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402A - 농산물/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및 신선도 유지방법 - Google Patents

농산물/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및 신선도 유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402A
KR20010050402A KR1020000053423A KR20000053423A KR20010050402A KR 20010050402 A KR20010050402 A KR 20010050402A KR 1020000053423 A KR1020000053423 A KR 1020000053423A KR 20000053423 A KR20000053423 A KR 20000053423A KR 20010050402 A KR20010050402 A KR 20010050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freshness
products
organic acid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마요시히코
Original Assignee
고지마 아키로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마 아키로,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지마 아키로
Publication of KR2001005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40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6Preserving with chemicals
    • A23B9/24Preserving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9/30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4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4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7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6Preserving with chemicals
    • A23B9/18Preserving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6Preserving with chemicals
    • A23B9/24Preserving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9/26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농원예산물용 신선도 유지제는 유기산 및 탄산수소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기산은 바람직하게는 농원예산물로부터 발생된 물의 존재하에, 탄산가스가 서서히 발생되는 탄산수소염과 반응하는 유기산, 예를 들면 계피산, 벤조산 또는 시트르산 또는 그 유도체일 수 있다. 탄산수소염은 바람직하게는 탄산수소나트륨이다. 농원예산물의 신선도는 신선도 유지제가 농원예산물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의 존재하에 탄산가스를 서서히 발생되도록 농원예산물과 동일분위기 중에 공존시킴으로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농산물/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및 신선도 유지방법{FRESHNESS-RETAINING AGENT AND METHOD FOR AGRICULTURAL/HORT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이하 간단히 "농원예산물"이라고 함)용 신선도 유지제 및 농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각종 농원예산물의 수송 중 또는 저장 중에 일어나는 변색 및 유연화 등의 자동열화를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지연시켜, 농원예산물의 보존성을 높이고, 덧붙여 오염균에 의한 농원예산물의 품질저하를 예방하는 데에도 효과적인, 안정성이 높은 농원예산물용 신선도 유지제 및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신선도 유지제를 이용한 농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야채, 과일, 화훼 등의 농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기술이, 이들 시장에의 공급효율을 높일 필요성 때문에 여러 가지로 검토되어, 예를 들면, 저온저장, 가스농도의 조정과 냉장을 조합시켜 저장하는 CA(Controlled Atmosphere)저장, 필름에 의한 포장저장 등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앞의 두 방법은 저장을 위한 경비가 비싸다고 하는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도입이 곤란한 경우가 많고, 아직 실용적인 방법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 상기 필름에 의한 포장저장의 경우는, 간편한 CA효과를 꾀하는 것이지만, 본격적인 CA저장과는 달리, 필름 자체의 가스투과성에만 의존하는 방법으로, 과대한 기대는 할 수 없다.
비교적 염가로 농원예산물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다양한 신선도 유지제의 사용이 고려되고 있다. 원래, 농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는, 농원예산물의 신선도 열화의 원인이 되는 에틸렌의 제거가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신선도 유지제의 대부분은 에틸렌의 제거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그러나, 보다 광범위한 조건하에서 효과적인 농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불충분한 경우가 많다. 안전하고 또한 결정적으로 효과적인 농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에틸렌의 제거기능뿐만 아니라, 농원예산물의 품질열화의 원인인 오염균을 안전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성능을 더불어 가지는 신선도 유지제가 필요하다.
비교적 새로운 타입의 신선도 유지제 중에는, 에틸렌의 작용을 경쟁적으로 저해하는 탄산가스를 발생하는 신선도 유지제가 있으며, 그 효과가 주목받고 있다. 이들 탄산가스를 발생하는 신선도 유지제의 특징은, 입욕제의 탄산가스발생 메카니즘을 응용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탄산염 또는 탄산수소염과 산을 혼합하여, 탄산가스를 발생시켜, 농원예산물의 주변분위기의 탄산가스농도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신선도 유지제는, 고체산으로서 푸말산을 비롯한 수용성의 유기산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탄산가스의 발생반응이 급격하게 일어나, 바로 종료해 버린다. 그래서, 농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효과가 지속되지 않는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결점을 극복하여, 탄산가스를 소량씩 지속적으로 발생시켜, 농원예산물의 주변분위기의 에틸렌농도를 지속적으로 억제하면서, 그 위에 더욱 농원예산물의 녹색유지작용 및 항균작용도 효과적으로 발휘하여, 총합적으로 농원예산물의 지속적인 신선도 유지를 실현하는, 안전하고 확실한 신선도 유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유기산과 탄산수소염과의 혼합물을 신선도 유지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가 해결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유기산과 탄산수소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신선도 유지제의 사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선도 유지제는 높은 안전성을 가지는 에틸렌의 농도를 낮추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선도 유지 방법은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장시간 농원예산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농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의 효과적인 수단으로서는, 첫째로 농원예산물의 주변분위기에 있어서의 저(低)에틸렌농도의 유지, 둘째로 농원예산물의 오염균에 대한 예방적 조치, 셋째로 농원예산물의 녹색도의 유지를 들 수 있다.
