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667A -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667A
KR20010042667A KR1020007011369A KR20007011369A KR20010042667A KR 20010042667 A KR20010042667 A KR 20010042667A KR 1020007011369 A KR1020007011369 A KR 1020007011369A KR 20007011369 A KR20007011369 A KR 20007011369A KR 20010042667 A KR20010042667 A KR 20010042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strip
wiper blade
coupling element
wind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6481B1 (ko
Inventor
데블록페테르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4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3Connectors having a sp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1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the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pivot pin mounted between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08Spoiler integral with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윈드실드에서 안내되고, 전환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와이퍼 암(12)에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10)를 힌지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와이퍼 암의 자유단 영역은 실제 운동 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으로 연장된 고무 탄성의 와이퍼 스트립(20)을 이용해 상기 윈드실드(24)에 놓이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 볼트(16)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는 힌지 볼트 베어링(48) 및 상기 베어링 내에서 안내되는 상기 힌지 볼트(16)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 특히 조립하기에 용이하고 동작상으로 신뢰할 만한 연결 장치가 에지 스트립(30)을 가지는, 탄성의, 스트립처럼 종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요소(28)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스트립(20)을 지지함으로써 만들어지며, 상기 에지 스트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양 종방향 측면에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종방향 측면에서 돌출한다. 상기 힌지 볼트 베어링(48)을 위한 결합 요소가 상기 윈드실드에 이격된 상기 지지 요소의 상측 스트립 면에 배열된다. 상기 결합 요소는 고정 수단(50)에 의해 상기 지지 요소의 에지 스트립(30)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 연결 장치{Device for hingeably joining a motor vehicle window-pane wiper blade to a wiper arm}
이미 공공연하게 사용되고 있는-공지된 상기 종류의 장치에서는(DE 24 58 29 2A) 힌지 볼트가 와이퍼 암 옆 쪽으로 돌출해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 쪽에 있는 상기 힌지 볼트 베어링은 상기 힌지 볼트를 위한 플러그형 수납부이며, 상기 힌지 볼트가 상기 플러그형 수납부 안에 끼워진다.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 사이의 동작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힌지 볼트가, 그 표면에 배열된 환형 로킹 홈을 가지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로킹 스프링이 상기 로킹 홈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 장치의 배열과 구성에 대한 제시가 추가적으로 없었다. 공공연하게 사용되어온 상기 장치에서, 상기 힌지 볼트 베어링은 와이퍼 스트립을 고정하고 여러 부재로 이루어져 그 결과 구성 높이가 커지는 활형상 지지 프레임의 주요 활형상부 안에 있는 횡방향 보어를 통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류의 배열은, 예를 들어 DE 196 27 115 A1 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높이를 낮추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하는 지지 요소에 의해 와이퍼 스트립이 지지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불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의 힌지식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및 상기 양 부재의 힌지식 연결을 위한 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장치를 도 4 의 선 Ⅱ-Ⅱ에 일치하는 Ⅱ-Ⅱ선상에서 절취하여 회전 도시한 확대 종단면도,
도 3 은 도 2 에 따른 장치를 Ⅲ-Ⅲ 선상에서 절취한 단면도,
도 4 는 도 2 에 따른 장치를 Ⅳ-Ⅳ 선상에서 절취한 단면도,
도 5 는, 상기 결합 요소가 예비 장착 위치에 있고 장착하려는 와이퍼 암이 일점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도 2 에 따른 장치의 도시도.
제 1 항의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에서는, 상기 연결 장치의 힌지 볼트가 상기 와이퍼 암에 배열되면, 상기 스트립 종류의 지지 요소를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구성 높이가 낮춰질 수 있다는 장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 요소의 에지 스트립을 통해, 상기 지지 요소의, 상기 윈드실드에 이격된 상측 스트립 면에 상기 결합 요소를 동작상의 신뢰성이 있게 고정시킬 수 있다.
