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6894A -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6894A
KR20010066894A KR1020000037886A KR20000037886A KR20010066894A KR 20010066894 A KR20010066894 A KR 20010066894A KR 1020000037886 A KR1020000037886 A KR 1020000037886A KR 20000037886 A KR20000037886 A KR 20000037886A KR 20010066894 A KR20010066894 A KR 20010066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composite sheet
manufacturing
elastic
elastic stret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7833B1 (ko
Inventor
고바야시도시오
이시카와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2661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6689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66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4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using layers with different mechanical or chemical conditions or properties, e.g. layers with different thermal shrinkage, layers under tension during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being specifically extensible by reason of its structure or arrangement, e.g. by reason of the chemical na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by ultrason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32B2038/0028Stretching, elon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7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in that the layers are not bonded on the totality of their surfaces
    • B32B37/0084Point bo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07Running or continuous length work
    • Y10T156/1023Surface deformation only [e.g., emb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량이 비교적 작은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신 가능한 제1 연속 섬유(35)로 이루어지는 제1 웹(41)에, 탄성 신축성의 제2 웹(42)을 중첩하여, 이들 제1 및 제2 웹(41, 42)을 간헐적으로 접합하여 얻은 제1 복합 웹(43)을 제1 연속 섬유(35)가 소성 변형하면서 신장하도록 연장한 후에, 이 웹(43)을 탄성적으로 수축시켜 제2 복합 웹(44)을 얻는다.

Description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ELASTIC FLEXIBLE COMPOSITE SHEET}
본 발명은 탄성 신축성의 복합 시트, 보다 자세하게는 일회용의 기저귀나 생리대, 일회용의 의료용 가운 등에 사용하는 데 적합한 촉감이 좋은 상기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7-37703호 공보에 개시된 부직포성 시트의 제조 방법에서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탄성 웹을 공급 방향으로 신장하여 그 표면에 섬유질 웹을 실어, 이들 양 웹을 열이나 초음파에 의해서 결합한 후 탄성 웹을 수축시키는 것에 따라, 섬유질 웹이 주름을 형성한다. 얻어지는 부직포성 시트는 탄성 웹의 존재에 의해서 신축성을 가지고, 섬유질 웹의 존재에 의해서 부드러운 감촉을 가지며,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의 커버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지의 방법에서는 신장 상태의 탄성 웹에 대하여 섬유 웹을 공급하여, 양 웹을 결합한 후 탄성 웹을 수축시키므로, 얻어지는 복합 시트에 있어서의 섬유 웹의 평량은 그 웹을 공급했을 때의 평량보다도 커진다. 이와 같이, 상기 공지의 방법에는 복합 웹에 있어서의 섬유 웹의 평량을, 섬유 웹 공급시의 평량과 동일하게 할 수 없는 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공지의 방법의 난점을 해소하는 것, 즉 탄성 신축성복합 시트에 있어서의 섬유 웹의 평량을 섬유 웹 공급시의 평량과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복합 시트의 제조 공정도.
도 3은 도 2와 다른 형태의 복합 시트의 제조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2 : 제1 웹(상층)
3 : 제2 웹(하층)
4 : 접합 부위
6 : 연속 섬유
35 : 연속 섬유(제1 멜트블로우 연속 섬유, 제1 연속 섬유)
41 : 제1 웹
42 : 제2 웹
44 : 복합 시트(제2 복합 웹)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이 전제로 하는 것은,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방향으로 비탄성적으로 연신 가능한 제1 웹이,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적어도 상기 일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제2 웹의 적어도 한 면에 접합하여, 상기 일방향으로의 탄성 신축성을 갖는 복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전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특징이라고 하는 것은 상기 제1 웹의 합성 섬유로서, 적어도 70%의 파단 신장도를 갖는 연신 가능한 연속 섬유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웹으로서 그 파단 신장도가 상기 제1 웹의 그것보다도 높은 것을 사용하여, 이들 제1 및 제2 웹을 하기를 포함하는 공정에서 접합하여 상기 탄성 신축성의 복합 시트를 얻는 것에 있다.
a. 상기 제1 웹을 상기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정.
b. 상기 제2 웹을 상기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1 웹에 중합시키는 공정.
c. 중합시킨 상기 제1 및 제2 웹을, 상기 일방향과 그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 중 적어도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공정.
d. 접합한 상기 제1 및 제2 웹을 상기 제2 웹의 탄성 한계내이면, 상기 제1 웹의 파단 신장도 이하의 범위에서 상기 일방향과 직교 방향 중의 적어도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공정.
e. 연신된 상기 제1 및 제2 웹을 탄성적으로 수축시켜 상기 복합 시트를 얻는 공정.
