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259B1 - 와이퍼 아암과 차량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링크식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아암과 차량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링크식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259B1
KR100620259B1 KR1020007011639A KR20007011639A KR100620259B1 KR 100620259 B1 KR100620259 B1 KR 100620259B1 KR 1020007011639 A KR1020007011639 A KR 1020007011639A KR 20007011639 A KR20007011639 A KR 20007011639A KR 100620259 B1 KR100620259 B1 KR 100620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windshield
wiper arm
support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2865A (ko
Inventor
데블록페터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4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08Spoiler integral with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1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the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pivot pin mounted between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79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placed in side grooves in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7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 B60S2001/38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the backing strip being an essentially planar reinforcing strip, e.g. verteb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서 안내되며 전환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와이퍼 아암(14)에 차량 윈드실드(10)용 와이퍼 블레이드(12)를 링크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와이퍼 아암의 자유 단부 섹션에는, 긴 와이퍼 블레이드를 연결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운동 방향으로 뻗어 있는 링크 볼트가 제공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긴 탄성 지지 부품(22)을 갖는다. 상기 윈드실드쪽 지지 부품의 하부면에는 윈드실드(10)에 지지될 수 있는 와이퍼 스트립(20)이 배치되며 지지 부품에는 그 상부면 쪽으로 개방된 횡방향 보어(68)가 제공되고, 그 개방폭은 보어의 직경보다 좁은 협소 지점(72)을 형성하며, 상기 협소 지점의 에지 영역은 보어의 직경 크기로 탄성적으로 팽창될 수 있다. 특히 와이퍼 아암을 연결하기 위한 지지 부품, 횡방향 보어 또는 협소 지점은, 지지 부품이 와이퍼 스트립(20)을 고정하기 위해, 긴 스프링 탄성의 밴드형 지지 레일을 가질 때 필요하며, 상기 스트립의 윈드실드(10) 반대편 상부면(37)에는, 탄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횡방향 보어(68)가 제공된 커플링 부품(46)이 배치된다.
와이퍼 아암,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 링크 볼트, 와이퍼 스트립, 연결 장치

Description

와이퍼 아암과 차량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링크식 연결 장치{Device for hingedly connecting a wiper blade for windshields in motor vehicles to a wiper arm}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공지된 장치(DE-GM-출판물 81 19 737)에서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와이퍼 아암에 링크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링크핀은 종방향 슬롯을 통해 횡방향 보어 내에 맞물릴 수 있고 횡방향 보어는, 와이퍼 스트립의 지지체로서 사용되고 탄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프레임 부품 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와이퍼 아암 뿐만 아니라 프레임 부품을 위한 재료 선택에 어려움이 있다. 와이퍼 아암은 필요한 강성을 가져야 하는데, 이는 링크핀을 위한 슬라이딩 파트너인 프레임 부품에 대한 재료 선택에 제한을 줄 수 있다. 프레임 부품 자체에는 상반되는 요구 조건들이 있다. 즉, 한편으로는 종방향 슬롯의 협소 지점이 매우 강하게 탄성적으로 확장될 수 있음으로써 링크핀이 횡방향 보어 내에 맞물려서 와이퍼 작동 동안 확실히 유지될 수 있어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 프레임 부품은 세척할 윈드실드에 대해 수직인 평면 상에서 윈드실드 표면에 맞게 스프링 탄성으로 조정되어야 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방향에 대해서 횡으로 일어나는 와이핑 운동시 상대적으로 강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모든 조건들은 단지 불충분한 절충 방법을 통하여 고려될 수 있다.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와이퍼 스트립의 지지체를 제시된 모든 요구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예를 들어 스프링 밴드 강 재료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에 배치된 커플링 부품을 위해 다수의 플라스틱이 사용되는데, 이 플라스틱의 특성은 슬라이딩 파트너로서 링크 볼트를 위해, 또한 협소 지점의 탄성 확장을 위해 적합하다.
