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681A - 디스크 어댑터 - Google Patents

디스크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681A
KR20010050681A KR1020000056892A KR20000056892A KR20010050681A KR 20010050681 A KR20010050681 A KR 20010050681A KR 1020000056892 A KR1020000056892 A KR 1020000056892A KR 20000056892 A KR20000056892 A KR 20000056892A KR 20010050681 A KR20010050681 A KR 20010050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isc
recording medium
adapter
shaped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네꼬다까유끼
요시무라하루또시
스즈끼아끼오미
사에구사시게루
스도마사꼬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50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68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11B17/0565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014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 G11B23/0021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disc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자체의 내주면 상에 수용하기 위한 디스크 어댑터는, 180 °또는 그 이상의 중심각의 호형 형상을 갖는 주 판부재와, 디스크 어댑터 상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주 판부재의 내주연의 반부 주연면 상에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디스크 어댑터 상에 그리고 이로부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장착 및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해진다.

Description

디스크 어댑터 {DISK ADAPTER}
본 발명은 디스크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정보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수행하게 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장착되게 되는 디스크 어댑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와 같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는 12 cm의 직경을 갖는 큰 직경형과 8 cm의 직경을 갖는 작은 직경형으로 나뉜다. 예를 들어 디스크 재생 장치 상에 작은 직경형의 CD를 사용하기 위해서, 작은 직경형의 CD는 때때로 디스크 어댑터 상에 장착되어 이와 함께 사용된다.
종래의 디스크 어댑터는, 실질적으로 환형 형상을 갖고, 다수의 보유편이 어댑터의 중심 쪽으로 편향력을 작용시키도록 디스크 어댑터의 내주연 상에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마련된 구조를 취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는 그 외주연과 결합되는 보유편들의 중심측 쪽으로의 편향력에 의해 유지된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크 어댑터에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어댑터 상에 장착하기 위하여, 디스크 어댑터의 내주면 상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배치하고, 주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관계로 마련된 다수의 보유편을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연과 결합시키는 작업이 필요했다. 한편, 디스크 어댑터로부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연과 다수의 보유편과의 결합을 해제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어댑터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했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어댑터 상에 장착하고 이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이 시간을 많이 필요로 하고 번거로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크 어댑터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어댑터 상에 장착하고 이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려고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자체의 내주면 상에 수용하기 위한 디스크 어댑터가 마련되는데, 상기 디스크 어댑터는, 180 °또는 그 이상의 중심각의 호형 형상을 갖는 주 판부재와, 디스크 어댑터 상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주 판부재의 내주연의 반부 주연면 상에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마련되는데, 상기 장치는, 자체의 내주면 상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수용하기 위한 디스크 어댑터를 삽입 위치로부터 물림 위치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수단과, 물림 위치로 반송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과,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장착 수단 상에 장착되었을 때 반송 수단이 디스크 어댑터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로 반송하도록 반송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도1은 도2 내지 도24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CD가 외부 하우징 안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2는 CD가 외부 하우징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디스크 재생 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3은 기부 유닛과 지지 기부 및 활주 레버 사이의 관계를 부분적으로는 단면으로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4는 여러 부재들의 배열 관계를 도시한 개략 수직 단면도.
도5는 제1 승강 부재의 정면도.
도6은 캠 부재의 정면도.
도7은 도8과 함께 조작 부재가 지지되게 되는 캠 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조작 부재가 눌려진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8은 조작 부재가 눌려진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9는 제2 승강 부재를 도시한 배면도.
도10은 커버를 도시한 배면도.
도11은 측판을 도시한 측면도.
도12는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13은 도14 내지 도19와 함께 디스크 재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초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14는 초기 상태를 부분적으로는 단면으로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15는 CD가 디스크 테이블과 디스크 클램프 사이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16은 CD가 디스크 테이블과 디스크 클램퍼 사이에 위치한 상태를 부분적으로는 단면으로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17은 CD가 물린 상태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18은 CD가 물린 상태를 부분적으로는 단면으로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19는 홀더가 CD로부터 발출되게 되는 위치로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20은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삽입 슬롯을 자동으로 폐쇄하기 위한 회로 구조를 도시한 블록 다이아그램.
도21은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삽입 슬롯을 자동으로 폐쇄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22는 디스크 어댑터의 정면도.
도23은 디스크 어댑터의 사시도.
도24는 디스크 어댑터의 변경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재생 장치
9 : 디스크 클램퍼
17 : 디스크 테이블
33 : 제2 승강 부재
34a : 결합 돌기
43 : 홀더
300 : 디스크 어댑터
300A : 디스크 어댑터
301 : 주 판부재
302 : 탈락 방지 부재
302b : 지지편
303 : 핑거 삽입 공간
400 : C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래에 설명할 실시예는 본 발명을 디스크 재생 장치에 적용한 예이다.
디스크 재생 장치(1)는 본체 섹션(2)과 이 본체 섹션(2)에 인접하게 배치된 도시되지 않은 스피커 섹션을 포함한다. 본체 섹션(2)은 외부 하우징(3)에 마련된 소정의 부재들과 기구들을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3)은 전방으로 개방되는 상자로서 형성된 하우징 부재(4)와, 이 하우징 부재(4)의 전방 상단부에 장착된 상부 패널(5)과, 상부 패널(5)의 전방면에 장착된 전방 패널(6)을 포함한다 (도1 및 도2 참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삽입 슬롯(5a)은 상부 패널(5)에 형성되어 있다.
전방 패널(6)은 하부면 상에 위치한 조작 패널 섹션(6a)과, 투명 재료로 형성되고 조작 패널 섹션(6a)의 상단부에 장착된 투명 패널 섹션(6b)을 포함한다 (도1 및 도2 참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여러 조작을 위한 조작 버튼(7, 7, …) 및 여러 표시 화상이 표시되게 되는 액정 표시 섹션(8)은 조작 패널 섹션(6a) 상에 배치된다. 디스크 클램퍼(9)는 투명 패널 섹션(6b)의 후방면의 중심부에 실질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1 및 도14 참조).
디스크 클램퍼(9)는 회전을 위해서 그리고 회전축 방향으로의, 즉 본체측 지지 섹션(10) 상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지지된 스테빌라이저(11)를 포함한다 (도1 및 도14 참조). 본체측 지지 섹션(10)은 전방 패널(6)에 고정된 디스크부(10a)와, 이 디스크부(10a)의 주연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부(10b)와, 원통부(10b)의 후방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향 플랜지부(10c)를 갖고, 자체의 후방면 상에 지지 구멍(10d)으로서 형성된 개구도 갖는다. 유인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보조 자석(12)은 디스크부(10a)의 후방면의 중심부에 고정된다.
스테빌라이저(11)는 실질적으로 디스크의 형태인 클램프부(11a)와, 이 클램프부(11a)의 내주연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부(11b)와, 원통부(11b)의 전방단 에지로부터 외향 연장되고 주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지지 돌기(11c, 11c)들을 갖는다. 유인부로서 마련된 철판(13)은 원통부(11b)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스테빌라이저(11)의 원통부(11b)는 본체측 지지 섹션(10)의 지지 구멍(10d)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다.
