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099A - 안전침, 플라세보침 및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 Google Patents

안전침, 플라세보침 및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099A
KR20010072099A KR1020017001247A KR20017001247A KR20010072099A KR 20010072099 A KR20010072099 A KR 20010072099A KR 1020017001247 A KR1020017001247 A KR 1020017001247A KR 20017001247 A KR20017001247 A KR 20017001247A KR 20010072099 A KR20010072099 A KR 20010072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nation
needle
length
depth
stag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8177B1 (ko
Inventor
노부아리 다카쿠라
Original Assignee
노부아리 다카쿠라
사쿠라이 코우지
가꼬우 호우진 하나다 가꾸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부아리 다카쿠라, 사쿠라이 코우지, 가꼬우 호우진 하나다 가꾸엔 filed Critical 노부아리 다카쿠라
Publication of KR20010072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피험자 및 시술자 쌍방에 대해 마스킹할 수 있는 더블 블라인드법에 사용하는, 안전침 및 플라세보침이다. 플라세보침은, 침관(13)과, 침관(13)에 충전고정되어, 침체(11)의 이동에 저항을 주는 제1충전물(14)과, 침관(13)의 하부에 충전고정되어, 침체(11)가 침관(13)내의 소정의 깊이에 진입했을 때에 침체(11)의 이동에 저항을 주는 제2충전물(17)과, 제1충전물(14)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11)로서, 침체(11)이 길이는 침체(11)를 충분히 침관(13)에 진입시켰을 때에 침체(11)의 끝부분(19)이 피부면상에 머무는 길이인 침체(11)와, 침체(11)상부에 설치된 침병(12)의 밑바닥부에, 또는 침관(13)의 정부(頂部)에 설치되어, 침관(13)내를 진행하는 침체(11)가 피부면상에 도달했을 때에, 침병(12)이 침관(13)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갖는다. 안전침은, 상기의 플라세보침 중, 제2충전물(17)을 폐하고, 침체(11)를 차입하여 깊이에 도달하도록 길게 한다.

Description

안전침, 플라세보침 및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Safe needle, placebo needle, and needle set for double blind}
침요법의 치료효과를 조사하는 방법 중, 현시점에서 가장 우수한 실시 가능한 방법은, 피험자만을 마스킹하는 싱글 블라인드법이라고 말해지고 있다. 그 싱글 블라인드법에 의한 실험에 있어서는, 경혈상에, 침과 비슷한 자극, 즉, 플라세보자극을 주는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고, 진짜침을 찔러 자극을 주는 경우를 자침군(刺鍼群)으로서 양자를 비교하여, 치료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행해져 왔다.
현재, 제안되고 있는 플라세보자극을 주는 방법에는 주로 다음 3종류의 방법이 있다.
(1) 침을 사용하지 않고 침관(guide tube)만을 피부면상에 대고 침관의 상단을 가볍게 치는 방법.
(2) 침체끝을 피부를 벨 수 없는 형상으로 바꾸고, 이것을 피부면상에 꽉 누르는 방법(예를 들면, THE LANCET Vo1.352, August 1,1998 p364-365).
(3) 경피통전용 전극을 피부에 붙이는 방법.
상기 (1), (2) 및 (3)의 방법은, 모두 싱글 블라인드법에 의한 실험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1) 및 (2)의 방법은, 조건이 적당히 설정되면 피험자에 대해, 진짜침에 의한 자극감인지 또는 플라세보침을 꽉 누르고 있는 자극감인지를 인식할 수 없게 하는, 즉, 마스킹을 하는 것은 가능하다. 상기 (2)에 대해서는 증명되어 있다(예를 들면, THE LANCET Vo1.352, August 1.1998 p364-365). 상기 (3)의 방법은, 사용하는 기구의 형상, 피험자가 받는 자극감이, 침과는 분명히 다르기 때문에, 피험자에 대해 마스킹을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런데, 상기 플라세보자극을 주는 어떤 방법도, 시술자에 대해, 진짜침인지 아닌지를 인식할 수 없게 하는, 즉, 시술자에 대해 마스킹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상기 플라세보자극을 주는 어떤 방법도, 대조군에 사용하는 플라세보자극으로서는 완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시술자가 피험자에게 자침할 때에는, 피험자의 피부를 침이 뚫고 생체내를 진행해 간다고 하는 감촉이, 시술자의 손가락에 전해지기 때문에, 또는 시술부위가 시술자에게 사전에 알려지기 때문에, 시술자에 대해 마스킹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있어서, 미국의 NIH(국립위생연구소)의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는, 침요법의 평가는, 피험자측에 대해서만 마스킹을 하는, 소위, 싱글 블라인드법으로 밖에 행할 수없기 때문에, 이 방법을 받아 들일 수 밖에 없다고 말하고 있다(THE LANCET Vol.352, September 19, 198 p992).
그러나, 싱글 블라인드법은, 시술자의 침요법에 대한 기대나 열의가 피험자에게 전해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기 때문에, 침요법의 효과를 엄밀히 확인하기 위해, 피험자 및 시술자 쌍방에 대해 마스킹을 행할 수 있는 더블 블라인드법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현재 널리 행해지고 있는 자침방법은, 관침법(管鍼法)이다. 관침법에 있어서의 시술은, 분리된 침과 침관을 사용하여 행한다. 먼저 시술자는, 침을 침관내에 삽입하고, 침 삽입이 끝난 침관을 가지고 있지 않은 쪽 손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가볍게 접촉시키듯 하여 압수(押手)(즉, 자입시 또는 발침시에 침관 또는 침을 사이에 끼어 지지하도록 자세를 취한 손)를 피부면상에 만든다. 이어서, 압수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에 침 삽입이 끝난 침관을 꽂아, 압수로 침 삽입이 끝난 침관을 자입각도에 맞춰 지지하고, 자수(자침하거나, 발침하는 쪽 손)의 검지손가락으로 침의 상단을 가볍게 침으로써(통상, 관침법에 사용되는 침관의 길이는 침 전체의 길이 보다 3∼4mm 정도 짧은 것이 사용되기 때문에, 그 차이의 길이만큼, 자수로 톡톡 쳐 넣는다) 절피를 한다. 절피를 한 후, 절피한 침을 남기고 침관만을 제거하여, 압수로 직접 침을 사이에 끼고, 지지한 상태에서 자입한다. 목적으로 하는 깊이까지 첨체끝이 도달하면 그 대로 바로 압수로 침체를 사이에 낀 채, 또는 일정시간 유치(치침)한 후 다시 압수를 만들어, 침을 빼 나간다. 침을 뺀 후의 사용이 끝난 침의 침체 및 침체끝은 노출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관침법에 있어서는, 침관과 침체가 분리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자입시, 발침시에 압수가 직접 침체에 닿는다. 그 때문에, 자입되기 전에 시술자의 손가락에 의해 침체의 오염이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침을 뺄 때에는, 침관이 없는 상태의 침체를 인체로부터 빼내기 때문에, 노출된 침체 및 침체끝에 의해 시술자의 손가락이 환자의 체액으로 오염될 위험성이 있다. 장갑을 끼고 시술한 경우에도 동일한 것을 말할 수 있다.
침체 및 침체끝이 노출된 사용이 끝난 침으로, 시술자가 잘못해서 자기자신을 찌르거나, 또는 폐기하는 사람이 잘못해서 자기자신을 찌르거나 할 위험성이 있다. 현재, 침구사를 육성하는 교육시설이나 임상시설에 있어서는 사용 후의 침의 처분에 대해서는, 먼저, 사용이 끝난 침을 직경 8cm, 높이 17cm 정도의 원통형 폐침통에 버리고, 이 폐침통이 가득차면 수작업으로 폐침통으로부터 사용이 끝난 침만을 꺼내 의료폐기물용 박스로 옮겨, 침을 처분한다고 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이러한 처분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이 끝난 침을 폐침통에 버릴 때, 또, 폐침통으로부터 의료폐기물용 박스로 사용이 끝난 침을 옮길 때에, 사용이 끝난 침이 사람의 손에 잘못해서 찔릴 위험성이 있고, 실제로 그와 같은 경우가 있다.
또한, 침요법에 의한 감염을 막기 위해, 침 조작시에 손가락 덮개(finger covers), 수술용 장갑 등을 장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지만, 장착 등의 조작자체가 번거롭고, 또한 오염된 장갑 바깥면에 손가락이 닿을 위험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침요법 및 사용 후 침의 처분시에 있어서, 감염을 예방하는 수단이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다.
