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941Y1 - 주름 장식부 - Google Patents

주름 장식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941Y1
KR200453941Y1 KR2020100010391U KR20100010391U KR200453941Y1 KR 200453941 Y1 KR200453941 Y1 KR 200453941Y1 KR 2020100010391 U KR2020100010391 U KR 2020100010391U KR 20100010391 U KR20100010391 U KR 20100010391U KR 200453941 Y1 KR200453941 Y1 KR 200453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ornament
elastic
sewn
sewing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영
Original Assignee
조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영 filed Critical 조선영
Priority to KR2020100010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9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9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8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uching, gathering, casing, or filling lace, ribbons, or bindings; Pleating devices; Cuttlers; Gathering feet; Crimpers; Curlers; Ruffl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24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med by general-purpose sewing machines modified by attachments, e.g. by detachabl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름 장식부에 관한 것으로, 띠 형상의 원단 중앙에 체인과 같은 장신구를 위치한 상태에서 제1신축재봉실과 제2신축재봉실에 의해 장신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되는 제1재봉부와 제2제봉부가 구성되고, 또한 제1신축재봉실과 제2신축재봉실이 서로 교차되어 장신구를 각각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재봉되는 제3재봉부에 의해 재봉 후의 장식원단에 제1신축재봉실과 제2신축재봉실에 의해 주름 형상으로 주름지도록 하여 미려한 주름 장식부를 얻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재봉작업에 의해 쉽게 원단을 주름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키고 사용하던 재봉기를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비용부담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주름 장식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띠 형상의 장식원단(10)과; 상기 장식원단(10)의 상면 중앙에 장식원단(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장신구(20)와; 상기 장신구(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재봉되는 제1재봉부(30) 및 제2재봉부(40)와; 상기 장신구(20)의 가로방향으로 재봉되는 제3재봉부(50)로 구성되는 주름 장식부에 있어서, 상기 제1재봉부(30)는, 상기 장신구(20)의 일측에 장신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신축재봉실(31)로 재봉되고, 상기 제2재봉부(40)는, 상기 장신구(20)의 타측에 장신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신축재봉실(41)로 재봉되며, 상기 제3재봉부(50)는, 상기 장신구(20)의 가로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상기 제1신축재봉실(31)과 제2신축재봉실(41)이 서로 교차되어 재봉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장신구(20)가 상면 중앙에 위치되는 상기 띠 형상의 장식원단(10)에는 상기 장신구(20)를 가로방향으로 반복 교차되도록 재봉되는 고정재봉실(61)에 의해 상기 장신구(20)를 장식원단(10)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고정재봉부(6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름 장식부{FABRIC PLEAT PART}
본 고안은 주름 장식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띠 형상의 원단 중앙에 체인과 같은 장신구를 위치한 상태에서 신축재봉실을 장신구의 길이방향과 장신구를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각각 재봉하고, 고정실에 의해 장신구를 고정하도록 하여 장신구와 함께 원단이 주름지도록 하여 미려한 주름 장식부를 얻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재봉작업에 의해 쉽게 원단을 주름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키고 사용하던 재봉기를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비용부담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주름 장식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텐이나 식탁보 또는 의류의 원단에 적용되는 장식부 중 주름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원단에 주름을 