정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장치에 따르면, 광정보 기록매체의 경사에 따라서 레이저광 강도를 변화시키면서 피트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광정보 가록매체에 경사가 생겨 있어도 상기 정보기록면의 경사에 따라 생기는 단위면적당 조사광량의 감소분을 보정할 수 있다. 이로써, 필요 충분한 형상의 피트를 적절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정보재생특성에 뛰어난 정보기록을 실행할 수가 있다. 더욱이, 종래와 같이, 레이저광의 사출방향을 보정하는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장치에 따르면, 상기 효과 외에 실제의 정보기록시에 실행하는 레이저광 강도의 보정처리 시간단축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장치에 따르면, 상기 효과 외에 기록 레이저광의 스포트 지름이 다소 변화해도 정확한 보정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컴퓨터를 동작시킴으로써 광정보 기록매체의 경사에 따라 레이저광 강도를 변화시키면서 피트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광정보 기록매체에 경사가 생겨 있어도 레이저광의 사출방향을 보정할 필요없이 상기 정보기록면의 경사에 따라 생기는 단위면적당 조사광량의 감소분을 보정할 수 있다. 이로써, 필요 충분한 형상의 피트를 적절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정보재생특성에 뛰어난 정보기록을 실행할 수 있다.

Claims (39)

  1. 피트 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며,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 형성기간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광정보 기록방법에 있어서,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기록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기록강도마다 어심미터리를 검출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와 상기 기록강도와의 제1 관계를 구하며,
    다음으로, 상기 기록강도를 소정의 기록강도로 고정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레이저광의 공간적 위치관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기록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공간적 위치관계마다 어심미터리 및 상이한 길이의 피트에 관한 반사 광량비를 검출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와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제2 관계를 구하며,
    다시, 상기 제1 관계와 상기 제2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제3 관계를 구하는 동시에,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반사 광량비를 구하며,
    실제의 정보기록에서는, 상기 반사 광량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3 관계에 의거하여 이 검출한 반사 광량비에 대응하는 기록강도를 구하여, 이 검출한 반사광량비와 상기 최적의 반사 광량비와의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레이저광의 공간적 위치관계의 순차변화는,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광 픽업의 포커스, 경사, 트래킹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서보계 오프세트를 소정 스텝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계에 의거하여 최적의 기록강도를 구하며, 상기 소정의 기록강도를 이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광량비는,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제1 피트로부터의 제1 전반사 광량 및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큰 제2 피트로부터의 제2 전반사 광량을 검출하여, 이 제2 전반사 광량에 대한 상기 제1 전반사 광량의 비로부터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소길이의 피트이며,
    상기 제2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대길이의 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6. 피트 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며,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 형성기간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광정보 기록방법에 있어서,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는 기록 레이저광 강도 최적화 처리에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1 기록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기록강도를 고정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레이저광의 공간적 위치관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2 기록을 실행하며,
    상기 제1 기록에서, 상기 기록강도마다 상기 기록강도에 주로 의존하는 제1 정보 및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공간적 위치관계에 의존하는 제2 정보 및 어심미터리를 검출하여,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1 정보와의 제1 관계,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2 정보와의 제2 관계,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로부터 최적의 어심미터리가 얻어지는 최적의 기록강도를 구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관계 및 상기 제2 관계로부터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제1 정보 및 최적의 제2 정보를 기억하며,
    상기 제2 기억에서, 상기 공간적 위치관계에 주로 의존하는 제3 정보 및 어심미터리를 검출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제3 정보의 관계를 기억하며,
    상기 제1 기록에서 기억한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와 상기 제2 기록에서 기억한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제2 정보의 관계로부터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3 정보와의 제3 관계를 구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이 제3 관계로부터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제3 정보를 기억하며,
    실제의 정보기록에서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를 검출하여, 이 검출한 제1 정보와 상기 최적의 제1 정보와의 차분, 제2 정보와 최적의 제2 정보와의 제2 차분, 제3 정보와 최적의 제3 정보와의 제3 차분을 구하며,