최근에는, 예를 들면, 침체를 피막으로 덮거나(특개소57-131446호 공보), 침체 하단을 침관의 내경에 들어가는 소관으로 덮는 등의 방법(특개소57-177752호 공보)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방법에 있어서는, 시술중에 침체와 침관은 분리되고, 시술 후는 이들을 따로따로 폐기하게 된다. 즉 폐기단계에 있어서는 침체 및 침체끝은 노출되어, 시술 후의 잘못해서 찌름으로써 발생하는 제삼자로의 감염의 예방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침요법의 효과를 엄밀히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피험자 및 시술자 쌍방에 대해 진짜침인지 가짜침인지를, 또는 자입부위(경혈 또는 비경혈)를 마스킹할 수 있는 더블 블라인드법을 실시 가능하게 하는 안전침 및 플라세보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요법에 있어서, 환자로부터 시술자에게 및 시술자로부터 제삼자로의 감염 및 폐기시의 제삼자 자신에 의한 잘못해서 찌름으로써 발생하는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입깊이,또는 침체의 굵기를 마스킹할 수 있는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침요법의 치료효과를 엄밀히 확인하기 위한, 피험자 및 시술자 쌍방에 대해 진짜침인지 가짜침인지를, 또는 침의 자입(刺入)깊이, 침체(needle stem)의 굵기, 자입부위(경혈 또는 비경혈)를 마스킹(masking)할 수 있는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그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에 사용할 수 있는 안전침, 플라세보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이, 환자, 시술자, 또는 사용이 끝난 침을 처리하는 사람에 대해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침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안전침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외관정면도, (b)는 표면도, (c)는 (b)의 A-A'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안전침을 인체의 피부면으로부터 자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3은, 본 발명의 플라세보침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외관정면도, (b)는 표면도, (c)는 (b)의 B-B'의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의 플라세보침을 인체의 피부면에 대해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5는, 도1의 안전침 하단에 대좌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대좌의 아랫면은 인체의 피부에 대해 점착성을 갖는 점착층이 형성된 것이다. (a)는 외관정면도, (b)는 표면도, (c)는 (b)의 C-C'의 단면도이다.
도6은, 도5의 안전침을 인체의 피부면으로부터 자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7은, 도3의 플라세보침 하단에 대좌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대좌의 아랫면은 인체의 피부에 대해 점착성을 갖는 점착층이 형성된 것이다. (a)는 외관정면도, (b)는 표면도, (c)는 (b)의 D-D'의 단면도이다.
도8은, 도7의 플라세보침을 인체의 피부면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9는, 침병의 하단측에 스토퍼를 설치한 경우의 본 발명의 안전침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9(a)는 외관정면도, (b)는 표면도, (c)는 (b)의 A-A'의 단면도이다.
도1O(a)는, 스토퍼의 일부가 침 보다도 돌출되어 있는 예로서, (b)는 침의 아랫면에 칼날상 스토퍼(flange-like stopper)를 설치한 예이고, (c)는 침병의 하부에서 아랫면을 덮도록 형성한 스토퍼의 예이며, (d)는 침병에 스토퍼의 기능을 주도록 침병하부에 턱을 설치한 스토퍼의 예이다.
도11은, 침병의 아랫쪽으로서, 침체의 상부에 스토퍼를 설치한 경우의 예이다.
도12는, 침병의 하단측에 스토퍼를 설치한 경우의 본 발명의 플라세보침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12(a)는 외관정면도, (b)는 표면도, (c)는 (b)의 B-B'의 단면도이다.
도13은, 인체의 피부면에 대해 침체를 비스듬히 자입할 필요가 있는 경우의 안전침을 나타낸다.
도14는, 인체의 피부면에 대해 침체를 비스듬히 자입할 필요가 있는 경우의 플라세보침을 나타낸다.
도15는, 침관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충전물의 표면이 침관의 상단 보다 돌출된 형상으로, 이 충전물을 스토퍼 대용으로 한 안전침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플라세보침에도 이를 적용할 수 있다.
도16은, 스토퍼를 침관의 바깥쪽에 설치하는 경우, 침체가 침관의 중심축으로 오도록 이동 가능하게 스토퍼에 유지시키고, 침체 이동시의 저항을 상기 충전물과 동일한 정도의 저항이 되는 기능을 스토퍼에 갖게 하여, 스토퍼를 스토퍼겸 충전물의 대용물로서 사용한 안전침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플라세보침에도 이를 적용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토대로 설명한다.
안전침
도1은, 본 발명의 안전침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외관정면도, (b)는 표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A-A'의 단면도이다. 도1에 있어서, 3은 침관이고, 내부에 침체(1)의 이동에 적절한 저항을 주고 또한 침체(1)룰 유지시키기 위한 침체유지 충전물(4)이 충전고정되어 있다. 즉, 안전침은, 사용전에 있어 서는, 침체(1)가 침체유지 충전물(4)에 의해 유지된 상태이다.
침체유지 충전물(4)의 고정위치는, 침관(3)내로서, 침체(1)를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로 좋지만, 상부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체유지 충전물(4)은 재질이 다른 복수의 층이 적층된 것이더라도 좋다. 침체유지 충전물(4)의 길이, 개수는 사용태양에 맞춰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침관(3)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침체유지 충전물(4)의 표면이 침관(3)의 상단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배치하고, 이 침체유지 충전물(4)을 스토퍼 대용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체유지 충전물(4)의 최상부는 침관(3)의 상단 보다 돌출된 형상이더라도 좋고, 이 경우는, 침체유지 충전물(4)의 침관(3)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스토퍼(5)로서의 기능을 줄 수 있다. 더욱이 침체유지 충전물(4)은, 침체끝이 소정의 자입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병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고, 또한 침체를 유지함과 동시에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줄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스토퍼기능을 겸한 침체유지 충전물(4)을「침체유지 ·스톱수단」이라고 칭한다.
이 경우, 돌출부분의 형상은 필름상, 시트상, 판상, 벌크상, 원주상 등으로, 침관(3)의 외경으로부터 밀려 나오지 않을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침체유지 충전물(4)을 침관(3)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하고, 침관(3)내의 하부에 설치한 침체유지 충전물(4)을 알코올 묻은 솜으로 함으로써 침체의 소독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침은, 침관(3)내의 침체유지 충전물(4)로 침체(1)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자입시 또는 발침시에 침체가 똑바르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져, 압수 대신이 된다.
침체유지 충전물(4)의 재료에는, 목화, 해면, 플라스틱, 실리콘 수지, 고무, 다당류, 단백질, 스폰지, 발포플라스틱, 합성섬유, 천연섬유, 수육 ·어육 등의 날고기, 가공육(햄 등) 등의 단독, 또는 이들 재료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침체유지 충전물(4)의 중심에는, 침체(1)가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어, 침체(1)의 끝(9)은 침관(3)의 하단으로부터 위로 거리(S1)의 위치까지 진입되어 있다.
침체(1)의 상부에는 침병(2)이 형성되어 있다. 침병(2)의 하단이 침관(3)내에 진입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침관(3)의 상단에는, 스토퍼(5)가 설치되어 있다. 그 스토퍼(5)는, 침관(3)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 설치할 수 있다. 도16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스토퍼(5)를 침관(3)의 바깥쪽에 설치하는 경우, 침체(1)가 침관(3)의 중심축으로 오도록 이동 가능하게 스토퍼(5)에 유지시키고, 침체(1) 이동시의 저항을 도1(c), 도2 또는 도15에 나타내는 침체유지 충전물(4)과 동일한 정도의 저항이 되는 기능을, 스토퍼(5)에 주더라도 좋다. 이러한 기능을 준 스토퍼(5)를「침체유지 ·스톱수단」이라고 칭한다. 이 경우, 스토퍼(5)의 형상은 필름상, 시트상, 판상, 벌크상, 원주상, 클립상 등으로, 침관(3)의 외경으로부터는 밀려 나오지 않을 크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침관(3)측에 스토퍼(5)를 설치하는 대신에, 침병(2)의 하단측에 스토퍼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도9는, 침병(2)의 하단측에 스토퍼(25)를 설치한 경우의 본 발명의 안전침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9(a)는 외관정면도, (b)는 표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A-A'의 단면도이다. 침체(1)의 길이는, 침체(1)가 침관(3)내에 최대한 진입했을 때에, 치료효과가 올라가는 길이로 하면 좋다.
도10(a), (b), (c), (d)는, 모두 침병(2)에 설치한 경우의 침병과 침체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9에 나타낸 스토퍼와는 별도 형태의 스토퍼의 태양이다. 도1O(a)는 스토퍼(251)의 일부가 침병(2) 보다도 돌출되어 있는 예이고, 도10(b)는 침병(2)의 아랫면에 칼날상 스토퍼(252)를 설치한 예이며, 도10(c)는 침병(2)의 하부에서 아랫면을 덮도록 형성한 스토퍼(253)의 예이고, 도10(d)는 침에 스토퍼기능을 주도록 침병하부에 턱을 설치한 스토퍼(254)의 예이다.
도11은, 침병(2)의 아랫쪽으로서, 침체(1)의 상부에 스토퍼(255)를 설치한 경우의 예이고, 예를 들면, 클립상의 스토퍼(255)로 할 수 있다.
안전침을 더블 블라인드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치료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체유지 충전물(4)은 침체(1)를 유지할 수 있고, 이동 가능하면 좋고,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에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침체(1)의 이동시저항을 작게 해 두는 쪽이 바람직하며, 또한, 침관(3)의 지름을 작게 하여, 침관(3)을 가볍게 해 두는 쪽이 바람직하고, 또한, 거리(S1)를 짧게 해 두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안전침은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침관(3)이 가볍기 때문에 치침(置鍼)도 용이해진다.
도2는, 도1의 안전침을 인체(6)의 피부면으로부터 자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침체(1)의 길이는, 침관(3)의 길이와 인체(6)에 침체(1)를 자입길이(깊이)의 합이 되도록 하고 있다. 시술자는 침관(3)을 왼손으로 고정하고, 오른손으로 침병(2)에 회전운동 또는 직진운동을 줌으로써 침체(1)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 인체(6)의 목적으로 하는 위치까지 침체(1)의 끝(9)을, 선연법이나 삽입법(twirling or simple insertion) 등으로 도달시킬 수 있다. 또한, 발침시에도, 마찬가지로, 시술자는 침관(3)을 왼손으로 고정하고, 오른손으로 침(2)에 회전운동 또는 직진운동을 줌으로써, 침체(1)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 발침할 수 있다. 발침 후의 안전침의 상태는, 거의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침체(1)의 끝(9)으로부터 대부분의 침체(1)가 침관(3)내에 수용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침은, 보존시, 시술시, 시술 후에 있어서, 시술자 또는 사용이 끝난 침의 처리자가 침체(1)의 끝부분(9) 및 침체(1)에 직접 닿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감염방지에 효과가 있다.
