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552A -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552A
KR20010044552A KR1020010011460A KR20010011460A KR20010044552A KR 20010044552 A KR20010044552 A KR 20010044552A KR 1020010011460 A KR1020010011460 A KR 1020010011460A KR 20010011460 A KR20010011460 A KR 20010011460A KR 20010044552 A KR20010044552 A KR 20010044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leated
fabric
inner layer
wri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완
Original Assignee
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완 filed Critical 최완
Priority to KR1020010011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4552A/ko
Publication of KR2001004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552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8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uching, gathering, casing, or filling lace, ribbons, or bindings; Pleating devices; Cuttlers; Gathering feet; Crimpers; Curlers; Ruffl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용 원단에 물결모양의 주름을 형성하여 신축성 및 통기성이 우수하고 착용감 및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제조방법은 탄성고무의 내층재(10)와 이 내층재(10)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여러 가닥의 표피재(12)로 이루어진 2가닥의 실을 꼬아서 주름사(20)를 제조하는 단계와, 주름사(20)를 원단(30)에 대고 1차 봉재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주름사(20) 위에 분리사(50)를 올려놓고 원단(30)을 감싸서 2차 봉재하여 원형부(32)를 형성하는 단계와, 원형부(32)에 스팀을 가해 원단(30)을 연신하면서 원형부(32)를 주름사(20)에 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원단(30)을 열가마에 투입하여 대략 170℃까지 가열하여 주름부(34)를 성형하는 단계와, 분리사(50)를 잡아당기면서 제 2봉재선(42)을 제거하여 주름부(34)로부터 주름사(20)를 해체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METHOD OF MAKING A WRINKLE TYPE DRESS GOODS}
본 발명은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고무의 내층재와 내층재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여러 가닥의 표피재로 이루어진 2가닥의 실을 꼬아서 주름사로 만든 다음, 이 주름사를 원단에 넣고 연신 및 가열하여 원단에 물결모양의 주름을 형성함으로써, 신축성 및 통기성이 우수하고 착용감 및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여성용 드레스나 원피스 등은 옷감의 원단에 따라서 제품의 디자인이나 착용감에 많은 차이가 생긴다. 그러므로, 세련되고 품질이 우수한 옷을 만들기 위해서는 재질이나 촉감이 우수한 원단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또한,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려면 어느 정도의 자체 신축성을 갖고 있어야 하며, 보온 및 냉방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통기성이 좋아야 한다.
그러나, 현재 의류용 옷감은 원단이 본래 갖고 있는 신축성과 통기성에 의해서 만들어진 옷의 착용감이 결정되기 때문에, 옷을 만드는 과정에서 별도의 부가공정을 거치지 않는 한 착용감의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의류용 옷감으로 사용되는 원단은 방직공장에서 나온 상태 그래로 재단하여 옷을 만들기 때문에 디자인 측면에서도 좋은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단 자체에 신축성 및 통기성을 부여하여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되는 물결모양의 주름을 주어서 디자인 측면에서도 우수한 외관을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라 주름형 원단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내층재 12:표피재
20:주름사 30:원단
34:주름부 40, 42:제 1, 2봉재선
50:분리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은 탄성고무의 내층재와 이 내층재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여러 가닥의 표피재로 이루어진 2가닥의 실을 꼬아서 주름사를 제조하는 단계와, 주름사를 원단에 대고 1차 봉재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주름사 위에 분리사를 올려놓고 원단을 감싸서 2차 봉재하여 원형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원형부에 스팀을 가해 원단을 연신하면서 원형부를 주름사에 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원단을 열가마에 투입하여 대략 170℃까지 가열하여 주름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사를 잡아당기면서 제 2봉재선을 제거하여 상기 주름부로부터 상기 주름사를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라 주름형 원단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 흐름도이다.
드레스 등의 각종 여성용 의류나 아동복 또는 행사용 의류로서 디자인적인 상승효과를 지니면서도 우수한 착용감을 줄 수 있는 원단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원단 자체에 통기성 및 신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주름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예시하였다.