성형하는 구조는, 원단 자체를 주름 성형기에 인입하여 주름 성형기에 의해 주름을 성형하거나 또는 원단의 일부를 말은 상태에서 말려진 원단 내부에 신축성 실을 넣어 신축성 실의 신축작용에 의해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주름 원단은 식탁보의 가장자리에 구성되는 장식띠나 커텐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성되는 장식부나 원피스나 치마 등에 사용되는 장식마감부로 사용되어 원단의 주름형상에 의해 장식부가 구성된 대상물의 외관이 미려하게 연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원단에 주름을 형성하는 구조가 주름 성형기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을 말려진 원단에 넣는 구조에만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단에 주름을 성형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주름 성형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고가의 주름 성형기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비용부담이 발생되고, 부피가 큰 주름 성형기에 의해 협소한 공간의 매장이나 가내 수공업에서의 공간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단을 말고 말려진 원단의 말린 부분에 신축성 실을 인입할 경우에는 신축성 실을 원단의 말린 부분 속으로 인입함이 용이하지 못하고, 인입된 실을 고정하는 별도의 재봉작업을 추가로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297963호인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의 제조방법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합성섬유원단을 디자인(주름무늬)에 따라 적합하게 재단 및 봉재하여 의류를 제조하고, 상기 의류상에 신축성 있는 실로 다양한 무늬를 자수하여 의류상에 무정형의 무늬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의 의류를 고온으로 열처리하여 주름이 열고정되게 한 다음, 냉각하고, 후처리하여 신축성 있는 실을 제거하여 구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신축성 실을 후처리 공정 후에 다시 원단으로부터 빼냄에 따라 원단의 주름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과 함께 원단을 재단 및 봉재한 후 다시 신축성 실을 이용하여 무늬를 자수하는 추가공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36402호인 직조기의 주름 성형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직조기 본체 상단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수직으로 설치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어 일정구간 회동 가능하고 이 힌지를 중심으로 한쪽에는 공간을 갖는 밀착벽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다른 한쪽에는 수평대가 형성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수평대 끝단에 설치되고 중간에 형성된 제2동력전달기어와 회전축의 중간에 형성된 제1동력전달기어 사이에 형성된 동력전달체인의 동력전달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롤러 및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켜 회전롤러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된 제2구동기어와 직조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는 제1구동기어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체인과, 상기 회전롤러 직하방에 위치하고 회전룰러와 밀착된 상태에서 기지와 레이스가 일체로 직조되기 직전 레이스측에 인장력을 가하여 기지 보다 레이스가 빨리 당겨지게 함으로써 레이스에 규칙적인 주름을 형성케 하는 주름형성돌기와, 상기 주름형성돌기에 회전롤러가 밀착될 수 있도록 밀착벽에 스프링력을 부여하는 가압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레이스가 기지보다 더 빨리 당겨지게 하여 레이스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나,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어 생산단가의 증대를 가져옴에 따라 설치비용에 부담을 야기하고, 기지(원단)에 주름진 레이스를 더 구성하는 것으로써 원단에 사용되는 띠 형상의 장식부를 제조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원단에 주름을 형성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띠 형상의 원단 중앙에 체인과 같은 장신구를 위치한 상태에서 신축재봉실을 장신구의 길이방향과 장신구를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각각 재봉하고, 고정실에 의해 장신구를 고정하도록 하여 장신구와 함께 원단이 주름지도록 하여 미려한 주름 장식부를 얻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재봉작업에 의해 쉽게 원단을 주름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키고 사용하던 재봉기를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비용부담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주름 장식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주름 장식부는, 띠 형상의 장식원단과; 상기 장식원단의 상면 중앙에 장식원단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장신구와; 