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459B1 - 침구용 장식띠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침구용 장식띠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459B1
KR101506459B1 KR1020140102078A KR20140102078A KR101506459B1 KR 101506459 B1 KR101506459 B1 KR 101506459B1 KR 1020140102078 A KR1020140102078 A KR 1020140102078A KR 20140102078 A KR20140102078 A KR 20140102078A KR 101506459 B1 KR101506459 B1 KR 101506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roidery
sewing
cutting
sash
bed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렬
김귀자
Original Assignee
김학렬
김귀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렬, 김귀자 filed Critical 김학렬
Priority to KR1020140102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9/00Ribbons, tapes, welts, bands, beadings, or other decorative or ornamental strip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7/00Decorative or ornamental textile articles
    • D04D7/04Three-dimensional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구용 장식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밀도가 높고 부드러운 재질의 장식띠용 직물지의 중심부에 자수를 길이방향으로 수놓은 후 자수를 중심으로 양측 여백에 일정폭을 이격하여 자수와 나란하게 재봉틀을 이용해 소정의 입체적 두께를 가지는 재봉모양부를 형성하여 커팅용 자수를 만든 후, 커팅용 자수의 재봉모양부를 인식하는 커팅기로 커팅용 자수의 재봉모양부의 내측 또는 외측을 커팅하여 장식띠를 완성한 후, 의류나 침구의 표면에 장식띠를 밀착하고, 재봉모양부가 내측으로 접혀들어가게 재봉함으로써, 장식띠의 자수를 중심으로 양측 여백에 형성되는 여백의 폭을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인해 정밀성과 품위가 돋보이도록 장식띠를 만들어서 고급스런 침구를 만들 수 있게 한 침구용 장식띠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침구용 장식띠 제조방법{Sash for bedding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침구용 장식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밀도가 높고 부드러운 재질의 장식띠용 직물지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자수를 놓은 후, 자수를 중심으로 양측 여백에 일정폭을 이격하여 자수와 나란하게 재봉틀을 이용해 소정의 입체적 두께를 가지도록 재봉모양부를 형성하여 커팅용 자수를 만든 후 커팅용 자수의 재봉모양부를 인식하는 커팅기로 커팅용 자수의 재봉모양부 내외측을 따라 커팅하여 장식띠를 완성하고, 이를 의류나 침구의 표면에 장식띠를 밀착하고 재봉모양부가 내측으로 접혀 들어가게 재봉함으로써, 장식띠의 자수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여백의 폭을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인해 자수가 중심에 배치되는 장식띠를 만들 수 있고, 고급스런 느낌의 침구를 만들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수는 침구나 의류 등에 여러가지 색실로 그림이나 문양을 수놓아 나타낸 것으로서, 침구나 의류 등에 자수를 수놓아서 장식용으로 시각적인 미감과 화려함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수는 밀도가 높고 부드러운 천으로 구성된 장식띠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를 놓은 후 자수의 양측에 일정폭이 유지되도록 재단하여 침구나 의류 등에 재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장식띠는 자수를 수놓은 후 자수의 양측을 재단할 때 자수의 양측여백이 일정폭을 유지하도록 재단하는 커팅기가 없고 사람이 수작업으로 커팅할 경우에 자수의 양측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재단하기가 어려워 자수의 양측에 형성되는 여백의 폭이 일정치가 않아 침구나 의류를 완성했을 때 장식띠의 불균형으로 정밀성이 떨어져 상품 가치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93681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도가 높고 부드러운 재질의 장식띠용 직물지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자수를 놓은 후, 자수를 중심으로 양측 여백에 일정폭을 이격하여 자수와 나란하게 재봉틀을 이용해 소정의 입체적 두께를 가지는 재봉모양부를 형성하여 커팅용 자수를 만든 후, 커팅용 자수의 재봉모양부를 인식하는 커팅기로 커팅용 자수의 재봉모양부의 내측 또는 외측을 커팅하여 장식띠를 완성하고, 이를 의류나 침구의 표면에 밀착하고, 재봉모양부가 내측으로 접혀들어가게 재봉함으로써, 장식띠의 자수가 중심에 위치하여 양측 여백의 폭을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인해 정밀성과 품위가 돋보이도록 장식띠를 만들어서 고급스런 침구를 만들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도가 높고 부드러운 재질의 장식띠용 직물지(101)의 중심부에 자수(102)를 길이방향으로 수놓는 제1공정;
