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9681A -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일체형 에어백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일체형 에어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9681A
KR20010069681A KR1020010022884A KR20010022884A KR20010069681A KR 20010069681 A KR20010069681 A KR 20010069681A KR 1020010022884 A KR1020010022884 A KR 1020010022884A KR 20010022884 A KR20010022884 A KR 20010022884A KR 20010069681 A KR20010069681 A KR 20010069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invisible
airbag system
airbag
crash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춘택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2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9681A/ko
Publication of KR20010069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68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 등에 설치되는 에어백 시스템의 구조를 보다 합리적으로 구성하므로서 에어백으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을 충족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자동차의 크래쉬패드(crash pad)(10)의 전방에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고 내부에서 레이저가공한 가공홀(13)을 각기 다른 깊이로 연속가공한 절개선(11)과,
중앙에 개구부(21)를 갖는 슈트(chute)(20)와,
표면에 임의형상으로 된 다수의 요철부(35)를 갖고 적정각도의 절곡각(34)을 갖는 힌지부(33)로 이루어진 힌지플레이트(30)와,
상기 슈트(20)의 개구부(21) 내측에 결합할 수 있는 보강테(40)와,
수개의 조립공(62)이 각각 형성된 조립편(61)으로 이루어진 에버백모듈(60)을 자동차의 운전석 크래쉬패드(1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일체형 에어백 시스템{integrated seamless passenger airbag door system}
본 발명은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 등에 설치되는 에어백 시스템의 구조를 보다 합리적으로 구성하므로서 에어백으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을 충족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 등에는 자동차의 충돌시 운전자 등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에어백을 설치하고 있는 바, 이러한 에어백은 안전벨트와 더불어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대표적인 탑승객 보호장치로서, 상기한 에어백 시스템은 대부분 검지 시스템과 에어백모듈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검지 시스템은 센서 ·배터리 ·진단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에어백모듈은 에어백과 작동기체 팽창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에어백의 작동은 자동차의 충돌시 센서에 의해 상기 충돌이 감지되면 작동기체 팽창장치가 폭발되며, 폭발된 가스로 인해 에어백이 순간적으로 부풀게 되는 바, 이러한 에어백은 충돌시점부터 에어백이 완전 작동되는 시간은 보통 50/1,000초 정도의 짧은 시간안에 완료된다.
상기 에어백을 작동하기 위한 가스로는 고체의 급격한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고압가스를 사용하거나, 고압가스 용기에 저장된 기체를 사용한다.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은 자동차를 주행하는 도중 충돌이 발생할 경우 승객의 보호성능이 매우 우수하므로 세계적으로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이러한 에어백은 그 기능상 운전석의 경우 자동차 조향 칼럼에 위치한 저장실에 설치되고, 조수석의 경우는 자동차의 크래쉬패드(crash pad) 아래쪽에 위치한 저장실에 설치되며, 기타 측면 에어백의 경우는 도어의 적정위치의 공간에 저장실을 마련하여 설치하므로서 충돌이 발생할 경우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에어백 설치용 저장실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에어백을 설치한 후 이를 커버링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별도의 커버를 제작하여 조립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에어백의 설치후 마감처리(커버결합)할 경우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서 별도의 힌지를 부가하여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커버는 힌지를 기점으로 각운동하면서 순간적으로 개방되어 내부의 에어백이 부풀려지게 되어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에어백중 운전석이 아닌 조수석의 경우는 대부분 저장실을 마련하여 에어백을 조립한 후 외부를 커버링하는 수단으로서 이종(異種)으로 된 커버를 별도 조립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조수석 에어백의 경우는 크래쉬패드에 형성된 저장실을 커버링하는 커버의 재질이 크래쉬패드에 대해 동일하지 못하여 이종(異種)색상 및 질감의 이물감에 따른 외관미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고급 자동차 등의 경우는 기본사양과 선택사양에 따라 크래쉬패드의 아래쪽에 위치한 에어백 시스템의 설치를 목적으로 