    상기 제3 차분이 0이고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1 정보와 상기 제1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1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며,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고 상기 제1 차분이 0인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3 정보와 상기 제3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3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며,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며 또한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니며 상기 제2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2 정보와 상기 제2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2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레이저광의 공간적 위치관계의 순차변화는,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광 픽업의 포커스, 틸트, 트래킹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서보계 오프세트를 소정 스텝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실행되는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록은, 상기 기록강도를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로부터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로 고정하여 기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의 선단부에서의 반사광 강도의 극대값과 후단부의 반사광 강도의 평균값과의 차이로 이루어지는 차분 광강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대길이의 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의 선단부에서의 반사광 강도의 극대값과 후단부의 반사광 강도의 평균값과의 차이로 이루어지는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에 대한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의 비로 이루어지는 반사 광량비와의 차이로 이루어지는 차분 검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대길이의 피트이며,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직경보다 작은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소길이의 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에 대한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의 비로 이루어지는 반사 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대길이의 피트이며,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소길이의 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15. 피트 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며,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 형성기간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광정보 기록방법에 있어서,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는 기록 레이저광 강도 최적화 처리에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에서,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의 선단부에서의 반사광 강도의 극대값과 후단부의 반사광 강도의 평균값과의 차이로 이루어지는 차분 광강도값 및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에 대한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의 비로 이루어지는 반사 광량비 및 어심미터리를 상기 기록강도에 대응해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차이를 차분 검출값으로 산출하는 제2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에서 검출한 차분 광강도값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차분 광강도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3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차분 검출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4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에서 검출한 어심미터리에 의거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와 상기 기록강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준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5 스텝과,
    상기 제5 스텝에서 기억한 기준식에 의거하여 최적의 어심미터리가 얻어지는 최적의 기록강도를 구하여 기억하는 제6 스텝과,
    상기 제6 스텝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와 상기 제1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차분 광강도값을 최적의 차분 광강도값으로 기억하는 제7 스텝과,
    상기 제6 스텝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와 상기 제2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차분 검출값을 최적의 기준화 차분 검출값으로 기억하는 제8 스텝과,
    상기 기록강도를 상기 제6 스텝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로 고정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광 픽업의 포커스, 틸트, 트래킹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서보계 오프세트를 소정 스텝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9 스텝과,
    상기 제9 스텝에서, 상기 오프세트마다 상기 반사 광량비 및 어심미터리를 검출하는 제10 스텝과,
    상기 제10 스텝에서 검출한 상기 반사 광량비 및 어심미터리에 의거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반사 광량비의 관계식을 구하는 제11 스텝과,
    상기 제11 스텝에서 구한 관계식과 상기 제5 스텝에서 구한 기준식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3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12 스텝과,
    상기 제6 스텝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와 상기 제3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반사 광량비를 최적의 반사 광량비로 기억하는 제13 스텝과,
    실제의 정보기록에서는, 상기 차분 광강도값 및 상기 반사 광량비를 검출하는 동시에, 차분 검출값을 산출하는 제14 스텝과,
    상기 제14 스텝에서 검출한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최적의 차분 광강도값과의 제1 차분을 산출하는 제15 스텝과,
    상기 제14 스텝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과 상기 최적의 기준화 차분 검출값과의 제2 차분을 산출하는 제16 스텝과,
    상기 제14 스텝에서 검출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최적의 반사 광량비와의 제3 차분을 산출하는 제17 스텝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고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14 스텝에서 검출한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제1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1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18 스텝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고 상기 제1 차분이 0인 경우에는, 상기 제14 스텝에서 검출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제3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3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19 스텝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며 또한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니며 상기 제2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14 스텝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과 상기 제2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2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20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식 내지 상기 제3 검출식은, 각각 1차함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대길이의 피트이며,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소길이의 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18. 피트 형성시기를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시기를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탈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며,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 형성시기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동시에 이 광정보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수광신호를 출력하는 광 픽업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제어하는 레이저 제어수단과,
