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127Y1 - 박스카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박스카의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127Y1
KR950005127Y1 KR2019930012962U KR930012962U KR950005127Y1 KR 950005127 Y1 KR950005127 Y1 KR 950005127Y1 KR 2019930012962 U KR2019930012962 U KR 2019930012962U KR 930012962 U KR930012962 U KR 930012962U KR 950005127 Y1 KR950005127 Y1 KR 9500051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box car
opening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2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504U (ko
Inventor
최길호
Original Assignee
최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길호 filed Critical 최길호
Priority to KR2019930012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127Y1/ko
Publication of KR9500035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1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1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60J5/049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with rigid panels pivo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with two doors opening in opposit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박스카의 도어 개폐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외관을 보여주는 박스카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A부 확대 평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로서, (a)는 폐쇄되어 있는 상태, (b)는 상, 하부 도어가 링크운동에 의해 열려지고 있는 상태, (c)는 개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2' : 하부도어 3, 3' : 하부링크
4, 4' : 상부도어 5, 5' : 중공부
6, 6' : 상부링크 7, 7' : 연결링크
31 : 상판 32 : 호형걸림부
33 : 가이드레일 41, 41' : 가이드로울러
본 고안은 박스카의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스형태로 이루어진 운반물 적재함의 양측벽에 상, 하로 개폐되는 도어를 설치하여 운반물의 신속하고 용이한 적재, 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박스카의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박스카의 형태는 장방형의 박스형으로 되어 있고, 그 개폐문은 양측으로 열리는 두개의 문이 후방의 양측부에 힌지고정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에서 링크를 이용한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박스카는 주로 육류나 생선과 같이 고도의 신선도를 필요로 하는 업종에서 내부에 냉장, 냉동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고 또한 음료, 제과회사에서도 용도에 맞게 내부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근래에 이르러서는 이삿짐센터가 기업화되면서 각종 중장비와 상기와 같은 박스카를 구비하여 놓고 주로 이삿짐을 운반하는 수단으로 박스카가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우천시 이삿짐에 스며드는 물을 사전에 예방하고 또한 일일히 결속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박스카는 개폐문이 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적재시 많은 인원들이 이송물을 차량의 후방까지 이동시켜 그 입구에 올린 후 박스카의 내부전방측부터 다시 재 적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소요시간이 길어지는 등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의 사용이 불가능하며 그에 따른 인건비가 과다하게 지출되어 경제적으로도 불합리한 개선해야될 제반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박스카의 도어 개폐장치에서 비롯되는 제반 페문제점을 개선하고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박스카의 양측벽에 상하로 개폐되는 박스카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개폐문이 양측벽에서 상하로 개폐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많은 인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그 내부에서 재적재하지 않아도 되며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를 사용하여 한번에 박스카의 양측에서부터 용이하게 적재하고 또한 하역하여 작업시간을 극소화하고 인건비를 절감하여 그에 따른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박스카의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명백해 질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이,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진 박스카(1)에 있어서, 상기 박스카(1)의 양측하부에는 일측에 하부링크(3)(3')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장방형의 하부도어(2)(2')가 각각 힌지(21)고정되고 상부에는 선단에 호형의 걸림부(32)가 형성된 상판(31)과, 그 내면 양측에 가이드레일(33)이 일체로 되어 일측양단에 가이드로울러(41)(41')가 설치된 장방형의 상부도어(4)(4')가 끼워지되, 상기 상부도어(4)(4')의 선단 일측에는 한단이 박스카(1)의 전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된 중공부(5)(5')의 내부에 삽입되어진 상기 하부링크(3)(3')의 타단과 한단이 결합된 상부링크(6)(6')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링크(6)(6')의 중간부에는 한단이 상기 중공부(5)(5')의 내부 상부측에 힌지고정된 연결링크(7)(7')의 타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로서(51, 51')는 중공부(5)의 외측에 형성된 링크홈, 8은 상부링크(6)(6')와 하부링크(3)(3')의 연결부에 끼워진 가이드로울러를 각각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도어(4)(4')와 하부도어(2)(2')의 외측 중간부에 설치된 통상의 록크장치(미도시)를 해지하여 주게 되면, 상기 하부도어(2)(2')가 힌지점을 축으로 하여 원 운동하면서 자중에 의해 개방되어짐과 동시에 그와 결합된 하부링크(3)(3')와 한단이 상부도어(4)(4')의 일측 끝단에 결합된 상부링크(6)(6')가 중공부(5)(5')의 내부 상부측에 힌지고정된 연결링크(7)(7')의 상기 힌지점을 축으로 각도의 변화를 일으킨다.
이때 상기 상부도어(4)(4')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로울러(41)(41')가 상부의 가이드레일(33)을 따라 내부로 밀려가 상기 상부도어(4)(4')가 상기 가이드레일(33)과 수평상태가 되면 상기 하부도어(2)(2')를 밑으로 완전히 젖혀준다.
이때 하부링크(3)(3')가 상기 하부도어(2)(2')와 힌지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밑으로 내려지게 되고 그와 한단이 결합된 상부링크(6)(6')와 연결링크(7)(7')가 각도의 변화를 일으켜 수직으로 세워 지면서 상기 상부도어(4)(4')가 그 내부로 장입되어 완전히 개방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지게차와 같은 적재 장비를 이용하여 박스카(1)의 양측에서 이송대상물을 순차적으로 적재하고 상기 하부도어(2)(2')를 위로 들어올려 개방할때의 역순으로 폐쇄하면 되는데 이때 하부도어(2)(2')를 위로 들어올려주게 되면 그와 결합된 하부링크(3)(3')가 각도의 변화를 일으켜 상부링크(6)(6')와 결합된 체로 상기 연결링크(7)(7')의 힌지점을 축으로 하여 중공부(5)(5')내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고, 그와 동시에 상기 상부링크(6)(6')의 한단이 상부도어(4)(4')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부도어(4)(4')가 외측으로 밀려나와 상기 상부도어(4)(4')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로울러(41)(41')가 상판(31)의 호형걸림턱(32)에 괘지되어 공회전된다.
이때 하부도어(2)(2')를 완전히 위로 젖혀주면 그와 결합된 하부링크(3)(3')와 상부링크(6)(6')의 각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상부도어(4)(4')가 밑으로 내려져 완전히 폐쇄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일일히 결속하는 번거로움을 일소하고 또한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를 사용하여 박스카의 양측에서 곧바로 적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적재, 하역 작업시 신속하고 번거롭지 않으며 인건비를 줄여 경제적인 효과와 함께 우천시 이송물에 누수되는 거시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1)