농원예산물의 신선도 열화는, 농원예산물 자신이 발생하는 에틸렌에 기인한다고 생각되므로, 농원예산물의 신선도 열화를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법에 의해 농원예산물의 주변 분위기의 에틸렌 농도를 낮게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농원예산물의 신선도 열화에 부수적으로 일어나는 오염균의 발생이나 녹색도의 저하는, 농원예산물의 상품가치를 현저히 하락시킨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관점에서 각종 화합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유기산이, 농원예산물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의 존재하에 탄산수소염과 서서히 반응하여, 탄산가스를 조금씩, 장기간 방출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지속적인 탄산가스의 발생이, 농원예산물의 주변분위기의 에틸렌 농도를 억제하는 동시에, 유기산 자신이 가지는 항균 및 곰팡이방지작용에 의해, 농원예산물에 대한 오염균의 발생방지효과도 발휘된다.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에 있어서의 탄산가스의 발생에 관해서는, 기본적으로는 수계에 있어서의 유기산과 탄산수소염으로부터의 탄산가스발생반응을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유기산과 탄산수소염과의 혼합물을, 농원예산물의 주변분위기에 공존시킴으로써, 농원예산물에서 발산한 수증기 또는 그 결로수가 상기 혼합물과 접촉하고, 이들 수분에 의해 탄산가스가 서서히 발생한다.
탄산가스는, 일반적으로, 농원예산물에 대하여 에틸렌과는 상반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탄산가스가 농원예산물의 호흡을 억제하는 것이나, 에틸렌과 탄산가스는, 그 화학구조상 유사하기 때문에, 탄산가스가 에틸렌의 아날로그로서 에틸렌 작용을 경쟁적으로 저해하는 것 등이 원인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어느 쪽이든 탄산가스가 에틸렌의 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확한 농원예산물을 탄산가스 속에 저장하면, 그들의 저장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의 신선도 유지성은, 이하의 기구에 의해 발현되는 것으로 추측한다. 즉,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에 농원예산물에서 발산한 수분이 가해짐으로써 탄산가스가 서서히 발생하여, 이 탄산가스가 에틸렌의 발생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유기산으로서는, 계피산(페닐프로펜산) 또는 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계피산 또는 그 유도체 자체의 증기도, 에틸렌합성효소의 활성을 저해하고, 에틸렌의 발생을 억제한다. 상기의 2중 작용에 의해,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가 존재하는 분위기의 에틸렌 농도가, 효과적으로 감소한다고 생각된다. 또, 계피산 또는 그 유도체는 항균효과를 가지므로, 곰팡이나 세균의 오염에 의한 농원예산물의 품질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 에틸렌농도 저감효과와 항균효과가 함께 어우러져 현저한 신선도 유지성을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계피산 또는 그 유도체"란, 프로펜산(또는 아크릴산)의 3위의 탄소원자의 2개 수소원자중의 한쪽이 1개 또는 2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기에 의해 치환된 구조를 가진 하기의 식(1)로 나타내어진 화합물의 총칭이다.
식 중 X 및 Y는, 수소원자 또는 수산기 및 메톡시기 등의 치환기이며, X와 Y는 동일해도 좋고 다른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피산 또는 그 유도체는, 그 자신이 항균 및 곰팡이방지효과 및 에틸렌농도 저감효과를 가진 것이 바람직한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페룰릭산, 커피산, 시나픽산, p-쿠말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특히 식품첨가물인 계피산은 항균효과가 강하여 바람직하다.
계피산은, 일본 특개평 5-117125호 공보, 일본 특개평 9-154482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곰팡이 및 세균에 대한 억제효과를 가지고 있는 데에 더하여, 일본 특개평 9-154482호 공보, 일본 특개평 10-117680호 공보 등에 나타나 있는 대로, 에틸렌농도 저감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10-117680호 공보, 일본 특개평 10-273401호 공보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농원예산물의 클로로필의 열화를 억제하여, 싱싱한 녹색을 오래 유지하는 효과도 갖고 있다. 따라서, 계피산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기산으로서 사용하면, 최대의 신선도 유지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바람직한 유기산으로서는, 벤조인산 또는 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벤조인산의 유도체로서는, 그 자신이 항균 및 곰팡이방지효과가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바닐린산, 시링산(syringic acid) 및 살리실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벤조인산은, 항균효과가 강하고 식품첨가물이므로, 효과와 안전성의 양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바람직한 유기산으로서는, 아디핀산, 소르빈산, 니코틴산, 글루타민산, 이타콘산, 운데실렌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소르빈산, 니코틴산, 이타콘산, 운데실렌산 등은 효과가 장시간 유지된다. 또, 식품첨가물인 소르빈산, 니코틴산, 운데실렌산, 아디핀산 등은 안전성 면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바람직한 유기예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모노나트륨 또는 시트르산디나트륨이 사용된다. 이들 유기산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시트르산〉 시트르산모노나트륨〉 시트르산디나트륨의 순으로 탄산가스발생반응이 단시간에 일어나므로, 효과를 장시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트르산모노 또는 디나트륨인 쪽이 바람직하다. 또, 시트르산모노나트륨은, 비교적 염가로 산업상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우수한 실용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바람직한 유기산으로서는, 산성기 함유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산성기로서,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황산에스테르기 또는 인산에스테르기 등을 갖는 폴리머이면, 제조방법의 여하에 상관없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의 산성기를 가진 모노머의 단독중합체 및 이들 산성기함유모노머 및 그것과 공중합가능한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산성기를 갖지 않은 중합체에 후반응으로 산성기를 생성시킨 것 또는 도입한 것, 셀룰로오즈유도체, 전분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그러나, 물의 존재에 의해 탄산수소염과 서서히 반응하여 탄산가스를 방출시킬 수 있는 폴리머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산성기를 갖지 않는 중합체에, 후반응으로 산성기를 생성 또는 도입하기 위해서는, 이하와 같은 수순을 따라 후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의 경우에는, 그 산무수물기나 메틸에스테르기 등의 에스테르기를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생성시킬 수 있다. 또, 2중결합함유 중합체에 메르캅토기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등을 부가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도입할 수 있다. 황산에스테르기 또는 인산에스테르기는, 수산기함유 중합체와 황산 또는 인산을 반응시키는 것으로 생성시킬 수 있다. 술폰산기는, 중합체와 황산을 반응시키는, 중합체의 술폰화에 의해 도입된다.
