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685A - 열간 압연 방법 및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 - Google Patents

열간 압연 방법 및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685A
KR20010051685A KR1020000067578A KR20000067578A KR20010051685A KR 20010051685 A KR20010051685 A KR 20010051685A KR 1020000067578 A KR1020000067578 A KR 1020000067578A KR 20000067578 A KR20000067578 A KR 20000067578A KR 20010051685 A KR20010051685 A KR 20010051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heating
mill
pass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바야시유지로
가지와라도시유끼
요시무라야스쯔구
호리이겐지
히라노사또시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1005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68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3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 B21B1/3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in reversing single stand mill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reels for accumulating work
    • B21B1/3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in reversing single stand mill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reels for accumulating work by ho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2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horizontally
    • B21B2013/021Twin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1/00Special rolling modes
    • B21B2201/02Austenitic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1/00Special rolling modes
    • B21B2201/04Ferritic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1/00Special rolling modes
    • B21B2201/16Two-phase or mixed-phase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4Heat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18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strips, sheet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39Lubricating
    • B21B45/0245Lubricating devices
    • B21B45/0248Lubricating devices using liquid lubric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51Lubricating devices using liquid lubric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strips, sheet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21B45/08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hydraul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68Furnace coilers; Hot c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를 이용하여 탄소강의 열간 압연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금속 조직을 개질한 고품질재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퍼네스 코일러(16)와 압연기(2) 사이에 설치된 가열 장치(5)에 의해 압연재(1)를 가열하여 일정 시간 보유 지지하거나 함으로써 석출물을 재고용시킨다. 가열 장치(5)의 필요 가열 용량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고용 가열 패스는 비압연 또는 극경압하 및 저속 통판으로 하거나, 필요한 경우는 이것을 복수회 반복한다. 특히, 고용 가열 패스는 최종 압연 패스의 직전으로 하거나, 가열 장치(5) 및 냉각 장치(6)를 이용하여 압연 개시 전의 압연재 온도를 미(未)재결정 오스테나이트 영역이나 페라이트 영역으로 제어하거나, 적어도 최종 압연 패스에서는 열간 압연 오일을 압연재(1)에 도포하거나,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의 누적 압하율을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으로 하거나 함으로써 압연재(1)의 금속 조직 결정립의 비대화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열간 압연 방법 및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HOT-ROLLING METHOD AND STECKEL HOT-ROLLING EQUIPMENT}
본 발명은 퍼네스 코일러와 가열 장치를 구비하는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에 의해 고급 탄소강에 대해 가역식의 열간 압연을 행하는 열간 압연 방법 및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있어서 고강도, 고인성 등의 제품의 제조를 목적으로 한 고급 탄소강의 재료 조성 및 제조 방법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0-147843호 공보에서는 페라이트 영역에서의 저온 압연에 의한 교축성이 우수한 재료 조성 및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7-18381호 공보에서는 오스테나이트 영역인 A3 변태점 이상의 온도에서 압연을 완료시키는 것에 의한 교축성이 우수한 재료 조성 및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 조성 및 목표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온도 제어를 포함한 여러가지의 프로세스가 필요해진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제조 프로세스를 고려한 설비 기술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0-277601호 공보의 기재에 있는 바와 같은 가열 또는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탠덤형의 핫스트립 밀이 있다. 이것은 핫스트립 밀의 열간 마무리 압연 스탠드열의 중간에 가열 또는 냉각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노 내에 권취기를 설치한 소위 퍼네스 코일러를 압연기의 입출구측에 배치한 스텍켈 밀이라 불리우는 가역식 압연 설비가 있다. 이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는 종래에는 주로 스테인레스강 등의 압연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스텍켈 밀 압연 설비에 있어서, 1대의 하우징에 2세트의 압연 롤을 조립한 소위 트윈 밀을 이용한 것이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1-000702호공보, 국제 공개W097/36700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고 평5-45327호 공보에는 압연기와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제1 가열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압연재 선후 단부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압연기와 압연이 완료한 압연재를 권취하는 다운 코일러 사이의 핫런 테이블 위에 제2 가열 장치를 설치하고, 압연재 전체에 걸쳐 온도를 균일하게 하는 설비가 개시되고, 미국 특허5755128호 명세서에는 가열 장치 및 냉각 장치를 배치하여, 균일한 온도로 압연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압연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압연재의 품질을 균일하게 하고, 또한 제품 수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탄소강의 압연으로 고품질의 재료를 얻기 위해서는 온도 제어를 포함한 여러가지의 프로세스가 필요하고, 종래 그와 같은 프로세스를 고려한 설비 기술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10-277601호 공보에 기재된 탠덤형의 핫스트립 밀이 있다. 그러나, 탠덤형의 스트립 밀에서는 일반적으로 마무리 압연기를 7 스탠드 정도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며, 거액의 설비 투자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투자 효율의 관점에서는 생산량을 가능한 한 많이 설정해야 하며, 특히 박판에서의 압연 속도는 100Ompm 이상쯤의 고속으로 압연되는 것이 통상이다. 이와 같이 고속으로 압연되는 설비의 마무리 스탠드열의 중간에 가열·냉각 장치를 설치한 경우, 필요한 가열 또는 냉각을 달성하기 위한 가열·냉각 설비 길이가 매우 길어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마무리 스탠드열의 입구측에 가열·냉각 장치를 설치하여 온도 제어를 행하게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연재의 주행 속도는 늦어지지만, 마무리 압연 전의 판 두께가 두꺼운 위치에서 가열·냉각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압연재의 가열·냉각 효율은 나쁘고, 내부까지 균일한 온도로 제어하고자 하면, 결국 가열·냉각 장치의 장대화(長大化)를 피할수 없는 결과가 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탠덤형 핫스트립 밀을 이용한 압연 설비에서는 탄소강의 압연으로 고품질의 재료를 얻는 것은 가능해지지만, 대형이면서 또한 설비비도 매우 높아진다.