본 발명에는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있다.
(1) 상기 제2 웹이 탄성 신축성의 부직포, 직포 및 신축성 필름 중 어느 하나이다.
(2) 상기 제2 웹이 탄성 신축성의 실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3) 상기 제2 웹이 멜트블로우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4) 상기 제1 웹이 멜트블로우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5) 상기 공정 d에 있어서, 상기 제2 웹을 탄성적으로 신장하는 한편, 상기 제1 웹의 합성 섬유를 신장하여 그 길이 방향으로 소성 변형시킨다.
(6) 상기 공정 d에 있어서, 상기 공정 c에서 제2 웹과 접합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제2 웹의 합성 섬유끼리의 용착을 분리시킨다.
(7) 상기 제1 및 제2 웹을 열 용착, 초음파 용착, 니들 펀칭, 고압 기둥형 수류 (柱狀水流) 처리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접합한다.
(8) 상기 제2 웹의 양면에 상기 제1 웹을 접합한다.
(9) 상기 제2 웹의 양면에 접합하는 상기 제1 웹의 각각은 평량, 사용 섬유 및 외관 중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른 것이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사시도로 나타낸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1)는 상층(2)과 하층(3)을 가지고, 이들 양층(2, 3)이 제1 및 제2 접합부(4A, 4B)에서 용착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복합 시트(1)는 서로 직교하는 쌍두 화살표 X-X, Y-Y 중, 적어도 화살표 Y-Y방향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하다.
복합 시트(1)의 상층(2)은 X-X, Y-Y 방향 중, 적어도 Y-Y 방향으로 비탄성적으로 연신 가능한 층이다. 이 상층(2)은 열가소성 합성 수지의 연속 섬유(6)의 집합체이며, 바람직하게는 접합부(4)에 있어서만 섬유끼리 서로 용착하고, 접합부(4) 사이에서는 접합하지 않는다. 접합부(4) 이외에서는 연속 섬유(6)가 불규칙한 곡선을 그리면서 하층(3)의 상부면으로 넓어지고 있다. 복합 시트(1)가 Y-Y 방향 및 /또는 X-X 방향으로 신장할 때에는 그 신장에 대응하여 곡선을 그리고 있는 연속 섬유(6)가 접합부(4, 4)의 사이에서 Y-Y 방향 및 /또는 X-X 방향으로 향하여 연장되도록 방향을 바꿔 상층(2)이 비탄성적으로 신장된다. 이러한 연속 섬유(6)에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있다.
복합 시트(1)의 하층(3)은 Y-Y 방향, 바람직하게는 Y-Y 방향과 X-X 방향 등에 탄성 신축성을 갖는 시트로, Y-Y 방향으로 적어도 20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0% 신장 가능하고, 100% 신장된 후에, 원래의 길이의 1.3배 미만에까지 탄성적으로 수축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에는 탄성실로 이루어지는 카드 웹, 탄성실로 이루어지는 열적 본드 부직포나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의 부직포, 탄성실로 이루어지는 직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필름 등이 있다.
이들 상층(2)과 하층(3)은 접합부(4A, 4B)에서 가열 가압하여 일체화할 수 있는 것 외에, 초음파 처리로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층(2)의 연속 섬유(6)를 하층(3)의 조직과 기계적으로 체결시켜 양자를 일체화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니들 펀칭, 고압 기둥형 수류 처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접합부(4)는 개개의 면적이 0.03∼10 mm2정도의 범위에 있고 복합 시트(1)의 면적을 차지하는 비율이 1∼50% 정도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합 시트(1)를 예컨대 Y-Y 방향으로 인장하면, 하층(3)을 Y-Y 방향으로 향하여 탄성적으로 신장하고, 그 신장에 따라 곡선을 그리고 있는 상층(2)의 연속 섬유(6)가 방향을 바꾸면서 Y-Y 방향으로 비탄성적으로 신장한다. 복합 시트(1)를 인장하는 데 필요한 힘은 주로 하층(3)을 인장하기 위한 힘으로서, 상층(2)은 연속 섬유(6)의 방향을 바꾸는 것 뿐이므로 복합 시트(1)를 인장하는 힘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하층(3)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복합 시트(1)를 인장하면, 곡선을 그리고 있었던 연속 섬유(6)가 하층(3)과 일체화하고 있는 접합부(4, 4) 사이에서 직선형으로 연장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된 복합 시트(1)를 인장하기 위해서는 하층(3)을 인장하는 힘과 직선형의 연속 섬유(6)를 인장하는 힘이 필요하게 된다.
