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9777A -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9777A
KR20010059777A KR1019990067307A KR19990067307A KR20010059777A KR 20010059777 A KR20010059777 A KR 20010059777A KR 1019990067307 A KR1019990067307 A KR 1019990067307A KR 19990067307 A KR19990067307 A KR 19990067307A KR 20010059777 A KR20010059777 A KR 20010059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ixing
spare tire
tire
ti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2550B1 (ko
Inventor
우형복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7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5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59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페어타이어의 고정시에는 노브를 눌러 고정시키고, 또한 분리 시에는 해제버튼을 눌러 스페어타이어를 분리시킴에 따라 볼트를 여러 회 돌려 고정 또는 해제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스페어타이어를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힘이 약한 여성사용자나 노약자가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Spare Tire Fixing Apparatus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스페어 타이어 쉽게 고정하고 분리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렁크의 바닥측(B)에 상기 스페어타이어(T)가 안착되는 안착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10)의 중앙측에는 상기 스페어타이어(T)를 안착시킨 후 스페어타이어고정볼트(20)가 나합되어 고정되도록 나사홈(31)이 형성된 고정너트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페어타이어고정볼트(20)의 상측에는 손잡이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스페어타이어고정볼트(20)의 회전동작을 용이하게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는 먼저,스페어타이어(T)를 트렁크바닥(B)측 안착부(10)에 안착시킨 후 상기 스페어타이어(T)의 상측에서 스페어타이어고정볼트(20)를 고정너트부(30)의 나사홈(31)에 맞추어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주행시에 상기 스페어타이어(T)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는 상기 스페어타이어고정볼트(20)의 길이가 길어 스페어타이어(T)를 빼내기 위해서는 상기 스페어타이어고정볼트(20)를 여러번 돌려야 하므로 여성 운전자등 노약자는 그 작업이 불편하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의 구조를 버튼타입으로 구현하여 무리하게 힘을 주지 않아도 상기 스페어타이어의 고정 및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트렁크바닥 T : 스페어타이어
50 : 고정구 51 : 고정홀
110 : 아웃케이스 120 : 로드
130 : 타이어고정후크 140 : 탄성부재
150 : 로드고정후크 160 : 스프링
170 : 해제버튼 180 : 노브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는 자동차의 트렁크 바닥에 스페어타이어를 고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바닥에 설치된 고정구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수직이동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로드의 하강 동작에 연동되어 하강함과 동시에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상기 고정구의 내측에 삽입되어 걸리는 타이어고정후크와, 상기 타이어고정후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고정후크 및 로드를 탄성적으로 구속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로드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로드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로드고정후크와, 상기 아웃케이스의 일측에 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로드고정후크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해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는 자동차의 트렁크바닥(B)에 도우넛 형상을 한 고정구(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구(50)를 통하여 스페어타이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110)와,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수직 이동하는 로드(120)와, 상기 로드(120)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로드(120)의 하강 동작에 연동되어 하강하여 상기 고정구(50)의 내측에 삽입되어 걸리는 타이어고정후크(130)와, 상기 타이어고정후크(1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고정후크(130) 및 로드(120)를 탄성적으로 구속하는 탄성부재(140)와, 상기 로드(12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로드(120)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로드고정후크(150)와,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일측에 스프링(160)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로드고정후크(15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해제버튼(17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하단측에는 상기 타이어고정후크(130)가 관통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드(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페어타이어(T)의 크기에 따라 상기 로드(120)가 이동 된 후 상기 로드고정후크(150)의 걸림턱(151)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로드(120)의 이동거리를 한정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거리조절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해제버튼(170)은 손으로 쉽게 누르도록 형성된 누름부(171)와, 상기 누름부(171)의 중앙측에 가로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171)를 손으로 누름에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로드고정후크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축부(17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구(50)는 내측에 소정의 직경으로 고정홀(51)이 형성된 도우넛형으로 이루어 졌고, 상기 로드(120)의 일단측에는 상기 로드(120)를 용이하게 누르도록 노브(180)가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부호(123, 133)는 로드고정후크(120) 및 타이어고정후크(130)를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힌지축을 나타낸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스페어타이어의 고정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고정구(50)가 설치된 트렁크바닥(B)에 스페어타이어(T)를 안착시킨 후 고정수단(100)을 안착된 스페어타이어(T)의 상측에 얹은 후 노브(180)를 세게 누르면, 로드(120) 및 타이어고정후크(130)가 하강하고, 상기 타이어고정후크(140)는 고정구(50)의 고정홀(51)에 삽입된 후 좌우로 벌어져 고정구(50)의 밑단에 상기 타이어고정후크(140)의 걸림턱이 걸려서 스페어타이어(T)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타이어고정후크(140)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140)는 압축되고, 상기 타이어고정후크(140)는 힌지축(133)을 회전점으로 하여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로드(120)의 하강거리는 스페어타이어(T)의 크기에 따라 달라져 로드고정후크(150)의 걸림턱(151)이 거리조절홈(121)에 삽입되는 위치가 달라진다.
