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9230A - 순환식 개폐셔터, 이를 구비한 짐차, 순환식 개폐셔터용체인커버, 및 체인형 셔터롤러 - Google Patents

순환식 개폐셔터, 이를 구비한 짐차, 순환식 개폐셔터용체인커버, 및 체인형 셔터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9230A
KR20010079230A KR1020010036511A KR20010036511A KR20010079230A KR 20010079230 A KR20010079230 A KR 20010079230A KR 1020010036511 A KR1020010036511 A KR 1020010036511A KR 20010036511 A KR20010036511 A KR 20010036511A KR 20010079230 A KR20010079230 A KR 20010079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rail
cover
roll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3884B1 (ko
Inventor
최병관
Original Assignee
최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관 filed Critical 최병관
Priority to KR10-2001-0036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884B1/ko
Publication of KR2001007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slidable; foldable
    • B60J5/125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식 개폐셔터, 이를 구비한 짐차, 순환식 개폐셔터용 체인커버, 및 체인형 셔터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는, 순환식 왕복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하부로 설치되는 폐곡선형의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 사이에서 왕복되며 곡선 경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에는 각각 포합구와 포합관이 형성되고 상하부로는 롤러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셔터판이 복수개가 링크되어 이루어지는 셔터, 및 상기 셔터의 양단부와 링크되어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의 경로를 따라 왕복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판이 복수개가 링크되어 이루어지고 그 링크된 중심에는 커버롤러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체인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셔터의 설치 가능범위가 확장되고, 짐차의 짐칸을 손쉽게 수시개폐할 수 있으며, 셔터의 기울어짐과 레일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순환식 개폐셔터, 이를 구비한 짐차, 순환식 개폐셔터용 체인커버, 및 체인형 셔터롤러{Circular shutter, freight car having it, chain cover for it, and shutter roller of a chain type}
본 발명은 순환식 개폐셔터,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 및 순환식 개폐셔터용 체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닫이식의 셔터를 개량하여 소정 공간을 손쉽게 밀폐 또는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순환식 개폐셔터와, 짐차의 짐칸을 수시로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식 셔터를 설치하여 다품종의 물품들을 짐칸에 적재, 보관, 진열 및 판매하기에 적합하도록 한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와, 레일 상을 왕복하는 셔터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셔터의 왕복경로를 제공하는 레일 내부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한 순환식 개폐셔터용 체인커버와, 셔터의 상하부에 견고히 결합되어 레일 상에 왕복되는 셔터의 직립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체인형 셔터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셔터는 구조물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레일 상에 설치된 셔터의 왕복을 통해 구조물의 입구를 미닫이식으로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셔터는 셔터를 수납하는 셔터박스가 반드시 구비되어야만 셔터의 왕복 및 설치가 가능하게 되므로, 대형 건축물 등에 이를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없는 반면 버스카드 판매소, 구두 수선소, 지하철 역내 신문 판매소 등과 같이 공간이 협소한 소형 점포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구조물이 레일 내부로 이물질 유입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셔터를 레일 상에 왕복시키기가 어렵게 되므로, 결국 종래의 셔터는 설치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하물을 적재하고 수송하는 데 이용되는 짐차는 단순히 운전석의 뒷편에 하물을 싣는 짐칸이 구비되어 운반하고자 하는 하물을 적재하고 수송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는가 하면, 필요에 따라서는 하물을 적재하는 짐칸이 적절히 개량되어 냉동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냉동탑차, 이삿짐을 운반하는 이사짐차, 하물을 이동식으로 운반하며 판매하는 이동판매차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는 것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짐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용도에 따라 짐칸이 개선된 기존 짐차 중 하나로서 이동판매차가 도시되어 있는데, 운전석(1) 뒷편에 마련된 짐칸(2)에는 사이드 도어(3), 백 도어(4)가 설치되어 있어 물품을 개폐식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이드 도어(3)와 백도어(4)는 짐칸의 구조상 대부분 상하로 개폐하도록 되어 있으며, 물품 진열시에는각각의 도어를 지지대(5, 6)로 지지시켜 진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이동판매차는 물품의 운송과 물품의 진열이 수시로 반복되어져야 할 경우, 즉 물품 운송 도중에 짐칸에 적재된 물품을 잠시 꺼내야 할 필요가 있거나, 물품의 운송시간보다 물품의 진열시간이 비교적 짧은 경우에는 사용하기가 매우 힘들고 불편하다.
