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928A -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928A
KR20010074928A KR1020017002756A KR20017002756A KR20010074928A KR 20010074928 A KR20010074928 A KR 20010074928A KR 1020017002756 A KR1020017002756 A KR 1020017002756A KR 20017002756 A KR20017002756 A KR 20017002756A KR 20010074928 A KR20010074928 A KR 20010074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on
pump
liquid
port
circula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2728B1 (ko
Inventor
오가와유지
사토코헤이
Original Assignee
하시모토 쯔토무
오르가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시모토 쯔토무, 오르가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시모토 쯔토무
Publication of KR2001007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26Conditioning of the fluid carrier; Flow patterns
    • G01N30/38Flow patterns
    • G01N30/46Flow patterns using more than one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B01D15/1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 B01D15/1814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recycling of the fraction to be distributed
    • B01D15/1821Simulated moving beds
    • B01D15/1842Simulated moving beds characterized by apparatus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 B01D2215/02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with moving adsorbents
    • B01D2215/023Simulated moving be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는 2이상의 성분을 갖는 원료액 및 용액 분리액을 컬럼(14)을 무단 연결한 순환로(16) 중에서 순환시켜, 원료액을 2개 성분으로 분리한다. 전환 밸브(23, 33) 전환에 의해, 펌프(20, 30)를 순환로(16) 중에서의 액 순환과, 저장통(25, 35)으로부터의 각 액 주입과의 쌍방에 겸용한다. 또, 각 액 추출 밸브(4l, 51)에는 통상의 온-오프 밸브를 사용하여, 순환로(16)의 압력 사양을 낮게 한다.

Description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Chromatographic separator}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는 제당업이나 제약업 등의 제조업에 있어서, 천연 또는 화학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원재료의 유체로부터 1종류 이상의 성분을 추출할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회분 고정층 방식 외에, 최근에는 이동층 방식의 장치가 각종 제안되고 있다.
도 8은 일반적인 이동층 방식의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의 원리를 도시하는 분리 탑의 단면 모식도이다. 분리 탑(60)에는 미리 충전제(흡착제)(62)를 충전하여, 이것에 용액 분리액을 채워 둔다. 2종의 성분(A 및 C)을 갖는 원료액을 원료 공급구(F)로부터 도입하여, 용액 분리액을 용액 분리액 공급구(D)로부터 일정한 선 속도가 되도록 공급한다. 각 성분(A 및 C)은 충전제와의 친화력 차이에 의해,분리 탑(60) 내를 다른 선 속도로 이동하며, 예를 들면 친화력이 작은 성분(A)은 큰 선 속도로 이동하고, 친화력이 큰 성분(C)은 작은 선 속도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적당한 위치의 2개소에서 순환액을 추출함으로써, 원료액을 성분(A)을 많이 포함하는 액체(이하, 간단히 성분 A라 부른다)와 성분(C)을 많이 포함하는 액체(이하, 간단히 성분 C라 부른다)로 분리할 수 있다.
이동층 방식의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에서는 성분(A)의 이동 속도와 성분(C)의 이동 속도와의 중간 속도로, 용액 분리액의 흐름과 반대 방향으로 충전제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만들어낸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액의 공급 위치를 경계로 하여 성분(A)은 순환액의 흐름 방향에서 보아 원료 공급 위치(F) 전방에서, 또, 성분(C)은 원료 공급 위치(F) 후방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충전제를 균일하게 이동시켜야 하는 곤란성으로 인해 실제로는 공업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난점이 있다.