    상기 광 픽업의 포커스, 트래킹, 틸트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서보 제어수단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에 대한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의 비를 반사 광량비로 검출하는 반사 광량비 검출수단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 의거하여 이 수광신호의 어심미터리를 검출하는 어심미터리 검출수단과,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 상기 레이저 제어수단을 제어 및 상기 서보 제어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제1 기록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기록강도마다 어심미터리 검출수단에서부터 어심미터리를 검출하여 이 어심미터리와 상기 기록강도와의 제1 관계를 구하며, 다시, 상기 기록강도를 소정의 기록강도로 고정하여 상기 광 픽업의 포커스, 틸트, 트래킹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오프세트를 소정 스텝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제2 기록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오프세트마다 어심미터리 검출수단으로부터 어심미터리 및 반사 광량비 검출수단에서부터 반사 광량비를 검출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와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제2 관계를 구하며, 다시, 상기 제1 관계와 상기 제2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제3 관계를 구하는 동시에,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반사 광량비를 구하는 제1 제어수단과,
    실제의 정보기록에서, 상기 반사 광량비 검출수단으로부터 반사 광량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3 관계에 의거하여 이 검출한 반사 광량비에 대응하는 기록강도를 구하여 이 검출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최적의 반사 광량비의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2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수단은, 상기 제1 기록에서 구한 제1 관계에 의거하여 최적의 기록강도를 구하며, 이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로 상기 제2 기록의 소정 기록강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광량비 검출수단은,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의거하여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제1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을 검출하는 제1 검출회로와,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제2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을 검출하는 제2 검출회로와,
    상기 제1 검출수단의 검출출력을 상기 제2 검출수단의 검출출력으로 제산하는 제산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트는, 상기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소길이의 피트이며,
    상기 제2 피트는, 상기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대길이의 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22. 피트 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며,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 형성기간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동시에 이 광정보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수광신호를 출력하는 광 픽업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제어하는 레이저 제어수단과,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레이저광의 공간적 위치관계를 제어하는 서보 제어수단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에 주로 의존하는 제1 정보 및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공간적 위치관계에 의존하는 제2 정보 및 상기 공간적 위치관계에 주로 의존하는 제3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검출수단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 의거하여 이 수광신호의 어심미터리를 검출하는 어심미터리 검출수단과,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는 기록 레이저광 강도 최적화 처리에서, 상기 레이저 제어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1 기록을 실행하는 제1 기록 제어수단과,
    상기 레이저 제어수단 및 상기 서보 제어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강도를 고정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레이저광의 공간적 위치관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2 기록을 실행하는 제2 기록 제어수단과,
    상기 제1 기록에서, 상기 기록강도마다 상기 정보검출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어심미터리 검출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어심미터리를 취득하여,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1 정보와의 제1 관계,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2 정보와의 제2 관계,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를 기억하는 제1 기억수단과,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로부터 최적의 어심미터리가 얻어지는 최적의 기록강도를 구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관계 및 상기 제2 관계로부터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제1 정보 및 최적의 제2 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수단과,
    상기 제2 기억에서, 상기 정보검출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제3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어심미터리 검출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어심미터리를 취득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제3 정보의 관계를 기억하는 제3 기억수단과,
    상기 제1 기록에서 기억한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억강도와의 관계와 상기 제2 기록에서 기억한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제2 정보의 관계로부터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3 정보와의 제3 관계를 구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이 제3 관계로부터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제3 정보를 기억하는 제4 기억수단과,