상기 장신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재봉되는 제1재봉부 및 제2재봉부와; 상기 장신구의 가로방향으로 재봉되는 제3재봉부로 구성되는 주름 장식부에 있어서, 상기 제1재봉부는, 상기 장신구의 일측에 장신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신축재봉실로 재봉되고, 상기 제2재봉부는, 상기 장신구의 타측에 장신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신축재봉실로 재봉되며, 상기 제3재봉부는, 상기 장신구의 가로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상기 제1신축재봉실과 제2신축재봉실이 서로 교차되어 재봉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장신구가 상면 중앙에 위치되는 상기 띠 형상의 장식원단에는 상기 장신구를 가로방향으로 반복 교차되도록 재봉되어 상기 장신구를 장식원단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고정재봉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인 주름 장식부는, 띠 형상의 원단 중앙에 체인과 같은 장신구를 위치한 상태에서 제1신축재봉실과 제2신축재봉실에 의해 장신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되는 제1재봉부와 제2제봉부가 구성되고, 또한 제1신축재봉실과 제2신축재봉실이 서로 교차되어 장신구를 각각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재봉되는 제3재봉부에 의해 재봉 후의 장식원단에 제1신축재봉실과 제2신축재봉실에 의해 주름 형상으로 주름지도록 하여 미려한 주름 장식부를 얻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재봉작업에 의해 쉽게 원단을 주름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키고 사용하던 재봉기를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비용부담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주름 장식부의 재봉작업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주름 장식부의 재봉작업에 의해 주름 장식부가 재봉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주름 장식부의 장식원단과 장신구가 재봉기에 인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인 주름 장식부의 장식원단과 장신구가 재봉기에 인입되어 주름 장식부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인 주름 장식부의 주름 장식부가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주름 장식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주름 장식부는, 띠 형상의 장식원단(10)과, 상기 장식원단(10)의 상면 중앙에 장식원단(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장신구(20)와, 상기 장신구(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재봉되는 제1재봉부(30) 및 제2재봉부(40)와, 상기 장신구(20)의 가로방향으로 재봉되는 제3재봉부(50)로 구성되는 주름 장식부를 재봉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재봉부(30)는 상기 장신구(20)의 일측에 장신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신축재봉실(31)로 재봉되고, 상기 제2재봉부(40)는 상기 장신구(20)의 타측에 장신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신축재봉실(41)로 재봉되며, 상기 제3재봉부(50)는 상기 장신구(20)의 가로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상기 제1신축재봉실(31)과 제2신축재봉실(41)이 서로 교차되어 재봉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주름 장식부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재봉기(100)에 의해 재봉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재봉기(100)의 실가이드(101)(101)에 각각 상기 제1신축재봉실(31)과 제2신축재봉실(41)을 연결하여 가이드되도록 하고, 재봉기(100)의 재봉가이드(102)에 상기 실가이드(101)(101)에 연결되는 제1신축재봉실(31)과 제2신축재봉실(41)을 각각 연결한다.
이와 같이 실가이드(101)와 재봉가이드(102)에 각각 제1신축재봉실(31)과 제2신축재봉실(41)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재봉가이드(102)의 하부측에 장식원단(10)과 장신구(20)를 위치하고, 상기 재봉기(100)를 구동시키면, 상기 재봉가이드(102)에 의해 장식원단(10)에 제1재봉부(30)와 제2재봉부(40)가 재봉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2개의 재봉가이드(102)(102)가 서로 교차되어 재봉됨으로써, 상기 제3재봉부(50)가 재봉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장식원단(10)의 상면 중앙에 장식원단(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장신구(20)의 양측에 각각 제1재봉부(30)와 제2재봉부(40)가 재봉되어 형성되고 또한 장신구(20)를 가로방향으로 교차하는 제3재봉부(50)가 재봉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재봉부(30)와 제2재봉부(40) 및 제3재봉부(50)들이 제1신축재봉실(31)과 제2신축재봉실(41)에 의해 재봉되어 형성됨으로써, 재봉작업이 완료된 상기 장식원단(10)은, 제1신축재봉실(31)과 제2신축재봉실(41)의 신축작용에 의해 자연스럽게 주름이 형성된다.
