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820B1 - 화물적재함 - Google Patents

화물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820B1
KR102171820B1 KR1020200065485A KR20200065485A KR102171820B1 KR 102171820 B1 KR102171820 B1 KR 102171820B1 KR 1020200065485 A KR1020200065485 A KR 1020200065485A KR 20200065485 A KR20200065485 A KR 20200065485A KR 102171820 B1 KR102171820 B1 KR 102171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opening
box
case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곡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곡기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곡기정
Priority to KR102020006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1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shutters to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0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outside the 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각종 물품을 적재하도록 외부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3); 상기 케이스(3)의 개방구(11)를 개폐하는 셔터(5); 상기 개방구(11) 위로 올려진 상기 셔터(5)를 수납하는 셔터함(7); 및 상기 개방구(11)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셔터(5)를 구동모터(53)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뭉치(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셔터(5)는 길이방향으로 분절되도록 연결된 복수의 셔터판(1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셔터함(7)은 상기 셔터(5)를 1회전 미만으로 말아 접어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개방된 상태의 셔터가 수납되는 셔터함의 높이 즉, 두께나 길이를 크게 증대시키지 않고도, 셔터판의 두께를 두껍게 제작할 수 있으며, 셔터의 강도나 내구도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화물적재함{Cargo Box}
본 발명은 화물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함의 내부 수용공간에 각종 물품을 싣기 위해 개방된 적재함 케이스의 개방구를 셔터로 개폐함에 있어, 셔터의 강도를 높이면서도 셔터를 수납하는 셔터함으로 인해 수용공간의 활용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 화물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을 운반하는 화물차의 적재함은 적재함 후방에 힌지로 연결된 여닫이문을 통해 적재함 개방구를 개폐한다. 그런데, 이러한 힌지 구조의 여닫이문은 여닫이문이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개폐동작을 반자동화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러한 난점을 고려하여 종전에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적재함 개폐장치(등록특허 제10-1684974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 개폐장치가 적용된 적재함(101)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몸체를 이루는 케이스(103), 이 케이스(103) 후방의 개방구(111)를 개폐하는 셔터(105), 셔터(105) 개방 시 개방된 셔터(105)를 수용하는 셔터함(107), 그리고 셔터(105)를 승강시키는 구동뭉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개폐장치가 적용된 위와 같은 적재함(101)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셔터함(107) 내에 설치된 구동뭉치를 가동함으로써 셔터함(107) 안으로 셔터(107)를 감아올리거나 셔터함(107) 내의 셔터(107)를 풀어내려 개방구(111)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셔터함(107)은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107)를 몇 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말아 감을 수밖에 없고, 따라서 셔터(107)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직경이 급격하게 증대되는 바, 개방구(111)의 가용 면적을 크게 줄임으로써, 개방구(111)를 통한 케이스(103) 내부로의 출입을 크게 불편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개방구(111)의 가용면적을 늘리기 위해 셔터함(107)의 직경을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줄일 경우, 셔터(107)의 두께가 얇아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셔터(107)의 강도나 내구도를 증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셔터(107) 개방 시 케이스(103) 천장 쪽으로 올라오는 셔터(107)를 말지 않고 케이스(103) 천장을 따라 횡으로 길게 배치하여 수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셔터(107)를 수납하게 되면, 수납된 셔터(107)가 천장 거의 전체를 덮게 되므로, 셔터(107)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천장에 설치한 조명기구나 환기장치 등의 각종 설비를 셔터(107)로 인해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168497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적재함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셔터의 두께를 증대시켜 강도를 강화하면서도, 수납되는 셔터가 셔터함 내에 운동장 트랙과 같은 형태로 1회전이 안 되게 말아 접혀 수납되게 함으로써, 셔터함의 두께와 길이를 크게 증대시키지 않고 셔터를 셔터함 내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셔터함의 직경이나 길이를 크게 늘리지 않으면서도, 셔터함 내에 수납되는 셔터의 두께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셔터의 강도나 내구성도 크게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셔터를 이루는 개별 셔터판이나 셔터를 안내하는 케이스 개방구 프레임 등의 형상이나 연결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셔터 외면의 빗물 등 물기가 셔터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종 물품을 적재하도록 외부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를 개폐하는 셔터; 상기 개방구 위로 올려진 상기 셔터를 수납하는 셔터함; 