스테빌라이저(11)는 회전을 위하여 그리고 축방향으로의, 즉 지지 돌기(11c, 11c)가 본체측 지지 섹션(1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측 지지 섹션(10) 상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지지된다. 디스크 클램퍼(9)는 본체측 지지 섹션(10)의 디스크부(10a)가 전방 패널(6)의 투명 패널 섹션(6b)의 후방면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전방 패널(6)의 실질적인 중심부에 고정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서 사용되고 이후에 설명할 컴팩트 디스크(CD)의 물림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테빌라이저(11)는 보조 자석(12)에 유인되고 클램프부(11a)는 내향 플랜지부(10c)에 접촉하게 된다 (도14 및 도16 참조).
기부 유닛(14)은 외부 하우징(3)의 전방면 상에서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지지되고, 후방 부재(16)는 기부 유닛(14)의 전방면 부재(15) 상에 장착된다.
전방면 부재(15)는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판의 형태를 취하고, 그 중심부에 형성된 정렬 구멍(15a)을 갖는다 (도1 참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통과 구멍(15b)은 전방면 부재(15)의 정렬 구멍(15a)의 좌측단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1 참조).
디스크 테이블(17)은 전방면 부재(15)의 정렬 구멍(15a)에 배치된다. 디스크 테이블(17)은 도시되지 않은 스핀들 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디스크 테이블(17)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으로서 마련되고, 디스크 형태인 클램프부(17a)와 이 클램프부(17a)의 중심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피팅부(17b)를 갖고 있다. 자석(18)은 피팅부(17b) 내에 매립되어 있다. 자석(18)의 자력은 나중에 설명하는 디스크 클램퍼(9)의 보조 자석(12)의 자력보다 강하게 설정되어 있다.
디스크 테이블(17)은 클램프부(17a)의 전방면이 전방면 부재(15)의 전방면의 약간 전방으로 위치하는 상태에서 정렬 구멍(15a)에 배치된다 (도3 참조).
광 픽업(19)은 전방면 부재(15) 상에서의 좌우 방향 이동을 위하여 지지된다. 광 픽업(19)은 CD에 기록될 정보 신호의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재생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2축 작동기(20)는 광 픽업(19)을 위하여 마련된다. 광 픽업(19)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 2축 작동기(20)의 대물 렌즈(20a)가 전방면 부재(15)의 통과 구멍(15b)에 대응하는 관계로 이동된다.
후방 부재(16)는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취하고, 디스크 테이블(17) 및 광 픽업(19)을 후방으로부터 덮도록 전방면 부재(15)의 후방면 상에 장착된다. 한 쌍의 지지핀(16a, 16a)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마련되고, 후방 부재(16)의 대향 좌우측 면들로부터 연장된다.
지지 기부(21)는 기부 유닛(14)의 후방에 배치된다 (도3 및 도4 참조). 지지 기부(21)는 전후 방향으로 향한 지지면부(22)와, 이 지지면부(22)의 주연 에지 상에 일체로 마련된 프레임형부(23)를 포함한다. 지지면부(22)의 전방면은 전방측 지지부(24)로서 형성되고, 지지면부(22)의 후방면은 후방측 지지부(25)로서 형성된다.
한쌍의 안내핀(23a, 23a)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관계로 마련되고, 프레임형부(23)의 대향 좌우 측면들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며, 전방으로 개방되는 한쌍의 리세스(23b, 23b)는 안내핀(23a, 23a)들 사이에 형성된다.
한쌍의 지지 돌기(24a, 24a)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관계로 마련되고, 좌우 방향에서 전방측 지지 섹션(24)의 중심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지지축(25a)은 후방측 지지부(25)의 중심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삽입 구멍(22a)은 지지축(25a) 바로 아래에서 지지면부(22)에 형성된다.
작동 스위치(26)는 후방측 지지부(25)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작동 스위치(26)는 그 대향 측면들 상의 제2 검출 위치와 제3 검출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중심 제1 검출 위치에 대하여 피봇식 운동을 위해 작동한다. 작동 스위치(26)의 어떠한 동작도 취소되면, 작동 스위치(26)는 제2 검출 위치와 제3 검출 위치중 하나에서 작동하더라도 제1 검출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한다.
제1 승강 부재(27)는 전방측 지지부(24) 상의 상하 방향으로의 활주 이동일 위하여 지지된다 (도4 및 도5 참조).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관계로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지지 구멍(27a, 27a)은 제1 승강 부재(27)의 중심부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외향 연장되는 한쌍의 삽입 돌기(27b, 27b)는 상하 방향으로 중심부에서 제1 승강 부재(27)의 대향 좌우측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후방으로 돌출하는 결합핀(27c)은 제1 승강 부재(27)의 실질적인 중심부에 형성된다.
제1 승강 부재(27)는 지지 구멍(27a, 27a)에 삽입된 지지면부(22)의 지지 돌기(24a, 24a) 상에 그 지지 구멍(27a, 27a)에서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삽입 돌기(27b, 27b)는 프레임형부(23)의 리세스(23b, 23b)로부터 외향 돌출한다. 한편, 결합핀(27c)은 지지면부(22)에 형성된 삽입 구멍(22a)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캠 부재(28)는 디스크 형태이고, 그 전체 외주연 상에 형성된 기어부(28a)를 갖는 반면에, 지지 구멍(28b)은 그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4 및 도6 내지 도8 참조). 제1 캠홈(29)은 캠 부재(28)의 전방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캠홈(29)은 지지 구멍(28b) 주위에 위치하고 호형 형상을 취하는 비구동부(29a)와, 상기 비구동부(29a)에 접하고 곡면 형상을 취하는 구동부(29b)와, 구동부(29b)에 접하는 로킹부(29c)로 이루어져 있다 (도6 참조).
제2 캠홈(30)은 캠 부재(28)의 후방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캠홈(30)은 개시 단부(20a)와, 이 개시 단부(30a)에 접하는 조작부(30b)와, 조작부(30b)에 접하는 비조작부(30c)와, 비조작부(30c)에 접하는 말단 단부(30d)로 이루어져 있다 (도7 및 도8 참조).
개시 단부(30a)는 캠 부재(28)의 외주연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짧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30b)는 개시 단부(30a)로부터의 거리가 증가됨으로써 캠 부재(28) 쪽으로 변위되는 곡면의 형태이다. 비조작부(30c)는 지지 구멍(28b) 주위에 위치하고 호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말단 단부(30d)도 지지 구멍(28b) 주위에 형성되고 캠 부재(28)의 중심측을 향하여 볼록한 중간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개시 단부(30a)는 제2 캠홈(30)의 나머지 부분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의 형태인 스프링 정렬 구멍(28c)은 캠 부재(28)에 형성되고, 피팅 구멍(28d) 및 스프링 고정 구멍(28e)은 스프링 정렬 구멍(28c)의 인접부에서 캠 부재(28)의 여러 위치들에 형성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의 형태를 각각 취하는 한쌍의 지지 구멍(28f, 28f)은 캠 부재(28)의 소정 위치들에 형성되어 있다 (도6 참조). 또한, 견부의 형태인 제어부(28g)는 제2 캠홈(30)의 2개시 단부(30a)에 인접하게 캠 부재(28) 상에 형성된다 (도7 및 도8 참조).
조작 부재(31)는 캠 부재(28)의 후방면 상에서의 이동을 위하여 지지된다 (도7 및 도8 참조). 조작 부재(31)는 실질적으로 J형상의 판 형태이고, 증가된 폭을 갖는 리세스부(31a)로서 형성된 단부 부분을 갖는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축의 형태인 조작부(31c)는 리세스부(31a) 보다는 조작 부재(31)의 다른 부분(31b)의 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조작 부재(31)는 리세스부(31a)가 캠 부재(28)의 중심 쪽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을 위하여 캠 부재(28)의 지지 구멍(28f, 28f)에서 리세스부(31a)와 상기 부분(31b)에 지지된다.