연결 장치를 포함해서 낮은 구성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얻기 위해 상기 지지체는, 스프링 탄성의 금속으로 구성된, 긴 두 개의 지지 레일을 포함하고, 이 지지 레일들은 와이퍼 스트립의 종방향 측면 쪽으로 개방된 종방향 그루브 내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들의 각각 하나의 에지 스트립은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섹션을 통해 종방향 그루브들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므로, 지지 레일의 2 개의 에지 스트립에는 커플링 부품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레일을 그 종방향에 대해 횡으로 종방향 그루브 내에 고정하기 위해, 커플링 부품의 종방향 측면 및 상기 부품의 지지 레일 쪽 하부면 상에는, 윈드실드를 향하여 연장된 클로형 돌출부가 배치되며, 이 돌출부의 각 하나의 L형 레그는 양 지지 레일이 위치한 평면을 횡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돌출부의 다른 하나의 L형 레그는 상기 L형 레그로부터 시작해서 서로 마주하게 방향 설정되고 지지 레일의 에지 스트립을 아래에서 고정한다. 이 경우 다른 하나의 L형 레그가 지지 레일의 하부면에 직접 접하는지, 또는 지지 레일과 에지 스트립 사이에 중간층, 예를 들어 와이퍼 스트립의 연장부가 있는지의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에는 작동 위치를 횡방향 보어과 링크 볼트 사이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제공된다. 이로써,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사이의 링크식 연결을 위한 높은 작동 안전성이 얻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수단은, 와이퍼 아암에 배치되고 윈드실드 반대편을 향하는 스톱 숄더를 가지며, 이 숄더에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윈드실드 쪽 대응 숄더가 할당된다.
상기 스톱 숄더가, 윈드실드 쪽으로 돌출되어 각진 와이퍼 아암의 돌출부에 형성될 때 특히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의 연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와이퍼 아암이 적어도 링크 볼트의 영역에,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윈드실드에 대해 수직으로 방향 설정된 두 개의 측벽을 가지고, 이 측벽에는 링크 볼트의 각 하나의 단부가 고정될 때,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된 링크 볼트도 그 기능을 위해 특히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와이퍼 아암의 안정성을 얻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주변 환경에 대하여 연결 장치를 폭넓게 보호함으로써 그 수명을 현저하게 늘이기 위해, 상기 측벽은 횡단면이 적어도 섹션별로 U형인 와이퍼 아암의 U형 레그를 통하여 형성되고, 이 때 돌출부는 윈드실드쪽 U형 베이스의 내부면에 배치되며, U형 레그는 커플링 부품의 종방향 측면을 둘러싼다.
U형 레그들 사이의 간격이 커플링 부품의 서로 반대편에 있는 두 개의 종방향 측면들 사이의 간격으로 조정될 때, 와이퍼 블레이드는 그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특히 양호하게 안내될 수 있으므로 와이퍼 작동은 조용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주변 환경에 대한 보호를 더욱 개선하기 위해, 와이퍼 아암의 U형 베이스는 작동 위치에서 횡방향 보어의 협소 지점을 커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커플링 부품이 클로형 돌출부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플레이트는 박스형 구조를 지지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긴 측벽들은 횡방향 보어를 갖는 지지 블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구조의 상부벽과 지지 블록 사이에 슬롯이 있을 때, 특히 간단하면서 안정적이며 저렴한 커플링 부품의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지지 블록은 상기 구조의 강성을 위해 사용되며 슬롯은 각진 아암 돌출부를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돌출부의 스톱 숄더는 그 작동 위치로 될 수 있다.
지지 블록과 커플링 부품의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리세스가 배치될 때, 와이퍼 아암에 배치된 각진 돌출부의 레그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공간이 필수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필수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측 대응 숄더가 지지 블록의 하부면에 맞게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와이퍼 암이 작동 개시 위치에 있을 경우, 와이퍼 아암의 스톱 숄더가 와이퍼 블레이드의 대응 숄더에 바로 인접해서 대향 배치될 때, 작동을 안정화하는 링크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추가의 조치는 생략될 수 있다.
지지 부품의 상부 밴드면 위로 연장된 방풍 스트립을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커플링 부품은 방풍 스트립의 리세스 내에 배치된다.
방풍 스트립을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조립 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커플링 부품의 박스형 구조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방향으로 볼 때, 그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측면 쪽으로 오프셋되며 방풍 스트립에 형성된 방풍 스트립의 유입 채널은 상기 측면 쪽을 향한다.
고속 주행시에도 윈드실드에 대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밀착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주로 주행풍을 맞는 와이퍼 아암의 U형 레그에는 방풍면으로서 사용되는 베벨(bevel)이 형성되며, 이 경우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 와이퍼 블레이드와 커플링 부품의 높이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베벨 영역에 위치한 박스형 구조의 부품은 베벨의 진행에 맞게 조정된다.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와 구성은 첨부한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에서 기술한다.
도 1은 연결 장치를 통해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며 세척할 윈드실드에 와이퍼 립으로 밀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라 절취한, 예비 조립 상태에 있는 연결 장치의 아암측 부품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선 Ⅱ-Ⅱ을 따라 절취한, 예비 조립 상태에 있는 연결 장치의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 부품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심 섹션에서 커플링 부품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중간 조립 위치에 있는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 2와 도 3에 상응하게 절취하여 축소 도시한 도면.
도 6은 작동 위치에 있는 장치의, 도 5에 따른 도면.
