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101B1 -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101B1
KR102424101B1 KR1020210180105A KR20210180105A KR102424101B1 KR 102424101 B1 KR102424101 B1 KR 102424101B1 KR 1020210180105 A KR1020210180105 A KR 1020210180105A KR 20210180105 A KR20210180105 A KR 20210180105A KR 102424101 B1 KR102424101 B1 KR 102424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able
jeogori
fabric
hanbok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연희
Original Assignee
임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연희 filed Critical 임연희
Priority to KR1020210180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22Clothing specially adapted for wome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된 겉감과 안감을 각각 포함하는 저고리 몸체(11)와 양측 소매(12, 13)를 포함하는 한복 저고리에서 한복 저고리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상기 한복 저고리에 서로 반대되는 양측의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이 가해졌다 해제될 때,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벌어졌다 오므러지도록 절첩된 절첩부(11a)와,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신축하는 신축 원단부와,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절첩부(11a)와 신축 원단부 이외의 나머지 부분으로서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서로 대응되는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나머지 원단부를 포함하게 제조하되 상기 절첩부(11a)와 신축 원단부와 나머지 원단부를 각각 동일한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14b)와 위사(14a)로 제직하고, 상기 신축 원단부는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 부분들을 상기 힘의 인가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며, 상기 나머지 원단부는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 중 하나를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A making method of Korean costume making a partilly foldable and partially stretchable korean costume with a fabric knitted by warf strings and weft strings of nonstretchable workpieces}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된 겉감과 안감을 각각 포함하는 저고리 몸체(11)와 양측 소매(12, 13)를 포함하는 한복 저고리에서 한복 저고리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상기 한복 저고리에 서로 반대되는 양측의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이 가해졌다 해제될 때,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벌어졌다 오므러지도록 절첩된 절첩부(11a)와,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신축하는 신축 원단부와,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절첩부(11a)와 신축 원단부 이외의 나머지 부분으로서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서로 대응되는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나머지 원단부를 포함하게 제조하되 상기 절첩부(11a)와 신축 원단부와 나머지 원단부를 각각 동일한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14b)와 위사(14a)로 제직하고, 상기 신축 원단부는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 부분들을 상기 힘의 인가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며, 상기 나머지 원단부는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 중 하나를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복 저고리는 세계적으로 그 아름다움을 주목받고 있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의상이다.
한복 저고리의 형태는 배래, 도련, 깃 등의 우아한 곡선과 동정의 예리한 직선이 조화를 잘 이루고 있다. 한복 저고리의 제조 방법은 평면재단인 것이 특징이므로, 입체적인 사람의 몸에 입히면 자연스럽게 주름이 형성되어 우아한 실루엣과 풍성한 여유로움의 표현이 가능하다.
저고리는 옷에 부착하는 장식이 없으며 주로 선을 중심으로 변화를 주고 있다. 저고리의 선에서 깃과 섶은 직선이나 사선 방향으로 위치하고, 끝부분은 곡선으로 처리되어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이러한 사선이 배래와 도련의 곡선과 어우러져 한복 저고리 고유의 단아한 미감을 형성한다. 겨드랑이 부분의 회장은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저고리에 변화감을 부여한다.
따라서 양복처럼 정형화된 옷은 한 번 맞추어 입으면 그 옷이 연출해 낼 수 있는 느낌은 하나밖에 없는데 비해 한복 저고리는 몸을 감싸는 양식, 조이는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한 연출미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한복 저고리는 사용할 수 있는 색상이 무한히 다양하고 원색을 사용해도 잘 어울리므로,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복 저고리의 소재는 일반적으로 대마 직물인 베, 저마직물인 모시, 면직물인 무명 및 견직물인 명주와 각종 주(紬), 사(紗), 라(羅), 능(綾), 금(錦), 단(緞) 등을 사용한다. 직물은 같은 섬유로 짠 것이라도 그 직조 상태에 따라서 재질에 차이가 생긴다. 즉 조밀도, 직조법, 광택의 유무, 실의 두께, 가공 등에 의하여 외관이나 감촉에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각 소재들은 한복 저고리의 형태와 조화를 이루어 한복 저고리 고유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는데, 한복 저고리는 형태 변화가 거의 없는 의상이므로 소재의 특성에 따라 한복 저고리의 외관 및 용도에 변화를 주곤 하였다. 그 예로 계절에 따라 사용되는 대표적인 옷감들을 들 수 있다. 여름에는 주로 삼베 또는 모시를 사용하고 봄과 가을에는 자미사, 갑사, 진주사 또는 호박단 등을 사용하였으며, 겨울에는 공단, 양단 또는 명주를 주로 사용하되 옷감 사이에 솜을 두거나 누벼서 보온성을 높이기도 하는 등 소재에 따라 다양한 미적 특성 및 용도를 창출하였다.
그러나 한복 저고리는 해결해야 할 단점 또한 안고 있다. 한복 저고리 고유의 형태상 저고리는 겨드랑이 부분이 짧은 반면 소매부리가 넓고 길어 팔의 활동이 제한되며, 옷고름이 자주 풀리는 점이 거추장스럽다.
