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4827A - 축전지의 보호회로용 기판, 축전지용의 보호회로장치 및축전지 팩 - Google Patents

축전지의 보호회로용 기판, 축전지용의 보호회로장치 및축전지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4827A
KR20010034827A KR1020007011826A KR20007011826A KR20010034827A KR 20010034827 A KR20010034827 A KR 20010034827A KR 1020007011826 A KR1020007011826 A KR 1020007011826A KR 20007011826 A KR20007011826 A KR 20007011826A KR 20010034827 A KR20010034827 A KR 20010034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ortion
substrate
storage battery
circuit devic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6124B1 (ko
Inventor
나카무라사토시
Original Assignee
사토 게니치로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게니치로,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게니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34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1One or more single auxiliary printed circuits mounted on a main printed circuit, e.g. modules, adap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64Conductor shape
    • H05K2201/0382Continuously deform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8Thin metal strips as connectors o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05K3/0052Depaneling, i.e. dividing a panel into circuit boards; Working of the edges of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05Edge mounted component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8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parallel to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보호회로장치는 축전지에 대한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호회로장치는 소정의 회로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 본체부와, 표면에 복수의 외부단자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금속편을 거쳐 회로기판 본체부에 접속된 아일랜드부를 갖는다.
아일랜드부는 바람직하게는 제1과 제2의 아일랜드부를 포함한다.
제1아일랜드부는 바람직하게는 외부단자를 갖고, 회로기판 본체부에 대해 평행상이 된다.
제2아일랜드부는 바람직하게는 제1아일랜드부와 회로기판 본체부 사이에 배치되고, 회로기판 본체부에 대해 수직상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축전지의 보호회로용 기판, 축전지용의 보호회로장치 및 축전지 팩{CIRCUIT BOARD OF PROTECTIVE CIRCUIT FOR STORAGE BATTERY, PROTECTIVE CIRCUIT FOR STORAGE BATTERY, AND STORAGE BATTERY PACK}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수지제 용기 내에 축전지가 수용된 축전지 팩 등이 전원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축전지 팩에 있어서는, 축전지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회로장치가 조립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 보호회로장치는, 가정용의 플러그 소켓 등으로부터 축전지에 전기를 투입하기 위한 충전용 단자와, 휴대전화본체 등의 단말기기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방전용 단자를 갖는다.
도 12 및 도 13에, 종래의 보호회로장치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보호회로장치(3)는, 소정의 배선패턴(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칩저항기 등의 각종 전자부품(6)이 장착된 회로기판(32)을 갖는다.
회로기판(32)은 "L"자 형상을 하고 있고, 회로기판(32)의 양단부에는 각각 금속단자편(40, 41)이 장착되어 있다.
또, 보호회로장치(3)에는 수지 내에 복수의 금속편이 삽입 성형된 제1단자부(32C) 및 제2단자부(34A)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들 단자부(32C) 및 (34A)가 금속단자편(40, 41)과 도통하고 있다.
제1단자부(32C)는, 수지부분(32c)의 표면에 금속편의 일부의 영역이 노출된 구성을 갖는다.
이 노출영역이 회로기판(32)의 이면측(아래쪽)을 향하도록 제1단자부(32C)가 회로기판(32)에 부착된다.
상기한 노출영역이, 예를 들면 충전용 단자(31)가 된다.
한편, 제2단자부(34A)는, 소정 높이를 갖는, 소위 단자대(34B)(수지부분)의 상면으로부터 각 금속편의 일부가 노출된 구성을 갖는다.
금속편이 노출된 영역이, 예를 들면 방전용 단자(30)가 된다.
단자대(34B)는, 금속단자편이 노출된 수평부(34a)와, 이 수평부(34a)로부터 아래쪽으로 뻗는 세로벽(34c) 및 복수의 다리부(34b)를 갖는다.
즉, 제2단자부(34A)를 회로기판(32)에 부착시킨 상태에 있어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32)의 표면과 수평부(34a)의 하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회로기판(32)에 있어서의 수평부(34a)의 바로 아래영역에는, 제2단자부(34A)를 부착시키기 전에, 각종의 전자부품(6)을 장착시킬 수가 있다.
전자부품(6)의 장착 후에, 제2단자부(34A)와 전자부품(6)이 간섭하지 않도록 제2단자부(34A)를 회로기판(32)에 부착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보호회로장치(3)는 제조시의 작업효율이 나쁘고, 비용적으로도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다.
제1 및 제2단자부(32C, 34A)가 수지내에 금속편을 삽입 성형하므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단자부(32C, 34A)를 형성하는 공정이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또, 각 단자부(32C, 34A)를 회로기판(32)에 부착시키는 공정도 필요하게 된다.
또한, 각 단자부(32C, 34A)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각 단자부(32C, 34A)의 수지부분(32c, 34B)을 형성함과 동시에 금속편을 삽입성형하기 위한 금형이 필요하게 된다.
이 금형은 각 단자부(32C, 34A)의 각각에 대해 필요하게 된다.
또, 보호회로장치(3)가 제조된 경우에는, 이 보호회로장치(3)가 예정대로 작동하는가 아닌가를 시험할 필요가 있다.