플라세보침
도3은, 본 발명의 플라세보침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외관정면도, (b)는 표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B-B'의 단면도이다. 도3에 있어서, 13은 밖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는 재질의 침관이 바람직하고, 내부에, 특히 상부내부에 침체(11)의 이동에 적절한 저항을 주고 또한 침체(11)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1충전물(14)이 충전고정되어 있다. 침관(13)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충전물(14)의 표면이 침관(13)의 상단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배치하여, 이 충전물(14)을 스토퍼 대용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충전물(14)의 최상부는 침관(13)의 상단 보다 돌출된 형상이더라도 좋고, 이러한 경우는, 충전물(14)의 침관(13)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스토퍼(15)로서의 기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기능을 겸비한 충전물(14)을「침체유지 ·스톱수단」이라고 칭한다.
이 경우, 돌출부분의 형상은 필름상, 시트상, 판상, 벌크상, 원주상 등으로, 침관(13)의 지름으로부터 밀려 나오지 않을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제1충전물(14)의 재료에는, 상기 안전침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충전물(14)의 길이, 개수는 사용태양에 맞춰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제1충전물(14)은 재질이 다른 복수의 층이 적층된 것이더라도 좋다.
침관(13)의 하부내부에는 제2충전물(17)이 충전고정되어 있다. 제2충전물(17)은, 침체(11)의 이동시에 절피감과 자입감을 느끼게 하는 적절한 저항을 준다. 제2충전물(17)의 길이, 개수는 사용태양에 맞춰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제2충전물(17)은 재질이 다른 복수의 층이 적층된 것이더라도 좋다.제2충전물(17)의 재료에는, 목화, 해면, 플라스틱, 실리콘 수지, 고무, 다당류, 단백질, 스폰지, 발포플라스틱, 합성섬유, 천연섬유, 수육 ·어육 등의 날고기, 가공육(햄 등), 통전페이스트, 통전젤리 등의 단독, 또는 이들 재료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침체(11)의 끝(19)은 가장 높은 위치의 제2충전물(17)의 표면으로부터 위로 거리(S2)의 위치까지 진입하고 있다. 더블 블라인드용으로 세팅하기 위해서는, S2=S1으로 한다.
침체(11)의 상부에는 침병(12)이 형성되어 있다. 침관(13)의 상단에는 침병(12)의 하단이 침관(13)내에 진입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스토퍼(15)가 설치되어 있다. 그 스토퍼(15)는 침관(13)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 설치할 수 있다. 스토퍼(15)를 침관(13)의 바깥쪽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안전침의 항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침체(11)가 침관(13)의 중심축으로 오도록 이동 가능하게 스토퍼(15)에 유지시켜, 침체(11) 이동시의 저항을 제1충전물(14)과 동일한 정도의 저항으로 되는 기능을 스토퍼(15)에 갖게 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기능을 준 스토퍼(15)를「침체유지 ·스톱수단」이라고 칭한다. 침체유지 ·스톱수단을 사용한 플라세보침의 하부충전물(상기 제2충전물에 해당)은,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inlay giving skin puncture sensation)」이라고 칭한다.
이 경우, 스토퍼(15)의 형상은 필름상, 시트상, 판상, 벌크상, 원주상, 클립상 등으로 침관(13)의 지름으로부터 밀려 나오지 않을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침관(13)측에 스토퍼(15)를 설치하는 대신에, 침병(12)의 하단측에 스토퍼를설치하더라도 좋다. 도12는, 침병(12)의 하단측에 스토퍼(35)를 설치한 경우의 본 발명의 플라세보침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12(a)는 외관정면도, (b)는 표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B-B'의 단면도이다.
플라세보침의 상기 이외의 스토퍼의 태양은, 도10, 도11에 나타내는 안전침의 스토퍼의 예와 동일한 스토퍼를 채용할 수 있다(도면생략).
도4는, 도3의 플라세보침을 인체(16)의 피부면에 대해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제1충전물에 절피감 및 침을 자입시의 저항감을 완전히 부정하는 저항을 갖는 것을 선택한 경우, 또한, 침구사 이외의 사람이나, 침시술에 숙련되지 않은 사람이 시술을 행하는 경우, 또한 안전침에 의한 자입깊이가 얕은 경우의 적용이나, 피부가 얇고 부드러우며, 또한 피하조직이 부드러운 곳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제2충전물(17)을 생략할 수 있다.
대좌(台座)
도5는, 도1의 안전침 하단에 대좌(8)를 설치한 것이다. 대좌(8)의 아랫면은 인체의 피부에 대해 점착성 또는 흡착성을 갖는 점착재 또는 흡반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5에 있어서, (a)는 외관정면도, (b)는 표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C-C'의 단면도이다. 대좌(8)는 침관(3)과 일체적으로 형성하더라도 좋고, 또한 침관(3)과 따로따로 형성하여, 착탈 가능하게 조합시킨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대좌(8)를 특별히 설치하지 않고, 침관(3)의 아랫면에 점착층을 설치하여 치침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고, 이러한 수단은, 안전침을 치료목적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도6는, 도5의 안전침을 인체(6)의 피부면으로부터 자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성 또는 흡착성을 갖는 대좌(8)에 의해, 시술시에 침관(3)을 피부면에 유치함과 동시에, 침체(1)의 자입상태를 일정시간 안정하게 유지(치침)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침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자입깊이가 적절히 깊고, 침관(3)의 길이, 침체(1)의 길이와 굵기의 관계가 적당히 설정되면, 대좌(8)를 설치하지 않고도 치침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치침에 있어서 자입깊이를 얕게 하는 경우, 또는 자입한 침의 안정을 확실히 하는 경우, 또 통전자극을 행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안전침에 대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은, 도3의 플라세보침의 하단에 대좌(18)를 설치한 것이다. 대좌(18)의 아랫면은 인체(16)의 피부에 대해 점착성 또는 흡착성을 갖는 점착재 또는 흡반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7에 있어서, (a)는 외관정면도, (b)는 표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D-D'의 단면도이다. 대좌(18)는 침관(13)과 일체적으로 형성하더라도 좋고, 또한 침관(13)과 따로따로 형성하여, 착탈 가능하게 조합시킨 것이더라도 좋다.
도8은, 도7의 플라세보침을 인체(16)의 피부면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성 또는 흡착성을 갖는 대좌(18)에 의해 적용시에 침관(13)을 포함한 플라세보침을 피부에 안정하게 유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침 및 플라세보침 쌍방에 점착성 또는 흡착성 대좌(8,18)를 설치한 경우에는, 양자의 치침(침체를 자입한 상태에서 일정시간 그대로 두는 것)상태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안전침과 플라세보침 하단형상의 태양
인체의 피부면에 대해, 침체를 비스듬히 자입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안전침에 대해서는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관(3)의 하단을 비스듬히 컷팅하고, 플라세보침에 대해서도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관(13)의 하단을 비스듬히 컷팅하면 좋다. 도13 및 도14에 나타내는 하단이 비스듬한 침관(3,13)의 길이는, 침관(3,13)의 중심축에서 계측한다. 또한, 하단이 비스듬한 침관(3,13)에 대해서 대좌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침관(3,13) 하단의 형상에 맞춰 설치한다.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상기의 안전침과 플라세보침을 조합시켜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양자가 외관상 구별되지 않도록, 양자의 침관(3,13)길이, 사용 전에 있어서의 양자의 침관(3,13)상단으로부터 나와 있는 침체(1,11)의 길이, 양자의 침병(2,12)길이 및 안전침의 침체(1)의 끝(9)으로부터 피부까지의 거리(S1)와, 플라세보침의 침체(11)의 끝(19)으로부터 제2충전물(17) 표면까지의 거리(S2)를 각각 동일하게 하여, 양자의 형태나 색을 보았을 때 동일하게 한다.
안전침의 침체유지 충전물(4)과 플라세보침의 제1충전물(14)을 동일한 재질로 하고, 또한 양자의 침관(3,13)을 불투명으로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양자의 침관(3,13)의 하단을 포함하는 하부에 차폐물(도시하지 않는다)을 설치하여, 차폐하여 내부가 보이지 않는 상태로 하더라도좋다. 이러한 차폐물에는 멸균이 끝난 것을 사용하고,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필름상, 시트상, 판상, 벌크상, 또한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알코올 묻은 솜, 해면, 스폰지, 플라스틱, 종이, 거어즈, 단백질, 다당류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차폐물에는, 통전자극을 줄 수 있는 통전페이스트(도포하여 차폐물을 형성), 통전젤리 또는 통전패드이더라도 좋다.
안전침과 플라세보침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침관(3,13)(침관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의 두께를 포함)상단의 위치와 동일한 높이에 오는 각 침체(1,11)에 표시를 해 두면, 시술 후에 다시, 사용 전 상태의 위치로 각 침체(1,11)를 용이하게 되돌릴 수 있다.
