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359A - 재봉틀의 새집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새집 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49359A KR20010049359A KR1020000026573A KR20000026573A KR20010049359A KR 20010049359 A KR20010049359 A KR 20010049359A KR 1020000026573 A KR1020000026573 A KR 1020000026573A KR 20000026573 A KR20000026573 A KR 20000026573A KR 20010049359 A KR20010049359 A KR 200100493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read
- needle
- upper thread
- plate
- cloth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05B29/08—Presser feet comprising relatively-movable part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효과적으로 새집을 방지할 수 있는 재봉틀의 새집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실절단장치(50,52)를 구비한 재봉틀에 있어서, 제 1바늘에 의해 천 뒷면으로 관통한 윗실단부를 고정하는 윗실단부 고정부재(56,58)를 천과 북 사이에 배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봉틀의 새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봉제가 끝날 때 바늘판과 북 사이에서 윗실과 밑실을 절단하는 실절단 기구는 종래부터 공지되었다. 도 12 및 13은 일반적인 실절단 기구가 있는 재봉틀의 봉제개시전 및 봉제중간의 봉제물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바늘(2)의 바늘구멍(4)에서 먼저 윗실(6)이 어느정도의 길이(통상은 30mm∼40mm)가 남는 상태에서 재봉틀이 정지한다. 이는 봉제시작의 솔기가 형성되지 않아 외관상 솔기가 튀어나와 보이는 현상, 또는 바늘구멍(4)에서 윗실(6)이 빠져버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어느 정도이상의 윗실잔여길이가 필요하여 실절단기구가 있는 재봉틀에 있어서는 윗실이 충분한 길이가 남도록 실절단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봉제가 개시되면 도 13과 같이 제 1바늘로 천(8)의 뒤쪽으로 관통한 상기 남겨진 윗실(6)은 제 2바늘, 제 3바늘,…로 봉제됨에 따라 이들 솔기가 얽히게 되어 외관상 좋지 않게 된다. 이는 봉제시작시 윗실을 길게 남기는 것으로 발생하는 부작용의 현상으로 얽힌 실의 상태를 「새집」이라고 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 부호 10은 밑실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윗실단부 고정장치가 제안된다. 이와같은 장치를 이용하면 봉제시작시 윗실(6)이 다른 솔기에 얽히지 않고 도 14와 같은 마무리가 된다. 도 15 및 도 16은 이와같은 윗실단부 고정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일본국 특공평 7-59268호 공보에 개시된 장치이다.
상하이동하는 바늘(2)에 의해 관통되는 천(8)은 누름발(14)에 의해 바늘(2)과 함께 위로 올라가지 않도록 눌리게 된다. 축(16)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는 암(18)의 선단에는 윗실포착부재(20)와 판스프링(22)이 부착된다.
실절단을 행할 때 까지 도 15와 같이 윗실포착부재(20)는 바늘(2)에서 떨어진 퇴피위치로 물러난다. 실절단동작이 종료되면 암(18)이 회동하여 윗실포착부재(20)는 도 16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포착위치까지 이동하고, 그 후 암(18)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5에 도시한 퇴피위치로 복귀한다. 윗실포착부재(20)의 선단은 갈고리모양으로 되어있어 이 왕복운동에 의해 바늘끝에 남은 윗실을 포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판스프링(22)은 윗실포착부재(20)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있어 도 15의 퇴피위치로 되돌아 갈 때 윗실포착부재(20)와 판스프링(22) 사이에서 윗실의 실단을 고정하고 있다.
