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466B1 -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한복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한복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9466B1 KR100709466B1 KR1020060018397A KR20060018397A KR100709466B1 KR 100709466 B1 KR100709466 B1 KR 100709466B1 KR 1020060018397 A KR1020060018397 A KR 1020060018397A KR 20060018397 A KR20060018397 A KR 20060018397A KR 100709466 B1 KR100709466 B1 KR 1007094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bok
- manufacturing
- present
- knit
- ski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1—O-ring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트 소재를 이용한 한복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서는 겉감과 안감의 일부 또는 전체를 신축성 소재로 하며, 특히 니트 소재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서는 겉감과 안감의 접지선에 보강 심재를 대어 박음질한다.
본 명의 한복 제조 방법은 한복 고유의 아름다움을 더욱 향상시키고 활동성과 실용성을 증가시키며 한복의 대량 생산 산업에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 1은 기존에 공지된 한복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고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고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고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고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치마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치마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한복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복은 세계적으로 그 아름다움을 주목받고 있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의상이다.
한복의 형태는 치마와 저고리, 또는 바지와 저고리로 상하가 분리된 기본구조로, 배래, 도련, 깃 등의 우아한 곡선과 동정의 예리한 직선이 조화를 잘 이루고 있다. 한복의 제조 방법은 평면재단인 것이 특징이므로, 입체적인 사람의 몸에 입히면 자연스럽게 주름이 형성되어 우아한 실루엣과 풍성한 여유로움의 표현이 가능하다.
저고리는 옷에 부착하는 장식이 없으며 주로 선을 중심으로 변화를 주고 있다. 저고리의 선에서 깃과 섶은 직선이나 사선 방향으로 위치하고, 끝부분은 곡선으로 처리되어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이러한 사선이 배래와 도련의 곡선과 어우러져 한복 고유의 단아한 미감을 형성한다. 겨드랑이 부분의 회장은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저고리에 변화감을 부여한다.
치마는 잔잔한 주름으로 팽창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발등까지 연결되는 선으로 인해 볼륨감과 여유미를 준다. 그 형태는 단순하나 치마를 감싸는 방법에 의해 다양한 주름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따라서 양복처럼 정형화된 옷은 한 번 맞추어 입으면 그 옷이 연출해 낼 수 있는 느낌은 하나밖에 없는데 비해 한복은 몸을 감싸는 양식, 조이는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한 연출미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한복은 사용할 수 있는 색상이 무한히 다양하고 원색을 사용해도 잘 어울리므로,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복의 소재는 일반적으로 대마 직물인 베, 저마직물인 모시, 면직물인 무명 및 견직물인 명주와 각종 주(紬), 사(紗), 라(羅), 능(綾), 금(錦), 단(緞) 등을 사용한다. 직물은 같은 섬유로 짠 것이라도 그 직조 상태에 따라서 재질에 차이가 생긴다. 즉 조밀도, 직조법, 광택의 유무, 실의 두께, 가공 등에 의하여 외관이 나 감촉에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각 소재들은 한복의 형태와 조화를 이루어 한복 고유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는데, 한복은 형태 변화가 거의 없는 의상이므로 소재의 특성에 따라 한복의 외관 및 용도에 변화를 주곤 하였다. 그 예로 계절에 따라 사용되는 대표적인 옷감들을 들 수 있다. 여름에는 주로 삼베 또는 모시를 사용하고 봄과 가을에는 자미사, 갑사, 진주사 또는 호박단 등을 사용하였으며, 겨울에는 공단, 양단 또는 명주를 주로 사용하되 옷감 사이에 솜을 두거나 누벼서 보온성을 높이기도 하는 등 소재에 따라 다양한 미적 특성 및 용도를 창출하였다.
그러나 한복은 해결해야 할 단점 또한 안고 있다. 한복 고유의 형태상 저고리는 겨드랑이 부분이 짧은 반면 소매부리가 넓고 길어 팔의 활동이 제한되며, 옷고름이 자주 풀리는 점이 거추장스럽다. 치마의 경우 어깨허리, 긴 치마길이, 단단히 묶어야 하는 치마끈 등은 일상생활을 불편하게 하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한복의 소재는 그 고유한 형태를 살릴 수 있어야 하다 보니 딱딱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장시간 착용할 경우 매우 불편한 느낌을 주게 되며 구김도 쉽게 생긴다.
