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719A - 후방 투영 스크린 - Google Patents

후방 투영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719A
KR20010052719A KR1020007013990A KR20007013990A KR20010052719A KR 20010052719 A KR20010052719 A KR 20010052719A KR 1020007013990 A KR1020007013990 A KR 1020007013990A KR 20007013990 A KR20007013990 A KR 20007013990A KR 20010052719 A KR20010052719 A KR 20010052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screen assembly
light
screen
modulation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츄신-신
토마스패트릭에이
브렌너콜린엠
창제프리씨
모시레프자데로버트에스
Original Assignee
캐롤린 에이. 베이츠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롤린 에이. 베이츠,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캐롤린 에이. 베이츠
Publication of KR2001005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71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04Polarised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7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polarizing the light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기술된 후방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는 확산기 및 편광기를 구비한다. 확산기는 바인더내에 분산된 입자를 갖는다. 입자 및 바인더는 상이한 반사율을 갖도록 선택하여, 광의 초기 편광 상태를 상당량 보존하는 한편으로 초기 편광 상태의 광을 원뿔형의 각으로 확산한다. 확산기는 또한 확산기에서 측방으로 산란되는 광의 일부에 대해 편광을 상당량 소멸한다. 확산기는 확산기를 통해 투과되는 광을 수신하기 위해 배치된다. 편광기는 상이한 편광 상태를 갖는 측방으로 산란된 광의 일부를 흡수하는 한편으로 초기 편광 상태의 광을 투과한다. 전반적인 스크린 어셈블리의 해상도는 스크린 어셈블리의 다른 특성을 개선하기도 하는 한편으로 더욱 증가될 수 있다.

Description

후방 투영 스크린{REAR PROJECTION SCREEN}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투과형 스크린(transmissive screen)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방 투영 시스템(rear projection screen)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투과형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후방 투영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스크린의 후방으로 투영된 이미지를 관측 공간내로 투과하도록 설계된다. 투영 시스템의 관측 공간은 비교적 큰 공간(예컨대, 후방 투영 텔레비전)이거나 또는 비교적 작은 공간(예컨대, 후방 투영 데이터 모니터)일 수 있다. 후방 투영 스크린의 성능은 스크린의 다양한 특성에 관련해 기술될 수 있다. 스크린의 성능을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전형적인 스크린 특성으로는 반사율(gain), 시야각(viewing angle), 해상도, 콘트라스트, 색 및 얼룩(speckle)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인공물의 유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는 후방 투영 스크린이 고 해상도, 높은 콘트라스트 및 큰 반사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린의 광이 넓은 관측 공간으로 퍼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행하게도, 이하 충분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스크린 특성이 개선되면 하나 이상의 다른 스크린 특성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조물을 사용하면 스크린의 반사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용이하게 관측 가능한 스크린의 시야각을 감소시킬 것이다. 그 결과, 스크린 특성 및 성능에 있어서 특정 후방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전반적으로 수용가능한 성능을 갖는 스크린을 생산하기 위해 소정의 타협이 이루어진다.
고 해상도를 필요로 하는 후방 투영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이 보다 중요해졌다. 예를 들면, 고선명 디지털 텔레비전 포맷은 비교적 고 해상도를 요구한다. 그 결과로, 이러한 후방 투영 텔레비전에 사용되는 스크린은 보다 고 해상도의 이미지를 분해할 수 있어야 한다. 후방 투영 데스크탑 데이터 모니터도 고해상도가 요구된다. 전형적인 후방 투영 스크린이 보다 고 해상도를 수용하도록 수정됨에 따라 상기 타협은 스크린의 또 다른 성능 특성을 열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스크린에 사용되는 후방 투영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필요로 하는 최소 성능 기준을 만족하는 한편으로 전반적인 성능을 개선한 스크린에 대한 요구가 남게 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후방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특정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 어셈블리는 확산기(diffuser) 및 편광기(polarizer)를 구비한다. 확산기는 바인더(binder)내에 분산된 입자를 갖는다. 입자와 바인더는 상이한 반사율을 갖고, 확산기가 광의 초기 편광 상태를 상당량으로 보존하는 한편으로 초기 편광 상태의 광을 원뿔각을 이루게 확산하도록 선택된다. 확산기는 또한 확산기내에서 측방으로 산란되는 일부의 광에 대해 편광을 없앤다. 편광기는 확산기를 통해 투과되는 광을 받아들이도록 배치된다. 편광기는 확산기를 통해 투과된 광을 수용하기 위해 배치된다. 편광기는 상이한 편광 상태를 갖는 측방 산란광의 일부를 흡수하는 한편으로 초기 편광 상태의 광을 투과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확산기와 편광기는 확산기를 빠져나온 확산광의 변조 깊이가 편광기를 통해 투과된 확산광의 변조 깊이보다 작도록 하는 방식으로 스크린 어셈블리에 결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반적인 스크린 어셈블리는 또한 스크린 어셈블리의 또 다른 특성을 개선하면서도 해상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 어셈블리는 확산기와 편광기를 구비하고, 전반적으로 고성능의 스크린 특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은 적어도 대략 0.5의 반사율을 갖고 약간의 섬광(scintillation)을 보이거나 또는 섬광을 전혀 보이지 않으며 적어도 50°의 시야각과 적어도 대략 0.80의 변조 깊이를 갖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 어셈블리는 바인더내에 분산된 입자를 갖는 확산기, 확산기에 적층된 편광기, 스크린 어셈블리의 관측자측상의 편광기에 적층된 유리판(glass sheet) 및 유리판 외측에 피복된 반사 방지부를 구비한다. 스크린 어셈블리는 적어도 대략 65°의 시야각, 적어도 대략 0.65의 최대 반사율 및 적어도 대략 0.90의 변조 깊이를 갖을 수 있다. 스크린 어셈블리는 또한 기껏해야 겨우 관찰할 수 있는 섬광만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개선된 투영 시스템이 제공된다. 투영 시스템은 화소(pexel)로 이루어진 편광 이미지를 발생하는데 사용된 투영기(projector)를 구비한다. 벌크 확산 부재는 투영 이미지를 받아 규정된 시야각으로 확산하기 위해 배치된다. 확산 부재는 광이 확산 부재가 확산기에 의해 측방으로 산란되는 투영 화소에 대응하는 광의 편광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상이한 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확산기를 빠져나오는 것보다 확장되어 투영 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확산기를 통해 투과되는 것과 같이 투영 이미지의 투영 화소에 대응하는 광의 편광 상태를 유지한다. 이 시스템은 또한 광 경로상에 확산기 다음에 연결되는 흡수 편광기를 구비한다. 이 편광기는 투영 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확산기를 통해 투과되는 투영 화소에 대응하는 광을 그냥 통과하게 하기 위한 방향성을 갖는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대한 설명은 각각의 예시된 실시형태 또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이들 실시예를 보다 특정하게 예시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더욱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라 스크린 어셈블리의 해상도를 특성화하기 위한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f는 다양한 스크린 특성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상이한 스크린 구성에 대한 스크린 특성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후방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후방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또 다른 후방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후방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후방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복수개의 상이한 스크린 어셈블리에 응용 가능한 것으로, 특히 후방 투영 스크린에 사용되는 스크린 어셈블리에 적절한 것이다. 이러한 스크린 어셈블리의 특정 실시예가 본 발명을 다방면으로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기는 하지만, 본 발명이 이런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특정 일실시형태에 따른 후방 투영 스크린(100)이 개시된다. 후방 투영 스크린(100)은 확산 부재(101) 및 흡수 편광기 부재(103)를 구비한다. 이하 보다 충분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확산 부재(101)는 투영기(105)로부터 투영되어 스크린(100) 후면에 입사하는 편광 이미지의 광을 스크린의 관측면상에서 원하는 시야각(107)으로 확산한다. 시야각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대칭 또는 비대칭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흡수 편광 부재(103)는 이하 충분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기능을 지원한다. 흡수 편광 부재(103)의 기능 중 하나는 스크린(100)이 주변광(109)이 존재하는 중에 사용될 때 스크린(100)의 콘트라스트를 개선하는 것이다. 콘트라스트는 스크린의 관측자측면상으로 입사하는 주변광의 일부(편광되지 않음)를 흡수함으로써 개선되는 한편으로 입사하는 주변광이 스크린에 의해 반사되어 이미지 콘트라스트를 감소시킨다. 편광 부재(103)의 통과 방향은 편광 부재(103)에 의한 투영 이미지의 소정의 흡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투영 이미지의 편광 방향에 의해 정렬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스크린 어셈블리(100)를 통해 투과된 이미지를 현저하게 흡수하는 일없이 주변광의 대략 절반을 흡수하면 주변광이 존재하는 상태에 측정하였을 때 스크린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편광 부재(103)에 의해 흡수된 이미지 광량은 스크린의 편광 보존력에 일부 의존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확산기 부재(101)는 확산 부재(101)에 의해 확산되어 확산기 부재(101)를 통해 투과되는 이미지광의 편광을 다량으로 소멸시키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편광-보존 벌크 확산기가 사용되며 바인더내에 분산된 입자로 구성된다. 사용된 입자의 유형 및 입자가 바인더내에 분산되는 방식 각각은 확산기의 편광-보존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양호한 편광 보존력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입자가 구형이고 확산기가 얇으며 바인더내에 입자의 포함량이 소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기의 두께와 입자의 포함량은 또한 확산기의 반사율과 시야각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영향은 확산기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확산기 부재(101) 및 흡수 편광 부재(103)는 스크린의 전반적인 특성이 개선될 수 있게 함께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확산 부재(101)가 임의의 광의 편광을 우선적으로 소멸시키도록 선택되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었다. 우선적으로 편광이 소멸되는 광이 이와 달리 이미지를 열화시키는 광일 때(예컨대, 광이 인접한 화소로부터 측방으로 산란되기 때문),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관측면에 도달하는 이 광량은 편광 부재(103)에 의한 실질적인 흡수에 기인하여 다량으로 감소된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통해 투과되는 원치 않는 광의 우선적인 편광 소멸 및 흡수는 그러한 제약을 완화시키는 한편으로 원치 않는 광에 의한 이미지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스크린상에 내재되게 된다. 완화된 제약은 스크린의 다른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 어셈블리는 특히 편광된 이미지원을 이용하는 투영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반형 투영기는, 예를 들어 본 출원에 개시된 유형의 스크린 어셈블리상으로 편광된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해 투영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다. 투영 시스템은 크기면에서 비교적 소형 데이터 모니터에서부터 대형 스크린 TV 및 비디오용 벽까지 변형이 가능하다. 투영 시스템은 또한 본 명세서에 인용되고 발명의 명칭이 "Projecting Image"인 유럽 특허 출원 EP 783133에 개시된 여러가지 투영 시스템과 같은 접힌 이미지 투영 경로(folded image projection path)에 의존할 수 있다. 이하 명세서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이러한 시스템은 특히 본 명세서에 개시된 여러가지 스크린 어셈블리를 사용함으로써 유리하다. 유럽 특허 출원 EP 783133에 개시된 바와 같은 편광 민감성 밀러를 사용하는 투영 시스템에 본원의 스크린 어셈블리내에 사용된 흡수 편광기를 부가하면 투영 시스템의 성능을 더욱 강화한다. 또한 스크린 어셈블리의 흡수 편광기는, 예를 들어 이미저[imager: 예컨대, LCD], 편광 민감성 빔분리기와 미러 및 지연제(retarder) 등을 구비하는 투영 시스템에서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클린업 편광기(clean-up polarizer)로서 지원할 수 있다.
