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1958A - 수지피복강판, 그것을 이용한 카트리지캡 및 카트리지몸통부 - Google Patents

수지피복강판, 그것을 이용한 카트리지캡 및 카트리지몸통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1958A
KR20010071958A KR1020017000754A KR20017000754A KR20010071958A KR 20010071958 A KR20010071958 A KR 20010071958A KR 1020017000754 A KR1020017000754 A KR 1020017000754A KR 20017000754 A KR20017000754 A KR 20017000754A KR 20010071958 A KR20010071958 A KR 20010071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steel sheet
coated steel
cartridg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4025B1 (ko
Inventor
고마이마사오
요시까와마사끼
후지모또준이찌
니시무라다까오
아끼모리유따까
Original Assignee
다나베 히로까즈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베 히로까즈,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나베 히로까즈
Publication of KR2001007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2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 C23C28/023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only coatings of metal elements only
    • C23C28/025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only coatings of metal elements only with at least one zinc-based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30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 C23C28/32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pure metallic layer
    • C23C28/322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pure metallic layer only coatings of metal elements only
    • C23C28/3225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pure metallic layer only coatings of metal elements only with at least one zinc-based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30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 C23C28/34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layer, e.g. metal carbide, nitride, boride, silicide layer and their mixtures, enamels, phosphates and sulphates
    • C23C28/345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layer, e.g. metal carbide, nitride, boride, silicide layer and their mixtures, enamels, phosphates and sulphates with at least one oxid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34Anodisation of metals or alloy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25D11/04 - C25D11/32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56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 C25D3/565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containing more than 50% by weight of zinc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3/00Packages of films for inserting into cameras, e.g. roll-films, film-packs; Wrapping materials for light-sensitive plates, films or papers, e.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dyes, printing inks, adhes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식성 및 가공성이 높은, 수지피막을 착색층의 표면상에 형성함으로써, 가공성, 내식성, 유기수지 밀착성 등이 향상하여, 프레스가공 등을 실시할 때의 강판표면이 손상에 의한 하지금속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지피복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수지피복강판은, 적어도 강판의 한 면에, 코발트, 니켈, 몰리브덴 등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전기아연도금을 하고, 산성수용액 중에서의 양극전해처리 또는 음극전해처리, 또는 질산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침지처리의 어느 것인가의 처리를 하여, 상기 아연도금 강판의 표면을 착색하고, 그 표면에 수지피막을 형성시켰다. 또한, 이 수지피복강판을 이용하여 카트리지캡 및 카트리지몸통부를 제조하였다.

Description

수지피복강판, 그것을 이용한 카트리지캡 및 카트리지몸통부{RESIN COATED STEEL SHEET, CARTRIDGE CAP AND CARTRIDGE BARREL USING IT}
최근, 사무용품, 광학기기, 전기제품, 자동차부품 등의 분야에 있어서, 장식성, 복사에너지의 흡수성 및 흡열성 등의 향상, 또한, 광반사 방지 등의 목적을 위하여 흑색의 외관을 가진 강판의 요망이 커지고 있다. 그래서, 표면을 흑색화한 강판이 개발되고, 그대로 사용하여도 외관적으로 충분히 고급감을 갖기 때문에 넓은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다.
