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503A - 가공 안정성이 증진되고 방출 경향이 감소된폴리옥시메틸렌 성형 물질 - Google Patents

가공 안정성이 증진되고 방출 경향이 감소된폴리옥시메틸렌 성형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503A
KR20010042503A KR1020007011129A KR20007011129A KR20010042503A KR 20010042503 A KR20010042503 A KR 20010042503A KR 1020007011129 A KR1020007011129 A KR 1020007011129A KR 20007011129 A KR20007011129 A KR 20007011129A KR 20010042503 A KR20010042503 A KR 20010042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s
molding composition
mol
pom
polymer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6190B1 (ko
Inventor
디쉬슈테판
엑카르트페터
뮈크칼-프리드리히
로이쉘게르하르트
라이쓰만로타르
Original Assignee
아울미히 게., 렌트파이 테.
티코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울미히 게., 렌트파이 테., 티코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울미히 게., 렌트파이 테.
Publication of KR20010042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C08L59/04Copolyoxymeth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04Reduction, e.g. hydroge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00Addi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cyclic oligomers thereof or of ketones; Addition copolymers thereof with less than 50 molar percent of other substances
    • C08G2/18Copolymerisation of aldehydes or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only
    • C08G65/06Cyclic ethers having no atom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outside the ring
    • C08G65/16Cyclic ethers having four or more ring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성형 물질은 중합체 쇄에 구조 단위로서 본질적으로 옥시메틸렌 단위 및 옥시에틸렌 단위(여기서, 중합체 쇄의 구조 단위중의 옥시에틸렌 단위의 비율은 1.5 내지 2.5mol%이다)를 갖는 선형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의 성형 물질 및 이로부터 제조되고 임의로 착색된 성형 제품은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고, 극히 저품질의 포름알데히드 및 잔류 단량체를 방출한다. 동시에, 기계적 특성도 높아서, 유용한 적용 분야 및 가공 방법을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공 안정성이 증진되고 방출 경향이 감소된 폴리옥시메틸렌 성형 물질{Polyoxymethylene moulding material with improved processing stability and a reduced emissions tendency}
본 발명은 특히 안정성이 높은 폴리옥시메틸렌 성형 조성물 및 저방출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들 물질은 특히 저방출성을 갖는 착색된 성형품을 제조하는 데 적합하다.
폴리옥시메틸렌(POM)이 약 30년 전부터 시장에 도입되었기 때문에, 폴리옥시메틸렌은 다양한 기술적 적용에 매우 유용한 물질로서 자리잡았다. POM은 특히 자동차 구조 또는 전기 산업용 디자인에 있어서 재료로서 널리 사용된다. 이 예는 POM 생산자들의 공업 부분 소책자에서 찾을 수 있다.
현재, POM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은 현재 익히 공지되어 있다[참조: 사벨(Sabel) 등, Becker/Braun Eds., Kunststoff-Handbuch, Vol. 3/1], 예를 들면, 현재 트리옥산은 양이온성 개시제를 사용하여 사이클릭 에테르와 공중합시킬 수 있다는 것은 현재 익히 공지되어 있따. 사용된 유용한 양이온성 개시제는 루이스 산(예: BF3), 강양자성 산(HClO4), 헤테로폴리산 또는 퍼플루오로알칸설폰산이다. 사용된 공단량체는 일반적으로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에틸렌 글리콜, 부탄디올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의 사이클릭 포르말이다.
원칙적으로, POM 공중합체에서 공단량체 함량은 매우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07286024호에는, 장쇄 지방족 말단 그룹으로 개질된 옥시메틸렌과 C2-C4-옥시알킬렌과의 공중합체의 중합체에서 공단량체 단위는 0.03 내지 10mol%의 범위라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07124996호에는 중합체에서의 공단량체의 비율이 3 내지 30중량%일 수 있는 POM 공중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POM 공중합체의 비율로 주어진 공단량체 함량은 일반적으로 3 내지 4중량%이고, 이러한 데이타는 단량체 혼합물에서 공단량체의 중량에 의한 비율로서 이해된다[예: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0728602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06049155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04108819호].
안정성이 더 큰 생성물을 수득하기 위해, POM 성형 조성물은 암모니아 수용액으로 연장된 기간 동안 처리[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54-107972호]하거나 100 내지 200℃에서 압력하에 수성 현탁액에서 가열한다[참조: 네덜란드 공개특허공보(NL-A) 제6812966호].