예컨대, 상기와 같은 이동판매차는 사소한 물품을 하나 꺼내고자 하더라도 사이드 도어나 백도어를 상하로 수시 개폐하여야 하므로 힘이 들고 불편하며, 더구나 물품 진열 및 판매장소를 바꾸고자 여러 판매지역을 수시로 돌아다닐 경우에는 물품 진열을 위한 준비작업에 많은 힘이 소요되므로 매우 부적합한 구조라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종래의 셔터는 복수의 셔터판이 서로 링크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볼 때 상하 개폐식이 아닌 좌우 개폐식으로 설치되면 셔터가 바르게 세워져 있지 못하고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또한 셔터의 왕복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야 하므로 특히 하부레일의 내부로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침입할 여지가 많아 레일 내부에 도포되어 윤활제 역할을 하는 구리스 등이 윤활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거나 이물질과 서로 혼합되어 오히려 셔터의 왕복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한편, 기존 셔터의 상하부에 결합되는 롤러는 수평롤러와 수직롤러가 각각 별다른 구조적인 연계관계 없이 개별 부품으로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고 있는 바, 특히 곡선형을 이루는 레일 상에서 셔터가 왕복되어야 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셔터판을 보호하는 차원에서도 셔터롤러의 구조개선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점포 등과 같은 구조물에도 입구를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순환식 개폐셔터를 제공함과 아울러, 이 순환식 개폐셔터를 통해 짐차의 짐칸을 손쉽게 수시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다품종의 물품들을 짐칸에 적재, 보관, 진열 및 판매하기에 용이하도록 한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일상에 왕복하는 셔터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셔터의 왕복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여, 셔터의 설치가능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고 소정 공간을 개폐하는 셔터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순환식 개폐셔터용 체인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셔터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롤러의 구조를 개선하여 레일 상에서 수시로 왕복되는 셔터의 직립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셔터가 곡선 궤도도 원활히 왕복할 수 있도록 하는 체인형 셔터롤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짐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와 이를 구비한 짐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셔터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셔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전동개폐기어를 통한 셔터의 구동 메카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호형레일을 따라 왕복하는 체인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체인커버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A-A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레일에 체인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레일에 분할형 체인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셔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셔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장치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록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록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가 설치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형 셔터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8: 운전석 2: 짐칸
3: 사이드 도어 4: 백 도어
5, 6, 9: 지지대 7: 상판
9a, 9b, 9c, 9d: 벽면 10: 상부레일
11: 하부레일 12: 내측안내턱
13: 외측안내턱 14: 누수공
15: 호형레일단편 16: 내측보완틀
20: 셔터 21: 포합구
22: 포합관 23, 24: 수평롤러
25: 수직롤러 26: 하우징
27: 전동개폐기어 28: 셔터판
29: 후크 30: 체인커버
31: 커버 31a: 내측단편커버
31b: 외측단편커버 32: 내측걸림턱
33: 외측걸림턱 34, 35: 홈
36: 호형면 37, 39, 58a, 58b: 연결판
38: 커버롤러 40: 크로스바
41: 록커 42: 스위치박스
43: 관통창 44: 외체
45: 걸림창 46: 승강판
47: 스프링 48a: 인출선
48b: 중계선 49a: 슬라이드면
49b: 경사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는, 순환식 왕복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하부로 설치되는 폐곡선형의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 사이에서 왕복되며, 곡선 경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에는 각각 포합구와 포합관이 형성되고 상하부로는 롤러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셔터판이 복수개가 링크되어 이루어지는 셔터, 및 상기 셔터의 양단부와 링크되어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의 경로를 따라 왕복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판이 복수개가 링크되어 이루어지고, 그 링크된 중심에는 커버롤러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체인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는,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에 걸쳐 설치되어 소정면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 사이에서 왕복되는 셔터가 저장되도록 하는 벽면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는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 상기 셔터, 및 상기 체인커버가 하나의 개폐유닛을 이루되, 상기 개폐유닛 한 쌍이 상호 인접 설치되어, 상기 셔터 한 쌍의 왕복으로 상기 개폐유닛 한 쌍이 이루는 공간이 개폐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셔터의 상부에 설치되는 롤러는, 상기 포합구와 상기 포합관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셔터의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는 상기 포합구와 상기 포합관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롤러와, 상기 셔터의 일측 포합구와 타측 포합관의 중심 위치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에는, 상기 체인커버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내측안내턱과 외측안내턱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의 경로를 따라 이탈 없이 왕복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안내턱과 상기 외측안내턱을 파지하는 형상을 갖춘 내측걸림턱과 외측걸림턱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는, 상기 내측안내턱을 파지한 상태로 레일의 곡선경로를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내측걸림턱의 양측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안내턱을 파지한 상태로 레일의 곡선 경로를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외측걸림턱의 일측에는 호형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는,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이분된 내측단편커버와 외측단편커버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셔터의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는, 상기 포합구와 상기 포합관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롤러와, 상기 셔터의 일측 포합구와 타측 포합관의 중심 위치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롤러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롤러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수평롤러의 원주면과 동일한 원주면을 갖는 하우징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레일의 절곡된 부위에는 상기 수평롤러의 직경에 대응되는 치형을 갖는 전동개폐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전동개폐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셔터가 왕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셔터의 하부에는, 한쌍의 연결판이 복수개 링크되어 이루어지는 체인과, 상기 연결판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이 상기 셔터판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지지대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롤러는 상기 연결판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연결판 사이로 설치되고, 상기 수직롤러는 상기 한 쌍의 연결판 사이로 상기 연결판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는 순환식 왕복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폐곡선형의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 사이에서 왕복되며, 곡선 경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에는 각각 포합구와 포합관이 형성되고 상하부로는 롤러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셔터판이 복수개 링크되어 이루어지는 셔터, 및 상기 셔터의 양단부와 링크되어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각각의 경로를 따라 왕복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판이 복수개가 링크되어 이루어지고, 그 링크된 중심에는 커버롤러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체인커버를 포함하는 개폐유닛 한 쌍이 상호 인접 설치되어 하물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짐차의 짐칸을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레일 상부에는 상판이 설치되어, 상기 셔터 한 쌍의 왕복으로 상기 짐칸이 개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하부레일에는, 빗물 등의 