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854A - 멀티트랙 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멀티트랙 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854A
KR20010040854A KR1020007008753A KR20007008753A KR20010040854A KR 20010040854 A KR20010040854 A KR 20010040854A KR 1020007008753 A KR1020007008753 A KR 1020007008753A KR 20007008753 A KR20007008753 A KR 20007008753A KR 20010040854 A KR20010040854 A KR 20010040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ck
buffer memory
address
tra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5723B1 (ko
Inventor
다카하시요리오
이치카와다다히코
후지모토히도시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10040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4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specially adapted to record on, or to reproduce from, more than one track simultaneous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6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interleav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디스크(1)의 기록면상에 나선형의 트랙이 형성되어 있고, 에러정정정보를 부가하여 인터리브 수법을 사용해 데이터가 기록된다. 독출장치(2)로 복수의 트랙으로부터 동시에 읽은 데이터는 A/D 변환기(3)에 의해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되고,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4)에 저장되어, 복호장치(5)에 의해 순차로 복호된다. 데이터 정렬수단(6)은 제어기(20)의 지시에 따라 복호장치로부터 보내진, 동시에 읽은 병렬 데이터를 첫 번째 데이터부터 순차로 정렬한다. 데이터 출력수단(7)은 제어기의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정렬수단으로 정렬한 데이터로부터 효과적으로 데이터 출력을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트랙 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재생방법{MULTITRACK DISK PLAYER AND METHOD OF REPRODUCTION}
최근에 CD-ROM 장치 등의 광 디스크장치에는 고속 읽기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그것을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인접하는 복수의 트랙의 데이터를 동시에 읽어내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지금까지,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로 데이터를 독출하는 경우, USP 5,627,805에 기재된 방법이 알려지고 있다. 이 방법은 복수의 트랙으로부터 읽어낸 데이터를 EFM 복조 후, 우선, 대용량의 버퍼메모리에 저장하고, 디스크상의 배열대로 정렬하여, 선두의 데이터부터 순차로 CIRC에 따라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CD-ROM 데이터의 경우, CIRC 복호 후에 또, 버퍼메모리에서 ECC 에러정정을 하여,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해 호스트컴퓨터에 출력한다.
CD의 CIRC 부호화법은, 국부적인 디스크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인터리브라고 불리는 기술로, 최대 108 CD 프레임에 걸쳐 분산되어 데이터가 기록된다. 따라서, 선두부터 순차로 데이터를 프레임데이터용의 버퍼에 저장하고, 분산-기록된 데이터로부터 해당하는 비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그 해당하는 데이터를 복호회로에 입력해 복호해야 한다. 그러므로, USP 5,627,805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적어도 디스크 1회전 X 동시에 읽을 수 있는 트랙 수만큼의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를 준비해야 한다. 또한, CD의 경우 일정한 선속도로 기록되기 때문에, 디스크의 외주부에서는 내주부에서보다 디스크의 1회전 당 데이터 메모리용량이 더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1회전 당 최대 기록용량의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CIRC 복호 전의 데이터에는 에러정정정보가 포함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리던던시가 커지고, 보다 대용량의 메모리가 필요하게 되므로, 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1회전 분의 데이터를 완전히 읽을 때까지, 두 번째 트랙 이후의 데이터의 복호가 시작되지 않는다. 1회전 분의 데이터를 읽은 후, 트랙을 진행시켜 읽기를 재개할 때,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에는 복호되지 않은 데이터가 남는다. 그러므로, 데이터가 완전히 복호되고 나서야 읽기를 재개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언급한 CIRC 복호 전의 에러정정정보를 포함한, 리던던시가 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메모리를 준비해야 하므로, 효율이 대단히 나쁘다.
본 발명은 정보 디스크장치 및 그 독출방법, 특히, CD-ROM 등에 쓰이는 광 디스크의 복수의 트랙의 데이터를 병렬로 읽어내는 디스크 재생장치 및 그 독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기록면상에 나선형의 트랙이 형성된 정보디스크의 트랙 배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CD-ROM 장치에 응용한 경우의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기록면상에 나선형의 복수 트랙이 형성되어 있고, 에러정정정보를 부가하여 인터리브 수법을 사용해 부호화된 데이터가 기록된 정보디스크상의 인접하는 복수 트랙의 신호를 동시에 재생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는 정보디스크로부터 인접하는 복수 트랙의 신호를 동시에 재생하는 신호재생수단, 출력된 복수 트랙의 읽기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수단, 변환된 복수 트랙의 읽기데이터를 인터리브 길이 이상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터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복호수단, 병렬로 출력된 데이터를 상기 정보디스크상의 어드레스 순서대로 정렬하는 데이터 정렬수단, 및 정렬된 유효데이터를 상기 디스크 재생장치 외부에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던던시가 더 큰, 인터리브 수법으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기 전에 저장하는 버퍼메모리는 복호에 필요한 최저한도의 용량만이 필요하다. 리던던시가 감소된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정렬하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의 버퍼메모리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각 트랙에 병렬로 복호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1회전 분의 데이터를 읽은 뒤 트랙 점프를 하여 재생되도록 트랙을 진행시킬 때나, 떨어진 트랙으로부터 신호재생수단의 독출수단을 이동시킨 후 읽기를 재개할 때에도, 원하는 데이터가 독출수단의 위치에 올 때까지 디스크의 회전을 기다릴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 1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에서, 정보디스크(1)는, 예를 들면 광학디스크로, 그 기록면상에 나선형의 트랙이 형성되어 있고, 에러정정정보를 부가하여, 인터리브 수법을 사용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디스크 드라이버(8)는, 예를 들면 디스크 회전모터로 제어기(20)의 지시에 따라 정보디스크(1)를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킨다. 독출장치(2)는, 예컨대 광 디스크의 경우, 복수 트랙의 정보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광 픽업장치내의 레이저광과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복수의 독출수단(R1, R2, R3) 및 도시하지 않은 헤드증폭기로 되어있다. 독출장치는 제어기(20)에 의해 제어되는 정보디스크(1)의 반경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독출장치는 정보가 기록된 인접하는 복수의 트랙의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하여, 동시 재생 가능한 복수의 트랙 수만큼의 아날로그 재생신호를 출력한다. A/D 변환기(3)는 동시 재생 가능한 트랙 수만큼의 변환회로를 갖는다. A/D 변환기는 독출장치(2)로 재생된 동시 재생 가능한 복수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물론 한 회로에서 시분할하여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 버퍼메모리(4)로서는, 예를 들면 링 버퍼메모리가 사용된다. 프레임 버퍼메모리는 A/D 변환기(3)로부터 출력된 동시 재생 가능한 트랙 수만큼의 디지털데이터를 정보디스크(1)의 인터리브 길이 이상 저장할 수 있다.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4)에 데이터가 가득 차면, 먼저 기록한 데이터부터 순차로 새로운 데이터를 겹쳐 쓴다. 복호장치(5)는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3)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비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에러를 정정하고, 복호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정렬수단(6)은 복호장치(5)로부터 병렬로 출력된 동시 읽기 가능한 트랙 수의 데이터를 제어기(2)의 지시에 따라 정보디스크(1)의 선두 데이터부터 순차로 정렬한다. 데이터 출력수단(7)은 데이터 정렬수단(6)에 의해 정렬된 데이터 중 유효한 데이터를 제어기(20)의 지시에 따라 장치 외부에 출력한다. 제어기(20)는 디스크 드라이버(8), 독출장치(2), 데이터 정렬수단(6), 및 데이터 출력수단(7)을 제어한다.