POM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제품은 상업적으로 오랫동안 제조되어 왔고, 공학 부품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정 수준의 기계 특성, 예를 들면, 강성, 경도 및 인성은 POM 성형 조성물로부터 본원에서 요구되고, 공학 부품(예: 기어 휠, 레버 및 다수의 기타)에 이들 물질을 사용하도록 한다. POM 공중합체 제조에 관한 소책자에 발표된 항복응력(yield stress) 값은 60 내지 70N/mm2이다. 개질되지 않은 공중합체의 탄성 모듈러스로 밝혀진 값은 2400 내지 3100N/mm2이다. 23℃에서 노치 충격 강도(notched impact strength)로 밝혀진 값은 4 내지 12mJ/mm2이다.
POM 성형 조성물이 이러한 유리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들 물질을 보다 많은 적용 영역으로 접근시킬 필요가 있다. 기계적 특성 프로파일의 유지와 함께, 단지 잔류 단량체 또는 성형품으로부터의 기타 휘발성 성분의 방출은 거의 없어야한다는 요구를 점점 충족시킨다. POM으로부터 제조된 생성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장 중의 하나인 자동차 산업은 이러한 목적에 있어서 특정 분석법을 개발하였다[1994년 7월 크라프트파르베센(Kraftfahrwesen) 에. 브.에 의한 VDA 증명서 번호 275(참조: German Automotive Industry Recommendation No. 275)]. 잔류 단량체와 기타 휘발성 성분의 낮은 비율은 POM이 특히 착색되기 어렵기 때문에, POM의 착색에 있어서도 중요하다[참조: Damm W., Herrmann E., in Gachter, Muller; 3rd Edition, p. 730].
현재 수득할 수 있는 시판되는 POM 생성물이 공지된 유리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이들로부터 생성된 성형품은 포름알데히드를 30mg/kg 이상으로 과도하게 방출한다. 성형품을 복잡하게 후처리(예: 강한 어닐링)함으로써 저방출 수준을 성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러나, 후처리는 부가 비용을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특정 포름알데히드 스캔빈저(scavenger)를 사용하는, 각종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POM 안정화 시스템은 지금까지도 고방출의 단점을 극복할 수 없었다. 저방출 성형품은 지금까지 통상적이였던 POM 성형 조성물로부터 쉽게 제조될 수 없다.
따라서, 첫째 실질적으로 감소된 방출 경향을 가지면서, 둘째 공지되어 있는, 필요한 기계적 특성의 수준을 가지며 산업에 필요한 POM 성형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당해 목적은, 근본적으로 중합체 쇄에 옥시메틸렌 단위와 옥시에틸렌 단위를 구조 단위로서 갖는 선형 POM 공중합체에 의해 성취되고, 중합체 쇄의 구조 단위 중의 옥시에틸렌 단위의 비율은 1.5 내지 2.5mol%, 바람직하게는 1.85 내지 2.25mol%이다.
놀랍게도, 신규한 성형 조성물은 특히, 첫째 실질적으로 향상된 안정성을 가져서,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잔류 방출 수준은 극히 낮다. 예를 들면, VDA 275에 따라, 저장한지 24시간 후 벽 두께가 1mm인 시트상에서 측정한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은 일반적으로 15mg/kg 미만, 바람직하게는 10mg/kg 미만이다.
둘째, 신규한 성형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은 시판중인 POM 생성물에서 내놓은 통상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고, 따라서, 적용 분야 및 POM에 대해 통상적인 가공 기술에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신규한 성형 조성물은 옥시메틸렌 단위와 함께 중합체 쇄에서 보조 성분으로서 본질적으로 단지 옥시에틸렌 단위만을 갖는 선형 POM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원칙적으로, 공중합체는 또한 장쇄 단위(예: C3또는 C4-옥시알킬렌 단위)를 작은 비율로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정한 저방출 경향에서 기계적 특성을 손상시킨다.
신규한 성형 조성물에 있어서, 중합체 쇄의 구조 단위에서 옥시에틸렌 단위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2.0±0.5mol%, 즉 1.5 내지 2.5mol%이다. 이러한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85 내지 2.25mol%이다. 장쇄 옥시알킬렌 단위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중합체 쇄의 구조 단위의 0.6mol%, 바람직하게는 0.3mol%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중합체 쇄의 구조 단위에서 전체 옥시에틸렌 단위와 장쇄 옥시알킬렌 단위의 합은 또한 일반적으로 1.5 내지 2.5mol%, 바람직하게는 1.85 내지 2.25mol%이다.