산성기함유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푸말산 및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카르본산, 에틸렌술폰산 및 스틸렌술폰산 등의 술폰산기 함유모노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설페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산설페이트 등의 황산에스테르기함유 모노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산포스페이트 등의 인산에스테르기함유 모노머 등의 산성기 함유 모노머의 단독중합체 및 이들 산성기 함유 모노머 및 이것과 공중합가능한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공중합가능한 모노머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산성기 함유 폴리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이타콘산의 단독중합체; 이들 불포화카르본산과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스틸렌 및 에틸렌 등의 적어도 1종과의 공중합체, 이소부틸렌-무수말레인산 교대 공중합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전분; 폴리스틸렌술폰산; 폴리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포스페이트, 폴리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설페이트, 폴리(2-아크릴로일옥시에틸액시드설페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입수의 용이함 때문에 카르복실기 함유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산성기 함유폴리머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산성기 함유 폴리머중의 산성기의 함유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중에 산성기로서 1밀리당량(meq)/g(폴리머)이상이 바람직하다. 상한은 불포화카르복실산의 단독중합체의 경우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산수소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및 탄산수소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적어도 1종이 상기의 유기산의 적어도 1종과 조합시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의 사용형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의 유기산과 탄산수소염은, 필요에 따라 각종의 첨가제나 항균제, 곰팡이방지제의 1종 또는 그 이상으로 하는 동시에 분말체 또는 그 과립형상으로 하고, 혹은 적당한 담체에 담지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의 사용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준으로서는, 농원예산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농원예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중량부 정도의 비율이다.
또, 유기산과 탄산수소염과의 혼합비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으나, 유기산:탄산수소염과의 중량비가 1:0.1∼1:5의 범위일 때에 바람직한 신선도 유지효과가 발현되고, 특히 1:0.2∼1:0.5의 범위일 때에는 현저한 효과가 발현된다.
농원예산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농원예산물과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를 동일 분위기중에 공존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농원예산물과 신선도 유지제의 공존의 형태도 특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플라스틱 백에 양자를 넣거나, 혹은 골판지 박스에 직접 넣어진 농원예산물과 신선도 유지제를 컨테이너 속에서 공존시키는 등의 형태를 들 수 있다. 어느 쪽의 공존의 형태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의 사용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를 야채, 과일, 화훼 등의 농원예산물에 작용시키면, 유기산과 탄산가스가 가지는 에틸렌농도 저감효과에 의해, 농원예산물의 신선도 열화의 지연이 실현되는 동시에, 유기산이 가지는 항균 및 곰팡이방지성도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오염균이나 악취의 발생도 억제된다. 더욱이, 유기산으로서 계피산을 사용하면, 농원예산물의 클로로필의 열화도 억제되어, 농원예산물의 싱싱한 녹색이 유지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문장 중에서 '부'라고 하는 것은 특히 지적이 없는 한 분량기준이다.
실시예 l
신선한 사과(종류:무츠)조각 20g을 넣은 150ml용 나사입구 병의 각각에, 킴와이프(쥬조 킴벌리사 제품 실험용 페이퍼)에 둘러싼 계피산 3g, 계피산 1g과 탄산수소나트륨 2g과의 혼합물, 페룰릭산 2g과 탄산수소나트륨 1g과의 혼합물 및 대조품으로서 푸말산 1g과 탄산수소나트륨 2g과의 혼합물을 넣은 후, 병의 입구를 파라필름(상표명:American National Can 제품)으로 밀폐하였다. 이들 병을 23℃에서 방치하여, 1일 후, 3일 후 및 6일 후에 각 나사입구 병 속의 에틸렌 농도를 가스검지관(가스텍사 제조)으로써 측정하였다. 콘트롤로서 킴와이프만을 봉입한 나사입구 병 속의 에틸렌농도도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는, 신선한 사과가 존재하고 있는 분위기의 에틸렌농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진 것이 명백해졌고,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의 효과는, 대조품인 푸말산/탄산수소나트륨보다도 장기간 지속되는(6일 후의 에틸렌농도의 비교에 의해) 것이 명백해졌다.