이 흑색화 처리강판의 공지의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1) 카본블랙 등을 주성분으로 한 흑색수지피막을 표면에 형성한 강판 또는 도금강판.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6-62996호 참조)
(2) 아연 또는 아연합금 도금강판을 전해처리한 강판.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151490호, 동 소58-151491호, 동 소60-190588호 참조)
그러나 상기 (l) 에 의해서 얻어지는 흑색화 처리강판은, 흑색수지피막의 강판표면과의 밀착성이 낮고, 프레스가공 등을 실시할 때의 강판표면의 흠집에 의해서 하지 (下地) 금속이 노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수지피막의 막두께를 두껍게 형성해야 하고, 비용적으로 불리하였다. (2) 에 있어서는, 내식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를 실시한 흑색화 처리강판으로서, 흑색화 처리한 아연계 도금강판상에 크롬산염피막 및 투명 내지 반투명 유기수지피막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흑색화 처리강판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60886호 참조) 등이 있지만, 크롬산염피막의 처리조건에 의해서, 흑색의 외관이 변화하는 등의 문제가 있고, 또한 수지층의 도금 층과의 부착성향상을 고려한 수지층의 조성에 관해서 구체적인 제안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특히, 사진필름의 카트리지에 이용되는 카트리지캡 및 카트리지몸통부에는, 흑색의 외관을 갖는 강판이 사용되어 왔다. 종래, 이 카트리지캡 및 카트리지몸통부용의 흑색강판으로서, 카본블랙 등을 주성분으로 한 흑색수지피막을 표면에 형성한 강판 또는 도금강판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6-62996호 참조) 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카트리지캡 등의 제조시의 코킹가공에 있어서의 강판의 미끄럼 부족에 기인한 강판표면의 흠집에 의해서 흑색의 외관이 손상되고, 하지의 노출에 의해서 내식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가공시의 흠집에 의한 영향을 없애기 위해서, 종래는, 흑색수지피막을 두껍게 도포해 할 필요가 있고, 통상, 흑색수지피막의 막두께는, 약 15㎛ 정도로 비교적 두꺼운 피막이 채용되고 있고, 카트리지캡 및 카트리지몸통부의 비용업으로 연결되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청구항 1 기재의 수지피복강판은, 적어도 강판의 한 면에, 아연계 합금도금을 하고, 산성수용액중에서 양극전해처리 또는 음극전해처리, 또는 질산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액중에서 침지처리의 어느 것인가의 처리를 하여, 상기 아연계 합금도금강판의 표면을 착색하고, 그 표면에 유기수지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의 수지피복강판은, 적어도 강판의 한 면에 아연계 합금도금을 하고, 산성수용액 중에서 양극전해처리 또는 음극전해처리, 또는 질산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침지처리의 어느 것인가의 처리를 하여, 상기 아연계합금 도금강판의 표면을 착색하여, 그 표면에 콜로이달실리카 및 /또는 윤활기능부여제를 함유하는 유기수지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수지피복강판은, 상기 유기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우레탄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 아크릴계수지, 올레핀계수지의 어느 것인가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수지피복강판은, 상기 유기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수지단체의 연필 (鉛筆) 경도가 H∼6H 의 경도를 갖고, 인장강도가 300∼500 kg/cm2, 신장율이 250∼450%의 우레탄계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수지피복강판은, 상기 유기수지층이, 50중량% 이하의 콜로이달실리카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왁스의 적어도 한쪽, 또는 양쪽을 20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수지피복강판은, 상기 유기수지층 중에, 0.01∼3중량%의 방청제, 0.05∼1중량%의 실란커플링제, 0.1∼30중량%의 흑색안료의 적어도 일종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7 의 카트리지캡은, 상기 수지피복강판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 의 카트리지몸통부는, 상기의 수지피복강판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의 수지피복강판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카트리지몸통부 및 카트리지캡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수지피복강판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카트리지캡 및 카트리지몸통부는, 약 15㎛ 이상의 비교적 두꺼운 흑색수지피막을 갖는 종래의 카트리지캡 또는 카트리지몸통부와 다르고, 착색화한 아연계합금 도금강판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0.1∼5㎛ 의 수지피막으로 충분한 가공성과 내식성을 가지며, 코스트 다운을 가능하게 하였다.
도면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에 있어서, 본 발명의 수지피복강판은, 아연계합금 도금층 (10) 을 산성수용액 중에서 양극전해처리 또는 음극전해처리, 또한 질산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의 침지처리의 어느 것인가의 처리방법에 의해, 강판 (1) 의 적어도 한면에 착색층 (2) 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그 표면에 유기수지층 (3) 을 형성시킨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착색층 (2) 을 형성시키는 강판을 착색화처리 강판이라고 하며, 상기 착색화처리 강판의 표면에 유기수지층 (3) 을 형성시킨 강판을 수지피복강판이라고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아연계합금 도금이란, 코발트, 니켈, 몰리브덴, 철, 크롬, 망간 등의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의 적어도 1종 이상을, 아연도금 중에 합금화시켜 석출시킨 것, 및 분산시켜 석출시킨 것을 말한다. 도금수단은, 전기도금 및 무전해도금의 양자 어느 쪽이어도 된다.