봉제개시직전에 윗실포착부재(20)가 회전하여 바늘이 박히는 데 가까운 도 16의 실선의 대기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 봉제가 개시된다. 이 때도 윗실은 고정된 상태이다. 2∼3개의 바늘로 재봉이 진행되어 윗실이 단단히 밑실과 얽히면 윗실포착부재(20)는 도 15의 퇴피위치로 되돌아가고, 이 동안에 윗실포착부재(20)와 판스프링(22)의 위상차에 의한 어긋남으로 윗실이 개방되어 윗실포착부재(20)로부터 멀어진다. 이로써 천 뒤에 새집이 생기지 않고 또한 천 위에 남는 윗실을 짧게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윗실단부 고정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재봉틀에는 바늘이 박히는 부근의 천(8)을 누르기 위해 누름기구가 마련된다. 예를들면 도 15, 도 16의 경우는 누름발(14)로 천(8)을 눌러 상기한 윗실단부 고정장치와 같이 천(8)의 상측에서 윗실(6)을 포착하는 구성의 경우 윗실포착부재(20)의 대기위치를 바늘박히는 곳에 너무 가깝게 하면 이 누름발(14)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천(8) 위에는 항상 20mm정도의 윗실(6)이 남게 되어 봉제후 작업자가 이 남은 윗실(6)을 잘라낼 필요가 있어 대단한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 구두나 가방 등의 표면에 장식을 넣을 때 표면에 윗실(6)의 상단이 남아있으면 제품으로서 미관이 좋지 않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봉제후 작업자가 바깥쪽에 남은 윗실(6)을 뒤쪽으로 잡아당겨 빼내어 바깥쪽에서는 실단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대단한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자수재봉틀 등에 있어서는 천을 누르기 위한 누름기구로서, 천을 고정하면서 바늘위치에 대해 수평이동할 수 있는 누름틀이 마련된다. 이와같은 재봉틀에 있어서는 봉제모양이나 봉제물의 종류에 의해 누름틀의 형상이 다르고 봉제개시전의 바늘과 누름틀의 위치관계가 다르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한 윗실단부 고정장치와 같이 천(8)의 상측에서 윗실(6)을 포착하는 구성으로 이와같은 재봉틀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봉제공정이 바뀔때 마다 바늘이 박히는 부근에서 윗실을 고정하는 윗실포착부재(20)의 대기위치를 조정해야 하므로 대단한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윗실포착부재로 윗실을 고정할 때 고정력은 미묘한 조정을 필요로 한다. 예를들면 상기와 같은 구성의 윗실단부 고정장치의 경우, 제 1바늘의 윗실을 북으로 천뒤쪽으로 잡아 뺄 때 힘의 균형을 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의 종류나 봉제조건에 의해 제 1바늘의 윗실을 북으로 천 뒤쪽으로 잡아 빼는 힘은 여러가지 이다. 종래와 같은 판스프링(22)과 같은 탄성체로 윗실을 고정하는 기구에 있어서는 제 1바늘로 윗실을 고정할 수 없어 결국 새집이 생기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체를 강력한 것으로 바꾸면 윗실포착부재(20)가 퇴피위치로 되돌아갈 때에도 윗실단이 멀어지지 않고 역으로 천을 잡아 당기게 되어 봉제물에 주름이 생기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효과적으로 새집을 방지할 수 있는 재봉틀의 새집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누름기구의 위치나 형상에 따라 윗실포착부재의 위치조정 등을 행할 필요가 없는 재봉틀의 새집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윗실을 바늘이 박히는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포착함으로써 천 뒤에 남는 윗실단부의 길이를 짧게할 수 있는 재봉틀의 새집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윗실을 고정할 때 고정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재봉틀의 새집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절단 장치를 구비한 재봉틀에 있어서 제 1바늘에 의해 천뒷면으로 관통하는 윗실단부를 고정하는 윗실단부 고정부재를 천과 북 사이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새집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윗실단부 고정부재는 박판형상부재와 와이어형상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절단장치는 윗실과 밑실의 최소한 한쪽을 천의 하측에서 절단할 수 있으며, 상기 윗실단부 고정부재는 제 1바늘의 윗실관통을 기다리는 대기위치와, 윗실을 고정하는 고정위치와, 실절단장치와의 간섭을 피하는 퇴피위치의 3개의 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윗실단부 고정부재에 의한 윗실단부의 고정력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절수단이 마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새집 방지장치가 짜 넣여진 재봉틀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새집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의 바늘판의 부분을 밑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2의 M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새집 방지장치 동작의 타이밍챠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잡는 와이어 실린더가 OFF, 실잡는 판 실린더가 ON인 고정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있어 실잡는 와이어 실린더와 실잡는 판 실린더중 어느 하나가 OFF일 때 퇴피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있어 전자밸브A 및 전자밸브 B가 ON인 상태이고 또한 윗실이 실잡는 와이어와 실잡는 판 사이를 통과하고 있는 상태의 실잡는 판 및 실잡는 와이어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의 측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있어 전자밸브 A가 OFF, 전자밸브 B가 ON인 상태이고 또한 윗실이 실잡는 와이어와 실잡는 판에 의해 포착된 상태의 윗실과의 실잡는 판 및 실잡는 와이어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단면의 측면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있어 전자밸브 A가 OFF, 전자밸브 B가 ON인 상태이고 또한 천칭이 상사점에 이를 때의 윗실과 실잡는 판 및 실잡는 와이어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단면의 측면도.