와이퍼 스트립과 지지 요소 사이에 간단한 영구적 연결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사상의 또 다른 구성에서는, 상기 지지 요소에 두 개의 지지 레일이 포함되고, 상기 지지 레일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종방향 홈 안에 배열되며 적어도 상기 에지 스트립이 있는 종방향 영역에서 상기 종방향 홈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결합 요소의 고정 수단이 상기 종방향 홈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 결합 요소가 윈드실드에 대해 적어도 거의 평행하게 배열된 평면에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분리면이 상기 힌지 볼트 베어링을 분리시키며 상기 양 결합 요소 절반부가 탈착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면, 상기 와이퍼 암에 배열된 힌지 볼트가 와이퍼 블레이드 쪽의 힌지 볼트 베어링에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장착의 용이성을 위해서, 상기 힌지 볼트 베어링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방향으로 볼 때, 상기 결합 요소의 단부 영역에 배열되며 상기 두 결합 요소 절반부는 상기 힌지 볼트 베어링의 영역에서 필름 조인트를 통해 하나로 연결된다. 따라서 서로 보완적인 상기 두 결합 요소 절반부가 장착에 적합한 위치에 있으므로, 상기 와이퍼 암-힌지 볼트를 그 어느 하나의 절반부에 설치한 후에는, 그 다른 절반부는 상기 다른 절반부 쪽으로만 젖혀져야 한다.
상기 윈드실드를 향한 상기 분리면의 위치와 관련해서, 상기 결합 요소의 하측 절반부가 상기 지지 요소의 에지 스트립의 종방향 외측 에지에 고정 수단을 형성한 고정 클로(fixing claws)를 이용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와 상기 결합 요소의 간단하고 작동상에 신뢰성이 있는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외에도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두 개의 고정 클로가 상기 지지 요소의 에지 스트립 각각에 결합하면, 상기 지지 요소와 상기 결합 요소 사이의 연결이 안정되고, 상기 연결은 거기에서 발생하는 큰 영구 하중도 견딜 수 있게 된다.
상기 윈드실드를 향한 상기 분리면의 위치와 관련해서, 상기 에지 스트립의 종방향 외측 에지를 가로지르며 상기 지지 요소의 하측 스트립 면과 로킹되어 함께 동작하는 탄성적으로 휘는 로킹 후크를 상기 결합 요소의 상측 절반부가 구비하면, 상기 결합 요소의 상측 절반부는 간단하게 폐쇄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힌지 볼트가 완전히 둘러싸인다.
상기 결합 요소의 폭을 협소하게 실현하기 위해, 상기 상측 절반부의 로킹 후크가 상기 결합 요소의 하측 절반부의 고정 클로 사이에 배열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 후크는 상기 고정 클로에 결합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는, 상기 와이퍼 암이 적어도 상기 힌지 볼트의 영역 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윈드실드 쪽으로 세워져 정렬된 두 개의 벽(cheek)을 가지며, 상기 힌지 볼트의 단부 각각이 상기 벽에 고정되며, 상기 벽 사이의 간격은 상기 결합 요소의 폭에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 암의 벽 사이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가이드가 유극없이 양호해지고, 이는 희망하는 조용한 와이핑 동작에 중요한 조건이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기 지지 요소의 상측 스트립 면 위로 뻗은 방풍(防風)스트립을 가지면, 본 발명의 사상의 또 다른 구성 내에서는 상기 결합 요소가 상기 방풍 스트립의 리세스 내에 배열되고, 상기 결합 요소의 상측 절반부는 횡단면 상으로 적어도 상기 방풍 스트립의 횡단면에 근접하는 돌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방풍 스트립이 상기 연결 장치의 영역에서도 시각적으로(optically) 계속되고, 적절한 시기에 와이퍼 블레이드-압착력의 배분과 관련하여 상기 방풍 스트립으로부터 기대되는 효과가 주행 속도가 더 높은 경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앙 영역에서도, 즉 상기 리세스의 영역에서도 얻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리세스는 세척하려는 윈드실드에 대한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압착력-배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양한 기능의 실현을 위해 상기 결합 요소가 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합목적적이다.
본 발명의 유용한 또 다른 구성과 형성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실시예를 이용해 상술된다.