침입으로 인해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누수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상부레일과 상기 한 쌍의 하부레일 각각은 그 절곡된 부위가 분해 또는 결합될 수 있도록 절결된 호형레일단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셔터의 입설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셔터의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는, 상기 포합구와 상기 포합관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롤러와, 상기 셔터의 일측 포합구와 타측 포합관의 중심 위치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롤러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롤러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수평롤러의 원주면과 동일한 원주면을 갖는 하우징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레일의 절곡된 부위에는 상기 수평롤러의 직경에 대응되는 치형을 갖는 전동개폐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전동개폐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셔터가 왕복되어 상기 짐칸이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셔터의 하부에는, 한쌍의 연결판이 복수개 링크되어 이루어지는 체인과, 상기 연결판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이 상기 셔터판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지지대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롤러는 상기 연결판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연결판 사이로 설치되고, 상기 수직롤러는 상기 한 쌍의 연결판 사이로 상기 연결판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레일 및 상기 하부레일의 곡선 경로 내측에는, 그 곡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커버의 내측 침범으로 상기 짐칸에 적재된 하물과의 충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측보완틀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는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에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관통창이 형성된 외체와 상기 외체 내에 왕복되도록 설치되며 중앙부에 걸림창이 형성된 승강판과 상기 외체와 상기 승강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승강판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구비된 록커, 상기 승강판에 체결되는 인출선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판에 하강구동력을 제공하는 스위치박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셔터의 일측에는 후크가 설치되어 상기 셔터를 닫을 때에는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창에 구속되어 잠기도록 하고, 상기 셔터를 열 때에는 상기 인출선의 당김 동작으로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창으로부터 석방되어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록커는 상기 크로스바에, 상기 후크는 상기 셔터의 일측에 상하로 각각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록커는 상호 중계선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셔터가 이중으로 잠기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림창에는 슬라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에는 상기 슬라이드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창을 관통할 때 상기 슬라이드면이 상기 경사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승강판이 하강된 후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다시 상승되어 상기 셔터가 잠기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용 체인커버는 레일 상을 왕복하는 셔터의 양단부와 링크되어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레일의 경로를 따라 왕복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판이 복수개가 링크되고, 그 링크된 중심에는 커버롤러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레일에는 양측에 내측안내턱과 외측안내턱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레일의 경로를 따라 이탈 없이 왕복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안내턱과 상기 외측안내턱을 파지하는 형상을 갖춘 내측걸림턱과 외측걸림턱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내측걸림턱의 양측과 상기 외측걸림턱의 일측에는 곡선 경로를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각각 홈과 호형면이 형성되어, 상기 셔터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셔터가 통과한 상기 레일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체인형 셔터롤러는 셔터판이 직립을 유지하고 곡선 궤도를 왕복하기에 용이하도록, 한 쌍의 연결판이 복수개 링크되어 이루어지는 체인과, 상기 연결판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연결판사이에 설치되는 수평롤러와, 상기 연결판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이 상기 셔터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인형 셔터롤러는, 상기 한 쌍의 연결판 사이로 상기 연결판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는 셔터(20)의 순환식 왕복 경로를 제공하는 폐곡선형의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11), 곡선경로를 왕복하기 용이하도록 포합구(21)와 포합관(22)의 링크 구조를 갖춘 셔터(20), 및 상기 셔터(20)의 기울어짐 방지와 레일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체인커버(30)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는 상기와 같은 순환식 개폐셔터가 하나의 개폐유닛을 이루되, 한 쌍의 개폐유닛이 상호 인접 설치되어 짐차의 짐칸을 구성하고, 한 쌍의 개폐유닛 상부에 상판(7)이 설치되어 셔터(20) 한쌍의 왕복으로 짐칸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용 체인커버(30)는 레일 상을 왕복하는 셔터(20)의 양단부에 링크되어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하며, 레일의 경로를 따라 왕복하는 커버(31)와, 커버(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체인 구조를 이루는 한 쌍의 연결판(37)과, 한 쌍의 연결판(37)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롤러(38)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 및 순환식 개폐셔터용 체인커버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중복설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를 기준으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레일이라 함은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11)을 통칭하는 것으로 하며, 하나의 개폐유닛이라 함은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11), 셔터(20), 및 체인커버(30)를 포함하는 순환식 개폐셔터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와 이를 구비한 짐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셔터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는 통상 운전석(8)의 뒷편에 마련된 하물을 적재하는 짐칸이 한 쌍의 개폐유닛으로 구성되고, 기타 짐차의 짐칸을 이루기 위한 제반 부수되는 구성이 부가될 수 있다.
짐차의 짐칸을 구성하는 하나의 개폐유닛은 한편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11), 셔터(20), 및 체인커버(30)를 포함한다.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11)은, 셔터(20)의 왕복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 경로는 폐곡선형을 이루고 있어 셔터(20)가 레일 상에서 순환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도 2를 참조하면 운전석 뒷편의 짐칸 상하부에 각각 마주보며 설치되는 구성이다.
셔터(20)는, 짐칸을 개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11) 사이에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셔터판(28)이 링크되어 레일 상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셔터(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그 구체적인 도면과 함께 후술한다.
체인커버(30)는, 레일 상에서 왕복하는 셔터(20)와 링크되어 일체감을 주고 레일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셔터(20)의 양단부와 링크되어 셔터(20)와 함께 레일 상에서 왕복되는 구성이나 체인커버(30)의 구체적인 구성 역시 구체적 도면과 함께 후술한다.
한편, 도 3에는 하부레일(11)의 절곡된 부위에 분해 및 결합되는 호형레일단편(15)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11)의 사이로 셔터(20)의 입설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에는 도면 기재상 하부레일(11)에만 도시되어 있으나 마주보는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11)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한 쌍으로 분해 또는 결합될 수 있다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부차적인 구성으로서 하부레일(11)에는 빗물 등이 침입으로 인해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누수공(1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누수공(14)과 호형레일단편(15)을 설명하기 위하여 좌측 개폐유닛의 체인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열린 상태의 짐칸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그 상태에서 도면상 운전석을 전방으로 할 때 좌측에 위치하는 개폐유닛의 셔터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우측에 위치하는 개폐유닛의 셔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짐차의 짐칸은 밀폐가 되며, 다시 반대로 좌측 개폐유닛의 셔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우측 개폐유닛의 셔터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개방된 원상태로 복귀된다.