자수(102)를 중심으로 양측 여백에 일정폭을 이격하여 자수(102)와 나란히 재봉틀을 이용해 소정의 입체적 두께를 가지도록 재봉모양부(103)를 형성하여 커팅용 자수를 만드는 제2공정;
커팅용 자수에 재봉모양부(103)의 입체적 두께를 인식하는 커팅기로 양측 재봉모양부(103)의 내측 또는 외측을 따라 커팅하여 장식띠(1)(1a)를 완성하는 제3공정;
의류 또는 침구용 직물지(2) 표면에 장식띠(1)(1a)를 밀착하고 양측 단부를 재봉하되, 랍바기구(3)를 이용하여 장식띠(1)(1a)의 양측 단부를 내측으로 일정폭 접어 니들대(4) 쪽으로 공급되게 하여 접혀진 양측 부위를 재봉하여 장식때를 부착하는 부착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되어 의류 또는 침구용 직물지(2)에 재봉하되, 자수(102)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여백의 폭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심미성, 상품성, 활용성이 향상된 침구용 장식띠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밀도가 높고 부드러운 재질의 장식띠용 직물지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자수를 놓은 후, 자수를 중심으로 양측에 일정폭을 이격하여 자수와 나란히 재봉틀을 이용해 소정의 입체적 두께를 가지도록 재봉모양부를 형성하여 커팅용 자수를 만든 후 커팅용 자수의 재봉모양부를 인식하는 커팅기로 재봉모양부의 내측 또는 외측을 따라 커팅하여 장식띠를 완성하고, 이를 의류나 침구 등에 재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식띠의 자수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여백의 폭을 일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시각적인 미감과 정교함을 가질 수 있고 보다 고급스런 느낌을 주는 제품생산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식띠용 직물지에 자수를 수놓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식띠용 직물지에 커팅용 자수를 형성하는 공정도
도 3a과 도 3b는 본 발명의 장식띠용 직물지의 재봉모양부 내측을 커팅하여 장식띠를 완성하는 공정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장식띠용 직물지의 재봉모양부 외측을 커팅하여 장식띠를 완성하는 공정도
도 5 내지 도 8은 장식띠를 의류 또는 침구표면에 재봉하여 부착하는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식띠(1)(1a)를 의류나 침구 등에 재봉하되 장식띠(1)(1a)의 자수(102)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여백의 폭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정밀성을 높혀 고급스러운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나 것으로 이의 방법을 공정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제1공정(자수(102)를 수놓는 공정)
장식띠용 직물지(101)는 실크와 같이 밀도가 높고 부드러운 재질로 준비한다.
장식띠용 직물지(101)의 중심부에 자수(102) 길이방향으로 수놓는다.
2. 제2공정(커팅용 자수를 만드는 공정)
자수(102)를 중심으로 양측 여백에 일정폭을 이격하여 자수(102)와 나란히 재봉틀을 이용해 소정의 입체적 두께와 폭을 가지도록 재봉모양부(103)를 형성하여 커팅용 자수를 만든다.
이때, 재봉모양부(103)는 커팅기가 인식할 수 있도록 촘촘하게 재봉하여 소정의 입체적 두께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3. 제3공정(커팅 공정)
장식띠용 직물지(101)에 형성한 재봉모양부(103)를 재봉모양부를 인식하는 커팅기로 재봉모양부(103)의 내측 또는 외측을 따라 커팅하여 장식띠(1)(1a)를 완성한다.
이때, 양측의 재봉모양부(103)를 내측을 따라 커팅할 경우에는 커팅된 양단부에 재봉모양부(103)가 남아있지 않아서 커팅된 양단부가 매끈한 가장자리를 유지하지만 재봉모양부(103)의 외측을 따라 커팅할 경우에는 양단부에 재봉모양부(103)가 남아 있어서 재봉모양부(103)가 보이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재봉모양부(103)의 내측 또는 외측을 선택적으로 커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4. 제4공정(침구에 장식띠(1)(1a)를 재봉하는 공정)
의류나 침구 등에 장식띠(1)(1a)의 양측 단부를 재봉하되,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랍바기구(3)를 이용하여 장식띠(1)(1a)의 양측 단부를 내측으로 접어 니들대(4) 쪽으로 공급되게 하여 접혀진 양측 부위를 의류 또는 침구용 직물지(2) 위에 놓고 재봉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장식띠(1)(1a)를 제조하여 장식띠(1)(1a)를 의류나 침구 등에 재봉하여 부착할 수 있게 되는데 본 발명의 장식띠(1)(1a)는 자수(102)를 중심으로 장식띠(1)(1a)의 양측에 형성되는 여백의 폭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서 정밀성을 높혀 보다 고급스런 느낌을 주는 장식띠(1)(1a)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1a: 장식띠 101: 장식띠용 직물지
102: 자수 103: 재봉모양부
2: 의류 또는 침구용 직물지 3: 랍바기구
4: 니들대

