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662A - 암을 포함한 악성 신생물에 사용하는 항악성종양제 - Google Patents

암을 포함한 악성 신생물에 사용하는 항악성종양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662A
KR20010051662A KR1020000067308A KR20000067308A KR20010051662A KR 20010051662 A KR20010051662 A KR 20010051662A KR 1020000067308 A KR1020000067308 A KR 1020000067308A KR 20000067308 A KR20000067308 A KR 20000067308A KR 20010051662 A KR20010051662 A KR 20010051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pl
cancer
malignant
lactic acid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가스요이찌로
아이자와신
나가스마사야
이마니시요시오
Original Assignee
나가스 요이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스 요이찌로 filed Critical 나가스 요이찌로
Publication of KR20010051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66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65Polymer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암을 포함한 악성 신생물에 사용되는 항악성종양제는, L-락트산을 질소기체 대기 중에서 단계적 감압 및 승온에 의해 탈수축합하여 얻은 반응액으로부터, 에탄올 및 메탄올 가용성분을 감압건조한 후, 역상 ODS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고, pH 2.0 의 25 ∼ 50 % 아세토니트릴 수용액으로 용리한 후, pH 2.0 의 100 % 아세토니트릴로 용리하여 얻어지는 축합도 3 ∼ 23 의 환상형 및 직쇄형의 올리고머물질인 혼합 폴리 L-락트산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암을 포함한 악성 신생물에 사용하는 항악성종양제 {ANTI-MALIGNANT TUMOR AGENT USED IN MALIGNANT NEOPLASMS INCLUDING CANCERS}
본 발명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암을 포함한 악성 신생물에 사용하는 항악성종양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악성 신생물에 대한 치료법으로서는, 이식을 포함시킨 외과적 치료법, 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이 3 대요법으로서 행해져 왔지만, 아직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특히, 화학요법에 관해서는, 대체적으로 원래 작용이 강한데다가, 장기간 범용되는 일이 많다는 점에서 매우 강한 부작용이 발현하고, 근년에는 항종양제에 의한 2 차발암도 문제가 되고 있다.
또, 종양의 종류에 따라서는 아직 유효한 약제도 개발되고 있지 않는 것이 현상이다. 이 때문에, 부작용을 억제하고, 항종양효과를 높이는 목적으로 다제병용(多劑倂用)요법의 시험이 행해지고 있지만, 이들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또, 새로운 면역요법이나 유전자치료법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모두 연구단계에 있다.
한편, 약제의 투여경로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약제는 혈관내 투여방법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유효성이 높은 경구용 항종양제는 약간에 불과하다. 즉, 화학요법을 행함에 있어서는, 혈관내 투여라는 사용법의 제한으로 통상 입원관리하에서 행해지고 있고, 환자의 정신적 문제나 장기입원이 초래하는 경제적 부담, 사회복귀 등이 큰 문제가 되고 있어, 경구제와 같은 외래관리가 가능하면서 유효한 항종양제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그런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5-310581 호에는 이하의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a) L-락트산을 상압 또는 감압하에서, 질소기체 등의 불활성기체의 대기 중에서 가열하고,
(b) 얻어진 반응액을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 열시용해하여, 용해한 후에 여과하고,
(c) 여과한 여액을 감압건조 후 아세토니트릴에 용해하거나, 직접 아세토니트릴에 용해하고,
(d) 용해한 용액을, 미리 pH 2 ∼ 3 의 25 % 아세토니트릴 수용액으로 평형화 해둔 역상성 ODS 또는 DS 컬럼으로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고, pH 2 ∼ 3 의 30 ∼ 50 % 아세토니트릴 수용액으로 용리하고,
(e) 용리한 후, pH 2 ∼ 3 의 70 % 이상의 아세토니트릴 농도의 수용액으로 용리한 분획인, 축합도가 5 ∼ 23 인 L-락트산 직쇄상 축합물과 축합도가 9 ∼ 19 인 L-락트산 환상 축합물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의 악성종양세포 증식억제제를 얻는다.
이 억제제는, 인간 자궁경부암주세포, 인간 비인두암주세포, 인간 구강저암주세포, 마우스 폐암세포, 토끼 간암유래주세포, 요시다 육종, 인간 위암, 갑상선암, 폐암 및 자궁암에 대한 것이었다.
본 발명자는, 축합도 9 ∼ 19 의 폴리 L-락트산이, 악성종양세포에 있어서 정상세포에 비교하여 현저하게 항진되고 있는 해당계(解糖係)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주된 작용기전으로 하여, 대장암, 식도암 및 유방암에 대해 강한 항종양 세포증식억제작용을 나타내고, 또한 악성종양에 수반되는 암성 통증의 완화를 포함하는 현저한 체질개선작용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새로운 특징적 효과가 발견된 축합도 9 ∼ 19 의 L-락트산 올리고머를,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항악성종양제로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것은, 악성종양의 치료나 발생 예방 등의 경우에, 상황에 따라 경구 및 비경구적 투여법의 선택, 또한 최대효과를 올리기 위한 기존의 항종양요법과의 병용요법이 포함되고, 종래의 악성종양에 대한 치료방법의 확대, 치료효과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항악성종양제는, L-락트산을 질소기체 대기 중에서 단계적 감압 및 승온에 의해 탈수축합하고, 얻어진 반응액의 에탄올 및 메탄올 가용성분을 감압건조한 후, 역상 ODS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고, pH 2.0 의 25 ∼ 50 % 아세토니트릴 수용액으로 용해한 후, pH 2.0 의 100 % 아세토니트릴로 용해하고, 그 용해한 분획인, 축합도 3 ∼ 23 의 환상 및 직쇄상의 혼합 L-락트산 올리고머를 성분으로 한다. 이 항악성종양제는, 암을 포함한 악성 신생물에 대한 항종양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적합성이 높고, 경구투여에 있어서도 항종양효과가 나타나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암을 포함한 악성 신생물에 사용하는 항악성종양제가 제공된다.
