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786A - 자기기억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786A
KR20010050786A KR1020000057634A KR20000057634A KR20010050786A KR 20010050786 A KR20010050786 A KR 20010050786A KR 1020000057634 A KR1020000057634 A KR 1020000057634A KR 20000057634 A KR20000057634 A KR 20000057634A KR 20010050786 A KR20010050786 A KR 20010050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phase
servo
signal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1866B1 (ko
Inventor
아카기쿄
세오요스케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10050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08Track changing or selec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9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disks
    • G11B5/59633Servo format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7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sheet shaped to wrap around a drum
    • G11B5/743Patterned record carriers, wherein the magnetic recording layer is patterned into magnetic isolated data islands, e.g. discret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oving Of The Head To Find And Align With The Track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트랙밀도 증가의 저해요인에 대해 현행방식에 비해 보다 개선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서보패턴을 트랙 중심선의 양측에 트랙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한 복수의 패턴으로 구성하며, 각 패턴(A, B)은 각각 2종류의 위상상태의 패턴(11, 12 ; 13, 14)을 트랙폭 방향에 나란하게 구성한다. 미리 유지하고 있는 재생신호의 주파수 정보를 기초로 서보패턴 재생신호 파형에 거의 일치하는 정현파 함수를 구하여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복조한다.

Description

자기기억장치{MAGNETIC DISK DRIVE}
본 발명은 자기기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기디스크에 기록된 서보패턴의 재생신호로부터 자기헤드를 위치결정 하기 위한 정보를 취득하는 플렉시블형 자기디스크장치, 리지드형 자기디스크장치 등의 자기기억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기억장치의 자기헤드를 위치결정 하기 위한 서보패턴은 가장 일반적으로는 특공소 47-32012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소정의 트랙 간격마다 서보비트가 격자배치 되어 있고, 그 각각을 재생하여 진폭차를 비교함으로써 트랙폭방향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자기헤드의 위치결정(트랙킹)을 행한다고 하는 방법이 알려져있다.
도 2는 종래의 「진폭검출 서보」방식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트랙과 서보패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의 (b)는 서보패턴 위를 이동하는 자기헤드에서 얻어지는 재생신호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트랙폭(Twr)의 자기헤드(10)를 트랙(#N)에 위치결정 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기헤드(10)가 도면의 x방향으로 진행하고, 패턴(P, A~D)을 통과할 때,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재생신호를 얻는다. 여기서, P, A~D의 각 패턴의 흰 부분과 검은 부분은 각각, 자기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서보패턴의 자화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나타낸다. 즉, 면내 자기기록이면, 흰 부분과 검은 부분의 자화의 방향은 매체 면내에 트랙방향(x방향)성분을 가지는 서로 역방향을 향한 벡터이며, 수직기록이면, 흰 부분과 검은 부분의 자화의 방향은 매체표면에 수직인 성분을 가지는 서로 역방향을 향한 벡터이다. 또, 도 2의 (a)의 패턴은 모식도이며, 실제로는 도 2의 (b)의 신호주기와는 일치한다.
패턴(A)의 재생신호 진폭(SA)과, 패턴(B)의 재생신호 진폭(SB)과의 차분인 SA- SB의 연산을 행하여, 트랙폭 방향(y)으로 자기헤드(10)를 이동시키면, 연산결과는 도 2의 (a)의 오른쪽에 나타낸 N - POS가 된다. 동일하게, 패턴(C)의 재생신호 진폭(SC)과, 패턴(D)의 재생신호 진폭(SD)과의 차분인 SC- SD의 연산을 행하여, 트랙폭 방향(y)으로 자기헤드(10)를 이동시키면, 연산결과는 도 2의 (a)의 오른쪽에 나타낸 Q - POS가 된다. 상기에서 구한 N - POS, Q - POS의 신호를 위치신호로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자기헤드(10)의 현재위치를 알 수 있다.
한편, 상기와는 다른 서보방식으로서 「위상검출 서보」라는 방식이, 예를 들면 특개소 60-1047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위상검출 서보」방식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트랙폭(Twr)의 자기헤드(10)를 트랙(#N)에 위치결정 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자기헤드(10)가 x방향으로 진행하여, 도 3의 (a)에 나타내는 패턴(P, A~C)을 통과할 때, 예를 들면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재생신호를 얻는다. 여기서, P, A~C의 각 패턴의 흰 부분과 검은 부분의 표기법은 도 2와 동일하다. 패턴은 자기헤드(10)에 대해 아지머스(azimuth)가 붙어 있지만, 그 각도는 재생신호의 열화(아지머스 로스)가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로 작기 때문에, 각각의 재생신호의 형상은 도 2와 거의 변함 없다. 단, 패턴(P)에 대한 각 패턴(A, B, C)의 위상은 트랙폭 방향(y)의 위치에 의해 다르며, 여기서는 #N 트랙에서의 위상을 각각 PA, PB, PC로 한다. 여기서 도 3의 (a)의 패턴은 모식도이며, 실제로는 도 3의 (b)의 신호주기와는 일치한다.
지금, 각각의 위상의 차(PB- PA, PC- PB)를 계산했을 때, 트랙폭 방향(y)에서의 이 연산결과는 일예로서 도 3의 (a)의 오른쪽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상기에서 구한 PB- PA, PC- PB의 신호를 위치신호로서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자기헤드(10)의 현재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의 재생신호에서 위상(PA, PB, PC)을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개평 6-23155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진폭패턴에 파형을 구부러지게 하여 그 파형의 일부의 시간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예가 특개평 9-25173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패턴은 종래의 진폭패턴의 특성에 더하여, 파형의 일부는 변화하지 않고, 다른 일부가 변화하는 시간변화 특성을 포함하는 패턴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 패턴에 의해, 도 2의 C, D패턴을 생략할 수 있다.
자기기억장치의 트랙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술적 혹은 자기기억장치 생산상의 여러가지 요인이 트랙밀도 증가를 저해하는 요인으로서 현재화되어 온다. 그중, 자기헤드의 트랙폭이나 서보패턴 형상에 기인하는 기하학적인 요인에 관해서는 위치신호의 비선형이라는 형태로 나타내어진다. 이중에서는 트랙폭 방향으로 기록패턴이 기록이나 판독으로 번지는 효과등도 포함된다. 또, 기록매체나 재생회로계의 노이즈에 관해서는 재생신호에 대해 상대적으로 신호대 잡음비(S/N)의 저하로 보여진다. 더욱이, 외부에서의 진동(외란진동)에 대해서는 헤드 위치결정 제어계에 의한 추종 잔차분(殘差分)이 여유(마진)로서 가지는 양을 초과하는 것으로 트랙밀도의 한계에 도달한다.
또, 진폭패턴에 파형을 구부러지게 하여 그 파형의 일부의 시간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을 조합시키는 종래예에 있어서는, 파형을 구부러지게 하는 결과, 기본파나 구부러지기 전의 파형에서의 고조파 성분 이외에 다른 고조파 성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복조 노이즈가 증가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상기 트랙밀도 증가의 저해요인에 대해 현행방식에 비해 보다 개선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서보패턴의 일예와 그 재생파형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종래의 「진폭검출 서보」방식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위상검출 서보」방식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서보패턴의 다른 예와 그 재생파형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서보패턴의 다른 예와 그 재생파형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도 5의 (a)에 나타낸 서보패턴을 기록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서보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서보신호 복조회로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서보신호 복조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진폭정보에 의한 위치신호와 위상정보에 의한 위치신호의 배분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자기헤드의 속도벡터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존마다 서보마크의 기록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예의 포맷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디스크장치의 개략도,
도 14는 자기디스크장치의 내부회로의 일예를 설명하는 기능블록도이다.