또한,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는 종래 주로 스테인레스강 등의 압연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본 설비로 탄소강을 압연한 경우는 압연재가 노 내에서 권취되어 보유 지지되는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압연재 표면에 산화 스케일이 발생하여 고품질인 제품의 제조가 곤란하다. 이에 대해, 압연 직전에 고압 유체를 압연재 표면에 분사하여, 표면 스케일을 제거하는 디스케일링이 통상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의해 특히 2 내지 3㎜ 이하인 박판을 압연하는 경우, 각 패스마다 디스케일링을 행하면, 압연재의 필요 마무리 온도를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000702호 공보, 국제 공개W097/36700호 공보 등에 기재된 트윈 밀을 이용한 스텍켈 밀 압연 설비는 그 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이 기술에 의해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에서의 디스케일링에 의한 온도 저하의 문제는 해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스텍켈 밀 압연 설비를 이용한 고급 품질 탄소강의 압연에서는 또한 금속 조직적인 문제가 있다. 그 하나는, 특히 압연재 선후 단부의 온도 저하가 크다는 것이다. 이로써, 압연재 길이 방향의 금속 조직이 균일해지지 않아 수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일본 특허 공고 평5-45327호 공보, 미국 특허5755128호 명세서에 기재된 설비에 의하면, 압연재 온도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압연재의 품질을 균일하게 하고, 또한 제품의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더욱 고강도재를 얻는 등의 압연 재질의 획기적인 향상을 도모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를 들어 앞의 일본 특허 공개 평10-147843호 공보에서 개시되어 있는 Ti, Nb 등의 미량 첨가물을 포함하는 고강도, 고인성 탄소강을 상기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로 압연하는 경우에도 문제가 있다. 즉,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에서는 반복 압연되는 각 패스마다, 압연재는 고온 분위기 중의 노 내에서 권취되어 보유 지지되는 공정을 반복하여 받으므로, 미량 첨가물을 포함하는 석출 탄화물의 집합 비대화 및 금속 결정 조직의 결정립의 비대화라고 하는 문제를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석출물은 금속 조직 내에 미세 또한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금속 조직 결정립의 성장 비대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매우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헌「저탄소 Nb강에 있어서의 오스테나이트 영역 열간 가공시의 NbC 석출 모델의 개발」철과 강 제75년(1989년) 제6호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연 가공을 실시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석출 속도가 빨라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에서는 압연 가공된 압연재가 더욱 노 중에서 권취·보유 지지되는 공정을 반복하여 받으므로, 석출물은 주로 결정립계에 집중하여 비대화하는 것을 피할수 없는 결과가 된다.
또한 금속 조직의 결정립은 미세할수록 바람직하고, 강도가 높아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철강 협회 출판「제어 압연·제어 냉각」의 제2.2장에, 모재의 항복(降伏) 응력은 결정 입경의 평방근에 역비례한다고 하는 Hall-Petch의 관계식이 기재되어 있다. 이 점에 관해서도, 고온에서 장시간 권취 보유 지지되는 공정을 반복하는 스텍켈 밀은 바람직하지 않은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고온에 노출되어지는 시간이 길수록, 일반적으로 금속 조직의 결정립은 성장하여 비대화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스텍켈 밀에서의 압연 방법에서는, 특히 고품질 탄소강에 있어서의 금속 조직적인 품질에 문제가 있다. 그러나,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는 종래의 탠덤형의 핫스트립 밀과 비교하여 설비비가 현저히 저렴하고, 설비 길이도 매우 짧아지는 등의 유리한 점도 많아, 금속 조직적인 품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 소중(小中)생산량 다품종용의 압연 설비에 가장 적합ㅈ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를 이용하여 탄소강의 열간 압연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금속 조직을 개질한 고품질재를 얻을 수 있는 열간 압연 방법 및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는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연재
2 : 트윈 밀
2a : 작업 롤
2b : 보강 롤
2h : 하우징
3 : 가열로
4 : 맨드릴
5 : 가열 장치
6 : 냉각 장치
7 : 디스케일링 장치
8 : 압연 오일 장치
9 : 핀치 롤
10 : 디플렉터 롤
11 : 압연재 가이드 장치
12 : 온도 검출기
13 : 온도 제어 장치
14 : 층류 냉각 장치
15 : 다운 코일러
16 : 퍼네스 코일러
(1)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1대의 압연기 입출구측의 적어도 한쪽에 퍼네스 코일러를 설치하고, 압연기와 입출구측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가열 수단을 구비한 스텍켈 밀 압연 설비에 의한 열간 압연 방법에 있어서, 가열 수단에 의해 압연재 중의 석출물을 재고용시키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서 퍼네스 코일러에 의해 압연재를 권취하는 고용 가열 패스를 적어도 1회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탄소강 압연재 중의 석출물을 금속 모재 중에 재고용시키므로, 석출물의 집합 비대화를 방지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를 이용하여 탄소강의 열간 압연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금속 조직을 개질한 고품질재를 얻을 수 있다.
(2) 또한 상기 (1)의 열간 압연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고용 가열 패스를 비압연 상태 혹은 극경압하 상태에서 행하고, 또한 가열 수단의 가열 용량의 범위에서 압연재 중의 석출물을 재고용시킬 수 있는 온도 이상으로 하기에 충분한 저속도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압연 롤의 접촉에 의한 압연재의 방열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재고용을 위한 가열 효율이 향상되고, 또한 가열 용량이 작은 소형의 가열 장치에 의해서도 석출물을 충분히 재고용할 수 있는 고용 가열 패스가 가능해진다.
