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4795A -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부의 전사층의 형성에 적합한용융압출재료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부의 전사층의 형성에 적합한용융압출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4795A
KR20010034795A KR1020007011660A KR20007011660A KR20010034795A KR 20010034795 A KR20010034795 A KR 20010034795A KR 1020007011660 A KR1020007011660 A KR 1020007011660A KR 20007011660 A KR20007011660 A KR 20007011660A KR 20010034795 A KR20010034795 A KR 20010034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
fluorine
extrusion material
image forming
carbon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구찌다쯔야
가또마사미
Original Assignee
이노우에 노리유끼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우에 노리유끼,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노우에 노리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3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79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85Structure, details of the transfer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부의 전사층의 형성에 적합한 용융압출재료; 특히 체적고유저항률의 컨트롤이 용이하며 비점착성이 우수하고, 평활성이나 강도가 우수한 함불소수지로 이루어진 용융압출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전사 벨트를 제공한다.
(A) 적어도 일부가 불소화된 충전재 및 (B) 함불소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로써, 얻어지는 피막 표면의 체적고유저항률이 108∼ 1013Ω·cm, 대수접촉각이 96。 이상, 표면 조도 Ra 가 0.5 ㎛ 이하, 피막의 인장강도가 25 ℃ 에서 400 kgf/㎠ 이상인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부의 전사층의 형성에 적합한 용융압출재료.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부의 전사층의 형성에 적합한 용융압출재료{MELT EXTRUDED MATERIAL SUITABLE FOR FORMING TRANSFER LAYER OF PHOTOSENSITIVE UNIT OF IMAGE FORMING DEVICE}
불소수지는 화학적, 열적 안정성에 더하여 표면윤활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전자사진기 분야의 전사재 담지체 및 화상형성부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불소수지 조성물은 1016Ω·cm 를 초과하는 체적고유저항률을 갖는 전기절연체이며, 전자사진기내의 가압 롤러나 급지 롤러 등에 있어서는, 정전기에 의해 지엽(紙葉)이 흡착되거나, 토너분이 흡착 또는 흩날리는 등의 트러블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래서, 불소수지 조성물에 도전성 물질을 배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도전성 물질로는, 카본블랙, 흑연분, 탄소섬유와 같은 탄소재료, 금속분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도전성을 얻기에 충분한 양의 카본블랙을 배합하면, 카본블랙의 스트럭쳐 때문에 수지점도가 높아져, 성형성을 현저하게 손상한다는 문제가 있다. 흑연분이나 탄소섬유와 같은 비등방적인 형상을 갖는 분체를 배합하면, 수지표면의 조도가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고, 표면조도가 상승하면 드럼이나 지엽과의 접촉에 얼룩이 발생하여, 화상이 흐트러진다. 금속분을 첨가하면 불소수지 특유의 우수한 내약품성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전자사진식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중간전사장치, 전사분리장치, 반송장치, 대전장치, 현상장치 등에 있어서, 도전성 벨트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전성 벨트로서,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에 도전성의 카본블랙을 배합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을 필름형상으로 성형가공한 것을 서로 연결하여 벨트형상으로 하여 사용한다. 또, 통형상 필름으로 압출성형하고, 이 통형상 필름을 수평방향으로 둥글게 절단한 것이 심리스 (seamless) 벨트로서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2-233765 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3-89357 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64-26439 호 등).