충전제를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이동층 방식과 동등한 분리 성능을 얻을 수 있는 분리 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도 9에 이 형식의 분리 장치 원리를 도시했다. 이 방식에서는 분리 탑(60)을 복수(도면의 예에서는 12개)의 컬럼(64)으로 분할하여, 이것을 무단(無端)의 순환로에 접속하고 있다. 충전제를 이동시키는 대신, 원료액(F) 및 용액 분리액(D)의 공급 위치와, 성분(A 및 C)의 추출 위치를 용액 분리액의 흐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시간의 경과와 함께, 시스템 내의 액 분포는 순환액의 흐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이 농도 분포가 1컬럼분 이동한 후에, 원료액 및 용액 분리액의 공급 위치와, 성분(A 및 C)의 추출 위치를 순환액의 흐름 방향으로 1컬럼분 이동시킨다. 이 조작을 반복하면, 항상 최적의 위치에서 각 액의 공급과 추출을 행할 수 있다. 원료액 및 용액 분리액의 공급 위치 및 성분(A 및 C)의 추출 위치 이동에는 3가지 방식이 사용되며, 전자 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 주입 밸브 및 액 추출 밸브를 조합시켜 이것을 순차 전환하는 유사 이동층 방식, 다수의 노즐을 갖는 회전 밸브를 사용하는 유사 이동층 방식 및 다수의 노즐을 갖는 회전 밸브를 사용하여 충전 탑을 이동시키는 간헐 이동층 방식이 실용화되고 있다.
상기 무단 순환로를 갖는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에 있어서의 유체 구동에는 일반적으로, 원료액의 주입 펌프 및 용액 분리액의 주입 펌프에 의한 구동력 외에, 순환로 중에 배치한, 예를 들면 1대 이상의 순환 펌프에 의한 구동력이 이용된다. 여기서, 순환로 중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순환로에 대한 원료액 및 용액 분리액의 합계 주입량과, 순환로로부터의 성분(A 및 C) 합계 추출량을 항상 같게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펌프의 몇가지는 정량성을 갖는 펌프에 의해 구성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유량 제어 기구가 병용된다. 그러나, 정량성을 갖는 펌프나 유량 제어 기구는 고가이며, 이 때문에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 가격을 상승시킨다.
또, 순환로 중의 압력을 정확하게 소정치로 유지하기 위해, 많은 분리 장치에서는 순환로의 압력이 높아졌을 때에 개방되는 배압 밸브를 예를 들면 성분(C)의 추출 라인에 사용한다. 이 경우에는 순환로계 내의 압력은 이 배압 밸브에서 설정된 압력보다도 낮아지지는 않으며, 그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컬럼이나 펌프가 필요해진다. 이러한 압력 사양의 컬럼이나 펌프 사용에 의해,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 가격이 더욱 상승한다.
본 발명은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간헐 이동층식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 및 유사 이동층식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에 있어서의 순환로 및 펌프 제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련되는 이동층식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장치의 각 공정 단계에 있어서의 각 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표.
도 3은 도 2의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분리 장치의 액 흐름을 도시하는 계통도.
도 4는 도 2의 제 2 공정에 있어서의 분리 장치의 액 흐름을 도시하는 계통도.
도 5는 도 2의 제 3 공정에 있어서의 분리 장치의 액 흐름을 도시하는 계통도.
도 6은 도 2의 제 4 공정에 있어서의 분리 장치의 액 흐름을 도시하는 계통도.
도 7은 도 2의 제 5 공정에 있어서의 분리 장치 상태를 도시하는 계통도.
도 8은 일반적인 이동층 방식의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의 원리를 도시하는 분리 탑의 모식적 단면도.