(3) 또한 상기 (1) 또는 (2)의 열간 압연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고용 가열 패스로 퍼네스 코일러에 권취된 압연재를 소정 시간 퍼네스 코일러 내에 보유 지지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압연재 중의 석출물의 재고용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4) 또한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열간 압연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고용 가열 패스를 최종 패스의 직전 혹은 그 근방에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압연재가 충분히 얇아진 상태에서 고용 가열 패스를 행하므로 재고용의 가열 효율이 향상되고 온도 분포도 한결같게 된다.
(5) 또한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열간 압연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고용 가열 패스를 복수회 연속하여 행하고, 그 중 최후의 고용 가열 패스를 압연재 중의 석출물을 재고용시킬 수 있는 온도 이상이 되는 저속도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가열 용량이 작은 소형의 가열 장치에 의해서도 효율적이면서 또한 확실하게 석출물을 충분히 재고용할 수 있는 고용 가열 패스가 가능해진다.
(6) 또한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열간 압연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고용 가열 패스를 최종 패스보다도 전에 행하고, 최종 패스의 압연 개시전에 있어서의 압연재의 온도를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 온도 영역으로 제어하고, 그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 온도 영역에서의 최종 패스에 있어서의 누적 압하율을 50% 이상으로 하도록 압연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압연재의 모재 금속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결정립을 미세화할 수 있다.
(7) 또한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열간 압연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고용 가열 패스를 최종 패스보다도 전에 행하고, 최종 패스를 포함한 적어도 1 패스의 압연에 있어서 압연재에 열간 압연 오일을 도포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특히 고압하율이 바람직한 고용 가열 패스 이후의 압연에 있어서, 압연 오일의 도포에 의해 롤과 압연재 사이의 마찰력을 저하시키고, 압연 하중·토크 등이 작아짐으로써 고압하율의 압연이 가능해져, 금속 조직의 결정립의 미세화가 도모되므로 압연재의 품질이 향상된다.
(8)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연기 입출구측의 적어도 한쪽에 퍼네스 코일러를 설치하고, 압연기와 입출구측 퍼네스 코일러 사이의 적어도 한쪽에 가열 수단 및 냉각 수단을 구비한 스텍켈 밀 압연 설비에 의한 열간 압연 방법에 있어서, 비압연 패스를 적어도 2회 이상 연속하여 행하고, 이들 비압연 패스에서 가열 수단에 의해 압연재를 가열하여 행하는 패스와 냉각 수단에 의해 압연재를 냉각하여 행하는 패스를 각각 적어도 1회 이상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페라이트의 재결정 및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이 반복되게 되므로 금속 조직의 결정립의 미세화가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에 의해 고품질 탄소강을 적절히 열간 압연할 수 있는 것이 된다.
(9)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연기의 입출구측의 적어도 한쪽에 퍼네스 코일러를 설치한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a) 압연기와 입출구측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설치되고, 압연재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b) 적어도 1회의 패스로 압연재 중의 석출물을 재고용시키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도록 가열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탄소강 압연재 중의 석출물을 금속 모재 중에 재고용시키므로, 석출물의 집합 비대화를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고품질 탄소강을 적절히 열간 압연할 수 있는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가 된다.
(10)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연기의 입출구측의 적어도 한쪽에 퍼네스 코일러를 설치한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a) 압연기와 입출구측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설치되고, 압연재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b) 압연기와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설치되는 디스케일링 수단과, (c) 디스케일링 수단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압연재를 냉각하는 냉각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압연재 표면 스케일의 제거를 행하는 수단과 별도의 전용 냉각 수단에 의해 고용 가열 패스 후의 고온에 있는 압연재를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 영역(A3 변태점으로부터 대략 950℃ 정도의 범위)에까지 확실하면서 또한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어, 고용 처리를 실시한 후에 있어서의 이상적인 오스테나이트 압연을 가능하게 한다.
(11) 또한 상기 (9) 또는 (10)의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압연기에 열간 압연 오일 도포 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한다.
이로써, 특히 고압하율이 바람직한 고용 가열 패스 이후의 압연에 있어서, 압연 오일의 도포에 의해 롤과 압연재 사이의 마찰력을 저하시키고, 압연 하중·토크 등이 작아짐으로써 고압하율의 압연이 가능하므로, 금속 조직의 결정립의 미세화에 의한 품질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12) 또한 상기 (9)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압연기가 트윈 밀인 것으로 한다.
이로써, 압연재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금속 조직의 결정립을 미세화하기 위한 누적 압하의 효율 향상 및 퍼네스 코일러와 압연기 사이의 통판 안정성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13)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연기의 입출구측의 적어도 한쪽에 퍼네스 코일러를 설치한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a) 압연기와 입출구측 퍼네스 코일러 사이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어, 압연재를 A3 변태점보다 고온으로 가열시키는 가열 수단과,
(b) 압연기와 입출구측 퍼네스 코일러 사이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어, 압연재를 A3 변태점보다 저온으로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페라이트의 재결정 및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이 반복되게 되므로 금속 조직의 결정립의 미세화가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고품질 탄소강을 적절히 열간 압연할 수 있는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가 된다.