도 7은 도 6에 따른 장치를 선 Ⅶ-Ⅶ에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따른 장치를 선 Ⅷ-Ⅷ에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베벨이 형성된 커플링 부품의 사시도.
도 1에서 사시도로 도시한, 차량의 윈드실드(10)에 밀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12)의 중심 섹션은 차량에 안내되어 구동되는 와이퍼 아암(14)의 자유 단부에 연결된다. 와이퍼 아암(14)은 화살표(16)의 방향으로 윈드실드(10)를 향해 하중을 받으며, 와이퍼 블레이드는 그 긴 고무 탄성의 와이퍼 스트립(20)의 와이퍼 립(18)을, 세척할 윈드실드(10)의 표면에 밀착시킨다. 와이퍼 스트립(20)은 긴 밴드형 지지 부품(22)에 의해 지지되며, 이 지지 부품은 본 실시예에서 금속으로 제조된 두 개의 종방향 레일들을 포함하고 이들은 추후에 더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지지 부품은 일부재의 금속 밴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지지 부품의 윈드실드(10) 측 하부 밴드면 상에는 와이퍼 스트립이 배치되고, 상기 부품의 에지 스트립은 와이퍼 스트립(20)을 측방향으로 돌출한다. 와이퍼 아암(14)과 와이퍼 블레이드(12)가 링크식으로 연결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가 그 종방향 폭에 대해 횡방향인 와이핑 운동{이중 화살표(24)}을 두 개의 전환 위치 사이에서 수행할 때, 와이퍼 립(18)은 일반적으로 구형으로 만곡된 윈드실드(10)에 맞게 연속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 때 와이퍼 블레이드(12)는 도 1에서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링크 축(26)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와 관련한 와이퍼 아암(14)의 자유 단부 구성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와이퍼 아암의, 여기에 도시한 자유 단부 섹션은 U형 베이스(28)를 구비한 실질적으로 U형 횡단면을 가지며, 이 베이스에는 두 개의 U형 레그(30)가 연결된다. U형 레그(30)는 윈드실드(10)를 향하며 작동 또는 운동 방향{이중 화살표(24)}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레그(30)는 와이퍼 아암(14)의 자유 단부까지 연장되며 여기서 측벽(32)을 형성하고, 이 측벽은 윈드실드(10)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또한 도 8에서는 양 측벽(32)들 각각을 지지 보어(34)가 통과하고 있으며 양 보어들이 링크축(26)과 동일한 공통의 종축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지지 보어(34)에는 연결 장치(42)의 와이퍼 아암측 부품에 속하는 링크 볼트(40)의 양 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12)는 와이퍼 아암(14)에 연결될 수 있다. 링크 볼트(40)는 실질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운동{이중 화살표(24)} 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도 1, 도 4, 도 7 및 도 8에는 와이퍼 블레이드(12)의 구성이 도시된다. 여기서 긴 탄성 고무의 와이퍼 스트립(20)은 세척할 윈드실드(10)로부터 간격을 둔 두 개의 종방향 그루브(36)들을 포함하며, 이 종방향 그루브들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와이퍼 스트립(20)의 종방향 측면 쪽으로 에지가 개방된다. 종방향 그루브(36)는 공통 평면 내에 놓여 있으며 상술한 종방향 레일(38)을 각각 수용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레일의 길이는 와이퍼 스트립(20)의 길이에 거의 일치한다. 양 종방향 레일(38)은 스프링 탄성 재료로 제조되며 그 종방향 그루브(36)로부터 에지 스트립(44)으로 돌출한다. 이들은 지지 부품(22)의 중요 부품들이며, 상기 부품들은 본 실시예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2)의 종방향으로 분할된다. 종방향 레일(38)의 에지 스트립(44)에는 커플링 부품(46)이 지지되며, 커플링 부품(46)은 연결 장치(42)의 와이퍼 블레이드측 부품을 형성한다. 커플링 부품(46)은 베이스 플레이트(48)를 가지며, 양 종방향 레일(38)을 그 종방향 폭에 대해 횡방향으로 커버한다. 커플링 부품(46)의 종방향 측면 또는 그 베이스 플레이트(48)의 종방향 측면에는 윈드실드(10)를 향하여 연장된 클로형 돌출부(50)가 제공되며, 이 돌출부의 횡단면은 L자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클로형 돌출부의 L형 레그(52)는 베이스 플레이트(48)에 연결되며 양 종방향 레일 또는 지지 레일(38)이 위치한 평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른다. 하나의 L형 레그(52)는 베이스 플레이트(48)와 간격을 두고 다른 L형 레그(54)로 전환된다. 상기 L형 레그(54)들은 L형 레그(52)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특히 도 7과 도 8에서는 클로형 돌출부(50)의 다른 L형 레그(54)가 지지 레일(38)의 에지 스트립(44)을 아래로 둘러싸는 것이 도시된다. 따라서 커플링 부품(46)은 종방향 레일 또는 지지 레일(38)의 양 에지 스트립(44)에 지지된다. 이와 동시에 커플링 부품(46)은 지지 레일(38)을 그 종방향 폭에 대해 횡방향으로 와이퍼 스트립(20)의 종방향 그루브(36) 내에서 확실하게 고정한다. 윈드실드(10) 반대편 종방향 레일(38)의 상부 밴드면(37)에서 커플링 부품(46)의 베이스 플레이트(48)에는, 박스형 구조(56)가 배치된다(도 3 및 도 7). 