도 9는 일반적인 유사 이동층식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의 원리를 도시하는 분리 탑의 모식적 단면도.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유사 이동층식 또는 간헐 이동층식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에 있어서의 펌프 개수를 삭감하고, 또한 순환로의 압력을 소정치로 유지하면서도 배압 밸브를 생략함으로써 순환로계 내의 압력을 저감하며, 그래서 분리 성능을 유지하면서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 가격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그 적합한 양태에 있어서, 입구 및 출구를 갖는 4개 이상의 컬럼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컬럼의 상기 입구 및 출구를 순차 연결하여 혼합액을 순환시키는 무단 순환로를 형성하며, 해당 순환로의 적어도 제 1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액을 도입하는 제 1 주입구와, 용액 분리액을 도입하는 제 2 주입구와, 상기 제 1 성분을 추출하는 제 1 추출구와, 상기 제 2 성분을 추출하는 제 2 추출구를 갖는 컬럼과,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추출구를 순차로 상기 순환로의 하류 측으로 전환하는 포트 전환 수단과,
상기 포트 전환 수단을 개재시켜 상기 순환로 중의 상호 관련된 위치에 접속되는 토출구를 각각 갖는 제 1 및 제 2 펌프와,
상기 제 1 펌프를 상기 순환로 중에 삽입하는 제 1 선택 위치와 상기 제 1펌프에 의해 원료액을 주입하는 제 2 선택 위치를 갖는 제 1 전환 밸브와,
상기 제 2 펌프를 상기 순환로 중에 삽입하는 제 3 선택 위치와 상기 제 2 펌프에 용액 분리액을 주입하는 제 4 선택 위치를 갖는 제 2 전환 밸브를 구비하는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에서는 순환로 내에 있어서의 원료액 및 용액 분리액을 포함하는 혼합액(순환액) 이동과, 원료액 및 용액 분리액의 순환로 내로의 주입 및 순환로로부터의 제 1 및 제 2 성분 추출을 제 1 및 제 2 전환 밸브 전환 및 제 1 및 제 2 펌프의 구동에 의해 행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에 있어서의 펌프 개수를 2개로 줄일 수 있다. 또, 배압 밸브를 사용하지 않아도 통상의 밸브에 의해 각 성분 추출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순환로계 내의 압력 사양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는 유사 이동층식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 및 간헐 이동층식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간헐 이동층식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이하, 분리 장치라고도 부른다)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 블록도이다. 본 분리 장치에서는 2대의 펌프(20, 30)를 가지며, 각 펌프를 순환로에 삽입하는 순환 모드 또는 각 펌프의 흡입구에 액 주입관을 접속하는 액 주입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전환 밸브(23, 33)를 배치하고 있다.
본 분리 장치에서는 그 한 공정 중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전환 밸브(23, 33)를 순환 모드로 선택함으로써, 흡착제를 충전한 8개의 컬럼(14)이 회전 밸브(10)의 각 노즐(13) 및 제 1 및 제 2 펌프(20, 30)를 개재시켜 무단 고리 형상으로 연결되어 순환로(16)를 형성한다. 순환로(16)에 있어서의 액 흐름은 도시 A방향(시계 방향)이다. 제 1 및 제 2 펌프(20, 30)는 유체에 대해 동일한 유량을 주는 정량 펌프로서 구성된다.
순환로(16)는 액류 방향(A)에서 보아 제 1 펌프의 토출구(21)로부터 제 2 펌프(30)의 흡입구(32)까지의 제 1 내지 제 4 컬럼(14)을 포함하는 제 1 순환반로(循環半路)(16A)와, 제 2 펌프(30)의 토출구(31)로부터 제 1 펌프(20)의 흡입구까지의 제 5 내지 제 8 컬럼(14)을 포함하는 제 2 순환반로(循環半路)(16B)로 이루어진다. 원료액 저장통(25)은 원료액 주입관(24) 및 제 1 전환 밸브(23)를 개재시켜 제 1 펌프(20)의 흡입 측(22)에 접속되며, 제 1 펌프(20)를 경유하여 제 1 순환 반로(16A)의 한쪽 끝에 접속된다. 용액 분리액 저장통(35)은 용액 분리액 주입관(34) 및 제 2 전환 밸브(33)를 개재시켜 제 2 펌프(30)의 흡입구(32)에 접속되며, 제 2 펌프(30)를 개재시켜 제 2 순환 반로(16B)의 한쪽 끝에 접속된다. 원료 주입관(24) 및 용액 분리액 주입관(34)은 대응하는 전환 밸브(23 또는 33)가 액 주입 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순환로(16)에 접속되어, 원료액 또는 용액 분리액을 주입한다.
성분(A)의 추출관(42)은 성분(A) 추출 밸브(41)를 개재시켜, 제 1 순환 반로(16A)의 제 3 컬럼(14)의 출구와 제 4 컬럼(14)의 입구를 접속하는 관로로부터추출되며, 그 말단이 성분(A) 저장통(43)에 접속된다. 성분(C)의 추출관(52)은 성분(C) 추출 밸브(51)를 개재시켜, 제 2 순환 반로(16B)의 제 1 컬럼(14)의 출구와 제 2 컬럼(14)의 입구를 접속하는 관로로부터 추출되며, 그 말단이 성분(C) 저장통(53)에 접속된다.