또한 한복 저고리의 소재는 그 고유한 형태를 살릴 수 있어야 하다 보니 딱딱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장시간 착용할 경우 매우 불편한 느낌을 주게 되며 구김도 쉽게 생긴다.
이처럼 그 형태와 소재가 실용성이 낮기 때문에 최근에는 우리나라 사람들도 특별한 행사들을 제외하고는 점점 그 착용 빈도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한복 저고리의 형태 또는 소재를 변형시키는 제조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지금까지의 한복 저고리 제조 방법은 치수를 변화시키거나 서양식 의상의 특징을 도입하는 등 형태의 변형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개량 한복'이라 일컬어지는 변형 한복의 제조 방법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활동성은 증대된 반면, 전통 한복이 주는 아름다운 곡선미는 많이 손상되어 외관상 투박한 느낌을 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개량 한복은 현재 전통 한복보다 오히려 호감도가 하락하여 주로 서비스 업종의 유니폼으로 사용되거나 몇몇 애호가들의 전유물에 그치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한복의 형태보다 한복 소재에 변화를 주기 위해 다양한 서양복 옷감 소재들을 한복 저고리 제조에 이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소재는 의복의 바탕이 되어 시각적, 촉각적 느낌을 전달할 뿐 아니라, 의복의 형태에 영향을 주어 의복의 전체적인 분위기에 영향을 주게 된다. 즉 소재는 의복의 제조에 있어 단순한 하나의 재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같은 형태의 의복이라도 다양한 특성을 표현할 수 있게 하는 중심요소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8-0000241호(1998.03.30.)에는 니트로 이루어진 저고리가 공개된 바 있다. 이 니트 저고리는 손으로 직접 뜨개질한 것으로, 종래의 직물 저고리에 비해 보온성이 양호하며 세탁 등 취급이 용이한 특징을 나타낸다. 그러나 그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사람이 손수 뜨개실로 등판과 앞판을 별도로 짜서 붙인 후, 소매 연결부에서부터 소매를 다시 뜨개질해나가야 한다. 따라서 저고리 한 벌을 제조하는데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제조 방법의 측면에서는 매우 비효율적이며, 생산단가도 높아질 수밖에 없어 산업적으로 실용화되기에는 무리가 있다.
효율적인 소재 선정을 통해 한복 저고리 고유의 아름다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9466호에서는 "겉감과 안감의 일부 또는 전체를 신축성 소재, 특히 니트 소재로 하고, 겉감과 안감의 접지선에 보강 심재를 대어 박음질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9466호의 한복의 제조방법은, 저고리 몸체의 뒷 부분인 등 부분에서의 활동성 내지 편의성을 고려하고 있지 않아 한복 저고리 착용자가 작업 또는 활동을 위해 움직일 때 등 부분에서의 활동성 내지 편의성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9466호의 한복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한복 저고리 중 겉감과 안감의 일부 소재로 사용되는 대마 직물인 베, 저마직물인 모시, 면직물인 무명 및 견직물인 명주와 각종 주(紬), 사(紗), 라(羅), 능(綾), 금(錦), 단(緞) 등 외에 한복 저고리 중 겉감과 안감의 다른 일부 소재로 신축성 소재, 특히 니트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니트 소재의 별도 구입에 따른 비용 및 노력이 추가로 소요되는 단점을 초래함과 동시에 한복 고유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훼손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9466호의 한복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니트 소재는 한 올의 실로 연속돼 있기 때문에 실이 끊어지거나 하면 올이 나가버리는 결점, 착용 중 마찰에 의해서 쉽게 보풀이 일어나는 결점 또한 초래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8-0000241호 "여성용 니트 한복"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9466호 "한복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한복 저고리 착용자가 작업 또는 활동을 위해 움직일 때 등 부분에서의 활동성 내지 편의성이 증진되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복 저고리 전체를 동일한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14b)와 위사(14a)로 제직된 원단으로 제조하되, 원단 소재 자체가 신축성 소재로 된 원단을 별도로 구입할 필요 없어 비용과 노력이 절감됨과 동시에 한복 고유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14b)와 위사(14a)로 제직된 상기 원단과 동일한 원단을 이용하여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되 실이 끊어졌을 때 끊어진 실 부분의 올만 나가고 나머지 실 부분의 올들은 나가지 않게 함과 동시에 착용 중 마찰이 있어도 쉽게 보풀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서로 연결된 겉감과 안감을 각각 포함하는 저고리 몸체(11)와 양측 소매(12, 13)를 포함하는 한복 저고리에서 한복 저고리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상기 한복 저고리에 서로 반대되는 양측의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이 가해졌다 해제될 때,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벌어졌다 오므러지도록 절첩된 절첩부(11a)와,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신축하는 신축 원단부와,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절첩부(11a)와 신축 원단부 이외의 나머지 부분으로서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서로 대응되는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나머지 원단부를 포함하게 제조하되 상기 절첩부(11a)와 신축 원단부와 나머지 원단부를 각각 동일한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14b)와 위사(14a)로 제직하고, 상기 절첩부(11a)는, 상기 저고리 몸체(11)의 뒷 부분인 등 부분을 좌우로 양분하는 가상의 중심선에 인접하는 좌측의 저고리 몸체(11)의 부분에서 설정 거리만큼 우측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11a1); 상기 하부(11a1)의 우측 단부에서 상기 설정 거리만큼 좌측 방향으로 접혀져서 상기 하부(11a1)의 위에 배치되는 중간부(11a2); 및 상기 중간부(11a2)의 좌측 단부에서 다시 우측 방향으로 접혀져서 상기 중간부(11a2)의 위에 배치되는 상부(11a3)를 포함하고, 상기 절첩부(11a)의 좌측 단부 인접부에서 상기 절첩부(11a)의 상측 단부로부터 제1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의 제1 좌측 봉제선(11b1)을 따라 하부(11a1)와 중간부(11a2) 및 상부(11a3)가 봉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좌측 봉제선(11b1)의 하측 단부로부터 제2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의 미봉제부(11b2)를 따라 하부(11a1)와 중간부(11a2) 및 상부(11a3)는 봉제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절첩부(11a)의 좌측 단부 인접부에서 상기 