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249B1 -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249B1
KR100388249B1 KR10-1999-0066135A KR19990066135A KR100388249B1 KR 100388249 B1 KR100388249 B1 KR 100388249B1 KR 19990066135 A KR19990066135 A KR 19990066135A KR 100388249 B1 KR100388249 B1 KR 100388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time
air conditioner
mode
ope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8773A (ko
Inventor
최호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249B1/ko
Publication of KR2001005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8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24F11/66Sleep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취침시의 냉방기의 운전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운전조건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취침시간) 동안 냉방기를 초기 운전하는 단계; 상기 냉방기의 초기운전이 설정된 취침시간까지 구동되었는지에 대한 취침시간 종료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해 설정된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을 시, 상기 냉방기 내에 설치된 타이머의 카운팅 시간(ts)이 기설정된 취침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카운팅 시간(ts)에 도달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해 상기 타이머의 카운팅 시간이 취침시간 내에 설정된 카운팅 시간에 도달될 시, 복수의 취침운전모드로 각기 구분하여 설정한 운전모드 설정온도(T1∼T5)와 냉방기의 초기구동을 위해 설정한 실내 선택온도(Tu)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전모드 설정온도와 실내 선택온도와의 비교 판단을 통해 상기 운전모드 설정온도에 해당되는 취침운전모드의 운전 조건으로 냉방기를 구동시켜 사용자에게 쾌적한 수명 환경을 조성해주도록 하는 단계; 상기 취침운전모드의 운전 조건으로 구동되는 냉방기가 기설정된 취침시간까지 구동되었는지에 대한 2차 취침시간 종료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취침운전모드를 복수로 구분하여 상기 운전모드에 해당하는 운전모드 설정온도를 각각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운전모드 설정온도와 냉방기의 초기구동을 위해 설정한 실내선택온도와의 비교 판단을 통하여 상기 운전모드 설정온도에 해당되는 취침운전모드의 운전 조건으로 냉방기를 구동시키므로서, 이에 따른 수면중인 사용자의 수면 리듬을 고려하여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an air conditioner during sleeping}
본 발명은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방기에서의 취침운전 시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를 고려하여 실내 온도와 방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자동으로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는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기(에어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동 사이클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이 냉동 사이클 시스템은 크게 압축기(101), 응축기(102), 모세관 (103) 및 증발기(104)로 구성되어 있다. 냉동 사이클 시스템의 압축기(10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기체 상태)는 응축기(102)에서 응축되어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바뀌면서 열을 방출한다. 그런 후, 저온 고압의 냉매는 모세관(103)을 통해 저압으로 되고, 그 저온 저압의 냉매(액체 상태)는 증발기(104)에 의해 액체에서 기체로 증발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104)의 표면이 차가워지고, 실내의 더운 공기가 증발기와 열교환하여 냉각 되며, 그 냉각된 공기가 실내기의 팬에 의해 실내로 방출됨으로써 실내에는 냉방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상과 같은 냉방기에 있어서의 종래의 취침 운전 방식은, 사용자가 취침전에 미리 설정한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한 후, 실내 온도를 일정 온도로 상승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최초에 취침 운전의 실내 온도를 21℃로 설정한 경우, 그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예컨대, 30분 동안) 운전한 후, 실내 온도를 22℃로 제어하게 된다. 그런 다음, 그 22℃로 다시 일정 시간 동안 운전한 후, 실내 온도를 다시 23℃로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취침 후 1시간 또는 2시간이 경과된 후, 실내 기온의 과냉방에 의해 잠을 깨게된다. 즉, 여름밤의 열대야 현상의 발생 시, 사용자가 후덥지근함을 해소하기 위해 실내 온도를 낮게(예컨대, 21℃로) 설정했을 경우, 초기에는 쾌적함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일단 잠이 든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23℃ 전후의 실내 온도는 체온과 10℃ 이상의 차이가 있어 인체는 추위를 느끼게 되고, 그로 인해 잠이 깨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취침 운전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가 초기에 선택한 풍향에 따라 취침 운전 동안 일정한 방향(예컨대, 정면방향)으로 냉기가 토출되어, 사용자의 인체에 냉기류가 직접 접촉됨으로써 취침 초기에는 시원하게 느껴지지만, 일정 시간 이후에는 인체가 과냉방되어 춥게 느껴지게 된다. 그리고, 그로 인해 또한 잠이 깨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취침운전모드를 복수로 구분하여 상기 운전모드에 해당하는 운전모드 설정온도를 각각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운전모드 설정온도와 냉방기의 초기구동을 위해 설정한 실내선택온도와의 비교 판단을 통하여 상기 운전모드 설정온도에 해당되는 취침운전모드의 운전 조건으로 냉방기를 구동시키므로서, 이에 따른 수면중인 사용자의 수면 리듬을 고려하여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 주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방기에 채용되는 냉동 사이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의한 수면시간에 따른 실내 온도 제어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4는 일반적인 취침 시의 시간에 따른 수면 상태를 나타낸 수면 특성 그래프.
