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745A - 방광내 약물주입기 - Google Patents

방광내 약물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1745A
KR20010031745A KR1020007004810A KR20007004810A KR20010031745A KR 20010031745 A KR20010031745 A KR 20010031745A KR 1020007004810 A KR1020007004810 A KR 1020007004810A KR 20007004810 A KR20007004810 A KR 20007004810A KR 20010031745 A KR20010031745 A KR 20010031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device
drug
intra
intra bladder
b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츠우라데이비드지
길레스피월터딘
그릴리스존패트릭
파슨스찰스로웰
시리봉믹세이
줍카스폴에프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시투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시투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31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7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2Devices for releasing a drug at a continuous and controlled rate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14Post-treatment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 A61L17/145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61L27/3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10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3/00Antithrombogenic treatment of surgical articles, e.g. sutures, catheters, prostheses, or of articles for the manipulation or conditioning of blood; Materials for such treatment
    • A61L33/0005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33/0011Anticoagulant, e.g. heparin,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 fibrinolytic agent, other than enzymes, attached to the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3/00Antithrombogenic treatment of surgical articles, e.g. sutures, catheters, prostheses, or of articles for the manipulation or conditioning of blood; Materials for such treatment
    • A61L33/0094Physical treatment, e.g. plasm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3/00Antithrombogenic treatment of surgical articles, e.g. sutures, catheters, prostheses, or of articles for the manipulation or conditioning of blood; Materials for such treatment
    • A61L33/06Use of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3/08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5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 A61M5/1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pressurised by contraction of elastic reservo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rmat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방광내 약물주입기는 방광과 같은 체강에 이식된다. 이 장치는 팽창되지 않은 납작한 상태로 이식된다. 체강에 삽입된 후에, 장치는 약물과 같은 물질로 채워지고 팽창하게된다. 장치가 채워지고 나면 그 장치는 체강 내에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그 장치는 강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장치는 긴 시간에 걸쳐 조절된 속도로 약물을 방출한다. 약물을 일정속도로 방출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압력반응 밸브부를 갖는다. 밸브부의 유속 저항은 주입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약물의 압력에 반응한다. 밸브부의 저항은 약물주입 장치내의 압력의 감소에 따라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유속이 조절된다.

Description

방광내 약물주입기{Intravesical Infuser}
방광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은 전형적으로 전신에서 실행되어진다. 구강이나, 정맥주사, 근육주사 또는 피하주사방법을 통한 전신적인 약물의 전달은 그와 함께 부작용과 같은 다른 효과를 준다는 분명한 단점들이 있다. 약물은 또한 생리과정을 통해서 대사되거나 변형될 수도 있어, 방광에 도달하여 활성을 가지는 약물의 최종적인 양은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많은 약물이 신체 내에서 내성이 있기 때문에 복용량은 제한되어야만 하고, 그 결과 방광에 도달하는 전체 유효량은 감소하게 된다.
방광으로의 약물전달은 도뇨관을 통해 방광으로 주입하는 역주입방법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뇨관을 통한 역주입방법은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실시가능하다는 본질적인 단점이 있다(참조: Bladder Tissue Pharmacokinetics of Intravesical Taxol, Song, D, Wientjes, MG, Au, JL, Cancer Chemothrapy and Pharmacology, 40(4):285-92(1997); Yhe Pharmacokinetics of Intravesical and Oral Oxybutynin Chloride, Massad, CA, Kogan, BA, Trigo-Rocha, FE, Journal of Urology, 148(2 Pt 2):595-7(1992); Advances in Drug Delivery and Targeting, Goldstein, D, Lewis, C, Current Opinion in Oncology, 3(6):1096-104(1991); and, Intravesical Hyaluronic Acid in the Treatment of Refractory Interstitial Cystitis, Morales, A, Emerson, L, Nickel, JC, Urology, 49(Suppl 5A):111-113(1997)). 요도의 도뇨관을 통한 약물의 역주입법은 병원이나 잘 통제가 된 상황에서만 사용되어진다. 그 방법은 만성적인 도뇨관 질환의 치료에는 적합하지 않다.
스테판(Stephen) 등은 도뇨관을 통해 방광으로 약물을 주입하는 전동적 주입법을 이용하여 방광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시한다(참조: 미국특허 제 5,301,688호). 이 치료방법은 원래 만성적 질환의 치료가 아니라 입원환자나 외래환자의 치료에 적합하다.
수카다(Tsukada) 등은 도뇨관을 통해 장기간 환자에게 약물을 투입하기에 적합한 도뇨관에 연결하기 위한 주입기를 개시한다(참조: 미국특허 제 5,219,334호). 이 장치가 적절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카테테르법(catheterization)을 필요로 한다.
프레이어(Pryor) 등은 소의 혹위 같은 체내 강에 주입하는 나선장치를 개시한다(참조: 미국특허 제 5,062,829호). 이 나선장치는 시간에 따라 분비될 수 있는 약물을 포함하고 있고 또한 생체내에서 분해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약물이 고갈되고 나면 이 장치는 분해되고 자연적으로 소멸된다.
가레이(Garay) 등은 장기간에 걸쳐 위로 물질을 전달하기에 적합한 고리형의 주입기를 개시한다(참조: 미국특허 제 4,925,446호).
선행기술장치 중 어떤 것도 환자가 활동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장기간에 걸쳐서 약물전달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광내 약물방출의 문제를 언급하고 있지 않다.
무의식적인 요실금의 두가지 주요원인은 압박기의 불안정(detrusor instability)과 반사이상항진(hyperreflexia)이다. 옥시부티닌(oxybutinin)은 무의식적인 요실금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온 약물이며, 몇가지 성공사례를 가지고 있다. 전기 약물은 항 콜린작용을 하는 물질로서, 방광의 수축을 막고 직접적으로 평활근을 완화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불행히도 이 약물은 구강으로 투입할 경우 중대한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피부건조증, 구강건조증, 시야흐림증상, 변비나 요폐증이 그것이다. 심혈관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옥시부티닌은 빈박증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부작용들 때문에 옥시부티닌의 경구투입 허용량은 하루 10-15mg으로 제한되어 있다.
방광염은 방광에 염증을 일으켜서 무력하게 만드는 증상으로 자극과 통증을 유발한다. 이러한 상태는 심한 빈뇨를 유발하여 때때로 하루에 40-50회 또는 그 이상의 소변을 보게 하며 낭선종을 일으키기도 한다. 방광염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펜토산폴리설페이트(pentosanpolysulfate)를 포함한 몇 가지 약물들을 투여해서 치료할 수 있다. 펜토산폴리설페이트는 독일의 벤(Bene of Munich)사에서 제조되었으며, 엘미론(ELMIRON)이라는 상표를 달고 알자(ALZA)사에 의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환자가 비교적 정상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면서 장기간에 걸쳐 이 펜토산폴리설페이트를 투여할 수 있게 하는 만족스러운 방법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약물들과 관련된 부작용을 피할 수 있고 환자들이 활동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하면서 방광과 요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조직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약물전달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한가지 측면에서, 약물을 함유하는 유체 저수조와 유체 저수조에서 약물을 상호교류하는 유동제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이식가능한 약물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전기 장치는 포유동물의 체강에 이식되었을 때 장치에 물질이 침전되지 않도록 적응된 코팅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코팅은 요로에 존재하는 물질들의 침전을 방해할 수 있다. 코팅은 펜토산폴리설페이트(pentosanpolysulfate)와 같은 황화된 다당류일 수 있다. 코팅은 이식된 신체에 노출된 장치의 표면상의 표면코팅일 수도 있다. 코팅은 장치안으로 주입될 수 있다. 아울러, 코팅은 유동성을 증가시키도록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유동제한 배출구는 최소한 24시간, 5일, 15일 또는 그 이상의 기간 동안 약물을 방출할 수 있다. 약물은 액상이고 장치는 400㎕/hour 이하의 속도로 약물을 방출할 것이다.
장치는 이식중에는 1차 형태를 취하고 포유동물에 이식된 후에는 2차 형태를 취한다. 예를 들면, 장치가 비었을 때는 1차 형태를 취하고 장치가 채워졌을 때는 2차 형태를 취한다. 1차 형태는 일반적으로 확장될 수 있고 2차 형태는 아치형태가 될 수 있다. 유체 저수조는 탄력적일 수 있다.
장치내의 약물은 요실금 같은 실금의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약물은 옥시부티닌이다. 또한, 약물은 마취제, 진통제, 항생제 또는 항암제일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약물은 방광염의 치료에 이용될 수도 있다.
장치는 첫 번째 말단과 두 번째 말단을 갖는다. 전기 말단 중의 하나가 부력이 있거나 또는 첫 번째 말단과 두 번째 말단 둘다 부력이 있을 수 있다. 장치는 포유동물의 방광안으로 요도를 통해 들어갈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첫 번째 말단과 두 번째 말단을 가지며 액체를 함유하고 가압하도록 적응된 확장된 탄성부분을 포함하는 이식가능한 약물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장치는 탄성부분에 유체를 상호교류하는 배출구를 제공하는 흐름제어기(flow controll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흐름제어기는 장치에서 액체의 조절된 분비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장치는 액체로 채워지지 않았을 때는 상대적으로 직선형을 취하고 액체로 채워졌을 때는 곡선형태를 취하는 방식으로 탄성부분의 첫 번째와 두 번째 말단을 연결하는 상대적인 비확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대적인 비확장부는 탄성부분의 안쪽에 있을 수 있다. 탄성부분은 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대적인 비확장부는 전기 벽과 연합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상대적인 비확장부는 벽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인 비확장부는 탄성부분의 외측에 있을 수도 있다.
이식가능한 약물주입 장치는 장치에 외피저항성 코팅(encrustation-resistant coating)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팅은 펜토산폴리설페이트(pentosanpolysulfate)이다. 장치는 첫 번째 말단에 부양부분(buoyant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장치는 두 번째 말단에 부양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약물주입 장치를 이식하기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은 채워졌을 때 형태변화에 적응된 확장된 약물주입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은 약불주입 장치와 이탈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환자의 체내에 삽입하기에 적절한 주입기(introduc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관은 주입기와 연합되어 있고 약물주입 방치와는 이탈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도관은 체내에서 액체로 약물주입 장치를 충진하는데 사용된다. 도관은 주입기의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 도관은 약물주입 장치상의 분비가능한 밸브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비가능한 밸브는 격막봉합(septum seal)이고, 도관은 격막봉합을 뚫기위한 주사바늘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주입기 말단의 약물주입 장치에 넣도록 적응된 주입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확장자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방법은 환자의 방광내로 약물주입 장치를 전달하는 단계, 방광안에서 자유로이 유동하도록 방광내의 약물주입 장치를 분리하는 단계 및 자유로이 유동하는 약물주입 장치에서 방광안으로 약물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약물주입 단계는 탄성부(elastomeric member)로 약물을 가압하는 단계와 약물주입기에서 조절된 속도로 약물을 분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장치가 방광안에 있는 동안 약물로 약물주입 장치를 충진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충진단계는 약물주입 장치의 형태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형태의 변화는 윤곽상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형태의 변화는 비었을 때 직선형으로부터 채워졌을 때 곡선형으로 되는 것일 수 있다. 전달단계는 주입기의 내부가 비워진 상태에서 요도를 따라 방광으로 약물주입 장치가 삽입되는 단계와 다음으로 방광안에서 주입기로부터 약물주입 장치가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전달단계는 주입기로부터 약물주입 장치의 최소한 일부의 확장과 그 후 방광안의 약물주입 장치의 충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장치는 방광벽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기 방법은 약물주입 단계 후 방광에서 약물주입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기 방법에 사용되는 약물주입 장치는 비워져 있을 때는 1차 형태를 취하고 채워져 있을 때는 2차 형태를 취한다. 제거단계는 2차 형태에서 1차 형태로 약물주입 장치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단계와 이어 약물주입 장치를 요도 바깥쪽으로 꺼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형태에서 1차 형태로의 변화는 장치에 잔류된 약물을 장치에서 방출하는 장치의 통로의 개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 방법은 도관을 통해 약물을 통로로부터 방광의 외부로 방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장치의 제거는 소변의 흐름을 따라 요도의 바깥으로 장치의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장치의 제거는 포획과 뒤이은 장치의 회수를 포함할 수 있다.
방광으로 약물의 주입은 방광내에서 장치로부터 약물의 이동속도의 조절을 포함할 수 있다. 약물의 흐름의 조절은 압력반응 밸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물이 가압될 수 있고, 압력반응 밸브는 약물의 압력에 반비례하여 유동 통로의 영역을 변화시켜서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흐름의 조절은 압력반응 밸브의 유동체 흐름의 상류에 있는 유동제한 요소에 의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압력반응 밸브에 들어가는 약물의 압력이 감소할 수 있다.
전기 방법의 주입단계는 최소한 5일동안 방광내에서의 약물의 주입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방법에 사용되는 약물은 요실금 같은 실금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물은 옥시부티닌(oxybutynin)이다. 또한, 약물은 통증, 신경통 또는 방광염의 치료에 사용될 수도 있다. 약물은 항생제 또는 항암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틀, 틀내의 약물, 약물이 틀에서 분비될 수 있는 속도를 조절하기위한 흐름제어기 및 장치상의 코팅 또는 펜토산폴리설페이트를 포함하는 약물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물은 가압될 수 있고, 흐름제어기는 압력에 반응할 수 있다. 흐름제어기는 첫 번째 감압요소, 감압요소 및 전기 첫 번째와 두 번째 감압요소를 통과하는 유동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두 번째 감압요소는 약물의 압력에 반비례하는 방식으로 이동 통로의 단면영역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이식가능한 약물주입 장치는 확장된 유체 저수조의 단면 직경이 포유동물의 요도를 통해 이동하기에 충분한 1차 형태를 가지는 확장된 유체 저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된 유체 저수조는 2차 형태로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가압된 유동체를 유지할 수 있다. 확인 밸브 조립체는 확장된 유체 저수조의 첫 번째 말단에 배치되어 확장된 유체 저수조가 포유동물의 방광내에 위치하는 동안 확장된 유체 저수조의 내부로 가압된 유동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동제한 배출구는 확장된 유체 저수조가 포유동물의 방광에 존재하는 동안 확장된 유체 저수조에서 가압된 유동체가 분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장치는 장치를 방광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의 1차 형태는 최소한 하나의 대칭축을 갖는 직선형 구조를 갖을 수 있고, 2차 형태는 대칭축이 없는 곡선형 구조를 갖을 수 있다.
유동제한 배출구는 확장된 유체 저수조에서 신속하게 가압된 유동체를 제거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장치는 유동제한 배출구가 확장된 유체 저수조에서 가압된 유동체를 제거하도록 형성된 방출기기에 통합된 포획부(capturing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제한 배출구는 포유동물의 방광에 삽입되는 덮개와 맞도록 형성되어 가압된 유동체가 포유동물의 방광보다는 덮개의 도관을 통해 신속히 방출되도록 한다. 가압된 유동체는 진단수단일 수 있다. 확인 밸브 조립체는 유입도관을 막도록 편향된 유동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방광벽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장치는 앞서 열거한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광 내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약물주입기와 약물주입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삽입되지 않은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체에 의해 압력이 유지되거나 또는 팽창되어 형태가 변형된, 본 발명에 따른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선을 따라 자른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종단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3-3선을 따라 자른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다른 일실시예의 종단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근부말단의 상세도이다.
도 5는 주입기가 결합된 도 3의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근부말단의 종단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압력반응 밸브의 개략도(schematic representation)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압력반응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8-8선을 따라 자른 압력반응 밸브의 종단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압력반응 밸브에 외부압력 P가 가하여질 때, 단면 흐름이 감소함을 도시하는 압력반응 밸브의 종단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10-10선을 따라 자른 압력반응 밸브의 일실시예의 횡단방량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최소한의 유동 통로를 가지는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0과 같은 횡단방량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유동 통로를 가지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0과 같은 횡단방량의 단면도이다.
도 13a는 도 1의 13-13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에서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가압부(pressure member)의 첫번째 실시태양을 도시한다.
도 13b는 가압부의 두 번째 실시태양의 단면도이다.