미봉제부(11b2)의 하측 단부로부터 제2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의 제2 좌측 봉제선(11b3)을 따라 하부(11a1)와 중간부(11a2) 및 상부(11a3)가 봉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 원단부는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꼭지점 부분 중 한 쌍의 꼭지점 부분을 상기 힘의 인가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꼭지점 부분 중 나머지 한 쌍의 꼭지점 부분을 상기 힘의 인가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하며, 상기 나머지 원단부는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 중 하나를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 원단부는, 저고리 몸체(11)의 뒷 부분인 등 부분과 양측 소매(12, 13)의 내측 단부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신축 원단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 원단부는, 저고리 몸체(11)의 앞 부분과 양측 소매(12, 13)의 내측 단부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신축 원단부(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 원단부는, 상기 양측 소매(12, 13)의 각각의 내측 단부 인접부에 형성된 개방부에 인접하는 양측 소매(12, 13)의 부분의 하단부들과 상기 제1 신축 원단부(14)와 제2 신축 원단부(15)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신축 원단부(16); 및 상기 제2 신축 원단부(15)와 상기 저고리 몸체(11)에 양측이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4 신축 원단부(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한복 저고리 착용자가 작업 또는 활동을 위해 움직일 때 등 부분에서의 활동성 내지 편의성이 증진되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한복 저고리 전체를 동일한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14b)와 위사(14a)로 제직된 원단으로 제조하되, 원단 소재 자체가 신축성 소재로 된 원단을 별도로 구입할 필요 없어 비용과 노력이 절감됨과 동시에 한복 고유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14b)와 위사(14a)로 제직된 상기 원단과 동일한 원단을 이용하여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되 실이 끊어졌을 때 끊어진 실 부분의 올만 나가고 나머지 실 부분의 올들은 나가지 않게 함과 동시에 착용 중 마찰이 있어도 쉽게 보풀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복 저고리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한복 저고리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한복 저고리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추가의 실시 예에 따른 한복 저고리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우측의 제1 신축 원단부의 신축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실시 예에서 저고리 몸체의 뒷 부분인 등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실시예에 제2 신축 원단부가 추가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B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실시 예에 제3, 4 신축 원단부가 추가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C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6, 12의 실시 예의 소매와 도 14의 실시 예의 소매의 위사와 경사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고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의 우측의 제1 신축 원단부의 신축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5의 실시 예에서 저고리 몸체의 뒷 부분인 등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실시 예에 제3, 4 신축 원단부가 추가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고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C부 확대도이며, 도 15는 도 6, 12의 실시 예의 소매와 도 14의 실시 예의 소매의 위사와 경사의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10,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은, 서로 연결된 겉감과 안감을 각각 포함하는 저고리 몸체(11)와 양측 소매(12, 13)를 포함하는 한복 저고리에서 한복 저고리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상기 한복 저고리에 서로 반대되는 양측의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이 가해졌다 해제될 때,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벌어졌다 오므러지도록 절첩된 절첩부(11a)와,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신축하는 신축 원단부와,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절첩부(11a)와 신축 원단부 이외의 나머지 부분으로서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서로 대응되는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나머지 원단부를 포함하게 제조하되 상기 절첩부(11a)와 신축 원단부와 나머지 원단부를 각각 동일한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14b)와 위사(14a)로 제직하고, 상기 절첩부(11a)는, 상기 저고리 몸체(11)의 뒷 부분인 등 부분을 좌우로 양분하는 가상의 중심선에 인접하는 좌측의 저고리 몸체(11)의 부분에서 설정 거리만큼 우측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11a1); 상기 하부(11a1)의 우측 단부에서 상기 설정 거리만큼 좌측 방향으로 접혀져서 상기 하부(11a1)의 위에 배치되는 중간부(11a2); 및 상기 중간부(11a2)의 좌측 단부에서 다시 우측 방향으로 접혀져서 상기 중간부(11a2)의 위에 배치되는 상부(11a3)를 포함하고, 상기 절첩부(11a)의 좌측 단부 인접부에서 상기 절첩부(11a)의 상측 단부로부터 제1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의 제1 좌측 봉제선(11b1)을 따라 하부(11a1)와 중간부(11a2) 및 상부(11a3)가 봉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좌측 봉제선(11b1)의 하측 단부로부터 제2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의 미봉제부(11b2)를 따라 하부(11a1)와 중간부(11a2) 및 상부(11a3)는 봉제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절첩부(11a)의 좌측 단부 인접부에서 상기 미봉제부(11b2)의 하측 단부로부터 제2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의 제2 좌측 봉제선(11b3)을 따라 하부(11a1)와 중간부(11a2) 및 상부(11a3)가 봉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겉감과 안감의 