도전성 벨트는, 요구에 따라 여러가지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된다. 특히 불소계 중합체는, 난연성, 내구성, 내필밍성 (토너 이형성) 등이 다른 열가소성 수지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불소계 중합체 도전성 벨트를 이용한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에서는 도전성 벨트의 저항치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저하되어 화상이 열화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복사기 등의 중간전사벨트 등에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토너를 벨트 표면에 전기적으로 끌어당기기 위해 대전시킬 필요가 있고, 코로나 방전 등에 의해 반복적으로 고전압이 인가된다. 이 고전압에 의해 불소계 중합체 벨트는 저항치가 서서히 저하되어, 벨트에의 토너의 이행량이 감소되어 화상에 악영향을 미친다. 불소계 중합체 벨트에 있어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도전성 필러와 불소계 중합체와의 계면박리 및 중합체 내부의 결정부 결함 등에 의한 도전 캐리어의 트랩이 원인이 되어 공간전하 제한전류에서 저항치가 저하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전자복사기에서의 대전롤이나 벨트, 전사롤러, 현상롤러와 같은 소위 반도전성 롤러나 벨트에 있어서는 특정 범위의 도전성이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롤러나 벨트에 있어서는 체적고유저항률이 108∼ 1013Ω·cm 의 범위로 컨트롤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용도에 있어서, 통상의 도전성 물질을 배합한 불소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배합량의 정밀한 제어와 충분한 혼련을 필요로 한다. 그것은 통상의 도전성 물질을 불소수지에 배합해 가면, 어떤 배합량을 경계로 급격하게 저항이 떨어지기 때문에, 108∼ 1013Ω·cm 와 같은 좁은 범위내로 컨트롤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배합량에 의한 저항의 변화가 급하지 않고, 또한 내약품성 등의 불소수지 특유의 우수한 성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 점도의 상승 등의 역학적 성질이나 표면조도, 비점착성 등의 변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도전성 ·비점착성 불소수지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부의 전사층의 형성에 적합한 용융압출재료, 특히 체적고유저항률의 컨트롤이 용이하며 비점착성이 우수하고, 평활성이나 강도가 우수한 함불소수지로 이루어진 용융압출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전사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A) 적어도 일부가 불소화된 충전재 및 (B) 함불소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로써, 얻어지는 피막 표면의 체적고유저항률이 108∼ 1013Ω·cm, 대수접촉각이 96 도 이상 및 피막의 인장강도가 25 ℃ 에서 400 kgf/㎠ 이상인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부의 전사층의 형성에 적합한 용융압출재료, 및 그 재료를 이용하여 성형하여 이루어진 전사 벨트에 관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용융압출재료는, 적어도 일부가 불소화된 충전재 (A) 와 함불소 열가소성 수지 (B) 로 이루어진다. (A) 성분인 적어도 일부가 불소화된 충전재로는, 카본블랙, 탄소섬유, 석유 코크스, 흑연분 등의 탄소재료를 불소화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중, 카본블랙을 불소화하여 얻어지는 불소화 카본블랙, 특히 탄소원자에 대한 불소원자의 비 F/C 가 0.1 이상 1.0 미만, 특히 0.1 이상 0.5 미만인 불소화 카본블랙이 바람직하다.
성분 (A) 의 불소화 카본블랙의 F/C 가 0.1 미만일 때는, 불소화의 효과가 불충분하며, 불소화전의 탄소재료가 갖는 문제점, 즉, 배합량에 대한 저항의 변화율이 매우 커 도전성의 컨트롤이 곤란한 것, 또 발달된 스트럭쳐 때문에 불소화 카본블랙의 분산이 불균일해지거나, 얻어지는 조성물이 딱딱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그대로 남는다. F/C 가 1.0 이상일 때는, 목적으로 하는 도전성을 조성물에 부여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F/C 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된다. 불소화 카본블랙을 조연제 Na2O2및 폴리에틸렌필름과 함께 여과지에 싸 넣고, 산소를 충전한 밀폐 플라스크내에서 연소시키고, 발생한 플루오르화 수소를 플루오르화물 이온미터 (오리온사 제조 : 이온애널라이저 901) 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이 값에서 불소 함유량을 산출한다. 얻어진 불소함유량에 의거하여 F/C 를 산출한다.