예컨대, 내식성 및 가공성이 높은 우레탄계수지를 콜로이달실리카와 병용하여, 윤활성이 높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에틸렌왁스의 적어도 한쪽, 또는 양쪽을 상기의 양으로 배합한 유기수지층을 착색화 처리강판의 표면상에 형성하면, 프레스가공 등을 실시할 때의 강판표면의 흠짐에 의한 하지금속의 노출을 방지하고, 외관을 손상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수지층으로서, 수지단체의 연필경도가 H∼6H의 경도를 갖고, 인장강도가 300∼500 kg/cm2, 신장율이 250∼450%의 우레탄계수지를 사용하면, 보다 가공성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상기 유기수지층 중에, 방청제로서 0.0l∼3중량%의 크롬산암모늄, 0.05∼1중량%의 실란커플링제, 0.1∼30중량%의 흑색안료의 적어도 일종이상을포함시키면, 내식성, 흑색화처리를 실시한 도금층과의 밀착성, 흑색외관의 향상에 효과가 있어 바람직하다.
기판으로 되는 강판 (1) 은, 통상, 보통강냉간압연 강판이 이용된다. 극중 (極中) 저탄소알루미늄 킬드강 연주재 (連鑄材) 를 기초로 하는 냉간압연강판이 주로 이용된다. 또한, 탄소가 0.003중량% 이하의 극저탄소강이나, 또는, 이것에 니오브, 티타늄 등을 첨가한 비시효성 강으로부터 만들어진 냉간압연강판도 이용된다. 또한, 3∼18중량%의 크롬을 포함한 크롬함유 강 내지 스테인리스강판 (또한 1∼10중량% 정도의 니켈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도 호적으로 이용된다.
상기의 강판에 아연계합금 도금층 (10) 을 형성하고, 이것을 전해처리 또는 침지처리에 의한 착색화처리를 행하여, 착색층 (2) 을 형성한다.
아연계합금 도금강판으로서, Co, Ni, Mo, Fe, Cr 및 Mn 의 적어도 1종이상을 포함하는 아연계합금 도금강판이 사용가능 하지만, 도금욕의 안정성이나 착색화처리 후의 외관품질의 이점을 감안하면, Co, Ni, Mo 의 적어도 일종이상을 포함하는 전기아연도금 강판이 호적이다. 또한, 아연도금 강판도 사용가능 하지만, 아연계합금 도금강판과 비교하여 내식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도금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고, 또한, 이어서 행하는 착색화 처리 후의 착색의 정도가 불충분하고, 외관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즉, 수용성코발트 및 /또는 니켈 및 /또는 몰리브덴 등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도금욕 중에서, 상기의 강판 (1) 을 전기도금 하면, 아연 이외의 코발트 및 /또는 니켈 및 /또는 몰리브덴 등이 공석 (共析) 또는 분산한 아연계합금 도금층 (10) 을 갖는 아연계합금 도금강판이 얻어진다.
이 아연계합금 도금강판을, 도금에 사용한 욕과 동일조성의 욕중에서 양극전해처리하고, 아연계합금 도금강판의 표면에 Zn, Co, Ni, Mo 의 적어도 l 종이상의 수화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구성물을 형성시킴으로써, 표면이 흑청색 내지 흑색화하여, 착색층 (2) 이 형성된다.
또, 착색화처리는, 도금에 사용한 욕과 동일조성의 욕을 사용하는 것이, 처리욕을 관리하는 점에서 생각하면 바람직하지만, 도금욕과 다른 조성의 수용액 중에서의 착색화처리도 가능하다. 예컨대, Zn이온, Co이온, Ni이온, Mo이온, Fe이온, Cr이온, Sn이온, Cu이온, 질산이온, 황산이온, 인산이온, 암모늄이온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산성수욕중에서의 양극전해처리 또는 음극전해처리, 또한 질산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액중에서의 침지처리의 어느 것인가의 처리방법에 의해, 아연계합금 도금강판의 표면에 Zn, Co, Ni, Mo, Fe, Cr, Sn, Cu 의 적어도 1종 이상의 수화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구성물을 형성시킴으로써, 표면이 착색되어 착색층 (2) 이 형성된다. 여기서, 착색층의 색조는 암색계이면 무엇이든지 좋지만, 예컨대 흑청색 내지 흑색이 바람직하다. 흑색계에서는, 예컨대 흑색도를 나타내는 L 치가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0 이하, 그 위에 15 이하가 바람직하다. L 치를 30 이하로 함으로써, 광반사 방지기능이 높아진다.
