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010Y1 - 레일조립체 - Google Patents

레일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010Y1
KR200453010Y1 KR2020070020504U KR20070020504U KR200453010Y1 KR 200453010 Y1 KR200453010 Y1 KR 200453010Y1 KR 2020070020504 U KR2020070020504 U KR 2020070020504U KR 20070020504 U KR20070020504 U KR 20070020504U KR 200453010 Y1 KR200453010 Y1 KR 200453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fixed
rail
brackets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328U (ko
Inventor
조정환
Original Assignee
조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환 filed Critical 조정환
Priority to KR2020070020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01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3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3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0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8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일조립체는 지지체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고, 일바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레일; 상기 각 고정레일의 내측에,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의 사이에 배치되는 블라인드본체와 함께 그 고정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브라켓; 및 상기 각 고정레일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브라켓과 블라인드본체를 하나의 구동원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레일, 이동브라켓, 이동수단

Description

레일조립체{Rail assembly}
본 발명은 레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측의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간이천막이나 건물의 창문 측에 설치되는 방범창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간소해진 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레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건물의 내측 뿐만 아니라 외측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하고 외측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간이천막이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간이천막을 적절하게 활용하게 되면, 소비자들의 편리성이 더욱 증대되어 영업소의 매출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간이천막에는 천막이나 차양(이하 '블라인드 본체'라 한다)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레일 조립체가 채용되는데, 상기 블라인드 본체를 자동으로 구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레일 조립체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품의 조립공차로 인하여 빗물이나 이물질이 상기 레일 조립체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떨어뜨리고, 상기 블라인드 본체를 구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레일 조립체의 구조적인 문제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 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막이나 차양과 같은 블라인드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레일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일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체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고, 일바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레일과, 상기 각 고정레일의 내측에,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의 사이에 배치되는 블라인드본체와 함께 그 고정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브라켓과, 상기 각 고정레일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브라켓과 블라인드본체를 하나의 구동원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블라인드본체는 상기 고정레일을 관통하는 연동바를 통해 상기 각 이동브라켓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레일에는, 상기 연동바의 관통으로 인한 틈새를 통해 빗물이나 이물질이 그 고정레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그 관통된 부분의 둘레에 제1후로킹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정레일에는, 상기 블라인드본체와 고정레일 간의 틈새를 통해 빗물이나 이물질이 그 고정레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라인드본체와 마주하는 일면에 제2후로킹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레일에는, 상기 체인의 회전으로 인한 소음전달을 억제시키기 위한 흡음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원은 모터이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회전바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각 고정레일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스프라켓들; 상기 각 고정레일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스프라켓들; 상기 각 제1스프라켓과 제2스프라켓에 권회되고, 상기 각 제2스프라켓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이동브라켓과 함께 이동가능하게 그 이동브라켓에 결합되는 체인들; 상기 이동브라켓들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 그 이동브라켓들 간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고, 상기 이동브라켓들이 서로 접근되는 경우에 그 접근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하는 간격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인접하게 배치된 이동브라켓들 간의 이격 및 접근동작이 가능하도록, 인접한 이동브라켓들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다른 하나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강성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레일은, 상기 강성와이어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그 강성와이어를 폐쇄시키는 폐쇄블럭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레일조립체는 하나의 구동원으로 복수의 이동브라켓들을 이동시킬 수 있어, 구조를 간소화시켜 제품의 양산성 및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조립체가 채용된 블라인드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조립체가 채용된 블라인드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 및 4는 본 발명 일실시예가 채용된 블라인드 조립체의 동작상태도이며, 도 5는 도 1의 Ⅴ-Ⅴ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대응되는 동작상태도이며, 도 7은 도 1의 Ⅶ-Ⅶ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대응되는 동작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레일 조립체는, 간이천막이나 방범창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고정레일(2)들과 이동브라켓(3)들과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고정레일(2)은,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철판 또는 알루니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이동브라켓(3)은,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2)의 사이에 배치되는 블라인드 본체(6)와 함께 상기 고정레일(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그 고정레일(2)에 설치되어서, 상기 고정레일(2)의 내측에서 서로 접근 및 이격된다. 상기 각 이동브라켓(3)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는 도 1,2,3,5 및 7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각 이동브라켓(3)이 서로 접근되어 있는 상태는 도 4 및 8에 도시되어 있 다.
상기 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에 의한 레일조립체가 채용된 블라인드 조립체의 회전동작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상기 블라인드 본체(6)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수단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회전수단은, 제1기어(41)들과 제2기어(42)들과 상기 동력전달바(5)들과 모터(54)와 회전바(53)와 헬리컬 기어들(51,52)을 구비한다.
상기 모터(54)의 구동으로 상기 회전바(53)가 회전되면, 상기 헬리컬 기어들(51,52)이 회전되고 상기 헬리컬 기어들 중 어느 하나(51)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그 어느 하나의 헬리컬 기어(51)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동력전달바(5)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바(5)가 회전되면, 상기 제1기어(41)들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기어(41)들의 회전으로 상기 제2기어(42)들 및 각 제2기어(42)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그 제2기어(42)에 결합되어 있는 연동바(61)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각 블라인드 본체(6)가 하나의 모터(54)의 구동으로 동시에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바(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기어(41)가 회전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각 제1기어(41)는 비원형홈을 가지고, 상기 각 동력전달바(5)는 상기 비원형홈에 삽입되는 비원형단면부를 가진다.
