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304A -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304A
KR20180054304A KR1020160152101A KR20160152101A KR20180054304A KR 20180054304 A KR20180054304 A KR 20180054304A KR 1020160152101 A KR1020160152101 A KR 1020160152101A KR 20160152101 A KR20160152101 A KR 20160152101A KR 20180054304 A KR20180054304 A KR 20180054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elt
shirring
pattern
bas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임
Original Assignee
유경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임 filed Critical 유경임
Priority to KR1020160152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4304A/ko
Publication of KR20180054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9/00Ribbons, tapes, welts, bands, beadings, or other decorative or ornamental strip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8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uching, gathering, casing, or filling lace, ribbons, or bindings; Pleating devices; Cuttlers; Gathering feet; Crimpers; Curlers; Ruff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구류, 커튼, 카페트, 의류, 액자 프레임 커버, 홈패션 등의 제작시 사용되며 다양한 색상과 형태를 표현할 수 있는 장식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은 천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여 좌우로 긴 모양의 띠지를 수득하는 재단단계와, 띠지와 다른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상기 띠지의 절단된 가장자리를 미싱으로 박음질하여 상기 띠지의 가장자리를 색상으로 변화시키는 컬러링단계와, 컬러링단계 후 상기 띠지를 접어서 주름을 형성한 다음 상기 띠지의 일측에서부터 타측 방향으로 바느질하여 다수의 주름을 갖는 셔링밴드를 수득하는 셔링단계와, 베이스시트의 일면에 설정된 패턴을 그리는 밑그림단계와, 패턴과 대응되도록 상기 셔링밴드를 배치한 후 상기 패턴을 따라 박음질하여 상기 셔링밴드를 상기 베이스시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fabric}
본 발명은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구류, 커튼, 카페트, 의류, 액자 프레임 커버, 홈패션 등의 제작시 사용되며 다양한 색상과 형태를 표현할 수 있는 장식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으로 만들어지는 침구류, 커튼, 카페트, 의류, 액자 프레임 커버, 홈패션 등에 장식효과를 갖는 다양한 문양을 넣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색실로 수를 놓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자수는 손으로 일일이 바느질을 하여 놓았으나, 이러한 손자수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330688호에는 장식원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식원단은 기계 자수기에서 하나의 바늘로 입력된 디자인에 의하여 일반자수, 내경구멍이 작은 스팽글, 및 링 형태의 스팽글이 번갈아가면서 자수 봉착된다.
그리고 이와 다른 방법으로는 천을 가공하여 예쁘게 문양을 만든 다음 만들어진 문양을 침구류, 커튼, 카페트, 의류, 액자 프레임 커버, 홈패션 등에 붙여서 장식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장식원단들은 자수하여 원단에 형성된 패턴을 입체적으로 보강해주는 등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장식 효과를 발휘하는 데 한계가 있어 보다 입체적이고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식무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330688호: 장식원단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색상과 형태를 표현할 수 있어서 장식효과가 높은 장식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은 천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여 좌우로 긴 모양의 띠지를 수득하는 재단단계와; 상기 띠지와 다른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상기 띠지의 절단된 가장자리를 미싱으로 박음질하여 상기 띠지의 가장자리를 색상으로 변화시키는 컬러링단계와; 상기 컬러링단계 후 상기 띠지를 접어서 주름을 형성한 다음 상기 띠지의 일측에서부터 타측 방향으로 바느질하여 다수의 주름을 갖는 셔링밴드를 수득하는 셔링단계와; 베이스시트의 일면에 설정된 패턴을 그리는 밑그림단계와; 상기 패턴과 대응되도록 상기 셔링밴드를 배치한 후 상기 패턴을 따라 박음질하여 상기 셔링밴드를 상기 베이스시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컬러링단계는 상기 띠지의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를 색상이 서로 다른 실로 박음질하여 상기 따지의 양 가장자리가 다른 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단계는 가장자리의 색상이 서로 다른 다수의 셔링밴드를 인접하게 배치한다.