연결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연결 방식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본 발명에서 상기 신축 원단부는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서로 대응되는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신축 원단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고, 상기 나머지 원단부는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서로 대응되는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나머지 원단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제1 신축 원단부(14)는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저고리 몸체(11)의 뒷 부분인 등 부분과 양측 소매(12, 13)의 내측 단부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신축 원단부(14)들을 포함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고, 제2 신축 원단부(15)는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저고리 몸체(11)의 앞 부분과 양측 소매(12, 13)의 내측 단부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신축 원단부(15)들을 포함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며, 제3 신축 원단부(16)는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양측 소매(12, 13)의 각각의 내측 단부 인접부에 형성된 개방부에 인접하는 양측 소매(12, 13)의 부분의 하단부들과 제1 신축 원단부(14)와 제2 신축 원단부(15)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제3 신축 원단부(16)들을 포함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고, 제4 신축 원단부(17)는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제2 신축 원단부(15)와 저고리 몸체(11)에 양측이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제4 신축 원단부(17)들을 포함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상기 안감 및 상기 안감에서의 제1 내지 4 신축 원단부(14, 15, 16, 17)는 도시하지 않음).
위와 같이 상기 제1 좌측 봉제선(11b1)에 의해 상기 절첩부(11a)의 좌측 단부 인접부에서 상기 절첩부(11a)의 상측 단부로부터 제1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 하부(11a1)와 중간부(11a2) 및 상부(11a3)가 봉제되어 있고, 제2 좌측 봉제선(11b3)에 의해 상기 절첩부(11a)의 좌측 단부 인접부에서 상기 미봉제부(11b2)의 하측 단부로부터 제2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 하부(11a1)와 중간부(11a2) 및 상부(11a3)가 봉제되어 있으므로, 상기 절첩부(11a)의 부분 중, 상기 절첩부(11a)의 상측 단부로부터 제1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와 상기 절첩부(11a)의 좌측 단부 인접부에서 상기 미봉제부(11b2)의 하측 단부로부터 제2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의 부분들은 한복 저고리 착용자가 팔을 전후로 움직여서 등이 전후로 움직여도 벌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미봉제부(11b2)는 상기 제1 좌측 봉제선(11b1)의 하측 단부로부터 제2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 봉제된 부분을 가지지 않으므로 한복 저고리 착용자가 팔을 전후로 움직여서 등이 전후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미봉제부(11b2)를 구성하는 하부(11a1)와 중간부(11a2) 및 상부(11a3)가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므려져 절첩되어 있다가 벌어져서 펼쳐질 수 있음으로써 한복 저고리 착용자의 등 부분의 활동성 내지 편의성이 증진된다.
한편, 신축성(elasticity)은 옷감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성질을 일컫는 용어로, 신축성이 우수할수록 착용시 매우 편안하며 의복 형태의 원상 회복 또한 신속하므로 의복의 활동성과 실용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성질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한복 저고리의 신축성을 발휘하기 위해 한복 저고리의 원단 자체의 소재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신축성 소재로 하고 있다. 이러한 신축성 소재는 직물과 편물로 크게 분류되며, 신축성 직물(elastic woven fabrics)에는 나일론스판, 폴리스판, 이중직, 자카드, 교직물 등이 있고, 신축성 편물(elastic knitted fabrics)에는 니트류(knit) 등이 있다. 한복 저고리의 원단 자체의 소재를 부분적으로 신축성 소재, 특히 니트로 하여 한복 저고리에 서로 다른 소재가 사용되게 하는 경우 한복 고유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훼손하는 단점을 초래한다. 한복 저고리의 원단 자체의 소재를 전체적으로 신축성 소재, 특히 니트로 하는 경우에도 한복 고유의 전통적인 아름다움과는 어울리지 않는 느낌을 주게 된다.
하지만, 위 도 5 내지 10, 15의 실시 예의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 겉감과 안감을 각각 포함하는 저고리 몸체(11)와 양측 소매(12, 13)를 포함하는 한복 저고리에서 한복 저고리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상기 한복 저고리에 서로 반대되는 양측의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이 가해졌다 해제될 때,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벌어졌다 오므러지도록 절첩된 절첩부(11a)와,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신축하는 신축 원단부와,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절첩부(11a)와 신축 원단부 이외의 나머지 부분으로서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서로 대응되는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나머지 원단부를 포함하게 제조하되 상기 절첩부(11a)와 신축 원단부와 나머지 원단부를 각각 동일한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14b)와 위사(14a)로 제직하고 있기 때문에 한복 저고리 전체가 동일한 원단으로 제직되어 원단 소재 자체가 신축성 소재로 된 원단을 별도로 구입할 필요 없이 동일한 원단을 이용하여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 내지 10, 15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축 원단부는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꼭지점 부분 중 한 쌍의 꼭지점 부분을 상기 힘의 인가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꼭지점 부분 중 나머지 한 쌍의 꼭지점 부분을 상기 힘의 인가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하며, 상기 나머지 원단부는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 중 하나를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한다.