상기 제1기어(41)와 제2기어(42)는 동력전달 방향을 변환시켜 주기 위해 베벨 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41)는, 상기 각 이동브라켓(3)에 상기 고정레일(2)의 길이방향 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 이동브라켓(3)에 그 이동브라켓(3)과 함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다.
상기 각 제2기어(42)는, 상기 제1기어(41)의 회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그 제1기어(41)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각 이동브라켓(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브라켓(3)과 함께 이동가능하게 그 이동브라켓(3)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3,4,5 및 6을 참조하여 상기 각 이동브라켓(3)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모터(71), 회전바(72), 제1스프라켓(73)들, 제2스프라켓들(미도시), 체인(74) 및 간격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71)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바(72)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각 고정레일(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2스프라켓들을 동시에 회전시킨다. 상기 제2스프라켓들이 회전되면, 상기 제2스프라켓 및 제1스프라켓(73)에 권회되어 있는 체인(74)이 구동되고, 상기 체인(74)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이동브라켓(3)들 중 어느 하나(본 실시예에서는 최선단 이동브라켓(3)을 의미하나, 그 결합을 위한 구성은 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이동브라켓(3)과 고정레일(2)의 상대이동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B)이 채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베어링(B) 이외에 다른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롤러와 같이 상기 각 이동브라켓(3)과 고정레일(2)의 상대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체인(74)에 결합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이동브라켓(3)이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체인(74)의 구동에 따라 어느 하나의 이동브라켓(3)이 인접한 이동브라켓(3)을 밀면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인접한 이동브라켓(3)은 그에 인접한 이동브라켓(3)을 밀면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브라켓(3)들의 이동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브라켓(3')에 인접한 이동브라켓(3)이 그 고정브라켓(3')에 접촉될 때까지 이루어진 후, 센서(미도시)와 리미트 스위치(미도시) 등에 의해 상기 접촉이 감지됨으로써 중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이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모터(71)로 복수의 이동브라켓(3)들을 이동시킬 수 있어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통풍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블라인드 본체(6)를 도 4와 같은 상태로 이동시켜 원활한 통풍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이동브라켓(3)들이 도 5와 같이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 인접하게 배치된 이동브라켓(3)들 간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인접하게 배치된 이동브라켓(3)들 간의 이격 및 접근동작이 가능하도록, 인접한 이동브라켓(3)들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다른 하나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강성와이어(81)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강성와이어(81)는 인장력 및 굽힘응력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여, 상기 이동브라켓(3)들이 도 5와 같이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 그 이동브라켓(3)들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고, 상기 이동브라켓(3)들이 도 6과 같이 서로 접근되어 있는 경우에 그 구부러짐으로 인하여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물론, 상기 간격유지수단으로 상기 강성와이어(81) 이외에 다른 구조가 채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상기 강성와이어(81)가 채택됨으로써 구조가 더욱 간소해질 수 있는 장점은 다른 구조에 비해 더욱 부각될 것이다.
이러한 강성와이어(81)가 도 6 및 8과 같이 구부러져 있는 경우에는 그 구부러진 형상이 보기 좋지만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레일(2)은, 상기 강성와이어(81)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그 강성와이어(81)를 폐쇄시킬 수 있는 폐쇄블럭(82)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면 중 미설명부호 6', 61'은 각각 상기 블라인드 본체(6), 연동바(6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블라인드 본체(6)와 연동바(61)가 이동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짐에 대비하여 이동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50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6)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 이외에 상기 블라인드 본체(6)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회전블럭이며, 70은 상기 이동브라켓(3)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 이외에 그 이동브라켓(3)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이동블럭이다.
상기 고정레일(2)에는 상기 체인(74)의 회전으로 인한 소음전달을 억제시키기 위한 흡음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음부재로는 폴리에틸렌 소재를 이용한 공지의 흡음부재가 채용되나,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레일(2)에는, 도 7 및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B)과 접촉되지 않는 복수의 비접촉홈(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B)들 중 가운데 위치한 베어링(B)과 가장자리에 위한 베어링(B)들의 접촉면을 서로 달라지게 함으로써, 적은 수의 베어링(B)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브라켓(3)을 상기 고정레일(2)에 구름접촉 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동바(61)는 상기 고정레일(2)을 관통하여 상기 제2기어(42)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레일(2)에는, 상기 연동바(61)의 관통으로 인한 틈새를 통해 빗물이나 이물질이 그 고정레일(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그 관통된 부분의 둘레에 제1후로킹부재(20)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후로킹부재(2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연동바(6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그 연동바(61)에 접촉된다.
상기 고정레일(2)에는, 상기 블라인드본체와 고정레일(2) 간의 틈새를 통해 빗물이나 이물질이 그 고정레일(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라인드본체와 마주하는 일면에 제2후로킹부재(23)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후로킹부재(23)는 상기 제1후로킹부재(20)와 마찬가지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는 텐션유지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텐션유지수단은, 상기 각 고정레일(2)을 관통하여 상기 제2스프라켓에 결합되는 텐션바(91)와, 상기 텐션바(91)에 상기 고정레일(2)의 외측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92)을 구비하여서, 상기 체인(74)의 텐션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도 9와 10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조립체의 다른 채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조립체는 건물 외벽(101)에 창문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레일 조립체는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짐은 물론, 방범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02는 각각 상기 고정레일과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가지는 부재이고, 106과 106'는 상기 블라인드 본체와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가지는 부재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조립체가 채용된 블라인드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조립체가 채용된 블라인드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가 채용된 블라인드 조립체의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가 채용된 블라인드 조립체의 동작상태도.
도 5는 도 1의 Ⅴ-Ⅴ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대응되는 동작상태도.
도 7은 도 1의 Ⅶ-Ⅶ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대응되는 동작상태도.
도 9와 10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조립체의 다른 채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지지체 2:고정레일
20:제1후로킹부재 23:제2후로킹부재
3:이동브라켓 3':고정브라켓
41:제1기어 42:제2기어
5:동력전달바 51,52:헬리컬 기어
53:회전바 54:모터
6:블라인드 본체 61:연동바
71:모터 72:회전바
73:제1스프라켓 74:체인
81:강성와이어 82:폐쇄블럭
91:텐션바 92:스프링
B:베어링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6)