[표 1]
(사과에 대한 에틸렌농도 저감효과)
신선도 유지제 에틸렌농도(PPM)(*)
1일 후 3일 후 6일 후
계피산 100 100 100
계피산/탄산수소나트륨 75 50 75
페룰릭산/탄산수소나트륨 100 75 90
푸말산/탄산수소나트륨 75 75 125
콘트롤 200 150 175
(주) (*) 에틸렌농도는 n=2 (n : 샘플 크기)로 행한 실험의 평균치이다.
실시예 2
신선한 사과(종류:무츠)조각 20g을 넣은 150m1용 나사입구 병의 각각에, 킴와이프(쥬죠 킴벌리사 제품 실험용 페이퍼)에 둘러싼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인 계피산과 탄산수소나트륨과의 혼합물(배합비율은 표 2에 기재) 3g를 넣은 후, 병의 입구를 페라필름으로 밀폐하였다. 이들 병을 23℃에서 방치하여, 1일 후, 3일 후 및 6일 후에 각 나사입구 병속의 에틸렌농도를 가스검지관(가스텍사 제조)으로써 측정하였다. 콘트롤로서 킴와이프만을 봉입한 나사입구 병 속의 에틸렌농도도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의 결과로부터, 에틸렌농도 저감효과는, 계피산과 탄산수소나트륨과의 혼합비율이 1:0.2∼1:0.5(중량비)일 때에 가장 현저한 것이 명백해졌다.
[표 2]
(혼합비율에 대한 에틸렌농도 저감효과)
신선도 유지제(g) 에틸렌 농도(ppm)(*)
계피산 탄산수소나트륨 1일 후 3일 후 6일 후
3.0 0 38 50 50
2.5 0.5 25 25 이하 75
2.0 1.0 38 25 이하 50
1.5 1.5 50 25 50
1.0 2.0 50 38 100
0.5 2.5 50 38 75
0 3.0 50 75 125
(주) (*)에틸렌 농도는 n=2 (n : 샘플 크기)로 행한 실험의 평균치이다.
실시예 3
신선한 사과(종류:무츠)조각 20g을 넣은 l50ml용 나사입구 병의 각각에, 킴와이프(쥬죠 킴벌리사제품 실험용 페이퍼)에 둘러싼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 0.5∼3g[계피산:탄산수소나트륨=1:2(중량비)]를 넣은 후, 병의 입구를 파라필름으로 밀폐하였다. 이들 병을 23℃에서 방치하여, 1일 후 및 3일 후에 각 나사입구 병 속의 에틸렌농도를 가스검지관(가스텍사 제조)으로써 측정하였다. 콘트롤로서 킴와이프만을 봉입한 나사입구 병 속의 에틸렌농도도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의 결과로부터, 에틸렌농도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의 첨가량은, 신선한 사과 20g에 대하여 0.5g 이상이지만, 1.5g 이상의 경우에 특히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분명해졌다.
[표 3]
(첨가량에 대한 에틸렌농도 저감효과)
신선도 유지제 첨가량(g) 에틸렌 농도(ppm)(*)
1일 후 3일 후
0.5 125 75
1.0 125 75
1.5 125 50
2.0 100 50
2.5 75 50
3.0 75 50
콘트롤 125 150
(주) (*) 에틸렌농도는 n=2 (n : 샘플 크기)로 행한 실험의 평균치이다.
실시예 4
신선한 사과(종류:무츠)조각 20g을 넣은 150ml용 나사입구 병의 각각에, 킴와이프(쥬죠 킴벌리사제품 실험용 페이퍼)에 둘러싼 3종류의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계피산:탄산수소염=1:3(몰비)와의 혼합물)을 표 4에 기재된 양으로 넣은 후, 병의 입구를 파라필름으로 밀폐하였다. 이들 병을 23℃에서 방치하여, 1일 후 및 3일 후에 각 나사입구 병속의 에틸렌농도를 가스검지관(가스텍사 제조)으로써 측정하였다. 콘트롤로서 킴와이프만을 봉입한 나사입구 병속의 에틸렌농도도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의 결과로부터, 3종류의 다른 탄산수소염을 사용한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는, 모두, 신선한 사과가 존재하고 있는 분위기의 에틸렌농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 명백해졌다.
[표 4]
(사과에 대한 에틸렌농도저감효과)
신선도 유지제(g) 에틸렌 농도(ppm)(*)
1일 후 3일 후
계피산/탄산수소나트륨(1.0/1.7) 125 75
계피산/탄산수소암모늄(1.0/1.6) 125 25
계피산/탄산수소칼륨(1.0/2.0) 150 50
콘트롤 150 125
(주) (*)에틸렌농도는 n=2 (n : 샘플 크기)로 행한 실험의 평균치이다.
실시예 5
신선한 사과(종류:무츠)조각 20g을 넣은 150ml용 나사입구 병에, 킴와이프(쥬죠 킴벌리사제품 실험용 페이퍼)에 둘러싼 3종류의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계피산 또는 그 유도체 2g과 탄산수소나트륨 1g의 혼합품)을 넣은 후, 병의 입구를 파라필름으로 밀폐하였다. 이들 병을 23℃에서 방치하여, 1일 후 및 3일 후에 각 나사입구 병속의 에틸렌농도를 가스검지관(가스텍사 제조)으로써 측정하였다. 콘트롤로서 킴와이프만을 봉입한 나사입구병 속의 에틸렌농도도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표 5의 결과로부터, 3종류의 다른 계피산 또는 그 유도체를 사용한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는, 모두, 신선한 사과가 존재하고 있는 분위기의 에틸렌농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진 것이 명백해졌다.