도 1 은 L-락트산 올리고머의 질량분석결과를 나타낸다.
도 2 는 L-락트산 올리고머의 저중합도에서의 분자구조모델을 나타낸다.
도 3 은 L-락트산 올리고머의 고중합도에서의 분자구조모델을 나타낸다.
도 4 는 CPL 첨가배양 후 24 시간에 있어서의 TF-1 세포의 7A6 항원의 발현을 나타낸다.
도 5 는 피루브산 키나아제 (PK) 활성에 미치는 CPL 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6 은 락트산탈수소효소 (LDH) 활성에 미치는 CPL 의 효과를 나타낸다.
실제의 사용에 제공하기 위해, 축합도 3 ∼ 23 의 L-락트산 올리고머를 분리 정제하여 알칼리 중화한 후, 감압건조한 것을 원분말로 하고, 이것을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적절한 용매에 무균적으로 용해 또는 현탁하여 주사용 제제로 한다.
경구제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와 동일하게 처리한 원분말을 그대로의 상태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본 물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통상은 안정화제, 예를 들면 락트산칼슘, 탄산칼슘, 만니톨, 솔비톨 등이 첨가된다.
또, 다른 약리작용물질과의 혼합물로서 조성된 상태라도 투여가 가능하다. 제형도 산제, 과립제, 정제, 당의정, 캡슐, 현탁제, 유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예로서, 약간의 실시예를 들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조예]
맨틀히터에 넣은 분별 플라스크에, L-락트산 500 ㎖ 를 넣고, 질소기체 500 ㎖/분 의 유입 및 교반을 행한다.
유출수(溜出水)를 환류냉각기가 딸린 플라스코에 도입하면서, 145 ℃ 가 되기까지 3 시간 가열하여 유리수(遊離水)를 증류제거한다. 이어서, 20 kPa 로 감압하여 3 시간 가열한다.
그후, 0.7 kPa 에서 3 시간 가열하여 170 ℃ 까지 승온한다.
마지막으로 190 ℃ 가 되기까지 1.5 시간 가열하여 반응생성물인 L-락트산 올리고머를 얻는다.
얻어진 L-락트산 올리고머를 100 ℃ 로 유지하고, 에탄올 100 ㎖ 에 이어 메탄올 400 ㎖ 를 각각 적하한 후 방냉한다.
또한 L-락트산 올리고머를 메탄올 500 ㎖ 중에 첨가하여 잘 교반하여 정치시킨다.
L-락트산 올리고머를 여과하여 정제하고, 그 여과액을 감압건조하여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키고, 전량을 200 ㎖ (원액) 로 한다.
이 원액을, 미리 평형화한 역상 ODS 컬럼 (TSKgelODS-80TM) 에 걸어, 0.01 mol 염산을 포함하는 30 %, 50 % 및 100 % 아세토니트릴 (pH 2.0) 로 단계적으로 용리하고, 100 % 용출분획인 L-락트산 올리고머 (축합도 3 ∼ 23) 를 얻는다.
L-락트산 올리고머의 질량분석결과를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된 L-락트산 올리고머는, 환상형과 쇄상형이 약 7:3 의 비율로 포함되고, 중합도 Z 가 23 이하인 축중합물이다. L-락트산 올리고머의 환상형, 쇄상형의 존재비를 표 1 에 나타낸다.
L-락트산 올리고머의 환상형, 쇄상형의 존재비
중합도 Z 존재비 (%)
환상형 : 쇄상형
Z = 2 63 : 37
Z = 3 70 : 30
Z = 4 81 : 19
Z = 5 64 : 36
Z = 6 71 : 29
Z = 7 86 : 14
Z = 8 83 : 17
또, 환상형 및 쇄상형 축합물의 화학구조식을 이하에 나타낸다.
환상형 구조 (C3H4O2)x
쇄상형 구조 (C3H4O2)x-H2O
환상 및 쇄상의 양자간에는, 일종의 가역평형관계가 성립하고, L-락트산 올리고머의 생물활성의 다양성이나 축합도가 상이한 각 분획의 복합에 의해 항종양효과가 발현하는 등의 사실에 비추어 보아도, 환상 및 쇄상의 축합체를 상호 분리하여 이용하는 것의 의의는 결여된다.
이런 점에서 본 발명자는, 이 L-락트산 올리고머를 「환상 폴리 락트산 (Cyclic Poly-lactate);CPL」 이라고 명명하였다.