공단량체 단위의 비율이, 요구되는 저방출 값을 갖는 신규한 생성물의 비율보다 높을지라도, 실질적으로 낮은 이의 강성 및 강도 값은 이들의 POM으로 공지된 적용 분야에서 사용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신규한 POM 공중합체는 익히 공지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가능한 방법의 예는 트리옥산을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양의 BF3및 메틸알의 존재하에 4 내지 6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중량%의 디옥솔란과 공중합시키는 것으로, 여기서, 디옥솔란의 양은 전체 디옥솔란 및 트리옥산을 기준으로 한다. 단량체 혼합물중에 공단량체의 비율은 상응하게는 4.8 내지 7.2mol%, 바람직하게는 5.4 내지 6.6mol%이다.
통상적인 안정화제 및 보조제(예: 산화방지제, 이형 보조제, 산 스캐빈저, 질소 함유 보조 안정화제 및 성핵제)를 신규한 POM 공중합체에 각각 첨가하거나 혼합물로서 첨가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착색제와 함께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안정화제의 첨가는, 또한 신규한 공중합체의 안정성이 몇몇 경우 높기 때문에, 감소될 수 있거나 첨가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신규한 POM 공중합체 성형 조성물의 극도의 저방출 값은, 이들이 저방출 성형품을 직접적으로 제조하는 데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현재, 어닐링에 의한 성형품의 후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 요구되며, 따라서, 이의 전체 생성물은 보다 비용 효율적으로 된다.
신규한 성형 조성물에 대한 특정 적용 분야는 수송 수단(예: 자동차, 항공기, 기차 등), 가정 용품, 완구, 특히 아동용 완구 및 유아 용품의 내부 부품 및 내부 클래딩(interior cladding)이고, 또한 전기공학 및 전자공학용 장치 및 부품이다. 신규한 성형 조성물은 착색된 성형품을 제조하고, 저방출 장치 및 기구 또는 이들의 부품, 의료 제품, 예를 들면, 흡입기를 제조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실시예
실시예에서 물질의 특성은 아래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190℃와 2.16kg을 적용하여 ISO 1133에 따른 용융 지수;
ISO 527에 따른 탄성 모듈러스;
ISO 527에 따른 항복 응력;
ISO 179에 따른 노치 충격 강도;
포름알데히드 방출: 벽 두께가 1mm인 시트를 POM 공중합체 성형 조성물로부터 제조한다. 시트로부터의 포름알데히드 방출은 저장 24시간 후 VDA 275에 따라 결정한다.
아래 실시예에 대한 물질 시험의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트리옥산 3400g을 BF335ppm과 메틸알 1200ppm의 존재하에 디옥솔란 190g과 공중합시킨다. 전환되지 않은 단량체를 제거한 후, 개시제 잔류물과 안정하지 않은 말단 그룹은 초대기압에서 180℃에서 메탄올/물/트리옥산 혼합물중에서 공중합체를 용해시키고 가열함으로써 제거된다. 생성된 공중합체에서 옥시에틸렌 단위의 비율은 2.05mol%이다. 이러한 중합체는 혼련기에서 용융되고, 비교 중합체에서와 같이 동일한 비율로 산화방지제, 산 스캐빈저 및 부가제와 혼합한다. 혼합물로부터 펠릿을 제조하고, 이들을 사출 성형하여 탄성 모듈러스, 항복 응력 및 노치 충격 강도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편을 수득하고, 포름알데히드 방출을 측정하기 위한 시트를 수득한다. 용융 인덱스는 또한 혼합물상에서 측정된다.
비교실시예 1
트리옥산 3400g을 BF335ppm과 메틸알 1200ppm의 존재하에 디옥솔란 275g과 공중합시킨다. 전환되지 않은 단량체를 제거한 후, 개시제 잔류물과 안정하지 않은 말단 그룹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거한다. 생성된 공중합체중에서 옥시에틸렌 단위의 비율은 3.1mol%이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공중합체를 용융시키고, 산화방지제, 산 스캐빈저 및 첨가제와 혼합한 다음, 펠릿화하고, 성형하여, 시험편을 수득한다.