및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셔터를 구동모터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뭉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셔터는 길이방향으로 분절되도록 연결된 복수의 셔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셔터함은 상기 셔터를 1회전 미만으로 말아 접어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화물적재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셔터판은 상기 개방구 측변 및 상기 셔터함 측벽을 따라 구름 이동하도록 측면에 장착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개방구 측변을 따라 상기 롤러를 안내하도록 형성된 제1 안내홈을 포함하며, 상기 셔터함은 상기 측벽을 따라 상기 롤러를 안내하도록 형성된 제2 안내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안내홈은 상기 셔터를 1회전 미만으로 말아 접어 수납하도록 한 쌍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를 중간에서 연결하는 곡선부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셔터판은, 상기 셔터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를 이웃한 몸체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상기 몸체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과 이웃한 브래킷을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몸체와 이웃한 몸체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단에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된 핀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웃한 셔터판의 상기 핀부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함입된 받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핀부가 이웃한 몸체의 상기 받이부에 끼워진 때, 서로 포개지는 상기 브래킷의 통공을 통해 상기 핀부의 축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롤러의 회전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이웃한 몸체와 인접하는 상하면이 상기 셔터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아래로 기울도록 경사지며, 상기 핀부와 상기 받이부는 상기 상하면 중 어느 한 쪽 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하면 상에서 상기 셔터가 굽는 쪽 방향의 모서리를 포함하도록 한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뭉치는 상기 구동모터가 휠축 내에서 승강휠 내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물적재함에 따르면, 개방된 상태의 셔터가 수납되는 셔터함의 높이 즉, 두께나 길이를 크게 증대시킬 우려없이 셔터 즉, 셔터판의 두께를 두껍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셔터의 강도나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셔터판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셔터함 안으로 수납되는 과정에서 절곡되는 곡률반경이 증대되어도, 셔터는 절곡되는 형태가 운동장 트랙과 같이 정역 두 방향의 직선부와 이 두 직선부를 중간에서 연결하는 곡선부로 이루어지면서, 1회전을 초과하여 말아 접히지 않게 되어 있으므로, 절곡되는 회수를 최소화하여 셔터함의 높이 증대를 억제하는 동시에,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셔터의 두께를 증대시켜 강도를 강화하면서도, 셔터함의 높이나 길이를 크게 증대시키지 않으므로, 케이스 개방구의 가용면적을 최대한 넓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케이스 천장이 셔터함으로 인해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케이스 개방구 또는 천장의 가용면적 감소로 인한 작업 불편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셔터를 이루는 셔터판이 이웃한 셔터판과 서로 접촉하는 상하면을 셔터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아래로 기울어지게 경사 형성하고 있으므로, 셔터 외면의 물기가 상하 접촉면 틈새를 통해 셔터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내부 물품을 수침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셔터를 이루는 이웃한 두 셔터판를 핀부와 받이부 그리고 브래킷을 통해 간단하고 견고하면서도, 절곡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셔터의 가격 대비 각종 성능 즉, 내구성, 조작성, 안정성, 수밀성 등과 같은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휠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휠축 내부의 빈 공간에 설치하여 내부 구조를 더욱 컴팩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적재함 내외부의 외관이나 셔터함 또는 적재함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소요되는 부품이나 조립 작업의 시간이나 공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적재함을 셔터 개폐 전후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함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케이스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셔터함 내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3의 셔터 측단에서 본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셔터판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브래킷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함의 케이스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함의 케이스 내부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함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물적재함은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3), 셔터(5), 셔터함(7), 및 구동뭉치(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케이스(3)는 적재함(1)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의 공간에 실어나를 각종 물품을 적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이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모서리를 따라 배치된 골조프레임과, 이들 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상하전후좌우의 벽체를 형성하는 판재로 이루어진다.