이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독출장치(2)는 동시 읽기가 가능한 트랙 수만큼의 데이터를 정보디스크(1)의 회전에 따라 선두부터 순차로 추적하고 읽는다. 각 계통의 아날로그데이터는 A/D 변환기(3)에 의해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되어, 각 계통마다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에 저장되고 복호장치(5)에서 순차로 복호된다. 디스크가 1회전하면, 독출장치(2)의 독출수단은 각각 다음 트랙의 선두까지 도달한다. 이 때,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4)에는 다음 트랙의 선두에서 독출한 데이터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각 트랙의 데이터를 최후까지 완전히 복호하여, 데이터 정렬수단(6)에서 각 트랙의 끊임없이 연속된 데이터를 얻도록, 정보디스크(1)에서 읽어낸 복수의 트랙의 각각의 최후미 데이터의 인터리브 길이만큼만 다음 트랙의 데이터를 중복하여 읽는다. 데이터 정렬수단(6)으로, 복호장치(5)에서 동시에 읽기 가능한 트랙 수만큼 병렬로 출력된 데이터는 제어기(20)의 지시에 따라 정보디스크(1)상의 선두 데이터부터 순차로 정렬된다. 데이터 출력수단(7)은 데이터 정렬수단(6)으로 정렬된 데이터 중에서 유효한 데이터를 제어기(20)의 지시에 따라 장치 외부에 출력한다.
이런 식으로,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4)의 용량은 최저한도로 하면서, 동시 읽기 가능한 각 트랙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병렬 처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버퍼메모리(4)의 한 트랙에 필요한 용량은 인터리브 길이와 최저한도의 합만큼의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용량이면 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독출수단의 동작을 도 4의 기록면상에 나선형의 트랙이 형성된 정보디스크의 트랙 배치도를 참조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디스크(1)의 트랙(T1 ~ T7)을 보여준다. 예를 들면, 세 개의 트랙의 정보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장치의 경우, 픽업장치내에 3조의 레이저광 및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독출수단(R1, R2, R3)이 디스크의 오른쪽으로부터 추적하게 되어있다. 먼저, 독출수단(R1, R2, R3)으로 트랙(T1, T2, T3)을 읽고, 복호장치(5)로 순차로 복호하여, 복호된 데이터를 데이터 정렬수단(6)에 보낸다. 각 트랙을 읽은 뒤, 인터리브 부분인 트랙(2, 3, 4)의 선두의 데이터를 읽고, 트랙(T1, T2, T3)의 최후미까지 데이터를 복호한다. 이 상태에서, 각 픽업장치는 트랙(T2, T3, T4) 위에 있다. 그 다음, 독출장치(2)는 트랙(4) 중 읽지 않은 부분부터 읽기 시작하기 위해, 독출수단(R1, R2, R3)을 다음 트랙으로 점프시켜, 트랙(T3, T4, T5)을 추적한다. 만일 즉시로 트랙 점프를 할 수 있다면, 독출수단(R1)은 트랙(T4) 중 이미 읽은 부분에 연속하는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그러나, 트랙 점프 중에도 디스크(1)는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한 트랙을 점프하여, 트랙(T3, T4, T5)에서부터 추적을 시작한다. 그런 다음, 트랙(T4, T5, T6)을 완전히 재생하여, 트랙(T4, T5, T6)의 인터리브 부분인 트랙(T7, T8, T9)의 시작부분까지 진행한 다음, 한 트랙이 다음 트랙으로 점프하는데, 이 동작을 순차적으로 반복한다.
여기서, 복호장치(5)의 복호회로는 동시 재생 가능한 트랙 수만큼 제공될 수 있다. 복호회로의 수는 동시 재생 가능한 트랙의 수보다 더 적다. 또한, 각 트랙의 데이터를 순차로 복호하여 해당하는 트랙의 데이터로서 출력하면, 복호회로의 속도가 충분한 경우 복호회로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이 실시예에서, 버퍼메모리의 용량은 트랙의 선두 데이터를 복호하고 저장하는데 필요한 최저한도로 할 수 있어, 각 트랙에서 동시에 복호를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정보디스크(1)를 광 디스크로 설명하였지만, 자기디스크의 경우도 비슷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독출장치(2)는 광 픽업 및 헤드증폭기로 구성되지만, 자기헤드 및 헤드증폭기로도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도 2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2에서, 도 1과 같은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 중복 설명을 막는다. 도 1과 다른 것은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의 추가로, 이것은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4)에 저장된 데이터 중 각 트랙의 선두 데이터를 이전 트랙의 최후미 데이터의 인터리브 길이 이상으로 저장한다.
다음은 그 동작을 설명한다. 독출장치(2)는 동시 읽기가 가능한 트랙의 데이터를 디스크(1)의 회전에 따라 선두부터 순차로 추적하여 읽는다. 디스크가 1회전하면, 독출장치(2)의 복수의 독출수단은 각각 다음 트랙의 선두까지 도달한다. 그 다음,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에 저장된 데이터는 각 트랙의 최후미의 데이터에 접속되는 데이터로 사용된다. 각 트랙의 데이터를 최후까지 완전히 복호하여, 데이터 정렬수단(6)에서 각 트랙의 데이터를 끊임없이 연속된 데이터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마지막 트랙의 최후미의 데이터는 접속하는 트랙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폐기된다.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에서, 가장 선두 트랙의 선두데이터 기억수단은 불필요하므로 제공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각 트랙의 선두 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보디스크의 다음 트랙의 데이터를 각 트랙의 최후미 데이터의 인터리브 길이만큼 중복하여 읽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 독출을 진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호장치(5)는 동시 재생 가능한 트랙 수만큼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호장치의 수는 동시 재생 가능한 트랙의 수보다 더 적어도 된다. 이 때, 각 트랙의 데이터를 순차로 복호하여 해당하는 트랙의 데이터로서 출력하면, 복호장치의 속도가 충분한 경우 복호회로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이 실시예에서도, 버퍼메모리의 용량은 트랙의 선두 데이터를 복호하고 저장하는데 필요한 최저한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보다도 더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정보디스크(1)를 광 디스크로 설명하였지만, 자기디스크의 경우도 비슷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독출장치(2)는 광 픽업 및 헤드증폭기로 구성되지만, 자기헤드 및 헤드증폭기로도 구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 3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3에서, 도 1과 같은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 중복 설명을 막는다. 도 1과 다른 것은 데이터 독출수단(10)의 추가로, 이것은 도 1의 독출장치(2), A/D 변환기(3), 프레이데이터용 버퍼메모리(4) 및 복호장치(5)를 구비하고, 필요하다면, 도 2의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도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독출수단(10)은, 제어기(20)의 지시에 따라, 정보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하고, 각 트랙의 디지털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정렬수단(6)은 버퍼메모리(11), 메모리 제어수단(12), 에러정정수단(13) 및 어드레스 기억수단(14)을 구비하고, 버퍼메모리(11)는 데이터 독출수단(10)으로부터 출력된 디지털데이터를 순차로 기억한다. 각 트랙의 데이터의 선두 어드레스 정보를 기초로, 메모리 제어수단(12)은 버퍼메모리상에, 디스크가 1회전한 뒤 접속하는 트랙의 데이터와 연속이 되도록 각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를 결정한다(버퍼메모리 어드레스 결정수단). 메모리 제어수단은 재생된 디지털데이터를 순차로 버퍼메모리(11)에 기록한다(메모리 기입수단). 에러정정수단(13)은, 정보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가 일정길이의 블록단위로 블록완결형 에러정정부호를 추가하여 기록된 경우, 독출트랙의 트랙 순서와 관계없이, 일정길이의 블록으로 정렬된 데이터에 에러가 발견되면 에러를 정정한다. 그 다음, 에러정정수단은 정정 결과를 원래 데이터 위에 겹쳐 쓴다. 어드레스 기억수단(14)은 독출트랙 중 가장 선두 트랙의 데이터에 접속하여 선두 데이터로부터의 연속성이 확보된 버퍼메모리에 최후미의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정보디스크(1)에 저장된 데이터가 일정길이의 블록단위로 블록완결형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여 기록되는 경우, 어드레스 기억수단은 블록의 버퍼메모리에 최후미의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독출트랙의 가장 선두 트랙의 데이터에 블록이 접속하여, 선두 데이터로부터의 연속성이 확보된다. 또한, 그 블록은 에러가 없거나 에러정정 후의 블록이 된다. 데이터 출력수단(7)은 버퍼메모리(11)의 데이터 중에서 어드레스 기억수단(14)에 기억된 어드레스의 데이터까지를 유효한 데이터로 장치외부에 출력한다. 제어기(20)는 디스크 드라이버(8), 독출장치(2), 데이터 정렬수단(6) 및 데이터 출력수단(7)을 제어한다.