박스형 구조(56)는 와이퍼 블레이드(12)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박스형 구조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베이스 플레이트(48)에 연결된 두 개의 측벽(58)을 가지며, 이 측벽들은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간격을 두면서 커버 플레이트(6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구조(56)를 더욱 안정화하기 위해, 상기 구조의 한쪽 단부에는 지지 블록(62)이 제공되며, 지지 블록은 마찬가지로 양 측벽(58)들을 서로 연결한다. 커버 플레이트(60)는 지지 블록(62)의 앞에 간격을 두고 끝나므로, 이 지지 블록과 지지 블록을 향하는 커버 플레이트(60)의 단부 사이에는 슬롯(64)이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48)와 지지 블록(62) 사이에는 통과구(66)가 존재한다(도 5). 지지 블록(62)에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방향 연장에 대해 횡방향으로 횡방향 보어(68)가 제공되며, 이 보어는 윈드실드(10) 반대편 와이퍼 블레이드(12)의 상부면에 대하여 보어의 종방향으로 개방된다. 이 슬롯형 개구(72)의 폭(70)은 횡방향 보어(68)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개구(72)는 협소 지점을 형성한다. 커플링 부품(46)은 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이것은 횡방향 보어(68) 내에서 협소 지점의 에지 영역을 탄성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와이퍼 아암(14)의 링크 볼트(40)를 횡방향 보어(68) 내로 삽입할 수 있다. 횡방향 보어의 직경은 링크 볼트(40)의 직경에 맞게 조정되므로, 커플링 부품(46)들 사이에서, 또는 커플링 부품에 연결된 와이퍼 블레이드(12)와 와이퍼 아암(14) 사이에서 링크축(26)을 중심으로 상대 운동이 일어나는데 이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 아암에 조립된 상태에서 링크 볼트(40)의 종축과 횡방향 보어(68)의 종축이 합동이기 때문이다(도 1, 도 5, 도 6 및 도 8).
상호 마주하는 와이퍼 아암(14)의 U형 레그(30)의 내부면에는 측벽(32)들이 형성되며, 이 측벽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구조(56)의 측벽(58)들의 외부면의 간격으로 조정되므로, 진동 운동{도 1에서 이중 화살표(74)}은 저하되지 않으며 링크 연결에는 링크축(26)의 방향으로 볼 때 생길 수 있는 간극이 없다.
특히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 아암(14)의 링크 볼트(40)의 영역에는, U형 베이스(28)의 내부면에 배치되어 이 내부면으로부터 돌출한 각진 돌출부(76)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나의 각 레그(78)는 U형 베이스(28)에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각 레그(80)는 간격을 두고 링크 볼트(40)를 아래에서 둘러싼다. 돌출부(76)의 폭은 와이퍼 아암(14)의 U형 레그(30)들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 스트립(20)의 와이퍼 립(18)은 종방향 레일 또는 지지 레일(38)의 하부면(39)으로부터 윈드실드(10) 쪽으로 연장된다. 양 종방향 그루브(36)들 사이에 배치된 종방향 리브(82)는 와이퍼 스트립(20)을 방풍 스트립(84)에 연결시키며, 이 방풍 스트립은 와이퍼 스트립의 스트립형 연장부(86)에 형성된다. 방풍 스트립(84)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전체 길이, 또는 종방향 레일(38)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며, 주로 주행풍을 향하는 그 종방향 측면에 유입 채널(88)을 갖는다. 커플링 부품(46)이 가능한 한 종방향 레일(38) 근처에 놓이도록 하기 위하여, 방풍 스트립(84)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방향 중심 영역에 리세스(90)가 제공되며, 이 리세스에는 커플링 부품(46)이 배치된다(도 1 및 도 4). 특히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품(46)의 박스형 구조(56)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방향으로 볼 때 베이스 플레이트(48)에 대해, 측면 쪽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며 방풍 스트립(84)에 형성된 유입 채널(88)은 상기 측면을 향한다. 또한 세척할 윈드실드에 대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밀착 특성을 고속 주행시에도 더욱 개선시키기 위해, 주로 주행풍이 유입되는 와이퍼 아암(14)의 측면에는 방풍면으로서 사용되는 베벨(92)이 제공되며, 이 베벨은 링크 볼트(40)의 영역까지 연장되어 커플링 부품(46)의 박스형 구조(56)에까지 이른다. 와이퍼 블레이드와 이 블레이드에 연결된 와이퍼 아암을 가능한 낮은 부품 높이로 유지하기 위하여, 베벨(92)의 영역에 있는 구조(56)의 부품은 베벨(92)의 진행에 맞게 조정된다. 이는 도 9에서 커버 플레이트(60)의 영역 내의 상응하는 경사면(94)을 통해, 또한 관련된 측벽(58)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커플링 부품(46)이 제공된 와이퍼 블레이드(12)를 와이퍼 아암(14)의 자유 단부에 연결시키기 위해, 이 양 부품들은 서로 도 2와 도 3에서 볼 수 있는 하나의 위치로 와야 한다. 그 후 와이퍼 블레이드(12)는 도 5의 화살표(96)의 방향으로 와이퍼 아암에 안내되므로, 지지 블록(62)은 U형 베이스(28)와 돌출부(76)의 다른쪽 각 레그(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에 상응하는 크기의 조정은 자연스럽게 전제 조건이 된다. 