(부호설명)
10 자기헤드 11 「위상1」의 패턴
12 「위상2」의 패턴 13 「위상3」의 패턴
14 「위상4」의 패턴 15 「위상5」의 패턴
16 「위상6」의 패턴 17 「위상7」의 패턴
18 「위상8」의 패턴 41 「위상1」의 패턴
42 「위상2」의 패턴 43 「위상3」의 패턴
44 「위상4」의 패턴 45 「위상5」의 패턴
46 「위상6」의 패턴 61 자기디스크 드라이브
62 스핀들모터 63 자기디스크
64 보이스코일 모터 65 지지부재
66 자기헤드 67 지지부재
68 서보패턴 기억용 헤드 601 서보패턴
602 기록헤드의 궤적 71 유리기판
72 크롬층 73 포토레지스트
74 레이저 광 75 마스크
76 유리기판 77 포토레지스트
78 조사광 79 자성막
701 볼록부(凸부) 702 오목부(凹부)
81 진폭검출계 82 위상검출계
83 진폭치 84 위상치
91 진폭치 92 위상치
111 자기헤드의 궤적
112 A, B패턴에서 헤드포지션을 산출하는 위치
113 A', B'패턴에서 헤드포지션을 산출하는 위치
115 R1패턴에서 헤드포지션을 산출하는 위치
116 R2패턴에서 헤드포지션을 산출하는 위치
121 PLL부 122 어드레스마크
123 실린더번호 등 124 서보마크
125 데이터 131 자기헤드
132 지지부재 133 헤드 액추에이터
134 자기디스크 135 디스크 스핀들
136 스핀들모터 137 베이스
138 커버 139 회로기판
1301 인터페이스 1302 기록/재생회로부
1303 컨트롤러 1304 위치결정 회로부
1305 전력컨트롤러 1306 자기디스크
1307 자기헤드 1311 자기 데이터정보
1312 제어신호 1313 어드레스 정보
1314 스테이터스 정보 1315 전력
1316 스핀들구동 1317 각 회로구동
1318 서보정보 1319 기록/재생정보
1320 위치, 속도정보 1321 제어정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자기헤드를 위치결정 하기 위한 서보패턴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다중화한다. 즉, 서보패턴이 가지는 진폭정보, 위상정보를 동시에 취득하여, 상호 보완하면서 유효하게 사용한 것으로써,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한다.
위치신호의 비선형은, 특히 진폭검출방식에서 서보패턴의 폭과 재생헤드 트랙폭과의 부정합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인정되어 있다. 그러나, 비선형이 발생하기 쉬운 위치는 국소적인 부분에 한정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비선형을 발생하기 어려운 위상정보를 병합하여 취득해 두고, 진폭정보와 위상정보를 보완하면서 사용하면, 위치신호의 비선형의 문제는 회피 가능하게 된다.
위치신호 노이즈에 관해서는 상기 진폭정보와 위상정보를 조합시켜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보량이 충실하며 신호 S/N의 향상에 효과가 크다.
외란진동에 대해서는 위치정보를 검출하면서, 위상정보로부터 트랙폭 방향의 헤드의 속도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외란진동이 클 때 기록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이 빠른 단계에서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서보패턴 재생파형에서 진폭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 신호를 전파정류하고, 다음에 적분연산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진폭치)는 서보패턴 재생신호의 진폭치를 반영한 것이다. 다른 수단으로서, 서보패턴 재생파형정보를 이산적으로 취하여, 푸리에 다항식으로 표현을 다시함으로써 얻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관해서는 이하에 자세하게 서술한다. 서보패턴 재생파형에서 위상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 동일하게 서보패턴 재생파형정보를 이산적으로 취하여 푸리에 다항식으로 표현을 다시함으로써 얻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하에, 그 방법에 관해서 서술한다.
상기 서보패턴 재생파형은 어느 정해진 파형의 수 사이클에 걸쳐 반복하고 있으며, 1사이클(주기)당 이산적으로 취하는 수(오버샘플 수)를 N, 위치신호파형(P(n))의 상기 반복 수를 L로 한다. 단, n은 파형을 취하는 점의 번호이다. P(n)를 푸리에 다항식 표현으로 표현하면, 다음의 〔수학식 1〕이 된다. 또한 취하는 파형의 주파수에 맞추어, 샘플링(이산적으로 취함)의 주파수를 정할 필요가 있다. 다시말하면, 미리 샘플링 주파수라는 형태로 파형의 주파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Ao, Am, Bm은 이산화 푸리에 계수, m은 이산화 푸리에 변환의 차수이다. 상기 푸리에 다항식은 이산화 푸리에 계수가 정해지면, 일의적으로 정해진다.
푸리에 계수는 패턴 재생파형의 샘플링 데이터를 f(n)으로 하면 이하의 〔수학식 2〕 〔수학식 3〕 〔수학식 4〕와 같이 구해진다.
가장 간단하게는 1차(m = 1) 푸리에 계수(A1, B1)를 구하는 것으로서 필요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진폭검출의 경우에는 진폭치는 다음의 〔수학식 5〕로서 구해지고, 위상검출의 경우에는 기준패턴으로부터의 위상차는 다음의 〔수학식 6〕으로 구해진다.