여기서, 데이터 독출수단(10)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구체적으로 실시 가능하다. 이 외에도 전단층의 에러정정정보를 부가하여 인터리브 수법을 사용한 부호화법을 적용하지 않은 정보디스크의 경우나, 인터리브 수법을 사용한 부호화법의 복호 후의 데이터를 병렬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유사하게 실시될 수도 있다.
읽어낸 데이터를 정렬하기 위해, 버퍼메모리(11)의 용량은 적어도, 1회전의 최대 데이터량 X 동시에 읽기 가능한 트랙의 수만큼이 필요하다. 더 효율적으로 읽기 위해서, 1회전의 데이터를 읽은 후 재생트랙을 진행시킬 때, 이미 정렬되었지만 재생장치 외부로 출력되지 않은 데이터를 버퍼메모리(11)에 남겨놓는다. 그러므로, 1회전의 최대 데이터량 X (동시에 읽기 가능한 트랙의 수 - 1)의 버퍼메모리 용량이 더 필요하다. 그러나, 에러정정정보를 부가하여 인터리브 수법으로 데이터를 기록한 정보디스크의 경우에는, 에러정정정보를 포함하는 리던던시가 높은 데이터를 직접 정렬하는 방법보다 데이터 정렬용 버퍼메모리 용량이 더 작다. 또한, 버퍼메모리(11)는 데이터 전송용 버퍼메모리도 겸한다. 따라서, 별도의 데이터 전송용 버퍼메모리가 필요하지 않고,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용 버퍼메모리를 확보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독출장치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i) 동시에 읽어낸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서 선두 데이터부터 순차로 정렬할 수 있다.
ii) 동시에 읽어낸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서 선두 데이터부터 순차로 정렬하면서, 블록단위로 정렬된 데이터부터, 데이터의 순차에 관계없이, 일정길이의 블록단위로 블록완결형 에러정정을 진행시킬 수 있다.
iii) 인터리브 수법으로 부호화된 데이터의 복호, 및 일정길이의 블록단위의 블록완결형 에러정정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에러정정정보를 부가하여 인터리브 수법으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한 뒤, 버퍼메모리에서 선두 데이터부터 순차로 데이터를 정렬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버퍼메모리는 복호에 필요한 최저한도의 용량을 필요로 하고, 리던던시가 적어진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정렬시켜, 전체 시스템에서 버퍼메모리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해서, 제3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한 도 3, 및 기록면상에 나선형의 트랙이 형성된 정보디스크의 트랙 배치도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4에서, T1, T2, T3,...은 디스크(1)상의 데이터 트랙으로, 디스크가 1회전한 뒤, T2, T3, T4,...에 각각 접속한다. 다음 설명에서, 동시에 읽기 가능한 트랙의 수는 3이다. 픽업장치에서 독출수단(R1, R2, R3)은 도면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T1, T2, T3을 추적한다. 독출수단은 T1, T2, T3을 읽은 뒤, 재생트랙을 진행시키기 위해 트랙을 점프시키지만, 트랙 점프에는 일정시간이 걸린다. 그 사이에, 디스크는 계속해서 회전한다. 따라서, T4, T5, T6의 시작위치나, 시작위치 앞에서 재생을 재개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T3을 중복하여 읽도록, 한 트랙을 점프하여, T3, T4, T5로 트랙을 점프한다. 트랙 점프 후 읽을 준비가 되면, T4와 T5에서 즉시 데이터를 읽기 시작한다. T3으로 점프한 데이터 독출수단(10)의 픽업장치내의 독출수단(R1)은 트랙 점프 전에 읽어 버퍼메모리(11)에 기록된 데이터의 다음 데이터가 올 때까지 중복하는 데이터를 추적한다. 미독출 데이터가 오면 독출수단(R1)은 재생을 재개한다. 이 때, 중복하는 데이터를 계속해서 읽어, 버퍼메모리(11) 위에 겹쳐 쓸 수 있다.
새롭게 데이터 읽기를 시작하는 경우나, 지금까지 읽은 위치에서 떨어진 위치의 데이터를 읽는 경우, 예를 들면, 트랙(T2)의 선두 데이터부터 읽고자 한다고 가정한다. 우선, 데이터 독출수단(10)의 독출장치의 픽업장치를 원하는 트랙을 탐색하도록 동작시킨다. 그 탐색동작 중에도 디스크는 회전한다. 그러므로 디스크(1)가 회전 중에 어느 위치로부터 읽기를 개시해야할지 불확실하다. 따라서, 픽업장치내의 독출수단(R1, R2, R3)으로 트랙(T1, T2, T3)을 읽도록 독출트랙을 할당한다. 독출트랙을 진행시키는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탐색동작 직후 트랙(T2, T3)의 독출을 시작한다. 트랙(T1)에 할당된 독출장치의 픽업장치내의 독출수단(R1)은 디스크가 탐색 중에 회전하기 때문에 트랙(T1)의 어느 위치부터 읽기를 개시해야할지 불확실하다. 그러나, 디스크의 1회전 이내에는 원하는 트랙(T2)의 선두에 확실히 도달한다. 그러므로, 트랙(T2)의 선두에 도달하는 순간부터 재생을 재개하면 된다. 디스크의 1회전 뒤에 다시 데이터를 읽을 필요가 있다면, 트랙을 점프하여 데이터를 계속 읽는다.