도 13c는 가압부의 세 번째 실시태양의 단면도이다.
도 13d는 가압부의 네 번째 실시태양의 단면도이다.
도 13e는 가압부의 다섯 번째 실시태양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신장부의 다른 용도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종단방향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5는 신장부에 장력을 가하여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형태가 변형됨을 도시하는 도 14와 같은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종단방향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6a는 방광내에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장착을 도시하는 포유동물 방광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6b는 방광내 약물주입기가 방광내에 장착되는 동안, 약물로 방광내 약물주입기가 체외팽창 또는 채워짐을 도시하는 포유동물 방광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6c는 방광내에서 자유로이 유동하는 본 발명의 방광내 약물주입기를 도시하는 포유동물 방광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6d는 방광내에서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위축을 도시하는 포유동물 방광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6e는 방광에서 본 발명의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제거를 도시하는 포유동물 방광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7a는 압축가능 디스크를 포함하는 도 7의 밸브조립체를 10-10선을 따라 자른 도 7의 횡단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7b는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압력이 저하되어 유동 통로가 개방됨을 도시하는 도 17A와 같은 밸부조립품의 횡단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8a는 고압하에서 제한된 흐름을 갖는 주사바늘과 시트 밸브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18b는 감소된 방광내 약물주입기하에서 확장된 유동통로를 가지는 도 18A의 주사바늘 밸브를 도시한다.
도 19는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다른 실시태양의 종단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서 보여진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근부말단의 상세도이다.
도 20a는 도 20의 확인밸브 유지물의 홈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서 보여진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원부말단의 상세도이다.
도 22는 주입기가 연결된 도 19의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근부말단의 종단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3a와 23b는 각각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른 압력반응 밸브의 사시도와 절단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또 다른 압력반응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5a는 방광내에 도 19에 도시된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장착을 도시하는 포유동물 방광의 가상단면도이다.
도 25b는 체외팽창이후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해제를 도시하는 포유동물 방광의 가상단면도이다.
도 25c는 방광에서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수거를 도시하는 포유동물 방광의 가상단면도이다.
도 25d는 방광내에서 방광내 약물주입기의 수축을 도시하는 포유동물 방광의 가상단면도이다.
도 26은 환자에게서 도 19에 도시된 방광내 약물주입기를 수거하는데 사용되는 수거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방광과 같은 체강내부로의 방출에 적절한 장치인 독특한 방광내 약물주입 장치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어떤 물질로 채워질 수 있으며 채워진 장치내의 빈틈새나 방광입구의 막힘을 막기 위해 가역적으로 모양이 변화한다.
도 1에서 보듯이, 약물주입기(infuser, 10)는 중앙의 근부말단(proximal end, 12)과 반대편 쪽의 원부말단(distal end, 14)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방광에 사용하기 적절한 주입기는 부풀지 않았을 때의 길이가 약 4인치 이고 대략 3에서 6인치의 범위를 갖는다. 이때, 주입기의 직경은 약 0.25인치 여야 한다. 근부말단(12)과 원부말단(14) 사이의 확장은,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보면, 흘러들어오는 약이나 액체로 가압 되어지거나 담을 수 있기에 적절한 탄성압력부(elastomeric pressure member, 16)이다. 탄성압력부(16)는 적절한 탄성을 지닌 의학등급의 중합체나 실리콘으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면, 탄성압력부(16)는 내경은 거의 3/16인치의 내경과 1/4인치의 외경을 갖는 과산화물로 보존처리된(perovide cure) 60+/-10 Shore A인 USP 6등급의 실리콘 관이다. 또한, 탄성압력부(16)는 코팅되거나 또는 코팅되지 않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s), 폴리스티렌(polystyrenes), 부틸고무(butyl rubbers), 라텍스 고무(latex rubber) 또는 다른 합성되거나 자연적인 탄성체와 같은 탄성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탄성압력부(16)는 약물주입기(10)보다 약 1/2인치 짧을 수 있다. 근부 말단뚜껑(proximal end cap, 20)이 근부말단(12)에 제공될 수 있다. 근부말단뚜껑(20)은 길이가 약 0.44인치이고 직경이 약 0.25인치가 될 수 있다.
원부 말단뚜껑(distal end cap, 22)은 약물주입기(10)의 원부말단(14)에서 유사하게 제공된다. 원부 말단뚜껑(22)은 길이가 약 0.57인치이고, 직경이 약 0.25인치이다.
근부칼라(proximal collar, 24)는 근부 말단뚜껑(20)에서 탄성압력부(16)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한다. 비슷한 목적으로, 원부칼라(distal collar, 26)도 약물주입기(10)의 탄성압력부(16)을 보호하기 위해 원부말단뚜껑(22)을 사용한다. 근부말단뚜껑(20), 근부칼라(24), 원부말단뚜껑(22) 및 원부칼라(26)는 제네럴 엘렉트릭(Pittsfield, MA의 General Electric)사의 지이얼템(G.E. Ultem)과 같은 생체에서 장기간의 생화학적조화성을 갖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어떠한 열가소성 중합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약물주입기(10)는 에폭시와 같은 다양한 점착성물질을 사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약물주입기(10)의 근부말단(12)에서 제공되는 근위개구부(proximal opening, 30)는 탄성압력부(16) 속으로의 흐름을 유도한다. 근위개구부(30)의 직경은 약 0.1인치이다. 원위개구부(distal opening, 32)는 약물주입기(10)의 원부말단(14)에서 제공되는데, 조절된 속도로 약물주입기(10)에 존재하는 탄성압력부(16)에 의해 가압된 약물을 통과시킨다. 원위개구부(32)의 직경은 약 0.07인치이다. 물론, 장치를 변경 및 개조하여 양족의 개시점(30, 32)을 모두 하나의 말단에 놓을지 또는 하나의 개시점이 충진, 운반, 제거를 목적을 제공할 지는 고려할 수 있다.
도 2는 약물주입기(10)가 충진되거나 부풀려 있지 않은 상태이다. 도 1의 텅빈 주입기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윤곽이 뚜렷하고 탄성압력부(16)가 다소 이완돼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충진된 약물주입기(10)는 상대적으로 딱딱한 탄성압력부(16)가 팽팽하도록 한다. 도 2에서 도시된 실시태양은 근부말단(12)과 원부말단(14)사이를 연결하는 신장부(tensile member, 34)를 포함한다. 신장부(34)는 일반적으로 늘릴 수 없는 물질들로부터, 철사, 직물, 중합체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것으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신장부(34)는, 베르위크(Berwick of PA.Berwick)사에서 만든 너비 0.085인치, 두께 0.006인치의 중합체 리본으로 만들 수 있다. 탄성압력부(16)가 팽창되어 있거나 또는 어떤 물질로 충진되어 있을 때, 탄성압력부(16)는 방사상과 축방향으로 확장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축방향의 확장은 신장부(34)에 의해 방해받아, 결과적으로 주입기는 비선형 윤곽을 갖는다. 도 2에서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신장부(34)에 의해 유발된 장력의 결과 약물주입기(10)는 팽창하거나 아치형 모양을 갖게 된다. 장치가 비선형의 모양의 방광내 약물주입기(10)로 사용되어질 때, 이것은 충진되거나 팽창되어 원하지 않는 갑작스러운 빈틈새를 막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방광에 사용되어지는 적절한 약물주입기(10)의 팽창된 부피는 30 내지 40cc이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60cc 이상의 부피로 늘리거나 10cc 이하의 부피로 줄이는 것이 이로울 수도 있다. 비록, 도 2에 표현된 형태가 팽창했다고 하여도 다른 모양도 가능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인 곡선, 나선형, 슈퍼코일형 그리고 무작위로 접혀진 모양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장치내의 급작스런 틈새를 막는 모양의 변화가 윤곽상의 변화라고도 이해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만약 이식되어 질 때 장치가 직경 6mm의 원통형 모양을 갖는다면, 곧바로 요도를 막을 것이므로 방광안에서 충진될 때. 직경 150mm, 200mm 또는 그 이상의 직경을 가진 팽창된 모양을 갖는 것이 좋다. 이런 윤곽 자체의 변화는 갑작스런 빈틈의 발생기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모양변화의 측면을 보면 1차 형태는 요도를 통한 방광에서의 주입기의 대체를 쉽게하고 2차 형태는 주입기의 갑작스런 틈새를 막는다. 2차 형태는 방광구(bladder neck)를 막지 않는 모양을 유지하기 때문에 방뇨를 쉽게 한다. 예를 들어, 전기 묘사된 실시태양에서 원통형의 1차 형태는 요도의 직경보다 작아서 요도를 통해서 방광 속으로 놓여진다. 일단 삽입이 되면 고리형의 2차 형태의 약물주입기는 요도를 통과할 수 없고 환자를 방뇨로부터 막을 수 없다.
장치의 내용물이 방광 속으로 투여되면 장치는 최소한의 가역적인 모양변화를 겪는다. 가역적인 모양변화는 장치의 제거를 수반하게 한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장치는 기억된 모양을 갖고 그래서 장치는 그것의 내용물을 버림으로써 간단히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지 못한다. 이렇게 장치내의 물질이 일부, 또는 모두 버려진 후에도 장치는 요도를 통과하거나 방광의 목부분을 막지 않고 모양을 유지한다.
도 3은 주입기의 이완된 상태에서 종단방향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약물주입기(10)는 약물주입기(10)의 근부말단(12)과 원부말단(14)의 둘 사이에 있는 선택적인 포획부(capture member, 36)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포획부(36)는 봉합선 2-0, 열경화성 중합체, 실리콘, 폴리테트라플루오르 에틸렌, 또는 다른 적당한 생체적합적 물질과 같은 봉합물질의 고리(loop of suture material)이다. 비록, 고리모양으로 묘사 되었지만, 수거기에 의해 붙어 있을 수 있는 다른 적절한 모양도 사용된다. 그러한 모양은 약물주입기(10) 자체에서 걸쇠 메카니즘이나 성형화된 손잡이를 포함하기도 한다.
도 4에서 더 자세하게 보면, 근부말단뚜껑(20)은 피하주사바늘(hypodermic needle, 38)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근위개구부(30) 속으로 삽입되는 피하주사바늘(38)은 조절부(valving member, 42)와 조우하는 안내통로(guide channel, 40)를 통해 확장될 수 있다. 묘사된 실시태양에서 조절부(42)는 격막봉합(septum seal)이다. 격막으로 배열되었을 때 조절부(42)는 가급적 실리콘이나, 고무, 생체적합적 천연고무 또는 밀도있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조절부(42)는 예일 엔터프라이즈(A.E.Yale Enterprises of San Diego, CA under the part numbers VS 1065A and VSI HI PRO Green)에 의해 공급되는 두 부분의 실리콘 화합물로 만들어진다. 조절부(42)의 길이는 약 0.25인치, 직경은 0.161인치이다. 조절부(42)와 같은 격막 봉합은 한번 또는 그 이상의 찔림에도 날카로운 장치가 제거된 후 다시 봉합하는 동안 용기 내 내용물을 받아들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안내통로(40)와 격막봉합의 결합이 약물주입기(10)가 방광속으로 삽입되는 동안 주입기가 단단하게 피하주사바늘(38)에 붙어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근부말단뚜껑(20)이 컵모양으로 된 장점을 갖는 외막(outer shell, 44)을 포함한다. 소형 주사바늘 입구(needle port, 46)는 외막(44)의 안쪽에 딱 들어맞는다. 주사기의 배출구는 튜브형태로 소형 근부말단에서 근위개구부(30)까지 뻗어 나가는 소형 근부말단을 가진 튜브 모양이며, 원부 위치에서 소형 주사바늘 입구(46)가 뻗어 나갈 때 안내 통로(40)을 제한한다. 안내통로(40)로부터 외부로 방사형태로 뻗어있는 원형 플랜지(flange, 50)는 소형 주사바늘 입구(46)를 외막(44)의 안쪽으로 접촉시킨다. 그리하여, 안내통로(40)를 싸고 있는 소형 주사바늘 입구(46)는 밀착되고 초음파로 용접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근위개구부(30)에서 외막(44)에 적절히 붙혀진 후, 역시 플랜지(50)에 의하여 외막(44)의 말단부로 붙여진다. 도 4에서 도시된 근부말단뚜껑(20)의 실시태양은 외막(44)의 원부말단 안쪽에 딱 들어 맞게 놓여져 있으며, 또한 그곳으로부터 원부방향으로 펼쳐진 격막보유물(septum retainer, 52)을 포함한다. 격막보유물(52)의 근부말단은 원형플랜지(50) 반대편에 접해 있다. 격막보유물의 원부말단은 외막(44)와 동축으로 외막(44)로부터 원부방향으로 펼쳐져 있다. 더 적절한 실시태양에서 격막보유물(52)은 근부 말단뚜껑(20)과 함께 확실하게 탄성압력부(16)를 보유하기 위해 이랑 또는 틈(ridges or grooves, 54)을 포함한다. 원형 격막보유물(52)의 내부 직경은 그것으로부터 원부말단 부분에서 좁게된다. 플랜지(50)를 접합시키기 위하여 외막(44)쪽으로 모을 때, 격막 보유물(52)은 격막(42)의 근부말단에서 플랜지(50)에 대항하고, 또 그것으로부터 원부말단부분에서 격막보유물(52)의 화살 표시된 부분에 대항하여 격막(42)에 압력을 가한다.
튜브형태를 선호하는 탄성압력부(16)은 격막보유물(52)의 원부의 바깥부분을 너머 미끄러지게 된다. 그러면, 근부칼라(24)는 격막 보유물(52)과 근부칼라(24)사이에서 빈틈없는 밀봉을 가하며, 탄성압력부(16)를 조여줌으로써 근부말단뚜껑(20)의 위치에서 잠기게 된다. 가압상태에서 탄성압력부(16)는 격막 보유물(52)에 있는 이랑 또는 틈(54)에 의해 보존이 가능해진다. 근부칼라(24)는 그 아래에 존재하는 포획부(36)의 말단부를 고정시켜서 포획부(36)를 안전하게 지켜주는 장점이 있다. 유사하게 근부칼라(24)에 의해 내부에 방사형으로 발휘되고 있는 압력은 신장뷰(34)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게 한다. 신장부(34)는 압력부(16)의 근부말단에 존재하는 근부칼라(24)에 의해 발휘되어지는 압력에 의해 압력부(16)와 격막보유물(52)사이를 더욱 적절하게 틀어 막아준다.
다시 도 3에 대해 언급하면, 약물주입기(10)의 원부말단(14)은 원위개구부(32)에 의해 탄성압력부(16)로부터 약물의 양을 조절하여 제공한다. 그려진 실시태양에서 선형저항기(linear resistor, 56)는 원위개구부(32)를 관통하는 탄성압력부(16)의 내부로부터의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제공되어진다. 약물주입기(10)의 예전의 시작형(prototype) 제품에서 선형저항기(56)는 작은 면실, 봉합실 또는 외부차단 코팅(impervious coating, 62)에 의해 둘러싸인 다른 적절한 저항요소(suitable resistor element, 60)로 구성된다. 우리는 열경화 풀올레핀에 의해 둘러싸인 면 크로셰 실이 만족스러운 선형저항기(56)를 만든다는 것을 발견했다. 하나의 면크로셰실은 코트앤클락(Coats & Clark, Inc. of Greensville, South Carolina(part number Article C-44))에 의해 제조된 직경 0.022인치 정도의 흰색 면섬유 네가닥으로 되어 있다. 면크로셰실은 코트앤클락(Coats & Clark, Inc. of Greensville, South Carolina)에 의해 제조되며 그 트레이드 마크인 크로신(CROSHEEN)으로 종종 사용된다. 만족스런 외부차단 코팅(62)은 레이켐(Raychem, Menlo Park, CA)에 의해 제공된 0.032인치의 확대된 내부직경을 가진 열경화성 폴리올레핀이다. 선형저항기(56)에 의해 실행되는 저항성은 그 길이, 직경 및 구성된 물질에 따라 작용하며, 주어진 압력에 대해 선형저항기(56)의 속도 조절은 경험적인 방법에 의해 쉽게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적절한 저항요소(60)는 0.5 내지 10인치 정도의 길이가 될 것이다. 일반적인 경우에 있어서, 약물주입기(10)의 유속이 약 ±50%이내에서 유지될 때 전형적으로 유리하며 압력 상태의 다양성에 대해 ±30% 또는 ±20%정도면 더욱 적절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말단뚜껑(20, 21)이 부력을 제공하는 공기 주머니(air pockets, 64)를 포함한다. 물론, 공기 주머니의 사용은 선택적인 것으로써 말단 뚜껑(20, 22)을 저밀도의 물질로 대신 만들 수도 있고, 또는 말단 뚜껑(20, 22)의 안 또는 바깥에 공기주머니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부력을 증진시킬 적절한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주입기의 잔여물보다 더 가벼운 말단뚜껑(20, 22)을 만듦으로써 뚜껑(20, 22)을 뜨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요도는 방광구(bladder neck)에서 일반적으로 사람이 직립해 있을 때 방광의 밑바닥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말단 뚜껑(20, 22)은 방광이 가득 차 있을 때 또는 방뇨중인 동안 흐르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굽어진 약물주입기(10)의 굽은 중간 부분이 방광의 출구방향으로 존재하게 한다. 이렇게 굽은 부분이 일반적으로 흐름의 방향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약물주입기(10)가 굽어져 있거나 또는 말단 뚜껑을 가진 정확한 형태를 하고 있는 동안, 방광목을 막는 내부가 충진되어 있거나 또는 팽창된 형태의 약물주입기(10)가 갑작스레 방출되어지거나 방광구를 막는 일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부력을 가진 말단뚜껑(20, 22)은 삼각지역(trigone region)과 방광구의 통증을 최소화하거나 방비하여,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 한다.