조작 부재(31)가 캠 부재(28)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조작 부재(3c)는 캠 부재(28)의 피팅부(28d)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또한, 조작 부재(31)가 캠 부재(28)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스프링 정렬 구멍(28c) 내에 편향 부재로서 배치된 인장 코일 스프링(32)은 상기 부분(31b)의 단부 부분과 캠 부재(28)의 스프링 고정 구멍(28e) 사이에서 신장된다. 리세스부(31a)가 캠 부재(28)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이격되게 되는 방향으로의 편향력은 인장 코일 스프링(32)으로부터 조작 부재(31)에 인가된다. 캠 부재(28)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이격되는 방향으로 편향되는 조작 부재(31)는 그 리세스부(31a)에서 캠 부재(28)상에 형성된 제어부(28g)에 의해 편향된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조작 부재(31)는 인장 코일 스프링(32)에 의해 편향되지만 제어부(28g)에 의해 이동은 방지되며, 그 리세스부(31a)는 제2 캠홈(30)의 개시 단부(30a)의 내주연 측부를 덮는다 (도7 참조).
캠 부재(28)는 그 지지 구멍(28b)이 지지면부(22)의 지지축(25a) 상에 끼워진 상태에서 후방측 지지부(25) 상에서의 회전을 위해 지지되고, 조작 부재(31)는 그위에 지지된다. 도시되지 않은 구동 기어는 기어부(28a)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캠 부재(28)는 후방측 지지부(25) 상에 지지된다. 구동 기어는 전방 및 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로부터 이에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제1 승강 부재(27)의 결합핀(27c)은 캠 부재(28)의 제1 캠홈(29)에서의 활주 이동을 위하여 결합된다.
제2 승강 부재(33)는 기부 부분(34) 및 그 위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부(35, 35)를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장착된다 (도4 내지 도9 참조).
기부 부분(34)은 수직으로 연장된 사각형 형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 부분에 형성된 전방 연장 결합 돌기(34a)를 갖는다. 또한, 전방으로 돌출하는 외주연 벽(34b)은 기부 부분(34)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한쌍의 슬릿(34c, 34c)은 좌우 방향으로 기부 부분(34)의 상부 에지 및 하부 에지의 중심부들에 대응하는 외주연 벽(34b)의 위치들에 형성된다.
돌기부(35, 35)는 상하 방향으로 기부 부분(34)의 중심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35a, 35a)을 각각 갖고 있다.
제2 승강 부재(33)는 캠 부재(28)의 제2 캠홈(30)에서의 이동을 위하여 결합된 결합 돌기(34a)를 갖고, 캠 부재(28)의 회전 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커버(36)는 지지 기부(21)의 프레임형부(23) 상에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된다 (도4 및 도10 참조). 따라서, 캠 부재(28)와 제2 승강 부재(33)는 지지 기부(21)의 지지면부(22)와 커버(36)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커버(36)는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형상의 판 형태이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지지축(36a, 36a)은 커버(36)의 실질적인 중심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관계로 마련된다. 볼록한 한쌍의 호형 구멍(36b, 36b)은 커버(36)의 중심부에 대하여 좌우측 위치들에 형성된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돌기(36c)는 좌우 방향에서 커버(36)의 전방면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제2 승강 부재(33)의 슬릿(34c, 34c)은 제2 슬릿 부재(33)가 캠 부재(28)의 회전 시에 안내 돌기(36c)의 안내 하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 돌기(36c)에 결합된다.
피봇 부재(37, 37)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축(36a, 36a)을 중심으로 한 커버(36) 상에서의 피봇 운동을 위하여 커버(36)의 지지축(36a, 36a) 상에서 그 일 단부에 지지된다 (도10 참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결합축(37a, 37a)은 피봇 부재(37, 37)의 타단부들에 형성되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결합축(37b, 37b)은 피봇 부재(37, 37)의 중간부들에 형성된다.
피봇 부재(37, 37)들이 커버(36) 상에 지지되면, 제2 결합축(37b, 37b)은 커버(36)의 호형 구멍(36b, 36b)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피봇 부재(37, 37)들은 제2 결합축(37b, 37b)들이 호형 구멍(36b, 36b)들 내에서 이동하게 되는 범위 내에서 선회한다.
한쌍의 활주 레버(38, 38)는 이들이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대향 상하 단부들에 형성된 캠 구멍(39, 39)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3 참조). 각각의 캠 구멍(39, 39)은 상부 부분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수직부(39a)와 상기 상부 수직부에 접하게 형성되고 그 하단부 쪽으로 후방으로 변위된 경사부(39b)와, 경사부(39b)에 접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수직부(39c)로 이루어져 있다.
안내 구멍(40, 40)은 활주 레버(38, 38)의 캠 구멍(39, 39)들 사이의 위치들에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관계로 형성되고, 안내 구멍(40, 40)은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지지 구멍(41, 41)은 활주 레버(38, 38)의 실질적인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부 유닛(14)의 후방 부재(16)에 형성된 지지핀(16a, 16a)은 활주 레버(38, 38)의 캠 구멍(39, 39)에서의 이동을 위하여 결합되고, 지지 기부(21)의 프레임형부(23)에 형성된 안내핀(23a, 23a)은 안내 구멍(40, 40) 내에서의 활주 이동을 위하여 결합되어서, 기부 유닛(14)과 지지 기부(21)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도3 참조).
지지 기부(21)의 전방측 지지부(24) 상에 지지된 제1 승강 부재(27)의 삽입 돌기(27b, 27b)는 활주 레버(38, 38)의 지지 구멍(41, 41) 안에 삽입되고, 따라서 활주 레버(38, 38)는 제1 승강 부재(27)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하게 된다.
한쌍의 측판(42, 42)은 이들이 활주 레버(38, 38)를 덮는 방식으로 지지 기부(21)의 프레임형부(23)의 대향 측면들 상에 장착된다. 상하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안내홈(42a, 42a)은 측판(42, 42)의 외측면들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11 참조).
홀더(43)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결합된 디스크 보유 부재(44) 및 지지 부재(45)로부터 형성된다. 디스크 보유 부재(44)는 투명 재료로 제조된다 (도12 참조). 홀더(43)는 CD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디스크 보유 부재(44)는 한쌍의 전방판부(46, 46)와 한쌍의 측판부(47, 47) 및 보유부(48)로부터 단일 부재로서 형성된다.
전방판부(46, 46)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관계로 위치한다. 측판부(47, 47)는 이들이 전방판부(46, 46)의 외측 단부들로부터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보유부(48)는 전방판부(46, 46)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관계로 위치하고 외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변위되는 호형 형상을 각각 취하는 한쌍의 보유홈(48a, 48a)을 갖는다. 보유홈(48a, 48a)은 그들 사이에 리세스(48b)를 형성한다.
지지 부재(45)는 한쌍의 측부(49, 49)와 연결부(50)와 한쌍의 돌기(51, 51) 및 한쌍의 장착부(52, 52)로부터 단일 부재로 형성된다.