이러한 불소화 카본블랙 (A) 은 폴리 (카본모노플루오라이드) 가 주성분을 이루는 것이며, 평균입자직경 0.01 ∼ 50 ㎛, 바람직하게는 0.01 ∼ 1 ㎛ 의 카본블랙을 불소가스에 의해 불소화한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입자직경이 50 ㎛ 를 초과하는 탄소재료, 예컨대 석유 코크스, 흑연분말, 탄소섬유 등을 원료로 얻어지는 불소화 카본블랙은, 수지에 도전성 및 비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양을 많이 해야하며, 얻어지는 조성물에 표면조도의 상승, 기계적 강도의 열화, 저항률의 불균일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불소화 카본블랙 (A) 의 탄소재료로서 적합한 것은 상기 평균입자직경을 갖는 카본블랙이다. 카본블랙으로는, 예컨대 고무용 파네스블랙 (예컨대, 아사히카본(주) 제조의 아사히 #55 등), 컬러용 채널블랙 (예컨대, 콜롬비아카본사 제조의 레벤 7000), 써멀블랙 (thermal black) (콜롬비아카본사 제조의 세바카보 MT-C1) 등의 시판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카본블랙중, 특히 일반적으로 도전성 카본블랙이라 칭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카본블랙은, 평균입자직경이 작고 (평균입자직경 0.1 ㎛ 이하), 표면적이 크고 (N2표면적 50 ㎡/g 이상), 스트럭쳐가 발달되어 있고 (흡유량 100 cc/g 이상), 불순물이 적고 (회분 0.1 % 미만), 그라파이트화가 진행되고 있는 등의 팩터로 정의되는 것이며, 비교적 적은 배합량으로 재료에 도전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구체예로는, 예컨대 케첸블랙 EC, 케첸블랙 EC-600JD (이상, 케첸블랙 인터내셔널(주)), 블랙펄스 2000, 발칸 XC-72, CSX-99 (이상, 캐블랙(주)), 덴카블랙 (전기화학공업(주)), 콘닥텍스 950 (콜롬비아카본(주)) 등이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불소화 카본블랙 (A) 은, 이러한 탄소재료를 200 ∼ 600 ℃ 의 범위의 온도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 500 ℃ 의 범위의 온도에서 불소가스와 접촉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 범위보다 낮은 반응온도에서는, 불소화 반응의 진행이 늦고, 불소화도가 올라가기 어렵고, 열안정성이 충분하지 않고, 불소화 카본블랙 특유의 비점착성, 윤활성 등의 특성이 발휘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일어난다. 역으로, 이 범위보다 높은 반응온도에서는 열분해반응이 일어나기 쉽고, 얻어지는 불소화 카본블랙의 수율이 낮아진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급격한 열분해반응이 발생하여 폭발에 이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충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반응에 사용하는 불소가스는 질소, 아르곤, 헬륨, 사플루오르화 탄소 등의 불활성 가스로 희석되어도 되고, 플루오르화 수소를 포함해도 된다. 또, 반응은 상압에서 실시할 수 있지만, 감압하 또는 가압하에서도 아무런 지장이 없다.
상기 조건 외에, 반응시간, 불소가스유량 등은 원료인 탄소재료의 불소와의 반응성이나 희망하는 F/C (불소 함유량) 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다음 (B) 성분의 함불소 열가소성 수지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용융압출성형이 가능한 함불소 열가소성 수지재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종래, 이 분야에서는 불소 고무나 실리콘고무 등의 고무재료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고무를 주체로 하는 재료는 용융압출할 수 없다.
함불소 열가소성 수지로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TFE)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적어도 1 종의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류,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비닐플루오라이드 등의 할로겐화 올레핀류,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류 등) 와의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함불소 열가소성 수지로는, 수소원자를 갖는 함불소 열가소성 수지가, 고강도가 얻어지는 점, 가공성이 우수한 점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에틸렌 (ET)-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TFE) 계 공중합체 (ET/TFE=40/60∼60/40. 몰비),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계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E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 (PVdF),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가, 고강도, 가공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함불소 열가소성 수지을 이용할 때는 범용수지와 비교하여 우수한 내열성, 비점착성, 발수발유성, 윤활성, 내약품성을 갖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그러한 범용수지로는, 예컨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니트릴 등의 비불소계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성분 (A) 와 성분 (B) 의 배합비율은, 1/99 ∼ 20/80 (중량비. 이하 동일) 이다. 성분 (A) 가 적어지면 불소화 카본블랙을 첨가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너무 많으면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 성분 (B) 에 더하여, 상기 비불소계의 열가소성 수지를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용융압출재료의 특징은, 가소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양호한 압출성형성을 얻을 수 있고, 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안정된 반도전성이 얻어지는 점에 있다. 따라서, 종래, 침출 (블리딩) 이 문제가 되어 오염의 원인도 되었던 저전기저항성의 에스테르계 가소제나 불소계 계면활성제의 첨가를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컨대 다음의 방법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조제할 수 있다.