CPL 분자는, 컴퓨터모델을 사용한 분자동력학의 에너지계산에 의하면, 저중합도에서는 중공(中空)의 지그재그 폐쇄환상 링구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2), 고 중합도에서는 폐쇄계 장타원형 링이 C 자형과 같이 굽어있는 지그재그구조를 나타내고 (도 3), 환상과 쇄상의 양특성을 갖고 있다. 쇄상형 올리고머 분자는, 쇄상에 연결되어 신장되거나 굳어지는 2 차원 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제제예 1
L-락트산 올리고머 (CPL) 를 1 mol/㎥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처리하고, 감압건조한 것을 100 ㎎/㎖ 농도가 되도록 70 ∼ 80 ℃ 의 프로필렌글리콜에 용해하고, 0.45 ㎛ 필터로 여과멸균한 후, 바이알병에 15 ㎖ 씩 무균적으로 분주(分注), 충진하여 주사용 제제를 조제하였다.
제제예 2
상기와 동일하게, L-락트산 올리고머 (CPL) 를 1 mol/㎥ 나트륨으로 중화처리하여 감압건조한 것 1800 g 에, 솔비톨 500 g 및 탄산칼슘 200 g 을 첨가하고, 고화 후 분쇄하여 미분말로 하고, 무균적으로 충진하여 경구용 산제를 조제하였다.
독성시험 1
CPL 의 안정성 확인을 위해, 수컷 ICR 계 마우스에 15, 30 및 60 ㎎/㎏ 을 14 일간 연일 정맥내 투여를 행하였다. 어떤 투여군도 투여기간 중 및 그후의 관찰기간 중에 있어서의 사망예는 없고, 운동협조성, 배변, 배뇨를 포함하는 행동 및 신체상태의 변화는 보이지 않고, 체중도 순조롭게 추이(推移)되고, 투여기간 중의 체중증가량은, 용매대조군(對照群)의 14.6 g 에 대해 저, 중 및 고투여에서는 14.4 ∼ 14.9 g 의 범위였다.
독성시험 2
인간에서의 임상적응을 상정하여, 개 2 마리에 CPL 49 ㎎/㎏ 을 15 일간 연일 점적(点適) 정맥주사 (60 적/분) 하고, 그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투여기간 중 및 그후의 관찰기간 중의 이상증상 및 사망은 없고, 체온, 심박수 등의 신체상태도 정상이였다.
혈액학적 검사값도 정상범위 내로, 빈혈, 염증, 간기능, 신기능장해를 시사하는 소견을 보이지 않고, 병리학적으로도 각 장기에 있어서, 육안적 또는 조직학적으로도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 CPL 투여전후에 있어서의 주요항목의 측정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CPL 투여전후에 있어서의 주요항목의 측정결과
주요 측정항목 개시 전 15 일간 점적 정맥주사 후
체중 (㎏) 13.0-16.0 15.0-17.5
적혈구수 (1 ㎣ 당) 4,970,000-5,230,000 4,530,000-4,830,000
헤모글로빈량 (g/㎗) 12.8-13.0 13.1-13.9
백혈구수 (1 ㎣ 당) 9,100-12,800 10,600-11,300
혈소판수 (1 ㎣ 당) 143,000-156,000 105,000-113,000
GPT 활성 (U/ℓ) 15-23 17-26
GOT 활성 (U/ℓ) 29-45 24-43
BUN 량 (㎎/㎗) 14-32 14-17
독성시험 3
경구투여에 의한 안정성 확인을 위해, 수컷 ICR 계 마우스에 CPL 을 2000 ㎎/㎏ 을 1 회 경구투여하고, 2 주간 관찰하였다. 투여 후의 이상증상 및 사망의 발생은 없고, 체중도 용매대조군과 동일한 추이가 보였다. 또 병리학적으로도, 육안적 및 조직학적으로 이상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시험관 (in vitro) 에서의 악성종양세포증식에 대한 영향 1
인간위암세포 AZ521 및 결장암세포 DLD1 에 CPL 을 첨가하여 배양하고, 24 시간, 72 시간 후의 양자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을, MTT 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배양 72 시간 후에는, 1.9 ㎎/㎖ CPL 첨가에 의해, 대조군에 비교하여 AZ251 은 48 %, DLD1 은 47 % 로, 7.5 ㎎/㎖ CPL 첨가에 의해, AZ251 은 7 %, DLD1 은 12 % 로 유의성 있는 증식억제가 관찰되었다.
시험관에서의 악성종양세포증식에 대한 영향 2
인간백혈병세포 HL60 및 TF-1 에 CPL 을 첨가하여 배양하고, 배양 10 일째까지 트리판블루를 사용하여 생세포수를 측정하고, 양자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다. CPL 0.2 ㎎/㎖ 첨가에 의해 양자 세포 모두 배양 1 일째부터 유의성 있는 증식억제가 관찰되었다.
또한 추출한 DNA 는 전기영동법으로 단편화(斷片化)가 확인되고, 또 단일클론 항체 Apo2.7 (2.7A6A3clone) 을 사용한 검사로 7A6 항원의 발현이 보이고, CPL 의 항종양 세포증식억제는, 어팝토시스 (apoptosis) 유도를 통한 기전이 관여하고 있음이 시사되었다.
도 4 에 흘림 세포계측법(flow cytometry)으로 측정한 CPL 첨가배양 후의 TF-1 세포의 7A6 항원발현을 나타낸다.
