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4821A - 착색중합체 제조용 착색조성물 - Google Patents

착색중합체 제조용 착색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4821A
KR20010034821A KR1020007011737A KR20007011737A KR20010034821A KR 20010034821 A KR20010034821 A KR 20010034821A KR 1020007011737 A KR1020007011737 A KR 1020007011737A KR 20007011737 A KR20007011737 A KR 20007011737A KR 20010034821 A KR20010034821 A KR 20010034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dispersant
pigment
polyester
acid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2968B1 (ko
Inventor
세븐맨프리드케이
쿰스로렌스이
크락크빈센트
워로지나요셉
콜러르벤트엘
렌스챨스에프
Original Assignee
크리스 로저 에이치
알라이드시그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 로저 에이치, 알라이드시그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크리스 로저 에이치
Publication of KR20010034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윤안료를 탈수시키고 착색농축물 제조에 유익한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습윤 안료를 탈수시키고, 안료분산물을 제조한 후, 착색분산물을 갖는 착색된 중합체를 제조하는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착색중합체 제조용 착색 조성물{COLOUR CONCENTRATE FOR THE MANUFACTURE OF COLOURED POLYMERS}
본 발명분야에서는 안료를 제조하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안료 제조과정에서는 전형적으로 수성안료 분산물이 생성되며 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들 수성안료분산물을 탈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단순건조에 의해 수분을 제거하게 되면 안료입자가 엉기게되어 바람직하지 않게된다. 따라서 실제로는 그 물의 일부만이 제거되고 나머지 제거되지 않은 물이 안료에 잔류하게 되어 미분쇄 안료가 습윤케이크 형태로 되게 된다. 중합체 분산제를 이용하여 이같은 습윤 케이크를 탈수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탈수(flushing)과정은 안료가 미분쇄된 채로있으며 중합체 조성물 및 잉크로의 편입과 같은 후속공정을 위해 안료분산제와의 긴밀한 혼합물 형태로 되어있는 분산물을 제조한다. 안료의 탈수공정은 영국 특허 915,453에 기술되어있다.
고융점 중합체를 착색시키는 것 역시 잘알려져 있다. 영국특허 1,044,378은 고융점 중합체내에 안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을 가르키고 있는바, 이에 의하면 펠릿 또는 파우더 상태의 안료와, 상기 고융점 중합체와 양립적이나 그 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펠릿 또는 파우더 상태의 중합체와의 긴밀한 혼합물을 형성한다.
상기 방법은 안료를 상기 낮은 융점중합체에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 가열 및 혼합하고, 고화시킨 다음, 그 고체를 고융점 중합체와 혼합한 다음 함께 융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융점 중합체와 저융점 중합체 각각은 동일한 화학적 성질을 갖는 것들이다. 미국특허 4,279,802는 안료와 폴리에스테르의 농축물을 형성함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 농축물은 그후 선형 폴리에스테르를 착색시키는데 사용된다. 미국특허 5,336,324는 피막제 제조를 위해 안료분산매체로서 프탈이미드 혹은 나프탈이미드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혹은 아크릴 중합체 및 안료 프레스케이크 탈수제를 이용한다.
본 발명은 안료를 분산시키고 중합체를 착색시키는데 유용한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착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성 안료 분산물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안료분산물을 제조한 후 그 안료분산물로서 호스트 중합체를 착색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습윤 안료 프레스케이크와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혹은 폴리아미드 안료분산제를 혼합하여 안료분산물을 형성한다. 상기 혼합물은 응고된 후, 전형적으로 가열에 의해, 임의적으로는 진공내에서, 수성상을 제거시킨다.
상기 저분자량 중합체내에 분산된 안료는 임의적으로 분쇄될 수 있다. 상기 분쇄된 안료/분산제 혼합물은 폴리스티렌 호모중합체,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혹은 폴리아미드와 같은 극성 호스트 중합체로 희석되어 최종 소비자 부품이나 제품을 위한 고품질 착색 농축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상기 농축물은 아주 고품질인 안료 분산물로서 장치나 설비에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최소 안료농도에서 최대 착색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안료 분산제는 안료 수용체로서 작용하는 저융점, 저점도 매체이며 탈수과정동안 물을 분리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분산제는 용융상태에서 저점도유체로서 작용하며 이는 안료를 균일하게 습윤시키고 단일 또는 쌍스크류 압출기 같은 혼합장치의 기계적 작용에 의해 이를 분산시킨다.
착색과정은 통상적으로 분산제를 함유한 상기 탈수, 건조 및 분쇄된 안료를 호스트 중합체와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압출 및 펠릿화하여 수행된다.
만족스러운 성능을 위하여는 선택하는 안료분산제가 착색과정동안 안료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후에 혼합되는 중합체와 혼화성(양립성)이 있어야 하며;
최대 색조 또는 색도 및 안료의 균일분산을 얻기위해 안료의 분산성이 좋아야 하며; 그리고 최대 생산효율및 생산속도를 위해 양호한 강도 및 펠릿화 특성을 갖는 가용성 스트랜드를 생산하기 위한 양호한 압출성을 가져야 한다.