측부(49, 49)의 후방 에지들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결부(5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50a, 50a)은 연결부(50)의 대향 좌우측 단부들에 형성된다. 돌기(51, 51)들은 이들이 측부(49, 49)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하부 단부들에 내향 연장되는 안내홈(51a, 51a)을 각각 갖도록 형성된다. 장착부(52, 52)들은 이들이 측부(49, 49)의 전방 에지들로부터 외향 연장되고 디스크 보유 부재(44)의 측판부(47, 47)의 후방 단부들이 장착부(52, 52)의 단부들에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홀더(43)의 지지 부재(45)의 안내홈(51a, 51a)은 측판(42, 42)의 안내홈(42a, 42a)에서의 이동을 위하여 결합된다. 피봇 부재(37, 37)의 제1 결합축(37a, 37a)은 지지 부재(45)의 결합 구멍(50a, 50a)에서의 이동을 위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홀더(43)는 안내홈(51a, 51a)이 안내홈(42a, 42a)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피봇 부재(37, 37)의 피봇 운동 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에는 디스크 재생 장치(1)의 로딩 동작 및 방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작을 설명하는 데 주어진 설명 내용은 직경이 약 12 cm인 컴팩트 디스크(100)를 사용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먼저, 로딩 동작이 수행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3 및 도14 참조).
기부 유닛(14)의 지지핀(16a, 16a, …)은 활주 레버(38, 38)의 캠 구멍(39, 39, …)의 하부 수직부(39c, 39c, …) 내에 각각 결합된다. 지지 기부(21)의 안내핀(23a, 23a, …)은 활주 레버(38, 38)의 안내 구멍(40, 40, …)의 하단부들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기부 유닛(14)은 후방측 상의 이동 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기부 유닛(14)은 후방측 상의 이동 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부 패널(5)의 삽입 슬롯(5a) 바로 아래에 있지 않는다. 따라서, 삽입 슬롯(5a)이 개방 상태에 있고 사용자는 CD(100)를 삽입 슬롯(5a) 안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기부 유닛(14)이 후방측의 이동 단부에 있기 때문에, 디스크 클램퍼(9)의 철판(13)이 디스크 테이블(17)의 자석(18)에 유인되지 않고 철판(13)은 보조 자석(12)에 유인되어 스테빌라이저(11)가 본체측 지지 섹션(10)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CD(100)를 삽입하기 위한 충분한 크기의 공간이 스테빌라이저(11)와 디스크 테이블(17) 사이에 형성된다.
캠 부재(28)의 제2 캠홈(30)의 개시 단부(30a)는 캠 부재(28)의 회전 중심 바로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캠홈(29)의 비구동부(29a)의 개시 단부가 캠 부재(28)의 회전 중심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제2 승강 부재(33)의 결합 돌기(34a)는 제2 캠홈(30)의 개시 단부(30a)에 결합되어 상부측 상의 이동 단부에 위치한다. 그러면, 결합 돌기(34a)는 조작 부재(31)의 리세스부(31a)에 접촉하게 된다 (도7 참조). 따라서, 제2 승강 부재(33)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조작 부재(31)가 결합 부재(34a)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조작 부재(31)의 조작부(31c)는 작동 스위치(26)를 제2 검출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도7 참조).
제1 승강 부재(27)의 결합핀(27c)은 제1 캠홈(29)의 비구동부(29a)의 개시 단부에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1 승강 부재(27)는 상부측의 이동 단부에 위치한다.
피봇 부재(27, 27)의 제2 결합축(37b, 37b)은 제2 승강 부재(33)의 결합축(35a, 35a)의 내측 단부들에 결합되고, 제1 결합축(37a, 37a)은 홀더(43)의 결합 구멍(50a, 50a)의 내측 단부들에 결합된다. 피봇 부재(37, 37)들은 상방으로 개방되는 V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홀더(43)는 상부측의 이동 단부에 위치한다.
앞에서 설명한 초기 단계에서 CD(100)가 그 주요면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삽입 슬롯(5a) 안에 삽입되면, 홀더(43)의 보유 구멍(48a, 48a) 내에 위치하여 디스크 보유 부재(44)에 의해 보유된다 (도1, 도13 및 도14 참조). 그 다음에, 전방 패널(6) 상에 마련된 로딩용 조작 버튼(7)이 수동으로 눌려지면, 구동 모터가 회전하여 보유될 CD(100)의 로딩을 개시한다.
구동 모터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부재(28)가 전방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캠 부재(28)가 회전하면, 제2 캠홈(30)에 대한 결합 돌기(34a)의 위치는 변화하며 제2 승강 부재(33)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한편, 제1 승강 부재(27)의 결합핀(27c)은 제1 캠홈(29)의 호형 형상의 비구동부(29c) 내에서 이동하고, 따라서 제1 승강 부재(27)는 회전하지 않는다.
제2 승강 부재(33)는 이의 결합 돌기(34a)가 조작부(30b) 내에서 제2 캠홈(30)의 개시 단부(30a)를 지나 이동함으로써 하방으로 이동된다. 제2 승강 부재(33)가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결합축(37b, 37b)이 결합 구멍(35a, 35a)에 활주 결합되기 때문에 피봇 부재(37, 37)가 그의 단부들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그 다음에, 피봇 부재(37, 37)의 제1 결합축(37a, 37a)이 홀더(43)의 결합 구멍(50a, 50a) 내에 활주 결합되기 때문에, CD(100)를 자체 상에 보유하는 홀더(43)가 피봇 부재(37, 37)의 선회 운동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된다.
제2 승강 부재(33)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결합 돌기(34a)가 제2 캠홈(30)의 조작부(30b)의 말단 단부에 도달하면, 홀더(43)의 하방 이동이 일단 멈춘다. 이때에 CD(100)의 중심 구멍(100a)은 디스크 클램퍼(9)와 디스크 테이블 사이에 위치하여 CD(100)의 물림이 가능하게 되는 상태가 이루어진다 (도16 참조).
구동 모터가 계속 회전하여 캠 부재(28)를 회전시키고, 제2 승강 부재(3)의 결합 돌기(34a)는 제2 캠홈(30)의 비조작부(30c) 내에서 이동한다 (도15 참조). 비조작부(30c)가 캠 부재(28)의 회전 중심에 중심을 둔 호형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2 승강 부재(33)는 이동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홀더(43)가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제1 승강 부재(27)의 결합핀(27c)은 캠 부재(28)가 회전함으로써 제1 캠홈(29)의 비구동부(29a)로부터 구동부(29b) 내에서 이동된다. 결합핀(27c)이 구동부(29b) 내에서 이동하면 제1 승강 부재(27)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제1 승강 부재(27)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삽입 돌기(27b, 27b)들이 활주 레버(38, 38)의 지지 구멍(41, 41)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활주 레버(38, 38)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기부 유닛(14) 상에 형성된 지지핀(16a, 16a)이 활주 레버(38, 38)의 캠 구멍(39, 39) 내에 활주 결합되기 때문에, 지지핀(16a, 16a)이 활주 레버(38, 38)의 하방 이동에 의해서 활주 레버(38, 38)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된다.
지지핀(16a, 16a)이 캠 구멍(39, 39)의 경사부(39b, 39b) 내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면, 기부 유닛(14)이 전방으로 이동된다. 기부 유닛(14)이 전방으로 이동되면, 디스크 테이블(17)은 디스크 클램퍼(9)에 도달하고 피팅부(17b)가 CD(100)의 중심 구멍(100a) 안에 삽입된다.