악성종양세포의 에너지대사에 미치는 영향
활발하게 증식하는 종양세포에서는, 대량의 에너지공급을 유지하기 위해 그 대부분을 혐기적 해당계에 의존하고 있다. 그래서 혐기적 해당계의 주(key)효소인 피루브산 키나아제 (PK) 및 락트산탈수소효소 (LDH) 활성에 대한 CPL 의 영향을 측정하였다.
도 5,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L 은 마우스유방암 유래 FM3A 복수(腹水)세포의 PK 및 LDH 활성을 유의성있게 억제하고, 50 % 활성 저해농도는, PK 에서는 4 ㎎/㎖, LDH 는 2.5 ㎎/㎖ 이었다.
한편, 혐기적 해당계의 측정에서는, CPL 8 ㎎/㎖ 첨가에 의해, 락트산 생성량은 대조군의 50 % 로 저하가 관찰되었다.
생체내 (in vivo) 에서의 악성종양세포에의 영향 1
FM3A 세포를 복강내 이식 (2 ×106세포/마리) 한 마우스에 대해, 이식의 다음날부터 CPL 4 ㎎/마리 를 복강내 투여하고, 경시적으로 복수내의 암세포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에서는 이식 12 일 후에는 암세포수는 {78.1 ±13.4} ×107개로 증가가 보였지만, CPL 투여군에서는 {20.2 ±3.8} ×107개로 약 25 % 로 감소가 관찰되었다. 세포형태학적으로는, 세포질돌기의 소실, 핵크로마틴의 감소 등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생체내에서의 악성종양세포에의 영향 2
펜토바르비탈 마취하에 개복하고, 간장내에 편평상피암세포 VX2 를 이식한 NewZealand White 수컷토끼에 대해, 경정맥적으로 또는 간동맥에 직접 CPL 또는 항암제 아드리아마이신 (ADM) 을 투여하고, 종양사이즈를 측정하여 비교검토하였다. VX2 암에 대한 CPL 의 증식억제효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VX2 암에 대한 CPL 의 증식억제효과
투여경로 동물번호 VX2 암
종양사이즈 1) 증식율 2) 유도괴사율 3)
투여 전 투여 후
정맥내 (IV) 대조 5 % 당액 123 225255360 550572440 2.442.241.22 <10 %<10 %<10 %
CPL 15 ㎎/㎏ 456 270360180 432345600 1.600.96 (축소)3.33 <10 %<10 %<10 %
아드리아마이신0.5 ㎎/㎏ 789 180300342 286280391 1.590.93 (축소)1.14 <10 %<10 %<10 %
간동맥내 (TAI) CPL 6 ㎎/마리 101112 150270340 120104264 0.80 (축소)0.39 (축소)0.78 (축소) 완전괴사완전괴사완전괴사
아드리아마이신6 ㎎/마리 131415 180270270 180-330 1.00- (사망)1.22 >90 %-완전괴사
1) 종 ×횡 (㎟), 2) 투여 후의 암의크기/투여 전의 암의크기, 3) 병리조직학적 판정
표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정맥적 투여 또는 간동맥내 투여 모두에 있어서도 대조군에 비교하여 유의한, 또 ADM 투여군과 동일한 종양증식억제효과가 보였다. 또,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종양의 괴사성(壞死性) 변화를 보이고 있다.
담낭암 마우스의 생존기간에 미치는 CPL 의 효과
FM3A 세포를 복강내 이식 (2 ×106세포/마리) 한 마우스에 대해, 이식의 다음날부터 CPL 4 ㎎/마리 를 복강내 투여하고, 담낭암 마우스 생존기간에 미치는 CPL 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무처치군의 50 % 생존기간은 16 일이고, 암세포 이식 후 17 일에 모든 마우스가 사망하였다. 용매를 투여한 대조군의 생존기간은, 무처치군과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CPL 투여군의 50 % 생존기간은, 31 일로 유의한 생존기간의 연장을 보였다.
발암예방에 대한 CPL 의 효과
유전자 재조합기술에 의해 암억제유전자 p53 을 결손한 생후 5 주의 C57BL 계 마우스에 CPL 50 ㎎/㎏ 을 3 회/주로 20 주에 걸쳐 경구투여하고, 암발생율 및 사망율을 평가하였다. 본 마우스는, 악성 임파종, 혈관육종, 골육종, 정소종양 등 광범위한 악성종양이 약 생후 10 주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생후 6 개월에 약 70 % 로 악성종양이 발생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대조군에서는 8 주째부터 악성종양에 의한 사망이 보이고, 20 주 후의 생존은 10 예 중 1 예 (10 %) 만이었다. CPL 투여군에서는 20 주 후의 생존률은 10 예 중 5 예 (50 %) 이었다. 병리학적으로는 사망한 모든 마우스에서 악성종양발생을 보이고 있고, 발생한 악성종양의 종류, 분포 등에 대해서는 대조군, CPL 투여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담낭암 마우스의 면역활성에 대한 CPL 의 효과
악성 흑색종세포 B16 을 경정맥적으로 이식한 C57BL 계 마우스에 대해, 이식 후부터 7 일간 CPL 을 경구 (500 ㎎/㎏) 또는 경정맥 (10 ㎎/㎏) 투여하고, 투여 개시시와 종료시에 NK 활성 (내추럴킬러세포의 암세포상해활성) 을 측정하였다. B16 악성 흑생종 담낭암 마우스의 NK 활성에 미치는 CPL 의 효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B16 악성 흑색종 담낭암 마우스의 NK 활성에 미치는 CPL 의 효과
투여 0 일 투여 7 일
대조500 ㎎/㎏, p.o.10 ㎎/㎏, i.v. 15.0 ±3.712.5 ±2.913.2 ±1.9 4.9 ±3.97.4 ±10.615.7 ±3.2 **
효능 세포/표적 세포 = 100/i 수치는 NK 활성 (%) ±S.C. 대조군과의 사이에 유의차 있음 : ** P<0.01
표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는 7 일 후의 NK 활성은 약 30 % 로 저하하였지만, CPL 투여군에서는 NK 활성의 저하는 보이지 않았다. 또 동시에 행한 병리학적 검사에서도, 폐에 나타난 종양 콜로니수도 대조군에 비교하여 감소가 보였다.