상기 신축 원단부는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꼭지점 부분 중 한 쌍의 꼭지점 부분을 상기 힘의 인가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꼭지점 부분 중 나머지 한 쌍의 꼭지점 부분을 상기 힘의 인가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한복 저고리의 신축 원단부에 서로 반대되는 양측의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상기 경사와 위사는 무신축성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모양이 변형되면서 상기 힘의 인가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꼭지점 부분 중 한 쌍의 꼭지점 부분 사이의 간격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a에서 b로 벌어지고 상기 힘의 인가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꼭지점 부분 중 나머지 한 쌍의 꼭지점 부분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며 그 결과 상기 신축 원단부는 상기 힘의 인가 방향으로 신장하게 되며, 상기 한복 저고리의 신축 원단부에 서로 반대되는 양측의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이 가해졌다 해제되었을 때에는 변형되었던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모양이 상기 경사와 위사의 제직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사각형 모양으로 복원되는데, 다시 말해 상기 힘의 인가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꼭지점 부분 중 한 쌍의 꼭지점 부분 사이의 간격은 다시 좁아지게 되고 상기 힘의 인가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꼭지점 부분 중 나머지 한 쌍의 꼭지점 부분 사이의 간격은 다시 넓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나머지 원단부는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 중 하나를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한복 저고리의 상기 나머지 원단부에 서로 반대되는 양측의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상기 나머지 원단부의 상기 경사와 위사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가 서로 동일한 a'와 b'로서 신장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힘이 가해졌다 해제되었을 때에도 길이가 축소되지 않는다.
도 5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 원단부는, 저고리 몸체(11)의 뒷 부분인 등 부분과 양측 소매(12, 13)의 내측 단부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신축 원단부(1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 신축 원단부(14)는 저고리 몸체(11)의 뒷 부분인 등 부분과 양측 소매(12, 13)의 내측 단부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한복 저고리에 서로 반대되는 양측의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이 가해졌다 해제될 때 신축하기 때문에, 한복 저고리 착용자가 양팔을 몸통의 전후로 움직일 때 제1 신축 원단부(14)가 신축함으로써 저고리 몸체(11)의 뒷 부분인 등 부분과 양측 소매(12, 13)의 내측 단부 부분의 사이의 활동성 내지 편의성이 증진된다.
도 11은 도 5의 실시예에 제2 신축 원단부가 추가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고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B부 확대도이다.
도 11, 12를 참조하면, 상기 신축 원단부는, 도 5 내지 10의 실시 예의 구성 외에, 저고리 몸체(11)의 앞 부분과 양측 소매(12, 13)의 내측 단부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신축 원단부(15)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2 신축 원단부(15)는 저고리 몸체(11)의 앞 부분과 양측 소매(12, 13)의 내측 단부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한복 저고리에 서로 반대되는 양측의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이 가해졌다 해제될 때 신축하기 때문에, 한복 저고리 착용자가 양팔을 몸통의 전후로 움직일 때 제2 신축 원단부(15)가 신축함으로써 저고리 몸체(11)의 앞 부분과 양측 소매(12, 13)의 내측 단부 부분의 사이의 활동성 내지 편의성이 증진된다.
도 13은 도 11의 실시 예에 제3, 4 신축 원단부가 추가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고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C부 확대도이다.
도 13,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 원단부는, 도 8의 실시 예의 구성 외에, 상기 양측 소매(12, 13)의 각각의 내측 단부 인접부에 형성된 개방부에 인접하는 양측 소매(12, 13)의 부분의 하단부들과 상기 제1 신축 원단부(14)와 제2 신축 원단부(15)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신축 원단부(16); 및 상기 제2 신축 원단부(15)와 상기 저고리 몸체(11)에 양측이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4 신축 원단부(17)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3 신축 원단부(16)는 상기 양측 소매(12, 13)의 각각의 내측 단부 인접부에 형성된 개방부에 인접하는 양측 소매(12, 13)의 부분의 하단부들과 상기 제1 신축 원단부(14)와 제2 신축 원단부(15)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4 신축 원단부(17)는 상기 제2 신축 원단부(15)와 상기 저고리 몸체(11)에 양측이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3 신축 원단부(16)와 제4 신축 원단부(17)가 한복 저고리에 서로 반대되는 양측의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이 가해졌다 해제될 때 신축하기 때문에, 한복 저고리 착용자가 양팔을 몸통의 상하로 움직일 때 제3 신축 원단부(16)와 제4 신축 원단부(17)가 상하로 신축함으로써 저고리 몸체(11)의 옆 부분과 양측 소매(12, 13)의 내측 단부 인접부 중 하측의 인접부의 활동성 내지 편의성이 증진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해 빨간 양단 소재를 사용하여 기본적인 민저고리를 제조하였다(도 1). 제조방법은 기존에 공지된 전통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고 이를 비교예 1로 하였다.
