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7882A -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7882A
KR20010037882A KR1019990045620A KR19990045620A KR20010037882A KR 20010037882 A KR20010037882 A KR 20010037882A KR 1019990045620 A KR1019990045620 A KR 1019990045620A KR 19990045620 A KR19990045620 A KR 19990045620A KR 20010037882 A KR20010037882 A KR 20010037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wind direction
time
user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7619B1 (ko
Inventor
최호선
이기섭
허덕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45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619B1/ko
Priority to JP2000272693A priority patent/JP3357655B2/ja
Publication of KR20010037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24F11/66Sleep mode

Landscapes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은, (a)사용자에 의해 취침 운전 시의 실내 선택온도, 풍량, 풍향 및 예약시간의 운전조건을 입력하는 단계; (b)입력된 운전조건 중의 실내온도 조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취침 운전 모드 중의 어느 하나의 운전 모드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초기 운전하는 단계; (c)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초기 운전이 완료되면, 그 시각 이후에는 상기 해당 운전 모드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른 운전조건의 실내온도, 풍량 및 풍향으로 운전하는 단계; 및 (d)상기 단계 (c)의 운전이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된 후, 상기 예약시간의 장단에 따라 상기 해당 운전 모드 별로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운전조건의 실내온도, 풍량 및 풍향으로 상기 예약시간의 종료 시까지 운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면중의 주변 온도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취침 시 냉방기의 운전을 복수의 운전 모드로 구분하여 운전하고, 그와 같이 복수의 운전 모드로 구분하여 운전함에 있어서 수면 초기의 일정 시간 동안은 사용자가 원하는 운전 조건으로 일단 운전하고, 그 이후에는 인체의 수면 리듬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한 다양한 운전 조건으로 자동적으로 운전 조건을 변경시키면서 운전하므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취침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an air conditioner during sleeping}
본 발명은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방기에서의 취침운전 시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를 고려하여 실내 온도와 방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자동으로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는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기(에어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동 사이클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이 냉동 사이클 시스템은 크게 압축기(101), 응축기(102), 모세관 (103) 및 증발기(104)로 구성되어 있다. 냉동 사이클 시스템의 압축기(10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기체 상태)는 응축기(102)에서 응축되어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바뀌면서 열을 방출한다. 그런 후, 저온 고압의 냉매는 모세관(103)을 통해 저압으로 되고, 그 저온 저압의 냉매(액체 상태)는 증발기(104)에 의해 액체에서 기체로 증발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104)의 표면이 차가워지고, 실내의 더운 공기가 증발기와 열교환하여 냉각 되며, 그 냉각된 공기가 실내기의 팬에 의해 실내로 방출됨으로써 실내에는 냉방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상과 같은 냉방기에 있어서의 종래의 취침 운전 방식은, 사용자가 취침전에 미리 설정한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한 후, 실내 온도를 일정 온도로 상승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최초에 취침 운전의 실내 온도를 21℃로 설정하면, 그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예컨대, 30분 동안) 운전한 후, 실내 온도를 22℃로 제어하게 된다. 그런 다음, 그 22℃로 다시 일정 시간 동안 운전한 후, 실내 온도를 다시 23℃로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취침 후 1시간 또는 2시간이 경과된 후, 실내 기온의 과냉방에 의해 잠을 깨게 된다. 즉, 여름밤의 열대야 현상의 발생 시, 사용자가 후덥지근함을 해소하기 위해 실내 온도를 낮게(예컨대, 21℃로) 설정했을 경우, 초기에는 쾌적함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일단 잠이 든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23℃ 전후의 실내 온도는 체온과 10℃ 이상의 차이가 있어 인체는 추위를 느끼게 되고, 그로 인해 잠이 깨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취침 운전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가 초기에 선택한 풍향 조절을 위한 좌우베인의 방향에 따라 취침 운전 동안 일정한 방향,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방향으로 냉기가 토출되어, 사용자의 인체에 냉기류가 직접 접촉됨으로써 취침 초기에는 시원하게 느껴지지만, 일정 시간 이후에는 인체가 과냉방되어 춥게 느껴지게 된다. 그리고, 그로 인해 또한 잠이 깨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취침 초기에는 사용자의 인체에서 느끼는 온도 감각을 고려하고, 취침중에는 인체의 수면 리듬을 고려하여 실내의 온도와 방출 냉기류의 방향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는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방기에 채용되는 냉동 사이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식에 따른 좌우 베인에 의한 정면풍향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4는 일반적인 취침 시의 시간에 따른 수면 상태를 나타낸 수면 특성 그래프.