도 1 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차량 윈드실드의 세척을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10)는 그 중앙 부분에서, 차량의 표면에서 안내되고 구동되는 와이퍼 암(12)의 자유단과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같은 링킹은 와이퍼 암에 지지되는 힌지 볼트(16)가 속해 있는 연결 장치(14)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 볼트(16)는 실제로 종방향으로 연장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운동 방향(도 1 에서 양방향 화살표(18))으로 연장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그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퍼 암(12)에 의해 윈드실드에서 작동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차량 윈드실드(24)의 닦여지는 표면에 배치되는 와이퍼 립(22)을 가지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고무 탄성의 와이퍼 스트립(20)을 갖는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은 그 종방향 측면에서 가장자리가 개방된 종방향 홈(26)을 가지며, 스프링 탄성 소재로 만들어진 스프링 레일(28)이 상기 종방향 홈 안에 설치된다. 상기 두 스프링 레일(28)은 윈드실드(24)의 닦여지는 표면 앞에 간격을 두고 있는 하나의 평면에 위치한다. 상기 두 스프링 레일(28)은 와이퍼 스트립(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요소에 포함된다. 상기 두 스프링 레일은 와이퍼 스트립(20)의 총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에지 스트립(30)이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종방향 홈(26)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상기 스프링 레일(28)을 그의 종방향 연장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종방향 홈(26)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스프링 레일은 상기 지지 요소에도 속하는 고정 클램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종방향 웨브(32)는(도 3, 도 4) 상기 스프링 레일(28)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 레일(28)의, 상기 윈드실드(24)에 이격된 쪽에서 방풍 스트립(34)으로서 구성된다. 특히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풍 스트립(34)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앙 부분에서 리세스(36)를 가지고 있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결합 요소(38)의 수납에 이용된다. 상기 결합 요소(38)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와 상기 와이퍼 암(12)의 연결에 이용되고 상기 와이퍼 암의 상기 힌지 볼트(16)와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 장치(14)에 속한다. 특히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요소(38)는 실질적으로는 두 부품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 요소는 상기 지지 요소의 상기 스프링 레일(28)에 연결되어 있는 하측 절반부(40)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결합 요소(38)는 필름 조인트(44)에 의해 상기 하측 절반부(40)와 하나로 연결된 상측 절반부(42)를 가지고 있다. 특히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요소(38)의 하측 절반부(40)와 상측 절반부(42) 중 상기 필름 조인트(44)에 연결된 두 영역은 베어링 허브(46)로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허브는 상기 힌지 볼트(16)의 수용에 이용되는 베어링 보어(48)를 갖는다. 상기 결합 요소(38)의 상기 하측 절반부(40)의, 지지 수단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 클로(50)는, 상기 스프링 레일(28)의 에지 스트립(30)을 에워싼다. 상기 고정 클로는 서로 마주하여 짝을 이루며 위치해 있고(도 4),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종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52)을 두고 배열된다. 상기 고정 클로(50)는 상기 지지 요소에서 상기 결합 요소(38)를 지지하고, 더 나아가서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종방향 홈(26)내에 상기 지지 요소의 두 개의 스프링 레일(28)을 고정시킨다. 상기 결합 요소(38)가 상기 지지 요소에서, 상기 리세스(36)의 서로 마주 보고 있는 벽을 통해 종방향으로 차단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20) 자체가 상기 지지 요소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결합 요소(38)의 상기 하측 절반부(40)는 상기 하측 절반부의 상기 필름 조인트(44)를 가지는 단부에서 그 어느 한 베어링 허브 절반부(55)를 갖는다. 상기 결합 요소(38)의 상측 절반부(42)는 플레이트 종류의 베이스 몸체(54)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몸체의, 상기 필름 조인트(44)를 가지는 단부에 다른 베어링 허브 절반부(56)가 배열된다. 도 2 에는 상기 힌지 볼트(16)가 상기 베어링 보어(48)안에 위치한 동작 위치에 있는 상기 결합 요소(38)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절반부(42)의 베이스 몸체(54)에 배열된,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로킹 후크(58)가 상기 스프링 레일(28)의 에지 스트립(30)과 결합한다. 지지 수단을 형성하는 상기 로킹 후크(58)는 상기 결합 요소(38)의 하측 절반부(40)의 고정 클로(50)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로킹 후크는 상기 고정 클로(50) 사이에 상기 간격(52)을 통해 형성된 빈 공간 안에 있는 상기 스프링 레일(28)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지나간다(도 5). 또한 상기 결합 요소(38)의 상측 절반부(42)에 돌기가 충전 스트립(filling strip)(60)으로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충전 스트립의 횡단면은 상기 방풍 스트립(34)의 횡단면에 연속하며 그 결과 상기 방풍 스트립(34)과 관련하여 상기 리세스(36)를 채우고 있다.