이때, 원단에 주름부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주름 형상로 꼬은 실(이하, 주름사라 칭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지닌 고무줄 형태의 내층재(10)와, 이 내층재(10)에 여러 가닥의 실을 꼬아서 만든 표피재(12)로 이루어진 실을 먼저 만든다. 다음에, 이렇게 내층재(10)와 표피재(12)로 이루어진 2가닥의 실을 꼬아서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의 주름사(20)를 만든다. 이때, 주름사(20)의 꼬은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표피재(12)를 꼬을 때의 방향과 주름사(20)를 꼬는 방향을 서로 반대로 하여야 한다.
다음에,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꼬은 주름사(20)를 원단(30)에 대고 고정시키기 위해서 1차로 재봉하여 봉재한다. 이 제 1봉재선(40)에 의해서 주름사(20)를 원단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원단은 주름사(20)를 중심으로 주름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사(20)위에 굵은 실의 분리사(50)를 배치함과 동시에, 원단(30)의 일부로 주름사(20)와 분리사(50)를 감싸서 원형부(32)를 형성한다. 원형부(32)는 나중에 주름부(34)로 만들어지게 된다. 다음에, 원형부(32)가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원형부(32)의 네크부분을 2차 재봉하여 봉재한다. 이 제 2봉재선(42)에 의해서 주름사(20)와 분리사(50)가 들어 있는 원형부(32)의 전체적인 원형의 단면형상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주름부로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 단계에서는 스팀을 가하면서 원단을 연신하여 원형부(32)가 주름사(20)의 외주면에 완전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원단 전체를 평편하게 펴준다. 다음에, 원단(30)을 열가마에 투입하여 상온으로부터 임계온도인 대략 170℃까지 가열한다. 이러한 가열공정을 통해서, 주름사(20)에 밀착되어 있던 원형부(32)는 주름사(20)의 주름형태와 동일한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그대로 성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분리사(50)를 잡아당기면서 제 2봉재선(42)을 제거하여 원형부(32)로부터 주름사(20)를 해체시킴으로써, 도 1e에 도시한 바와 같은 주름형 원단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 주름부(34)간의 간격은 의류의 종류나 옷감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이러한 일련의 제조과정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이를 단계별로 설명하면, 탄성고무의 내층재(10)와 이 내층재(10)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여러 가닥의 표피재(12)로 이루어진 2가닥의 실을 꼬아서 주름사(20)를 만드는 단계와, 제조된 주름사(20)를 소정 간격을 두고 원단(30)에 배치한 상태에서 1차 봉재하여 원단(30)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주름사(20)위에 분리사(50)를 올려놓고 원단(30)을 감싼 다음에, 2차 봉재하여 원형부(32)를 형성하는 단계와, 이 원형부(32)에 스팀을 가해 원단(30)을 연신하여 원형부(32)가 주름사(2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원단(30)을 펼치는 단계와, 원단(30)을 열가마에 투입하여 170℃까지 가열하여 주름부(34)를 성형하는 단계와, 분리사(50)를 잡아당기면서 제 2봉재선(42)을 제거하여 주름부(34)로부터 주름사(20)를 해체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물결모양의 주름사를 이용하여 주름형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예시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과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2가닥 이외에도, 3가닥, 4가닥 또는 그 이상의 실을 꼬아서 주름사를 만들 수 있으며, 꼬는 횟수에 따라서 2줄 또는 3줄 모양의 물결을 만들 수도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봉재선과 제 2봉재선에 의해 원단 자체에 제공된 다수의 구멍에 의해서 통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주름부에 의해서 신축성이 뛰어나므로 착용감이 우수한 옷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물결모양의 주름부를 통해서 디자인 측면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탄성고무의 내층재와 이 내층재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여러 가닥의 표피재로 이루어진 2가닥의 실을 꼬아서 주름사를 제조하는 단계와,
    주름사를 원단에 대고 1차 봉재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주름사 위에 분리사를 올려놓고 원단을 감싸서 2차 봉재하여 원형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원형부에 스팀을 가해 원단을 연신하면서 원형부를 주름사에 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원단을 열가마에 투입하여 대략 170℃까지 가열하여 주름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사를 잡아당기면서 제 2봉재선을 제거하여 상기 주름부로부터 상기 주름사를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