특정 몰비의 분산제 전구체를 이용함으로서 분산제 조성물의 혼화성이 호스트 중합체에 부합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융점과 전도같은 분산제의 특성은 특정 호스트 중합체 공정 특성에 맞도록 만들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조정가능한 물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류는 특정 최종 목적에 적합하도록 선택된 호스트 중합체와 혼화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a)최소하나의 안료, 와
브룩필드(Brookfield)점도가 140℃에서 2000cps-500,000cps이고 융점이 150℃이하인 최소하나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안료 분산제,
의 혼합물; 및
b)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및 스티렌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최소 하나의 호스트 중합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안료분산제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 상기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가 아니며, 상기 안료분산제가 폴리아미드인 경우 상기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아미드가 아닌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a)수성 안료분산물 또는 수성 습윤 안료 케이크를, 브룩필드 점도가 140℃에서 2000cps-500,000cps이고 융점이 150℃이하인 최소 하나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안료 분산제와, 그 수성 안료분산제로부터 물을 분리하여 그 안료 및 안료분산제의 긴밀한 혼합물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조건하에서 접촉시키는 단계;
(b)상기 분리된 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c)상기 혼합물을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및 스티렌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최소 하나의 호스트 중합체와 혼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색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안료분산제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 상기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가 아니며, 상기 안료분산제가 폴리아미드인 경우 상기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아미드가 아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a)최소 하나의 안료와 최소 하나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안료 분산제를 혼합하고, 상기 안료분산제의 융점 온도까지 가열시키는 단계;
(b)상기 (a)단계로부터 얻은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을 펠릿 또는 과립상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c)상기 단계(b)로부터 얻은, 바람직하게는 펠릿이나 과립상으로 되어 있는, 냉각된 혼합물을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및 스티렌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최소하나의 호스트 중합체와 혼합하는 단계,
(단, 상기 안료분산제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 상기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가 아니며, 상기 안료분산제가 폴리아미드인 경우 상기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아미드가 아니다); 및
(d)상기 혼합물을 최소한 상기 호스트 중합체의 융점까지 가열하여 착색된 중합체 조성물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색중합체 조성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a)최소 하나의 안료; 최소하나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안료 분산제;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와 스티렌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고 그 융점이 상기 안료분산제의 융점보다 최소 10℃이상 높은 최소하나의 호스트 중합체; 를 혼합하는 단계,
(단, 상기 안료분산제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 상기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가 아니며, 상기 안료분산제가 폴리아미드인 경우 상기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아미드가 아니다);
(b)상기 단계 (a)로부터 얻은 혼합물을 혼합하고 안료 및 안료 분산제가 긴밀하게 결합될 때까지 최소한 상기 안료 분산제의 융점보다는 높으나 상기 호스트 중합체의 융점보다는 낮은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c)상기 단계 (b)로부터 얻은 혼합물을 혼합하고 최소 상기 호스트 중합체의 융점까지 가열하여 긴밀하게 혼합된, 착색된 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색중합체 조성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방향족 성분과 가요성 공간자 성분(flexible spacer component) 모두를 함유하는 특정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중합체들이 특히 안료 분산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여기서 방향족 성분이란 다기능성 유기방향족 화합물을 의미하며, 적절한 것으로는 하나이상의 임의의 알콜, 아민, 안하이드리드, 에스테르 혹은 산 할라이드 분획을 갖는 디(di)-, 트리(tri)- 혹은 테트라(tetra)-기능적 방향족 산을 들 수 있다.
가요성 공간자는 최소 4개의 탄소 원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6-12 탄소원자를 갖는 2기능성 또는 3기능성 지방족 유기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가요성 공간자상의 기능기들은 아미드 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효과적으로 형성하도록 상기 방향족 성분의 기능기를 기초로 선택된다. 이들 선택은 이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료 분산제는 브룩필드 점도가 140℃에서 2000cps-500,000인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료분산제의 브룩필드점도는 140℃에서 3000cps-250,00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500,000이다.
본 발명에 따라 안료 탈수를 위해, 상기 분산제는 부가적으로 그 융점이 150℃이하, 바람직하게는 75℃-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05℃인 것이 좋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폴리에스테르이다. 이 경우 바람직한 방향족 성분은 2(di)염기산이며, 가요성 공간자는 지방족 폴리올이다.
폴리에스테르형 분산제는 이분야에서 널리알려진 표준 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은 최소하나의 2염기산을 최소하나의 폴리올로 에스테르화 한 후, 요구되는 점도 및/또는 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가 형성될때까지 축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절한 폴리에스테르는 디카복실산이나 그 저급알킬 에스테르같은 방향족 2염기산(무수물 및 산에스테르 포함)을 글리콜같은 폴리올과 축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2산은 방향족, 저분자량 모노- 또는 디- 사이클릭 2염기산이어야 한다. 사용가능한 디카복실산 및 그들의 저급 알킬디에스테르 가운데는 테레프탈; 이소프탈; 프탈; 나프탈렌 디카복실; 바이페닐렌 디카복실산, 테트라 하이드로 테레프탈산, 테트라 하이드로 이소 프탈산, 테트라 하이드로 프탈산, 하이드로 나프탈렌 디카복실산, 시클로 헥산 디카복실산, 시크로펜틸 디카복실산, 시클로옥틸 디카복실산, 숙신; 글루타르산; 세바; 아디프; 아젤라; 바이벤조; 피멜산, 말로산, 퓨마르산, 이타콘산, 그들의 모노에스테르, 그들의 디에스테르, 및 그들의 혼합물과 비스-p-카복시-펜옥시에탄을 들 수 있다.