    실제의 정보기록에서, 상기 정보검출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를 검출하여, 이 검출한 제1 정보와 상기 최적의 제1 정보와의 제1 차분, 제2 정보와 최적의 제2 정보와의 제2 차분, 제3 정보와 최적의 제3 정보와의 제3 차분을 구하여, 상기 제3 차분이 0이고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1 정보와 상기 제1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1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며,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고, 상기 제1 차분이 0인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3 정보와 상기 제3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3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며,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며 또한 상기 제1 차분이 0이아니며, 상기 제2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2 정보와 상기 제2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2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보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제어수단은, 상기 광 픽업의 포커스 서보계, 틸트 서보계, 트래킹 서보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기록에서의 공간적 위치관계의 순차변화는, 상기 서보 제어수단의 포커스 서보계, 틸트 서보계, 트래킹 서보계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오프세트를 소정 스텝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강도를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로부터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로 고정하여 기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의 선단부에서의 반사광 강도의 극대값과 후단부의 반사광 강도의 평균값과의 차이로 이루어지는 차분 광강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대길이의 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의 선단부에서의 반사광 강도의 극대값과 후단부의 반사광 강도의 평균값과의 차이로 이루어지는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스포트 직름보다 큰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에 대한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의 비로 이루어지는 반사 광량비와의 차이로 이루어지는 차분 검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대길이의 피트이며,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소길이의 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에 대한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의 비로 이루어지는 반사 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대길이의 피트이며,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소길이의 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31. 피트 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며,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 형성기간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동시에 이 광정보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수광신호를 출력하는 광 픽업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제어하는 레이저 제어수단과,
    상기 광 픽업의 포커스, 트래킹, 틸트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서보 제어수단과,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의 선단부에서의 반사광 강도의 극대값과 후단부의 반사광 강도의 평균값과의 차이로 이루어지는 차분 광강도값을 검출하는 차분 광강도값 검출수단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에 대한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의 비를 반사 광량비로 검출하는 반사 광량비 검출수단과,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 의거하여 이 수광신호의 어심미터리를 검출하는 어심미터리 검출수단과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는 기록 레이저광 강도 최적화 처리에서, 상기 레이저 제어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1 기록제어수단과,
    상기 제1 기록제어수단에 의한 기록에서, 상기 기록강도에 대응하여 상기 차분 광강도 검출수단에서부터 상기 차분 광강도값을, 상기 반사 광량비 검출수단에서부터 상기 반사 광량비를, 어심미터리 검출수단에서부터 어심미터리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차이를 차분 검출값으로 산출하는 제1 취득수단과,
    상기 제1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상기 차분 광강도값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차분 광강도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1처리수단과,
    상기 제1 취득수단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차분 검출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2 처리수단과,
    상기 제1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어심미터리에 의거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와 상기 기록강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준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3 처리수단과,
    상기 제3 처리수단에서 기억한 기준식에 의거하여 최적의 어심미터리가 얻어지는 최적의 기록강도를 구하여 기억하는 제4 처리수단과,
    상기 제4 처리수단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와 상기 제1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차분 광강도값을 최적의 차분 광강도값으로 기억하는 제5 처리수단과,
    상기 제4 처리수단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와 상기 제2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차분 검출값을 최적의 기준화 차분 검출값으로 기억하는 제6 처리수단과,
    상기 레이저 제어수단 및 상기 서보 제어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강도를 상기 제4 기억수단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로 고정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광 픽업의 포커스, 틸트, 트래킹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서보계 오프세트를 소정 스텝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제어수단과,
    상기 제2 기록 제어수단에 의한 기록에서, 상기 오프세트마다 상기 반사 광량비 검출수단에서부터 상기 반사 광량비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어심미터리 검출수단에서부터 어심미터리를 취득하는 제2 취득수단과,
    상기 제2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상기 반사 광량비 및 어심미터리에 의거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반사 광량비의 관계식을 구하는 제7 처리수단과,
