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730B1 -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원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730B1
KR101291730B1 KR1020120116491A KR20120116491A KR101291730B1 KR 101291730 B1 KR101291730 B1 KR 101291730B1 KR 1020120116491 A KR1020120116491 A KR 1020120116491A KR 20120116491 A KR20120116491 A KR 20120116491A KR 101291730 B1 KR101291730 B1 KR 101291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hot water
boiling
fabrics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우
Original Assignee
전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우 filed Critical 전종우
Priority to KR102012011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이 서로 다른 형태를 이루어 패션 감각이 향상되고 별도의 추가 가공 없이 제조과정에서 원단을 특성을 이용하여 쉽게 열변형 가공가능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제1원단을 제2원단과 겹친 상태에서 재봉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2원단에서 상기 제1원단만이 열변형 가능한 온도의 끓는 온수 또는 끓는 염색온수에 담구어 꺼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원단의 절개부가 확장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2원단을 텐터장치에서 열처리 가공하여 제1원단의 확장된 절개부가 확장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별도의 추가 가공 없이 제조 가공시 두 개의 원단이 서로 다른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단 및 그 제조방법{Fabric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면이 서로 다른 형태를 이루어 패션 감각이 향상되고 별도의 추가 가공 없이 제조과정에서 원단을 특성을 이용하여 쉽게 열변형 가공가능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원단은 그라운드 조직과 패턴(무늬) 조직이 함께 디자인되어 제직되어 원단을 형성하는데, 직물 원단은 경사(warp/filling)와 위사(weft)가 상하로 규칙적인 형태로 교차하며 경위사의 교착상태(interlace)에 따라 조직이 결정되어 2차원 섬유구조체로 직조되나, 이와 달리 편물 원단은 2개이상의 경사(經絲)들이 공급되어 그 조직이 루프(편환)를 형성하면서 세로방향으로 편직되어지는 섬유구조체로 편직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편물은 장력에 대하여 민감하고, 세로.가로 방향 형태 및 치수가 변화하기 쉽고 루프가 경사지거나 완곡되기 쉽고 아울러, 짜임조직에 따라 변폭이 크며, 탄력성과 신축성을 갖는 특성이 있으며, 그 형태는 크게 루프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경편물과, 루프가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위편물로 구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원단을 두 겹으로 일측에만 홀을 형성시켜 하나의 원단에서 패턴을 형성하며 다른 원단의 색상이 투영되도록 하는 새로운 원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참고문헌]
1. 공개번호 특2003-0014921 (명칭:원단 및 의류)
2. 등록번호 제10-1093542호 (명칭 : 원단의 3차원 에칭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원단)
3. 등록번호 제10-0548166호 (명칭 : 디자인이 부여된 기모원단을 제조하는 방법)
4. 등록번호 10-0970235(명칭 : 그라운드 조직이 복합적 단위조직들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 형태로 표출되는 경편 원단)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별도의 추가 가공 없이 열변형 특성을 이용하여 제조 가공시 두 개의 원단이 서로 다른 형태를 이루도록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리 별도로 가공되지 않은 원단을 공정 내에서 모양 형성과 결합, 형태 유지를 위한 가공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공정이 간단해 지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각적으로 절개부가 형성된 원단을 통해 미적감각이 향상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제1원단을 제2원단과 겹친 상태에서 재봉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2원단에서 상기 제1원단만이 열변형 가능한 온도의 끓는 온수 또는 끓는 염색온수에 담구어 꺼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원단의 절개부가 확장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2원단을 텐터장치에서 열처리 가공하여 제1원단의 확장된 절개부가 확장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 가공 없이 제조 가공시 열변형 특성을 이용하여 두 개의 원단이 서로 다른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미리 별도로 가공되지 않은 원단을 공정 내에서 모양 형성과 결합, 형태 유지를 위한 가공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공정이 간단해 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시각적으로 절개부가 형성된 원단을 통해 미적감각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의 제조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의 부분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원단을 이용하는 제조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따라 제조된 하나의 원단을 이용한 원단의 부분 평면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단은 절개부(11)를 확장시켜 형성되는 제1원단(10)과 제2원단(20)을 겹쳐지게 결합하여 두 가지의 원단을 미적, 패션 감각이 향상되도록 원단(100)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원단(100)은 제1원단(10)에 여러 개의 절개부(11)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11)는 제1원단(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이때, 상기 제1원단(10)의 절개부(11)는 크기와 배열이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원단(10)의 절개부(11)는 크기와 배열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원단(10)은 생지인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원단(10)은 제2원단(20)을 열처리한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시행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원단(10)과 제2원단(20)은 각각 별도로 제조되는 것으로 제2원단(20)을 제조 후 단독으로 열처리한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제1원단(10)을 별도로 열처리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원단(10)이 제2원단(20)을 열처리한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시행한 것을 한정하는 이유는 절개부(11)가 벌어진 형태로 추가 열처리 가공시 제2원단(20)은 열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제1원단(10)만이 열에 의해 형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1원단(10)은 폴리에스터나 나이론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원단(10)은 메쉬 형태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원단(10)은 메쉬 형태가 아닌 원단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여러 개의 절개부(11)가 형성되는 제1원단(10)을 제2원단(20)과 겹친 상태에서 재봉으로 연결한다.