양자의 침관(3,13)의 전장은, 안전침의 침체(1)길이로부터 소정의 자입깊이를 뺀 값으로 한다. 또한, 스토퍼(5,15)가 침관(3,13)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토퍼의 높이를 더 뺀 값으로 한다. 자입깊이는 목적으로 하는 시술부위에 따라 각각 다르기 때문에, 침관(3,13)의 길이는 그때 그때에 맞춘 길이로 한다.
양자의 침관(3,13)의 상단 또는 침병(2,12)의 하단에 설치한 스토퍼(5,25,15,35)에 의해, 침관(3,13)의 상단에 침병(2,12)의 하단이 도달하면, 더이상, 침체(1,11)가 진행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플라세보침의 침체(11)와 침관(13)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는, 양자의 침 적용시에 침체(1,11)의 이동거리가 완전히 동일해진다. 또한, 플라세보침의 침체(11)길이가 침관(13)의 길이 보다 조금 길거나 조금 짧을 경우는, 양자의 침체(1,11) 이동거리는 거의 동일해진다.
안전침은, 침체(1)의 길이에서 침관(3)의 길이를 뺀 만큼의 길이가 체내에 들어 가게 된다. 또한, 스토퍼(5)가 침관(3)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토퍼(5)의 높이를 더 뺀 값으로 된다. 플라세보침의 침체(11)길이는, 시술시에 자수로 침체(11)를 선연하거나, 삽입 하는 조작으로, 스토퍼(15,35)에 의해 침병(12)의 하단이 침관(13)의 상단에 도달하여, 정지한 시점에서 플라세보침의 침체(11)의 끝(19)이 피부면을 누르는 범위의 길이로부터 피부면 조금 위의 위치에서 머무는 범위의 길이로 한다. 플라세보침을 이러한 길이로 하기 위해서는, 침체(11)를 침관(13)의 길이 보다, 조금 길게 또는 조금 짧은 범위의 임의의 점에서 절단하면 좋다. 또한, 침체(11)의 끝(19)의 형상도 몸속에 들어 가지 않을 듯한 형상(예를 들면, 예리하지 않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세보침의 침체(11)길이나 끝부분(19)의 형상은, 플라세보침에 의한 자극의 강도에 따라, 바꿀 수 있다.
안전침 및 플라세보침 둘다, 침관(3,13)내에 침체유지 충전물(플라세보침인 경우는 제1충전물)(4,14)이 충전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입시 및 발침시의 침체(1,11)의 직진운동 또는 회전운동에 대해 저항을 줄 수 있다. 이 저항의 강도는, 사용목적, 시술방법, 시술부위 자입깊이에 따라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이 저항에 의해, 자입시 및 발침시에 시술자의 자수에 전해져 오는 침체(1)가 생체속을 이동하기 때문에 생기는 저항감이 부정되기 때문에, 시술자는 안전침과 플라세보침을 구별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플라세보침의 침관(13)내에는 제2충전물(17)이 충전고정되어 있다. 그제2충전물(17)의 충전위치는, 제2충전물(17)의 아랫면이 침관(13)의 하단위치를 포함한 그 부근이 되는 위치로 한다. 한편, 제2충전물(17)의 표면은, 안전침과 플라세보침의 침체길이의 차이 만큼(즉, 안전침의 침체(1)가 인체(6)내에 자입되는 길이 만큼) 침관(13)의 하단으로부터 올라간 위치이다. 이러한 제2충전물(17)의 배치에서, 양자의 침관(3,13)의 상단으로부터 나와 있는 침체(1,11) 및 침(2,12)의 길이를 동일하게 갖춰 세팅해 둠으로써, 안전침의 침체(1)의 끝(9)으로부터 피부까지의 이동거리(S1)와 플라세보침의 침체(11)의 끝부분(19)으로부터 침관(13)하부의 제2충전물(17)의 표면까지의 이동거리(S2)가, 플라세보침의 침체(11)와 침관(13)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는, 완전히 동일해진다(S1=S2). 또한, 플라세보침의 침체(11)길이가 침관(13)길이 보다 조금 길거나 조금 짧을 경우는, 양자의 침체(1,11)이동거리는 거의 동일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팅된 안전침과 플라세보침을 사용하여, 인체(6,16)의 피부면에 적용하는 경우에, 안전침의 침체(1)의 끝(9)이 피부면에 도달할 때까지의 거리(S1)와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한 거리를 플라세보침 침체(11)의 끝부분(19)이 진행하면, 제2충전물(17)의 표면까지 도달하게 되기 때문에, 플라세보침의 침체(11)의 끝부분(19)이 그 위치 보다 더 진행하면, 안전체의 침체(1)의 끝(9)이 소정 위치로부터 인체(6)의 피부면에 도달하여, 피부를 뚫고 생체내를 진행해 갈 때의 저항감과 동등한 감촉을 플라세보침에 줄 수 있다. 따라서, 시술시에 양자의 구별은 곤란해져, 시술자에 대해 마스킹을 행할 수 있다.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에 있어서, 안전침의 침체유지 충전물 및 플라세보침의 제1충전물에 대해서, 피험자에게 적용한 경우에, 절피감 및 자침시의 저항감을 완전히 부정하는 저항을 갖는 충전물을 선택한 경우, 또, 침구사 이외의 사람이나, 침시술에 숙련되지 않은 사람이 시술을 행하는 경우, 또한 안전침에 의한 자입깊이가 얕은 경우의 적용이나, 피부가 얇고 부드러우며, 또한 피하조직이 부드러운 곳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플라세보침에 있어서의 제2충전물을 생략할 수 있다. 단 단자(simple insertion)나 치침(placement of needle) 이외의 손기술, 예를 들면, 작취술(needle vibration)이나 연침술(needle twirling) 등을 자입한 침에 행하는 경우에는 제1충전물의 저항을 어느 정도 작게 할 필요가 있어, 제2충전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침과 플라세보침을 구별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상기와는 별도의 수단에는, 다음 방법이 있다. 즉, 침의 재질, 길이, 색, 형상, 또한, 침체의 재질, 전장, 굵기, 침관상부 또는 침체유지 ·스톱수단 상부로 나온 침체의 길이, 침체끝에서 피부면까지의 거리, 자입깊이 ,침관의 재질, 길이, 색, 형상 및 침체유지 충전물의 질, 양, 개수, 충전하는 위치 등의 각각의 특징으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더블 블라인드 시험에 따라 선택된 1종 이상의 특징에 있어서 다른 상기 안전침을 여러개 준비하여 안전침 그룹으로 한다.
한편, 침의 재질, 길이, 색, 형상, 또한, 침체의 재질, 전장, 굵기, 침관상부 또는 침체유지 ·스톱수단 상부로 나온 침체의 길이, 침체끝에서 제2충전물 표면까지의 거리, 침관의 재질, 길이, 색, 형상 및 제1충전물의 재질, 양, 개수, 충전하는 위치, 또한 제2충전물의 재질, 양, 개수, 충전하는 위치 등의 각각의 특징으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더블 블라인드 시험에 따라 선택된 1종 이상의 특징에 있어서 다른 상기 플라세보침을 여러개 준비하여 플라세보침 그룹으로 한다.
이어서, 1종 이상의 특징에 있어서 다른 상기 안전침 그룹과 플라세보침 그룹을 조합시켜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로 한다. 즉, 이와 같이 선택조합된 안전침과 플라세보침은, 상기의 1종 이상의 특징에 있어서 차이가 있지만, 목적으로 하는 더블 블라인드 시험에 따라 선택된 랜덤조합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상, 안전침 및 플라세보침의 구별은 피험자 및 시술자 양쪽 모두 알 수 없다. 즉, 더블 블라인드 효과가 있다.
굵기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상기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의 조합에 있어서, 예를 들면, 침체의 굵기에 대해 착안하여, 침체의 굵기가 다른 안전침 및 플라세보침을 여러 가지 조합시켜, 그들 침의 굵기 이외의 외관을 동일, 또는 외관상, 안전침 및 플라세보침의 구별이 되지 않도록 해 두면, 굵기를 마스킹하여 더블 블라인드(피험자 및 시술자 쌍방에 대해)에 의해 시험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침세트를 굵기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라고 한다.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상기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의 조합에 있어서, 예를 들면, 자입깊이에 대해 착안하여, 자입깊이가 다른 안전침을 여러 가지 준비하고, 침체의 길이가 여러 가지 다른 플라세보침을 준비하고, 양쪽 그룹을 조합시켜, 그들 침의 외관을 동일하게 해 두면, 자입깊이를 마스킹하여 더블 블라인드에 의해 시험을 행할 수 있다. 즉, 침체가 어느 정도 깊이 까지, 생체내에 자입되었는지에 대해 시술자 및 피험자 쌍방에 대해 블라인드하여 깊이를 마스킹할 수 있다. 이러한 깊이를 마스킹하여 시술자 및 피험자 양쪽 모두 알지 못하도록 하는 침세트를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라고 한다.
상기와는 별도의 자입깊이를 마스킹하여 더블 블라인드 시험에 사용하는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에 해서 기술한다.