도 5는 방광속으로 약물주입기(10)를 주입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을 도식적으로 그린 것이다. 바깥의 덮개(sheath, 66)는 약물주입기(10)가 빈 결함이나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농축적으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방광속으로 덮개 (66)가 요도를 가로지르도록 삽입한 후, 빈 틈이 있는 약물주입기(10)는 덮개(66)을 통과하여 지나간다. 덮개(66)의 안쪽으로 꽉 들어차게 놓여 있는 것은 직경이 약물주입기(10)과 거의 맞먹는 확장자(extender, 70)이다. 마지막으로 확장자(70)안에 농축적으로 위치한 피하주사바늘(38)은 약물주입기(10) 내의 격막(42)속으로 주입되어 피하주사바늘(38)에 대하여 약물주입기(10)를 유지시키고 결점을 보강시키거나 또는 충진되는 동안 약물주입기(10)의 손실을 막아주게 된다. 피하주사바늘(38)은 그 근부말단에서 유체 물질(액성약물과 같은)에 연결된다. 방광내부에서 덮개(66)와 함께 확장자(70)와 피하주사바늘(38)은 방광속으로 덮개(66)를 통과하여 약물주입기(10)를 밀어넣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하여 유체는 탄성압력부(16)를 가득 채워서 약물주입기(10)의 형태변형을 유도하기 위해 피하주사바늘(38)을 통하여 주입된다. 약물주입기(10)가 충진된 후 피하주사바늘(38)은 약물주입기(10)로부터 분리되며 확장자(70)를 통하여 수거된다. 약물주입기(10)는 환자의 방광안에서 자유롭게 유동하는 것이 허락된다. 그 후, 확장자(70)와 덮개(66)는 환자의 방광에서 수거된다.
도 19는 이완된 상태의 방광내 주입기의 선택적인 실시태양의 종단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약물주입기(10)는 원부말단(14)에 있는 선택적인 포획부(capture member, 236)를 포함한다. 약물주입기(10)의 원부말단(14)은 만약 필요하다면 제거과정동안 일반적인 약물 이동과 약물 배수를 위해 사용된다. 도 19에서 도시된 약물주입기(10)는 근부말단(12)에 있는 확인밸브(check valve, 242)를 통과하여 가압하에 탄성압력부(16)속으로 유체의 주입이 가능하게 한다. 확인밸브(242)는 유체가 약물주입기(10)속으로 삽입되어진 후 약물주입기(10)의 근부말단(12)를 통과하여 약물주입기(10) 외부로의 배출을 막는다. 이하의 더욱 상세한 설명에서 보듯이, 확인밸브(242)는 도 4 및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조절부(42)에 구멍을 내야할 피하주사바늘(38)의 필요성을 없앴다. 확인밸브(242)는 피하주사바늘(38)에 있어서 유속저항성을 없애주어 약물주입기(10)의 더욱 신속한 충진을 촉진한다.
확인밸브(242)는 도 20에서 자세히 보여준다. 근부 말단뚜껑 형태(proximal endcap form, 220)는 근부 말단뚜껑 형태(220)보다 더욱 부드럽고 편리한 말단뚜껑 범퍼(endcap bumper, 224)로 덮혀 있다. 말단뚜껑 범퍼(224)에 있어서 더욱 간편한 물질의 사용은 근부말단(12)와 조직세포와의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외형적 손상을 줄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말단뚜껑 범퍼(224)는 고분자성 물질이다. 근부말단(12)는 확인밸브구(check valve entrance, 246)로 통하게 해주는 개구부(opening, 230)를 갖는다. 앰플 유체 압력이 확인밸브구(246)의 원부말단에 위치하는 유동 디스크(fluid disc, 244)에 압력을 가할 때 유동 디스크(244)는 옮겨지고 유체가 유체챔버(fluid chamber, 250)로 들어가게 해주는 확인밸브구(246)로부터 제거된다. 유체챔버(250)속의 유체는 확인밸브 유지물(check valve retainer, 252)속의 틈을 통과하여 탄성압력부(16)의 내강 속으로 들어간다. 도 20a는 확인밸브 유지물(252)에 있는 네 개의 홈(groove, 254)을 더욱 확실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소형 스프링(small spring, 248)은 유체챔버(250)내부의 압력이 개구부(230) 내의 압력과 거의 같을 정도일 때 조차 확인밸브(242)가 닫혀 있도록 하기 위해 유동 디스크(244)에 대한 압력을 유지시켜 준다.
약물주입기(10)의 원부말단(14)은 도 21에서 자세히 보여준다. 원부말단(14)은 선택적인 포획부(236)와 결합한다. 포획부(236)는 2-0 봉합과 마찬가지로 포획부(36)에 대해 묘사된 것과 유사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약물주입기(10)가 포획부(236)에 제공된 인력(pulling force)으로 자신을 정렬시키기 위해 원부말단(14)의 중심으로부터 연결된 포획부(236)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원부말단(13) 역시 원위개구부(distal opening, 232)를 통과하는 탄성압력부(16)로부터 유체의 흐름을 측정하는 흐름 제어기(flow restrictor, 256)와 결합되어 있다. 흐름 제어기(256)는 다양한 소결되거나 기공성의 금속 또는 고분자 물질로부터 만들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흐름제어기(256)는 리버모어의 오스모닉스(Osmonics of Livermore, CA( 제품 번호 10505와 10501, 각각))로부터 제조되고 제공된 0.01 또는 0.05미크론의 기공 크기를 갖는 직경 13mm의 파밍턴의 모트 코포레이션(Mott Corporation of Farmington), CT 또는 퇴적된 기공성 폴리카르보네이트 막 디스크에 의해 제조되고 제공된 0.1미크론의 기공 크기를 가진 직경 0.062인치, 0.06인치 길이의 탕화된 티타늄의 실린더일 수 있다.
흐름 제어기(256)는 흐름 제어틀(flow restrictor housing, 280)에 포함되어 있다. 흐름 제어틀(280)은 밸브 시트(valve seat, 226)에 의해 원부 말단뚜껑 형태(distal endcap form, 222)안에 담겨져 있다. 밸브 시트(226)는 유체가 탄성압력부(16)안에서 밸브 시트 유동 통로(valve seat flow chamber, 282)를 통해 흐르도록 하는 원부 말단뚜껑 형태(222)의 내부 공간을 밀봉한다. 오링(O-ring, 286)은 유체가 흐름 제어틀(280) 주위가 아닌 흐름 제어기(256)을 통하여 흐르도록 하는, 흐름 제어틀(280) 쪽으로 밸브 시트(226)를 밀봉한다. 흐름 제어틀 스프링(restrictor housing spring, 284)는 밸브 시트(226)와 흐름 제어틀(280) 사이의 봉합의 견고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오링(286)에 압력을 가하는 밸브 시트(226)에 대하여, 그것에 힘을 가하는 흐름 제어틀(280)에 압력을 가한다. 원부 말단뚜껑 형태(222)는 원부 말단뚜껑 범퍼(distal endcap bumper, 228)에 의해 덮혀 있다. 원부 말단뚜껑 범퍼(228)는 조직세포와 원부말단 14의 접촉에 의한 외상을 줄일 수 있는 다루기 쉬운 물질로 만들어져 있다.
흐름 제어기(256)의 배출구 편에서, 유지물(retainer, 288)은 포획부(236)를 고정시킨다. 포획부(236)는 원위개구부(232)를 통과하여 약물주입기(10)를 배출한다. 포획부(236)의 위치는 이 장치가 요도를 통과하여 방광의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약물주입기(10)의 제거를 촉진시킨다. 만약 충분한 반대압력이 원부 말단뚜껑 범퍼(228)에 대항하여 유지되어지는 동안 포획부(236)가 배출된다면, 흐름 제어틀 스프링(284)은 압축하여 오링(286)을 이완시킨다. 이러한 방식에서 탄성압력부(16) 내부의 유체는 아마도 흐름 제어틀(280) 주위를 흐를 것이다. 이러한 모형은 탄성압력부(16)의 유체 내용물의 신속한 제거를 용이하게 하여 약물주입기(10)의 윤곽을 감소시켜서 장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해준다.
도 26은 환자로부터 약물주입기(10)를 다시 수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거기(retrieval device, 270)를 도시한다. 약물주입기(10)를 제거하기 위해서 덮개(sheath, 272)는 방광속으로 삽입된다. 한번 삽입되면 포획요소(capturing element, 276)는 방광안으로 확장되고 포획부(236)를 차지한다. 포획요소(276)는 원부 말단뚜껑 범퍼(228)를 끌어 당겨 도관구(channel entrance, 278)를 봉합하며 수거관(retrieval channel, 274)속으로 들어간다. 원부 말단뚜껑 범퍼(228)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간편한 물질은 원부말단(14)과 도관구(278) 사이를 봉합시키는데 유용하다. 약물주입기(10)에 대한 압력이 증가할 때, 흐름 제어틀 스프링(284)은 압축하여 오링(286)에 대한 압력을 이완시키며 또한 탄성압력부(16) 내부로부터 수거관(274)으로의 유체행로(flow path)를 창출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약물주입기(10)내부의 잔여물은 방광 속으로의 유체의 삽입을 막는 동안 요도를 통하여 배설되도록 약물주입기(10)의 자세를 낮추기 위해 약물주입기(10)로부터 제거될 것이다.
도 22는 주입 장치와 연결된 도 19의 약물주입기(10)의 근부말단의 종단방향의 단면도이다. 외부 덮개(sheath, 266)는 약물주입기(10)사 수축되거나 또는 덜 충진된 상태에 있을 때, 조밀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방광속으로 외부 덮개(266)가 요도를 통해 삽입된 후, 수축된 약물주입기(10)는 도 22에서 보여지는 위치속으로 덮개를 통해 지나가게 된다. 덮개(66)안에 조밀하게 자리잡고 있는 것은 말단뚜껑 범퍼(224)와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가진 확장자(extender, 262)이다. 확장자(262)의 원부말단에서 안전한 결합부품(secure coupling fitting, 260)은 약물주입기(10)의 개구부(230) 내에 적절하게 들어맞는다. 예를 들어, 안전한 결합부품(260)은 루어 부품(luer fitting)일 수 있다. 안전한 결합부품(260)이 약물주입기(10)의 개구부(230) 속으로 적절히 접합함은 충진 또는 팽창동안의 유체의 손실을 막아준다. 확장자(262)내부에 위치하는 주입관(introducer channel, 264)은 확장자(262)의 근부말단에 연결된 유체물질을 위한 유체통로를 제공한다. 유체물질로부터 압력을 받은 유체는 소형 스프링(248)을 누르게 되고 유동 디스크(244)를 확인밸브구(246)로부터 멀리 떼어 놓는다. 유체는 확인밸브구(246)를 통하여 주입관(264)로부터 유체챔버(250)로 흘러가게 되고 약물주입기(10)를 채우거나 또는 팽창시킨다. 충진이 완료될 때 주입관(264)내부의 유체압은 감소하고, 유동 디스크(244)는 확인밸브구(246)를 폐쇄하는 원래 자신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안전한 결합부품(260)은 약물주입기(10)으로부터 떨어져 나오고 확장자(262)속으로 수축된다. 확장자(262)의 수축은 약물주입기(10)를 환자의 방광 안에서 자유롭게 흘러 다닐 수 있도록 풀어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약물주입기(10)의 탄성압력부(16)의 외부로 약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압력반응 밸브(pressure responsive valve, 74)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탄성압력부 내부의 약물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탄성압력부 주입기의 압력 프로필(profile)이 시간을 초과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도 3의 선형저항기(56)와 마찬가지로, 선형의 저항기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흐름을 제공한다. 그것은 방광으로의 약물 이동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일정한 비율을 제공하는데 더욱 유리하다. 이러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압력응답 밸브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도 3A에서 참고 숫자가 동일한 부품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약물주입기(10)는 일반적으로 도 3과 연관되어 묘사된다. 그러나, 약물주입기(10)의 원부말단쪽으로, 유동 통로(flow channel, 76)의 영역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동성 벽(movable walls, 86)을 사용하는 압력반응 밸브(74)는 주입기의 외부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절한 밸브조절 기전은 도 6 내지 12와 연관지어 더욱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묘사된 밸브 중 어떤 것은 본 발명에 사용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압력반응 밸브의 한가지 적절한 형태에 대한 작동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압력 출처 P1은 유체를 유동 통로(76)를 통하여 유체 저수조(fluid reservoir, 72)에서 압력반응 밸브(74)로 움직이게 한다. 유체가 압력반응 밸브(74)에 도착할 때 압력반응 밸브(74)는 문제에 있어서 서로 다른 압력에 비례하여 흐름 저항성을 창출하는 안팎의 압력 차이를 받게 된다. 그리하여 도 6을 참조하면, 유체 저수조(72) 내의 표본압력 P1(exemplary pressure)은 압력반응 밸브(74) 외부로 제공된다. 이러한 압력 P1은 압력반응 밸브(74)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동 통로(76)에서 흐름이 이루어지는 영역의 면적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밸브 집합을 빠져 나갈 때 처럼, 유동 통로(76)의 내부의 압력을 압력 P3로 저하시키면서 유동 통로(76)를 통하여 흐르는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유체는 유동 통로(76)을 따라 출구(exit, 80)로 계속 흐른다. 적절한 실시태양에서 선형저항기(linear resistor, 82)는 도 3에서 자세히 보여준 구조를 갖거나 또는 굽이치는 통로, 모세관 또는 연속된 선택 통로들과 같은 다른 어떤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유체가 선형저항기(82)를 따라 흐른 후, 선형저항기(82)에 주입되는 압력 P1은 더 낮은 압력 P2로 줄어든다. 이러한 방식에서 압력 P1이 밸브조립체(76)에서 배출될 때(예를 들어 밸브 집합의 외부에서), 유동 통로(76)을 압력반응 밸브(74)안으로 수축시키는 압력 P2의 능력은 압력반응 밸브(74) 내의 압력이 P1에서와 마찬가지고 효율적이라면 압력 P2에 대해 반작용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리하여, 압력반응 밸브(74) 내부압력의 감소에 의해 선형저항기(82)는 압력반응 밸브(74)에 의한 유체흐름의 효과적인 제한이 쉽게 이루어 지도록 한다.