유용한 나프탈렌 디카복실산은 2,6-, 1,4-, 1,5- 혹은 2,7-이성질체를 포함하나, 1,2-, 1,3-, 1,6-, 1,7-, 1,8-, 2,3-, 2,4-, 2,5- 및/또는 2,8-이성질체 역시 사용될 수 있으며;
4,4'-바이페닐디카복실산, 1,4-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 1,3-페닐렌디아세트산, 1,2-페닐렌디아세트산, 1,4-페닐렌 디프로피온산, 4-카복시펜옥시 아세트산, 2,3-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 1,3,5-벤젠트리 카복실산, 테트라플루오로이소프탈산, 테트라플루오로테레프탈산, 테트라플루오로프탈산, 2-메톡시 이소프탈산, 벤질말로산, 4-브로모이소프탈산, 3-니트로프탈산, 4-니트로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 4,4'-옥시-비스펜조산, 1,4-페닐렌디아세트산, 디펜산, 호모프탈산, 1,2-페닐렌디옥소디카복실산, 1,2,4-벤젠트리카복실산,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 3-플루오로프탈산, 4-메틸프탈산, 5-tert-부틸이소프탈산, 팜산(pamoic acid), 4-브로모테레프탈산, 4,5-디클로로프탈산 및 5-옥타데실옥시이소프탈산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2염기성 산으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복실산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2염기산은 산, 산무수물 형태나 디메틸에스테르 같은 그들의 에스테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산 및/또는 그들의 저급알킬에스테르중 하나 이상은 최소2개의 탄소원자를 갖고 그 각각의 기능성이 알콜과 아민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최소하나의 디(di)- 또는 트리(tri)- 기능성 지방족 유기폴리올 화합물과 반응된다.
바람직한 것은 2-50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3-10 탄소원자를 갖는 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올이며,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1,3- 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 글리콜,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1,12-도데칸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의 디히드록시-말단 고급올리고머, 트리메틸렌 글리콜의 이합체, 트리메틸렌 글리콜의 3합체, 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의 이합체, 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의 3합체, 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의 디히드록시-말단 고급올리고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글리세롤, 1,6-헥사메틸렌디올, 1,8-옥타메틸렌디올,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글리콜은 에틸레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디에틸렌 글리콜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은 시스 혹은 트랜스형태 또는 시스/트랜스 혼합물 형태일 수 있다.
하나이상의 에스테르가 하나이상의 글리콜과 반응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호모폴리에스테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혼성 폴리에스테르 뿐만아니라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같은 혼합된 폴리에스테르도 포함한다.
바람직한 2기능성 또는 3기능성 지방족 화합물은 최소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6-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글리콜이다. 이같은 것들은 산 및 이들 기능기의 최소 2개의 혼합물을 갖는 화합물 같은 부가적인 기능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올 성분은 상기 방향족 2산 성분을 갖는 반응산물에 가요성을 부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폴리올에 대한 방향족 2산의 몰비는 1:1-1:4, 바람직하게는 1:1-1:3이다.
방향족 및 지방족 성분, 점도 및 융점을 포함하는 안료분산제의 선택은 이분야에서 숙련된자에게는 명확할 것이다. 특정 적용처를 위한 요구되는 성질 역시 쉽게 판단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디(di)-, 트리(tri)-, 혹은 테트라(tetra)- 기능성 방향족 또는 지방족 분획같은 부가적인 개질성분을 함유한 3원 중합체 또는 4원 중합체일 수 있으며 각각의 기능기는 산, 알콜, 아민, 안하이드라드, 에스테르, 산 할라이드 및 그 혼화성 혼합기능기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다. 한가지 특히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및 1,6-헥산디올의 3원 중합체이며, 여기서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및 1,6-헥산디올의 분자량 범위는 0.5:1.9:2.6-1.5:0.9:2.6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그 스스로 한가지 이상의 다른 방법에 의해 중합체로서 형성되는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를 중합시켜 제조된 중합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비스-(2-히드록시에틸)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는 한가지 방법은 미국 특허 3,050,533에 기술된 바와같이 테레프탈산을 에틸렌글리콜로 직접 에스테르화시키는 것이다. 이 방법에서, 반응 부산물은 물이며 이는 반응산물로 부터 증류된다.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는 2번째 방법은 테레프탈산의 디알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를 에틸렌 글리콜로 트랜스에스테르화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2몰비의 에틸렌글리콜은 1몰비의 디알킬테레프탈레이트와 반응시키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디알킬테레프탈레이트 분자비당 2몰비 이상의 에틸렌글리콜이 사용되며, 왜냐하면 이들 조건하에서 초기 트랜스에스테르화가 보다 신속하고도 완전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상기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에스테르교환반응)은 상승된 온도조건하에 수행된다. 예를들어, 반응화합물의 비점에서 25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대기, 대기압이하, 대기압이상에서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트랜스에스테르 반응의 부산물은 알칸올이다. 예를들어, 만일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되면, 메탄올이 생성된다. 상기 알칸올은 그후 반응산물로 부터 제거된다. 상기 출발물질로부터 생성된 폴리에스테르는 이분야에서 숙련되자에게 잘알려져 있는 통상의 조건하에서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제조를 위한 통상의 공정은 미국 특허 4,568,720 및 5,552,512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 몇몇은 상업적으로 주입가능하며, 나머지 등은 유사한 통상의 수단을 이용하여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반응속도 증대를 위해 상기 트랜스 에스테르화/축협반응에 촉매를 부가할 수 있다. 유용한 촉매로는 안티몬 트리옥사이드/칼슘 아세테이트 조합물, 안티몬 아세테이트 및 M&T 케미칼에서 생산하는 Fascat4100촉매같은 유기주석화합물을 들 수 있다.
중간체인 비스-(2-히드록시에틸) 테레프탈레이트가 제조된 후, 이는 글리콜이나 물을 제거하는 조건하에 글리콜이나 상기 반응 혼합물의 비점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변환될 수 있다. 이 가열은 필요하면 325℃온도에서 일어날 수 있다.