이때, 회로기판(3)에 있어서의 제2단자부(34A)에 대응하는 영역에 장착된 전자부품(6)의 장착불량에 의해 보호회로장치(3)가 불량품이라고 판정된 경우, 제2단자부(34A)를 떼어내지 않으면 장착불량의 전자부품(6)을 재 장착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회로기판(32)에 있어서의 제2단자부(34A)에 대응하는 영역에 전자부품(6)이 적절하게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보호회로장치(3)를 폐기하지 않을 수 없고, 이것이 원료에 대한 제품의 비율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축전지로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축전지의 보호회로장치, 이 보호회로장치용의 기판 및 상기 보호회로장치를 구비한 축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발명에 관한 축전지 팩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축전지 팩의 내부에 조립되는 보호회로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보호회로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보호회로장치의 배면도.
도 5는, 보호회로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집합기판의 사시도.
도 6은, 1회 째의 장착공정에 의해 각종의 전자부품 등이 장착된 단위회로기판(보호회로)의 사시도.
도 7은, 제2회 째의 장착공정에 의해 각종의 전자부품 등이 장착된 단위회로기판(보호회로)의 사시도.
도 8은, 단위회로기판을 집합기판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보호회로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보호회로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보호회로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보호회로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보호회로장치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축전지 팩 2. 축전지
3. 보호회로장치 6. 전자부품
7. 집합기판 30. 방전용 단자
31. 충전용 단자 32. 회로기판 본체부
33. 제1아일랜드부 34. 제2아일랜드부
35. 제1금속편 36. 제2금속편
40, 41. 금속단자편 70. 프레임부
71. 교량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효율이 양호하고, 또한 비용적으로도 유리하게 보호회로장치 및 축전지 팩을 제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축전지의 보호회로용 기판은, 회로부를 갖는 제1기판부와, 변형 가능한 도전부재를 거쳐 제1기판부와 접속된 제2기판부를 구비한다.
상기 회로부는, 예를 들면 배선패턴과, 그에 접속되는 전자부품을 포함한다.
또, 상기한 도전부재의 일예로서는, 금속편을 들 수가 있다.
제1기판부는, 바람직하게는,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외부단자를 갖는다.
제2기판부는, 바람직하게는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외부단자를 갖는다.
또, 제1기판부는, 바람직하게는 일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다.
이 경우, 돌출부상에 제1외부단자가 형성된다.
제2기판부는, 바람직하게는, 제1기판부에 대해 돌출부와 반대측에 제1기판부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기판부와 제2기판부 사이에, 제3기판부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제2 및 제3기판부가, 공통의 도전부재에 의해 접속되어도 된다.
또, 도전부재는, 제1과 제2의 도전부재를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제1도전부재가 제1기판부와 제3기판부를 접속하고, 제2도전부재가 제2기판부와 제3기판부를 접속한다.
또, 제1 및 제2기판부는, 프레임부에 둘러싸이는 영역 내에 형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이 영역은 복수 개 설치되고, 각 영역 내에 제1 및 제2기판부가 각각 형성된다.
통상, 복수의 기판이 프레임부를 거쳐서 연결된 집합기판의 상태로, 각종 전자부품 등이 그 기판상에 장착된다.
장착된 전자부품과 도통하는 단자를 각각 형성한 후에, 프레임부로부터 각 기판을 분리한다.
그에 의해 소정의 용도에 사용되는 회로가 얻어진다.
여기서, 제2기판부(아일랜드부:island)가 제1기판부(회로기판 본체부)에 대해 도전부재를 거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부재를 굴곡시키므로서 제2기판부와 제1기판부를 소망의 위치관계로 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제2기판부를 제1기판부에 대해 수직상 혹은 평행상으로 할 수가 있다.
또, 보호회로용 기판이 제3기판부(아일랜드부)를 갖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2기판부를 제1기판부에 대해 평행상으로 함과 동시에, 제3기판부를 제1기판부와 제2기판부를 연결하는 수직상으로 할 수도 있다.
제2기판부가 제1기판부와 도전부재를 거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기판부와 제1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2기판부에 전자부품을 장착하거나 단자를 형성해도 된다.
또, 보호회로용 기판이 제3기판부를 갖는 경우에는, 그 기판을 프레임부로부터 분리해서 도전부재를 굴곡시키면, 제2기판부를 제1기판부에 대해 평행상으로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제2기판부에 외부단자가 형성되어 있은 경우에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제2단자부의 역할을 상기한 제2 및 제3기판부가 달성하게 된다.
제2기판부를 제1기판부에 대해 평행상으로 하고, 제2기판부를 제1기판부의 바로 위에 배치하면, 제1기판부와 제2기판부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의 높이는, 예를 들면 제3기판부의 크기나 도전부재의 길이 등을 적절히 선택하므로서 결정할 수가 있다.
그런데, 제1기판부에는 도전부재를 굴곡시키기 전, 예를 들면 집합기판의 상태에 있어서, 각종의 전자부품이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한 공간의 높이를 적절히 설정하면, 전자부품의 장착 후에 제2기판부를 제1기판부의 바로 위에 배치해도, 제2기판부와 전자부품이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축전지의 두께 분은 보호회로장치의 두께(제2기판부와 제1기판부와의 거리)를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1기판부 및 제2기판부에 있어서의 각각의 대향면에 전자부품을 장착할 수도 있고, 전자부품의 장착면적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또, 보호회로용 기판이 프레임부에 지지된 집합기판의 상태로, 각 보호회로용 기판에 형성된 회로가 예정대로 작동하는가 아닌가를 시험할 수가 있다.