도 2는 복합 시트(1)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무단 벨트(30)가 주행하고 있다. 도면의 좌측 부분에서는 벨트(30)의 상측에 제1 멜트블로우 섬유 성형기(31)가 설치되고, 벨트(30)의 아래쪽으로는 흡입 기구(31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성형기(31)는 벨트(30)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서는 다수의 노즐을 가지고, 이들의 노즐로부터는 비신축성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 멜트블로우 연속 섬유(35)가 실질적으로 연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토출되고, 벨트(30)의 위에 불규칙한 곡선을 그리면서 퇴적하여 제1웹(41)을 형성한다. 제1 웹(41)에서는 퇴적하여 중합되는 제1 연속 섬유(35)끼리 용착하는 일이 없도록, 또한 용착했다고 해도, 후의 공정에 있어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제1 성형기(31)의 토출 조건과 벨트(30)의 주행 조건 등이 선택된다. 이러한 미연장의 제1 연속 섬유(35)는 적어도 70%의 파단 신장도를 갖는다.
제1 성형기(31)의 우측에는 제2 멜트블로우 섬유 성형기(32)와 흡입 기구(32 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성형기(32)는 벨트(30)의 폭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노즐을 가지고, 이들의 노즐로부터는 탄성 신축성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2 멜트블로우 연속 섬유(40)가 토출되어, 제1 웹(31)의 위에 불규칙한 곡선을 그리면서 퇴적하여 제2 웹(42)을 형성한다. 퇴적하여 중합되는 제2 연속 섬유(40)끼리는 서로 용착하여, 제2 웹(42)이 벨트(30)의 주행 방향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주행 방향과 그 주행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 등에 탄성 신축성을 갖는 시트를 형성하도록, 제2 성형기(32)의 토출 조건이 선택된다. 이러한 제2 연속 섬유(40)는 제1 연속 섬유(35)보다도 높은 파단 신장도를 갖고 있다.
중합되는 제1 및 제2 웹(41, 42)는 상하 한 쌍의 엠보스 롤(34, 34)의 사이를 통해, 이들 웹(41, 42)의 주행 방향인 길이 방향과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 중, 적어도 길이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가열 가압되어 서로 용착하여, 제1 복합 웹(43)을 형성한다.
제1 복합 웹(43)은 연신용의 제1 및 제2, 3 롤(36, 37, 38)을 통과한다. 제1 롤(36, 38)의 회전 속도는 제2 롤(37)의 회전 속도보다도 느리다. 제1 롤(36)과 제2 롤(37)과의 회전 속도차는 제1 복합 웹(43)을 10∼60℃, 보다 바람직하게는15∼40℃의 실온 근방에 있어서 소요 배율에까지 연장되도록 설정된다. 연장후의 제1 복합 웹(43)은 제2 롤(37)과 제3 롤(38)과의 원래의 길이에까지 탄성적으로 수축하여 제2 복합 웹(44)을 형성한다.
제1 복합 웹(43)의 연신에서는 엠보스 롤(34)에서 용착한 부위와 부위 사이에 있어서, 제1 연속 섬유(35)가 그 파단 신장도 이내의 범위에서 연신되어, 그 길이 방향으로 소성 변형하여 치수가 신장되고 직경이 좁아진다. 제2 연속 섬유(40)로 이루어지는 제2 웹(42)은 용착한 부위와 부위 사이에 있어서, 제2 연속 섬유(40)의 탄성 한계내에서 탄성적으로 신장한다. 이러한 신장 과정에서는 엠보스 롤(34)에서 용착한 부위를 제외하고 제1 복합 웹(41)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연속 섬유(35)끼리의 용착과 기계적인 얽힘에서 거의가 벗어나고, 또 이 제1 연속 섬유(35)와 제2 웹(42)과의 융착도 거의 벗어나는 일이 바람직하다. 제1 복합 웹(43)의 바람직한 연장 배율은 50∼300%이다.
제2 복합 웹(44)은 권취되고, 그 후 적절한 치수로 재단되어 복합 시트(1)로 된다. 제2 복합 웨이브(44)에 있어서의 제1 웹(41)과 제2 웹(42)은 도 1의 복합 시트(1)의 상층(2)과 하층(3) 등으로 된다. 제2 복합 웹(44)에 있어서, 엠보스 롤(34)에서 용착한 부분은 복합 시트(1)의 접합부로 된다.