도1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1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는 압연기로서는 하나의 하우징(2h)에 2 세트의 롤을 조립한 소위 트윈 밀(2)을 갖고, 트윈 밀(2)은 2 세트의 롤이 작업 롤(2a, 2a), 보강 롤(2b, 2b)을 구비한 4단 압연기로 되어 있다. 트윈 밀(2)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는 가열로(3) 내에 권취기(4)를 설치한 소위 퍼네스 코일러(16)가 설치되고, 또한 압연기(2)와 퍼네스 코일러(16) 사이에는 각각 압연재(1)의 가열 장치(5) 및 냉각 장치(6)가 설치되어 가열·냉각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트윈 밀(2)에는 탄소강의 압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고압 유체를 압연재 표면에 분사하는 디스케일링용 노즐(7)을 설치하고, 또한 열간 압연 오일을 분사하는 노즐(8)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슬래브 가열로 등으로부터 반송된 압연재(1)는 트윈 밀(2)에 의해 반복 압연되고, 그 판 두께가 권취 가능한 25㎜ 정도가 되면, 핀치 롤(9), 디플렉터 롤(10) 및 압연재 가이드 장치(11) 등으로 안내되면서, 권취기(4)에 의해 권취된다. 이 후는 최종 판 두께가 되기까지, 좌우의 퍼네스 코일러(16)로 권취되면서 반복 압연된다. 압연재(1)의 온도 제어는 온도 검출기(12)로 압연재(1)의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 검출기(12)의 신호를 제어 장치(13)에 입력하여, 원하는 온도가 되도록 제어 장치(13)로 가열 장치(5) 또는 냉각 장치(6)를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본 도면에서 압연기를 트윈 밀(2)로 한 이유는 가능한 한 압연재(1)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압연의 조업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며, 이는 일본 특허 공개 평11-207403호 공보에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있는 본 실시 형태의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에 의한 운전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압연 개시전의 시점에 있어서, 온도 제어 장치(13)의 지령 제어에 의해 가열 장치(5) 및 냉각 장치(6)는 모두 비작동의 상태에 있으며, 거기에 압연 설비전방단에 위치하는 도시하지 않은 슬래브 가열로 등으로부터 압연재(1)가 반송되어 온다.
통상의 경우 막 이송되어 온 압연재(1)는 상당한 두께로 되어 있으며, 퍼네스 코일러(16)에 의한 권취가 곤란하므로, 테이블 롤 상의 압연재 가이드 장치(11)는 하강한 상태에서 수평 반송로면 상에서의 왕복 패스에 의해 압연이 반복되게 된다. 여기에서 트윈 밀(2)에 의한 압연시에 있어서는 입출구측에 구비하는 디스케일링 장치(7)로부터 압연재(1)의 표면에 고압 유체가 불어 붙여짐으로써 압연재 표면 스케일의 제거가 행해지고, 또한 동시에 압연 오일 장치(8)로부터 압연재(1)와 작업 롤(2a) 사이에 열간 압연 오일이 도포된다.
그리고 압연이 진행하여 판 두께가 25㎜ 정도가 된 시점에서 퍼네스 코일러(16)에 의한 권취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압연재 가이드 장치(11)가 일으켜 세워져서 반송로를 형성하고, 핀치 롤(9) 등의 가이드에 의해 권취기(4)로 이송되어 권취가 행해진다.
또한 이 시점에서 온도 제어 장치(13)의 지령 제어에 의해, 퍼네스 코일러(16)와 트윈 밀(2) 사이에 위치하는 가열 장치(5)가 발열 작동을 개시하여, 퍼네스 코일러(16)가 권취되지 않고 노출시킨 압연재(1)의 선후 단부에 대해 온도가 저하하지 않도록, 즉 압연재(1) 전체의 온도 분포가 같아지도록 가열한다. 이 시점에서의 가열 온도는 통상, A3 변태점(순철에서 약 910℃)보다도 높은 온도가 된다. 2개의 퍼네스 코일러(16)가 각각 권취, 보유 지지, 이송 복귀를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압연재(1)가 그 사이를 왕복 이동하여, 그 사이에 위치하는 트윈 밀(2)에 의해 압연이 진행하는 공정이 된다.
그리고 최종 압연 패스의 소정의 수 패스 전에 있어서, 온도 제어 장치(13)의 지령 제어에 의해 가열 장치(5)를 작동시켜 압연재(1)를 압연재(1) 중의 석출물의 재고용 온도 이상으로까지 가열하고, 또한 비압연 상태 혹은 극경압하에서 또한 저속 통판시킴으로써, 압연재(1)에 대해 재고용 처리를 행하는 고용 가열 패스를 1회 혹은 수회 행한다. 여기에서 이 석출물의 재고용 온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A3 변태점으로부터 다소 높은 온도로 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일예로서 압연재(1)가 탄소 함유율 0.1% 이하의 탄소강인 경우, 대략 1000℃ 내지 약 1200℃(장치 능력의 상한)가 된다. 또한, 1회의 고용 가열 패스 마다 가열된 압연재(1)는 퍼네스 코일러(16)에 의해 권취된 후 일정 시간 보유 지지된다.
그리고 고용 가열 패스가 종료하면, 온도 제어 장치(13)의 지령 제어에 의해 가열 장치(5)에 의한 가열이 정지되고, 최종 패스의 압연 개시 전에 필요에 따라서 냉각 장치(6)를 작동시켜 압연재(1)를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 영역의 온도까지 냉각한 다음에, 트윈 밀(2)에 의해 강압(强壓)하의 최종 패스를 행한다. 최종 압연 패스 종료 후에는 압연재 가이드 장치(11)가 하강함으로써 압연재(1)가 런너웨이 테이블로 반송되어, 층류 냉각 장치(14)에 의한 냉각으로 고용물을 재석출한 후에 다운 코일러(15)에 권취되어 제품으로 된다.