도 5에서는 중간 조립 위치에서의 와이퍼 아암(14)과 와이퍼 블레이드(12) 사이의 상대 운동이 선회 화살표(97: 도 5)에 상응하게 일어나므로, 도 6에 도시한 연결 장치(42)의 작동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협소 지점(72)의 에지 영역은 탄성적으로 휘어지므로, 이때 얻어진 록킹(locking) 링크 위치에서 와이퍼 아암(14)과 와이퍼 블레이드(12) 사이는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중간 조립 위치에 있어서, 다른 각 레그(80)는 슬롯(64)을 통하여 커플링 부품(46)의 구조(56)를 통과한다. 도 5에서 화살표(97)를 따라 이뤄진 선회 운동 후, 도 6에 도시한 연결 장치(42)의 작동 위치에 이른다. 이 때, 돌출부(76)의 다른 각 레그(80)는 통과구(66)를 통하여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48)와 지지 블록(62) 사이의 리세스 내에 삽입된다. 지지 블록(62)을 향하는 다른 쪽 레그(80)의 내부면은 대응 숄더(99)와 상호 작용하는 스톱 숄더(98)를 형성하며, 이 스톱 숄더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한 지지 블록(62)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퍼 아암이 작동 개시 위치에 있을 때, 와이퍼 아암(14)의 스톱 숄더(98)가 와이퍼 블레이드(12)의 대응 숄더(99)에 바로 인접해서 대향 배치됨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이로써 링크 볼트(40)가 의도하지 않게 지지 블록의 횡방향 보어(68)로부터 나오는 것은 방지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장치는 횡방향 보어(68)와 링크 볼트(40) 사이의 작동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형성한다. 또한 도 6에서는 와이퍼 아암의 U형 베이스(28)가 작동 위치에서 개구(72)의 협소 지점을 커버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7과 도 8에서는 와이퍼 아암(14)의 U형 레그(30)들 사이의 간격이 서로 떨어진 두 개의 종방향 측면들, 또는 커플링 부품(46)의 측벽(58)들 사이의 간격으로 조정되며, 이로써 U형 레그(30)는 커플링 부품(46)의 종방향 측면을 커버하는 것이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는 그 특수한 특징들에 기초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의 구성을 특히 낮게 할 수 있으며, 그 높이는 이에 연결된 와이퍼 아암과 함께 미미하게 상승되고,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12)가 와이퍼 암(14)으로부터 뜻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와이퍼 아암(14)으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12)를 분리하기 위해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아암(14)에 관하여 도 5에 도시한 중간 조립 위치로 와야 하며, 여기서 분리 운동은 화살표(96)에 반대되게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7)

  1. 전환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와이퍼 아암(14)에 차량 윈드실드(10)용 와이퍼 블레이드(12)를 링크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로서, 상기 와이퍼 아암의 자유 단부 섹션에는 긴 와이퍼 블레이드를 연결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운동 방향으로 뻗어 있는 링크 볼트(40)가 제공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긴 탄성 지지 부품(22)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품의 윈드실드 쪽 하부면에는 윈드실드(10)에 밀착할 수 있는 와이퍼 스트립(20)이 배치되며 이 지지 부품에는 그 상부면 쪽으로 개방된 횡방향 보어(68)가 제공되고, 그 개방폭은 보어의 직경보다 좁은 협소 지점(72)을 형성하며, 상기 협소 지점의 에지 영역이 보어 직경의 크기로 탄성적으로 팽창될 수 있는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품은 와이퍼 스트립(20)을 고정하기 위해, 길고 스프링 탄성인 적어도 하나의 밴드형 지지 레일을 가지며, 상기 스트립의 윈드실드(10) 반대편 상부면(37)에는, 탄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횡방향 보어(68)를 가진 커플링 부품(46)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스프링 탄성의 금속으로 구성되며 긴 두 개의 지지 레일(38)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레일은 와이퍼 스트립(20)의 종방향 측면에 대해 에지가 개방된 종방향 그루브(36) 내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들의 각각 하나의 에지 스트립(44)은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섹션을 통해 종방향 그루브들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지지 레일의 2 개의 에지 스트립에는 커플링 부품(46)이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품(46)의 종방향 측면, 및 종방향 레일(38)을 향한 그 하부면(39)에는 윈드실드(10)를 향하여 연장되며 클로형인 L형 돌출부(50)가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의 하나의 L형 레그(52)는 양 지지 레일이 위치한 평면을 횡으로 가로지르고, 다른 하나의 L형 레그(54)는 상기 L형 레그(52)로부터 시작해서 서로 마주하게 방향 설정되며 지지 레일(38)의 에지 스트립(44)을 아래에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보어(68)와 링크 볼트(40) 사이에 작동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98, 