저장실을 형성하게 되는 바, 이러한 저장실의 유무에 따라 금형을 이중으로 구비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앙등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합리적인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에어백의 설치후 이를 커버링하기 위한 커버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자동차용 크래쉬패드를 일체적으로 제작하여 에어백의 저장실에 해당하는 부위만 별도의 공정으로 레이저가공하여 홀(hole)상의 가공홀로 형성된 절개선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므로서 이종(異種)의 재질에 대한 이물감을 없애고 충돌발생에 의한 개방시 용이하게 개방이 되면서 에어백의 조립도중 함몰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기본사양과 선택사양의 여건에 부합되게 단일의 금형으로 제작하여 에어백의 설치차량에만 가공하고 불필요할 경우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선택의 폭을 증대하므로서 제작코스트를 절반으로 감소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레이저가공시 외부에서 에어백의 장착여부를 식별할 수 없으므로 매칭(maching)면이 균일하여 동일표면을 얻을 수 있게 되면서 자동차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는 양호한 안전성을 발휘하며, 특히 내부에 조립되는 힌지플레이트의 고정편에 대한 힌지부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에어백의 작동을 원할하게 하고, 제품의 성능과 상관없이 고급화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각종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으로서 매우 합리적인 효과를 득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는 바,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크래쉬패드에 레이저가공한 가공홀의 변형 확대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크래쉬패드에 레이저가공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슈트에 대한 개별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힌지플레이트에 대한 개별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보강테에 대한 개별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에어백 시스템을 크래쉬패드에 적용한 상태의 개략도
도 9 는 본 발명의 종래 구조를 보인 크래쉬패드에 대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크래쉬패드 11 : 절개선
12 : 결합돌기 13 : 가공홀
20 : 슈트 21 : 개구부
22 : 보강돌조 23 : 보강리브
24 : 조립관
30 : 힌지플레이트 31 : 고정편
32 : 조립공 33 : 힌지부
34 : 절곡각 35 : 요철부
36 : 결합공
40 : 보강테 41 : 절곡부
42 : 받침턱
50 : 커버지
60 : 에어백모듈 61 : 조립편
62 : 조립공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크래쉬패드(10)의 전방에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고 내부에서 레이저가공한 가공홀(13)을 각기 다른 깊이로 연속가공한 절개선(11)과,
중앙에 개구부(21)를 갖는 슈트(chute)(20)와,
표면에 임의형상으로 된 다수의 요철부(35)를 갖고 적정각도의 절곡각(34)을 갖는 힌지부(33)로 이루어진 힌지플레이트(30)와,
상기 슈트(20)의 개구부(21) 내측에 결합할 수 있는 보강테(40)와,
수개의 조립공(62)이 각각 형성된 조립편(61)으로 이루어진 에버백모듈(60)을 자동차의 크래쉬패드(1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크래쉬패드(10)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레이저 가공하여 절개선(11)을 형성한 가공홀(13)은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별로 적정 피치(p)와 적정의 두께(t)만큼 남길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즉 계속적인 반복상태로
모두가 길게 연속반복,
하나는 길게 하나는 짧게 연속반복,
하나는 길게 둘은 짧게 연속반복,
하나는 길게 셋은 짧게 연속반복,
하나는 길게 넷은 짧게 연속반복,
하나는 길게 다섯은 짧게 연속반복,
가공홀(13)의 깊이를 불균일하게 적정 사이클로 연속반복되게 이루어진 절개선(11)을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하므로서 에어백이 작동할 시 절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슈트(20)는 크래쉬패드(10)의 내부에 진동융착하되, 이의 중앙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1)의 가장자리부에는 내향 돌출된 보강돌조(22)를 형성하며, 상기 보강돌조(22)의 외부측으로는 다수의 보강리브(23)와 조립관(24)을 형성하여 내구성 보장 및 힌지플레이트(30)와 에어백모듈(60)의 조립을 용이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크래쉬패드(10)의 절개선(11)이 형성된 내부 표면에는 힌지플레이트(30)와의 접합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결합돌기(12)를 임의형상으로 다수 형성하여 힌지플레이트(30)의 결합공(36)을 통해 일체적으로 열융착(heat stake)하므로서 에어백의 작동시 에어백도어가 파손되거나 분산 및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즉, 상기 힌지플레이트(30)의 표면에는 다수의 결합공(36)과 절곡각(34)을 갖는 고정편(31)이 힌지부(33)의 역할을 하면서 크래쉬패드(10)의 결합돌기(12)에 의해 열융착되므로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고, 요철부(35)에 의해 내구성이 일층 증대된다.