[표 5]
(사과에 대한 에틸렌농도저감효과)
신선도 유지제 에틸렌 농도(ppm)(*)
1일 후 3일 후
커피산/탄산수소나트륨 38 50
p-쿠말산/탄산수소나트륨 50 50
계피산/탄산수소나트륨 50 25
콘트롤 125 150
(주) (*)에틸렌농도는 n=2 (n : 샘플 크기)로 행한 실험의 평균치이다.
실시예 6
신선한 사과(종류: 무츠)조각 20g을 넣은 l50 ml용 나사입구 병의 각각에, 킴와이프(쥬죠 킴벌리사제품 실험용 페이퍼)에 둘러싼 3종류의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벤조인산과 탄산수소염과의 혼합물)을 표 6에 기재된 양을 넣은 후, 병의 입구를 파라필름으로 밀폐하였다. 이들 병을 23℃에서 방치하여, 1일 후 및 3일 후에 각 나사입구 병 속의 에틸렌농도를 가스검지관(가스텍사 제조)로써 측정하였다. 콘트롤로서 킴와이프만을 봉입한 나사입구 병속의 에틸렌농도도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표 6의 결과로부터, 3종류의 다른 탄산수소염을 사용한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는, 모두, 신선한 사과의 주변분위기의 에틸렌농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진 것이 명백해졌다.
[표 6]
(사과에 대한 에틸렌농도저감효과)
신선도 유지제(g) 에틸렌 농도(ppm)(*)
1일 후 3일 후
벤조인산/탄산수소나트륨(1.0/1.7) 125 75
벤조인산/탄산수소암모늄(1.0/1.9) 125 25
벤조인산/탄산수소칼륨(1.0/2.5) 150 50
콘트롤 150 125
(주) (*) 에틸렌 농도는 n=2 (n : 샘플 크기)로 행한 실험의 평균치
실시예 7
신선한 사과(종류:무츠)조각 20g을 넣은 150ml용 나사입구 병에, 킴와이프(쥬조 킴벌리사제품 실험용 페이퍼)에 둘러싼 본 발명의 2종류의 신선도 유지제(벤조인산 유도체 2g과 탄산수소나트륨 1g의 혼합물)을 넣은 후, 병의 입구를 파라필름으로 밀폐하였다. 이들 병을 23℃에서 방치하여, 1일 후 및 3일 후에 각 나사입구 병속의 에틸렌농도를 가스검지관(가스텍사 제조)로써 측정하였다. 콘트롤로서 킴와이프만을 봉입한 나사입구 병 속의 에틸렌농도도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표 7의 결과로부터, 2종류의 다른 벤조인산 유도체를 사용한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는, 모두, 신선한 사과의 주변분위기의 에틸렌농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진 것이 명백하다.
[표 7]
(사과에 대한 에틸렌농도 저감효과)
신선도 유지제 에틸렌 농도(ppm)(*)
1일 후 3일 후
바닐린산/탄산수소나트륨 38 50
시링산/탄산수소나트륨 38 25
콘트롤 125 150
(주) (*) 에틸렌농도는 n=2 (n : 샘플 크기)로 행한 실험의 평균치이다.
실시예 8
신선한 사과(종류: 무츠)조각 20g을 넣은 l50ml용 나사입구 병의 각각에, 킴와이프(쥬죠 킴벌리사제품 실험용 페이퍼)에 둘러싼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인 유기산 2g과 탄산수소나트륨 1g과의 혼합품을 넣은 후, 병의 입구를 파라필름으로 밀폐하였다. 이들 병을 23℃에서 방치하여, 1일 후, 3일 후 및 7일 후에 각 나사입구 병속의 에틸렌농도를 가스검지관(가스텍사제조)으로써 측정하였다. 콘트롤로서 킴와이프만을 봉입한 나사입구 병속의 에틸렌농도도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품은 신선한 사과가 존재하는 분위기의 에틸렌농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진 것이 명백해졌다.
[표 8]
(사과에 대한 에틸렌농도저감효과)
신선도유지제 에틸렌농도(ppm)(*)
1일 후 3일 후 7일 후
소르빈산/탄산수소나트륨 175 75 75
아디핀산/탄산수소나트륨 125 100 75
니코틴산/탄산수소나트륨 125 75 75
글루타민산/탄산수소나트륨 125 75 75
이타콘산/탄산수소나트륨 125 75 75
운데실렌산/탄산수소나트륨 125 75 75
콘트롤 275 175 150
(주) (*)에틸렌농도는 n=2 (n : 샘플 크기)로 행한 실험의 평균치이다.
실시예 9
신선한 사과(종류:무츠)조각 20g을 넣은 150ml용 나사입구 병의 각각에, 킴와이프(쥬죠 킴벌리사제품 실험용 페이퍼)에 둘러싼 시트르산, 시트르산모노나트륨, 시트르산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의 각각 3g 및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인 시트르산, 시트르산모노나트륨 또는 시트르산디나트륨 1.5g의 각각과, 탄산수소나트륨 1.5g과의 혼합품을 넣은 후, 병의 입구를 파라필름으로 밀폐하였다. 이들 병을 23℃에서 방치하여, 1일 후, 및 3일 후에 각 나사입구 병 속의 에틸렌농도를 가스검지관(가스텍사제)으로써 측정하였다. 콘트롤로서 킴와이프만을 봉입한 나사입구병 속의 에틸렌농도도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는 신선한 사과가 존재하는 분위기의 에틸렌농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진 것이 명백해졌다.