디스크 테이블(17)의 자석(18)이 디스크 클램퍼(9)의 보조 자석(12)의 자력보다 강한 자력을 갖기 때문에, 기부 유닛(14)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스테빌라이저(11)의 철판(13)이 자석(18)에 의해 유인되고 스테빌라이저(11)가 본체측 지지 섹션(10)으로부터 멀리 이격되고, 따라서 CD(100)가 디스크 테이블(17)의 클램프부(17a) 및 스테빌라이저(11)의 클램프부(11a)에 의해 보유되어서 CD(100)의 물림을 완료하게 된다 (도18 참조).
따라서, CD(100)가 디스크 클램퍼(9)와 디스크 테이블(17) 사이에 삽입되기 전에는 스테빌라이저(11)의 철판(13)이 본체측 지지 섹션(10)의 보조 자석(12)에 유인되고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스테빌라이저(11)가 본체측 지지 섹션(10)에 접촉하기 때문에, 스테빌라이저(11)가 CD(100)를 반송하면 CD(100)가 스테빌라이저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또한, 물림 시에는 철판(13)이 디스크 테이블(17)의 자석(18)에 유인되기 때문에 CD(100)의 로딩 동작, 방출 동작 및 물림 동작이 최적 상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CD(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형의 로딩 장치가 디스크 재생 장치에 마련된 경우에는, 스테빌라이저(11)가 본체측 지지 섹션(10)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놓이게 된다. 그러나, 물림이 수행되지 않았을 때 스테빌라이저(11)를 본체측 지지 섹션(10)에 접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적 상태의 로딩 동작, 방출 동작 및 물림 동작을 얻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또한, 디스크 재생 장치(1)에서는 물림이 수행되지 않았을 때 스테빌라이저(11)를 본체측 지지 섹션(10)에 대하여 최적 자세로 유지하기 위하여, 스테빌라이저(11) 상에 마련된 철판(13)은 본체측 지지 섹션(10) 상에 마련된 보조 자석(12)에 유인되고, 스테빌라이저(11)를 본체측 지지 섹션(10)에 대해 최적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기구가 특히 디스크 클램퍼(9) 주위에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방 패널(6)의 투명 패널 섹션(6b)을 보았을 때 외관이 양호하고 디자인 성능이 우수한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디스크 클램퍼(9)에서는 디스크 테이블(17)의 자석(18)의 자력보다 약한 자력을 갖는 보조 자석(12)이 본체측 지지 섹션(10) 상에 마련되기 때문에, CD(100)가 물리게 되면 철판(13)이 자석(18)에 확실하게 유인되어 물림 동작이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클램퍼(9)와 이 디스크 클램퍼(9) 쪽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디스크 테이블(17) 사이를 적절한 거리로 설정하는 것만에 의해서도 로딩 동작의 최적화가 달성될 수 있고, 설계가 용이하고 설계 자유도도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설명 내용에서는 철판(13)이 스테빌라이저(11)상에 마련되어 보조 자석(12) 또는 자석(18)에 유인되는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역으로 스테빌라이저(11) 상에 자석을 마련하고 본체측 지지 섹션(10) 및 디스크 테이블(17) 각각에 철판 등의 자성 금속 재료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보조 자석(12) 및 자석(18)이 디스크 재생 장치(1)의 철판(13)의 대향 측면들 상에 마련되는 경우에, CD(100)의 로딩 동작, 방출 동작 및 물림 동작의 최적 상태를 얻을 수 있고 두개의 자석들의 자력을 변경시키는 것만으로 설계도 간단해진다.
또한, 보조 자석(12)과 자석(18) 및 철판(13)의 크기 및 형상과 이들 사이의 거리는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적절한 설정에 의해서 물림이 수행될 때에는 CD(100)가 그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스테빌라이저(11)를 디스크 테이블(17) 측으로 최적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최적 설정이 얻어지고, 물림이 수행되지 않을 때에는 스테빌라이저(11)는 본체측 지지 섹션(10) 측으로 최적으로 설정된다.
CD(100)의 물림 동작이 수행되면, 기부 유닛(14)이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기부 유닛(14)이 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부 패널(5)의 삽입 슬롯이 기부 유닛(14)의 상부면부(14a)에 의해 하부측으로부터 폐쇄된다 (도18 참조). 따라서, 기부 유닛(14)의 상부면부(14a)가 삽입 슬롯(5a)을 개폐하기 위한 셔터로서 기능한다.
CD(100)의 물림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2 승강 부재(33)의 결합 돌기(34a)는 제2 캠홈(30)의 비조작부(30c)의 말단 단부에 결합되고, 제1 승강 부재(27)의 결합핀(27c)은 제1 캠홈(29)의 구동부(29b)의 말단 단부에 결합된다 (도17 참조).
구동 모터는 캠 부재(28)를 회전시키도록 계속 회전되고, 제2 승강 부재(33)의 결합 돌기(34a)는 제2 캠홈(30)의 말단 단부(30b) 내에서 이동하고, 제2 승강 부재(33)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1 승강 부재(27)의 결합핀(27c)이 제1 캠홈(29)의 로킹부(29c) 내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승강 부재(27)는 이동하지 않고 기부 유닛(14)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결합 돌기(34a)가 말단 단부(30d) 내에서 이동하고 제2 승강 부재(33)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홀더(43)가 재차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에, CD(100)가 디스크 클램퍼(9)와 디스크 테이블(17)에 의해 물리기 때문에, 홀더(43)가 이의 하방 이동에 의해서 CD(100)로부터 하방으로 후퇴된다 (도19 참조). 따라서, CD(100)는 홀더(43)의 간섭 없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놓이게 된다.
캠 부재(28)가 회전하고 결합 돌기(334a)가 말단 단부(30d) 내에서 소정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하면, 작동 스위치(26)가 조작 부재(31)의 조작부(31c)에 의해 제3 검출 위치로 작동되며, 이에 의해서 구동 모터에 정지 신호가 공급되어 구동 모터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전방 패널(6)의 재생용 조작 버튼(7)이 눌려지면, 스핀들 모터가 회전하여 디스크 테이블(17)을 회전시켜서 물린 CD(100)를 회전시키게 되고 광 픽업(19)을 구동 상태로 하여 CD(100)의 재생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전방 패널(6)의 재생 정지용 조작 버튼(7)이 눌려지면, CD(100)의 회전이 멈추고 광 픽업(19)의 구동이 정지하여 CD(100)의 재생 동작이 종료하게 된다.
CD(100)의 방출 동작은 앞에서 설명한 방향의 역으로 회전하는 구동 모터에 의해 수행된다. 전방 패널(6) 상에 마련된 방출용 조작 버튼(7)이 눌려지면 구동 모터가 회전하여 CD(100)의 방출이 수행된다.
구동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승강 부재(33)의 결합 돌기(34a)가 제2 캠홈(30)의 말단 단부(30d)로부터 비조작부(30c) 쪽으로 이동하고 (도17 참조), 제2 승강 부재(33) 및 홀더(43)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홀더(34)에 의해 물린 CD(100)의 보유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도18 참조).
또한, 캠 부재(28)가 회전하면 제1 승강 부재(27)의 결합핀(27c)이 제1 캠홈(29)의 구동부(29b) 내에서 비조작부(29C) 쪽으로 이동하고 기부 유닛(14)이 상방으로 이동한다 (도16 참조). 그러면, 기부 유닛(14)의 후방 이동에 의해서 디스크 테이블(17)의 자석(18)에 의한 스테빌라이저(11)의 철판(13)에의 유인이 해제되고, 철판(13)이 본체측 지지 섹션(10)의 보조 자석(12)에 유인되어 CD(100)의 물림이 해제된다.