  1.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진 박스카(1)에 있어서, 상기 박스카(1)의 양측하부에는 일측에 하부링크(3)(3')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장방형의 하부도어(2)(2')가 각각 힌지(21) 고정되고 상부에는 선단에 호형의 걸림부(32)가 형성된 상판(31)과, 그 내면 양측에 가이드레일(33)이 일체로 되어 일측양단에 가이드로울러(41)(41')가 설치된 장방형의 상부도어(4)(4')가 끼워지되, 상기 상부도어(4)(4')의 선단 일측에는 한단이 박스카(1)의 전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된 중공부(5)(5')의 내부에 삽입되어진 상기 하부링크(3)(3')의 타단과 한단이 결합된 상부링크(6)(6')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링크(6)(6')의 중간부에는 한단이 상기 중공부(5)(5')의 내부 상부측에 힌지고정된 연결링크(7)(7')의 타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카의 도어개폐장치.
KR2019930012962U 1993-07-14 1993-07-14 박스카의 도어 개폐장치 KR9500051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962U KR950005127Y1 (ko) 1993-07-14 1993-07-14 박스카의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962U KR950005127Y1 (ko) 1993-07-14 1993-07-14 박스카의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04U KR950003504U (ko) 1995-02-16
KR950005127Y1 true KR950005127Y1 (ko) 1995-06-22

Family

ID=1935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2962U KR950005127Y1 (ko) 1993-07-14 1993-07-14 박스카의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1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0982B (zh) * 2017-05-31 2023-04-11 四川新筑通工汽车有限公司 一种用于厢式物流车的上下开启式翼开门货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04U (ko) 199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1214A (en) Truck box cover
US5498057A (en) Automatic vehicle load cover
CN109649577B (zh) 一种用于物流转运路径的多功能门
US4024671A (en) Mutually counterbalancing upper and lower flap doors of wide doorway
KR950005127Y1 (ko) 박스카의 도어 개폐장치
KR100408096B1 (ko) 측면 접이식 윙 바디 컨테이너
US4240357A (en) Folding rail car doors
KR950007126Y1 (ko) 박스카의 도어개폐장치
KR950005115Y1 (ko) 박스카의 도어 개폐 장치
CN112249061B (zh) 车厢及具有其的车辆
CN2436360Y (zh) 厢式运输车车厢侧拉门
CN2075169U (zh) 具有活动折叠门的厢式货车车厢
KR100423884B1 (ko) 순환식 개폐셔터, 이를 구비한 짐차, 순환식 개폐셔터용체인커버, 및 체인형 셔터롤러
KR950009323Y1 (ko) 화물차량용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CN111959542B (zh) 一种折线型大开度滑动侧门
JPS628174Y2 (ko)
CN217623564U (zh) 顶开式货运列车开门机构
KR940004009Y1 (ko) 쓰레기 적재함의 슬라이드식 도어장치
CN217755024U (zh) 展翼集装箱
KR0164493B1 (ko) 차량 적재함의 테일 게이트 개폐장치
KR200356260Y1 (ko) 이동식 다용도 판매용 탑차
KR19990017714U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개폐구조
KR200269913Y1 (ko) 화물 차량용 적재함
KR200238599Y1 (ko) 특장차 적재함의 날개형 구조체
JPS609188Y2 (ja) コンテナの扉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