상기 컬러링단계는 상기 띠지의 절단된 가장자리에 발향부재를 덧댄 후 상기 띠지의 절단된 가장자리를 박음질하며, 상기 발향부재는 내부가 빈 중공 구조로 형성된 다공성 튜브와, 상기 튜브의 내부에 수용되며 방향액이 흡수된 코어부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장자리를 다양한 색상의 실로 박음질한 띠지에 주름을 형성한 장식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색상과 개성이 있는 장식문양을 갖는 원단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단은 침구류, 커튼, 카페트, 의류, 액자 프레임 커버, 홈패션 등의 제조시 장식원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띠지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띠지 가장자리를 실로 박음질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띠지에 주름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바느질을 하여 다수의 주름을 갖는 셔링밴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탸낸 평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베이스시트에 형성된 패턴의 예들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가장자리가 붉은색의 실로 박음질된 띠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가장자리가 파란색의 실로 박음질된 띠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띠지에 주름을 잡아 만든 셔링밴드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띠지에 주름을 잡아 만든 셔링밴드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5의 베이스시트에 셔링밴드가 고정된 장식원단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6의 베이스시트에 셔링밴드가 고정된 장식원단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7의 베이스시트에 셔링밴드가 고정된 장식원단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5는 장미꽃 형상의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시트에 셔링밴드가 고정된 장식원단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띠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은 천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여 좌우로 긴 모양의 띠지를 수득하는 재단단계와, 상기 띠지와 다른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상기 띠지의 절단된 가장자리를 미싱으로 박음질하여 상기 띠지의 가장자리를 색상으로 변화시키는 컬러링단계와, 상기 컬러링단계 후 상기 띠지를 접어서 주름을 형성한 다음 상기 띠지의 일측에서부터 타측 방향으로 바느질하여 다수의 주름을 갖는 셔링밴드를 수득하는 셔링단계와, 베이스시트의 일면에 설정된 패턴을 그리는 밑그림단계와, 상기 패턴과 대응되도록 상기 셔링밴드를 배치한 후 상기 패턴을 따라 박음질하여 상기 셔링밴드를 상기 베이스시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재단단계
먼저, 준비된 천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여 좌우로 긴 모양의 띠지(1)를 얻는다. 띠지(1)의 일 예롤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천으로 직물, 편물 등 다양한 종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천의 색상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띠지(1)를 만들기 위해 천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한다. 가령, 3 내지 7cm의 폭으로 절단하여 하나의 천으로부터 다수의 띠지를 얻을 수 있다.
2. 컬러링단계
다음으로, 띠지와 다른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띠지의 절단된 가장자리를 미싱으로 박음질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띠지의 가장자리를 색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박음질은 통상적 인터로크(interlock) 방법으로 가능하다. 이러한 인터로크 방법에 의한 박음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5)로 띠지(1)의 절단된 가장자리를 감싸주어 띠지(1)의 절단된 가장자리에서 올이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띠지(1)에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박음질에 사용되는 실(5)은 띠지(1)와 다른 색상을 이용한다. 따라서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지(1)의 가장자리는 다른 색상으로 구분되어 화려한 장식미를 돋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띠지의 양 가장자리는 색상이 서로 다른 실로 박음질하여 따지의 양 가장자리가 다른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띠지의 일측 가장자리는 붉은 실로 박음질하고, 띠지의 타측 가장자리를 파란 실로 박음질할 수 있다. 이 하나의 띠지는 적어도 세가지 이상의 색상을 가지므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한편, 실로 띠지의 절단된 양 가장자리를 박음질하기 전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지(1)의 절단된 가장자리에 발향부재(90)를 덧댄 다음 띠지(1)의 절단된 가장자리를 박음질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향부재(90)는 띠지(1)에 박음질되는 실(5)에 의해 띠지의 가장자리에 고정된다.
발향부재(90)는 향을 서서히 방출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발향부재(90)는 내부가 빈 중공 구조로 형성된 다공성 튜브(91)와, 상기 튜브(91)의 내부에 수용되며 방향액이 흡수된 코어부(95)를 구비한다.