이처럼 그 형태와 소재가 실용성이 낮기 때문에 최근에는 우리나라 사람들도 특별한 행사들을 제외하고는 점점 그 착용 빈도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한복의 형태 또는 소재를 변형시키는 제조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지금까지의 한복 제조 방법은 치수를 변화시키거나 서양식 의상의 특징을 도 입하는 등 형태의 변형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개량 한복'이라 일컬어지는 변형 한복의 제조 방법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활동성은 증대된 반면, 전통 한복이 주는 아름다운 곡선미는 많이 손상되어 외관상 투박한 느낌을 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개량 한복은 현재 전통 한복보다 오히려 호감도가 하락하여 주로 서비스 업종의 유니폼으로 사용되거나 몇몇 애호가들의 전유물에 그치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한복의 형태보다 한복 소재에 변화를 주기 위해 다양한 서양복 옷감 소재들을 한복 제조에 이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소재는 의복의 바탕이 되어 시각적, 촉각적 느낌을 전달할 뿐 아니라, 의복의 형태에 영향을 주어 의복의 전체적인 분위기에 영향을 주게 된다. 즉 소재는 의복의 제조에 있어 단순한 하나의 재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같은 형태의 의복이라도 다양한 특성을 표현할 수 있게 하는 중심 요소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20-1997-0036561호에는 니트로 이루어진 저고리가 공개된 바 있다. 이 니트 저고리는 손으로 직접 뜨개질한 것으로, 종래의 직물 저고리에 비해 보온성이 양호하며 세탁 등 취급이 용이한 특징을 나타낸다. 그러나 그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사람이 손수 뜨개실로 등판과 앞판을 별도로 짜서 붙인 후, 소매 연결부에서부터 소매를 다시 뜨개질해나가야 한다. 따라서 저고리 한 벌을 제조하는데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제조 방법의 측면에서는 매우 비효율적이며, 생산단가도 높아질 수밖에 없어 산업적으로 실용화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효율적인 소재 선정을 통해 한복 고유의 아름다움을 해치지 않으면서 도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한복의 제조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한복 소재를 적용시킴으로써 한복 고유의 아름다움을 더욱 향상시키고 활동성과 실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한복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겉감과 안감의 일부 또는 전체를 신축성 소재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신축성(elasticity)은 옷감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성질을 일컫는 용어로, 신축성이 우수할수록 착용시 매우 편안하며 의복 형태의 원상 회복 또한 신속하므로 의복의 활동성과 실용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성질이다.
신축성 소재는 직물과 편물로 크게 분류되며, 신축성 직물(elastic woven fabrics)에는 나일론스판, 폴리스판, 이중직, 자카드, 교직물 등이 있고, 신축성 편물(elastic knitted fabrics)에는 니트류(knit)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신축성 소재는 직물과 편물 모두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겉감과 안감의 일부 또는 전체를 편물, 즉 니트 소재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겉감을 니트와 견직물 소재로 하고, 안감을 니트와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제조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소재인 니트란 면, 마, 모 등으로 직조된 한 개의 실로 고리(loop)를 만들고 이 고리에 실을 걸어서 새 고리를 만드는 과정을 되풀이하는 방식으로 제조된 모든 옷감 소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니트는 사람의 손으로 직접 뜨개질한 수제품이 아니라 공장에서 대량생산하는 편물을 의미한다. 수제품 니트는 그 제조에 너무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제외시킨다.
니트는 루프로 연결된 조직 구조의 특성 때문에 다른 직물보다 드레이프성, 신축성 및 유연성이 뛰어나 착용감이 우수하다. 또한 구김이 잘 생기지 않으며, 세탁 후 다림질이 필요없을 만큼 구김의 회복 또한 빠르다.
니트는 루프의 연결 방식을 적절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천의 폭을 증감시키거나 필요한 곳에 부가 또는 접속시켜 원하는 형태로 쉽게 만들 수 있으므로, 성형이 불가능한 일반 직물에 비해 매우 경제적이다. 니트는 다른 직물에 비해 보온성, 투습성 및 통기성이 우수하여 위생적이다. 또한 니트는 보통의 직물과는 달리 원사를 사용하여 자기가 원하는 디자인을 창작할 수 있고 유행에 따라 무늬의 모양과 크기가 바뀌어도 다시 풀어서 짤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니트는 편성 방향에 따라 크게 가로로 짜는 위편 니트(weft knit)와 세로로 짜는 경편 니트(warp knit)로 분류된다.