확산 부재 및 흡수 편광 부재가 스크린 어셈블리의 성능 특성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는 방법을 보다 이해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하에 여러가지 스크린 특성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스크린 특성 중 중요한 하나가 반사율이다. 스크린의 반사율은 시야각의 함수로서 스크린의 밝기(brightness)로 표현된다. 반사율은 통상적으로 모든 각에 대해 1로 설정된 이상적인 램버션 표준(ideal Lambertian standard)의 반사율을 갖는 이상적인 램버션 반사기를 사용하여 보정된다. 스크린(또는 스크린 스크린 부재)의 최대 반사율은 몇몇 각에서의 최대 반사율에 대응한다. 벌크 확산기 스크린(bulk diffuser screen)의 최대 반사율은,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스크린의 표면에 대해 수직각으로 스크린을 통해 투과되는 광에 대해 관찰될 것이다.
스크린에 대한 다른 중요한 특성은 시야각이다. 스크린의 시야각(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은 스크린의 반사율이 최대 반사율의 절반으로 떨어지는 각이다. 벌크 확산(bulk diffusion)을 사용하여 원하는 시야각으로 광을 퍼트리는 스크린에 있어서, 시야각은 통상적으로 투과 이미지의 강도가 스크린면에 수직으로 투과되는 광의 강도에서 절반으로 떨어지는 각에 대응한다.
스크린 성능을 측정하는 또 다른 특성은 콘트라스트이다. 콘트라스트는 일반적으로 투영된 백색 이미지의 휘도(luminance) 대 투영된 흑색 이미지의 휘도의 비이다. 그렇기 때문에, 수치 콘트라스트수는 광원 및 이미지 광학에 따른다. 콘트라스트비는 스크린의 밝기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투영된 흑색 이미지에 따라 어두워지는 경향이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콘트라스트는 시스템의 동적 범위에 관련해서 표현될 수 있다. 시스템의 동적 범위는 주변광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한 것이다. 투영 디스플레이가 주변광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사용되었을 때, 얼마의 주변광이 스크린으로부터 반사될 수 있다. 반사된 광은 통상적으로 거울같은 구성요소에서 반사되는 광과 확산하는 구성요소에서 반사되는 광 양쪽 모두 포함한다. 반사는 스크린의 콘트라스트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스크린이 주변광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사용되면, 콘트라스트비는 역시 주변광을 흡수하는 스크린의 성능에 따른다. 스크린에 의한 확산 반사가 스크린 콘트라스트의 감소에 더 많이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면, 스크린으로부터의 확산 반사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확산 반사량은 스크린 성능의 또 다른 유용한 측정법을 제공한다.
스크린의 또 다른 특성은 색을 유지하는 성능 및 편제된 색 변경 또는 이동을 방지하거나 또는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성능이다. 특정 스크린에 있어서 색은 스크린상에서 상이한 색 화소형 스폿의 랜덤한 패턴으로 보존될 수 있다. 이러한 색 인조물은 통상적으로 파장 의존형 산란의 결과로, 여기서 파장은 상이한 방향으로 산란되거나 또는 상이한 효율로 산란된다. 산란에 따른 파장의 결과로서, 상이한 색이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어 투영 스크린의 관측자면상에서 분리된 색을 관찰할 수 있다. 관찰자가 분해할 수 없을 때까지 스크린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소정의 색 분리는 벌크 확산기를 사용하는 스크린상의 색 인조물을 감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후방 투영 스크린에서 관찰될 수 있는 또 다른 인조물이 얼룩이다. 얼룩은 눈을 약간 움직이더라도 움직임을 보이는 랜덤하게 방향지어진 패턴으로 관찰된다. 얼룩은 일반적으로 응집성의 간섭에 관련되고 스크린이 투영된 빔이 거의 응집성인 고배율 시스템에서 사용될 때 더욱 통상적으로 관찰된다. 일루미네이션 빔의 응집성을 파괴하면 얼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얼룩은 확산량 및/또는 확산기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감소되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이하에 보다 전반적으로 기술하는 바와 같이, 확산기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스크린의 해상도 및 반사율를 감소시키는 단점을 갖을 수 있는 색 및 얼룩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거한다.
스크린상의 색 및 얼룩은 흔히 섬광과 같이 집합적으로 관찰된다. 일반적으로, 색 및 얼룩은 동일한 경향(예컨대, 얼룩은 색의 량이 감소하는 바와 같이 감소함)이 뒤이어 일어난다. 섬광을 정량화하는 하나의 방법은 화소 크기 레벨의 밝기 균일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섬광에 따른 비균일성은 표준 편차와 관련해서 표현될 수 있다. 섬광의 존재는 또한 정량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눈이 효율적으로 섬광을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정량적인 평가가 중요하다. 이하 표 1은 섬광을 특성화하는 편리한 방법을 나타낸다.
등급 정량화 표준 편차
0 없음 <2.5
1 약간 2.5-4.5
2 중간 4.5-7.5
3 많음 >7.5
상기한 바와 같이, 후방 투영 스크린의 해상도는 더욱 높은 해상도를 갖는 스크린을 필요로 하는 후방 투영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보다 중요시된다. 스크린의 해상도는 일반적으로 스크린상에 투영된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는 가장 미세하고 상세한 측정법으로 정의된다. 해상도를 측정하는 하나의 방법은 분해될 수 있는 밀리미터당 선의 제한수를 탐지하기 위한 일련의 어두운 선(dark line) 및 밝은 선(bright line)의 세트를 나타내는 스크린상의 이미지를 혁신적으로 보다 작은 공간에 투영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스크린의 해상도는 상이한 공간 주파수로 수평 및/또는 수직 바(horizontal and/or vertical bar)를 분해하는 성능으로서 정량화될 수 있다.
스크린 해상도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방법으로 스크린의 변조 깊이(MD:modulaiton depth)를 측정함으로써 정량화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조 깊이는 스크린을 통해 투과되는 밝은 선(205) 및 어두운 선(207) 이미지의 반복 패턴(201)을 조사함으로써 측정된다. 패턴(201)은 바에 직각인 선(203)에 따라 스캐닝된다. 이 스캐닝은 스캐닝선(203)을 따라 위치의 함수로서 광의 강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스캐닝의 결과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캐닝선(203)을 따라 위치의 함수로서 강도에 대해 도면을 작성함으로써 도식적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스캐닝된 강도는 ICC(intercharacter contrast) 값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CC는 이하의 수학식 1에 따른 강도의 비이다.
ICC=Imax/Imin
여기서, Imax는 스캐닝의 최대 강도(211)이고 Imin은 스캐닝의 최소 강도(213)이다.
스크린의 변조 깊이는 정규화된 값을 나타내는 이하의 수학식 2에 따른 ICC로부터 계산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측정된 부재의 변조 깊이는 0 및 1 사이에 있고, 1은 완전한 해상도를, 0은 분해할 수 없는 이미지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ICC가 높으면 변조 깊이가 크다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스크린 어셈블리의 변조 깊이는 스크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및 상이한 스크린들 및 스크린 부재들의 관련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서 특히 유용한 측정값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스크린 어셈블리의 확산 부재는 벌크 확산기(예컨대, 벌크 매체내에 분산된 산란 입자를 구비하는 확산기)이다. 일반적으로, 벌크 확산을 이용하여 스크린의 해상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일없이 비교적 넓은 시야각을 갖는 스크린을 얻는 것은 어렵다. 스크린의 시야각을 증가시키는 하나의 방법은 보다 두꺼운 확산기를 만드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보다 두꺼운 확산기는 색 및 얼룩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확산기가 더욱 두꺼워지면 스크린을 통해 투과되는 광의 현저한 부분이 측방으로 스크린내에서 산란된다. 화소로 이루어진 이미지가 하나의 화소에서 측방으로 산란되는 방식으로 확산기를 통해 투영된 결과로 투영된 이미지는 또 다른 화소에 대응하는 위치의 확산기에서 배출될 때에는 결과적으로 해상도가 감소한다. 이 현상은 또한 초점 번짐(blooming)으로 참조된다. 도 2a에 도시하는 패턴에 있어서, 측방으로 산란된 광은 패턴의 어두운 영역(207)의 범위내로 산란되어 어두운 영역에 대한 스캐닝의 최소 강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밝은 영역에 대한 최대 강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측방으로 산란된 광의 결과로, 벌크 확산기의 ICC 및 변조 깊이(MD)가 상당량 열화될 수 있다.