특히, 케이스(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후방으로 열린 개방구(11)의 좌우측변을 따라 제1 안내홈(13)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안내홈(13)은 후술하는 롤러(17)를 끼워 안내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롤러(17)를 통해 셔터(5)를 상하로 미끄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3)는 개방구(11)와 셔터(5) 사이의 틈새로 빗물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도 6에 A로 확대 도시된 것처럼, 개방구(11)를 형성하는 좌우측변의 프레임(14)과 상변 프레임(16)에 내측변에 방수프레임(19)이 장착된다. 이 방수프레임(19)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끼움홈(18)이 좌우측변 프레임(14)과 상변 프레임(16)에 끼워져 고정되며, 셔터(5)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모헤어(20)를 통해 위 프레임(14,16)과 셔터(5) 사이의 틈새를 막음으로써 빗물 등의 침투를 저지한다.
상기 셔터(5)는 위와 같이 케이스(3)의 후방으로 열린 개방구(11)를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즉, 개폐되는 방향으로 분절된 복수의 셔터판(15)을 밀착, 연결하여 형성한다. 이때, 각각의 셔터판(15)은 도 5 및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인 셔터에 비해 두께를 늘려 강도를 높인 것으로, 개방구(11)의 좌우 측변을 따라 또 후술하는 셔터함(7)의 측벽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개방구(11) 좌우 측변이나 셔터함(7) 측벽을 따라 셔터판(15) 양측단을 그대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할 수 있지만, 도시된 것처럼,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측면에 롤러(17)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를 위해, 개방구(11) 좌우 측변의 제1 안내홈(13)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7)를 감싸 이탈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한편, 위와 같이 분절이 가능한 상태로 서로 연결되어 셔터(5)를 이루는 각각의 셔터판(15)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 브래킷(23), 및 연결수단(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몸체(21)는 셔터(5)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좁고 긴 판체로서, 중실로 되어도 무방하지만,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중공의 프레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 경우 몸체(21)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사출성형 등에 의해 제작이 가능하다. 다만, 사출성형 시 발생하는 양단의 개구부는 후술하는 브래킷(23)에 의해 마감한다.
한편, 몸체(21)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또 다시 핀부(31)와 받이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핀부(31)는 몸체(21)의 일단 예컨대, 도 7의 경우 상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바, 몸체(2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또, 받이부(33)는 몸체(21)의 타단 예컨대, 도 7에서는 하단에 오목하게 함입되어 형성되어, 몸체(2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이때. 받이부(33)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에 이웃한 셔터판(15) 몸체(21)의 핀부(31)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내주면의 함입된 단면 형상이 핀부(31) 외주면의 볼록한 단면 형상과 정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셔터판(15)은 이웃한 셔터판(15)의 몸체(21)와 인접하는 몸체(21)의 상하면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5)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아래로 기울도록 경사지는 바, 셔터(5) 외면이 빗물에 젖더라도, 외면에 묻은 빗물이 몸체(21)와 이웃한 몸체(21)의 경계 즉, 서로 접한 상하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셔터(5) 내부로 스며들기 어렵게 한다.
또한, 핀부(31)와 받이부(33)는 도 7 등과 같이, 핀부(31)를 몸체(21) 상단에, 받이부(33)를 몸체(21) 하단에 위치시킬 수 있지만, 반대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핀부(31)를 몸체(21) 하단에, 받이부(33)를 몸체(21) 상단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핀부(31)와 받이부(33)는 몸체 상하면0 중 어느 한 쪽 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한 쪽 끝에 핀부(31)가 형성되면, 반대쪽 끝에는 받이부(33)가 형성된다.