도 10은 본 실시예의 전자밸브 A가 OFF, 전자밸브 B가 ON인 상태이고 또한 천이 보내질 때 윗실과 실잡는 판 및 실잡는 와이어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측면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새집 방지장치를 구비하는 재봉틀에 의한 솔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종래예에 의한 실절단 기구가 있는 재봉틀의 봉제개시전의 봉제물의 단면도.
도 13은 종래예에 의한 실절단 기구가 있는 재봉틀의 봉제중간의 봉제물의 단면도.
도 14는 종래예에 의한 윗실단부 고정장치를 이용한 재봉틀의 솔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종래예에 의한 윗실단부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종래예에 의한 윗실단부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바늘 4: 바늘구멍
6: 윗실 8: 천
10: 밑실 12: 바늘판
14: 누름발 16: 축
18: 암 20: 윗실포착부재
22: 판스프링 30: 재봉틀 테이블
32: 재봉틀 베드 34: 재봉틀 머리부
36: 누름틀 38: 밑판
40: 바늘봉 42: 봉제 바늘
44: 바늘판 46: 바늘구멍
48: 천다이 50: 이동메스
50C: 회전중심 52: 고정메스
54: 새집 방지장치 56: 실잡는 판(박판형상 부재)
56a: 선단부 58: 실잡는 와이어(와이어형상 부재)
58a: 선단부 60: 가이드판
62: 죠인트 64: 실잡는 와이어 실린더
66: 실린더 다이 68: 실잡는 판 실린더
70: 베이스판 72,74: 에어튜브
다음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 재봉틀 테이블(30) 위에 마련된 재봉틀 베드(32) 위에는 재봉틀 머리부(34)가 고정된다. 누름틀(36)은 봉제물을 누르기 위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아래판(38)은 누름틀(36)과 함께 봉제물을 끼운 상태에서 봉제모양에 맞춰 수평면 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재봉틀 머리부(34)에는 도시하지 않은 주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는 바늘봉(40)이 부착되고, 이 바늘봉(40)의 하단에는 재봉바늘(42)이 부착된다. 재봉틀베드(32) 위에는 바늘판(44)이 고정되고, 이 바늘판(44)에는 재봉바늘(42)이 하강시에 통과하는 바늘구멍(46)이 형성된다. 재봉틀베드(32)에는 다시 바늘판(44)과 대략 동일면에 위치하는 천다이(48)가 고정된다.
또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바늘판(44)의 하부에는 밑실을 수납한 보빈, 재봉바늘(42)의 하강시에 윗실루프를 포착하여 밑실과 얽히게 하는 북 기구, 봉제가 끝날 때 윗실과 밑실을 절단하는 실절단기구가 마련된다. 이 실절단기구에는 봉제개시전에 바늘끝으로 나오는 실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공지한 수단이 마련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 바늘판(44)의 뒷면에는 이동메스(50)와 고정메스(52)가 마련된다. 이 이동메스(50)는 봉제종료시에 회전중심(50C)의 둘레를 회동함으로써 그 선단부가 왕복이동하여 윗실과 밑실중 최소한 한쪽을 포착하고, 고정메스(52)는 이 이동메스(50)와의 맞물림에 의해 윗실과 밑실을 천의 하측에서 절단한다.
부호 54는 천다이(48)에 부착된 새집 방지장치로서, 박판형상의 실잡는 판(박판형상부재)(56)과, 이 실잡는 판(56)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피아노선에 의해 형성된 실잡는 와이어(와이어형상 부재)(58)와, 실잡는 판(56)에 고정되어 실잡는 와이어(58)의 탈락을 방지하는 가이드판(60)을 갖는다. 실잡는 판(56) 및 실잡는 와이어(58)는 윗실단부 고정부재를 구성한다. 실잡는 와이어(58)는 죠인트(62)를 통해 실잡는 와이어 실린더(64)에 접속되고, 이 실잡는 와이어 실린더(64)에 의해 구동된다. 실잡는 판(56) 및 실잡는 와이어 실린더(64)는 실린더다이(66)에 고정된다.