측방으로 산란된 광과 관련된 해상도 열화량을 감소시키는 하나의 접근 방법은 확산기의 벌크 매체내에 흡수 입자(absorbing particle)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흡수 입자는 확산기에서의 측방으로 산란된 광의 보다 긴 경로 길이에 기인하여 측방으로 산란된 광을 우선적으로 흡수한다. 또한 흡수 입자는 흡수도 하지만 광의 일부가 측방으로 산란되지 않는다. 이 결과로 스크린의 반사율 및 확산 투과도가 더욱 낮아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방으로 산란된 광을 동시에 상당량의 편광을 소멸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입사된 편광 이미지의 편광을 상당량으로 보존하는 확산기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확산기가 흡수 편광기와 결합될 때, 확산기는 편광 소멸의 결과로서 측방으로 산란된 광의 일부분을 다량으로 흡수한다. 따라서 이러한 스크린 어셈블리에 있어서 확산기는 스크린의 또 다른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비교적 다량의 측방으로 산란된 광을 갖도록 허가될 수 있다(예컨대, 확산기는 비교적 두껍게 만들어짐). 확산기가 스크린 어셈블리내의 흡수 편광기와 결합될 때 확산기 단독으로는 수용하기 어렵게 낮은 변조 깊이를 갖을 수 있는 한편으로 전반적인 스크린 어셈블리는 여전히 비교적 큰 변조 깊이를 갖을 수 있다.
확산기내의 측방 산란에 대한 제약을 완화하면(즉, 확산기가 비교적 다량의 측방 산란을 갖도록 허가하면), 또 다른 특성을 개선하도록 설계된 확산기를 허가한다. 또한, 스크린 어셈블리는 측방으로 산란된 광의 우선적인 편광 소멸 및 흡수에 기인하여 전형적으로 확산기내의 측방 산란에 의해 도입되는 해상도의 손실을 회복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린의 또 다른 특성이 강화된 고해상도 스크린이 구성될 수 있다. 측방 산란에 대한 제약의 완화는 전반적인 스크린 어셈블리의 변조 깊이와 자발적인 확산 부재의 변조 깊이 사이의 차와 관련하여 기술될 수 있다. 바꿔말하면, 확산 부재만이 조사될 때 확산 부재는 완전한 스크린 어셈블리에 결합될 때보다 더욱 낮은 변조 깊이를 갖는다. 그 이유는 편광을 소멸시킨 광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으로, 측방으로 산란된 광은 확산기의 해상도를 가시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스크린 어셈블리는 확산 부재 및 흡수 편광기를 갖도록 기술될 수 있다(확산 부재 및 흡수 편광기를 결합하면 확산 부재만일 때보다 더욱 큰 변조 깊이를 갖음). 바꿔말하면, 확산 부재로부터 배출된 확산광의 변조 깊이는 편광기를 통해 투과된 후의 확산광의 변조 깊이보다 더욱 작다. 확산 부재와 스크린 어셈블리 사이의 변조 깊이의 차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양하다. 그 변조 깊이의 차는 전반적인 변조 깊이가 스크린 어플리케이션에 적절한 해상도를 제공하는 한 비교적 클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깊이의 차를 크게 할 수 있으면 스크린의 또 다른 특성에 대한 개선하는데 보다 자유로워질 수 있다. 확산 부재가 효율적으로 측방으로 산란된 광의 편광을 소멸시킬 때 통상적으로 보다 큰 변조 깊이의 차는 전반적으로 고해상도를 유지하는 동안 가능하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변조 깊이의 차는 약 0.04보다 클 수 있다. 얼마의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변조 깊이의 차가 약 0.05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변조 깊이의 차는 여전히 약 0.10 내지 0.15보다 큰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변조 깊이의 차는 전반적으로 적어도 약 0.70의 변조 깊이가 얻어질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반적인 변조 깊이는 적어도 약 0.80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반적인 변조 깊이는 약 0.90 내지 0.99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측방으로 산란된 광의 소정량은 편광기에 의해 편광 소멸 및 흡수되는 추가적인 부분을 갖는 확산기의 바인더내에 분산된 흡수 입자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확산기내의 흡수 입자는 모든 편광 상태의광을 흡수하고, 여전히 해상도를 더욱 강화시키는 한편으로 스크린 어셈블리의 콘트라스트를 강화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확산 부재내의 측방 산란에 대한 제약을 완화하면 또 다른 특성이 개선된 확산 부재의 성능을 허가한다. 예를 들어, 색, 얼룩 및 측방으로 산란된 광 사이의 상호 관계를 고려해본다. 측방 산란을 감소시키는 하나의 방법은 확산기 부재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색 및 얼룩 인조물은 확산기의 두께를 증가함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은 수준으로 증가한다. 확산기가 더욱 두꺼워지면 얼룩은 광원의 응집성이 수많은 산란의 경우에 기인하여 결국 비응집적으로 되기 때문에 감소한다. 또한 색 분리가 더욱 세밀해짐에 따라 두꺼운 확산기내에서 색 분리가 분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소정 공식은 소정 화상 시스템에 대한 무색 및 무시가능한 색 또는 얼룩이 없이 디스플레이하는 확산기에 대한 최소 두께(본 명세서에서는 임계 두께라 칭함)를 도출한다. 그러나 확산기가 색 및 얼룩을 상당량 감소하기에 충분한 두께로 이루어졌을 때 이러한 확산기내에 존재하는 측방 산란량은 확산기의 해상도(변조 깊이)를 확실하게 열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측방 산란에 대한 제약은 측방으로 산란된 광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편광 부재에 의해 우선적으로 편광 소멸 및 흡수되는 확산기를 사용함으로써 완화된다. 이 제약을 완화하면 보다 두꺼운 확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해상도(MD)를 갖는 스크린은 또한 적은 색 및 얼룩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편광을 소멸한 측방으로 산란한 현저한 부분을 고의적으로 허가함으로써, 적어도 임계 두께와 같은 두께의 공식을 선택하는 것이 용이하다. 확산 부재가 흡수 편광기와 결합되는 한편으로 확산광의 편광을 상당량 보존할 때 확산 부재는 고해상도, 무인조물 투영 편광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후방 투영 스크린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완화된 측방 산란 억제는 색 또는 얼룩을 적게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고해상도(예컨대, MD) 스크린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완화된 제약은 색 또는 얼룩에 부가하여 또는 색 또는 얼룩 대신에 스크린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특성을 최적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변조 깊이의 변화(ΔMD)과 스크린 특성 사이의 관계에서의 특정 초점에 대한 여러가지 스크린 특성 사이의 상이한 관계를 도시한다. 변조 깊이의 변화(ΔMD)은 흡수 편광기를 구비하는 스크린 어셈블리의 변조 깊이에 의한 양이 확산기 단독의 변조 깊이에 의한 양에 대해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변조 깊이는 비교시에 각각의 측정에 대해 동일한 투과 휘도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예컨대, 투영원(projection source)를 조정함으로써 동일한 밝기가 스크린 어셈블리 또는 측정되는 구성요소의 관측자면으로 투과됨].
도 3a 내지 도 3f는 여러가지 관계의 경향을 도시한다. 이 경향은 바인더내에 분산된 입자의 일반적으로 공통인 확산기 공식을 갖는 스크린에 대응한다. 입자의 크기는 대략 지름이 5미크론이고 반사율은 대략 1.54이다. 바인더의 반사율은 대략 1.48이다. 바인더내 입자의 포함량은 대략 33%이다. 확산기는 비교적 낮은 복굴절(birefringence)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상에 피복된다.
도 3a는 최대 반사율(PG)의 곡선(301) 및 시야각(VA)의 곡선(302)을 도시한다. 각각은 확산기 두께의 함수로서 기능한다. 도시된 최대 반사율 및 시야각의 값은 스크린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선형 편광기와 결합된 상기 유형의 확산기를 위한 것이다.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 반사율은 낮아지고 시야각은 증가한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보다 큰 시야각의 스크린이 바람직하다는 것과 보다 두꺼운 확산기를 만들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두꺼운 확산기는 증가된 측방 산란을 갖는 경향이 있는 한편으로 큰 시야각을 갖는 고해상도 스크린은 측방 산란광을 우선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흡수 편광기를 사용함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b에 있어서 곡선(305)은 변조 깊이의 변화(ΔMD)과 최대 반사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시된 데이터는 250lux의 주변광원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측정되었다. 선형 편광기가 상당량의 입사 주변광을 흡수하기 때문에 변조 깊이는 선형 편광기를 구비하는 스크린 어셈블리에서 증가한다.
도 3c에서의 곡선(307)은 확산기 두께의 함수로서 변조 깊이의 변화(ΔMD)을 도시한다. 데이터점은 주변광이 존재하는 스크린의 성능을 나타내기 위해 암실에서 측정되었다. 변조 깊이의 변화(ΔMD)는 확산기의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한다는 것을 주목하자. 변조 깊이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편광 부재내의 확산기에 의해 편광이 소멸된 광을 흡수한 결과이다. 광의 측방 산란 및 광의 편광은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변조 깊이의 변화(ΔMD)는 일부의 두께를 증가시킨다.