종래예에서는, 제2단자부가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 시험이 행해지고 있었기 때문에, 제2단자부의 수평부의 아래쪽 위치에 장착된 전자부품이 적절히 장착되지 않은 경우, 이 전자부품을 재 장착하는 것은 곤란했었다.
이에 대하여, 본원발명에서는, 제1과 제2기판부가 동일평면상으로 된 집합기판의 상태, 다시 말하면, 전자부품을 장착시킨 때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에서 시험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전자부품이 장착불량인 것이 시험으로 판명된 경우, 장착불량의 전자부품을 용이하게 재 장착할 수 있어, 원료에 대한 제품의 비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집합기판의 상태에서 제1과 제2의 외부단자를 각각 제1 및 제2기판부에 형성하므로서, 종래예와 같이, 외부단자부를 별도 기판에 부착시키는 경우에 비해 보호회로장치를 제조한 후의 외부단자의 위치 어긋남 양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축전지용의 보호회로장치는, 회로부를 갖는 제1기판부와, 도전부재를 거쳐서 제1기판부와 접속되는 제2기판부를 구비한다.
상기한 제1기판부는, 바람직하게는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외부단자를 갖고, 제2기판부는, 바람직하게는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외부단자를 갖는다.
도전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굴곡되고, 제2기판부는 제1기판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1기판부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기판부는 돌출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돌출부상에 제1외부단자가 형성된다.
제2기판부는, 돌출부가 설치된 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기판부의 단부와 접속된다.
제1기판부와 대향하는 제2기판부의 표면상에,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부품을 장착시켜도 된다.
또, 제2기판부와 제1기판부 사이에 제3기판부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제3기판부는, 제1기판부에 대해 수직상으로 되고, 제3기판부의 표면상에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패턴을 형성해도 된다.
제2기판부상에, 내습성 향상을 위한 코팅을 실시하지 않은 전자부품을 장착하고, 제1기판부상에 상기한 코팅을 실시한 전자부품을 장착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축전지의 보호회로장치에 의하면, 도전부재를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제2기판부를 제1기판부에 대해 수직상으로도 평행상으로도 할 수가 있다.
그에 의해, 보호회로장치를 축전지 팩 내에 조립하는 때의 편의를 도모할 수가 있다.
그런데, 보호회로장치에서는, 침수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에폭시나 아크릴계 수지 등에 의해 코팅이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 코팅작업은, 특정의 전자부품에 대하여 행해지는 일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코팅을 실시하지 않은 전자부품에 대해서는 폴리이미드 테이프 등에 의해 마스킹(masking)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보호회로장치에서는, 제1기판부와 제2기판부가 도전부재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으나, 각 기판부에 있어서의 전자부품의 장착면은 분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제2기판부에 코팅을 실시하지 않은 전자부품을 집중적으로 장착하고, 제1기판부에 코팅을 실시한 전자부품을 집중적으로 장착하면, 제1기판부에 집중적으로 코팅을 실시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코팅을 실시하지 않은 전자부품, 즉 제2기판부에 장착된 전자부품에 대한 마스킹을 생략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보호회로에 있어서는, 전자부품에 수지코팅을 실시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코팅을 실시하는 때의 마스킹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는 이점도 얻어진다.
또, 제3기판부를 설치하여, 제2기판부를 제1기판부에 대해 평행상으로 하고, 제3기판부를 제2기판부와 제1기판부를 연결하는 수직상으로 한 경우에는, 제2 및 제3기판부에 의해 종래의 보호회로장치에 있어서의 단자대를 형성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2기판부에 외부단자를 형성하므로서, 제2기판부, 제3기판부 및 외부단자에 의해 종래의 제2단자부에 상당하는 것을 형성할 수가 있다.
그에 의해, 제2단자부를 삽입성형에 의해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보호회로장치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보호회로장치는, 예를 들면 집합기판의 상태에 있어서 보호회로용 기판에 직접 외부단자를 형성하고, 집합기판으로부터 보호회로용 기판을 분리한 후에 도전부재를 굴곡시키므로서 형성할 수 있다.
그러한 일련의 작업에 의해, 종래의 보호회로장치에 있어서의 제2단자부에 상당하는 것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제2단자부를 제1기판부에 부착시킬 필요도 없다.
또, 제2단자부에 상당하는 것을 수지성형에 의해 형성할 필요가 없는 것에서, 금형을 준비할 필요도 없게되어, 가격적으로 극단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또한, 제1기판부에, 배선패턴으로 도통하는 복수의 외부단자를 직접 형성할 수가 있다.
즉, 종래의 보호회로장치에 있어서의 제1단자부에 상당하는 것을 제1기판부에 직접 형성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도, 보호회로장치의 제조효율의 개선을 도모함과 동시에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종래의 보호회로장치에 있어서는, 제1단자부도 또한 제2단자부와 마찬가지로 삽입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이것을 보호회로용 기판에 부착시키고 있었으나, 이와 같은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각 외부단자부를, 예를 들면 금속 등의 단자편을 장착하는 것으로서 형성해도 되고, 배선패턴과 동시에 형성되는 단자패드상에 금 등에 의해 도금을 실시하는 등으로 해서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축전기 팩은, 축전지와, 이 축전지로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축전지에 도통되는 보호회로장치와, 축전지 및 보호회로장치를 수용하는 절연성용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보호회로장치는, 회로부를 갖는 제1기판부와, 그 제1기판부와 도전부재를 거쳐 접속되는 제2기판부를 포함한다.