[표 9]
(사과에 대한 에틸렌농도저감효과)
신선도 유지제 에틸렌 농도(ppm)(*)
1일 후 3일 후
시트르산 275 125
시트르산모노나트륨 250 125
시트르산디나트륨 250 150
탄산수소나트륨 275 150
시트르산/탄산수소나트륨 100 100
시트르산모노나트륨/탄산수소나트륨 125 75
시트르산디나트륨/탄산수소나트륨 150 100
콘트롤 275 150
(*) 에틸렌 농도는 n=2 (n : 샘플 크기)로 행한 실험의 평균치이다.
실시예 10
신선한 사과(종류:무츠)조각 20g을 넣은 150ml용 나사입구 병의 각각에, 킴와이프(쥬죠 킴벌리사제품 실험용 페이퍼)에 둘러싼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인 시트르산모노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의 혼합품(혼합비율은 표 10에 기재) 3g을 넣은 후, 병의 입구를 파라필름으로 밀폐하였다. 이들 병을 23℃에서 방치하여, 1일 후, 3일 후 및 6일 후에 각 나사입구 병속의 에틸렌농도를 가스검지관(가스텍사 제조)으로써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표 10의 결과로부터, 에틸렌농도 저감효과는 시트르산모노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의 혼합비율이 1:1(중량비)일 때에 가장 현저한 것이 명백해졌다.
[표 10]
(혼합비율에 대한 에틸렌농도저감효과)
신선도 유지제(g) 에틸렌 농도(ppm)(*)
시트르산모노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1일 후 3일 후 6일 후
2.0 1.0 125 100 100
1.5 1.5 125 75 75
1.0 2.0 150 125 125
0 3.0 275 150 150
(주) (*) 에틸렌 농도는 n=2 (n : 샘플 크기)로 행한 실험의 평균치이다.
실시예 11
신선한 사과(종류:무츠)조각 20g을 넣은 150ml용 나사입구 병의 각각에, 킴와이프(쥬죠 킴벌리사제품 실험용 페이퍼)에 둘러싼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 0.5∼5g[시트르산모노나트륨:탄산수소나트륨=1:1(중량비)]을 넣은 후, 병의 입구를 파라필름으로 밀폐하였다. 이들 병을 23℃에서 방치하여, 1일 후 및 3일 후에 각 나사입구병 속의 에틸렌농도를 가스검지관(가스텍사 제조)으로써 측정하였다. 콘트롤로서 킴와이프만을 봉입한 나사입구 병 속의 에틸렌농도도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표 11의 결과로부터, 에틸렌농도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의 첨가량은, 신선한 사과 20g에 대하여 0.5g 이상이지만, 2.0g 이상인 경우에 특히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1]
(첨가량에 대한 에틸렌농도저감효과)
신선도 유지제의 첨가량(g) 에틸렌 농도(ppm)(*)
1일 후 3일 후
0.5 200 75
1.0 150 75
2.0 125 50
3.0 100 50
5.0 75 50
콘트롤 250 150
(주) (*)에틸렌농도는 n=2 (n : 샘플 크기)로 행한 실험의 평균치이다.
실시예 12
신선한 사과(종류:무츠)조각 20g을 넣은 150m1용 나사입구 병의 각각에. 킴와이프(쥬죠 킴벌리사제품 실험용 페이퍼)에 둘러싼 분말상태 폴리아크릴산과 탄산수소나트륨의 혼합품(혼합비율은 표 12에 기재)를 넣은 후, 병의 입구를 파라필름으로 밀폐하였다. 이들 병을 23℃에서 방치하여, 1일 후, 3일 및 7일 후에 각 나사입구 병 속의 에틸렌농도를 가스검지관(가스텍사제조)으로써 측정하였다. 콘트롤로서 킴와이프만을 봉입한 나사입구 병 속의 에틸렌농도도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신선도유지제는 신선한 사과가 존재하는 분위기의 에틸렌농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진 것이 명백해졌다.
[표 12]
(사과에 대한 에틸렌농도 저감효과)
에틸렌농도(ppm)(*)
1일 후 3일 후 7일 후
PAA/SHC(2g/1g) 125 75 75
PAA/SHC(1g/2g) 125 75 75
콘트롤 250 150 125
(주) (*) : n=2 (n : 샘플 크기)로 실시한 실험의 평균치
PAA : 폴리아크릴산
SHC : 탄산수소나트륨
실시예 13
폴리아크릴산을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2-메타크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70/ 30:중량비)로 대신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차가지로 한 신선도 유지제의 신선한 사과에 대한 에틸렌농도 저감효과를 확인한 바, 거의 실시예 12와 동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제는, 우수한 에틸렌농도저감기능을 발현하면서, 동시에 안전성도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신선도 유지방법은 높은 안전성을 가지며, 농원예산물의 신선도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가능하다.