여기서, 데이터 독출수단(10)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설명한 방법으로 구체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단층의 에러정정정보를 부가하여 인터리브 수법을 적용한 부호화법을 사용하지 않은 정보디스크의 경우나, 인터리브 수법을 사용한 부호화법의 복호 후의 데이터를 병렬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유사하게 실시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동시에 읽기 가능한 트랙의 수는 3이지만, 동시에 읽기 가능한 트랙의 수가 2인 경우나 3 이상인 경우도 유사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이 실시예에 따라, 1회전한 데이터를 읽은 뒤 트랙을 점프하여 재생트랙을 진행시킬 때나, 떨어진 트랙으로부터 독출수단을 이동시킨 후 읽기를 재개할 때에도, 원하는 데이터가 독출수단의 위치에 올 때까지 디스크의 회전을 기다릴 필요가 없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에 관해서, 예로서 CD-ROM 재생장치를 사용한 도 5를 사용해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세 개의 인접하는 트랙의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다.
도 5에서, 정보디스크(1)는 CD 또는 CD 규격의 디스크이다. 이 디스크에는 기록면상에 나선형의 트랙이 형성되어 있고, C1, C2로 불리는 에러정정정보를 부가하여, 인터리브 수법으로 인터리브 길이의 최대 108 CD 프레임으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디스크 드라이버(8)는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모터로, 제어기(20)의 지시에 따라 일정속도로 정보디스크(1)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CLV 제어로 10배속 회전, CAV 제어로 내주 약 10배속 및 외주 24배속 회전 등 여러 가지 변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현재의 CD-ROM 업계에서 일반적인 CAV 제어로, 디스크의 최외주에서 24배속이 되도록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한다. 독출장치(2)는 광 픽업 및 헤드증폭기 회로로 구성된다. 광 픽업내의 세 개의 독출수단(R1, R2, R3)은 제어기(20)로부터의 지시를 기초로 정보디스크(1)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동작하여, 기록된 트랙의 인접하는 세 개의 트랙의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함으로써, 세 개의 아날로그 재생신호를 출력한다.
A/D 변환기(3)는 독출장치(2)에서 재생된 세 개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EFM 복조 후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4)는 링 버퍼메모리로 되어 있다. 이것은 A/D 변환기(3)로부터 출력되는 세 개의 디지털데이터를 정보디스크(1)의 인터리브 길이 이상 저장한다. 버퍼에 데이터가 가득 차면, 먼저 기록된 데이터부터 순차로 겹쳐 써 새로운 데이터로 대체한다.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은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4)에 저장된 데이터 중 가장 선두의 트랙을 제외한 각 트랙의 선두 데이터를 이전 트랙의 최후미 데이터의 인터리브 길이 이상 저장한다. 복호장치(5)는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4)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비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CIRC 복호 및 에러정정 후 출력한다.
도 3에서와 같이, 독출장치(2), A/D 변환기(3),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4), 복호장치(5) 및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을 총칭하여 데이터 독출수단(10)이라고 한다.
복호장치(5)는 동시에 재생 가능한 세 개의 트랙에 대해 하나의 복호장치가 제공된다. 각 트랙의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4)의 데이터를 해당하는 트랙의 데이터로서 순차로 복호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정렬수단(6)에서, 버퍼메모리(11)는 데이터 독출수단(10)의 복호장치(5)로부터 복호되어 출력된 디지털데이터를 순차로 기억한다. 이 예에서는, 256 Kbyte가 저장되고, 어드레스(0000H ~ 40000H)가 할당된다. 메모리 제어수단(12)은 각 트랙의 데이터의 선두 어드레스 정보를 기초로, 버퍼메모리(11)에서, 어떤 트랙의 데이터가 디스크의 1회전 뒤 그 트랙 다음에 오는 트랙의 데이터와 연속이 되도록 버퍼메모리(11)상의 각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를 결정한다. 메모리 제어수단은 재생된 디지털데이터를 버퍼메모리(11)에 순차로 기록한다. 에러정정수단(13)은 정보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가 CD-ROM 모드(1) 데이터로, 한 섹터에 2352 byte 단위의 ECC라고 불리는 블록완결형 에러정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독출트랙의 순서와 관계없이, 한 섹터에 2352 byte의 데이터를 갖춘 섹터에 에러가 발견되면 에러를 정정한다. 에러정정수단은 정정 결과를 원래 데이터 위에 겹쳐 쓴다. 그 다음, 어드레스 기억수단(14)은 독출트랙 중 가장 선두의 트랙의 데이터에 접속하여 선두 데이터로부터의 연속성이 확보된 버퍼메모리에 최후미의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디스크에 저장된 정보가 CD-ROM 모드(1) 데이터이고, 한 섹터에 2352 byte 단위로 ECC라고 불리는 블록완결형 에러정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어드레스 기억수단은 블록의 버퍼메모리에 최후미의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독출트랙의 가장 선두의 트랙의 데이터에 블록이 접속하여, 선두 데이터로부터의 연속성이 확보된다. 또한, 그 블록은 에러가 없거나 에러정정 후의 블록이 된다. 데이터 출력수단(7)은 버퍼메모리(11)의 어드레스 기억수단(14)에 기억된 어드레스의 데이터까지를 유효한 데이터로 하여 장치외부에 출력한다. 제어기(20)는 디스크 드라이버(8)의 디스크 회전제어, 독출장치(2)의 반경방향의 위치제어, 데이터 정렬수단(6)의 동작제어, 및 데이터 출력수단(7)의 데이터 출력제어를 한다.
실제의 독출동작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해 설명한다. 다음 설명은 동시에 읽을 수 있는 트랙의 수가 3인 경우에 관한 것이다.
우선, 새로운 데이터를 읽기 시작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트랙(T2)의 선두의 데이터부터 읽기를 개시하고자 한다고 가정하면, 독출장치(2)의 픽업장치내의 독출수단(R1, R2, R3)은 원하는 트랙을 탐색하도록 동작한다. 그러나, 탐색동작 중에도, 디스크는 회전하고 있다. 그러므로 디스크(1)의 회전 중 어느 위치로부터 읽기를 개시해야할지 불확실하다. 따라서, 독출장치(2)의 독출수단으로 트랙(T1, T2, T3) 중의 특정 위치의 데이터를 읽도록 독출트랙을 할당한다. 트랙(T1, T2, T3)에 할당된 독출수단은 각각 R1, R2, R3으로 한다. 독출수단(R1, R2, R3)은 트랙(T1, T2, T3)의 중간부분부터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독출수단(R2, R3)은 트랙(T2, T3)의 중간부터 데이터를 읽기 시작한다. 독출수단(R1)은 정보디스크(1)의 1회전 이내에 트랙(T2)의 선두에 오기 때문에, 트랙(T2)의 선두로부터 데이터를 읽기 시작한다.