도 1, 도 3, 도 4 에서, 상기 와이퍼 암(12)이 상기 힌지 볼트(16) 영역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윈드실드(24) 방향으로 세워진 상기 벽(62)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상기 힌지 볼트(16)의 단부 각각은 상기 벽에 고정된다. 상기 벽(62) 사이의 간격이 상기 결합 요소(38)의 폭에 맞춰져 있으므로, 세척 동작 시에 벽(62)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내가 가능한 한 유극없이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연결 장치(14)의 조인트 축(64) (도 4) 주위에서 상기 와이퍼 암(12)과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 사이에서의 상대 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조정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도 2, 도 3, 도 5 에서, 상기 결합 요소(38)의 양 절반부(40, 42) 사이에 분리면(66)이 실제적으로 윈드실드의 닦여지는 표면에 대해 평행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분리면(66)은 하나의 돌기(68)를 가지고 상기 필름 조인트(44)에 마주하여 지름 방향으로 상기 힌지 볼트 베어링(48)을 분리하고 따라서 두 개의 베어링 허브 절반부(55, 56)가 생긴다. 상기 결합 요소(38)의 고정과 관련하여 중요하지 않은, 상기 양 절반부(40, 42) 사이의 필름 조인트 연결을 제외하고, 상기 양 절반부는 상기 결합 요소(38)의 개별 부재로 간주할 수 있는 경우, 상기 개별 부재는 상기 에지 스트립(30)과 상기 에지 스트립에 연결된 로킹 후크(58)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게 연결된다. 윈드실드(20)를 향한 분리면(66)의 위치와 상기 결합 요소(38)의 양 절반부(40, 42)의 대향 배열과 관련하여, 상기 절반부의 명칭은 상측 절반부 또는 하측 절반부로서 이해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와 상기 와이퍼 암(12) 사이의 힌지식 연결은 도 2 와 도 5 에 의거하여 설명된다. 도 5 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와이퍼 블레이드 쪽 부재로서 스프링 레일(28)과 상기 스프링 레일에 지지된 상기 결합 요소(38)의 하측 절반부(4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이유로, 상기 힌지 볼트(16)와 함께 상기 와이퍼 암(12)이 일점 쇄선으로 표시되었다. 첫 번째 조립 단계에서, 상기 와이퍼 암(12)의 자유단이 개방된 상기 결합 요소(38)의 상측 절반부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상기 힌지 볼트(16)가 하측 절반부(40)의 상기 베어링 허브 절반부(55)안에 위치하게 된다(도 5). 그 후 상기 와이퍼 암은, 도 2에 도시된 상기 와이퍼 암이나 상기 결합 요소(38)의, 상기 양 베어링 허브 절반부(55, 56)가 연결되는 동작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결합 요소의 상측 절반부와 함께 화살표(70)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힌지 볼트 베어링(48)이 닫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동작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화살표(72) 방향으로(도 2)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가 상기 와이퍼 암에 대해서 위로 회전되면, 상기 로킹 후크(58)가 상기 와이퍼 암(12)의 벽(62)에 의해 그 외부면에서 커버되지 않게 됨을 유의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와 같은 경우에만 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결합 요소(38)의 상측 절반부(42)의 로킹 후크(58)가 측면으로 휘고(도 3 의 화살표 74 참조) 상기 에지 스트립(30)의 종방향 외측 에지를 가로질러 상기 스프링 레일(28)의 양 에지 스트립(30) 또는 지지 요소의, 윈드실드를 향한 하측 스트립 면과 함께 동작하여 로킹된다. 그 후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와이퍼 립(22)이 윈드실드에 놓이면, 상기 와이퍼 암(12)의 벽(62) 사이에 상기 로킹 후크(50)가 들어오고(도 3) 와이핑 동작 동안에 로킹 위치에 풀 수 없게 고정된다. 이는 상기 힌지 볼트 베어링(48) 내에서 안내되는 상기 힌지 볼트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를 고정하는데에도 적용된다.