수지와 불소화 카본블랙과, 필요에 따라서 최소한의 첨가물을 V 형 블렌더, 탬블러, 헨쉘믹서 등의 혼합기로 혼합한 후, 이축압출기 등의 용융혼련장치를 이용하여 더 혼합하여, 펠렛화한다. 이렇게 얻어진 펠렛은 압출성형기에 의해 원하는 형상의 성형물, 예컨대 벨트, 판상체, 필름 등으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용융압출재료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부의 전사층의 형성재료로서 적합한 물성을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재료를 용융압출성형하여 얻어지는 피막 (튜브, 필름 등) 은, 다음 물성을 갖는다.
(1) 표면의 체적고유저항치가 108∼ 1013Ω·cm, 바람직하게는 1010∼ 1013Ω·cm 인 것이다. 이 범위에 있는 경우, 우수한 토너 이동이 나타난다. 또, 동일피막표면에서의 체적고유저항률의 최대치/최소치의 비가 10 이하이며, 반도전성이 균일하여, 절연파괴가 발생되기 어렵다.
(2) 대수접촉각이 96 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98 도 이상이다. 대수접촉각이 크면 비점착성이 양호하다.
(3) 인장강도 (25 ℃) 가 350 kgf/㎠ 이상, 바람직하게는 360 ∼ 600 kgf/㎠ 이다.
또, (4) 표면조도 (Ra) 가 5 ㎛ 이하, 0.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조도 (Ra) 가 작은 평활한 표면은 토너의 잔존이 적어 화상형성성 면에서 우수하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전사 벨트는 고속회전시에 큰 텐션이 가해진다. 그러나, 종래, 상기 (1), (2), 나아가서는 (4) 의 특성을 만족시킨 상태에서 큰 인장강도를 부여하는 전사 벨트는 없고, 본 발명에서 처음으로 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재료는 용융압출성형법에 의해 여러가지 형태의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필름형상, 튜브형상, 판형상, 벨트형상 등의 성형품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용융압출성형품은 용융성형성이 우수하지 않으면, 균질한 것을 얻을 수 없다. 이 점, 불소화되어 있지 않은 카본블랙을 배합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스트럭쳐 때문에 용융점도가 현저하게 커지고, 용융혼련이 불충분해져, 분산이 불균일해진다. 본 발명의 재료는, 용융성형성의 지표중 하나인 멜트플로레이트 (MFR) 가 허용되는 범위내 (0.5 g/10 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0.7 g/10 분 이상. ETFE : 297 ℃, PVdF : 230 ℃, 하중 5 kg) 에 있고, 용융성형성과 함께 분산성 (혼련성) 도 양호하다.
본 발명은 또,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부의 전사 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화상형성장치로는, 전자사진 복사기, 팩시밀리, 레이저 프린터 등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전복사에 의거하여 토너의 전사를 실시하는 장치가 포함된다.
화상형성장치, 예컨대 전자사진 복사기의 감광부에는 통상, 반도전성 롤러인 대전 롤러, 현상 롤러, 전사 벨트 (또는 롤러) 가 있다.
전사 벨트는 통상, 엔드레스로 된 전사 벨트가 3 개의 롤러로 감광체 드럼에 전사지를 밀어붙임으로써, 감광체 드럼상의 토너상(像)을 전사지에 전사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전사 벨트는, 단일한 엔드레스 벨트 (두께는 통상 50 ∼ 250 ㎛) 이거나, 내열성 수지직포상에 전사층 (두께 약 10 ∼ 50 ㎛) 을 형성한 엔드레스 벨트이거나 하지만, 본 발명의 전사 벨트는 그들 종래의 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용융압출재료는 전사 벨트 이외에도, 전사 롤러, 대전 롤러, 현상 롤러 등의 저항체층으로서도 유용하다.