99)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와이퍼 아암(14)에 배치되고 윈드실드(10)로부터 떨어진 스톱 숄더(98)를 가지며, 상기 숄더에는 와이퍼 블레이드(12)의윈드실드(10) 쪽 대응 숄더(99)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숄더(98)는, 윈드실드(10) 쪽으로 돌출되며 각진 와이퍼 아암(14)의 돌출부(76)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아암(14)은 적어도 링크 볼트(40)의 영역에,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윈드실드(10)에 대해 수직으로 방향 설정된 두 개의 측벽(32)을 가지며, 상기 링크 볼트(40)의 각각 하나의 단부가 상기 측벽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32)은 횡단면이 적어도 섹션별로 U형인 와이퍼 아암(14)의 U형 레그(30)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76)는 U형 베이스(28)의 윈드실드(10) 쪽 내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U형 레그(30)는 커플링 부품(46)의 종방향 측면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형 레그(30)들 사이의 간격은, 서로 반대편에 놓인 커플링 부품(46)의 두 개의 종방향 측면들 사이의 간격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아암(14)의 U형 베이스(28)는 작동 위치에서 횡방향 보어(68)의 협소 지점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품(46)은 클로형 돌출부(50)가 제공된 베이스 플레이트(48)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박스형 구조(56)를 지지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2)의 긴 측벽(58)들은 횡방향 보어(68)를 갖는 지지 블록(62)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구조(56)의 상부 커버 플레이트(60)와 지지 블록(62) 사이에는 슬롯(64)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62)과 상기 커플링 부품(46)의 베이스 플레이트(48) 사이에 리세스(6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62)의 베이스 플레이트(48) 쪽 하부면에는 상기 와이퍼 아암(14)의 스톱 숄더(98)에 대한 대응 숄더(9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작동 위치에 있는 상기 와이퍼 아암(14)의 U형 베이스(28)는 횡방향 보어(68)의 협소 지점(72)을 커버하며, 상기 와이퍼 아암의 스톱 숄더(98)는 와이퍼 블레이드(12)의 대응 숄더(99)에 바로 인접해서 대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품의 상부 밴드면(37) 위로 연장된 방풍 스트립(84)을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해, 상기 커플링 부품(46)은 방풍 스트립(84)의 리세스(9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품(46)의 박스형 구조(56)는 와이퍼 블레이드(12)의 종방향으로 볼 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8)에 대해 측면 쪽으로 오프셋되며, 상기 방풍 스트립(84)에 형성된 유입 채널(88)은 상기 측면 쪽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7. 제 8 항에 있어서, 주로 주행풍이 유입되는 와이퍼 아암(14)의 U형 레그(30)에는 방풍면으로서 사용되는 베벨(92)이 제공되며, 상기 베벨 영역에 놓인 박스형 구조(56)의 부품은 베벨의 진행에 맞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KR1020007011639A 1999-02-23 1999-10-23 와이퍼 아암과 차량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링크식 연결 장치 KR100620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7629.4 1999-02-23
DE19907629A DE19907629A1 (de) 1999-02-23 1999-02-23 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Wischera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865A KR20010042865A (ko) 2001-05-25
KR100620259B1 true KR100620259B1 (ko) 2006-09-07

Family

ID=789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639A KR100620259B1 (ko) 1999-02-23 1999-10-23 와이퍼 아암과 차량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링크식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49797B1 (ko)
EP (1) EP1071591B1 (ko)
JP (1) JP4567203B2 (ko)
KR (1) KR100620259B1 (ko)
DE (2) DE19907629A1 (ko)
WO (1) WO20000502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6300A1 (de) * 1998-12-07 2000-06-08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ES2203597T3 (es) * 2000-01-07 2004-04-16 Valeo Wischersysteme Gmbh Dispositivo limpiaparabrisas para limpiar cristales de vehiculos, en especial automoviles.