이때, 핀부(31)와 받이부(33)는 몸체(21) 상하면 중 어느 한 쪽 면 상에 위치함에 있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5)가 셔터함(7)으로 들어가면서 수평하게 굽는 방향 쪽의 모서리를 포함하도록 한 쪽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5)는 셔터함(7)으로 들어갈 때 도면 상 우측으로 즉, 뒤쪽으로 절곡되는 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핀부(31)와 받이부(33)는 각각 몸체(21) 상면 또는 하면의 도면 상 우측으로 즉, 셔터(5)가 굽어지는 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되며 따라서, 몸체(21)의 도면 상 우측단 모서리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셔터(5)가 뒤쪽으로 굽어질 때, 위쪽 몸체(21)의 받이부(33)는 도 6에 B로 표시된 것처럼, 아래쪽 몸체(21)의 핀부(3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위쪽 몸체(21)의 하면에는 받이부(33)가 우측 모서리에서부터 형성되어 있으므로, 또 아래쪽 몸체(21)의 상면에는 핀부(31)가 우측 모서리에서부터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쪽 몸체(21)의 받이부(33) 우측 모서리가 아래쪽 몸체(21)의 핀부(31) 우측 모서리와 만날 때까지 방해를 받지 않고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23)은 셔터판(15)과 이웃한 셔터판(15)을 체인과 같은 방식으로 연결하는 부재로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인접한 두 몸체(21)를 상대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한다. 또, 브래킷(23)은 몸체(21)가 중공체로 되어 있을 경우, 중공 몸체(21)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어 양측단의 개방구를 마감한다. 이를 위해, 몸체(21)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부분에 브래킷(23)을 결합하는 나사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공(35)이 형성된다. 특히, 브래킷(23)은 위와 같이 몸체(21)를 마감한 뒤, 핀부(31)가 받이부(33)에 결합될 때 결합측 단부가 이웃한 몸체(21)의 결합측 단부와 겹치게 되며, 이를 위해 단부 중 어느 한 쪽이 안착턱(42)을 형성하도록 꺾여 있다. 또, 브래킷(23)은 위와 같이 몸체(21) 양단을 마감한 때 핀부(31) 축공(43)을 가리지 않도록 양단에 통공(41)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끝으로, 상기 연결수단(25)은 브래킷(23)과 이웃한 브래킷(23)을 서로 간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셔터(5)를 조립한 때, 서로 겹쳐 있는 브래킷(23)의 단부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7)의 회전축을 연결수단(25)으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결수단(25) 즉, 롤러(17) 회전축은 셔터판(15) 조립 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핀부(31)가 이웃한 몸체(21)의 받이부(33)에 끼워진 때, 이웃한 두 브래킷(23)의 끝 부분을 서로 포개어 각 브래킷(23)의 통공(41)이 정렬되도록 한 뒤, 정렬된 통공(41)에 삽입되며, 통공(41)을 통과한 다음에는 핀부(31)의 축공(43)에 결합됨으로써, 브래킷(23)과 이웃한 브래킷(23)이, 더 나아가 몸체(21)와 이웃한 몸체(21)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따라서, 셔터판(15)이 절곡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셔터함(7)은 개방구(11)를 개방하도록 개방구(11) 즉, 케이스(3) 위쪽으로 올려진 셔터(5)를 수납하는 수단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5)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갖는 납작한 직육면체의 통체로 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셔터함(7)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5)를 1회전 미만으로 말아 접어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셔터함(7)은 좌우 양측벽 사이에서 셔터(5)를 지지하도록 양측벽을 따라 제2 안내홈(27)이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셔터판(15)은 양단을 제2 안내홈(27)에 끼우거나 또는 양단에 결합한 롤러(17)를 제2 안내홈(27)에 끼워 제2 안내홈(27)을 따라 미끄럼 또는 구름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이때, 제2 안내홈(27)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자로 길게 연장된 박판에 의해 단면 ㄷ자 형태로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셔터는 셔터함 입구에서 한 번만 ㄱ자 형태로 절곡되면 셔터함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함의 높이 즉, 두께는 크게 줄일 수 있지만 길이는 셔터의 길이만큼 길어진다. 또, 제2 안내홈(27)은 예컨대 파형을 그리면서 연장되어도 셔터함의 길이는 줄이면서 높이는 크게 높이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다만, 이 경우에는 수납 시 셔터의 절곡회수가 늘어나므로, 셔터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안내홈(27)을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5)를 1회전 미만으로 말아 접어 수납할 수 있도록 운동장 트랙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안내홈(27)은 상하 한 쌍의 직선부(27-1)와, 이 2 개의 직선부(27-1) 중간을 연결하는 곡선부(27-2)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셔터함(7)은 높이도 종래의 셔터함만큼 높지 않으면서, 길이도 일자로 길게 연장한 것보다 길지 않게 제작될 수 있다. 다만, 곡선부(27-2)는 셔터판(15)의 회동 가능 각도를 고려하여 최소의 곡률반경은 확보하여야 하며, 직선부(27-1)를 포함한 제2 안내홈(27) 전체의 길이는 수납되는 셔터(5)가 운동장 트랙 모양을 일주하지 않을 정도로의 길이를 가지면 된다.