이상의 운전예의 각 공정에 있어서의 각각의 작용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이러한 스텍켈 밀을 이용하여 압연하는 경우의 금속 조직적인 문제에 관해서는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으며, 특히 문제가 되는 점은 석출물의 비대화를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서이다. 특히 가열 장치(5)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설비에서는, 일단 발생한 집중 거대 석출물을 통상의 압연 과정에서 미세화하고 또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이에 대하여 가열 장치(5)를 구비한 설비에서는 원하는 패스로 압연재(1)를 석출물의 재고용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서 퍼네스 코일러(16)에 의해 권취하여 필요 시간 보유 지지함(이하, 간단히 고용 가열 패스라 함)으로써, 석출물을 재고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열 장치(5)의 이용 방법은 앞의 공지예, 일본 특허 공고 평5-45327호 공보 및 미국 특허5755128호 명세서에는 일절 기재되어 있지 않아, 이용 목적이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한 공지예에 있어서의 가열 장치의 이용 목적은 압연재(1)의 선후 단부 온도 제어 또는 압연재(1)의 전체 길이에 걸친 온도의 균일화 제어이며, 본 발명과 같이 압연재(1)의 금속 조직을 적극적으로 개질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상기 석출물의 재고용을 확실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재고용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압연재(1)를 노(3) 내에서 권취하여 필요 시간 보유 지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열 장치(5)의 이용 방법에는 문제도 있다. 그것은 마무리 제품 판 두께에도 의하지만, 일반적으로 최종 패스전 부근에서의 압연에서는 압연재 온도가 900℃ 정도 이하까지 저하하는 것이 보통이다. 박판 등을 압연하는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압연에서 일반적으로 일컬어지고 있는 허용 하한 온도, A3 변태점 이하가 되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해 석출물의 고용 처리를 행하는 온도는 일반적으로는 1000℃ 이상으로, 꽤 큰 가열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가열 장치(5)의 대형화 및 가열로(3)의 노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러나, 스텍켈 밀에서는 조업의 용이성으로부터, 가능한 한 압연기와 퍼네스 코일러(16)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해 고용 가열 패스에서는 압연을 행하지 않고 또는 극경압하(예를 들어 5% 이하)에서, 또한 저속으로 통판하면서 하는 가열 방법으로 함으로써, 가능한 한 필요 가열로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가열 용량을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서는 작업 롤(2a)과 압연재(1)를 접촉시키지 않고 통판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문제도 있다. 즉, 작업 롤(2a)과 압연재(1)를 비접촉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한 경우, 작업 롤(2a)이 차게 됨으로써, 지금까지의 압연에서 발생한 롤 열팽창에 의한 롤 표면 프로필(이하, 서멀 크라운이라 함)이 변화하게 된다. 이로써, 압연을 재개할 때마다 작업 롤(2a)의 형상이 변화하게 되고, 다음 압연에 있어서의 압연재(1)의 형상 제어가 지금까지의 압연에서 행해지고 있던 형상 제어 방법과 일변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등의 문제이다. 이것은 형상 제어의 용이성·정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이것은 고용 가열 패스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통상 행해지고 있는 압연 롤 냉각을 행하기 위해 작업 롤(2a)에 분사되는 냉각액(롤 냉각제)의 수량(水量)을 적게 제어하거나, 분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서멀 크라운의 형상 변화를 가능한 한 적게 하는 것이 유효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고용 처리를 목적으로 한 가열은 연속한 복수회의 패스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을 채용하면, 더욱 가열 장치(5)를 소형화할 수 있는 것은 설명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복수회의 통판 가열 처리를 행하는 경우는 특히, 선후 단부를 권취기의 맨드릴(l4)에 권취한 상태에서 행해도 좋다. 이것은 맨드릴(l4)에 권취한 선단부 또는 후단부는 항상 노 내에 있어 온도 저하가 적은 것, 나머지 대부분의 압연재(1)는 통판 가열 패스를 반복함으로써, 항상 가열 보유 지지가 대략 균등하게 실시되어 일부분만이 과냉각 또는 강하게 가열되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스텍켈 밀에 있어서의 통판 가열 처리에 있어서, 하등 조업상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실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압연재(1)의 판 두께가 얇을수록 가열 효율이 높고, 따라서 소형의 가열 장치(5)라도 충분히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고용 가열 패스는 최종 패스 바로 앞의 패스에서 행하는 것이 유효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판 두께가 얇을수록 가열 후의 판 두께 방향의 온도 분포가 같게 되어, 고용 처리를 용이하게 균일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도 상기 최종 패스전 부근에서 가열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한 효과의 하나이다. 구체예로서, 상기 고용태(固溶態) 처리에 필요한 시간의 일반적 목표는 판 두께 25mm당 0.5 시간 정도의 보유 지지 시간이 필요하다고 일컬어지고 있으므로, 따라서 판 두께 2.5㎜에서 고용태 처리를 행한 경우에는 노 내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시간이 3분 정도로 충분하게 되고, 즉 판 두께가 얇을 수록 생산량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고용 처리에 의해 석출물의 비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한편으로, 압연재(1)를 퍼네스 코일러(16)로 고온 보존함으로써 금속 조직의 결정립이 성장하여, 비대화해 버린다고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대로의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재 금속에 있어서의 강도의 저하라고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에 관해서는 앞에 내건 문헌「제어 압연·제어 기술」의 제2.2장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페라이트의 결정 입경을 결정하는 커다란 요인은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의 누적 압하율에 있다는 것이 명백해지고 있다. 이를 단적으로 나타낸 문헌으로서는 신일본제철 기보 제365호(1997년)「후판 페어 크로스 밀에 있어서의 대압하 압연 기술」등이 있다. 상기 문헌 등에 의해, 누적 압하율이 50% 이하인 경우는 대략 상기 압하율에 비례하여 (압하율을 올릴수록) 페라이트 입경이 작아지고,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에서는 대략 포화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고용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조대화(粗大化)된 결정립은, 이 후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 강압하함으로써, 미세한 페라이트의 결정립으로 할 수 있게 된다. 통상 1대의 압연기로 50% 이상의 압하를 행하는 것은 압연 하중도 커지고, 형상의 제어가 어려워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압연기는 복수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조업의 안정성으로부터는 트윈 밀(2)의 적용이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압연된 압연재(1)는 출구측 런아웃 테이블 상에 설치된 냉각 장치(14)에 의해 냉각되고, 다운 코일러(15)에 의해 권취되어 제품화되지만, 이 때 런아웃 테이블에서의 냉각이 최종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종래의 제어 압연 기술과 마찬가지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압연 방법으로 고용된 석출물은 상기 냉각 장치(14)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재석출하게 된다. 여기에서 고용 처리된 압연재(1)를 이용하는 의미는 최종 제품에 남는 석출물의 대부분은 상기 런아웃 테이블 상의 냉각에 의해 생성된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런아웃 테이블 상의 냉각을 압연강 종류에 따라서 제어함으로써, 고용 처리 전의 압연 이력에 상관없이, 석출물의 가장 적절한 석출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가능한 한 미세한 석출물을 균일하게 모재 중에 분산시키도록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런아웃 테이블 상에서 오스테나이트로부터 페라이트로 변태하는 페라이트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하여 제품 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모재 중의 고용 탄소량을 감소시켜 인성이 풍부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해진다.