또, 내식성향상 및 유기수지층 (3) 과의 밀착성향상을 목적으로서, 상층에 크롬수화산화물피막을 형성시키는 크롬산염처리 (전해크롬산염처리를 포함한다) 를 필요에 따라서 실시하여도 되지만, 크롬산염처리액으로서 사용하는 크롬산이나 중크롬산소다수용액중에서는, 착색층의 용해를 발생시키기 쉽고, 외관을 손상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계속해서, 상기의 착색층 (2) 의 위에 콜로이달실리카 및 /또는 윤활기능 부여제를 함유하는 유기수지층 (3) 을 0.1∼5㎛ 형성시킨다. 0.1㎛ 보다도 피막이 엷으면 가공성 및 내식성이 불충분하고, 5㎛ 가 넘는 유기수지층을 형성하여도 되지만, 효과는 필요이상으로 충분한 것이고, 비용이 비싸게 된다. 유기수지층 (3) 의 주성분으로서는, 환경보전의 관점으로는 유기용매계 수지보다도 물에 용해 또는 분산가능한 수성수지가 바람직하다. 수성수지로서는, 우레탄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 아크릴계수지, 올레핀계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유기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수성의 우레탄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는, 우레탄수지, 우레탄수지를 아크릴, 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또는 불소 등으로 변성한 우레탄수지가 적당하다.
또한, 카트리지캡에 이용하는 경우는, 수지 단체 (單體) 의 연필경도가 H∼6H의 경도를 가지며, 인장강도가 300∼500 kg/cm2, 신장율이 250∼450%의 우레탄계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수지의 막두께를 2㎛ 이하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우레탄수지를 이용하면, 본 발명의 수지피복강판의 가공성이 향상하고, 카트리지캡 가공 후의 외관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카트리지캡으로 가공하였을 때에, 연필경도가 H 보다도 낮은 F 나 HB/0 가 되면, 수지가 부드럽기 때문에 내자 (耐疵) 붙임성이나 내마모성에 뒤떨어진다. 6H 보다도 높은 7∼9 H 가 되면 가공성에 뒤떨어진다. 인장강도가 300 kg/cm2미만, 신장율이 250% 미만에서는 가공성에 뒤떨어지고, 인장강도가 500 kg/cm2및 신장율이 450% 를 넘으면 효과가 포화됨과 동시에 수지가보다 고가로 되어 비경제적이다.
유기수지층 (3) 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수성의 아크릴계수지를 이용하는 경우는, 아크릴수지, 아크릴수지를 우레탄, 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또는 불소 등으로 변성한 아크릴수지가 적당하다.
유기수지층 (3) 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수성의 폴리에스테르계수지를 이용하는 경우는,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에 우레탄, 올레핀, 아크릴 또는 불소 등으로 변성한 폴리에스테르수지가 적당하다.
유기수지층 (3) 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수성의 올레핀계수지를 이용하는 경우는, 올레핀수지, 올레핀수지에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또는 불소 등으로 변성한 올레핀수지가 적당하다.
그러나, 이들의 수지는 카트리지캡으로서 가공한 경우에는, 우레탄계수지와 비교하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카트리지캡 외관에 흠 (疵) 이나 검은 정도의 불균일이 눈에 띈다. 따라서, 우레탄계수지와 동등의 가공성을 얻기 위해서는 수지피막을 두껍게 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성에 뒤떨어진다.
유기수지층 (3) 에 콜로이달실리카를 함유시키는 경우는, 콜로이달실리카의 양은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콜로이달실리카는, 우레탄끼리의 밀착성 및 내마모성을 부여하는 것이지만, 배합양이 50중량% 를 넘으면 피막의 광택이 상실되고,또한 비용적으로도 불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유기수지층 (3) 에 윤활기능 부여제를 함유시키는 경우는, 윤활기능 부여제의 양은 2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윤활기능 부여제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에틸렌왁스가 바람직하다. 윤활기능부여제는, 카트리지캡으로 가공할 때에, 외관을 손상하는 일없이 가공을 하기 위해서 첨가하는 것이지만, 배합양이 20중량% 를 초과하여 함유하더라도, 특성의 향상효과가 포화하기 때문에, 또한 비경제적이다.