한편, 제2 안내홈(27)은 위 어느 형태라도 마찬가지로 셔터(5)의 개방구(11) 완전폐쇄 위치를 결정하는 제1 리미트스위치(24)가 상측 직선부(27-1) 입구측에, 셔터(5)의 개방구(11) 완전개방 위치를 결정하는 제2 리미트스위치(26)가 하측 직선부(27-1) 출구측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구동뭉치(9)는 셔터(5)가 개방구(11) 개폐동작을 할 수 있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5)를 승강시키는 승강휠(51), 승강휠(51)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53), 그리고 구동모터(53)의 회전 구동력을 승강휠(51)로 전달하는 전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휠(51)은 휠축(52)을 통해 셔터함(7) 내에 설치되는 바, 셔터판(15)을 체인 방식으로 연결한 셔터(5)를 승강시키도록 스프로킷휠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승강휠(51)은 셔터판(15)의 연결수단(25)인 롤러(17) 회전축을 걸어 셔터(5)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외주연을 따라 복수의 걸개홈(55)이 형성된다. 또, 승강휠(51)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회전축이 전동수단을 통해 구동모터(53)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모터(53)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 구동모터(53)는 셔터함(7) 내에 승강휠(51)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바, 위와 같이 전동수단을 통해 승강휠(51)을 정역회전시킨다. 끝으로, 전동수단은 구동모터(53)의 회전 구동력을 승강휠(51)로 전달하여 승강휠(51)을 정역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셔터함(7)의 측벽 일측에 장착되며, 체인 또는 벨트조립체를 통해 구동모터(53)와 승강휠(51)을 연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적재함(1)은 변형된 실시 형태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의 측벽에도 개방구(11)를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당연히 측벽의 개방구(11)도 셔터(5)에 의해 개폐되며, 이때 셔터(5) 및 그 관련구성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재함(1)은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아 같이,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53)를 휠축(52) 내부의 빈 공간에 배치하여 승강휠(51) 내측에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뭉치(9)는 구동모터(53)와 승강휠(51)을 연결하는 전동수단을 달리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구동모터(53) 및 전동수단 뿐 아니라 이들을 위해 필요한 구조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적재함(1) 내외의 외관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으며, 셔터함(7) 내외부 더 나아가, 적재함(1)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적재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물적재함(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스(3)의 내부 공간에 각종 물품을 실어 나를 수 있도록 화물차 등에 설치되는 설비로, 케이스(3) 내에 물품을 실을 때는 케이스(3) 후방에 형성된 개방구(11)를 개방하도록 셔터(5)를 들어올린다. 반면, 적재가 끝난 때는 셔터(5)를 내려 개방구(11)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화물적재함(1)은 개방구(11)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먼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구동모터(53)를 동작시킨다. 구동모터(53)가 동작되면, 발생한 회전 구동력은 전동수단을 통해 승강휠(51)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승강휠(51)이 도 4 및 도 5의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하면, 걸개홈(55)이 연결수단(25) 즉, 롤러(17) 회전축을 화살표(C)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연결수단(25)이 들어올려지면, 롤러(17)는 제1 안내홈(13) 또는 제2 안내홈(27)을 따라 상승하고,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수단(25)을 통해 결합된 셔터판(15)이 함께 딸려 올라감으로써 셔터(5)는 상승하여 개방구(11)를 개방한다.