도 5는 일반적인 취침 시의 시간에 따른 인체의 피부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압축기 102...응축기
103...모세관 104...증발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은,(a) 사용자에 의해 취침시의 냉방기의 운전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와;(b) 상기 입력된 운전조건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취침시간) 동안 냉방기를 초기 운전하는 단계와;(c) 상기 냉방기의 초기운전이 설정된 취침시간까지 구동되었는지에 대한 취침시간 종료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d) 상기 단계를 통해 설정된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을 시, 상기 냉방기 내에 설치된 타이머의 카운팅 시간(ts)이 기설정된 취침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카운팅 시간(ts)에 도달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e) 상기 단계를 통해 상기 타이머의 카운팅 시간이 취침시간 내에 설정된 카운팅 시간에 도달될 시, 복수의 취침운전모드로 각기 구분하여 설정한 운전모드 설정온도(T1∼T5)와 냉방기의 초기구동을 위해 설정한 실내 선택온도(Tu)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와;(f) 상기 운전모드 설정온도와 실내 선택온도와의 비교 판단을 통해 상기 운전모드 설정온도에 해당되는 취침운전모드의 운전 조건으로 냉방기를 구동시켜 사용자에게 쾌적한 수명 환경을 조성해주도록 하는 단계와;(g) 상기 취침운전모드의 운전 조건으로 구동되는 냉방기가 기설정된 취침시간까지 구동되었는지에 대한 2차 취침시간 종료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취침 시의 냉방기의 운전 조건에는 취침 시의 실내 선택온도, 풍량, 상하풍향, 취침운전 예약시간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취침 운전 모드는 사용자가 선택한 실내온도를 기준으로 6개의 운전 모드로 분류되며, 그중에서 제1모드와 제2모드는 수면중 더운 온도를 선호하는 사람에 대응하는 것이고, 제3모드는 수면중 일반적인 온도를 선호하는 사람에 대응하는 것이며, 제4,5 및 6모드는 수면중 약간 서늘한 온도를 선호하는 사람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이 때 제 1 운전모드는 28℃이상이고, 제 2 운전모드는 26∼27℃이고, 제 3 운전모드는 24∼25℃이고, 제 4 운전모드는 22∼23℃이고, 제 5 운전모드는 20∼21℃이고, 제 6 운전모드는 19℃이하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초기 운전 및 입력된 운전조건 중의 실내온도 조건에 따라 미리 설정된 6개의 취침 운전 모드 중의 제1,제2 모드에 따른 취침 운전 제어방법의 실행과정을, 도 3b는 제3 모드에 따른 취침 운전 제어방법의 실행과정을, 도 3c는 제4 운전 모드에 따른 취침 운전 제어방법의 실행과정을, 도 3d는 제5 운전 모드에 따른 취침 운전 제어방법의 실행과정을, 그리고 도 3e는 제5 운전 모드에 따른 취침 운전 제어방법의 실행과정을 각각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에 따라 먼저 사용자에 의해 취침 운전 시의 실내 선택온도, 풍량, 상하풍향 및 취침운전 예약시간 등의 운전조건을 리모콘이나 조작부를 통해 냉방기에 입력하게 된다(단계 301). 여기서, 실내 선택온도는 18℃∼30℃의 범위에서 1℃ 단위로 선택되며, 풍량은 강풍, 중풍 및 약풍으로 구분되어 선택된다. 그리고, 상하풍향은 냉기가 거주영역 취출상태나 수평 상태로 토출될 수 있도록 냉방기의 상,하 베인 (vane)의 토출제어각도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취침운전 예약시간은 사용자가 예약한 시간만큼 냉방기가 운전하다가 정지되기까지의 가동시간을 의미하며, 예컨대 1시간∼7시간까지 1시간 단위별로 선택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취침 시 냉방기의 운전 조건이 입력되면, 냉방기 내부에 설치된 타이머(ts)가 동작을 시작하게 되고(단계 302), 냉방기 내의 주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입력된 운전 조건, 즉 실내 온도(Tc)는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온도(Tu)로, 풍량은 선택풍량으로, 상하풍향은 선택풍향으로 하여 초기 운전을 실행한다(단계 303). 