상기 보강테(40)는 양단에 절곡부(41)를 두어 조립시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선단 가장자리에는 수개의 내향 받침턱(42)을 형성하여 슈트(20)의 보강리브(23) 내측에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조립완료후 힌지플레이트(30)의 결합공(36)에 의해 크래쉬패드(10)의 결합돌기(12)가 열융착된 부위를 커버링할 수 있는 커버지(50)를 별도로 부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발명은 통상의 에어백의 설치후 이를 커버링하기 위한 커버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자동차용 크래쉬패드(10)를 일체적으로 제작하여 에어백의 저장실에 해당하는 부위만 별도의 공정으로 레이저가공하여 홀(hole)상의 가공홀(13)로서 연속적인 절개선(11)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므로서 이종(異種)의 재질에 대한 이물감을 없애고 개방시 용이하게 개방이 되면서 에어백의 조립도중 함몰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기본사양과 선택사양의 여건에 부합되게 단일의 금형으로 제작하여 에어백의 설치차량에만 가공하고 불필요할 경우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선택의 폭을 증대하므로서 제작코스트를 절반으로 감소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또한 레이저가공시 외부에서 에어백의 장착여부를 식별할 수 없으므로 매칭면이 균일하여 동일표면을 얻을 수 있게 되면서 자동차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는 양호한 안전성을 발휘하며, 특히 내부에 조립되는 힌지플레이트(30)의 고정편(31)에 대한 힌지부(33)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에어백의 작동을 원할하게 하고, 제품의 성능과 상관없이 고급화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각종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으로서 매우 합리적인 효과를 득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구성에 따른 사용방법과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수석에 해당하는 크래쉬패드(10)의 표면에 에어백이 작동할 수 있는 크기로 절개선(11)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11)은 완전히 분할 타입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 크래쉬패드(10)의 내측부에 레이저가공 등으로 미세한 가공홀(13)을 연속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절개선(11)을 형성하므로서 외부에서는 상기 절개선(11)이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절개선(11)에 의해 에어백이 작동하게 되면 내부의 작동힘에 의해 절개선(11)이 분리되면서 순간적으로 에어백이 부풀려지게 되어 자동차의 충돌시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선(11)은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래쉬패드(10)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레이저 가공하여 절개선(11)을 형성한 가공홀(13)은 단위별로 적정의 두께(t)만큼 남기고 적정의 피치(p)를 유지한 상태로 가공할 수 있는 것으로, 즉 상기 가공홀(13)은 계속적인 반복상태로 모두가 길게 연속반복, 하나는 길게 하나는 짧게 연속반복, 하나는 길게 둘은 짧게 연속반복, 하나는 길게 셋은 짧게 연속반복, 하나는 길게 넷은 짧게 연속반복, 하나는 길게 다섯은 짧게 연속반복, 가공홀(13)의 깊이를 불균일하게 적정 사이클로 연속반복되게 형성하는 등 변형실시의 절개선(11)을 형성하므로서 에어백이 작동할 시 절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변형실시예는 각 차종에 따라서 실시가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함몰 내지는 돌출되는 내구성 등의 응력을 적의 감안하여 실시가 가능하므로 선택의 폭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가공홀(13)의 여백에 해당하는 두께(t)와 간격에 해당하는 피치(p)는 조절이 가능하며, 특히 양측방과 하부의 절개선(11)은 깊이가 긴 가공홀(13)을 많이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완전 절개의 필요가 없는 상측에는 적정의 두께(t)를 갖는 가공홀(13)을 많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 바, 이러한 변형실시예의 경우는 설계상에서 계산에 의해 임의로 변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중앙에 개구부(21)를 갖는 슈트(20)는 가장자리에 별도의보강돌조(22)를 직교방향으로 형성하므로서 내구성을 증대할 뿐만 아니라 힌지플레이트(30)을 조립할 시 보강테(40)의 결합을 용이토록 함은 물론 특히 보강돌조(22)의 가장자리부에는 다수의 보강리브(23) 및 조립관(24)을 형성하므로서 슈트(20)가 갖추어야 할 내구성과 강도를 충족할 수 있다.
