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745A -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 - Google Patents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745A
KR20230058745A KR1020210142311A KR20210142311A KR20230058745A KR 20230058745 A KR20230058745 A KR 20230058745A KR 1020210142311 A KR1020210142311 A KR 1020210142311A KR 20210142311 A KR20210142311 A KR 20210142311A KR 20230058745 A KR20230058745 A KR 20230058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shutter
opening
door
automatic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152B1 (ko
Inventor
윤광열
Original Assignee
(주)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석 filed Critical (주)광석
Priority to KR1020210142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1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58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터가 구동장치를 통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면서 개구부를 폐쇄하거나 적재함의 천장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면서 개구부를 완전 개방하는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Automatic roll up door for van body of small truck}
본 발명은 화물차량에 마련되는 적재함의 후면이나 측면 중 일측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정 폭과 높이를 갖는 복수의 슬릿이 상호 힌지연결되며, 각 슬랫의 양측 단부에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롤러가 장착되는 셔터와; 상기 셔터의 롤러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의 상단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하단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셔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은 적재된 화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적재함이 박스형으로 된 적재함을 필요로 하였으며 상기 박스형 적재함에 화물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1a)와 같이 상기 적재함의 양측을 개방하는 사이드 도어를 설치하여 상기 적재함 전체가 개방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적재함을 개폐하는 사이드 도어는 상기 적재함의 양측 전체가 개방될 수 있도록 적재함 상측의 중앙에 힌지 결합된 사이드 도어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화물차의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개방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적재함 개폐장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사이드 도어가 적재함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상기 사이드 도어의 회동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만 사이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므로서 좁은 공간에서는 상기 사이드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제기되었으며 그에 따른 화물의 상하차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시된 등록특허 제10-1684974호의 적재함 개폐장치를 도 1b)를 통해 살펴보면, 외부몸체를 이루는 케이스(103), 이 케이스(103) 후방의 개방구(111)를 개폐하는 셔터(105), 셔터(105) 개방 시 개방된 셔터(105)를 수용하는 셔터함(107), 그리고 셔터(105)를 승강시키는 구동뭉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셔터함(107) 내에 설치된 구동뭉치를 가동함으로써 셔터함(107) 안으로 셔터(107)를 감아올리거나 셔터함(107) 내의 셔터(107)를 풀어내려 개방구(111)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의 셔터함(107)은 도 1b)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셔터(107)를 몇 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말아 감을 수밖에 없고, 따라서 셔터(107)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직경이 급격하게 증대되기 때문에 적재함 내부의 가용 면적이 셔터의 두께에 비례하여 줄어드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용면적을 늘리기 위한 방법으로서 셔터의 두께를 얇게 하여 셔터함의 직경을 줄이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이 경우 셔터의 강도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셔터가 구동장치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물차량에 마련되는 적재함의 후면이나 측면 중 일측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정 폭과 높이를 갖는 복수의 슬릿이 상호 힌지연결되어 일측 슬릿과 타측 슬릿 간에 굴절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각 슬랫의 양측 단부에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롤러가 장착되는 셔터도어와;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롤러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셔터도어의 개폐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적재함의 내부에서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연결핀이 걸림되는 걸림홈이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구동축을 따라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셔터도어를 승하강시키는 스프로켓 형태의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셔터도어의 완전개방 위치를 결정하는 리미트스위치가 상기 제2구간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개구부의 