여기서, 이와 같이 초기 운전 조건을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은 취침 운전 전에 있을 수 있는 다양한 실내 환경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면 초기 환경을 조성해주기 위해서이다. 즉, 사용자가 깊은수면에 빠지기까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30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이 시간까지는 사용자가 원하는 수면 환경으로 냉방기의 운전을 제어하고, 그 이후로는 인체의 수면 리듬에 맞추어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에서 wk는 깨어있는 상태, REM(rapid eye movement)은 꿈을 꾸고 있는 상태, s1∼s4는 수면의 깊이를 각각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s3 단계와 s4 단계일 때 깊은 잠의 상태라고 하며, 수면 후 약 30분 정도 경과 시에 깊은 잠에 도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초기 운전이 일정 시간 동안 실행되면, 주제어부는 취침시간(취침운전 예약시간)의 종료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04). 이 단계 304에서의 판별결과, 취침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타이머에 의한 카운팅 시간(ts)이 미리 설정된 시간 "time1"에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05). 이 단계 305에서, 타이머의 카운팅 시간(ts)이 "time1"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프로그램 진행을 상기 단계 303으로 귀환하고, 타이머의 카운팅 시간(ts)이 "time1"에 도달되었으면 상기 선택온도(Tu)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값(T1) 이상인지를 판별한다(단계 306). 이 단계 306의판별에서, 선택온도 (Tu)가 제1온도값(T1) 이상이면, 이는 미리 설정된 6가지의 운전 모드중에서 제1 운전 모드로 운전하게 되는 경우로서, 이때의 운전 조건으로서의 실내 온도(Tc)는 사용자가 초기에 입력한 "선택온도(Tu)"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정된다(단계 307). 여기서, 이와 같이 제1 운전 모드에 의한 운전 조건으로 변경하여 운전하는 것은 일단 사용자가 깊은 수면에 빠져든 이후에는 인체의 수면 리듬에 맞추어 주변환경을 조성해 주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이와 관련하여 조금 더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5는 임의의 3인의 실험대상자(A,B,C)의 수면 시의 피부온도 변화를 각각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대상자(사용자)가 깊이 잠이 든 이후에는 피부 온도가 서서히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인체가 수면 시에는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피부 온도를 낮추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인체는 수면 리듬에 따라 일정 시간까지는 피부 온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수면중에는 냉방기로부터의 냉기에 의해 피부가 과냉방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마다 실내 온도를 높여 주어야 한다. 또한, 냉방기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류가 인체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해야 하는 바, 따라서 풍량을 낮추어 토출 냉기류를 약하게 하고,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좌우풍향은 측면방향이 되도록 하여, 즉 간접풍이 되로록 하여 가능한 한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 주게 된다.