회전 밸브(10)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의 고정부(11)와, 그 안쪽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고정부(11)의 내벽 상을 접동하는 외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회전부(12)를 갖는다. 회전부(12)에는 8개의 컬럼(14)이 탑재되며, 각 컬럼(14)은 회전부(12)의 간헐 회전에 따라서 1회에 1컬럼분씩 회전한다. 회전 밸브(20)의 정지 중에 있어서, 각 컬럼(14)의 입구 및 출구는 각각 각 순환 반로(16A, 16B) 중에 있어서, 선행하는 컬럼(14)의 출구 및 후속하는 컬럼(14)의 입구와, 회전 밸브(10)의 각 노즐을 개재시켜 접속된다.
도 2는 상기 분리 장치의 각 공정 중에 있어서의 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 형식으로 도시하고 있다. 분리 장치는 용액 분리액 주입 및 성분(A)의 추출을 행하는 약 20초의 제 1 공정, 원료액 주입 및 성분(A) 추출을 행하는 약 20초의 제 2 공정, 액 흐름 순환을 행하는 약 40초의 제 3 공정, 용액 분리액 주입 및 성분(C) 추출을 행하는 약 40초의 제 4 공정 및 액 흐름을 정지하여 컬럼(분리 탑)(14)을 포함하는 회전 밸브(10)의 1컬럼분 회전을 행하는 약 5초의 제 5 공정을 순차로 또한 반복하여 행한다.
도 3은 상기 제 1 공정(용액 분리액 주입 및 성분(A) 추출 모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 1 전환 밸브(23)를 순환 모드로 하고, 제 2 전환 밸브(33)를 액 주입 모드로 하며, 추출 밸브(41)를 개방, 추출 밸브(51)를 폐쇄로 하며, 펌프(20, 30) 운전에 의해 용액 분리액를 도입하면서 용액 분리액과 등량인 성분(A)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전환 밸브(23)를 액 주입 모드에 전환하고, 또한, 전환 밸브(41, 51)을 그대로 하여 제 2 펌프(30)의 운전을 정지하며, 도 4에 도시하는 제 2 공정(원료액 주입 및 성분(A) 추출 모드)으로 옮긴다. 이 공정에서는 원료액을 저장통(25)으로부터 도입하면서 추출 라인(42)을 경유하여 성분(A)을 성분(A) 저장통(43)에 추출한다.
계속해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환 밸브(23, 33)를 어느 것도 순환 모드로 하고, 밸브(41, 51)를 개방으로 하며, 제 1 및 제 2 펌프(20, 30)를 운전하여 액 순환 모드로 이행한다. 이 모드에서는 원료액 및 용액 분리액을 포함하는 액체를 2대의 펌프(20, 30)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순환로 내에서 순환시켜 원료액을 각 컬럼 내의 흡착제와 친화력이 높은 C성분과, 친화력이 낮은 A성분으로 분리한다. 이로써, 각 성분의 농도 분포 산이 커져, 성분(A 및 C)의 추출에 적합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제 1 펌프(20)를 정지하고, 추출 밸브(41)를 개방으로 한 채, 추출 밸브(51)를 폐쇄로 하며, 제 2 전환 밸브를 액 주입 모드로 전환, 도 6에 도시하는 제 4 공정(용액 분리액 주입 및 성분(C) 추출 모드)으로 이행한다. 이 모드에서는 용액 분리액을 도입하면서 그 바로 하류에서 성분(C)을 추출한다. 쌍방 펌프(20, 30)의 용량을 동일하게 하고, 또한, 제 1 공정의 계속 시간을 20초, 제 2 공정의계속 시간을 20초, 제 4 공정의 계속 시간을 40초로 함으로써, 순환로 내에 도입되는 유체는 원료액과 용액 분리액의 비율로 약 1:3이 된다. 이 모드의 종료 시점에서는 성분(A)과 성분(C)의 농도 분포 산은 제 1 공정의 개시 시점에 비해 약 1컬럼분 하류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다음으로, 2대의 펌프(20, 30)를 어느 것도 정지로 하고, 전환 밸브(23, 33)를 순환 모드로 선택하며, 또한, 추출 밸브(41, 51)를 어느 것도 폐쇄로 하여, 도 7에 도시하는 제 5 공정으로 이행한다. 이 모드에서는 컬럼(14)을 탑재하는 회전 밸브(10)의 회전부(12)를 단 1컬럼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부(11)와 회전부(12)의 각 노즐 조합을 다음 컬럼 위치로 옮긴다. 이로써, 컬럼 측에서 보면, 순환로(16)로의 원료액 및 용액 분리액의 도입구 및 순환로(16)로부터의 각 성분의 추출 위치를 하류 방향으로 1컬럼분 이동시킨 것이 된다. 이 후는 다시 도 3의 제 1 공정으로 이행하며, 펌프(30)에 의해 용액 분리액을 주입하면서 성분(A)을 추출한다. 