서보신호 복조회로는 각 부분신호의 진폭은 당해 부분신호에 적분처리를 가함으로써 구해지고, 위상은 상기 정현파 함수의 위상에서 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혹은, 서보신호 복조회로는 각 부분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상기 정현파 함수의 진폭과 위상에서 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서보신호 복조회로는 진폭에서 얻어진 정보와 위상에서 얻어진 정보에 대해 다른 가중치를 더하여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복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수법을 이용하면, 복조한 파형에서 그 진폭정보 뿐만 아니라, 위상정보도 동시에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와 같이 파형 일부의 정보만을 취득하였던 방법에 비해, 복조정보가 증가하여 이들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기회가 증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서보패턴정보 또는 위치정보의 다중화 수법에 의해, 상기 트랙밀도 증가에 기인하는 여러가지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억장치는 서보패턴을 가지는 자기기록 매체와, 자기기록 매체에 대해 정보의 기록과 판독을 행하는 자기헤드와, 서보패턴의 재생신호에서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복조하는 서보신호 복조회로를 포함하는 자기기억장치에서, 서보패턴의 재생신호는 자기헤드의 트랙폭 방향위치에 따라 진폭과 위상이 동시에 변화하는 복수의 부분신호를 포함하고, 서보신호 복조회로는 미리 유지하고 있는 재생신호의 주파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부분신호의 각각에 거의 일치하는 정현파 함수를 구하여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보복조회로는 각 부분신호의 진폭은 당해 부분신호에 적분처리를 가함으로써 구하고, 위상은 상기 정현파 함수의 위상에서 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혹은, 서보복조회로는 각 부분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상기 정현파 함수의 진폭과 위상에서 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서보복조회로는 진폭에서 얻어지는 정보와 위상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대해 다른 가중치를 더하여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복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트랙방향에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2개소의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자기헤드의 속도벡터를 얻을 수 있다. 헤드 진행방향의 속도벡터를 알면, 다음의 서보섹터에 이르기 전까지의 데이터위치에서, 헤드가 소정의 트랙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정보를 이용하면, 기록동작중에 외부에서의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여 그 결과 트랙의 건너 뜀이 예상 될 때, 기록동작을 금지함으로써, 인접 트랙의 데이터 파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억장치는 또, 서보패턴을 가지는 자기기록 매체와, 자기기록 매체에 대해 정보의 기록과 판독을 행하는 자기헤드와, 서보패턴의 재생신호에서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복조하는 서보신호 복조회로를 포함하는 자기기억장치에서, 서보패턴은 트랙 중심선의 양측에 트랙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한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턴은 각각 2종류의 위상상태의 패턴을 트랙폭 방향에 나란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서보패턴은 현행의 서보·트랙·라이터로 용이하게 형성이 가능하다. 패턴기록 시간도 종래의 서보패턴의 경우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억장치는 또, 서보패턴을 가지는 자기기록 매체와, 자기기록 매체에 대해 정보의 기록과 판독을 행하는 자기헤드와, 서보패턴의 재생신호에서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복조하는 서보신호 복조회로를 포함하는 자기기억장치에서, 서보패턴은 트랙 중심선의 양측에 트랙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한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턴은 각각 N(N은 3이상의 정수)종류의 위상상태의 패턴을 트랙폭 방향에 나란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서보패턴은 현행의 서보·트랙·라이터로 용이하게 형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억장치는 또, 서보패턴을 가진 자기기록 매체와, 자기기록 매체에 대해 정보의 기록과 판독을 행하는 자기헤드와, 서보패턴의 재생신호에서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복조하는 서보신호 복조회로를 포함하는 자기기록장치에서, 서보패턴은 트랙 중심선의 양측에 트랙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한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턴은 각각 트랙방향의 위상상태가 트랙폭 방향에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억장치는 또, 서보패턴을 가지고 트랙폭 방향으로 복수의 존으로 분할된 자기기록 매체와, 자기기록 매체에 대해 정보의 기록과 판독을 행하는 자기헤드와, 서보패턴의 재생신호에서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복조하는 서보신호 복조회로를 포함하는 자기기억장치에서, 서보패턴의 재생신호는 자기헤드의 트랙폭 방향위치에 따라 진폭과 위상이 동시에 변화하는 복수의 부분파형을 포함하고, 서보패턴 재생신호의 주파수는 존마다 다르며, 서보신호 복조회로는 각 존내에서 판독한 서보패턴 재생신호의 주파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부분신호의 각각에 거의 일치하는 정현파 함수를 구하여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서보패턴 재생신호의 주파수는 존마다가 아니라, 트랙마다 다르더라도 좋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서보패턴의 일예와 그 재생파형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서보패턴을 나타내는 도 1의 (a)에서, x축 방향은 자기헤드(10)의 주행방향, y축 방향은 자기헤드(10)의 트랙폭 방향이다. 이 예에서는 적어도 패턴(A, B)이 도시와 같이 x축 방향에서 보아 격자배치 되며, y축 방향으로 동일한 반복이 기록된다. 필요에 따라, 패턴(P)이 y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기록된다.
다음에, 각 패턴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패턴(A)은 주파수(f)로 y방향의 폭이 트랙피치(Tp)의 1/2인 「위상 1」의 패턴(11)과, 주파수(f), 폭(Tp/2), 「위상 2」의 패턴(12)을 y방향으로 나란하게 조합시킨 패턴이다. 파형은 예를 들면 올(all)(1)과 같은 주기성을 가진 것이 기록된다. 패턴길이(L)는 적어도 상기 파형의 2주기 이상이 기록되는 데에 충분한 길이 이다. 트랙(#N)의 중심선에 대해 패턴(A)과 격자배치 되는 패턴(B)은 주파수(f)로 y방향의 폭이 트랙피치(Tp)의 1/2인 「위상 3」의 패턴(13)과, 주파수(f), 폭(Tp/2), 「위상 4」의 패턴(14)을 y방향으로 나란하게 조합시킨 패턴이다. 패턴(B)의 파형과 패턴길이는 패턴(A)와 동일하다. 패턴(P)은 주파수(f)로 상기 패턴(11 ~ 14)과 동일한 파형이다. 패턴(P)의 위상은 「위상 1」~「위상 4」중 어느것과 일치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여기서, 상기 위상(1 ~ 4)은 등간격으로 연속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즉, 위상(1)과 위상(2)과의 위상차, 위상(2)과 위상(3)과의 위상차, 위상(3)과 위상(4)과의 위상차, 위상(4)과 위상(1)과의 위상차는 전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b)는 도 1의 (a)에 나타낸 패턴의 트랙(#N) 위를 자기헤드(10)가 이동했을 때, 자기헤드(10)에서 재생되는 재생파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패턴(P, A, B)의 재생파형은 이상적인 상태에서는 어느것이나 파형 구부러짐이 없는 정현파형으로 된다. 위상차(PA, PB)는 패턴(A) 재생파형 및 패턴(B) 재생파형의 패턴(P) 재생파형으로부터의 위상차이지만, 패턴(A) 재생파형과 패턴(B) 재생파형간의 위상정보는 PA- PB와 같이 차를 두는 것으로도 취득할 수 있는 즉, 패턴(P)을 통하지 않고 직접 패턴(A) 재생파형에 대한 패턴(B) 재생파형의 위상 어긋남으로서도 취득할 수 있으므로, 그 경우에는 패턴(P)이 불필요하게 된다. 단, 이 경우, 상기 위상(1)과 위상(2)의 위상간격과, 위상(3)과 위상(4)의 위상간격을 바꾸는 등의 연구가 필요하게 된다.
더욱이, 도 1의 (a)에 나타낸 서보패턴의 발전형으로서, 도 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A, B) 외에, 도 2의 경우와 동일한 위치에 패턴(C, D)을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패턴(C)을 구성하는 패턴(15, 16)의 위상은 각각 「위상 5」 「위상 6」이다. 동일하게 패턴(D)을 구성하는 패턴(17, 18)의 위상은 각각「위상 7」 「위상 8」이다. 「위상 5」 「위상 6」 「위상 7」 「위상 8」은 각각 「위상 1」 「위상 2」 「위상 3」 「위상 4」에 일치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도 1의 (d)는 도 1의 (c)에 나타낸 패턴의 트랙(#N)상을 자기헤드(10)가 이동했을 때, 자기헤드(10)에서 재생되는 재생파형 예이다. 패턴(P, A, B, C, D)의 재생파형은 이상적인 상태에서는 어느것이나 파형 구부러짐이 없는 정현파형이 된다. 위상차(PA, PB, …)는 패턴(A, B, …) 재생파형의 패턴(P) 재생파형으로부터의 위상차이지만, 각 패턴 재생파형간의 위상정보는 PA- PB와 같이 차를 두는 것으로도 취득할 수 있는, 즉 패턴을 통하지 않고 직접, 2개의 패턴 재생파형의 위상 어긋남으로서도 취득할 수 있으므로, 그 경우에는 패턴(P)은 불필요하게 된다. 단, 이 경우 상기 위상(1 ~ 4)의 위상간격과, 위상(5 ~ 8)의 위상간격을 바꾸는 등의 연구가 필요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서보패턴 외의 예와 그 재생파형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의 (a)는 서보패턴을 나타내고, 그 x축 방향은 자기헤드(10)의 주행방향, y축 방향은 자기헤드(10)의 트랙폭 방향이다. 이 예에서는 적어도 패턴(A, B)이 도시와 같이 x축 방향에서 보아 격자배치 되며, y축 방향으로 동일한 반복이 기록된다. 필요에 따라, 패턴(P)이 y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기록된다.