이러한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는, 자입깊이가 여러 가지 다른 여러개의 깊이 마스킹침으로 된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이다. 이러한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에는, 침관의 길이가 여러 가지 다른 것으로서 또한 자입깊이가 여러 가지 다른 여러개의 침 그룹을 세트로 한 경우와, 침관의 길이가 동일하고 또한 자입깊이가 여러 가지 다른 여러개의 침 그룹을 세트로 한 경우의 2가지가 있다. 침관은 불투명으로 하여,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 침관의 길이가 여러 가지 다른 것으로서 또한 자입깊이가 여러 가지 다른 여러개의 침 그룹을 세트로 한 경우
이러한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는, 다음의 (1)∼(4)의 특징을 갖는 자입깊이와 침관의 길이가 여러 가지 다른 여러개의 깊이 마스킹침을 제1그룹으로 한 것이다. 즉, 제1그룹의 깊이 마스킹침은, 도1에 나타내는 안전침과 동일한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고, (1) 침관과, (2) 침관내 임의의 위치에 충전고정되어,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주어, 침체를 유지시키기 위한 1개 이상의 침체유지 충전물,(3) 그 충전물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침관의 길이 보다도 침체의 자입깊이 만큼 긴 침체와, (4) 침체상부에 설치된 침병의 하단에, 또는 침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침체끝이 소정의 자입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병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마스킹침이다. 또한, 제1그룹의 깊이 마스킹침으로만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침체유지 충전물은, 침체가 신체로 진입할 때의 절피감이나 자입시의 저항감을 부정하는 정도의 저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깊이 마스킹침 세트에 있어서, 침체유지 충전물 및 스토퍼를 설치하는 대신에, 다음 구성의 침체유지 ·스톱수단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즉, 침체유지 ·스톱수단이란, 침관의 상단 바깥쪽에 설치되어, 침체끝이 소정의 자입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고, 또한 침체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줄 수 있는 침체유지 ·스톱수단이다.
이들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를 사용하여 더블 블라인드 시험을 행할 때에는, 침관의 길이와 그 침관의 길이에 대한 침체의 길이, 침관상단으로부터 나와 있는 침체의 길이, 또한 침체의 자입깊이가 여러 가지 달라, 외관상, 자입깊이에 대한 구별은 피험자 및 시술자 모두 알 수 없다. 또한, 침체가 신체로 진입할 때의 절피감이나 자입시의 저항감, 자입깊이에 대해서도 시술자는 알 수 없다. 즉, 자입깊이에 대해 더블 블라인드 효과가 있다.
또한, 침관의 길이가 여러 가지 다르고, 게다가 침체의 자입깊이가 여러 가지 다른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에 있어서의 상기와는 별도의 제2그룹의 깊이마스킹침은, 상기 깊이 마스킹침에, 더욱이 침체의 이동시에 절피감과 자입감을 줄 수 있는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을 침관의 하부에 충전하여 설치한 것이다. 즉, 이러한 깊이 블라인드 침세트에 사용할 수 있는 깊이 마스킹침은, (1) 침관과, (2) 침관내 임의의 위치에 충전고정되어,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주어, 침체를 유지시키기 위한 1개 이상의 침체유지 충전물, (3) 침관의 하부에 충전고정되어, 침체끝이 침관내를 진행하여, 소정의 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체의 이동시에 절피감과 자입감을 주는 1개 이상의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과, (4) 그 침체유지 충전물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침관의 길이 보다도 침체의 자입깊이 만큼 긴 침체, (5) 침체상부에 설치된 침병의 하단에, 또는 침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침관내를 진행하는 침체끝이 소정의 자입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깊이 마스킹침세트에 있어서, 침체유지 충전물 및 스토퍼를 설치하는 대신에, 다음 구성의 침체유지 ·스톱수단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즉, 침체유지 ·스톱수단이란, 침관의 상단 바깥쪽에 설치되어, 침체끝이 소정의 자입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고, 또한 침체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줄 수 있는 침체유지 ·스톱수단이다.
이러한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를 구성하는 깊이 마스킹침은, 침관의 길이, 그 침관의 길이에 대한 침체의 길이, 침관상단으로부터 나와 있는 침체의 길이,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의 길이, 또한 자입깊이도 여러 가지이기 때문에, 외관상, 자입깊이는 판별할 수 없다. 또, 침체가 신체로 진입할 때의 절피감이나 자입시의 저항감, 자입깊이에 대해서도 시술자는 알 수 없다. 이들의 깊이 마스킹침을 랜덤선택하여 피험자에 대해 적용함으로써, 자입깊이에 대해 마스킹한 상태로, 시술자 및 피험자 쌍방에 대해 더블 블라인드로 실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그룹의 깊이 마스킹침 및 제2그룹의 깊이 마스킹침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조합시키더라도, 침체의 자입깊이에 대해 마스킹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깊이 마스킹침의 침체유지 충전물에는, 상기한 안전침의 충전물, 또는 플라세보침의 제1충전물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깊이 마스킹침의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에는, 위생상 문제가 없으면 상기한 플라세보침의 제2충전물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은, 예를 들면, 알코올 묻은 솜을 사용할 수 있고, 그 길이, 밀도, 침관내에서의 위치는, 적절하게 바꿀 수 있다. 알코올 묻은 솜에 의한 충전물은, 여러개로 나눠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알코올 묻은 솜 외에, 멸균을 끝낸 물질(침체끝, 침체가 통과하고, 더욱이 신체내에 들어 가더라도 위생상 문제가 없는 물질, 예를 들면, 알코올에 담근 거어즈나 종이 등)을 충전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i) 침관의 길이, 침관상단으로부터 나와 있는 침체의 길이, 침병의 길이가 동일하고, 또한 자입깊이가 여러 가지 다른 여러개의 침 그룹을 세트로 하여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i)의 제2그룹에서 설명한 침체유지 충전물과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 양쪽을 갖는 깊이 마스킹침에 대해, 침관의 길이, 침관상부로부터 나와 있는 침체의길이, 침병의 길이가 동일하고, 또한 자입깊이가 여러 가지 다른 여러개의 침 그룹을 세트로 하여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를 구성한다. 여러개의 충전물중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하위의 충전물)의 위치는, 동일한 그룹내에서 자입깊이가 가장 깊은 침을 기준으로 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입깊이가 가장 깊은 침 이외의 침의 하위의 충전물 표면의 위치는, 자입깊이가 가장 깊은 침의 침체끝에서 피부면 까지의 거리 만큼의 길이만, 침체끝에서 아래로 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i)의 제1그룹의 침을 이러한 세트로 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술부위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시술자에게 경혈부에 시침하는지, 또는 비경혈부에 시침하는지를 모르게 하고 싶은 경우, 시술자 이외의 사람이 미리, 경혈부 또는 비경혈부의 취혈(取穴)을 행하여, 본 발명의 대좌가 부착된 침(안전침 또는 플라세보침)을 설치하고, 그 후, 시술자가 침을 자입하는 방법으로 실험을 행할 수 있다. 즉, 대좌가 부착된 침은, 시술부위(경혈부, 비경혈부)에 관해서도 마스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안전침을 이용한 시술
본 발명의 안전침을 사용하여 시술을 행하는데 있어서는, 먼저 시술자는, 안전침의 침관(3)을 피부면상에 만든 압수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에 꽂아, 압수로 침관(3)을 지지하고, 자수(자침하거나, 발침하는 쪽 손)로 침병(2)의 상단을 가볍게 쳐서 침체(1)의 끝부분(9)으로 절피하여, 침병(2)의 하단 또는 침관(3)의 상단에 설치된 스토퍼(5,25)에 의해, 침(2)이 침관(3)의 상단에서 멈추는 위치까지, 선연법 또는 삽입법으로 자입하고 이동시켜, 침체(1)의 끝(9)을 인체(6)내의목적위치까지 도달시킨다. 또한, 침체(1) 이동시의 침체유지 충전물(4)의 저항강도에 따라서, 또는 침관(3)의 상단으로부터 나와 있는 침체(1)의 길이에 따라 처음부터 선연법으로 자입하더라도 좋다. 치침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한다. 치침에는 대좌가 부착된 안전침을 사용하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압수로 침관을 유지한 채로, 발침하여 사용 전 위치까지 끌어 올린다. 본 발명의 대좌가 부착된 안전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압수는 불필요해진다. 이 단계에서, 침체(1)의 인체(6)내에 삽입된 부분은 침관(3)내에 넣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의 침관(3)을 인체(6)로부터 떼어, 소정의 장소에 폐기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침, 또는 본 발명의 특히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에 사용되는 안전침은, (1) 침관과, (2) 침관내 임의의 위치에 충전고정되어,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주어, 침체를 유지시키기 위한 1개 이상의 침체유지 충전물, (3) 그 충전물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침관의 길이 보다도 침체의 자입깊이(신체내에 침체가 진입하는 깊이)만큼 긴 침체와, (4) 침체상부에 설치된 침병(needle, 針柄)의 하단에, 또는 침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침체끝이 자입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병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갖고, 또한, (5) 상기 침관은, 침체의 자입깊이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세보침, 또는 본 발명의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에 사용되는 플라세보침은, (1) 침관과, (2) 침관내 임의의 위치에 충전고정되어,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주어, 침체를 유지시키기 위한 1개 이상의 제1충전물, (3) 침관의 하부에 충전고정되어, 침체끝이 침관내를 진행하여, 소정의 깊이에 달했을 때의 침체 이동시에 절피감과 자입감을 주는 1개 이상의 제2충전물과, (4) 상기 제1충전물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침체를 충분히 침관에 진입시켰을 때에 침체끝이 피부면상에 머무는 길이인 침체, (5) 침체상부에 설치된 침병의 하단에, 또는 침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침관내를 진행하는 침체끝이 피부면상에 달했을 때에, 침병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는 별도의 본 발명의 플라세보침은, (1) 침관과, (2) 침관내 임의의 위치에 충전고정되어,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주는 1개 이상의 침체유지 충전물, (3) 상기 충전물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침체를 충분히 침관에 진입시켰을 때에 침체끝이 피부면상에 머무는 길이인 침체와, (4) 침체상부에 설치된 침병의 하단에, 또는 침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침관내를 진행하는 침체끝이 피부면상에 달했을 때에, 침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침과 상기 플라세보침을 조합시켜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로 할 수 있다.