또한, 상기 6가지 운전 모드와 관련하여 설명을 좀 더 부가하면,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T5 < T4 < T3 < T2 < T1의 관계를 갖는 5개의 온도값, T1, T2, T3, T4, T5를 기준으로 6가지 운전 모드로 구분한다. 즉, 사용자가 최초에 입력한 운전조건 중의 실내 선택온도 Tu가 Tu≥T1이면 제1 운전 모드, T2 ≤Tu < T1 이면 제2 운전 모드, T3 ≤Tu < T2 이면 제3 운전 모드, T4 ≤Tu < T3 이면 제4 운전 모드, T5 ≤Tu < T4 이면 제5 운전 모드, 그리고 Tu < T5 이면 제6 운전 모드로 구분하게 되며, 이에 대한 제 1 운전모드는 28℃이상이고, 제 2 운전모드는 26∼27℃이고, 제 3 운전모드는 24∼25℃이고, 제 4 운전모드는 22∼23℃이고, 제 5 운전모드는 20∼21℃이고, 제 6 운전모드는 19℃이하로 설정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제1 운전 모드에 의한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취침시간(취침운전 예약시간)의 종료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08). 이 단계 308에서의 판별결과, 취침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 307로 프로그램 진행을 귀환시켜 계속하여 제1 운전모드로 운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 306에서의 판별 결과, 선택온도(Tu)가 제1온도값(T1) 이상 (Tu≥T1)이 아니면, 선택온도(Tu)가 미리 설정된 제2온도값(T2) 이상이고 제1온도값(T1) 미만(T2 ≤Tu < T1)인지를 판별한다(단계 309). 이 단계 309의 판별에서, 선택온도(Tu)가 T2 ≤Tu < T1 이면, 이는 제2 운전 모드로 운전하게 되는 경우로서, 이때의 운전 조건으로서의 실내 온도(Tc)는 "Tu+1℃"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정된다(단계 310). 이와 같은 제2 운전 모드에 의한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취침시간(취침운전 예약시간)의 종료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11). 이 단계 311에서의 판별결과, 취침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 310으로 프로그램 진행을 귀환시켜 계속하여 제2 운전모드로 운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 309에서의 판별 결과, 선택온도(Tu)가 T2 ≤Tu < T1이 아니면, 선택온도(Tu)가 미리 설정된 제3온도값(T3) 이상이고 제2온도값(T2) 미만 (T3 ≤Tu < T2)인지를 판별한다(단계 312). 이 단계 312의 판별에서, 선택온도 (Tu)가 T3 ≤Tu < T2 이면, 이는 제3 운전 모드로 운전하게 되는 경우로서, 이때의 운전 조건으로서의 실내 온도(Tc)는 "Tu+1℃"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정된다(단계 313). 이와 같은 제3 운전 모드에 의한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취침시간(취침운전 예약시간)의 종료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14). 이 단계 314에서의 판별결과, 취침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미리 설정된 시간 "time2"에 도달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315). 이 단계 315의 판별에서,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time2"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프로그램 진행을 상기 단계 313으로 귀환하고,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time2"에 도달되었으면 실내 온도(Tc)는 "Tu+2℃"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정하여 운전한다(단계 316). 이와 같은 운전 조건으로 운전이 일정 시간 지속되면, 주제어부는 취침시간 종료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17). 이 단계 317의 판별에서, 취침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미리 설정된 시간 "time3"에 도달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318). 이 단계 318의 판별에서,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time3"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프로그램 진행을 상기 단계 316으로 귀환하고,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time3"에 도달되었으면 선택온도(Tu)가 T3+2℃이상이고 T2 미만(T3+2℃ ≤Tu < T2)인지를 판별한다(단계 319). 이 단계 319에서의 판별 결과, 선택온도(Tu)가 T3+2℃ ≤Tu < T2 이면 실내 온도(Tc)는 "Tu+2℃"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정하여 운전한다(단계 320). 이와 같은 운전 조건으로 운전이 일정 시간 지속되면, 주제어부는 취침시간 종료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21). 이 단계 321의 판별에서,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프로그램 진행을 상기 단계 320으로 귀환하고, 취침시간이 종료되었으면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단계 319에서의 판별 결과, 선택온도(Tu)가 T3+2℃ ≤Tu < T2 가 아니면 실내 온도(Tc)는 "Tu+3℃"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정하여 운전한다(단계 322). 그리고, 이와 같은 운전 조건으로 운전이 일정 시간 지속되면, 주제어부는 취침시간 종료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23). 이 단계 323의 판별에서,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프로그램 진행을 상기 단계 322로 귀환하고, 취침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단계 312에서의 판별 결과, 선택온도(Tu)가 T3 ≤Tu < T2 가 아니면, 선택온도(Tu)가 미리 설정된 제4온도값(T4) 이상이고 제3온도값(T3) 미만 (T4 ≤Tu < T3)인지를 판별한다(단계 324). 이 단계 324의 판별 결과, 선택온도 (Tu)가 T4 ≤Tu < T3이면, 이는 제4 운전 모드로 운전하게 되는 경우로서, 이때의 운전 조건으로서의 실내 온도(Tc)는 "Tu+1℃"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정된다(단계 325). 이와 같은 제4 운전 모드에 의한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취침시간(취침운전 예약시간)의 종료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26). 