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518A - 직물상에 입체적인 장식무늬의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직물상에 입체적인 장식무늬의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518A
KR20110089518A KR1020100008957A KR20100008957A KR20110089518A KR 20110089518 A KR20110089518 A KR 20110089518A KR 1020100008957 A KR1020100008957 A KR 1020100008957A KR 20100008957 A KR20100008957 A KR 20100008957A KR 20110089518 A KR20110089518 A KR 20110089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marking
decorative pattern
pattern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선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켓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켓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켓스타
Priority to KR1020100008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9518A/ko
Publication of KR20110089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7/00Decorative or ornamental textile articles
    • D04D7/04Three-dimensional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적이고 고급스러움을 한층 더 부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형성이 용이한 직물상에 입체적인 장식무늬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직물상에서 일정간격으로 상하 및 좌우로 무늬가 형성될 부위에 마킹하는 마킹단계;
(b) 상기 마킹부위를 중심하여 접은 뒤, 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마킹부위에서 소정각도로 다시 포개어서 접는 단계;
(c) 상기 포개어서 접혀진 상태에서, 마킹부위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일정길이로 봉제하는 단계; 및
(d) 상기 (b) 및 (c)단계를 무늬를 형성하고자 하는 직물원단의 전체부위에 걸쳐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물상에 입체적인 장식무늬의 형성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and decorative pattern on fabric material}
본 발명은 직물상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입체적이고 고급스러움을 한층 더 부각시킬 수 있으며 형성이 용이한 직물상에 입체적인 장식무늬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원단에 장식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직물원단에 밑그림을 그린 후, 이 밑그림을 따라 다양한 색깔의 실로 박음질을 하여 평면적인 무늬를 형성시키 방법이 대표적이다.
또는 다른 직물원단에 장식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등록특허공보 제0285553호(2001.01.04 등록일자)의 "직물원단표면 가공방법 및 장치"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 의하면 벨벳, 벨로드와 같은 기모직물이 소정형태의 무늬가 천공된 무늬드럼을 통과하면서 무늬공간으로 노출되는 부분만 선택적으로 브러싱(brushing)되어 특정무늬 또는 도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고부가가치의 직물원단을 얻을 수 있게 된 원단표면 가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직물원단에 입체적인 장식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9-0069867호(2009.07.01 공개일)가 알려져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직물상의 장식무늬 형성방법은 원단의 상단에 끈의 형상으로 탄성을 구비하는 쿠션재을 구비하고 상기 쿠션재의 상단에 쿠션재를 감싸도록 장식커버를 구비하여, 상기 장식커버와 원단의 겹치는 부분을 봉제하여 봉제선을 형성하게 구성함으로써, 원단에 입체적인 장식무늬가 형성되어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고 무늬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으면서도 의류의 고급스러움을 한층 더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등록특허공보제285553호(2001.01.04.) 공개특허공보제2009-0069867호(2009.07.01.)
상기 등록특허의 원단표면 가공방법은 직물표현을 형성하는 섬유를 파열시키거나 평탄면 조직의 질에 변화를 주어 평탄면의 높낮이가 동일한 상태에서 다양한 무늬가 표출되게 하여 고부가가치의 직물원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상기 원단표면 가공방법은 원단에 입체적으로 무늬를 형성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무늬를 형성하는 장치가 복잡하고 고가이어서 소규모의 소품생산에는 사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발명은 쿠션재와 장식커버가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고 다양한 무늬를 만들기 위해 원단에 쿠션재을 재치한 후 장식커버를 감싸도록 하여 봉제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입체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쿠션재를 형성하려고 하는 장식무늬의 형상에 따라 구부리고 그 위에 장식커버를 감싸도록 한 후 장식커버의 양단부에 따라 봉제를 하여야 하므로 다양한 입체무늬 형상을 형성하기가 어렵고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별도의 다른 재료를 부가함이 없이 직물원단 자체만을 사용하여 입체적인 장식무늬를 간단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는 직물상에 입체적인 장식무늬의 형성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직물상에 입체적인 장식무늬의 형성방법은,
(a) 직물상에서 일정간격으로 상하 및 좌우로 무늬가 형성될 부위에 마킹하는 마킹단계;
(b) 상기 마킹부위를 중심하여 접은 뒤, 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마킹부위에서 소정각도로 다시 포개어서 접는 단계;
(c) 상기 포개어서 접혀진 상태에서, 마킹부위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일정길이로 봉제하는 단계; 및
(d) 상기 (b) 및 (c) 단계를 무늬를 형성하고자 하는 직물원단의 전체부위에 걸쳐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원단에 별도의 재료를 부가함이 없이 직물원단 자체를 소정간격으로 반복해서 포개접고 접혀진 상태에서 봉제한 후 이 봉제된 직물원단을 펼치면 입체적인 장식무늬가 형성하게 되므로 직물원단에 간편한 방법으로 입체 장식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직물원단에 장식무늬를 형성할 부위에 마킹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내지 2c는 각각 임의의 마킹부위를 중심으로 직물원단을 포개어서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도 2a의 포개 접혀진 상태에서 임의의 마킹부위를 정점으로 다시 직물원단을 포개어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도 2b에서의 상태에서 정점으로 된 마킹부위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봉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b 상태에서 한번 더 포개어 접은 후 봉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직물원단에 장식무늬를 마름모꼴의 마킹부위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5는 도 4의 장식무늬를 형성시킨 직물원단의 사용상태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직물원단에 장식무늬를 정사각형의 마킹부위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직물상에 입체적인 장식무늬 형성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물(10)에서 일정간격으로 상하 및 좌우로 무늬가 형성될 부위에 마킹부위(11)를 형성하도록 마킹한다.
상기 마킹부위(11)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마름모꼴이나 또는 직사강형의 형상으로 마킹부위(1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킹부위(11)가 접힌 모서리부에 위치되도록 마킹부위(11)를 중심으로 직물원단(10)을 포개어 접으며, 이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2a의 상태에서 또 다시 하나의 마킹부위(11)가 정점이 되도록 마킹부위(11)를 중심으로 다른 방향으로 포개 접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성되는 장식무늬가 서로 직각을 이루는 4개의 날개형상을 이루도록 마킹부위(11)를 중심으로 직물(10)을 절반을 접은 상태에서 상기 마킹부위(11)를 중심으로 다시 절반을 수직으로 포개어 접도록 하였다.
그 다음 도 2c에서와 같이, 마킹부위(11)의 정점에서, 마킹부위(11)의 정점을 둘러싸는 봉제선(12)을 형성하도록 마킹부위(11)의 주위를 직선상으로 봉제한다. 이 봉재부위는 완성되는 장식무늬의 중심부가 된다. 그리고, 다른 마킹부위에도 상기 도2b 및 2c의 과정을 반복실시하면 마킹부위 마다 장식무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직물원단 상에 장식무늬를 형성한 후 직물(10)을 펼치게 되면, 도 4 및 도 6의 사진에 나타낸 입체 장식무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직물원단(10)에 마름모 패턴으로 마킹부위를 표시하여 장식무늬를 형성시킨 사진이고, 도 6은 바둑판 패턴으로 마킹하여 장식무늬를 형성시킨 사진이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더욱 입체적으로 장식무늬를 형성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2b의 상태에서 다시 한번 더 포개어 접은 후 마킹부위(11)의 접점을 둘러싸게 봉제선(12')을 형성하도록 마킹부위(11)의 주위를 일직선상으로 봉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무늬를 형성시킨 직물원단의 가장자리에 레이스부재를 재봉하고 그 내부에 쿠션이나 기타부재 등을 넣을 수 있도록 마무리하면, 예를 들어 쿠션, 베개, 이불, 침대보와 같은 침구류나 커튼 또는 밥상포와 같은 제품들의 커버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 : 직물원단 11 : 마킹부위
12, 12' : 봉제선