제2충전물을 갖는 플라세보침을 사용한 본 발명의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는, 양자의 침관길이, 양자의 침관상단으로부터 나와 있는 침체길이, 양자의 침길이 및 안전침의 침끝에서 피부까지의 거리와 플라세보침의 침체끝에서 제2충전물 표면까지의 거리가 각각 동일하고, 제2충전물의 표면은 안전침의 자입깊이 만큼 침관하단으로부터 위에 위치하고, 또한 양자는 외관상 구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전침과 플라세보침이 외관상 구별되지 않는 것이, 피험자와 시술자 쌍방에 대해 더블 블라인드로 마스킹하는데 필요하고, 예를 들면, 침관이 불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충전물을 갖지 않는 플라세보침을 사용한 본 발명의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는, 양자의 침관길이, 양자의 침관상단으로부터 나와 있는 침체길이 및 양자의 침병길이가 각각 동일하고, 또한 양자는 외관상 구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플라세보침의 충전물에는, 절피감 및 침을 자입시의 저항감을 완전히 부정하는 저항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라세보침을 사용한 더블 블라인드 세트는, 침구사 이외의 사람이나, 침시술에 숙련되지 않은 사람이 시술을 행하는 경우나, 특히, 안전침에 의한 자입깊이가 얕은 경우의 적용이나,피부가 얇고 부드러우며, 또한 피하조직이 부드러운 곳의 적용에 적합하다.
상기와는 별도의 조합으로 구성한 본 발명의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는, (1) 침병의 재질, 길이, 색, 형상, 또한, 침체의 재질, 전장, 굵기, 침관상부에 나온 침체의 길이, 침체끝에서 피부면까지의 거리, 자입깊이 ,침관의 재질, 길이, 색, 형상 및 충전물의 질, 양, 개수, 충전하는 위치의 각각의 특징으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더블 블라인드 시험에 따라 선택된 1종 이상의 특징이 다른 안전침을 1개 이상 준비하여 안전침 그룹으로 하고, (2) 침병의 재질, 길이, 색, 형상, 또한, 침체의 재질, 전장, 굵기, 침관상부에 나온 침체의 길이, 침체끝에서 제2충전물 표면까지의 거리, 침관의 재질, 길이, 색, 형상 및 제1충전물의 재질, 양, 개수, 충전하는 위치, 또 제2충전물의 재질, 양, 개수, 충전하는 위치의 각각의 특징으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더블 블라인드 시험에 따라 선택된 1종 이상의 특징이 다른 플라세보침을 1개 이상 준비하여 플라세보침 그룹으로 하여, (3) 상기 안전침 그룹과 플라세보침 그룹을 조합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이다.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에 있어서, 플라세보침과 안전침의 상기 각 특징의 종류에 착안한 조합 및 조합개수는 목적으로 하는 더블 블라인드 시험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침관의 길이란, 침관의 상단에 돌출되어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침관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스토퍼의 두께를 포함한 길이로 한다.
침병하단에 설치된 스토퍼가 침의 하단 보다 돌출되어 있는 경우, 또는 침 아랫쪽 침체의 임의의 위치에 스토퍼를 설치한 경우에는, 침체의 길이는, 스토퍼의하단으로부터의 길이로 한다.
안전침이나 플라세보침의 각 침관의 밑바닥부의 피부와 맞닿는 면측에, 양자의 침관을 피부에 점착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성 또는 흡착성의 대좌(seat, 台座)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안전침은, 보존시, 시술시, 시술 후에 있어서, 끝부분을 포함하는 침체는 침관내에 유지되어 있어, 침관이 침체와 분리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시술자 또는 사용이 끝난 침의 처리자가 침체끝 및 침체에 직접 닿을 일이 없다. 그 때문에 환자로부터 시술자로의 감염방지, 시술자로부터 제삼자로의 감염방지 및 시술자 자신 또는 폐기자 자신에 의한 잘못해서 찌름으로써 생기는 감염방지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안전침은, 스토퍼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깊이에 정확에 도달하여, 목적으로 하는 깊이 이상으로 침체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조직, 또는 중요한 장기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어진다. 특히, 흉부, 복부에는 중요한 장기가 존재하여, 동부위의 시술에 있어서는, 정확한 자입깊이가 요구된다. 종래의 침을 사용한 시술에서는, 자입된 침체의 깊이측정은 시술자의 감이나 감각으로 행하고 있기 때문에, 잘못해서 필요 이상으로 깊게 침체를 자입되어질 가능성, 또는 목적으로 하는 위치까지 침체끝이 도달하지 않울 가능성이 있다. 또한, 치침시에 침체 ·침의 자중이나, 침체 ·침병 위에 건 목욕수건 등의 무게, 근수축 등에 의해 예기치 못한 침체의 진입이 발생하여, 필요 이상으로 침체가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안전침은 스토퍼를 갖기 때문에 이들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는, 침요법의 효과를 엄밀히 확인하기 위한, 피험자 및 시술자 쌍방에 대해 마스킹을 행할 수 있는 더블 블라인드법의 실시를 처음으로 실현 가능하게 했다.
침관의 길이와 그 침관의 길이에 대한 침체길이의 여러 가지 다른 안전침을 침치료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입깊이를 마스킹하여 더블 블라인드법을 실시할 수 있다.
침체의 굵기가 여러 가지 다른 안전침을 침치료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체의 굵기를 마스킹하여 더블 블라인드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침 및 플라세보침은, 침관내의 충전물로 침체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자입시 또는 발침시에 침체를 똑바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져, 압수의 대신이 된다. 점착성의 대좌를 설치한 경우에는, 자입시에 침관을 유치한 상태로 안정하게 치침할 수 있고, 또한, 압수가 필요없어 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대좌가 부착된 침은, 시술부위(경혈부, 비경혈부)에 관해서도 더블 블라인드에 의해 마스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9)

  1. (1) 침관과,
    (2) 침관내 임의의 위치에 충전고정되어,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주어, 침체를 유지시키기 위한 1개 이상의 침체유지 충전물과,
    (3) 그 충전물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침관의 길이 보다도 침체의 자입깊이 만큼 긴 침체와,
    (4) 침체상부에 설치된 침병의 하단에, 또는 침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침체끝이 소정의 자입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병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갖고, 또한,
    (5) 상기 침관은, 침체의 자입깊이 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침.
  2. (1) 침관과,
    (2) 침관의 상단 바깥쪽에 설치되어, 침체끝이 소정의 자입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병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고, 또한 침체를 유지하는 동시에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줄 수 있는 침체유지 ·스톱수단과,
    (3) 그 침체유지 ·스톱수단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피부접촉측 침관단부에서 침체유지 ·스톱수단의 침병접촉측 단부까지의 길이 보다도 침체의 자입깊이 만큼 긴 침체와,
    (4) 상기 침체유지 ·스톱수단의 침병접촉측 단부에서 침관의 피부접촉측 단부까지의 길이는, 침체의 자입깊이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관의 밑바닥부의 피부와 맞닿는 면측에 점착성 또는 흡착성 대좌를 설치한 안전침.
  4. (1) 침관과,
    (2) 침관내 임의의 위치에 충전고정되어,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주어, 침체를 유지시키기 위한 1개 이상의 제1충전물과,
    (3) 침관의 하부에 충전고정되어, 침체끝이 침관내를 진행하여, 소정의 깊이에 달하여 이동할 때에 절피감과 자입감을 주는 1개 이상의 제2충전물과,
    (4) 그 제1충전물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침체를 충분히 침관에 진입시켰을 때에 침체끝이 피부면상에 머무는 길이인 침체와,
    (5) 침체상부에 설치된 침병의 하단에, 또는 침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침관내를 진행하는 침체끝이 피부면상에 달했을 때에, 침병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세보침.
  5. (1) 침관과,
    (2) 침관의 상단 바깥쪽에 설치되어, 침체끝이 소정의 자입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관내를 진행하는 침체끝이 피부면상에 달했을 때에, 침병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고, 또한 침체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줄 수 있는 침체유지 ·스톱수단과,
    (3) 침관의 하부에 충전고정되어, 침체끝이 침관내를 진행하여, 소정의 깊이에 달하여 이동할 때에 절피감과 자입감을 주는 1개 이상의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과,
    (4) 그 침체유지 ·스톱수단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침체를 충분히 침관에 진입시켰을 때에 침체끝이 피부면상에 머무는 길이인 침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세보침.
  6. (1) 침관과,
    (2) 침관내 임의의 위치에 충전고정되어,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주어, 침체를 유지시키기 위한 1개 이상의 침체유지 충전물과,
    (3) 그 침체유지 충전물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침체를 충분히 침관에 진입시켰을 때에 침체끝이 피부면상에 머무는 길이인 침체와,
    (4) 침체상부에 설치된 침병의 하단에, 또는 침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침관내를 진행하는 침체끝이 피부면상에 달했을 때에, 침병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세보침.