패턴(A)은 주파수(f)로 y방향의 폭이 트랙피치(Tp)의 1/3인 「위상 1」의 패턴(41)과, 주파수(f), 폭(Tp/3), 「위상 2」의 패턴(42)과, 주파수(f), 폭(Tp/3), 「위상 3」의 패턴(43)을 y방향으로 나란하게 조합시킨 패턴이다. 파형은 예를 들면 올(all)(1)과 같은 주기성을 가진 것이 기록된다. 패턴길이(L)는 적어도 상기 파형의 2주기 이상이 기록되는 데에 충분한 길이이다. 트랙(#N)의 중심선에 대해 패턴(A)과 격자배치 되는 패턴(B)은 주파수(f)로 y방향의 폭이 트랙피치(Tp)의 1/3인 「위상 4」의 패턴(44)과, 주파수(f), 폭(Tp/3), 「위상 5」의 패턴(45)과, 주파수(f), 폭(Tp/3), 「위상 6」의 패턴(46)을 y방향으로 나란하게 조합시킨 패턴이다. 패턴(B)의 파형과 패턴길이는 패턴(A)와 동일하다. 패턴(P)은 주파수(f)로 상기 패턴(41 ~ 46)과 동일한 파형이다. 패턴(P)의 위상은 「위상 1」~「위상 6」중 어느것과 일치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여기서, 상기 위상(1 ~ 6)은 등간격으로 연속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즉, 위상(1)과 위상(2)과의 위상차, 위상(2)과 위상(3)과의 위상차, 위상(3)과 위상(4)과의 위상차, 위상(4)과 위상(5)과의 위상차, 위상(5)과 위상(6)과의 위상차, 위상(6)과 위상(1)과의 위상차는 전부 동일한 것이 필요하다.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나타낸 패턴의 트랙(#N) 위를 자기헤드(10)가 이동했을 때, 자기헤드(10)에서 재생되는 재생파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패턴(P, A, B)의 재생파형은 이상적인 상태에서는 어느것이나 파형 구부러짐이 없는 정현파형이 된다. 위상차(PA, PB)는 패턴(A) 재생파형 및 패턴(B) 재생파형의 패턴(P) 재생파형에 대한 위상차이지만, 패턴(A) 재생파형과 패턴(B) 재생파형간의 위상정보는 PA- PB와 같이 차를 두는 것으로도 취득할 수 있는 즉, 패턴(P)을 통하지 않고 직접 패턴(A) 재생파형에 대한 패턴(B) 재생파형의 위상 어긋남으로서도 취득할 수 있으므로, 그 경우에는 패턴(P)은 불필요하게 된다. 단, 이 경우, 상기 위상(1)과 위상(2), 위상(3)의 위상간격과, 위상(4)과 위상(5), 위상(6)의 위상간격을 바꾸는 등의 연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 서보패턴의 발전형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턴(A, B)의 x방향 후방의 패턴(C, D)을 부가해도 좋다.
도 4에 나타낸 서보패턴은 도 1에 나타낸 서보패턴이 하나의 서보패턴을 트랙폭 방향(y방향)으로 2분할 한 것 인데에 대해, 3분할 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사고방식에서는 하나의 서보패턴을 트랙폭 방향(y)으로 N 분할 한 것(N은 자연수)을 생각 할 수 있다. 또한, N이 충분히 큰 수가 된 경우에는 다음에 도 5에서 설명하는 서보패턴과 거의 등가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서보패턴 외의 예와 그 재생파형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의 (a)는 서보패턴을 나타내고, 그 x축 방향은 자기헤드(10)의 주행방향, y축 방향은 자기헤드(10)의 트랙폭 방향이다. 이 예에서는 적어도 패턴(A, B)이 도시와 같이 x축 방향에서 보아 격자배치 되며, y축 방향으로 동일한 반복이 기록된다. 필요에 따라, 패턴(P)이 y축 방향에 연속적으로 기록된다.
패턴(A)은 주파수(f)로 예를 들면 #N - 1 트랙위치에서 「위상 1」의 상태, #N 트랙위치에서 「위상 2」의 상태와, y방향위치에 따라 위상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패턴이다. y방향의 패턴폭은 트랙피치(Tp)와 같다. 패턴길이(L)는 적어도 상기 파형의 2주기 이상이 기록되는 데에 충분한 길이이다. 트랙(#N)의 중심선에 대해 패턴(A)과 격자배치 되는 패턴(B)은 주파수(f)로 예를 들면 #N 트랙위치에서 「위상 2」의 상태, #N + 1 트랙위치에서 「위상 3」의 상태와, y방향위치에 따라 위상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패턴이다. y방향의 패턴폭은 트랙피치(Tp)와 같고, 패턴길이(L)는 적어도 상기 파형의 2주기 이상이 기록되는 데에 충분한 길이이다. 패턴(P)은 주파수(f)로 상기 패턴(A, B)과 동일한 정현파 파형이다. 패턴(P)의 위상은 「위상 1」~「위상 3」중 어느것과 일치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여기서, 상기 위상(1 ~ 3)은 등간격으로 연속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즉, 패턴(A)에서는 위상은 1에서 2의 상태로 일정하게 변화하고, 패턴(B)에서는 위상은 2에서 3의 상태로 일정하게 변화한다.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나타낸 패턴의 트랙(#N) 위를 자기헤드(10)가 이동했을 때, 자기헤드(10)에서 재생되는 재생파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패턴(P, A, B)의 재생파형은 이상적인 상태에서는 어느것이나 파형 구부러짐이 없는 정현파형이 된다. 위상차(PA, PB)는 패턴(A) 재생파형 및 패턴(B) 재생파형의 패턴(P) 재생파형에 대한 위상차이지만, 패턴(A) 재생파형과 패턴(B) 재생파형간의 위상정보는 PA - PB와 같이 차를 두는 것으로도 취득할 수 있는 즉, 패턴(P)을 통하지 않고 직접 패턴(A) 재생파형에 대한 패턴(B) 재생파형의 위상 어긋남으로서도 취득할 수 있으므로, 그 경우에는 패턴(P)은 불필요하게 된다. 단, 이 경우, 패턴(A)의 위상 1에서 2로의 위상간격과, 패턴(B)의 위상 2에서 위상 3으로의 위상간격을 바꾸는 등의 연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도 5의 (a)에 나타낸 서보패턴의 발전형으로서, 도 1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턴(A, B)의 x방향 후방에 패턴(A, B)에 유사한 패턴(C, D)을 배치해도 좋다.
도 6은 도 5의 (a)에 나타낸 서보패턴을 기록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자기디스크 드라이브의 평면도이다. 또, 도 6의 (b)는 자기디스크 드라이브에 구비되어 있는 자헤드에 의해 기록한 서보패턴의 궤적과, 서보패턴 기록용의 전용헤드에 의해 기록한 서보패턴의 궤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자기디스크 드라이브(61)는 스핀들모터(62)에 의해 회전구동 하는 자기디스크(63)와, 보이스코일 모터(VCM)(64)에 의해 지지부재(65)를 통해서 구동되는 자기헤드(66)에 의해 구성된다. 일반적으로는 자헤드에 의한 서보패턴 궤적(601)은 자기헤드(66)에서 도시와 같이 원호모양으로 기록된다. 서보기록 시의 측장방법이나 헤드를 보내는 방법에는 여러가지 있으며,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헤드 지지부재(65)의 일부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그 절대위치를 측장하면서 헤드(66)를 구동해 가는 방법이 있다.