도 5는 일반적인 취침 시의 시간에 따른 인체의 피부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따른 좌우 풍향제어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종래 및 본 발명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따른 수면효율을 각각 보여주는 수면 효율 특성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압축기 102...응축기
103...모세관 104...증발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은,
(a) 사용자에 의해 취침 운전 시의 실내 선택온도, 풍량, 풍향 및 예약시간의 운전조건을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입력된 운전조건 중의 실내온도 조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취침 운전 모드 중의 어느 하나의 운전 모드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초기 운전하는 단계;
(c)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초기 운전이 완료되면, 그 시각 이후에는 상기 해당 운전 모드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른 운전조건의 실내온도, 풍량 및 풍향으로 운전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운전이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된 후, 상기 예약시간의 장단에 따라 상기 해당 운전 모드 별로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운전조건의 실내온도, 풍량 및 풍향으로 상기 예약시간의 종료 시까지 운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입력된 운전조건 중의 실내온도 조건에 따라 미리 설정된 4개의 취침 운전 모드 중의 제1 운전 모드에 따른 취침 운전 제어방법의 실행과정을, 도 3b는 제2 운전 모드에 따른 취침 운전 제어방법의 실행과정을, 도 3c는 제3 운전 모드에 따른 취침 운전 제어방법의 실행과정을, 그리고 도 3d는 제4 운전 모드에 따른 취침 운전 제어방법의 실행과정을 각각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따라 먼저 사용자에 의해 취침 운전 시의 실내 선택온도, 풍량, 풍향 및 예약시간 등의 운전조건을 냉방기에 입력하게 된다(단계 301). 여기서, 실내 선택온도는 18℃∼30℃의 범위에서 1℃ 단위로 선택되며, 풍량은 강풍, 중풍 및 약풍으로 구분되어 선택된다. 그리고, 풍향은 상,하 풍향과 좌,우 풍향이 각각 선택되는 바, 상,하 풍향은 냉기가 거주영역 상태나 수평 상태로 토출될 수 있도록 상,하 베인(vane)의 토출제어각도를 선택하게 되며, 좌,우 풍향은 냉기가 정방향 혹은 측면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좌,우 베인의 냉기토출 제어각도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예약시간은 사용자가 예약한 시간만큼 냉방기가 운전하다가 정지되기까지의 가동시간을 의미하며, 예컨대 1시간∼7시간까지 1시간 단위별로 선택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취침 시 냉방기의 운전 조건이 입력되면, 취침 타이머(미도시)가 동작을 시작하게 되고(단계 302), 냉방기 내의 주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입력된 운전조건 중의 실내 선택온도(Tu)가 T3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03). 이 단계 303의 판별에서, 선택온도(Tu)가 T3이상이면, 이는 미리 설정된 4가지의 운전 모드, 즉 수면중 더운 온도를 선호하는 사람에 대응하는 제1 운전 모드, 수면중 약간 더운 온도를 선호하는 사람에 대응하는 제2 운전 모드, 수면중 일반적인 온도를 선호하는 사람에 대응하는 제3 운전 모드 및 수면중 서늘한 온도를 선호하는 사람에 대응하는 제4 운전 모드 중에서 제1 운전 모드로 운전하게 되는 경우로서, 이때의 초기 운전 조건으로서의 실내 온도(Tc), 풍량, 상하 및 좌우 풍향은 일단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Tu), 풍량, 상하 및 좌우 풍향으로 각각 설정된다(단계 304). 여기서, 상기 4가지 운전 모드와 관련하여 설명을 좀 더 부가하면,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T1 < T2 < T3의 관계를 갖는 3개의 온도값, T1, T2, T3을 기준으로 4가지 운전 모드로 구분한다. 즉, 사용자가 최초에 입력한 운전조건 중의 실내 선택온도 Tu가 Tu≥T3이면 제1 운전 모드, T2 ≤ Tu < T3 이면 제2 운전 모드, T1 ≤ Tu < T2 이면 제3 운전 모드, 그리고 Tu < T1 이면 제4 운전 모드로 구분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초기 운전 조건을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은 취침 운전 전에 있을 수 있는 다양한 실내 환경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면 초기 환경을 조성해주기 위해서이다. 즉, 사용자가 깊은 수면에 빠지기까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30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이 시간까지는 사용자가 원하는 수면 환경으로 냉방기의 운전을 제어하고, 그 이후로는 인체의 수면 리듬에 맞추어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에서 wk는 깨어있는 상태, REM(rapid eye movement)은 꿈을 꾸고 있는 상태, s1∼s4는 수면의 깊이를 각각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s3 단계와 s4 단계일 때 깊은 잠의 상태라고 하며, 수면 후 약 30분 정도 경과 시에 깊은 잠에 도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초기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의한 타임 카운팅값, t(s)가 미리 설정된 시간값 (t1)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05). 이 단계 305에서, t(s)가 t1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상기 단계 304의 운전 조건으로 운전하고, t(s)가 t1에 도달되었으면 미리 설정된 제1 운전 조건, 즉 Tc는 Tu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풍향으로, 그리고 좌우풍향은 측면풍향으로 하여 운전하게 된다(단계 306). 여기서, 이와 같이 제1 운전 조건으로 변경하여 운전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 사용자가 깊은 수면에 빠져든 이후에는 인체의 수면 리듬에 맞추어 주변환경을 조성해 주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이와 관련하여 좀 더 설명을 부연해 보기로 한다.