도 3d는 주변광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최대 반사율의 함수와 같은 변조 깊이의 변화(ΔMD)의 곡선(309)을 도시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기대되는 바와 같이 변조 깊이의 변화(ΔMD)의 변화는 최대 반사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이 현상은 보다 높은 최대 반사율의 스크린 어셈블리에서의 보다 낮은 산란에 기인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3e에서의 곡선(311)은 시야각의 함수와 같은 변조 깊이의 변화(ΔMD)를 도시한다. 데이터점은 주변광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측정되었다. 변조 깊이의 변화(ΔMD)는 시야각이 확산기의 증가된 산란에 기인하여 크게 증가함과 같이 증가한다. 도 3f에 있어서 스크린 어셈블리로부터의 확산 반사의 함수로서의 변조 깊이의 변화(ΔMD)는 곡선(313)에 의해 도시된다. 데이터점은 주변광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측정되었다. 변조 깊이의 변화(ΔMD)는 증가된 확산기의 산란 때문에 확산 반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도 4a 및 도 4b는 상이한 스크린 구조물에 따라 변조 깊이의 변화(ΔMD)와 스크린 두께의 변화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도시한다. 이 관계가 스크린의 두께에 대해 도시하고 있는 한편으로 전반적인 경향이 스크린 두께와의 상호 관계(예컨대, 도 3a에서 스크린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시야각은 증가하고 반사율은 감소함)와 또 다른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4a에서의 곡선(401 및 403)은 확산기 공식을 나타내고, 여기서 입자는 1.54의 반사율을 갖고 각각 33% 및 40%의 포함량에서 1.48의 반사율을 갖는 바인더내에 분산되어 있다. 도 4b에서의 곡선(411 및 413)은 확산기 공식을 나타내고, 여기서 입자는 1.59의 반사율을 갖고 각각 10% 및 20%의 포함량에서 1.48의 반사율을 갖는 바인더내에 분산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의 곡선은 입자의 포함량이 보다 많이 사용된 확산기 공식으로서 의견이 개진된 두께 함수로서의 변조 깊이의 변화(ΔMD)를 나타낸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변조 깊이는 적어도 흡수 편광기를 부가함으로써 보상하는 방식으로 포함량을 보다 많게 변경함으로써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꿔말하면, 포함량을 보다 많이 사용한 결과에 따른 보다 큰 변조 깊이의 변화(ΔMD)는 변조 깊이의 소정의 감소를 적어도 상쇄하는 한편으로 포함량을 보다 많이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모든 다른 사항이 동일하다면 흔히 원하는 스크린 성능을 얻기 위해 포함량을 보다 많이 갖는 공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러한 공식이 통상적으로 보다 적은 재료를 사용하여 보다 얇게 구성될 수 있고 촉진제(speed)를 피복하여 보다 빠르게 피복될 수 있어 처리시에 보다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특별한 잇점은 스크린 어셈블리내에 흡수 편광기 및 확산기를 결합하였을 때 해상도(예컨대, 변조 깊이)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또한, 주변광이 존재하는 상태에서도 증가된 해상도를 얻는다. 흡수 편광기를 사용하면 밝은 방에서의 콘트라스트를 개선하기 위해 주변광을 흡수하는 잇점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한편으로 본 발명은 주변광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사용되는 스크린의 응용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해상도의 개선은 만일 확산기가 증가하면 두께 및/또는 입자의 포함량으로서 더욱 단언된다. 개선된 해상도의 잇점은 투영 스크린을 사용하는 거의 모든 어플리케이션(예컨대, 긴 시약 거리의 어플리케이션 및 짧은 시야 거리의 어플리케이션)에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스크린의 성능은 측방 산란광의 우선적인 편광 소멸의 잇점을 취하는 동안 적응될 수 있다. 이것은 전반적인 스크린 어셈블리에 대한 원하는 변조 깊이를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확산기 설계는 해상도에 대한 요구뿐만 아니라 스크린 어셈블리의 또 다른 필요한 특성(예컨대, 시야각, 콘트라스트 등)에 대처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원하는 확산기 및 흡수 편광기를 사용하는 스크린 어셈블리의 해상도는 변경될 변조 깊이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확인될 수 있다. 완결 스크린 어셈블리 구조물이 원하는 변조 깊이를 갖는 점에서 측방 산란의 제약(즉, 확산기 해상도)을 완화하면 확산기 설계를 수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또 다른 특성에서의 스크린 성능을 증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은 통상적으로 측방 산란 또는 초점 번짐이 확산기내에서 최소화되는 스크린 어셈블리보다 전반적으로 더 나은 성능을 나타낸다.
확산기 설계는 광의 편광을 상당량 소멸하고 광의 편광을 상당량 소멸하는 일없이 투영광을 열화하며 투영광의 해상도를 열화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확산기는 일반적으로 높은 흡광율[ER: extinction ratio]을 가져야 한다. 흡광율은 병렬 편광기와 교차된 편광기 사이에 확산기를 위치하고 각각의 경우에 대한 투과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4 내지 5의 흡광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5 내지 10의 흡광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10 내지 15 또는 그 이상의 흡광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크린에 있어서 선형 편광기가 스크린 어셈블리에 부가되었을 때 확산기가 측방 산란광의 편광을 소멸하는 양은 변조 깊이의 변화(ΔMD)에 의해 반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몇몇 스크린 특성은 서로에 대해 영향을 미친다. 스크린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이한 특성이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스크린은 전반적으로 더 좋아진 성능 및/또는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짧은 시야 거리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스크린은 적어도 약 50 내지 80°의 시야각을 갖고 색 또는 얼룩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으며(예컨대, 약 0-1보다 적은 섬광), 적어도 약 0.65 내지 0.95의 암실 변조 깊이를 갖는 적어도 약 0.45 내지 0.9의 최대 반사율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짧은 시야 거리의 어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절한 하나의 스크린 어셈블리는 적어도 약 65°의 시야각, 적어도 약 0.65의 최대 반사율, 주변광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적어도 약 0.90의 변조 깊이을 갖고 대부분 약간의 섬광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린은 보다 긴 시야 거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에 있어서 얼마의 색 및/또는 얼룩은 받아들일 수 있다(예컨대, 약 3 이하의 섬광). 이러한 스크린은 적어도 약 0.90 내지 0.99의 변조 깊이를 갖는 적어도 약 2 내지 5의 최대 반사율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많은 긴 싱 거리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후방 투영 텔레비젼과 같은)에 있어서 부가적인 렌즈 구조물이 상이한 수평 및 수직 시야각(예컨대, 수평으로 30 내지 50°이고 수직으로 10 내지 20°)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또 다른 스크린 어셈블리(500)를 도시한다. 스크린 어셈블리(500)는 확산기 기판(502)상에 피복된 확산 부재(501)를 구비한다. 확산기 기판(502)은 광학 접착제(503)를 통해 선형 편광기(504)에 부착된다. 선형 편광기(504)는 광학 접착제(505)를 통해 강체의 지지 기판(506)에 부착된다. 지지 기판(506)은 지지 기판(506)의 표면으로부터의 거울과 같은 반사를 감소하기 위해 AR 피복부(507)에 의해 광학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외부면(관측자면)은 또한 얼룩 방지 피복부(508)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스크린 어셈블리(500)의 여러가지 부재가 광학적이고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종래의 스크린 어셈블리 또는 적층물 구조물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부재들은 스크린 어셈블리와 결합될 수 있다.
확산 부재(501)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유형의 것이고 일반적으로 편광 보존도가 높다. 또한 확산 부재(501)는 이미지의 전반적인 해상도를 열화하는 광(예컨대, 측방으로 산란된 광)의 편광을 우선적으로 소멸한다. 확산기 기판(502)은 확산기를 용이하게 제조하기에 적절한 소정의 기판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확산기는 기판상에 피복한 후 경화처리된 수지로 피복된다. 여러가지 기판이 이러한 처리에 적절하다. 또한 확산기 부재(502)는 광이 확산기 부재(502)를 통과하는 것만큼 광의 편광 상태를 변경하지 않기 위해 낮은 복굴절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기판은 등방성 폴리카보네이트(isotropic polycarbonate), CTA(cellulose triacetate), PMMA(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아크릴, CAB(cellulose acetate butyrate), 유리 등을 구비한다.
결합 부품을 적층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503 및 505)는 일반적으로 높은 광학적인 성능을 갖고 편광 변경 특성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또한, 접착제의 반사율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되는 부재의 일반적인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기(504)는 흡수 편광기이다. 편광기의 첫번째 기능은 스크린의 관측자로부터 스크린 어셈블리(500)로 입사되는 주변광을 흡수하는 것이다. 편광기의 두번째 기능은 전반적인 스크린 해상도 및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편광을 소멸한 광을 흡수하는 것이다. 다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선형의 편광기 중 어느 하나가 편광기(504)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스크린 어셈블리의 전반적인 투과를 현저하게 열화하지 않기 위해 경로 방향으로 편광된 광에 대해 비교적 높은 투과를 갖는 흡수 편광기(50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높은 투과는 편광기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으로 비교적 낮은 콘트라스트의 편광기는 흡수 편광기(504)가 상이한 편광 상태의 광을 분석하는데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높은 통과 상태(pass-state)의 투과도를 얻기 위해 소정의 응용에서 받아들일 수 있다.