도 4는 셔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전동개폐기어를 통한 셔터의 구동메카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왕복되는 셔터(2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4 및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셔터(20)는, 곡선 경로를 갖고 있는 폐곡선형의 레일 상에서 원활히 왕복될 수 있도록 복수의 셔터판(28) 양측에 포합구(21)와 포합관(22)이 형성되어 포합구(21)와 포합관(22)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맞물리는 구조로 링크되어 있고, 셔터판(28)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롤러가 설치되어 레일과의 접촉 마찰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셔터(20)의 보다 바람직한 구성을 설명하면 셔터(20)의 상부에는 포합구(21)와 포합관(22)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수평롤러(23)가 그 회전중심이 일치된 상태로 설치되고, 셔터(20)의 하부에는 셔터(20)의 상부와 마찬가지로 포합구(21)와 포합관(22)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수평롤러(24)가 그 회전중심이 일치된 상태로 설치되되, 수평롤러(24)와 수평롤러(24) 사이에 수직롤러(25)를 설치하여 복수의 수직롤러가 셔터판의 하중을 각각 분산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셔터판(28)의 하부와는 달리 셔터판(28)의 상부에는 수평롤러(24)만이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고, 다만 하중이 작용되는 방향을 고려하여 볼 때 수직롤러(25)가 설치될 필요가 없다는 것일 뿐이다.
그리고, 포합구(21)와 포합관(22)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수평롤러(23,24)의 회전중심이 일치하여야 하는 이유는, 소위 셔터(20)의 관절 부위라고 할 수 있는 포합구(21)와 포합관(22)의 링크된 부위는 셔터(20)가 왕복되는 동안 그 링크된 중심선상을 기준으로 접혔다 펴지며 레일의 측면과 빈번히 마찰하게 되는 부위이므로 수평롤러(23,24)를 그 회전중심을 일치시켜 설치시켜야 한다는 것이며, 수직롤러(25)를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 수평롤러와 그 다음 수평롤러 사이에 설치시켜야 하는 이유는 수직롤러(25)의 설치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셔터판(28)의 하중을 고루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수평롤러(24)와 수직롤러(25)가 설치된 셔터(20)의 구조를 응용하여 셔터(20)를 전동식으로 왕복 구동시킬 수 있는 전동개폐기어(27)와 그 부수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전동개폐기어(27)는, 수평롤러(24)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치형을 갖는 기어의 형상을 가지며 하부레일(11)의 절곡된 부위에 설치되어 수평롤러(24)와 수직롤러(25)를 통해 셔터를 왕복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전동개폐기어(27)의 원활한 동력 전달을 위한 조건으로는 수직롤러(25)의 외측 둘레에 수평롤러(24)의 원주면과 동일한 원주면을 갖는 하우징(26)이 설치되어 전동개폐기어(27)가 수평롤러(24) 및 하우징(38)을 통해 셔터(20)를 원활히 왕복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물론, 그 조건 외에도 수평롤러(24) 및 수직롤러(25)가 동일 간격으로 배열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전동개폐기어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의 회전수를 필요한 회전수로 감속하는 동시에 큰 토크(torque)를 얻을 수 있는 감속기(Geared motor)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하가 많을 경우에는 전동개폐기어를 한 쌍 구비하여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의 절곡된 부위에 각각에 설치하고 이를 축으로 연결하여하나의 동력원으로 구동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전동개폐기어는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할 때 하부레일의 절곡된 부위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짐차의 짐칸을 구성할 때 셔터판의 상부에는 수직롤러가 설치될 필요가 없다는 점 내지는 전동개폐기어와 모터와의 결합, 효율적인 공간안배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볼 때 가장 적절할 것이라는 설치위치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원의 기술사상이 전동개폐기어는 반드시 하부레일에만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력 증강을 위해 복수의 전동개폐기어를 적용할 수도 있으며, 셔터판의 상부에 수평롤러는 물론 수직롤러의 하우징까지도 설치된다면 상부레일에도 전동개폐기어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호형레일을 따라 왕복되는 체인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체인커버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도 8, 도 9, 도 10은 각각 도 6에 도시된 직선형레일을 나타낸 A-A 단면도, 도 6에 도시된 호형레일을 나타낸 B-B 단면도, 도 8에 도시된 직선형 레일에 체인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편의상 순환식 폐곡선 왕복 경로를 이루는 레일의 일부분중 직선 경로를 안내하는 부분은 직선형 레일, 곡선 경로를 안내하는 부분은 호형 레일이라 명명한다.
셔터(20)의 양단부와 링크되어 셔터(20)와 함께 레일 상에서 왕복하는 체인커버(30)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체인커버(30)는, 레일의 경로를 따라 왕복하는 커버(31)와 커버(31)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판(37)이 복수개 링크되어 이루어지고, 그 링크된 중심에는 커버롤러(38)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셔터(20)의 왕복과 함께 왕복되는 구성이다.
커버(31)는, 레일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레일의 상부를 덮고 있는 듯한 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레일 상에서 셔터(20)와 함께 링크되어 왕복될 수 있다.