양측으로 적재함의 내벽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직선구간과, 상기 적재함의 상단 내벽면 양측에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직선구간과, 상기 수직 방향의 제1구간과 수평 방향의 제2구간을 연결하는 곡선 형태의 곡선구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셔터가 구동장치를 통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면서 개구부를 폐쇄하거나 적재함의 천장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면서 개구부를 완전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슬라이딩 도어를 감아 올리기 위한 공간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적재공간이 확보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용 도어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의 개략적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밴형 화물차(vantype truck)는 차량의 구조를 담당하는 차체프레임 위로 바닥면과, 상면과,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갖는 박스형의 함체 구조의 적재함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적재함의 후면 또는 측면에는 물품을 적재함에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소정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밴형 화물차에 마련되는 적재함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에 관한 것으로, 셔터가 구동장치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자동 이동하면서 상기 적재함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 롤업 도어에 관한 것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의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은 셔터(10)와, 가이드레일(20)과, 구동장치(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셔터(10)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소정 폭과 높이를 갖는 복수의 슬릿(11)이 상하로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일측 슬릿은 인접한 타측 슬릿과 양측 단부 및 중앙부가 상호 힌지(12)로 연결되어 상호 연결된 힌지를 중심으로 일측 슬릿과 타측 슬릿 간에 굴절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랫(11)의 양측 단부에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롤러(13)가 장착된다. 상기 롤러는 고정브라켓(14)을 매개로 슬랫(11)와 결합되며, 후술할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셔터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셔터(10)가 수평 또는 수직상태에서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굴절되면서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롤러를 안내하는 소정 길이의 레일이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롤러의 구름 운동을 안내할 수 있고, 롤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의 외륜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적재함의 길이 방향에 대한 셔터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적재함의 상단 내벽면으로부터 개구부의 하단까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개구부의 양측으로 적재함의 내벽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직선구간(21)과, 상기 적재함의 상단 내벽면 양측에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직선구간(22)과, 상기 수직 방향의 제1구간과 수평 방향의 제2구간을 연결하는 곡선 형태의 곡선구간(23)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슬릿 가운데 최상측에 배치되는 슬릿과 결합되는 롤러가 상기 제1직선구간(21)에 배치되는 경우 셔터(10)가 수직으로 배치되면서 개구부를 폐쇄하며, 제2직선구간(22)에 배치되는 경우 셔터(10)가 적재함의 상단 내벽면과 대향되는 형태로 배치되면서 개구부를 개방한다. 또한, 상기 곡선구간을 통과할 때는 상호 힌지결합된 복수의 슬릿이 굴절회전을 하면서 셔터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셔터(10)가 제2직선구간(22)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롤러(13) 및 가이드레일(20)에 의해 적재함의 상단 내벽면과 접촉되지 않고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와 적재함의 상단 내벽면 간의 마찰에 의한 스크래치나 마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상기 구동장치(30)는 상기 셔터의 개폐동작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 측 천장에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장치(30)는 구동모터(31)와, 구동축(32)과, 회전기어(3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31)는 상기 셔터의 개폐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속도를 줄이고 힘을 증대시켜 중량체의 셔터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기어드모터(감속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축(32)은 상기 적재함의 내부에서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3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구동모터 작동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구동축(32)에는 유사시 등에 탄성작용에 의해 반자동으로 셔터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토션스프링(321)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기어(33)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걸림홈(331)이 배열형성되는 스프로켓 형태의 기어로서, 상기 구동축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구동축을 따라 정,역회전된다.