상기 와이퍼 암(12)으로부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분리는 방금 설명한 조립 단계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기 와이퍼 암과 함께 윈드실드로부터 제거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와이퍼 암에 대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화살표(72)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와이퍼 암의 벽(62)으로부터 상기 로킹 후크가 나오면서 휘어질 수 있게 된다. 그 후, 상기 결합 요소(38)의 상측 절반부(42)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로 이동되고, 필요한 플랩 운동이 상기 필름 조인트(44)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필름 조인트 (44)가 상기 결합 요소(38)의 안정성과 상기 지지 요소(28)에서의 상기 결합 요소의 고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오히려 조립의 단순화에 기여하기 때문에, 상기 필름 조인트(40)에 의한 상기 두 절반부(40와 42)의 일체식 결합에도 불구하고 상기 두 부재들이 풀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와이퍼 암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분리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베어링 보어(48)로부터 힌지 볼트(16)를 분리시키는 것이 어려움 없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차량 윈드실드(24)를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10)와 차량의 윈드실드 상에서 안내되며 전환 위치 사이에서 운동할 수 있는 와이퍼 암(12)의 힌지식 연결을 위해, 상기 와이퍼 암의 자유단 영역이 실제 운동 방향으로 (양 방향 화살표(18)) 연장된, 종방향으로 연장된 고무 탄성의 와이퍼 스트립(20)을 이용해 상기 윈드실드(24)에 놓이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 볼트(16)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는 힌지 볼트 베어링(48) 및 상기 베어링 내에서 안내되는 상기 힌지 볼트(16)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와이퍼 스트립(20)이 스프링 탄성의, 스트립처럼 종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요소(28)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 요소는 그의 양 종방향 측면에서 에지 스트립(30)을 이용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종방향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지지 요소(28)의, 상기 윈드실드에 이격된 상측 스트립 면에 상기 결합 요소(38)가 상기 힌지 볼트 베어링(48)과 함께 배열되고 상기 결합 요소가 지지 수단(50)에 의해 상기 지지 요소의 에지 스트립 (30)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 연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에 두 개의 지지 레일(28)이 속하고, 상기 지지 레일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종방향 홈(26) 내에 배열되고 에지 스트립(30)을 가지는 종방향 영역에 의해 상기 종방향 홈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결합 요소(38)의 지지 수단(50)이 상기 종방향 홈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 연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8)가 적어도 거의 윈드실드(24)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 평면에서 분리되고, 상기 분리면(66, 68)이 상기 힌지 볼트 베어링(48)을 가르며, 상기 두 결합 요소 절반부(40, 42)가 서로 분리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 연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방향으로 볼 때, 상기 힌지 볼트 베어링(48)이 상기 결합 요소(38)의 단부 영역에 배열되고 상기 두 결합 요소 절반부(40, 42)는 상기 힌지 볼트 베어링(48)의 영역에서 필름 조인트(44)를 통해서 일체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 연결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윈드실드(20)를 향한 상기 분리면(66)의 위치에 관해, 상기 결합 요소(38)의 하측 절반부(40)가 지지 수단을 형성하는 고정 클로(50)로 상기 지지 요소(28)의 에지 스트립(30)의 종방향 외측 에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 연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28)의 에지 스트립(30) 각각에 두 개의, 서로 간격(52)을 두고 배열된, 하측 절반부(40)의 고정 클로(5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 연결 장치.