저고리의 형태는 기존에 공지된 전통적인 한복 저고리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조하였다(도 2). 기본적으로 회색 바탕에 꽃무늬가 있는 양단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앞길과 뒷길 진동 부위에 자주색 니트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도 2a의 빗금친 부분). 니트가 사용되는 부위의 안감은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 겉감과 안감을 연결할 때, 그 접지선에 실크심을 대어 박음질하였으며, 이를 비교예 2로 하였다.
저고리의 형태는 기존에 공지된 전통적인 한복 저고리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조하였다(도 3). 기본적으로 곤색 양단을 사용하였으며, 겨드랑이 부분과 소매 부리 부분에 자주색 니트 소재를 사용하였다(도 3a의 빗금친 부분). 니트가 사용되는 부위의 안감은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 겉감과 안감을 연결할 때, 그 접지선에 실크심을 대어 박음질하고, 이를 비교예 3으로 하였다.
저고리 전체에 자주색의 니트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도 4). 배색 효과를 위해 소매 부리 부분에 겨자색 니트를 사용하였고, 옷고름은 앞면에 니트를 사용하고 뒷면에 양단을 사용하였다. 안감은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 겉감과 안감을 연결할 때, 그 접지선에 실크심을 대어 박음질하였으며, 이를 비교예 4로 하였다.
이에 대해 서로 연결된 겉감과 안감을 각각 포함하는 저고리 몸체(11)와 양측 소매(12, 13)를 포함하는 한복 저고리에서 한복 저고리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상기 한복 저고리에 서로 반대되는 양측의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이 가해졌다 해제될 때,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벌어졌다 오므러지도록 절첩된 절첩부(11a)와,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신축하는 신축 원단부와,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절첩부(11a)와 신축 원단부 이외의 나머지 부분으로서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서로 대응되는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나머지 원단부를 포함하게 제조하되 상기 절첩부(11a)와 신축 원단부와 나머지 원단부를 각각 동일한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14b)와 위사(14a)로 제직하고, 상기 절첩부(11a)는, 상기 저고리 몸체(11)의 뒷 부분인 등 부분을 좌우로 양분하는 가상의 중심선에 인접하는 좌측의 저고리 몸체(11)의 부분에서 설정 거리만큼 우측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11a1); 상기 하부(11a1)의 우측 단부에서 상기 설정 거리만큼 좌측 방향으로 접혀져서 상기 하부(11a1)의 위에 배치되는 중간부(11a2); 및 상기 중간부(11a2)의 좌측 단부에서 다시 우측 방향으로 접혀져서 상기 중간부(11a2)의 위에 배치되는 상부(11a3)를 포함하고, 상기 절첩부(11a)의 좌측 단부 인접부에서 상기 절첩부(11a)의 상측 단부로부터 제1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의 제1 좌측 봉제선(11b1)을 따라 하부(11a1)와 중간부(11a2) 및 상부(11a3)가 봉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좌측 봉제선(11b1)의 하측 단부로부터 제2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의 미봉제부(11b2)를 따라 하부(11a1)와 중간부(11a2) 및 상부(11a3)는 봉제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절첩부(11a)의 좌측 단부 인접부에서 상기 미봉제부(11b2)의 하측 단부로부터 제2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의 제2 좌측 봉제선(11b3)을 따라 하부(11a1)와 중간부(11a2) 및 상부(11a3)가 봉제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 원단부는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 부분들을 상기 힘의 인가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며, 상기 나머지 원단부는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 중 하나를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을 실시예 1로 하였다.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한복 저고리에서 상기 미봉제부(11b2)는 상기 제1 좌측 봉제선(11b1)의 하측 단부로부터 제2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 봉제된 부분을 가지지 않으므로 한복 저고리 착용자가 팔을 전후로 움직여서 등이 전후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미봉제부(11b2)를 구성하는 하부(11a1)와 중간부(11a2) 및 상부(11a3)가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므려져 절첩되어 있다가 벌어져서 펼쳐질 수 있음으로써 한복 저고리 착용자의 등 부분의 활동성 내지 편의성이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비교예 1 내지 4의 한복 저고리에서는 상기 미봉제부(11b2)에 상당하는 구성이 없어서 한복 저고리 착용자의 등 부분의 활동성 내지 편의성이 증진되지 못하는 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한복 저고리는 한복 저고리 전체가 동일한 원단으로 제직되어 원단 소재 자체가 신축성 소재로 된 원단을 별도로 구입할 필요 없어 비용과 노력이 절감됨과 동시에 동일한 원단을 이용하여 부분적 신축성의 제1 신축 원단부(14)를 포함하는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한복 고유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비교예 1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한복 저고리는 한복 저고리에서 신축성을 부여할 수 없었고, 비교예 2 내지 4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한복 저고리는 한복 저고리에서 신축성이 필요한 부분에 사용되는 원단 소재 자체가 신축성 소재로 된 원단을 별도로 구입해야 해서 비용 및 노력이 추가로 소요되고 한복 고유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이 훼손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한복 저고리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제1 신축 원단부(14)을 포함하는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되 제1 신축 원단부(14)의 실이 끊어졌을 때 끊어진 실 부분의 올만 나가고 나머지 실 부분의 올들은 나가지 않음과 동시에 착용 중 마찰이 있어도 보풀이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비교예 2 내지 4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한복 저고리는 소재 자체가 신축성 소재로 된 원단의 실이 끊어졌을 때 끊어진 실 부분의 올로 인해 전체 올이 모두 나가버림과 동시에 착용 중 마찰에 의해서 쉽게 보풀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는, 상기 신축 원단부는, 실시예 1의 구성 외에, 저고리 몸체(11)의 앞 부분과 양측 소매(12, 13)의 내측 단부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신축 원단부(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구성이 동일하다.