지지 구조물(506)은 다른 부품들 사이에서 스크린 어셈블리(500)에 대해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여러가지 기판은 강체의 고분자 광학판(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등) 및 유리판 등을 구비한다. 강체의 지지 기판은 세정될 수 있거나 또는 기판내에 결합되는 몇가지 흡수 특성을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은 중성의 밀도 또는 다른 스펙트럼 흡수 특성을 갖을 수 있다. AR(anti-reflection) 피복된 유리 또는 다른 강체 기판, 예를 들어 강체 지지 기판(506)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얼룩 방지층(만일 사용되면)은 여러가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피복일 수 있다. 특별히 적절한 하나의 얼룩 방지층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공통으로 양도되고, 출원계류중이며, 본 명세서에 인용되고 발명의 명칭이 "Antisoiling Coatings for Antireflective Surface and Methods of Preparation"으로 1997년 7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08/902,666호와 발명의 명칭이 "Antisoiling Coating for Antireflective Surface and Methods of Preparation"으로 1998년 1월 2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09/014,341호에 기술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또 다른 스크린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6에 있어서 흡수 편광기(604), 강체 지지 구조물(606), 접착제층(603 및 605), AR 피복부(607) 및 얼룩 방지층(608)은 앞서의 도면에서 언급한 부품들과 유사하다. 확산 부재(601)는 광학 접착제(603)를 통해 선형 편광기(604)에 직접 적층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확산기 기판(602)은 스크린 어셈블리의 투영면(즉, 이미지가 스크린 어셈블리상으로 투영되는 면)과 대면한다. 도 5와 비교해 보면, 확산 부재(601)와 확산기 기판(602)의 위치가 반대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미지가 투영되는 면은 스펙트럼 면반사를 감소하기 위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확산기[501:도 5] 및 확산기 기판[602:도 6]의 후방면은 매트 조직(matte texture)을 갖도록 처리되었다. 매트면은 스펙트럼 반사를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AR 피복부는 스크린 어셈블리상으로 투영되는 이미지의 스펙트럼 반사를 감소하는 대안적이거나 또는 부가적인 방법으로서 그 표면에 인가될 수 있다.
도 7은 스크린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7의 스크린 어셈블리는 기판상에 피복된 후 경화 처리된 확산기(701)를 구비한다. 이러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확산기(701)는 흡수 편광기[702:예컨대, 선형 편광기]상에 직접 피복된 후 경화 처리된다. 이러한 유형에 있어서, 흡수 편광기(702)는 또한 확산기 기판으로서 기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편광기는 스크린 어셈블리의 다른 부재[예컨대, 접착제(703)를 통한 강체 지지 구조물(704)]에 적층될 수 있다.
강체 지지 구조물(704)은 구조물의 관측자측면상에 AR 피복부(705) 뿐만 아니라 상기 부재들과 같은 부재를 갖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스크린 어셈블리의 특별한 하나의 잇점은 확산기(701)에 대해 분리형 확산기 기판을 제거하는 것이다. 분리형 확산기 기판을 제거하면, 예를 들어 확산기 기판의 복굴절에 기인하는 성능의 소정 열화를 제거한다. 대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구조물은 우선 전송 기판(도시하지 않음)상에 확산기(701)를 피복하고 확산기(701)를 경화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전송 기판에 대향하는 경화된 확산기(701) 측면은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편광 부재(702)에 적층될 수 있다. 전송 기판을 제거하면 분리형 확산기 기판을 결합하지 않는 스크린 어셈블리가 얻어진다. 전송 기판은 확산기가 형성된 구조면(예컨대, 미세구조의 엠보싱 처리된 면)을 갖을 수 있다. 구조면은 매트 마무리 또는 전송 기판의 제거시에 확산기에 대한 다른 미세구조의 면을 덧붙인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확산 부재(801)는 확산 접착제(803)를 통해 흡수 편광기(802)에 적층된다. 확산 접착제(803)는 추가적으로 확산함으로써 전반적으로 동일한 확산 레벨을 얻는 한편으로 확산 부재의 두께가 감소된다. 이것은 완전한 스크린 어셈블리의 두께를 감소한다. 도 8에 스크린 어셈블리의 다른 광학 부재가 도시되지 않은 한편으로, 광학 부재는 상기 목적을 위해 원하는 만큼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8에 있어서, 확산 부재(801)는 확산기 기판(804)을 구비한다. 분리형 확산기 기판을 갖지 않는 스크린 어셈블리는 도 7에 관련해서 기술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확산 접착제는 편광기(802)에 확산 부재(801)를 첨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확산 접착제(803)가 사용될 때, 확산 접착제의 확산 특성은 확산 부재(801)의 확산 특성에 비교할 만 하다. 예를 들어, 확산 접착제(803)는 광의 편광을 상당량 소멸하지 않는다. 이러한 확산 접착제 중 하나가 본 명세서에 인용되고 발명의 명칭이 "Light Diffusing Adhesive"인 출원 공개된 PCT 특허 공개 공보 WO97/01610에 개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스크린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스크린 어셈블리는 확산 부재(901) 및 흡수 선형 편광기(902)를 구비한다. 편광기(902)와 확산 부재(901) 사이에 1/4파장 지연제(903)가 분산되어 있다. 두번재 1/4파장 지연제(904)는 확산 부재의 대향면상에 배치된다. 부품들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함께 적층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도 9는 부가적인 스크린 어셈블리를 도시하지 않는 한편으로, 이러한 부재는 도시한 스크린 부재와 결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확산기 기판이 도시되지 않은 것에 주목하자. 기판이 사용될 수 없는 한편으로, 일실시예에 있어서 확산 부재(901)는 1/4파장 지연제막(903, 904) 중 하나에 직접 피복될 수 있고, 그후 확산기 기판으로서도 기능한다.
1/4파장 지연제막은 주변광 반사를 강화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것은 주변광선(905)의 시험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주변광은 편광기(902)에 관련된 투과 및 흡수 상태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 주변광이 편광기(902)를 통해 투과되는 바와 같이 흡수 편광 상태의 광이 흡수된다. 1/4파장 지연제(903)는 지연제를 통해 투과되는 광의 편광 상태를 회전하여 스크린 어셈블리의 관측자측으로 90°만큼 향하도록 후면 반사한다. 그후 편광기(902)는 회전된 광을 흡수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편광기(902)에 의해 흡수되는 주변광의 양은 현저하게 증가된다.
두번째 1/4파장 지연제막(904)은 편광기(902)의 통과 방향으로 투영 스크린의 후방에 투영된 이미지를 투과하는 광의 편광 상태를 정렬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광은 편광기(902)의 블럭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에서 투영된다. 광이 두개의 1/4파장 지연제(903 및 904)를 통과하면 편광기(902)의 통과 방향에 대응하기 위해 광의 편광 상태는 90°만큼 회전된다. 또한 확산 부재(901)를 통과한 측방으로 산란된 원편광(circularly polarized light)은 우선적으로 편광이 소멸되지 때문에 상기 결합된 확산 부재(901) 및 편광기(902)의 잇점은 도 9의 스크린 어셈블리에서 얻는다. 따라서, 스크린 어셈블리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진일보한 스크린 특성(예컨대, 큰 변조 깊이)을 여전히 유지하는 한편 주변광 투영을 개선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여러가지 상이한 스크린 어셈블리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표 2는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예컨대, TV, 데이터 모니터 등) 및 그것들의 성능 특성을 위해 설계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다수의 상이한 스크린 어셈블리의 리스트이다. 스크린 어셈블리에 사용된 확산기의 구조물은 바인더 수지 및 반사율(수지, 지수), 공칭 입자 크기 및 반사율(입자 크기, 지수), 바인더내의 입자 포함량의 분율(포함량%) 및 확산 부재 두께(D)와 관련해서 기술된다. 수지의 명칭(220)은 실시예 1에 결합하여 이하에 기술하는 유형의 합성물이다. 리스트된 특성은 250Lux의 주변광(MD250)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측정된 섬광에 대한 비율(Scint.), 확산기의 흡광율의 측정값(Diff EF), 최대 반사율(PG), 시야각(VA), 확산 반사의 백분율(DR) 및 암실에서의 변조 깊이(MD Dark)를 포함한다. 리스트된 변조 깊이는 공간 주파수 1.6 lines/mm의 ICC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다른 공간 주파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성능을 특징화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어플리케이션 수지/지수 입자, 지수 포함량(%) D(μm) Scint. Diff ER PG VA DR(%) MD Dark MD 250
데스크탑모니터 220, 1.48 5μm, 1.54 40 142.1 0 4.2 0.46 80 5.5 0.877 0.818
데스크탑모니터 220, 1.48 5μm, 1.54 33 238.9 0.5 7.5 0.68 65 4.9 0.927 0.863
TV,전문가용 220, 1.48 5μm, 1.54 33 88.2 3 70.9 2.2 29 2.4 1 0.978
TV,소비자용 220, 1.48 5μm, 1.59 20 46.55 3 123 5.2 13 2 0.989 0.955
TV,전문가용 220, 1.48 5μm, 1.59 20 80.85 3 52.1 1.91 27 1.91 0.996 0.936
데스크탑모니터 220, 1.48 5μm, 1.59 20 183.8 0 6.6 0.59 65 5 0.913 0.843
데스크탑모니터 220, 1.48 5μm, 1.59 10 379.8 0 6.4 0.57 75 5.6 0.79 0.74
데스크탑모니터 220, 1.48 5μm, 1.54 10 600.3 0 21.6 0.89 52 4.1 0.788 0.733
데스크탑모니터 220, 1.48 5μm, 1.54 10 710.5 0 12.2 0.72 65 4.6 0.673 0.638