AU2002220506A1 (en) * 2000-10-28 2002-05-06 Robert Bosch G.M.B.H Jointless wiper blad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WO2002034596A1 (de) * 2000-10-28 2002-05-02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angetriebenen wischerarm
EP1337419B1 (de) * 2000-11-18 2006-05-17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angetriebenen wischerarm
DE10112137A1 (de) 2001-03-14 2002-09-19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
DE10120467A1 (de) * 2001-04-26 2002-10-31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ES2245340T3 (es) * 2001-05-08 2006-01-01 Federal-Mogul S.A. Dispositivo limpiaparabrisas.
DE10122764B4 (de) * 2001-05-10 2016-08-25 Valeo Auto-Electric Wischer Und Motoren Gmbh Wischvorrichtung
DE60120717T2 (de) * 2001-11-16 2006-10-12 Federal-Mogul S.A. Scheibenwischervorrichtung aufweisend ein Trägerelement und ein Wischblatt
DE10212441A1 (de) * 2002-03-21 2003-11-13 Valeo Auto Electric Gmbh Wischvorrichtung mit Flachwischblatt und Wischarm
FR2838693B1 (fr) * 2002-04-22 2004-09-17 Valeo Systemes Dessuyage Agencement de fixation d'une monture de balai d'essuie glace sur un bras
DE60213068T2 (de) * 2002-05-03 2006-11-30 Federal-Mogul S.A. Scheibenwischervorrichtung
FR2842485B1 (fr) * 2002-08-29 2006-11-24 Bosch Gmbh Robert Piece de liaison d'un bras d'essuie-glace et d'un balai d'essuie-glace sans articulation
FR2847221B1 (fr) * 2002-11-19 2006-08-04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ehicule comportant un bras et un connecteur d'articulation realises d'une piece par moulage en matiere plastique
KR101058824B1 (ko) 2002-11-26 2011-08-23 발레오 비셔시스테메 게엠베하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와이퍼 아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
DE10259856B4 (de) * 2002-12-20 2016-06-30 Robert Bosch Gmbh Wischerarm einer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0343939B4 (de) * 2003-09-23 2018-06-07 Robert Bosch Gmbh Wischarm
FR2890924B1 (fr) * 2005-09-21 2010-02-12 Valeo Systemes Dessuyage Connecteur de montage d'un balai d'essuyage sur une tige transversale
DE102009002783A1 (de) * 2009-05-04 2010-11-11 Robert Bosch Gmbh Anschluss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Wischarms mit einem Wischblatt
KR101098004B1 (ko) 2009-08-26 2011-12-22 주식회사 캐프 차량 와이퍼용 멀티 어댑터
US8495787B2 (en) 2010-08-03 2013-07-30 Rally Manufacturing, Inc. Windshield wiper
USD706200S1 (en) 2010-09-22 2014-06-03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ver
DE102010047096A1 (de) * 2010-10-01 2012-04-05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blatt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JP5638917B2 (ja) * 2010-11-10 2014-12-10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
US9032586B2 (en) 2010-11-10 2015-05-19 Asmo Co., Ltd. Wiper blade
DE102010062925A1 (de) * 2010-12-13 2012-06-14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DE102010064170A1 (de) * 2010-12-27 2012-06-28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Kraftfahrzeugscheibenwischvorrichtung
DE102011004637A1 (de) * 2011-02-24 2012-08-30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USD685712S1 (en) 2011-03-23 2013-07-09 Kcw Corporation Wiper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8806700B2 (en) 2011-07-29 2014-08-19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per blade connector
US9381893B2 (en) 2011-07-29 2016-07-05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DE102011089545A1 (de) * 2011-12-22 2013-06-27 Robert Bosch Gmbh Anschlusselement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arms mit einem Wischblatt
US10723322B2 (en) 2012-02-24 2020-07-28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CA2865292C (en) 2012-02-24 2018-03-1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KR101433220B1 (ko) 2012-06-25 2014-08-2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1474838B1 (ko) 2013-07-01 2014-12-22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N104995067B (zh) 2013-09-11 2017-12-05 阿斯莫株式会社 刮水片以及刮水片的制造方法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D787308S1 (en) 2014-10-03 2017-05-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package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FR3031331B1 (fr) * 2015-01-05 2017-07-14 Valeo Systemes Dessuyage Bras d’essuie-glace equipe d’un gicleur
CN104925031A (zh) * 2015-07-20 2015-09-23 贵阳万江航空机电有限公司 一种雨刮金属连接器及其收压工装及收压方法
FR3040344B1 (fr) * 2015-08-24 2017-08-25 Valeo Systemes Dessuyage Element de support, balai d’essuie-glace et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EP3368383B1 (en) 2015-10-26 2021-08-0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3043618B1 (fr) * 2015-11-17 2017-12-15 Valeo Systemes Dessuyage Ensemble forme d'un bras d'entrainement et d'un connecteur pour essuie-glace.