CPL 의 진통효과
생후 5 주의 ddY 계 마우스에 사용하여, 아세트산에 의해 유발되는 진통 (고민;苦悶) 반응에 대한 CPL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CPL 은, 아세트산 투여 전 3 시간 및 1 시간 전에 2 회 경구투여 (500 ㎎/㎏) 하거나, 1 시간 전에 1 회 피하주사 (50 ㎎/㎏) 하고, 0.7 % 아세트산을 복강내 주사한 후의 진통 (고민) 반응수를 측정하였다. CPL 전 투여에 의해 진통 (고민) 반응수의 감소를 보이고, 특히 피하주사군에서는 대조군의 52 % 까지 감소를 보였다.
점적에 의한 정맥내 투여에 의한 임상치료효과
수술불능의 말기암, 수술 후의 잔류암이나 전이암, 재발암으로 진단된 약 50 명의 중도(重度)의 암환자를 대상으로, 환자 및 가족의 동의 및 요청에 기초하여, 제제예 1 에서 조정한 CPL 의 점적에 의한 정맥내 투여에 의한 항암치료를 실시하였다.
표준요법은, CPL 200 ㎎/인간/일 의 20 일간의 점적 정맥주사를 1 쿠르로 하였다. 점적용 제제는, 당해 주사제 20 ㎖ 를 포도당액, 생리식염수 등의 수액 제제 500 ㎖ 에 혼합용해하고, 3 시간에 걸쳐 투여하였다.
CPL 주사제에 의해 치료한 각종의 원발암 중, 대장암, 식도암 및 유방암에 대해 가장 현저한 증식억제효과가 보이고, 또 이들 암의 재발 또는 전이병소에 있어서도 증식억제효과가 보였다.
특히, 외과적 적제술 또는 방사선요법에 의한 치료직후의 암환자 (약 14 명) 에서 보인 잔류암에 대해서는, 뚜렷한 항암효과가 보이고, 환자의 약 80 % 에서 개선이 확인되고, 이중 8 명에 있어서는 임상적으로 거의 치유상태로 판단되었다.
본 주사제 투여에 의해, 항종양효과 뿐 아니라 영양상태의 개선, 권태감 등의 자각증상의 개선, 또한 방사선요법이나 항암제치료의 부작용인 백혈구감소, 빈혈이나 간기능장해의 조기회복도 보이고, 이들 결과는 CPL 을 기존의 항암치료법과 병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항암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표준적 투여법에 있어서, 부작용으로서 첫 번째 점적 정맥주사시에 일과성의 발열이 출현한 증상례도 보였지만, 발열의 정도는 경도(輕度)이고, 숙신산디히드로코르티손 100 ㎎ ∼ 200 ㎎/회 의 병용에 의해 신속한 개선을 보이고 있다.
또, 표준투여량의 2 배에 상당하는 2000 ㎎ ×2 회/일 의 점적투여를 행한 경우에도, 연속 3 개월의 연일투여를 행한 경우에도 상기 이외의 부작용은 보이지 않는다.
증상례 1 : 대장암
췌장으로의 침윤 및 유착을 수반하는 횡행(橫行)결장암이 있어서, 외과적 절제술 및 바이패스 (by-pass) 수술을 시행했지만, 완전절제가 안 되고 잔류암이 관찰된 60 세의 남성에게, 약 2 년간에 걸쳐서 표준요법에 의한 본 주사제의 점적 정맥주사를 행하였다. 그 결과, X 선이나 초음파 에코검사에서 암의 증식억제가 보이고, 또한 전이 및 재발억제효과가 보였다. 또, 치료개시 후 약 3 ∼ 10 일의 시점에서 질병, 권태감, 쉬운 피로감, 오심 등의 자각소견의 개선, 식욕회복 및 체중증가와 영양상태의 개선도 보이고, 심리적 불안, 정신황폐상태로부터도 해방되어 생활활동성의 향상이 보이고 있다.
증상례 2 : 대장암의 폐 전이암
대장암의 외과적 절제 후, 폐로의 다발성 암전이가 출현하고, 무기폐(無氣肺) 소견을 보여 앞으로 약 3 ∼ 4 개월로 진단된 60 세의 남성에게, 표준요법에 의한 본 제제의 점적 정맥주사를 행하였다.