한편 이의 내부에 결합되는 힌지플레이트(30)의 고정편(31)에 형성된 조립공(32)을 통해 상기 슈트(20)의 조립관(24)과 결합할 시 조립의 용이성을 도모하고, 한편으로는 슈트(20)의 보강돌조(22) 상부에 힌지플레이트(30)의 고정편(31)을 결합한 상태에서 조립공(32)과 조립관(24)을 통해 결합하게 되면 이의 내측에 보강테(40)를 덧쒸우게 되는 바, 상기 보강테(40)는 양측에 절곡부(41)가 각각 형성되고, 일측에는 받침턱(4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받침턱(42)이 힌지플레이트(30)의 선단에 긴밀히 지지되어 견고한 상태로 조립이 된다.
상기 힌지플레이트(30)가 슈트(20)의 개구부(21) 내부에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힌지플레이트(30)의 표면은 크래쉬패드(10)의 내벽에 긴밀히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크래쉬패드(10)의 내측 표면에 다수 형성된 결합돌기(12)는 힌지플레이트(30)의 결합공(36)에 결합된 상태에서 열융착하게 되면 일체적으로 고정이 되고, 상기 힌지플레이트(30)의 표면에 다수 형성된 요철부(35)는 힌지플레이트(30)의 내구성을 증대함과 아울러 임의형상으로 절곡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힌지플레이트(30)의 상부에는 절곡각(34)을 갖는 고정편(31)이 형성되어 조립공(32)을 통해 조립되어 있으므로 상기 절곡각(34)을 갖는 고정편(31) 자체가 힌지부(33) 역할을 하게 되어 자동차가 충돌시 에어백이 작동하게 되면 크래쉬패드(10)의 하측과 양측방에 형성된 절개선(11)은 용이하게 파절되고, 상측의 절개선(11)은 적정 피치(p)을 유지하면서 적정의 두께(t)를 남기는 가공홀(13)이 배열되어 완전 분할 상태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자동차의 충돌시 발생하는 크래쉬패드(10)의 비산(飛散)이나 임의적인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대형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힌지플레이트(30)의 결합공(36)에는 크래쉬패드(10)의 결합돌기(12)가 열융착되어 있으므로 이의 표면에는 열융착부를 커버링하기 위한 수단으로 띠상의 커버지(50)를 덧대므로서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백모듈(6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차체와 슈트(20)에 의해 결합되는 에어백모듈(60)에는 조립편(61)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편(61)에는 다수의 조립공(6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여건에 부합되게 조립하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내부의 에어백모듈(60)에 순간적으로 고압가스가 주입되면서 팽창하게 된다.
상기 에어백모듈(60)이 팽창하게 되면 이의 팽창압력은 전방측의 힌지플레이트(3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힌지플레이트(30)에서 받은 압력은 크래쉬패드(10)의 절개선(11)이 있는 내부로 전달되어 강력한 힘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백모듈(60)의 힘이 전달되면 크래쉬패드(10)의 절개선(11)은 내부에서 레이저가공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는 식별이 되지 않으나, 내부에서 깊이가 상이하게 가공되어 약한 부위의 절개선(11)을 절개하게 된다.
절개된 크래쉬패드(10)의 내측 표면에는 결합돌기(12)가 힌지플레이트(30)의 결합공(36)에 결합된 상태에서 열융착되어 있으므로 힌지플레이트(30)에 힘을 받게 되어 전체적으로 밀려나가 개방이 된다.
이때 힌지플레이트(30)의 상부에는 조립공(32)에 의해 조립된 고정편(31)이 절곡각(34)을 이루면서 조립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편(31)의 절곡각(34)에 의해 만들어진 힌지부(33)에 의해 하부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각운동하는 타입으로 개방이 되어 내부의 에어백이 펼쳐지면서 소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보강돌조(22)의 내측에는 절곡부(41)가 각각 형성된 보강테(40)가 각각 결합되어 받침턱(42)에 의해 보강돌조(22)에 긴밀하게 조립되어 있으므로 에어백의 작동과정에서 파편들이 비산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면서 힌지플레이트(30)의 힌지부(33)에 대한 원할한 작동을 도모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의 자동차에 있어서, 조수석에 해당하는 크래쉬패드(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에어백모듈(60)을 외부에서 식별되지 못하게 상기 크래쉬패드(10)의 내측에서 레이저가공하여 절개선(11)을 형성하므로서 이종(異種)의 재질에 대한 이물감을 없애고 에어백의 작동시 용이하게 개방이 되면서 에어백의 조립도중 함몰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기본사양과 선택사양의 여건에 부합되게 단일의 금형으로 제작하여 에어백의 설치차량에만 가공하고 불필요할 경우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선택의 폭을 증대하므로서 제작코스트를 절반으로 감소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다.