도 5의 (a)에 나타낸 서보패턴의 기록에 있어서는, 이 자드라이브의 헤드(66) 외에, 서보패턴 기록용의 전용헤드(68)를 이용한다. 서보패턴 기록용 헤드(68)는 지지부재(67)에 지지되어, 그 기록헤드의 궤적(602)이 자헤드(66)에 의한 서보패턴 기록의 궤적에 대해 각도(θ)를 가지는 것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도 6의 (b)). 헤드(66)와 헤드(68)와는 동기를 취하면서, 예를 들면 도 5의 (a)에 나타낸 패턴(P)은 헤드(66)로 기록하고, 패턴(A, B)은 헤드(68)로 기록함으로써, 소망의 패턴을 기록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서보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외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에 설명하는 서보패턴 형성방법은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서보패턴을 자기헤드에 의해 자기기록적으로 형성하는 방법과 다르고, 리소그래피의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며, 도 7의 (a) ~ (h)에 작성프로세스를 자기디스크의 단면도에 의해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7의 (i)에 이 프로세스를 거쳐 최종적으로 얻어진 서보패턴의 사시도를 나타냈다. 이 방법은 도 1, 도 4, 도 5에 나타낸 서보패턴의 어느것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도 7의 (a) ~ (d)에서, 먼저 자기디스크에 서보패턴을 전사하기 위한 마스크를 형성한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기판(71)에 크롬층(72), 포토레지스트(73)를 각각 순서대로 도포한 마스크기판의 포토레지스트(73)측에서 소망의 서보패턴 형상에 레이저 광(74)으로 레이저 커팅을 행한다. 이 공정은 컴팩트 디스크 등의 스탬퍼(stamper)를 커팅 작성하기 위한 커팅장치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것을 현상하고, 크롬에칭을 행한다. 그러면, 도 7의 (b)의 공정현상되어 포토레지스트(73)가 없어진 부분이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칭되게 된다. 최종적으로 포토레지스트(73)를 제거제를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도 7의 (d)에 나타낸 소망의 마스크(75)를 얻는다.
다음에 도 7의 (e) ~ (h)에, 상기 마스크(75)를 이용하여 기판에 서보패턴을 전사하고 서보패턴 첨부의 자기디스크를 작성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7의 (e)에 나타낸 유리기판(76)은 자기디스크의 기판재료로 되는 것이며, 그 위에 포토레지스트(77)가 도포하고 있다. 여기에, 상기 마스크(75)를 통해서 조사광(78)을 조사하여 마스크(75)의 패턴을 포토레지스트(77)에 전사한다. 이것을 현상하고, 또 반응성 이온에칭으로 에칭하면, 도 7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기판(76)의 표면에 마스크패턴을 반영한 요철형상이 형성된다. 이것을 도 7의 (g)와 같이 레지스트를 제거하고 자성막(79)을 스퍼터링하여, 도 7의 (h)에 나타낸 자기디스크를 얻는다.
도 7의 (i)에서 패턴(P, A, B)의 평면형태(상면에서 본 형태)는 도 5의 (a)에 나타낸 것과 동등하다. 그러나, 도 7의 (i)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에서는 도 5의 (a)의 패턴의 검은 부분이 볼록부(凸부)(701)로 형성되며, 도 5의 (a)의 패턴의 흰 부분이 오목부(凹부)(702)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면형상을 가지는 자기디스크의 경우, 예를 들면 디스크 표면에 따라 한 방향으로 자계를 걸면 요철(凹凸)의 각부에서 공간 자계를 내도록 자화되어, 도 5의 (a)에 나타낸 자화패턴과 동일하게 서보패턴으로서 기능한다.
도 7에서는 마스크형성 프로세스를 설명했지만, 컴팩트 디스크와 같은 스탬퍼를 형성하여 사출성형의 프로세스에 의해 디스크기판을 만드는 것으로, 동일한 자기디스크를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7의 (e)에서는 투영노광의 설명도로 되어 있지만, 마스크와 디스크기판을 밀착시키는 밀착노광으로서도 좋다. 또한, 도 7의 (a)에서는 커팅에 레이저 광을 사용하고 있지만, 패턴 미세화의 관점에서, 전자 빔등의 단파장 빔을 이용해도 좋다. 또, 여기에서는 마스크를 통하여 자기디스크에 패턴을 전사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냈지만, 자기디스크에 레지스트 등을 도포하여 직접 레이저 커팅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서보패턴 재생신호를 복조하여 자기헤드의 위치신호를 취득하는 서보신호 복조회로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자기헤드에서 재생된 서보패턴 재생신호는 증폭기를 거쳐, 하나는 진폭검출계(81)로, 또 다른 하나는 위상검출계(82)로 보내진다. 진폭검출계(81)에서는 상기 신호를 전파정류하고, 다음에 적분연산을 행한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83)(진폭치)는 서보패턴 재생신호의 진폭치를 반영한 것이다. 여기서, 진폭검출계(81)에 입력하는 재생신호는 A/D 후의 디지털신호라도 좋고, 이 경우는 전파정류를 통하지 않고 디지털 적분연산을 행하면 좋다.
위상검출계(82)에서는 A/D 변환 후, 파형 샘플링, 파형 휘팅(fitting)을 행하여, 푸리에 계수를 산출, 그것을 근거로 파형의 위상치를 연산하는 것으로, 위상치(84)를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재생신호의 일파장에 대해서 예를 들면 8배의 오버 샘플링에 의해 파형을 취한다. 이때, 취하는 파형의 주파수에 맞추어 샘플링 주파수(fs)를 정해 둘 필요가 있다. 다시말하면, 서보신호 복조회로는 미리 샘플링 주파수(fs)라는 형태로 파형의 주파수정보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이산화 푸리에 급수에 의해 파형 휘팅을 행하여 푸리에 계수를 산출한다. 얻어진 푸리에 계수에서 위상치 연산을 행하여, 파형의 위상치(84)를 결과로서 얻는다. 위상검출계에서의 연산에 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1사이클(주기)당 이산적으로 취하는 수(오버 샘플수)를 8, 위치신호파형(P(n))의 상기 반복 수를 10으로 한다. 단, n은 파형을 취하는 점의 번호이다. P(n)를 푸리에 다항식 표현으로 나타내면, 다음의 〔수학식 7〕이 된다.
여기서, Ao, Am, Bm은 이산화 푸리에 계수, m은 이산화 푸리에 변환의 차수이다. 상기 푸리에 다항식은 이산화 푸리에 계수가 정해지면,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푸리에 계수 Ao, Am, Bm은 패턴 재생파형의 샘플링 데이터를 f(n)으로 하면, 〔수학식 8〕〔수학식 9〕〔수학식 10〕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하게는 1차(m = 1) 푸리에 계수 A1, B1을 구하는 것으로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위상검출의 경우에는 기준패턴으로부터의 위상차는 다음의 〔수학식 11〕으로서 구할 수 있다.
도 9는 서보패턴 재생신호를 복조하여 자기헤드의 위치신호를 취득하는 서보신호 복조회로 외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자기헤드에서 재생된 서보패턴 재생신호는 증폭기, A/D변환기를 거쳐, 그 일파장에 대해서 예를 들면 8배의 오버 샘플링에 의해 파형을 취한다. 이때, 취하는 파형의 주파수에 맞추어 샘플링 주파수(fs)를 정해 둘 필요가 있다. 다시말하면, 서보신호 복조회로는 미리 샘플링 주파수(fs)라는 형태로 파형의 주파수정보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이산화 푸리에 급수에 의해 파형 휘팅을 행하여 푸리에 계수를 산출한다.