Claims (14)

  1. 유기산과 탄산수소염을 포함하여 구성된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산이,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에서 발생하는 수분의 존재 하에서 탄산수소염과 반응하여 서서히 탄산가스를 발생시키는 유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산과 탄산수소염과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1:0.1∼1: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탄산수소염이, 탄산수소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산이, 계피산 또는 그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산이 p-쿠말산, 커피산 및 페룰릭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계피산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산이, 벤조인산 또는 그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산이, 바닐린산, 시링산 및 살리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벤조인산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산이, 소르빈산, 글루타민산, 니코틴산, 운데실렌산, 이타콘산 및 아디핀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유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산이, 시트르산, 시트르산모노나트륨 및 시트르산디나트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유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산이, 산성기를 갖는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산성기가,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황산에스테르기 또는 인산에스테르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13. 제 1 내지 제 1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신선도 유지제를,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과 동일분위기 중에 공존시켜,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의 존재 하에서 서서히 탄산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중량부의 신선도 유지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또는 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방법.
KR1020000053423A 1999-09-10 2000-09-08 농산물/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및 신선도 유지방법 KR200100504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726299 1999-09-10
JP257261 1999-09-10
JP25726199 1999-09-10
JP257262 1999-09-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911A Division KR100556020B1 (ko) 1999-09-10 2005-06-24 농산물/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402A true KR20010050402A (ko) 2001-06-15

Family

ID=265431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423A KR20010050402A (ko) 1999-09-10 2000-09-08 농산물/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및 신선도 유지방법
KR1020050054911A KR100556020B1 (ko) 1999-09-10 2005-06-24 농산물/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911A KR100556020B1 (ko) 1999-09-10 2005-06-24 농산물/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40654B1 (ko)
EP (1) EP1082906B1 (ko)
KR (2) KR20010050402A (ko)
CN (1) CN1123502C (ko)
CA (1) CA2317328C (ko)
DE (1) DE60030053T8 (ko)
ES (1) ES2269048T3 (ko)
TW (1) TWI22897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926A (ko) 2014-12-15 2016-06-24 주식회사 캅스 신선도 유지 및 탈취용 세라믹 구조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4895B2 (en) * 2001-12-19 2008-01-01 Csp Technologies, Inc. Thermoplas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O2 releasing material
US6797235B2 (en) * 2002-09-05 2004-09-28 Co2 Technologies, Inc. Device and methods for modifying an atmosphere
US20060003057A1 (en) * 2002-10-21 2006-01-05 Kelly Robert C Gas-release packet with frangible sub-packet
US20040200144A1 (en) * 2003-03-17 2004-10-14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Plant growth regulator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regulator
US20060233922A1 (en) * 2004-05-28 2006-10-19 Andrew Kegler Packaged flavor enhanced fruits or vegetables products with extended shelf-life for mass market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EP1655276A1 (en) * 2004-11-04 2006-05-10 Jan Overwater Effervescent tablet comprising a colorant
US20080070783A1 (en) * 2004-11-04 2008-03-20 Jan Overwater Effervescent tablet comprising a colorant
AR059270A1 (es) * 2006-03-24 2008-03-19 Olivera Nappa Alvaro Maria Formulaciones y metodos para dar valor agregado a productos vegetales aumentando la calidad comercial resistencia a factores externos y contenido de polifenoles de los mismos
US20070292568A1 (en) * 2006-06-14 2007-12-20 Kaufman Galen D Dynamic modified atmosphere package system
US7863350B2 (en) * 2007-01-22 2011-01-04 Maxwell Chase Technologies, Llc Food preserv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8178147B2 (en) * 2008-06-26 2012-05-15 Pepsico, Inc. Coumalic acid to inhibit non-enzymatic browning in teas
WO2011143564A1 (en) 2010-05-13 2011-11-17 Paper-Pak Industries Treatment system to prolong life of cut flowers
KR101253428B1 (ko) * 2011-03-17 2013-04-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항미생물제를 이용한 액상분유 제조방법