압력반응 밸브의 이러한 유형을 주목한다면, 유체의 흐름은 유체 저수조의 압력에서의 다양성에 반하여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것은 더 높은 압력(일반적으로 거대한 흐름을 용이하게 하는)이 압력반응 밸브(74)를 통과하는 유동 통로(76)의 더 큰 수축에 의해 반작용된다. 반대로, 유체 저수조(72)내부의 압력 P1이 감소할 때, 압력반응 밸브(74)를 통과하는 유동 통로(76)는 크기와 단면적이 증가하여, 결국 유동 통로(76)을 통하는 유체를 조절하는 압력의 감소를 보상하게 된다.
또 다른 적절한 실시태양에서, 두 번째 저항 요소인 배출 저항기(exit resistor, 84)는 압력반응 밸브(74)와 출구(80)사이에 제공된다. 배출 저항기(84)는 일시적인 압력 스파이크에 대해 보호할 수 있다. (뱉어냄에 의해 유도되거나 또는 다른 것이 복부압에서 증가한 것처럼) 배출 저항기가 없을 때, 이러한 압력 스파이크는 압력반응 밸브(74)를 통과하는 유동 통로(76)을 개방하며, 출구(80)을 통해 압력을 뒤쪽으로 보낼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복용한 환약이나 스파이크의 방출이 가능해 진다.
압력반응 밸브(74)의 실시태양이 도 7에서 보여진다. 이러한 실시태양에서 선형저항기(82)는 유체를 압력반응 밸브(74)의 첫 번째 말단에 연결시킨다. 배출 저항기(84)는 출구(80)의 외부와 환자의 내부로 유체를 보낸다. 압력반응 밸브(74)는 약물주입기(10)의 탄성압력부(16)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압력반응 밸브(74)는 약물주입기(10)의 탄성압력부(16)의 내부와 유체를 상호교류 함에 있어서 약물주입기(10)의 압력 요소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압력반응 밸브(74)의 종단방향의 단면은 도 8에서 단계적으로 도시된다. 도 8은 압력반응 밸브(74)의 윗 방향 말단에 존재하는 덮개(66)에 의해 덮혀 있는 저항요소(60)를 함유하는 선형저항기(82)를 도시한 것이다. 유동 통로(76)은 역시 덮개(66)에 의해 둘러싸인 저항요소(60)을 가진 배출 저항기(84)를 이끄는 압력반응 밸브(74)를 통해 배출된다. 압력반응 밸브(74)를 통과하는 유동 통로(7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동성 벽(86)에 의해 제한된다. 가동성 벽(86)은 어떤 변형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어 질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테프론,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풀리비닐리딘 클로라이드, 얇은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종이나 또는 직물과 같은 형태도 적합하다.
도 9에서 보듯이, 외부 압력(화살표 P가 가리키는)이 가동성 벽(86)의 외부에 가해질 때, 가동성 벽(86)은 유동 통로(76)을 수축하며 유동 통로(76)내부로 밀어 넣어 진다. 이러한 방식에서 압력 P가 증가할 때, 유동 통로(76)의 단면적은 감소하며, 따라서 압력반응 밸브(74)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수축시킨다. 가동성 벽(86)에 압력을 가하는 유동 통로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가동성 벽을 구성하는 여러 모형과 물질이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가동성 벽을 사용하는 압력반응 밸브나 스프링 또는 그와 비슷한 것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에 있어서처럼, 다른 압력 응답 요소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도 10 내지 12는 압력반응 밸브(74)의 위치에서 횡단면를 고려한 압력반응 밸브(74)의 적절한 실시태양을 도시한다. 도 10은 유동 통로(76)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성 벽(86)의 특징을 나타내는 단순한 압력반응 밸브(74)를 도시한다다. 도 10에서 유동 통로(76)는 열 봉합, 용제 용접, 알에프용접(RF welding), 주름잡기(crimping), 고정(clamping) 또는 그와 비슷한 것처럼 적절한 방법에 의해서 가장자리(edges, 110)에서 밀봉된 유연한 고분자의 두 개의 시트에 의해 제한된다.
압력이 가동성 벽(86)에 대해 발휘됨에도 불구하고, 압력반응 밸브(74)를 통하는 최소한의 작은 유동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가동성 벽 또는 세로축 홈, 이랑 또는 그와 같은 종류들과 같은 소형 유체 통로(flow channel, 112)가 있는 가동성 벽(86)이 놓여진 곳 반대편 표면을 제외하고, 도 11은 도 10에 그려진 것과 유사한 실시태양을 갖는다. 소형 유체 통로(112)는 가동성 벽(86)이 높은 외부압력하에서 함께 붙거나 유동 통로(76)을 수용될 수 없는 작은 영역으로 몰아넣는 것을 방지한다. 유체 통로(112)의 길이, 높이 및 너비는 유동 통로(76)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며, 그리하여 압력반응 밸브(74)의 원하는 흐름의 특성을 성취하게 한다.
유사한 배열이 도 12에서 도시되며, 거기서 유동 통로(76)의 개방성은 종단방향으로 확장하는 유체 통로(112) 사이에서 영구적으로 형성된 이랑(ridge, 114)에 의해 유지된다. 높은 외부 압력은 가동성 벽(86)이 밀접히 모여지게 하지만, 가동성 벽의 내부의 굴곡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압력하에서 비록 작은 유동 통로(76)라도 열려져 있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최소한의 유체 통로(112) 또는 이랑(114)에 더하여, 도 12에서 도시된 것처럼 유동 통로(76)을 열려있도록 하기 위해 또는 상대적으로 높은 외부 압력 상태에 있는 소형 유체 통로(112)를 제공하기 위해 심지요소(wicking element, 116)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2에서 심지요소(116)는 환형의 단면을 가진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심지요소(116)는 직사각형이나 또는 다른 필요한 모양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심지요소(116)는 망형구조물(webbing)이나 또는 평평한 물질의 망(web)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묘사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심지요소(116)의 직경과 길이는 유동 통로(76)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며, 그리하여 압력반응 밸브(74)의 요구되는 흐름의 특성을 달성할 수 있게 해준다.
압력반응 밸브(74)의 선택적인 실시태양이 도 23a 내지 23b에 도시된다. 굽이치는 유동 통로(76)은 흐름 장벽(flow barrier, 118)을 형성하기 위해 가동성 벽(86)과 결합함에 의해 창출된다. 유체는 배출 저항기(84)에 도착하고 압력반응 밸브(74)를 빠져나가기 위해서 흐름 장벽(118) 주위를 흐르도록 강요된다. 가동성 벽은 열 봉합, 초음파 용접, 용제결합(solvent bonding)과 같이 열 가소성 물질과 결합하기 위한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결합된다. 유체 장벽(118)의 너비와 수는 압력반응 밸브(74)에 작용하는 외부 압력에 의해 유동 통로의 수축의 정도를 결정한다. 유체 장벽의 수와 너비의 증가는 같은 압력에서 유동 통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감소시킨다.
도 24의 도안은 압력반응 밸브를 만드는 또 다른 방법을 나타낸다. 도 24의 압력반응 밸브(74)는 도 7에서 보여진 것처럼 선형 저항기(82)를 갖지 않는다. 대신에, 개구부(opening, 88)는 하나의 가동성 벽(86)의 근부에 위치하며, 압력반응 밸브(74)로 유동체의 유입을 제공한다. 배출 저항기(84)는 개구부(88)의 원부에 위치한다. 개구부(88)의 직경과 개구부(88)와 배출 저항기(84)사이의 간격은 압력반응 밸브(74)의 유동체 이탈의 양에 영향을 미친다. 압력반응 밸브(74)에 외부압력이 감소되면, 개구부(88)의 직경이 증가하고, 압력반응 밸브(74)를 통한 흐름도 증가한다. 개구부(88)와 배출 저항기(84)간의 거리는 유동 통로(76)의 영역에 영향을 미쳐서, 원하는 흘므의 성격을 성취하도록 밸브 조립체를 선택할 수 있다.
위에 묘사된 압력반응 밸브(74)의 모든 실시태양에서, 기계적인 수단은 유동 통로(76)의 흐름상의 특성의 효과를 나타내도록 묘사되었다. 첨부적으로, 가동성 벽(86)의 물질상의 비율은 외부압력에 의해 야기되는 압축의 정도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경도계 고분자가 덜 압축하면 낮은 경도계 고분자보다 압력에 있어서의 변화에 의해 미치는 영향이 작다. 그리하여 낮은 경도계 고분자는 유동 통로(76)의 거대한 압축에 의해서, 고압에서 흐름이 크게 감소하게되고 높은 경도계 물질보다 압력의 주어진 범위에 대해 큰 범위의 저항이 주어진다.
도 17A와 17B는 방금 묘사된 이론에 따라 작동하는 다른 압력반응 밸브(valve, 142)를 도시한다. 도 17a는 탄성압력부(16) 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을 때 압력반응 밸브(142)의 단면도이다. 높은 압력은 압축가능 디스크(compressible disc, 144)의 변형을 야기하고 유동 평면(flow plate, 146)을 누른다. 압축가능 디스크(144)는 폴리스티렌과 같은 유연한 물질로 만들어 질수 있다. 다양한 물리적인 특징 또는 디스크 형태는 압축가능 디스크(114)의 압축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그리하여 압력반응 밸브(74)의 원하는 유동 특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압력이 제공될 때, 압축가능 디스크(114)는 유동 통로(flow channel, 148)를 부분적으로 흡수한다. 그 부분적 흡수는 유동성에 대한 저항성으로써 작용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순차적인 밸브챔버(valve chamber, 150) 각각에 작용하는 압력은 바로 전에 진술한 챔버에서 보다 덜하다. 사용된 챔버의 수는 요구되는 유동속도와 탄성압력부(16) 내의 압력 범위와 환자의 방광과 밸브(142)의 치수와 압축가능 디스크(144)의 물질 특성에 의존한다. 도 17b는 탄성압력부(16) 내부의 압력이 도 17a에서 보여진 것 보다 낮게 감소될 때, 밸브(142)의 단면도이다. 압축가능 디스크(144)는 더 이상 유동 평면(146)을 누르지 않는다는 점과 유동 통로(148)를 통과하는 유동 저항성이 감소한다는 점을 유의하라.
도 18A와 18B는 또 다른 압력반응 밸브(valve, 152)를 도시한다. 도 18a는 탄성압력부(16)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을 때 밸브(152)의 단면이다. 고압은 주사바늘(needle, 154)이 짝지워진 시트(seat, 156)쪽으로 누르게 한 스프링(spring, 158)의 변형의 원인이 된다. 이 위치에서 주사바늘(154)은 주사바늘(154)와 시트(156)사이에서 유동 통로(flow channel, 160)의 부분적인 수축을 발생시킨다. 비록 탄성압력부(16) 내부의 유체가 유동 통로(160)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다른 실시태양이 주사바늘(154)와 시트(156) 사이에서 오링(o-ring)과 결합될 수 있다고 하여도, 탄성압력부(16)과 주사바늘(154)은 유연성 막(flexible membrane, 162)에 의해 분리된다. 유체 통로(fluid channel, 164)는 탄성압력부(16) 내부로부터 유동 통로(160)으로 흐르는 유체의 길을 제공한다. 유체 통로(164)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압력의 차이는 유동 통로(160)의 수축의 정도를 결정한다. 탄성압력부(16)의 내부의 압력의 감소는 유체 통로(164)를 통과하는 추진력(driving force)을 감소시킨다. 도 18b는 탄성압력부(16)내부의 압력이 도 18a에서 보여지는 것보다 낮게 감소되어질 때 밸브(152)의 단면이다. 스프링(158)이 주사바늘(154)을 유연성 막(162)을 향해 누르고 시트(156)로부터 떨어지며 유동 통로(160)를 통과하는 유동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유의하라.
도 2와 3에서 도시된 약물주입기의 실시태양은 탄성압력부(16)의 내부에 직물의 신장부(34)를 포함한다. 그러나, 신장부는 본 발명에서 폭넓게 설명되었다고 이해된다. 신장부의 여러 가지 실시태양이 도 13a 내지 13e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13a는 얇은 벽(thin wall, 120)과 두꺼운 벽(thick wall, 122)을 가진 약물주입기(10) 내의 탄성압력부(16)의 단면이다. 두꺼운 벽(122)은 얇은 벽(120)보다 덜 팽창적이므로 약물주입기(10)가 팽창하는 데 있어서 아치모양 또는 굽어지거나 환형의 형태로 될 수 있다. 두꺼운 벽(122)은 장치가 점차적으로 두꺼워 지게 할 수도 있고, 능선 또는 두꺼운 물질을 사이사이에 넣을 수도 있다. 두꺼운 벽(122)이 그 전체적인 길이를 위해 탄성압력부(16)과 같은 면을 따라 활동한다면 약물주입기(10)의 양 끝(12, 14)은 서로서로 앞쪽으로 휘어질 것이다. 선택적으로 두꺼운 벽(122)가 그 길이를 따라 탄성압력부(16) 주위를 나선상으로 움직인다면 약물주입기는 나선형 구조를 취하는 경향을 갖게 될 것이다. 한 면에서 다른 한 면으로 두꺼운 벽(122)의 위치는 어떤 형태의 잠정적인 기하학적 모양도 가능하게 해 준다.
도 13B는 신장부(34)가 탄성압력부(16)의 내부에 위치하는 실시태양을 도시한다. 신장부(34)는 와이어, 섬유질 또는 고분자를 포함하여 팽창할 수 없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우리는 폴리에스테르 리본이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도 13C 탄성압력부(16)의 벽안 또는 그 위에 위치하는 신장부(34)에 대한 실시태양이다. 신장부(34)는 완전히 끼워 넣어 질 수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 질 수 있으며 또는탄성압력부(16)의 바깥쪽 벽 또는 안쪽 벽에 부착되어지기도 한다. 이것은 탄성압력부(16)과 함께 신장부(34)가 동시압출되어 이루어 질 수도 있고 또는 탄성압력부(16)에 부착적인 결합 또는 용접에 의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도 13d에서 도시된 것처럼 신장부(34)는 탄성압력부(16)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실시태양에서 탄성압력부(16)는 신장부가 약물주입기(10)의 두 개의 말단(12, 14) 사이에서 쭉 뻗은 직선을 형성하는 동안 곡선 또는 아치형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실시태양은 두 말단(12, 14) 중 하나가 요도에 접근하더라도 약물주입기(10)의 때 이른 배출로 인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약물주입기(10)의 차후의 제거를 위한 시점을 잡을 수도 있게 해주며 포획부(36)의 위치를 잡을 수도 있다.
도 13E는 신장부(34)가 탄성압력부(16)의 잔여물로부터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실시태양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신장부(34)는 탄성압력부(16)의 잔여물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팽창할 수 없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그것은 탄성압력부(16)에 결합되거나 용접되어 있으며, 또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압력부()16)를 형성하는 물질과 함께 압출성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이 탄성압력부(16)에 사용된다면, 더욱 조밀하게 엮어져 덜 팽창적인 실리콘은 탄성압력부(16)의 잔여물과 탄성압력부(16)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함께 압출성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성압력부(16)의 잔여물보다 더욱 팽창적인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함께 압출성형된 물질이 물질이 잔여하는 탄성압력부보다 더 잘 늘어날 수 있고 구부러진 부분이 함께 압출성형되는 물질로부터떨어져 나올 수 있다.