도전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굴곡된다.
이때, 제2기판부는 바람직하게는 제1기판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1기판부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 제2기판부는,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외부단자를 갖는다.
제1기판부는, 바람직하게는,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외부단자를 갖는다.
그리고, 제1 및 제2외부단자는, 절연성용기의 표면에 노출된다.
또, 제2기판부와 제1기판부 사이에 축전지를 삽입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축전지 팩은 상술한 보호회로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전술한 각종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저비용으로 고성능의 축전지 팩을 얻을 수가 있다.
이하,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원발명에 관한 축전지 팩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축전지 팩의 내부에 조립된 본원발명에 관한 보호회로장치를 나타내는 투시측면도, 도 3은 보호회로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보호회로장치의 배면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종래예의 보호회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한 도면에 표시된 부재 및 요소 등과 동등의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의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축전지 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전지 팩(1)은, 수지제의 용기(10)내에 축전지(2) 및 보호회로장치(3)가 수용된 구성을 갖고, 전체로서 소정두께를 갖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긴 직 4각형 형상의 형태를 갖는다.
축전지 팩(1)의 한쪽 면(10a)에는, 휴대전화본체(도시생략)에 축전지(2)로부터의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4개의 방전용 단자(30)가 노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축전지 팩(1)의 다른 쪽의 면(10b)에는, 축전지(2)에 외부전원(도시생략)으로부터 전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4개의 충전용 단자(31)가 노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방전용 단자(30) 및 각 충전용 단자(31)는, 각각 보호회로장치(3)에 형성된다.
보호회로장치(3)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 본체부(제1기판부)(32)와, 제1아일랜드부(제2기판부)(33)와, 제2아일랜드부(제3기판부)(34)를 갖는다.
이들의 재질 및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 본체부(32)는, 넓은폭부(32A)의 단말부에 있어서, 넓은폭부(32A)의 폭방향 한쪽부측에 좁은폭부(32B)가 돌출한 "L"자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 회로기판 본체부(32)는, 넓은폭부(32A)의 중앙부로부터 폭방향의 타측부측으로 돌출한 돌출부(32C)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회로기판 본체부(32)에는, 그 표면 및 이면에, 회로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소정의 배선패턴(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회로기판 본체부(32)의 표면(경우에 따라서는 이면에도)에는, 배선패턴에 도통하고, 상기 회로부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칩형 저항기 등의 각종의 전자부품(6)이 장착되어 있다.
회로기판 본체부(32)의 양단부[넓은폭부(32A) 및 좁은폭부(32B)의 각각의 선단부)에는, 배선패턴에 도통하도록 니켈판 등의 금속단자편(40, 41)이 납땜 등에 의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들 금속단자편(40, 41)에는, 연장용의 단자편(40a, 41a)이 접속되고, 이들이 축전지(2)의 전극에 접촉된다.
돌출부(32C)의 이면측에는, 배선패턴에 도통하도록 4개의 제1외부단자(31)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돌출부(32C) 및 각 제1외부단자(31)에 의해 종래의 보호회로장치에 있어서의 제1단자부에 상당하는 것이 형성된다.
또한, 이들 제1외부단자(31)는, 예를 들면 금속 등의 단자편을 납땜에 의해 장착하므로서, 혹은 배선패턴과 동시에 형성되는 단자패드상에 금 등에 의해 도금을 실시하므로서 형성된다.
보호회로장치(3)가 소정의 용기내에 조립되어서 축전지 팩(1)이 형성된 경우에는, 각 제1외부단자(31)가 외부전원(도시생략)으로부터 축전지(2)에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용 단자(31)가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아일랜드부(33)는 직4각형이며, 넓은폭부(32A)의 위쪽에 넓은폭부(32A)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1아일랜드부(33)는, 이 제1아일랜드부(33)와 회로기판 본체부(32) 사이에 있어서 수직상으로 설치된 제2아일랜드부(34)를 거쳐서 회로기판 본체부(32)와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아일랜드부(33)와 제2아일랜드부(34)가, 대략 직각으로 굴곡된 4개의 제1금속편(도전부재)(35)에 의해 연결되고, 제2아일랜드부(34)와 회로기판 본체부(32)가 대략 직각으로 굴곡된 4개의 제2금속편(도전부재)(3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제1아일랜드부(33)의 상면에는, 4개의 제2외부단자(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2외부단자(30)도, 제1외부단자(31)와 마찬가지로, 금속 등의 단자편을 장착하므로서, 혹은 배선패턴과 동시에 형성되는 단자패드상에 금 등에 의해 도금을 실시하므로서 형성된다.
각 제1금속편(35)은, 각각이 대응하는 제2외부단자(30)와 도통하고 있음과 동시에, 예를 들면 제2아일랜드부(34)에 형성된 배선에 의해 각각이 대응하는 제2금속편(36)과 도통하고 있다.
이들 제2금속편(36)은, 회로기판 본체부(32)에 형성된 배선패턴과 도통하고 있기 때문에, 각 제2외부단자(30)는 상기 배선패턴과 도통하고 있다.
제1아일랜드부(33)의 이면측에도 소정의 배선패턴을 형성하여 전자부품(6)을 장착해도 된다.