도 5는 임의의 3인의 실험대상자(A,B,C)의 수면 시의 피부온도 변화를 각각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대상자(사용자)가 깊이 잠이 든 이후에는 피부 온도가 서서히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인체가 수면 시에는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피부 온도를 낮추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인체는 수면 리듬에 따라 일정 시간까지는 피부 온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수면중에는 냉방기로부터의 냉기에 의해 피부가 과냉방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마다 실내 온도를 높여 주어야 한다. 또한, 냉방기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류가 인체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해야 하는 바, 따라서 풍량을 낮추어 토출 냉기류를 약하게 하고,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좌우풍향은 측면방향이 되도록 하여, 즉 간접풍이 되로록 하여 가능한 한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 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풍향을 측면방향이 되도록 함에 있어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좌측 베인은 좌측방향으로, 우측 베인은 우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좌,우측 베인의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좌,우측 베인의 방향을 반드시 그와 같이 제어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베인을 모두 좌측방향으로 고정 제어하거나,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베인을 모두 우측방향으로 고정 제어하거나,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베인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소정 각도 범위(θ) 내에서 좌,우로 반복 회전제어 하는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07). 이 단계 307에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 306의 운전조건으로 계속하여 운전하고,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한다. 여기서, 참고로 한 가지 설명을 부가하면, 이상과 같은 제1 운전 모드에 의한 냉방기의 취침 운전은 후술되는 제2, 제3 및 제4운전 모드의 경우와는 달리 상기 제1 운전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한 후, 또 다른 운전 조건인 제2 운전 조건으로 운전하지 않는데, 이는 제1 운전 모드가 전술한 바와 같이 수면중 더운 온도를 선호하는 경우에 대한 운전이므로, 제2 운전조건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고, 제1 운전조건으로 계속 운전함으로써 사실상 제2 운전조건으로 운전하는 것을 대신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 303에서의 판별 결과, 선택온도(Tu)가 T3미만이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u가 T2 이상이고 T3 미만(T2 ≤Tu < T3)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08). 이 단계 308에서, Tu가 T2 이상이고 T3 미만이면, 이는 상기 4가지 운전 모드 중 제2 운전 모드로 운전하게 되는 경우로서, 이때의 초기 운전 조건으로서의 실내 온도(Tc), 풍량, 상하 및 좌우 풍향은 상기 제1 운전모드에서와 같이 일단은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Tu), 풍량, 상하 및 좌우 풍향으로 각각 설정된다(단계 309). 이와 같은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의한 타임 카운팅값, t(s)가 미리 설정된 시간값 (t1)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10). 이 단계 310에서, t(s)가 t1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상기 단계 309의 운전 조건으로 운전하고, t(s)가 t1에 도달되었으면 미리 설정된 제1 운전 조건, 즉 Tc는 Tu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풍향으로, 그리고 좌우풍향은 측면풍향으로 하여 운전하게 된다(단계 311). 이와 같이 제1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12). 이 단계 312에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타이머에 의한 타임 카운팅값, t(s)가 미리 설정된 다른 시간값, t2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13). 이 단계 313에서, t(s)가 t2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상기 단계 311의 운전 조건으로 운전하고, t(s)가 t2에 도달되었으면 미리 설정된 다른 운전 조건인 제2 운전 조건, 즉 Tc는 T2+1℃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풍향으로, 그리고 좌우풍향은 측면풍향으로 하여 운전하게 된다(단계 314). 그런 후, 그와 같이 제2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다시 판별한다(단계 315). 이 단계 315에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 314의 운전조건으로 계속하여 운전하고,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한다. 이로써, 제2 운전 모드에 의한 냉방기의 취침 운전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단계 308에서의 판단 결과, 선택온도 Tu가 "T2 ≤Tu < T3"이 아닐 경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Tu가 T1 이상이고 T2 미만(T1 ≤Tu < T2)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16). 