이러한 롤러는, 도전성 지지체상에 우선 도전성 탄성체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도전성 탄성체층용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실리콘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에피크롤히드린 고무, 니트릴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의 합성 고무중에 도전성 분말이나 도전성 섬유 (카본블랙, 금속 분말, 카본 섬유 등) 등을 혼입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고, 체적고유저항률이 105Ω·c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3Ω·cm 이하이며, 고무 경도 (JIS A) 가 20 ∼ 50 도, 바람직하게는 25 ∼ 40 도의 범위인 것이 사용된다. 또한, 도전성 분말 등의 혼입시, 저항조정이나 고무경도조정의 목적으로 가소제나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것은, 이들 약제는 경시적으로 흘러나와, 감광체 등의 표면의 오염 및 롤러 표면의 토너 필밍의 발생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도전성 지지체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또는 스텐레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융압출재료는, 통상의 용융압출성형법에 의해 튜브형상으로 막이 제조된다. 필요에 따라 연신해도 되고, 열수축성을 가져도 되지만, 통상은 연신이나 열수축성은 없어도 된다. 이러한 튜브의 두께는 0.01 ∼ 0.15 mm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필요로 하고, 이 값을 벗어나면 바람직한 감광부용의 롤러는 얻을 수 없다.
다음, 본 발명의 감광부용 롤러의 제조에 대한 구체예를 들기로 한다. 즉, 먼저 통형상 성형체의 내부에 심금과 본 발명에 관한 용융압출재료로 이루어진 튜브를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통형상 성형체의 내표면과 튜브의 외표면이 접촉하도록 배치해 두고, 상기한 간격에 도전성 탄성체층용 재료를 흘려넣고, 필요에 따라 가황함으로써 본 발명의 감광부용 롤러를 얻을 수 있다. 물론, 필요할 때 통형상 성형체로 피복된 튜브를 포함하는 롤러 부분을 꺼내두어야 한다. 이 때, 튜브의 내표면에 고무부분과 접촉하기 쉽도록 미리 에칭 처리, 프라이머 처리 등을 실시해 두어도 된다. 또, 미리 도전성 탄성체층을 제작해 두고, 그 표면에 본 발명에서의 튜브를 피복해도 된다. 이 때는, 튜브로는 열수축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롤러의 제조법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용융압출재료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부의 각종 롤러 또는 벨트, 특히 고강도가 요구되는 전사 벨트에 적합하다.
다음,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부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부의 전사층의 형성에 적합한 용융압출재료 및 그것을 사용하여 형성된 감광부의 전사 벨트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카본블랙 (전기화학공업(주) 제조의 덴카블랙. 평균입자직경 0.04 ㎛) 을 불소화하여 F/C 가 0.1 인 불소화 카본블랙을 제작하였다.
이 불소화 카본블랙 10 부와 ETFE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48/52. 몰비) 90 부를 헨쉘믹서에 의해 30 ℃ 에서 혼합한 후, 이축압출기 (도요세이끼(주) 제조의 라보플라스트밀) 로 300 ℃ 에서 용융혼련하여 압출하여, 펠렛을 얻었다. 이 펠렛을 압출성형기 (다나베 플라스틱(주) 제조의 30 φ단축압출기) 로 필름형상으로 용융압출하여 (300 ℃), 두께 150 ㎛ 의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에 대해, 다음 물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체적고유저항률)
JIS K 6911 에 준하여, (주)어드밴스트 제조의 저항측정셀 (레지스티비티·챔버 R12702A) 및 저항계 (디지털 초고저항계 R8340A) 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대수접촉각)
교와가이멘가가꾸(주) 제조의 접촉각계에 의해 측정한다.
(인장강도)
ASTM D 638 에 따라, 측정한다.