또한, 보호회로장치(3)가 소정의 용기내에 조립되어 축전지 팩(1)이 형성된 경우에는, 각 제2외부단자(30)가 휴대전화본체(도시생략)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방전용 단자(30)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호회로장치(3)에 있어서는, 소정의 높이위치에 있어서, 회로기판 본체부(32)에 대해 평행상으로 된 제1아일랜드부(33)에 각 제2외부단자(3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아일랜드부(33), 제2아일랜드부(34) 및 각 제2외부단자(30)에 의해 종래의 보호회로장치에 있어서의 제2단자부에 상당하는 것이 형성된다.
다음에, 보호회로장치(3)의 제조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지만, 편의상, 도 5를 참조하면서 보호회로장치(3)의 제조에 사용되는 집합기판(7)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외부단자(30, 31)는, 금속의 단자편을 장착하므로서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합기판(7)은, 프레임부(70)에 의해 둘러싸인 직4각형 영역을 복수개 갖고, 이들 직4각형 영역내의 각각에는, 단위회로기판[회로기판 본체부(32), 제1아일랜드부(33) 및 제2아일랜드부(34)로 된 것]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집합기판(7)에서는, 보호회로장치(3)에 있어서의 회로기판 본체부(32), 제1아일랜드부(33) 및 제2아일랜드부(34)의 각각이 평면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회로기판 본체부(32)는, 교량부(71)를 거쳐서 프레임부(70)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회로기판 본체부(32)는 또한, 제2아일랜드부(34)와 교량부(71)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제1아일랜드부(33)도, 교량부(71)를 거쳐 프레임부(70)에 유지되어 있다.
제1아일랜드부(33)는, 제2아일랜드부(34)와도 교량부(7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집합기판(7)에 있어서는, 양면에 각종의 전자부품이나 금속편 등을 장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두 번의 장착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제1회 째의 장착작업은 다음과 같이해서 행해진다.
즉, 우선 회로기판 본체부(32)에 형성된 소정의 단자패드에 대응하도록 장착기 등을 사용해서 각종의 전자부품(6)이나 금속단자편(40, 41)등을 자동적으로 위치결정해서 탑재시킨다.
그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상태가 얻어진다.
단자패드 혹은 장착해야할 단자에는, 미리 땜납페이스트가 도포된다.
이 땜납페이스트를 리플로우 로(reflow furnace)내에서 재용융시킨 후에, 냉각 고체화시킨다.
이에 의해 전자부품(6) 등이 장착된다.
다음에 2회 째의 장착작업을 행한다.
이 작업은, 집합기판(7)의 표면과 이면을 역전시켜서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아일랜드부(33)와 제2아일랜드부(34)를 걸치도록 각 제1금속편(35)을 그들 위에 탑재시킴과 동시에, 제2아일랜드부(34)와 회로기판 본체부(32)를 걸치도록 각 제2금속편(36)을 그들 위에 탑재시킨다.
이에 의해 도 7에 나타내는 상태가 얻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외부단자(30, 31)가 금속의 단자편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아일랜드부(33) 및 회로기판 본체부(32)의 돌출부(32C)에는 금속의 단자편이 탑재된다.
각 금속편(35, 36)이나 금속의 단자편 혹은 이들이 탑재되는 단자패드에는, 미리 땜납페이스트가 도포되어 있다.
이 땜납페이스트를 리플로우 로내에서 재용융시킨 후에, 냉각 고체화시킨다.
이에 의해 각 금속편(35, 36)이나 금속단자편 등이 장착된다.
그런데, 보호회로장치(3) 등의 일정한 회로에 있어서는, 누수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에폭시나 아크릴계의 수지 등에 의해 코팅이 실시된 경우가 있다.
이 코팅작업은 특정의 전자부품(6)에 대해 행해진다.
코팅작업시에는, 코팅을 실시하지 않은 전자부품(6)에 대해서는 폴리이미드 테이프 등에 의해 마스킹이 실시된다.
집합기판(7)에서는, 회로기판 본체부(32)와 제1아일랜드부(33)가 금속편(35, 36)을 거쳐서 연결되어 있으나, 회로기판 본체부(32) 및 제1아일랜드부(33)에 있어서의 전자부품(6)의 장착면은, 평면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제1아일랜드부(33)에 코팅을 실시하지 않은 전자부품(6)을 집중적으로 장착하고, 회로기판 본체부(32)에 코팅을 실시한 전자부품(6)을 집중적으로 장착하면, 회로기판 본체부(32)에 집중적으로 코팅을 실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에 추가해서, 코팅을 실시하지 않은 전자부품(6), 즉, 제1아일랜드부(33)에 장착된 전자부품(6)에 대해, 마스킹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집합기판(7)을 사용하여 보호회로장치(3)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전자부품(6)에 수지코팅을 실시하는 때의 마스킹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해서 전자부품(6) 등이 장착된 각 단위회로기판은, 실질적으로는 보호회로장치(3)와 같은 모양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집합기판(7)의 상태에 있어서, 각 단위회로기판(회로)이 예정대로 작동하는가 아닌가가 시험된다.
종래예에서는, 제2단자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시험이 행해지고 있었기 때문에, 제2단자부의 수평부의 아래쪽에 장착된 전자부품(6)이 장착불량인 경우에는, 이 전자부품을 재 장착하는 것이 곤란했었다.
이에 대해 본원발명에서는, 집합기판(7)의 상태, 즉 전자부품(6) 등을 장착한 때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에서 시험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전자부품 등이 장착불량인 것이 시험에 의해 판명된 경우에도, 장착불량의 전자부품을 용이하게 재 장착할 수가 있어, 원료에 대한 제품의 비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각 교량부(71)를 절단하므로서, 도 8에 나타내는 보호회로장치(3)가 얻어진다.