Claims (1)

  1. (a) 직물상에서 일정간격으로 상하 및 좌우로 무늬가 형성될 부위에 마킹하는 마킹단계;
    (b) 상기 마킹부위를 중심하여 접은 뒤, 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마킹부위에서 소정각도로 다시 포개어서 접는 단계;
    (c) 상기 포개어서 접혀진 상태에서, 마킹부위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일정길이로 봉제하는 단계; 및
    (d) 상기 (b) 및 (c) 단계를 무늬를 형성하고자 하는 직물원단의 전체부위에 걸쳐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상에 입체적인 장식무늬의 형성방법.
KR1020100008957A 2010-02-01 2010-02-01 직물상에 입체적인 장식무늬의 형성방법 KR20110089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957A KR20110089518A (ko) 2010-02-01 2010-02-01 직물상에 입체적인 장식무늬의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957A KR20110089518A (ko) 2010-02-01 2010-02-01 직물상에 입체적인 장식무늬의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518A true KR20110089518A (ko) 2011-08-09

Family

ID=4492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957A KR20110089518A (ko) 2010-02-01 2010-02-01 직물상에 입체적인 장식무늬의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95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198B1 (ko) 2018-06-20 2019-09-04 진연화 직물제품에 장식물을 형성시키기 위한 방법
KR102029061B1 (ko) * 2019-03-14 2019-10-07 (주)동진침장 장식용 레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198B1 (ko) 2018-06-20 2019-09-04 진연화 직물제품에 장식물을 형성시키기 위한 방법
KR102029061B1 (ko) * 2019-03-14 2019-10-07 (주)동진침장 장식용 레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8142B2 (en) Gridded stabiliz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10089518A (ko) 직물상에 입체적인 장식무늬의 형성방법
CN114214792A (zh) 柔软绣花章的制备方法
KR100785210B1 (ko) 스팡글 직물지
JP6730556B2 (ja) シート形態にした詰め物用の羽毛状綿素材体の製造方法
KR20180054304A (ko)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
TWI260272B (en) Patchwork fabric article and method
JP3175709U (ja) ストール類
KR100336024B1 (ko) 옷감의 격자형 핀턱형성방법
JP2011153394A (ja) 織物生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4708408B2 (ja) 縫製が可能な地に立体的形状の模様を形成する方法、及び立体的形状の模様が形成された地。
JP2020176368A (ja) 縫製品及びその製作方法
JP2009279072A (ja) 手芸作業用補助具
KR102338651B1 (ko) 조각보 형상을 갖는 누비이불
KR100991969B1 (ko) 침구류 커버의 입체 꽃무늬 형성방법
RU237132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прикладного изделия
JP2013237940A (ja) 模様付き織布
CN103498306A (zh) 一种纯手工精细真丝艺术绣的制作方法
JP3231140U (ja) ハンカチ
KR101170276B1 (ko) 입체 모형을 갖는 침구류 및 이를 이용한 침구류의 제조방법
JP5416665B2 (ja) 縫製物
KR200378695Y1 (ko) 주름가공원단을 이용한 이중접합원단
RU2571260C2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рельеф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тексти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2018198B1 (ko) 직물제품에 장식물을 형성시키기 위한 방법
Matthews et al. Laser assisted design for three-dimensional pleated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