이하에 여러가지 확산기 공식을 사용하는 스크린 어셈블리를 예시하는 다수의 부가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러한 공식을 사용하는 스크린 어셈블리의 몇가지 스크린 특성이 또한 제공된다. 이러한 여러가지 실시예는 전반적인 스크린의 성능이 확산 부재내의 측방 산란에 대한 제약을 완화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는 방법으로 실시한다. 여러가지 스크린 어셈블리에 있어서 비교적 높은 해상도(예컨대, MD)가 유지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확산 부재를 도시하며, 대응하는 변조 깊이의 증가는 선형 편광기와 결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바인더는 수지 질량에 비례하게 적재되는, Sartomer company, Exton, PA plus 포토이니시에이터(Ciba-Geigy Co., Tarrytwon, NY의 이용가능한 Darocur 4265)@2wt%의 이용가능한 동일한 중량의 3가지 수지 합성물(SR9003, SR335 및 CN966H90)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수지의 반사율은 대략 1.48이다. 1.54의 반사율을 갖고 폴리스틸렌 및 에틸메타크라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입자는 수지 바인더내에 분산된다. 여러가지 반사 지수를 갖는 상기 유형의 입자는 뉴욕주 뉴욕시에 소재하는 Nagase American Corp.의 장치에 이용가능하다. 상기 혼합물은 대략 240μm(9.75mils)의 두께로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에 피복된다. 확산 부재만이 대략 0.88의 최대 반사율, 대략 73°의 시야각 및 29.4%의 확산 반사율을 갖는다. 암실내에서의 확산기의 변조 깊이는 0.86으로 측정되었다. 상기 확산기는 선형 편광기에 이어서 적층된다. 선형 편광기에 대한 적층시에 스크린 어셈블리의 변조 깊이는 0.927로 증가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예 1에서 기술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혼합물은 선형 편광기에 직접 피복된 후 경화된다. 그 결과 스크린 어셈블리는 유사한 변조 깊이의 증가를 갖는 상기 성능에 비교할 만한 성능을 갖는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 있어서, 기판은 전송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제거된다. 전송 기판은 GE(General Electric)사의 이용가능한 GE8B35로서 강한 매트 마무리를 구비한다. 실시예 1에서 기술한 것과 유사한 유형의 확산기 공식은 전송 기판의 매트측면상에 피복되고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시에 소재하는 3M Company사의 이용가능한 2%(IPA함유) R22754실리콘 폴리우레아 용액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실리콘 폴리우레탄 용액은 낮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며 확산기를 피복하기 전 70℃에서 건조된다. 확산기가 기판의 매트측면상에 피복되고 경화된 후, 그 조합이 선형 편광기 및 확산기측면이 아래에 있는 유리 지지 기판에 적층된다. 적층한 후, 전송 기판이 제거된다. 매트 전송 기판의 제거시에 매트 마무리는 확산기 부재상에 잔존한다. 매트면은 확산 부재의 거울과 같은 반사 손실을 감소한다. 확산기의 전반적인 스크린 특성은 실시예 1과 관련해서 기술한 스크린 특성에 비교할 만 하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실시예 1의 공식을 사용하고,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상에 직접 피복된 후 경화되며 두께는 대략 172μm(7mils)이다. 경화이 이어서 확산기/폴리카보네이트 기판의 결합이 상기 유형의 확산 접착제를 사용하여 유리에 적층된다. 확산 접착제는 전반적인 시야각을 증가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스크린 어셈블리는 부가적인 확산을 제공하기 위해 확산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보다 두꺼운 확산기의 시야각에 비교할 만한 시야각을 갖는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측방으로 산란된 광의 편광을 우선적으로 소멸하는 선형 편광기 및 확산기가 스크린 어셈블리의 해상도에 현저하게 악영향을 미치는 일없이 색 및 얼룩을 감소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확산 부재는 실시예 1에서 기술한 수지내에 적재하는 33%의 입자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확산기는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상에 대략 232.5 마이크론(9.3mils)의 두께로 피복된 후 UV 경화된다. 확산기는 대략 0.5(약간)의 섬광율 및 0.87의 변조 깊이를 갖는다. 섬광율을 0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두번째 확산기는 290마이크론(11.6mils)로 피복 두께를 증가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확산기 단독의 변조 깊이는 0.87에서 0.81로 낮아진다. 그러나, 스크린 어셈블리가 선형 편광기에 적층되어 측방으로 산란된 광을 흡수할 때, 전반적인 스크린 어셈블리의 변조 깊이는 0.86으로 증가한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확산 부재가 시야각 및 해상도를 변경하는 일없이 두께를 감소함으로써 수정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두께의 감소는 제조 비용을 낮춘다. 실시예 6에 있어서, 첫번째 확산기는 33%의 입자 포함량 및 282.5마이크론(11.3mils)의 두께로 구성된다. 확산기는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상에 피복된다. 이 확산기가 선형 편광기에 적층되는 결과로 스크린 어셈블리는 약 0.90의 변조 깊이를 갖는 74°의 시야각을 갖는다. 두번째 확산 부재는 입자 포함량이 40%로 증가되게 구성된다. 더욱 박형의 확산기를 사용함으로써 사용된 원료의 양이 감소하고 제조 프로세스가 더욱 용이해지며 피복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감소한다. 포함량을 더욱 높인 확산기는 대략 130마이크론(5.2mils)의 피복 두께에서 75°의 시야각을 갖는다. 확산기 단독의 변조 깊이는 보다 두꺼운 확산기와 비교할 때 대략 0.82에서 대략 0.78로 낮아진다. 그러나, 더욱 박형의 확산기가 선형 편광기에 적층되었을 때 변조 깊이는 0.90으로 증가한다(즉, 변조 깊이는 보다 두꺼운 확산기를 사용하는 스크린 어셈블리의 변조 깊이와 동등함).
실시예 7
실시예 7은 비교적 넓은 시야각을 갖고 또한 고 해상도를 나타내는 스크린 어셈블리가 얻어지는 방법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첫번째 확산기는 20%의 입자 포함량 및 1.50의 입자 반사율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상에 피복된다. 피복된 확산기의 두께는 대략 187.5마이크론(7.5mils)이다. 선형 편광기에 적층된 확산기의 시야각은 0.91의 변조 깊이를 가지며 대략 65°이다. 두번째 확산기는 대략 80°의 시야각을 갖게 구성되고 설계된다. 두번째 확산기의 두께는 265마이크론(10.6mils)으로 피복된다. 확산기 단독인 경우의 변조 깊이는 대략 0.81에서 0.64로 대략 0.17만큼 낮아지는 한편으로, 확산기가 편광기에 적층되었을 때에는 전반적인 변조 깊이는 이러한 큰 시야각을 갖는 스크린에 대해 비교적 큰 변조 깊이(0.79)를 유지한다. 시야각이 65°인 스크린 어셈블리(확산기에 적층함)의 변조 깊이(0.91)와 시야각이 80°인 스크린 어셈블리(확산기에 적층함)의 변조 깊이(0.79) 사이의 변조 깊이의 차(0.12)는 상기 확산기 샘플 단독인 경우와 비교한 변조 깊이의 차(0.17)보다 작다는 사실에 주목하자. 본 발명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큰 시야각을 갖고 비교적 큰 해상도(예컨대, 변조 깊이)를 갖는 스크린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 바인더 수지 및 입자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유형의 바인더 및 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는 상이한 바인더 성질을 얻기 위해 상이한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바인더 재료는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등 뿐만 아니라 다른 상이한 재료와의 화합물을 구비한다. 다른 입자는 또한 여러가지 바인더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입자는 유기 및 무기 매터를 구비하며 불규칙 또는 구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입자를 갖는 확산기는 전반적인 편광을 보존하는 보다 나은 성질을 갖는 경향이 있는 구형이다. 특정 실시예는 칼슘 카보네이트, 실리카, 폴리스틸렌, PMMA, 테프론, 규산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폴리에틸렌, 실리카,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타늄, 황산바륨, 규산알루미늄, 중공 유리, 점토 및 다른 고분자 비즈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앞서 기술되었지만 특정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의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려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전체를 충분히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16)

  1.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로서,
    바인더내에 분산된 입자를 구비하는 확산기와;
    상기 확산기를 통해 투과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배치되는 편광기를 포함하고,
    상기 입자 및 상기 바인더는 상이한 반사율을 갖고, 상기 확산기는 확산된 광의 초기 편광 상태를 상당량 보존하는 한편으로, 상기 확산기에 입사되어 상기 확산기를 통해 원뿔형의 각으로 투과되는 초기 편광 상태의 광을 확산하며, 또한 상기 확산기는 상기 확산기에서 측방 산란광의 일부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광을 소멸하여, 상기 측방으로 산란되는 광이 초기 편광 상태와는 상이한 편광 상태를 갖는 광의 성분으로 상기 확산기를 통해 투과되고,
    상기 편광기는 초기 편광 상태의 광을 실질적으로 투과하며 상기 상이한 편광 상태의 광을 실질적으로 흡수하는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기를 통해 투과되는 광은 소량의 섬광을 나타내거나 또는 섬광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 것인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확산기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인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기 기판은 광의 상기 편광 상태가 상기 확산기 기판을 통과할 때 광의 편광 상태를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것인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형의 각은 적어도 30°의 시야각을 포함하는 것인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기는 실질적으로 얼룩을 갖지 않는 것인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기는 적어도 0.5의 최대 반사율을 가지는 것인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
  8.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로서,
    바인더내에 분산된 입자를 갖는 확산기와;
    상기 확산기를 통해 투과되어 확산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배치되는 편광기를 포함하고,
    상기 입자의 반사율은 상기 바인더의 반사율과 상이하고,
    상기 확산기의 변조 깊이는 상기 스크린 어셈블리의 변조 깊이 이하인 것인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기의 변조 깊이와 상기 스크린 어셈블리의 변조 깊이 사이의 변조 깊이차는 적어도 약 0.04인 것인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깊이차는 적어도 약 0.05인 것인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깊이차는 적어도 약 0.10인 것인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깊이차는 적어도 약 0.15인 것인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어셈블리의 변조 깊이는 적어도 약 0.9인 것인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
  14.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로서,
    바인더내에 분산된 입자를 갖는 확산기와;
    상기 확산기를 통해 투과되어 확산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배치되는 편광기를 포함하고,
    상기 입자의 반사율은 상기 바인더의 반사율과 상이하고,
    상기 스크린 어셈블리는 적어도 약 0.5의 최대 반사율을 갖고, 소량의 섬광을 나타내거나 또는 섬광을 나타내지 않으며, 광을 적어도 50°의 시야각으로 확산하고, 적어도 약 0.80의 변조 깊이를 갖는 것인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
  15.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로서,
    바인더내에 분산된 입자를 갖는 확산기와;
    상기 확산기에 적층되는 편광기와;
    상기 편광기에 적층되는 강체 시트와;
    상기 편광기에 대향하는 상기 강체 시트측면상에 배치되는 반사 방지 피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어셈블리는 적어도 약 65°의 시야각, 적어도 약 0.65의 최대 반사율 및 적어도 약 0.90의 변조 깊이를 갖고, 기껏해야 소량의 관측가능한 섬광만을 가지며, 상기 강체 시트는 상기 스크린 어셈블리의 관측자측면상에 있는 것인 투영 스크린 어셈블리.