기부 유닛(14)이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부면부(14a)에 접촉한 상부 패널(5)의 삽입 슬롯(5a)이 개방되어서 삽입 슬롯(5a)으로부터 CD(100)의 방출이 가능한 상태를 이룬다 (도16 참조).
또한, 캠 부재(28)가 회전하면 제2 승강 부재(33)의 결합 돌기(34a)가 제2 캠홈(30)의 조작부(30b) 내에서 개시 단부(30a) 쪽으로 이동하고, 제2 승강 부재(33) 및 홀더(43)가 재차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기부 유닛(14)의 상방 이동에 의해서 CD(100)가 삽입 슬롯(5)으로부터 방출된다 (도14 참조). 제2 승강 부재(33)의 결합 돌기(5a)가 개시 단부(30a)의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작동 스위치(26)가 조작 부재(31)의 조작부(31c)에 의해 제2 검출 위치로 작동하고, 구동 모터에 정지 신호가 공급되어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켜서 방출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디스크 재생 장치(1)에서, 전방 패널(6) 상에 마련된 로딩용 조작 버튼(7)이 눌려지면, 구동 모터가 회전하고 보유된 CD(100)의 로딩이 수행된다. 로딩은 삽입 슬롯(5a) 내에 삽입된 홀더(43)의 보유 홈(48a, 48a) 내에 위치한 CD(100)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초기 상태, 즉 CD(100)의 로딩 동작이 수행되기 전의 상태에서 CD(100)가 삽입 슬롯(5a) 안에 삽입되고 홀더(43)의 보유 홈(48a, 48a) 내에 위치한 CD(100)가 하방으로 눌려지면, 제2 승강 부재(33)가 홀더(43) 및 피봇 부재(37, 37)를 통해서 하방으로 조금 이동한다. 제2 승강 부재(33)가 하방으로 조금 이동하면, 제2 캠홈(30)의 개시 단부(30a)에서 조작 부재(31)의 눌려진 부분(31a)에 접촉하는 결합 돌기(34a)는 상기 부분(31a)을 하방으로 조금 누른다 (도8 참조). 그러면, 조작 부재(31)가 캠 부재(28)에 대하여 하방으로 조금 이동하고, 조작부(31c)에 의한 작동 스위치(26)의 제2 검출 위치로의 작동이 해제되고, 작동 스위치(26)가 제1 검출 위치로 오게 된다 (도8 참조).
작동 스위치(26)가 제1 검출 위치로 작동하면, 구동 모터에 구동 신호가 공급되어 구동 모터가 회전하고 앞에서 설명한 로딩 동작이 수행된다.
그 다음에, CD(100)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조작 부재(31)가 캠 부재(28)와 조작 부재(31) 사이에서 연장되는 인장 코일 스프링(32)의 편향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서 눌려진 부분(31a)이 캠 부재(28)의 제어부(28g)에 결합하여 조작 부재(31)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눌려진 부재(31a)가 제2 승강 부재(33)의 결합 돌기(34a)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위치로 조작 부재(31)가 확실하게 복귀되기 때문에, CD(100)의 누름에 의한 로딩 동작은 항상 최적으로 그리고 확실하게 개시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디스크 재생 장치(1)에서 CD(100)의 누름 시에 제2 캠 부재(28)의 제2 캠홈(30)을 형성하는 벽부는 결합 돌기(34a)에 의해 눌려지지 않지만 로딩 동작은 CD(100)가 눌려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작 부재(31)를 누름으로써 자동으로 개시된다.
따라서, 로딩 동작은 사용자가 CD(100)를 약한 힘으로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디스크 재생 장치(1)의 사용이 더 편리해진다. 또한, CD(100)를 누를 때 CD(100) 또는 디스크 재생 장치(1)의 홀더(43) 등의 다른 부재가 전혀 손상을 받지 않는다.
또한, 조작 부재(31)가 캠 부재(28) 상에서의 이동을 위해 지지되기 때문에 조작 부재(31)를 위한 정렬 공간이 작아도 되고 디스크 재생 장치(1)의 소형화가 더욱 가능해진다.
또한, 디스크 재생 장치(1)에서 CD(100)의 로딩 동작 및 물림 동작은 캠 부재(28)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회전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이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들 또는 기구들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기구의 간편화도 얻을 수 있다.
계속해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셔터, 즉 기부 유닛(14)의 상부면부(14a)에 의한 삽입 슬롯(5)의 개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크 재생 장치(1)에서 삽입 슬롯(5a)은 개방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기부 유닛(14)의 상부면부(14a)에 자동으로 폐쇄된다.
도20은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의 삽입 슬롯(5a)을 자동으로 폐쇄하기 위한 회로 구조를 도시한 다이아그램이다.
디스크 재생 장치(1)의 홀더(43)는 구동 모터(202)가 제어기(200)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모터 드라이버(201)를 통해서 회전됨으로써 상하로 이동된다. 제어기(200)는 조작 버튼(7, 7, …) 및 작동 스위치(26)의 작동에 응답하여 여러 신호들을 보낸다.
도21은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삽입 슬롯(5a)을 자동으로 폐쇄하기 위한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삽입 슬롯(5a)이 폐쇄되는 상태는 개시 시점으로서 사용되었다.
단계 S1: 방출 버튼(7)이 작동되면 제어기(200)로부터 모터 드라이버(201)를 통해서 구동 모터(202)에 방출 명령이 제공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202)가 회전하여 홀더(43)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방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단계 S2: 방출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기부 유닛(14)이 후방측 상의 이동 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삽입 슬롯(5a)이 개방되고 CD(100)가 삽입될 수 있는 상태가 이루어진다.
단계 S3: 작동 스위치(26)가 제2 검출 위치로 작동되고 구동 모터(202)의 회전이 정지하여 방출 동작을 완료하면, 제어기(200)에 의한 설정 시간의 계수가 개시된다. 이 설정 시간은 예를 들어 1분으로 설정된다.
단계 S4: 설정 시간 내에 삽입 슬롯(5a)의 폐쇄 명령이 나오지 않으면, 설정 시간의 계수가 계속된다. 폐쇄 명령이 나오면 단계 6의 폐쇄 동작, 즉 삽입 슬롯(5a)이 기부 유닛(14)의 상부면부(14a)에 폐쇄되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 폐쇄 명령은 로딩용 조작 버튼(7)이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제어기(200)로부터 나오며, 앞에서 설명한 이러한 로딩 동작은 폐쇄 명령에 응답하여 개시된다.
단계 S5: 제어기(200)에 의한 설정 시간의 계수가 0으로 되면 폐쇄 동작이 수행된다. 설정 시간의 계수값이 0이 아니면 폐쇄 명령이 나왔는지에 대한 검출이 수행되고 설정 시간의 계수가 계속해서 수행된다.
단계 S6: 폐쇄 동작이 수행된다. 특히, 동작 신호가 제어기(200)로부터 나오고 구동 모터(202)가 회전하여 홀더(43)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기부 유닛(14)이 후방측 상의 이동 단부로부터 전방측 상의 이동 단부로 이동하고 삽입 슬롯(5a)이 상부면부(14a)에 의해 폐쇄된다.