가열도중, 여분의 글리콜 또는 물의 신속증류를 위해 감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폴리아미드이다. 이경우 방향족 성분은 2염기산 또는 산염화물이며, 상기 가요성 공간자(spacer)는 지방족 디아민이다. 폴리아미드형 분산제는 이분야에서 널리알려져 있는 표준 폴리아미드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제조방법은 최소하나의 방향족 2염기산이다. 산염화물은 최소하나의 지방족 디아민과 반응시키는 공지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적절한 폴리아미드형 분산제는 상기 언급된 점도 및/또는 융점범위에 부합하는 지방족/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방향족 2염기산의 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앞서 열거된 것들을 포함한다.
지방족 디아민의 예로서는 탄소원자수 2-50인, 바람직하게는 4-12의 탄소원자를 갖는 디아민을 들 수 있으며,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 디아민, 부틸렌디아민, 디프로필레디아민, 디에틸렌디아민, 네오펜틸디아민, 디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테트라에틸렌디아민, 에틸렌디아민의 디아민 말단 고급올리고머, 트리메틸렌 디아민의 이합체, 트리메틸렌디아민의 3합체, 테트라메틸렌디아민의 이합체, 테트라메틸렌 디아민의 3합체, 테트라메틸렌 디아민의 디아민 말단 고급올리고머, 폴리에틸렌 디아민 및 그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하나이상의 산이 하나이상의 다아민과 반응하기 때문에 상기 폴리아미드는 호모폴리아미드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디프산, 테레프탈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을 반응시켜 형성된 것과 같이 혼성폴리아미드(copolyamides)같은 혼합된 폴리아미드를 또한 포함한다.
또한 포함되는 것은 헥산디올과의 혼성중합체같이 혼합된 에스테르/아미드를 형성하는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한 디아민은 최소 4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4-12 탄소원자를 갖는 2기능성 또는 3기능성 지방족 화합물이다.
이같은 것들은 산, 에스테르와 알콜, 같은 여분의 기능기 및 이들 기능기중 최소 2개의 혼합물을 갖는 화합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아민은 상기 방향족 2산 성분을 갖는 반응산물에 가요성을 부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2산과 가요성 디아민의 몰비는 1:1-1:4, 바람직하게는 1:1-1:3이다.
방향족과 지방족 성분, 점도 및 융점등을 포함한 산소분산제의 선택은 이분야에서 숙련된자의 선호도에 달려있으며, 특정 적용처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비율은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임의로, 상기 폴리아미드는 디, 트리 혹은 테트라 기능성 방향족 또는 지방족 분획 같은 부가적인 개질성분을 갖는 3원 중합체 또는 4원 중합체일 수 있으며, 상기 기능기 각각은 산, 알콜, 아민, 안하이드리드, 에스테르, 산할라이드 및 혼화성 혼합기능기로 부터 선택된다.
그 예로서는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의 3합체와,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펜탄디아민의 4합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아미드 분산제는 Preparative Methods of Polymer Chemistry, Sorensom W.R., Campbell T.W., Interscience, NY 1968, Contemporary Polymer Chemistry, Allcock, H.R., Lampe F.W., Prentice Hall, NJ, 1990에 기술된 바와같이 축중합체 합성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혼합물이며, 바람직하게는 예비 형성된, 상기한 바와같이 최소하나의 안료, 및 최소하나의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아미드 안료분산제의 긴밀한 혼합물인 안료/분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안료는 유기 또는 무기일 수 있다.
평균 직경은 전체적으로 1마이크로메터 미만이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착색제의 예로서는,
Permanent Yellow G(C.I. 21095),
Permanent Yellow GR(C.I. 21100),
Permanent Yellow DHG(C.I. 21090),
Permanent Rubine L6B(C.I. 15850:1),
Permanent Pink F3B(C.I. 12433),
Hostaperm Pink E(73915),
Hostaperm Red Violet ER(C.I. 46500),
Permanent Carmine FBB(12485)
Hostaperm Blue B2G(C.I. 74160),
Hostaperm Blue A2R(C.I. 74160) 및
Printex 25를 들 수 있다.
안료/분산제 조성물내의 안료의 량은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5-8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70%,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0-65%이다.
안료/분산제 조성물내의 분산제의 량은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20-95%, 보다 바람직하게는 30-90%,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5-80%이다.
본 발명의 안료/분산제 조성물은 고분자량 호스트중합체로서 착색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호스트 중합체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및 스티렌을 포함하는 상기 안료분산제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 상기 호스트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가 아니며, 상기 안료분산제가 폴리아미드인 경우 호스트중합체는 폴리아미드가 아니다.
적절한 호스트중합체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 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혼성폴리에스테르 및 그 혼합물 같은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적절한 폴리아미드 호스트중합체는,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나이론 6,6),
폴리(헥사메틸렌 세박아미드)(나이론 6,10),
폴리(헵타메틸렌 피멜아미드)(나이론 7,7),
폴리(옥타메틸렌 수베르아미드)(나이론 8,8),
폴리(헥사메틸렌 아젤아미드)(나이론 6,9),
폴리(노나메틸렌 아젤아미드)(나이론 9,9),
폴리(데카메틸렌 아젤아미드)(나이론 10,9),
폴리(4-아미노부티르산)(나이론 4),
폴리(6-아미노헥사산)(나이론 6, 폴리(카프로락탐)이라고도 함).
폴리(7-아미노헵탄산)(나이론 7)
폴리(8-아미노옥탄산)(나이론 8)
폴리(9-아미노노난산)(나이론 9)
폴리(10-아미노데칸산)(나이론 10)
폴리(11-아미노운데칸산)(나이론 11)
폴리(12-아미노도데칸산)(나이론 12)
뿐만아니라 나이론 46, 나이론 66 및 나이론 69 등을 들 수 있다.
2이상의 지방족 폴리아미드 혼합물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폴리카보네이트계 호스트 중합체는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적절한 스티렌계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스티렌 호모중합체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같은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호스트중합체는 착색중합체 조성물내에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40-99%, 보다 바람직하게는 60-99%, 가장 바람직하게는 90-99%량으로 존재한다.
