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722A -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중합체 블렌드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중합체 블렌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722A
KR20010032722A KR1020007006011A KR20007006011A KR20010032722A KR 20010032722 A KR20010032722 A KR 20010032722A KR 1020007006011 A KR1020007006011 A KR 1020007006011A KR 20007006011 A KR20007006011 A KR 20007006011A KR 20010032722 A KR20010032722 A KR 20010032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phatic
weight
acid
parts
aromatic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랄프 티메르만
미하엘 포이그트
볼프강 슐츠-쉴리트
게오르크 쉬빈
마르쿠스 하물스키
Original Assignee
노르데니아 테크놀로기스 게엠베하
빌프리더 하이더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르데니아 테크놀로기스 게엠베하, 빌프리더 하이더,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노르데니아 테크놀로기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32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72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08L69/005Polyester-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2Polyester-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8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additives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between two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C08L59/00 - C08L8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20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according to C08L75/00 - C08L79/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지방족 또는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탄산염,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및(또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합체 5 내지 95 중량부,
2) 폴리올레핀 5 내지 70 중량부,
3) 개질 폴리올레핀 0 내지 25 중량부, 및
4) 충전제 및 강화제 0 내지 80 중량부를 함유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중합체 블렌드 {Polyolefins Containing a Polymer Blend}
착용이 매우 편안한 물질, 즉 수증기 투과성을 증가시킨 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 증가된 수증기 투과성은 의복 및 위생제품(예, 기저귀) 뿐만 아니라 건축 부문에서 지붕 내장 멤브레인 등 사용되는 많은 부문에서 높은 기능적 효율을 주는 필수적 특성이다.
여러 물질, 예를 들어 고어텍스(GoreTex)(R)(고어 인드(Gore Ind.)에서 제조한 특별히 연신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 또는 심파텍스(Sympatex)(R)(악조 (Akzo)에서 제조한 지방족-방향족 폴리에테르 에스테르)는 높은 수증기 투과성을 나타낸다(Roempps Chemie-Lexikon, Vol. 6, p. 5000, Thieme Verlag Stuttgart, 9th Edition 1992 참조). 두 물질 모두 특별한 제조 방법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원료도 매우 비싸다.
그러므로 제조하기에 용이하고 여러 응용에 요구되는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에 의해 높은 수증기 투과성을 획득하는 것이 목적으로 대두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임의로 충전제 및 강화제와 함께 폴리올레핀, 임의로 개질 폴리올레핀과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지방족 또는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탄산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및(또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의 블렌드가 매우 높은 수증기 투과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순수한 충전 폴리올레핀 필름과 대조적으로 매우 얇게 연신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1)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지방족 또는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탄산염,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및(또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합체 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특히 15 내지 60 중량부,
2) 폴리올레핀 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7 내지 60, 특히 10 내지 50 중량부,
3) 개질 폴리올레핀 0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특히 0 내지 15 중량부, 및