  7. (1) 침관과,
    (2) 침관의 상단 바깥쪽에 설치되어, 침체끝이 소정의 자입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관내를 진행하는 침체끝이 피부면상에 달했을 때에, 침병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고, 또한 침체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줄 수 있는 침체유지 ·스톱수단과,
    (3) 그 침체유지 ·스톱수단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침체를 충분히 침관에 진입시켰을 때에 침체끝이 피부면상에 머무는 길이인 안전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세보침.
  8. 제4항,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침체끝의 형상은, 침체끝이 신체내에 들어 가지 않을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세보침.
  9.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침관의 밑바닥부의 피부와 맞닿는 면측에 점착성 또는 흡착성 대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세보침.
  10.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의 안전침과,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또는 제9항의 플라세보침이 조합되어 된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11. (1)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의 안전침과, 제4항, 제5항, 제8항 또는 제9항의 플라세보침이 조합되어 되고,
    (2) 양자의 침관길이 또는 피부접촉측 침관단부에서 침체유지 스톱수단의 침병접촉측 단부까지의 길이, 양자의 침병길이 및 안전침의 침체 끝부분에서 피부까지의 거리와 플라세보침의 침체끝에서, 제2충전물 표면 또는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 표면까지의 거리가 각각 동일하고,
    (3) 제2충전물 또는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의 표면은 안전침의 자입깊이 만큼 침관 하단에서 위에 위치하고, 또한 양자는 외관상 구별이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12.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의 안전침과, 제6항, 제7항, 제8항 또는 제9항의 플라세보침이 조합되어 되어, 양자의 침관길이 또는 피부접촉측 침관 단부에서 침체유지 ·스톱수단의 침병접촉측 단부까지의 길이, 양자의 침관상단 또는 침체유지 ·스톱수단의 침병접촉측 단부로부터 나와 있는 침체의 길이 및 양자의 침병길이가 각각 동일하고, 또한 양자는 외관상 구별이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13. (1) 침병의 재질, 길이, 색, 형상, 또한, 침체의 재질, 전장, 굵기, 침관상부 또는 침체유지 ·스톱수단 상부에 나온 침체의 길이, 침체끝에서 피부면까지의 거리, 자입깊이,침관의 재질, 길이, 색, 형상 및 침체유지 충전물의 질, 양, 개수, 충전하는 위치의 각각의 특징으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더블 블라인드 시험에 따라 선택된 1종 이상의 특징에 있어서 다른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의 안전침을 여러개 준비하여 안전침 그룹으로 하고,
    (2) 침병의 재질, 길이, 색, 형상, 또한, 침체의 재질, 전장, 굵기, 침관상부 또는 침체유지 ·스톱수단 상부에 나온 침체의 길이, 침체끝에서 제2충전물 또는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까지의 거리, 침관의 재질, 길이, 색, 형상 및 제1충전물의 재질, 양, 개수, 충전하는 위치, 또한 제2충전물 또는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의 재질, 양, 개수, 충전하는 위치의 각각의 특징으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더블 블라인드 시험에 따라 선택된 1종 이상의 특징에 있어서 다른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또는 제9항의 플라세보침을 여러개 준비하여 플라세보침 그룹으로 하여,
    (3) 상기 안전침 그룹과 플라세보침 그룹이 조합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14. (1) 침체의 굵기의 여러 가지 다른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13항의 안전침을 여러개 준비하여 안전침 그룹으로 하고,
    (2) 침체의 굵기의 여러 가지 다른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3항의 플라세보침을 여러개 준비하여 플라세보침 그룹으로 하여,
    (3) 상기 안전침 그룹과 플라세보침 그룹을 침체의 굵기 이외에는 외관상 동일형상의 것으로 하고, 또는 외관상, 안전침 및 플라세보침이 구별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조합시켜 된, 침체의 굵기에 대해 마스킹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굵기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15. (1) 침체의 자입깊이의 여러 가지 다른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13항의 안전침을 여러개 준비하여 안전침 그룹으로 하고,
    (2) 침체길이의 여러 가지 다른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3항의 플라세보침을 여러개 준비하여 플라세보침 그룹으로 하여,
    (3) 상기 안전침 그룹과 플라세보침 그룹을 외관상 동일형상의 것으로 하고, 또는 외관상, 안전침 및 플라세보침이 구별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조합시켜 되어, 침체의 자입깊이가 마스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16. 하기의 제1그룹의 깊이 마스킹침 및 제2그룹의 깊이 마스킹침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이 조합되어 되어, 침체의 자입깊이에 대해 마스킹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제1그룹의 깊이 마스킹침은,
    (1) 침관과,
    (2) 침관내 임의의 위치에 충전고정되어,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주어, 침체를 유지시키기 위한 1개 이상의 침체유지 충전물과,
    (3) 그 충전물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침관의 길이 보다도 침체의 자입깊이 만큼 긴 침체와,
    (4) 침체상부에 설치된 침병의 하단에, 또는 침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침체끝이 소정의 자입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병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깊이 마스킹침을 여러개 집합시키고, 또한,
    (5) 그 여러개의 깊이 마스킹침은, 침관의 길이, 그 침관의 길이에 대한 침체의 길이, 그 침관상단으로부터 나와 있는 침체의 길이, 또한 침체의 자입깊이가 여러 가지 다른 것으로;
    제2그룹의 깊이 마스킹침은,
    (6) 침관과,
    (7) 침관내 임의의 위치에 충전고정되어, 침체의이동에 저항을 주어, 침체를 유지시키기 위한 1개 이상의 침체유지 충전물과,
    (8) 침관의 하부에 충전고정되어, 침체끝이 침관내를 진행하여, 소정의 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체 이동시에 절피감과 자입감을 주는 1개 이상의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과,
    (9) 그 침체유지 충전물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침관의 길이 보다도 침체의 자입깊이 만큼 긴 침체와,
    (10) 침체상부에 설치된 침병의 하단에, 또는 침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침관내를 진행하는 침체끝이 소정의 자입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병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깊이 마스킹침을 여러개 집합시키고, 또한,
    (11) 그 여러개의 깊이 마스킹침은, 침관의 길이, 그 침관의 길이에 대한 침체의 길이, 침관상단으로부터 나와 있는 침체의 길이,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의 길이가 여러 가지 다르고, 또한 침체의 자입깊이가 여러 가지 다른 것이다.
  17. 하기의 제1그룹의 깊이 마스킹침 및 제2그룹의 깊이 마스킹침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이 조합되어 되고, 침체의 자입깊이에 대해 마스킹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제1그룹의 깊이 마스킹침은,
    (1) 침관과,
    (2) 침관의 상단바깥쪽에 설치되어, 침체끝이 소정의 자입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병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고, 또한 침체를 유지하는 동시에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줄 수 있는 침체유지 ·스톱수단과,
    (3) 그 충전물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피부접촉측 침관 단부에서 침체유지 ·스톱수단의 침병접촉측 단부까지의 길이 보다도 침체의 자입깊이 만큼 긴 침체를 갖는 깊이 마스킹침을 여러개 집합시키고, 또한,
    (4) 그 여러개의 깊이 마스킹침은, 침관의 길이, 그 침관의 길이에 대한 침체의 길이, 침관상단으로부터 나와 있는 침체의 길이, 또한 침체의 자입깊이가 여러 가지 다른 것으로;
    제2그룹의 깊이 마스킹침은,
    (5) 침관과,
    (6) 침관의 상단바깥쪽에 설치되어, 침체끝이 소정의 자입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병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고, 또한 침체를 유지하는 동시에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줄 수 있는 침체유지 ·스톱수단과,
    (7) 침관의 하부에 충전고정되어, 침체끝이 침관내를 진행하여, 소정의 깊이에 달했을 때에 침체의 이동시에 절피감과 자입감을 주는 1개 이상의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과,
    (8) 상기 침체유지 ·스톱수단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피부접촉측 침관단부에서 침체유지 ·스톱수단의 침병접촉측 단부까지의 길이 보다도 침체의 자입깊이 만큼 긴 침체를 갖는 깊이 마스킹침을 여러개 집합시키고, 또한,
    (9) 그 여러개의 깊이 마스킹침은, 침관의 길이, 그 침관의 길이에 대한 침체의 길이, 침관상단으로부터 나와 있는 침체의 길이,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의 길이, 또 침체의 자입깊이가 여러 가지 다른 것이다.