새집 방지장치(54)는 또한 천다이(48)에 고정된 베이스판(70)를 갖는다. 이 베이스판(70)에는 실잡는 판 실린더(68)가 고정된다. 실린더다이(66)는 이 실잡는 판 실린더(68)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 실잡는 판 실린더(68)의 구동에 의해 실린더다이(66)에 고정된 실잡는 판(56) 및 실잡는 와이어 실린더(64)도 함께 이동하지만 실잡는 판(56)은 이 이동에 의해 바늘구멍(46)에 대해 접근 및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실잡는 와이어 실린더(64)는 에어 튜브(72)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전자밸브 A에 접속된다. 실잡는 와이어 실린더(64)의 돌출측의 에어공급 경로 중간에는 감압밸브(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실잡는 와이어(58)의 구동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전자밸브 A가 ON일 때 실잡는 와이어 실린더(64)는 흡인상태가 되고, 도 7과 같이 실잡는 와이어(58)의 선단부(58a)가 실잡는 판(56)의 선단부(56a)에서 멀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전자밸브 A가 OFF일 때 실잡는 와이어 실린더(64)는 돌출상태가 되어 도 8과 같이 실잡는 와이어(58)의 선단부(58a)가 실잡는 판(56)의 선단부(56a)에 접근한 상태가 된다. 도 2 및 도 3은 전자밸브 A가 ON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잡는 판 실린더(68)는 에어튜브(74)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전자밸브 B에 접속된다. 이 전자밸브 B가 ON일 때 실잡는 판 실린더(68)는 돌출상태가 되고, 실잡는 판(56)은 바늘구멍(46) 근처에 접근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전자밸브 B가 OFF일 때 실잡는 판 실린더(68)는 흡인상태가 되고, 실잡는 판(56)은 바늘구멍(46)에서 멀어진 퇴피상태가 된다. 도 2 및 도 3은 전자밸브 B가 ON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있어 재봉틀의 발 페달에 의해 재봉틀 회전명령인 봉제개시 명령이 출력되면 전자밸브 A 및 전자밸브 B가 ON이 되고, 도 2 및 도 3과 같이 실잡는 와이어(58) 및 실잡는 판(56) 사이에 바늘구멍(46)이 위치한다. 이 위치는 제 1바늘의 윗실(6)의 관통을 기다리는 대기위치이다. 즉 이 때 재봉틀의 주축이 회전을 시작하고 있기 때문에 천에 대해 제 1바늘의 바늘 관통이 행해지고, 천 밑에서 북 기구가 이를 포착함으로써 윗실(6)은 도 7과 같이 천 밑으로 나와 실잡는 판(56)과 실잡는 와이어(58) 사이를 통과한다.
그 후 재봉틀이 회전을 계속하여 바늘봉이 상사점(上死點)에 도달할 때 바늘봉 상사점 신호가 출력되고, 이 신호를 받아 전자밸브 A가 OFF가 되며, 이에 따라 장치는 도 5의 상태가 된다. 이 때 도 8과 같이 윗실(6)은 실잡는 와이어(58)와 실잡는 판(56)에 의해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윗실(6)은 실잡는 와이어(58) 및 실잡는 판(56)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위치이다.
그 후 다시 재봉틀이 회전을 계속하면 도시하지 않은 천칭(天秤)이 상사점을 향하고, 이에 따라 윗실(6)을 끌어올리는 힘이 발생한다. 이 때 윗실(6)은 실잡는 와이어(58)와 실잡는 판(56)에 의해 고정되지만 그 고정력은 천칭의 끌어올리는 힘보다도 약해지도록 감압밸브에 의해 조절된다. 천칭의 끌어올리는 힘은 실조절기에 의해 부가되는 윗실장력에 의해 결정되므로 이 실조절기의 조절에 따라 감압밸브를 조절하면 된다.