얻어진 푸리에 계수에서 파형의 진폭치 연산 및 위상치 연산을 행하여, 각각 진폭치(91) 및 위상치(92)를 결과로서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학식 7〕에서 〔수학식 10〕까지의 연산의 흐름에 따라 푸리에 계수를 구한다. 가장 간단하게는 1차(m = 1)의 푸리에 계수(A1, B1)를 구하는 것으로 필요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진폭검출의 경우에는 진폭치(91)는 〔수학식 12〕와 같이 계산하고, 위상검출의 경우에는 기준패턴으로부터의 위상차(92)는 〔수학식 11〕과 같이 계산하여 각각 구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서보신호 복조회로에서 출력되는 진폭치(83)와 위상치(84), 도 9에 나타낸 서보신호 복조회로에서 출력되는 진폭치(91)와 위상치(92)는 각각 자기헤드의 위치신호(POS)를 표시하고 있다. 이것을 필요에 따라 배분함으로써, 선형인 하나의 위치신호를 얻는다. 진폭정보에 의한 위치신호와 위상정보에 의한 위치신호의 배분방법에 관해서,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나타낸 패턴(P, A, B)은 도 1, 도 3, 도 4, 도 5에서 이미 설명하고 있는 패턴이다. 도 8 혹은 도 9에 나타낸 서보신호 복조회로에서 A, B 패턴 재생신호를 패턴 복조한 결과를 진폭복조에 대해서는 SA, SB위상복조에 대해서는 PA, PB로 한다. 이때, 다음의 〔수학식 13〕에 표시하는 Q 및 〔수학식 14〕에서 표시하는 P가 진폭, 위상 각각의 포지션 신호가 된다.
각각의 포지션 신호(Q, P)는 도 10의 (b)에 나타낸 파형이 된다. 다음에 Q, P의 규격화 신호(Q#POS, P#POS)를 이하의 〔수학식 15〕〔수학식 16〕과 같이 산출한다. 식중, w는 진폭과 위상과의 신호레벨을 동등하게 하기 위한 가중치이다.
이와 같이 하여 구한 Q#POS, P#POS가 규격화 위치신호이며, 이들의 직선영역을 뽑아내어 위치신호로 사용한다(도 10의 (c)의 O에 끼워진 부분(화살표로 범위표시)). 규격화 신호는 또, 이하의 〔수학식 17〕〔수학식 18〕과 같이 산출하여도 좋다. 식중, n은 정수이다.
이와 같이 진폭과 위상 각각의 신호를 재생, 복조하여, 그것을 조합시켜 상보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선형성이 양호한 포지션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즉, 도 1의 (a) 혹은 도 1의 (c)에 나타낸 서보패턴, 도 4의 (a)에 나타낸 서보패턴, 도 5에 나타낸 서보패턴을 본 발명의 서보신호 복조회로에서 복조하여, 진폭정보와 위상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선형성이 좋고, 또 내(耐) 노이즈성능이 우수한 위치신호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재생파형의 진폭정보와 위상정보를 상보적으로 사용하면, 도 1의 (a) 등에 나타낸 패턴(A, B)으로 이루어지는 서보패턴에서 전영역의 선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도 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패턴(C, D)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패턴(A, B)으로 이루어지는 서보패턴을 사용하여, 선형성을 확보하면서 서보패턴의 전유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다시말하면, 데이터 영역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포맷 효율의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도 11에서, 본 발명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자기디스크장치에 외부에서 진동 혹은 충격이 가해져, 그 영향으로 자기헤드의 트랙킹에 건너 뜀이 생기는 경우, 서보복조신호로부터 그것을 예지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1의 (a)는 지금까지 설명한 패턴(P, A, B)에 더하여, A, B와 같은 패턴(A', B')을 반복 기록한 것이다. 자기헤드의 포지션 신호생성은 P, A, B 패턴을 이용하여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으로서 가능하다. 지금, 자기디스크장치의 외부에서 진동 혹은 충격이 가해져, 그 영향으로 자기헤드의 궤적이 화살표(11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움직였다고 한다. 이 경우, A, B 패턴에서 헤드 포지션을 산출하는 위치(112)와 A', B' 패턴에서 헤드 포지션을 산출하는 위치(113)와의 사이에서 δ1의 위치 어긋남 량이 생긴다. 이 위치 어긋남 량은 A, B 패턴과, A', B' 패턴에 의해 각각 복조되는 포지션 신호로 관측되고 있고, 한편, 위치(112)에서 위치(113)까지의 통과시간도 알 고 있으므로, 궤적(111)의 벡터의 방향과 크기를 계산 할 수 있다.
도 11의 (b)는 도 11의 (a)와는 다른 패턴 배치로, 동일한 효과를 얻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b)에 나타낸 패턴은 지금까지 설명한 패턴(P, A, B)에 R1, R2의 영역을 더한 것이다. 또한, 하나의 트랙상의 A와 R1, R1과 B와 R2는 각각 동일 패턴이며, 또, R1, R2의 영역은 트랙폭 방향에 걸쳐 연속한 패턴이다. 포지션 신호생성은 P, A, B 패턴을 사용하여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특히, 위상 패턴에 의한 포지션 신호는 P, R1을 이용하는 것으로도 가능하게 된다.
지금, 자기디스크장치에 외부에서 진동 혹은 충격이 가해져, 그 영향으로 자기헤드의 궤적이 화살표(11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움직였다고 한다. 이 경우, P, R1 패턴에서 헤드 포지션을 산출하는 위치(115)와, P, R2 패턴에서 헤드 포지션을 산출하는 위치(116)와의 사이에서 δ2의 위치 어긋남 량이 생긴다. 이 위치 어긋남 량은 P, R1 패턴과 P, R2 패턴에 의해 각각 복조되는 포지션 신호로서 관측되고 있고, 한편, 위치(115)에서 위치(116)까지의 통과시간도 알고 있으므로, 궤적(114)의 벡터의 방향과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도 11의 (a) 혹은 (b)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헤드 진행방향의 속도벡터를 알면, 다음의 서보섹터에 이르기 전까지의 데이터 위치에서, 헤드가 소정의 트랙상에 있는 지 여부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추정은 외부에서의 충격이나 진동이 기록동작 중에 발생한 경우에, 인접 트랙의 데이터를 파괴하여 버리는 위험성을 회피하기 위해 필요하게 된다. 데이터 영역에서의 헤드위치가 소정의 트랙상에 없는 것이 추정되면, 예를 들면 기록동작을 금지함으로써, 데이터의 파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자기디스크장치의 신회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서보정보 및 데이터영역의 포맷구성을 모식적으로 표시한 것이며, 도면의 좌우방향이 헤드 주행방향, 상하방향이 트랙폭 방향이다. 서보정보 구성의 일예로서, PLL부(121), 어드레스마크(AM)(122), 실린더번호 등(123), 지금까지 설명해 온 발명에 의한 서보마크(124)가 있으며, 그것에 데이터(125)를 더하여 1 서보섹터가 되고, 서보섹터가 반복되어 1개의 트랙을 구성한다. 서보섹터 반복의 회수는 50회에서 150회 정도이다.