  7. 제 3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실드(24)를 향한 분리면(66)의 위치와 관련하여, 상기 결합 요소의 상측 절반부(42)는 탄성적으로 휘는 로킹 후크(58)를 가지며, 상기 로킹 후크는 상기 에지 스트립(30)의 종방향 외측 에지에 직교하고 상기 지지 요소(28)의 하측 스트립 면과 함께 동작하여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 연결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절반부(42)의 로킹 후크(58)가 상기 결합 요소(38)의 하측 절반부(40)의 고정 클로(50) 사이에 배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 연결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암(12)이 적어도 상기 힌지 볼트(16) 영역에서 상기 윈드실드(24) 쪽으로 서 있는,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두 개의 벽(62)을 가지며, 상기 벽에 상기 힌지 볼트(16)의 각각의 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벽 사이 간격이 상기 결합 요소(38)의 폭에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 연결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지지 요소(28)의 상측 스트립면 위로 연장된 상기 방풍 스트립(34)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 요소(38)는 상기 방풍 스트립(34)의 리세스(36)안에 배열되고, 상기 결합 요소(38)의 상측 절반부(42)는 횡단면 상으로 상기 방풍 스트립(34)의 횡단면에 적어도 근접하는 하나의 돌기(6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 연결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8)는 탄성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 연결 장치.
KR1020007011369A 1999-02-15 1999-10-23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연결 장치 KR100686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6288A DE19906288A1 (de) 1999-02-15 1999-02-15 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Wischerarm
DE19906288.9 1999-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667A true KR20010042667A (ko) 2001-05-25
KR100686481B1 KR100686481B1 (ko) 2007-02-23

Family

ID=7897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369A KR100686481B1 (ko) 1999-02-15 1999-10-23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연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75432B1 (ko)
EP (1) EP1071590B1 (ko)
JP (1) JP2002537168A (ko)
KR (1) KR100686481B1 (ko)
DE (2) DE19906288A1 (ko)
ES (1) ES2241351T3 (ko)
WO (1) WO200004887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84B1 (ko) * 2002-10-04 2011-09-28 니혼 와이퍼 블레이드 가부시키가이샤 와이퍼 블레이드용 결합부재 및 와이퍼 블레이드
US11247640B2 (en) 2018-01-18 2022-02-15 Dy Auto Corporation Wiper apparatus having arrangement structure between wiper arm tip and vertebr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4235A1 (de) * 2000-11-02 2002-05-08 Valeo Auto Electric Gmbh Wischvorrichtung
EP1337419B1 (de) * 2000-11-18 2006-05-17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angetriebenen wischerarm
DE10058208B4 (de) * 2000-11-23 2009-06-04 Valeo Auto-Electric Wischer Und Motoren Gmbh Wischvorrichtung
DE102005009205B4 (de) * 2004-03-16 2018-06-21 Volkswagen Ag Haltebügelloses Wischerblatt für einen Scheibenwischer
US20060265830A1 (en) * 2005-02-14 2006-11-30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Encapsulated beam with anti-rotation system
DE102005024717A1 (de) * 2005-05-30 2006-12-07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Wischarm
US7350259B2 (en) * 2005-07-28 2008-04-01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Relative axial translation prevention system for wiper blade assemblies
US20070022556A1 (en) * 2005-07-28 2007-02-01 Walworth Van T Wind deflector with symmetrical geometry
KR100699187B1 (ko) * 2005-11-30 2007-03-23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US20070221365A1 (en) * 2006-03-24 2007-09-27 Evapco, Inc. U-shaped heat exchanger tube with a concavity formed into its return bend
US7299520B2 (en) 2006-03-24 2007-11-27 Shih-Hsien Huang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EP2008891B1 (en) * 2007-06-27 2011-02-16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DE102007043528A1 (de) * 2007-09-12 2009-03-19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EP2236366B1 (en) * 2009-04-02 2011-06-29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098004B1 (ko) 2009-08-26 2011-12-22 주식회사 캐프 차량 와이퍼용 멀티 어댑터
US8495787B2 (en) 2010-08-03 2013-07-30 Rally Manufacturing, Inc. Windshield wiper