상기 안료/분산제 조성물은 착색중합체 조성물내에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60%,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존재한다.
특정 몰비의 분산제 전구체를 사용하여, 분산제의 혼화성을 호스트 중합체에 맞출 수 있다.
융점과 점도같은 분사체의 특성을 특정호스트 중합체 공정특성에 맞출 수 있다.
융점 및 점도는 조성물내의 경성과 가요성 성분의 비를 조절하여 맞출 수 있으며, 점도는 제조도중 생기는 축중합도를 조절하여 혹은 선택적으로 단기능성 알콜이나 아민 같은 말단 캐핑제(end capping agent)를 부가하여 조절 될 수 있다.
가요성은 지방족 사슬내의 원자수에 관련되며 분자에 이용가능한 자유도(degree of freedom)의 수로 측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는 표준 분자역학 계산에서 분획이 형성할 수 있는 확인의 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견고성(경성)은 방향족 공간자의 크기에 관련되며, 또한 이들 분획에 사용가능한 자유도의 부족에 관련된다.
경성(rigidity)과 가요성(연성)(flexibility)의 개념은 이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이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은 특정 호스트 중합체를 위한 양립성 분산제를 결정하기 위하여 분산제와 호스트 중합체의 융점, 점도, 방향족 분획 및 극성기 함량과 같은 인자의 유사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양립성(compatibility)는 일반적인 실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안료/분산제 조성물 뿐만아니라 착색된 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혼합 및 가열은 단일스크류, 트윈스크류 및 다중 스크류 압출기 같은 압출기, 압출기-혼합기 조합, 혼합기-내부믹서, 니더-내부믹서, 평면 믹서, 반베리(Banbury) 배치믹서, 고강도 믹서, 2-롤밀, 혼합스크류를 갖는 사출성형기, 모션리스 믹서, 리본 및 V-브렌더, 3 롤밀, 콜로이드밀, 고속믹서 및 볼밀내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착색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수성안료 분산물 또는 수성 습윤안료 케이크를 탈수하거나 최소 하나의 액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안료분산제와 접촉시킨다.
상기 안료분산제는 140℃에서의 브룩필드 점도가 2000cps-500,000cps이며, 150℃이하의 융점을 갖는다. 상기 안료분산제는 수성안료 분산물로부터 물을 빼내어 안료와 안료분산제의 견고한 혼합물을 형성한다.
그후 기울임, 가열 또는 진공화등에 의해 물을 제거한다. 그 후 상기한 바와같이 혼합물을 최소 하나의 호스트 중합체와 융해 혼합시킨다. 통상 상기 접촉은 약 75℃-150℃온도에서 행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최소 하나의 안료와 최소 하나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안료분산제를 혼합하고 최소 안료분산제의 융점까지 가열하여 착색 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혼합물을 냉각 및 펠릿이나 과립화시킨 다음 그 펠릿이나 과립들은 상기한 바와같이 최소 하나의 호스트 중합체와 혼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최소하나의 안료, 최소 하나의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아미드 안료분산제 및 상기와 같은 최소 하나의 호스트 중합체를 혼합하여 착색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한다.
이 사용을 위해, 상기 호스트 중합체의 융점은 상기 안료 분산제의 융점보다 최소 10℃ 높아야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호스트 중합체의 융점은 상기 안료 분산제의 융점보다 20-250℃ 높은 것이 좋다. 그후 상기 혼합물은 최소한 상기 안료분산제의 융점이상 그러나 상기 호스트 중합체의 융점이하의 온도로 그 안료 및 안료분산제가 긴밀하게 결합될 때까지 가열된다. 그후 혼합하고나서 최소 상기 호스트 중합체의 융점까지 가열하여 긴밀하게 혼합된, 착색된 중합체 조성물이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료, 안료분산제 및 호스트중합체는 건조혼합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 및 혼합단계는 단일 또는 트윈 스크류 압출기내에서 행해지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며, 조성물 성분의 성분비 및 대체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조성물 성분의 여러가지 비율 및 성분은 본 발명의 범주내인 것으로 이해된다.
실시예 1
교반기, 온도측정기 및 물 제거 증류장치가 장착된 반응기에 아디프산 8.52kg, 테레프탈산 13.57kg, 1,6 헥산티올 0.08kg Fascatⓡ 4100 유기 주석 촉매를 장입하였다. 상기 장입물을 교반을 시작하는 지점인 130-150℃로 서서히 가열하였으며 반응의 개시는 수증기의 발생으로 나타난다. 가열은 반응매스가 210-220℃에 이를 때까지 계속하였다. 이 지점에서 그리고 그 후 시간을 기준으로 산수(acid number)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를 취하였다. 산수가 약 5(ma KOH/g)에 도달했을때, 반응이 종결되고 생성물을 배출하였다.
임의로, 보다 고분자량인 생성물이 필요하면, 폴리축합반응이 연장되도록 가열을 계속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0,000을 초과하는 분자량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점도 생성물은 전반적인 적용의 플러싱단계에서 보다 덜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의 일반적인 물리적특성은;
융점 95-105℃
산 # 5(mg KOH/g)이하
Brookfield 점도 140℃에서 2000-6000cps
분자량 3000-5000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약 5kg과 프탈로-블루 습윤안료 5kg을 고속 Baker-Perkins 혼합기에 놓았다. 그 후 혼합 챔버 임펠러가 작동되었으며 약 100℃로 가열하였다. 먼저 습윤 안료로 부터 물을 따르어내고 그 후 단순히 증발되었다. 대부분의 물이 증발되었을때, 안료와 폴리에스테르가 균일한 혼합물을 형성하였으며 이는 배출 및 냉각되었다. 상기 생성물을 폴리스티렌 및 압출기와 혼화가능한 적절한 크기로 분쇄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플러쉬 및 분쇄된 안료 약 5kg을 버진(virgin) 폴리스티렌 약 5kg과 예비혼합한 후 통상의 단일 혹은 트윈 스크루우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하였다. 압출물(extrudate)이 멀티 스트랜드로 형성되었으며 이를 물에서 급냉한 후 펠릿화하였다. 상기 스트랜드는 부드럽고 조금 파쇄(break-out)되는 경향이 있는 가요성(flexible)이다. 펠릿화된 생성물은 쉽게 잘리며 매우 균일한 외관을 갖는다.