따라서 천칭이 상사점에 이를 때에는 천 밑으로 나온 윗실(6)은 더욱 짧아져 도 9와 같이 된다. 이 때 천 밑에 남은 윗실(6)의 길이를 될 수 있는 대로 짧게 하면 새집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실잡는 장치를 마련하지 않은 종래의 재봉틀에 있어서 실의 남은 길이를 더욱 짧게하면 제 1바늘의 천칭 인상(引上)의 기세로 천에서 윗실이 빠져 솔기가 빠지게 된다.
그 후 솔기를 형성하기 위해 천이 보내지면 천과 윗실(6)의 굴곡부의 저항에 의해 윗실(6)은 이송방향으로 팽팽해지고 도 10과 같이 실잡는 판(56)과 실잡는 와이어(58)사이에서 빠진다.
그 후 수개 바늘의 솔기가 형성된 단계에서 전자밸브 B가 OFF가 되고, 도 6과 같이 실잡는 판(56) 및 실잡는 와이어(58)가 바늘구멍(46), 이동메스(50) 및 고정메스(52)에서 멀어진 위치인 퇴피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마지막 바늘까지 봉제하고, 실절단 동작이 행해질 때에는 이동메스(50)가 바늘구멍(46)의 밑면을 왕복이동하지만 이 때 실잡는 판(56) 및 실잡는 와이어(58)는 미리 도 6과 같은 퇴피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동메스(50)와 간섭하는 경우는 없다.
이상과 같이 봉제된 천은 도 11과 같이 새집이 생기지 않고 또한 천 뒤의 실 잔여길이가 짧아 외관이 좋아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했지만 실시예를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들면 액튜에이터로서 전자솔레노이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밑실단부의 고정력 조정은 전자솔레노이드로의 통전을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의 제어를 변화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 재봉틀의 새집 방지장치는 윗실단부 고정부재를 천과 북 사이에 마련하고, 제 1바늘에 천 뒷면에 관통하는 윗실단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천과 북 사이에서 윗실단부를 고정하므로 천에서 윗실단부 고정위치까지의 거리를 대략 바늘판의 두께만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윗실을 바늘이 박히는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포착함으로써 천 뒤에 남는 윗실단부의 길이를 상당히 짧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새집을 방지하고 또한 봉제품의 표면에 실단이 남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외관을 좋게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윗실단부 고정부재를 천과 북 사이에 마련했기 때문에 천누름 기구의 위치나 형상에 따라 윗실포착부재의 위치조정 등을 행할 필요가 없다.
윗실단부 고정부재를 박판형상부재와 와이어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한 경우 바늘판과 북 사이의 틈으로 부착할 수 있다.
윗실단부 고정부재를 제 1바늘의 윗실관통을 기다리는 대기위치와, 윗실을 고정하는 고정위치와, 실절단장치와의 간섭을 피하는 퇴피위치의 3개의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한 경우는 재봉틀이 실절단 기구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늘구멍에 상당히 가까운 위치에서 윗실단부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윗실단부 고정부재에 의한 윗실단부의 고정력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마련한 경우에는 윗실을 고정할 때 고정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솔기가 빠지지 않아 새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외관상 깔끔한 마무리를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 실절단장치를 구비한 재봉틀에 있어서, 제 1바늘에 의해 천 뒷면으로 관통하는 윗실단부를 고정하는 윗실단부 고정부재를 천과 북 사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새집 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윗실단부 고정부재를 박판형상부재와 와이어형상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새집 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실절단장치는 윗실과 밑실 중 최소한 한쪽을 천의 아래쪽에서 절단할 수 있으며, 상기 윗실단부 고정부재는 제 1바늘의 윗실관통을 기다리는 대기위치와, 윗실을 고정하는 고정위치와, 실절단장치와의 간섭을 피하는 퇴피위치의 3개의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새집 방지장치.