DE102011004628A1 (de) * 2011-02-24 2012-08-30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DE102011004637A1 (de) 2011-02-24 2012-08-30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FR2991949B1 (fr) * 2012-06-14 2015-09-04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yage a connecteur hydraulique
US9511748B2 (en) 2013-03-15 2016-12-06 Ill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connector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with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9555775B2 (en) 2013-03-15 2017-01-31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s and connector kit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to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KR101474838B1 (ko) 2013-07-01 2014-12-22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D727238S1 (en) 2013-12-13 2015-04-21 Illinois Tool Works Inc. Cover used for windshield wiper connectors
JP7131238B2 (ja) * 2018-09-20 2022-09-06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パブレード
CN112739584A (zh) 2018-09-18 2021-04-30 株式会社电装 雨刮杆组件以及雨刮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2448A (en) * 1956-03-21 1957-02-26 Productive Inventions Inc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ies
US3006018A (en) * 1958-09-26 1961-10-31 Golab Leo Windshield wiper
DE2313689A1 (de) * 1973-03-20 1974-10-03 Bosch Gmbh Robert Loesbare verbindung zwischen dem wischblatt und dem wischarm einer wischanlage
DE2458292B2 (de) 1974-12-10 1976-12-02 SWF-Spezialfabrik für Autozubehör Gustav Rau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Wischerstange fuer eine kraftfahrzeug-scheibenwischanlage
DE19627115A1 (de) 1996-07-05 1998-01-08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US6308373B1 (en) * 1996-07-05 2001-10-30 Robert Bosch Gmbh Wiper blade for motor vehicle windshields
GB9707750D0 (en) 1997-04-17 1997-06-04 Clearco Automotive Product Ltd Wiper Blade assembly
DE19729864A1 (de) * 1997-07-11 1999-01-14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84B1 (ko) * 2002-10-04 2011-09-28 니혼 와이퍼 블레이드 가부시키가이샤 와이퍼 블레이드용 결합부재 및 와이퍼 블레이드
US11247640B2 (en) 2018-01-18 2022-02-15 Dy Auto Corporation Wiper apparatus having arrangement structure between wiper arm tip and verteb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41351T3 (es) 2005-10-16
DE59911913D1 (de) 2005-05-19
EP1071590A1 (de) 2001-01-31
EP1071590B1 (de) 2005-04-13
DE19906288A1 (de) 2000-08-17
KR100686481B1 (ko) 2007-02-23
WO2000048877A1 (de) 2000-08-24
JP2002537168A (ja) 2002-11-05
US6675432B1 (en)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2667A (ko)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연결 장치
KR101447584B1 (ko)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암에 관절형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KR100620259B1 (ko) 와이퍼 아암과 차량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링크식 연결 장치
KR100660768B1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JP4638642B2 (ja) 自動車の窓ガラス用のワイパブレード
KR100578703B1 (ko) 자동차 유리창 세척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605236B1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
US5647088A (en) Wiper with a wind guide device
US5493750A (en) Blade assembly for wiping motor vehicle windscreens
JP2005521596A (ja) 駆動されるワイパアームと、該ワイパアームに枢着された、ガラス特に自動車のガラスを清掃する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とを備えたワイパレバー
JPH11512999A (ja) ワイパブレード
MXPA05005581A (es) Dispositivo para la union desmontable de una escobilla con un brazo limpiaparabrisas accionable.
CN107187424B (zh) 具有刮臂适配器的刮拭装置
MXPA04009085A (es) Dispositivo limpiaparabrisas con hoja plana y brazo de limpiaparabrisas.
US5862567A (en) Windshield wiper for a car
US4953251A (en) Wiper joint structure
GB2144976A (en) Wiper blade assembly
JP6053760B2 (ja) ワイパブレード
JP2000500100A (ja) 自動車の窓ガラスワイパー装置のワイパーブレード
US4450602A (en) Wiper bridge and connector
CN112874479A (zh) 雨刷装置
CN113382895B (zh) 用于机动车辆挡风玻璃雨刮器刮片的适配器
KR20120109192A (ko) 와이퍼 장치
CN113508060B (zh) 用于机动车辆挡风玻璃雨刮器刮片的适配器
EP0756976A1 (en) Low profile windshield wip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