4) 충전제 및 강화제 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70, 특히 5 내지 60 중량부[상기 1), 2), 3) 및 4)의 총계는 100임]를 함유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성분 1)
성분 1)에 따라서 중합체는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지방족 또는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탄산염,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의 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A) 지방족 2관능가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선형 C2내지 C10, 바람직하게는 에탄디올,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헥산디올 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탄디올과 같은 C2내지 C6디알코올, 및(또는) 임의로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같이 시클로지방족고리내에 탄소원자가 5 또는 6개인 시클로지방족 2관능가 알코올, 및(또는) 디올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대신하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분자량이 8000이하, 바람직하게는 4000이하인 그의 공중합체 기재의, 단량체 또는 소중합체 폴리올, 및(또는) 임의로 소량의 분지 2관능가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네오펜틸 글리콜과 같은 C3내지 C12알킬 디올, 및 또한 임의로 1,2,3-프로판트리올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과 같은 소량의 보다 높은 관능가의 알코올로부터 뿐만 아니라, 지방족 2관능가 산, 바람직하게는 C2내지 C12알킬 디카르복시산,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숙신산, 아디프산, 및(또는) 임의로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과 같은 방향족 2관능가 산, 및 또한 임의로 트리멜리트산과 같은 소량의 보다 높은 관능가의 산으로부터, 또는
B) 바람직하게는 알킬사슬내에 탄소원자가 2 내지 12개인 산- 및 알코올-관능화된 단위, 예를 들어 히드록시부티르산, 히드록시발레르산, 락트산 또는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ε-카프로락톤 또는 디락타이드 또는 A 및 B의 혼합물 및(또는) 공중합체
(여기서 방향족산은 바람직하게는 모든 산에 관하여 80 중량% 이하, 특히 50 중량% 이하를 구성함)
로부터의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C) 지방족 2관능가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선형 C2내지 C10, 바람직하게는 에탄디올,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헥산디올 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탄디올과 같은 C2내지 C6디알코올, 및(또는) 임의로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같이 시클로지방족고리내에 탄소원자가 5 또는 6개인 시클로지방족 2관능가 알코올, 및(또는) 디올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대신하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분자량이 4000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이하인 그의 공중합체 기재의, 단량체 또는 소중합체 폴리올, 및(또는) 임의로 소량의 분지 2관능가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네오펜틸 글리콜과 같은 C3내지 C12알킬 디올, 및 또한 임의로 소량의 보다 높은 관능가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1,2,3-프로판트리올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과 같은 C3내지 C12알킬 폴리올로부터 뿐만 아니라, 지방족 2관능가 산, 바람직하게는 C2내지 C12알킬 디카르복시산,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숙신산, 아디프산, 및(또는) 임의로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과 같은 방향족 2관능가 산, 및 또한 임의로 트리멜리트산과 같은 소량의 보다 높은 관능가의 산으로부터, 또는
D) 바람직하게는 알킬사슬내에 탄소원자가 2 내지 12개인 산- 및 알코올-관능화된 단위, 예를 들어 히드록시부티르산, 히드록시발레르산, 락트산 또는 그의 유도체, 즉 ε-카프로락톤 또는 디락타이드 또는 C 및 D의 혼합물 및(또는) 공중합체
(여기서 방향족산은 바람직하게는 모든 산에 관하여 80 중량% 이하, 특히 50 중량% 이하를 구성함),
E) 유리산 또는 염으로서 지방족 및(또는) 시클로지방족 2관능가 및 또한 임의로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가 1 내지 12개 또는 5 내지 8개인 보다 높은 관능가의 이소시아네이트(예,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과, 임의로 또한 선형 및(또는) 분지 및(또는) 시클로지방족 2관능가 및(또는) 보다 높은 관능가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C3내지 C12알킬 디올 또는 폴리올 또는 탄소원자가 5 내지 8개인 시클로지방족 알코올(예, 에탄디올, 헥산디올, 부탄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및(또는) 임의로 또한 바람직하게는 알킬사슬내에 탄소원자가 2 내지 12개인 선형 및(또는) 분지 및(또는) 시클로지방족 2관능가 및(또는) 보다 높은 관능가의 아민 및(또는) 아미노 알코올(예, 에틸렌 디아민 또는 아미노에탄올), 및(또는) 임의로 에틸렌디아미노에탄술폰산과 같은 더 변형된 아민 또는 알코올과의 반응 생성물로부터의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여기서 C) 및(또는) D)의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C), D), 및 E)의 총계에 대하여 40 중량% 이상 특히 75 중량% 이상에 해당함),