튜브(91)는 플렉시블한 연질의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91)는 코어부(95)로부터 방출되는 향을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도록 기체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다공성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공성 멤브레인은 액체의 통과는 차단하고 기체는 통과할 수 있는 반 투과성막이다. 다공성 멤브레인은 공기 중으로 향을 서서히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다공성 멤브레인은 공극의 크기가 0.1 ~ 1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91)의 내부에 수용된 코어부(95)에는 방향액이 흡수되어 있다. 방향액으로 허브와 같은 식물로부터 추출된 정유(essential oil)을 이용할 수 있다.
코어부(95)는 방향액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이 없다. 이러한 코어부(95)로 합성수지, 천, 섬유, 펄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코어부(95)에 흡수된 방향액이 모두 방출될 경우 방향액이 충진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코어부에 방향액을 주입할 수 있다.
3. 셔링단계
컬러링단계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지(1)를 접어서 주름을 형성한다. 그리고 띠지(1)의 일측에서부터 타측 방향으로 바느질하여 도 4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의 주름을 갖는 셔링밴드(10)를 수득한다.
바느질은 띠지 너비의 중간 위치를 따라서 실(15)을 이용하여 띠지의 일측에서부터 타측방향으로 바느질한다. 이에 따라 띠지는 주름진 형태로 바느질되어 다수의 주름이 만들어진다.
도 10은 도 8의 띠지(1)에 주름을 잡아 만든 셔링밴드(10)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이고, 도 11은 도 9의 띠지(1)에 주름을 잡아 만든 셔링밴드(100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4. 밑그림단계
다음으로, 베이스시트의 일면에 설정된 패턴을 그리는 밑그림단계를 수행한다.
밑그림단계에서 그려진 패턴을 따라 셔링밴드가 배치되어 고정된다.
베이스시트로 침구류, 커튼, 카페트, 의류, 액자 프레임 커버, 홈패션 등을 제작하기 위한 원단이 이용될 수 있다.
펜을 이용하여 베이스시트에 패턴을 그릴 수 있다. 패턴은 선, 도형, 기호, 무늬, 사물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도 5와 같이 베이스시트(20)에 선을 그어 안에서 바깥으로 점점 커져가는 사각형의 패턴(21)을 그리거나, 도 6과 같이 베이스시트(20)에 선을 그어 안에서 바깥으로 점점 커져가는 육각형의 패턴(23)을 그리거나, 도 7과 같이 베이스시트(20)에 선을 그어 굴곡진 여러개의 선을 상하로 배치한 형태의 패턴(25)을 그릴 수 있다.
5. 고정단계
다음으로, 베이스시트에 셔링밴드를 배치한 후 패턴을 따라 박음질하여 셔링밴드를 베이스시트에 고정시킨다.