약물주입기가 이식된 후, 변형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다른 형태변형 기술을 회피하도록 제한적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도 14는 선택적인 형태 변화 기술의 도식적인 표현이다. 이러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신장부(34)는 약물주입기(10)의 근부와 원부말단을 연결한다. 도 15에서 도시된 것처럼, 약물주입기(10)에 대해 신장부는 축 방향으로 줄어들 것이다. 도시된 실시태양에 있어서, 미늘톱니바퀴 부품(ratchet mechanism, 124)은 신장부(34)가 약물주입기(10)내의 입구 밖으로 밀려나오도록 하며, 그것을 짧은 위치에 고정되게(lock) 한다. 최종적인 코일의 형태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약물주입기(10)의 기하학과 약물주입기(10)의 안팎의 장력 요소의 위치에 의존하여 최종적인 코일의 형태는 환형, 수퍼코일, 아치형 또는 바람직한 형태로 다양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동법은 도 16a 내지 16e에서 계속 도시되어 있다. 도 16a에서, 약물주입기(10)는 외부 덮개(66)와 확장자(70)를 사용하는 요도(urethra, 132)를 통해 환자의 방광(bladder, 130)속으로 삽입된다. 피하주사바늘(38)은 약물주입기(10)의 격막(42) 속으로 외부 덮개(66)와 확장자(70)를 통해 주입된다. 도 16b는 확장자(70) 안에서 캐뉼라나 또는 다른 유체를 운반하는 장치를 통해 약물주입기(10)를 충진함을 나타낸다. 약물주입기(10)가 충진시 아치형 또는 환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는 점을 유의하라. 충진이 완결된 후, 피하주사바늘(38)이 수거되며 약물주입기(10)는 도 16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광(130) 안에서 자유롭게 유동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약물주입기(10)는 봉합술, 스테플, 접착제 등을 포함하여 간편하게 잡아매는 여러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방광 벽에 붙들어 매둘 수 있다. 이러한 포획 수단의 설치와 제거는 방광경 검사법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장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용해 가능한 봉합술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특히 불용성 봉합술처럼 불용성 포획 수단이 사용되었을 때, 펜토산폴리설페이트막이 포획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다. 펜토산폴리설페이트코팅에 대해 부가적으로 설명하면 이것은 1997년 10월 3일에 출원되어 미국특허 제 08,942,972에 개시되어 있으며, '의료기구를 위한 펜토산폴리설페이트 코팅(PENTOSANPOLYSULFATE COATING FOR MEDICAL DEVICES)'로 이름 붙혀져 있는데, 이는 모출원인 미국특허 제 8,642,391호의 계속출원이며, 참고문헌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물질 또는 약물이 주입된 후, 약물주입기(10)는 방광내에 약물을 추가적으로 투입하기 위해 재충진되거나 또는 환자로부터 제거되고, 필요할 경우 다른 약물주입기(10)로 대체시킬 수도 있다. 재충진은 충진의 과정과 유사한 과정으로 수행된다. 포획부(36) 또는 다른 포획 배열물들은 재충진 과정 동안 방광(130) 내에서 약물주입기(10)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6D는 약물이 고갈되거나 또는 치료가 수행된 이후, 약물주입기를 제거하는 하나의 기술을 도시한다. 방광계 검사기(cystoscope, 134)가 환자의 방광(130) 속으로 삽입되고, 해부용 메스, 바늘 또는 다른 파열용구 또는 절단용구(rupturing or cutting tool, 136)가 약물주입기(10)를 찢거나 또는 구멍을 내는데 사용되며, 결국 내부 압력이 사라져 주입기가 충진되지 않은 상태로 줄어들게 한다. 원한다면, 방광내의 잔류약물은 한꺼번에 방출될 수 있고 또는 약물의 상당한 양의 방출에 대한 내성이 없다면 다른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약물주입기는 환자로부터 약물주입기(10)를 제거하기 전에 충진되지 않은 상태로 줄어들게 하기 위하여, 밸브 집합을 통과하는 흐름의 저항성이 낮아지도록 해주는 방출기전의 활성에 의해 내부가 비워질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약물은 피하주사바늘(38) 또는 다른 부착된 튜브같은 관을 통하여 주입기로부터 방광의 외부로 퇴출되며 그래서 방광속으로 약물이 환괴용량(bolus dose)으로 방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6E는 환자의 방광(130)으로부터 약물주입기(10)의 제거과정을 도시한다. 방광계 검사기(134)는 적절한 도안의 수거용구(retrieval tool, 140)를 주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수거용구(140)는 줄어든 약물주입기(10)가 요도(132)를 지나 방광(130)으로부터 퇴출 되도록 하며, 포획부(36)를 붙잡는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 있어서, 수거용구는 포획기, 후크, 클램프, 자석, 접착제 또는 주입기의 접착 및 수거를 할 수 있게 하는 다른 도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법은 도 19에 도시된 약물주입기(10)과 연관되어 도 25a 내지 25d에서 추가적으로 도시된다. 도 25a에서, 약물주입기(10)는 주입기를 사용하여 요도(132)를 통과하여 환자의 방광(130)내로 주입된다. 방광내로의 주입기의 외부덮개(266)가 경요도(transurethral)에 삽입된 후, 줄어든 약물주입기(10)는 도 25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외부덮개(266)를 통과한다. 안전한 결합부품(260)은 약물주입기(10)의 개구부(230)로 적절히 맞춰진다. 이런 위치에서 액성약물(fluid drug)은 주입기의 확장자(262) 내에 위치하는 주입관(264)를 통하여 흘러간다. 유체는 확인밸브구(246)를 통하여 주입관(264)로부터 유체챔버(250) 내로 흘러서, 약물주입기(10)를 충진시키고 팽창하게 한다.
충진이 완결되면, 안전한 결합부품(260)이 도 2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주입기(10)으로부터 연결이 끊어지게 되면 환자의 방광안에서 자유롭게 유동하게 된다. 확장자(262)는 외부덮개(266)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그리고 나서 둘 다 환자로부터 제거된다.
도 25C는 약물이 소실되거나 치료과정이 끝난 후, 주입기를 제거하는 기술을 도시한다. 수거기(270)는 환자의 방광(130) 내로 삽입된다. 포획요소(276)는 수거관(274)으로부터 확장된다. 포획요소(276)는 포획부(236)를 속박한다. 도 25d에서, 원부 말단뚜껑 범퍼(228)는 도관구(278)에 대해 적절히 놓여진다. 약물주입기(10)내부에 잔여하는 액체는 수거관(274)을 통하여 약물주입기(10)내부로부터 방광의 외부로 흐르게 되어, 방광(130) 내부로 약물이 환괴용량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도시된 실시태양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하나의 적절한 방법을 나타낸다. 수많은 사소한 변수들이 본 발명의 기본취지로부터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바늘 및 격막 밸브 일련물 대신 다양한 밸브 기전과 걸쇠 기전은 약물주입기(10)가 확장자(70) 또는 피하주사바늘(38), 또는 캐뉼라나 피하주사바늘(38)의 위치를 취하는 잠금 요소에 연결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액체의 외부공급원은 잠금 기전을 통해 탄성압력부(16)의 내부로 부착될 수 있고, 약물주입기(10)는 물리적으로 확장자(70)에 부착되고 방출될 수 있다. 아울러, 포획부(36) 이외에 수 많은 기타 포획 일련물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석기전은 포획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광계 검사기(134)의 근부내로 약물주입기(10)의 한쪽 말단을 끌어당기는데 사용된다. 주머니 또는, 확장 및 수축하는 그물기구(″chinese finger trap″)가 유사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 있어서, 칼라(24, 26) 또는 약물주입기의 다른 부분은 초음파, X선 또는 다른 시각화 수단에 의해 주입기의 시각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방사선비투과성(radiopaque)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또는 삼투압적으로 조작되는 주입 수단은 탄성압력부(16)와 대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물질 또는 약물이 방광내로 주입될때 형태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된 방출(controlled release) 또는 생분해성(bioerodable) 물질 재로 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외관에서, 전체 약물주입기(10) 또는 적절한 부분은 생적합성(biocompatible) 피막으로 코팅되어 있다. 적어도 며칠이상 방광안에 머무르는 대부분의 장치로 인해 겪는 중요한 문제점은 피복(encrustation) 및 감염이다. 소변내의 여러 가지 염, 단백질 및 다른 물질이 방광안에 남아 있는 외래 물질에 축적될 수 있다. 이것들이, 환자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장치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자극 및 어려움을 유발한다. 어떤 경우, 전체 약물주입기(10)가 코팅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에 있어서, 약물주입기(10)의 근부말단뚜껑(20)과 원부말단뚜껑(22)처럼 필요한 부분만 코팅 될 수도 있다.
다당류의 코팅이 피복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코팅은 펜토산폴리설페이트, 헤파린 또는 기타 황산화된 다당류 또는 약물을 포함한다. 실리콘 및 많은 생적합성 플라스틱은 이러한 생적합성 물질으로의 코팅에 적합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장애는 몇 가지의 표면 수정 기술(surface modification techniques)에 의한 장치의 전처리에 의해 극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은 강염기에 의한 처리법 및 플라즈마 처리법 등에 의한 코로나 탈색, 이온적 탈색, 화학적 부식법 등을 포함한다. 하나의 기술이 먼저 언급한 1997년 10월 3일에 출원되어 '의료기구를 위한 펜토산설페이트 코팅(PENTOSANPOLYSULFATE COATING FOR MEDICAL DEVICES)'으로 이름 붙혀져 있고, 미국특허 제 08,942,97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물주입기는 살아있는 유기체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기능적인 기관으로의 치료제의 자체조절수단(self contained means)으로 사용될 수 있다. 주입기는 자연발생적인 구멍 또는 인위적으로 생성된 구멍을 통하여 기능적인 기관으로 삽입된다.
하나의 실시태양에 있어서, 장치는 농축된 형태의 치료제 또는 진단용 시약을 포함한 채로 환자에게 주입될 수 있다. 장치가 방광내에 있을 때, 그것은 장치 내에서 모양의 변화를 유발하는 재구성 시약으로 채워져 있으며 장치 내부에서 그 시약을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장치는 장치 내부에서 분말 형태의 약물을 식염수로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조적인 약물(contrast agent)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약물 또는 기타 물질이 방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약물 또는 기타 물질은 액제 및 수화분말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전기 약물 또는 기타 물질은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비뇨기계 암(urinary tract cancer), 비뇨기계 감염(urinary tract infections) 및 비뇨기계 염증(urinary tract inflammatory condition)의 치료를 포함하는 다양한 목적에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요실금(urge incontinence) 및 신경성 요실금을 포함하는 비뇨기계 실금은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치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항콜린성 및/또는 항경련제가 사용된다. 아울러, 항무스카린성약, β-2 효능약, 노르에피네프린 섭취 억제제, 세로토닌 섭취 억제제, 칼슘 채널 억제제, 칼륨 채널 확장제 및 근육 이완제가 사용될 수 있다. 요실금의 치료제로 적합한 약물은 옥시부티닌(oxybutynin), S-옥시부티닌(S-oxybutinin), 에메프로니움(emepronium), 베라파밀(verapamil), 이미프라민(imipramine), 플라복세이트(flavoxate), 아트로핀(atropine), 프로판텔린(propantheline), 톨테로딘(tolterodine), 로시베린(rociverine), 클렌부테롤(clenbuterol), 다리페나신(darifenacin, Pfizer, Europe, U.S.A., Japan), 테로딜린(terodiline), 트로스피움(trospium), 히요시아민(hyocyamin), 프로피베린(propiverine), 데스모프레신(desmopressin), 바마카마이드(vamicamide, Fujiwara Co., Japan), YM-46303(Yamanouchi Co., Japan), 란페리손(lanperisone, Nippon Kayaku Co., Japan), 이나페리손(inaperisone), NS-21(Nippon Shinyaku Orion, Formenti, Japan/Italy), NC-1800(Nippon Chemiphar Co., Japan), ZD-6169(Zeneca Co., United Kingdom) 및 요오드화 스틸로니움(stilonium iodide)을 포함한다. 아울러,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물질은 진단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방광암 및 전립선 암과 같은 비뇨기계 암은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항분열제(antiproliferative agent), 세포독성제 및/또는 화학요법치료제를 주입함으로써 치료할 수 있다. 비뇨계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적합한 약물은 BCG 백신(Bacillus Calmette Guerin vaccine), 시스플라틴(cisplat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빈블라스틴(vinblastine), 티오테파(thiotepa), 마이토마이신(mitomycin), 플루오로우라실(fluorouracil), 류프로라이드(lueprolide), 플루타마이드(flutamide), 디에틸스틸베스트롤(diethylstilbestrol), 에스트라무스틴(setramustine), 메게스트롤 아세트산염(megestrol acetate), 사이프로테론(cyproterone), 플루타마이드(flutamide) 및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를 포함한다. 비뇨기계 암의 치료는 외과적 제거술 및 방사선 치료를 포함하는 현재 사용되는 기타 암의 치료와 병행될 수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방광, 전립선 및 요도와 관련된 감염은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치료될 수 있다.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 항원충제, 항바이러스제 및 항감염제가 전기 감염의 치료에 투여될 수 있다. 전기 감염의 치료에 적합한 약물은 마이토마이신(mitomycin), 사이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노플록사신(norfloxacin), 오플록사신(ofloxacin), 메타나민(methanamine), 나이트로푸란토인(nitrofurantoin), 암피실린(ampicillin), 아목시실린(amoxicillin), 나프실린(nafcillin), 트리메토프림(trimethoprim), 설파제(sulfa),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trimethoprim-sulfamethoxazole),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카나마이신(kanamycin), 페니실린계 항생제(penicillins),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cephalosphorins),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aminoglycosides)를 포함한다.
간질성방광염(interstitial cystitis), 전립선염(prostatitis) 및 요도염(urethritis)과 같은 염증 질환도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치료가 가능하다. 항염증 및/또는 코팅 효과를 갖는 약물은 이러한 질환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약물은 디메틸 설폭사이드(demethyl sulfoxide, DMSO), 헤파린(heparin), 펜토산폴리설페이트 나트륨(pentosanpolysulfate sodium) 및 플라복세이트(flavoxate)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장치는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리도카인 염산염(lidocane hydrochloride), 프로카인 염산염(procaine hydrochloride), 살리실 알콜(salicyl alcohol), 테트라카인 염산염(tetracaine hydrochloride), 페나조피리딘 염산염(phenazopyridine hydrochloride),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아세틸살리실산(acetylsalicylic acid), 플루페니살(flufenisal), 이부프로펜(ibuprofen), 인도프로펜(indoprofen),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나프록센(naproxen), 코데인(codeine), 옥시코돈(oxycodone) 및 펜타닐 구연산염(fentanyl citrate)을 포함하는 다양한 마취제(anesthetic agent) 및/또는 진통제(analgesic agent)가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하여 주입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장치는 기타 여러 목적에 사용되는 약물 또는 기타 물질을 투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는 방광세척요법(bladder irrigation)과 같은 목적에 글라이신을 투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은 원하는 기간에 걸쳐 원하는 양의 약물의 느린, 지속적인, 간헐적인 또는 주기적인 방출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태양에 있어서, 주입되는 물질의 양은 연장된 기간에 걸쳐 원하는 용량의 약물을 수송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4시간, 5일, 10일, 15일, 심지어 20, 25, 30, 60, 90일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수송할 수 있고,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수송율(rate of delivery)은 상대적으로 느리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간당 0.1, 1, 5, 10, 25, 50, 75, 100, 150, 200 또는 400㎕의 범위내에서의 약물수송비율을 제공한다. 물론, 더 느리거나 더 신속한 수송율은 수송되는 약물 및 치료되는 질병에 의존하여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상황에서, 특별한 질환에 사용될 목적으로, 약물의 농도 및 수송율은 실제 사용되는 방법에 근거하여 의사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입장치는 성숙한 돼지에서 성공적으로 실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기의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40 내지 45kg 체중의 자성(female) 돼지를 케타민 클로라이드 10㎖ 및 아트로핀 3㎖을 사용하여 진정(sedation)시켰다. 적절하게 진정효과를 일으키면서, 동물에 0.5 내지 4%의 이소플루란(isoflurane) 가스를 사용하여 외과수술중의 마취(intraoperative anesthesia)를 유지시키면서, 기관지내의 튜브(endotrachial tube)를 동물의 기도에 삽입하였다. 이어, 통상적인 멸균과정을 거쳐, 21 Fr Storz 방광계 검사기(cystoscope)는 돼지의 방광내에 0.038인치의 안내선(guide line)을 나타내고, 위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었다. 방광계 검사기를 제거하고, 23 Fr 주입덮개(introducer sheath) 및 폐쇄물(obturator)을 동물 방광내의 안내선위에 지나가게 하였다. 폐쇄물과 안내선은 제거되었다. 방출관(launcer tube)의 원위 말단에 위치한 23 게이지 주사바늘(23 gauge needle) 상에 장착된 주입장치는 방광내의 주입덮개를 통과하도록 놓여진다. 주입보조장치내에 장착된 60cc 주사기는 관(tubing)의 영역을 따라 방출관의 근위말단에 부착되었다. 관을 주입하는 과정이 비뇨기계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 이전에 수행되었다. 60cc의 주사기는 삼중수소 표지된 소디움 펜토산폴리설페이트(sodium pentosanpolysulfate) 약물 35cc로 채워졌다. 35cc에 대한 삼중수소 표지된 약물의 전체 방사성활성이 미리 베크만 섬광계수기(Beckman scintillation counter)를 사용하여 약물의 100㎕로부터 측정되었다. 주입기는 방광내에 위치되어있어, 주입기는 주입덮개보다 확장되는 장점을 지닌다. 약물의 30cc는 약물주입기내로 주입되었으며, 주입기는 꽉 찬 상태가 되었다. 23 게이지 바늘이 약물주입기로부터 회수되었으며, 주입기 덮개 및 방출계(launcer assemblies)는 돼지로부터 제거되어, 방광내에 약물주입기가 자유롭게 떠다니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 돼지는 마취상태로부터 회복되어 우리(cage) 내로 옮겨졌다.