위편은 기본적으로 고리(코)로 만들면서 좌우로 왕복하여 가로 방향의 코를 만들어 평편한 천을 편성하여 만든 횡편(weft knit)과 나선형으로 돌면서 원통형의 천을 편성하여 만든 환편(circular knit)을 포함한다.
경편은 경사가 서로 휘감기어 웨일(wale) 방향으로 조직을 구성한 것으로, 다수의 경사가 교대로 좌우의 경사와 얽혀져 사선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으로 코를 만들어 가며, 열린 코(開目)와 닫힌 코(閉目)의 두 가지의 종류가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니트 중에서 위편 조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편 조직은 경편 조직에 비해 형태를 고정시키는 성질이 우수하여, 한복의 형태를 잡아주고 외관의 아름다움을 더하기 때문이다. 또한 위편은 경편보다 신축성이 우수하며 특히 가로방향으로 잘 늘어나므로, 인체의 형태와 동작에 적합한 변형을 주면서 몸에 잘 밀착되어 착용감이 편하고 부드럽다. 또한 위편은 설비자금이 비교적 적게 소요되는 편이므로 대량생산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니트는 위편 중에서 환편의 일종인 저어지(jersey) 소재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저어지는 편물의 가장 기본적인 조직으로 평편조직(plain stitch, 민자조직)이라고도 한다. 저어지는 다른 니트 소재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신축성이 우수하여, 한복과 같이 풍성한 주름을 표현해야 하는 의복에 적합한 소재이다. 저어지의 표면에는 루프에서 루프(코에서 코)로 진행된 웨일만이 나타나고 이면에는 실이 좌우로 진행된 코스(course)만이 나타나 있으므로, 의복을 제작할 때 그 표면과 이면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저어지는 그 편사, 밀도, 편기에 의한 변화, 편성 후의 후처리 등에 의하여 각각 다른 표면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다양한 느낌의 의복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니트와 함께 겉감에 패치워크(patchwork)할 수 있는 소재는 기존에 사용되어온 한복용 겉감, 예를 들면 베, 모시, 무명 또는 견직물이 될 수 있다. 패치워크란 제조하고자 하는 한복의 디자인에 따라 적절하게 두 가지 이상의 소재를 조합하여 사용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니트와 함께 안감에 사용할 수 있는 소재는 기존에 사용되어온 한복용 안감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와 같이 신축성이 큰 직물이 될 수 있다. 안감은 겉옷의 질감과 색채, 형태 등을 살려 주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겉감에 맞는 것을 선택한다.
한편 저어지를 포함한 니트 소재의 단점은 끝단(선단)이 표면 쪽으로 말리기 쉬운 컬 업(curl-up)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다른 옷감 소재와 함께 박음질하면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밀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니트는 처지기 쉬운 성질을 가지므로 한복 치마와 같이 폭이 넓은 의복의 제조에 사용할 경우, 그 고유한 형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겉감과 안감의 접지선에 보강 심재를 대어 박음질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제조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보강 심재는 겉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옷 전체 또는 어느 한정된 부위의 보강, 형태의 보존 및 의복의 활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전통 한복의 제조방법에서는 한복 고유의 형태와 선을 유지하기 위해 노방주와 같은 빳빳한 심재를 사용해왔으나 의복의 솔기 부분이 딱딱해지는 등 전체적인 착용감을 불편하게 하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제외시킨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심재는 부드러운 느낌의 니트와 어울릴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진 심재, 즉 실크심, 아사심, 광목, 부직포, 접착심 등 이 모두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보강 심재로 신축성이 우수한 실크심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기능적 측면에서, 실크심은 니트의 단점인 처짐과 봉제과정 중의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여 타소재와의 박음질을 원활하게 한다. 미적 측면에서, 실크심은 니트 한복 특유의 부드러운 실루엣에 탄력적 율동감을 더해주는 미적 요소로서 작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기존에 공지된 한복의 모양대로 본을 떠서 겉감 및 안감을 준비한다. 겉감은 디자인에 따라 니트만을 사용하거나, 또는 니트와 어울릴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하여 니트와 함께 사용한다. 이때 니트와 함께 사용하는 소재는 계절, 디자인, 용도 등의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용 한복을 제조할 때는 보온성을 높이기 위해 두텁고 짜임이 거친 수직실크, 양단, 또는 공단 등을 니트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안감은 니트만을 사용하거나, 또는 니트와 폴리에스테르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안감과 겉감을 붙일 때, 그 접지선에 보강 심재를 댄 후 박음질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기본 한복인 저고리, 치마, 바지 뿐 아니라 마고자, 두루마기 등의 겉옷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전통 한복 고유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감각이 가미되어 그 아름다움을 더욱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활동성과 실용성이 증가된 한복을 제공하므로 한복의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 제조 방법은 간단한 설비에 의해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니트를 사용하므로 산업적 용도에 효율적으로 응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비교예
] 기존에 공지된 한복 제조 방법에 따른 저고리의 제조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해 빨간 양단 소재를 사용하여 기본적인 민저고리를 제조하였다(도 1). 제조방법은 기존에 공지된 전통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른 저고리의 제조
1)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른 저고리의 제조 - 1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저고리를 제조하였다.