읽기를 시작하면, 각 트랙의 데이터는 A/D 변환기(3)로 순차로 A/D 변환되고 EFM 복조되어, 프레임데이터용 링 버퍼메모리(4)에 저장된다. 인터리브 길이인 108 CD 프레임 이상으로 데이터가 프레임데이터용의 링 버퍼메모리(4)에 저장되면, 복호장치(5)에서 CIRC 복호와 C1, C2 에러정정을 하여, 버퍼메모리(11)에 출력한다.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독출수단(R2, R3)으로 읽은 선두의 107 CD 프레임의 데이터가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에 저장된다. 버퍼메모리(11)에서, 트랙(T2, T3, T4)의 반경은 거의 같다고 여겨진다. 그러면, 각 트랙의 1회전 당 데이터 용량이 900 CD 프레임, 약 21 Kbyte이고, 독출수단(R2)이 트랙(T2)의 선두로부터 400번째 CD 프레임의 위치로부터 읽기 시작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메모리 제어수단(12)에는 독출수단(R1, R2, R3)으로 읽어낸 데이터의 버퍼메모리상의 어드레스로서 R1: 00000H ~ 02568H, RS: 02569H ~ 079C9H, R3: 079CAH ~가 할당된다. 에러정정수단(1)은 데이터가 CD-ROM 데이터이고 ECC라고 불리는 블록완결형 에러정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한 섹터에 2352 byte의 데이터가 갖추어진 섹터로부터 에러를 체크해, 에러를 정정한다. 데이터가 독출수단(R)으로 읽어낸 데이터에 접속하는 경우, 연속성이 확보되고, 또한 데이터는 CD-ROM 데이터로, ECC라고 불리는 블록완결형의 에러정정정보를 포함하여, 어드레스 기억수단(14)은 에러가 없거나 에러정정을 완료한 데이터의 버퍼메모리의 최후미의 어드레스를 기억한다. 그래서, 데이터 출력수단(7)은 버퍼메모리(11)의 어드레스 기억수단(14)에 기억된 어드레스의 데이터까지를 유효한 데이터로 하여 장치 외부에 출력한다.
독출수단(R2, R3)이 데이터를 읽기 시작한 뒤, 디스크가 1회전하여, 독출수단(R1, R2)이 R2, R3의 독출시작점까지 오면,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이 제공되지 않은 경우에는 각 트랙의 데이터를 끝까지 복호한다. 다음 트랙의 데이터와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또 107 CD 프레임을 중복하여 읽는다.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이 제공되는 경우, 독출수단(R2, R3)으로 읽은 선두의 107 CD 프레임의 데이터가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에 기억된다. 그러므로, 이 데이터를 독출수단(R1, R2)의 최후미의 데이터로서 사용하여, 이 데이터는 독출수단(R1, R2와 R2, R3)으로 읽어낸 데이터와 끊임없이 연속인 데이터가 된다.
상기의 예에서, ECC라고 불리는 블록완결형의 에러정정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독출수단(R1)으로 읽은 버퍼메모리(11)상의 00000H ~ 02568H의 데이터가 갖추어진 경우, 독출수단(R2)으로 읽어낸 02569H ~의 데이터가 또한 독출수단(R2)의 079C9H까지의 데이터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독출수단(R3)으로 읽은 079CAH ~의 데이터는 유효하게 된다. 또한, ECC라고 불리는 블록완결형의 에러정정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비슷하게, 독출수단(R1)으로 읽은 버퍼메모리상의 00000H ~ 02568H의 데이터가 갖추어진 경우, 독출수단(R1, R2)의 024C1H ~ 02DF0H의 에러를 체크하여, 에러가 없는 경우나 에러정정 후의 데이터는 유효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데이터 복호 및 에러정정은 필요한 데이터가 갖춰진 데이터부터 이루어진다. 디스크가 1회전하여 한 트랙의 데이터를 읽을 경우, 데이터 복호 및 에러정정은 거의 완료된다. 그러므로, 읽기 에러가 발생할 경우, 독출트랙을 진행시킨 뒤 독출트랙을 되돌림으로써 다시 읽기를 시도할 확률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복호기의 사용효율도 항상 거의 일정하게 되어, 데이터 독출, 복호 및 에러정정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독출트랙을 진행시키기 위해, 트랙 점프를 하지만, 트랙 점프에는 일정한 시간이 걸린다. 이 사이에, 디스크는 여전히 회전한다. 따라서,독출수단(R1)을 독출수단(R3)으로 읽은 마지막 트랙(T4)의 중간의 위치에 트랙 점프시켜 독출을 시작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트랙 점프를 시작할 때는, 이미 R1은 원하는 독출시작점으로부터 107 CD 프레임만큼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독출수단(R1)이 이미 읽은 트랙을 중복하도록, R1, R2 및 R3을 트랙(T4, T5, T6)으로 점프시킨다. 트랙 점프 후, 비슷하게, 독출수단(R2, R3)은 즉시 읽기를 재개한다. 독출수단(R1)은 즉시 읽기를 재개하여, 트랙 점프 전에 읽은 데이터에 겹쳐 쓸 수도 있고, 이미 읽은 데이터와 비교할 수도 있다. 이 중복한 부분에 읽기 에러가 발생하면, R2와 R3은 미독출 부분을 계속해서 읽으면서 R1은 재독출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미독출 영역이 올 때까지, R1은 읽지 않아도 된다. 비슷하게, 이후에, 트랙 점프를 하면서 읽기 동작을 계속한다.
이 방법으로, 이 예에서 최대 24배속의 CAV 제어로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경우, 탐색 직후 동시에 읽기 가능한 트랙의 수는 3이고, 종래의 방법보다 약 2, 3배 빠르게, 또한 독출트랙을 진행시킬 때는 약 2배 더 빠르게 읽기가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최외주에서, 약 48배속으로 읽기가 가능해진다. 동시에 읽기 가능한 트랙의 수가 3 이상인 경우, 또는 CLV 제어의 경우를 가정한다. 그러면, 유사하게, 동시에 읽기 가능한 트랙의 수가 1인 경우와 비교해 약 N-1배(N은 동시에 읽기 가능한 트랙의 수)의 속도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4)는 한 트랙 및 한 CD 프레임 당 32 byte의 데이터와 인터리브 길이의 108 CD 프레임에서 최저한도로서 +/-11 CD 프레임으로, 32 X (108+ 11 + 11) = 4160 byte를 확보한다.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은 107 CD 프레임으로 3424 byte를 확보한다. 세 트랙의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하는데 필요한 용량은 프레임데이터용 버퍼메모리(4) 및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의 용량의 합계로, 4160 X 3 + 3424 X 2 = 19328 byte가 된다(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에서 가장 선두의 트랙 부분은 불필요하다).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을 사용하지 않으면, 메모리 용량의 최저한도는 4160 X 3 = 12480 byte가 된다.
한편, 데이터 정렬수단(6)에서 버퍼메모리(11)의 용량은 171 Kbytes/sec X 0.29 sec = 약 50 Kbyte가 된다. 선속도 1.25 m/sec의 디스크로 디스크의 최외주 부근에서 정상 속도로 재생하는 경우에 1회전에 필요한 실제 시간은 약 290 ms이기 때문이다. 또한, 규격에 따르면 CD의 표준 속도의 1초당의 데이터 독출속도는 171 Kbyte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읽기 가능한 트랙의 수가 3이라고 가정하면, 1회전당의 용량은 50 K X 3 = 150 Kbyte이고, 또한 독출트랙을 진행시킬 때 버퍼메모리(11)상에 최대로 두 트랙 분의 데이터가 남는다고 생각하면, 최대로 150 K + 50 K X 2 = 250 Kbyte의 용량이 필요하게 된다. 이 예에서, 버퍼메모리 용량은 256 Kbyte이다.