이 공정에 있어서, 제1 연속 섬유(35)가 실질적으로 연장하지 않은 형태에서 토출된다는 것은, 이 제1 연속 섬유(35)가 거의 또는 전혀 연장되지 않고 벨트(30)상에 토출되는 것에 따라, 후의 공정에서는 10∼6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0℃의 실온 근방에 있어서 소성 변형하면서 신장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연속 섬유(35)는 그것이 연장하지 않은 상태라면 실온 근방에서 쉽게 연장할 수 있다. 단, 연장하지 않은 실을 대신하여, 연장 실이기는 하나 적어도 70% 파단 신장도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제2 복합 웹(44), 즉 복합 시트(1)를 일회용 착용 물품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 웹(42)에 고무질의 재료가 포함되어 있어도, 제1 웹(41)이 피부에 접촉하도록 사용하면, 고무질의 재료에 특유한 피부에 대한 미끄러짐이 나빠 피부를 자극하는 일이 없다. 제1 연속 섬유(35)는 신장하여 직경이 가늘게 됨으로써, 토출된 채로의 연속 섬유(35)보다도 유연하고, 촉감이 좋은 것이 된다. 제2 복합 웹(44)의 제1 연속 섬유(35)가, 엠보스 가공에 의한 접합부(4)를 제외하고 연속 섬유(35)끼리로 용착하는 일도 없고, 제2 웹(42)과 융착하는 일도 없을 경우에는, 제2 복합 웹(44)을 연신할 때의 초기의 힘은 제2 웹(42)만을 연장하는 비교적 약한 힘으로 족하다. 이와 같이, 제2 복합 웹(44)은 상하 2층으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신축 용이하고 유연한 시트가 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공정의 경우, 제2 복합 웹(44)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웹(41, 42) 각각의 평량은 각 성형기(31, 32)로부터 토출되었을 때의 평량 그대로가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웹(41, 42)은 어느 쪽도 섬유 집합체이므로, 이들로부터 얻어지는 제2 복합 웹(44)은 일반적으로 통기성이 좋은 것이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때에는 도 2의 공정을 여러가지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웹(42)은 제1 웹(41)보다도 먼저 벨트(30)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웹(41, 42)을 접합하기 위해서는, 엠보스 롤(34)에 의한 가공 대신에, 니들 펀칭이나 고압 기둥형 수류 처리 등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성형기(32)의 하류측에 제3 성형기를 설치하고, 이 성형기로부터 토출되는 비신축성의 제3 멜트블로우 연속 섬유로 제2 웹(42)의 위에 제1 웹(41)과 마찬가지인 제3 웹을 형성하여, 제1 및 제2 웹(41, 42)과 제3 웹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복합 시트(1)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웹(41)과 제3 웹은 같은 것이여도 좋고, 수지의 종류나 섬도, 색 등의 외관이 다른 것이여도 좋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2와 마찬가지인 공정도이다. 이 예에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고, 벨트(30)의 주행 방향으로 탄성 신축성을 갖는 필름(52)이 제2 웹(42)으로서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공급되며, 이 필름(52)의 위에 제1 연속 섬유(35)로 이루어지는 제1 웹(41)이 공급된다. 제1 및 제2 웹(41, 42)은 도 2와 같이 엠보스 롤(34, 34) 사이를 통해 간헐적으로 용착하여 제1 복합 웹(43)을 형성하고, 또한 제1 내지 제3 롤(36, 37, 38)로 연신된 후에 수축하여 제2 복합 웹(44)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필름(52)의 형태를 취하는 제2 웹(42)에 제1 웹(41)을 용착하고 도 1의 접합부(4)를 형성할 때에는, 제1 웹(41)이 제1 연속 섬유(35)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용착부(4)의 개개의 면적을, 예컨대 0.03에서 1 mm2정도로 작게 하거나, 개개의 면적의 총합을 제2 복합 시트(44)의 표면적의 1∼10% 정도가 되도록 작게 하여도, 제1 및 제2 웹(41, 42)은 간단히 분리되는 일이 없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하면, 접합부(4)의 면적을 0.03으로부터 10 mm2의 범위에서 변화시키거나, 그 면적의 총합을 제2 복합 웹(44)의 표면적의 1∼50%의 범위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방법으로 얻어지는 복합 시트(1)는 신축 용이하고 촉감이 좋으므로, 일회용의 기저귀나 생리대, 일회용의 팬츠, 일회용의 의료용 가운 등에 사용하는 천이나 탄성 부재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에 관한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탄성 신축성 웹에 대하여, 이 웹이 비신장 상태에 있을 때, 신장성의 섬유 웹이 적층되므로, 종래 기술에 비교해서 복합 시트에 있어서의 섬유 웹의 평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복합 시트는 그것을 제조 과정에서 한번 연장시킴으로써, 섬유 웹의 구성 섬유가 소성 변형하여 직경을 감소하면서 신장하는 것 외에, 섬유 웹의 섬유끼리의 용착이나 얽힘, 섬유 웹과 탄성 신축성 웹과의 용착이 풀리므로, 이 복합 시트를 연장하는 데 요하는 초기의 힘은 탄성 신축성 웹만을 연장하는 비교적 약한 힘으로 족하고, 복합 시트가 신축 용이한 것이 된다.