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한복 저고리 역시 한복 저고리 전체가 동일한 원단으로 제직되어 원단 소재 자체가 신축성 소재로 된 원단을 별도로 구입할 필요 없어 비용과 노력이 절감됨과 동시에 동일한 원단을 이용하여 부분적 신축성의 제1 신축 원단부(14)와 제2 신축 원단부(15)를 포함하는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한복 고유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비교예 1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한복 저고리는 한복 저고리에서 신축성을 부여할 수 없었고, 비교예 2 내지 4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한복 저고리는 한복 저고리에서 신축성이 필요한 부분에 사용되는 원단 소재 자체가 신축성 소재로 된 원단을 별도로 구입해야 해서 비용 및 노력이 추가로 소요되고 한복 고유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이 훼손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한복 저고리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제1 신축 원단부(14)와 제2 신축 원단부(15)를 포함하는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되 제1 신축 원단부(14)와 제2 신축 원단부(15)의 실이 끊어졌을 때 끊어진 실 부분의 올만 나가고 나머지 실 부분의 올들은 나가지 않음과 동시에 착용 중 마찰이 있어도 보풀이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비교예 2 내지 4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한복 저고리는 소재 자체가 신축성 소재로 된 원단의 실이 끊어졌을 때 끊어진 실 부분의 올로 인해 전체 올이 모두 나가버림과 동시에 착용 중 마찰에 의해서 쉽게 보풀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은, 상기 신축 원단부는, 실시예 2의 구성 외에, 상기 양측 소매(12, 13)의 각각의 내측 단부 인접부에 형성된 개방부에 인접하는 양측 소매(12, 13)의 부분의 하단부들과 상기 제1 신축 원단부(14)와 제2 신축 원단부(15)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신축 원단부(16); 및 상기 제2 신축 원단부(15)와 상기 저고리 몸체(11)에 양측이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4 신축 원단부(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구성이 동일하다.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한복 저고리 역시 한복 저고리 전체가 동일한 원단으로 제직되어 원단 소재 자체가 신축성 소재로 된 원단을 별도로 구입할 필요 없어 비용과 노력이 절감됨과 동시에 동일한 원단을 이용하여 부분적 신축성의 제1 신축 원단부(14)와 제2 신축 원단부(15)와 제3 신축 원단부(16) 및 제4 신축 원단부(17)를 포함하는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한복 고유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비교예 1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한복 저고리는 한복 저고리에서 신축성을 부여할 수 없었고, 비교예 2 내지 4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한복 저고리는 한복 저고리에서 신축성이 필요한 부분에 사용되는 원단 소재 자체가 신축성 소재로 된 원단을 별도로 구입해야 해서 비용 및 노력이 추가로 소요되고 한복 고유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이 훼손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한복 저고리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제1 신축 원단부(14)와 제2 신축 원단부(15)와 제3 신축 원단부(16) 및 제4 신축 원단부(17)를 포함하는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되 제1 신축 원단부(14)와 제2 신축 원단부(15)와 제3 신축 원단부(16) 및 제4 신축 원단부(17)의 실이 끊어졌을 때 끊어진 실 부분의 올만 나가고 나머지 실 부분의 올들은 나가지 않음과 동시에 착용 중 마찰이 있어도 보풀이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비교예 2 내지 4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한복 저고리는 소재 자체가 신축성 소재로 된 원단의 실이 끊어졌을 때 끊어진 실 부분의 올로 인해 전체 올이 모두 나가버림과 동시에 착용 중 마찰에 의해서 쉽게 보풀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저고리 몸체
11a. 절첩부
11a1. 하부
11a2. 중간부
11a3. 상부
11b1. 제1 좌측 봉제선
11b2. 미봉제부
11b3. 제2 좌측 봉제선
12, 13. 소매
14. 제1 신축 원단부
14a. 위사
14b. 경사
15. 제2 신축 원단부
16. 제3 신축 원단부
17. 제4 신축 원단부

Claims (5)

  1. 서로 연결된 겉감과 안감을 각각 포함하는 저고리 몸체(11)와 양측 소매(12, 13)를 포함하는 한복 저고리에서 한복 저고리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상기 한복 저고리에 서로 반대되는 양측의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이 가해졌다 해제될 때,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벌어졌다 오므러지도록 절첩된 절첩부(11a)와,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신축하는 신축 원단부와,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상기 절첩부(11a)와 신축 원단부 이외의 나머지 부분으로서 상기 겉감과 안감에서 서로 대응되는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나머지 원단부를 포함하게 제조하되 상기 절첩부(11a)와 신축 원단부와 나머지 원단부를 각각 동일한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14b)와 위사(14a)로 제직하고,
    상기 절첩부(11a)는,
    상기 저고리 몸체(11)의 뒷 부분인 등 부분을 좌우로 양분하는 가상의 중심선에 인접하는 좌측의 저고리 몸체(11)의 부분에서 설정 거리만큼 우측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11a1);