  18. (1) 침관과,
    (2) 침관내 임의의 위치에 충전고정되어,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주어, 침체를 유지시키기 위한 1개 이상의 침체유지 충전물과,
    (3) 침관의 하부에 충전고정되어, 침체끝이 침관내를 진행하여, 소정의 깊이에 도달했을 때에 침체의 이동시에 절피감과 자입감을 주는 1개 이상의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과,
    (4) 그 침체유지 충전물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침관의 길이 보다도 침체의 자입깊이 만큼 긴 침체와,
    (5) 침체상부에 설치된 침병의 하단에, 또는 침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침관내를 진행하는 침체끝이 소정의 자입깊이에 도달했을 때에, 침병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깊이 마스킹침을 여러개 집합시키고, 또한,
    (6) 그 여러개의 깊이 마스킹침은, 침관의 길이, 침관상단으로부터 나와 있는 침체의 길이, 침병의 길이가 동일하고, 또한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의 길이, 자입깊이가 여러 가지 다른 여러개의 침 그룹을 세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19. (1) 침관과,
    (2) 침관의 상단바깥쪽에 설치되어, 침체끝이 소정의 자입깊이에 도달했을 때에, 침병이 침관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고, 또한 침체를 유지하는 동시에 침체의 이동에 저항을 줄 수 있는 침체유지 ·스톱수단과,
    (3) 침관의 하부에 충전고정되어, 침체끝이 침관내를 진행하여, 소정의 깊이에 도달했을 때에 침체의 이동시에 절피감과 자입감을 주는 1개 이상의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과,
    (4) 그 침체유지 ·스톱수단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침체로서, 피부접촉측 침관단부에서 침체유지 ·스톱수단의 침병접촉측 단부까지의 길이 보다도 침체의 자입깊이 만큼 긴 침체를 갖는 깊이 마스킹침을 여러개 집합시키고, 또한,
    (5) 그 여러개의 깊이 마스킹침은, 침관의 길이, 침체유지 ·스톱수단의 침병접촉측 단부로부터 나와 있는 침체의 길이, 침병의 길이가 동일하고, 또한 절피감을 주는 충전물의 길이, 자입깊이가 여러 가지 다른 여러개의 침 그룹을 세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KR10-2001-7001247A 1999-05-31 2000-05-17 안전침, 플라세보침 및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KR100478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152878 1999-05-31
JP11152878A JP2000334024A (ja) 1999-05-31 1999-05-31 安全鍼、プラシーボ鍼及びダブルブラインド用鍼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099A true KR20010072099A (ko) 2001-07-31
KR100478177B1 KR100478177B1 (ko) 2005-03-23

Family

ID=1555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247A KR100478177B1 (ko) 1999-05-31 2000-05-17 안전침, 플라세보침 및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75992B1 (ko)
EP (2) EP2653148B1 (ko)
JP (2) JP2000334024A (ko)
KR (1) KR100478177B1 (ko)
CN (2) CN100594019C (ko)
CA (1) CA2339223C (ko)
HK (2) HK1036928A1 (ko)
TW (1) TW474807B (ko)
WO (1) WO200007279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604B1 (ko) * 2006-04-17 2007-06-1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이중맹검용 패치형 비침투성 침
KR20160029578A (ko) * 2014-09-05 2016-03-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거짓 침 세트
WO2022164253A1 (ko) * 2021-02-01 2022-08-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맹검용 침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024A (ja) * 1999-05-31 2000-12-05 Nobuari Takakura 安全鍼、プラシーボ鍼及びダブルブラインド用鍼セット
KR100628075B1 (ko) 2004-04-23 2006-09-26 차은종 채혈침 안전폐기 기구
WO2006006773A1 (en) * 2004-07-09 2006-01-19 Kwang-Il Kim Apparatus for adjusting needle length of blooding needle tube
CN1291699C (zh) * 2005-03-30 2006-12-27 朱汉章 系列闭合性手术针刀
KR100642795B1 (ko) * 2005-08-01 2006-11-10 서헌만 침관
US20070129744A1 (en) * 2005-12-01 2007-06-07 Klaus Teichert Acupuncture needle guide assembly
US20110015712A1 (en) * 2007-07-04 2011-01-20 Kwan Ho Mok Living body electricity needle
US9155631B2 (en) 2010-04-08 2015-10-13 Globus Medical Inc. Intervertbral implant
CN102379803A (zh) * 2011-09-26 2012-03-21 靳庆东 针灸助针器
KR101411114B1 (ko) 2012-08-29 2014-06-25 유태우 이미지요법 침술용 패드와 그 제조방법
GB201300744D0 (en) * 2013-01-16 2013-02-27 Acuregen Ltd An Intradermal Needle
CN104997629A (zh) * 2013-09-17 2015-10-28 顾德楷 针灸针及其套管
CN105708687A (zh) * 2014-11-30 2016-06-29 闫鏐 一种针灸安慰针装置
CN105769552A (zh) * 2016-04-07 2016-07-20 上海市中医医院 一种用于针灸临床试验中的安慰针及其使用方法
CN106361562A (zh) * 2016-08-05 2017-02-01 南京市中医院 一种用于双盲实验的安慰针
JP6553576B2 (ja) * 2016-11-01 2019-07-31 株式会社Susa Inc. 電磁波治療器
KR101866759B1 (ko) * 2017-12-28 2018-06-15 대한민국 이중맹검용 전자 침 장치
KR102137777B1 (ko) * 2018-04-11 2020-07-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맹검용 진짜 침 세트
KR102137780B1 (ko) * 2018-04-11 2020-07-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맹검용 거짓 침 세트
CN108553296A (zh) * 2018-06-06 2018-09-21 南京市中医院 安慰针灸针
KR102159056B1 (ko) * 2019-12-03 2020-09-23 대한민국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253071B1 (ko) * 2020-04-28 2021-05-17 대한민국 본드 캡슐이 구비된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458419B1 (ko) * 2020-09-02 2022-10-26 대한민국 본드 캡슐이 구비된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253077B1 (ko) * 2020-09-02 2021-05-17 대한민국 본드 캡슐이 구비된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486377B1 (ko) * 2020-10-23 2023-01-09 주식회사 다나메디컬 한방 침 포장 조립체
KR102502478B1 (ko) * 2021-02-01 2023-02-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맹검용 진짜 침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5375A (en) * 1974-01-23 1975-09-16 Philip M Toyama Acupuncture needle
US3939841A (en) * 1974-03-06 1976-02-24 Dohring Albert A Acupuncture needle guide and restraint
JPS6235471Y2 (ko) 1979-04-13 1987-09-09
JPS57128837U (ko) 1981-02-03 1982-08-11
JPS57131446A (en) 1981-02-09 1982-08-14 Tookiyuu Kk Infection preventing needle
JPS57177752A (en) 1981-04-28 1982-11-01 Toshio Katsuta Disposable needle for needle treatment
JPS601706Y2 (ja) 1981-06-03 1985-01-18 有限会社医研工業
DE8500911U1 (de) * 1985-01-16 1985-04-25 Weiss Medizinische Instrumente GmbH, 7070 Schwäbisch Gmünd Akupunkturnadel
JPH0316675Y2 (ko) 1987-03-24 1991-04-10
CN2129604Y (zh) * 1992-06-13 1993-04-14 天津市胸科医院 皮肤点刺针
JPH08155006A (ja) 1994-12-08 1996-06-18 Iken Kogyo:Kk 鍼 具
DE29613731U1 (de) * 1996-08-08 1996-10-02 Streitberger, Konrad, 69126 Heidelberg Placebo-Akupunkturnadel
JP2000334024A (ja) * 1999-05-31 2000-12-05 Nobuari Takakura 安全鍼、プラシーボ鍼及びダブルブラインド用鍼セット
DE29912131U1 (de) * 1999-07-05 2000-03-02 Gehrke Thomas Sicherheits-Akupunkturnadel mit fest eingebautem Einstichstop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604B1 (ko) * 2006-04-17 2007-06-1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이중맹검용 패치형 비침투성 침
KR20160029578A (ko) * 2014-09-05 2016-03-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거짓 침 세트
WO2022164253A1 (ko) * 2021-02-01 2022-08-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맹검용 침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74807B (en) 2002-02-01
CA2339223A1 (en) 2000-12-07
WO2000072798A1 (en) 2000-12-07
EP2653148A3 (en) 2014-07-02
HK1036928A1 (en) 2002-01-25
CA2339223C (en) 2006-01-24
CN100594019C (zh) 2010-03-17
KR100478177B1 (ko) 2005-03-23
US6575992B1 (en) 2003-06-10
EP2653148B1 (en) 2016-09-21
EP1101482B1 (en) 2015-01-14
CN100333706C (zh) 2007-08-29
EP1101482A4 (en) 2007-05-09
JP2000334024A (ja) 2000-12-05
CN1304301A (zh) 2001-07-18
HK1078455A1 (en) 2006-03-17
JP4061397B2 (ja) 2008-03-19
EP1101482A1 (en) 2001-05-23
EP2653148A2 (en) 2013-10-23
CN1640379A (zh) 200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2099A (ko) 안전침, 플라세보침 및 더블 블라인드용 침세트
US5713874A (en) Camouflaged injection needle
US5817052A (en) Apparatus for intraosseous infusion or aspiration
US5147307A (en) Anatomical marker device and method
CZ20024006A3 (cs) Krytka pro incizní zařízení a incizní zařízení
CN105722461B (zh) 采血装置
CN106714890A (zh) 用于将钝头套管插入到患者皮肤以下的装置
US20120220944A1 (en) Cannula device
US20090088686A1 (en) Method of locating vessel puncture access sites via tattoo or permanent marking
KR20230096934A (ko) 통증경감용 주사패치
KR100777455B1 (ko) 경막외마취용 니들 및 경막외마취용 마취장치
KR102295750B1 (ko) 카테터
JP2008043817A (ja) 安全鍼
CA2522860C (en) Placebo needle for double-blind test
US20110202003A1 (en) Method of locating vessel puncture access sites via tattoo or permanent marking
JP4107617B2 (ja) 安全鍼
CN213076562U (zh) 一种基于注射器的埋线装置
CN209018813U (zh) 一种通针
KR200297562Y1 (ko)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
CN114569166A (zh) 一种操作方便且不易堵塞的儿童棘突骨髓穿刺针
JPH0411700Y2 (ko)
US20100286662A1 (en) Catheter aid
JPH05337181A (ja) 安全注射針とその使用方法
PL165459B1 (pl) Konstrukcja zespołu infekcyjnego
UA44959A (uk) Спосіб пункції кісток скеле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