Claims (10)

  1.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이루어져 일방향으로 비탄성적으로 연신 가능한 제1 웹이,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적어도 상기 일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제2 웹의 적어도 한 면에 접합하여 상기 일방향으로의 탄성 신축성을 갖고 있는 복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웹의 합성 섬유로서, 적어도 70%의 파단 신장도를 갖는 연신 가능한 연속 섬유를 사용하고,
    상기 제2 웹으로서 그 파단 신장도가 상기 제1 웹의 그것보다도 높은 것을 사용하며,
    이들 제1 및 제2 웹을 하기의 공정,
    a. 상기 제1 웹을 상기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정.
    b. 상기 제2 웹을 상기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1 웹에 중합시키는 공정.
    c. 중합시킨 상기 제1 및 제2 웹을 상기 일방향과 그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 중 적어도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공정.
    d. 접합한 상기 제1 및 제2 웹을 상기 제2 웹의 탄성 한계내이면, 상기 제1 웹의 파단 신장도 이하의 범위에서 상기 일방향과 직교 방향 중 적어도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공정.
    e. 연신된 상기 제1 및 제2 웹을 탄성적으로 수축시켜 상기 복합 시트를 얻는 공정
    을 포함하는 공정에서 접합하여 상기 탄성 신축성의 복합 시트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웹은 탄성 신축성의 부직포, 직포, 필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웹은 탄성 신축성의 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웹은 멜트블로우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웹은 멜트블로우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d에 있어서, 상기 제2 웹을 탄성적으로 신장하는 한편, 상기 제1 웹의 합성 섬유를 신장하여 그 길이 방향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d에 있어서, 상기 공정 c에서 제2 웹과 접합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제1 웹의 합성 섬유끼리의 용착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웹을 열 용착, 초음파 용착, 니들 펀칭, 고압 기둥형 수류 처리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웹의 양면에 상기 제1 웹을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웹의 양면에 접합하는 상기 제1 웹의 각각은 평량, 사용 섬유 및 외관 중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000037886A 1999-07-05 2000-07-04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KR100657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90934 1999-07-05
JP19093499A JP3865534B2 (ja) 1999-07-05 1999-07-05 弾性伸縮性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894A true KR20010066894A (ko) 2001-07-11
KR100657833B1 KR100657833B1 (ko) 2006-12-15

Family

ID=16266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886A KR100657833B1 (ko) 1999-07-05 2000-07-04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531014B1 (ko)
EP (1) EP1066957B2 (ko)
JP (1) JP3865534B2 (ko)
KR (1) KR100657833B1 (ko)
CN (1) CN1155470C (ko)
AU (1) AU767554B2 (ko)
BR (1) BR0004672B1 (ko)
CA (1) CA2313355C (ko)
DE (1) DE60006189T3 (ko)
ID (1) ID26464A (ko)
MY (1) MY123988A (ko)
SG (1) SG83802A1 (ko)
TW (1) TW44655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478B1 (ko) * 2002-11-15 2005-12-06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신축성 부직포 합지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4019B2 (ja) * 1999-07-05 2004-04-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弾性伸縮性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JP3723711B2 (ja) * 2000-01-20 2005-12-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伸縮性複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58271B2 (ja) 2000-03-31 2005-06-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JP3662469B2 (ja) 2000-03-31 2005-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弾性伸縮性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JP3736790B2 (ja) 2000-04-21 2006-01-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アクティブ遮音壁
JP4063519B2 (ja) 2001-10-15 2008-03-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非弾性的な伸長性を有する繊維ウエブの製造方法
JP4514593B2 (ja) * 2004-12-15 2010-07-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101321837B1 (ko) * 2005-04-25 2013-10-25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신축성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4646760B2 (ja) * 2005-09-22 2011-03-09 花王株式会社 伸縮性不織布の製造方法
JP4646878B2 (ja) * 2005-09-22 2011-03-09 花王株式会社 伸縮性不織布の製造方法
PL1921192T3 (pl) 2006-11-13 2010-09-30 Rkw Se Wytwarzana z użyciem włóknin wielowarstwowa poprzecznie elastyczna wstęga materiału
JP5363015B2 (ja) 2007-03-28 2013-12-11 花王株式会社 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4865635B2 (ja) * 2007-05-15 2012-02-01 花王株式会社 伸縮性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8323257B2 (en) * 2007-11-21 2012-1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 slow recovery stretch laminat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2177654B1 (de) * 2008-10-20 2013-07-24 Mondi Consumer Packaging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liesverbundmaterials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5650138B2 (ja) 2009-02-27 2015-01-07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多層不織in situラミネ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458310B2 (en) 2009-10-16 2016-10-0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odified polyethylene film compositions
MX2013001672A (es) * 2010-08-12 2013-06-07 Boma Engineerig Srl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hilar fibras y en particular para producir un material no tejido que contiene fibras.