이 단계 316에서, Tu가 T1 이상이고 T2 미만이면, 이는 상기 4가지 운전 모드 중 제3 운전 모드로 운전하게 되는 경우로서, 이때의 초기 운전 조건으로서의 실내 온도(Tc), 풍량, 상하 및 좌우 풍향은 상기 제1, 제2 운전모드에서와 같이 일단은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Tu), 풍량, 상하 및 좌우 풍향으로 각각 설정된다(단계 317). 이와 같은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의한 타임 카운팅값, t(s)가 미리 설정된 시간값, t1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18). 이 단계 318에서, t(s)가 t1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상기 단계 317의 운전 조건으로 운전하고, t(s)가 t1에 도달되었으면 미리 설정된 제1 운전 조건, 즉 Tc는 T2-1℃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풍향으로, 그리고 좌우풍향은 측면풍향으로 하여 운전하게 된다(단계 319). 그런 후, 그와 같이 제1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320). 이 단계 320에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타이머에 의한 타임 카운팅값, t(s)가 미리 설정된 다른 시간값, t2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21). 이 단계 321에서, t(s)가 t2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상기 단계 319의 운전 조건으로 운전하고, t(s)가 t2에 도달되었으면 미리 설정된 다른 운전 조건인 제2 운전 조건, 즉 Tc는 T2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풍향으로, 그리고 좌우풍향은 측면풍향으로 하여 운전하게 된다(단계 322). 그런 후, 그와 같이 제2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다시 판별한다(단계 323). 이 단계 323에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타이머에 의한 타임 카운팅값, t(s)가 미리 설정된 또 다른 시간값, t3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24). 이 단계 324에서, t(s)가 t3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상기 단계 322의 운전 조건으로 운전하고, t(s)가 t3에 도달되었으면 미리 설정된 또 다른 운전 조건인 제3 운전 조건, 즉 Tc는 T2+1℃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풍향으로, 그리고 좌우풍향은 측면풍향으로 하여 운전하게 된다(단계 325). 그런 후, 그와 같이 제3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또 다시 판별한다(단계 326). 이 단계 326에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 325의 운전조건으로 계속하여 운전하고,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한다. 이로써, 제3 운전 모드에 의한 냉방기의 취침 운전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단계 316에서의 판단 결과, 선택온도 Tu가 "T1 ≤Tu < T2"이 아닐 경우, 이는 Tu < T1인 경우로서, 이때는 상기 4가지 운전 모드 중 제4 운전 모드로 운전하게 된다. 이때의 초기 운전 조건으로서의 실내 온도(Tc), 풍량, 상하 및 좌우 풍향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운전모드에서와 같이 일단은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Tu), 풍량, 상하 및 좌우 풍향으로 각각 설정된다(단계 327). 이와 같은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의한 타임 카운팅값, t(s)가 미리 설정된 시간값, t1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28). 이 단계 328에서, t(s)가 t1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상기 단계 327의 운전 조건으로 운전하고, t(s)가 t1에 도달되었으면 미리 설정된 제1 운전 조건, 즉 Tc는 T2-2℃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풍향으로, 그리고 좌우풍향은 측면풍향으로 하여 운전하게 된다(단계 329). 그런 후, 그와 같이 제1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30). 이 단계 330에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타이머에 의한 타임 카운팅값, t(s)가 미리 설정된 다른 시간값, t2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31). 이 단계 331에서, t(s)가 t2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상기 단계 329의 운전 조건으로 운전하고, t(s)가 t2에 도달되었으면 미리 설정된 다른 운전 조건인 제2 운전 조건, 즉 Tc는 T2-1℃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풍향으로, 그리고 좌우풍향은 측면풍향으로 하여 운전하게 된다(단계 332). 그런 후, 그와 같이 제2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다시 판별한다(단계 333). 이 단계 333에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타이머에 의한 타임 카운팅값, t(s)가 미리 설정된 또 다른 시간값, t3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34). 이 단계 334에서, t(s)가 t3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상기 단계 332의 운전 조건으로 운전하고, t(s)가 t3에 도달되었으면 미리 설정된 또 다른 운전 조건인 제3 운전 조건, 즉 Tc는 T2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풍향으로, 그리고 좌우풍향은 측면풍향으로 하여 운전하게 된다(단계 335). 그런 후, 그와 같이 제3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또 다시 판별한다(단계 336). 이 단계 336에서,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 335의 운전조건으로 계속하여 운전하고, 예약시간이 모두 경과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한다. 이로써, 제4 운전 모드에 의한 냉방기의 취침 운전이 완료된다.