  1. 삭제
  2. 지지체(1)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레일(2)과,
    상기 각 고정레일(2)의 내측에,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2)의 사이에 배치되는 블라인드 본체(6)와 함께 그 고정레일(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브라켓(3)과,
    상기 각 고정레일(2)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브라켓(3)과 블라인드 본체(6)를 하나의 구동원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블라인드 본체(6)는 상기 고정레일(2)을 관통하는 연동바(61)를 통해 상기 각 이동브라켓(3)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레일(2)에는, 상기 연동바(61)의 관통으로 인한 틈새를 통해 빗물이나 이물질이 그 고정레일(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그 관통된 부분의 둘레에 제1후로킹부재(2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정레일(2)에는, 상기 블라인드 본체(6)와 고정레일(2) 간의 틈새를 통해 빗물이나 이물질이 그 고정레일(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라인드 본체(6)와 마주하는 일면에 제2후로킹부재(23)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모터(71)이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모터(71)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회전바(72)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각 고정레일(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스프라켓(73)들;
    상기 각 고정레일(2)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스프라켓들;
    상기 각 제1스프라켓(73)과 제2스프라켓에 권회되고, 상기 각 제2스프라켓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이동브라켓(3)과 함께 이동가능하게 그 이동브라켓(3)에 결합되는 체인(74)들;
    상기 이동브라켓(3)들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 그 이동브라켓(3)들 간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고, 상기 이동브라켓(3)들이 서로 접근되는 경우에 그 접근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하는 간격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인접하게 배치된 이동브라켓(3)들 간의 이격 및 접근동작이 가능하도록, 인접한 이동브라켓(3)들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다른 하나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강성와이어(8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2)은, 상기 강성와이어(81)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그 강성와이어(81)를 폐쇄시키는 폐쇄블럭(8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조립체.
  6. 삭제
KR2020070020504U 2007-12-21 2007-12-21 레일조립체 KR200453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504U KR200453010Y1 (ko) 2007-12-21 2007-12-21 레일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504U KR200453010Y1 (ko) 2007-12-21 2007-12-21 레일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944U Division KR200447076Y1 (ko) 2009-08-21 2009-08-21 레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28U KR20090006328U (ko) 2009-06-25
KR200453010Y1 true KR200453010Y1 (ko) 2011-03-31