CIRC 에러정정 전에 정렬시키는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면, CIRC 에러정정에는, 24 byte의 데이터에 C1, C2 각각 4 byte의 패리티가 부가되므로, 약 1.33배 또는 333 Kbyte의 데이터 정렬용 버퍼메모리가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ECC 및 데이터 전송용 버퍼메모리가 더 필요하다. 따라서, ATAPI 인터페이스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필요한 128 Kbyte가 확보되면, 합계로 460 Kbyte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는,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이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합계로 262 Kbyte, 선두데이터 기억수단(9)이 사용된 경우에는 합계로 269 Kbyte가 필요하고, CIRC 에러정정 전에 정렬하는 종래의 방법에는, 합계로 460 Kbyte가 필요하다. 따라서, 데이터 정렬용 버퍼메모리(11)는 ECC 에러정정 및 데이터 전송용 버퍼메모리도 겸하기 때문에, 별도의 ECC 에러정정 또는 데이터 전송용 버퍼메모리가 필요하기 않게 된다. 데이터 전송용 버퍼메모리는 대용량이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독출장치의 외부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들로 설명한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는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해 호스트컴퓨터에 접속하는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출력수단은 버퍼메모리상의 정렬된 유효데이터를 호스트컴퓨터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재생, 복호 및 에러정정이 동시에 실시된다. 데이터 독출은 트랙 점프 후 즉시 재개된다. 그러므로,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리던던시가 더 낮은 데이터를 사용하여 동시에 읽은 데이터를 정렬하므로, 데이터 정렬용 버퍼메모리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정렬용 버퍼메모리는 데이터 전송용 버퍼메모리도 겸하기 때문에, 별도의 데이터 전송용 버퍼메모리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대용량의 데이터 출력용 버퍼메모리가 확보되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독출장치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Claims (30)

  1. 기록면상에 나선형의 복수 트랙이 형성되어 있고, 에러정정정보를 부가하여 인터리브 수법을 사용해 부호화된 데이터가 기록된 정보디스크상의 인접하는 복수 트랙의 신호를 동시에 재생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디스크로부터 인접하는 복수 트랙의 신호를 동시에 재생하는 신호재생수단,
    상기 신호재생수단으로 재생된 상기 복수 트랙의 읽기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수단,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으로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복수 트랙의 읽기데이터를 인터리브 길이 이상으로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터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복호수단,
    상기 복호수단으로부터 병렬로 출력된 데이터를 상기 정보디스크상의 어드레스 순서대로 정렬하는 데이터 정렬수단, 및
    상기 데이터 정렬수단으로 정렬된 유효데이터를 상기 디스크 재생장치 외부에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트랙의 데이터를 각 트랙의 최후미까지 읽은 뒤, 접속하는 트랙의 선두 데이터를 각 트랙의 최후미의 데이터의 인터리브 길이 이상으로 중복하여 읽고, 상기 각 트랙의 데이터를 끝까지 복호하여 상기 데이터 정렬수단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
  2. 기록면상에 나선형의 복수 트랙이 형성되어 있고, 에러정정정보를 부가하여 인터리브 수법을 사용해 부호화된 데이터가 기록된 정보디스크상의 인접하는 복수 트랙의 신호를 동시에 재생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디스크로부터 인접한 복수 트랙의 신호를 동시에 재생하는 신호재생수단,
    상기 신호재생수단으로 재생된 상기 복수 트랙의 읽기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수단,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으로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복수 트랙의 읽기데이터를 인터리브 길이 이상으로 기억하는 기억수단,
    각 트랙의 선두로부터 인터리브 길이 이상의 데이터를 보존하는 선두영역 메모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터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복호수단,
    상기 복호수단으로부터 병렬로 출력된 데이터를 상기 정보디스크상의 어드레스 순서대로 정렬하는 데이터 정렬수단, 및
    상기 데이터 정렬수단으로 정렬된 유효데이터를 상기 디스크 재생장치 외부에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트랙의 데이터를 각 트랙의 최후미까지 읽은 뒤, 접속하는 트랙의 상기 선두영역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각 트랙의 최후미의 데이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영역 기억수단은 가장 선두의 트랙 이외에 각 트랙의 선두로부터 인터리브 길이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링 버퍼이고, 상기 버퍼용량이 가득 찬 뒤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될 때, 가장 선두의 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소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수단은 각각의 트랙에 독립하여 동시에 재생 가능한 수의 트랙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수단은 동시에 재생 가능한 트랙의 수보다 더 적은 수의 트랙이 제공되고, 각 트랙에 동시에 할당되는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
  7. 기록면상에 나선형의 복수 트랙이 형성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정보디스크상의 인접하는 복수 트랙의 신호를 동시에 재생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복수 트랙의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하여 디지털데이터를 병렬로 출력하는 데이터 독출수단과,
    상기 데이터 독출수단으로 병렬로 읽어낸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버퍼메모리,
    각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상기 버퍼메모리상에 있어, 기억된 데이터가 상기 디스크를 1회전한 뒤에 접속하는 트랙의 데이터와 연속이 되도록,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각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결정수단,
    상기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결정수단으로 결정된 상기 버퍼메모리의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순차로 각 트랙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메모리 기입수단,
    상기 독출트랙 중 가장 선두의 트랙의 데이터에 접속하여 선두 데이터로부터의 연속성이 확보된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최후미의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어드레스 기억수단, 및
    상기 정렬된 데이터 중 정렬된 유효데이터를 상기 디스크 재생장치 외부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의 데이터까지를 정렬된 유효데이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디스크는 일정길이의 블록단위로 블록완결형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는 또한,
    상기 트랙으로부터 상기 버퍼메모리에 기입된 데이터 중 일정길이의 블록의 데이터가 갖추어진 블록으로부터 순차로, 에러가 있는 경우에는 에러를 정정하는 에러정정수단,
    상기 독출트랙 중 가장 선두의 데이터에 접속하여, 선두 데이터로부터의 연속성이 확보되고, 에러정정 후 또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섹터의 버퍼메모리상의 최후미의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어드레스 기억수단, 및
    상기 정렬된 데이터의 정렬된 유효데이터 중 상기 에러정정부호를 제외한 부분을 상기 디스크 재생장치 외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의 데이터까지를 정렬된 유효데이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정렬수단은,
    병렬로 읽어낸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버퍼메모리,
    각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정보에 따라, 상기 버퍼메모리상에 있어, 기억된 데이터가 상기 디스크를 1회전한 뒤에 접속하는 트랙의 데이터와 연속이 되도록, 버퍼메모리상의 각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결정수단,
    상기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결정수단으로 결정된 상기 버퍼메모리의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순차로 각 트랙의 데이터를 기입하는 메모리 기입수단, 및
    상기 독출트랙 중 가장 선두의 트랙의 데이터에 접속하여 상기 선두 데이터로부터의 연속성이 확보된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최후미의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어드레스 기억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의 데이터까지를 정렬된 유효데이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디스크는 일정길이의 블록단위로 블록완결형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여 기록되고, 상기 데이터 정렬수단은,
    병렬로 읽어낸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버퍼메모리,
    각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정보에 따라, 상기 버퍼메모리상에 있어, 기억된 데이터가 상기 디스크를 1회전한 뒤에 접속하는 트랙의 데이터와 연속이 되도록,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각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결정수단,
    상기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결정수단으로 결정된 상기 버퍼메모리의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순차로 각 트랙의 데이터를 기입하는 메모리 기입수단,
    각 트랙으로부터 상기 버퍼메모리에 기입된 데이터 중 일정길이의 블록의 데이터가 갖추어진 블록으로부터 순차로, 에러가 있는 경우에는 에러를 정정하여 에러가 있는 데이터에 중복하여 기입하는 에러정정수단, 및
    상기 독출트랙 중 가장 선두 트랙의 데이터에 접속하여, 상기 선두 데이터로부터의 연속성이 확보되고, 에러정정 후 또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섹터의 버퍼메모리상의 최후미의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어드레스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의 데이터까지를 정렬된 유효데이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
  11. 제7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랙을 만들 때에는, 가장 뒤에 행하는 독출수단을 계획된 독출 시작 어드레스 뒤의 트랙에 점프시켜, 상기 트랙 점프 후 바로 각 트랙의 데이터 독출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읽기데이터와 중복하는 데이터가 상기 버퍼메모리상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데이터와 상기 읽기데이터의 디스크상의 어드레스가 일치하여, 상기 데이터가 연속하도록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각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는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해 호스트컴퓨터에 접속되는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이고,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은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정렬된 유효데이터를 상기 호스트컴퓨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
  14.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디스크는 CD 또는 CD-ROM이고, CIRC 부호화법으로 부호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
  15.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디스크는 CD-ROM 규격의 디스크이고, 블록완결형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한 일정길이의 블록은 2340 byte로 구성된 섹터라고 불리는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장치.