돼지로부터 총 소변이 채취되고 3일동안 측정되었다. 배출된 총 소변의 양은 하루 당 1.75 내지 3.5 리터로 변화를 나타내었다. 100㎕의 소변 시료를 하루 소변 채취량으로부터 수득하였고, 베크만 섬광계수기내에 주입되어 시료내의 방사성활성 계수를 측정하였다. 하루 소변 채취량내의 총 계수된 량은 하루 소변 채취량내의 약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처음에 측정하였던 양과 비교하였다. 하루 소변 채취량의 100㎕의 소변 시료의 평균은 일반적으로 750 내지 1000 계수에 달했다. 이러한 방법으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양이 첫째날의 2cc로부터 30일째의 0.75cc까지 다양하게 측정되었다. 30일째되는 마지막 날에, 동물에 부타나시아-D(Beuthanasia-D)를 12㎖ 투여하여 죽였으며, 방광을 제거하였다. 조직학적 검체가 방광목, 방광삼각(trigone of the bladder), 방광기저부, 방광돔 부분(dome region of the bladder)으로부터 채취되었으며, 포름알데히드에 고정시켜, 파라핀에 포매시키고, 절단하여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matoxylin-eosin)으로 염색하였다. 염색결과, 정상조직은 주입기에 의하여 상처가 유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약물주입기는 신경성 방광질환 또는 요실금을 치료하기 위하여 옥시푸티닌 또는 플라복세이트와 같은 항콜린성 또는 항무스카린성 약물을 사용하여 사람의 환자에 사용될 수 있다. 환자는 배측 결석술(dorsal lithotomy)의 자세를 취하게 된다. 통상적인 방광계 검사의 과정은 환자에 국소 마취 및 허용된 멸균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주입덮개 및 페쇄물은 경요도적으로(transurethrally) 위치될 수 있으며 방광에 근접하게 된다.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용성 리도카인 젤리(lidocaine jelly)가 요도내로 주입덮개/페쇄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폐쇄물은 제거되고, 주입기는 방광내의 주입기를 통과한다. 약물주입기는 주입덮개를 통하여 치료제의 공급원(source of therapeutic agent)에 연결된다. 약물주입기는 공급원으로부터 30cc의 치료제로 채워진다. 치료제의 공급원은 주입기내의 격막을 통과하는 피하주사 바늘 또는 주입기내의 확인밸브를 여는 압력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이 끝나면, 치료제의 공급원은 주입기로부터 이탈되어 약물주입기가 방광내에서 자유롭게 떠다닌다. 주입기(introducer)는 요도로부터 제거된다.
약물주입기는 요실금 또는 신경성 방광 질환의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경구 또는 정맥주사와 같은 대체 약물의 투여와 관련된 부작용 없이 30일동안 환자의 방광내에서 치료제를 주입하면서 머물러있게 된다. 30일 이후에, 환자는 상술된 방법의 자세를 취하게 된다. 방광계 검사기는 요도내를 통하여 방광내로 주입되며 약물주입기는 가시화에 의하여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약물주입기내에 남아있는 치료제는 제거가 용이하도록 약물주입기의 측면을 분해하도록 제거된다. 치료제의 제거는 방광계 검사기의 수행관을 통하여 바늘 또는 절단 용구가 지나가게 함으로써 약물주입기를 파쇄하게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약물주입기내에서의 방출 메카니즘에 접근하는 방법이 약물주입기에 포함된 내용물을 방출할 수 있다. 방광은 필요하다면 방출된 약물을 제거하도록 관류될 수 있다. 회복되는데 사용되는 도구는 방광계 검사기의 수행관을 통하여 지나가게 된다. 회복되는데 사용되는 도구는 약물주입기를 포획하여 이를 방광으로부터 제거한다. 약물주입기 및 방광계 검사기는 요도로부터 제거된다. 대체적인 약물주입기가 방광내로 주입될 수 있으며, 추가로 치료가 필요하다면 상술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Claims (109)

  1. 유체 저수조가 체강(body cavity)내로 방출되도록 하는 1차 형태를 가지며, 2차 형태로 팽창되어 가압된 물질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체 저수조;
    전기 유체 저수조가 체강에 위치하는 동안 전기 유체 저수조안으로 가압된 유동성 물질을 넣도록 구성된 밸브조립체; 및,
    전기 유체 저수조가 체강에 위치하는 동안 전기 유체 저수조로 부터 가압된 물질을 분배를 조정하는 유동제한 배출구(flow-restricted exit port)를 포함하는, 이식가능한 방광내 주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체강벽에 전기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1차 형태는 최소한 하나의 대칭축을 갖는 직선형이고, 2차 형태는
    대칭축을 가지지 않는 곡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유체 저수조는 가압된 물질이 방출됨으로써 실질적인 1차 형태를
    회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유체 저수조는 요로에 존재하는 물질들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유체 저수조는 방광내 주입장치의 유동성을 증가시키도록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유동제한 배출구는 유체 저수조에서 가압된 물질을 신속히 제거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유체 저수조는 가압된 물질의 제거하에 실질적인 1차 형태를
    회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유체 저수조는 확장되어 있고, 밸브조립체는 확장된 유체 저수조의
    첫 번째 말단에 배치되어 있고, 유동제한 배출구는 첫 번째 말단의
    반대쪽의 유체 저수조의 두 번째 말단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두 번째 말단은 확장된 유체 저수조보다 더욱 부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두 번째 말단에는 부드러운 범퍼(bumper)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포획부(capture member)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두 번째 말단의 중심부로 부터 돌출하는 포획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포획부는 유동제한 배출구가 연장된 유체 저수조에서 가압된 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배출기구에 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반대압력(opposite pressure)이 유동제한 배출구에 유지되는 동안,
    힘이 포획부에 발휘되면, 유동제한 배출구의 유동제한이 감소되어
    가압된 유동물질이 제거되는, 유동제한 배출구에 연결된 포획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유동제한 배출구는 체강에 주입되는 덮개와 짝지어 지도록 구성되어,
    가압된 물질이 체강보다는 덮개의 관의 통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유동제한 배출구는 최소한 5일 이상 가압된 물질의 방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유동제한 배출구는 최소한 15일 이상 가압된 물질의 방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가압된 물질은 액상이고 장치는 400㎕/hour 이하의 속도로 가압된
    물질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2차 형태는 체강내에서 확장된 유체 저수조의 유지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21. 제 1항에 있어서,
    2차 형태는 포유동물의 요도를 통해 확장된 유체 저수조의 방출을
    막기에 충분한 직경의 단면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2차 형태는 포유동물의 방광구(bladder neck)의 장애물을 막아서
    소변이 장치를 우회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2차 형태는 아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2차 형태는 탄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25. 제 1항에 있어서,
    가압된 물질은 약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26. 제 1항에 있어서,
    가압된 물질은 진단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27. 제 1항에 있어서,
    유체 저수조는 확장되었으며, 유체 저수조의 첫 번째 말단은 유체
    저수조보다 더욱 부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첫 번째 말단의 부력은 확장된 유체 저수조의 위에 있는 첫 번째
    말단으로 부유하는 장치에 기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29. 제 1항에 있어서,
    첫 번째 말단에는 부드러운 범퍼(bumper)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30. 제 1항에 있어서,
    밸브조립체는 가압된 물질의투여를 통해 안전한 결합부품(secure
    coupling fitting)을 수용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개구부는 체강에 장치를 배치하는데 사용되는 주입기(introducer)에
    장치를 고정하기위하여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32. 제 1항에 있어서,
    밸브조립체는 유입도관을 막도록 편향된 유동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33. 제 1항에 있어서,
    유동제한 배출구의 저항성은 전기 유동제한 배출구가 가압된
    유동물질을 조절된 속도로 배출하도록 가압된 물질의 압력수준에
    비례하여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34. 제 33항에 있어서,
    가압된 유동물질의 압력수준에 반비례하여 유동제한 배출구의 유동
    통로 영역의 변화에 의하여 유동제한 배출구의 저항성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35. 제 1항에 있어서,
    유동제한 배출구는 첫 번째 감압요소, 가압된 물질의 압력수준과
    반비례하도록 유동제한 배출구의 단면적을 변화시키는 두 번째
    감압요소 및 전기 첫 번째와 두 번째 감압요소를 통과하는 유동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36. 제 1항에 있어서,
    유동제한 배출구는 소결된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37. 약물을 함유하는 압력부(pressure member);
    전기 압력부에 약물을 상호교류 하는 유동제한 배출구(flow-restricted exit port); 및,
    포유동물의 체강에 위치할 때, 물질의 유동을 제공하거나 침전을 방해하여 적응하도록 하는 코팅(coating)을 포함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38. 제 37항에 있어서,
    코팅은 요로에 위치한 물질의 침전을 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39. 제 37항에 있어서,
    코팅은 이식된 신체에 드러난 장치의 표면에 있는 표면 코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40. 제 37항에 있어서,
    코팅은 전기 장치안으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41. 제 37항에 있어서,
    코팅은 전기장치의 일부만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42. 제 37항에 있어서,
    유동제한 배출구는 최소한 5일 이상 약물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43. 제 42항에 있어서,
    유동제한 배출구는 최소한 15일 이상 약물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44. 제 42항에 있어서,
    약물은 액상이고, 전기 장치는 약 400㎕/hour 이하의 속도로 약물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45. 제 37항에 있어서,
    전기 장치는 이식중에는 1차 형태를 취하고 포유동물에 이식된 후에는
    2차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46. 제 45항에 있어서,
    전기 장치는 비었을 때는 1차 형태를 취하고, 채워졌을 때는
    2차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47. 제 46항에 있어서,
    1차 형태는 일반적으로 확장되고, 2차 형태는 아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48. 제 45항에 있어서,
    압력부는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49. 제 37항에 있어서,
    약물은 실금치료제(incontinence-treating dru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50. 제 37항에 있어서,
    전기 약물은 요실금(urge incontinence)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51. 제 37항에 있어서,
    약물은 마취제(anesthetic) 또는 진통제(analgesi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52. 제 37항에 있어서,
    약물은 항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53. 제 37항에 있어서,
    약물은 방광염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54. 제 37항에 있어서,
    약물은 항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55. 제 37항에 있어서,
    약물은 옥시부티닌(oxybutin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56. 제 37항에 있어서,
    전기 장치는 첫 번째 말단과 두 번째 말단을 가지며, 전기 말단의
    최소한 1개는 부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57. 제 56항에 있어서,
    첫 번째 말단과 두 번째 말단은 부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58. 제 37항에 있어서,
    전기 장치는 포유동물 방광에 요도를 통해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59. 첫 번째와 두 번째 말단을 가지면서, 액체를 함유하고 가압하도록 적응된 확장된 탄성압력부(elastomeric pressure member);
    전기 탄성압력부에 유체를 상호교류하는 배출구를 제공하여, 액체의 조절된 방출을 제공하는 흐름제어기(flow controller); 및,
    액체로 채워졌을 때는 휘어지도록 압력을 가하고, 액체가 채워지지 않았을 때는 상대적으로 곧은 형태를 허가하도록, 전기 탄성압력부의 첫 번째 말단의 끝과 두 번째 말단의 끝에 커플된 신장부(tensile member)를 포함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60. 제 59항에 있어서,
    신장부는 전기 탄성압력부의 내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61. 제 59항에 있어서,
    탄성압력부는 벽(wall)을 가지고, 신장부는 전기 벽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62. 제 59항에 있어서,
    신장부는 전기 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63. 제 59항에 있어서,
    신장부는 탄성압력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64. 제 59항에 있어서,
    전기장치에 외피저항성 코팅(encrustation-resistant coating)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65. 제 59항에 있어서,
    전기 첫 번째 말단에 부양부(buoyant portion)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66. 제 65항에 있어서,
    두 번째 말단에 부양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67. 내강을 가지며, 전기 내강이 채워졌을 때 야기되는 형태의 변화에 적응하는 방광내 주입장치;
    전기 방광내 주입기를 분비가능하게 보유하며, 환자의 체강에 삽입하기에 적절한 주입기(introducer); 및,
    전기 방광내 주입장치와 분비가능하게 결합된 주입기에 연결되며, 생체내에서 전기 방광내 주입장치를 채우도록 내강에 유체를 상호교류 하는 도관(conduit)을 포함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68. 제 67항에 있어서,
    도관은 주입기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69. 제 67항에 있어서,
    도관은 전기 방광내 주입장치상의 분비가능한 밸브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70. 제 69항에 있어서,
    분비가능한 밸브는 격막봉합(septum seal)이고, 도관은 전기
    격막봉합을 뚫기위한 주사바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71. 제 69항에 있어서,
    분비가능한 밸브는 확인 밸브에 커플된 암의(female) 안전한 결합부품
    을 포함하고, 전기 도관은 암의 안전한 결합부품에 맞도록 적응된
    수의(male) 안전한 결합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72. 제 67항에 있어서,
    전기 주입기에서 멀리 떨어진 약물주입기에 밀어 넣도록 적응된 전기
    주입기 내부에 위치한 확장자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73. 환자의 방광내에 방광내 주입장치를 인도하는 단계;
    방광내에서 자유로이 유동하도록 방광내 주입장치를 해제하는 단계; 및,
    방광내 주입장치에서 방광으로 약물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에게 약물을 방출하는 방법.