상기 걸림홈(331)에는 상기 슬릿의 단부에 장착된 롤러(13)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연결핀(131)이 걸림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33)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하로 배치된 각 슬릿의 연결핀(131)이 순차적으로 회전되는 회전기어의 걸림홈(331)에 걸림고정되면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연결핀에 연결된 롤러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셔터를 이동시켜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컨트롤러(50)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50)는 적재함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별도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개구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개폐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구간(22)의 일측에는 상기 셔터의 완전개방 위치를 결정하는 리미트스위치(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리미트스위치(40)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셔터를 이동시켜 개구부를 개방시킬 때 최상측의 슬릿이 상기 리미트스위치와 접촉되면 상기 제어부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구동모터를 정지시킴으로써 셔터가 더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구동장치에 의해 셔터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개구부를 개방하는 경우 셔터가 적재함의 상단 내벽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를 감아 올리는 방식에 비해 적재함 내부의 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셔터도어
11 : 슬릿 12 : 힌지
13 : 롤러 131 : 연결핀
14 : 고정브라켓
20 : 가이드레일
21 : 제1직선구간 22 : 제2직선구간
23 : 곡선구간
30 : 구동장치
31 : 구동모터
32 : 구동축 321 : 토션스프링
33 : 회전기어 331 : 걸림홈
40 : 리미트스위치
50 : 컨트롤러

Claims (3)

  1. 화물차량에 마련되는 적재함의 후면이나 측면 중 일측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정 폭과 높이를 갖는 복수의 슬릿이 상호 힌지연결되어 일측 슬릿과 타측 슬릿 간에 굴절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각 슬랫의 양측 단부에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롤러가 장착되는 셔터(10)와;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롤러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0)과;
    상기 셔터의 개폐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적재함의 내부에서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연결핀이 걸림되는 걸림홈이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구동축을 따라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셔터를 승하강시키는 스프로켓 형태의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구동장치(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완전개방 위치를 결정하는 리미트스위치가 상기 제2구간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개구부의 양측으로 적재함의 내벽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직선구간과, 상기 적재함의 상단 내벽면 양측에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직선구간과, 상기 수직 방향의 제1구간과 수평 방향의 제2구간을 연결하는 곡선 형태의 곡선구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
KR1020210142311A 2021-10-25 2021-10-25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 KR102628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311A KR102628152B1 (ko) 2021-10-25 2021-10-25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311A KR102628152B1 (ko) 2021-10-25 2021-10-25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745A true KR20230058745A (ko) 2023-05-03
KR102628152B1 KR102628152B1 (ko) 2024-01-23

Family

ID=8638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311A KR102628152B1 (ko) 2021-10-25 2021-10-25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1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3470A (en) * 1987-04-29 1991-02-19 Diesel Equipment Limited Latch for powered door assembly
KR20010079230A (ko) * 2001-06-26 2001-08-22 최병관 순환식 개폐셔터, 이를 구비한 짐차, 순환식 개폐셔터용체인커버, 및 체인형 셔터롤러
KR20050090727A (ko) * 2004-03-09 2005-09-14 형제산업(주) 컨테이너카의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KR20200020059A (ko) * 2018-08-16 2020-02-26 김성춘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3470A (en) * 1987-04-29 1991-02-19 Diesel Equipment Limited Latch for powered door assembly
KR20010079230A (ko) * 2001-06-26 2001-08-22 최병관 순환식 개폐셔터, 이를 구비한 짐차, 순환식 개폐셔터용체인커버, 및 체인형 셔터롤러
KR20050090727A (ko) * 2004-03-09 2005-09-14 형제산업(주) 컨테이너카의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KR20200020059A (ko) * 2018-08-16 2020-02-26 김성춘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152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51220A1 (en) High-Speed Industrial Roller Gate
US20040177934A1 (en) Garage door movement apparatus
JP2018521244A (ja) モータ作動式垂直移動型ゲート
US20110290431A1 (en) Overhead door assembly for a storage container
JP6524403B2 (ja) 分割扉構造
US20230265705A1 (en) A door operator system
JP2014523987A (ja) 移動可能なドアリーフガイドを有する昇降ドア
JPWO2008114344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CN106460452A (zh) 具有可枢转导向滚轮的拼合门
WO2013099956A1 (ja) 車両用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および車両用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を備えた車両用ドア構造
CN111542673B (zh) 一种门
KR20230058745A (ko)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
US6719033B2 (en) Power operated multi-paneled garage door opening system
US20190225456A1 (en) Cable drum construction for multiple, horizontal, articulating panel door assembly
US6289966B1 (en) Door
KR102171820B1 (ko) 화물적재함
JP2014189040A (ja) 可動扉装置
KR20200144419A (ko) 체인형 오버헤드도어
KR20200144416A (ko) 체인형 오버헤드도어
JP3307726B2 (ja) ブラインド式シャッター
JP3232674U (ja) シャッター開閉機構
JP7053025B2 (ja) 非常電話ボックスの扉装置
KR20200144418A (ko) 체인형 오버헤드도어
KR101840291B1 (ko) 수직 수평 도어
JP2823627B2 (ja) パネルシヤツ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