  16. 기록면상에 나선형의 복수 트랙이 형성되어 있고, 에러정정정보를 부가하여 인터리브 수법을 사용해 부호화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정보디스크상의 인접하는 복수 트랙의 신호를 동시에 재생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정보디스크로부터 인접하는 복수 트랙의 신호를 병렬로 재생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로 재생된 상기 복수 트랙의 읽기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복수 트랙의 읽기데이터를 인터리브 길이 이상 기억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 기억된 데이터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병렬로 출력된 데이터를 상기 정보디스크상의 어드레스 순서대로 정렬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로 정렬된 유효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트랙의 데이터를 각 트랙의 최후미까지 읽은 뒤, 접속하는 트랙의 선두 데이터를 상기 각 트랙의 최후미 데이터의 상기 인터리브 길이 이상으로 중복하여 읽고, 상기 각 트랙의 데이터를 끝까지 복호하여 상기 데이터 정렬수단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
  17. 기록면상에 나선형의 복수 트랙이 형성되어 있고, 에러정정정보를 부가하여 인터리브 수법을 사용해 부호화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정보디스크상의 인접하는 복수 트랙의 신호를 동시에 재생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정보디스크로부터 인접한 복수 트랙의 신호를 동시에 재생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로 재생된 상기 복수 트랙의 읽기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복수 트랙의 읽기 데이터를 인터리브 길이 이상으로 기억하는 단계,
    g) 각 트랙의 선두로부터 인터리브 길이 이상의 데이터를 보존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 기억된 데이터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병렬로 출력된 데이터를 상기 정보디스크상의 어드레스 순서대로 정렬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로 정렬된 유효데이터를 상기 디스크 재생장치 외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 트랙의 데이터를 각 트랙의 최후미까지 읽은 뒤, 접속하는 트랙의 상기 선두영역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상기 각 트랙의 최후미 데이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가장 선두의 트랙 이외의 각 트랙의 선두로부터 인터리브 길이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은 링 버퍼이고, 상기 버퍼용량이 가득 찬 뒤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될 때는, 가장 선두의 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소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로 각각의 트랙에 독립하여 동시에 재생 가능한 수의 트랙이 제공되는 복호수단에 의해 복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
  21.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로 동시에 재생 가능한 트랙의 수보다 더 적은 수의 트랙이 제공되고, 각 트랙에 동시에 할당되는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
  22. 기록면상에 나선형의 복수 트랙이 형성된 정보디스크상의 인접하는 복수 트랙의 신호를 동시에 재생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에 있어서,
    인접하는 복수 트랙의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하여 디지털데이터를 병렬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독출단계에서 병렬로 읽어낸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
    각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상기 버퍼메모리상에 있어, 상기 기억된 데이터가 상기 디스크를 1회전한 뒤에 접속하는 트랙의 데이터와 연속이 되도록,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각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결정단계로 결정된 상기 버퍼메모리의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순차로 각 트랙의 데이터를 기입하는 단계,
    상기 독출트랙 중 가장 선두의 트랙의 데이터에 접속하여 상기 선두 데이터로부터의 연속성이 확보된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최후미의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데이터 중 정렬된 유효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기억단계로 기억한 어드레스의 데이터까지를 상기 정렬된 유효데이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디스크는 일정길이의 블록단위로 블록완결형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은 또한,
    상기 트랙으로부터 상기 버퍼메모리에 기입된 데이터 중 상기 일정길이의 블록의 데이터가 갖추어진 블록으로부터 순차로, 에러가 있는 경우에는 에러를 정정하는 단계,
    상기 독출트랙 중 가장 선두의 데이터에 접속하여, 선두 데이터로부터의 연속성이 확보되고, 에러정정 후 또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섹터의 버퍼메모리상의 최후미의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데이터의 정렬된 유효데이터 중 에러정정부호를 제외한 부분을 상기 디스크 재생장치 외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기억단계에서 기억된 어드레스의 데이터까지를 정렬된 유효데이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
  24.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단계 e)는,
    병렬로 읽어낸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
    각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정보에 따라, 상기 버퍼메모리상에 있어, 상기 디스크를 1회전한 뒤에 접속하는 트랙의 데이터와 연속이 되도록,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각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결정단계로 결정된 버퍼메모리의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순차로 각 트랙의 데이터를 기입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트랙 중 가장 선두의 트랙의 데이터에 접속하여 상기 선두 데이터로부터의 연속성이 확보된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최후미의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기억단계에서 기억한 어드레스의 데이터까지를 정렬된 유효데이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
  25.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디스크는 일정길이의 블록단위로 블록완결형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여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정렬단계 e)는,
    병렬로 읽어낸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
    각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정보에 따라, 상기 버퍼메모리상에 있어, 상기 디스크를 1회전한 뒤에 접속하는 트랙의 데이터와 연속이 되도록,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각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버퍼메모리의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순차로 각 트랙의 데이터를 기입하는 단계,
    각 트랙으로부터 상기 버퍼메모리에 기입된 데이터 중 일정길이의 블록의 데이터가 갖추어진 블록으로부터 순차로, 에러가 있는 경우에는 에러를 정정하여 에러가 있는 데이터에 중복하여 기입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트랙 중 가장 선두 트랙의 데이터에 접속하여, 상기 선두 데이터로부터의 연속성이 확보되고, 에러정정 후 또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섹터의 버퍼메모리상의 최후미의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기억단계에서 기억한 어드레스의 데이터까지를 정렬된 유효데이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
  26. 제22항 내지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랙을 만들 때에는, 가장 뒤에 행하는 독출수단을 계획된 독출 시작 어드레스 뒤의 트랙에 점프시켜, 상기 트랙 점프 후 바로 각 트랙의 데이터 독출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읽기데이터와 중복하는 데이터가 상기 버퍼메모리상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데이터와 상기 읽기데이터의 디스크상의 어드레스가 일치하여, 상기 데이터가 연속하도록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각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해 호스트컴퓨터에 접속되는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가 재생을 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출력단계에서, 상기 버퍼메모리상의 정렬된 유효데이터를 상기 호스트컴퓨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
  29. 제16항 내지 제21항 및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디스크는 CD 또는 CD-ROM이고, CIRC 부호화법으로 부호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
  30. 제23항 및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디스크는 CD-ROM 규격의 디스크이고, 블록완결형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한 일정길이의 블록은 2340 byte로 구성된 섹터라고 불리는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디스크 재생방법.