F) 지방족 2관능가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디올, 부탄디올, 헥산디올 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탄디올과 같은 선형 C2내지 C10디알코올, 및(또는) 임의로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같이 시클로지방족고리내에 탄소원자가 5 또는 8개인 시클로지방족 2관능가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분자량이 8000이하, 바람직하게는 4000이하인 그의 공중합체 기재의, 단량체 또는 소중합체 폴리올, 및(또는) 임의로 소량의 분지 2관능가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네오펜틸 글리콜과 같은 C2내지 C12알킬디카르복시산, 및 또한 임의로 1,2,3-프로판트리올, 트리메틸올프로판과 같은 소량의 보다 높은 관능가의 알코올로부터 뿐만 아니라, 지방족 2관능가 산 및 바람직하게는 숙신산, 아디프산, 및(또는) 임의로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과 같은 방향족 2관능가 산, 및 또한 임의로 트리멜리트산과 같은 소량의 보다 높은 관능가의 산으로부터, 또는
G) 바람직하게는 알킬사슬내에 탄소원자가 2 내지 12개인 산- 및 알코올-관능화된 단위, 예를 들어 히드록시부티르산, 히드록시발레르산, 락트산 또는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ε-카프로락톤 또는 디락타이드 또는 F 및 G의 혼합물 및(또는) 공중합체
(여기서 방향족산은 바람직하게는 모든 산에 관하여 50 중량% 이하를 구성함),
H)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와 같은 방향족 2관능가 페놀 및 포스겐과 같은 탄산염 공여체로부터 제조된 탄산염 분획, 또는
지방족 탄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클로로포름산 에스테르 또는 지방족 카르복시산 또는 염과 같은 그의 유도체 및 포스겐과 같은 탄산염 공여체로부터 제조된 탄산염 분획으로부터의 지방족 또는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탄산염
(여기서 F) 및(또는) G)의 에스테르는 F), G), 및 H)의 총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상, 특히 70 중량% 이상에 해당함),
I) 지방족 2관능가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선형 C2내지 C10, 바람직하게는 에탄디올,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헥산디올,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탄디올과 같은 C2내지 C6디알코올, 및(또는) 임의로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같이 탄소원자가 5 또는 8개인 시클로지방족 2관능가 알코올, 및(또는) 디올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대신하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분자량이 10,000이하, 바람직하게는 8000이하, 특히 5000이하인 그의 공중합체 기재의, 단량체 또는 소중합체 폴리올, 및(또는) 임의로 소량의 분지 2관능가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네오펜틸 글리콜과 같은 C3내지 C12알킬 디올, 및 또한 임의로 1,2,3-프로판트리올, 트리메틸올프로판과 같은 소량의 보다 높은 관능가의 알코올로부터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알킬 사슬내에 탄소원자가 2 내지 12개인 지방족 2관능가 산,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숙신산, 아디프산, 및(또는) 임의로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과 같은 방향족 2관능가 산, 및 또한 임의로 트리멜리트산과 같은 소량의 보다 높은 관능가의 산으로부터, 또는
K) 바람직하게는 탄소사슬내에 탄소원자가 2 내지 12개인 산- 및 알코올-관능화된 단위, 예를 들어 히드록시부티르산, 히드록시발레르산, 락트산 또는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ε-카프로락톤 또는 디락타이드 또는 I) 및 K)의 혼합물 및(또는) 공중합체
(여기서 방향족산이 바람직하게는 모든 산에 관하여 80 중량% 이하, 특히 50 중량% 이하를 구성함),
L) 바람직하게는 선형 지방족 디-C2내지 C10-알킬 아민과 같은 지방족 및(또는) 시클로지방족 2관능가 및(또는) 임의로 소량의 분지 2관능가 아민, 및 또한 임의로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디아민, 이소포론 디아민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같은 소량의 보다 높은 관능가의 아민의 아미드 분획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알킬 사슬내에 탄소원자가 2 내지 12개인, 또는 시클로지방족산인 경우 C5내지 C6고리를 갖는 선형 및(또는) 시클로지방족 2관능가 산, 바람직하게는 아디프산, 및(또는) 임의로 소량의 분지 2관능가 및(또는) 임의로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과 같은 방향족 2관능가 산 및 또한 임의로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가 2 내지 10개인 소량의 보다 높은 관능가의 산, 또는
M) 바람직하게는 시클로지방족 사슬내에 탄소원자가 4 내지 20개인 산- 및 아민-관능화된 단위, 바람직하게는 ω-라우로락탐, ε-카프로락탐, 특히 바람직하게는 ε-카프로락탐의 아미드 분획, 또는 아미드 분획으로서 L) 및 M)의 혼합물로부터의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여기서 I) 및(또는) K)의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I), K), L) 및 M)의 총계에 대하여 30 중량% 이상에 해당하고, 에스테르 구조의 중량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중량%에 해당하며 아미드 구조의 중량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20 중량%에 해당함)가 적합한 중합체이다.