실시예 4
저분자량 폴리아미드는 Preparative Method of Polymer Chemistry, Sorensom (W.R., Campell T.W., Interscience, NY 1968, Contemporary Polymer Chemistry, Allcock, H.R., Lampe F.W., Prentice Hall, NJ, 1990)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합중합체의 합성에 관한 절차에 따라 제조되었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저분자량 폴리아미드 약 5kg과 프탈로-블루 습윤 안료 5kg(건조중량기초)을 고속 Baker-Perkins 혼합기에 놓았다. 그 후 혼합 챔버 임펠러가 작동되었으며 약 100℃로 가열하였다. 먼저 습윤 안료로 부터 물을 따르어내고 그 후 단순히 증발되었다. 대부분의 물이 증발되었을때, 안료와 폴리에스테르가 균일한 혼합물을 형성하였으며 이는 배출 및 냉각되었다. 상기 생성물을 폴리스티렌 및 압출기와 혼화가능한 적절한 크기로 분쇄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 제조된 플러쉬 및 분쇄된 안료 약 5kg을 버진 폴리스티렌 약 5kg과 예비혼합한 후 통상의 단일 혹은 트윈 스크루우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하였다. 압출물(extrudate)이 멀티 스트랜드로 형성되었으며 이를 물에서 급냉한 후 펠릿화하였다. 상기 스트랜드는 부드럽고 조금 파쇄(break-out)되는 경향이 있는 가요성(flexible)이다. 펠릿화된 생성물은 쉽게 잘리며 매우 균일한 외관을 갖는다.
습윤 안료의 플러슁 및 안료 착색 농축물을 제조하는 공정은 내오염성이 없는 최종 제조단계에서 건조안료를 취급하는 어려움이 없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생성물은 특히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 공중합체와 같은 중합체에 대한 안료/착색 농축물 공정에 매우 효과적이다.

Claims (26)

  1. a) 최소 하나의 안료,와
    140℃에서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가 2,000cps-500,000cps이고 융점이 약 150℃이하인 최소 하나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안료 분산제,
    의 혼합물; 및
    b)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및 스티렌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최소 하나의 호스트 중합체;
    를 포함하며,
    상기 안료 분산제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 상기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가 아니며, 상기 안료 분산제가 폴리아미드인 경우, 상기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아미드가 아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최소 하나의 모노(mono)-고리방향족 이산(diacid) 혹은 디(di)-고리방향족 이산, 과 각 기능기(functionality)가 알코올 및 아민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최소 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최소 하나의 디(di)- 또는 트리(tri)-작용성 지방족 유기 화합물의 반응생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이산 대 디- 또는 트리- 작용성 지방족 유기화합물의 몰비는 약 1:1 - 약 1:4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유기화합물은 약 6-12개의 탄소원자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최소 하나의 모노(mono)-고리방향족 이산(diacid) 혹은 디(di)-고리방향족 이산; 각 기능기가 알코올 및 아민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최소 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최소 하나의 디(di)- 또는 트리(tri)-작용성 지방족 유기 화합물; 및 각 기능기가 산, 알코올, 아민, 무수물, 에스테르, 산 할라이드 및 혼화가능한 이들의 혼합된 기능기로 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디-, 트리- 혹은 테트라-작용성 방향족 혹은 지방족 화합물;의 반응생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혹은 대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및 1,6-헥산디올의 삼원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테레프탈산 대 아디프산 대 1,6-헥산디올의 몰비는 약 0.5:1.9:2.6 - 1.5:0.9:2.6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프탈산, 프탈산 무수물, 프탈산 에스테르, 아젤라산, 세바스산 및 이들과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혹은 이들의 혼합물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의 반응생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a)수성 안료분산물 또는 수성 습윤 안료 케이크를, 브룩필드 점도가 140℃에서 2000cps-500,000cps이고 융점이 150℃이하인 최소 하나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안료 분산제와, 그 수성 안료분산제로부터 물을 분리하여 그 안료 및 안료분산제의 긴밀한 혼합물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조건하에서 접촉시키는 단계;
    (b)상기 분리된 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c)상기 혼합물을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및 스티렌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최소 하나의 호스트 중합체와 혼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안료분산제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 상기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가 아니며, 상기 안료분산제가 폴리아미드인 경우 상기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아미드가 아닌, 착색조성물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계는 약 75-150℃온도에서 행하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최소 하나의 모노(mono)-고리방향족 이산(diacid) 혹은 디(di)-고리방향족 이산, 과 각 기능기(functionality)기가 알코올 및 아민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최소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최소 하나의 디(di)- 또는 트리(tri)-작용성 지방족 유기 화합물의 반응생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최소 하나의 모노(mono)-고리방향족 이산(diacid) 혹은 디(di)-고리방향족 이산; 각 기능기가 알코올 및 아민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최소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최소 하나의 디(di)- 또는 트리(tri)-작용성 지방족 유기 화합물; 및 각 기능기가 산, 알코올, 아민, 무수물, 에스테르, 산 할라이드 및 혼화가능한 이들의 혼합된 기능기로 부터 선택된 최소 하나의 디-, 트리- 혹은 테트라-작용성 방향족 혹은 지방족 화합물;의 반응생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혹은 대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및 1,6-헥산디올의 삼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a)최소 하나의 안료와 최소 하나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안료 분산제를 혼합하고, 상기 안료분산제의 융점 온도까지 가열시키는 단계;