  16. 투영 시스템으로서,
    복수개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편광된 이미지를 투영하는 투영기와;
    상기 투영된 이미지를 수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규정된 시야각으로 확산하기 위해 배치되는 벌크 확산 부재와;
    상기 확산기를 통해 투과되는 광을 수광하여, 상기 확산기를 통해 투과되는 상기 투영된 화소의 광에 대응하는 편광 상태의 광을 상기 투영된 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통과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흡수 편광기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 부재는 상기 투영된 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확산기를 통해 투과되는 상기 이미지의 투영된 화소에 대응하는 광의 편광 상태를, 상이한 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확산기에 의해 측방으로 산란되는 상기 투영된 화소에 대응하는 광보다 넓은 범위로 유지하는 것인 투영 시스템.
KR1020007013990A 1998-06-11 1999-05-24 후방 투영 스크린 KR200100527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95,835 1998-06-11
US09/095,835 US6163402A (en) 1998-06-11 1998-06-11 Rear projection screen
PCT/US1999/011399 WO1999064928A1 (en) 1998-06-11 1999-05-24 Rear projection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719A true KR20010052719A (ko) 2001-06-25

Family

ID=2225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990A KR20010052719A (ko) 1998-06-11 1999-05-24 후방 투영 스크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163402A (ko)
EP (1) EP1084450A1 (ko)
JP (1) JP2002517800A (ko)
KR (1) KR20010052719A (ko)
CN (1) CN1305607A (ko)
AU (1) AU4095699A (ko)
WO (1) WO19990649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690A (ko) * 2002-01-14 2003-07-22 (주)오픈티비넷 투과형 스크린
KR100893841B1 (ko) * 2001-06-19 2009-04-17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표시 스크린 및 화상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1339B2 (ja) 1997-09-25 2008-06-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拡散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拡散層付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6600599B2 (en) 1998-06-09 2003-07-29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ar projection screens and light filters with conformable coating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303986B1 (en) 1998-07-29 2001-10-16 Silicon Light Machines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aling an hermetic lid to a semiconductor die
EP1152286A4 (en) * 1998-12-18 2002-05-15 Mitsubishi Rayon Co REVIEW SCREEN
US6407859B1 (en) * 1999-01-13 2002-06-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resnel lens for projection screen
US6317263B1 (en) * 1999-06-18 2001-11-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jection screen using dispersing lens array for asymmetric viewing angle
US6239907B1 (en) * 1999-09-03 2001-05-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ar projection screen using birefringent optical film for asymmetric light scattering
US6956878B1 (en) * 2000-02-07 2005-10-18 Silicon Light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laser speckle using polarization averaging
US6606116B1 (en) * 2000-03-30 2003-08-12 Ncr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ssing quality of information displays
US6466368B1 (en) * 2000-04-26 2002-10-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ar projection screen with reduced speckle
JP2003532930A (ja) * 2000-05-11 2003-11-0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色補償型情報ディスプレイ
US6624936B2 (en) 2000-05-11 2003-09-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lor-compensated information displays
US6535333B1 (en) 2000-11-21 2003-03-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system with reduced color shift
US6636355B2 (en) * 2000-12-27 2003-10-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structured rear projection screen
US6819486B2 (en) 2001-01-17 2004-11-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jection screen having elongated structures
US6727313B2 (en) 2001-01-17 2004-04-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meric compositions and articles with anisotropic light scattering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6870670B2 (en) 2001-04-06 2005-03-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creens and methods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20030163367A1 (en) * 2001-04-06 2003-08-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creens and methods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6707591B2 (en) 2001-04-10 2004-03-16 Silicon Light Machines Angled illumination for a single order light modulator based projection system
TW587194B (en) * 2001-06-14 2004-05-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rojection device, transmissive projection screen, projector and method of adjusting the diffusion of a projection screen in a projection device
US6782205B2 (en) 2001-06-25 2004-08-24 Silicon Light Machines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equalization i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US6829092B2 (en) 2001-08-15 2004-12-07 Silicon Light Machines, Inc. Blazed grating light valve
JP2003130937A (ja) * 2001-10-24 2003-05-08 Hitachi Ltd 溶液用核磁気共鳴分析装置
WO2003050612A1 (en) 2001-12-13 2003-06-19 Sony Corporation Scre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system
US7520624B2 (en) * 2001-12-21 2009-04-21 Bose Corporation Light enhancing
US7515336B2 (en) 2001-12-21 2009-04-07 Bose Corporation Selective reflecting
US6847483B2 (en) 2001-12-21 2005-01-25 Bose Corporation Selective reflecting
US6800238B1 (en) 2002-01-15 2004-10-05 Silicon Light Machines, Inc. Method for domain patterning in low coercive field ferroelectrics
US6724529B2 (en) * 2002-04-17 2004-04-20 Howard Sinkoff Reflection-type projection screens
US7364314B2 (en) * 2002-05-15 2008-04-29 Reflexite Corporation Optical structures
US6767751B2 (en) 2002-05-28 2004-07-27 Silicon Light Machines, Inc. Integrated driver process flow
US6728023B1 (en) 2002-05-28 2004-04-27 Silicon Light Machines Optical device arrays with optimized image resolution
US6822797B1 (en) 2002-05-31 2004-11-23 Silicon Light Machines, Inc. Light modulator structure for producing high-contrast operation using zero-order light
US6829258B1 (en) 2002-06-26 2004-12-07 Silicon Light Machines, Inc. Rapidly tunable external cavity laser
US6813059B2 (en) 2002-06-28 2004-11-02 Silicon Light Machines, Inc. Reduced formation of asperities in contact micro-structures
US6714337B1 (en) 2002-06-28 2004-03-30 Silicon Light Machines Method and device for modulating a light beam and having an improved gamma response
US8070303B2 (en) * 2002-08-08 2011-12-06 Reflexite Corporation Optical structures including polyurea
US6801354B1 (en) 2002-08-20 2004-10-05 Silicon Light Machines, Inc. 2-D diffraction grating for substantially eliminating polarization dependent losses
CN1701262A (zh) * 2002-09-20 2005-11-23 霍尼韦尔国际公司 高效率视屏
US6712480B1 (en) 2002-09-27 2004-03-30 Silicon Light Machines Controlled curvature of stressed micro-structures
KR100753340B1 (ko) * 2002-10-21 2007-08-30 최해용 전,후 양면 시청용 필름 스크린
US6829077B1 (en) 2003-02-28 2004-12-07 Silicon Light Machines, Inc. Diffractive light modulator with dynamically rotatable diffraction plane
US6806997B1 (en) 2003-02-28 2004-10-19 Silicon Light Machines, Inc. Patterned diffractive light modulator ribbon for PDL reduction
WO2004081650A2 (en) * 2003-03-12 2004-09-23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ar projection scree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973105B2 (en) * 2003-03-21 2005-12-06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adaptive equalization at high bandwidths when using single-mode VCSELs over multimode fibers
US20050226590A1 (en) * 2004-04-07 2005-10-13 Patel Falgun D Variable optical attenuator based on rare earth doped glass
DE102005010523A1 (de) * 2005-03-04 2006-09-0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Kontrasterhöhender Rückprojektionsschirm
US7453634B2 (en) 2005-03-07 2008-11-18 Avery Dennison Corporation Discontinuous or variable thickness gain modification coating for projection film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7167308B1 (en) 2005-03-09 2007-01-23 Rockwell Collins, Inc. System for eliminating secondary images in rear projection systems
US7517091B2 (en) 2005-05-12 2009-04-14 Bose Corporation Color gamut improvement in presence of ambient light
US7324276B2 (en) * 2005-07-12 2008-01-29 Bright View Technologies, Inc. Front projection screens including reflecting and refractive layers of differing spatial frequencies
US7784954B1 (en) 2006-07-25 2010-08-31 Fusion Optix, Inc. Polarization sensitive light homogenizer
US8081368B2 (en) 2007-03-29 2011-12-20 Bose Corporation Selective absorbing
US20080292820A1 (en) 2007-05-23 2008-11-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diffusing solar control film
CN103460082A (zh) 2011-03-30 2013-12-18 3M创新有限公司 光偏转与光漫射混合构造
JP6010890B2 (ja) * 2011-10-07 2016-10-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透過型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
CN103946746A (zh) * 2011-12-14 2014-07-23 株式会社有泽制作所 屏幕及屏幕制造方法
EP3004726B1 (en) 2013-05-31 2022-05-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aylight redirecting glazing laminates
EP2869112A1 (en) * 2013-10-30 2015-05-06 Johnson Controls GmbH Projection screen for projecting an image and method for adapting a projections screen
JP6698990B2 (ja) * 2014-12-01 2020-05-27 合同会社Snパートナーズ 空中像表示装置
JP6604110B2 (ja) * 2015-09-18 2019-11-13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光学装置および投射装置
CN114114505A (zh) * 2020-08-31 2022-03-01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保偏光学膜及一种全贴合保偏复合棱镜膜
CN114217372A (zh) * 2020-08-31 2022-03-22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保偏光学膜及一种保偏棱镜膜
CN114114496B (zh) * 2020-08-31 2023-03-21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保偏光学膜及其制备方法
CN114114507B (zh) * 2020-08-31 2023-07-25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保偏光学膜、一种解干涉保偏微透镜膜及其制备方法
CN114114501A (zh) * 2020-08-31 2022-03-01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保偏光学膜及一种保偏棱镜膜
CN114114498B (zh) * 2020-08-31 2023-06-02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保偏光学膜及一种保偏扩散膜
CN114114499A (zh) * 2020-08-31 2022-03-01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保偏光学膜、一种保偏扩散膜及一种双面雾保偏扩散膜
CN114114508B (zh) * 2020-08-31 2023-06-02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保偏光学膜、一种抗吸附保偏微透镜膜及其制备方法
CN114114509B (zh) * 2020-08-31 2023-07-25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保偏光学膜、一种解干涉保偏微透镜膜及其制备方法
CN114114497A (zh) * 2020-08-31 2022-03-01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保偏光学膜及一种保偏棱镜膜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34A (en) * 1860-06-05 Improvement in making tin boxes
US2287556A (en) * 1938-02-25 1942-06-23 Polaroid Corp Translucent screen
US2380241A (en) * 1942-03-21 1945-07-10 Eastman Kodak Co Viewing system
USB322986I5 (ko) * 1963-01-04
DE1946680A1 (de) * 1968-09-16 1970-05-14 Fuji Photo Film Co Ltd Projektionswand der Transmissionsart
US3712707A (en) * 1970-02-27 1973-01-23 Gen Electric Composite back projection screen and method of forming
USRE28634E (en) 1970-09-04 1975-12-02 Rear projection screen
US4083626A (en) * 1975-04-04 1978-04-11 Fuji Photo Film Co., Ltd. Rear projection screens
US4184745A (en) * 1978-03-08 1980-01-22 Polaroid Corporation Translucent screen
US4165153A (en) * 1978-04-25 1979-08-21 Polaroid Corporation Translucent screen
DE2915847C2 (de) * 1978-09-29 1986-01-16 Nitto Electric Industrial Co., Ltd., Ibaraki, Osaka Elektrooptisch aktivierbare Anzeige
US4472708A (en) * 1982-05-05 1984-09-18 Litton Systems, Inc. Front-lighted magneto-optic display
NL8300817A (nl) * 1983-03-07 1984-10-01 Philips Nv Projektiescherm.