    상기 하부(11a1)의 우측 단부에서 상기 설정 거리만큼 좌측 방향으로 접혀져서 상기 하부(11a1)의 위에 배치되는 중간부(11a2); 및
    상기 중간부(11a2)의 좌측 단부에서 다시 우측 방향으로 접혀져서 상기 중간부(11a2)의 위에 배치되는 상부(11a3)를 포함하고,
    상기 절첩부(11a)의 좌측 단부 인접부에서 상기 절첩부(11a)의 상측 단부로부터 제1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의 제1 좌측 봉제선(11b1)을 따라 하부(11a1)와 중간부(11a2) 및 상부(11a3)가 봉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좌측 봉제선(11b1)의 하측 단부로부터 제2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의 미봉제부(11b2)를 따라 하부(11a1)와 중간부(11a2) 및 상부(11a3)는 봉제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절첩부(11a)의 좌측 단부 인접부에서 상기 미봉제부(11b2)의 하측 단부로부터 제2 설정 간격만큼 하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까지의 제2 좌측 봉제선(11b3)을 따라 하부(11a1)와 중간부(11a2) 및 상부(11a3)가 봉제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 원단부는,
    저고리 몸체(11)의 뒷 부분인 등 부분과 양측 소매(12, 13)의 내측 단부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신축 원단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원단부는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꼭지점 부분 중 한 쌍의 꼭지점 부분을 상기 힘의 인가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복수의 사각형 메시의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꼭지점 부분 중 나머지 한 쌍의 꼭지점 부분을 상기 힘의 인가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하고,
    상기 나머지 원단부는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 중 하나를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경사(14b)와 위사(14a)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원단부는,
    저고리 몸체(11)의 앞 부분과 양측 소매(12, 13)의 내측 단부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신축 원단부(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원단부는,
    상기 양측 소매(12, 13)의 각각의 내측 단부 인접부에 형성된 개방부에 인접하는 양측 소매(12, 13)의 부분의 하단부들과 상기 제1 신축 원단부(14)와 제2 신축 원단부(15)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신축 원단부(16); 및
    상기 제2 신축 원단부(15)와 상기 저고리 몸체(11)에 양측이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4 신축 원단부(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KR1020210180105A 2021-12-15 2021-12-15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KR102424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105A KR102424101B1 (ko) 2021-12-15 2021-12-15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105A KR102424101B1 (ko) 2021-12-15 2021-12-15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101B1 true KR102424101B1 (ko) 2022-07-25

Family

ID=8260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105A KR102424101B1 (ko) 2021-12-15 2021-12-15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1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241U (ko) 1997-12-10 1998-03-30 권오순 여성용 니트 한복저고리
KR100709466B1 (ko) 2006-02-24 2007-04-18 김현숙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한복의 제조 방법
KR100982248B1 (ko) * 2010-02-12 2010-09-14 캠브리지코오롱 주식회사 슈트 상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241U (ko) 1997-12-10 1998-03-30 권오순 여성용 니트 한복저고리
KR100709466B1 (ko) 2006-02-24 2007-04-18 김현숙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한복의 제조 방법
KR100982248B1 (ko) * 2010-02-12 2010-09-14 캠브리지코오롱 주식회사 슈트 상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2952B2 (ja) 複数のゾーンの単一の織られた生地構築体
KR100694875B1 (ko) 늘어남이 방지된 니트 소재 목깃, 상기 니트소재 목깃의제조방법 및 상기 니트소재 목깃이 부착된 의류
JP3641359B2 (ja) ガードル、ブラジャー等のボディに密着する下着
JP4520691B2 (ja) 衣服用ウエストバンド
KR102424101B1 (ko)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KR102424099B1 (ko)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JP2007077566A (ja) 体形補整用下着
JP3220125B1 (ja) 紐状の毛皮又は毛皮状素材を使用した生地並びにこれを使用した製品
JP3950155B2 (ja) 体形補整用下着
JP2020535327A (ja) 編物伸縮パネルを有する非伸縮性の衣服
KR100487440B1 (ko) 모피생지 및 의복 및 의복용 액세서리
KR100895888B1 (ko) 바지
JP3308443B2 (ja) レース編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00096B1 (ko) 한복 옷고름
KR100709466B1 (ko)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한복의 제조 방법
CN211298493U (zh) 无缝连体百褶裙
JP2005503496A (ja) 衣服アイテム
US20160219954A1 (en) Curved pleated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pleated product
JP2022029553A (ja) 下半身用衣類
KR200424124Y1 (ko) 어깨와 허리단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숄 구조
JP2006009190A (ja) 網目組織を備えたリボン
KR20050077616A (ko) 니트조직을 활용한 한산모시의 의복디자인 방법
CN218262985U (zh) 多变化针织产品
CN213389075U (zh) 一种直列式图案花边带
CN213082543U (zh) 一种多层复合花边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