또한 분자량(중량 평균) 300 내지 10,000인 히드록실- 또는 산-말단 폴리에스테르를 에스테르-형성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산들을 유도체 형태, 예를 들어 산염화물, 또는 단량체 및 소중합체 에스테르와 같은 에스테르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에스테르 및 아미드 세그먼트의 랜덤 배열을 나타내고, 알코올 성분이 단량체 및 소중합체 디올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중합체 디올의 함량이 알코올 성분 총량에 대해 일반적으로 10 내지 99,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 몰%인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는 특히,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혼합물부터의 랜덤 또는 블록형 구조인 평균 분자량 100 내지 10,0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구성된 소중합체 폴리올; 및 바람직하게는 C2내지 C12알킬 디올, 특히 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3-프로판디올, 1,6-헥산디올과 같은 C2내지 C6알킬 디올인 단량체 디올; 및 디카르복시산, 바람직하게는 C2내지 C12, 특히 바람직하게는 C2내지 C12알킬 디카르복시산, 예를 들어 옥살산, 숙신산, 아디프산, 또한 그의 각각의 에테르 형태(메틸, 에틸 등), C2내지 C12알킬히드록시카르복시산 및 락톤, 예를 들어 특히 카프로락톤, 에탄올아민, 프로판올아민과 같이 알킬 사슬내에 탄소 원자가 2 내지 12개인 아미노 알코올, ε-카프로락탐 또는 라우로락탐 등과 같이 탄소 원자가 5 내지 12개,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1개인 시클릭락탐, 아미노카프로산 등과 같이 알킬 사슬내에 탄소 원자가 6 내지 12개인 ω-아미노카르복시산, 아디프산, 숙신산과 같은 C2내지 C12알킬디카르복시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 디아미노부탄과 같은 C2내지 C12알킬 디아민의 혼합물(1:1 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분자량이 300 내지 10,000인 히드록실- 또는 산-말단 폴리에스테르를 모두 에스테르-형성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 총량에 대한 중합체내의 에테르 및 에스테르비율은 일반적으로 5 내지 85 중량%를 차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의 평균 분자량(폴리스티렌 표준에 관하여 크레졸에서 겔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Mw)은 일반적으로 10,000 내지 300,000,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15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100,000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의 합성은 임의로 물을 첨가하면서 출발 성분들을 화학량론 혼합한 후 반응 혼합물에서 물을 제거하는 것을 수반하는 "폴리아미드 방법" 및 과량의 디올을 첨가하면서 출발 성분들을 화학량론 혼합한 후 산기를 에스테르화시킨 후 에스테르교환반응시키거나 이들 에스테르를 아미드교환반응시키는 것을 수반하는 "폴리에스테르 방법" 모두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후자에서는 물뿐만 아니라 과량의 디올도 다시 증류제거한다. 상기의 "폴리에스테르 방법"에 의해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지된 촉매를 사용하여 중축합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폴리아미드 합성을 가속화 시키는 공지된 인 화합물 및 에스테르화를 위한 산 또는 유기금속성 촉매 모두뿐만 아니라 두 물질의 배합물도 중축합을 가속화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라이신 유도체 또는 아미노에틸아미노에탄올과 같은 다른 아미드 분지 생성물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아미드를 제조하는 중축합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이는 축합을 가속화시키고 분지 생성물을 얻게한다(독일 특허 제3 831 709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탄산염 및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거나 공지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된다(유럽 특허 공개 제304 787호,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95/12629호,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93/13154, 유럽 특허 공개 제682 054호, 유럽 특허 공개 제593 975호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탄산염,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는 분지화제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또한 중합체의 설명 참조). 이들 분지화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글리세롤과 같은 3관능가 알코올, 펜타에리스리톨과 같은 4관능가 알코올, 시트르산과 같은 3관능가 카르복시산일 수 있다.
성분 1)으로 인용된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10,000 g/mol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100,000 g/mol, 특히 15,000 내지 60,000 g/mol의 분자량을 갖고 일반적으로 중합체내 출발 물질의 무작위 분포를 갖는다. 중합체가 임의로 C) 및 D)로부터 뿐만 아니라 E)로부터 폴리우레탄의 전형적 방법으로 합성될 때에는 단량체 단위가 항상 완전무작위분포를 가질 것으로 기대될 수 없다.
성분 2)
분 발명에 따라서 적합한 폴리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또는 이소부틸렌과 같은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의 중합체이며, 이는 종래의 방법, 예를 들어 자유 라디칼 중합반응에 의해 또는 메탈로센 촉매작용에 의해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은 평균중량평균분자량 Mw(겔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측정)가 5000 내지 3,000,000이다. 고밀도폴리올레핀 및 저밀도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LDPE, LLDPE, MDPE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Ullma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Vol. A21, 페이지 487-577, 5th compl. rev. ed. 1992, VCH Verlag, Weinheim에 기재되어 있다.