    (b)상기 (a)단계로부터 얻은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
    (c)상기 단계(b)로부터 얻은 결과 혼합물을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및 스티렌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최소하나의 호스트 중합체와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단, 상기 안료분산제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 상기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가 아니며, 상기 안료분산제가 폴리아미드인 경우 상기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아미드가 아닌,
    착색중합체 조성물 제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나아가 상기 혼합물을 펠릿 혹은 과립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혹은 대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및 1,6-헥산디올의 삼원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최소 하나의 모노(mono)-고리방향족 이산(diacid) 혹은 디(di)-고리방향족 이산, 과 각 기능기(functionality)기가 알코올 및 아민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최소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최소 하나의 디(di)- 또는 트리(tri)-작용성 지방족 유기 화합물의 반응생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최소 하나의 모노(mono)-고리방향족 이산(diacid) 혹은 디(di)-고리방향족 이산; 각 기능기가 알코올 및 아민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최소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최소 하나의 디(di)- 또는 트리(tri)-작용성 지방족 유기 화합물; 및 각 기능기가 산, 알코올, 아민, 무수물, 에스테르, 산 할라이드 및 혼화가능한 이들의 혼합된 기능기로 부터 선택된 최소 하나의 디-, 트리- 혹은 테트라-작용성 방향족 혹은 지방족 화합물;의 반응생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a)최소 하나의 안료; 최소하나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안료 분산제;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와 스티렌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고 그 융점이 상기 안료분산제의 융점보다 최소 10℃이상 높은 최소하나의 호스트 중합체; 를 혼합하는 단계,
    (단, 상기 안료분산제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 상기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가 아니며, 상기 안료분산제가 폴리아미드인 경우 상기 호스트 중합체는 폴리아미드가 아니다);
    (b)상기 단계 (a)로부터 얻은 혼합물을 혼합하고 안료 및 안료 분산제가 긴밀하게 결합될 때까지 최소한 상기 안료 분산제의 융점보다는 높으나 상기 호스트 중합체의 융점보다는 낮은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c)상기 단계 (b)로부터 얻은 혼합물을 혼합하고 최소 상기 호스트 중합체의 융점까지 가열하여 긴밀하게 혼합된, 착색된 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색중합체 조성물 제조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혹은 대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및 1,6-헥산디올의 삼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최소 하나의 모노(mono)-고리방향족 이산(diacid) 혹은 디(di)-고리방향족 이산, 과 각 기능기(functionality)기가 알코올 및 아민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최소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최소 하나의 디(di)- 또는 트리(tri)-작용성 지방족 유기 화합물의 반응생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최소 하나의 모노(mono)-고리방향족 이산(diacid) 혹은 디(di)-고리방향족 이산; 각 기능기가 알코올 및 아민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최소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최소 하나의 디(di)- 또는 트리(tri)-작용성 지방족 유기 화합물; 및 각 기능기가 산, 알코올, 아민, 무수물, 에스테르, 산 할라이드 및 혼화가능한 이들의 혼합된 기능기로 부터 선택된 최소 하나의 디-, 트리- 혹은 테트라-작용성 방향족 혹은 지방족 화합물;의 반응생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안료 분산제 및 호스트 중합체는 단계 (a)에서 건조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중합체의 용융온도는 상기 안료 분산제의 용융온도보다 약 20-250℃ 높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및 (c)는 단일 스크류우 압출기 혹은 트윈 스크류우 압출기에서 행하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11737A 1998-04-21 1999-04-14 착색중합체 제조용 착색조성물 KR100592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251698P 1998-04-21 1998-04-21
US60/082,516 1998-04-21
US09/252,271 1999-02-18
US09/252,271 US6096822A (en) 1998-04-21 1999-02-18 Low molecular weight polyester or polyamide pigment dispersing composition and color concentrate for the manufacture of colored polym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821A true KR20010034821A (ko) 2001-04-25
KR100592968B1 KR100592968B1 (ko) 2006-06-23

Family

ID=2676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737A KR100592968B1 (ko) 1998-04-21 1999-04-14 착색중합체 제조용 착색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096822A (ko)
EP (1) EP1080135B1 (ko)
JP (1) JP2002512284A (ko)
KR (1) KR100592968B1 (ko)
CN (1) CN1208376C (ko)
AT (1) ATE272088T1 (ko)
AU (1) AU740751B2 (ko)
DE (1) DE69918983T2 (ko)
MY (1) MY120801A (ko)
WO (1) WO19990543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3804B1 (en) 1997-05-27 2006-05-16 Milliken & Company Method to produce improved polymeric yarn
GB0115240D0 (en) * 2001-06-22 2001-08-15 Ciba Sc Holding Ag Process for printing textile fabrics
DE10335863A1 (de) * 2003-08-06 2005-03-03 Clariant Gmbh Kontinuierliche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igment-Masterbatches
CN100428521C (zh) * 2003-11-17 2008-10-22 富士施乐株式会社 有机半导体晶体管元件