내식성향상을 목적으로서 방청제를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청제로서는 크롬산암모늄이 바람직하다. 크롬산암모늄을, 유기수지층 (3) 에 효과가 인정되는 0.01중량% 이상 첨가하더라도 괜찮지만, 첨가량이 많은 경우에는 처리액이 겔화하여, 피막형성이 곤란하게 되고, 또한, 표면의 평활성 및 피막의 밀착성이 상실되고, 강판의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경우도 있으므로, 3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크롬산암모늄 대신에, 무수크롬산이나 중크롬산나트륨 등도 사용할 수 있지만, 처리액의 겔화에는, 보다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착색층 (2) 과 유기수지층 (3) 의 밀착성향상, 및 내식성향상을 목적으로서, 실란커플링제를 유기수지층중에 효과가 인정되는 0.05중량% 이상 첨가하여도 괜찮지만, 첨가량이 많은 경우에는 처리액이 겔화하여, 피막형성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1중량% 미만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색외관을 향상시켜, 보다 검게 보이도록, 흑색안료를 유기수지층 (3) 에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효과가 인정되는 0.1중량% 이상 첨가하여도 괜찮지만, 첨가량이 많은 경우에는 가공성이 저하하여, 외관에 있어서 흠이나 검은 정도의 불균일이 눈에 띄게 되므로, 30중량% 미만이 바람직하다. 또, 흑색안료로서는, 입경이 50∼200 nm 의 카본블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수지층 (3) 을 형성함에 있어서, 수지의 도포방법은, 롤코트도장, 스프레이도장, 딥핑도장 등의 일반적으로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분위기온도 60∼200℃에서 건조를 한다. 건조온도가 낮은 60℃ 의 경우는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고온의 200 ℃ 의 경우는 단시간처리가 가능하지만, 가열비용이 비싸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통상은 건조속도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약 100℃ 에서 건조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고가공성 아연도금 강판이 제조된다.
이때, 건조 후의 유기수지의 막두께가 약 0.1∼5㎛ 정도가 되도록, 수지를 도포한다. 본 발명의 유기수지는, 종래의 카트리지캡 및 카트리지몸통부 보다도 엷은 이 막두께에 있어서도 충분히 윤활기능을 가지며, 엄격한 가공에 견딜 수 있다.
또, 도 1 에서 본 발명의 수지피복강판의 일실시 태양을 설명하고, 강판의 양면에 수지피복층 (3) 을 갖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의 수지피복강판은, 착색층 (2) 및 수지피복층 (3) 의 형성은 한 면만이어도 된다. 이 경우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판의 양면에는 아연계합금 도금층 (l0) 이 형성되어 있고, 또 한 면에는, 그 위에 착색층 (2) 및 수지피복층 (3) 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판두께 0.24 mm 의 소둔 및 조질압연을 실시한 냉간압연강판 (연강판) 을,7% 가성소다수용액중에서 전해탈지한 후 수세하고, 다음으로 70 g/L의 황산으로 산세척을 한 후 수세하여, 도금 원판으로 하였다. 이 원판에 이하의 3조건으로 아연계합금 도금 및 착색화처리를 실시하였다.
도금조건 1 (실시예 1∼7 및 22∼28)
도금욕조성
ZnSO4·7H2O 250 g/L
(NH4)2SO415 g/L
CoSO4·7 H2O(Co로서) 8 g/L
디시안디아미드·포름알데히드 1 g/L
도금욕온도 38℃
전류밀도 25 A/dm2
도금양 10g/m2
얻어진 Co를 포함하는 Zn 도금강판을, 계속해서 상기 도금욕 중에서, 도금강판을 양극으로 전기양 40 쿨롱/dm2의 전해처리를 실시하고, 짙은 흑청색 내지 흑색을 나타낸 착색화 처리강판을 얻었다.