이 상태의 보호회로장치(3)에서는, 제1아일랜드부(33) 및 제2아일랜드부(34)가 회로기판 본체부(32)와 분리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아일랜드부(33, 34)가 회로기판 본체부(32)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의 보호회로장치(3)의 제1 및 제2금속편(35, 36)을 굴곡시켜서 도 8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도 2내지 도 4에 나타내는 상태의 보호회로장치(3)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집합기판(7)의 상태에 있어서 각종의 전자부품(6) 등을 장착하고, 금속편(35, 36)을 굴곡시킨다고 하는 일련의 작업에 의해, 종래의 보호회로장치에 있어서의 제1단자부 및 제2단자부에 상당하는 것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삽입성형에 의해 형성된 제1 및 제2단자부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회로기판 본체부(32)에 부착시킬 필요도 없어진다.
특히, 수지성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금형을 준비할 필요도 없어져, 비용적으로 극단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또, 제1 및 제2외부단자의 위치맞춤 정밀도를, 종래예 보다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금속편(35, 36)을 굴곡시켜서 제1아일랜드부(33)를 회로기판 본체부(32)에 대해서 평행상으로 하고, 제1아일랜드부(33)를 회로기판 본체부(32)의 바로 위에 배치한 상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 본체부(32)와 제1아일랜드부(33)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의 높이는, 예를 들면 제2아일랜드부(34)의 크기나 각 금속편(35, 36)의 길이 등을 적절히 선택하므로서 결정할 수가 있다.
그런데, 회로기판 본체부(32)에는, 각 금속편(35, 36)을 굴곡시키기전, 예를 들면 집합기판(7)의 상태에 있어서 각종의 전자부품(6)이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한 공간의 높이를 적절히 설정하면, 전자부품(6)의 장착 후에 각 금속편(35, 36)을 굴곡시켜서 제1아일랜드부(33)를 회로기판 본체부(32)의 바로 위에 배치해도, 제1아일랜드부(33)와 전자부품(6)이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더구나, 회로기판 본체부(32)가 축전지용의 보호회로장치(3)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보호회로장치(3)의 두께[제1 아일랜드부(33)와 회로기판 본체부(32)의 거리]는, 적어도 축전지의 두께 이상으로 된다.
따라서, 회로기판 본체부(32) 및 제1아일랜드부(33)에 있어서의 각각의 대향면에 전자부품(6)을 장착할 수가 있고, 전자부품(6)의 장착면적을 증대시킬수가 있다.
또,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제1금속편(35)에 의해 제1아일랜드부(33)와 제2아일랜드부(34)가 연결되고, 제2금속편(36)에 의해 제2아일랜드부(34)와 회로기판 본체부(32)가 연결되고 있었으나,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종류의 금속편(35A)에 의해 제1아일랜드부(33), 제2아일랜드부(34), 및 회로기판 본체부(32)를 연결해도 된다.
또한, 제2아일랜드부(34)를 생략해도 된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회로장치(3)가 제1아일랜드부(33)만을 갖고 있어도 된다.
다음에, 본원발명에 관한 보호회로장치(3)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참조한 도면에 표시된 부재 또는 요소와 동등한 구성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보호회로장치(3)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 형태의 보호회로장치(3)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다.
본 실시의 형태의 보호회로장치(3)가 앞서의 실시의 형태의 것과 다른 점은, 제1아일랜드부(33) 및 제2아일랜드부(34)의 모양이다.
즉, 앞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로기판 본체부(32)에 있어서의 폭방향 일측부측[좁은폭부(32B)의 돌출방향]으로부터 연속해서 제1 및 제2아일랜드부(33, 34)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아일랜드부(33, 34)가 회로기판 본체부(32)에 있어서의 폭방향 타측부측으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아일랜드부(33, 34)에 의해, 회로기판 본체부(32)에 있어서의 폭방향 일측부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제1아일랜드부(33)의 저면측 및 회로기판 본체부(32)에 있어서의, 제1아일랜드부(33)의 바로 아래영역에 전자부품(6) 등을 장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축전지(2)의 단말부를 상기한 공간내에 수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보호회로장치(3)를 조립한 축전지 팩에서는, 길이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금회 제안된 각 실시 형태는 모든 점이 예시로서, 제한적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지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축전지용의 보호회로 및 그 보호회로를 구비한 축전지에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회로부를 갖는 제1기판부(32)와,
    변형 가능한 도전부재(35, 35A, 36)를 거쳐 상기 제1기판부(32)와 접속된 제2기판부(3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보호회로용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부(32)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외부단자(31)를 갖고,
    상기 제2기판부(33)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외부단자(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보호회로용 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부(32)는, 일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32C)를 갖고,
    상기 돌출부(32C)상에, 상기 제1외부단자(31)가 형성되며,
    상기 제2기판부(33)는, 상기 제1기판부(32)에 대해 상기 돌출부(32C)와 반대측에 상기 제1기판부(32)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보호회로용 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부(32)와 상기 제2기판부(33) 사이에, 제3기판부(3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보호회로용 기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기판부(32, 33, 34)가, 공통의 도전부재(35A)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보호회로용 기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35, 35A, 36)는, 제1과 제2의 도전부재(35, 36)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재(36)가 상기 제1기판부(32)와 상기 제3기판부(34)를 접속하며,
    상기 제2도전부재(35)가 상기 제2기판부(33)와 상기 제3기판부(34)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보호회로용 기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판부(32, 33)는, 프레임부(70)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내에 형성되고,
    상기 영역은 복수개 설치되며,
    각 상기 영역내에 상기 제1 및 제2기판부(32, 33)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보호회로용 기판.