화상진단적으로는 폐에 있어서의 암병변은 잔존하지만, 약 3 년간의 치료기간을 통하여 폐기능은 매우 양호하고, 암병소의 확대, 다른 장기로의 전이도 보이지 않고, 현저한 연명효과가 보였다. 본 증상례에서도 식욕, 영양상태의 개선, 또 진통 등의 자각적 소견은 보이지 않고 생활활동성은 양호상태였다.
증상례 3 : 식도암
식도암의 진단으로 외과적 절제술을 받은 50 세의 남성으로, 수술 후 17 개월에 식욕부진, 연하곤란과 함께 토혈을 보이고, 내시경검사에 의해 문합부에 재발성 식도암 및 협작소견이 보인 환자에게, 표준요법에 의한 점적 정맥주사를 행하였다.
치료개시 10 일 후에는 섭식이 가능해지고, 내시경검사에서는 암의 축소와 협작부의 재소통이 확인되었다. 그후의 경과관찰에 있어서도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증상례 4 : 유방암
유방암 수술 후 3 년째에 관골 및 늑골의 통증이 출현하여, 골 신티그램(scintigram)으로 전이암의 진단을 받은 42 세의 여성에게 표준요법에 의한 점적 정맥주사를 행하였다. 본 환자는, 전이암의 진단 후 4 개월에 걸쳐 화학요법을 받고 있고, 본 제제 투여 개시 시점에서는, 백혈구 수의 감소 (2900/㎕), 빈혈 (적혈구 384 만/㎕, 헤모글로빈값 10.7 g/㎗) 및 간기능장해 (ALT 값 102 IU/ℓ) 가 보였다.
투여개시 4 일째에 백혈구수는 8100/㎕ 로, 간기능은 ALT 값 21 IU/ℓ로 개선이 보이고, 7 일째에는 권태감, 흉통 및 골통 등의 자각적 소견도 소실되었다. 1 쿠르의 점적 투여 종료 후, 2 년 후의 시점에서도 자각증상은 없고, 암의 진행도 보이지 않고 경과하고 있다.
부인과계의 암에 대해서는, 본 주사제는 비교적 높은 효과를 나타내고, 장기생존 또는 서효례(薯效例)가 많다. 또 많은 유방암환자에 있어서 점적 정맥주사시에 암국소의 위화감을 호소하는 점으로부터, 암병변에 대한 직접적 작용이 보여, 선택적 동맥내 투여 등의 암국소로의 투여법은 본 제제의 유용한 적용법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본 제제 투여 증상례에 있어서, 당 및 지질대사 이상에 대한 효과로서, 합병증인 당뇨병, 고지혈증의 개선을 보이는 증상례가 확인되었다. 이들 작용은, 전술한 간기능 개선효과 등과 함께, 악성종양치료에 있어서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음이 생각된다. 또, 점적 정맥주사와 제제예 2 에서 조제한 경구용 산제와의 병용은, 본 주사제에 의한 효과의 증강과 유지에 유용함이 확인되었다.
경구투여에 의한 임상치료효과
CPL 의 경구투여로서, 제제예 2 에서 조제한 산제를, 6 ∼ 10 g/일 을 3 회로 나누어 복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증상에 따라 적정용량, 용법을 변경하여 처방하였다. 상술한 정맥내 투여와 동일하게 항종양효과를 보이고, 특히 재택, 통원조건 하에서 관리가 가능한 점에서 환자의 정신적, 경제적부담의 경감에 기여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 부작용으로서는, 복용초기에 있어서 복부팽만감이 보였지만, 경과되면서 증상은 처치없이 소실되고 있다. 기타 자각적, 타각적으로 이상은 보이지 않는다.
증상례 1 :
폐암 (adenocarcinoma) 때문에 좌상엽절제술을 받은 후, 2 년 후에 암성 흉막염 및 심낭염으로 재발을 보인 66 세의 남성에 대해, 5FU 의 전신투여 및 흉강 및 심낭천자(穿刺)에 의한 배액 시에 시스플라틴의 흉강내, 심낭내 투여가 개시되었지만, 액저류(液貯留)는 개선되지 않고, 이에 수반하는 호흡곤란 때문에, 거의 연일의 배액을 필요로 하였다.
조치개시 2 주간 후부터 CPL 을 6 g/일 로 경구투여를 개시하였다. 액저류는, 서서히 감소하고, 약 6 개월 후에는 흉강내, 심낭내로의 액의 저류는 전혀 보이지 않게 되고, 그 후에도 경과는 양호하다. 이때, 재발시에 보였던 식욕부진, 전신권태감,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은 CPL 복용 후부터 개선되고, 복용 약 2 주간 후에는 거의 개선을 보이고 있다.
증상례 2 :
황달, 식욕부진, 상복부 위화감의 자각 후, 췌장암으로 진단되어, UFT 투여 및 방사선 요법을 시행중인 69 세의 남성에 대해, 항암요법개시와 병행하여 CPL 의 경구투여를 개시하였다. 복용 약 1 주간 후쯤부터 식욕이 회복되고, 또한 2 주쯤에는 황달을 포함한 자각증상의 개선을 보이고 있다.