이상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압연 방법 및 압연 설비에 적용되는 새로운 압연 제조 프로세스에 대한 기본적인 사고 방식이다. 그러나 더 설명을 덧붙이면, 오스테나이트 압연에서는 고용 처리를 실시한 후의 압연은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압연재(1)의 온도로써 A3 변태점으로부터 대략 950℃ 정도의 범위에 있어서의 압연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용 처리에서 상기한 범위 이상으로 온도를 높인 경우, 효율적으로 상기 범위 내에서 압연을 행하기 위해서는 고용 처리후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수단으로서는 디스케일링 장치(7)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본래의 목적과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압연재(1)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디스케일링 장치(7)의 본래의 목적은 압연재 표면 스케일의 제거이며,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l0Okg/㎠ 이상의 고압 유체를 다량으로 압연재 표면에 분사하는 바와 같은 설비로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온도 제어하기 위해서는 압력, 유량 등을 제어할 필요가 있어, 실제로는 매우 곤란하며, 또한 효율이 나쁜 사용법이라 할 수 있다. 압연재(1)의 냉각이 목적이면, 이러한 고압 유체는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어 층류 냉각 등의 수냉각 등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전용의 냉각 장치(6)를 구비한 쪽이 좋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최종 압연의 수 패스 전에서 고용 처리를 행하고, 계속되는 후속의 압연에서 결과적으로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의 압연이 되도록 압연 스케줄을 짜는 것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특히 페라이트 압연을 행하는 경우, 상기 냉각 장치(6)와 디스케일링 장치(7)의 어느 한쪽이든지 또는 양쪽을 이용하여, A3 변태점 이하로 제어하는 것은 당연하다. 판 두께가 두껍게 설치된 냉각 장치(6)의 능력에서는 고용 처리 후의 1회의 냉각으로 소정의 온도까지 내려가지 않는 경우는 비압연 상태 또는 통상의 압연 패스를 복수회 반복하여, 소정의 온도에 달할 때까지 냉각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설비로 적어도 고용 처리 이후의 압연에 있어서, 적어도 1 패스 이상의 압연에 열간 압연 오일을 도포하는 것은 각별한 효과를 발휘한다. 열간 압연 오일을 적용함으로써, 작업 롤(2a)과 압연재(1) 사이의 마찰력이 저하하고, 압연 하중·토크 등이 작아지는 것은 자명하다. 이것은 특히, 페라이트 압연 등의 저온 압연시에 유효한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수반된 고유의 효과로서는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페라이트 입경을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서는 누적 압하율을 높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전술했다. 이것은 적어도 고용 처리 이후의 압연은 가능한 한 고압하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고압하 압연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소직경의 작업 롤(2a)를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압연의 안정성으로부터 말하면, 가능한 한 작업 롤(2a)에서의 구동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것은 구동계, 특히 스핀들의 허용 토크가 작게 억제되게 되어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없게 된다. 이 제한을 완화하기 위해, 특히 고압하율이 바람직한 고용 처리 이후의 압연에 열간 압연 오일을 이용하는 것은 고압하율의 압연을 가능하게 하고, 금속 조직의 입경을 미세화하여 품질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직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로서, 작업 롤(2a)과 압연재(1) 사이의 마찰력이 저감한다고 하는 것은 압연재(1)와 작업 롤(2a) 사이에 작용하는 전단력이 작아진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압연재 표면층 부근에 작용하는 국부적인 전단 변형이 작아지는 것을 의미하고, 압연 조직을 판 두께 방향으로도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것은 균일한 고품질재를 생산한다고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더욱 높인다고 할 수 있다.