CN1305958C (zh) * 2005-06-02 2007-03-21 广州市波斯塑胶颜料有限公司 一种强力分散、耐冲击abs色母粒及其制备方法
US20100204395A1 (en) * 2007-09-24 2010-08-12 Polyone Corporation Liquid color concentrate for polyester articles
US20090297714A1 (en) * 2008-06-02 2009-12-03 Xerox Corporation Flush pigment for solid inkjet ink
JP5766906B2 (ja) * 2008-10-30 2015-08-19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顔料・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US8722163B2 (en) 2011-09-16 2014-05-13 Pepsico, Inc. Recyclable colorants in plastic beverage containers
US9725572B2 (en) * 2012-05-10 2017-08-08 Badger Color Concentrate Inc. Liquid color concentrate for use in plastic articles
CN102675833A (zh) * 2012-05-28 2012-09-19 东莞市德诚塑化科技有限公司 用于制造着色聚合物的浓色母料及其制备方法
CN104109349A (zh) * 2013-04-19 2014-10-22 上海杰事杰新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通用性全生物降解色母料及其制备方法
CN106009598A (zh) * 2016-08-17 2016-10-12 林炳祥 一种ppc色母
CN106633693A (zh) * 2016-12-13 2017-05-10 苏州宝力塑胶材料有限公司 聚乳酸纤维纺前原液着色用色母粒
CN106633694A (zh) * 2016-12-13 2017-05-10 苏州宝力塑胶材料有限公司 涤纶海岛纤维纺前原液着色用色母粒
CN112029269B (zh) * 2020-08-12 2022-05-17 中广核俊尔(浙江)新材料有限公司 一种尼龙用耐热老化颜色稳定的色母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760743B (zh) * 2020-12-31 2021-12-21 扬州富威尔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有色低熔点聚酯纤维的制备方法
CN112795999B (zh) * 2020-12-31 2022-01-11 扬州富威尔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细旦黑色聚酯长丝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20975A (en) * 1957-01-11 1959-09-30 Ici Ltd Process for manufacture of coloured synthetic polyamide and synthetic polyester fibres
GB1044378A (en) * 1962-05-19 1966-09-28 Eastman Kodak Co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olymers
FR1600068A (ko) * 1968-12-30 1970-07-20
DE2710379A1 (de) * 1977-03-10 1978-09-14 Huels Chemische Werke Ag Verfahren zum gleichmaessigen einmischen von zusaetzen in thermoplastische kunststoffe
KR830000887B1 (ko) * 1978-08-01 1983-04-26 아놀드 세일러 선상 폴리에스테르를 용융착색하기 위한 안료조성물의 제조방법
JPS619453A (ja) * 1984-06-26 1986-01-17 Toyo Ink Mfg Co Ltd Abs樹脂用液状着色剤
DE3801344A1 (de) * 1988-01-19 1989-07-27 Hoechst Ag Verpackungsfolie, insbesondere wursthuelle, auf basis von polyamid
DE68926129T2 (de) * 1988-03-07 1996-08-14 Kanebo Ltd Geformte Artikel aus Polyamid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585841B2 (ja) * 1990-06-20 1997-02-26 帝人株式会社 ポリアミド原着用リキッド顔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ポリアミド原着糸
US5336314A (en) * 1993-07-30 1994-08-09 Ppg Industries, Inc. Polymers for pigment flus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12284A (ja) 2002-04-23
DE69918983T2 (de) 2005-08-11
KR100592968B1 (ko) 2006-06-23
CN1306553A (zh) 2001-08-01
US6096822A (en) 2000-08-01
WO1999054387A1 (en) 1999-10-28
ATE272088T1 (de) 2004-08-15
CN1208376C (zh) 2005-06-29
AU740751B2 (en) 2001-11-15
EP1080135A1 (en) 2001-03-07
MY120801A (en) 2005-11-30
AU3644099A (en) 1999-11-08
DE69918983D1 (de) 2004-09-02
EP1080135B1 (en) 200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968B1 (ko) 착색중합체 제조용 착색조성물
CA1056087A (en) Fluorescent colorants for plastics based on polyhydroxy polyester resins
US4115475A (en) Method to prepare copolyesteramides for moulding
TW491866B (en) Process of producing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JP5219822B2 (ja) ポリエステルおよびポリアミドの同時固相重合のための安定なポリアミド
CN100378138C (zh) 改进二氧化碳-环氧丙烷共聚物脆性和冷流性的方法
JPH07509263A (ja) 風味保持性及び透明性の改良されたコポリエステル/ポリアミドブレンド
KR20200121836A (ko) 리사이클링된 재료를 폴리에스테르 용융물로 혼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H07503263A (ja) 着色された導電性ポリアニリン配合物
JP2001504143A (ja) 着色剤として共重合置換1,4―ビス(2,6―ジアルキルアニリノ)―9,10―アントラキノンを含むポリエステル
CN101395221B (zh) 聚酯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以及成形体
US4267310A (en) Process for producing spherical particles of crystalline polymers
TW570952B (en) Preparation of polyester resins using a masterbatch of polyaryleneamide
CN102994033B (zh) 一种聚酯类胶黏剂
US329041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modified polyesters having good dyeability
CN1197083A (zh) 使用喹诺茚酮衍生物染料的整体染色方法
JPS5893756A (ja) 導電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US4089819A (en) Process of preparing vesiculated polyester resin granules
JP3175478B2 (ja) ポリアミド樹脂の製造方法
US20040230019A1 (en) Poly (alpha-methylene-gama-methyl-gamma-butyrolactone-c-glycidyl methacrylate): preparation, polymer blends derived therefrom, and end uses thereof
US4268431A (en) Colorant-thickener dispersions for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JPH07188409A (ja) ポリアミド樹脂の製造方法
JP2001506287A (ja) 変性ポリエステル
US4273701A (en) Colorant-thickener dispersions for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JPH0782372A (ja) ポリアミド樹脂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