단계 S7: 캠 부재(28)의 회전에 의해서 작동 스위치(26)가 조작 부재(31)의 조작부(31c)에 의해 제3 검출 위치로 작동하고, 구동 모터(202)의 회전이 정지하여서 폐쇄 동작이 완료된다.
디스크 재생 장치(1)에서 삽입 슬롯(5a)은 삽입 슬롯(5a) 내에 CD(100)가 삽입되었는지와는 무관하게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폐쇄된다. 따라서, CD(100)가 삽입 슬롯(5a) 안에 삽입되면, 홀더(43)의 하방 이동과 기부 유닛(14)의 전방 이동이 수행되어서 CD(100)의 로딩 동작을 수행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삽입 슬롯(5a)을 폐쇄한다. 그러나, CD(100)가 삽입 슬롯(5a) 안에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홀더(43)의 하방 이동 및 기부 유닛(14)의 전방 이동이 수행되어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삽입 슬롯(5a)을 폐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크 재생 장치(10)에서는 삽입 슬롯(5a)이 소정 시간 경과 후에 폐쇄되기 때문에, 삽입 슬롯(5a)을 통한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과 CD(100)에 먼지 등이 고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디스크 재생 장치(1)의 기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부 유닛(14) 부분이 삽입 슬롯(5a)을 개폐하기 위한 셔터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별도의 셔터가 필요치 않아서 디스크 재생 장치(1)의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디스크 재생 장치(1)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삽입 슬롯(5a)은 CD(100)의 물림 동작 시에 기부 유닛(14)이 이동할 때 폐쇄되고 CD(100)의 물림 해제 시에 기부 유닛(14)이 이동할 때 개방되기 때문에, 삽입 슬롯(5a)이 필요에 따라 개폐되어 디스크 재생 장치(1)의 사용이 편리해지고, 먼지 등이 삽입 슬롯(5a) 안에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디스크 어댑터(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크 어댑터(300)는 CD(100)의 직경보다 작은 예를 들어 8 cm인 작은 직경의 CD(400)를 갖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수용하고, 디스크 재생 장치(10)에 사용된다.
디스크 어댑터(300)는 주 판부재(301)와 예를 들어 투명 수지 재료로 단일 부재로 형성된 탈락 방지 부재(302)를 포함한다 (도22 및 도23 참조).
주 판부재(301)는 실질적으로 환형인 판의 형태이며, 탈락 방지 부재(302)는 주 판부재(301)의 내주연 에지의 반부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위치설정 돌기(301a, 301a, 301a)는 주 판부재(301)의 외주연 에지의 반부 주연면 상에 주연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관계로 형성된다.
탈락 방지 부재(302)는 주 판부재(301)의 내주연 에지에 접하는 기부 부분(302a)과 이 기부 부분(302a)으로부터 내향 연장되는 지지편(302b, 302b, …)으로 이루어진다. 탈락 방지 부재(302)는 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주 판부재(301)보다 약간 큰 두께를 갖고 형성된다.
5개의 지지편(302b, 302b, …)은 주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관계로 형성되고, 두께 방향으로 기부 부분(302a)의 대향 단부들로부터 교대로 연장된다. 중심에 위치한 지지편(302b)은 중심에 위치한 위치설정 돌기(301a)에 대응하게 위치한다. 지지편(302b, 302b, …)은 두께 방향으로 지지편(302b, 302b)의 인접한 것들 사이의 거리가 CD(400)의 두께보다 약간 크도록 형성된다.
CD(400)는 그 외주연 에지가 지지편(302, 302b, …)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대향 측면들로부터 유지되도록 디스크 어댑터(300) 상에 장착되어 지지된다. CD(400)가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탈락 방지 부재(302)가 형성된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주 판부재(301)의 내주연 에지와 CD(400)의 외주연 에지 사이에 고정 치수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은 핑거 삽입 공간(303)으로서 기능한다 (도22 참조).
핑거 삽입 공간(303)이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가락을 핑거 삽입 공간(303) 안에 삽입하여 CD(400)를 디스크 어댑터(300)에 용이하게 장착하고 또 이로부터 CD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어댑터(300)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대향 측면들로부터 CD(400)를 지지하는 지지편(302a, 302a, …)이 주 판부재(301)의 내주연 에지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편(302b, 302b, …)들 사이에 CD(40)를 삽입하고 지지편(302b, 302b, …)들로부터 CD(400)를 발출함으로써 CD(400)의 장착 및 제거가 수행되며, CD(400)를 디스크 어댑터(300)에 장착하는 작업 또 이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해진다.
또한, 지지편(302b, 302b, …)이 간단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디스크 어댑터(300)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CD(400)가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 어댑터(300)는 중심에 위치하는 위치설정 돌기(301a)가 바닥부에 위치하게 되는 방식으로 디스크 재생 장치(1)의 삽입 슬롯(5a) 안에 삽입된다. 그러면, 삽입 슬롯(5a) 내에 삽입된 디스크 어댑터(300)는, 중심에 위치하는 위치설정 돌기(301a)가 홀더(43)의 보유부(48)의 리세스(448b) 내에 위치하고 대향 측면들에 위치한 위치설정 돌기(301a, 301a)가 보유부(48)의 상부 에지의 대향 좌우측 단부 부분에 위치하도록 홀더(43)에 대하여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로딩 동작은 앞에서 설명한 CD(100)에 대한 설명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러면, CD(400)를 무는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앞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제2 승강 부재(33)의 결합 돌기(34a)가 제2 캠홈(30)의 비조작부(30c)의 말단 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가 계속해서 회전하면, 결합 돌기(34a)가 말단 단부(30d) 내에서 이동하여 제2 승강 부재(33)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홀더(43)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에, CD(400)가 디스크 클램퍼(9)와 디스크 테이블(17)에 의해 물려 보유되기 때문에 홀더(43)의 하방 이동에 의해서 보유홈(448a, 48a) 내에 위치한 디스크 어댑터(300)가 CD(400)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하여 CD(400)를 간섭하지 않는 비간섭 위치로 오게 된다. 따라서, CD(400)는 디스크 어댑터(300)를 간섭하지 않고 회전되어 재생 동작을 수행한다.
이 방식의 디스크 어댑터(300)에서는 CD(400)가 디스크 어댑터(300)를 간섭하지 않는 비간섭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CD(400)는 디스크 어댑터(300) 상에 장착이 해제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CD가 디스크 어댑터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일체로 회전하는 다른 경우에 비해서 CD의 회전 평면을 벗어난 측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광 픽업(19)에 의한 CD(400) 상에 기록된 신호의 판독 성능이 양호해진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디스크 어댑터(300)에서는 탈락 방지 부재(302)가 주 판부재(301)의 반부 주연면 상에 마련되기 때문에, 종래의 디스크 어댑터에서와 같은 장착 및 제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내주연 상에 마련된 다수의 보유편들과 CD의 외주연 에지를 결합시킬 필요가 없고 이러한 결합을 해제할 필요가 없어서, CD(400)를 디스크 어댑터(300)에 장착하고 이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 짧은 시간만이 필요하므로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한, 디스크 어댑터(300)가 수직 로딩형의 디스크 재생 장치(1)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디스크 어댑터(300) 상에 CD(400)를 장착하거나 이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CD(400)를 디스크 어댑터(30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활주 이동시키기만 하면 된다. 또한, 디스크 어댑터(300)를 삽입 슬롯(5a)에 삽입하거나 이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CD(400)가 장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디스크 어댑터(300)를 파지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이 편리하다.