(표면조도)
도꾜세이미쯔(주) 제조의 표면조도 측정기 (Surfcom470A) 를 이용하여, 촉침선단 2 ㎛R 의 다이아몬드 픽업에 의해 샘플의 표면 2.5 mm 를 픽업속도 0.3 mm/초로 자동측정한다. Ra 는 JIS B 0601-1982 에 규정되는 중심선 평균조도이다.
또, 본 발명의 용융압출재료의 용융성형성을 조사하기 위해, ASTM D 3307 에 따라서, 용융유량 (MFR) (ETFE : 297 ℃, PVdF : 230 ℃, 하중 5 kg) 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 6
표 1 에 나타내는 F/C 를 갖는 불소화 카본블랙을 동표에 나타내는 양을 사용한 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얻고, 용융압출성형하고 필름을 제작하여, 각 물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7
ETFE 대신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VdF) 를 이용한 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얻고, 용융압출성형하고 필름을 제작하여, 각 물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불소화 카본블랙을 배합하지 않고 ETFE 단독으로 용융압출성형하고 필름을 제작하여, 각 물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 3
실시예 1 에 있어서 불소화 카본블랙 대신, 불소화되지 않은 원료 카본블랙 (전기화학공업(주) 제조의 덴카블랙. 평균입자직경 0.04 ㎛) 을 표 1 에 나타내는 양 배합한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용융압출성형하고 필름을 제작하여, 각 물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불소화 카본블랙 대신, 완전 불소화 카본블랙 (F/C = 1.1) 을 표 1 에 나타내는 양 배합한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용융압출성형하고 필름을 제작하여, 각 물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용융압출재료는 용융성형성이 우수하며 (MFR), 또한 불소화 카본블랙의 배합량을 변화시켜도 체적고유저항률의 변화가 적고 (실시예 1 과 2, 3 과 4, 5 와 6 을 비교), 비점착성 (대수접촉각) 및 평활성 (표면조도) 이 우수하며, 충분한 강도를 갖는 감광부의 전사 벨트 또는 롤러에 적용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Claims (8)

  1. (A) 적어도 일부가 불소화된 충전재 및 (B) 함불소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로써, 얻어지는 피막 표면의 체적고유저항률이 108∼ 1013Ω·cm, 대수접촉각이 96 도 이상 및 피막의 인장강도가 25 ℃ 에서 400 kgf/㎠ 이상인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부의 전사층의 형성에 적합한 용융압출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서 얻어지는 피막의 표면조도 Ra 가 0.5 ㎛ 이하인 용융압출재료.
  3. 제 1 항에 있어서, (A) 가 탄소원자에 대한 불소원자의 비 F/C 가 0.1 이상 1.0 미만인 불소화된 카본블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압출재료.
  4. 제 1 항에 있어서, (A) 가 탄소원자에 대한 불소원자의 비 F/C 가 0.1 이상 0.5 미만인 불소화된 카본블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압출재료.
  5. 제 1 항에 있어서, (A) 의 함유량이, 1 ∼ 2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압출재료.
  6. 제 1 항에 있어서, (B) 가 수소원자를 포함하는 함불소 열가소성 수지인 용융압출재료.
  7. 제 1 항에 있어서, (B) 가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 또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계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압출재료.
  8. 제 1 항에 기재된 용융압출재료를 이용하여 성형하여 이루어진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부의 전사 벨트.