  74. 제 73항에 있어서,
    전기 장치를 방광벽에 고정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75. 제 73항에 있어서,
    주입하는 단계는 탄성부를 사용하여 약물을 가압하고 약물주입
    장치에서 조절된 속도로 약물을 분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76. 제 75항에 있어서,
    전기 장치가 방광에 위치하는 동안 약물로 약물주입 장치를 충진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77. 제 75항에 있어서,
    전기 장치가 방광에 위치하는 동안 약물을 활성화시키는 재조합
    제제로 약물주입 장치를 충진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78. 제 75항에 있어서,
    압축된 형태의 약물이 환자내의 약물주입 장치를 방출시키는 동안
    전기 약물주입 장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79. 제 76항에 있어서,
    충진단계(filling step)는 약물주입 장치의 형태변화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80. 제 79항에 있어서,
    형태의 변화는 윤곽상의 변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81. 제 79항에 있어서,
    형태의 변화는 비었을 때 직선형으로부터 채워졌을 때 곡선형으로의
    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82. 제 79항에 있어서,
    전기 형태변화는 비었을 때 최소한 하나의 대칭축을 갖는 직선형으로
    부터 채워졌을 때 대칭축을 갖지않는 곡선혀으로의 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83. 제 73항에 있어서,
    주입하는 단계는 최소한 24시간동안 방광으로 약물의 주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84. 제 73항에 있어서,
    주입하는 단계는 최소한 5일동안 방광으로 약물의 주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85. 제 73항에 있어서,
    방출하는 단계는 주입기의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요도를 통해
    방광으로 약물주입기를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어 방광내에서
    주입기로부터 약물주입기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86. 제 73항에 있어서,
    인도단계는 주입기에서 약물주입기의 최소한의 일부의 확장과 뒤이은
    방광내 약물주입 장치의 충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87. 제 73항에 있어서,
    약물은 실금치료용(incontinence-treating) 약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88. 제 73항에 있어서,
    약물은 요실금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89. 제 73항에 있어서,
    약물은 옥시부티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90. 제 89항에 있어서,
    전기 옥시부티닌은 24시간동안 방광에 조절된 속도로 분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91. 제 73항에 있어서,
    약물은 고통 또는 신경통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92. 제 73항에 있어서,
    약물은 항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93. 제 73항에 있어서,
    약물은 방광염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94. 제 73항에 있어서,
    약물은 항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95. 제 73항에 있어서,
    약물을 주입하는 단계 후에 방광에서 약물주입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96. 제 73항에 있어서,
    약물주입 장치는 비었을 때 1차 형태를 취하고 채워졌을 때 2차
    형태를 취하며, 제거하는 단계는 약물주입 장치의 2차 형태에서 1차
    형태로 전환시킨 다음, 약물주입 장치를 요도밖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97. 제 96항에 있어서,
    2차 형태에서 1차 형태로의 변화는 주입단계에 의해 비워진 장치내의
    허가된 물질(allowing matter)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98. 제 96항에 있어서,
    2차 형태에서 1차 형태로의 변화는 장치의 허가된 물질이 장치를 빠져
    나가도록 하는 장치내의 통로의 개방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99. 제 98항에 있어서,
    도관을 통해 약물이 전기 통로로부터 방광의 외부로 유도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100. 제 96항에 있어서,
    제거단계는 소변의 흐름을 따라 요도 외부로 장치의 통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101. 제 96항에 있어서,
    제거단계는 장치의 포획과 수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102. 제 73항에 있어서,
    주입단계는 방광내의 장치로부터 약물의 유동 속도의 조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103. 제 102항에 있어서,
    압력반응 밸브에 의해 약물 흐름의 조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104. 제 103항에 있어서,
    약물은 가압하에 있고, 압력반응 밸브는 약물의 압력에 반비례하여
    유동 통로 영역의 변형에 의해 흐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105. 제 104항에 있어서,
    흐름의 조절은 압력반응 밸브의 유체 흐름의 상류에 위치하는
    유동제한 요소에 의해 추가적으로 수행되며, 이에 따라 압력반응
    밸브로 들어가는 약물의 압력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주입장치를 이식하는 시스템.
  106. 압력부;
    압력부 내의 약물;
    약물이 압력부에서 방출되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압력부와 커플링된 흐름 제어기; 및,
    포유동물의 체내에 이식된 장치에서 물질의 유동성을 제공하거나 물질의 침전을 억제하도록 적응된 장치의 코팅을 포함하는, 방광내 약물주입기.
  107. 제 106항에 있어서,
    약물은 가압되고, 흐름 제어기는 압력에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약물주입기.
  108. 제 106항에 있어서,
    흐름 제어기는 첫 번째 감압요소, 가압된 물질의 압력수준과 반비례
    하도록 유동제한 배출구의 단면적을 변화시키는 두 번째 감압요소 및
    전기 첫 번째와 두 번째 감압요소를 통과하는 유동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약물주입기.
  109. 제 106항에 있어서,
    흐름 제어기는 첫 번째와 두 번째 감압요소의 하류에 세 번째
    감압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내 약물주입기.
KR1020007004810A 1997-11-06 1998-10-09 방광내 약물주입기 KR200100317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398597P 1997-11-06 1997-11-06
US60/063,985 1997-11-06
US09/041,475 US6171298B1 (en) 1996-05-03 1998-03-11 Intravesical infuser
US9/041,475 1998-03-11
PCT/US1998/021368 WO1999024106A1 (en) 1997-11-06 1998-10-09 Intravesical infu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745A true KR20010031745A (ko) 2001-04-16

Family

ID=2671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810A KR20010031745A (ko) 1997-11-06 1998-10-09 방광내 약물주입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71298B1 (ko)
EP (1) EP1028773A1 (ko)
JP (1) JP2001522665A (ko)
KR (1) KR20010031745A (ko)
AU (1) AU1186899A (ko)
CA (1) CA2308150A1 (ko)
WO (1) WO19990241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3951B1 (en) * 1996-10-11 2001-09-04 Transvascu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drugs to selected locations within the body
US6087396A (en) * 1998-10-05 2000-07-11 Situs Corporation Oxybutynin formulations and method of use
US8177762B2 (en) 1998-12-07 2012-05-15 C. R. Bard, Inc. Septum including at least one identifiable feature, access ports including same, and related methods
WO2000064513A1 (en) 1999-04-23 2000-11-02 Situs Corporation Pressure responsive valve for use with an intravesical infuser
AU4808000A (en) 1999-04-28 2000-11-10 Situs Corporation Drug delivery system
US7018365B2 (en) 1999-05-21 2006-03-28 Micro Therapeutics, Inc. Threaded syringe with quick stop
AU6403600A (en) * 1999-06-10 2001-01-02 Sepracor,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urinary frequency and urgency using optically pure (s)-oxybutynin
US6287293B1 (en) * 1999-09-28 2001-09-11 C. R. Bar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the injection point of an implanted medical device
AU1753201A (en) 1999-10-28 2001-05-08 Situ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ement and activation of a medical device within a body cavity
US6551304B1 (en) * 1999-12-01 2003-04-22 Abbeymoor Medical, Inc. Magnetic retrieval device and method of use
US6436428B1 (en) 2000-03-21 2002-08-20 Enhance Pharmaceuticals, Inc.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in females
US6945969B1 (en) 2000-03-31 2005-09-20 Medtronic, Inc. Catheter for target specific drug delivery
US7374532B2 (en) 2000-04-14 2008-05-20 Attenuex Technologies, Inc. High vapor pressure attenuation device
US6682473B1 (en) 2000-04-14 2004-01-27 Solace Therapeutic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ttenuation of pressure waves in the body
US6988983B2 (en) 2000-04-14 2006-01-24 Solace Therapeutics, Inc. Implantable self-inflating attenuation device
US10327880B2 (en) 2000-04-14 2019-06-25 Attenuex Technologies, Inc. Attenuation device for use in an anatomical structure
DE10105592A1 (de) * 2001-02-06 2002-08-08 Achim Goepferich Platzhalter zur Arzneistofffreigabe in der Stirnhöhle
US7041139B2 (en) * 2001-12-11 2006-05-0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Ureteral stents and related methods
US20030236489A1 (en) * 2002-06-21 2003-12-25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ed-loop flow control system
US8317816B2 (en) 2002-09-30 2012-11-27 Acclarent, Inc. Balloon catheters and methods for treating paranasal sinuses
US7150739B2 (en) * 2002-10-15 2006-12-19 Go Medical Industries Pty, Ltd. Catheter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cation to the bladder
AU2003301669B2 (en) * 2002-10-22 2009-04-30 Biomeri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ravesicular delivery of the therapeutic agents
US20050043585A1 (en) * 2003-01-03 2005-02-24 Arindam Datta Reticulated elastomeric matrices, their manufacture and use in implantable devices
EP1589968A4 (en) * 2003-01-16 2009-05-06 Univ Rochester QUARTERIC ANTIMUSCARINIC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BLOOD DRESS
US7803395B2 (en) 2003-05-15 2010-09-28 Biomerix Corporation Reticulated elastomeric matrices, their manufacture and use in implantable devices
NZ528648A (en) 2003-10-02 2005-08-26 Agres Ltd Altering animal waste composition
US20050124980A1 (en) * 2003-12-03 2005-06-09 Sanders Scott W. Port stem marking for catheter placement
US7780973B2 (en) * 2003-12-15 2010-08-24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 and device for minimally invasive implantation of biomaterial
US7763077B2 (en) 2003-12-24 2010-07-27 Biomerix Corporation Repair of spinal annular defects and annulo-nucleoplasty regeneration
US8894614B2 (en) 2004-04-21 2014-11-25 Acclaren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eable for treating frontal sinusitis
US20190314620A1 (en) 2004-04-21 2019-10-17 Acclarent,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ilating and modifying ostia of paranasal sinuses and other intranasal or paranasal structures
US9399121B2 (en) 2004-04-21 2016-07-26 Acclar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nasal dilation of passageways in the ear, nose or throat
US8702626B1 (en) 2004-04-21 2014-04-22 Acclarent, Inc. Guidewires for performing image guided procedures
US7361168B2 (en) 2004-04-21 2008-04-22 Acclarent, Inc. Implantable device and methods for delivering drugs and other substances to treat sinusitis and other disorders
US20060063973A1 (en) 2004-04-21 2006-03-23 Acclarent,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disorders of the ear, nose and throat
US7803150B2 (en) 2004-04-21 2010-09-28 Acclaren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eable for treating sinusitis
US10188413B1 (en) 2004-04-21 2019-01-29 Acclarent, Inc. Deflectable guide catheters and related methods
US20070208252A1 (en) * 2004-04-21 2007-09-06 Acclar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image guided procedures within the ear, nose, throat and paranasal sinuses
US7654997B2 (en) * 2004-04-21 2010-02-02 Acclaren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sinusitus and other disorders of the ears, nose and/or throat
US7410480B2 (en) * 2004-04-21 2008-08-12 Acclarent,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therapeutic substances for the treatment of sinusitis and other disorders
US8146400B2 (en) 2004-04-21 2012-04-03 Acclarent, Inc. Endoscopic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nasal procedures
US7462175B2 (en) 2004-04-21 2008-12-09 Acclaren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disorders of the ear, nose and throat
US9554691B2 (en) * 2004-04-21 2017-01-31 Acclarent, Inc. Endoscopic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nasal procedures
US7419497B2 (en) 2004-04-21 2008-09-02 Acclarent, Inc. Methods for treating ethmoid disease
US9351750B2 (en) 2004-04-21 2016-05-31 Acclarent, Inc.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maxillary sinus disease
US7559925B2 (en) 2006-09-15 2009-07-14 Acclarent Inc.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visualization in a surgical environment
US9101384B2 (en) * 2004-04-21 2015-08-11 Acclaren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sinusitis and other disorders of the ears, Nose and/or throat
US8747389B2 (en) 2004-04-21 2014-06-10 Acclarent, Inc. Systems for treating disorders of the ear, nose and throat
US8932276B1 (en) 2004-04-21 2015-01-13 Acclarent, Inc. Shapeable guide catheters and related methods
US20070167682A1 (en) 2004-04-21 2007-07-19 Acclarent, Inc. Endoscopic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nasal procedures
US7720521B2 (en) * 2004-04-21 2010-05-18 Acclarent,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erforming procedures within the ear, nose, throat and paranasal sinuses
US8764729B2 (en) 2004-04-21 2014-07-01 Acclarent, Inc. Frontal sinus spacer
US9089258B2 (en) * 2004-04-21 2015-07-28 Acclarent, Inc. Endoscopic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nasal procedures
US20060004323A1 (en) 2004-04-21 2006-01-05 Exploramed Nc1,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ilating and modifying ostia of paranasal sinuses and other intranasal or paranasal structures
US20070190108A1 (en) * 2004-05-17 2007-08-16 Arindam Datta High performance reticulated elastomeric matrix preparation, properties, reinforcement, and use in surgical devices, tissue augmentation and/or tissue repair
WO2006013851A1 (ja) * 2004-08-03 2006-02-09 Nippon Shinyaku Co., Ltd. 体孔内用デバイス及び持続性製剤
US7641688B2 (en) 2004-09-16 2010-01-05 Evera Medical, Inc. Tissue augmentation device
US20060058892A1 (en) * 2004-09-16 2006-03-16 Lesh Michael D Valved tissue augmentation implant
US20060058890A1 (en) * 2004-09-16 2006-03-16 Lesh Michael D Methods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BRPI0515337A (pt) * 2004-09-16 2008-07-22 Juva Medical Inc dispositivo de aumento de tecido
US7244270B2 (en) * 2004-09-16 2007-07-17 Evera Medical Systems and devices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US20060058891A1 (en) * 2004-09-16 2006-03-16 Lesh Michael D Transformable tissue bulking device
US20060116714A1 (en) * 2004-11-26 2006-06-01 Ivan Sepetka Coupling and release devices and methods for their assembly and use
US7947022B2 (en) 2005-03-04 2011-05-24 C. R. Bard, Inc. Access port 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474888B2 (en) 2005-03-04 2016-10-25 C. R. Bard, Inc. Implantable access port including a sandwiched radiopaque insert
EP1858565B1 (en) 2005-03-04 2021-08-11 C.R. Bard, Inc. Access port 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8029482B2 (en) 2005-03-04 2011-10-04 C. R. Bar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adiographically identifying an access port
EP3884989B1 (en) 2005-04-27 2022-07-13 C. R. Bard, Inc. Vascular access port
US10307581B2 (en) 2005-04-27 2019-06-04 C. R. Bard, Inc. Reinforced septum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WO2006116613A1 (en) 2005-04-27 2006-11-02 C.R. Bard, Inc. Infusion apparatuses
US7396366B2 (en) 2005-05-11 2008-07-0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Ureteral stent with conforming retention structure
US8951225B2 (en) * 2005-06-10 2015-02-10 Acclarent, Inc. Catheters with non-removable guide members useable for treatment of sinusitis
US8801694B2 (en) * 2005-08-11 2014-08-1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ntravesical drug delivery device
US8114113B2 (en) * 2005-09-23 2012-02-14 Acclarent, Inc. Multi-conduit balloon catheter
JP2009509650A (ja) 2005-09-26 2009-03-12 アテヌークス・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圧力減衰デバイス
US20070172508A1 (en) * 2006-01-26 2007-07-26 Paul Zupkas Transluminal drug delivery methods and devices
US20070179518A1 (en) * 2006-02-02 2007-08-02 Becker Bruce B Balloon Catheters and Methods for Treating Paranasal Sinuses
US8190389B2 (en) 2006-05-17 2012-05-29 Acclarent, Inc. Adapter for attaching electromagnetic image guidance components to a medical device
US7547323B2 (en) * 2006-08-29 2009-06-16 Sinexus, Inc. Stent for irrigation and delivery of medication
US9820688B2 (en) 2006-09-15 2017-11-21 Acclarent, Inc. Sinus illumination lightwire device
ES2650566T5 (es) * 2006-10-18 2023-06-27 Medical Components Inc Conjunto de puerto de acceso venoso con indicaciones radiopacas
US9642986B2 (en) 2006-11-08 2017-05-09 C. R. Bard, Inc. Resource information key for an insertable medical device
US9265912B2 (en) 2006-11-08 2016-02-23 C. R. Bard, Inc. Indicia informative of characteristics of insertable medical devices
US20080281350A1 (en) * 2006-12-13 2008-11-13 Biomerix Corporation Aneurysm Occlusion Devices
US20090005869A1 (en) * 2006-12-15 2009-01-01 University Of Virginia Patent Foundation Device which Attaches into a Joint and Carries a Payload of Controlled Release Drugs and Related Method thereof
US8439687B1 (en) 2006-12-29 2013-05-14 Acclaren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ed insertion and positioning of guidewares and other interventional devices