이후, 각 공정을 순차 반복함으로써, 2종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액은 2개 성분(A 및 C)으로 분리하여 추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2대의 펌프(20, 30) 접속를 전환 밸브(23, 33)의 선택에 의해 전환함으로써, 각 펌프(20, 30)를 어느 때는 순환 펌프로 하여 작동시키며, 또, 어느 때는 액 주입 펌프로서 작동시킨다. 이로써, 펌프 대수를 삭감할 수 있으며,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의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배압 밸브를 사용하지 않아도, 순환로의 밸브 변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순환로계 내의 기기 압력 사양을 낮게 선정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의 코스트 저감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적합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는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의 구성으로부터 각종 수정 및 변경을 실시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는 제당업이나 제약업 등의 제조업에 있어서, 천연 또는 화학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원재료의 유체로부터 한 종류 이상의 성분을 추출하는 데 적합하다.

Claims (4)

  1. 입구 및 출구를 갖는 4개 이상의 컬럼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컬럼의 상기 입구 및 출구를 순차 연결하여 혼합액을 순환시키는 무단 순환로를 형성하며, 해당 순환로가 적어도 제 1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액을 도입하는 제 1 주입구와, 용액 분리액을 도입하는 제 2 주입구와, 상기 제 1 성분을 추출하는 제 1 추출구와, 상기 제 2 성분을 추출하는 제 2 추출구를 갖는 컬럼과,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추출구를 순차로 상기 순환로의 하류 측으로 전환하는 포트 전환 수단과,
    상기 포트 전환 수단을 개재시켜 상기 순환로 중의 상호 관련된 위치에 접속되는 토출구를 각각 갖는 제 1 및 제 2 펌프와,
    상기 제 1 펌프를 상기 순환로 중에 삽입하는 제 1 선택 위치와 상기 제 1 펌프에 의해 원료액을 주입하는 제 2 선택 위치를 갖는 제 1 전환 밸브와,
    상기 제 2 펌프를 상기 순환로 중에 삽입하는 제 3 선택 위치와 상기 제 2 펌프에 의해 용액 분리액을 주입하는 제 4 선택 위치를 갖는 제 2 전환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환 밸브를 각각 제 1 선택 위치 및 제 4 선택 위치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펌프 중 적어도 한쪽을 운전하여, 상기 용액 분리액을 주입함과 함께 상기 제 1 성분을 추출하는 제 1 공정,
    상기 제 2 전환 밸브를 제 2 선택 위치로 하고, 상기 제 1 펌프를 운전하여, 상기 원료액을 주입하면서 상기 제 1 성분을 추출하는 제 2 공정,
    상기 제 1 및 제 2 전환 밸브를 각각 제 1 및 제 3 선택 위치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펌프 중 적어도 한쪽을 운전하여, 상기 순환로 내에서 액을 순환시키는 제 3 공정,
    상기 제 2 전환 밸브를 제 4 선택 위치로 하고, 상기 제 2 펌프를 운전하여, 상기 용액 분리액을 주입함과 함께 상기 제 2 성분을 추출하는 제 4 공정, 및
    상기 포트 전환 수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추출구를 순환로의 하류 측에 1컬럼분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제 5 공정에서 순차 작동하는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전환 수단이 회전 밸브를 갖는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
  4. 입구 및 출구를 갖는 4개 이상의 컬럼과,
    복수의 고정 노즐을 갖는 대략 원통면을 구비하는 고정부와, 상기 원통면 상을 접동하는 회전면을 가지고 소정 타이밍으로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회전부를 갖는 회전 밸브로서, 상기 회전면은 상기 고정 노즐에 간헐적으로 연이어 통하는 회전 노즐을 가지며, 상기 회전부는 해당 회전 노즐이 상기 입구 및 출구에 연이어 통하도록 상기 컬럼을 일체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고정 노즐은 관로 조립체에 연이어 통함으로써 상기 컬럼을 제 1 순환 반로 및 제 2 순환 반로를 구성하는 2군으로 나누어 접속하는, 상기 회전 밸브와,