KR10-2000-7008753A 1998-12-15 1999-12-13 멀티트랙 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재생방법 KR100375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566398A JP3397152B2 (ja) 1998-12-15 1998-12-15 マルチトラック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その再生方法
JP98-355663 1998-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854A true KR20010040854A (ko) 2001-05-15
KR100375723B1 KR100375723B1 (ko) 2003-03-15

Family

ID=1844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753A KR100375723B1 (ko) 1998-12-15 1999-12-13 멀티트랙 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재생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67364B1 (ko)
JP (1) JP3397152B2 (ko)
KR (1) KR100375723B1 (ko)
CN (1) CN1196118C (ko)
ID (1) ID25663A (ko)
WO (1) WO20000365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697B1 (ko) * 2012-04-17 2014-01-27 (주)테너지 차량용 전자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3872B1 (en) * 2000-08-29 2004-02-17 Eastman Kodak Company Multi-track optical data recording and readout
US7317867B2 (en) 2002-07-11 2008-01-08 Mediatek Inc. Input buffer management for the playback control for MP3 players
US6826140B2 (en) * 2002-08-26 2004-11-30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Multichannel digital recording system with multi-user detection
EP1566804A4 (en) * 2002-11-29 2008-04-16 Fujitsu Ltd DATA COLLECTION AND REPRODUCTION DEVICE AND DATA COLLECTION AND REPRODUCTION METHOD
KR100860985B1 (ko) * 2003-05-23 2008-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패딩 정보를 이용한 기록/재생 방법
WO2004112019A1 (en) * 2003-06-17 2004-12-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hannel synchronization for two-dimensional optical recording
JP2005166147A (ja) * 2003-12-01 2005-06-23 Yamaha Corp 光ディスクドライブ、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および光ディスクデバイスドライバプログラム
DE10357033A1 (de) * 2003-12-05 2005-06-30 Deutsche Thomson-Brandt Gmbh Aufzeichungs- und/oder Wiedergabegerät für optische Aufzeichnungsträger mit Mitteln zum Erhöhen der Auflösung eines Digital-Analog-Wandlers im Servoregelkreis
JP2006048735A (ja) 2004-07-30 2006-02-16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
JP4753554B2 (ja) * 2004-08-13 2011-08-24 三洋電機株式会社 信号再生装置
WO2006038153A1 (en) * 2004-10-08 2006-04-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astering of an optical disc with a data pattern in the form of a metatrack having coplanar parallel sub-tracks
US20090028031A1 (en) * 2006-03-10 2009-01-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reading an information carrier and such an information carrier
EP2005431A1 (en) * 2006-04-10 2008-12-24 Mempile Inc. Secured optical information carrier, and data encryp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in the optical information carrier
KR100800484B1 (ko) * 2006-11-03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를 위한 버퍼와 디스크를 위한 버퍼를구비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상기 데이터 저장시스템의 데이터 억세스 방법
US8411392B2 (en) * 2008-06-24 2013-04-02 Seagate Technology Llc Magnetic field sensor including multiple magnetoresistive sensing elements for patterned media
JP5569936B2 (ja) * 2010-08-11 2014-08-13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制御装置およびデータ記憶装置
US9030921B2 (en) 2011-06-06 2015-05-12 General Electric Company Increased spectral efficiency and reduced synchronization delay with bundled transmissions
US8843808B2 (en) * 2011-06-30 2014-09-23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method to flag a source of data corruption in a storage subsystem using persistent source identifier bits
CN102768834B (zh) * 2012-03-21 2018-06-26 新奥特(北京)视频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音频帧解码的方法
US9105289B1 (en) * 2014-10-15 2015-08-11 Seagate Technology Llc Integrated servo field for memory device
KR200495106Y1 (ko) 2021-11-10 2022-03-04 장흥태 공동구 뚜껑 성형용 거푸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5972A (ja) 1990-11-28 1992-07-15 Sanyo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のデータ処理方法
JPH06333234A (ja) * 1993-05-19 1994-12-02 Olympus Optical Co Ltd 光カード記録再生装置
JP3086628B2 (ja) 1995-07-04 2000-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再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697B1 (ko) * 2012-04-17 2014-01-27 (주)테너지 차량용 전자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5663A (id) 2000-10-19
CN1291326A (zh) 2001-04-11
JP2000182332A (ja) 2000-06-30
JP3397152B2 (ja) 2003-04-14
KR100375723B1 (ko) 2003-03-15
WO2000036595A1 (fr) 2000-06-22
CN1196118C (zh) 2005-04-06
US6567364B1 (en) 200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723B1 (ko) 멀티트랙 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재생방법
US5506823A (en)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JP3318841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US5420839A (en) Method of reproducing high-speed audio data by a CD-ROM player
EP0138246B1 (en) Disc playback apparatus
EP0745994B1 (en)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data record medium
KR940008691B1 (ko) 디스크 기록매체상에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
JP2000149268A (ja) 光ディスク装置
US6055216A (en) Optical disk player capable of playing back both CD-ROM and CD-DA
US20020044511A1 (en) High spee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of data recorded on disc
JP4209953B2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ィスク状記録媒体
US5917782A (en) Method of reproducing high-speed audio data by a CD-ROM player
JPS63220481A (ja) 光デイスク装置
US5153879A (en) Optical recording system
JP3642810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3302896B2 (ja) 誤り訂正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cd−romドライブ
JP2616097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3729758B2 (ja) ディスク
JPS62192978A (ja) デ−タ伝送方法
JP3493816B2 (ja) 信号処理方法及び記録方法、並びに記録装置
JP3929203B2 (ja) マルチトラックディスク再生装置
JPH087497A (ja) 再生装置
JP2776198B2 (ja) 光学式ディスク再生装置
JPH02148217A (ja) Cd−romディスク再生装置
JPS6134776A (ja) 信号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