저고리의 형태는 기존에 공지된 전통적인 한복 저고리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조하였다(도 2). 기본적으로 회색 바탕에 꽃무늬가 있는 양단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앞길과 뒷길 진동 부위에 자주색 니트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도 2a의 빗금친 부분). 니트가 사용되는 부위의 안감은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 겉감과 안감을 연결할 때, 그 접지선에 실크심을 대어 박음질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저고리는 비교예의 저고리에 비해 옷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진동 부위의 신축성이 우수하여 착용하였을 때 팔을 돌리거나 어깨를 움츠리는 등의 동작이 매우 수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른 저고리의 제조 - 2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저고리를 제조하였다.
저고리의 형태는 기존에 공지된 전통적인 한복 저고리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조하였다(도 3). 기본적으로 곤색 양단을 사용하였으며, 겨드랑이 부분과 소매 부리 부분에 자주색 니트 소재를 사용하였다(도 3a의 빗금친 부분). 니트가 사용되는 부위의 안감은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 겉감과 안감을 연결할 때, 그 접지선에 실크심을 대어 박음질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저고리는 비교예의 저고리에 비해 옷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팔을 올리거나 움직일 때 겨드랑이가 드러나지 않아 겨드랑이 부분의 활동성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매를 걷거나 올리기가 수월하여 소매부리에 니트가 들어감으로써 소매 부분의 동작 또한 편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른 저고리의 제조 - 3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저고리를 제조하였다.
저고리 전체에 자주색의 니트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도 4). 배색 효과를 위해 소매 부리 부분에 겨자색 니트를 사용하였고, 옷고름은 앞면에 니트를 사용하고 뒷면에 양단을 사용하였다. 안감은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 겉감과 안감을 연결할 때, 그 접지선에 실크심을 대어 박음질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저고리는 비교예의 저고리에 비해 옷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뻣뻣한 느낌이 감소하고 활동하기가 편리하며 착용감이 우수하였다. 또한 비교예에 비해 옷고름도 잘 풀어지지 않고 처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은 한복 저고리 고유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활동성이 증가된 저고리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2]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른 치마의 제조
1)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른 치마의 제조 - 1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치마를 제조하였다.
치마의 형태는 기존에 공지된 전통적인 한복 치마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조하였다(도 5). 치마의 어깨허리 부분에 흰색의 니트를 사용하고(도 5a의 빗금친 부분), 치마폭은 빨간색의 수직실크를 사용하여 치마를 제조하였다. 니트를 사용한 부분의 안감은 겉감과 동일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겉감과 안감을 연결할 때, 그 접지선에 실크심을 대어 박음질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서 제조한 치마는 기존의 한복 치마에 비해 옷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가슴을 조이는 현상이 감소되어 착용감이 우수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른 치마의 제조 - 2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치마를 제조하였다.