WO2008124787A2 (en) 2007-04-09 2008-10-16 Acclarent, Inc. Ethmoidotomy system and implantable spacer devices having therapeutic substance delivery capability for treatment of paranasal sinusitis
US8118757B2 (en) 2007-04-30 2012-02-21 Acclarent, Inc. Methods and devices for ostium measurement
US8485199B2 (en) 2007-05-08 2013-07-16 Acclarent,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tecting nasal turbinate during surgery
WO2008157763A1 (en) 2007-06-20 2008-12-24 Medical Components, Inc. Venous access port with molded and/or radiopaque indicia
ES2650800T3 (es) 2007-07-19 2018-01-22 Medical Components, Inc. Conjunto de reservorio venoso con indicaciones discernibles por rayos X
WO2009012395A1 (en) 2007-07-19 2009-01-22 Innovative Medical Devices, Llc Venous access port assembly with x-ray discernable indicia
US20090030409A1 (en) * 2007-07-27 2009-01-29 Eric Goldfarb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visualization in a surgical environment
US9579496B2 (en) 2007-11-07 2017-02-28 C. R. Bard, Inc. Radiopaque and septum-based indicators for a multi-lumen implantable port
NZ585449A (en) * 2007-12-11 2012-07-27 Massachusetts Inst Technology Implantable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the bladder and other body vestcles or lumens
US10206821B2 (en) 2007-12-20 2019-02-19 Acclarent, Inc. Eustachian tube dilation balloon with ventilation path
US20090198329A1 (en) 2008-02-01 2009-08-06 Kesten Randy J Breast implant with internal flow dampening
US20090198331A1 (en) * 2008-02-01 2009-08-06 Kesten Randy J Implantable prosthesis with open cell flow regulation
US8182432B2 (en) 2008-03-10 2012-05-22 Acclarent, Inc. Corewire design and construction for medical devices
JP5676446B2 (ja) 2008-07-30 2015-02-25 アクラレ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副鼻洞口ファインダ
CA2733468C (en) * 2008-08-09 2017-12-0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mplantable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s of treating male genitourinary and surrounding tissues
AU2009293312B2 (en) 2008-09-18 2015-07-09 Acclarent,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disorders of the ear nose and throat
BRPI0919890B8 (pt) 2008-10-31 2019-09-24 Bard Inc C R orifício de acesso para prover acesso subcutâneo a um paciente, e, orifício de acesso injetável de força
US8932271B2 (en) 2008-11-13 2015-01-13 C. R. Bard,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s including septum-based indicators
US11890443B2 (en) 2008-11-13 2024-02-06 C. R. Bard,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s including septum-based indicators
EP2367503A1 (en) * 2008-11-25 2011-09-28 AttenueX Technologies, Inc. Implant with high vapor pressure medium
DK2196231T3 (da) * 2008-12-12 2013-06-03 Hoffmann La Roche System til ambulant lægemiddelinfusion med et fyldeapparat til fleksible beholdere
US20100241155A1 (en) 2009-03-20 2010-09-23 Acclarent, Inc. Guide system with suction
US8435290B2 (en) 2009-03-31 2013-05-07 Acclar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of non-ventilating middle ear by providing a gas pathway through the nasopharynx
US7978742B1 (en) 2010-03-24 2011-07-12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for operating diode lasers
SG177360A1 (en) * 2009-06-26 2012-02-28 Taris Biomedical Inc Implantable drug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2451512A1 (en) 2009-07-07 2012-05-16 C.R. Bard Inc. Extensible internal bolster for a medical device
BR112012004027A2 (pt) * 2009-08-27 2016-03-29 Sanofi Aventis Deutschland recipiente de medicamento
US8721621B2 (en) 2009-09-10 2014-05-13 Taris Bio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ing devices to genitourinary sites
US9017312B2 (en) * 2009-09-10 2015-04-28 Taris Biomedical Llc Implantable device for controlled drug delivery
CN105288836B (zh) 2009-11-17 2018-09-25 C·R·巴德股份有限公司 包括锚定装置和标识部分的包覆模制的进入端口
PL2512581T3 (pl) 2009-12-17 2021-11-02 Taris Biomedical Llc Wszczepiane urządzenie z tolerancją wewnątrzpęcherzową
US20110160740A1 (en) * 2009-12-28 2011-06-30 Acclarent, Inc. Tissue Removal in The Paranasal Sinus and Nasal Cavity
ES2729782T3 (es) * 2010-08-05 2019-11-06 Taris Biomedical Llc Dispositivos implantables de administración de fármacos para sitios urogenitales
US9155492B2 (en) 2010-09-24 2015-10-13 Acclarent, Inc. Sinus illumination lightwire device
WO2012048114A1 (en) 2010-10-06 2012-04-12 Taris Biomedical, Inc. Time-selective bioresorbable or collapsible drug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WO2012048104A1 (en) * 2010-10-06 2012-04-12 Taris Biomedical, Inc. Implantable drug delivery device with bladden retention feature
USD682416S1 (en) 2010-12-30 2013-05-14 C. R. Bard, Inc. Implantable access port
USD676955S1 (en) 2010-12-30 2013-02-26 C. R. Bard, Inc. Implantable access port
RU2620032C2 (ru) 2011-01-10 2017-05-22 Аллерган, Инк. Схема приема лидокаина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продолжительном лечении боли в мочевом пузыре и раздражения при мочеиспускании
ES2637388T3 (es) 2011-02-04 2017-10-13 Taris Biomedical, Inc. Dispositivo implantable para la liberación controlada de un fármaco de baja solubilidad
CN104394845B (zh) 2012-05-19 2017-04-26 塔里斯生物医药公司 具有改良取回特征的可植入泌尿器械
ITMI20121154A1 (it) * 2012-06-29 2013-12-30 Sint Sa Soluzione iniettabile di acetaminofene per la somministrazione spinale
US8894563B2 (en) 2012-08-10 2014-11-25 Attenuex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 medical procedure
RU2678308C2 (ru) 2012-08-31 2019-01-25 ТАРИС Биомедикал ЛЛК Системы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я предстательной железы, включающие применение гемцитабина
EP2890384B1 (en) 2012-08-31 2021-11-03 TARIS Biomedical LLC Drug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bladder cancer comprising oxaliplatin
US10137287B2 (en) 2013-03-05 2018-11-27 Taris Biomedical Llc Drug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ed drug release through device orifice
BR112015022433B1 (pt) 2013-03-15 2022-06-21 Taris Biomedical Llc Dispositivo de liberação de droga intravesical
US9629684B2 (en) 2013-03-15 2017-04-25 Acclaren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ethmoid sinusitis
US9433437B2 (en) 2013-03-15 2016-09-06 Acclaren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ethmoid sinusitis
PT3035991T (pt) 2013-08-19 2020-10-06 Taris Biomedical Llc Métodos e dispositivos de unidades múltiplas para administração de fármacos
EP3142740B1 (en) 2014-05-12 2020-12-02 TARIS Biomedical LLC Drug delivery devices
US20170340284A1 (en) * 2014-10-31 2017-11-30 H. Lee Moffott Cancer Center And Research Institute, Inc. Arterial catheters and methods of use
WO2016172704A1 (en) 2015-04-23 2016-10-27 Taris Biomedical Llc Drug delivery devices with drug-permeable component and methods
MX2019009661A (es) * 2017-02-20 2019-10-02 Avent Inc Ampolla para un ensamble de infusion.
AU2017398939A1 (en) 2017-02-20 2019-09-05 Avent, Inc. Mandrel for an infusion assembly
SG10201913998YA (en) 2017-07-25 2020-03-30 Taris Biomedical Llc Methods of treating tumor metastasis
US10548604B2 (en) * 2018-01-05 2020-02-04 Richard A Rizzolo Slow blood vessel occlusion apparatus
WO2020163625A1 (en) 2019-02-07 2020-08-13 Solace Therapeutics, Inc. Pressure attenuation device
WO2020168244A1 (en) 2019-02-15 2020-08-20 Incelldx, Inc. Assaying bladder-associated samples, identifying and treating bladder-associated neoplasia, and kits for use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9578A (en) 1965-10-12 1969-09-30 Howard R Bierman Infusion device for ambulatory patients with flow control means
US3506005A (en) 1967-02-23 1970-04-14 Arthur S Gilio Pressure infusion device for medical use
US3498228A (en) 1967-05-01 1970-03-03 Charles A Blumle Portable infusion pump
US3640277A (en) * 1968-12-09 1972-02-08 Marvin Adelberg Medical liquid administration device
US3650093A (en) 1970-01-08 1972-03-21 Pall Corp Sterile disposable medicament administration system
US3786813A (en) 1972-12-27 1974-01-22 Alza Corp Drug delivery device with self actuated mechanism for retaining device in selected area
US3788322A (en) 1972-12-27 1974-01-29 Alza Corp Drug delivery device with means for maintaining device in environment of use
US3797492A (en) 1972-12-27 1974-03-19 Alza Corp Device for dispensing product with directional guidance member
US3993069A (en) 1973-03-26 1976-11-23 Alza Corporation Liquid delivery device bladder
US4201207A (en) 1973-03-26 1980-05-06 Alza Corporation Bladder for liquid dispenser
US3901232A (en) 1973-10-26 1975-08-26 Alza Corp Integrated device for administering beneficial drug at programmed rate
US3944064A (en) 1973-10-26 1976-03-16 Alza Corporation Self-monitored device for releasing agent at functional rate
US3993061A (en) 1975-02-28 1976-11-23 Ivac Corporation Syringe pump drive system and disposable syringe cartridge
US4133315A (en) 1976-12-27 1979-01-09 Berman Edward J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besity
US4207890A (en) 1977-01-04 1980-06-17 Mcneilab, Inc. Drug-dispensing device and method
US4265241A (en) * 1979-02-28 1981-05-05 Andros Incorporated Implantable infusion device
CA1169323A (en) 1980-06-03 1984-06-19 Anthony M. Albisser Insulin infusion device
US4326522A (en) 1980-06-09 1982-04-27 Pitman-Moore, Inc. Mesh-covered bolus
US4482346A (en) 1982-07-30 1984-11-13 Consolidated Controls Corporation Apparatus for infusing medication into the body
US4485805A (en) 1982-08-24 1984-12-04 Gunther Pacific Limited Of Hong Kong Weight loss device and method
US4486190A (en) 1982-12-27 1984-12-04 Consolidated Controls Corporation Precision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4557726A (en) 1982-12-27 1985-12-10 Consolidated Controls Corporation Precision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4741733A (en) 1985-01-07 1988-05-03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Infusor having a distal flow regulator
US4904239A (en) 1985-01-07 1990-02-27 Baxter International Inc. Infusor having a distal flow regulator
US4684365A (en) 1985-01-24 1987-08-04 Eaton Corporation Disposable refill unit for implanted medication infusion device
US4626244A (en) 1985-02-01 1986-12-02 Consolidated Controls Corporation Implantable medication infusion device
GB8603099D0 (en) 1986-02-07 1986-03-12 Blass K G Gastrointestinal module
US4813937A (en) 1986-05-07 1989-03-21 Vaillancourt Vincent L Ambulatory disposable infusion delivery system
US4715852A (en) 1986-07-21 1987-12-29 Eaton Corporation Implanted medication infusion device
US4936832A (en) 1986-11-24 1990-06-26 Vaillancourt Vincent L Ambulatory disposable infusion delivery system
US4867743A (en) 1986-11-24 1989-09-19 Vaillancourt Vincent L Ambulatory disposable infusion delivery system
US4915693A (en) 1986-11-26 1990-04-10 Baxter International, Inc. Pressurized fluid dispenser
US4734092A (en) 1987-02-18 1988-03-29 Ivac Corporation Ambulatory drug delivery device
US4798580A (en) 1987-04-27 1989-01-17 Site Microsurgical Systems, Inc. Disposable peristaltic pump cassette system
US4871542A (en) 1987-04-30 1989-10-03 Ferring Service Center, N.V. Method and apparatus useful for delivering medicinal compositions into the bladder and urinary tract
US4850807A (en) 1987-06-16 1989-07-25 Frantz Medical Development Ltd. Disposable cassette for fluid delivery pump systems
US4911717A (en) 1987-06-18 1990-03-27 Gaskill Iii Harold V Intravasular artificial organ
US5382600A (en) 1988-01-22 1995-01-17 Pharmacia Aktiebolag 3,3-diphenylpropylamin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US4834704A (en) 1988-04-13 1989-05-30 Eaton Corporation Injectable infusion pump apparatus for implanting long-term dispensing module and medication in an animal and method therefor
US4925446A (en) 1988-07-06 1990-05-15 Transpharm Group Inc. Removable inflatable intragastrointestinal device for delivering beneficial agents
US4968301A (en) 1989-02-02 1990-11-06 Imed Corporation Disposable infusion device
NZ228382A (en) 1989-03-17 1992-08-26 Carter Holt Harvey Plastic Pro Drug administering coil-like device for insertion in body cavity of animal
KR0141688B1 (ko) 1989-05-24 1998-06-15 스까다 쇼오에이 액체형 약제를 연속적으로 주입하기 위한 기구를 가진 주입기
US5019047A (en) 1989-06-16 1991-05-28 Science Incorporated Fluid delivery apparatus
DE3927001A1 (de) 1989-08-16 1991-02-21 Lucien C Dr Med Olivier Kathetersystem
KR970005840B1 (ko) 1990-02-28 1997-04-21 쯔가가 메디칼 리서치 컴패니 리미티드 밸룬 부착시 약액 지속 주입기
WO1991019529A1 (en) 1990-06-15 1991-12-26 Cortrak Medical, Inc. Drug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GB9214120D0 (en) 1991-07-25 1992-08-12 Ici Plc Therapeutic amides
US5433709A (en) 1992-04-17 1995-07-18 Science Incorporated Fluid dispensing apparatus including mounting base for a plurality of fluid dispensing devices
ZA933349B (en) 1992-05-13 1994-06-15 Alza Corp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oxybutynin
US5476434A (en) * 1992-05-27 1995-12-19 Kalb; Irvin M. Female incontinence device including electronic sensors
DE4225524C2 (de) 1992-08-01 1994-08-04 Fresenius Ag Implantierbare Infusionsvorrichtung
US5301688A (en) 1992-08-07 1994-04-12 Physion S.R.L. Method for localization and therapy of occult bladder cancer
US5318519A (en) 1992-08-19 1994-06-07 Wilk Peter J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nutrition
US5284481A (en) 1992-12-02 1994-02-08 Block Medical, Inc. Compact collapsible infusion apparatus
US5368588A (en) 1993-02-26 1994-11-29 Bettinger; David S. Parenteral fluid medication reservoir pump
JP3259267B2 (ja) 1993-12-28 2002-02-25 ニプロ株式会社 薬液注入器具
US5630843A (en) 1994-06-30 1997-05-20 Rosenberg; Paul H. Double chamber tissue expander
JPH0871162A (ja) 1994-09-02 1996-03-19 Nissho Corp 薬液注入器具
AU7994694A (en) 1994-10-21 1996-05-15 Leiras Oy Controll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containing oxybutynin
US5677346A (en) 1995-01-31 1997-10-14 Sepracor, Inc.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ing (S)-desethyloxybutynin
US5532278A (en) 1995-01-31 1996-07-02 Sepracor,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ing optically pure (S)-oxybutynin
US5674895A (en) 1995-05-22 1997-10-07 Alza Corporation Dosage form comprising oxybutynin
JP2000510720A (ja) 1996-05-03 2000-08-22 ユーロス コーポレイション 医療装置用のペントサンポリスルフェート被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522665A (ja) 2001-11-20
US6171298B1 (en) 2001-01-09
EP1028773A1 (en) 2000-08-23
WO1999024106A1 (en) 1999-05-20
CA2308150A1 (en) 1999-05-20
AU1186899A (en) 199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1745A (ko) 방광내 약물주입기
US6183461B1 (en) Method for delivering a medication
KR101538748B1 (ko) 이식형 의약 투여 장치와 방광과 기타 신체 낭 또는 내강의 치료 방법
JP6854210B2 (ja) 膀胱内における耐容性を備えた植込み型装置及び治療方法
US10532132B2 (en) Implantable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s
AU764894C (en) Implantable device for access to a treatment site
US4973304A (en) Device for sustained release of active substance
JP3631807B2 (ja) 側スリットを有するカテーテル
AU7259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moting tissue growth
KR101456108B1 (ko) 도뇨관
EP0372137A1 (en) Method and apparatus useful for delivering medicinal compositions into the bladder and urinary tract
US201102184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anting Devices in the Bladder and Other Genitourinary Sites
WO2000078385A1 (en) Composite drug delivery catheter
JPH06503982A (ja) 泌尿器管感染症又は他の疾患の自己管理治療に使用可能であり、尿道プラグとしても使用可能である器具の使用方法及びその取出可能な器具
WO1996033761A1 (en) Intraparenchymal infusion catheter system
US6645138B2 (en) Adjustable implantable genitourinary device
KR100919651B1 (ko) 약제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환자 제어 진통(pca) 장치
US7875008B2 (en) Barrier catheter apparatus and method
WO2000064513A1 (en) Pressure responsive valve for use with an intravesical infuser
MXPA00004326A (en) Intravesical infuser
NZ227243A (en) Floatable device for insertion into the bladder or urinary tract comprising a porous polymeric container and a medica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