Claims (2)

  1. 밀도가 높고 부드러운 재질의 장식띠용 직물지(101)의 중심부에 자수(102)를 길이방향으로 수놓는 제1공정;
    상기 자수(102)를 중심으로 양측 여백에 일정폭을 이격하여 상기 자수(102)와 나란히 재봉틀을 이용해 소정의 입체적 두께를 가지도록 재봉모양부(103)를 형성하여 커팅용 자수를 만드는 제2공정;
    상기 커팅용 자수에 재봉모양부의 입체적 두께를 인식하는 커팅기로 양측 재봉모양부(103)의 내측 또는 외측을 따라 커팅하여 장식띠(1)(1a)를 완성하는 제3공정;
    의류 또는 침구용 직물지(2) 표면에 상기 장식띠(1)(1a)를 밀착하고 양측 단부를 재봉하되, 랍바기구(3)를 이용하여 상기 장식띠(1)(1a)의 양측 단부를 내측으로 일정폭 접어 니들대(4) 쪽으로 공급되게 하여 접혀진 양측 부위를 재봉하여 장식띠를 부착하는 부착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침구용 장식띠 제조방법.


  2. 삭제
KR1020140102078A 2014-08-08 2014-08-08 침구용 장식띠 제조방법 KR101506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078A KR101506459B1 (ko) 2014-08-08 2014-08-08 침구용 장식띠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078A KR101506459B1 (ko) 2014-08-08 2014-08-08 침구용 장식띠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459B1 true KR101506459B1 (ko) 2015-03-27

Family

ID=5302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078A KR101506459B1 (ko) 2014-08-08 2014-08-08 침구용 장식띠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4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729A (ko) * 2018-07-04 2020-01-14 김기동 장식띠가 구비된 줄누비직물의 제조방법
KR102076854B1 (ko) * 2019-09-11 2020-02-12 최서정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자동화 방식 레이스 천의 가공 처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667Y1 (ko) * 1991-10-23 1993-10-04 유재욱 장식용 카드
KR200216242Y1 (ko) 2000-07-18 2001-03-15 김종민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는 한방경락 머리띠
KR20080001045U (ko) * 2006-11-09 2008-05-15 송충석 장례 선두 차량용 장식띠
KR100993681B1 (ko) 2010-01-12 2010-11-10 김성섭 다색 장식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667Y1 (ko) * 1991-10-23 1993-10-04 유재욱 장식용 카드
KR200216242Y1 (ko) 2000-07-18 2001-03-15 김종민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는 한방경락 머리띠
KR20080001045U (ko) * 2006-11-09 2008-05-15 송충석 장례 선두 차량용 장식띠
KR100993681B1 (ko) 2010-01-12 2010-11-10 김성섭 다색 장식띠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729A (ko) * 2018-07-04 2020-01-14 김기동 장식띠가 구비된 줄누비직물의 제조방법
KR102094077B1 (ko) * 2018-07-04 2020-03-26 김기동 장식띠가 구비된 줄누비직물의 제조방법
KR102076854B1 (ko) * 2019-09-11 2020-02-12 최서정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자동화 방식 레이스 천의 가공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9130B2 (ja) 室内装飾材料及び自動車トリムの改善またはその関連
KR101506459B1 (ko) 침구용 장식띠 제조방법
JP2019044286A (ja) テーラードジャケ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671903A (en) Bound garment opening
JPS6352143B2 (ko)
US2600908A (en) Ornamental trimming or fagoting strip for box pleats
CN105088569A (zh) 贴布绣花香袋及其制作方法
KR100897035B1 (ko) 다중겹무늬 원단 및 그의 형성방법
KR101524066B1 (ko) 입체적 무늬를 갖는 의류의 제조방법
KR102016110B1 (ko) 가죽 가방 제조 방법
RU2417716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ерхней одежды
US20160219954A1 (en) Curved pleated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pleated product
KR101810125B1 (ko) 누비 원단의 시접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누비 원단 한복
KR100838160B1 (ko) 원단의 이음방법과 이를 이용한 옷
JP4739011B2 (ja) ネクタイの製作方法
US4232805A (en) Sewing form
WO2018212650A2 (en) Pillow case, pill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illow case
US2342569A (en) Method of making button and buttonhole strips for plackets
US1536471A (en) Embroidery
US2034354A (en) Art of producing sewed garments
JP2013237940A (ja) 模様付き織布
US2731644A (en) Method of making buttonholes
KR20180054304A (ko) 장식 원단의 제조방법
JP3152080U (ja) ランプシェード
KR101934113B1 (ko) 장식용 술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장식용 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