도1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압연기로서 트윈 밀(2)을 이용했지만, 통상의 1 스탠드 또는 복수 스탠드의 압연기로 해도 마찬가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압연기와 퍼네스 코일러(16) 사이에 가열 장치(5) 및 냉각 장치(6)를 설치한 경우, 압연기를 트윈 밀(2)로 하는 것은 각별한 효과가 있다. 즉, 가열 장치(5) 및 냉각 장치(6)를 설치하면 1m 정도는 확실하게 압연기와 퍼네스 코일러(16)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므로, 권취 작업의 곤란성이 증가한다. 이것은 압연재(1)의 선단부가 권취기에 도달하기까지, 무(無)장력으로 압연·통판하게 되어 사행(蛇行)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아 통판의 안정성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트윈 밀(2)로 한 경우는 2 세트의 압연 롤간 거리는 매우 짧고, 통판 중에는 상기 2 세트의 압연 롤로 확실하게 압연재(1)가 구속되므로, 통판의 안정성이 현저히 높아져, 상기 조업성의 곤란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압연기와 퍼네스 코일러(16) 사이의 거리가 필연적으로 길어지는 본 압연 설비와 같은 경우에는 특히 트윈 밀(2)의 설치가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장치(5)는 효율적으로 가열하기 위해 전자 유도 가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의 앞에 조(粗)압연기를 설치하거나, 뒤에 복수의 마무리 압연기를 설치해도 좋다. 특히, 뒤에 마무리 압연기를 설치하면, 최종 패스에서의 누적 압하율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도1에서는 냉각 장치(6) 및 가열 장치(5)를 동시에 설치한 경우를 도시했지만, 압연강 종류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가열 장치(5)만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도1에는 가열 장치(5)를 상측, 냉각 장치(6)를 하측에 설치한 경우를 도시했지만, 각각의 장치를 상하 양쪽에 설치하거나, 또는 입구측과 출구측에서 양자의 설치 위치를 반대로 하고, 또한 한쪽은 냉각 장치(6)만으로 하고, 다른 한쪽은 가열 장치(5)만으로 하는 등이라도 마찬가지 효과를 갖는 것은 당연하다.
도1에 도시한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를 이용한 다른 운전예로서, 적어도 1 패스 이상의 패스로 압연을 행하지 않고 또는 극경압하, 저속으로 통판하면서, 가열 장치(5) 및 냉각 장치(6)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가열·냉각을 순차 반복하는 압연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최초에 A3 변태점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압연재(1)를 A3 변태점 이하의 페라이트 생성 영역으로 온도를 낮추고, 그 후 페라이트 조직의 압연재(1)를 A3 변태점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가열하는 등이다. 일반적으로 탄소강에 있어서는 A3 변태점을 통과하면, 금속 조직은 예를 들어 오스테나이트로부터 페라이트, 혹은 페라이트로부터 오스테나이트로의 재결정을 일으켜, 이를 이용하여 금속 조직의 결정립을 미세화할 수 있다. 즉, 최종 패스 전에 상기한 열처리 프로세스에 의해 가능한 한 모재의 결정립을 사전에 미세화해 두는 것은 최종 제품의 품질 향상에 더욱 유용한 것은 당연한 것이다. 게다가, 상기한 가열과 냉각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제어함으로써, 간단하게 2상(相)(오스테나이트 및 페라이트의 혼합 조직) 압연도 가능해진다.
이상에 의해, 종래의 대형 핫스트립 압연 설비에서는 실질적으로 매우 곤란했던 압연 전의 금속 조직의 자유로운 조합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해 간단하게 달성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것은 또한, 종래의 스텍켈 밀은 스테인레스강 등의 특수강에 오로지 적용되어 있던 것을 단숨에 고품질 탄소강의 압연에도 적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강 압연재 중의 석출물을 금속 모재 중에 재고용시키므로, 석출물의 집합 비대화를 방지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를 이용하여 탄소강의 열간 압연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금속 조직을 개질한 고품질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 온도 영역에서의 최종 패스에 있어서의 누적 압하율을 50% 이상으로 하도록 압연함으로써, 압연재의 모재 금속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결정립을 미세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페라이트의 재결정 및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이 반복되게 되므로 금속 조직의 결정립의 미세화가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에 의해 고품질 탄소강을 적절하게 열간 압연할 수 있는 것이 된다.

Claims (13)

  1. 적어도 1대의 압연기의 입출구측의 적어도 한쪽에 퍼네스 코일러를 설치하고, 상기 압연기와 상기 입출구측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가열 수단을 구비한 스텍켈 밀 압연 설비에 의한 열간 압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해 압연재 중의 석출물을 재고용시키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서 상기 퍼네스 코일러에 의해 압연재를 권취하는 고용 가열 패스를 적어도 1회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 가열 패스를 비압연 상태 혹은 극경압하 상태에서 행하고, 또한 상기 가열 수단의 가열 용량의 범위에서 압연재 중의 석출물을 재고용시킬 수 있는 온도 이상으로 하기에 충분한 저속도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 가열 패스로 상기 퍼네스 코일러에 권취된 압연재를 소정 시간 상기 퍼네스 코일러 내에 보유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 가열 패스를 최종 패스의 직전 혹은 그 근방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 가열 패스를 복수회 연속하여 행하고, 그 중 최후의 고용 가열 패스를 압연재 중의 석출물을 재고용시킬 수 있는 온도 이상이 되는 저속도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 가열 패스를 최종 패스보다도 전에 행하고, 최종 패스의 압연 개시 전에 있어서의 압연재의 온도를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 온도 영역으로 제어하고, 그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 온도 영역에서의 최종 패스에 있어서의 누적 압하율을 50%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 가열 패스를 최종 패스보다도 전에 행하고, 최종 패스를 포함한 적어도 1 패스의 압연에 있어서 압연재에 열간 압연 오일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방법.
  8. 압연기의 입출구측의 적어도 한쪽에 퍼네스 코일러를 설치하고, 상기 압연기와 상기 입출구측 퍼네스 코일러 사이의 적어도 한쪽에 가열 수단 및 냉각 수단을 구비한 스텍켈 밀 압연 설비에 의한 열간 압연 방법에 있어서,
    비압연 패스를 적어도 2회 이상 연속하여 행하고, 이들 비압연 패스에서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해 압연재를 가열하여 행하는 패스와 상기 냉각 수단에 의해 압연재를 냉각하여 행하는 패스를 각각 적어도 1회 이상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방법.