    상기 제7 처리수단에서 구한 관계식과 상기 제3 처리수단에서 구한 기준식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3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8 처리수단과,
    상기 제4 처리수단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와 상기 제3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반사 광량비를 최적의 반사 광량비로 기억하는 제9 처리수단과,
    실제의 정보기록에서, 상기 차분 광강도 검출수단에서부터 상기 차분 광강도값을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반사 광량비 검출수단에서부터 상기 반사 광량비를 취득하며, 다시, 상기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차이를 차분 검출값으로 산출하는 제3 취득수단과,
    상기 제3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최적의 차분 광강도값과의 제1 차분을 산출하는 제10 처리수단과,
    상기 제3 취득수단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과 상기 최적의 기준화 차분 검출값과의 제2 차분을 산출하는 제11 처리수단과,
    상기 제3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최적의 반사 광량비와의 제3 차분을 산출하는 제12 처리수단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고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3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제1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1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1 보정수단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고 상기 제1 차분이 0인 경우에는, 상기 제3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제3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3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2 보정수단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며 또한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니며 상기 제2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3 취득수단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식과 상기 제2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2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3 보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식 내지 상기 제 3 검출식은, 각각, 1차함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차분 광강도값 검출수단은,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로부터의 수광신호를 검출하는 검출회로와,
    상기 검출회로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큰 피트의 선단부에서의 반사광 강도의 극대값을 검출하는 피크 검출회로와,
    상기 검출회로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의 후단부의 반사광 강도의 평균값을 구하는 샘플홀드회로와,
    상기 피크 검출회로의 출력과 상기 샘플홀드회로의 출력과의 차이를 구하는 감산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대길이의 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광량비 검출수단은,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제1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을 검출하는 제1 검출회로와,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제2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을 검출하는 제2 검출회로와,
    상기 제1 검출수단의 검출출력을 상기 제2 검출수단의 검출출력으로 제산하는 제산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소길이의 피트이며,
    상기 제2 피트는, 상기 정보의 기록에 사용되는 최대길이의 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37. 피트 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탈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며,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의 형성기간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광정보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며,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기록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기록강도마다 어심미터리를 검출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와 상기 기록강도와의 제1 관계를 구하며,
    다음으로, 상기 기록강도를 소정의 기록강도로 고정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레이저광의 공간적 위치관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기록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의 공간적 위치관계마다 어심미터리 및 상이한 길이의 피트에 관한 반사 광량비를 검출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와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제2 관계를 구하며,
    다시, 상기 제1 관계와 상기 제2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제3 관계를 구하는 동시에,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반사 광량비를 구하며,
    실제의 정보기록에서는, 상기 반사 광량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3 관계에 의거하여 이 검출한 반사 광량비에 대응하는 기록강도를 구하여, 이 검출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최적의 반사 광량비와의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38. 피트 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기간을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며,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의 형성기간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광정보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며,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는 기록 레이저광 강도 최적화 처리에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1 기록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기록강도를 고정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레이저광의 공간적 위치관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2 기록을 실행하며,
    상기 제1 기록에서, 상기 기록강도마다 상기 기록강도에 주로 의존하는 제1 정보 및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공간적 위치관계에 의존하는 제2 정보 및 어심미터리를 검출하여,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1 정보와의 제1 관계,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2 정보와의 제2 관계,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로부터 최적의 어심미터리가 얻어지는 최적의 기록강도를 구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관계 및 상기 제2 관계로부터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제1 정보 및 최적의 제2 정보를 기억하며,