다음 스페어타이어의 분리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웃케이스(110)의 상측에 설치된 해제버튼(170)의 누름부(171)를 양쪽에서 누르면 스프링(160)이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해제버튼(170)의 축부(173)에 의해 로드고정후크(15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로드고정후크(150)의 걸림턱이 거리조절홈(121)으로부터 빠져 나와 규제하고 있던 로드(120)를 해제한다.
그후,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140)가 팽창함에 따라 로드(120)가 상승되고, 상기 타이어고정후크(130)가 아웃케이스(110)의 하단측에 형성된 관통홀(111)을 따라 상승됨에 따라 중심으로 오므라지게 되어 고정구(50)의 고정홀(51)로부터 빠져 나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따라서, 스페어타이어(T)를 트렁크바닥(B)측으로부터 분리 가능케 된다.
상기에 있어 해제버튼(170)으로부터 손을 떼면, 상기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해제버튼(170)역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에 의하면, 스페어타이어의 고정시에는 노브를 눌러 고정시키고, 또한 분리시에는 해제버튼을 눌러 스페어타이어를 분리시킴에 따라 볼트를 여러 회 돌려 고정 또는 해제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스페어타이어의 고정 및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행 할 수 있고, 특히 힘이 약한 여성사용자나 노약자가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자동차의 트렁크 바닥에 스페어타이어를 고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바닥에 설치된 고정구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수직이동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로드의 하강 동작에 연동되어 하강함과 동시에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상기 고정구의 내측에 삽입되어 걸리는 타이어고정후크와,
    상기 타이어고정후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고정후크 및 로드를 탄성적으로 구속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로드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로드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로드고정후크와,
    상기 아웃케이스의 일측에 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로드고정후크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해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는 상기 로드의 이동거리를 한정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거리조절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단측에는 상기 로드를 용이하게 누르도록 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은 손으로 쉽게 누르도록 형성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중앙측에 가로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를 손으로 누름에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로드고정후크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내측에 소정의 반경으로 고정홀이 형성된 도우넛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KR10-1999-0067307A 1999-12-30 1999-12-30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KR100372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307A KR100372550B1 (ko) 1999-12-30 1999-12-30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307A KR100372550B1 (ko) 1999-12-30 1999-12-30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777A true KR20010059777A (ko) 2001-07-06
KR100372550B1 KR100372550B1 (ko) 2003-02-17

Family

ID=19634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307A KR100372550B1 (ko) 1999-12-30 1999-12-30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5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265A (ko) * 2001-09-17 2003-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KR101219433B1 (ko) * 2005-01-11 2013-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090566A (ko) * 2018-01-25 2019-08-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와 이의 고정 및 탈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4588A (ja) 2008-09-10 2010-03-25 Nifco Inc スペアタイヤの固定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265A (ko) * 2001-09-17 2003-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KR101219433B1 (ko) * 2005-01-11 2013-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090566A (ko) * 2018-01-25 2019-08-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와 이의 고정 및 탈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2550B1 (ko) 200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2130B1 (en) Clamp for a power tool
US4829797A (en) Steering wheel lock
CA1276006C (en) Apparatus for operating manhole cover
US5112070A (en) Dual wheel puller/dolly
RU2245802C2 (ru) Переносное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е опор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го выхода из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посадки в него
JPH10513133A (ja) ロードキャリヤ
US5577787A (en) Safety hook and method
KR20010059777A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JP2004522648A (ja) 車両シートアセンブリにアームレストを取外し自在に固定するための急速着脱装置
JP2000033437A (ja) 成形金型
US5875661A (en) Anti-theft lock assembly for steering wheels
CA2387352C (en) Core body locking device of a core drill, and core body for use therein
JP3950944B2 (ja) 防音扉の錠
KR200162536Y1 (ko) 버스 손잡이
JP2000051007A (ja) ベッドの側方部材取付装置
KR0147715B1 (ko)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
KR200325809Y1 (ko) 훅크 록킹 장치
US4883174A (en) Wrench socket assembly
JPS5828766Y2 (ja) 荷締具
KR200337390Y1 (ko) 원격조정안전벨트클립
CN117566005A (zh) 一种新型简易的门盖装具及其操作方法
FR2841056B1 (fr) Boite comportant un socle, un couvercle et un verrou articule pour le verrouillage du couvercle sur le socle
KR100206207B1 (ko) 러기지 룸의 잭 핸들 고정장치
JP4135831B2 (ja) 昇降機構
JPH0752404Y2 (ja) 物品吊下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