CN109311452A (zh) 2016-05-19 2019-02-05 电缆塔制造有限公司 挡风玻璃雨刮器连接器
US10513246B2 (en) 2016-05-19 2019-12-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0766462B2 (en) 2016-05-19 2020-09-0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0717414B2 (en) 2016-05-19 2020-07-21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blade
KR101905818B1 (ko) * 2018-01-18 2018-10-08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와이퍼 암팁과 지지 부재 간 배치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8896B (de) * 1954-06-24 1958-04-24 Avog Elektro Und Feinmechanik Wischerschiene fuer Scheibenwischer
US3147507A (en) * 1963-10-14 1964-09-08 Tridon Mfg Ltd Automobile windshield wiper clip
US3254358A (en) * 1963-11-12 1966-06-07 Ralph H Wise Windshield wiper connector
JPS4624410Y1 (ko) * 1965-11-22 1971-08-23
JPS4624421Y1 (ko) * 1966-07-01 1971-08-23
DE2313689A1 (de) * 1973-03-20 1974-10-03 Bosch Gmbh Robert Loesbare verbindung zwischen dem wischblatt und dem wischarm einer wischanlage
DE8119737U1 (de) * 1981-07-07 1982-12-16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Wischvorrichtung fue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SE504387C2 (sv) * 1996-01-03 1997-01-27 Hans Jonason Vindrutetorkande utrustning
DE19627114A1 (de) * 1996-07-05 1998-01-08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GB9707750D0 (en) * 1997-04-17 1997-06-04 Clearco Automotive Product Ltd Wiper Blade assembly
DE19729865A1 (de) * 1997-07-11 1999-01-14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ür Windschutz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9729864A1 (de) * 1997-07-11 1999-01-14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07629A1 (de) 2000-08-24
JP4567203B2 (ja) 2010-10-20
EP1071591B1 (de) 2005-10-05
DE59912624D1 (de) 2006-02-16
JP2002537179A (ja) 2002-11-05
EP1071591A1 (de) 2001-01-31
KR20010042865A (ko) 2001-05-25
US6449797B1 (en) 2002-09-17
WO2000050276A1 (de) 200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259B1 (ko) 와이퍼 아암과 차량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링크식 연결 장치
KR100605236B1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660768B1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KR100821111B1 (ko) 차량의 윈드실드용 와이퍼 장치
KR100602804B1 (ko)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
KR101368239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0702826B1 (ko) 자동차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775775B1 (ko)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
JP4027229B2 (ja) 被駆動式のワイパアームと、該ワイパアームに枢着された特に自動車の板ガラスを払拭する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とを備えたワイパレバー
KR100686481B1 (ko)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힌지식연결 장치
US7055206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0639903B1 (ko) 자동차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
JP2002533260A (ja) 自動車のウインドシールド用のワイパブレードとワイパアームとを枢着結合する装置
KR100660766B1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US6530111B1 (en) Wiper device for the windows of motor vehicles
KR20000068680A (ko) 차유리 와이퍼
CZ299497B6 (cs) List sterace skel
CN1646353A (zh) 用于清洗特别是汽车的玻璃的、具有一个雨刷臂和一个在该雨刷臂上铰接的雨刷片的雨刷杆
JP2005521596A (ja) 駆動されるワイパアームと、該ワイパアームに枢着された、ガラス特に自動車のガラスを清掃する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とを備えたワイパレバー
KR100783839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6178588B1 (en) Device for linking a wiper blade to a wiper arm
JP2000500100A (ja) 自動車の窓ガラスワイパー装置のワイパーブレード
KR100712870B1 (ko) 자동차 윈드실드 세척용 와이퍼 블레이드
GB2151914A (en) Wiper blade
KR100616259B1 (ko) 와이퍼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