비교실시예 2
28g/10min에서 실시예 1의 용융 지수와 필적할만한 용융 지수를 갖는, 시판중인 POM 공중합체[호스타폼R(Hostaform)]를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사용하여, 포름알데히드 방출이 측정된, 벽 두께가 1mm인 시트를 제조한다.
실시예 2
트리옥산 3400g을 BF335ppm과 메틸알 800ppm의 존재하에 디옥솔란 180g과 공중합시킨다. 전환되지 않은 단량체를 제거한 후, 개시제 잔류물과 안정하지 않은 말단 그룹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거한다. 생성된 공중합체중에서 옥시에틸렌 단위의 비율은 1.92mol%이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공중합체를 용융시키고, 산화방지제, 산 스캐빈저 및 첨가제와 혼합한 다음, 펠릿화하고, 성형하여, 시험편을 수득한다.
비교실시예 3
13g/10min에서 실시예 2의 용융 지수와 필적할만한 용융 지수를 갖는, 시판중인 POM 공중합체(호스타폼R)를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사용하여, 포름알데히드 방출이 측정된, 벽 두께가 1mm인 시트를 제조한다.
실시예 3
트리옥산 3400g을 BF335ppm과 메틸알 600ppm의 존재하에 디옥솔란 200g과 공중합시킨다. 전환되지 않은 단량체를 제거한 후, 개시제 잔류물과 안정하지 않은 말단 그룹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거한다. 생성된 공중합체중에서 옥시에틸렌 단위의 비율은 2.13mol%이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공중합체를 용융시키고, 산화방지제, 산 스캐빈저 및 첨가제와 혼합한 다음, 펠릿화하고, 성형하여, 시험편을 수득한다.
비교실시예 4
트리옥산 3400g을 BF335ppm과 메틸알 600ppm의 존재하에 디옥솔란 280g과 공중합시킨다. 전환되지 않은 단량체를 제거한 후, 개시제 잔류물과 안정하지 않은 말단 그룹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거한다. 생성된 공중합체중에서 옥시에틸렌 단위의 비율은 3.22mol%이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공중합체를 용융시키고, 산화방지제, 산 스캐빈저 및 첨가제와 혼합한 다음, 펠릿화하고, 성형하여, 시험편을 수득한다.
비교실시예 5
9g/10min에서 실시예 3의 용융 지수와 필적할만한 용융 지수를 갖는, 시판중인 POM 공중합체(호스타폼R)를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사용하여, 포름알데히드 방출이 측정된, 벽 두께가 1mm인 시트를 제조한다.
실시예 4
트리옥산 3400g을 BF335ppm과 메틸알 1600ppm의 존재하에 디옥솔란 200g과 공중합시킨다. 전환되지 않은 단량체를 제거한 후, 개시제 잔류물과 안정하지 않은 말단 그룹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거한다. 생성된 공중합체 중에서 옥시에틸렌 단위의 비율은 2.08mol%이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공중합체를 용융시키고, 산화방지제, 산 스캐빈저 및 첨가제와 혼합한 다음, 펠릿화하고, 성형하여, 시험편을 수득한다.
비교실시예 6
50g/10min에서 실시예 4의 용융 지수와 필적할만한 용융 지수를 갖는, 시판중인 POM 공중합체(호스타폼R)를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사용하여, 포름알데히드 방출이 측정된, 벽 두께가 1mm인 시트를 제조한다.