셔링밴드는 패턴과 대응되도록 배치한 후 패턴을 따라 박음질한다. 가령, 도 5와 같은 패턴(21)의 경우 선을 따라 셔링밴드를 배치한 후 실로 박음질하여 셔링밴드를 베이스시트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의 패턴에 따라 고정된 셔링밴드(10)의 모습을 도 12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도 6과 같은 패턴의 경우 선을 따라 셔링밴드를 배치한 후 실로 박음질하여 셔링밴드를 베이스시트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의 패턴에 따라 고정된 셔링밴드(100의 모습을 도 13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도 7과 같은 패턴의 경우 선을 따라 다수의 셔링밴드를 배치한 후 실로 박음질하여 셔링밴드들을 베이스시트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의 패턴에 따라 고정된 셔링밴드의 모습을 도 14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 경우 가장자리의 색상이 서로 다른 다수의 셔링밴드를 인접하게 배치하여 칼라 효과를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장미꽃 모양의 패턴에 셔링밴드를 배치한 후 선을 따라 실로 박음질하여 셔링밴드를 베이스시트에 고정시킬 수 있다. 장미꽃 모양의 패턴에 따라 베이스시트에 고정된 셔링밴드의 모습을 도 15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장자리를 다양한 색상의 실로 박음질한 띠지에 주름을 형성한 장식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색상과 개성있는 장식문양을 갖는 원단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단은 침구류, 커튼, 카페트, 의류, 액자 프레임 커버, 홈패션 등의 제조시 장식원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띠지 5: 실
10: 셔링밴드

Claims (4)

  1. 천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여 좌우로 긴 모양의 띠지를 수득하는 재단단계와;
    상기 띠지와 다른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상기 띠지의 절단된 가장자리를 미싱으로 박음질하여 상기 띠지의 가장자리를 색상으로 변화시키는 컬러링단계와;
    상기 컬러링단계 후 상기 띠지를 접어서 주름을 형성한 다음 상기 띠지의 일측에서부터 타측 방향으로 바느질하여 다수의 주름을 갖는 셔링밴드를 수득하는 셔링단계와;
    베이스시트의 일면에 설정된 패턴을 그리는 밑그림단계와;
    상기 패턴과 대응되도록 상기 셔링밴드를 배치한 후 상기 패턴을 따라 박음질하여 상기 셔링밴드를 상기 베이스시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원단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링단계는 상기 띠지의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를 색상이 서로 다른 실로 박음질하여 상기 따지의 양 가장자리가 다른 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원단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계는 가장자리의 색상이 서로 다른 다수의 셔링밴드를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원단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링단계는 상기 띠지의 절단된 가장자리에 발향부재를 덧댄 후 상기 띠지의 절단된 가장자리를 박음질하며,
    상기 발향부재는 내부가 빈 중공 구조로 형성된 다공성 튜브와, 상기 튜브의 내부에 수용되며 방향액이 흡수된 코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원단의 제조방법.
KR1020160152101A 2016-11-15 2016-11-15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 KR20180054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101A KR20180054304A (ko) 2016-11-15 2016-11-15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101A KR20180054304A (ko) 2016-11-15 2016-11-15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304A true KR20180054304A (ko) 2018-05-24

Family

ID=6229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101A KR20180054304A (ko) 2016-11-15 2016-11-15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43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2287A (zh) * 2022-03-07 2022-06-07 杰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线实时染色系统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2287A (zh) * 2022-03-07 2022-06-07 杰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线实时染色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lff The art of manipulating fabric
KR20180054304A (ko)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
JP2012223277A (ja) 装飾柄作製方法及び装飾柄作製装置
US4665851A (en) Method of assembling textiles
CN100396843C (zh) 多用工艺毯及其制作方法
KR101506459B1 (ko) 침구용 장식띠 제조방법
US4359494A (en) Flexible sheet material with raised decorative pattern
US20060207077A1 (en) Method of producing and a chenille-like textured type yarn, trim, and fabric
KR20110089518A (ko) 직물상에 입체적인 장식무늬의 형성방법
USRE33215E (en) Method of assembling textiles
KR101021282B1 (ko) 한복이나 원단에 입체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200453941Y1 (ko) 주름 장식부
RU2234562C1 (ru) Декоративное кружевное полотн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6548278B1 (ja) 織物の縁取縫製方法及び織物の縫製品
JPS5829187Y2 (ja) 手芸用基材
CN216416087U (zh) 一种压褶不规则打揽时装
US2027472A (en) Sewing machine material guide
KR102338651B1 (ko) 조각보 형상을 갖는 누비이불
KR101904070B1 (ko) 스트로형 자수가이드관을 이용한 입체형 펌자수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펌자수직물
KR200378695Y1 (ko) 주름가공원단을 이용한 이중접합원단
RU237132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прикладного изделия
RU229716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екоративных объемных эффектов "юла" на швейных полотнах
CN207274006U (zh) 一种蕾丝窗帘装饰布
KR200381934Y1 (ko) 장식 직조사
UA132993U (uk) Спосіб вишиванн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