US20160272798A1 (en) 2011-09-23 2016-09-2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odified Polyethylene Compositions with Enhanced Melt Strength
CN103946246B (zh) * 2011-09-23 2018-01-23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改性聚乙烯组合物
KR101350817B1 (ko) * 2011-09-30 2014-01-24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높은 벌키성을 갖는 멜트블로운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US8629217B2 (en) 2011-11-22 2014-01-1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odified polyethylene blown film compositions having excellent bubble stability
JP6407138B2 (ja) * 2015-12-28 2018-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9563A (en) * 1975-06-06 1980-06-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random laid bonded continuous filament cloth
US4652487A (en) * 1985-07-30 1987-03-24 Kimberly-Clark Corporation Gathered fibrous nonwoven elastic web
US4657802A (en) * 1985-07-30 1987-04-14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nonwoven elastic web
US5681645A (en) * 1990-03-30 1997-10-28 Kimberly-Clark Corporation Flat elastomeric nonwoven laminates
WO1992016371A1 (en) * 1991-03-20 1992-10-01 Sabee Reinhardt N Elasticized pregathered web
DE4243012C2 (de) * 1992-12-18 1997-09-11 Corovin Gmbh Mehrschichtiges elastisches Flächengebild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schichtigen elastischen Flächengebildes
JPH0737703A (ja) 1993-07-16 1995-02-07 Murata Mfg Co Ltd 正温度特性樹脂組成物
JP3524019B2 (ja) * 1999-07-05 2004-04-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弾性伸縮性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478B1 (ko) * 2002-11-15 2005-12-06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신축성 부직포 합지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06189T2 (de) 2004-05-19
EP1066957B2 (en) 2007-08-22
MY123988A (en) 2006-06-30
EP1066957B1 (en) 2003-10-29
EP1066957A1 (en) 2001-01-10
ID26464A (id) 2001-01-11
DE60006189D1 (de) 2003-12-04
CN1279935A (zh) 2001-01-17
DE60006189T3 (de) 2008-03-20
JP2001018315A (ja) 2001-01-23
BR0004672A (pt) 2001-07-31
TW446553B (en) 2001-07-21
BR0004672B1 (pt) 2009-08-11
SG83802A1 (en) 2001-10-16
CA2313355C (en) 2005-08-16
US6531014B1 (en) 2003-03-11
AU4505200A (en) 2001-01-11
KR100657833B1 (ko) 2006-12-15
CN1155470C (zh) 2004-06-30
AU767554B2 (en) 2003-11-13
CA2313355A1 (en) 2001-01-05
JP3865534B2 (ja)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7833B1 (ko)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KR100655807B1 (ko)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KR100666968B1 (ko)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1079972A (ja) 弾性伸縮性複合シート
KR20010076380A (ko) 신축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732125B1 (ko)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791865B1 (ko) 탄성신축성을 갖는 복합 시이트의 제조 방법
KR100775400B1 (ko) 탄성의 신축성인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KR20010051952A (ko) 탄성 신축성 적층 시이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933005B1 (ko) 비탄성적인 신장성을 갖는 섬유 웨브의 제조 방법
JP3990875B2 (ja) 弾性伸縮性複合シート
KR100533478B1 (ko) 신축성 부직포 합지체
JP4694743B2 (ja) 弾性的な伸長性を有する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