성분 3)
개질 폴리올레핀은 상기 언급된 폴리올레핀을 그래프팅시킴으로써 또는 성분 2)에 언급된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과 바람직하게는 비닐 단량체와 같은 다른 단량체와 반응성기, 예를 들어 무수물, 아미노, 산, 에폭시, 에스테르 또는 케토기 또는 카르복시산염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폴리올레핀이다. 바람직한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는 말레무수물과 함께 아크릴산 및 그의 모노- 및(또는) 디-C1내지 C12-, 바람직하게는 C2내지 C6-알칸올의 알킬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개질 폴리올레핀은
a) 탄소원자가 2 내지 8개인 1종 이상의 α-올레핀 40 내지 99.9, 바람직하게는 88 내지 99.9 중량%,
b) 디엔 0 내지 50 중량%,
c)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일차 또는 이차 C1내지 C12알킬 에스테르 또는 그 에스테르의 혼합물 0 내지 45 중량%,
d) 부분 또는 전체가 또한 염으로 존재할 수 있는 말레무수물과 같은 올레핀 불포화 모노- 또는 디카르복시산 및(또는) 이 산의 관능성 유도체 0 내지 45 중량%,
e)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에폭시기-함유 단량체 0 내지 40 중량%,
f)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그의 비누화 생성물(비닐 알코올)과 같은 비닐 에스테르 0 내지 75 중량%의 조성(성분 b, c, d, e 및 f 중 1종 이상이 포함됨)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프트 또는 공중합 에틸렌/아크릴산(t-알킬) 에스테르, 에틸렌/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또는 알릴글리시드 에테르)/아크릴산(t-알킬) 에스테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말레산무수물 또는 에틸렌/말레산무수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개질 폴리올레핀의 분자량(평균 중량)은 일반적으로 5000 내지 3,000,000,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1,000,000이다(겔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의해 측정).
개질 폴리올레핀은 공지되어 있거나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예, 유럽 특허 공개 제77 415호).
성분 4)
무기 물질을 일반적으로 충전제 및 강화제로 사용한다. 이들은 유리 및 탄소 섬유와 같은 섬유성 강화제 및 활석, 운모, 백악, 카올린, 규회석, 석고, 석영, 백운석, 규산염과 같은 광물충전제이다. 광물충전제로는 특히 백악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전제 및 강화제를 표면-처리할 수 있다.
유리 섬유는 일반적으로 8 내지 14 ㎛의 섬유 직경을 갖고 연속 필라멘트 또는 절단 또는 분쇄 유리 섬유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섬유에는 적합한 분립 시스템 및 실란 기재 결합제 또는 결합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은 또한 자외선 안정제, 항산화제, 안료, 염료, 핵생성제, 결정화가속제 또는 지연제, 유동 보조제, 윤활제, 이형제 및 난연제와 같은 종래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및 임의로 다른 첨가제는 내부혼합기, 압출기, 이축압출기와 같은 종래의 유닛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각각의 성분을 혼합하고 150 내지 300 ℃와 같이 종래의 온도에서 용융-혼합 또는 용융-압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을 섬유 또는 필름 형태로 또는 부직포 부문(스펀 본드 또는 멜트 블로운)에서 사출성형에 사용할 수 있다.
필름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필름을 단독으로 또는 다른 부직포, 직포, 편포 또는 다른 필름과 함께 복합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위생제품(예, 기저귀, 위생수건, 성인용 실금용 패드), 일반적으로 패키징, 또한 의료계 등에서의 의복, 지붕 내장 멤브레인과 같이 건축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20 ℃ m-크레졸중의 1 중량% 용액을 사용하여 측정한 상대 용액 점도가 2.5이고, 랜덤 공중축합된 에스테르/아미드의 비율이 40/60인 아디프산, 부탄디올 및 카프로락탐의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40 중량%를 오미아(Omya)(독일 콜로근(히드로카르브(Hydrocarb) 95T))에서 제조한 미세 분할 초크 40 중량% 및 바스프(BASF)(독일 루드비그샤펜)에서 제조한 LDPE인 루폴렌(Lupolen)(R)20 중량%와 170 ℃에서 이축압출기(ZSK)를 이용해 배합하였다. 블렌드를 어려움 없이 펠렛으로 만들 수 있었다.
블로운 필름 장치에서 후속 공정으로 10 ㎛ 두께의 흰색 필름을 얻었다. 모콘(Mocon) 방법을 이용한 DIN 표준에 따른 이 필름의 물 투과성은 770 g/m2*d이었다.