이때, 연결수단(25)에 의해 결합된 이웃한 한 쌍의 셔터판(15)은 도 6에 화살표(B)로 표시된 것처럼, 핀부(31)와 받이부(33)의 회동 가능 범위 내에서 최대로 절곡되며, 상승하는 셔터판(15)이 셔터함(7) 안으로 들어와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측 직선부(27-1)로 들어가는 과정, 또 상측 직선부(27-1)에서 곡선부(27-2)로 들어가는 과정, 그리고 다시 곡선부(27-2)에서 하측 직선부(27-1)로 들어가는 과정 동안, 이웃한 셔터판(15)이 상대 회동할 수 있는 최대 범위에 따라 셔터(5)의 절곡 곡률반경이 결정되는 바, 셔터함(7)은 이 곡률반경을 수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높이를 확보하여야 한다.
이렇게 해서 셔터함(7) 안으로 들어온 셔터(5)는 계속해서 제2 안내홈(27)의 상측 직선부(27-1)를 따라 전진하다가 곡선부(27-2)를 만나 180도 유턴하게 되며 이윽고 하측 직선부(27-1)를 따라 후진한다. 후진하는 셔터(5)는 제2 리미트스위치(26)를 만나 상승 이동을 멈춘 후, 개방구(11)가 개방되는 동안 셔터함(7) 내에 수용된다.
이후,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구동모터(53)가 역회전 동작하면, 셔터(5)는 위와 반대 과정을 거쳐 하강함으로써 개방구(11)를 재차 폐쇄하며, 셔터(5) 상단이 제1 리미트스위치(24)를 만나 하강 이동을 멈추게 된다. 이때 셔터(5)는 완전 폐쇄 상태가 되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차수브래킷(28)에 의해 하단에 결합된 차수띠(29)를 통해 개방구(11) 하변 프레임(12)과 셔터(5) 사이의 틈새로 빗물 등이 침투하지 못하게 한다.
이렇게 해서 셔터(5)는 일련의 조작을 통해 승강하면서 개방구(11)를 개폐동작을 완료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셔터함(7)에 수납 또는 반출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도 측면 개방구를 개폐하는 셔터가 위 셔터(5)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 : 화물적재함 3 : 케이스
5 : 셔터 7 : 셔터함
9 : 구동뭉치 11 : 개방구
13, 27 : 제1 및 제2 안내홈 15 : 셔터판
17 : 롤러 19 : 방수프레임
21 : 몸체 23 : 브래킷
24, 26 : 제1 및 제2 리미트스위치
27-1 : 직선부 27-2 : 곡선부
25 : 연결수단 28 : 차수브래킷
29 : 차수띠 31 : 핀부
33 : 받이부 41 : 통공
43 : 축공 51 : 승강휠
53 : 구동모터 55 : 걸개홈

Claims (7)

  1. 삭제
  2. 각종 물품을 적재하도록 외부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3);
    상기 케이스(3)의 개방구(11)를 개폐하는 셔터(5);
    상기 개방구(11) 위로 올려진 상기 셔터(5)를 수납하는 셔터함(7); 및
    상기 개방구(11)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셔터(5)를 구동모터(53)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뭉치(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셔터(5)는 길이방향으로 분절되도록 연결된 복수의 셔터판(1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셔터함(7)은 상기 셔터(5)를 1회전 미만으로 말아 접어 수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셔터판(15)은,
    상기 개방구(11) 측변 및 상기 셔터함(7) 측벽을 따라 구름 이동하도록 측면에 장착된 롤러(17);
    상기 셔터(5)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21);
    상기 몸체(21)를 이웃한 몸체(21)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상기 몸체(21)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브래킷(23); 및
    상기 브래킷(23)과 이웃한 브래킷(23)을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몸체(21)와 이웃한 몸체(21)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수단(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21)는,
    상기 몸체(21)의 일단에 상기 몸체(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된 핀부(31); 및
    상기 몸체(21)의 타단에 상기 몸체(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웃한 셔터판(15)의 상기 핀부(31)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함입된 받이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수단(25)은 상기 핀부(31)가 이웃한 몸체(21)의 상기 받이부(33)에 끼워진 때, 서로 포개지는 상기 브래킷(23)의 통공(41)을 통해 상기 핀부(31)의 축공(43)으로 삽입되는 상기 롤러(17)의 회전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는 상기 개방구(11) 측변을 따라 상기 롤러(17)를 안내하도록 형성된 제1 안내홈(13)을 포함하며,
    상기 셔터함(7)은 상기 측벽을 따라 상기 롤러(17)를 안내하도록 형성된 제2 안내홈(27)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안내홈(27)은 상기 셔터(5)를 1회전 미만으로 말아 접어 수납하도록 한 쌍의 직선부(27-1)와, 상기 직선부(27-1)를 중간에서 연결하는 곡선부(27-2)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함.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21)는 이웃한 몸체(21)와 인접하는 상하면이 상기 셔터(5)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아래로 기울도록 경사지며,
    상기 핀부(31)와 상기 받이부(33)는 상기 상하면 중 어느 한 쪽 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하면 상에서 상기 셔터(5)가 굽는 쪽 방향의 모서리를 포함하도록 한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함.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뭉치(9)는 상기 구동모터(53)가 휠축(52) 내에서 승강휠(51) 내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함.