도금조건 2 (실시예8∼14 및 29∼31)
도금욕조성
ZnSO4·7 H2O 250 g/L
(NH4)2SO415 g/L
NiSO4·7 H2O(Ni로서) 8 g/L
폴리비닐알콜 2 g/L
도금욕온도 50℃
전류밀도 25 A/dm2
도금양 1 5 g/m2
얻어진 Ni 를 포함하는 Zn 도금 강판을, 계속해서 상기 도금욕중에서, 도금강판을 양극으로 전기양 100 쿨롱/dm2의 전해처리를 실시하여, 짙은 흑청색 내지 흑색을 나타낸 착색화처리 강판을 얻었다.
도금 조건 3 (실시예15∼21 및 32∼37)
도금욕조성
ZnSO4·7 H2O 250 g/L
(NH4)2SO4 20 g/L
CoSO4·7 H2O(Co로서) 8 g/L
(NH4)6Mo7O24·4 H2O 0.l g/L
디시안디아미드·포름알데히드 1 g/L
도금욕온도 38℃
전류밀도 25 A/dm2
도금양 20 g/m2
얻어진 Co, Mo를 포함하는 Zn 도금 강판을, 계속해서 상기 도금욕중에서, 도금 강판을 양극으로 전기양 200 쿨롱/dm2의 전해처리를 실시하여, 짙은 흑청색 내지 흑색을 나태낸 착색화처리 강판을 얻었다.
계속해서, 표 1 및 표 3 에 나타내는 조성의 수지를, 상기의 착색층의 표면에 롤코트도장하여, 분위기온도 약 100℃ 에서 건조시켜, 수지피복강판을 제조하였다. 일부의 시료에 관해서는, 실리카, 윤활기능 부여제 크롬산암모늄, 실란커플링제, 흑색안료를 유기수지중에 첨가하고, 또한, 수지단체의 연필경도가 H∼6H의 경도를 가지며, 인장강도가 300∼500 kg/cm2, 신장율이 250∼450%의 우레탄계수지를 사용하였다.
이 수지피복강판을 이용하여, 카트리지캡을 제조하여, 육안으로 평가한 바, 유기수지층에 코킹가공에 의한 흔적이 인정되지만, 하지의 착색층까지는 손상이 미치지 않아, 흑색의 외관을 손상하는 일없이, 품질적으로 만족한 카트리지캡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모두 충분한 특성을 갖고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수지중에 크롬산암모늄을 첨가한 것 (시료 No.1, 2, 4, 5, 7, 8, 9, 10, 11, 12, 14, 15, 18, 19, 21) 은 내식성이 비교적 뛰어나고, 실란커플링제를 첨가한 것 (시료 No. 1, 3,4, 5, 6, 7, 9, 10, 11, 12, 13, 14, 15, 19, 20, 21) 은 밀착성이 뛰어나고, 흑색안료를 첨가한 것 (시료 No. 7, 9, 14, 21) 은 흑색도가 더욱 증가하여 흑색외관이 뛰어나고, 그리고, 수지단체의 연필경도가 H∼6H 의 경도를 가지며, 인장강도가 300∼500kg/cm2, 신장율이 250∼450%의 우레탄계수지를 사용한 것 (시료 No. 4, 5, 6, 7, 10, 12, 13, 14, 18) 은, 더욱 가공성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수지피복강판을 이용하여, 카트리지몸통부를 제조한 바, 흑색의 외관을 손상하는 일없이, 품질적으로 만족한 카트리지몸통부를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모두 충분한 특성을 갖고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수지중에 크롬산암모늄을 첨가한 것 (시료 No. 22, 23, 25, 26, 28, 29, 30, 31, 32, 36) 은 내식성이 비교적 뛰어 나고, 실란커플링제를 첨가한 것 (시료 No.22, 24, 25, 26, 27, 28, 30, 31, 32, 35) 은 밀착성이 뛰어나고, 흑색안료를 첨가한 것 (시료 No. 28, 32, 33, 34, 35, 36) 은 흑색도가 더욱 증가하여 흑색외관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수지피복강판의 특성평가를 하기의 항목에 관해서 평가하였지만, 모두 평가점이 4 이상이고, 결과도 만족하였다.