  8. 축전지(2)에 대한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축전지용 보호회로장치로서,
    회로부를 갖는 제1기판부(32)와,
    도전부재(35, 35A, 36)를 거쳐 상기 제1기판부(32)와 접속된 제2기판부(3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보호회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부(32)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외부단자(31)를 갖고,
    상기 제2기판부(33)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외부단자(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보호회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35, 35A, 36)는 굴곡되고,
    상기 제2기판부(33)는 상기 제1기판부(32)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제1기판부(32)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보호회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부(32)는 돌출부(32C)를 갖고,
    상기 돌출부(32C)상에 상기 제1외부단자(31)가 형성되며,
    상기 제2기판부(33)는, 상기 돌출부(32C)가 설치된 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기판부(32)의 단부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보호회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부(32)와 대향하는 상기 제2기판부(33)의 표면상에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부품(6)을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보호회로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부(33)와 상기 제1기판부(32) 사이에 배치된 제3기판부(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보호회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판부(34)는, 상기 제1기판부(32)에 대해 수직상으로 되고,
    상기 제3기판부(34)의 표면상에,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패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보호회로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부(33)상에, 내습성 향상을 위한 코팅을 실시하지 않은 전자부품(6)을 장착하고,
    상기 제1기판부(32)상에, 상기 코팅을 실시한 전자부품(6)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보호회로장치.
  16. 축전지(2)와, 상기 축전지(2)로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축전지(2)에 도통되는 보호회로장치(3)와, 상기 축전지(2) 및 상기 보호회로장치(3)를 수용하는 절연성용기(10)를 구비한 축전지 팩으로서,
    상기 보호회로장치(3)는, 회로부를 갖는 제1기판부(32)와, 상기 제1기판부(32)와 도전부재(35, 35A, 36)를 거쳐 접속된 제2기판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팩.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35, 35A, 36)는 굴곡되고,
    상기 제2기판부(33)는 상기 제1기판부(32)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제1기판부(32)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기판부(32)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외부단자(31)를 갖고,
    상기 제2기판부(33)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외부단자(30)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외부단자(31, 30)는, 상기 절연성용기(10)의 표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팩.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부(33)와 상기 제1기판부(32) 사이에 상기 축전지(2)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팩.
KR1020007011826A 1998-05-28 1999-05-13 축전지의 보호회로용 기판, 축전지용 보호회로장치 및 축전지 팩 KR100586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778698A JP3507333B2 (ja) 1998-05-28 1998-05-28 充電池用の保護回路および充電池パック
JP10-147786 1998-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827A true KR20010034827A (ko) 2001-04-25
KR100586124B1 KR100586124B1 (ko) 2006-06-02

Family

ID=1543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826A KR100586124B1 (ko) 1998-05-28 1999-05-13 축전지의 보호회로용 기판, 축전지용 보호회로장치 및 축전지 팩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97259B1 (ko)
EP (1) EP1091626B1 (ko)
JP (1) JP3507333B2 (ko)
KR (1) KR100586124B1 (ko)
CN (2) CN1330224C (ko)
CA (1) CA2331813C (ko)
DE (1) DE69933122T2 (ko)
TW (1) TW428125B (ko)
WO (1) WO199906230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943B1 (ko) * 2004-10-28 2006-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기판
KR100649657B1 (ko) * 2005-06-14 2006-11-27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배터리팩용 보호회로기판의 동페이스트 연결단자 형성 방법및 그 연결단자 구조
KR101429766B1 (ko) * 2007-09-10 2014-08-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0520A (ja) * 2000-03-02 2001-09-14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パックおよび電子機器
DE20005816U1 (de) * 2000-03-29 2000-07-13 Varta Geraetebatterie Gmbh Elektrischer Akkumulator mit elektronischer Sicherheitsschutzschaltung
KR100346388B1 (ko) * 2000-09-18 2002-08-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노트북 컴퓨터용 전지팩의 회로기판
KR100453898B1 (ko) 2002-04-15 2004-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용 배터리 팩
CN1317788C (zh) * 2004-06-07 2007-05-23 英属盖曼群岛商胜光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线路嵌进型电池
JP4877455B2 (ja) * 2005-03-28 2012-02-1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保護モジュールおよびリード実装方法
US20060237543A1 (en) * 2005-04-20 2006-10-26 Ngk Spark Plug Co., Ltd. Card, manufacturing method of card, and thin type battery for card
US20090061302A1 (en) * 2007-09-04 2009-03-05 Scott John S Battery pack including an electric har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933388B2 (ja) * 2007-09-05 2012-05-16 株式会社ケーヒン 複数の実装基板を有する集合基板
TWM332943U (en) * 2007-10-19 2008-05-21 Tennrich Int Corp Electric power bank with replaceable battery cell
KR100933864B1 (ko) 2008-03-31 2009-12-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8334063B2 (en) * 2008-09-22 2012-12-1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TWI377399B (en) * 2008-12-30 2012-11-21 Au Optronics Corp Display panel apparatus