지금, 상기 트랙이 수백 ~ 수천개 모여 존(N)을 구성한다. 디스크 내주에서 외주에 걸쳐, 존의 개수는 5 ~ 30 정도이다. 각 존에서의 PLL부(121), 어드레스마크(AM)(122), 실린더번호 등(123)에서의 패턴의 기록주파수는 f0에서 일정하다. 한편, 존(N, N+1, N+2 …)의 서보마크(124)의 기록 주파수는 각각 다르다. 각 존(N, N+1, N+2 …) 마다 다른 서보마크(124)의 기록 주파수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실린더번호(123)에 대응시켜, 각 존마다에서의 샘플링 주파수를 할당하는 테이블을 ROM등에 기록해 두고, 자기헤드가 억세스하는 실린더에 대해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함으로써, 존마다 기록 주파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주측 존의 기록 주파수는 높고, 내주측 존의 기록 주파수는 낮은 쪽이 좋다. 또,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사고방식을 기초하여 기록 주파수를 정하는 것이 좋다. 면내 자기기록된 패턴의 재생파형은 헤드와 매체의 기록능력에 의해 비교적 기록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파형의 반치폭(半値幅)(PW50치)의 좁은 고립파가 된다. 기록 주파수를 올려, 기록밀도가 높게 됨에 따라, 파형은 저절로 정현파 형상에 가깝게 된다. 파형의 주파수 스펙터를 보면 고립파는 기본파 성분에 더하여, 제 2차 이후의 고조파 성분이 다수 관측된다. 한편, 위치신호 파형 복조시에는 고역이나 저역의 노이즈저감의 목적으로부터, 기본파 주변의 주파수만 여파(濾波)를 행하여, 고역의 성분을 커트하는 것이 통상 행하여진다. 이것으로부터 고역성분의 커트가 적고, 에너지 효율이 좋은 기록 주파수의 선택이 바람직하며, 그 값은 고립파를 기록했을 때의 반치폭(PW50치)의 약 3배가 파형의 기록주기(기록 주파수의 역수)가 되는 경우이다(IEEE Transaction on Magnetic, 32-5, 페이지 3899-3901(1996)). 따라서, 각 존에 고립파를 기록했을 때의 반치폭(PW50치)의 약 3배가 파형의 기록주기(기록 주파수의 역수)가 되도록, 각 존의 기록 주파수를 정하면 좋다. 이 방법에 의하면, 서보신호의 복조파형을 가장 에너지 효율이 좋은 상태에서 얻는 것이 가능하며, 위치신호의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위치결정 정밀도가 향상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사고방식은 존마다가 아니라 각 트랙마다 적용해도 좋다.
다음에 도 13 및 도 14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자기디스크장치 및 내부회로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에서의 자기디스크장치의 평면도를 도 13의 (b)는 (a)의 A- A' 단면을, 각각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자기헤드(131)는 헤드 지지부재(132)를 통해서, 보이스코일 모터(VCM)를 포함하는 헤드 액추에이터(133)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자기디스크(134)는 디스크 스핀들(135)을 통해서, 스핀들모터(136)에 의해 구동된다. 이상의 구성부품은 베이스(137)에 탑재되며, 커버(138)에 의해 밀폐된다. 또 기록·재생, 그 제어 및 자기헤드의 위치결정 제어, 전원제어, 데이터나 제어신호, 전력 등의 입출력은 회로기판(139)에 탑재된 회로에서 행해진다.
도 14는 상기 회로내부의 움직임을 모식적으로 표현한 기능 블록도이다. 자기 데이터정보(1311)를 시작으로, 제어신호(1312), 어드레스정보(1313)나 스테이터스 정보(1314), 전력(1315) 입출력은 인터페이스회로(1301)에 의해 입출력 제어되며, 자기 데이터정보(1311)는 기록/재생회로계(1302), 제어신호(1312)는 컨트롤러(1303), 어드레스정보(1313)나 스테이터스 정보(1314)는 위치결정 회로부(1304), 전력(1315)은 전력 컨트롤러(1305)에, 각각 입출력된다. 전력 컨트롤러(1305)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스핀들이나 각 회로가 구동(1316, 1317)되고, 위치결정 회로부(1304)로부터의 서보정보(1318)에 의해 헤드 액추에이터가 구동된다. 기록/재생회로부(1302)에서 자기디스크(1306)에 대해서, 자기헤드(1307)를 통해서 기록/재생정보(1319)가 주고받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위치결정 방법에 의한 위치, 속도정보(1320)는 위치결정 회로부(1304)에서 서보정보(1318)로 변환되는 것 외에, 제어정보(1321)는 컨트롤러로 보내져, 기록/재생회로부(1302)의 제어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기억장치의 트랙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재화되어 오는 위치신호의 비선형이나 신호대잡음비(S/N)의 저하, 외부로부터의 진동(외란진동) 내력의 저하 등의 트랙밀도 증가의 저해요인에 대해서, 보다 개선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고, 자기기억장치의 기억용량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헤드를 위치결정 하기 위한 서보패턴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다중화할 수 있다. 즉, 서보패턴이 가지는 진폭정보, 위상정보를 동시에 취득하여, 상호 보완하면서 유효하게 사용함으로써,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위치신호의 비선형은 특히 진폭검출방식에서 서보패턴의 폭과 재생헤드 트랙폭과의 부정합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인정되나, 비선형이 발생하기 쉬운 위치는 국소적인 부분에 한정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비선형을 발생하기 어려운 위상정보를 병합하여 취득하여 두고, 진폭정보와 위상정보를 보완하면서 사용하면, 위치신호의 비선형의 문제는 회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치신호 노이즈에 관해서는 상기 진폭정보와 위상정보를 조합시켜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보량이 충실하며 신호 S/N의 향상에 효과가 크며, 외란진동에 대해서는 위치정보를 검출하면서, 위상정보로부터 트랙폭 방향의 헤드의 속도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외란진동이 클 때 기록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이 빠른 단계에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0)

  1. 서보패턴을 가지는 자기기록 매체와, 상기 자기기록 매체에 대해 정보의 기록과 판독을 행하는 자기헤드와, 상기 서보패턴의 재생신호에서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복조하는 서보신호 복조회로를 포함하는 자기기억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보패턴의 재생신호는 상기 자기헤드의 트랙폭 방향위치에 따라 진폭과 위상이 동시에 변화하는 복수의 부분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서보신호 복조회로는 미리 유지하고 있는 상기 재생신호의 주파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부분신호의 각각에 거의 일치하는 정현파 함수를 구하여 상기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신호 복수회로는 각 부분신호의 진폭은 당해 부분신호에 적분처리를 가하는 것에 의해 구하고, 위상은 상기 정현파 함수의 위상에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신호 복조회로는 각 부분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상기 정현파 함수의 진폭과 위상에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신호 복조회로는 진폭에서 얻어지는 정보와 위상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대해 다른 가중치를 더하여 상기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트랙방향에 소정 거리만큼 떨어뜨린 2개소의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자기헤드의 속도벡터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억장치.
  6. 서보패턴을 가지는 자기기록 매체와, 상기 자기기록 매체에 대해 정보의 기록과 판독을 행하는 자기헤드와, 상기 서보패턴의 재생신호에서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복조하는 서보신호 복조회로를 포함하는 자기기억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보패턴은 트랙 중심선의 양측에 트랙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한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턴은 각각 복수의 위상상태의 패턴을 트랙폭 방향에 나란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억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상상태의 패턴은 2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억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상상태의 패턴은 N(N은 3이상의 정수)종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억장치.
  9. 서보패턴을 가지는 자기기록 매체와, 상기 자기기록 매체에 대해 정보의 기록과 판독을 행하는 자기헤드와, 상기 서보패턴의 재생신호에서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복조하는 서보신호 복조회로를 포함하는 자기기억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보패턴은 트랙 중심선의 양측에 트랙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한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턴은 각각 트랙방향의 위상상태가 트랙폭 방향에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억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패턴 재생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존마다 다르며, 상기 서보신호 복조회로는 각 존내에서 판독한 상기 서보패턴 재생신호의 주파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부분신호의 각각이 거의 일치하는 정현파 함수를 구하여 상기 자기헤드 위치신호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억장치.