이렇게, 상기 제1,2원단(10)(20)은 겹쳐진 상태로 재봉방식으로 결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재봉선(50)이 물결형태를 이루며 일정한 간격으로 제1,2원단(10)(20)이 겹쳐져 결합된 상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2원단(10)(20)에서 제1원단(10)만이 열변형 가능한 온도의 끓는 온수 또는 끓는 염색온수에 담구어 꺼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원단(10)이 수축하면서 절개부(11)가 확장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열변형은 제1원단(10)이 끓는 온수 또는 염색온수에 침적되어 수축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원단(10)은 제2원단(20)보다 옅은 색상으로 형성된 것을 적용하여 끓는 온수 또는 염색온수가 담겨진 수조(30)를 통과하면서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을 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원단(10)의 절개부(11)는 수조(30)에 담겨진 온수 또는 염색온수에 침적되어 통과하며 일자 형태로 절개된 절개부(11)가 절개된 폭 방향으로 타원이나 원 형태가 되도록 벌어져 확장절개부(12)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원단(20)의 열처리 온도가 120℃일 경우 제1원단(10)의 열처리 온도는 일 예로 90℃이며, 상기 제1원단(10)의 형태 고정을 위한 온수나 염색온수의 열처리 온도는 100℃로 설정하여 제2원단(20)은 온수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열처리가 이루어진 제1원단(10)을 제2원단(20)과 함께 텐터장치(60)로 이송시켜 텐터가공을 시행하여 건조 및 형태변형이 방지되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상기 원단(100)은 일측에는 벌어진 절개부(11)를 갖는 제1원단(10)이 구성되며, 타측에는 제2원단(20)이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써 원단에 있어서, 여러 개의 절개부(11)가 형성되는 제1원단(10)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원단(10)을 열변형 가능한 온도의 끓는 온수 또는 끓는 염색온수에 담구어 꺼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원단(10)이 수축하면서 절개부(11)가 확장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1원단(10)을 텐터장치에서 열처리 가공하여 확장된 절개부(11)가 확장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원단(100)의 제조방법과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처리가 되지 않은 생지(생 원단)이나 제2원단(20)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가 된 원단이면서 메쉬 원단 또는 메쉬가 아닌 원단이면서 폴리에스터나 나일론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원단(10)에 크기 및 배열이 규칙 또는 불규칙 형태로 여러 개의 절개부(11)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제1원단(10)과 제2원단(20)을 겹친 상태에서 재봉을 통해 재봉선(50)으로 결합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재봉선(50)이 물결형태를 이루며 일정한 간격으로 제1,2원단(10)(20)이 겹쳐져 결합된 상태로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2원단(10)(20)을 끓는 온수나 염색온수가 담겨진 수조(30)에 침적시켜 통과시킨다.
이렇게, 상기 끓는 온수나 염색온수에 침적되어 통과되면 제1원단(10)은 열에 의해 수축하게 되어 절개부(11)가 다양한 타원이나 원 형태의 확장절개부(12)를 형성시킨다.
그 다음으로, 상기 재봉선(50)으로 결합된 제1,2원단(10)(20)은 텐터장치(60)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열처리를 통해 제1원단(10)의 확장된 절개부(11)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가공하여 원단(100)을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원단(10)이 제2원단(20)을 열처리한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시행하여 절개부(11)가 벌어진 형태로 추가 열처리 가공시 제2원단(20)은 열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제1원단(10)만이 온수의 열에 의해 형태가 고정되어 확장절개부(12)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제1원단(10)과 제2원단(20)은 각각 별도로 제조되는 것으로 제2원단(20)을 제조 후 단독으로 열처리한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제1원단(10)을 별도로 열처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단(100)은 일측에는 절개부(11)가 확장된 확장절개부(12)를 갖는 제1원단(10)이 구성되며, 타측에는 제2원단(20)이 위치되어 옷을 만들 때 제1원단(10)이 외피를 이룰 경우 확장절개부(12)를 통해 제2원단(20)이 투시됨으로써 미적, 패선 감각적인 측면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써 원단(100)은 여러 개의 절개부(11)가 형성되는 제1원단(10)을 제조한다.
이후, 상기 제1원단(10)을 열변형 가능한 온도의 끓는 온수 또는 끓는 염색온수에 담구어 꺼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원단(10)이 수축하면서 절개부(11)가 확장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원단(10)을 텐터장치에서 열처리 가공하여 확장된 절개부(11)가 확장된 형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건조되도록 제조하여 원단(100)을 완성한다.