JPS6138976A (ja) * 1984-07-27 1986-02-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US4679900A (en) * 1986-06-05 1987-07-14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Bulk diffuser for a projection television screen
CA1337104C (en) * 1986-11-18 1995-09-26 William James Work Light-scattering thermoplastic polymers
US4730897A (en) * 1987-04-21 1988-03-15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Projection screen having high resolution and good mechanical stability
JPH0664420B2 (ja) * 1987-06-16 1994-08-22 シャープ株式会社 投影型液晶表示装置
JP2547583B2 (ja) * 1987-08-13 1996-10-2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ロ−タリ−植付装置のガタ取装置
US4773731A (en) * 1987-08-28 1988-09-27 North American Philips Corp. One-piece projection screen
DE3878556T2 (de) * 1988-05-18 1993-08-05 Rohm & Haas Thermoplastische und waermehaertbare zusammensetzungen.
NL8901295A (nl) * 1989-05-24 1990-12-17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bepalen van een weergeefparameter in een beeldbuis en werkwijze voor het verbeteren van een beeldweergave in een beeldbuis.
JPH035147U (ko) * 1989-05-31 1991-01-18
GB8922415D0 (en) * 1989-10-05 1989-11-22 Emi Plc Thorn A screen and projector for use in a front projection system
JP2839109B2 (ja) * 1990-05-11 1998-12-16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投写スクリーン
JPH04249237A (ja) * 1991-01-18 1992-09-04 Rohm & Haas Co 背面投射スクリーン面上のスクラッチ又は欠陥を隠ぺいする方法
JPH04324848A (ja) * 1991-04-25 1992-11-13 Nec Home Electron Ltd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光拡散剤
JPH07503348A (ja) * 1992-01-31 1995-04-06 ベ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ハイコントラスト前面映写ビデオ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H05249564A (ja) * 1992-03-06 1993-09-28 Asahi Chem Ind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
US5307205A (en) * 1992-03-20 1994-04-26 Rohm And Haas Company Bilayer rear projection screens
US5347644A (en) * 1992-06-11 1994-09-13 Sedlmayr Steven R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ation thereof
JP2958191B2 (ja) * 1992-08-11 1999-10-06 株式会社きもと 光拡散性シート
JPH0667308A (ja) * 1992-08-14 1994-03-11 Toppan Printing Co Ltd 透過型映写用スクリーン
JPH06282011A (ja) * 1993-03-26 1994-10-07 Fujitsu Ltd スクリーン、偏光板、及び背面投射型表示装置
US5594561A (en) * 1993-03-31 1997-01-14 Palomar Technologies Corporation Flat panel display with elliptical diffuser and fiber optic plate
EP0627638A1 (en) * 1993-06-02 1994-12-07 Hughes Aircraft Company Elliptical diffuser
JP3516976B2 (ja) * 1994-02-04 2004-04-05 株式会社きもと 面光源
US5629784A (en) * 1994-04-12 1997-05-13 Ois Optical Imaging Systems, In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holographic diffuser and prism sheet on viewer side
US5607764A (en) * 1994-10-27 1997-03-04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 diffuser
US5760955A (en) * 1995-04-06 1998-06-02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Rear projection screen with reduced speckle
EP0736796B1 (en) * 1995-04-06 1999-07-07 Kuraray Co., Ltd. Rear-projection screen
US5751388A (en) * 1995-04-07 1998-05-12 Honeywell Inc. High efficiency polarized display
JPH08339036A (ja) * 1995-06-13 1996-12-24 Kuraray Co Ltd スクリ−ン
AU6114196A (en) * 1995-06-26 1997-01-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ght diffusing adhesive
KR0173702B1 (ko) * 1995-07-05 1999-03-20 배순훈 프로젝터의 후면투사스크린
KR0177648B1 (ko) * 1995-07-05 1999-05-01 배순훈 프로젝터의 후면투사스크린
JPH0943732A (ja) * 1995-08-03 1997-02-14 Mitsubishi Rayon Co Ltd 背面透過型スクリーン
JPH09114001A (ja) * 1995-10-19 1997-05-02 Toppan Printing Co Ltd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JP3790571B2 (ja) * 1995-11-06 2006-06-28 株式会社きもと 光拡散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H09160132A (ja) * 1995-12-08 1997-06-20 Kimoto &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
US6181386B1 (en) * 1995-12-29 2001-01-30 Duke University Projecting images
JP3727094B2 (ja) * 1996-01-12 2005-12-14 株式会社きもと 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2947160B2 (ja) * 1996-03-12 1999-09-13 日本電気株式会社 透過型スクリーン
JP3373106B2 (ja) * 1996-03-27 2003-02-04 株式会社きもと 光学フィルム
US6002464A (en) * 1996-05-13 1999-12-14 Kuraray Co., Ltd. Light diffusing sheet having a layer incorporated with light diffusing material and a layer with a corrugated surface
JP2964070B2 (ja) * 1996-05-31 1999-10-18 株式会社有沢製作所 偏光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DE69738446T2 (de) * 1996-07-23 2009-01-15 Dai Nippon Printing Co., Ltd. Rückprojektionsschirm
JPH10171016A (ja) * 1996-10-09 1998-06-26 Sanyo Electric Co Ltd 背面投写型表示装置
JP2746268B2 (ja) * 1997-02-27 1998-05-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偏光スクリーン
US6064521A (en) * 1997-05-14 2000-05-16 Burke; Douglas Polarizing resonant scattering three dimensional image screen and display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841B1 (ko) * 2001-06-19 2009-04-17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표시 스크린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030061690A (ko) * 2002-01-14 2003-07-22 (주)오픈티비넷 투과형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17800A (ja) 2002-06-18
EP1084450A1 (en) 2001-03-21
US6163402A (en) 2000-12-19
AU4095699A (en) 1999-12-30
CN1305607A (zh) 2001-07-25
US6515798B1 (en) 2003-02-04
WO1999064928A1 (en) 199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2719A (ko) 후방 투영 스크린
US6449089B1 (en) Rear projection screen with enhanced contrast
KR100652081B1 (ko) 스페클이 저감된 배면 투사 스크린
US7408707B2 (en) Multi-region light scattering element
US6381068B1 (en) Reflective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KR101225889B1 (ko) 컨트라스트 개선 스크린
US7167308B1 (en) System for eliminating secondary images in rear projection systems
KR20020029396A (ko) 복굴절성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빛을 비대칭으로산란시키는 배면 투사식 스크린
JP2004514935A (ja) 色ずれを低減した光学システム
US20060087733A1 (en) Transmissive screen and rear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same
US7679823B2 (en) Reflective screen
US6419366B1 (en) Image display device
US7342719B1 (en) Projection screen with reduced speckle
US20090086317A1 (en) Reflective Screen
US6411436B1 (en) Transmission type projection screen
JP2002006400A (ja) 透過型スクリーン
JPH09211729A (ja) 反射型スクリーン
JP2004287377A (ja) 反射型スクリーン及び表示システム
JPH10186521A (ja) プロジェクタ用反射型スクリーン
JPH09160131A (ja) 反射型偏光スクリーン
CN113311656A (zh) 一种具有包边结构的屏幕
JP2005274955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用光学系
JPH06167746A (ja) 反射型映写用スクリーン
JP2001174648A (ja) 画像表示装置
Maxfield et al. P‐57: High‐Resolution Projection Screen with Adjustable Diffusing Ang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