상기 증상례와 같이, CPL 의 경구투여에 있어서도 정맥내 투여와 동일하게 항종양효과가 보이고, 또한 식욕의 개선 등 자각소견의 개선에도 효과가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축합도 9 ∼ 19 의 폴리 L-락트산 (CPL) 이 악성종양에 대해 우수한 증식억제를 나타냄과 동시에, 이들 종양의 재발, 전이를 억제하고, 주사용 제제, 경구용 제제 모두 이들 악성종양에 대한 유효한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효과는 시험관에 있어서도, 또 생체내에 있어서도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CPL 은, 생체성분에 유래하는 L-락트산의 저축합체인 점에서 생체적합성은 매우 높고, 가장 독성이 많이 나타나는 혈관내 투여에서도 부작용은 거의 보이지 않는 점, 또 경구투여에 있어서도 항종양효과가 보이는 점이 큰 특징이다.
즉, 병기(病期)를 포함한 증상례의 상태에 맞춰서 투여방법의 선택이 가능하고, 또 조합에 의한 효과의 유지, 증강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항종양요법과의 병용에 의해 최대의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백혈구감소나 간기능장해 등의 기존의 항종양요법에 의한 부작용의 경감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장기간의 계속적 섭취를 안전하며 용이하게 하는 것이며, 실험적으로 시사된 발암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CPL 의 항종양효과는, 증식속도가 큰 종양세포는 정상세포와 상이하며 대사활성 또는 에너지 요구성이 매우 높고, 이것을 유지하기 위해 해당능에 강하게 의존하고 있지만, CPL 이 이와 같은 종양세포의 혐기적 해당계를 억제함으로써 종양세포 증식억제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특히, 혐기적 해당계의 주효소인 피루브산 키나아제 및 락트산탈수소효소활성에 대한 억제가 강하게 보이고, CPL 의 작용본태의 하나일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이 억제작용의 결과, CPL 이 종양세포의 어팝토시스를 유도하고 있음이 관찰되고 있다. 또한, CPL 의 작용으로서, NK 세포의 활성화에 의한 면역부활작용, 당지질대사를 통한 간기능 및 소화기능의 개선작용이 보이고 있다. 이들 다양한 CPL 의 작용에 더불어, 강력한 세포상해작용을 나타내는 기존의 항악성종양제와는 상이하며, CPL 이 심각한 부작용을 수반하지 않고 비교적 넓은 항암스펙트럼을 나타내는 하나의 요인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임상경험에서는, 항종양 효과에 덧붙여 식욕부진이나 체중감소를 포함한 영양불량이나, 빈혈, 진통, 권태감 등의 신체증상 그리고 정신적, 육체적 도움을 필요로 하는 생활 활동성의 저하에 대해 우수한 개선효과가 있음이 판명되었다.
특히, 담낭암 환자에 있어서의 면역능의 저하, 악액질을 포함하여 영양장해의 개선에 유용했던 것은 본 제제의 중요한 효과로 들 수 있고, 악성종양환자 뿐 아니라, 다른 질환환자의 동일한 증상에 대해서도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CPL 은 단순히 항종양효과 뿐 아니라, 악성종양의 수반 증상을 개선하는 작용을 함께 가지고, 환자의 생활의 질 (QOL) 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유효한 수단이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종합적으로 보아 종래의 항악성종양제에 비교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가진 약제라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장암, 식도암 및 유방암에 대해 강한 항종양 세포증식억제작용을 나타내고, 또한 악성종양에 수반되는 암성 통증의 완화를 포함하는 현저한 체질개선작용을 갖는 축합도 9 ∼ 19 의 폴리 L-락트산 올리고머를,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항악성종양제로서 제공한다.

Claims (1)

  1. L-락트산을 질소기체 대기 중에서 단계적 감압 및 승온에 의해 탈수축합하고, 얻어진 반응액의 에탄올 및 메탄올 가용성분을 감압건조한 후, 역상 ODS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고, pH 2.0 의 25 ∼ 50 % 아세토니트릴 수용액으로 용리한 후, pH 2.0 의 100 % 아세토니트릴로 용리한 분획인, 축합도 3 ∼ 23 의 환상형 및 직쇄형의 올리고머 물질인 혼합 폴리 L-락트산으로 이루어진, 암을 포함한 악성 신생물에 사용하는 항악성종양제.