이러한, 낱장으로 이루어지는 제1원단(10)은 독립적으로 옷이나 커튼, 장식용 직물지 등으로 단독 사용이 가능한 동시에 별도의 다른 원단에 결합시켜 신미감이 증대되도록 사용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제1원단 11 : 절개부
12 : 확장절개부 20 : 제2원단
30 : 수조 50 : 재봉선
60 : 텐터장치 100 : 원단

Claims (16)

  1. 원단에 있어서,
    여러 개의 절개부(11)가 형성되는 제1원단(10)을 제2원단(20)과 겹친 상태에서 재봉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2원단(10)(20)에서 상기 제1원단(10)만이 열변형 가능한 온도의 끓는 온수 또는 끓는 염색온수에 담구어 꺼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원단(10)이 수축하면서 절개부(11)가 확장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2원단(10)(20)을 텐터장치에서 열처리 가공하여 제1원단(10)의 확장된 절개부(11)가 확장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10)은 생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10)은 단독으로 열처리한 제2원단(20)의 열처리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시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10)의 절개부(11)는 크기와 배열이 규칙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10)의 절개부(11)는 크기와 배열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10)은 폴리에스터나 나이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10)은 메쉬 형태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10)은 메쉬 형태가 아닌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9. 원단 제조방법에 있어서,
    여러 개의 절개부(11)를 형성한 제1원단(10)과 겹쳐지도록 제2원단(20)을 재봉 연결하며,
    상기 제1,2원단(10)(20)에서 제1원단(10)만이 열변형 가능한 온도의 끓는 온수 또는 끓는 염색온수에 담구어 꺼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원단(10)이 수축하면서 절개부(11)가 확장되도록 가공 후 텐터가공으로 열처리를 통해 확장된 절개부(11)가 확장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10)은 생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10)은 단독으로 열처리한 제2원단(20)의 열처리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시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제조방법.
  12.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10)의 절개부(11)는 크기와 배열이 규칙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제조방법.
  13.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10)의 절개부(11)는 크기와 배열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제조방법.
  14.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10)은 폴리에스터나 나이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제조방법.
  15.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10)은 메쉬 형태의 원단이나 메쉬 형태가 아닌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제조방법.
  16. 삭제
KR1020120116491A 2012-10-19 2012-10-19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291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491A KR101291730B1 (ko) 2012-10-19 2012-10-19 원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491A KR101291730B1 (ko) 2012-10-19 2012-10-19 원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730B1 true KR101291730B1 (ko) 2013-07-31

Family

ID=4899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491A KR101291730B1 (ko) 2012-10-19 2012-10-19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7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586A (ko) * 2014-12-10 2016-06-20 전종우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851349B1 (ko) 2016-08-26 2018-04-24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원단 및 원단을 적용한 가방소재의 제조방법 그리고 가방소재로 제조된 가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277Y1 (ko) * 2001-03-19 2001-10-08 유재현 입체문양 직물지의 제조장치
KR200297909Y1 (ko) * 2002-09-17 2002-12-12 지건호 이중원단의 열수축가공기
JP2003247156A (ja) * 2002-02-20 2003-09-05 Kao Corp 開孔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35791B1 (ko) * 2009-07-27 2010-01-06 송금순 열처리 가공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277Y1 (ko) * 2001-03-19 2001-10-08 유재현 입체문양 직물지의 제조장치
JP2003247156A (ja) * 2002-02-20 2003-09-05 Kao Corp 開孔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97909Y1 (ko) * 2002-09-17 2002-12-12 지건호 이중원단의 열수축가공기
KR100935791B1 (ko) * 2009-07-27 2010-01-06 송금순 열처리 가공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586A (ko) * 2014-12-10 2016-06-20 전종우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665437B1 (ko) 2014-12-10 2016-10-12 전종우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851349B1 (ko) 2016-08-26 2018-04-24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원단 및 원단을 적용한 가방소재의 제조방법 그리고 가방소재로 제조된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04728A (zh) 切边织唛及其制备方法
CN105167480A (zh) 一种异图案拉舍尔双面绒毛毯及其制备工艺
JP2015074836A (ja) 編地の編成方法
KR101291730B1 (ko) 원단 및 그 제조방법
TW202113181A (zh) 具有可移除紗線的立體織物
KR101291731B1 (ko) 원단 및 그 제조방법
EP2998423B1 (en) Woven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oven fabric
CN107475852A (zh) 一种镂空织物及其生产方法
KR100297963B1 (ko)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의 제조방법
KR101468706B1 (ko) 자카드 질감의 디자인 문양을 그라운드조직에 표출하는 직물화된 경편 생지
KR100946429B1 (ko) 태슬을 갖는 섬유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섬유제품
CN107400974A (zh) 一种防卷边汗布的生产方法
JP2006028701A (ja) 経編地
KR101468705B1 (ko) 자카드 질감의 디자인 문양을 그라운드조직에 표출하는 경편 생지
US2427891A (en) Art of ornamented knitted article manufacture
JP2017150102A (ja) 伸縮性経編地及びそれを用いた衣料
KR20220107364A (ko) 원단의 특성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제조방법
KR100297962B1 (ko) 돌출형 주름이 형성된 의류
KR100538585B1 (ko) 입체 자수무늬 직물의 제조방법
US1511793A (en) Appar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1234455A (ja) レース地
JP3177774U (ja) スカーフ
CN111247285B (zh) 服装打褶
KR200453941Y1 (ko) 주름 장식부
TR201820962A2 (tr) Di̇ki̇şsi̇z bere üreti̇m yönte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