특히 레이저가공시 외부에서 에어백의 장착여부를 식별할 수 없으므로 매칭면이 균일하여 동일표면을 얻을 수 있게 되면서 자동차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는 양호한 안전성을 발휘하고, 내부에 조립되는 힌지플레이트(30)의 고정편(31)에 대한 힌지부(33)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에어백의 작동을 원할하게 하고, 제품의 성능과 상관없이 고급화를 유도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수석에 위치하는 크래쉬패드(10)의 표면에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에어백 전개부의 절개선(11)을 형성하고 단일 재질의 사용으로 이물감이 없는 표면을 얻을 수 있는 일체형 에어백 시스템을 구현하며, 단일의 금형으로 기본사양과 선택사양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게 되어 금형의 단일화에 따른 비용의 절감과 금형 개발기간의 단축에 기여할 수 있고, 특히 별도의 커버를 구비하지 않고도 에어백을 장착할 시에는 동일한 크래쉬패드(10)에 자동화된 장비로 레이저가공하게 되므로 양산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작동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내구성이나 강도 등이 보장되면서 에어백 시스템으로서 갖추어야 할 요건을 두루 겸비하게 되는 등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14)

  1. 자동차의 크래쉬패드(10)의 전방에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고 내부에서 레이저가공한 가공홀(13)을 각기 다른 깊이로 연속가공한 절개선(11)과,
    중앙에 개구부(21)를 갖는 슈트(chute)(20)와,
    표면에 임의형상으로 된 다수의 요철부(35)를 갖고 적정각도의 절곡각(34)을 갖는 힌지부(33)로 이루어진 힌지플레이트(30)와,
    상기 슈트(20)의 개구부(21) 내측에 결합할 수 있는 보강테(40)와,
    수개의 조립공(62)이 각각 형성된 조립편(61)으로 이루어진 에버백모듈(60)을 자동차의 운전석 크래쉬패드(1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크래쉬패드(10)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레이저 가공하여 절개선(11)을 형성한 가공홀(13)은 단위별로 적정의 피치(p)를 두고 적정의 두께(t)만큼 남길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11)을 형성하는 가공홀(13)은 계속적인 반복상태로 모두가 길게 연속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11)을 형성하는 가공홀(13)은 계속적인 반복상태로 하나는 길게 하나는 짧게 연속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11)을 형성하는 가공홀(13)은 계속적인 반복상태로 하나는 길게 둘은 짧게 연속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11)을 형성하는 가공홀(13)은 계속적인 반복상태로 하나는 길게 셋은 짧게 연속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11)을 형성하는 가공홀(13)은 계속적인 반복상태로 하나는 길게 넷은 짧게 연속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11)을 형성하는 가공홀(13)은 계속적인 반복상태로 하나는 길게 다섯은 짧게 연속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11)을 형성하는 가공홀(13)은 계속적인 반복상태로 가공홀(13)의 깊이를 불균일하게 적정 사이클로 연속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쉬패드(10)의 절개선(11)이 형성된 내부 표면에는 힌지플레이트(30)와의 접합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결합돌기(12)를 임의형상으로 다수 형성하여 힌지플레이트(30)의 결합공(36)을 통해 일체적으로 열융착하므로서 에어백의 작동시 파손되거나 비산 또는 분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20)는 중앙에 개구부(21)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21)의 가장자리부에는 내향 돌출된 보강돌조(22)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돌조(22)의 외부측으로는 다수의 보강리브(23)와 조립관(24)을 형성하여 내구성 보장 및 힌지플레이트(30)와 에어백모듈(6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플레이트(30)의 표면에는 다수의 결합공(36)과 절곡각(34)을 갖는 고정편(31)이 힌지부(33)의 역할을 하면서 크래쉬패드(10)의 결합돌기(12)에 의해 견고한 조립을 이루고, 요철부(35)에 의해 내구성을 증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테(40)는 양단에 절곡부(41)를 두어 조립시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선단 가장자리에는 수개의 내향 받침턱(42)을 형성하여 슈트(20)의 보강리브(23) 내측에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크래쉬패드(10)의 내부에 취부되는 슈트(20)는 상호 진동융착 공법으로 상호 긴밀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KR1020010022884A 2001-04-27 2001-04-27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일체형 에어백 시스템 KR200100696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884A KR20010069681A (ko) 2001-04-27 2001-04-27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일체형 에어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884A KR20010069681A (ko) 2001-04-27 2001-04-27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일체형 에어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681A true KR20010069681A (ko) 2001-07-25

Family