한편, 도 7a 및 도 7b는 종래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과 본 발명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따른 수면효율의 특성을 비교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종래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따른 수면효율 특성 그래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따른 수면효율 특성 그래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이들 그래프는 인간의 수면 시의 뇌파를 측정하여 수면효율을 측정한 것으로서, 수면효율을 그래프와 관련하여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수면효율 = {(S3수면단계시간 + S4수면단계시간)/총수면시간} ×100(%)
이상과 같은 수면효율의 수식과 도 7a 및 도 7b에 의거하여 종래 및 본 발명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따른 수면효율을 각각 구해보면, 종래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따른 수면효율은 22%인 반면에, 본 발명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따른 수면효율은 40%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이 종래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비해 약 2배의 수면효율 향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건강하고 수면에 대해 장애가 없는 15인을 대상으로 종래 취침 운전 제어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의한 수면 후의 수면만족도(수면의 깊이, 잠듬의 빠르기, 기상시의 기분, 수면의 충족도 등을 종합적으로 검사하여 백분율로 수치화함)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종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의한 수면만족도는 40%인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의한 수면만족도는 80%의 결과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객관적 데이터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수면 효율이 종래의 방법에 의한 수면 효율보다 2배정도 상승 효과가 있고, 주관적 설문조사 결과도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수면 효율이 종래의 방법에 의한 수면 효율보다 2배의 상승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바, 이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이 종래의 방법에 비해 한층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은, 수면중의 주변 온도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취침 시 냉방기의 운전을복수의 운전 모드로 구분하여 운전하고, 그와 같이 복수의 운전 모드로 구분하여 운전함에 있어서 수면 초기의 일정 시간 동안은 사용자가 원하는 운전 조건으로 일단 운전하고, 그 이후에는 인체의 수면 리듬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한 다양한 운전 조건으로 자동적으로 운전 조건을 변경시키면서 운전하므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취침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Claims (7)

  1. (a) 사용자에 의해 취침 운전 시의 실내 선택온도, 풍량, 풍향 및 예약시간의 운전조건을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입력된 운전조건 중의 실내온도 조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취침 운전 모드 중의 어느 하나의 운전 모드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초기 운전하는 단계;
    (c)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초기 운전이 완료되면, 그 시각 이후에는 상기 해당 운전 모드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른 운전조건의 실내온도, 풍량 및 풍향으로 운전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운전이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된 후, 상기 예약시간의 장단에 따라 상기 해당 운전 모드 별로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운전조건의 실내온도, 풍량 및 풍향으로 상기 예약시간의 종료 시까지 운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의 초기 운전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온도, 풍량 및 풍향을 운전 조건으로 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및 단계 (d)에서의 운전은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풍향으로, 그리고 좌우풍향은 측면풍향으로 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풍향으로 함에 있어 좌측 베인은 좌측방향으로 우측베인은 우측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풍향으로 함에 있어 좌,우측 베인을 모두 좌측방향으로 고정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풍향으로 함에 있어 좌,우측 베인을 모두 우측방향으로 고정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풍향으로 함에 있어 좌,우측 베인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소정 각도 범위(θ) 내에서 좌,우로 반복 회전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KR10-1999-0045620A 1999-10-20 1999-10-20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KR10037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620A KR100377619B1 (ko) 1999-10-20 1999-10-20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JP2000272693A JP3357655B2 (ja) 1999-10-20 2000-09-08 冷房機における就寝運転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620A KR100377619B1 (ko) 1999-10-20 1999-10-20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882A true KR20010037882A (ko) 2001-05-15