    상기 제2 기록에서, 상기 공간적 위치관계에 주로 의존하는 제3 정보 및 어심미터리를 검출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제3 정보의 관계를 기억하며,
    상기 제1 기록에서 기억한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기록강도와의 관계와 상기 제2 기록에서 기억한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제2 정보의 관계로부터 상기 기록강도에 대한 상기 제3 정보와의 제3 관계를 구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이 제3 관계로부터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제3 정보를 기억하며,
    실제의 정보기록에서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를 검출하여, 이 검출한 제1 정보와 상기 최적의 제1 정보와의 제1 차분, 제2 정보와 최적의 제2 정보와의 제2 차분, 제3 정보와 최적의 제3 정보와의 제3 차분을 구하며,
    상기 제3 차분이 0이고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1 정보와 상기 제1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1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며,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고 상기 제1 차분이 0인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제3 정보와 상기 제3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3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며,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며 또한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니며 상기 제2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제2 정보와 상기 제2 관계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2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39. 피트 형성시기를 나타내는 제1 레벨과 피트 불형성시기를 나타내는 제2 레벨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에 소정 지름의 레이저광 스포트를 조사하며,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피트의 형성시기에 대응한 길이의 피트를 형성하는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광정보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며,
    실제의 정보기록에 앞서는 기록 레이저광 강도 최적화 처리에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기록강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 스포트의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의 선단부에서의 반사광 강도의 극대값과 후단부의 반사광 강도의 평균값과의 차이로 이루어지는 차분 광강도값 및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큰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에 대한 상기 스포트 지름보다 작은 피트로부터의 전반사 광량의 비로 이루어지는 반사 광량비 및 어심미터리를 상기 기록강도에 대응하여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차이를 차분 검출값으로 산출하는 제2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에서 검출한 차분 광강도값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차분 광강도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3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차분 검출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4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에서 검출한 어심미터리에 의거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와 상기 기록강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준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5 스텝과,
    상기 제5 스텝에서 기억한 기준식에 의거하여 최적의 어심미터리가 얻어지는 최적의 기록강도를 구하여 기억하는 제6 스텝과,
    상기 제 6 스텝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와 상기 제1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차분 광강도값을 최적의 차분 광강도값으로 기억하는 제7 스텝과,
    상기 제6 스텝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와 상기 제2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차분 검출값을 최적의 기준화 차분 검출값으로 기억하는 제8 스텝과,
    상기 기록강도를 상기 제6 스텝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로 고정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광 픽업의 포커스, 틸트, 트래킹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서보계 오프세트를 소정 스텝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시험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 9 스텝과,
    상기 제9 스텝에 있어서, 상기 오프세트마다 상기 반사 광량비 및 어심미터리를 검출하는 제10 스텝과,
    상기 제10 스텝에서 검출한 상기 반사 광량비 및 어심미터리에 의거하여 상기 어심미터리에 대한 반사 광량비의 관계식을 구하는 제11 스텝과,
    상기 제11 스텝에서 구한 관계식과 상기 제5 스텝에서 구한 기준식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강도와 상기 반사 광량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3 검출식을 구하여 기억하는 제12 스텝과,
    상기 제6 스텝에서 구한 최적의 기록강도와 상기 제3 검출식에 의거하여 상기 최적의 기록강도에 대응하는 반사 광량비를 최적의 반사 광량비로 기억하는 제13 스텝과,
    실제의 정보기록에서는, 상기 차분 광강도값 및 상기 반사 광량비를 검출하는 동시에, 차분 검출값을 산출하는 제14 스텝과,
    상기 제14 스텝에서 검출한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최적의 차분 광강도값과의 제1 차분을 산출하는 제15 스텝과,
    상기 제14 스텝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과 상기 최적의 기준화 차분 검출값과의 제2 차분을 산출하는 제16 스텝과,
    상기 제14 스텝에서 검출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최적의 반사 광량비와의 제3 차분을 산출하는 제17 스텝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고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14 스텝에서 검출한 차분 광강도값과 상기 제1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1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18 스텝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고 상기 제1 차분이 0인 경우에는, 상기 제14 스텝에서 검출한 반사 광량비와 상기 제3 검출식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3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19 스텝과,
    상기 제3 차분이 0이 아니며, 또한 상기 제1 차분이 0이 아니며, 상기 제2 차분이 0이 아닌경우에는, 상기 제14 스텝에서 산출한 차분 검출값과 상기 제2 검출값에 의거하여 기록강도를 구하여, 상기 제2 차분이 0이 되도록 이 기록강도를 보정하는 제20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07014852A 1999-04-28 2000-04-28 광정보 기록방법 및 장치 그리고 광정보 기록 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646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119299 1999-04-28