    2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액 및 용액 분리액을 각각 도입하는 제 1 및 제 2 도입관과,
    상기 제 1 순환 반로의 제 1 끝 부분에 접속되는 토출구와, 흡입구를 갖는 제 1 펌프와,
    상기 제 1 펌프의 흡입구를 상기 제 2 순환 반로의 제 1 끝 부분 또는 제 1 도입관에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제 1 전환 밸브와,
    상기 제 2 순환 반로의 제 2 끝 부분에 접속되는 토출구와, 흡입구를 갖는 제 2 펌프와.
    상기 제 2 펌프의 흡입구를 상기 제 1 순환 반로의 제 2 끝 부분 또는 상기 제 2 도입관에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전환 밸브와,
    상기 제 1 순환 반로 중에 접속되어 해당 제 1 순환 반로로부터 상기 2개 성분의 한쪽를 추출하는 제 1 추출관과,
    상기 제 2 순환 반로 중에 접속되어 해당 제 2 순환 반로로부터 상기 2개 성분의 다른쪽을 추출하는 제 2 추출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
KR1020017002756A 1999-07-02 2000-06-30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 KR100632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88694 1999-07-02
JP18869499A JP4176240B2 (ja) 1999-07-02 1999-07-02 クロマト分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928A true KR20010074928A (ko) 2001-08-09
KR100632728B1 KR100632728B1 (ko) 2006-10-16

Family

ID=1622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756A KR100632728B1 (ko) 1999-07-02 2000-06-30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00342B1 (ko)
EP (1) EP1111380B1 (ko)
JP (1) JP4176240B2 (ko)
KR (1) KR100632728B1 (ko)
CN (1) CN1287147C (ko)
AT (1) ATE404266T1 (ko)
CA (1) CA2342636C (ko)
DE (1) DE60039843D1 (ko)
WO (1) WO20010028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7329A (ja) * 2002-08-20 2004-03-11 Japan Organo Co Ltd クロマト分離装置
JP4518477B2 (ja) * 2004-04-05 2010-08-04 オルガノ株式会社 クロマト分離方法および装置
DE102004025000A1 (de) * 2004-05-21 2005-12-08 Bayer Technology Service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hemischen und pharmazeutischen Produkten mit integrierter Mehrsäulen-Chromatographie
CN100451645C (zh) * 2004-07-26 2009-01-14 珀金埃尔默Las公司 用来调节流经色谱系统的流体的方法
JP4771460B2 (ja) * 2005-08-18 2011-09-14 オルガノ株式会社 クロマト分離方法
CN100384499C (zh) * 2006-06-27 2008-04-30 天津奥秘科技有限公司 一种气动快速制备柱色谱系统及其使用方法
US8608830B2 (en) * 2010-02-12 2013-12-17 Uop Llc Valve,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wear
US20170131244A1 (en) * 2014-06-25 2017-05-11 Agilent Technologies, Inc. Secondary stage fluid separation device detachably connectable with primary stage fluid separ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1547A (en) * 1990-03-23 1991-12-10 Separations Technology, Inc. Column chromatographic column apparatus with switching capability
JP2962594B2 (ja) * 1991-06-12 1999-10-12 オルガノ株式会社 複数成分の分離方法
JP2911310B2 (ja) * 1992-07-07 1999-06-23 オルガノ株式会社 グルコース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3070890B2 (ja) * 1993-02-12 2000-07-31 オルガノ株式会社 澱粉糖の製造方法