〈실시예 2〉
에스테르/아미드의 비율이 70/30인 AH 염, 아디프산, 디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의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30 중량%를 오미아(독일 콜로근(히드로카르브 95T))에서 제조한 미세 분할 초크 40 중량% 및 바스프(독일 루드비그샤펜)에서 제조한 LLDPE인 루폴렌(R)30 중량%와 180 ℃에서 이축압출기(ZSK)를 이용해 배합하였다. 블렌드를 어려움 없이 펠렛으로 만들 수 있었다.
블로운 필름 장치에서 후속 공정으로 8 ㎛ 두께의 흰색 필름을 얻었다. 모콘 방법을 이용한 DIN 표준에 따른 이 필름의 물 투과성은 1030 g/m2*d이었다.
실시예 2에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마이드의 제조:
AH 염 710 g, 아디프산 253 g, 디에틸렌 글리콜 184 g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1380 g을 촉매인 티타늄(IV) 이소프로필레이트와 함께 혼합하고 질소대기하에서 240 ℃로 가열하였다. 물을 증류 제거하였을 때, 압력이 1 mbar 정도 감소하였다. 중축합 3 시간 후, 융점 186 ℃인 무색의 고분자량 물질(25 ℃ m-크레졸중의 1 중량% 용액을 사용하여 측정된 상대 점도 3.2)을 얻었다.
〈실시예 3〉
에스테르/아미드의 비율이 60/40인 AH 염, 아디프산, 디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의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35 중량%를 오미아에서 제조한 상기에 언급된 미세 분할 초크 30 중량%, 바스프에서 제조한 LLDPE인 루폴엔(R)30 중량% 및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루칼렌(Lucalen)(R), 바스프, 독일 루드비그샤펜) 5 중량%와 180 ℃에서 이축압출기(ZSK)를 이용해 배합하였다. 블렌드를 어려움 없이 펠렛으로 만들 수 있었다.
블로운 필름 장치에서 후속 공정으로 10 ㎛ 두께의 흰색 필름을 얻었다. 모콘 방법을 이용한 DIN 표준에 따른 이 필름의 물 투과성은 9230 g/m2*d이었다.

Claims (6)

1)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지방족 또는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탄산염,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및(또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합체 5 내지 95 중량부,
2) 폴리올레핀 5 내지 70 중량부,
3) 개질 폴리올레핀 0 내지 25 중량부, 및
4) 충전제 및 강화제 0 내지 80 중량부를 함유하는 혼합물.
제1항에 있어서, 자외선 안정제, 항산화제, 안료, 염료, 핵생성제, 결정화 가속제 또는 지연제, 유동 보조제, 윤활제, 이형제 및 난연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혼합물.
사출성형품, 섬유, 필름, 부직포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제1항에 따른 혼합물의 용도.
제3항에 있어서, 위생 부문에서, 패키징 재료로서, 의복 부문에서 또는 건축 부문에서 사용되는 용도.
제1 또는 2항에 따른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또는 성형물.
제1 또는 2항에 따른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사출성형품, 섬유, 필름, 부직포 재료, 패키징 재료.