연결판(37, 39)은, 공지된 기술로 체인(Chain)에 비유될 수 있는 구성이며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연결판과 하나의 커버, 그리고 다른 하나의 연결판과 또 다른 하나의 연결판이 서로 체인과 같이 링크되고 링크되어 복수의 관절을 갖는 하나의 체인커버를 이루게 된다. 이는 물론 셔터와 함께 곡선 경로에서 원활히 왕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체인커버(30)의 보다 바람직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레일에는 체인커버(30)가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내측안내턱(12)과 외측안내턱(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레일은 도 6에 도시된 레일의 경로 중 하부레일(11)의 직선형 경로인 A-A선을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이러한 구조는 하부레일(11)과 대응되는 상부레일(10) 역시도 일맥 상통하는 구조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체인커버(30)는 레일의 경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내측안내턱(12)과 외측안내턱(13)을 각각 파지하는 형상을 갖춘 내측걸림턱(32)과 외측걸림턱(33)이 형성된 커버(31)가 그 하부의 연결판(37)과 리벳으로 링크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커버롤러(38)는 그 회전중심이 링크된 중심과 일치한 상태에서 커버(31)와 연결판(37)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 6을 참조하여 부연하면, 순환식 폐곡선 왕복 경로를 따라 왕복하게 되는 커버(31)는 반드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선 경로를 통과하게 되는데, 곡선 경로 통과시 커버(31)는 그 양측에 형성된 내측걸림턱(32)과 외측걸림턱(33)이 곡선 경로를 통과할 때 내측안내턱(12)과 외측안내턱(13)에 각각 걸려 커버(31)의 곡선 경로 왕복을 어렵게 하므로, 내측걸림턱(32)의 양측에는 한 쌍의 홈(34,35)이 형성되고, 외측걸림턱(33)의 일측에는 호형면(36)이 형성되어 곡선 경로의 원활한 왕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커버롤러(38)는 체인커버(30)의 관절 부위라 할 수 있는 링크된 중심선상에 회전중심이 위치한 상태로 설치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의 내측과 접촉 마찰하며 회전되는 구성이다. 체인커버(30) 역시도 셔터(20)와 마찬가지로 레일 상에서 왕복되어야 하는 구성이므로, 체인커버(30)는 연결판(37)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설치되는 커버롤러(38)의 회전을 통해 레일 상에서 원활한 왕복이 가능하게 된다.
기타,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롤러(38)의 가장 바람직한 조건은 앞서 전동개폐기어(27)를 통한 셔터(20)의 구동 메카니즘을 설명하면서 설명하였던 바와 같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곡선 경로를 이루는 호형 레일의 내측에 곡선 경로를 따라 왕복하는 체인커버(30)가 레일의 안쪽 공간을 침범하여 짐칸의 내부에 적재되는 하물과의 충돌이 방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내측보완틀(16)이 도시되어 있다.이는 짐칸에 적재된 하물과의 충돌로 셔터(20)나 체인커버(30)의 원활한 왕복 구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호형 레일의 외측안내턱(13)은 도 8에 도시된 외측안내턱과 비교하여 보면 그 길이가 더 짧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체인커버(30)가 도 6에서와 같은 곡선 경로를 왕복하는 데 있어서 외측안내턱(13)과의 걸림으로 왕복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에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체인커버(30)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할 때 하부레일(11)에 설치된 상태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상부를 바라보는 형상을 갖추고 있어 이물질 유입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하부레일(1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이물질 유입의 우려가 적은 상부레일(10)에는 설치될 필요가 없음을 제시하는 것일 뿐이며, 물론 체인커버(30)가 반드시 하부레일(11)에만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10에는 하부레일의 단면 구조를 단지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하므로 하부레일의 구조가 반드시 도면에 제시된 구조일 필요는 없으며, 하부레일의 제작 및 조립의 편의를 고려한다면 일체형 내지는 분할형으로 자유로이 구성할 수 있다 함은 당연하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직선형 레일에 분할형 체인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에는 레일 상에 체인커버(30)를 설치시키거나 분해시키기 용이하도록 고려한 체인커버(30)의 보다 바람직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커버(31)는 내측단편커버(31a)와 외측단편커버(31b)로 이분되어 있으며, 이렇게 이분된 커버(31a,31b)와 복수의 연결판(37)은 상호 볼트로 링크될 수 있다. 결국 체인커버(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호형레일단편(15)을 통해 손쉽게 레일 내부로 입설 또는 분리시킬 수도 있겠으나 도 11과 같이 이분된 커버(31a,31b)를 통해 레일 내부에 입설된 상태로 국소 부분이 손쉽게 분해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2는 셔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셔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장치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록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록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짐칸의 밀폐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셔터를 고정시키는 소위 잠금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잠금장치는,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1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바(40), 셔터(20)를 그 일측에 설치된 후크(29)를 통해 고정 및 이탈시키는 록커(41), 및 록커(41)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박스(42)를 포함한다. 후크(29)는 도 2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크로스바(40)는, 셔터(20)를 고정 및 이탈시키는 록커(41)를 설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짐칸의 상하로 설치된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11)을 가로질러 설치된다. 물론, 크로스바(40)는 체인커버(30)가 레일을 따라 왕복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그 양단부가 레일의 상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체인커버(30)가 크로스바(4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커(41)는, 고정 및 이탈 동작이 이루어져 셔터(20)를 구속 또는 석방시키는 구성으로서, 크로스바(40)에 설치되는 외체(44), 외체(44) 내에 왕복되도록 설치되는 승강판(46), 외체(44)와 승강판(46)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판(46)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7)을 포함한다.