TW201237758A (en) * 2011-03-15 2012-09-16 Askey Computer Corp Lithium cell simulating device
US9705160B2 (en) 2012-06-18 2017-07-11 Hzo, Inc. Moisture resistant energy storage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DE102013106305A1 (de) * 2012-06-20 2013-12-2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ragbares Endgerät
EP2822063B1 (en) * 2013-07-01 2017-05-31 Samsung SDI Co., Ltd. Protection apparatus for a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rotection apparatus
CN108271312A (zh) * 2015-08-28 2018-07-10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电路板和智能终端
JP7215496B2 (ja) * 2018-12-11 2023-01-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機器、および、フラットケーブル
US11881646B2 (en) * 2018-12-14 2024-01-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connectors for expansion board
CN110034258B (zh) * 2019-03-25 2021-12-17 深圳市依卓尔能源有限公司 水下电源及其防水壳
CN111082493B (zh) * 2019-12-31 2024-05-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
JP2022178257A (ja) * 2021-05-19 2022-12-0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回路基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5260B (ko) * 1963-08-16 1900-01-01
JPS513173B1 (ko) * 1969-09-05 1976-01-31
JPS5722264U (ko) * 1980-07-11 1982-02-04
JPS5722264A (en) 1980-07-17 1982-02-05 Ricoh Co Ltd Original position corrector in copying machine
JPS594874B2 (ja) * 1981-04-20 1984-02-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S594874A (ja) 1982-06-30 1984-01-11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ガス分離装置
CA1298619C (en) * 1987-07-15 1992-04-07 Tomozo Ohta Microwave converter
JP3280394B2 (ja) * 1990-04-05 2002-05-13 ロックヒード マーティン コーポレーション 電子装置
JPH0513173A (ja) 1991-06-29 1993-01-22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電気装置および照明器具
CN2145446Y (zh) * 1992-12-14 1993-11-03 胡友芬 具活动式电能检测兼放电功能的移动电话电池
JP2606177B2 (ja) * 1995-04-26 1997-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印刷配線板
JP3244400B2 (ja) 1995-06-05 2002-01-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CN2243718Y (zh) * 1995-10-19 1996-12-25 厦门鸿狮塑胶实业有限公司 手提电话充电电池
US5682068A (en) * 1995-12-07 1997-10-28 Dallas Semiconductor Corp. Power cap
JP3272225B2 (ja) 1995-12-19 2002-04-08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H09259932A (ja) * 1996-03-26 1997-10-03 Toshiba Battery Co Ltd 充電回路付き二次電池
JP3572793B2 (ja) * 1996-04-08 2004-10-06 宇部興産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および該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JPH09289002A (ja) 1996-04-22 1997-11-04 Tokai Kogyo Kk パック電池
JP3531090B2 (ja) * 1996-11-07 2004-05-2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池パッ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943B1 (ko) * 2004-10-28 2006-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기판
US7667979B2 (en) 2004-10-28 2010-02-23 Samsung Sdi Co., Ltd. Protective circuit board for battery pack
KR100649657B1 (ko) * 2005-06-14 2006-11-27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배터리팩용 보호회로기판의 동페이스트 연결단자 형성 방법및 그 연결단자 구조
KR101429766B1 (ko) * 2007-09-10 2014-08-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1004C (zh) 2006-06-21
CA2331813A1 (en) 1999-12-02
EP1091626A4 (en) 2001-09-05
EP1091626B1 (en) 2006-09-06
CN1717148A (zh) 2006-01-04
DE69933122T2 (de) 2007-02-22
KR100586124B1 (ko) 2006-06-02
JP3507333B2 (ja) 2004-03-15
CN1330224C (zh) 2007-08-01
JPH11340602A (ja) 1999-12-10
US6697259B1 (en) 2004-02-24
CN1299579A (zh) 2001-06-13
WO1999062309A1 (en) 1999-12-02
TW428125B (en) 2001-04-01
DE69933122D1 (de) 2006-10-19
CA2331813C (en) 2007-09-18
EP1091626A1 (en) 2001-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6124B1 (ko) 축전지의 보호회로용 기판, 축전지용 보호회로장치 및 축전지 팩
US6396001B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479345B2 (en) Circuit assembly for battery pack or the lik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0796038B1 (en) High-frequency module
US5975959A (en) Smart card connector module
US4775917A (en) Thermal compensated circuit board interconnect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030211385A1 (en) Battery
US5667391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wo part articulated housing
JPH05196692A (ja) 集積回路パッケージのテスト用の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3674769B2 (ja) 電気的な接続装置、電気的な接続装置を有する電池、および電池を有する電子機器
EP1381116B1 (en) Sprung electrical terminal
US9942988B2 (en) Circuit board and power supply apparatus
EP0409640B1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JP2522229Y2 (ja) アンテナコイル装置
US6846190B2 (en) IC socket and gripping sheet used in the same
JP3656032B2 (ja) バッテリーコネクタ
JP2001250519A (ja) 電池パック
CN220122136U (zh) 一种连接器结构
JPH11339741A (ja) ポータブル機器
CN219405854U (zh) 一种耗材芯片及其连接结构
CN218903898U (zh) 一种线束焊接结构
CN220753940U (zh) Sim卡多功能转换板
US7081019B2 (en) Low profile contact block for a rechargeable cel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1708553B1 (en) Lead mounting method
JP2001307696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