Family

ID=4132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504U KR200453010Y1 (ko) 2007-12-21 2007-12-21 레일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0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9626A (zh) * 2022-05-09 2022-08-09 中国人民解放军西部战区总医院 一种妇产科用具有语音控制启闭功能的护理床隔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154A (ja) * 1989-06-06 1991-01-17 Kiyoshige Hattori 可動ルーバー
JPH04327680A (ja) * 1991-04-24 1992-11-17 Bunka Shutter Co Ltd パネルシャッタ
KR20040028592A (ko) * 2002-09-30 2004-04-03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블라인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154A (ja) * 1989-06-06 1991-01-17 Kiyoshige Hattori 可動ルーバー
JPH04327680A (ja) * 1991-04-24 1992-11-17 Bunka Shutter Co Ltd パネルシャッタ
KR20040028592A (ko) * 2002-09-30 2004-04-03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블라인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28U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36245A1 (en) Vehicle Roof Comprising a Roller Blind System
US20170101818A1 (en) Roller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way
KR101665188B1 (ko) 롤러 블라인드를 위한 장치
US20100050530A1 (en) Sliding Door
KR101540218B1 (ko) 접이식 미닫이 문
KR100620456B1 (ko) 더블 트러스트 레일 온실 천창 개폐장치
US20160290044A1 (en) Shutter rolling system and method
US6860310B2 (en) Roll-up curtain assembly
KR200453010Y1 (ko) 레일조립체
KR101406601B1 (ko) 지붕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EP3514311A1 (en) Lamellar roller blind
EP2294275B1 (en) Roller shutter having a driving means and a driving element in form of a toothed belt
US6786540B2 (en) Drive device for motor vehicle sliding sunroofs
KR200447076Y1 (ko) 레일 조립체
KR101981121B1 (ko) 다기능 전동 셔터시스템
EP0756062B1 (en) Foldaway security shutter which can be folded and packed
KR101163762B1 (ko) 회전식 창문 개폐장치
KR200459994Y1 (ko) 다중 슬라이딩도어 구동장치
JP4551466B2 (ja) ダブルスライド式プラットホームゲート
KR101170061B1 (ko) 전동 슬라이드 갤러리 창을 포함한 구조물
KR20090006327U (ko) 블라인드 조립체
JP7514689B2 (ja) 開閉装置
KR100405329B1 (ko) 주차장치
DK2746522T3 (en) Lamella system
EP1328699B1 (en) Flexible wall covering system with vanes and drive mechanisms for such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722

Effective date: 201102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