이때, 외체(44)는 그 중앙부에 후크(29)가 관통될 공간을 제공하는 관통창(43)이 형성되어 있고, 승강판(46)은 관통창(43)과 마찬가지로 후크(29)가 관통되도록 하는 걸림창(45)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박스(42)는, 외체(44) 내에 설치되어 왕복되는 승강판(46)에 하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승강판(46)의 일측과 체결되는 인출선(48a)이 구비되어 인출선(48a)의 당기는 힘을 통해 승강판(46)을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인출선(48a)의 당기는 힘은 통상 마그넷 스위치(Magnet switch) 등으로부터 비롯될 수 있으며, 이하 마그넷 스위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생략한다.
한편, 첨부된 도 12 및 도 13에는 하나의 크로스바(40)에 한 쌍의 록커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셔터(20)를 보다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함으로 크로스바(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록커는 중계선(48b)을 통해 상호 체결되어 하나의 스위치박스(42)로 한 쌍의 록커가 동시에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 도 14를 통해 록커(41)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도 14에는 록커(41)의 구체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로 승강판(46)의 양측에는 체결홈(50a, 50b)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의 체결홈(50a)은 중계선(48b)과 체결되고, 하부의 체결홈(50b)은 인출선(48a)과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셔터(20)의 일측에 설치되는 후크(29)에는 슬라이드면(49a)이, 승강판(46)의중앙부에 형성된 관통창(43)에는 경사면(49b)이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만약, 도 2와 같이 짐칸이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셔터(20)를 당겨 후크(29)를 크로스바(40)의 위치까지 도달시키면, 셔터(20)의 일측에 설치된 후크(29)는 관통창(43)을 지나 걸림창(45)을 관통하게 되며, 후크가 관통창(43)을 통과하면 후크(29)의 슬라이드면(49a)이 관통창(43)의 경사면(49b)과 마찰하는 과정에서 승강판(46)이 하강하게 되고, 후크(29)가 일정거리 이상 진입되어 슬라이드면(49a)이 경사면을 모두 통과하게 되면 승강판(46)은 스프링(47)의 복원력으로 다시 상승되어 셔터(20)가 잠기게 된다.
반대로, 록커(41)에 의해 구속된 셔터(20)를 다시 석방시키려면 스위치박스(42)를 통해 승강판(46)에 하강 구동력을 전달하여야 하며, 스위치박스(42)의 작동으로 인출선(48a)이 당겨져 승강판(46)이 하강 구동력을 전달받게 되면 후크(29)는 관통창(43)을 통과하여 록커(41)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가 설치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는 한쌍의 개폐유닛으로 이루어져 소정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는 반면, 하나의 개폐유닛으로도 소정 공간을 충분히 밀폐시킬 수 있다.
이는, 물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짐차의 짐칸을 구성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예컨대 구조물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 도 16에는 구조물의 4면 중 2개의면이 벽면(9c, 9d)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도 16에 도시된 상태는 구조물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셔터가 벽면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결국 셔터가 벽면의 내부에 위치하면 구조물은 개방되는 것이고, 반대로 셔터가 벽면의 외부로 노출되면 구조물은 밀폐된다.
구조물은, 예컨대 버스카드 판매소, 구두 수선소, 지하철 역내 신문 판매소 등과 같은 소형 점포가 해당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형 셔터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롤러, 수직롤러를 셔터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시키는 체인형 셔터롤러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17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형 셔터롤러는 한 쌍의 연결판(58a, 58b)이 복수개 링크되어 이루어지는 체인, 한 쌍의 연결판(58a, 58b)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롤러(24)와 수직롤러(25), 체인과 셔터판을 상호 결합시키는 지지대(59)를 포함한다.
체인은, 수평롤러(24)와 수직롤러(25)를 일정 간격 배열된 상태로 링크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한 쌍의 연결판(58a, 58b)이 복수개 링크되어 이루어진다.
도 17에 도시된 수평롤러(24), 수직롤러(25), 하우징(26) 등은 도 4 내지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대응되는 구성이다.
지지대(9)는, 체인과 셔터판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연결판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 역시도 도 5에 도시된 지지대(9)와 대응되는 구성이다.
한편, 이와 같은 체인형 셔터롤러는 도 4에서와 같이 셔터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설치될 때 도 5에서 설명하였던 포합관과 포합구의 링크된 중심선상과 체인의 링크된 중심선상이 일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함은 당연하다.