1) 가공성 1
수지피복면이 외측으로 오도록 반경 1 mm 로 180도 절곡하고, 절곡부에 생긴 균열의 발생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2) 가공성 2
코킹가공에 의해 카트리지캡을 제조하여, 흑색도를 포함해서 카트리지캡 외관의 가공 후의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3) 내식성
JIS-Z2371 에 따라서 72 시간의 염수분무시험을 실시하여, 녹의 발생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4) 유기수지밀착성
2 mm 의 크로스 커트 (cross cut) 테이프박리시험을 하여, 유기수지잔존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각 특성의 평가는 1 (열:劣)∼5 (우:優) 의 5단계로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2 및 표 4 에 나타낸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의 수지피복강판은, 내식성 및 가공성이 높고, 유기수지를 착색층의 표면상에 형성함으로써, 가공성, 내식성, 유기수지 밀착성 등이 향상하여, 프레스가공을 실시할 때의 강판표면이 손상에 의한 하지금속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카트리지캡은, 하지의 착색층까지는 손상이 미치는 일이 없어,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카트리지몸통부도 외관을 손상받는 일없이, 품질적으로 만족한 것을 완성하였다.
표 1
주) UR: 우레탄수지, AC: 아크릴수지, PE: 폴리에스테르수지, OR: 올레핀수지, OUR: 올레핀변성우레탄수지, AUR: 아크릴변성우레탄수지, PUR: 폴리에스테르변성우레탄수지, FUR: 불소변성우레탄수지, 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W: 폴리에틸렌왁스, 크롬: 크롬산암모늄, 실란: 실란커플링제, 안료: 흑색안료
표 2
표 3
주) UR: 우레탄수지, AC: 아크릴수지, PE: 폴리에스테르수지, OR: 올레핀수지, OUR: 올레핀변성우레탄수지, AUR: 아크릴변성우레탄수지, PUR: 폴리에스테르변성우레탄수지, FUR: 불소변성우레탄수지, FAC: 불소변성아크릴수지, FPE: 불소변성폴리에스테르수지, FOR: 불소변성올레핀수지, 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W: 폴리에틸렌왁스, 실란: 실란커플링제, 안료: 흑색안료
4
본 발명은 우수한 가공성, 내식성, 광반사 방지기능 등을 겸비한, 표면에 유기수지피막을 형성시킨 수지피복강판에 관한 것이며, 특히, 사진필름의 카트리지에 이용되는 카트리지캡 (cartridge cap), 카트리지몸통부 (cartridge barrel) 에 이용되는 수지피복강판 및 카트리지캡, 카트리지몸통부에 관한 것이다.

Claims (8)

  1. 적어도 강판의 한 면에 아연계합금 도금을 하고, 산성수용액 중에서의 양극전해처리 또는 음극전해처리, 또는 질산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침지처리의 어느 것인가의 처리를 하여, 상기 아연계합금 도금강판의 표면을 착색하고, 그 표면에 유기수지층을 형성시킨 수지피복강판.
  2. 적어도 강판의 한 면에 아연계합금 도금을 하고, 산성수용액 중에서의 양극전해처리 또는 음극전해처리, 또는 질산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침지처리의 어느 것인가의 처리를 하여, 상기 아연계합금 도금강판의 표면을 착색하고, 그 표면에 콜로이달실리카 및 /또는 윤활기능 부여제를 함유하는 유기수지층을 형성시킨 수지피복강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우레탄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 아크릴계수지, 올레핀계수지의 어느 것인가 인 수지피복강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수지단체의 연필경도가 H∼6H의 경도를 가지며, 인장강도가 300∼500 kg/cm2, 신장율이 250∼450%의 우레탄계수지인 수지피복강판.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수지층이, 50중량% 이하의 콜로이달실리카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왁스의 적어도 한쪽, 또는 양쪽을 20중량% 이하 함유하는 수지피복강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수지층 중에, 0.01∼3중량%의 방청제, 0.05∼1중량%의 실란커플링제, 0.1∼30중량%의 흑색안료 중의 일종이상을 포함하는 수지피복강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피복강판을 이용한 카트리지캡.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피복강판을 이용한 카트리지몸통부.