KR1020000057634A 1999-10-08 2000-09-30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KR100661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845899A JP2001110027A (ja) 1999-10-08 1999-10-08 磁気記憶装置
JP99-288458 1999-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786A true KR20010050786A (ko) 2001-06-25
KR100661866B1 KR100661866B1 (ko) 2006-12-27

Family

ID=1773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634A KR100661866B1 (ko) 1999-10-08 2000-09-30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90729B1 (ko)
JP (1) JP2001110027A (ko)
KR (1) KR100661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8729B2 (en) 2006-03-28 2008-06-17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ic recording device and medium having mask patter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6328B1 (en) 1999-12-30 2002-12-17 Advanced Research Corporation Low inductance, ferrite sub-gap substrate structure for surface film magnetic recording heads
JP3877133B2 (ja) * 2001-02-16 2007-02-07 富士通株式会社 信号再生方法及び記憶装置
WO2003017276A1 (fr) * 2001-08-10 2003-02-27 Fujitsu Limited Procede permettant de detecter une position, enregistreur/reproducteur d'informations et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US6873487B2 (en) * 2001-11-26 2005-03-29 Imation Corp. Hybrid servopositioning systems
JP4080233B2 (ja) * 2002-05-07 2008-04-23 富士通株式会社 磁気記録装置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4209231B2 (ja) * 2003-03-26 2009-01-14 Tdk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及び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US7106544B2 (en) * 2003-05-09 2006-09-12 Advanced Research Corporation Servo systems, servo heads, servo patterns for data storage especially for reading, writing, and recording in magnetic recording tape
JP2005025820A (ja) * 2003-06-30 2005-01-27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媒体
US8144424B2 (en) 2003-12-19 2012-03-27 Dugas Matthew P Timing-based servo verify head and magnetic media made therewith
JP2005276292A (ja) * 2004-03-24 2005-10-06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転写用マスター担体および磁気転写方法並びに磁気記録媒体
WO2005109405A1 (en) 2004-05-04 2005-11-17 Advanced Research Corporation Intergrated thin film subgap/subpole structure for arbitrary gap pattern, magnetic recording head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453663B1 (en) * 2004-06-09 2008-11-18 Maxtor Corporation Disk drives with servo burst patterns radially offset in different radial spokes of a disk and methods of positioning based thereon
JP2006031848A (ja) * 2004-07-16 2006-02-02 Toshiba Corp 磁気ディスクおよびこれを備えた磁気ディスク装置
US7312939B2 (en) * 2005-02-25 2007-12-25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patterned media disk and related disk drive architecture for head positioning
JP4163696B2 (ja) * 2005-03-18 2008-10-08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ドライブ及びデータライト方法
US7209314B2 (en) * 2005-06-09 2007-04-24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Disk drive with phase-quadrature servo pattern and demodulated position error signal insensitive to timing and phase-misalignment errors
US7791834B2 (en) 2006-08-14 2010-09-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ic head having a ratio of back gap width to front gap width in about a defined range
JP2008165918A (ja) * 2006-12-28 2008-07-17 Fujitsu Ltd サーボパターン書き込み装置、サーボパターン書き込み方法、サーボパターン読み取り装置、サーボパターン読み取り方法
US7502197B1 (en) 2007-02-06 2009-03-1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demodulating a time-based servo pattern
US7916415B1 (en) 2008-03-27 2011-03-2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decoding binary sequence from phases of servo bursts
US7710676B1 (en) 2008-03-27 2010-05-04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comprising gray code implemented with servo bursts
US8068301B2 (en) 2008-03-28 2011-11-29 Advanced Research Corporation Magnetic media formed by a thin film planar arbitrary gap pattern magnetic head
US7746595B1 (en) 2008-09-29 2010-06-2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comprising slanted line servo bursts having reverse polarity segments
US7746594B1 (en) 2008-09-29 2010-06-2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comprising slanted line servo burst sets offset radially
US7916416B1 (en) 2008-09-29 2011-03-2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comprising slanted line servo bursts having a varying tilt angle
WO2011014836A2 (en) 2009-07-31 2011-02-03 Advanced Research Corporation Erase drive systems and methods of erasure for tape data cartridge
JP2014059932A (ja) 2012-09-19 2014-04-03 Toshiba Corp 磁気ディスク装置および復調位置補正方法
US8848303B1 (en) 2013-05-13 2014-09-30 Kabushiki Kaisha Toshiba Disk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o demodulation
US8908303B1 (en) 2013-07-30 2014-12-09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for servo demodulation and disk storage apparatus
CN104658555A (zh) * 2013-11-25 2015-05-27 株式会社东芝 头位置解调方法及磁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9232A (en) 1983-06-27 1985-10-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hase modulated servo system
JPH0610472A (ja) 1992-06-25 1994-01-18 Ig Tech Res Inc 外壁構造
US5343340A (en) 1992-12-31 1994-08-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ital servo signal de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a partial-response maximum-likelihood (PRML) channel in a disk file
US5717538A (en) * 1995-01-20 1998-0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synchronous position error signal detector employing weighted accumulation for use in servo system
JPH09251736A (ja) 1996-03-15 1997-09-22 Sony Corp 磁気ディスク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
US5991104A (en) * 1996-11-27 1999-11-23 Seagate Technology, Inc. Using servowriter medium for quickly written servo-patterns on magnetic media
US6049438A (en) * 1997-03-07 2000-04-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digital servo information in a servo burs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8729B2 (en) 2006-03-28 2008-06-17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ic recording device and medium having mask pattern
KR100877654B1 (ko) * 2006-03-28 2009-01-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자기 기록 장치, 자기 기록 매체, 및 서보 정보 기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90729B1 (en) 2003-07-08
JP2001110027A (ja) 2001-04-20
KR100661866B1 (ko)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866B1 (ko)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US7161753B2 (en) Modulation of sidewalls of servo sectors of a magnetic disk and the resultant disk
JP427166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磁気記録媒体、磁気記録媒体製造用スタンパ
US7738213B2 (en) Magnetic disk medium, reticle an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4107497B2 (ja) 位置検出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装置
JP3705076B2 (ja) マスター情報担体を用いた垂直磁気記録媒体への磁気記録方法
US7522362B2 (en) Amplitude servo pattern,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patterned magnetic transfer master substrate us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003272142A (ja) 磁気転写用マスター担体
US64268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ase modulated servo positioning in a direct access storage device
JP3639943B2 (ja) 磁気記録媒体及び磁気ヘッド装置
JP2009146543A (ja) 記憶媒体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H1083640A (ja)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JP2012059329A (ja) 磁気記録装置
US20110170213A1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magnetic record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transfer master carrier
JP4473828B2 (ja) 磁気ディスクのフォーマット方法
JP2002373411A (ja) 磁気記録媒体およびその駆動装置
JP2006228347A (ja) 磁気ディスク製造方法
KR100740851B1 (ko) 헤드 위치 검출 방법 및 기록 매체 구동 장치
JP3694360B2 (ja) サーボ情報記録方法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
US20060082913A1 (en) Patterned master carrier for magnetic transfer,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004062984A (ja) ディスク、ヘッド、ディスク装置、およびディスクの製造方法
JPH08180350A (ja) 磁気記録媒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磁気記録装置
JP418553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磁気記録媒体、磁気記録媒体製造用スタンパ
JPS59191128A (ja) 磁気デイスク装置
JP2003016744A (ja) 磁気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