옥시에틸렌 단위(mol/%) 용융 지수(g/10min) 탄성 모듈러스(N/mm2) 항복 응력(N/mm2) 노치 충격 강도(mJ/mm2) 포름알데히드 방출(mg/kg)
실시예 1 2.05 27 2650 61 7 7
비교실시예 1 3.10 28 2100 52 9 5
비교실시예 1 1.31 28 35
실시예 2 1.92 13 2680 62 6.5 8.2
비교실시예 3 1.43 13 30
실시예 3 2.13 9 2580 60 7.5 6.5
비교실시예 4 3.22 9 2050 50 9 4
비교실시예 5 1.34 9 33
실시예 4 2.08 50 2580 60 7.5 6.5
비교실시예 6 1.32 50 33

Claims (10)

  1. 중합체 쇄에 구조 단위로서 본질적으로 옥시메틸렌 단위 및 옥시에틸렌 단위(여기서, 중합체 쇄의 구조 단위중의 옥시에틸렌 단위의 비율은 1.5 내지 2.5mol%, 바람직하게는 1.85 내지 2.25mol%이다)를 갖는 선형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성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저장한지 24시간 후, 벽 두께가 1mm인 시트에서 측정한, VDA 275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이 15mg/kg 미만, 바람직하게는 10mg/kg 미만인 성형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ISO 527에 따른 탄성 모듈러스가 2400 내지 3100N/mm2이고 ISO 527에 따른 항복 응력이 60 내지 70N/mm2이며 ISO 179에 따른 23℃에서의 노치 충격 강도가 4 내지 12mJ/mm2인 성형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산 스캐빈저(acid scavenger), 안정화제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
  5.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이 15mg/kg 미만, 바람직하게는 10mg/kg 미만인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성형 조성물의 용도.
  6. 착색된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성형 조성물의 용도.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자동차, 항공기 및 기차를 포함하는 수송 수단의 내부 부품 또는 내부 클래딩(interior cladding)용 저방출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가정 용품, 레크리에이션 용품, 특히 아동용 완구 및 유아 용품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전기공학 및 전자공학용 장치 및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의료 제품용 장치 및 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
KR1020007011129A 1998-04-08 1999-04-01 가공 안정성이 향상되고 방출 경향이 감소된 폴리옥시메틸렌 성형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물 KR100776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15663.4 1998-04-08
DE19815663A DE19815663B4 (de) 1998-04-08 1998-04-08 Verwendung von Polyoxymethylen-Formmassen mit verbesserter Verarbeitungsstabilität und verminderter Emissionsneigung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503A true KR20010042503A (ko) 2001-05-25
KR100776190B1 KR100776190B1 (ko) 2007-11-16

Family

ID=786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129A KR100776190B1 (ko) 1998-04-08 1999-04-01 가공 안정성이 향상되고 방출 경향이 감소된 폴리옥시메틸렌 성형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090051B1 (ko)
JP (2) JP2002511506A (ko)
KR (1) KR100776190B1 (ko)
CN (1) CN1157428C (ko)
AT (1) ATE277097T1 (ko)
AU (1) AU3522499A (ko)
CA (1) CA2327827A1 (ko)
DE (2) DE19815663B4 (ko)
ES (1) ES2229699T3 (ko)
WO (1) WO19990529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5663B4 (de) * 1998-04-08 2010-09-09 Ticona Gmbh Verwendung von Polyoxymethylen-Formmassen mit verbesserter Verarbeitungsstabilität und verminderter Emissionsneigung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DE19936715A1 (de) * 1999-08-06 2001-02-15 Ticona Gmbh Emissionsarme eingefärbte Polyoxymethylen-Formmassen
KR100740812B1 (ko) * 2001-03-27 2007-07-19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 및 그 성형품
FR2940273B1 (fr) * 2008-12-19 2010-12-31 Saint Gobain Technical Fabrics Toile a peindre renfermant un agent apte a pieger le formalehyde et procede de fabrication
FR2946265B1 (fr) * 2009-06-03 2012-12-21 Saint Gobain Technical Fabrcis Europ Mat de fibres minerales renfermant un agent apte a pieger le formaldehyde et procedes de fabrication
EP2886569B1 (en) 2013-12-20 2016-04-20 Politechnika Poznanska 'polyoxymethylene composite with reduced formaldehyde emission and method for making and use thereof'
JP6498164B2 (ja) * 2016-09-02 2019-04-10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オキシメチレン製連結部品
JP7129284B2 (ja) * 2018-09-07 2022-09-01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22678B2 (ja) * 2018-11-28 2023-02-15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および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7339812B2 (ja) * 2019-08-30 2023-09-06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20509B1 (de) * 1967-10-19 1971-10-21 Degussa Verfahren zum thermischen stabilisieren von oxymethylencopolymemerisaten
DE2043498C3 (de) * 1970-09-02 1984-09-06 Hoechst Ag, 6230 Frankfurt Stabilisierte Formmassen aus Polyoxymethylenen
DE2048937A1 (en) * 1970-10-06 1972-04-13 Basf Ag Oxymethylene polymers prodn - by subjecting molten or dissolved cycli monomer contg conducting salt, to electrolysis
US4181685A (en) * 1971-01-15 1980-01-01 Hoechst Aktiengesellschaft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on the basis of polyoxymethylenes
DE2101817C3 (de) * 1971-01-15 1979-03-15 Hoechst Ag, 6000 Frankfurt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Polyoxymethylenbasis
CA992238A (en) * 1971-01-15 1976-06-29 Rudolf Ker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on the basis of polyoxymethylenes
ES485447A0 (es) * 1978-11-02 1980-12-16 Hoechst Ag Perfeccionamientos en tuberias de combustible hechas de un sistema compuesto de plasticos.