ID=1970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884A KR20010069681A (ko) 2001-04-27 2001-04-27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일체형 에어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96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229B1 (ko) * 2002-07-23 2004-09-18 덕양산업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도어부의 슈트와 도어플레이트간의부착구조 및 부착방법
KR100496690B1 (ko) * 2002-10-18 2005-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전개를 위한 리액션플레이트 힌지 구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6862A (ja) * 1995-09-08 1997-03-25 Inoac Corp エアバッグ収容容器と車室側部材の取付構造
JPH1044910A (ja) * 1996-07-31 1998-02-17 Mitsuboshi Belting Ltd エアバッグ一体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H11291069A (ja) * 1998-04-10 1999-10-26 Honda Motor Co Ltd エアバッグ用リッド付き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加工方法
JPH11334490A (ja) * 1998-05-21 1999-12-07 Inoac Corporation:Kk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車両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25595A (ko) * 1998-10-13 2000-05-06 김승우 에어백장착용 대쉬보드의 가공방법
JP2000127883A (ja) * 1998-10-23 2000-05-09 Kansei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のリッド部構造
JP2000238602A (ja) * 1999-02-23 2000-09-05 Honda Moto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用リッ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6862A (ja) * 1995-09-08 1997-03-25 Inoac Corp エアバッグ収容容器と車室側部材の取付構造
JPH1044910A (ja) * 1996-07-31 1998-02-17 Mitsuboshi Belting Ltd エアバッグ一体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H11291069A (ja) * 1998-04-10 1999-10-26 Honda Motor Co Ltd エアバッグ用リッド付き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加工方法
JPH11334490A (ja) * 1998-05-21 1999-12-07 Inoac Corporation:Kk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車両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25595A (ko) * 1998-10-13 2000-05-06 김승우 에어백장착용 대쉬보드의 가공방법
JP2000127883A (ja) * 1998-10-23 2000-05-09 Kansei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のリッド部構造
JP2000238602A (ja) * 1999-02-23 2000-09-05 Honda Moto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用リッド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229B1 (ko) * 2002-07-23 2004-09-18 덕양산업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도어부의 슈트와 도어플레이트간의부착구조 및 부착방법
KR100496690B1 (ko) * 2002-10-18 2005-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전개를 위한 리액션플레이트 힌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9280B2 (en) Airbag apparatus for automobile
JP4285678B2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
US7168731B2 (en) Airbag apparatus for automobile
EP1350692B1 (en) Externally-developed airbag device
US7165782B2 (en) Airbag apparatus for automobile
KR100890774B1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US20060267313A1 (e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JP2009526708A (ja) 隠れたエアバッグドア及び一体のエアバッグシュートを備えた自動車構造
JP2008037142A (ja) エアバッグカバー、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エアバッグ装置
EP1149742A2 (en) Airbag apparatus
JP2003137054A (ja) エアバッグドアのインサート部材
JP3923004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JP3694860B2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
KR20010069681A (ko) 보이지 않는 절개선을 구비한 일체형 에어백 시스템
JP3950671B2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の破断開放部構造
JPH10138859A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固定構造
JP2001277978A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における補強板材の構造
JP3654347B2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
JP4512249B2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における破断開口部補強装置
JP4051250B2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における破断開放部の改良構造
JP2013123974A (ja) モジュールカバー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4330379B2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
JP4426878B2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
JP3889950B2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
JP6548330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