따라서, 간단하게 재봉기(100)를 이용하여 장식원단(10)과 장신구(20)를 재봉하는 것에 의해 주름 장식부가 형성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더욱이, 주름성형기나 주름직조기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하던 재봉기를 이용하여 쉽게 주름 장식부를 재봉하여 제작할 수 있음으로써 비용부담이 전혀 발생되지 않으며, 주름성형기나 주름직조기가 갖고 있는 공간활용성의 저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장신구(20)가 상면 중앙에 위치되는 상기 띠 형상의 장식원단(10)에는 상기 장신구(20)를 가로방향으로 반복 교차되도록 재봉되는 고정재봉실(61)에 의해 상기 장신구(20)를 장식원단(10)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고정재봉부(6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재봉부(60)를 구성하는 고정재봉실(61)에 의해 상기 장신구(20)가 장식원단(10)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주름 형상으로 장식부가 형성되더라도 장신구(20)와 장식원단(10)과의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장식원단 20 : 장신구
30 : 제1재봉부 31 : 제1신축재봉실
40 : 제2재봉부 41 : 제2신축재봉실
50 : 제3재봉부 60 : 고정재봉부
61 : 고정재봉실
100 : 재봉기 101 : 실가이드
102 : 재봉가이드

Claims (2)

  1. 띠 형상의 장식원단(10)과;
    상기 장식원단(10)의 상면 중앙에 장식원단(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장신구(20)와;
    상기 장신구(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재봉되는 제1재봉부(30) 및 제2재봉부(40)와;
    상기 장신구(20)의 가로방향으로 재봉되는 제3재봉부(50)로 구성되는 주름 장식부에 있어서,
    상기 제1재봉부(30)는, 상기 장신구(20)의 일측에 장신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신축재봉실(31)로 재봉되고,
    상기 제2재봉부(40)는, 상기 장신구(20)의 타측에 장신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신축재봉실(41)로 재봉되며,
    상기 제3재봉부(50)는, 상기 장신구(20)의 가로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상기 제1신축재봉실(31)과 제2신축재봉실(41)이 서로 교차되어 재봉되어 상기 제1신축재봉실(31)과 제2신축재봉실(41)의 신축에 의해 상기 장식원단(10)의 주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장식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20)가 상면 중앙에 위치되는 상기 띠 형상의 장식원단(10)에는,
    상기 장신구(20)를 가로방향으로 반복 교차되도록 재봉되는 고정재봉실(61)에 의해 상기 장신구(20)를 장식원단(10)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고정재봉부(6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장식부.
KR2020100010391U 2010-10-11 2010-10-11 주름 장식부 KR200453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391U KR200453941Y1 (ko) 2010-10-11 2010-10-11 주름 장식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391U KR200453941Y1 (ko) 2010-10-11 2010-10-11 주름 장식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941Y1 true KR200453941Y1 (ko) 2011-06-03

Family

ID=4448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391U KR200453941Y1 (ko) 2010-10-11 2010-10-11 주름 장식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9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00U (ko) 2019-03-07 2019-04-10 문병승 주름 노루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0154A (ja) 1983-02-12 1984-08-28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刺繍布の製造方法
JPH0196175U (ko) * 1987-12-15 1989-06-26
US5623888A (en) 1993-04-22 1997-04-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ulky, stable nonwoven fabric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0154A (ja) 1983-02-12 1984-08-28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刺繍布の製造方法
JPH0196175U (ko) * 1987-12-15 1989-06-26
US5623888A (en) 1993-04-22 1997-04-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ulky, stable nonwoven fabric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00U (ko) 2019-03-07 2019-04-10 문병승 주름 노루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9782B2 (ja) 凹凸模様装飾帯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155185B (zh) 一种毛毯的压花装置及该毛毯的生产方法
CN105167480A (zh) 一种异图案拉舍尔双面绒毛毯及其制备工艺
CN105167482A (zh) 一种绣花毛毯及其制备工艺
KR200453941Y1 (ko) 주름 장식부
KR100297963B1 (ko)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의 제조방법
CN210458586U (zh) 一种新型褶皱定型结构
CN208259128U (zh) 一种优质手工针织羽绒服的充绒装置
CN104544653A (zh) 一种新型珊瑚绒面料及其制作方法
CN114232188B (zh) 一种全成型竖向流苏组织结构及其编织方法
CN211522549U (zh) 仿刺绣复合面料
CN107326514A (zh) 一种针织长毛绒织物
CN203212730U (zh) 一种时尚且悬垂性好的面料
JP5222338B2 (ja) フリル付き織布
CN105078098A (zh) 一种花色起毛瓶片再生聚酯毛毯及其制备工艺
CN111455537A (zh) 一种耐水洗棉针织面料及其制备方法
KR200175179Y1 (ko)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
CN209039738U (zh) 立体绣花用框架
KR20110033371A (ko) 메리야스원단을 사용한 이불 및 그의 제조방법
CN213203420U (zh) 一种新型民间立体刺绣
KR101333453B1 (ko) 천연염색원단을 이용한 표면의 주름모양 표현방법
CN202968971U (zh) 曲折缝压脚
KR20180054304A (ko)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
CN207793602U (zh) 一种用于立体绣花的复框
RU2234562C1 (ru) Декоративное кружевное полотн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