KR1020007011660A 1998-05-13 1999-04-26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부의 전사층의 형성에 적합한용융압출재료 KR200100347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081198 1998-05-13
JP98-130811 1998-05-13
PCT/JP1999/002194 WO1999059033A1 (fr) 1998-05-13 1999-04-26 Materiau extrude par fusion se pretant a l'elaboration de la couche de transfert d'une unite photosensible de dispositif de formation d'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795A true KR20010034795A (ko) 2001-04-25

Family

ID=15043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660A KR20010034795A (ko) 1998-05-13 1999-04-26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부의 전사층의 형성에 적합한용융압출재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79282A4 (ko)
JP (1) JP3743288B2 (ko)
KR (1) KR20010034795A (ko)
WO (1) WO19990590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97B1 (ko) * 2001-08-23 2008-08-11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롤러용 폴리머 조성물,폴리머 조성물,및 도전성롤러,도전성 벨트
KR101157321B1 (ko) * 2008-03-06 2012-06-1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중간전사벨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4519A (ja) * 2001-09-13 2003-03-19 Daikin Ind Ltd 押出成形用フッ素系組成物、感光部用成形物製造方法及び感光部用成形物
JP6406295B2 (ja) * 2015-04-28 2018-10-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14110B2 (ja) * 2015-04-28 2018-10-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97648B2 (ja) * 2017-01-13 2019-10-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5431B2 (ja) * 1993-03-25 2002-04-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ッ素樹脂成形体およびその製法
JP3119288B2 (ja) * 1993-10-05 2000-12-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導電性および非粘着性を付与しうる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塗料ならびにローラ
JPH0862996A (ja) * 1994-08-18 1996-03-08 Oki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343877B2 (ja) * 1995-06-06 2002-11-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中間転写体
JPH09169917A (ja) * 1995-12-18 1997-06-30 Ricoh Co Ltd 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JP3423552B2 (ja) * 1995-12-21 2003-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担持ベルトとこのベルト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09269676A (ja) * 1996-03-29 1997-10-14 Tokai Rubber Ind Ltd プラスチック無端ベルト
US5849399A (en) * 1996-04-19 1998-12-15 Xerox Corporation Bias transfer members with fluorinated carbon filled fluoroelastomer outer layer
JP3823371B2 (ja) * 1996-06-05 2006-09-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ッ化カーボン組成物、塗料および画像形成部材ならびに複合材料および製法
US5761595A (en) * 1997-01-21 1998-06-02 Xerox Corporatio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97B1 (ko) * 2001-08-23 2008-08-11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롤러용 폴리머 조성물,폴리머 조성물,및 도전성롤러,도전성 벨트
KR101157321B1 (ko) * 2008-03-06 2012-06-1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중간전사벨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59033A1 (fr) 1999-11-18
EP1079282A4 (en) 2004-11-17
JP3743288B2 (ja) 2006-02-08
EP1079282A1 (en) 200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8139B2 (en) Heat-resistant material and coating material for OA equipments having flexibility
US8426026B2 (e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comprising a toughened fluoroplastic composite surface layer
KR100247854B1 (ko) 불소수지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3948227B2 (ja) エンドレスベルト、画像形成装置用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3743288B2 (ja) 画像形成装置の転写層用溶融押出材料
US20070181251A1 (en) Belt or roller for OA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OA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6149079A (ja) シームレスベルト
JP2005350621A (ja) 半導電性ポリ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組成物、半導電性樹脂成形物、及び該成形物の製造方法
CN114728487A (zh) 成型体
JP2002202668A (ja) エンドレスベルト、画像形成装置用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451506B2 (ja) 半導電性シームレスベルト
WO2022176820A1 (ja) 電子写真機器用帯電ロール
JP3983424B2 (ja) シームレスベルト、画像形成装置用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34763A (ja) 導電性フッ素系重合体ベルト
WO1999059034A1 (en) Melt-extrusion material suitable for forming outermost layer of fixing roller of fixing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4083253B2 (ja) シームレスベルト
JP2005154567A (ja) 難燃性ゴムベルト基材及びoa機器用ベルト
JP5242026B2 (ja) 接触式帯電/除電用導電シート
JP2003084519A (ja) 押出成形用フッ素系組成物、感光部用成形物製造方法及び感光部用成形物
JP2004331725A (ja) 半導電性フッ素系樹脂管状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5052146B2 (ja) ポリアリーレンチオエーテル系半導電性フィルム、該フィルムより形成された電荷制御部材、無端ベルトおよび該無端ベルト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用転写ベルト
JP3995368B2 (ja) シームレスベルト、画像形成装置用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3601906B2 (ja) 半導電性フッ素樹脂組成物および半導電性フッ素樹脂フィルム
JPH11286588A (ja) 半導電性フッ素系樹脂成形体とその使用
JPH06234903A (ja) 導電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シームレス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