기타, 미설명부호 51a, 51b, 51c, 51d, 51e는 리벳, 52a, 52b는 각각 볼트와 너트, 53은 피복, 54는 벽면 고정용 피스, 55는 축받이, 56은 미관상 설치된 블록, 57은 피복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대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에 의하면 셔터가 순환식 폐곡선형을 이루는 레일 상에서 왕복되므로 셔터를 수납하는 셔터박스가 불필요하고, 체인커버를 통해 셔터의 기울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레일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셔터의 설치 가능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에 의하면 짐칸이 좌우로 개폐되는 개폐구조상 짐칸을 개폐하기가 쉽고, 짐칸을 수시로 개폐하기에도 용이하므로 물품의 운송과 진열이 수시로 반복되기에 적합하며, 셔터를 구동시켜 짐칸의 특정 위치만을 개방할 수도 있으므로 특정 물품을 꺼내기 위해 일일이 짐칸에 올라가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품 진열시에는 셔터를 구동시켜 다양한 형태로 짐칸을 꾸밀 수 있으므로, 예컨대 짐칸을 일부는 차단하고 일부는 개방하는 등의 방법으로 짐칸을 구성하고 취향에 따라 셔터에 홍보지 등을 붙이는 수완을 발휘함으로써 홍보효과를 높여 가판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개폐셔터용 체인커버에 의하면 셔터의 각종 롤러에윤활유를 많이 가할 수 있고 레일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구조물의 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의 기능을 충실히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체인형 셔터롤러에 의하면 포함구와 포합관의 링크 구조로 이루어진 셔터가 다소 유격이 있어 흔들리거나 기울어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여 복수의 셔터판을 강한 결속력으로 견고하게 링크시킬 수 있고, 복수의 셔터판으로 이루어진 셔터의 직립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셔터가 곡선 궤도를 왕복하게 될 경우에는 셔터가 원활히 왕복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셔터판을 체인형 셔터롤러의 지지대에 결합시켜 포합구와 포합관의 링크된 부위를 체인형 셔터롤러의 리벳, 보다 적합하게는 납작머리 리벳의 윗머리 부분과 밀착시키고, 포합구와 포합관의 링크된 중심선상을 리벳의 중심과 일치시키면 셔터판의 상부 역시 같은 구조로 연속 결착되므로 전체의 셔터 결합 상태가 직립을 유지하는데 효과가 크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1)

  1. 순환식 왕복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하부로 설치되는 폐곡선형의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 사이에서 왕복되며, 곡선 경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에는 각각 포합구와 포합관이 형성되고 상하부로는 롤러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셔터판이 복수개가 링크되어 이루어지는 셔터; 및
    상기 셔터의 양단부와 링크되어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의 경로를 따라 왕복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판이 복수개가 링크되어 이루어지고, 그 링크된 중심에는 커버롤러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체인커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개폐셔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에 걸쳐 설치되어 소정면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 사이에서 왕복되는 셔터가 저장되도록 하는 벽면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 상기 셔터, 및 상기 체인커버가 하나의 개폐유닛을 이루되, 상기 개폐유닛 한 쌍이 상호 인접 설치되어, 상기 셔터 한 쌍의 왕복으로 상기 개폐유닛 한 쌍이 이루는 공간이 개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상부에 설치되는 롤러는,
    상기 포합구와 상기 포합관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셔터의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는,
    상기 포합구와 상기 포합관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롤러와, 상기 셔터의 일측 포합구와 타측 포합관의 중심 위치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에는,
    상기 체인커버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내측안내턱과 외측안내턱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의 경로를 따라 이탈 없이 왕복될 수 있도록 상기내측안내턱과 상기 외측안내턱을 파지하는 형상을 갖춘 내측걸림턱과 외측걸림턱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내측안내턱을 파지한 상태로 레일의 곡선경로를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내측걸림턱의 양측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안내턱을 파지한 상태로 레일의 곡선 경로를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외측걸림턱의 일측에는 호형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이분된 내측단편커버와 외측단편커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는, 상기 포합구와 상기 포합관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롤러와, 상기 셔터의 일측 포합구와 타측 포합관의 중심 위치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롤러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롤러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수평롤러의 원주면과 동일한 원주면을 갖는 하우징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레일의 절곡된 부위에는, 상기 수평롤러의 직경에 대응되는 치형을 갖는 전동개폐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전동개폐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셔터가 왕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하부에는, 한쌍의 연결판이 복수개 링크되어 이루어지는 체인과, 상기 연결판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이 상기 셔터판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지지대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롤러는 상기 연결판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연결판 사이로 설치되고, 상기 수직롤러는 상기 한 쌍의 연결판 사이로 상기 연결판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
  10. 순환식 왕복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폐곡선형의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 사이에서 왕복되며, 곡선 경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에는 각각 포합구와 포합관이 형성되고 상하부로는 롤러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셔터판이 복수개 링크되어 이루어지는 셔터; 및
    상기 셔터의 양단부와 링크되어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각각의 경로를 따라 왕복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판이복수개가 링크되어 이루어지고, 그 링크된 중심에는 커버롤러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체인커버;
    를 포함하는 개폐유닛 한 쌍이 상호 인접 설치되어 하물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짐차의 짐칸을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레일 상부에는 상판이 설치되어, 상기 셔터 한 쌍의 왕복으로 상기 짐칸이 개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레일에는, 빗물 등의 침입으로 인해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누수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레일과 상기 한 쌍의 하부레일 각각은, 그 절곡된 부위가 분해 또는 결합될 수 있도록 절결된 호형레일단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셔터의 입설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순환식 셔터를 구비한 짐차.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는, 상기 포합구와 상기 포합관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롤러와, 상기 셔터의 일측 포합구와 타측 포합관의 중심 위치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롤러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롤러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수평롤러의 원주면과 동일한 원주면을 갖는 하우징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레일의 절곡된 부위에는, 상기 수평롤러의 직경에 대응되는 치형을 갖는 전동개폐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전동개폐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셔터가 왕복되어 상기 짐칸이 개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하부에는, 한쌍의 연결판이 복수개 링크되어 이루어지는 체인과, 상기 연결판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이 상기 셔터판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지지대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롤러는 상기 연결판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연결판 사이로 설치되고, 상기 수직롤러는 상기 한 쌍의 연결판 사이로 상기 연결판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 및 상기 하부레일의 곡선 경로 내측에는, 그 곡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커버의 내측 침범으로 상기 짐칸에 적재된 하물과의 충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측보완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에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관통창이 형성된 외체와, 상기 외체 내에 왕복되도록 설치되며 중앙부에 걸림창이 형성된 승강판과, 상기 외체와 상기 승강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승강판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구비된 록커;
    상기 승강판에 체결되는 인출선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판에 하강구동력을 제공하는 스위치박스;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셔터의 일측에는 후크가 설치되어 상기 셔터를 닫을 때에는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창에 구속되어 잠기도록 하고, 상기 셔터를 열 때에는 상기 인출선의 당김 동작으로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창으로부터 석방되어 열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는 상기 크로스바에, 상기 후크는 상기 셔터의 일측에 상하로 각각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록커는 상호 중계선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셔터가 이중으로 잠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창에는 슬라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에는 상기 슬라이드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창을 관통할 때 상기 슬라이드면이 상기 경사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승강판이 하강된 후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다시 상승되어 상기 셔터가 잠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순환식 개폐셔터를 구비한 짐차.