이 단계 326에서의 판별결과, 취침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미리 설정된 시간 "time2"에 도달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327). 이 단계 327의 판별에서,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time2"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프로그램 진행을 상기 단계 325로 귀환하고,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time2"에 도달되었으면 실내 온도(Tc)는 "Tu+3℃"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정하여 운전한다(단계 328). 이와 같은 운전 조건으로 운전이 일정 시간 지속되면, 주제어부는 취침시간 종료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29). 이 단계 329의 판별에서, 취침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미리 설정된 시간 "time3"에 도달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330). 이 단계 330의 판별에서,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time3"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프로그램 진행을 상기 단계 328로 귀환하고,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time3"에 도달되었으면 실내 온도(Tc)는 "T2-1℃"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정하여 운전한다(단계 331). 이와 같은 운전 조건으로 운전이 일정 시간 지속되면, 주제어부는 취침시간 종료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32). 이 단계 332의 판별에서,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 331로 프로그램 진행을 귀환하고, 취침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단계 324에서의 판별 결과, 선택온도(Tu)가 T4 ≤Tu < T3이 아니면, 선택온도(Tu)가 미리 설정된 제5온도값(T5) 이상이고 T4 미만(T5 ≤Tu < T4)인지를 판별한다(단계 333). 이 단계 333에서의 판별 결과, 선택온도(Tu)가 T5 ≤Tu < T4 이면, 이는 제5 운전 모드로 운전하게 되는 경우로서, 이때의 운전 조건으로서의 실내 온도(Tc)는 "Tu+2℃"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정된다(단계 334). 이와 같은 제5 운전 모드에 의한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취침시간(취침운전 예약시간)의 종료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35). 이 단계 335에서의 판별결과, 취침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미리 설정된 시간 "time2"에 도달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336). 이 단계 336의 판별에서,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time2"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프로그램 진행을 상기 단계 334로 귀환하고,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time2"에 도달되었으면 실내 온도(Tc)는 "Tu+4℃"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정하여 운전한다(단계 337). 그리고, 이와 같은 운전 조건으로 운전이 일정 시간 지속되면, 주제어부는 취침시간 종료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38). 이 단계 338의 판별에서, 취침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미리 설정된 시간 "time3"에 도달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339). 이 단계 339의 판별에서,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time3"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프로그램 진행을 상기 단계 337로 귀환하고,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time3"에 도달되었으면 실내 온도(Tc)는 "T2-1℃"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정하여 운전한다(단계 340). 이와 같은 운전 조건으로 운전이 일정 시간 지속되면, 주제어부는 취침시간 종료여부를 다시 판별한다(단계 341). 이 단계 341의 판별에서,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 340으로 프로그램 진행을 귀환하고, 취침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단계 333에서의 판단 결과, 선택 온도(Tu)가 T5 ≤Tu < T4가 아니면, 이는 제6 운전 모드로 운전하게 되는 경우로서, 이때의 운전 조건으로서의 실내 온도(Tc)는 "Tu+3℃"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각각설정된다(단계 342). 이와 같은 제6 운전 모드에 의한 운전 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이 진행되면, 주제어부는 취침시간(취침운전 예약시간)의 종료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43). 이 단계 343에서의 판별결과, 취침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미리 설정된 시간 "time2"에 도달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344). 이 단계 344의 판별에서,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time2"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프로그램 진행을 상기 단계 342로 귀환하고,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time2"에 도달되었으면 실내 온도(Tc)는 "Tu+5℃"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정하여 운전한다(단계 345). 그리고, 이와 같은 운전 조건으로 운전이 일정 시간 지속되면, 주제어부는 취침시간 종료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46). 이 단계 346의 판별에서, 취침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미리 설정된 시간 "time3"에 도달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347). 이 단계 347의 판별에서,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time3"에 도달되지 않았으면 프로그램 진행을 상기 단계 345로 귀환하고, 타이머 카운팅 시간(ts)이 "time3"에 도달되었으면 실내 온도(Tc)는 "T2-1℃"로, 풍량은 "약풍"으로, 상하풍향은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정하여 운전한다(단계 348). 