KR1020000067308A 1999-11-15 2000-11-14 암을 포함한 악성 신생물에 사용하는 항악성종양제 KR200100516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960399A JP2001139476A (ja) 1999-11-15 1999-11-15 癌を含めた悪性新生物に用いる抗悪性腫瘍剤
JP99-359603 1999-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662A true KR20010051662A (ko) 2001-06-25

Family

ID=1846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308A KR20010051662A (ko) 1999-11-15 2000-11-14 암을 포함한 악성 신생물에 사용하는 항악성종양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03263A3 (ko)
JP (1) JP2001139476A (ko)
KR (1) KR20010051662A (ko)
CN (1) CN1296818A (ko)
AU (1) AU7156600A (ko)
CA (1) CA2325667A1 (ko)
NZ (1) NZ5081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394A1 (ko) * 2022-07-07 2024-01-11 (주) 메티메디제약 칼슘 락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성 악액질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2055091A1 (ja) * 2001-01-12 2004-05-13 天藤製薬株式会社 抗アレルギー剤
EP1358884A1 (en) * 2001-01-12 2003-11-05 Amato Pharmaceutical Products, Ltd. Preventives for microbial infections
WO2002055092A1 (fr) * 2001-01-16 2002-07-18 Amato Pharmaceutical Products,Ltd. Traitements preventifs et/ou remedes contre les maladies digestives
KR20030070137A (ko) * 2001-01-24 2003-08-27 아마토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항스트레스제
WO2003007937A1 (fr) * 2001-07-18 2003-01-30 Amato Pharmaceutical Products, Ltd. Agent antitumoral contenant de l'acide polylactique cyclique
WO2003039560A1 (fr) * 2001-11-06 2003-05-15 Amato Pharmaceutical Products, Ltd. Agent antitumoral contenant un melange d'oligomeres d'acide lactique
JP2004155670A (ja) * 2002-11-01 2004-06-03 Youichirou Naganushi 細胞賦活剤、細胞賦活剤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175783A (ja) * 2003-04-14 2004-06-24 Yuuko-Enterprise Corp 子宮内膜症及び婦人科疾患の治療薬
AU2003236156A1 (en) * 2003-04-24 2005-01-04 Shin-Jen Shiao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ed for immune disease treatment and improvement
JP5409596B2 (ja) * 2007-03-30 2014-02-05 ラキュアー エービー 婦人科の障害の治療における乳酸オリゴマーの使用
JP5823695B2 (ja) * 2008-12-03 2015-11-25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肝機能障害予防剤
JP6331182B1 (ja) 2017-10-24 2018-05-30 有限会社スクラム 環状重合l−乳酸。
CN117298083B (zh) * 2023-05-08 2024-02-20 北京肿瘤医院(北京大学肿瘤医院) D-乳酸在制备治疗和/或预防食管鳞状细胞癌药物中的用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8199B2 (ja) * 1991-06-13 2003-06-16 興研株式会社 動物の悪性腫瘍抑制剤の製造方法
JP3425968B2 (ja) * 1992-05-15 2003-07-14 興研株式会社 人を含む動物の悪性腫瘍細胞増殖抑制剤
JPH09227388A (ja) * 1996-02-15 1997-09-02 Naganushi Tetsuaki 大腸癌、食道癌及び乳癌より選ばれた癌に用いる抗悪性腫瘍剤
JPH10130153A (ja) * 1996-10-28 1998-05-19 Shiyumeidou:Kk 大腸癌、食道癌及び乳癌より選ばれた癌に用いる 抗悪性腫瘍剤
JP2000072680A (ja) * 1998-08-25 2000-03-07 Shiyumeidou:Kk 免疫機能調節剤
JP2000239171A (ja) * 1999-02-18 2000-09-05 Tokai Kyoiku Sangyo Kk 経口qol改善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394A1 (ko) * 2022-07-07 2024-01-11 (주) 메티메디제약 칼슘 락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성 악액질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39476A (ja) 2001-05-22
EP1103263A2 (en) 2001-05-30
EP1103263A3 (en) 2002-08-14
AU7156600A (en) 2001-05-17
CN1296818A (zh) 2001-05-30
NZ508121A (en) 2003-01-31
CA2325667A1 (en)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lholland et al.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y of QC12, a water-soluble, pro-drug of quercetin
KR20010051662A (ko) 암을 포함한 악성 신생물에 사용하는 항악성종양제
CN109562080B (zh) 用于治疗癌症和癌症并发症的药物组合物
JPH09227388A (ja) 大腸癌、食道癌及び乳癌より選ばれた癌に用いる抗悪性腫瘍剤
KR100442096B1 (ko)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항종양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및 그 유도체의 적용
KR20140024069A (ko) 암 치료용 펜타미딘 배합물
JPH10130153A (ja) 大腸癌、食道癌及び乳癌より選ばれた癌に用いる 抗悪性腫瘍剤
CN108524533A (zh) 一种化合物用作抗肿瘤药物增效剂和逆转剂
EP0758549A1 (en) Medicinal composition as a remed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KR101245328B1 (ko)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귀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CA3079031C (en) Formulation containing a-decarbonized-5-alpha androstane compound for increasing white blood cell and use thereof
EP2902028A1 (en) Drug composition for treating tumors and application thereof
AU769882B2 (en) Medicament containing platinum complex compounds and the use thereof
CN113694085A (zh) 蛞蝓提取物在制备癌症化疗方案的联用药物中的应用
CN103054802A (zh) 介入治疗肝癌的前阳离子/阳离子脂质体姜黄素制剂及其制备方法
ZA200605707B (en) CHP-gemcitabin combined agent and use thereof as anti-tumoural active substances
US7732485B2 (en) Treatment of cancer
CN110876802B (zh) 一种抗癌症的药物组合物
CN111544580B (zh) 一种抗癌症的药物组合物
CN110876803B (zh) 一种包含乳蛋白和油酸的药物组合物
WO2019198976A1 (ko) 1, 2-나프토퀴논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형암 또는 혈액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1840523B (zh) 一种含活性蛋白和活性脂肪酸的抗癌症的药物组合物
CN115040522B (zh) 一种用于治疗肺癌的药物及其制备方法
EP2902027A1 (en) Drug composition for treating tumors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320485B1 (ko)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당귀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