  19. 레일 상을 왕복하는 셔터의 양단부와 링크되어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레일의 경로를 따라 왕복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판이 복수개가 링크되고, 그 링크된 중심에는 커버롤러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레일에는 양측에 내측안내턱과 외측안내턱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레일의 경로를 따라 이탈 없이 왕복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안내턱과 상기 외측안내턱을 파지하는 형상을 갖춘 내측걸림턱과 외측걸림턱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내측걸림턱의 양측과 상기 외측걸림턱의 일측에는 곡선 경로를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각각 홈과 호형면이 형성되어, 상기 셔터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셔터가 통과한 상기 레일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개폐셔터용 체인커버.
  20. 셔터판이 직립을 유지하고 곡선 궤도를 왕복하기에 용이하도록, 한 쌍의 연결판이 복수개 링크되어 이루어지는 체인과, 상기 연결판의 링크된 중심선상에 회전중심이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연결판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롤러와, 상기 연결판의 일측에결합되어 상기 체인이 상기 셔터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형 셔터롤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판 사이로 상기 연결판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체인형 셔터롤러.
KR10-2001-0036511A 2001-06-26 2001-06-26 순환식 개폐셔터, 이를 구비한 짐차, 순환식 개폐셔터용체인커버, 및 체인형 셔터롤러 KR100423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511A KR100423884B1 (ko) 2001-06-26 2001-06-26 순환식 개폐셔터, 이를 구비한 짐차, 순환식 개폐셔터용체인커버, 및 체인형 셔터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511A KR100423884B1 (ko) 2001-06-26 2001-06-26 순환식 개폐셔터, 이를 구비한 짐차, 순환식 개폐셔터용체인커버, 및 체인형 셔터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230A true KR20010079230A (ko) 2001-08-22
KR100423884B1 KR100423884B1 (ko) 2004-03-22

Family

ID=1971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511A KR100423884B1 (ko) 2001-06-26 2001-06-26 순환식 개폐셔터, 이를 구비한 짐차, 순환식 개폐셔터용체인커버, 및 체인형 셔터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8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7357A (zh) * 2018-04-24 2018-09-21 上海有个机器人有限公司 一种储物仓仓门、储物仓及运输机器人
KR102171820B1 (ko) * 2020-05-29 2020-10-29 주식회사 동곡기정 화물적재함
KR20230058745A (ko) * 2021-10-25 2023-05-03 (주)광석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2217U (ko) * 1977-10-08 1979-05-01
JPH06200678A (ja) * 1992-11-16 1994-07-19 Bousou Shatai Kk 貨物自動車用シャッタードア
JP2893315B2 (ja) * 1994-04-04 1999-05-17 高田車体株式会社 トラック荷台における框付伸縮カ−テンの全開放構造
KR970049396U (ko) * 1996-01-09 1997-08-12 이진호 화물차 적재함 덮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7357A (zh) * 2018-04-24 2018-09-21 上海有个机器人有限公司 一种储物仓仓门、储物仓及运输机器人
KR102171820B1 (ko) * 2020-05-29 2020-10-29 주식회사 동곡기정 화물적재함
KR20230058745A (ko) * 2021-10-25 2023-05-03 (주)광석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3884B1 (ko) 200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84332A (zh) 用于车辆的滑动车门装置
AU659908B2 (en) Apparatus for partitioning a storage space
KR100423884B1 (ko) 순환식 개폐셔터, 이를 구비한 짐차, 순환식 개폐셔터용체인커버, 및 체인형 셔터롤러
US6247740B1 (en) Wall divider system for use in trucks
US6474521B1 (en) Multiple-compartment storage chest for vehicles
US4240357A (en) Folding rail car doors
CN209000115U (zh) 一种自动售货机及自动售货机的防盗结构
JP4790429B2 (ja) 貨物自動車の荷箱構造
JP2010155600A (ja) 荷受台昇降装置
KR101856174B1 (ko) 덤프트럭의 자동덮개
JP3338271B2 (ja) 冷凍運搬装置
US3237959A (en) Mobile unit having power operated means mounted in a torque tube
US3215226A (en) Mobile unit
US6226924B1 (en) Sealing rail car door
KR101720208B1 (ko)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
KR950005127Y1 (ko) 박스카의 도어 개폐장치
US20070164573A1 (en) Trailer locking system
JP3236867U (ja) スライドドアのロック構造
JPS60209340A (ja) 自動車
KR102414692B1 (ko) 매립형 적재함 리어게이트 지지장치
KR102553138B1 (ko) 탑차 적재함
JP2947173B2 (ja) バン型車両のスライドドア
KR200356260Y1 (ko) 이동식 다용도 판매용 탑차
CN111319548A (zh) 一种封闭式中置轴轿运车
CN114517620A (zh) 货物配送车辆的后门自动开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