치마의 형태는 기존에 공지된 전통적인 한복 치마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조하였다(도 6). 치마 어깨허리, 치마끈 및 치마폭 전체에 다색의 기하학 패턴 무늬의 니트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치마 주름의 폭은 니트의 퍼지는 성질을 감안하여 한복 소재보다 약간씩 크게 1.2cm로 주름을 잡았다. 니트를 사용한 부분의 안감은 겉감과 동일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겉감과 안감을 연결할 때, 그 접지선에 실크심을 대어 박음질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서 제조한 치마는 기존의 한복 치마에 비해 옷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치마의 주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우아한 느낌을 더해주고 니트 소재가 부여하는 현대적인 느낌이 가미되었다. 또한 착용하였을 때 뻣뻣한 느낌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구김도 덜하여 활동성과 실용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은 한복 치마 고유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활동성과 실용성이 증가된 치마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은 전통 한복의 고유한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니트에 의한 현대적인 감각을 더해주어 한복의 아름다움을 더욱 향상시키며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은 용이하게 대량 생산이 가능한 니트 소재를 사용하므로, 산업적 면에서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복 제조 방법은 한복의 위상을 드높여 우리 전통옷의 일상화, 더 나아가 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6)
- 겉감과 안감의 일부 또는 전체를 신축성 소재로 하고, 겉감과 안감의 접지선에 보강 심재를 대어 박음질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신축성 소재는 니트(knit)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제조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니트는 위편(weft knit) 조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니트는 저어지(jersey)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제조방법
- 삭제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 심재는 실크심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8397A KR100709466B1 (ko) | 2006-02-24 | 2006-02-24 |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한복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8397A KR100709466B1 (ko) | 2006-02-24 | 2006-02-24 |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한복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9466B1 true KR100709466B1 (ko) | 2007-04-18 |
Family
ID=3818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8397A KR100709466B1 (ko) | 2006-02-24 | 2006-02-24 |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한복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946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4101B1 (ko) | 2021-12-15 | 2022-07-25 | 임연희 |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
KR102424099B1 (ko) | 2021-12-15 | 2022-07-25 | 임연희 |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4666Y1 (ko) * | 1997-12-10 | 2000-01-15 | 권오순 | 여성용 니트 한복저고리 |
KR20030079921A (ko) * | 2001-08-09 | 2003-10-10 |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 유아용 의복 |
-
2006
- 2006-02-24 KR KR1020060018397A patent/KR10070946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4666Y1 (ko) * | 1997-12-10 | 2000-01-15 | 권오순 | 여성용 니트 한복저고리 |
KR20030079921A (ko) * | 2001-08-09 | 2003-10-10 |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 유아용 의복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4101B1 (ko) | 2021-12-15 | 2022-07-25 | 임연희 |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
KR102424099B1 (ko) | 2021-12-15 | 2022-07-25 | 임연희 |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436684C (zh) | 伸缩性服装 | |
KR20010074977A (ko) | 3차원 편물 제조방법 | |
US5566396A (en) | Stocking construction using tapered flat bed knit leg | |
CN107625213A (zh) | 多用途服装 | |
KR100709466B1 (ko) |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한복의 제조 방법 | |
CN111575890A (zh) | 一种针织两件套服装的全成形方法 | |
CN111938218A (zh) | 一种可机洗西装的制作方法 | |
RU2225697C1 (ru) | Материалы и изделия из полос натурального или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меха | |
CN212629892U (zh) | 一种不易变形、不易起拱且穿着舒适、保暖的针织套装 | |
KR100895889B1 (ko) | 바이어스 컷팅된 직물로 이루어진 의복 | |
KR100609639B1 (ko) | 니트조직을 활용한 한산모시의 의복구성 방법 | |
CN210237916U (zh) | 一种圆弧状带褶边弹性带 | |
JP3930341B2 (ja) | マタニティウエア及び肥満型の婦人用・紳士用被服、並びにその製作方法 | |
CN112450503A (zh) | 一种制造男士护脚毛巾袜的方法 | |
KR102424099B1 (ko) |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 |
CN100479682C (zh) | 伸缩性服装 | |
CN217038957U (zh) | 居家服 | |
KR102424101B1 (ko) |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 |
CN213128047U (zh) | 一种保暖轻盈的毛衫 | |
CN214431896U (zh) | 一种新型女士上衣 | |
CN210445730U (zh) | 一种浮线毛衫 | |
CN212212722U (zh) | 一种无缝牛仔裤 | |
CN210841683U (zh) | 一种侗布切割面料以及使用该面料的裙子、抹胸、上装、围脖 | |
CN209862345U (zh) | 一种仿梭织线连服装 | |
CN209412437U (zh) | 一种保暖有型的运动针织上衣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