JP121192/1999 1999-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074A true KR20010083074A (ko) 2001-08-31
KR100646189B1 KR100646189B1 (ko) 2006-11-14

Family

ID=1480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852A KR100646189B1 (ko) 1999-04-28 2000-04-28 광정보 기록방법 및 장치 그리고 광정보 기록 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50367B1 (ko)
JP (1) JP4074063B2 (ko)
KR (1) KR100646189B1 (ko)
TW (1) TW476930B (ko)
WO (1) WO20000672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2817B2 (ja) 2000-09-13 2005-10-0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979120B2 (ja) * 2002-02-25 2007-09-19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KR100505640B1 (ko) * 2002-09-09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구동기에 있어서 최적의 기록 파워 결정 장치 및방법
JP2004192754A (ja) * 2002-12-13 2004-07-08 Sanyo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チルト制御方法
JP2004199779A (ja) * 2002-12-18 2004-07-15 Sanyo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チルト制御方法
WO2004077418A1 (ja) * 2003-02-25 2004-09-10 Pioneer Corporation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2005116027A (ja) * 2003-10-06 2005-04-28 Ricoh Co Ltd 記録パワー決定方法、記録パワー決定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WO2006103919A1 (ja) * 2005-03-25 2006-10-05 Nec Corporation 情報記録媒体の記録条件調整方法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TW200809823A (en) * 2006-06-09 2008-02-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ing device and method
JP4303267B2 (ja) * 2006-07-26 2009-07-29 Tdk株式会社 光記録媒体の情報記録方法、光記録装置
JP2008033981A (ja) * 2006-07-26 2008-02-14 Tdk Corp 光記録媒体の情報記録方法、光記録装置
CN113380278B (zh) * 2018-11-20 2023-03-31 中国科学院上海高等研究院 基于纳米光刻的光盘读取方法、读取装置及光盘读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454B2 (ja) * 1991-02-18 2001-04-2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レーザパワー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US5563862A (en) * 1994-05-31 1996-10-08 Sony Corporation Write once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with reduced data error rate because the value of asymmetry is equalized as additional data is recorded thereon
JPH0863751A (ja) * 1994-08-25 1996-03-08 Sony Corp 光デイスク、光デイスク再生装置及び光デイスク再生方法
JP2869349B2 (ja) 1994-11-28 1999-03-10 太陽誘電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パワー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3096239B2 (ja) 1996-04-01 2000-10-10 太陽誘電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ランニングopc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262706B2 (ja) * 1996-04-09 2002-03-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の記録再生装置
US5898656A (en) * 1996-08-29 1999-04-27 Sony Corporation Optical disc-shaped recording medium recording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illumination power thereof
JPH10188316A (ja) * 1996-12-26 1998-07-21 Sony Corp 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の記録パワー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KR100288783B1 (ko) * 1998-09-18 2001-05-02 구자홍 광기록매체의 기록 광파워 검출저장 및 이를 이용한 기록 광파워 조절장치와 그 방법
JP3718082B2 (ja) * 1998-10-26 2005-11-16 株式会社リコー 光ディスク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76930B (en) 2002-02-21
US7050367B1 (en) 2006-05-23
JP4074063B2 (ja) 2008-04-09
KR100646189B1 (ko) 2006-11-14
WO2000067251A1 (fr) 200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4932A (en) Acquiring a best focus using a focus signal offset
EP0392561B1 (en) Optical disk drive
EP0621586B1 (en) Optical disk drive
KR20030084756A (ko) 광디스크 장치, 빔 스폿의 이동 방법 및 광디스크 장치에있어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0646189B1 (ko) 광정보 기록방법 및 장치 그리고 광정보 기록 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7301869B2 (en) Spherical aberration correcting method and apparatus
EP03547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arget position for focusing of light beam
JP3033066B2 (ja) フォーカス位置の調整装置
US6882602B2 (en) Calibration method for control device of optical storage medium drive
US20040037195A1 (en) Tilt correction device
US7630278B2 (en) Focusing control method for reading/writing optical disc
US7782724B2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urface deflection
US20050094506A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and semiconductor circuit
KR20030066465A (ko) 트랙킹 제어 장치 및 광 디스크 장치
JP2005085307A (ja) 光ディスク駆動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40097357A (ko) 광 픽업
JP4376786B2 (ja) 球面収差検出
CN101174432B (zh) 刻录策略控制方法及信息刻录装置
JP4328877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フォーカス位置調整プログラム
US20060215521A1 (en) Disc drive apparatus
US20090290462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optical disc, integrated circuit, optical disc device, and optimum recording focus position detecting method
JP2002074688A (ja) ディスク装置調整方法
WO2005034100A2 (en) Method of determining setting of spherical aberration corrector
JP4946838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1055543A (ja) 光情報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