KR1020007006011A 1997-12-03 1998-11-20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중합체 블렌드 KR200100327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53531.3 1997-12-03
DE19753531A DE19753531A1 (de) 1997-12-03 1997-12-03 Polymerblend enthaltend Polyolefine
PCT/EP1998/007459 WO1999028384A1 (de) 1997-12-03 1998-11-20 Polymerblend enthaltend polyolef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722A true KR20010032722A (ko) 2001-04-25

Family

ID=785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011A KR20010032722A (ko) 1997-12-03 1998-11-20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중합체 블렌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036113A1 (ko)
JP (1) JP2001525437A (ko)
KR (1) KR20010032722A (ko)
CN (1) CN1280596A (ko)
AU (1) AU1756099A (ko)
CA (1) CA2312489A1 (ko)
DE (1) DE19753531A1 (ko)
NO (1) NO20002674D0 (ko)
WO (1) WO1999028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7033B2 (ja) * 2000-02-02 2002-07-0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
JP2001253979A (ja) * 2000-03-09 2001-09-18 Asahi Kasei Corp ウレタン系エラストマー組成物
DE10037434A1 (de) * 2000-07-24 2002-02-14 Gerhard Behrendt Verträgliche Polymerlegierung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100888635B1 (ko) 2001-08-01 2009-03-12 에이치.비.풀러 라이센싱 앤드 파이낸싱 인코포레이티드 통기성의 생분해성 핫멜트 조성물
JP2006036883A (ja) * 2004-07-26 2006-02-09 El & Chem Corp 再生frp系熱流動性複合組成物
JP2006077063A (ja) * 2004-09-08 2006-03-23 Kaneka Corp 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CN1847296B (zh) * 2005-03-14 2010-12-01 住友化学株式会社 聚烯烃树脂组合物
EP2110407A1 (en) * 2008-04-16 2009-10-21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Blends of polar low density ethylene copolymers and poly(hydroxy carboxylic acid)s
CN101724238B (zh) * 2008-10-24 2012-05-2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聚碳酸酯/聚乙烯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440654B (zh) * 2015-12-09 2018-07-24 东莞市精伦实业有限公司 一种低硬度高强度的热塑性聚氨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
JP2018076413A (ja) * 2016-11-08 2018-05-1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透湿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1838A (en) * 1972-07-28 1975-08-26 Union Carbide Corp Environmentally degradable biodegradable blends of a dialkanoyl polymer and an environmentally degradable ethylene polymer
CA1111179A (en) * 1978-02-17 1981-10-20 Eric G. Kent Polymeric casts
US4511687A (en) * 1981-06-03 1985-04-16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Polycaprolactone composition
JPS58125735A (ja) * 1981-09-14 1983-07-26 Toray Ind Inc 樹脂組成物
FR2519034A1 (fr) * 1981-12-29 1983-07-01 Ato Chimie Matieres textiles a base de polyolefines
JPH0757832B2 (ja) * 1987-12-18 1995-06-21 東レ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5230301A (ja) * 1992-02-19 1993-09-07 Toray Ind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496991B2 (ja) * 1994-11-15 2004-02-16 東燃ゼネラル石油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648088A (en) * 1995-03-06 1997-07-15 Ethicon, Inc. Blends of absorbable polyoxaesters containing amines and/or amide groups
US5952088A (en) * 1996-12-31 1999-09-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component fi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6113A1 (de) 2000-09-20
AU1756099A (en) 1999-06-16
WO1999028384A1 (de) 1999-06-10
CN1280596A (zh) 2001-01-17
NO20002674L (no) 2000-05-25
NO20002674D0 (no) 2000-05-25
DE19753531A1 (de) 1999-06-10
CA2312489A1 (en) 1999-06-10
JP2001525437A (ja) 2001-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7510B (fi) Biologisesti hajoavia polymeereja, menetelmä niiden valmistamiseksi, sekä niiden käyttö biologisesti hajoavien muotokappaleiden valmistukseen
US6344535B1 (en) Polyether ester amides
JP3493472B2 (ja) 熱可塑的に加工可能な、生物分解性の脂肪族ポリエステルアミド
CN111801385B (zh) 成形体、片材及容器,以及管状体、吸管、棉签及气球用杆
EP0879265B1 (en) Polyester/polyesteramide blends
EP0518703A2 (en) Sulfon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US20050107505A1 (en)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object thereof
CA1339026C (en) Degradable thermoplastics from lactides
CN1059919A (zh) 含聚羟基酸和一种相容剂的薄膜
CZ95799A3 (cs) Biodegradovatelné polyestery
WO2008004490A1 (fr) Composition de polyester aliphatiqu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KR20010032722A (ko)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중합체 블렌드
JPWO2010013483A1 (ja) 樹脂組成物及びシート
CN1276807A (zh) 具有抑制结晶度的共缩聚物
CN109897370A (zh) 一种生物基弹性体组合物及其制备的薄膜和层合物
WO2021241712A1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及び生分解性樹脂成形体
KR101153909B1 (ko) 공중합폴리에스테르, 그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US5691412A (en) Polyamide/aliphatic polyester block copolymer,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blend containing the same
JP5233335B2 (ja) 樹脂組成物並びに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品及びフィルム
JPH04211452A (ja) 加工性の改良されたポリアミド成型材料
JPH0221420B2 (ko)
JPS5971348A (ja) 樹脂組成物
KR100255116B1 (ko)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방법
US20240166871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morphous polyhydroxyalkanoate and use thereof
JP7106936B2 (ja) 成形体、シート及び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