KR1020017000754A 1998-07-17 1999-07-16 수지피복강판, 그것을 이용한 카트리지캡 및 카트리지몸통부 KR100614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867898 1998-07-17
JP98-218678 1998-07-17
JP28205498 1998-09-18
JP98-282054 1998-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958A true KR20010071958A (ko) 2001-07-31
KR100614025B1 KR100614025B1 (ko) 2006-08-23

Family

ID=2652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754A KR100614025B1 (ko) 1998-07-17 1999-07-16 수지피복강판, 그것을 이용한 카트리지캡 및 카트리지몸통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18694A4 (ko)
KR (1) KR100614025B1 (ko)
CN (1) CN1246497C (ko)
AU (1) AU4652999A (ko)
TW (1) TWI220128B (ko)
WO (1) WO20000042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246A (ko) * 2001-11-16 2003-06-27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 및 아연계 합금도금강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853B1 (ko) * 2000-12-30 2004-01-07 주식회사 디피아이 금속 표면의 피복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피복 방법
JP2003202643A (ja) * 2001-10-23 2003-07-18 Konica Corp 写真フィルム収納容器用金属材料および写真フィルム収納容器
KR100641061B1 (ko) 2004-03-16 2006-11-02 주식회사 큐맥스 철강용 피막제
KR101499361B1 (ko) * 2013-11-27 2015-03-06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전 및 건재용 불연성 칼라강판 및 제조 방법
KR102262640B1 (ko) * 2017-09-28 2021-06-08 맥스터리얼, 인크. 표면 코팅을 포함하는 물품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478A (ja) * 1985-08-28 1987-03-05 Mitsubishi Electric Corp 黒色処理鋼板の製造方法
JPH0735585B2 (ja) * 1990-05-18 1995-04-19 日本鋼管株式会社 溶接可能な黒色鋼板
US5387473A (en) * 1992-03-31 1995-02-07 Nkk Corporation Weldable black steel sheet with low-gloss appearance
JP3192815B2 (ja) * 1993-03-30 2001-07-30 川崎製鉄株式会社 低光沢黒色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664209A1 (en) * 1994-01-24 1995-07-26 TOYO KOHAN Co., Ltd Metal sheet laminated with resin films
JPH10142743A (ja) * 1996-11-11 1998-05-29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フイルムパトローネ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246A (ko) * 2001-11-16 2003-06-27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 및 아연계 합금도금강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04208A1 (fr) 2000-01-27
KR100614025B1 (ko) 2006-08-23
CN1246497C (zh) 2006-03-22
CN1309726A (zh) 2001-08-22
TWI220128B (en) 2004-08-11
EP1118694A4 (en) 2004-09-22
AU4652999A (en) 2000-02-07
EP1118694A1 (en) 2001-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2236A (en) Process for producing a surface-blackened steel sheet
EP0259657A1 (en) Black surface treat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KR100614025B1 (ko) 수지피복강판, 그것을 이용한 카트리지캡 및 카트리지몸통부
US4784731A (en) Chromate treatment of a metal coated steel sheet
JP2844953B2 (ja) 溶接可能な着色鋼板
JPH0352557B2 (ko)
JPS63195296A (ja) 着色表面処理鋼板の製造方法
JP2816559B2 (ja) 黒色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S6160915B2 (ko)
JP3192815B2 (ja) 低光沢黒色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2180081A (ja) 着色亜鉛メツキ鋼板
JPH0340117B2 (ko)
JP3114642B2 (ja) 黒色溶融Al−Zn合金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76892B2 (ja) 外観、耐食性及び加工性に優れた潤滑処理鋼板
JPS6350499A (ja) 着色亜鉛複合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JP2712924B2 (ja) 耐食性、めっき密着性、化成処理性および塗膜密着性に優れた亜鉛−ニッケル−クロム系合金電気めっき鋼板
KR100544646B1 (ko) 내식성이 우수한 표면처리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H0533188A (ja) 耐錆性と外観性の優れた容器用表面処理鋼板
JPH08277497A (ja) 表面処理亜鉛めっき金属板の製造方法
JPH01108396A (ja) カチオン電着塗装用ガルバニール鋼板の製法
JPH03104633A (ja) 耐食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材
JPH0427538A (ja) 耐低温チッピング性および耐塗膜剥離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
JPH08277498A (ja) 表面処理亜鉛めっき金属板
KR101332477B1 (ko) 표면외관이 우수한 크롬프리 흑화 전기도금강판 제조 방법
JP3003110B2 (ja) 色調安定性に優れたクロメート処理電気亜鉛めっき鋼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