JPS5915333B2 (ja) * 1980-06-25 1984-04-09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ル共重合体及びその製法
JPS6063216A (ja) * 1983-09-16 1985-04-11 Polyplastics Co 熱安定性,成形性の改良されたポリアセタ−ル重合体の製造法
DE3518375C1 (de) * 1985-05-22 1986-07-17 Degussa Ag, 6000 Frankfurt Oxymethylencopolymerisat-Formmassen mit verminderter Formaldehyd-Emission bei der thermoplastischen Verarbeitung
JPH0772220B2 (ja) * 1986-11-17 1995-08-0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の安定化方法
JPH04108819A (ja) * 1990-08-30 1992-04-09 Asahi Chem Ind Co Ltd 分解性ポリオキシメチレンコポリマー
DE59209036D1 (de) * 1991-06-21 1998-01-08 Hoechst Ag Polyoxymethylenzusammensetzung und ihre Verwendung
DE4233308A1 (de) * 1992-10-03 1994-04-07 Hoechst Ag Polyacetal-Formmassen mit hoher Schlagzähigkei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5364900A (en) * 1993-04-08 1994-11-15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Stabilized acetal resin compositions
JPH07179722A (ja) * 1993-12-22 1995-07-18 Toray Ind Inc アセタール共重合体組成物
JP3115473B2 (ja) * 1994-04-18 2000-12-04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変性ポリ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の製造法
JP2960325B2 (ja) * 1995-02-23 1999-10-06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法
JP3093139B2 (ja) * 1995-09-18 2000-10-03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変性ポリ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DE19815663B4 (de) * 1998-04-08 2010-09-09 Ticona Gmbh Verwendung von Polyoxymethylen-Formmassen mit verbesserter Verarbeitungsstabilität und verminderter Emissionsneigung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68295B2 (ja) 2014-04-09
EP1090051A1 (de) 2001-04-11
DE59910590D1 (de) 2004-10-28
ES2229699T3 (es) 2005-04-16
DE19815663B4 (de) 2010-09-09
JP2009167425A (ja) 2009-07-30
JP2002511506A (ja) 2002-04-16
CN1295585A (zh) 2001-05-16
DE19815663A1 (de) 1999-11-25
CN1157428C (zh) 2004-07-14
EP1090051B1 (de) 2004-09-22
WO1999052959A1 (de) 1999-10-21
KR100776190B1 (ko) 2007-11-16
CA2327827A1 (en) 1999-10-21
ATE277097T1 (de) 2004-10-15
AU3522499A (en)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8295B2 (ja) 改良された加工安定性および低い放出傾向を備えた成形用ポリオキシメチレン組成物
US20080242800A1 (en) Low-emission colored polyoxymethylene molding composition
CN107586371B (zh) 聚缩醛树脂及其制造方法
JP5036973B2 (ja) 不安定末端基分解処理剤を用いた、安定化ポリアセタール樹脂の製造方法
EP1630198B1 (en)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TW200413431A (en) Polyoxymethylene copolymers, their preparation and use
KR101646977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US5500477A (en) Polyacetal molding materials having high impact resistance,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GB2205841A (en) Acetal resin compositions
US20040063853A1 (en) Polyoxymethylene moulding material with improved processing stability and a reduced emissions tendency
EP0994135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rmally stable polyoxymethylene copolymers
US11390740B2 (en)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20105252A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および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EP0391681A2 (en) Acetal polymer blends
CN107586372B (zh) 聚缩醛树脂及其制造方法
KR20230044814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H04220453A (ja) 熱可塑性成形材料
JPH08176398A (ja) ポリアセタール成形材料
CN112352005A (zh) 聚缩醛共聚物及其制造方法
JP2000159849A (ja) ポリアセタール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ィルム
KR20110099994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