KR1020010011460A 2001-03-06 2001-03-06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 KR20010044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460A KR20010044552A (ko) 2001-03-06 2001-03-06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460A KR20010044552A (ko) 2001-03-06 2001-03-06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552A true KR20010044552A (ko) 2001-06-05

Family

ID=1970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460A KR20010044552A (ko) 2001-03-06 2001-03-06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45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494B1 (ko) * 2005-08-26 2007-05-10 권순호 주름직물의 제조방법
KR20160090503A (ko) 2015-01-22 2016-08-01 (주)플리츠미 직물 상의 사각주름 형성방법 및 직물
KR20160090507A (ko) 2015-01-22 2016-08-01 (주)플리츠미 성형롤러를 이용한 주름형성장치 및 직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8213A (ja) * 1995-02-10 1996-08-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しわ加工を施した衣服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31839A (ja) * 1995-07-14 1997-02-04 Dainippon Printing Co Ltd 絞り状しわを有する染色布および衣服の製造方法
KR20000066441A (ko) * 1999-04-16 2000-11-15 백우진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의 제조방법
KR20010009328A (ko) * 1999-07-09 2001-02-05 백우진 돌출형 주름이 형성된 의류
KR20010075904A (ko) * 2000-01-21 2001-08-11 백우진 입체주름이 형성된 원단 및 의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8213A (ja) * 1995-02-10 1996-08-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しわ加工を施した衣服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31839A (ja) * 1995-07-14 1997-02-04 Dainippon Printing Co Ltd 絞り状しわを有する染色布および衣服の製造方法
KR20000066441A (ko) * 1999-04-16 2000-11-15 백우진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의 제조방법
KR20010009328A (ko) * 1999-07-09 2001-02-05 백우진 돌출형 주름이 형성된 의류
KR20010075904A (ko) * 2000-01-21 2001-08-11 백우진 입체주름이 형성된 원단 및 의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494B1 (ko) * 2005-08-26 2007-05-10 권순호 주름직물의 제조방법
KR20160090503A (ko) 2015-01-22 2016-08-01 (주)플리츠미 직물 상의 사각주름 형성방법 및 직물
KR20160090507A (ko) 2015-01-22 2016-08-01 (주)플리츠미 성형롤러를 이용한 주름형성장치 및 직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49058B1 (ja) 衣服の布地に凹凸を形成する方法
JP4820409B2 (ja) 伸び止め処理されたニット素材襟、その製造方法、及び前記襟付き上着
KR970000315B1 (ko) 의류의 플리팅방법 및 주름의류
KR100297963B1 (ko)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의 제조방법
KR20010044552A (ko) 주름형 원단의 제조방법
JP5450068B2 (ja) 凹凸固定布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製品の製造方法
JP3108694B1 (ja) 布地に凹凸を有する衣服およびその衣服のための布地
KR100389283B1 (ko) 수축주름과 직선주름이 교차 형성되게 한 주름의류 및원단의 제조방법
US5356055A (en) Method of pleating garments
JP3585324B2 (ja) 衣料用帯状テープおよびその製法
KR101291730B1 (ko)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0304039Y1 (ko) 장식용 머리끈
KR100297962B1 (ko) 돌출형 주름이 형성된 의류
KR200337190Y1 (ko) 주름직물 가공원단
JP2005256255A (ja) 伸縮性生地、伸縮性カバー、伸縮性生地の製造方法、及び伸縮性カバーの製造方法
KR101171376B1 (ko) 모피실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모피실과 이 모피실을 이용한 편물
US2006027795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knit hat
US3831200A (en) Technique for eliminating pilling in shirt collars
KR102424101B1 (ko)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KR101444897B1 (ko) 접착심지 및 이를 이용한 의류제품
KR20010064673A (ko) 다수의 엠보싱 돌기에 의해 탄력성을 갖는 직물 및 그의처리방법
JP2001303337A (ja) 衣服とその製造方法
JPS5819134Y2 (ja) 和服用上衣
JPH0711535A (ja) 潜在的伸縮性を具えた柔軟な複合糸及びそれを用いた伸縮性刺繍物の製造方法
JPH04209815A (ja) 帽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