이와 같은 운전 조건으로 운전이 일정 시간 지속되면, 주제어부는 취침시간 종료여부를 다시 판별한다(단계 349). 이 단계 349의 판별에서,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 348로 프로그램 진행을 귀환하고, 취침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냉방기의 운전을 종료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가 종료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취침운전모드를 복수로 구분하여 상기 운전모드에 해당하는 운전모드 설정온도를 각각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운전모드 설정온도와 냉방기의 초기구동을 위해 설정한 실내선택온도와의 비교 판단을 통하여 상기 운전모드 설정온도에 해당되는 취침운전모드의 운전 조건으로 냉방기를 구동시키므로서, 이에 따른 수면중인 사용자의 수면 리듬을 고려하여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a) 사용자에 의해 취침시의 냉방기의 운전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와;
    (b) 상기 입력된 운전조건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취침시간) 동안 냉방기를 초기 운전하는 단계와;
    (c) 상기 냉방기의 초기운전이 설정된 취침시간까지 구동되었는지에 대한 취침시간 종료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를 통해 설정된 취침시간이 종료되지 않을 시, 상기 냉방기 내에 설치된 타이머의 카운팅 시간(ts)이 기설정된 취침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카운팅 시간(ts)에 도달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를 통해 상기 타이머의 카운팅 시간이 취침시간 내에 설정된 카운팅 시간에 도달될 시, 복수의 취침운전모드로 각기 구분하여 설정한 운전모드 설정온도(T1∼T5)와 냉방기의 초기구동을 위해 설정한 실내 선택온도(Tu)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와;
    (f) 상기 운전모드 설정온도와 실내 선택온도와의 비교 판단을 통해 상기 운전모드 설정온도에 해당되는 취침운전모드의 운전 조건으로 냉방기를 구동시켜 사용자에게 쾌적한 수명 환경을 조성해주도록 하는 단계와;
    (g) 상기 취침운전모드의 운전 조건으로 구동되는 냉방기가 기설정된 취침시간까지 구동되었는지에 대한 2차 취침시간 종료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의 취침 시의 냉방기의 운전 조건에는 취침 시의 실내 선택온도, 풍량, 상하풍향, 취침운전 예약시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의 복수의 취침운전모드는 사용자가 선택한 실내온도를 기준으로 6개의 운전 모드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6개의 취침운전모드 중 제 1 운전모드는 28℃이상이고, 제 2 운전모드는 26∼27℃이고, 제 3 운전모드는 24∼25℃이고, 제 4 운전모드는 22∼23℃이고, 제 5 운전모드는 20∼21℃이고, 제 6 운전모드는 19℃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KR10-1999-0066135A 1999-12-30 1999-12-30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KR100388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135A KR100388249B1 (ko) 1999-12-30 1999-12-30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135A KR100388249B1 (ko) 1999-12-30 1999-12-30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773A KR20010058773A (ko) 2001-07-06
KR100388249B1 true KR100388249B1 (ko) 2003-06-18

Family

ID=19633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135A KR100388249B1 (ko) 1999-12-30 1999-12-30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2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947B1 (ko) * 2005-12-30 2007-05-3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운전 제어방법
CN115077020A (zh) * 2022-04-14 2022-09-2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睡眠模式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412A (ko) * 1994-11-28 1996-06-17 이헌조 에어콘의 쾌적취침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412A (ko) * 1994-11-28 1996-06-17 이헌조 에어콘의 쾌적취침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773A (ko)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746B1 (ko) 공기 조화기의 취침운전 제어 방법
CA2610126C (en) Method to control sleep operation of air conditioner
KR100374166B1 (ko)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US654001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377619B1 (ko)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CN105650833A (zh) 空调睡眠模式的控制方法及装置
CN107606725A (zh) 蓄热化霜控制方法、控制装置和空调器
CN108758978A (zh) 中央空调节能自控方法及空调
JP2013130341A (ja) 空調機
JP4034539B2 (ja) 空気調和機
JP3549401B2 (ja) 空気調和機の運転方法
KR100388249B1 (ko)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JPH09189442A (ja) 環境制御装置及び環境制御方法
JPH0886486A (ja) 空気調和機
KR100377613B1 (ko) 냉방기에서의 취침 운전 제어방법
EP1279900B1 (en)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air conditioner
KR100810510B1 (ko) 에어컨의 취침운전 제어방법
KR100691231B1 (ko) 공기조화기의 온도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650920B2 (ja) 空気調和機の除霜方法
JPS62225841A (ja) 空気調和機
JPH0712388A (ja) 空気調和機
JP5809501B2 (ja) 空気調和機
JPS61276650A (ja) 空気調和機
JPH0630769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S60253754A (ja) ヒ−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