도24는 디스크 어댑터(300)의 변경예를 도시한다. 디스크 어댑터(300A)는 중심각이 180 °보다 큰 호형 형상으로 형성된 주 판부재(301A)를 포함한다. 또한, 갭이 주 판부재(301A)의 단부 에지들 사이에 주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갭은 핑거 삽입 공간(303A)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디스크 어댑터(300A)에서는 핑거 삽입 공간(303A)이 큰 공간으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CD(400)의 장착 및 제거가 더욱 용이하다.
상기 실시예와 관련한 설명에서 각 요소들의 특정 형상 및 구조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앞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것처럼, 자체의 내주연면 상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어댑터는, 180 °이상의 중심각을 갖는 실질적으로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갖는 주 판부재와,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기 위해 주 판부재의 반부 주연면의 내주연 에지 상에 형성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크 어댑터에서처럼 내주연 상에 마련된 다수의 보유편과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연 에지를 결합하기 위한 장착 및 제거 작업과, 결합을 해제하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어댑터에 장착하고 이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에 필요한 시간이 짧고 작업성도 양호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어댑터에서 디스크 테이블 상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하면, 디스크 어댑터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간섭하지 않는 비간섭 위치로 후퇴된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디스크 어댑터 상에 장착되어 디스크 어댑터와 일체로 회전하는 다른 경우에 비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회전 평면을 벗어난 측방향 이동이 방지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에 정보 신호를 기록하고 이로부터 판독하는 작업이 최적 상태로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어댑터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탈락 방지 부재 상에 지지되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파지할 수 있게 해주는 핑거 삽입 공간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으로 외주연 에지의 외측면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어댑터에 장착하고 이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은 손가락을 핑거 삽입 공간 안에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어댑터에서, 상기 디스크 어댑터는 주면이 실질적으로 수평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서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수행되도록 된 형태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사용된다. 따라서, 디스크 어댑터 상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장착하고 이로부터 제거하는 작업 시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어댑터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활주 이동시키기만 하면 된다. 또한, 자체 상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갖는 디스크 어댑터를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장착하고 그리고 이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어댑터를 파지하여 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어댑터에서는, 그 사이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디스크 기록 매체의 주면을 보유하는 방식으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기 위해 주 판부재의 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편이 탈락 방지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어댑터 상에 장착하고 이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다.
또한, 지지편들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디스크 어댑터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2)

  1.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자체의 내주면 상에 수용하기 위한 디스크 어댑터에 있어서,
    180 °또는 그 이상의 중심각의 호형 형상을 갖는 주 판부재와,
    디스크 어댑터 상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주 판부재의 내주연의 반부 주연면 상에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디스크 테이블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할 때 상기 디스크 어댑터는 디스크 어댑터가 디스크 테이블을 간섭하지 않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하게 되는 비간섭 위치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디스크 어댑터는 이 디스크 어댑터 상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에 정보 신호의 기록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재생을 수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홀더에 의해 물림 위치로 반송되고, 상기 물림 위치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는 디스크 테이블 상에 장착되고, 디스크 어댑터는 디스크 어댑터가 디스크 테이블을 간섭하지 않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하게 되는 비간섭 위치로 상기 홀더와 함께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어댑터.
  4. 제1항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디스크 어댑터의 지지부 상에 지지될 때 디스크 어댑터 및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연에 의해 핑거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어댑터.
  5. 제4항에 있어서, 디스크 어댑터의 주 판부재의 개방 단부가 핑거 삽입 공간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어댑터.
  6. 제1항에 있어서, 주 판부재가 환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어댑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의해 반송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주면이 수직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어댑터.
  8.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그 사이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주면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기 위해 주 판부재의 내주연의 반부 주연면 상에 마련된 다수의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어댑터.
  9. 제3항에 있어서, 디스크 어댑터의 외주면 상에 있는 위치설정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 돌기는 홀더에 의해 반송되는 디스크 어댑터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홀더 상에 형성된 리세스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어댑터.
  10.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자체의 내주면 상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수용하기 위한 디스크 어댑터를 삽입 위치로부터 물림 위치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수단과,
    물림 위치로 반송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과,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장착 수단 상에 장착되었을 때 반송 수단이 디스크 어댑터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로 반송하도록 반송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반송 수단이 자체 상에 형성된 리세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 어댑터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위치설정 돌기가 반송될 디스크 어댑터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리세스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주면이 수직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KR1020000056892A 1999-09-29 2000-09-28 디스크 어댑터 KR200100506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77448 1999-09-29
JP27744899A JP2001101821A (ja) 1999-09-29 1999-09-29 ディスクアダプタ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681A true KR20010050681A (ko) 2001-06-15

Family

ID=1758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892A KR20010050681A (ko) 1999-09-29 2000-09-28 디스크 어댑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74179B2 (ko)
JP (1) JP2001101821A (ko)
KR (1) KR20010050681A (ko)
CN (1) CN13000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513B1 (ko) * 2003-12-11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재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8600B2 (ja) * 2000-07-27 2003-06-23 オリエント測器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光ディスク用アダプタ−
TWI223238B (en) * 2001-02-13 2004-11-01 Orient Instr Comp Co Ltd Disk adaptor for use in a printer for printing a label on an optical disk
JP3832286B2 (ja) * 2001-08-03 2006-10-11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
JP3884644B2 (ja) * 2001-11-22 2007-02-21 株式会社ディーアンドエムホールディングス 光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005222600A (ja) * 2004-02-05 2005-08-18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ク挿入排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280A (ja) * 1993-07-07 1995-01-31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マガジン内蔵型プレーヤ用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およびその装置で用いられるディスクアダプター
US5844874A (en) * 1995-02-24 1998-12-0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c tray having a disc holding member
JP3045223B2 (ja) * 1996-10-04 2000-05-29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3001048B2 (ja) * 1997-04-30 2000-01-17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TW464041U (en) * 1998-03-20 2001-11-11 Benq Corp Mechanism for limiting removeable disk for optical disk drive
KR100318011B1 (ko) * 1998-08-03 2002-04-22 구자홍 광재생기기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513B1 (ko) * 2003-12-11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01821A (ja) 2001-04-13
CN1300065A (zh) 2001-06-20
US20020114255A1 (en) 2002-08-22
US6574179B2 (en) 200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4073B2 (en) Disc drive apparatus with insertion error inhibit means for recording media having different structures
KR960013775B1 (ko) 디스크 카트리지
US4730300A (en) Disc centering device for a disc playback device
JP2974868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およびディスク装置
EP0331389A2 (en) Assembly of a disc, a cartridge and an adapter and adapter therefore
KR20010050681A (ko) 디스크 어댑터
KR100417105B1 (ko) 기록매체 장착장치
US6345030B1 (en) Disk apparatus
JP3978951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20010050680A (ko) 디스크 클램퍼,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및 삽입된 기록매체를 로딩시키는 방법
JP2901847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EP0944071B1 (en) Positioning system for use in an information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JP2001101740A (ja) ディスククランパー
EP1357552B1 (en) Disk supporter, disk holder, and disk device
JPWO2002050827A1 (ja)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装置並びに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EP0944067B1 (en) Disc player
JP2630287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3546868B2 (ja) ディスク装置
JP2001101747A (ja) ローディング機構
JP2510509B2 (ja) デイスク再生装置のタ−ンテ−ブル装置
JP3415490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1023330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10208354A (ja) ディスク装置
JP2001167498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JPH10208355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