US9672952B2 (en) 2013-08-14 2017-06-0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olymer and conductive composition
CN103766329B (zh) * 2014-01-02 2016-02-03 河南科技大学 一种用于鲜花保鲜的复合涂膜剂及鲜花涂膜保鲜的方法
CN103843877A (zh) * 2014-02-25 2014-06-11 天津大学 利用水杨酸处理甜樱桃进行保鲜的方法
CN104286147A (zh) * 2014-10-20 2015-01-21 柳州市天姿园艺有限公司 一种保鲜剂
CN104381428A (zh) * 2014-10-20 2015-03-04 柳州市天姿园艺有限公司 一种果蔬保鲜方法
CN104304428A (zh) * 2014-10-20 2015-01-28 柳州市天姿园艺有限公司 一种保鲜剂的制备方法
CN104381431A (zh) * 2014-10-20 2015-03-04 柳州市天姿园艺有限公司 一种保鲜剂
CN104304429A (zh) * 2014-10-20 2015-01-28 柳州市天姿园艺有限公司 一种果蔬保鲜方法
CN105052897A (zh) * 2015-07-25 2015-11-18 安徽博发文化生态园有限公司 一种冬青固色保鲜方法
CN105052900A (zh) * 2015-07-25 2015-11-18 安徽博发文化生态园有限公司 一种冬青固色保鲜处理液
US20190112126A1 (en) * 2017-09-12 2019-04-18 Machinethinx Information Technology Llp Smart jar
CN107509805A (zh) * 2017-09-29 2017-12-26 雅安市猕猴桃产业技术研究院 一种猕猴桃天然保鲜防腐剂
CN108354001A (zh) * 2018-01-30 2018-08-03 丰琪世纪(北京)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果蔬保鲜方法及该果蔬保鲜方法中使用的保鲜盒
US10882295B2 (en) 2018-03-09 2021-01-05 Novipax Llc Absorbent fluff and tissue laminate pads for food packaging
EP3773921B1 (en) * 2018-06-04 2023-03-01 Unilever IP Holdings B.V. Preservation compositions
WO2019233752A1 (en) 2018-06-04 2019-12-12 Unilever Plc Preservation compositions
WO2019233757A1 (en) 2018-06-04 2019-12-12 Unilever Plc Preservation compositions
DE202022103097U1 (de) 2022-06-01 2022-06-24 Syed Rehan Ahmad Wasserkondensationssystem mit Kühlflüssigkeitstechnologie für die Keimung von Saatgut
CN116098146B (zh) * 2023-04-11 2023-07-07 云南建投物流有限公司 一种月季切花微环境的气调保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0919A (en) * 1948-12-03 1950-03-21 Louis Milani Foods Inc Sodium-free flavoring compositions
JPS537495B2 (ko) * 1973-05-21 1978-03-18
CH603038A5 (ko) * 1974-04-05 1978-08-15 Lonza Ag
US4032374A (en) * 1976-09-22 1977-06-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innamic acid containing pyrotechnic smoke composition
JPS56160938A (en) * 1980-05-13 1981-12-11 Toppan Printing Co Ltd Method of keeping freshness of vegetable or fruit
EP0205336B1 (en) * 1985-06-11 1991-09-11 Teijin Limited Oral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preparation
US5489399A (en) * 1994-11-02 1996-02-06 Rengo Co., Ltd. Carbon dioxide gas generating compositions
JP3392983B2 (ja) * 1995-04-12 2003-03-31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切花鮮度保持用発泡性顆粒製剤
US5958454A (en) * 1996-05-31 1999-09-28 R&D Ventures, Inc. Effervescent bath tablet compositions
IT1286788B1 (it) * 1996-11-28 1998-07-17 Docteur Nature S R L Composto naturale ad azione antibiotica ed analgesic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926A (ko) 2014-12-15 2016-06-24 주식회사 캅스 신선도 유지 및 탈취용 세라믹 구조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69048T3 (es) 2007-04-01
DE60030053D1 (de) 2006-09-28
EP1082906A2 (en) 2001-03-14
CN1123502C (zh) 2003-10-08
CA2317328C (en) 2008-01-08
DE60030053T8 (de) 2007-03-29
KR20050081181A (ko) 2005-08-18
US6340654B1 (en) 2002-01-22
CN1287958A (zh) 2001-03-21
EP1082906B1 (en) 2006-08-16
DE60030053T2 (de) 2006-12-07
EP1082906A3 (en) 2003-08-13
CA2317328A1 (en) 2001-03-10
KR100556020B1 (ko) 2006-03-03
TWI228973B (en) 200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6020B1 (ko) 농산물/원예산물의 신선도 유지방법
AU2020223668B2 (en) Stable percarboxylic acid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100243463B1 (ko)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것의 용도
ES2217033T3 (es) Procedimiento para preservar la actividad de la natamicina en soluciones acuosas.
JP4077145B2 (ja) 農産物・園芸産物の鮮度保持剤
TW201012378A (en) Humidity control for produce in a refrigerator
JP4077470B2 (ja) 農産物・園芸産物の鮮度保持方法
FI95195B (fi) Säilöntäaineseokset
WO1996024248A1 (en) Antimicrobic composition and its use
CN100353871C (zh) 颗粒凹凸棒酒精保鲜剂
JP2005287346A (ja) 農産物・園芸産物の冷蔵用鮮度保持剤及び冷蔵用鮮度保持方法
JP2005287444A (ja) 農産物・園芸産物の鮮度保持タブレット及び該タブレットを用いた鮮度保持方法
JP3096249B2 (ja) 植物性生鮮食料品の鮮度保持剤及び鮮度保持用塗料
JP2006129707A (ja) 鮮度保持用又は消臭用組成物、並びにその使用方法
JP2730497B2 (ja) 生ものの鮮度保持法
EP1214104B1 (en) Sterilising agents and methods
CN106538927A (zh) 农业或园艺产品用的保鲜剂及方法
JP3138418B2 (ja) 植物用鮮度保持剤及び植物の鮮度保持方法
FR2502497A1 (fr) Composition et procede de sterilisation par le formaldehyde
JPH11318406A (ja) 粒状鮮度保持剤
EP1571913A1 (en) Sulphur dioxide release coatings
JP2010207146A (ja) 収穫後農産物用硝酸低減剤および収穫後農産物の硝酸を低減化する方法
JP2000069904A (ja) 鮮度保持剤組成物
EP4136973A1 (en) Use of percarboxylic acid compositions
JPH0812502A (ja) 青果物・切花の鮮度保持用処理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527

Effective date: 2006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