  9. 압연기의 입출구측의 적어도 한쪽에 퍼네스 코일러를 설치한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a) 상기 압연기와 상기 입출구측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설치되고, 압연재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b) 적어도 1회의 패스로 압연재 중의 석출물을 재고용시키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
  10. 압연기의 입출구측의 적어도 한쪽에 퍼네스 코일러를 설치한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a) 상기 압연기와 상기 입출구측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설치되고, 압연재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b) 상기 압연기와 상기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설치되는 디스케일링 수단과,
    (c) 상기 압연기와 상기 퍼네스 코일러 사이에 상기 디스케일링 수단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압연재를 냉각하는 냉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에 열간 압연 오일 도포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가 하나의 하우징에 2 세트의 롤을 조립한 트윈 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
  13. 압연기의 입출구측의 적어도 한쪽에 퍼네스 코일러를 설치한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a) 상기 압연기와 상기 입출구측 퍼네스 코일러 사이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어, 압연재를 A3 변태점보다 고온으로 가열시키는 가열 수단과,
    (b) 상기 압연기와 상기 입출구측 퍼네스 코일러 사이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어, 압연재를 A3 변태점보다 저온으로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
KR1020000067578A 1999-11-16 2000-11-15 열간 압연 방법 및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 KR200100516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25562 1999-11-16
JP32556299A JP3691996B2 (ja) 1999-11-16 1999-11-16 ステッケル熱間圧延設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685A true KR20010051685A (ko) 2001-06-25

Family

ID=1817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578A KR20010051685A (ko) 1999-11-16 2000-11-15 열간 압연 방법 및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691996B2 (ko)
KR (1) KR20010051685A (ko)
CN (1) CN1295893A (ko)
DE (1) DE100568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902B1 (ko) * 2002-01-31 2010-07-23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열연 스트립을 제조하는방법 및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1646C1 (de) * 2001-08-24 2003-03-27 Elotherm Gmbh Vorrichtung zum im Durchlauf erfolgenden induktiven Erwärmen von metallischen Werkstücken
JP4946516B2 (ja) * 2007-03-02 2012-06-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間圧延設備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間圧延方法
JP5264140B2 (ja) * 2007-10-16 2013-08-14 Ihiメタルテック株式会社 マグネシウム合金熱間圧延装置
IT1397452B1 (it) * 2009-12-30 2013-01-10 Danieli E C Ohg S P A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avvolgere/svolgere un prodotto metallico in una linea di laminazione
CN102199697A (zh) * 2011-06-08 2011-09-28 河北省首钢迁安钢铁有限责任公司 改善高强工程机械用钢热轧板卷低温冲击韧性的方法
CN103464457A (zh) * 2013-08-19 2013-12-25 中国重型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混合轧制的可逆冷轧机组
WO2016143048A1 (ja) * 2015-03-09 2016-09-15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圧延設備
DE102015210863A1 (de) * 2015-04-15 2016-10-20 Sms Group Gmbh Gieß-Walz-Anlage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CN110340161B (zh) * 2019-07-25 2020-08-28 燕山大学 一种厚钢板在线轧制的加热装置、轧制装置及其轧制方法
CN111167858A (zh) * 2020-01-03 2020-05-19 北京科技大学 一种极薄带钢的铁素体区无头轧制方法
CN112808770A (zh) * 2020-12-29 2021-05-18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钢和钛轧制快速切换方法
CN113172089B (zh) * 2021-03-31 2023-04-07 甘肃酒钢集团宏兴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碳马氏体不锈钢炉卷轧机生产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902B1 (ko) * 2002-01-31 2010-07-23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열연 스트립을 제조하는방법 및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5893A (zh) 2001-05-23
DE10056847A1 (de) 2001-05-31
JP3691996B2 (ja) 2005-09-07
JP2001137907A (ja) 2001-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G60451B1 (bg) Метод и инсталация за получаване на кангали от стоманена лента
AU729977B2 (en) Method for the continuous rolling of plate and/or strip and the relative continuous rolling line
EP0870553A2 (en) Rolling method for thin flat products and relative rolling line
KR20010051685A (ko) 열간 압연 방법 및 스텍켈 열간 압연 설비
KR20130045862A (ko) 강 스트립의 열간 압연 방법 및 열간 압연 트레인
RU2571987C2 (ru) Способ прокатки полосового металл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прокатный стан
CN115413250A (zh) 用于连续生产热轧超薄钢带的设备和方法
EP1825008B1 (en) Treatment process for bars
US6309482B1 (en) Steckel mill/on-line controlled cooling combination
KR19990077215A (ko) 강 밴드의 열간 압연에 적합한 공정
US697853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hot rolled steel sheet using mini mill process
JP2003320402A (ja) 熱延鋼帯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965969B1 (ja) 鋼板の連続めっき方法
JP3460583B2 (ja) 厚鋼板の製造装置及び厚鋼板の製造方法
RU2179083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горячекатаного пло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ерритной катаной ленты
JPH02240219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薄板の製造方法
JPH0550130A (ja) 冷間圧延鋼帯の油模様発生防止方法
JP2965970B1 (ja) 鋼板の連続処理ラインおよび連続処理方法
JPS598442B2 (ja) ホツトストリツプ圧延設備列
JP3695242B2 (ja) 熱間圧延設備及び圧延方法
JP5609703B2 (ja) 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2012035310A (ja) 熱延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設備
WO2017130767A1 (ja) 熱延鋼帯の製造設備列および熱延鋼帯の製造方法
JP3434893B2 (ja) 冷延金属帯の製造方法
JPH06190419A (ja) ストリップの冷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