JP3256349B2 (ja) 1993-09-01 2002-02-12 オルガノ株式会社 擬似移動層による分離方法及び装置
JP3256390B2 (ja) 1994-11-21 2002-02-12 オルガノ株式会社 複数成分の分離方法
US5635072A (en) * 1995-01-31 1997-06-03 Uop Simulated moving bed adsorptive separation process
US6146534A (en) * 1996-08-19 2000-11-14 Reilly Industries, Inc. Thermally-managed separation and dewatering processes for recovering acid products
US5630943A (en) * 1995-11-30 1997-05-20 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Discontinuous countercurrent chromatographic process and apparatus
US6331250B1 (en) * 1997-09-22 2001-12-18 Organo Corporation Method and equipment for chromatographic separation
JP3539470B2 (ja) * 1997-12-25 2004-07-07 オルガノ株式会社 ベタインの回収方法
JP3478325B2 (ja) * 1997-12-25 2003-12-15 オルガノ株式会社 クロマト分離方法
WO1999040228A1 (en) * 1998-02-05 1999-08-12 Organo Corporation Process for demineralizing a sugar solution
JP3453516B2 (ja) * 1998-05-29 2003-10-06 オルガノ株式会社 クロマト分離方法
JP3662133B2 (ja) 1998-11-27 2005-06-22 オルガノ株式会社 擬似移動層式クロマト分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04266T1 (de) 2008-08-15
CN1317087A (zh) 2001-10-10
EP1111380A4 (en) 2004-03-03
EP1111380B1 (en) 2008-08-13
CN1287147C (zh) 2006-11-29
CA2342636A1 (en) 2001-01-11
EP1111380A1 (en) 2001-06-27
DE60039843D1 (de) 2008-09-25
US6500342B1 (en) 2002-12-31
JP2001013123A (ja) 2001-01-19
KR100632728B1 (ko) 2006-10-16
WO2001002849A1 (fr) 2001-01-11
JP4176240B2 (ja) 2008-11-05
CA2342636C (en)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3616A (en) Method of separating chemical components in simulated moving bed
KR101164239B1 (ko) 개선된 모의 이동상 분리 방법 및 장치
US10557834B2 (en) Auto-sampling system for automatically acquiring a sample
US7575723B2 (en) Mass rate attenuator
KR100632728B1 (ko) 크로마토그래픽 분리 장치
GB2256814A (en) Process for chromatographic separation
WO2005097286A1 (ja) クロマト分離装置
EP0183950B1 (en) Method of processing liquid within a tube
JP2004077329A (ja) クロマト分離装置
KR100618933B1 (ko) 간헐 이동층식 크로마토 분리 장치
CN113493429B (zh) 一种工业化古龙酸三组分分离装置及其分离方法
US415056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recirculation of fluids in a closed circuit
JP3662133B2 (ja) 擬似移動層式クロマト分離装置
CN116529594A (zh) 测试流体地耦合到源的取样单元
JP2962589B2 (ja) 擬似移動層式クロマト分離装置
CN211505358U (zh) 高效液相色谱仪的多元高压输液泵系统
JP3756860B2 (ja) 液体クロマトグラフ
CN113167774B (zh) 从移动相中移除不确定组合物部分
JP2962590B2 (ja) 擬似移動層式クロマト分離装置
JP2000155114A (ja) 擬似移動層式クロマト分離装置
JP4258107B2 (ja) 液体クロマトグラフ
SU1650244A1 (ru) Ионообменна установка
JPH04131761A (ja) 擬似移動床式液体クロマト分離装置
JPS5844347A (ja) 液体クロマトグラフイ方法及び装置
JPH1190104A (ja) 擬似移動床式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