KR100377619B1 KR100377619B1 (ko) 2003-03-26

Family

ID=1961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620A KR100377619B1 (ko) 1999-10-20 1999-10-20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57655B2 (ko)
KR (1) KR100377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9285A (ja) * 2002-05-13 2003-11-19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06153393A (ja) * 2004-12-01 2006-06-15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KR101143576B1 (ko) 2006-01-20 2012-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취침운전시 풍향제어방법
KR20080046522A (ko) * 2006-11-22 2008-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취침운전 시 기류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3123159B (zh) * 2013-01-24 2014-12-10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基于云计算技术的空调器睡眠功能控制方法
CN103900208B (zh) * 2014-03-25 2016-08-2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及空调
CN104833062B (zh) * 2015-05-28 2018-01-02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功能推荐方法和系统
JP6822389B2 (ja) * 2017-12-13 2021-01-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9357368B (zh) * 2017-12-29 2021-01-12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空调预约制热的控制方法、智能空调及存储介质
CN113669861B (zh) * 2021-08-04 2023-02-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
CN113883674B (zh) * 2021-09-13 2022-11-15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空调器睡眠曲线修正方法、装置、空调器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1153A (ja) * 1985-12-03 1987-06-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風向偏向方法
JPH0261452A (ja) * 1988-08-29 1990-03-01 Hitachi Ltd 空調機の風向板偏向制御方法及び装置
JPH03230043A (ja) * 1990-02-05 1991-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0634178A (ja) * 1992-05-21 1994-02-08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3113193B2 (ja) * 1995-12-20 2000-11-27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9303840A (ja) * 1996-05-13 1997-11-28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JPH09303842A (ja) * 1996-05-15 1997-11-28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7619B1 (ko) 2003-03-26
JP3357655B2 (ja) 2002-12-16
JP2001116319A (ja) 200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746B1 (ko) 공기 조화기의 취침운전 제어 방법
CA2610126C (en) Method to control sleep operation of air conditioner
KR100374166B1 (ko)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JP3997127B2 (ja) 空気調和機
JP5538314B2 (ja) 室内環境制御システム
KR100377619B1 (ko)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CN105650833A (zh) 空调睡眠模式的控制方法及装置
JP4538941B2 (ja) 空気調和装置
JPH09303840A (ja) 空気調和装置
JP2006258314A (ja) 睡眠環境制御システム
JP4034539B2 (ja) 空気調和機
CN108758978A (zh) 中央空调节能自控方法及空调
JP3164051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並びに空気調和方法
JP6937946B2 (ja) 空気調和装置の制御システム
CN106524406B (zh) 基于可穿戴设备的空调器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US847472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0177723B1 (ko) 에어콘의 취침운전 제어방법
KR100388249B1 (ko)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KR100377613B1 (ko)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JP2009236351A (ja) 空調制御システム
JP2003056888A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H03102127A (ja) 空気調和機の室温制御方法
JPS62225841A (ja) 空気調和機
JP2941910B2 (ja) 空気調和機
JPH0630769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