KR1020200065485A 2020-05-29 2020-05-29 화물적재함 KR102171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485A KR102171820B1 (ko) 2020-05-29 2020-05-29 화물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485A KR102171820B1 (ko) 2020-05-29 2020-05-29 화물적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820B1 true KR102171820B1 (ko) 2020-10-29

Family

ID=7312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485A KR102171820B1 (ko) 2020-05-29 2020-05-29 화물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8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103B1 (ko) * 2020-12-21 2021-10-15 이해수 적재함의 높이 가변형 탑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230A (ko) * 2001-06-26 2001-08-22 최병관 순환식 개폐셔터, 이를 구비한 짐차, 순환식 개폐셔터용체인커버, 및 체인형 셔터롤러
KR101684974B1 (ko) 2015-07-10 2016-12-09 이숙희 상품 택배용 차량의 적재함 개폐장치
JP2018527490A (ja) * 2015-07-31 2018-09-20 エファフレックス インゼニリング ディ.オー.オー. リブリャナ 多角形効果のないローラシャッ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230A (ko) * 2001-06-26 2001-08-22 최병관 순환식 개폐셔터, 이를 구비한 짐차, 순환식 개폐셔터용체인커버, 및 체인형 셔터롤러
KR101684974B1 (ko) 2015-07-10 2016-12-09 이숙희 상품 택배용 차량의 적재함 개폐장치
JP2018527490A (ja) * 2015-07-31 2018-09-20 エファフレックス インゼニリング ディ.オー.オー. リブリャナ 多角形効果のないローラシャッ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103B1 (ko) * 2020-12-21 2021-10-15 이해수 적재함의 높이 가변형 탑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5206A (en) Pickup truck bed cover system
US7637060B2 (en) Side access container, garage, building, or shelter
US20040177934A1 (en) Garage door movement apparatus
KR102171820B1 (ko) 화물적재함
US4998577A (en) Device for stabilized opening and closing of a sliding panel
CN105229251A (zh) 用于打开和关闭车门的装置
US20210131178A1 (en) Door, in particular spiral door
KR102628152B1 (ko)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롤업 도어
KR200194522Y1 (ko) 지상에 설치된 터널가변식 주차설비
KR200269912Y1 (ko) 화물 차량용 적재함
JP7152237B2 (ja) 開閉装置
CN214826097U (zh) 一种新型物料提升机用吊笼
KR102100618B1 (ko) 위치 가변형 탄성시트로 구성된 윙바디트럭의 화물지지장치
KR200351517Y1 (ko) 컨테이너카의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KR100542373B1 (ko) 컨테이너카의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KR200453010Y1 (ko) 레일조립체
US20230114568A1 (en) Remotely located tonneau cover drive systems
KR950003755Y1 (ko) 차량 도색실의 개폐문 장치
JP2008106544A (ja) 開閉体案内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開閉体装置
JPH0728995Y2 (ja) ワンボツクスカーの自動リアシヤツター
JP3379876B2 (ja) 横引きスライド金庫扉における防水機構
JPH0736070Y2 (ja) シヤツタ−装置
JP2000136082A (ja) エレベーターのカゴドア
JP3726324B2 (ja) シャッター
KR200273406Y1 (ko) 사료 운반차량의 탱크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