- 상기 윗실단부 고정부재에 의한 윗실단부의 고정력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새집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9-138478 | 1999-05-19 | ||
JP11138478A JP2000325683A (ja) | 1999-05-19 | 1999-05-19 | ミシンの鳥の巣防止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9359A true KR20010049359A (ko) | 2001-06-15 |
KR100690104B1 KR100690104B1 (ko) | 2007-03-08 |
Family
ID=1522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26573A KR100690104B1 (ko) | 1999-05-19 | 2000-05-18 | 재봉틀의 새집 방지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00325683A (ko) |
KR (1) | KR100690104B1 (ko) |
CN (1) | CN1143018C (ko) |
TW (1) | TW517120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7382B1 (ko) * | 2000-12-30 | 2003-03-26 | 주식회사 휴먼텍스 | 자수기의 절사(切絲) 후크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37151B2 (ja) * | 2002-04-10 | 2008-01-23 | Juki株式会社 |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
JP4047624B2 (ja) * | 2002-05-14 | 2008-02-13 | Juki株式会社 | ミシン |
JP4235435B2 (ja) | 2002-11-20 | 2009-03-11 | Juki株式会社 |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
JP4030864B2 (ja) * | 2002-12-10 | 2008-01-09 | Juki株式会社 |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
JP2009213529A (ja) * | 2008-03-07 | 2009-09-24 | Brother Ind Ltd | ミシンの上糸保持機構 |
JP6195752B2 (ja) * | 2013-07-10 | 2017-09-13 |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 ミシンの糸保持機構、ミシンの糸通し装置、およびミシン |
JP7092458B2 (ja) * | 2016-10-31 | 2022-06-28 |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 ステッチ付き表皮材の製造方法 |
CN108374246B (zh) * | 2018-04-02 | 2023-11-28 | 强信机械科技(莱州)有限公司 | 一种缝纫机用防鸟巢装置 |
CN108251987A (zh) * | 2018-04-23 | 2018-07-06 | 浙江美机缝纫机有限公司 | 缝纫机去除鸟巢装置 |
CN109537193B (zh) * | 2019-01-11 | 2022-05-10 | 广东金悦来自动化设备有限公司 | 小直径圆筒缝纫机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71478B2 (ja) * | 1989-02-10 | 1997-10-29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ミシンの上糸つかみ装置 |
-
1999
- 1999-05-19 JP JP11138478A patent/JP2000325683A/ja active Pending
-
2000
- 2000-05-18 KR KR1020000026573A patent/KR10069010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5-19 TW TW089109714A patent/TW517120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5-19 CN CNB001180460A patent/CN114301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7382B1 (ko) * | 2000-12-30 | 2003-03-26 | 주식회사 휴먼텍스 | 자수기의 절사(切絲) 후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43018C (zh) | 2004-03-24 |
CN1274780A (zh) | 2000-11-29 |
KR100690104B1 (ko) | 2007-03-08 |
JP2000325683A (ja) | 2000-11-28 |
TW517120B (en) | 2003-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55807C1 (ru) |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и тип шва | |
KR100690104B1 (ko) | 재봉틀의 새집 방지장치 | |
CN110621819A (zh) | 绗缝机 | |
US5345887A (en) | Thread manipulation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a seam | |
JP6975533B2 (ja) | 短い目標−シーム突出と共にシーム−開始上糸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構成グループ、及びこのような構成グループを有するミシン | |
US5333565A (en) | Thread cutting via reciprocating arm with pockets and a trimming plate | |
JP5468334B2 (ja) | 縫目ほつれ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JPH1157253A (ja) | 縫い目ほつれ防止方法及び装置 | |
JP4441034B2 (ja) | 玉縁縫い装置の上糸切断装置。 | |
JPH1157268A (ja) | 縫い目ほつれ防止方法及び装置 | |
JP2011125387A (ja) | ミシン | |
JP2010227374A (ja) | ミシン | |
US4285291A (en) | Needle guard for sewing machines | |
US3871307A (en) | Placket forming machine | |
JP2003236281A (ja) | ミシン | |
US4850293A (en) | Sewing machine top cover thread trimmer | |
JP3876016B2 (ja) | ミシンの糸切り方法および装置 | |
JP2011125386A (ja) | ミシン | |
JP4722274B2 (ja) | ミシンの糸切り装置 | |
JP7379781B2 (ja) | 縫目のほつれ止め方法及び縫目のほつれ止め装置 | |
JP7324393B2 (ja) | 縫目のほつれ止め方法及び縫目のほつれ止め装置 | |
JPH03143481A (ja) | 刺繍ミシンの糸切断装置 | |
JPH0739669A (ja) | 刺繍ミシンの上糸切断装置 | |
JPS6130627Y2 (ko) | ||
JPH0738914B2 (ja) | 多本針ミシンの上飾り糸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